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9719A - 조명 기구 및 부착 금구 - Google Patents

조명 기구 및 부착 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9719A
KR20160129719A KR1020160041754A KR20160041754A KR20160129719A KR 20160129719 A KR20160129719 A KR 20160129719A KR 1020160041754 A KR1020160041754 A KR 1020160041754A KR 20160041754 A KR20160041754 A KR 20160041754A KR 20160129719 A KR20160129719 A KR 20160129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grooves
projecting
cas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1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타카 야마모토
도모키 하다
Original Assignee
고이즈미 조명 주식회사
아오가키 고이즈미 조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이즈미 조명 주식회사, 아오가키 고이즈미 조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고이즈미 조명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129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97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832Hook and loop-type faste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05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for several lighting devices in an end-to-end arrangement, i.e. light tr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케이스에의 부착 금구의 부착 및 케이스로부터의 부착 금구의 떼냄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조명 기구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조명 기구(100)는 광원부(10)와, 케이스(20)와, 부착 금구(30)를 구비한다. 케이스(20)는 광원부(10)를 유지한다. 케이스(20)는, 한쌍의 홈(40)이 형성되어 있다. 부착 금구(30)는 케이스(20)를 부착 대상물(W)에 부착한다. 부착 금구(30)는 끼워맞춤부(37)와 고정부(34)를 가진다. 끼워맞춤부(37)는 한쌍의 홈(40)에 끼워맞춤 가능하다. 고정부(34)는 끼워맞춤부(37)에 접속한다. 고정부(34)는 부착 대상물(W)에 고정 가능하다.

Description

조명 기구 및 부착 금구{LIGHTING APPARATUS AND FIXING BRACKET}
본 발명은 조명 기구 및 부착 금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벽면 또는 바닥면의 간접 조명을 행하는 조명 기구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조명 기구는, 옥내의 벽면 또는 바닥면을 따라서 복수개를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하고 있고, 광원으로서 LED(Light Emitting Diode)가 이용되고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조명 기구는 고정부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부는, 케이스의 양단부에 설치되고, 인접하는 조명 기구로부터 독립하여 케이스를 피설치면에 고정한다. 따라서, 복수개 연속하여 배치된 조명 기구 중, 중간부에 있는 조명 기구를 떼내는 경우에, 조명 기구의 고정부에 있어서의 고정을 해제하면, 조명 기구를 떼낼 수 있다.
일본국 특허 공개 2012-33401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조명 기구에서는, 고정부가 조명 기구의 케이스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스에의 고정부의 부착 및 케이스로부터의 고정부의 떼냄이 용이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케이스에의 부착 금구의 부착 및 케이스로부터의 부착 금구의 떼냄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조명 기구 및 부착 금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원에 개시하는 조명 기구는, 광원부와, 케이스와, 부착 금구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광원부를 유지한다. 상기 케이스는 한쌍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착 금구는, 상기 케이스를 부착 대상물에 부착한다. 상기 부착 금구는 끼워맞춤부와 고정부를 가진다. 상기 끼워맞춤부는, 상기 한쌍의 홈에 끼워맞춤 가능하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끼워맞춤부에 접속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부착 대상물에 고정 가능하다.
본원에 개시하는 조명 기구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부는, 접속부와, 제1 돌기부 및 제2 돌기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속부는, 상기 고정부와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돌기부 및 상기 제2 돌기부는, 상기 접속부로부터 돌출 방향으로 돌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돌기부 및 상기 제2 돌기부는, 상기 한쌍의 홈에 끼워맞춤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 개시하는 조명 기구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부의 상기 돌출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상기 끼워맞춤부의 상기 돌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 개시하는 조명 기구에 있어서, 상기 부착 금구는, 상기 한쌍의 홈에 대하여 상기 돌출 방향이 직교하는 제1 삽입 방향으로 삽입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착 금구는, 상기 한쌍의 홈에 대하여 상기 돌출 방향이 평행해지는 제2 삽입 방향으로 삽입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 개시하는 조명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부 및 상기 제2 돌기부의 각각은, 상기 돌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1개의 플랜지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랜지부 중 적어도 1개는 걸림 고정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 고정부의 고저차는 상기 한쌍의 홈의 높이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 개시하는 조명 기구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한쌍의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돌기부 및 상기 제2 돌기부 중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플랜지부 중 한쪽의 플랜지부의 폭과 다른쪽의 플랜지부의 폭이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 개시하는 조명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와 상기 고정부는 단차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 개시하는 조명 기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착 금구는, 제1 단차부와, 제2 단차부를 더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단차부는, 상기 제1 고정부와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단차부는, 상기 제2 고정부와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단차부의 높이는, 상기 제2 단차부의 높이와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 개시하는 부착 금구는, 한쌍의 홈이 형성된 케이스를 가지는 조명 기구를 부착 대상물에 부착한다. 상기 부착 금구는, 끼워맞춤부와 고정부를 구비한다. 상기 끼워맞춤부는, 상기 한쌍의 홈에 끼워맞춤 가능하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끼워맞춤부에 접속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부착 대상물에 고정 가능하다.
본원에 개시하는 부착 금구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부는, 접속부와, 제1 돌기부 및 제2 돌기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속부는, 상기 고정부와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돌기부 및 상기 제2 돌기부는, 상기 접속부로부터 돌출 방향으로 돌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돌기부 및 상기 제2 돌기부는, 상기 한쌍의 홈에 끼워맞춤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돌기부 및 상기 제2 돌기부의 각각은, 상기 돌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1개의 플랜지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랜지부 중 적어도 1개는 걸림 고정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 고정부의 고저차는 상기 한쌍의 홈의 높이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 개시하는 부착 금구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부의 상기 돌출 방향의 길이는, 상기 돌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스에의 부착 금구의 부착 및 케이스로부터의 부착 금구의 떼냄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조명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IIa-II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b)는 도 2(a)의 IIb-II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부착 금구의 사시도이다. (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부착 금구의 상면도이다. (c)는 도 3(b)의 IIIc-III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a)는 케이스의 단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b)는 케이스의 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케이스의 단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b)는 케이스의 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6(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조명 기구의 상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조명 기구 및 조명 기구를 배치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부착 금구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조명 기구(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조명 기구(100)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IIa-II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IIb-II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있어서, X축 및 Y축은 수평 방향을 따르고, Y축은 조명 기구(100)의 길이 방향을 따르고, Z축은 연직 방향을 따르고,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한다.
조명 기구(100)는, 광원부(10)와, 케이스(20)와, 부착 금구(30)를 구비한다. 조명 기구(100)는, 전등갓(14), 단자대(15), 점등 장치(16) 및 단부 전등갓(50)을 구비한다. 조명 기구(100)는, 예를 들면, 간접 조명이다. 조명 기구(100)는, 부착 대상물(W)에 부착된다. 부착 대상물(W)은, 예를 들면, 바닥면, 벽면 또는 천정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 부착 대상물(W)은 바닥면이다.
케이스(20)는 본체부(21) 및 저판부(61)를 가진다. 본체부(21)는 단면 형상이 대략 H자형이다. 본체부(21)는 열 전도성을 가지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소재의 압출재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21)는 횡판부(22)와, 측판부(23)를 가진다. 측판부(23)는 횡판부(22)의 짧은 방향의 양측에 형성된다. 본체부(21)의 횡판부(22)의 상방은 개방되어 있어, 개방부(27)를 형성하고 있다. 본체부(21)의 횡판부(22)의 하방은 개방되어 있어, 개방부(28)를 형성하고 있다. 본체부(21)의 횡판부(22)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도 개방되어 있다. 측판부(23)의 상부에는, 상부 홈부(24)가 대향하여 형성된다. 상부 홈부(24)는 전등갓(14)을 꽂아넣어 유지시킨다. 측판부(23)의 하부에는, 한쌍의 홈(40)이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홈(40)은 대향하고 있다. 한쌍의 홈(40)에는, 부착 금구(30)가 삽입된다. 또한, 한쌍의 홈(40)의 상면은 저판부(61)를 유지한다. 횡판부(22)의 하부의 양측에는, 단부 전등갓(50)을 나사(53)로 부착하기 위한 나사 부착부(26)가 형성되어 있다.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판부(61)는, 본체부(21)의 하부의 개방부(28)의 일부를 폐색하는 것이다. 저판부(61)는 금속의 판금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저판부(61)는 본체부(21)의 하방에 씌워 한쌍의 홈(40)의 상면에 맞닿게 한다. 저판부(61)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는 구부려진다. 저판부(61)는, 나사(62)로 본체부(21)의 횡판부(22)에 고정된다. 저판부(61)는, 본체부(21)의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도 짧다. 저판부(61)는, 본체부(21)에 부착된 상태에서, 본체부(21)의 하부의 개방부(28) 중, 길이 방향의 양단측은 폐색하지 않고 개방된 상태로 된다. 따라서, 본체부(21)의 양단부의 개방부(28)에, 전원선 또는 이송선을 삽입 통과시킬 수 있다.
광원부(10)는, 기판(81) 및 점광원으로서의 복수의 LED 소자(82)를 가진다. 광원부(10)는, 본체부(21)의 횡판부(22)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인접하는 LED 소자(82)의 거리가 대략 등간격이 되도록, 복수의 LED 소자(82)는 배치된다.
전등갓(14)은, 본체부(21)의 상부의 개방부(27)를 폐색한다. 전등갓(14)은, 광원부(10)로부터의 광을 투과시켜, 조사면을 형성하는 부재이다. 전등갓(14)은, 예를 들면, 투광성을 가지는 반투명의 아크릴계 수지 소재로 형성된다. 전등갓(14)은, 본체부(21)의 상부 홈부(24)의 길이 방향의 단부로부터 꽂아넣어 유지된다.
단자대(15)는,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전원선, 또는 인접하는 조명 기구(100)로부터의 이송선의 단자가 콘센트에 꽂아져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단자대(15)는, 본체부(21)의 횡판부(22)의 하부에 있어서, 본체부(21)의 일단에 설치된다. 단자대(15)의 콘센트는 본체부(21)의 단부측을 향해 있다.
점등 장치(16)와 광원부(10)는, 전선(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점등 장치(16)는, 광원부(10)의 LED 소자(82)를 점등시킨다. 점등 장치(16)는, 본체부(21)의 횡판부(22)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점등 장치(16)는, 단자대(15)와 전선(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부착 금구(30)는, 케이스(20)를 부착 대상물(W)에 부착하기 위한 부품이다. 부착 금구(30)는, 케이스(20)의 양단부에 부착된다. 부착 금구(30)는, 금속의 판금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부착 금구(30)는 한쌍의 홈(40)에 끼워맞춤 가능하다.
단부 전등갓(50)은 케이스(20)의 양단부에 설치된다. 단부 전등갓(50)은, 예를 들면, 전등갓(14)과 같은 소재로 형성된다. 단부 전등갓(50)은, 예를 들면, 투광성을 가지는 반투명의 아크릴계 수지 소재로 형성된다. 따라서, 광원부(10)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차단되지 않는다. 단부 전등갓(50)은, 본체부(51)와 돌출부(52)를 가진다. 또한, 단부 전등갓(50)은, 차광할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부착 금구(3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부착 금구(30)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부착 금구(30)의 상면도이다. 도 3(c)는, 도 3(b)의 IIIc-III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부착 금구(30)는, 끼워맞춤부(37)와, 제1 고정부(34a)와, 제2 고정부(34b)와, 제1 단차부(36a)와, 제2 단차부(36b)를 가진다.
끼워맞춤부(37)는, 한쌍의 홈(40)에 끼워맞춤 가능하다. 끼워맞춤부(37)는, 접속부(38)와, 제1 돌기부(32a)와, 제2 돌기부(32b)를 가진다. 접속부(38)와, 제1 돌기부(32a)와, 제2 돌기부(32b)는, 각각 평탄형상이다. 접속부(38)와, 제1 돌기부(32a)와, 제2 돌기부(32b)는 동일 평면상에 부착된다. 접속부(38)는, 제1 고정부(34a) 및 제2 고정부(34b)에 접속한다. 제1 돌기부(32a)는, 접속부(38)로부터 돌출 방향(D1)으로 돌출한다. 제2 돌기부(32b)는, 접속부(38)로부터 돌출 방향(D1)으로 돌출한다. 제1 돌기부(32a) 및 제2 돌기부(32b)는, 한쌍의 홈(40)에 끼워맞춤 가능하다. 제1 돌기부(32a)와 제2 돌기부(32b)는, 역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 돌기부(32a)는 제1 플랜지부(35a)와 제2 플랜지부(35b)를 가진다. 제1 플랜지부(35a) 및 제2 플랜지부(35b)는, 돌출 방향(D1)과 직교하는 방향(D2)으로 연장된다. 제2 돌기부(32b)는 제3 플랜지부(35c)와, 제4 플랜지부(35d)를 가진다. 제3 플랜지부(35c) 및 제4 플랜지부(35d)는 돌출 방향(D1)과 직교하는 방향(D2)으로 연장된다. 제4 플랜지부(35d)는 걸림고정부(39)를 가진다. 걸림고정부(39)는 제4 플랜지부(35d)의 단부를 구부림으로써 형성된다. 걸림고정부(39)의 고저차(d7)는 한쌍의 홈(40)의 높이(d100)(도 2(b) 참조)보다도 크다. 따라서, 부착 금구(30)를 한쌍의 홈(40)에 삽입할 때, 걸림고정부(39)가 한쌍의 홈(40)에 삽입되지 않고, 걸림고정부(39)가 케이스(20)의 본체부(21)의 단부에 맞닿는다. 그 결과, 케이스(20)에 대하여 부착 금구(30)를 소정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끼워맞춤부(37)의 돌출 방향(D1)에 있어서의 길이(d2)는, 끼워맞춤부(37)의 돌출 방향(D1)과 직교하는 방향(D2)에 있어서의 길이(d1)의 길이와 동일하다. 또한, 길이(d1) 및 길이(d2)는, 한쌍의 홈(40)의 간격(d200)(도 2(b) 참조)보다도 작다. 따라서, 부착 금구(30)는 한쌍의 홈(40)에 대해서 부착 금구(30)를 2방향으로부터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제3 플랜지부(35c)의 폭(d3)은, 제4 플랜지부(35d)의 폭(d4)보다도 크다.
제1 고정부(34a) 및 제2 고정부(34b)는 부착 대상물(W)에 고정 가능하다. 제1 고정부(34a) 및 제2 고정부(34b)는 평탄형상이다. 제1 고정부(34a)는 관통공(341a)을 가진다. 관통공(341a)은 나사(19)를 부착하기 위한 구멍이다. 제2 고정부(34b)는 관통공(341b)을 가진다. 관통공(341b)은 나사(19)를 부착하기 위한 구멍이다. 방향(D2)에 있어서의 제1 고정부(34a)의 단부로부터 제2 고정부(34b)의 단부까지의 거리(d5)는, 끼워맞춤부(37)의 돌출 방향(D1)에 있어서의 길이(d1)보다도 길다.
접속부(38)와 제1 고정부(34a)는 단차(d6)를 가진다. 접속부(38)와 제2 고정부(34b)는 단차(d6)를 가진다. 따라서, 끼워맞춤부(37)를 한쌍의 홈(40)에 끼워맞출 수 있고, 또한 고정부(34)를 부착 대상물(W)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단차(d6)가 없는 경우, 고정부(34)는 홈(40)의 하부의 케이스(20)의 두께만큼, 부착 대상물(W)의 표면으로부터 떠버리게 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단차(d6)를 설치함으로써 해소하고 있다. 또한, 단차(d6)를 약간 크게 형성하고, 부착 대상물(W)과 조명 기구(100)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조명 기구(100)를 부착 대상물(W)로부터 띄운다)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조명 기구(100)의 하방에 있어서의 공기 유통이 좋아져, 방열성이 향상된다.
관통공(341a)으로부터 관통공(342b)까지의 거리(d10)는, 케이스(20)의 짧은 방향의 폭(d300)(도 2(b) 참조)보다도 크다. 따라서, 조명 기구(100)를 부착 대상물(W)에 나사로 고정할 때에, 관통공(341a 및 342b)에 부착된 나사가 케이스(20)에 간섭하지 않으므로, 조명 기구(100)의 자세가 안정된다. 또한, 부착 금구(30)를 유지한 조명 기구(100)를 부착 대상물(W)에 나사로 고정할 때에, 관통공(341a)으로부터 (342b)가 케이스(20)로부터 떨어져 있기 때문에 나사 고정 작업을 하기 쉽다.
도 1~도 5를 참조하여, 부착 금구(30)의 케이스(20)에의 삽입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a) 및 도 5(a)는 케이스(20)의 단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b) 및 도 5(b)는 케이스(20)의 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제1 삽입 방향(D3)에서 부착 금구(30)를 케이스(20)의 본체부(21)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b)는 제2 삽입 방향(D4)에서 부착 금구(30)를 케이스(20)의 본체부(21)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다.
우선,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제1 삽입 방향(D3)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부 전등갓(50)은 본체부(51)와 돌출부(52)를 가진다. 돌출부(52)는 본체부(51)로부터 돌출된다. 돌출부(52)는 반원상이다. 단부 전등갓(50)의 돌출부(52)의 형상은, 전등갓(14)의 형상에 대응한다. 나사(53)가 나사 부착 부분(26)에 부착됨으로써, 단부 전등갓(50)은 케이스(20)의 본체부(21)에 부착된다.
부착 금구(30)는 제1 삽입 방향(D3)으로 삽입 가능하다. 제1 삽입 방향(D3)은, 한쌍의 홈(40)에 대하여 부착 금구(30)의 돌출 방향(D1)에 직교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돌출부(32a)의 제1 플랜지부(35a)를 홈(40)에 대향시키고, 또한, 제2 돌출부(32b)의 제3 플랜지부(35c)를 한쌍의 홈(40)에 대향시킨 상태로부터, 부착 금구(30)를 한쌍의 홈(40)에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부착 금구(30)는 한쌍의 홈(40)에 삽입된다. 제4 플랜지부(35d)는 걸림고정부(39)를 가지고 있으므로, 걸림고정부(39)가 케이스(20)의 본체부(21)의 단부에 맞닿는다. 그 결과, 케이스(20)에 대하여 부착 금구(30)를 소정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부착 금구(30)를 한쌍의 홈(40)에 삽입시킨 후, 나사(19)(도 1 참조)를 제1 고정부(34a)의 관통공(341a)에 삽입하고, 나사(19)를 부착 대상물(W)의 임의의 위치에 조임으로써, 케이스(20)는 부착 대상물(W)에 부착된다. 부착 금구(30)의 제1 돌기부(32a) 및 제2 돌기부(32b)가 한쌍의 홈(40)에 끼워맞춰져 있으므로, 나사(19)를 조임으로써, 제1 돌기부(32a) 및 제2 돌기부(32b)가 한쌍의 홈(40)을 부착 대상물(W)에 가압한다. 따라서, 케이스(20)가 부착 대상물(W)에 강고하게 고정된다.
계속하여,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제2 삽입 방향(D4)에 대하여 설명한다.
부착 금구(30)는, 제2 삽입 방향(D4)으로 삽입 가능하다. 제2 삽입 방향(D4)은 한쌍의 홈(40)에 대하여 부착 금구(30)의 돌출 방향(D1)과 평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돌기부(32a)의 제1 플랜지부(35a)를 홈(40)에 대향시키고, 또한, 제1 돌기부(32a)의 제2 플랜지부(35b)를 홈(40)에 대향시킨 상태로부터, 부착 금구(30)를 한쌍의 홈(40)에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부착 금구(30)는 한쌍의 홈(40)에 삽입된다. 제4 플랜지부(35d)는 걸림고정부(39)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걸림고정부(39)가 케이스(20)의 본체부(21)의 단부에 맞닿는다. 그 결과, 케이스(20)에 대하여 부착 금구(30)를 소정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부착 금구(30)를 한쌍의 홈(40)에 삽입시킨 후, 나사(19)를 제1 고정부(34a)의 관통공(341a) 및 제2 고정부(34b)의 관통공(341b)에 삽입하고, 나사(19)를 부착 대상물(W)의 임의의 위치에 비틀어넣음으로써, 케이스(20)는 부착 대상물(W)에 부착된다. 부착 금구(30)의 제1 돌기부(32a) 및 제2 돌기부(32b)가, 한쌍의 홈(40)에 끼워맞춰져 있으므로, 나사(19)를 조임으로써, 제1 돌기부(32a) 및 제2 돌기부(32b)가 한쌍의 홈(40)을 부착 대상물(W)에 가압한다. 따라서, 케이스(20)가 부착 대상물(W)에 강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플랜지부(35c)의 폭(d3)은 제4 플랜지부(35d)의 폭(d4)보다도 크다. 따라서, 부착 금구(30)를 한쌍의 홈(40)에 제2 삽입 방향(D4)으로 삽입시킨 경우, 제1 플랜지부(35a) 및 제2 플랜지부(35b)에 추가하여, 제3 플랜지부(35c)의 영역(A)에 있어서도 한쌍의 홈(40)과 끼워맞춘다. 따라서, 부착 금구(30)는 3점에서 한쌍의 홈(40)에 맞닿아, 부착 금구(30)와 한쌍의 홈(40)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케이스(20)가 부착 대상물(W)에 강고하게 고정된다.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 금구(30)가 한쌍의 홈(40)에 삽입된 상태에서, 단부 전등갓(50)의 단부와 부착 금구(30)의 단부는 면일하게 된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조명 기구(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조명 기구(100)의 상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에서는, 전등갓(14)은 생략되어 있다. 도 6(a)는 부착 금구(30)를 제1 삽입 방향(D3)으로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b)는 부착 금구(30)를 제2 삽입 방향(D4)으로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 금구(30)를 제1 삽입 방향(D3)으로 삽입한 상태에서는, 부착 금구(30)는 케이스(20)의 폭방향(X방향)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따라서, 케이스(20)의 폭방향으로 충분한 조명 기구(100)의 배치 공간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라도, 조명 기구(100)를 부착 대상물(W)에 부착할 수 있다.
한편,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 금구(30)를 제2 삽입 방향(D4)으로 삽입한 상태에서는, 부착 금구(30)는 케이스(20)의 길이 방향(Y방향)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따라서, 복수의 조명 기구(100)를 길이 방향으로 연속해 배치하는 경우, 단부 전등갓(50)을 인접 배치되는 다른 조명 기구(100)의 단부 전등갓(50)과 맞댐으로써, 복수의 조명 기구(100)를 접근시켜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조명 기구(100)를 길이 방향으로 연속해 배치하여 점등시켰을 때에, 인접하는 조명 기구(100)의 사이에 있어서의 조도 저하를 막아, 조도 편차를 경감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처럼, 조명 기구(100)의 부착 공간에 따라, 부착 금구(30)의 삽입 방향을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조명 기구(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조명 기구(100a) 및 조명 기구(100b)를 배치한 사시도이다.
부착 금구(30)가 한쌍의 홈(40)에 삽입된 상태에서, 단부 전등갓(50)의 단부와, 부착 금구(30)의 단부는 면일하게 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명 기구(100a)의 단부 전등갓(50)과, 조명 기구(100b)의 단부 전등갓(50)을 맞댈 수 있다. 그 결과, 조명 기구(100a)와 조명 기구(100b)를 접근시켜 배치시킬 수 있다.
이상, 도 1~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처럼, 조명 기구(100)에 있어서, 부착 금구(30)의 끼워맞춤부(37)는 한쌍의 홈(40)에 끼워맞춤 가능하다. 따라서, 케이스(20)에의 부착 금구(30)의 부착 및 케이스(20)로부터의 부착 금구(30)의 떼냄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케이스(20)로부터 부착 금구(30)를 떼냄으로써, 조명 기구(100)를 반송하기 쉽다. 또한, 케이스(20)에 부착 금구(30)를 부착함으로써, 용이하게 조명 기구(100)를 부착 대상물(W)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끼워맞춤부(37)의 돌출 방향(D1)에 있어서의 길이는, 끼워맞춤부(37)의 돌출 방향(D1)과 직교하는 방향(D2)에 있어서의 길이와 동일하다. 따라서, 부착 금구(30)는 한쌍의 홈(40)에 대하여 부착 금구(30)를 2방향으로부터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부착 금구(30)는 제1 삽입 방향(D3)으로 삽입 가능하다. 제1 삽입 방향(D3)은 한쌍의 홈(40)에 대하여 돌출 방향(D1)에 직교한다. 또한, 부착 금구(30)는 제2 삽입 방향(D4)으로 삽입 가능하다. 제2 삽입 방향(D4)은 한쌍의 홈(40)에 대하여 돌출 방향(D1)과 평행하게 된다. 따라서, 조명 기구(100)의 용도에 따라, 부착 금구(30)의 삽입 방향을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제4 플랜지부(35d)는 걸림고정부(39)를 가진다. 걸림고정부(39)의 고저차(d7)는 한쌍의 홈(40)의 높이(d100)보다도 크다. 따라서, 부착 금구(30)를 한쌍의 홈(40)에 삽입했을 때, 걸림고정부(39)가 케이스(20)의 본체부(21)의 단부에 맞닿는다. 그 결과, 케이스(20)에 대하여 부착 금구(30)를 소정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제3 플랜지부(35c)의 폭(d3)은, 제4 플랜지부(35d)의 폭(d4)보다도 크다. 따라서, 부착 금구(30)를 한쌍의 홈(40)에 제2 삽입 방향(D4)으로 삽입시킨 경우, 제1 플랜지부(35a) 및 제2 플랜지부(35b)에 추가하여, 제3 플랜지부(35c)의 영역(A)에 있어서도 한쌍의 홈(40)과 끼워맞춘다. 따라서, 부착 금구(30)는 3점에서 한쌍의 홈(40)에 맞닿는다. 그 결과, 케이스(20)가 부착 대상물(W)에 강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접속부(38)와 고정부(34)는 단차(d6)를 가진다. 따라서, 접속부(38)를 한쌍의 홈(40)에 끼워맞출 수 있고, 또한 고정부(34)를 부착 대상물(W)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단차(d6)가 없는 경우, 고정부(34)는, 홈(40)의 하부의 케이스(20)의 두께만큼, 부착 대상물(W)의 표면으로부터 떠버리게 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단차(d6)를 설치함으로써 해소하고 있다. 또한, 단차(d6)를 약간 크게 형성하여, 부착 대상물(W)과 조명 기구(100)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조명 기구(100)를 부착 대상물(W)로부터 띄운다)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조명 기구(100)의 하방에 있어서의 공기 유통이 좋아져, 방열성이 향상된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부착 금구(3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부착 금구(30)의 단면도이다. 제1 단차부(36a)의 높이(d8)가, 제2 단차부(36b)의 높이(d9)와 다른 점을 제외하고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부착 금구(3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중복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부착 금구(30)는 끼워맞춤부(37)와, 제1 고정부(34a)와, 제2 고정부(34b)와, 제1 단차부(36a)와, 제2 단차부(36b)를 가진다. 제1 단차부(36a)의 높이(d8)가, 제2 단차부(36b)의 높이(d9)와 상이하다. 따라서 끼워맞춤부(37)는 제1 고정부(34a) 및 제2 고정부(34b)에 대해서 경사진다. 따라서, 조명 기구(100)의 케이스(20)를 부착 금구(30)에 의해서 부착 대상물(W)에 부착했을 때, 부착 대상물(W)에 대해서, 조명 기구(100)는 경사지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차부(36a)의 높이(d8) 및 제2 단차부(36b)의 높이(d9)를 변경함으로써, 부착 대상물(W)에 대한 조명 기구(100)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그 결과, 원하는 각도로 조명 기구(100)의 광을 조사시킬 수 있다.
이상, 도면(도 1~도 8)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했다. 단,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양태에 있어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예를 들면, 하기에 나타내는 (1)~(6)). 도면은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각각의 구성 요소를 주체로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고, 도시된 각 구성 요소의 두께, 길이, 개수 등은, 도면 작성의 형편상 실제와는 다르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각 구성 요소의 재질이나 형상, 치수 등은 일예이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효과로부터 실질적으로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1) 도 1~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광원으로서 LED 소자(82)를 이용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광원으로서, 형광등 또는 형광등형의 LED 광원을 이용해도 된다.
(2) 도 1~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부착 금구(30)의 접속부(38)와 고정부(34)는 단차를 가지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부착 금구(30)의 접속부(38)와 고정부(34)는 단차가 없어도 된다.
(3) 도 1~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 형태에서, 부착 금구(30)는 2개의 고정부(34)를 가지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부착 금구(30)는 고정부(34)를 1개만 가지고 있어도 된다.
(4) 도 1~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 형태에서, 부착 금구(30)의 끼워맞춤부(37)는 제1 돌기부(32a) 및 제2 돌기부(32b)를 가지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부착 금구(30)의 끼워맞춤부(37)는 제1 돌기부(32a)만 가지고 있어도 된다. 혹은, 부착 금구(30)의 끼워맞춤부(37)는 돌기부(32)를 가지지 않아도 된다.
(5) 도 1~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 형태에서, 걸림고정부(39)는 제4 플랜지부(35d)의 단부를 구부림으로써 설치되어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걸림고정부(39)로서 제4 플랜지부(35d)의 단부에 돌기를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혹은, 플랜지부(35)에 걸림고정부(39)를 가지지 않아도 된다.
(6) 도 1~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 형태에서, 접속부(38)는 평탄형상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접속부(38)는 요철을 가지는 형상이어도 된다.
10 : 광원부 20 : 케이스
30 : 부착 금구 32a : 제1 돌기부
32b : 제2 돌기부 34a : 제1 고정부
34b : 제2 고정부 35a : 제1 플랜지부
35b : 제2 플랜지부 35c : 제3 플랜지부
35d : 제4 플랜지부 36a : 제1 단차부
36b : 제2 단차부 37 : 끼워맞춤부
38 : 접속부 39 : 걸림고정부
40 : 홈 100 : 조명 기구
100a : 조명 기구 100b : 조명 기구
D1 : 돌출 방향 D2 : 방향
D3 : 제1 삽입 방향 D4 : 제2 삽입 방향
W : 부착 대상물

Claims (11)

  1.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를 유지하고, 한쌍의 홈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를 부착 대상물에 부착하는 부착 금구를 구비하고,
    상기 부착 금구는,
    상기 한쌍의 홈에 끼워맞춤 가능한 끼워맞춤부와,
    상기 끼워맞춤부에 접속하고, 상기 부착 대상물에 고정 가능한 고정부를 가지는, 조명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부는,
    상기 고정부와 접속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로부터 돌출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 돌기부 및 제2 돌기부를 가지고,
    상기 제1 돌기부 및 상기 제2 돌기부는, 상기 한쌍의 홈에 끼워맞춤 가능한, 조명 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부의 상기 돌출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상기 끼워맞춤부의 상기 돌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와 같은, 조명 기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부착 금구는, 상기 한쌍의 홈에 대하여 상기 돌출 방향이 직교하는 제1 삽입 방향으로 삽입 가능하고, 상기 한쌍의 홈에 대하여 상기 돌출 방향이 평행하게 되는 제2 삽입 방향으로 삽입 가능한, 조명 기구.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부 및 상기 제2 돌기부의 각각은, 상기 돌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1개의 플랜지부를 가지고,
    상기 플랜지부 중 적어도 1개는 걸림고정부를 가지고,
    상기 걸림고정부의 고저차는 상기 한쌍의 홈의 높이보다도 큰, 조명 기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한쌍의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기부 및 상기 제2 돌기부 중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플랜지부 중 한쪽의 플랜지부의 폭과 다른쪽의 플랜지부의 폭이 상이한, 조명 기구.
  7.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와 상기 고정부는 단차를 가지는, 조명 기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 금구는,
    상기 제1 고정부와 접속하는 제1 단차부와,
    상기 제2 고정부와 접속하는 제2 단차부를 더 가지고,
    상기 제1 단차부의 높이는, 상기 제2 단차부의 높이와 상이한, 조명 기구.
  9. 한쌍의 홈이 형성된 케이스를 가지는 조명 기구를 부착 대상물에 부착하는 부착 금구로서,
    상기 한쌍의 홈에 끼워맞춤 가능한 끼워맞춤부와,
    상기 끼워맞춤부에 접속하여, 상기 부착 대상물에 고정 가능한 고정부를 구비하는, 부착 금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부는,
    상기 고정부와 접속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로부터 돌출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 돌기부 및 제2 돌기부를 가지고,
    상기 제1 돌기부 및 상기 제2 돌기부는, 상기 한쌍의 홈에 끼워맞춤 가능하고,
    상기 제1 돌기부 및 상기 제2 돌기부의 각각은, 상기 돌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1개의 플랜지부를 가지고,
    상기 플랜지부 중 적어도 1개는 걸림고정부를 가지고,
    상기 걸림고정부의 고저차는 상기 한쌍의 홈의 높이보다도 큰, 부착 금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부의 상기 돌출 방향의 길이는, 상기 돌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와 동일한, 부착 금구.
KR1020160041754A 2015-04-30 2016-04-05 조명 기구 및 부착 금구 KR201601297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93129A JP6529815B2 (ja) 2015-04-30 2015-04-30 照明器具および取付金具
JPJP-P-2015-093129 2015-04-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719A true KR20160129719A (ko) 2016-11-09

Family

ID=56817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1754A KR20160129719A (ko) 2015-04-30 2016-04-05 조명 기구 및 부착 금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529815B2 (ko)
KR (1) KR20160129719A (ko)
CN (1) CN205560325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93128B2 (en) 2016-10-31 2021-01-12 Kyocera Corporation Power management method, local control apparatus and power management system
JP7026332B2 (ja) * 2017-08-10 2022-02-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器具
KR102100721B1 (ko) * 2019-04-16 2020-05-15 시그마엘이디 주식회사 위치 재조정이 가능한 라인조명장치
KR102483483B1 (ko) * 2022-07-21 2022-12-30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라인조명 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라인조명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33401A (ja) 2010-07-30 2012-02-16 Koizumi Lighting Technology Corp 照明器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64382U (ko) * 1976-06-08 1977-12-13
JP2001003553A (ja) * 1999-06-23 2001-01-09 Sekisui House Ltd 照明機能付き巾木及びこれを利用した階段照明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33401A (ja) 2010-07-30 2012-02-16 Koizumi Lighting Technology Corp 照明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212992A (ja) 2016-12-15
CN205560325U (zh) 2016-09-07
JP6529815B2 (ja) 2019-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1196B1 (ko) 매입형 led 평판조명기구
US9841153B2 (en) Adaptive LED cove lighting system
US9618678B1 (en) Waveguide light fixtures
US20150016100A1 (en) Luminaire
US20090086490A1 (en) Light Fixture Support System
JP5498618B1 (ja) 照明器具
KR20160129719A (ko) 조명 기구 및 부착 금구
JP2014220034A (ja) 照明器具、光源部品および取付部品
JP2011014317A (ja) 照明体及び照明装置
JP6104856B2 (ja) 照明器具、光源部品および取付部品
KR101252763B1 (ko) 엘이디 등기구 천정 고정구조
KR20160129720A (ko) 조명 기구, 부착 금구 및 부착 금구 세트
JP5975400B2 (ja) 照明器具
JP6404384B2 (ja) 照明器具、光源部品および取付部品
KR20150133669A (ko) 조립식 엘이디 조명기구
JP6111497B2 (ja) 照明器具
KR101569471B1 (ko) 엘이디 피엘 등기구의 엘이디모듈 안치구조
JP2013069625A (ja) 照明器具
KR20120002883U (ko) 조명 기구
KR200446837Y1 (ko) 등기구
CN107461619B (zh) 灯具及其灯具组件
KR101596745B1 (ko) 방열 및 조립성이 우수한 엘이디 천정직착등
KR101627495B1 (ko) 소켓부 분리구조를 갖는 리트로핏형 led 램프
JP7333723B2 (ja) 照明装置
JP6562579B2 (ja) 照明器具、光源部品および取付部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