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3320B1 - 모노필라멘트 얀 제조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노필라멘트 얀 제조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3320B1
KR102263320B1 KR1020197002838A KR20197002838A KR102263320B1 KR 102263320 B1 KR102263320 B1 KR 102263320B1 KR 1020197002838 A KR1020197002838 A KR 1020197002838A KR 20197002838 A KR20197002838 A KR 20197002838A KR 102263320 B1 KR102263320 B1 KR 102263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ofilament
monofilaments
spinneret
water bath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2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3544A (ko
Inventor
에르한 콥
에미네 구벤
부렌트 힌달
무라트 고크텐
Original Assignee
코드사 테크닉 테크스틸 아노님 시르케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드사 테크닉 테크스틸 아노님 시르케티 filed Critical 코드사 테크닉 테크스틸 아노님 시르케티
Publication of KR20190033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3/00Complete machines for producing artificial threads
    • D01D13/02Elements of machines in combination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0Physical treatment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during manufacture, i.e. during a continuous production process before the filaments have been collected
    • D01D10/02Heat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88Cooling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leaving the spinnerettes
    • D01D5/0885Cooling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leaving the spinnerettes by means of a liquid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12Stretch-spinning metho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12Stretch-spinning methods
    • D01D5/16Stretch-spinning methods using rollers, or like mechanical devices, e.g. snubbing pi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00Modifying the structure or properties resulting from a particular structure; Modifying, retaining, or restoring the physical form or cross-sectional shape, e.g. by use of dies or squeeze rollers
    • D02J1/22Stretching or tensioning, shrinking or relaxing, e.g. by use of overfeed and underfeed apparatus, or preventing stretch
    • D02J1/222Stretching in a gaseous atmosphere or in a fluid bed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00Modifying the structure or properties resulting from a particular structure; Modifying, retaining, or restoring the physical form or cross-sectional shape, e.g. by use of dies or squeeze rollers
    • D02J1/22Stretching or tensioning, shrinking or relaxing, e.g. by use of overfeed and underfeed apparatus, or preventing stretch
    • D02J1/228Stretching in two or more steps, with or without intermediate step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am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노필라멘트 유동 방향을 따라 다음의 순차적인 공정 유닛을 포함하는 멀티-엔드 모노필라멘트 제조 장치를 제안한다: 방사구금(11) 및 상기 방사구금 아래 분배판(12)을 포함하는 수직 방사기(1); 방사된 모노필라멘트를 급랭(quenching)하기 위한 수조(2); 수조로부터 모노필라멘트를 옮기기 위한 진공 제트 디바이스(3); 300℃ 내지 380℃ 범위 내의 온도 및 4bar 내지 5bar 범위 내의 압력에서 과열된 스팀을 제공할 수 있는 스팀 제트(4); 인발 유닛(5); 500m/분을 초과하는 속도로 모노필라멘트를 권취하는 모노필라멘트 와인더(6). 본 발명은 멀티-엔드 모노필라멘트 얀 제조를 위한 방법을 더 제안한다.

Description

모노필라멘트 얀 제조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얀의 제조, 보다 구체적으로, 높은 강도(tenacity)의 모노필라멘트 얀의 제조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상업용 모노필라멘트 제조 라인은 압출, 수조를 통한 압출된 필라멘트의 냉각, 제1 인발 영역, 추가의(제2) 인발 영역, 열처리, 및 제조된 모노필라멘트 얀의 권취의 순차적인 공정 단계/부분을 포함한다. 그러한 상업용 모노필라멘트 제조 라인은 일반적으로 타이어급(tire-grade) 모노필라멘트에 대해 약 150 내지 300m/분(mpm으로 알려짐: 분 당 얀의 미터)의 귄취 속도를 달성하고, 이들은 대체로 제조 시스템을 위한 넓은 풋프린트 면적(약 25m에서 35m의 길이로)의 할당에 대응하는 수평 방향으로 진행된다.
US5240772A는 7.5gpd(데니어 당 그램-포스(gram-force))보다 큰 강도로 1000데니어 보다 높은 선밀도를 갖는 폴리아미드 모노필라멘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50을 초과하는 (포름산의 점도에 대한) 상대 점도의 폴리머, 및 모노필라멘트의 코어 온도를 55℃ 아래로 유지하기 위한 수조가 사용된다. 인발 포인트 로컬라이저 및 스티머(steamer)는 권취 또는 사용 중에 발생하는 장력을 견딜 수 있는 강도와 같은 제품에 필요한 기계적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공정에서, 제1 스테이지 인발 롤은 제2 인발 영역에 들어가기 전에 모노필라멘트를 가열하기 위해 140℃로 가열되었고; 인발율(drawing rate)를 향상시키기 위해 인발 포인트 로컬라이저 및 스티머를 피드 롤(feed roll) 이후에 위치시켰다. 나아가, 열처리 시스템에서 복사 가열기 역시 사용되었다.
US3963678A는 10gpd로 1000데니어 보다 높은 선밀도의 폴리아미드 모노필라멘트의 또 다른 제조 방법을 개시하며, 여기서 모노필라멘트는 13kg/h 내지 20kg/h(시간 당 킬로그램)의 처리량으로 방사된다. 그러나 이러한 처리량을 달성하기 위해 제조된 모노필라멘트의 엔드 수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모노필라멘트의 고속 방사에서, 4개보다 많은 엔드를 갖는 모노필라멘트의 연속적인 제조를 해내는 것이 큰 과제이다. 이러한 과제는 새로운 공정, 장치 및 방법의 설계를 필요로 한다.
인발 포인트 로컬라이저 및 스티머의 순차적인 사용은 상기 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모노필라멘트는 95℃ 내지 98℃ 범위의 온도에서 물로 코팅된다. 또한, 상기 문헌에 개시된 스티머는 180℃의 스팀 온도로 80 내지 140psig(5.51bar 내지 9.65bar) 사이의 압력을 적용한다. 여전히 모노필라멘트 엔드의 수 개시 없이, 최대 와인더 속도는 516.7m/분으로 개시되어 있다.
모노필라멘트 얀 제조에서 고속(예를 들어 500m/분 또는 그 이상)을 달성하는 것은 매우 큰 과제이며, 얀에서 높은 수의 엔드가 목적일 경우 특히 그러하다. 모노필라멘트 얀 제조에서 높은 데니어 값 및 많은 수의 엔드를 목표로 할 때, 압출 시 물 탱크의 불충분한 냉각, 석션 건에 의한 필라멘트 포획의 어려움, 및 고데(godets)에서 필라멘트의 개별적인 포장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가 광범위하게 발생한다. 또한, 상업용 모노필라멘트 라인은 제품의 손상 방지를 위해 요구되는 낮은 권취 속도로 인해 낮은 제조 용량을 가지고 있다.
WO 95/02718은 멀티필라멘트 얀의 고속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여기서, 용융된 폴리아미드 필라멘트는 기체가 채워진 갭을 통해 방적구금 모세관으로부터 압출되고 가열된 수성 액체를 함유하는 급랭 베스(quench bath)로 들어간다. 상기 베스는 베스 표면 아래의 베스에 입구를 가진 수직으로 배치된 원통형 통로를 형성하는 노즐을 가지고 있다. 필라멘트는 입구에서 필라멘트 번들로 모이고 분 당 약 1500 내지 약 3500의 인발 속도로 통로의 출구로부터 인발된다. 폴리아미드 폴리머는 방사구금으로부터 압출되며; 방사구금 모세관에서의 제트 속도(velocity)는 노즐 통로의 출구로부터 필라멘트의 인발 속도의 2 내지 10%이다.
GB 803237A는 용융된 폴리머 물질을 방적구금을 통해 압출하는 단계 및 필라멘트를 권취하거나 또는 다음 작업으로 전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융된 방사에 의한 인공적인 필라멘트의 제조 방법을 개시하며; 압출된 필라멘트의 장력이 상승하고 장력은 고온의 액체를 통과함으로써 감쇠된다. US3002804A는 필라멘트를 액체 드래그 베스를 통과시켜, 용융 방사 및 스트레칭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US3960305A는 석션 노즐을 포함하는 흡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WO 2012/047100A1은 용매 및 선형 고분자 폴리머의 용액의 압출 및 후속적인 방사 및 필라멘트의 급랭에 따라 형성되는 것에 의한 높은 인장 강도 및 모듈러스를 갖는 폴리머 필라멘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방사 및 급랭 후, 본래의 방사된 필라멘트는 스트레칭되는 필라멘트로부터 용매를 제거하기 위해 스팀과의 접촉하에서 스트레칭된다.
US2006/014920A1은 고속의 멀티필라멘트 얀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CN 103 290 479 A는 고체 상태 폴리머화, 용융 압출, 고압 방사, 느린 냉각, 급랭, 드래프팅(drafting) 및 성형(shaping)을 사용하여 나일론 66으로부터 만들어진 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JP 2011 168938 A는 에어백용 나일론 66 섬유 및 그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JP 2967997 B2는 방사를 사용한 고강도 필라멘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상기 언급된 종래 기술의 결점을 극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향상된 제조 속도에서, 높은 수의 엔드를 가진 높은 데니어의 모노필라멘트 얀을 획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투자 및 운영 비용이 감소된 모노필라멘트 얀의 제조 방법 및 공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모노필라멘트 유동 방향에 따라 다음의 순차적인 공정 유닛을 포함하는 멀티-엔드 모노필라멘트 제조 장치를 제안한다: 방사구금 및 상기 방사구금 아래 분배판을 포함하는 수직 방사기; 방사된 모노필라멘트를 급랭하기 위한 수조; 수조로부터 모노필라멘트를 옮기기 위한 진공 제트 디바이스; 300℃ 내지 380℃ 범위 내의 온도 및 4bar 내지 5bar 범위 내의 압력에서 과열된 스팀을 제공할 수 있는 스팀 제트; 인발 유닛; 및 500m/분을 초과하는 속도로 모노필라멘트를 권취하는 모노필라멘트 와인더(6). 본 발명은 멀티-엔드 모노필라멘트 얀 제조 방법을 추가로 제안한다.
본 명세서에서 간략한 설명이 제공된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보다 나은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고, 보호의 범위 또는 설명의 부재 시 상기 범위가 해석되는 문맥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제조 라인을 따라 공정 단계에 대응하는 장치의 공정 유닛들을 나타내는 개요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버전에 대응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구현예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이전까지 개략적으로 요약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은 모노필라멘트 얀 제조를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 조각(즉, 폴리아미드 6.6,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폴리아미드 6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고상 폴리머화, 멀티-엔드 모노필라멘트 방사, 물에 급랭, 제품으로 모노필라멘트 얀의 인발 및 고속 권취의 순차적인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략도는 도 1에 주어지며, 여기서 장치 내의 공정 유닛들 사이의 순서는 화살표로 강조되고, 또한 장치 전체에 걸친 압출물의(따라서 필라멘트의) 유동 방향에 대응한다. 도 2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장치의 바람직한 구현예 및 제조 시 유동 방향이 개략화되어 있다.
장치는 주로 수직 방향(주로 중력 벡터와 평행하고 동일방향, 즉, 아래쪽, 즉, 지구의 무게중심 쪽으로, 평형 상태에서 정지된 추의 로프로부터 최대 5°(360°이상)로 사용)으로 압출물을 내보내는 압출 출구를 갖는 방사기(1)를 포함한다. 따라서, 그러한 방사기는 수직 방사기로 한정될 수 있게 간주된다. 장치는 방사기(1)를 빠져 나갈 때 섬유의 결정화도 최적화 및 급랭을 위한 수조(2)(급랭 탱크로도 칭하여질 수 있음)를 더 포함한다. 수조(2) 다음에는 필라멘트를 수직 방향(아래쪽)으로 옮기기 위한 진공 제트 디바이스(3)가 뒤따른다. 진공 제트 디바이스 다음에는 300℃ 내지 380℃의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345℃ 내지 355℃ 범위 내의 온도에서 과열된 스팀을 제공하는 스팀 제트(4)가 뒤따른다. 스팀의 압력은 바람직하게 4bar 내지 5bar의 범위 내이다.
모노필라멘트를 물로 균일하게 코팅하는 것은, 그렇지 않으면 모노필라멘트가 부서지기 쉽고, 파단 시 신장(elongation)이 낮으며, 강도가 낮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통상적인 상업용 방사 라인에 비교할 경우, 3 내지 4배 높은 용량에 대응하는 공정을 통해 향상된 속도 및, 향상된 모듈러스(modulus)를 제공한다. 감소된 제품 비용에 대응하여 증가된 용량은 제품(즉, 모노필라멘트 얀)의 단위(unit) 부피 당 낮은 작동 비용 덕분이다. 주로 수직인 제조 라인은 공간 사용의 관점에서 절감된 투자 비용에 대응하여, 최소화된 풋프린트(footprint)를 요구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쉽게 입수 가능한 상업용 모노필라멘트 방사 시스템과 비교할 때 비용 절감은 대략 50%로 계산된다. 또한, 수직으로 방사하는 것은 공지된 상업용 폴리아미드 모노필라멘트 제조 라인과 비교하여 3 내지 4배 빠른 방사를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의 예시적인 시험에서, 12-엔드 모노필라멘트 얀 제조를 위해 1300m/분의 권취 속도를 달성하였다. 필라멘트는 0.1mm의 필라멘트 직경에서 100dtex, 내지 0.6mm의 필라멘트 직경에서 3000dtex 범위의 선 질량 밀도 값을 가지며; 여기서 dtex는 데시텍스(decitex)의 약자(즉, 10000미터 당 그램 단위의 필라멘트 질량)이다. 높이 평가되는 제품(respected products)의 기계적 특성 및 공정 변수는 표 1에 정리하였다(참조. 표 1은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에 따른 몇몇 실험적인 실행에서의 공정 매개변수 및 제품의 결과적인 물리적 특성을 요약한 것임). 신장율 3%에서 하중(load at 3% of elongation)(3% LASE로 알려짐) 및 4.5kgf에서 신장율(%)(E 4.5로 알려짐)은 모듈러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획득된 제품의 모듈러스는 통상적인 상업용 모노필라멘트와 비교하였을 때, 30 내지 35% 높았다.'타이어 코드(tire cord)' 적용의 경우, 7.5gpd(데이어 당 그램-포스(gram-force)의 약자)의 강도 값이 충분하다고 간주된다. 높은 모듈러스 값의 모노필라멘트 얀은 타이어에서 증가된 단단함을 달성하고 그에 따라 이의 회전 저항을 감소시키는 데 유리하다.
예시적인 실행(도 2 참조)에 사용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방사구금(11) 및 모노필라멘트 얀을 형성하기 위해 압출물 유동(방사구금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이동)을 수용하는 후자(latter) 아래의 분배판(12)을 포함하는 수직 방사기(1)를 포함한다. 유동(화살표로 나타냄)은 수조(2)로 계속된다. 실험에서 사용된 장치에서, 방사기(1)와 수조(2) 사이에 에어갭(13)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조(2) 다음에는 물 제거 디바이스(31)가 우선적으로 더 제공되는 진공 제트 디바이스(3)가 뒤따른다. 진공 제트 디바이스(3)를 통과한 필라멘트는 석션 건(32)(석션 제트로도 칭하여질 수 있음)에 의해 포획되고, 제1 인발 영역(33)으로 향하게 되고, 그 다음 필라멘트는 스팀 제트(4) 다음으로 주 인발 유닛(5)으로서 추가적인(제2) 인발 영역을 거친다. 스팀 제트(4)에서, 스팀은 필라멘트 상에 4.5bar의 압력으로 적용된다. 그 다음 필라멘트는 릴랙싱(51) 단계를 거치고, 와인더(6)에서 고속 권취로 끝난다.'고속'이라는 용어는 500m/분을 초과하는 속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m/분을 초과하는 속도,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200m/분 보다 높은 속도로 사용된다. 1300m/분의 권취 속도는 실험적인 실행에서 사용되었다.
실험적인 실행에서, 포름산의 점도에 대하여 88 내지 100 범위 내의 자유낙하 상대 점도가 사용되었고, 더욱 바람직하게 자유낙하 상대 점도는 93 내지 97 범위 내였다. 자유낙하 폴리머의 포름산 상대 점도가 75 내지 100(ASTM D 789) 범위 내일 때, 1300m/분의 와인더 속도에서 9.0gpd의 강도 및 5.7GPa(기가파스칼, 109N/m2)의 모듈러스(2% 당김 시)를 달성하였다. 이 상대 점도에서의 폴리아미드를 용융시키고 방사된 모노필라멘트의 급랭을 위해 12-구멍 방적구금을 통해 수조로 압출시켰다. 수조와 방적구금 구멍 사이에 20cm 내지 80cm 범위 내의 에어 갭(방사된 모노필라멘트가 새로이 방사된 필라멘트의 바람직한 예비 냉각을 위해 공기와 접촉할 수 있는 거리)이 존재한다. 상기 거리는 또한 수조에 들어가지 전에 모노필라멘트 물질의 결정화 수준을 증가시킨다.
(모노)필라멘트의 강도, 모듈러스 및 수축 거동은 수조를 통과하는 동안 이의 결정화 수준을 더욱 증가시킴으로써 발달하기 시작한다. 이 때문에, 수조의 온도는 바람직하게 7℃ 내지 20℃ 범위 내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노필라멘트는 우선적으로 수조의 출구(exit) 상에서 풀러 롤에 의해 당겨졌으며, 여기서 풀러 롤은 진공 제트로 필라멘트를 처리하기 전, 필라멘트를 던짐으로써(예를 들어, 물 탱크의 출구 앞의 바닥에) 작용한다. 각각의 실험적인 실행에서, 필라멘트와 접촉하는 풀러 롤 표면 상의 선 속도는 모노필라멘트의 dtex 값 및 와인더의 속도에 따라, 100m/분 내지 300m/분 범위 내의 값으로 조절되었다.
모노필라멘트는 바람직하게 풀러 롤과 접촉하기 전에 탈수된다. 모노필라멘트(바닥에 떨어질 수 있는)는 작동자(operator)에 의해 진공 제트로 향할 수 있다. 모노필라멘트를 인발 유닛으로 내던지고, 예를 들어 1300m/분의 고속으로 (예를 들어, 12-엔드의 멀티플-엔드)모노 필라멘트를 옮기는데 진공 제트 장치가 중요하다.
인발 유닛으로 옮겨진 모노필라멘트는 바람직하게 TR 2014/03829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포획될 수 있다. 그 다음 모노필라멘트는 피드 롤(feed roll) 주변에서 감싸진다. 여기서, 풀러 롤과 피드 롤 사이의 인발을 원하지 않으므로, 피드 롤 측면에서의 선 속도는 풀러 롤의 그것에 가깝다. 이 경우, 피드 롤 및 풀러 롤 측면에서의 선 속도 비는 바람직하게 0.95 내지 1.05의 범위 내이다.
피드 롤과 제1 스테이지 롤 사이에서, 인발 포인트 위치 및 인발 비율 증가를 위해 모노필라멘트를 스팀을 적용하였다. 300℃ 내지 380℃,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340℃,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310℃ 내지 330℃ 범위 내의 온도에서 개구부(opening)을 통해 스팀을 적용하였다. 실험적인 실행에서, 스팀의 온도는 320℃이였다. 스팀의 압력은 4bar 내지 5bar 범위 내로 유지하였다.
그 다음, 고속(실험적인 실행에서, 속도는 최대 1400m/분)으로, 모노필라멘트 상에 최대 인발 비율이 적용되는 (주)인발 유닛(제2 스테이지 롤이라고도 칭하여질 수 있음)으로 모노필라멘트를 옮겼다. 강도는 주로 이 스테이지에서 발달된다. 최적의(optimal) 강도 값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주 인발 유닛에서 롤의 모노필라멘트 접촉 표면을 225℃ 내지 250℃, 더욱 바람직하게는 235℃ 내지 245℃ 범위 내의 온도로 유지하여야 한다. 실험적인 실행에서, 주 인발 유닛에서 롤의 표면 온도를 240℃로 유지하였다. 12 엔드 모노필라멘트를 위한 1300m/분의 권취 속도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약 5.05x의 총 인발 비율을 달성하였다.
실험적인 실행에서, 주 인발 유닛을 떠나 릴랙싱 롤(relaxing roll)로 모노필라멘트를 옮겼다. 그 후, 석션 건(석션 제트)을 갖춘 와인더 상의 플랜지 목관(flanged bobbins)으로 모노필라멘트를 옮겼다. 향상된 생산성을 제공하기 위해, 롤을 통해 개별적으로 모노필라멘트를 옮겼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모노필라멘트의 선 질량 밀도에 따라 16 내지 67kg/h 범위의 폴리머 처리 속도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실험적인 실행에서, 제품의 단면 형상에도 불구하고; 공지된 상업용 제조 라인과 비교하여 3 내지 4배 높은 방사 속도를 달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로 12개 이상의 엔드 모노필라멘트의 무-손실(lossless) 고속 제조가 크게 향상되기 때문에, 4-엔드 모노필라멘트보다 높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2개 이상의 엔드를 갖는 모노필라멘트에 대응하는 높은 수의 엔드를 갖는 모노필라멘트의 제조에 특히 적합하다.
Figure 112019010113279-pct00004

Claims (13)

  1. 모노필라멘트들의 유동 방향을 따라 다음의 순차적인 공정 유닛을 포함하며,
    a) 다수의 압출물 출구 구멍을 갖는 방사구금(11)을 포함하는 수직 방사기(1)로서, 상기 방사구금 아래, 모노필라멘트 얀을 형성하기 위해 압출물 유동을 수용하는 분배판(12)을 더 포함하는 수직 방사기(1),
    b) 수직 방사기(1)로부터 방사된 모노필라멘트들을 급랭(quenching)하기 위해 7℃ 내지 20℃ 범위 내의 수조 온도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수조(2),
    c) 수조로부터 모노필라멘트들을 옮기기 위한 진공 제트 디바이스(3),
    d) 300℃ 내지 380℃ 범위 내의 온도 및 4bar 내지 5bar 범위 내의 압력에서 과열된 스팀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스팀 제트(4),
    e) 인발 유닛(5)
    f) 500m/분을 초과하는 속도로 모노필라멘트들을 권취하는 모노필라멘트 와인더(6),
    여기서, 방사기(1)와 수조(2) 사이에 에어갭(13)이 존재하고, 상기 에어갭은 수조(2)와 방사구금(11)의 압출물 출구 구멍 사이의 20cm 내지 80cm 범위 내인 거리에 대응하는,
    멀티필라멘트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모노필라멘트 와인더(6)는 1000m/분을 초과하는 속도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멀티필라멘트 제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모노필라멘트 와인더(6)는 1200m/분을 초과하는 속도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멀티필라멘트 제조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진공 제트 디바이스(3)와 스팀 제트(4) 사이에 제1 인발 영역(33) 및 석션 건(32)을 더 포함하는, 멀티필라멘트 제조 장치.
  5. 다음의 순차적인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필라멘트 얀(yarn) 제조 방법:
    i) 다수의 압출물 출구 구멍을 갖는 방사구금으로부터, 중력 벡터와 평행하고 동일 방향인 방향으로 분배판 상에 모노필라멘트들을 방사하고, 모노필라멘트 얀을 형성하기 위해 압출물 유동을 수용하는 단계
    ii) 7℃ 내지 20℃ 범위 내의 온도를 유지하는 수조에서 방사기로부터 방사된 모노필라멘트들을 급랭하는 단계로서, 방사기와 수조 사이에 에어갭이 존재하고, 상기 에어갭은 수조와 방사구금의 압출물 출구 구멍 사이의 20cm 내지 80cm 범위 내인 거리에 대응하는, 급랭하는 단계,
    iii) 진공 제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수조로부터 모노필라멘트들을 옮기는 단계,
    iv) 300℃ 내지 380℃ 범위 내의 온도 및 4bar 내지 5bar 범위 내의 압력에서 과열된 스팀을 스팀 제트를 사용하여 모노필라멘트들 상에 제공하는 단계,
    v) 인발 유닛을 사용하여 모노필라멘트들을 인발하는 단계,
    vi) 모노필라멘트 와인더를 사용하여, 500m/분을 초과하는 속도로 모노필라멘트들을 권취하는 단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는 1000m/분 보다 빠른, 멀티필라멘트 얀 제조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는 1200m/분 보다 빠른, 멀티필라멘트 얀 제조 방법.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단계(iii)과 (iv) 사이에 다음의 순차적인 추가 공정 단계가 적용되는, 멀티필라멘트 얀 제조 방법:
    - 석션 건을 사용하여 모노필라멘트들을 석션하는 단계, 및
    - 제1 인발 영역에서 모노필라멘트들의 제1 인발 단계.
  9.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멀티필라멘트는 12개 이상의 엔드를 갖는, 멀티필라멘트 얀 제조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97002838A 2016-08-03 2016-08-03 모노필라멘트 얀 제조 시스템 및 방법 KR1022633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TR2016/050263 WO2018026333A1 (en) 2016-08-03 2016-08-03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filament yarn produ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544A KR20190033544A (ko) 2019-03-29
KR102263320B1 true KR102263320B1 (ko) 2021-06-15

Family

ID=56877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2838A KR102263320B1 (ko) 2016-08-03 2016-08-03 모노필라멘트 얀 제조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1136694B2 (ko)
EP (1) EP3455395B1 (ko)
JP (1) JP6813660B2 (ko)
KR (1) KR102263320B1 (ko)
CN (1) CN109844188B (ko)
BR (1) BR112019001942A2 (ko)
ES (1) ES2815554T3 (ko)
MX (1) MX2019001314A (ko)
PL (1) PL3455395T3 (ko)
RU (1) RU2709920C1 (ko)
WO (1) WO20180263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104890A1 (de) * 2021-03-01 2022-09-01 Dietze & Schell Maschinenfabrik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zumindest eines Filaments, Bedampfungs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eines derartigen Verfahrens und Filamentproduktionsanlage mit einer derartigen Bedampfungs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03237A (en) * 1955-10-26 1958-10-22 Ici Ltd The production of artificial filaments by melt-spinning
US3002804A (en) * 1958-11-28 1961-10-03 Du Pont Process of melt spinning and stretching filaments by passing them through liquid drag bath
US4056652A (en) * 1973-07-04 1977-11-0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onofilament of polyhexamethylene adipamide having a surface layer of reduced orientation relative to the orientation of the core
US3963678A (en) 1974-06-17 1976-06-1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Large denier polyethylene terephthalate monofilaments having good transverse properties
US3960305A (en) * 1974-07-11 1976-06-0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lot vacuum jet
JPH086203B2 (ja) * 1986-07-03 1996-01-24 東レ株式会社 熱可塑性合成繊維の製造方法
US5240772A (en) 1988-12-22 1993-08-31 Henning Gregory N High tenacity, oblong cross-section monofilaments having a modification ratio of at least 4.4
JP2967997B2 (ja) * 1989-06-09 1999-10-25 旭化成工業株式会社 ポリアミドマルチフィラメントの製造方法
AU7826391A (en) * 1990-06-14 1991-12-19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ester monofilaments for reinforcing tires
US5223187A (en) * 1990-06-14 1993-06-2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of making polyester monofilaments for reinforcing tires
US5362430A (en) * 1993-07-16 1994-11-0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queous-quench spinning of polyamides
DE4336097A1 (de) * 1993-10-22 1995-04-27 Bayer Ag Kontinuierliches Verfahren zum Schmelzspinnen von monofilen Fäden
JP4064273B2 (ja) * 2003-03-20 2008-03-19 帝人ファイバー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繊維の製造方法
JP2006037317A (ja) * 2004-07-30 2006-02-09 Toray Ind Inc 難燃性ポリアミド繊維および布帛
JP5697346B2 (ja) 2010-02-22 2015-04-08 旭化成せんい株式会社 エアバック用ナイロン66繊維およびエアバック
NL2005455C2 (en) * 2010-10-05 2012-04-06 Polymer Res & Dev Process for producing high-performance polymer fibers.
CN103290497B (zh) 2012-03-05 2016-01-20 辽宁银珠化纺集团有限公司 一种产业用功能型锦纶66纤维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36694B2 (en) 2021-10-05
JP2019523352A (ja) 2019-08-22
RU2709920C1 (ru) 2019-12-23
ES2815554T3 (es) 2021-03-30
EP3455395A1 (en) 2019-03-20
MX2019001314A (es) 2019-10-02
US20190284724A1 (en) 2019-09-19
BR112019001942A2 (pt) 2019-05-07
EP3455395B1 (en) 2020-05-06
CN109844188A (zh) 2019-06-04
WO2018026333A1 (en) 2018-02-08
JP6813660B2 (ja) 2021-01-13
PL3455395T3 (pl) 2021-04-19
CN109844188B (zh) 2022-02-11
KR20190033544A (ko) 2019-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42347B (zh) 聚苯硫醚单丝纱的制造方法
US2957747A (en) Process for producing crimpable polyamide filaments
US4237187A (en) Highly oriented, partially drawn, untwisted, compact poly(ε-caproamide) yarn
US6036895A (en) Process and device for the formation of monofilaments produced by melt-spinning
JP4101869B2 (ja) フィラメントの溶融紡糸方法
US4035464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olyamide-6 filament yarns
US4461740A (en) Process for spin-stretching of high strength technical yarns
JP2002542402A (ja) ポリマーフィラメントを紡糸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102263320B1 (ko) 모노필라멘트 얀 제조 시스템 및 방법
CN101981239B (zh) 纺丝方法
KR20050061480A (ko) 고안정성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제조방법
CN1275640A (zh) 涡流变形、松弛和/或热收缩定型的设备、相应方法和复丝
CN101137775A (zh) 用于生产复合纱线的熔融纺丝方法以及复合纱线
CN109750359B (zh) 一步法生产超细旦高强度锦纶-6fdy产品的方法
KR950001648B1 (ko) 중합체로 구성된 합성사 또는 합성 섬유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제조장치
KR100208055B1 (ko) 높은 강도, 높은 모듈러스 및 낮은 수축률 합성사를 제조하기 위한 방사 방법
KR19990044083A (ko) 고강도 고수축성 폴리아미드 66 필라멘트사의 제조 방법
JP7021328B2 (ja) モノフィラメント糸製造のための方法
KR950000726B1 (ko) 폴리에스테르섬유의 제조방법
JP2004052173A (ja) 高強度ポリエステルモノフィラメ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4479067B2 (ja) ポリアミド繊維の製造方法
KR950002807B1 (ko)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일공정 고속 제조방법
KR100484119B1 (ko) 폴리에스터마이크로필라멘트사의제조방법
JPH04352812A (ja) 小さな結晶サイズと高い配向性を有する紡糸したままのポリエステルヤーン
EP0283097A2 (en) Process for producing a thread of polyamide-6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