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2996B1 - 기계학습 된 예측모델에 기반한 교통약자용 배차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기계학습 된 예측모델에 기반한 교통약자용 배차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2996B1
KR102262996B1 KR1020200133546A KR20200133546A KR102262996B1 KR 102262996 B1 KR102262996 B1 KR 102262996B1 KR 1020200133546 A KR1020200133546 A KR 1020200133546A KR 20200133546 A KR20200133546 A KR 20200133546A KR 102262996 B1 KR102262996 B1 KR 102262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wheelchair
time
candid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3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연
이명주
양만우
Original Assignee
넥스아이씨티(주)
박동연
양만우
이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스아이씨티(주), 박동연, 양만우, 이명주 filed Critical 넥스아이씨티(주)
Priority to KR1020200133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29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2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2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계학습 된 예측모델에 기반한 교통약자용 배차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용객의 배차요청에 기초하여 운행차량을 배차하되 교통약자 이동지원 차량 중 휠체어 탑승 가능 운행차량의 향후 수요를 예측하여 휠체어 탑승 가능 운행차량을 효율적으로 배차하고, 운행차량의 운전자의 근무규정을 준수할 수 있도록 배차를 수행하는 기계학습 된 예측모델에 기반한 교통약자용 배차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계학습 된 예측모델에 기반한 교통약자용 배차 방법 및 시스템{Vehicle Allocation Method and System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Based on Machine-learning Predictive Model}
본 발명은 기계학습 된 예측모델에 기반한 교통약자용 배차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용객의 배차요청에 기초하여 운행차량을 배차하되 교통약자 이동지원 차량 중 휠체어 탑승 가능 운행차량의 향후 수요를 예측하여 휠체어 탑승 가능 운행차량을 효율적으로 배차하고, 운행차량의 운전자의 근무규정을 준수할 수 있도록 배차를 수행하는 기계학습 된 예측모델에 기반한 교통약자용 배차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교통약자(交通弱者)란 장애인, 고령자, 임산부, 영 유아를 동반한 사람, 어린이 등 일상생활에서 이동에 불편을 느끼는 사람을 말한다.
특히 휠체어와 같은 이동 보조수단을 사용하는 경우 일반적인 차량은 이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휠체어 탑승이 가능하도록 제작된 특수 차량을 이용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휠체어 탑승 가능 차량과 같은 교통약자 이동지원 차량을 이용하기 위하여 교통약자 이동지원 센터 등을 통해 배차를 요청하고, 교통약자 이동지원 센터에서 운영하는 차량을 배차하여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교통약자 이동지원 시스템에서 교통약자는 교통약자 이동지원 센터에 전화하거나 어플리케이션 또는 홈페이지를 이용하여 호출을 접수하고, 상담원이 수동으로 차량 운행 및 배차상황을 고려하여 배차를 하거나 혹은 상담원이 접수내용을 근처의 차량에게 전파하고 차량의 운전자들의 응답에 기반하여 최적의 차량을 배차하는 방법으로 배차가 진행된다.
다만 이와 같은 상담원의 임의적인 배차 혹은 운전자의 응답에 기반한 배차의 경우 이용객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어렵다. 종래의 배차의 경우 사람(상담원 혹은 운전자)의 주관적인 의견이 포함되고, 이와 같이 일률적이지 않은 주관적 배차는 이용객의 불편을 초래함과 동시에 잦은 민원 발생의 원인이 되며, 수동 배차 및 배차상황의 모니터링을 위해 많은 상담원을 요하기 때문에 업무 능률 저하로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교통약자 이동지원 관제 시스템을 개량하여 사람의 주관적 의견이 포함되지 않은 데이터 기반의 자동배차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은 이용객의 배차요청에 기초하여 운행차량을 배차하되 교통약자 이동지원 차량 중 휠체어 탑승 가능 운행차량의 향후 수요를 예측하여 휠체어 탑승 가능 운행차량을 효율적으로 배차하고, 운행차량의 운전자의 근무규정을 준수할 수 있도록 배차를 수행하는 기계학습 된 예측모델에 기반한 교통약자용 배차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1 이상의 메모리를 갖는 컴퓨팅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교통약자용 배차 방법으로서, 이용객의 출발지, 목적지, 출발시간 및 휠체어사용여부정보를 포함하는 배차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배차요청정보수신단계; 운행차량의 위치, 배차여부 및 배차 시 목적지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차량정보를 수신하는 운행차량정보수신단계; 기설정된 시간간격에 따라 각각의 운행차량의 등시영역정보를 도출하는 등시영역정보도출단계; 및 상기 배차요청정보, 상기 운행차량정보, 상기 등시영역정보, 휠체어차량수요예측정보, 및 각각의 운행차량의 운전자의 근무규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차요청정보에 상응하는 운행차량을 배차하는 배차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등시영역정보는 해당 운행차량이 승객을 태우지 않은 경우에는 미래시간별 해당 운행차량이 현재 위치에서 도달할 수 있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해당 운행차량이 승객을 태운 경우에는 해당 운행차량이 현재 운행중인 목적지에 도착한 후 미래시간별 해당 운행차량이 목적지에서 도달할 수 있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휠체어차량수요예측정보는 기계학습 된 휠체어차량수요예측모델에 기초하여 도출되고, 상기 이용객의 출발지에 관련된 영역에서의 휠체어차량수요를 정량화한 정보를 포함하는, 교통약자용 배차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등시영역정보도출단계는, 공간정보를 평면좌표화 하여 기설정된 구획으로 나눈 영역으로 그룹화 하고, 서로 다른 두 영역에 각각 위치한 두 지점간의 운행시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두 영역 간의 이동소요시간을 도출하고, 상기 운행차량의 현재 위치가 포함되는 영역, 상기 출발지가 포함되는 영역, 상기 운행차량의 현재 운행중인 목적지가 포함되는 영역 및 도출된 상기 이동소요시간에 기초하여 해당 운행차량이 미래시간에 도달할 수 있는 영역을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배차단계는, 각각의 운행차량의 등시영역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용객의 출발시간의 등시영역정보에 상기 출발지가 포함되는 운행차량을 예비후보로 도출하는 예비후보도출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배차단계는, 기설정된 규칙에 따라 도출된 예비후보 중에서, 상기 예비후보의 운행차량이 출발지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목적지로부터 차고지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모두 포함하는 배차소요시간이 해당 운행차량의 운전자의 근무규정정보에 위배되지 않는 운행차량을 제1후보로 도출하는 제1후보도출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배차단계는, 기설정된 규칙에 따라 도출된 제1후보 중에서, 상기 이용객의 휠체어사용여부, 상기 휠체어차량수요예측정보 및 상기 제1후보 중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운행차량의 수에 기초하여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운행차량을 제2후보로 도출하거나,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운행차량 중 일부 또는 전체를 제외한 운행차량을 제2후보로 도출하거나, 혹은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운행차량을 제외하지 않고 모든 운행차량을 제2후보로 도출하는 제2후보도출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후보도출단계는, 상기 이용객이 휠체어를 사용하는 경우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운행차량을 제2후보로 도출하고, 상기 이용객이 휠체어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제1후보 중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운행차량들 중 상기 휠체어차량수요예측정보에 기초하여 예측되는 상기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운행차량 위치에서의 등시영역정보에 기초하여 휠체어차량수요만큼의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운행차량을 제외한 운행차량을 제2후보로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후보도출단계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기설정된 규칙에 따라 추출된 제1후보 중에서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운행차량을 모두 제외한 운행차량을 제2후보로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배차단계는, 각각의 운행차량의 등시영역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용객의 출발시간의 등시영역정보에 상기 출발지가 포함되는 운행차량을 예비후보로 도출하는 예비후보도출단계; 도출된 상기 예비후보 중에서 상기 예비후보의 운행차량이 출발지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목적지로부터 차고지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모두 포함하는 배차소요시간이 해당 운행차량의 운전자의 근무규정정보에 위배되지 않는 운행차량을 제1후보로 도출하는 제1후보도출단계; 도출된 상기 제1후보 중에서 상기 이용객의 휠체어사용여부, 상기 휠체어차량수요예측정보 및 상기 제1후보 중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운행차량의 수에 기초하여 제2후보를 도출하는 제2후보도출단계; 및 도출된 상기 제2후보 중에서 상기 출발지까지의 도착소요시간, 상기 출발지까지의 도착소요거리, 해당 운행차량의 기사운행정보 및 기설정된 운행규칙 중 1 이상에 따라 최종후보를 도출하여 배차하는 배차결정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휠체어차량수요예측모델은, 휠체어를 사용하는 이용객의 출발지, 목적지, 출발시간, 이용일자 및 이용환경에 대한 정보 중 1 이상에 기초하여 학습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1 이상의 메모리를 갖는 컴퓨팅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교통약자용 배차 시스템으로서, 이용객의 출발지, 목적지, 출발시간 및 휠체어사용여부정보를 포함하는 배차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배차요청정보수신부; 운행차량의 위치, 배차여부 및 배차 시 목적지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차량정보를 수신하는 운행차량정보수신부; 기설정된 시간간격에 따라 각각의 운행차량의 등시영역정보를 도출하는 등시영역정보도출부; 및 상기 배차요청정보, 상기 운행차량정보, 상기 등시영역정보, 휠체어차량수요예측정보, 및 각각의 운행차량의 운전자의 근무규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차요청정보에 상응하는 운행차량을 배차하는 배차부; 를 포함하고, 상기 등시영역정보는 해당 운행차량이 승객을 태우지 않은 경우에는 미래시간별 해당 운행차량이 현재 위치에서 도달할 수 있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해당 운행차량이 승객을 태운 경우에는 해당 운행차량이 현재 운행중인 목적지에 도착한 후 미래시간별 해당 운행차량이 목적지에서 도달할 수 있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휠체어차량수요예측정보는 기계학습 된 휠체어차량수요예측모델에 기초하여 도출되고, 상기 이용객의 출발지에 관련된 영역에서의 휠체어차량수요를 정량화한 정보를 포함하는, 교통약자용 배차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에 기초하여 배차를 수행함으로써 효율적이고 객관적인 배차가 가능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차량의 수요 예측을 통해 교통약자의 이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차량의 유휴상태를 최소화 하는 효율적인 배차가 가능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차 시 운행 후 차고지까지 복귀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도출하여 운전자의 근무규정에 위배되지 않도록 하는 운전자의 운행차량을 배차함으로써 운전자의 근무여건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행차량의 등시영역을 도출함으로써 운행차량이 이용객의 출발지에 도착 가능한지 여부를 빠르게 판단하여 배차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행차량의 등시영역을 도출하기 위하여 공간정보를 기설정된 구획으로 나눈 영역으로 그룹화함으로써 적은 데이터로도 예측모델에 대한 학습을 수행할 수 있고 적은 연산으로도 등시영역을 도출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용 배차를 수행하기 위한 환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용 배차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용 배차 방법의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시영역을 도출하기 위해 공간좌표를 구획으로 나눈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소요시간을 예상하기 위하여 좌표를 그룹화 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소요시간을 예상하기 위한 이동소요시간예측모델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출된 운행차량의 등시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출된 승객을 태운 운행차량의 등시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차단계의 세부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계산되는 배차소요시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운전자의 근무규정정보에 기초하여 제1후보를 도출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후보를 도출하기 위한 규칙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차량수요예측정보를 도출하기 위한 휠체어차량수요예측모델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후보를 도출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부',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용 배차를 수행하기 위한 환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종래에는 교통약자인 이용객(10)이 차량을 이용하기 위하여 교통약자 이동지원 센터의 상담사(20)에 연락을 하면 상담사(20)가 운행차량(30)을 배차하고, 배차된 운행차량(30)은 이용객(10)이 지정한 곳으로 이동하여 운행을 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이용객(10)이 상담사(20)를 통해, 혹은 직접 SMS, 어플리케이션, 홈페이지 등을 통해 배차 시스템(1000)에 차량 이용을 위해 배차요청을 하면 배차 시스템(1000)에 의해 운행차량(30)이 배차되어 이용객(10)이 운행차량(30)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에는 휠체어를 사용하는 교통약자가 이용객(10)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의 배차 시스템(1000)은 휠체어를 사용하는 교통약자뿐만 아니라 휠체어를 사용하지 않는 장애인, 고령자, 임산부 등의 교통약자가 이용객(10)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배차 시스템에서 운행차량(30)은 휠체어가 탑승 가능한 운행차량 및 휠체어가 탑승 불가능한 운행차량이 모두 존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휠체어 사용 이용객과 휠체어 비사용 이용객, 휠체어 탑승 가능 운행차량 및 휠체어 탑승 불가 운행차량이 존재하는 구조에서, 휠체어 사용 이용객은 휠체어 탑승 가능 운행차량만을 이용할 수 있고, 휠체어 비사용 이용객은 휠체어 탑승 가능 운행차량 및 휠체어 탑승 불가 운행차량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배차 방식에서는 휠체어 사용 이용객의 배차 요청에 대비하여 휠체어 탑승 가능 운행차량을 배차에서 제외하고 항상 대기시켜 놓는 방식을 취하고 있었다. 다만 이와 같이 휠체어 탑승 가능 운행차량을 항상 배차에서 제외하는 경우 유휴상태가 지속되어 비효율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휠체어 탑승 가능 운행차량도 휠체어 비사용 이용객에게 배차를 하여 효율을 높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휠체어 사용 이용객의 배차 요청에도 대응 가능하면서도 유휴상태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휠체어 사용 이용객의 배차 요청을 수요예측모델을 통하여 예측하고, 이에 기반하여 휠체어 탑승 가능 운행차량에 대한 배차를 수행함으로써 배차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용 배차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용 배차 시스템(1000)은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1 이상의 메모리를 갖는 컴퓨팅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용객의 출발지, 목적지, 출발시간, 및 휠체어사용여부정보를 포함하는 배차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배차요청정보수신부(100); 운행차량의 위치, 배차여부 및 배차 시 목적지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차량정보를 수신하는 운행차량정보수신부(200); 기설정된 시간간격에 따라 각각의 운행차량의 등시영역정보를 도출하는 등시영역정보도출부(300); 및 상기 배차요청정보, 상기 운행차량정보, 상기 등시영역정보, 휠체어차량수요예측정보, 및 각각의 운행차량의 운전자의 근무규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차요청정보에 상응하는 운행차량을 배차하는 배차부(400);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차 시스템(1000)은 이용객(10)이 직접 본인의 이용객 단말기(3100)를 통해 상기 배차 시스템(1000)으로 배차요청정보를 송신하거나, 혹은 상담원(20)과의 통화를 통해 배차를 요청하고 상담원(20)이 상담원 단말기(3200)를 통해 배차요청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이용객(10)의 배차요청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배차요청정보는 이용객(10)의 출발지, 목적지, 출발시간 및 휠체어사용여부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이 외에도 운행 목적(병원치료, 여가, 출퇴근 등), 교통약자 유형 정보(노인, 장애인, 장애유형/등급 등)의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차 시스템(1000)은 배차 가능한 운행차량(30)에 설치된 차량단말기(4000)를 통해 운행차량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운행차량정보는 상기 운행차량의 위치에 관한 정보 및 현재 배차 상황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배차 시스템(1000)이 배차요청정보에 적합한 운행차량(30)을 선정하여 배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차 시스템(1000)은 DB서버(2000)로부터 배차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여 배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DB서버(2000)에는 배차를 위해 필요한 운행차량에 대한 정보(총 탑승 인원, 휠체어 탑승 가능 여부 등), 운행차량의 운전자의 근무규정에 대한 정보(출/퇴근 시간, 휴식시간, 지정 차고지 등) 및/또는 날짜, 시간, 공휴일 여부, 교통정보, 날씨정보, 재해정보, 전염병정보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이용환경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상기 배차 시스템(1000)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DB서버(2000)는 상기 배차 시스템(1000)과 같이 운영되는 서버일 수도 있으나, 외부의 서버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차 시스템(1000)은 기상청의 날씨 정보 서버로부터 날씨정보 및 재해정보를 불러옴으로써 배차에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배차 시스템(1000)은 배차요청정보수신부(100)를 통해 배차요청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운행차량정보수신부(200)를 통해 운행차량으로부터 운행차량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등시영역정보도출부(300)가 상기 운행차량정보로부터 각각의 운행차량이 정해진 시간 동안 이동 가능한 영역인 등시영역을 도출하여 상기 배차부(400)가 배차에 적합한 운행차량을 선정하여 배차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배차부(400)는 휠체어가 탑승 가능한 운행차량의 적절한 배차를 위해 휠체어 사용 이용객의 수요를 예측하고, 이를 반영하여 운행차량을 선정하여 배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와 같이 효율적인 배차를 위해 필요한 상기 휠체어차량수요예측정보는 기계학습 된 휠체어차량수요예측모델에 기초하여 도출되고, 상기 이용객의 출발지에 관련된 영역에서의 휠체어차량수요를 정량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용 배차 방법의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용 배차 방법은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1 이상의 메모리를 갖는 컴퓨팅 시스템에서 수행될 수 있고, 이용객의 출발지, 목적지, 출발시간, 및 휠체어사용여부정보를 포함하는 배차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배차요청정보수신단계(S100); 운행차량의 위치, 배차여부 및 배차 시 목적지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차량정보를 수신하는 운행차량정보수신단계(S200); 기설정된 시간간격에 따라 각각의 운행차량의 등시영역정보를 도출하는 등시영역정보도출단계(S300); 및 상기 배차요청정보, 상기 운행차량정보, 상기 등시영역정보, 휠체어차량수요예측정보, 및 각각의 운행차량의 운전자의 근무규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차요청정보에 상응하는 운행차량을 배차하는 배차단계(S400); 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차요청정보수신단계(S100), 운행차량정보수신단계(S200), 등시영역정보도출단계(S300) 및 배차단계(S400)는 도 2에 도시된 배차 시스템의 배차요청정보수신부(100), 운행차량정보수신부(200), 등시영역정보도출부(300) 및 배차부(400)에 의해 각각 수행될 수 있다.
특정 지점에서 동일 시간 동안 이동 가능한 거리를 이어 그린 폐곡선을 등시선이라 한다. 운행차량의 현재 위치를 알고 있는 경우, 해당 운행차량의 현재 위치에서 특정 시간 동안 이동 가능한 등시선을 도출하게 되면 해당 특정 시간 동안 이동 가능한 영역을 도출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이와 같은 등시선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매우 많은 데이터가 필요하게 되고, 또한 이와 같은 데이터를 처리하여 등시선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매우 많은 양의 연산을 수행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등시영역을 통해 적은 양의 데이터로부터 적은 연산을 통해 특정 시간 동안 이동 가능한 영역을 도출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등시영역정보도출단계(S200)는, 공간정보를 평면좌표화 하여 기설정된 구획으로 나눈 영역으로 그룹화 하고, 서로 다른 두 영역에 각각 위치한 두 지점간의 운행시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두 영역 간의 이동소요시간을 도출하고, 상기 운행차량의 현재 위치가 포함되는 영역, 상기 출발지가 포함되는 영역, 상기 운행차량의 현재 운행중인 목적지가 포함되는 영역 및 도출된 상기 이동소요시간에 기초하여 해당 운행차량이 미래시간에 도달할 수 있는 영역을 도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좌표를 직접적으로 연산하지 않고, 기설정된 구획으로 그룹화 하여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적은 수의 데이터로도 비교적 수월하게 이동 가능한 등시영역을 도출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시영역을 도출하기 위해 공간좌표를 구획으로 나눈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소요시간을 예상하기 위하여 좌표를 그룹화 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지도로 표시된 공간을 기설정된 구획으로 나눈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공간을 평면좌표화 하고 가로 3km, 세로 3km의 격자 구획으로 나누어 영역을 분리하였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격자범위는 데이터 개수 및 지역 특성 등 구체적인 여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각각의 영역에는 기호를 붙여 구분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가장 왼쪽 상단의 구역은 A1으로 표시할 수 있고, 가장 오른쪽 상단의 구역은 E1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5에는 이와 같이 분리된 영역에 분포된 좌표들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분포된 좌표들을 각각의 좌표가 위치하는 영역으로 그룹화 하여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고 연산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복수의 좌표에 대한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 각각의 좌표를 통해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동 시간을 도출하게 되면 좌표가 존재하지 않는 위치에서의 이동 시간을 도출하기 어렵게 된다. 예를 들어 B3에 위치한 ①에서 D3에 위치한 ③까지 이동 시간 정보 및 B3에 위치한 ①에서 D3에 위치한 ④까지 이동 시간 정보만이 존재하는 경우, 구역으로 그룹화 하지 않는 경우 이동 시간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①에서 ⑤까지 이동 시간을 도출하기는 어렵다.
반면, 영역으로 그룹화 하는 경우, B3에 위치한 ①에서 D3에 위치한 ③까지 이동 시간 정보 및 B3에 위치한 ①에서 D3에 위치한 ④까지 이동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B3 영역에서 D3 영역으로 이동하는 시간을 대략적으로 산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B3에 위치한 ①에서 D3에 위치한 ⑤까지 이동 시간을 도출할 수 있음은 물론, B3에 위치한 ②에서 D3에 위치한 ⑤까지 이동 시간 또한 도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영역을 분리하고 해당 영역 내에 위치한 좌표들을 그룹화 함으로써 적은 수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새로운 좌표에서의 이동 시간을 도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소요시간을 예상하기 위한 이동소요시간예측모델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등시영역을 도출하기 위하여 이동소요시간을 예상하기 위하여 이동소요시간예측모델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동소요시간예측모델은 데이터를 입력 받아 학습을 통해 예측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소요시간예측모델은 출발지, 목적지, 출발시간 및 도착시간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아 학습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출발지 및 상기 목적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영역으로 그룹화 하여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출발지 및 목적지에 대한 정보로부터 상기 출발지가 위치하는 출발영역 및 상기 목적지가 위치하는 목적영역에 대한 정보를 도출하여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출발시간 및 도착시간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아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출발시간 및 도착시간에 대한 정보로부터 이동한 날짜에 대한 정보, 이동한 시간대에 대한 정보 및 이동 소요시간에 대한 정보를 도출하여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한 날짜 및 시간대에 대한 정보를 학습 데이터로 사용함으로써 날짜 및 시간대 별로 이동에 소요되는 시간을 예측함으로써 예측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날짜에 대한 정보는 연간 일자(1년 중 몇 번째 날, 예를 들어 1월 4일은 4번째 날이고 2월 8일은 39번째 날임), 월간 일자(해당 월 중 몇 번째 날), 요일, 공휴일 여부, 가까운 연휴 시작일로부터 몇일 전인가, 가까운 연휴 종료일로부터 몇일 후인가와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날짜에 대한 정보를 세분화하여 입력함으로써 날짜에 따른 이동 소요 시간을 더욱 정확히 예측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이동 소요시간을 영역을 구분하여 예측함으로써, 운행차량의 위치에 기초하여 미래시간별 해당 운행차량이 목적지에서 도달할 수 있는 영역인 등시영역을 도출하여 데이터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등시영역정보는 해당 운행차량이 승객을 태우지 않은 경우에는 미래시간별 해당 운행차량이 현재 위치에서 도달할 수 있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해당 운행차량이 승객을 태운 경우에는 해당 운행차량이 현재 운행중인 목적지에 도착한 후 미래시간별 해당 운행차량이 목적지에서 도달할 수 있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출된 운행차량의 등시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을 통해 운행차량이 승객을 태우지 않은 경우 운행차량의 등시영역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등시영역은 20분 내에 도달할 수 있는 영역을 표시한 등시영역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 외에도 다른 기설정된 시간 범위(예를 들면 5분, 10분, 20분, 30분 등)에 따른 등시영역을 도출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운행차량이 현재 C3 영역에 위치할 때, 다른 구역 각각으로의 이동 소요 시간을 예측하고, 예측된 이동 소요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 등시영역으로 포함함으로써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등시영역으로 도출할 수 있다. 즉, 도 7을 참조하면 표시된 현 위치에 있는 운행차량은 20분 내에 D1, C2, D2, A3, B3, C3, D3, E3, C4 및 D4 영역에 위치한 지점으로 이동할 수 있다고 예측한다. 실제로는 영역으로 그룹화 하여 이동 소요 시간을 예측하기 때문에 영역의 경계 근처에서는 예측이 정확하지 않을 수는 있으나, 이와 같은 그룹화를 통하여 적은 표본 데이터로부터도 예측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적은 연산량으로도 예측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실시간으로 위치가 변하는 다수의 운행차량에 대하여 등시영역을 도출할 필요가 있는 본 발명의 배차 시스템에 있어서 이와 같이 연산량을 낮춤으로써 시스템의 부하를 낮출 수 있는 이득을 갖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출된 승객을 태운 운행차량의 등시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한편 도 8에서와 같이 운행차량이 승객을 태우고 운행중인 경우의 등시영역을 도시하고 있다. 도 8 역시 20분 내에 도달할 수 있는 영역을 표시한 등시영역을 도시한다.
도 8에서와 같이 운행차량이 현재 B2 영역에서 C3 영역에 위치한 목적지로 운행중인 경우 20분 내에 목적지로 운행하여 승객을 하차시키고 D2, B3, C3, D3, E3 및 C4 영역에 위치한 지점으로 이동할 수 있다고 예측한다. 도 7과 비교하면 운행차량이 현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 운행을 한 후 이동하여야 하기 때문에 동일한 시간(20분)에 대한 등시영역임에도 영역이 더 좁게 나타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등시영역정보도출부(300)는 각각의 운행차량으로부터 수신한 운행차량정보에 기초하여 등시영역을 각각 도출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차단계의 세부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배차단계(S400)에서는 운행 가능한 운행차량으로부터 단계적으로 후보를 추리는 세부단계들을 통해 배차되는 운행차량을 결정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차단계(S400)는, 각각의 운행차량의 등시영역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용객의 출발시간의 등시영역정보에 상기 출발지가 포함되는 운행차량을 예비후보로 도출하는 예비후보도출단계(S410); 도출된 상기 예비후보 중에서 상기 예비후보의 운행차량이 출발지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목적지로부터 차고지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모두 포함하는 배차소요시간이 해당 운행차량의 운전자의 근무규정정보에 위배되지 않는 운행차량을 제1후보로 도출하는 제1후보도출단계(S420); 도출된 상기 제1후보 중에서 상기 이용객의 휠체어사용여부, 상기 휠체어차량수요예측정보 및 상기 제1후보 중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운행차량의 수에 기초하여 제2후보를 도출하는 제2후보도출단계(S430); 및 도출된 상기 제2후보 중에서 상기 출발지까지의 도착소요시간, 상기 출발지까지의 도착소요거리, 해당 운행차량의 기사운행정보 및 기설정된 운행규칙 중 1 이상에 따라 최종후보를 도출하여 배차하는 배차결정단계(S440); 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에서는 순차적으로 운행차량으로부터 예비후보, 제1후보, 제2후보를 거쳐 최종후보를 도출하여 배차를 수행할 수 있다.
우선 상기 예비후보도출단계(S410)에서는 각각의 운행차량의 등시영역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용객의 출발시간의 등시영역정보에 상기 출발지가 포함되는 운행차량을 예비후보로 도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운행차량의 등시영역을 도출할 수 있다. 이 때, 이용객의 배차요청이 있는 경우, 이용객의 출발시간의 등시영역정보를 각각의 운행차량에 대해 도출하게 된다, 이 때, 도출된 운행차량의 등시영역에 상기 이용객의 출발지가 포함되는 경우, 해당 운행차량은 이용객의 출발시간에 상기 이용객의 출발지에 도착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용객의 출발시간에 이용객의 출발지에 도착 가능한 운행차량을 등시영역정보에 기초하여 선별할 수 있고, 이를 예비후보로 도출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용객의 출발시간의 등시영역정보에 상기 출발지가 포함되지 않더라도, 배차요청이 적은 외곽영역에 위치하는 운행차량, 차고지 근처에서 배회하는 운행차량, GPS 음영지역으로 잠입하는 차량 등 배차를 회피하는 운행차량을 예비후보로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운행 실적에 따른 수당이 아니라 근무 시간에 따른 수당을 받는 운전자를 고용하여 교통약자에 대한 이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배차를 회피하고 시간을 보내기 위한 움직임을 하는 운행차량을 의도적으로 선별하여 배차를 함으로써 운전자들이 배차를 회피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예비후보가 도출된 후 제1후보도출단계(S420)에서는 상기 예비후보의 운행차량이 출발지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목적지로부터 차고지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모두 포함하는 배차소요시간이 해당 운행차량의 운전자의 근무규정정보에 위배되지 않는 운행차량을 제1후보로 도출할 수 있다.
운행차량이 배차되는 경우 해당 운행차량은 현재 위치에서 출발지까지 이동하고, 출발지에서 이용객을 태우고 목적지까지 이동하여 이용객을 내려주게 된다. 이 후 해당 운행차량의 운전자가 퇴근하기 위해서는 목적지에서 차고지까지 이동하여야 한다. 이 때, 운행차량이 현재 위치에서 출발지, 목적지를 거쳐 차고지까지 이동하는 동안 해당 운행차량의 운전자에게 보장된 퇴근시간 또는 휴식시간이 침해되지 않도록 하여 운전자의 근무 여건을 보장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예비후보가 배차되는 경우 배차소요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배차소요시간이 해당 예비후보의 운전자의 근무규정에 위배되지 않는지 여부를 검토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계산되는 배차소요시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의 (a)는 승객을 태우지 않은 운행차량의 배차소요시간을 도시한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배차소요시간(TTotal)은 운행차량의 현 위치에서 배차요청 이용객의 출발지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T1),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T2) 및 목적지로부터 차고지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T3)을 더하여 도출될 수 있다.
한편, 도 10의 (b)는 승객을 태우고 운행중인 운행차량의 배차소요시간을 도시한다, 도 10의 (b)를 참조하면 배차소요시간(TTotal)은 운행차량의 현 위치에서 운행중인 승객의 목적지(기존 목적지)까지 이동한 후 배차요청 이용객의 출발지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T1),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T2) 및 목적지로부터 차고지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T3)을 더하여 도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차소요시간은 운행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출발지, 목적지를 거쳐 차고지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포함한다. 이 때, 배차소요시간을 도출하기 위하여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T2) 및 목적지로부터 차고지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T3)은 실제 운행 경로를 통해 소요 시간을 예측할 수 있고, 운행차량의 현 위치에서 (기존 목적지를 거쳐) 배차요청 이용객의 출발지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T1)은 도 4 내지 8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영역으로 그룹화 한 데이터를 통해 소요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운전자의 근무규정정보에 기초하여 제1후보를 도출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도출된 배차소요시간(TTotal)이 운전자의 근무규정정보에 위배되지 않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예비후보로 도출된 각각의 운행차량의 운전자들은 각각 정해진 출퇴근시간 및 휴식시간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규정된 운전자들의 근무여건을 보장하기 위하여 배차소요시간(TTotal)을 근무규정에 정해진 출퇴근시간 및 휴식시간과 비교할 수 있다.
도 11에서 운전자 a는 다른 운전자들(b, c)보다 일찍 출근하고 일찍 퇴근하는 근무규정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이 때, 배차요청에 의해 도출된 배차소요시간(TTotal)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을 때, 운전자 a가 배차되는 경우 운전자 a는 현 위치에서 출발지로 이동하여 이용객을 태우고 목적지에 도착하여 이용객을 내려준 후 다시 차고지로 돌아와 퇴근을 하게 되면 정해진 퇴근시간을 넘어서 근무를 하게 된다. 따라서 이는 운전자 a의 근무규정에 위배된다고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제1후보도출단계(S420)에서는 운전자 a의 운행차량을 제외하고 제1후보를 도출하게 된다.
한편 운전자 b의 경우 운전자 a에 비해 늦은 출퇴근시간과 휴식시간을 가지고 있다. 이 때, 현재 시간을 기준으로 배차소요시간(TTotal)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을 때, 배차요청에 의해 도출된 배차소요시간(TTotal)에 의하면 운전자 b가 현 위치에서 출발지로 이동하여 이용객을 태우고 목적지에 도착하여 이용객을 내려준 후 다시 차고지로 돌아오는 경우 퇴근시간 이전에 차고지로 복귀가 가능하다. 따라서 운전자 b는 근무규정에 위배되지 않기 때문에 제1후보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운전자 c의 경우 운전자 b와 같은 출퇴근시간과 휴식시간을 가지고 있다. 다만 운전자 c의 경우 현재 위치가 운전자 b에 비해 출발지에서 멀기 때문에 운전자 b에 비해 더 긴 배차소요시간(TTotal)을 가질 수 있고, 이와 같이 도출된 배차소요시간(TTotal)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 c의 경우 현 위치에서 출발지로 이동하여 이용객을 태우고 목적지에 도착하여 이용객을 내려준 후 다시 차고지로 돌아와 퇴근을 하게 되면 정해진 퇴근시간을 넘어서 근무를 하게 되고, 운전자 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후보도출단계(S420)에서는 운전자 c의 운행차량을 제외하고 제1후보를 도출하게 된다.
한편 도 1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배차소요시간(TTotal)이 휴식시간에 걸쳐지는 경우 또한 근무규정에 위배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역시 제1후보에서 제외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근무규정을 고려하여 제1후보를 도출하는 경우 각각의 운전자의 출퇴근과 휴식이 보장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들의 근무여건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후보를 도출하기 위한 규칙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이용객이 휠체어 사용자인 경우, 휠체어 탑승 가능 운행차량에는 탑승이 가능하기 때문에 배차가 가능하지만, 휠체어 탑승 불가능 운행차량에는 이용객이 탑승할 수 없기 때문에 배차가 불가능하다. 한편, 이용객이 휠체어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휠체어 탑승 불가능 차량은 배차가 가능하지만, 휠체어 탑승 가능 차량은 휠체어 사용자의 배차 요청에 대비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탄력적으로 배차를 조절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후보도출단계(S430)에서는 휠체어차량수요예측정보에 기초하여 배차를 조절하게 된다.
제1후보가 도출된 후 제2후보도출단계(S430)에서는 상기 이용객의 휠체어사용여부, 상기 휠체어차량수요예측정보 및 상기 제1후보 중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운행차량의 수에 기초하여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운행차량을 제2후보로 도출하거나,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운행차량 중 일부 또는 전체를 제외한 운행차량을 제2후보로 도출하거나, 혹은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운행차량을 제외하지 않고 모든 운행차량을 제2후보로 도출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2후보도출단계(S430)에서는 상기 이용객이 휠체어를 사용하는 경우,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운행차량을 제2후보로 도출하여 이용객이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운행차량을 배차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이용객이 휠체어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운행차량은 예측된 휠체어차량의 수요에 따라 제2후보로 도출하거나, 혹은 제2후보로 도출하지 않음으로써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즉, 휠체어 차량의 수요가 있을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휠체어 탑승 가능 운행차량을 전부 혹은 일부를 제외하고 제2후보를 도출하거나, 혹은 휠체어 차량의 수요가 없을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휠체어 탑승 가능 운행차량을 제외하지 않고 제2후보를 도출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차량수요예측정보를 도출하기 위한 휠체어차량수요예측모델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제2후보를 도출하기 위한 휠체어차량수요예측정보를 도출하기 위하여 휠체어차량수요예측모델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휠체어차량수요예측모델에 휠체어를 사용하는 이용객의 이력정보를 입력하여 학습함으로써 더욱 정확한 수요 예측이 가능하다.
도 13의 (a)를 참조하면 상기 휠체어차량수요예측모델은, 휠체어를 사용하는 이용객의 출발지, 목적지, 출발시간, 이용일자 및 이용환경에 대한 정보 중 1 이상에 기초하여 학습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용객의 이력을 입력하여 학습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휠체어차량수요예측모델은 이용객이 증가할수록 그 정확도가 높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출발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영역으로 그룹화 하여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출발지에 대한 정보로부터 상기 출발지가 위치하는 출발영역에 대한 정보를 도출하여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출발시간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아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출발시간에 대한 정보로부터 이동한 날짜에 대한 정보 및 이동한 시간대에 대한 정보를 도출하여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한 날짜 및 시간대에 대한 정보를 학습 데이터로 사용함으로써 날짜 및 시간대 별로 이동에 소요되는 시간을 예측함으로써 예측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날짜에 대한 정보는 연간 일자(1년 중 몇 번째 날, 예를 들어 1월 4일은 4번째 날이고 2월 8일은 39번째 날임), 월간 일자(해당 월 중 몇 번째 날), 요일, 공휴일 여부, 가까운 연휴 시작일로부터 몇일 전인가, 가까운 연휴 종료일로부터 몇일 후인가 와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휠체어를 사용하는 이용객의 경우 이용에 규칙성을 나타내는 경향(주기적인 병원 진단, 고정된 출퇴근 등)이 높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출발시간에 대한 정보를 세분화 하여 입력함으로써 더욱 정확한 수요 예측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매 주 수요일 15:00에 병원 진료를 받으러 가는 휠체어 사용 이용객이 매 수요일 14:30 마다 A지점(자택)에서 B지점(병원)으로 배차 요청을 하는 경우, 이와 같은 배차 이력을 학습하여 매 주 수요일 14:30에는 A지점에서 휠체어 탑승 가능 운행차량의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용객이 이용할 당시의 이용환경에 대한 정보를 같이 입력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용환경에 대한 정보는 출발지 및 목적지 주변의 날씨정보, 출발지 및 목적지 주변의 교통정보 및/또는 강풍, 폭우, 폭설, 혹한, 혹서, 전염병 등의 교통약자의 이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기설정된 이벤트의 발생 여부와 같이 휠체어 사용 이용객의 이용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휠체어를 사용하는 이용객의 경우 중증장애인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재해상황 또는 전염병이 확산되고 있을 경우 외부활동을 지양하는 경향이 있어 휠체어 탑승 가능 운행차량의 수요가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재해상황 또는 전염병과 같은 환경 정보를 같이 입력 받아 학습을 수행함으로써 환경에 따른 휠체어 사용 이용객의 수요 예측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13의 (b)를 참조하면 상기 휠체어차량수요예측모델을 통해 휠체어차량수요예측정보를 도출하기 위하여 현재 이용객의 배차요청정보 및 현재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입력한다. 이와 같이 현재의 배차요청정보에서 학습 시와 동일하게 출발지, 목적지, 출발시간, 이용일자 및 이용환경에 대한 정보를 통해 현재 배차요청정보의 출발지와 관련된 영역에서의 휠체어 사용 이용객의 배차 요청, 즉 휠체어 탑승 가능 차량의 수요에 대한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후보를 도출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제2후보도출단계(S430)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후보도출단계(S430)는, 상기 이용객이 휠체어를 사용하는 경우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운행차량을 제2후보로 도출하고, 상기 이용객이 휠체어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제1후보 중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운행차량들 중 상기 휠체어차량수요예측정보에 기초하여 예측되는 상기 이용객의 출발지에 관련된 영역에서의 휠체어차량수요만큼의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운행차량을 제외한 운행차량을 제2후보로 도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제1후보 중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운행차량이 존재할 때, 이용객이 휠체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휠체어 탑승 가능 운행차량을 제2후보로 도출하여 상기 이용객에게 배차하게 되고, 이용객이 휠체어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예측 수요만큼의 휠체어 탑승 가능 운행차량을 제외하고 제2후보를 도출함으로써 예측 수요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①의 경우에 B2 영역에서 휠체어 차량 수요가 3건이 예측되고, 등시영역에 기초하여 도출된 제1후보 중 휠체어 탑승 가능 운행차량이 3대가 존재하는 경우, 3대 모두 제외하고 다른 차량들만으로 제2후보를 구성하게 된다. 이는 3대의 휠체어 탑승 가능 운행차량은 각각 예측되는 3건의 수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②의 경우에 D4 영역에서 휠체어 차량 수요가 1건이 예측되고, 등시영역에 기초하여 도출된 제1후보 중 휠체어 탑승 가능 운행차량이 4대가 존재하는 경우, 4대 중 1대만 제외하고 나머지 3대의 운행차량은 제2후보로 도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외된 1대는 예측되는 수요에 대응하고, 나머지 3대의 운행차량은 현재의 배차 요청에 대응하도록 함으로써 휠체어 탑승 가능 운행차량을 탄력적으로 배차할 수 있게 되고 유휴상태를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후보도출단계는, 상기 이용객이 휠체어를 사용하지 않고,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기설정된 규칙에 따라 추출된 제1후보 중에서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운행차량을 모두 제외한 운행차량을 제2후보로 도출할 수 있다.
이 때, 기설정된 이벤트는 강풍, 폭우, 폭설, 혹한, 혹서 등의 교통약자의 이동에 급격한 어려움이 발생하는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교통약자의 이동에 어려움이 발생하는 상황에서는 외부에서 장시간 대기 할 수 없는 휠체어 이용객(주로 중증장애인)에게 빠르게 도착할 수 있는 휠체어 사용 가능 운행차량을 배차하여 이용객의 편의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휠체어를 사용하는 이용객을 위해 휠체어를 사용하지 않는 이용객의 배차 요청에 대해서는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차량은 모두 제외하고 제2후보를 도출하게 된다.
즉,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②의 경우에 D4 영역에서 휠체어 차량 수요가 1건이 예측되고, 등시영역에 기초하여 도출된 제1후보 중 휠체어 탑승 가능 운행차량이 4대가 존재할 때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수요와 같은 1대만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휠체어 탑승 가능 운행차량 4대를 모두 제외하고 제2후보를 도출하여 외부에서 장시간 대기 할 수 없는 휠체어 차량 이용객의 수요에 대비하도록 할 수 있다.
제2후보가 도출된 후 배차결정단계(S440)에서는 상기 제2후보 중에서 상기 출발지까지의 도착소요시간, 상기 출발지까지의 도착소요거리, 해당 운행차량의 기사운행정보 및 기설정된 운행규칙 중 1 이상에 따라 최종후보를 도출하여 배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예비후보, 제1후보를 거쳐 도출된 제2후보의 경우 이용객의 요구(출발지, 출발시간)를 충족하고, 운전자의 근무여건을 보장하며, 향후 발생할 수 있는 휠체어 차량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운행차량들이다. 이와 같은 운행차량들 중에서는 기설정된 규칙에 따라 최종후보를 도출하여 배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배차요청이 향후 예약이 아닌 즉시 배차 요청인 경우 제2후보 중 출발지까지의 도착소요시간이 가장 짧은, 즉 이용객에게 가장 빨리 도착할 수 있는 운행차량을 최종후보로 도출할 수 있고, 혹은 도착소요시간의 산출이 부정확하다고 판단될 수 있으므로 출발지까지의 도착소요거리가 가장 짧은 운행차량을 최종후보로 도출할 수도 있다. 혹은, 운행차량의 운전자에게 균등하게 배차를 할 수 있도록 운행차량의 기사운행정보에 기초하여 당일 배차가 적은 운전자의 운행차량을 최종후보로 도출할 수도 있고, 혹은 교통약자 이동지원 센터의 자체 규칙 등에 기초하여 최종후보를 도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단계를 통해 본 발명은 휠체어 탑승 가능 운행차량을 효율적으로 배차하고, 운행차량의 운전자의 근무규정을 준수할 수 있도록 배차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배차가 수행된 이후에는 상기 배차 시스템(1000)이 배차 된 운행차량(30)의 차량 단말기(4000) 및 이용객 단말기(3100)로 배차 정보를 전송하거나 혹은 상담원(20)이 상담원 단말기(3200)를 통해 배차 된 운행차량(30)의 운전자 및 이용객(10)에게 정보를 전송하거나 연락을 취하여 이용객(10)이 운행차량(30)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1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1000)은 배차 시스템, 이용객 단말기, 상담원 단말기 혹은 차량 단말기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1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1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1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15의 실시예는, 컴퓨팅 장치(11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15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15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15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1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에 기초하여 배차를 수행함으로써 효율적이고 객관적인 배차가 가능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차량의 수요 예측을 통해 교통약자의 이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차량의 유휴상태를 최소화 하는 효율적인 배차가 가능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차 시 운행 후 차고지까지 복귀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도출하여 운전자의 근무규정에 위배되지 않도록 하는 운전자의 운행차량을 배차함으로써 운전자의 근무여건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행차량의 등시영역을 도출함으로써 운행차량이 이용객의 출발지에 도착 가능한지 여부를 빠르게 판단하여 배차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행차량의 등시영역을 도출하기 위하여 공간정보를 기설정된 구획으로 나눈 영역으로 그룹화함으로써 적은 데이터로도 예측모델에 대한 학습을 수행할 수 있고 적은 연산으로도 등시영역을 도출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1 이상의 메모리를 갖는 컴퓨팅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교통약자용 배차 방법으로서,
이용객의 출발지, 목적지, 출발시간, 및 휠체어사용여부정보를 포함하는 배차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배차요청정보수신단계;
운행차량의 위치, 배차여부 및 배차 시 목적지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차량정보를 수신하는 운행차량정보수신단계;
기설정된 시간간격에 따라 각각의 운행차량의 등시영역정보를 도출하는 등시영역정보도출단계; 및
상기 배차요청정보, 상기 운행차량정보, 상기 등시영역정보, 휠체어차량수요예측정보, 및 각각의 운행차량의 운전자의 근무규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차요청정보에 상응하는 운행차량을 배차하는 배차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등시영역정보는 해당 운행차량이 승객을 태우지 않은 경우에는 미래시간별 해당 운행차량이 현재 위치에서 도달할 수 있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해당 운행차량이 승객을 태운 경우에는 해당 운행차량이 현재 운행중인 목적지에 도착한 후 미래시간별 해당 운행차량이 목적지에서 도달할 수 있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휠체어차량수요예측정보는 휠체어를 사용하는 이용객의 이력정보에 의하여 기계학습 된 휠체어차량수요예측모델에 기초하여 도출되고, 상기 이용객의 출발지에 관련된 영역에서의 휠체어차량수요를 정량화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등시영역정보도출단계는,
공간정보를 평면좌표화 하여 기설정된 구획으로 나눈 영역으로 그룹화 하고,
서로 다른 두 영역에 각각 위치한 두 지점간의 운행시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두 영역 간의 이동소요시간을 도출하고,
상기 운행차량의 현재 위치가 포함되는 영역, 상기 출발지가 포함되는 영역, 상기 운행차량의 현재 운행중인 목적지가 포함되는 영역 및 도출된 상기 이동소요시간에 기초하여 해당 운행차량이 미래시간에 도달할 수 있는 영역을 도출하고,
상기 배차단계는,
상기 이용객이 휠체어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기설정된 규칙에 따라 도출된 제1후보 중에서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운행차량들 중에서 상기 휠체어차량수요예측정보의 상기 이용객의 출발지에 관련된 영역에서의 예측되는 휠체어차량수요를 제외한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운행차량을 제2후보로 도출하는 제2후보도출단계; 를 포함
하는, 교통약자용 배차 방법.
삭제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차단계는,
각각의 운행차량의 등시영역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용객의 출발시간의 등시영역정보에 상기 출발지가 포함되는 운행차량을 예비후보로 도출하는 예비후보도출단계; 를 포함하는, 교통약자용 배차 방법.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차단계는,
기설정된 규칙에 따라 도출된 예비후보 중에서,
상기 예비후보의 운행차량이 출발지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목적지로부터 차고지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모두 포함하는 배차소요시간이 해당 운행차량의 운전자의 근무규정정보에 위배되지 않는 운행차량을 제1후보로 도출하는 제1후보도출단계; 를 포함하는, 교통약자용 배차 방법.
삭제
삭제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후보도출단계는,
상기 이용객이 휠체어를 사용하지 않고,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기설정된 규칙에 따라 추출된 제1후보 중에서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운행차량을 모두 제외한 운행차량을 제2후보로 도출하는, 교통약자용 배차 방법.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차단계는,
각각의 운행차량의 등시영역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용객의 출발시간의 등시영역정보에 상기 출발지가 포함되는 운행차량을 예비후보로 도출하는 예비후보도출단계;
도출된 상기 예비후보 중에서 상기 예비후보의 운행차량이 출발지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목적지로부터 차고지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모두 포함하는 배차소요시간이 해당 운행차량의 운전자의 근무규정정보에 위배되지 않는 운행차량을 제1후보로 도출하는 제1후보도출단계;
도출된 상기 제1후보 중에서 상기 이용객의 휠체어사용여부, 상기 휠체어차량수요예측정보 및 상기 제1후보 중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운행차량의 수에 기초하여 제2후보를 도출하는 제2후보도출단계; 및
도출된 상기 제2후보 중에서 상기 출발지까지의 도착소요시간, 상기 출발지까지의 도착소요거리, 해당 운행차량의 기사운행정보 및 기설정된 운행규칙 중 1 이상에 따라 최종후보를 도출하여 배차하는 배차결정단계; 를 포함하는, 교통약자용 배차 방법.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차량수요예측모델은,
휠체어를 사용하는 이용객의 출발지, 목적지, 출발시간, 이용일자 및 이용환경에 대한 정보 중 1 이상에 기초하여 학습이 수행되는, 교통약자용 배차 방법.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1 이상의 메모리를 갖는 컴퓨팅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교통약자용 배차 시스템으로서,
이용객의 출발지, 목적지, 출발시간, 및 휠체어사용여부정보를 포함하는 배차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배차요청정보수신부;
운행차량의 위치, 배차여부 및 배차 시 목적지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차량정보를 수신하는 운행차량정보수신부;
기설정된 시간간격에 따라 각각의 운행차량의 등시영역정보를 도출하는 등시영역정보도출부; 및
상기 배차요청정보, 상기 운행차량정보, 상기 등시영역정보, 휠체어차량수요예측정보, 및 각각의 운행차량의 운전자의 근무규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차요청정보에 상응하는 운행차량을 배차하는 배차부; 를 포함하고,
상기 등시영역정보는 해당 운행차량이 승객을 태우지 않은 경우에는 미래시간별 해당 운행차량이 현재 위치에서 도달할 수 있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해당 운행차량이 승객을 태운 경우에는 해당 운행차량이 현재 운행중인 목적지에 도착한 후 미래시간별 해당 운행차량이 목적지에서 도달할 수 있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휠체어차량수요예측정보는 휠체어를 사용하는 이용객의 이력정보에 의하여 기계학습 된 휠체어차량수요예측모델에 기초하여 도출되고, 상기 이용객의 출발지에 관련된 영역에서의 휠체어차량수요를 정량화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등시영역정보도출부는,
공간정보를 평면좌표화 하여 기설정된 구획으로 나눈 영역으로 그룹화 하고,
서로 다른 두 영역에 각각 위치한 두 지점간의 운행시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두 영역 간의 이동소요시간을 도출하고,
상기 운행차량의 현재 위치가 포함되는 영역, 상기 출발지가 포함되는 영역, 상기 운행차량의 현재 운행중인 목적지가 포함되는 영역 및 도출된 상기 이동소요시간에 기초하여 해당 운행차량이 미래시간에 도달할 수 있는 영역을 도출하고,
상기 배차부는,
상기 이용객이 휠체어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기설정된 규칙에 따라 도출된 제1후보 중에서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운행차량들 중에서 상기 휠체어차량수요예측정보의 상기 이용객의 출발지에 관련된 영역에서의 예측되는 휠체어차량수요를 제외한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운행차량을 제2후보로 도출하는, 교통약자용 배차 시스템.
KR1020200133546A 2020-10-15 2020-10-15 기계학습 된 예측모델에 기반한 교통약자용 배차 방법 및 시스템 KR102262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546A KR102262996B1 (ko) 2020-10-15 2020-10-15 기계학습 된 예측모델에 기반한 교통약자용 배차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546A KR102262996B1 (ko) 2020-10-15 2020-10-15 기계학습 된 예측모델에 기반한 교통약자용 배차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2996B1 true KR102262996B1 (ko) 2021-06-09

Family

ID=76415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3546A KR102262996B1 (ko) 2020-10-15 2020-10-15 기계학습 된 예측모델에 기반한 교통약자용 배차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29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7426A (ko) * 2021-06-11 2022-12-21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Ai를 이용한 도심지 다공구 공사차량 배차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32318A1 (ja) * 2005-09-12 2007-03-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地図表示装置
KR20090118451A (ko) * 2008-05-14 2009-11-18 (주) 후인텔레콤 장애인 택시배차 시스템 및 방법
JP2011123844A (ja) * 2009-12-14 2011-06-23 Noboru Sakurai タクシー配車システムおよびタクシー配車処理装置
KR20170076168A (ko) * 2015-12-24 2017-07-04 조춘호 장애인용 차량 호출 시스템
JP2020004209A (ja) * 2018-06-29 2020-01-09 株式会社ナビタイムジャパン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32318A1 (ja) * 2005-09-12 2007-03-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地図表示装置
KR20090118451A (ko) * 2008-05-14 2009-11-18 (주) 후인텔레콤 장애인 택시배차 시스템 및 방법
JP2011123844A (ja) * 2009-12-14 2011-06-23 Noboru Sakurai タクシー配車システムおよびタクシー配車処理装置
KR20170076168A (ko) * 2015-12-24 2017-07-04 조춘호 장애인용 차량 호출 시스템
JP2020004209A (ja) * 2018-06-29 2020-01-09 株式会社ナビタイムジャパン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7426A (ko) * 2021-06-11 2022-12-21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Ai를 이용한 도심지 다공구 공사차량 배차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55869B1 (ko) * 2021-06-11 2024-04-11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Ai를 이용한 도심지 다공구 공사차량 배차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61482A (zh) 基于公平性的出租车实时预约方法及系统
CN112005078A (zh) 利用环境意识的路线选择
EP3583788B1 (en) Determining vehicle crowdedness using real-time location data
CN109949068A (zh) 一种基于预测结果的实时拼车方法和装置
Seneviratne et al. Variables influencing performance of air terminal buildings
CN103366224B (zh) 一种基于公交网络的乘客需求预测系统和方法
US20200172371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n elevator
JP4642200B2 (ja) エレベーター群管理制御装置
KR102262996B1 (ko) 기계학습 된 예측모델에 기반한 교통약자용 배차 방법 및 시스템
CN113780808A (zh) 基于柔性公交接驳系统线的车辆服务属性决策优化方法
JP7184521B2 (ja) 車両運行管理方法及び車両運行管理装置
CN115472011B (zh) 基于预约数据的公交智能线路规划算法
Van Buuren et al. Ambulance dispatch center pilots proactive relocation policies to enhance effectiveness
CN114222252B (zh) 一种消息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WO2018209810A1 (zh) 电动汽车充电需求预测方法及系统
JP6393531B2 (ja) 列車選択支援システム、列車選択支援方法、及び列車選択支援プログラム
CN116090646A (zh) 一种用于室内停车场的最佳泊位求解方法及停车引导系统
JP5740693B2 (ja) タクシー運行支援装置およびタクシー運行支援システム
Basso et al. Crowding on public transport using smart card data during the COVID-19 pandemic: New methodology and case study in Chile
Chu et al. Hospital lift system simulator: A performance evaluator–predictor
Schuman et al. Estimating demand for emergency transportation
CN105809370B (zh) 一种事故出险服务人员的调度方法
CN116153060A (zh) 一种应用于智能公交的乘客周期性行为模式的需求响应车辆调度方法及系统
JP2020160960A (ja) 移動支援システム及び方法
Soto Ferrari et al. A discrete-event simulation approach to assess the benefits of parking technologies in hospit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