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628U - 조명기구용 전원공급레일 - Google Patents

조명기구용 전원공급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628U
KR20200001628U KR2020190000195U KR20190000195U KR20200001628U KR 20200001628 U KR20200001628 U KR 20200001628U KR 2020190000195 U KR2020190000195 U KR 2020190000195U KR 20190000195 U KR20190000195 U KR 20190000195U KR 20200001628 U KR20200001628 U KR 2020000162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decorative
lighting
right sides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1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철
Original Assignee
김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철 filed Critical 김호철
Priority to KR20201900001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1628U/ko
Publication of KR202000016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62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4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 F21V21/35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with direct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supporting element and electric conductors running along the guid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본 고안은 외관이 미려하여 장식성이 우수하고, 간접조명효과도 가지는 새로운 구성의 조명등용 전원공급레일에 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저면에는 조명기구(10)가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지는 조명레일홈(110)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형성되며, 좌우 측면에는 각각 내향으로 함몰된 장식부재끼움홈(120)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레일본체(100); 상기 레일본체(100)의 좌우 양측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삽입되는 한 쌍의 전극(200);
일측에 개구부(311)가 형성된 외장케이스(310)와, 기단부가 외장케이스(310) 내부에 결합되어 외부 전원선과 연결되며 선단부가 상기 개구부(311)를 통해 외장케이스(310) 외부로 노출되는 전원공급단자(320)를 가지며, 상기 전원공급단자(320)가 상기 전극(200)에 접속되도록 상기 레일본체(10)) 단부에 결합되는 전원공급커넥터(300); 및 상기 장식부재끼움홈(120)에 슬라이드끼움결합되는 장식바아부재(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용 전원공급레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조명기구용 전원공급레일{power supply rail for lighting equipment}
본 고안은 조명기구용 전원공급레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관이 미려하여 장식성이 우수하고, 간접조명효과도 가지는 새로운 구성의 조명기구용 전원공급레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기구는 천정이나 벽체에 고정설치되는데, 필요에 따라 조명기구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천정에 전원공급레일을 설치하고, 조명기구를 전원공급레일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설치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조명기구를 전원공급레일을 따라 슬라이드시켜서 조명기구의 위치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전원공급레일은 일반적으로 하향으로 개방되는 레일홈을 가지는 채널형상의 레일본체와, 레일본체의 양측에 끼워지는 한 쌍의 전극(22,24)과, 전극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커넥터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전원공급레일을 천정이나 벽에 설치하고 조명기구를 장착시키면, 전원공급레일의 레일본체가 실내로 그대로 노출되는데, 레일본체가 채널형상을 가지도록 알루미늄으로 압출되어 외관이 그다지 미려하지 못하기 때문에, 전원공급레일이 설치된 상태가 보기에 좋지 않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 전원공급레일을 설치한 후에 전원공급레일을 커버하기 위한 별도의 몰딩부재를 추가로 설치하기도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7417호(2011. 09. 19.)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97673호(2018. 09. 05)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외관이 미려하여 장식성이 우수하고, 간접조명효과도 가지므로 실용성이 우수한 새로운 구성의 조명기구용 전원공급레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저면에는 조명기구(10)가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지는 조명레일홈(110)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형성되며, 좌우 측면에는 각각 내향으로 함몰된 장식부재끼움홈(120)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레일본체(100); 상기 레일본체(100)의 좌우 양측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삽입되는 한 쌍의 전극(200); 일측에 개구부(311)가 형성된 외장케이스(310)와, 기단부가 외장케이스(310) 내부에 결합되어 외부 전원선과 연결되며 선단부가 상기 개구부(311)를 통해 외장케이스(310) 외부로 노출되는 전원공급단자(320)를 가지며, 상기 전원공급단자(320)가 상기 전극(200)에 접속되도록 상기 레일본체(10)) 단부에 결합되는 전원공급커넥터(300); 및 상기 장식부재끼움홈(120)에 슬라이드끼움결합되는 장식바아부재(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용 전원공급레일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장식바아부재(400)는 길이방향을 따라 LED칩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형성된 바아형상의 LED모듈로 이루어지고, 상기 LED모듈은 상기 전원공급커넥터(400)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외장케이스(310)의 좌우 양측 내부에는 상기 개구부(311) 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LED모듈(330)이 장착되고, 상기 외장케이스(310)의 좌우 폭은 상기 레일본체(100)의 좌우 폭 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311)의 좌우 양측부위는 상기 레일본체(100) 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LED모듈(330)의 불빛이 외부로 조사되는 광조사부(318)를 이루며, 상기 장식바아부재(400)는 투광성 소재로 이루어져서 단부가 상기 광조사부(318)에 면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은 레일본체의 양측면에 장식바아부재가 끼워져서 장식바아부재에 의해 레일본체가 장식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레일본체의 외관이 미려하여 장식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전원공급레일을 사용하여 조명을 설치하더라도 보기가 싫지 않으므로 전원공급레일을 가리지 위한 별도의 몰딩부재를 설치하는 등의 추가적인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
특히, 상기 장식바아부재가 바아형상의 LED모듈로 이루어지면, 장식바아부재가 발광되어 레일본체가 장식되며, 간접조명효과도 얻을 수 있다.
특히, 장식바아부재가 투광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레일본체에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공급커텍터에 상기 장식바아부재에 빛을 조사하는 LED모듈이 장착되면 장식바아부재 자체에 의해서도 레일본체가 장식됨과 더불어 장식바아부재가 발광되어 레일본체의 장식성이 한층 더 향상되며, 발광되는 장식바아부재가 간접조명으로서의 기능도 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조립상태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조립상태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7은 상기 실시예의 조립상태사시도
도 8은 상기 실시예의 평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의 조립상태사시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조립상태사시이며, 도 3은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본 고안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에는 조명기구(10)가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지는 조명레일홈(110)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레일본체(100)와, 레일본체(100)의 좌우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삽입되는 한 쌍의 전극(200)과, 레일본체(10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 전극(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커넥터(300)와, 레일본체(100)의 좌우 측면에 슬라이드끼움결합되는 장식바아부재(400)를 포함한다.
상기 레일본체(100)는 알루미늄압출물로서, 저면에는 조명기구(10)가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지는 조명레일홈(110)이 형성되며, 좌우 양측 내부에는 각각 상기 전극(20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돌기(102,104)가 형성되고, 좌우 측면에는 내향으로 오목한 장식부재끼움홈(120)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형성된다.
상기 전극(200)은 상기 지지돌기(102,104)를 이용하여 레일본체(100)의 좌우 양측 내부에 끼워지는데, 전극(200)에는 레일본체(100)와 절연되도록 절연소재로 된 전극프레임(202)이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커넥터(300)는 레일본체(100)의 단부에 끼워져서 전극(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일측에 개구부(311)가 형성된 외장케이스(310)와, 선단부가 상기 개구부(31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기단부가 외장케이스(310)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전원공급단자(320)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장케이스(310)는 상, 하부케이스(312,314)로 분할되는데, 상부케이스(312)는 판상으로 되어 일측에는 레일본체(100) 내부로 삽입되어 레일본체(100)와 결합되는 연결부(313)가 돌출되며, 전원공급단자(320)는 선단부가 상기 연결부(313) 위에 위치되도록 기단부가 하부케이스(312)에 결합되고, 외부 전원선이 전원공급단자(320)의 기단부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314)는 상면 및 일 측면이 개방된 커버형상으로 되어 전원공급단자(320)의 기단부를 커버하도록 상부케이스(312)에 결합되는데, 이러한 하부케이스(314)와 상부케이스(310)가 결합됨에 따라 외장케이스(310)는 일측에 개구부(311)가 형성된 함체형상을 가지며, 전원공급단자(320)의 연결부(313) 위로 위치되는 선단부가 외장케이스(310)의 개구부(31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314)는 상부케이스(312)에 나사(2)로 결합된다.
이러한 전원공급커넥터(300)를 연결부(313)가 레일본체(100)의 조명레일홈(110)으로 삽입되도록 레일본체(100)의 단부에 결합되는데, 외장케이스(310) 외부로 노출되는 전원공급단자(320)의 선단부가 레일본체(100)의 전극(200)에 접속되어 전극(200)에 전원이 인가된다.
한편, 상기 장식바아부재(400)는 레일본체(100)의 장식부재끼움홈(120)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장식바아부재(400)는 바아형상을 갖도록 다양한 소재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바아부재(400)는 장식부재끼움홈(120)에 삽입되는 삽입결합부(410)와, 장식부재끼움홈(120) 외부로 노출되는 장식부(420)로 이루어져서, 장식부재끼움홈(120)에 슬라이드방식으로 끼움결합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은 상기 장식바아부재(400)에 의해 레일본체(100)가 장식되므로 레일본체(100)의 외관이 미려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외관이 미려하여 실내장식효과도 가진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효과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식바아부재(400)가 길이방향을 따라 LED칩이 일정 간격으로 실장된 된 긴 바아형상의 LED모듈로 이루어진다. 이 LED모듈은 상기 전원공급커넥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서 LED칩이 발광된다.
이와 같이 장식바아부재(400)가 LED모듈로 이루어지면 LED모듈이 발광됨에 따라 레일본체(100)가 장식되며, LED모듈에 의해 간접조명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6 내지 8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원공급커넥터(300)에 외부로 빛을 조사하는 LED모듈(330)이 장착되고, 상기 장식바아부재(400)는 투광성 소재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커넥터(300)의 외장케이스(310) 내부 양측에는 외장케이스(310)의 개구부(311)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한 쌍의 LED모듈(330)이 구비된다. 이 LED모듈(330)은 전원공급단자(320)에 연결되어 전원이 인가된다.
한편, 전원공급커넥터(300)의 외장케이스(310)는 좌우 폭이 레일본체(100)의 좌우 폭 보다 넓게 형성되어, 전원공급커넥터(300)를 레일본체(100) 단부에 결합시키면 외장케이스(310)의 개구부(311) 좌우 양측 부위는 레일본체(100) 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LED모듈(330)의 불빛이 외부로 조사되는 광조사부(318)를 이루며, 상기 장식바아부재(400)의 단부가 이러한 광조사부(318)에 면하게 된다.
따라서 LED모듈(330)이 발광되면 LED모듈(330)의 불빛이 상기 광조사부(318)를 통해 외부로 조사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장식바아부재(400)가 투광성 소재로 이루어져서 그 단부가 외부연통부(318)에 면하므로 장식바아부재(400)가 LED모듈(330)의 불빛에 의해 발광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은 장식바아부재(400) 자체에 의해서도 레일본체(100)가 장식될 뿐만 아니라, 장식바아부재(400)가 발광되면 레일본체(100)의 장식성이 향상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장식바아부재(400)가 광확산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지면, 장식바아부재(400)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발광되어 장식바아부재(400)에 의한 발광장식효과가 한층 더 향상되며, 장식바아부재(400)가 간접조명으로서의 기능도 하게 된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레일본체(100) 내부에 조명레일홈(110)이 별도로 구획형성된다.

Claims (3)

  1. 저면에는 조명기구(10)가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지는 조명레일홈(110)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형성되며, 좌우 측면에는 각각 내향으로 함몰된 장식부재끼움홈(120)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레일본체(100);
    상기 레일본체(100)의 좌우 양측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삽입되는 한 쌍의 전극(200);
    일측에 개구부(311)가 형성된 외장케이스(310)와, 기단부가 외장케이스(310) 내부에 결합되어 외부 전원선과 연결되며 선단부가 상기 개구부(311)를 통해 외장케이스(310) 외부로 노출되는 전원공급단자(320)를 가지며, 상기 전원공급단자(320)가 상기 전극(200)에 접속되도록 상기 레일본체(10)) 단부에 결합되는 전원공급커넥터(300); 및
    상기 장식부재끼움홈(120)에 슬라이드끼움결합되는 장식바아부재(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용 전원공급레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바아부재(400)는 길이방향을 따라 LED칩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형성된 바아형상의 LED모듈로 이루어지고, 상기 LED모듈은 상기 전원공급커넥터(400)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용 전원공급레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케이스(310)의 좌우 양측 내부에는 상기 개구부(311) 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LED모듈(330)이 장착되고,
    상기 외장케이스(310)의 좌우 폭은 상기 레일본체(100)의 좌우 폭 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311)의 좌우 양측부위는 상기 레일본체(100) 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LED모듈(330)의 불빛이 외부로 조사되는 광조사부(318)를 이루며,
    상기 장식바아부재(400)는 투광성 소재로 이루어져서, 단부가 상기 광조사부(318)에 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용 전원공급레일.

KR2020190000195U 2019-01-14 2019-01-14 조명기구용 전원공급레일 KR2020000162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195U KR20200001628U (ko) 2019-01-14 2019-01-14 조명기구용 전원공급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195U KR20200001628U (ko) 2019-01-14 2019-01-14 조명기구용 전원공급레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628U true KR20200001628U (ko) 2020-07-22

Family

ID=71833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195U KR20200001628U (ko) 2019-01-14 2019-01-14 조명기구용 전원공급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162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634B1 (ko) * 2020-12-15 2021-06-10 윤연신 전극 유닛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61844B1 (ko) * 2021-11-03 2022-10-31 김종석 조명 레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417B1 (ko) 2009-05-27 2011-09-27 강회정 전원공급용 레일
KR101897673B1 (ko) 2016-04-08 2018-09-12 김용민 조명기구 이동 및 전원 공급용 조명레일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417B1 (ko) 2009-05-27 2011-09-27 강회정 전원공급용 레일
KR101897673B1 (ko) 2016-04-08 2018-09-12 김용민 조명기구 이동 및 전원 공급용 조명레일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634B1 (ko) * 2020-12-15 2021-06-10 윤연신 전극 유닛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61844B1 (ko) * 2021-11-03 2022-10-31 김종석 조명 레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7423B1 (ko) 매입형 등기구
CN101749575B (zh) 发光二极管灯具
US20110080741A1 (en) Lighting fixture
JP2002163906A (ja) 冷却装置用照明体
US20140301073A1 (en) Linear led lighting device, system, method, and apparatus
KR20200001628U (ko) 조명기구용 전원공급레일
KR20170000589A (ko) 용이한 설치 및 고정이 가능한 엘이디 경관 조명장치
JP5047396B1 (ja) Led照明具
KR101747388B1 (ko) Led 조명장치
KR101532869B1 (ko) 엘이디 조명등장치
KR101128771B1 (ko) 고정형 led등기구
JP5732613B2 (ja) 照明器具
KR20160129719A (ko) 조명 기구 및 부착 금구
US7147346B2 (en) Flat lighting fixture
KR200465943Y1 (ko) 리미트 스위치 일체형 엘이디 조명장치
KR101966659B1 (ko) 가압식 조립구조에 의한 엘이디 조명등
JP2017080289A (ja) ミラーキャビネット
KR101391340B1 (ko) 전면 및 후면 조사가 가능한 엘이디 조명제품
KR20190061108A (ko) 조립 방법을 개선한 엘이디 조명등
CN205299201U (zh) 一种变色灯串
JP2015032569A (ja) 照明器具
KR102244649B1 (ko) 가로등 어셈블리
KR200372724Y1 (ko) 조명등
CN109906341B (zh) 具备照明器具的建材
CN214890596U (zh) 一种灯杆发出氛围光的装置及具有其的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