KR102263634B1 - 전극 유닛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극 유닛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3634B1
KR102263634B1 KR1020200175143A KR20200175143A KR102263634B1 KR 102263634 B1 KR102263634 B1 KR 102263634B1 KR 1020200175143 A KR1020200175143 A KR 1020200175143A KR 20200175143 A KR20200175143 A KR 20200175143A KR 102263634 B1 KR102263634 B1 KR 102263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electrode unit
legs
protrusion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5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연신
Original Assignee
윤연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연신 filed Critical 윤연신
Priority to KR1020200175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6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4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 F21V21/35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with direct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supporting element and electric conductors running along the guiding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Abstract

전극 유닛이 개시되며, 상기 전극 유닛은, 본원의 일 측면에 따른 전극 유닛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횡 방향 일단 및 횡방향 타단 각각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다리, 상기 한 쌍의 다리 각각으로부터 횡 방향 외측으로 절곡 연장되는 한 쌍의 날개, 상기 베이스의 횡 방향 일단 및 횡방향 타단 각각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 및 상기 한 쌍의 연장부 각각의 상단으로부터 횡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베이스 상의 상기 한 쌍의 연장부 사이에 배치되는 도전성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다리 사이의 간격은 일정하다.

Description

전극 유닛 및 이의 제조 방법{ELECTRODE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원은 전극 유닛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음식점 등의 업소에서는 천장이나 벽면에 다양한 조명기구를 설치하였다.
이러한 조명기구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을 연결하여 사용하였으며, 천장이나 벽면의 내부에 매립하거나 전선몰딩 등을 이용하여, 전선의 노출을 피하고 실내의 인테리어에 지장이 없도록 하였다.
근래에는 이러한 조명기구와 부속물의 전선의 연결과 설치작업을 편리하게 진행하기 위해 각종의 조명레일이 개발되었고, 상기한 조명레일을 통해 조명기구를 손쉽게 설치하고 실내 인테리어 효과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조명기구의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 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출원인은 조명레일과 관련하여, 종래에 등록특허공보 제10-2071830에 조명레일을 개시한 바 있다.
그런데, 개시된 조명레일의 전극 몰딩은 한 쌍의 다리 각각에 굴곡이 있고, 한 쌍의 다리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제조시, 제조되는 전극 몰딩의 다리를 양품의 전극 몰딩의 다리 형태와 동일하게 제조하거나, 한 쌍의 다리 사이의 간격을 양품의 전극 몰딩의 다리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게 제조하는 것이 어려워, 불량률이 높은 측면이 있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조가 용이하고 불량률이 낮은 전극 유닛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도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측면에 따른 전극 유닛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횡 방향 일단 및 횡방향 타단 각각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다리, 상기 한 쌍의 다리 각각으로부터 횡 방향 외측으로 절곡 연장되는 한 쌍의 날개, 상기 베이스의 횡 방향 일단 및 횡방향 타단 각각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 및 상기 한 쌍의 연장부 각각의 상단으로부터 횡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베이스 상의 상기 한 쌍의 연장부 사이에 배치되는 도전성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다리 사이의 간격은 일정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측면에 따른 전극 유닛 제조 방법은, (a) 상기 베이스, 상기 한 쌍의 다리, 상기 한 쌍의 날개 및 상기 베이스의 횡 방향 일단 및 횡방향 타단 각각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직선부를 포함하는 가본체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도전성 부재를 상기 한 쌍의 직선부 사이로 인입시키고, 상기 한 쌍의 직선부 각각을 횡 방향 내측으로 꺽어 상기 한 쌍의 연장부 및 상기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가본체를 상기 본체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한 쌍의 다리 사이의 간격이 상하 방향으로 일정하므로, 다시 말해, 다리가 직선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전극 유닛들의 다리 및 다리 사이의 간격을 양품의 전극 유닛에 맞추어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불량율이 낮아질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유닛이 장착되는 레일 프레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유닛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유닛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유닛이 장착된 레일 프레임의 일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유닛의 제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상측, 상단, 상부, 하측, 횡 방향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3에서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이 상측,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을 향하는 단부가 상단,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상부,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이 하측, 전반적으로 3시-9시 방향이 횡 방향 등이 될 수 있다.
본원은 전극 유닛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유닛(이하 '본 전극 유닛'이라 함)(1)에 대해 설명한다.
참고로, 본 전극 유닛(1)은 조명 레일을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본 전극 유닛(1)은 조명 레일의 레일 프레임(2)에 결합되어 조명 레일을 형성할 수 있다. 조명 레일은 다양한 형태의 소켓이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본 전극 유닛(1)은 소켓에 대한 전극 단자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레일 프레임(2)은 본 전극 유닛(1)이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레일 프레임(2)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어, 레일 프레임(2)은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특허공보 제 10-2071830호에 개시된 조명 레일 본체와 대응 내지 동일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전극 유닛은 본체(11)를 포함한다. 본체(11)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111), 베이스(111)의 횡 방향 일단 및 횡 방향 타단 각각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다리(112), 한 쌍의 다리(112) 각각으로부터 횡 방향 외측으로 절곡 연장되는 한 쌍의 날개(113), 베이스(111)의 횡 방향 일단 및 횡방향 타단 각각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114) 및 한 쌍의 연장부(114) 각각의 상단으로부터 횡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15)를 포함한다. 본체(11)는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전극 유닛은 도전성 부재(12)를 포함한다. 도전성 부재(12)는 베이스(111) 상의 한 쌍의 연장부(114) 사이에 배치된다. 도전성 부재(12)는 전도성 소재로, 구리, 알루미늄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한 쌍의 연장부(114)는 그 사이의 공간에 도전성 부재(12)가 배치되는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15)는 한 쌍의 연장부(114) 사이에 배치된 도전성 부재(12)의 이탈(탈거)이 방지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도전성 부재(12)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15)는 내측으로 향할수록 두께가 줄어들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유닛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시 용이하게 돌출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할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유닛의 제조 방법에서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다리(112)의 적어도 일부, 날개(113), 돌기(116)는 본 전극 유닛(1)이 레일 프레임(2)의 결합 홈(21)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다리(112)는 본 전극 유닛(1)이 레일 프레임(2)에 삽입된 상태에서 신축성 또는 탄성을 가지면서 상하로 이동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와 같은 상하 이동은 외부 충격 또는 조명 레일의 평탄도의 변이에 대응되어 도전성 부재(12)가 소켓의 전극 단자에 대한 접촉이 유지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한 쌍의 다리(112) 사이의 간격(횡방향 간격)은 일정하다. 다시 말해, 한 쌍의 다리(112)는 직선 형태(제작 오차 고려한 범위 내에서의 직선 형태일 수 있음)로 베이스(11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한 쌍의 연장부(114) 각각과 한 쌍의 다리(112)는 상하로 직선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종래의 전극 유닛은 한 쌍의 다리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고, 부분마다, 다리 사이의 간격이 좁은 부분이 있고 넓은 부분이 있었다. 이에 따라, 전극 유닛의 제조시, 제조되는 전극 유닛의 다리 사이의 간격을 양품의 전극 유닛의 다리 사이의 간격에 맞추어 제조하는 것이 어려워, 불량률이 높은 측면이 있었다. 또한, 본 전극 유닛은 제조시, 후술하는 제조 방법에 따라 돌출부(115) 형성을 위해 진공압을 작용하는데, 만약, 전극 유닛의 다리가 직선 형태가 아닌 경우, 이러한 진공압 작용시 다리가 변형되는 경우가 있어, 불량품이 발생할 수 있었다.
반면에, 본 전극 유닛(1)에 의하면, 한 쌍의 다리(112)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므로, 제조되는 본 전극 유닛들의 다리(112) 사이의 간격이 상기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제조하는게 용이할 수 있어, 불량률이 낮아질 수 있고, 제조 과정에서 진공압이 작용하더라도 다리(112)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전극 유닛(1)은 한 쌍의 다리(112)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하중이 한 쌍의 다리(112)의 상하 방향(길이 방향)으로의 전체 부위에 균일하게 작용될 수 있어 내구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한 쌍의 날개(113)는 한 쌍의 다리(112) 각각으로부터 횡 방향 외측으로 절곡 연장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한 쌍의 다리(112) 중 횡 방향 일측에 위치하는 다리(112)로부터 연장되는 날개(113)는 횡 방향 일측으로 절곡 연장될 수 있고, 한 쌍의 다리(112) 중 횡 방향 타측에 위치하는 다리(112)로부터 연장되는 날개(113)는 횡 방향 타측으로 절곡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날개(113)와 다리(112)는 서로 수직(제작 오차 고려한 범위 내에서의 수직 형태일 수 있음)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한 쌍의 날개(113) 각각의 횡 방향 외측 단부에는 적어도 일부가 날개(113)의 두께(상하 방향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는 돌기(11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테면, 돌기(116)의 최대 두께는 날개(113)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전극 유닛(1)의 레일 프레임(2)의 체결 홈(21) 으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참고로, 돌기(116)의 단면은 원형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돌기(116)의 직경이 돌기(116)의 최대 두께일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돌기(116)는 외면이 라운드진 형태일 수 있다. 이를 테면, 돌기(116)의 단면은 원형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를 참조하면, 본 전극 유닛(1)의 레일 프레임(2)에 대한 체결시, 다시 말해, 돌기(116) 및 날개(113)의 레일 프레임(2)의 체결 홈(21)의 삽입이 용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유닛의 제조 방법(이하 '본 제조 방법'이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제조 방법은 전술한 본 전극 유닛을 제조하는 것이므로, 본 전극 유닛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본 제조 방법은, 가본체(91)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제1 단계). 가본체(91)는 전술한 베이스(111), 한 쌍의 다리(112), 한 쌍의 날개(113)를 포함한다. 또한, 가본체(91)는 베이스(111)의 횡 방향 일단 및 횡 방향 타단 각각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직선부(911)를 포함한다.
또한, 도 5의 (b)를 참조하면, 본 제조 방법은, 도전성 부재(12)를 한 쌍의 직선부(11) 사이로 인입시키고, 한 쌍의 직선부(911) 각각을 횡 방향 내측으로 꺽어 한 쌍의 연장부(114) 및 돌출부(115)를 형성함으로써, 가본체(91)를 본체(11)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제2 단계).
이를 테면, 제2 단계는 한 쌍의 직선부(911)가 횡 방향 내측으로 꺽이도록 진공 성형할 수 있다. 가본체(91)에 진공압이 작용하면, 가본체(91)는 한 쌍의 직선부(911)가 횡 방향 내측으로 꺽이는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이를 테면, 쪼그라들며 변형이 일어날 수 있음).
또한, 한 쌍의 직선부(911)는 상부는 상측을 향할수록, 횡 방향 두께가 줄어들 수 있다. 이에 따라, 진공압 작용시 용이하게 직선부(911)의 상부(전술한 돌출부(115))를 형성하는 부분)이 직선부(911)의 다른 부분에 대해 횡 방향으로 내측으로 꺽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용이하게 돌출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제조 방법은 도전성 부재(12)가 결합되며 성형된 본체(1)를 냉각시키는 단계(제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단계는 제2 단계와 동시에 수행되거나, 또는 제2 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제조 방법은 도전성 부재(12)가 결합되며 성형된 본체(1)를 커팅하여 전술한 본 전극 유닛(1)을 제조하는 단계(제4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단계는 제3 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전극 유닛을 제조하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 시스템(이하 '본 제조 시스템'이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전술한 본 제조 방법 및 본 전극 유닛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본 제조 시스템은 수지 소재를 일정 온도로 용융하여 일정 형상의 몰딩으로 압출하는 가본체 제조부(1)를 포함할 수 있다. 가본체 제조부(1)는 수지 소재의 원료를 공급하는 호퍼 및 호퍼로부터 공급받은 수지 소재를 압출 성형하여 전술한 가본체(91)를 성형하는 압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제조 시스템은 전도성 부재(12)를 공급하는 전도성 부재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도성 부재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도성 부재(12)는 단면이 원형일 수 있다.
또한, 본 제조 시스템은 전도성 부재(12)를 압착하는 압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압착부의 압착에 의해 전도성 부재(12)는 플레이트 형상(도 1 및 도 2)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제조 시스템은 진공 성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진공 성형부로 가본체(91)는 유입될 수 있고, 전도성 부재(12)또한 진공 성형부로 유입되되, 전도성 부재(12)는 가본체(91)의 한쌍의 직선부(911) 사이로 배치되며 가본체(91)와 함께 진공 성형부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진공 성형부 내로 유입된 가본체(91) 및 전도성 부재(12)에는 진공압이 작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직선부(911)가 굽어지며 가본체(91)에 전도성 부재(12)가 배치된 상태에서 연장부(114) 및 돌출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제조 시스템은 냉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부는 냉각수를 저수하는 수조를 포함할 수 있다. 진공 성형부로부터 배출된 전도성 부재(12)와 결합되며 연장부(114) 및 돌출부(115)가 형성된 가본체(91)는 수조를 통과하며 냉각될 수 있다.
또한, 본 제조 시스템은 커팅기를 포함할 수 있다. 수조를 통과한 전도성 부재(12)와 결합되며 연장부(114) 및 돌출부(115)가 형성된 가본체(91)는 커팅기에 의해 커팅됨으로써 전술 한 본 전극 유닛으로 제조 완성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전극 유닛
11: 본체
111: 베이스
112: 다리
113: 날개
114: 연장부
115: 돌출부
116: 돌기
12: 도전성 부재
2: 레일 프레임
21: 결합 홈

Claims (6)

  1. 삭제
  2. 전극 유닛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횡 방향 일단 및 횡방향 타단 각각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다리, 상기 한 쌍의 다리 각각으로부터 횡 방향 외측으로 절곡 연장되는 한 쌍의 날개, 상기 베이스의 횡 방향 일단 및 횡방향 타단 각각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 및 상기 한 쌍의 연장부 각각의 상단으로부터 횡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베이스 상의 상기 한 쌍의 연장부 사이에 배치되는 도전성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다리 사이의 간격은 일정하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내측으로 향할 수록 두께가 줄어들며,
    상기 한 쌍의 날개 각각의 횡 방향 외측 단부에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날개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는 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돌기는 외면이 라운드진 형태인 것인, 전극 유닛.
  3. 삭제
  4. 제2항에 따른 전극 유닛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베이스, 상기 한 쌍의 다리, 상기 한 쌍의 날개 및 상기 베이스의 횡 방향 일단 및 횡방향 타단 각각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직선부를 포함하는 가본체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도전성 부재를 상기 한 쌍의 직선부 사이로 인입시키고, 상기 한 쌍의 직선부 각각을 횡 방향 내측으로 꺽어 상기 한 쌍의 연장부 및 상기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가본체를 상기 본체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한 쌍의 다리 사이의 간격은 일정하게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날개 각각의 횡 방향 외측 단부에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날개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는 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돌기는 외면이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b) 단계는,
    상기 한 쌍의 직선부가 횡 방향 내측으로 꺽이도록 진공 성형하고, 상기 돌출부는 내측으로 향할 수록 두께가 줄어들며,
    (c) 상기 도전성 부재가 결합되며 성형된 상기 본체를 냉각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도전성 부재가 결합되며 성형된 상기 본체를 일정 길이로 커팅하여 상기 전극 유닛을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극 유닛의 제조 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200175143A 2020-12-15 2020-12-15 전극 유닛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63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143A KR102263634B1 (ko) 2020-12-15 2020-12-15 전극 유닛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143A KR102263634B1 (ko) 2020-12-15 2020-12-15 전극 유닛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3634B1 true KR102263634B1 (ko) 2021-06-10

Family

ID=76378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143A KR102263634B1 (ko) 2020-12-15 2020-12-15 전극 유닛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36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1844B1 (ko) * 2021-11-03 2022-10-31 김종석 조명 레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507Y1 (ko) * 2006-04-17 2006-08-09 이상현 실내용 파워트랙 콘센트
KR101646165B1 (ko) * 2014-12-23 2016-08-08 주식회사 유앤아이테크 절연 프레임 구조의 조명 레일
KR20180072094A (ko) * 2016-12-21 2018-06-29 김용민 케이블 배관부를 구비한 조명레일 시스템
KR101884644B1 (ko) * 2016-11-30 2018-08-02 김용민 연결 커넥터를 구비한 조명레일 시스템
KR101897673B1 (ko) * 2016-04-08 2018-09-12 김용민 조명기구 이동 및 전원 공급용 조명레일 시스템
KR102071830B1 (ko) * 2019-08-28 2020-01-30 김종석 조명레일용 전극몰딩의 제조시스템
KR20200001628U (ko) * 2019-01-14 2020-07-22 김호철 조명기구용 전원공급레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507Y1 (ko) * 2006-04-17 2006-08-09 이상현 실내용 파워트랙 콘센트
KR101646165B1 (ko) * 2014-12-23 2016-08-08 주식회사 유앤아이테크 절연 프레임 구조의 조명 레일
KR101897673B1 (ko) * 2016-04-08 2018-09-12 김용민 조명기구 이동 및 전원 공급용 조명레일 시스템
KR101884644B1 (ko) * 2016-11-30 2018-08-02 김용민 연결 커넥터를 구비한 조명레일 시스템
KR20180072094A (ko) * 2016-12-21 2018-06-29 김용민 케이블 배관부를 구비한 조명레일 시스템
KR20200001628U (ko) * 2019-01-14 2020-07-22 김호철 조명기구용 전원공급레일
KR102071830B1 (ko) * 2019-08-28 2020-01-30 김종석 조명레일용 전극몰딩의 제조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1844B1 (ko) * 2021-11-03 2022-10-31 김종석 조명 레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2994B1 (ko) 일체형 전원공급용 조명레일
US10230187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0417145B1 (en) Light rail
KR102263634B1 (ko) 전극 유닛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56157B1 (ko) 도전 스트립 일체형 전극 유닛 및 이를 가진 조명 레일
KR101634157B1 (ko) 도전 스트립 일체형 전극 유닛 및 이를 가진 조명 레일
KR20210000137A (ko) 방수용 전구 소켓
CN204900552U (zh) 导轨式模块安装支架
KR101646165B1 (ko) 절연 프레임 구조의 조명 레일
CN110635424B (zh) 一种具有整体弹性限位结构密集母线槽接头器插口结构
KR101918444B1 (ko) 평판형 조명등장치
CN109888699A (zh) 一种高散热母线槽结构
CN213906216U (zh) 一种卡接式插头
CN210092388U (zh) 一种可伸缩母线连接装置
CN104812182A (zh) 电器盒及具有该电器盒的空调器
KR200492507Y1 (ko) 조명레일용 커넥터
CN205315583U (zh) 异形缓冲结构及其电视机或显示器
KR102012383B1 (ko) 안정기브라켓이 구비된 천장 매립형 등기구
KR20200000428U (ko) Led 램프의 연속 접속장치
CN217011220U (zh) 一种加热电极结构
CN205303800U (zh) 连接器
CN211907794U (zh) 一种电力插排壳体以及电力插排
CN208571021U (zh) 一种板到板压接式75a电源母端连接器
CN219180795U (zh) Btb连接器
CN219083002U (zh) 紧固装置及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