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137A - 방수용 전구 소켓 - Google Patents

방수용 전구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137A
KR20210000137A KR1020190075041A KR20190075041A KR20210000137A KR 20210000137 A KR20210000137 A KR 20210000137A KR 1020190075041 A KR1020190075041 A KR 1020190075041A KR 20190075041 A KR20190075041 A KR 20190075041A KR 20210000137 A KR20210000137 A KR 20210000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waterproof
light bulb
pair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5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7370B1 (ko
Inventor
박병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성
Priority to KR1020190075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7370B1/ko
Publication of KR20210000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6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point-like light sources, e.g. incandescent or halogen lamps, with screw-threaded or bayonet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구 소켓 내부로 빗물이나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수용 전구 소켓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전구가 결합될 수 있는 나사홈이 형성되고, 타측에 한 쌍의 전원선이 연결되는 소켓부 및 상기 소켓부의 내부로 빗물이나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소켓부의 외주면 및 상기 소켓부와 상기 한 쌍의 전원선이 접속되는 접속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방수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수 커버부는,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소켓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방수용 전구 소켓{Waterproof electric bulb socket}
본 발명은 방수용 전구 소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전구 소켓 내부로 빗물이나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수용 전구 소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산업 현장 등에서는 작업자의 편의와 안전을 위해 전구 소켓에 백열 전구나 LED 전구 등을 결합하여 작업장을 밝히는 형태의 작업등을 대부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작업등의 경우 건설 및 건축 현장 등과 같이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특성상 감전이나 누전사고 등을 예방하기 위해 방수기능 등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대부분의 전구 소켓 등에 방수 구조를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수용 전구 소켓은, 기본적인 방수 구조를 채용하고 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안전규격에 못 미치는 실정이서 안전성 측면에서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방수용 전구 소켓에 연결되는 외부 전선과 소켓부 간의 연결부위 틈새를 통한 기밀구조가 취약하여 방수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구가 결합되는 소켓부와 이를 보호하는 방수 커버부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소켓부와 방수 커버부 간의 기밀성을 높임으로써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수용 전구 소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수용 전구 소켓이 제공된다 상기 방수용 전구 소켓은, 일측에 전구가 결합될 수 있는 나사홈이 형성되고, 타측에 한 쌍의 전원선이 연결되는 소켓부; 및 상기 소켓부의 내부로 빗물이나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소켓부의 외주면 및 상기 소켓부와 상기 한 쌍의 전원선이 접속되는 접속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방수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수 커버부는,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소켓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소켓부는, 하방이 개방된 원통형의 하우징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에 상기 전구를 결합할 수 있는 상기 나사홈이 형성되는 소켓 금구; 상기 소켓 금구의 상면과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상기 소켓 금구의 상부에 형성되는 방수 하우징; 및 상기 소켓 금구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소켓 금구에 결합된 상기 전구의 단부와 접촉하는 접속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소켓 금구는, 상기 접속 단자 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형상으로 상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노칭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접속 단자는, 상기 소켓 금구와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도록, 상기 노칭부에 상기 소켓 금구와 접촉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소켓부는, 상기 소켓 금구와 상기 방수 하우징 또는 상기 접속 단자와 상기 방수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전원선과 접속되는 한 쌍의 접속 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한 쌍의 접속 핀은, 상기 소켓 금구와 상기 방수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전원선 중 어느 하나의 전원선과 접속되는 제 1 핀; 및 상기 접속 단자와 상기 방수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전원선 중 다른 하나의 전원선과 접속되는 제 2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소켓 금구는, 상기 방수 커버부의 인서트 사출 성형 시 인서트 금형에 인서트되는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인서트 금형에 형성된 가이드 핀이 삽입되는 제 1 가이드 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방수 하우징은, 상기 제 1 가이드 홀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가이드 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방수 커버부는, 상기 소켓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커버 몸체; 상기 커버 몸체의 상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핀 전체와 상기 한 쌍의 전원선 중 어느 하나의 전원선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 1 핀 커버; 및 상기 커버 몸체의 상면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핀 전체와 상기 한 쌍의 전원선 중 다른 하나의 전원선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 2 핀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방수 커버부는, 상기 제 1 핀 커버와 상기 제 2 핀 커버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방수 커버부는, 상기 커버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서 상기 커버 몸체의 하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단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구가 결합되는 소켓부와 이를 보호하는 방수 커버부를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소켓부와 방수 커버부 간의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수 성능을 향상시켜 습기가 많은 외부 환경에 노출되더라도 감전이나 누전사고 등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방수용 전구 소켓을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용 전구 소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방수용 전구 소켓의 전면과 저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4는 도 1의 방수용 전구 소켓의 방수 커버부 인서트 사출 성형 전의 소켓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소켓부의 전면과 저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7은 도 6의 절단부 Ⅶ-Ⅶ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절단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용 전구 소켓(1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방수용 전구 소켓(100)의 전면과 저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의 방수용 전구 소켓(100)의 방수 커버부(20) 인서트 사출 성형 전의 소켓부(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소켓부(10)의 전면과 저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며, 도 7은 도 6의 절단부 Ⅶ-Ⅶ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절단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용 전구 소켓(100)은, 크게, 소켓부(10) 및 방수 커버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부(10)는, 일측에 전구가 결합될 수 있는 나사홈(11a)이 형성되고, 타측에 한 쌍의 전원선(C)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방수 커버부(20)는, 소켓부(10)의 내부로 빗물이나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소켓부(10)의 외주면 및 소켓부(10)와 한 쌍의 전원선(C)이 접속되는 접속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방수 커버부(20)는,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소켓부(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방수 커버부(20)는, 소켓부(1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커버 몸체(21)와, 커버 몸체(21)의 상면 일측에 형성되어, 한 쌍의 전원선(C) 중 어느 하나의 전원선(C1)과 접속되는 제 1 핀(14a) 전체와 어느 하나의 전원선(C1)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 1 핀 커버(22) 및 커버 몸체(21)의 상면 타측에 형성되어, 한 쌍의 전원선(C) 중 다른 하나의 전원선(C2)과 접속되는 제 2 핀(14b) 전체와 다른 하나의 전원선(C2)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 2 핀 커버(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수 커버부(20)는 소켓부(10)의 외주면 전체 및 소켓부(10)와 한 쌍의 전원선(C)의 접속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방수 커버부(20)는,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소켓부(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소켓부(10)와 방수 커버부(20) 간의 기밀성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방수 커버부(20)는, 제 1 핀 커버(22)와 제 2 핀 커버(23)를 연결하는 연결부(24)가 형성되어, 커버 몸체(21)의 상면에 형성된 제 1 핀 커버(22)와 제 2 핀 커버(23)가 외력에 의해 흔들리거나 꺾어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구속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핀 커버(22)와 커버 몸체(21)의 이음부 및 제 2 핀 커버(23)와 커버 몸체(21)의 이음부에, 제 1 핀 커버(22) 또는 제 2 핀 커버(23)의 흔들림이나 꺾임으로 인한 크랙(Crack)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소켓부(10)와 한 쌍의 전원선(C)의 접속부의 기밀성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방수 커버부(20)는, 커버 몸체(21)의 외주면을 따라서 커버 몸체(21)의 하단부에 링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단턱부(25)가 형성되어, 커버 몸체(21)의 외주면을 따라서 흘러내리는 수분이 소켓부(10)에 결합된 전구로 스며드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부(10)는, 하방이 개방된 원통형의 하우징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에 상기 전구를 결합할 수 있는 나사홈(11a)이 형성되는 소켓 금구(11)와, 소켓 금구(11)의 상면과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소켓 금구(11)의 상부에 형성되는 방수 하우징(12) 및 소켓 금구(11)의 내부에 형성되어, 소켓 금구(11)에 결합된 상기 전구의 단부와 접촉하는 접속 단자(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켓부(10)는, 소켓 금구(11)와 방수 하우징(12) 또는 접속 단자(13)와 방수 하우징(12)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한 쌍의 전원선(C)과 접속되는 한 쌍의 접속 핀(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한 쌍의 접속 핀(14)은, 소켓 금구(11)와 방수 하우징(12)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한 쌍의 전원선(C) 중 어느 하나의 전원선(C1)과 접속되는 제 1 핀(14a) 및 접속 단자(13)와 방수 하우징(12)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한 쌍의 전원선(C) 중 다른 하나의 전원선(C2)과 접속되는 제 2 핀(14b)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소켓 금구(11)는, 접속 단자(13) 보다 큰 면적으로 가지는 형상으로 상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노칭부(11b)가 형성되고, 접속 단자(13)는 소켓 금구(11)와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도록, 노칭부(11b)에 소켓 금구(11)와 접촉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접속 단자(13)는 소켓 금구(11)의 노칭부(11b)에 위치할 수 있도록 노칭부(11b)에 의해 노출된 방수 하우징(12)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노칭부(11b)와 접속 단자(13)가 이격된 사이를 둘러싸도록, 방수 하우징(12)의 하면에 "ㄷ"자 형상의 절연부(12a)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핀(14a)에 의해 한 쌍의 전원선(C) 중 어느 하나의 전원선(C1)과 접지되는 소켓 금구(11)와 제 2 핀(14b)에 의해 한 쌍의 전원선(C) 중 다른 하나의 전원선(C2)과 접지되는 접속 단자(13)를 효과적으로 절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방수용 전구 소켓(100)은, 아래와 같은 제조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먼저, 하방이 개방된 원통형의 하우징 형상으로 형성된 소켓 금구(11)의 상부에 합성수지 재질 이나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방수 하우징(12)을 결합시킬 수 있다. 방수 하우징(12)은, 소켓 금구(11) 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하방이 개방된 원통형의 하우징 형상으로 형성되어, 소켓 금구(11)의 상면과 외주면 상부를 둘러싸도록 소켓 금구(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소켓 금구(11)와 방수 하우징(12)은, 억지 끼움에 의한 결합이나 본딩에 의한 결합, 리벳이나 나사에 의한 결합 등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어서, 소켓 금구(11)의 노칭부(11b)에 위치하도록 접속 단자(13)를 방수 하우징(12)의 절연부(12a)에 안착시키고, 소켓 금구(11)와 방수 하우징(12)을 관통하도록 제 1 핀(14a)을 삽입하고, 접속 단자(13)와 방수 하우징(12)을 관통하도록 제 2 핀(14b)을 삽입할 수 있다. 이때, 방수 하우징(12)의 상부로 돌출된 제 1 핀(14a)에는 한 쌍의 전원선(C) 중 어느 하나의 전원선(C1)이 접속되고, 제 2 핀(14b)에는 한 쌍의 전원선(C) 중 다른 하나의 전원선(C2)이 접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켓 금구(11)와 방수 하우징(12)과 접속 단자(13) 및 한 쌍의 접속핀(14)의 결합으로 구성된 소켓부(10)를 인서트 사출 금형에 인서트하여 방수 커버부(20)를 인서트 사출 성형할 수 있다.
이때, 소켓 금구(11)에는, 방수 커버부(20)의 인서트 사출 성형 시 인서트 사출 금형에 인서트되는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인서트 사출 금형에 형성된 가이드 핀이 삽입되는 제 1 가이드 홀부(H1)가 형성되고, 방수 하우징(12)에는, 제 1 가이드 홀부(H1)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가이드 홀부(H2)가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결합된 소켓 금구(11)와 방수 하우징(12)을 관통하도록 제 1 가이드 홀부(H1)와 제 2 가이드 홀부(H2)가 형성되어, 소켓부(10)를 인서트 사출 금형에 삽입 시, 인서트 사출 금형에 형성된 가이드 핀이 제 1 가이드 홀부(H1)와 제 2 가이드 홀부(H2)에 삽입되면서 인서트 사출 금형 내에서 소켓부(10)의 안착 위치가 가이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서트 사출 금형에 소켓부(10)의 안착을 쉽게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소켓부(10)의 안착 위치를 일정하게 하여 인서트 사출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소켓부(10)를 균일하게 둘러싸도록 방수 커버부(20)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용 전구 소켓(100)은, 전구가 결합되는 소켓부(10)와 이를 보호하는 방수 커버부(20)를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소켓부(10)와 방수 커버부(20) 간의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소켓부(10)의 전구가 결합되는 소켓 금구(11)와 방수 커버부(20) 사이에 방수 하우징(12)이 추가로 설치되어 이중 방수 구조가 형성됨으로써, 방수용 전구 소켓(100)의 기밀성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수용 전구 소켓(100)의 방수 성능을 향상시켜 습기가 많은 외부 환경에 노출되더라도 감전이나 누전사고 등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소켓부
11: 소켓 금구
11a: 나사홈
11b: 노칭부
12: 방수 하우징
13: 접속 단자
14: 한 쌍의 접속 핀
20: 방수 커버부
21: 커버 몸체
22: 제 1 핀 커버
23: 제 2 핀 커버
24: 연결부
25: 단턱부
C: 한 쌍의 전원선
H1: 제 1 가이드 홀부
H2: 제 2 가이드 홀부
100: 방수용 전구 소켓

Claims (10)

  1. 일측에 전구가 결합될 수 있는 나사홈이 형성되고, 타측에 한 쌍의 전원선이 연결되는 소켓부; 및
    상기 소켓부의 내부로 빗물이나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소켓부의 외주면 및 상기 소켓부와 상기 한 쌍의 전원선이 접속되는 접속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방수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수 커버부는,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소켓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방수용 전구 소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는,
    하방이 개방된 원통형의 하우징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에 상기 전구를 결합할 수 있는 상기 나사홈이 형성되는 소켓 금구;
    상기 소켓 금구의 상면과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상기 소켓 금구의 상부에 형성되는 방수 하우징; 및
    상기 소켓 금구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소켓 금구에 결합된 상기 전구의 단부와 접촉하는 접속 단자;
    를 포함하는, 방수용 전구 소켓.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금구는,
    상기 접속 단자 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형상으로 상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노칭부가 형성되는, 방수용 전구 소켓.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단자는,
    상기 소켓 금구와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도록, 상기 노칭부에 상기 소켓 금구와 접촉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방수용 전구 소켓.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는,
    상기 소켓 금구와 상기 방수 하우징 또는 상기 접속 단자와 상기 방수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전원선과 접속되는 한 쌍의 접속 핀;
    을 더 포함하는, 방수용 전구 소켓.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접속 핀은,
    상기 소켓 금구와 상기 방수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전원선 중 어느 하나의 전원선과 접속되는 제 1 핀; 및
    상기 접속 단자와 상기 방수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전원선 중 다른 하나의 전원선과 접속되는 제 2 핀;
    을 포함하는, 방수용 전구 소켓.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금구는,
    상기 방수 커버부의 인서트 사출 성형 시 인서트 금형에 인서트되는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인서트 금형에 형성된 가이드 핀이 삽입되는 제 1 가이드 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방수 하우징은,
    상기 제 1 가이드 홀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가이드 홀부가 형성되는, 방수용 전구 소켓.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커버부는,
    상기 소켓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커버 몸체;
    상기 커버 몸체의 상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핀 전체와 상기 한 쌍의 전원선 중 어느 하나의 전원선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 1 핀 커버; 및
    상기 커버 몸체의 상면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핀 전체와 상기 한 쌍의 전원선 중 다른 하나의 전원선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 2 핀 커버;
    를 포함하는, 방수용 전구 소켓.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커버부는,
    상기 제 1 핀 커버와 상기 제 2 핀 커버를 연결하는 연결부;
    를 더 포함하는, 방수용 전구 소켓.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커버부는,
    상기 커버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서 상기 커버 몸체의 하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단턱부;
    를 더 포함하는, 방수용 전구 소켓.
KR1020190075041A 2019-06-24 2019-06-24 방수용 전구 소켓 KR102377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041A KR102377370B1 (ko) 2019-06-24 2019-06-24 방수용 전구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041A KR102377370B1 (ko) 2019-06-24 2019-06-24 방수용 전구 소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137A true KR20210000137A (ko) 2021-01-04
KR102377370B1 KR102377370B1 (ko) 2022-03-22

Family

ID=74127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041A KR102377370B1 (ko) 2019-06-24 2019-06-24 방수용 전구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73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8428B1 (ko) * 2021-12-14 2022-06-10 방일환 방수소켓
KR20230008382A (ko) 2021-07-07 2023-01-16 김종화 야외용 백열전구형 led 전구
KR20230008379A (ko) 2021-07-07 2023-01-16 김종화 야외용 백열전구형 led 전구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3912U (ko) * 1986-04-24 1987-11-05
KR910002748Y1 (ko) * 1988-11-16 1991-04-27 손상철 방수 소켙
KR200429098Y1 (ko) * 2006-08-01 2006-10-17 안효숙 소켓통의 들뜸 방지수단을 갖는 전구소켓
JP2012064434A (ja) * 2010-09-16 2012-03-29 Kagoshima Takatsuki Electric Ind Corp 照明灯用防水ソケット
KR20130004907U (ko) * 2012-02-08 2013-08-19 김태용 Led 전구용 소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3912U (ko) * 1986-04-24 1987-11-05
KR910002748Y1 (ko) * 1988-11-16 1991-04-27 손상철 방수 소켙
KR200429098Y1 (ko) * 2006-08-01 2006-10-17 안효숙 소켓통의 들뜸 방지수단을 갖는 전구소켓
JP2012064434A (ja) * 2010-09-16 2012-03-29 Kagoshima Takatsuki Electric Ind Corp 照明灯用防水ソケット
KR20130004907U (ko) * 2012-02-08 2013-08-19 김태용 Led 전구용 소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8382A (ko) 2021-07-07 2023-01-16 김종화 야외용 백열전구형 led 전구
KR20230008379A (ko) 2021-07-07 2023-01-16 김종화 야외용 백열전구형 led 전구 장치
KR102408428B1 (ko) * 2021-12-14 2022-06-10 방일환 방수소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7370B1 (ko) 202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00137A (ko) 방수용 전구 소켓
US9859662B2 (en) Grounding for electrical connections
EP2195536B1 (en) Molded plug for a compressor
US9570838B2 (en) Structure of highly waterproof connector for easy conduction between ground pin and body
EP3483988B1 (en) Connector
JPH02174082A (ja) 車両用の中央分電盤システム
US20050034595A1 (en) Housing for a pyromechanical disconnecting device with integrated integrated ignition element
US2101345A (en) Electrical connecter plug
US6520790B2 (en) Waterproofing configuration for a lighting fixture
JP6262895B2 (ja) コネクタ装置
US7061169B1 (en) Impact and corrosion resistant lamp holder
JP4049729B2 (ja) 電気掃除機用ホース
KR20180009869A (ko) 차량 도어 커넥터의 와이어 커버 실링구조
KR102143853B1 (ko) 위치검출 스위치 및 그 제조 방법
US10027050B2 (en) Inner housing for electrical connector terminal cavity
KR20180102520A (ko) 방수 커넥터
CN211017502U (zh) 一种电力母端插头
CN209130796U (zh) 灯具以及组合灯具
JP7233441B2 (ja) シールドスリーブを具備するコネクタ部品
KR102673382B1 (ko) 커넥터용 와이어 씰
KR20090009919U (ko) 방수시일
US903141A (en) Socket for incandescent electric lamps.
CN207165843U (zh) 一种电连接器
CN207994115U (zh) 电缆的连接器结构
KR910002748Y1 (ko) 방수 소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