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2406B1 - elevator control unit - Google Patents

elevator control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2406B1
KR102262406B1 KR1020197021432A KR20197021432A KR102262406B1 KR 102262406 B1 KR102262406 B1 KR 102262406B1 KR 1020197021432 A KR1020197021432 A KR 1020197021432A KR 20197021432 A KR20197021432 A KR 20197021432A KR 102262406 B1 KR102262406 B1 KR 102262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utton
car
call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14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00289A (en
Inventor
히로야스 다바타
사토시 야마사키
고지 사카타
나나호 오사와
겐이치 고이즈미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00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02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2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24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 B66B1/44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and for taking account of disturbance factors, e.g. variation of load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50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with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mounted in the car or cage or in the lift well or hoist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in case of excessive loads

Abstract

엘리베이터의 조작부가 고장났을 경우에 있어서의 편리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7)는, 엘리베이터(1)의 승강장 또는 엘리베이터 칸(5)에 마련된 조작부에 대한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에, 조작된 조작부에 대응하는 호출을 등록하는 호출 등록부(25)와, 조작부가 고장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고장 판정부(28)를 구비하고, 호출 등록부(25)는 고장 판정부(28)에 의해 고장났다고 판정된 조작부와 같은 승강장 또는 같은 엘리베이터 칸(5)에 마련되어 있는 정상인 조작부에 대해서 특수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에, 당해 고장났다고 판정된 조작부에 대응하는 호출을 등록하는 것이다. Provided is an elevator control device capable of suppressing a decrease in convenience when an elevator operation unit fails. In the elevator control device 7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operation is performed on an operation unit provided in the platform of the elevator 1 or in the car 5, a call registration unit for registering a call corresponding to the operated operation unit ( 25) and a failure determination unit 28 for judging whether or not the operation unit is out of order, wherein the call registration unit 25 is the same platform as the operation unit determined by the failure determination unit 28 to be broken or the same car ( When a special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normal operation unit provided in 5), a cal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unit determined to be defective is registered.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elevator control uni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device for an elevator.

종래, 엘리베이터에 이상이 발생되었을 경우에는, 예를 들면, 보수 작업자에 의한 보수 점검이 행해질 때까지 엘리베이터가 휴지된다. 이 경우, 이용자의 편리성이 저하된다. 엘리베이터에 이상이 발생되었을 경우라도 운전을 계속하게 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서,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있다. Conventionally, when abnormality generate|occur|produces in an elevator, the elevator is stopped until maintenance and inspection by a maintenance worker is performed, for example. In this case, the user's convenience is reduced. As a system capable of continuing operation even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an elevator, there is, for example, a system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below.

일본 특개 2008-230743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8-230743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시스템에 의하면,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도어 닫힘 이상이 발생되었을 경우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계속하게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엘리베이터의 조작부가 고장났을 경우, 엘리베이터의 운전이 계속되었다고 해도, 이용자의 편리성이 저하된다. According to the system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for example, when an abnormality in the closing of a door of a car door occurs,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can be continued. However, when the operation part of an elevator breaks down, even if operation|operation of an elevator continues, the convenience of a user falls.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졌다. 그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조작부가 고장났을 경우에 있어서의 편리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vator control device capable of suppressing a decrease in convenience when an elevator operation unit fails.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또는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된 조작부에 대한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에, 조작된 조작부에 대응하는 호출을 등록하는 호출 등록부와, 조작부가 고장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고장 판정부를 구비하고, 호출 등록부는, 고장 판정부에 의해 고장났다고 판정된 조작부와 같은 승강장 또는 같은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되어 있는 정상인 조작부에 대해서 특수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에, 당해 고장났다고 판정된 조작부에 대응하는 호출을 등록하는 것이다. An elevat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an operation unit is out of order, and a call registration unit for registering a call corresponding to the operated operation unit when an operation is performed on an operation unit provided in a platform or a car of the elevator. and a failure determination unit that performs the operation, wherein the call registration unit is configured to, when a special operation is performed on a normal operation unit provided in the same platform or in the same car as the operation unit determined by the failure determination unit to have failed, the operation unit determined to have failed. It registers the corresponding call.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호출 등록부는, 고장 판정부에 의해 고장났다고 판정된 조작부와 같은 승강장 또는 같은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되어 있는 정상인 조작부에 대해서 특수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에, 당해 고장났다고 판정된 조작부에 대응하는 호출을 등록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조작부가 고장났을 경우에 있어서의 편리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In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pecial operation is performed on a normal operation unit provided in the same platform or in the same car as the operation unit determined by the failure determination unit to have failed, the call registration unit is said to have failed. A call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operation unit is registered. For this reason, according to this invention, the fall of the convenience in case the operation part of an elevator malfunctions can be suppressed.

도 1은 엘리베이터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의 외관도이다.
도 3은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내의 외관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제1 플로차트이다.
도 6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제2 플로차트이다.
도 7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제3 플로차트이다.
도 8은 제어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structure of an elevator.
2 is an external view of a platform of an elevator.
Fig. 3 is an external view in the car of the elevator.
4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5 is a first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example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6 is a second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example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7 is a third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example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8 is a hardware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control device.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는,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중복되는 설명은, 적절히 간략화 혹은 생략한다.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each figure, the same code|symbol is attached|subjected to the same or corresponding part. The overlapping description is appropriately simplified or omitted.

실시 형태 1. Embodiment 1.

엘리베이터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structure of an elevator.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1)는 승강로(2), 권상기(3), 로프(4), 엘리베이터 칸(5), 균형추(6) 및 제어 장치(7)를 구비하고 있다. 승강로(2)는,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건물의 각 층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권상기(3)는,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기계실 등에 마련되어 있다. 로프(4)는 권상기(3)에 감겨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5) 및 균형추(6)는, 로프(4)에 의해서 승강로(2) 내에 매달려 있다. 엘리베이터 칸(5) 및 균형추(6)는, 권상기(3)가 구동됨으로써 승강한다. 권상기(3)는 제어 장치(7)에 의해서 제어된다. As shown in FIG. 1 , the elevator 1 includes a hoistway 2 , a traction machine 3 , a rope 4 , a car 5 , a counterweight 6 , and a control device 7 . The hoistway 2 is formed so as to pass through each floor of a building (not shown), for example. The hoisting machine 3 is provided, for example in a machine room (not shown) or the like. The rope 4 is wound around the hoisting machine 3 . Car 5 and counterweight 6 are suspended in hoistway 2 by ropes 4 . The car 5 and the counterweight 6 are raised and lowered by the hoisting machine 3 being driven. The hoisting machine 3 is controlled by a control device 7 .

제어 장치(7)는 권상기(3) 및 보수 장치(8)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보수 장치(8)는 감시 센터(9)와 통신하는 기능을 가진다. The control device 7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oisting machine 3 and the maintenance device 8 . The maintenance device 8 has a function of communicating with the monitoring center 9 .

제어 장치(7) 및 보수 장치(8)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1)가 설치된 건물에 마련되어 있다. 감시 센터(9)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1)가 설치된 건물과는 다른 건물에 마련되어 있다. 감시 센터(9)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1)의 관리 회사에 마련된 서버 등이다. The control apparatus 7 and the maintenance apparatus 8 are provided in the building in which the elevator 1 was installed, for example. The monitoring center 9 is provided in a building different from the building in which the elevator 1 was installed, for example. The monitoring center 9 is a server etc. provided in the management company of the elevator 1, for example.

도 2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의 외관도이다. 2 is an external view of a platform of an elevator.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장에는, 승강장 도어(10) 및 승강장 조작반(11)이 마련되어 있다. 승강장 도어(10) 및 승강장 조작반(11)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5)이 정지 가능한 각 층상에 마련된다. 승강장 조작반(11)은, 예를 들면, 승강장 도어(10) 부근의 벽면 등에 마련된다. 승강장 조작반(11)은, 예를 들면, 승강장 호출 버튼(12) 및 승강장 알림부(13)를 가진다. 승강장 호출 버튼(12)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방향 버튼(12a) 및 하방향 버튼(12b)이 마련된다. 승강장 알림부(13)로서는, 예를 들면, 승강장 모니터(14) 및 승강장 스피커(15)가 마련된다. 또한, 승강장 알림부(13)는 승강장 조작반(11)과는 별개로 마련되어도 된다. 승강장 알림부(13)는, 예를 들면, 승강장 도어(10)의 세방면 테두리에 마련되어도 된다. As shown in FIG. 2, the boarding point door 10 and the boarding point operation panel 11 are provided in the boarding point. The boarding point door 10 and the boarding point operation panel 11 are provided on each floor where the cage|basket|car 5 can stop, for example. The boarding point operation panel 11 is provided in the wall surface etc. of boarding point door 10 vicinity, for example. The boarding point operation panel 11 has the boarding point call button 12 and the boarding point notification part 13, for example. As the platform call button 12, an upward button 12a and a downward button 12b are provided, for example. As the boarding point notification part 13, the boarding point monitor 14 and the boarding point speaker 15 are provided, for example. In addition, the boarding point notification part 13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boarding point operation panel 11. As shown in FIG. The boarding point notification part 13 may be provided in the three direction edge of the boarding point door 10, for example.

승강장 호출 버튼(12)은 엘리베이터의 조작부로서 작동한다. 승강장 호출 버튼(12)은 승강장 호출을 발생시키는 조작을 접수한다. 상방향 버튼(12a)은, 예를 들면, 상방향을 행선지로 하는 승강장 호출을 발생시키기 위해 이용된다. 하방향 버튼(12b)은, 예를 들면, 하방향을 행선지로 하는 승강장 호출을 발생시키기 위해 이용된다. The platform call button 12 operates as an operation unit of the elevator. The platform call button 12 accepts an operation for generating a platform call. The upward button 12a is used, for example, to generate a platform call with an upward direction as a destination. The downward button 12b is used, for example, to generate a platform call with a destination in the downward direction.

승강장 알림부(13)는 승강장에 정보를 알림한다. 승강장 모니터(14)는 문자 및 화상 등의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가진다. 승강장 스피커(15)는 버저음 및 음성 아나운스 등의 음성 정보를 방송하는 기능을 가진다. The platform notification unit 13 notifies the platform of information. The platform monitor 14 has a function of displaying visual information such as characters and images. The platform speaker 15 has a function of broadcasting voice information such as a buzzer sound and voice announcement.

도 3은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내의 외관도이다. Fig. 3 is an external view in the car of the elevator.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5)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16) 및 엘리베이터 칸내 조작반(17)이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내 조작반(17)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 도어(16) 부근의 벽면 등에 마련된다. 엘리베이터 칸내 조작반(17)은, 예를 들면, 도어 열림 버튼(18), 도어 닫힘 버튼(19), 행선지층 버튼(20) 및 엘리베이터 칸내 알림부(21)를 가진다. 행선지층 버튼(20)은, 예를 들면, 복수 마련된다. 엘리베이터 칸내 알림부(21)로서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내 모니터(22) 및 엘리베이터 칸내 스피커(23)가 마련된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내 알림부(21)는 엘리베이터 칸내 조작반(17)과는 별개로 마련되어도 된다. As shown in FIG. 3 , the car 5 is provided with a car door 16 and an in-car operating panel 17 . The operating panel 17 in the car is provided, for example, on a wall surface in the vicinity of the car door 16 . The operating panel 17 in the cage|basket|car has the door opening button 18, the door closing button 19, the destination floor button 20, and the in-car notification part 21, for example. A plurality of destination floor buttons 20 are provided, for example. As the cage|basket|car notification part 21, the cage|basket|car monitor 22 and the cage|basket|car speaker 23 are provided, for example. In addition, the in-car notification unit 21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in-car operating panel 17 .

도어 열림 버튼(18), 도어 닫힘 버튼(19) 및 행선지층 버튼(20)은, 엘리베이터의 조작부로서 작동한다. 개개의 행선지층 버튼(20)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5)이 정지 가능한 각 층상에 대응해서 마련되어 있다. 행선지층 버튼(20)은, 예를 들면, 대응하는 층상을 행선지로 하는 엘리베이터 칸 호출을 발생시키는 조작을 접수한다. The door open button 18, the door close button 19, and the destination floor button 20 operate as an operation unit of the elevator. Each destination floor button 20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each floor where the car 5 can be stopped, for example. The destination floor button 20 accepts, for example, an operation for generating a car call with the corresponding floor as the destination.

엘리베이터 칸내 알림부(21)는 엘리베이터 칸(5) 내에 정보를 알림한다. 엘리베이터 칸내 모니터(22)는 문자 및 화상 등의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가진다. 엘리베이터 칸내 스피커(23)는 버저음 및 음성 아나운스 등의 음성 정보를 방송하는 기능을 가진다. The notification unit 21 in the cage notifies information in the cage 5 . The in-car monitor 22 has a function of displaying visual information, such as a character and an image. The in-car speaker 23 has a function of broadcasting audio information, such as a buzzer sound and an audio|voice announcement.

도 4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4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7)는 권상기(3), 상방향 버튼(12a), 하방향 버튼(12b), 승강장 알림부(13), 도어 열림 버튼(18), 도어 닫힘 버튼(19), 행선지층 버튼(20), 엘리베이터 칸내 알림부(21) 및 저울 장치(2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 장치(7)는 호출 등록부(25), 운전 제어부(26), 기억부(27), 고장 판정부(28), 알림 제어부(29), 전류 검출부(30), 저울값 검출부(31), 만원 판정부(32) 및 임계값 설정부(33)를 가진다. As shown in FIG. 4 , the control device 7 includes a traction machine 3, an upward button 12a, a downward button 12b, a platform notification unit 13, a door open button 18, and a door closing button ( 19), the destination floor button 20, the car notification unit 21, and the scale device 24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e control device 7 includes a call registration unit 25 , an operation control unit 26 , a storage unit 27 , a failure determination unit 28 , a notification control unit 29 , a current detection unit 30 , a scale value detection unit 31 , It has a full capacity determination unit 32 and a threshold value setting unit 33 .

저울 장치(24)는 엘리베이터 칸(5)의 적재 중량을 측정한다. 저울 장치(24)는, 예를 들면, 로프(4)의 단부 또는 엘리베이터 칸(5)의 바닥부 등에 마련된다. The weighing device 24 measures the loading weight of the car 5 . The scale device 24 is provided, for example, at the end of the rope 4 or at the bottom of the car 5 .

호출 등록부(25)는, 엘리베이터(1)의 승강장 또는 엘리베이터 칸(5)에 마련된 조작부에 대한 통상의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에, 조작된 조작부에 대응하는 호출을 등록한다. 호출 등록부(25)는, 예를 들면, 상방향 버튼(12a) 또는 하방향 버튼(12b)이 눌려졌을 경우에, 눌려진 버튼에 대응하는 방향의 승강장 호출을 등록한다. 호출 등록부(25)는, 예를 들면, 행선지층 버튼(20)이 눌려졌을 경우에, 눌려진 행선지층 버튼(20)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칸 호출을 등록한다. The call registration unit 25 registers a call corresponding to the operated operation unit when a normal operation is performed on an operation unit provided in the platform of the elevator 1 or in the car 5 . The call registration unit 25 registers a platform call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pressed button when, for example, the up button 12a or the down button 12b is pressed. The call registration unit 25 registers a car call corresponding to the pressed destination floor button 20, for example, when the destination floor button 20 is pressed.

운전 제어부(26)는, 권상기(3)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엘리베이터(1)의 운전을 제어한다. 즉, 운전 제어부(26)는 엘리베이터 칸(5)의 이동을 제어한다. 운전 제어부(26)는, 예를 들면, 등록된 승강장 호출 및 엘리베이터 칸 호출에 대해서 엘리베이터 칸(5)을 응답하게 한다. The operation control unit 26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1 by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hoisting machine 3 . That is, the operation control unit 26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car 5 . The operation control unit 26 makes the car 5 respond to registered platform calls and car calls, for example.

기억부(27)는, 예를 들면, 호출 등록 이력 및 운전 이력을 기억한다. 호출 등록 이력은, 예를 들면, 호출이 등록된 일시, 조작된 승강장 호출 버튼(12), 조작된 행선지층 버튼(20)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운전 이력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5)이 이동 개시된 일시, 엘리베이터 칸(5)이 정지된 일시 및 엘리베이터 칸(5)이 정지된 층상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The storage unit 27 stores, for example, a call registration history and a driving history. The call registration history includes, for example, information indicating the date and time the call was registered, the operated platform call button 12, the operated destination floor button 20, and the like. The driving history contains information indicating, for example, the date and time at which the car 5 started moving, the date and time at which the car 5 stopped, the floor on which the car 5 was stopped, and the like.

고장 판정부(28)는 엘리베이터(1)의 조작부가 고장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고장 판정부(28)는, 예를 들면, 호출 등록 이력 및 운전 이력에 기초하여, 승강장 호출 버튼(12) 및 행선지층 버튼(20)이 고장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The failure determination unit 28 determines whether the operation unit of the elevator 1 is malfunctioning. The failure determination unit 28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platform call button 12 and the destination floor button 20 are malfunctioning, for example, based on the call registration history and the driving history.

고장 판정부(28)는, 예를 들면, 어느 상방향 버튼(12a)에 대응하는 상방향의 승강장 호출이 일정 기간내에 등록되고 있지 않고, 또한, 당해 일정 기간내에 상방향으로의 엘리베이터 칸(5)의 이동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 당해 상방향 버튼(12a)이 고장났다고 판정한다. 고장 판정부(28)는, 예를 들면, 어느 하방향 버튼(12b)에 대응하는 하방향의 승강장 호출이 일정 기간내에 등록되고 있지 않고, 또한, 당해 일정 기간내에 하방향으로의 엘리베이터 칸(5)의 이동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 당해 하방향 버튼(12b)이 고장났다고 판정한다. 즉, 고장 판정부(28)는, 예를 들면, 어느 승강장 호출 버튼(12)에 대한 통상의 조작에 기초하는 승강장 호출이 등록되지 않는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계속되었을 경우에, 당해 승강장 호출 버튼(12)이 고장났다고 판정한다. In the failure determination unit 28, for example, an upward platform call corresponding to a certain upward button 12a has not been registered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 upward car 5 is not registered within the predetermined period. ), it is determined that the upward button 12a has failed. In the failure determination unit 28, for example, a downward platform call corresponding to a certain downward button 12b is not registered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 downward car 5 is not registered within the predetermined period. ), it is determined that the down button 12b has failed. That is, the failure determination unit 28, for example, when a state in which a platform call based on a normal operation of a certain platform call button 12 is not registered continue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more, the platform call button ( 12) is determined to be faulty.

승강장 호출 버튼(12)의 고장 판정에 이용하는 상기의 일정 기간은, 예를 들면, 건물마다, 엘리베이터마다, 층상마다, 승강장마다, 시간대마다, 승강장 조작반(11)마다 또는 개개의 승강장 호출 버튼(12)마다 등으로 설정되어도 된다. 상기의 일정 기간은, 예를 들면, 평상시에 승강장 호출이 등록되는 빈도에 기초하여, 층상마다 설정되어도 된다. 즉, 예를 들면, 어느 승강장 호출 버튼(12)에 주목했을 때에, 평균해서 3분 동안에 1회 이상의 당해 버튼에 의한 승강장 호출이 등록되는 것이 운행 이력으로부터 도출되었을 경우에는, 상기의 일정 기간으로서 3분간 또는 그 이상의 기간이 설정되어도 된다. The above-mentioned constant period used for failure determination of the platform call button 12 is, for example, for each building, for each elevator, for each floor, for each platform, for each time zone, for each platform operation panel 11, or for each platform call button 12 ) and so on. The above fixed period may be set for each floor, for example, based on the frequency at which platform calls are usually registered. That is, for example, when attention is paid to a certain platform call button 12, when it is derived from the operation history that a platform call by the button is registered one or more times in an average of 3 minutes, 3 as the above fixed period A period of minutes or more may be set.

고장 판정부(28)는, 예를 들면, 어느 행선지층 버튼(20)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칸 호출이 일정 기간내에 등록되고 있지 않고, 또한, 당해 일정 기간내에 엘리베이터 칸(5)의 이동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 당해 행선지층 버튼(20)이 고장났다고 판정한다. 즉, 고장 판정부(28)는, 예를 들면, 어느 행선지층 버튼(20)에 대한 통상의 조작에 기초하는 엘리베이터 칸 호출이 등록되지 않는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계속되었을 경우에, 당해 행선지층 버튼(20)이 고장났다고 판정한다. The failure determination unit 28, for example, determines that a car call corresponding to a certain destination floor button 20 is not registered within a certain period, and the car 5 is being moved within the prescribed period. In this case, it is determined that the destination floor button 20 is broken. That is, the failure determination unit 28, for example, when a state in which a car call based on a normal operation for a certain destination floor button 20 is not registered continue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more, the destination floor button 20 (20) is judged to be faulty.

행선지층 버튼(20)의 고장 판정에 이용하는 상기의 일정 기간은, 예를 들면, 건물마다, 엘리베이터(1)마다, 엘리베이터 칸(5)마다, 시간대마다 또는 개개의 행선지층 버튼(20)마다 등으로 설정되어도 된다. 상기의 일정 기간은, 예를 들면, 평상시에 엘리베이터 칸 호출이 등록되는 빈도에 기초하여, 개개의 행선지층 버튼(20)마다 설정되어도 된다. 즉, 예를 들면, 어느 행선지층 버튼(20)에 주목했을 때에, 평균해서 10분 동안에 1회 이상의 당해 버튼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이 등록되는 것이 운행 이력으로부터 도출되었을 경우에는, 상기의 일정 기간으로서 10분간 또는 그 이상의 기간이 설정되어도 된다. The above fixed period used for failure determination of the destination floor button 20 is, for example, for each building, for each elevator 1, for each car 5, for each time zone, or for each destination floor button 20, etc. may be set to The above-mentioned fixed period may be set for each destination floor button 20, for example, based on the frequency at which car calls are normally registered. That is, for example, when attention is paid to a certain destination floor button 20, when it is derived from the operation history that a car call by the button is registered one or more times in an average of 10 minutes, as the above fixed period A period of 10 minutes or more may be set.

고장 판정부(28)에 의해 조작부가 고장났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엘리베이터(1)의 조작부에 대한 특수 조작이 유효화된다. 특수 조작이란, 고장 판정부(28)에 의해 고장났다고 판정된 조작부와 같은 장소에 마련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정상인 조작부에 대해서 행해지는 조작이다. 특수 조작은 승강장 특수 조작 및 엘리베이터 칸내 특수 조작을 포함한다. 정상인 조작부란, 고장 판정부(28)에 의해 고장났다고 판정되고 있지 않은 조작부이다.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failure determination unit 28 that the operation unit has failed, the special operation for the operation unit of the elevator 1 is validated. The special operation is an operation performed with respect to at least one normal operation unit provided in the same place as the operation unit determined to have failed by the failure determination unit 28 . The special operation includes special operation on a platform and special operation in the car. A normal operation part is an operation part which is not judged as having failed by the failure determination part 28. As shown in FIG.

알림 제어부(29)는 엘리베이터(1)의 알림부인 승강장 알림부(13) 및 엘리베이터 칸내 알림부(21)의 동작을 제어한다. 알림 제어부(29)는 고장 판정부(28)에 의해 고장났다고 판정된 조작부와 같은 승강장 또는 같은 엘리베이터 칸(5)에 마련되어 있는 알림부로부터 특수 조작을 안내하는 정보를 알리게 한다.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29 controls the operations of the platform notification unit 13 that is a notification unit of the elevator 1 and the in-car notification unit 21 .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29 notifies the information guiding the special operation from the notification unit provided in the same platform or the same car 5 as the operation unit determined by the failure determination unit 28 to have failed.

승강장 특수 조작은, 예를 들면, 정상인 승강장 호출 버튼(12)을 일정 시간 이상 계속해서 누르는 것이어도 된다. 승강장 특수 조작은, 예를 들면, 정상인 승강장 호출 버튼(12)을 일정 시간내에 일정 횟수 이상 반복해서 누르는 것이어도 된다. The landing special operation may continue to press the normal platform call button 12 for a fixed period of time or more, for example. The landing special operation may be, for example, repeatedly pressing the normal platform call button 12 a certain number of times or more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호출 등록부(25)는, 예를 들면, 고장났다고 판정된 상방향 버튼(12a)과 같은 승강장에 마련되어 있는 정상인 하방향 버튼(12b)에 대해서 승강장 특수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에, 상방향의 승강장 호출을 등록한다. 호출 등록부(25)는, 예를 들면, 고장났다고 판정된 하방향 버튼(12b)과 같은 승강장에 마련되어 있는 정상인 상방향 버튼(12a)에 대해서 승강장 특수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에, 하방향의 승강장 호출을 등록한다. The call registration unit 25, for example, when a landing special operation is performed for a normal downward button 12b provided in the same platform as the upward button 12a determined to be broken, an upward platform call register The call registration unit 25 calls down a platform, for example, when a landing special operation is performed for a normal upward button 12a provided in the same platform as the downward button 12b determined to be broken. register

또한, 승강장 특수 조작이 유효해도, 정상인 승강장 호출 버튼(12)에 대해서 통상의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는, 당해 정상인 승강장 호출 버튼(12)에 대응하는 방향의 승강장 호출이 등록된다. In addition, even if a platform special operation is effective, when a normal operation is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normal person boarding point call button 12, the boarding point call of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said normal person boarding point call button 12 is registered.

엘리베이터 칸내 특수 조작은, 예를 들면, 고장났다고 판정된 행선지층 버튼(20)에 인접하는 복수의 정상인 행선지층 버튼(20)을 동시에 누르는 것이어도 된다. 즉, 예를 들면, 5층에 대응하는 행선지층 버튼(20)이 고장났을 경우의 엘리베이터 칸내 특수 조작은, 4층에 대응하는 정상인 행선지층 버튼(20)과 6층에 대응하는 정상인 행선지층 버튼(20)을 동시에 누르는 것이어도 된다. 엘리베이터 칸내 특수 조작은, 예를 들면, 고장났다고 판정된 행선지층 버튼(20)과 같은 엘리베이터 칸(5)에 마련되어 있는 도어 열림 버튼 또는 도어 닫힘 버튼을 목적층의 층수와 같은 횟수만큼 반복해서 누르는 것이어도 된다. The special operation in the car may, for example, simultaneously press a plurality of normal destination floor buttons 20 adjacent to the destination floor buttons 20 determined to be broken. That is, for example, the special operation in the car when the destination floor button 20 corresponding to the fifth floor is broken is the normal destination floor button 20 corresponding to the fourth floor and the normal destination floor button 20 corresponding to the sixth floor. (20) may be pressed simultaneously. In the special operation in the car, for example, repeatedly pressing the door open button or the door close button provided in the car 5 such as the destination floor button 20 determined to be broken for the same number of times as the number of floors of the destination floor. okay

호출 등록부(25)는, 예를 들면, 고장났다고 판정된 행선지층 버튼(20)과 같은 엘리베이터 칸(5)에 마련되어 있는 정상인 행선지층 버튼(20) 등에 대해서 엘리베이터 칸내 특수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에, 당해 고장났다고 판정된 행선지층 버튼(20)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칸 호출을 등록한다. The call registration unit 25, for example, when a special operation in the car is performed with respect to a normal destination floor button 20 provided in the car 5, such as the destination floor button 20 determined to be broken, A car call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floor button 20 judged to be broken is registered.

또한, 엘리베이터 칸내 특수 조작이 유효해도, 정상인 행선지층 버튼(20)에 대해서 통상의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는, 당해 정상인 행선지층 버튼(20)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칸 호출이 등록된다. In addition, even if the special operation in the car is effective, when a normal operation is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normal destination floor button 20, the car call corresponding to the said normal destination floor button 20 is registered.

전류 검출부(30)는 권상기(3)의 모터 전류를 검출한다. 저울값 검출부(31)는 저울 장치(24)에 의한 측정값을 검출한다. 전류 검출부(30) 및 저울값 검출부(31)에 의한 검출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5)이 정지되어 도어 열림되어 있을 때에 행해진다. The current detection unit 30 detects the motor current of the hoisting machine (3). The scale value detection unit 31 detects a value measured by the scale device 24 . Detection by the current detection unit 30 and the scale value detection unit 31 is performed, for example, when the car 5 is stopped and the door is opened.

만원 판정부(32)는, 저울값 검출부(31)에 의해 검출된 값이 미리 설정된 만원 판정 임계값보다도 큰 경우에, 엘리베이터 칸(5)이 만원이라고 판정한다. 엘리베이터 칸(5)이 만원이라고 판정되어 있는 경우, 알림 제어부(29)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내 알림부(21)로부터 경고 정보를 알리게 한다. 엘리베이터 칸(5)이 만원이라고 판정되어 있는 경우, 운전 제어부(26)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5)의 이동을 개시하게 하지 않는다. The fullness determination unit 32 determines that the car 5 is full when the value detected by the scale value detection unit 31 is greater than a preset fullness determination threshold valu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ar 5 is full, the alert control part 29 makes alert information of warning information from the car alert|information part 21, fo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ar 5 is full, the operation control unit 26 does not cause the car 5 to start moving, for example.

권상기(3)에 걸리는 부하가 과부하로 되었을 경우, 모터에 과전류가 흐른다. 전류 검출부(30)에 의해 과전류가 검출되었을 경우, 당해 과전류가 검출되었을 때에 저울값 검출부(31)에 의해 검출되어 있던 값이 기록된다. 당해 값은, 예를 들면, 기억부(27)에 기억된다. When the load applied to the hoisting machine 3 becomes overloaded, an overcurrent flows in the motor. When an overcurrent is detected by the current detection unit 30, the value detected by the balance value detection unit 31 when the overcurrent is detected is recorded. The value is stored, for example, in the storage unit 27 .

임계값 설정부(33)는 만원 판정 임계값을 변경하는 기능을 가진다. 임계값 설정부(33)는, 예를 들면, 전류 검출부(30)에 의해 과전류가 검출된 후에는, 엘리베이터 칸(5)이 다음에 상방향의 호출에 응답하는 경우에, 당해 과전류가 검출되었을 때에 저울값 검출부(31)에 의해 검출되어 있던 값을 만원 판정 임계값으로서 설정한다. 이 경우, 만원 판정 임계값이 저하되기 때문에, 한꺼번에 엘리베이터 칸(5)에 승차 가능한 인원수가 제한된다. The threshold value setting unit 33 has a function of changing the fullness determination threshold. Threshold value setting unit 33, for example, after the overcurrent is detected by the current detection unit 30, when the car 5 next responds to an upward call, the overcurrent is detected At this time, the value detected by the balance value detection unit 31 is set as the fullness determination threshold value. In this case, since the fullness determination threshold value falls, the number of people who can get on the car 5 at once is limited.

임계값 설정부(33)는, 예를 들면, 전류 검출부(30)에 의해 과전류가 검출된 후라도, 엘리베이터 칸(5)이 다음에 하방향의 호출에 응답하는 경우에는, 만원 판정 임계값을 변경하지 않는다. 또한, 이 경우, 운전 제어부(26)는, 예를 들면, 당해 과전류가 검출되었을 때에 저울값 검출부(31)에 의해 검출되어 있던 값 이상의 값이 저울값 검출부(31)에 의해 검출될 때까지 엘리베이터 칸(5)의 이동을 개시하게 하지 않는 것과 같은 제어를 행해도 된다. The threshold value setting unit 33 changes the fullness determination threshold, for example, even after an overcurrent is detected by the current detection unit 30 , when the car 5 responds to a downward call next time. I never do that. In addition, in this case, the operation control unit 26 controls the elevator until, for example, a valu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value detected by the balance value detection unit 31 when the overcurrent is detected is detected by the balance value detection unit 31 . The same control as not starting the movement of the compartment 5 may be performed.

도 5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제1 플로차트이다. 도 5는 승강장 호출 버튼(12)이 고장났을 경우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Fig. 5 is a first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example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5 shows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device when the platform call button 12 fails.

제어 장치(7)는 고장으로 판정된 승강장 호출 버튼(12)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01). 고장으로 판정된 승강장 호출 버튼(12)이 없는 경우, 스텝 S101의 처리가 반복된다. 고장으로 판정된 승강장 호출 버튼(12)이 있는 경우, 승강장 특수 조작이 유효화된다(스텝 S102). 스텝 S102에 이어서, 승강장 특수 조작에 대한 안내가 승강장에 알림된다(스텝 S103). The control device 7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re is a platform call button 12 determined to be a failure (step S101). When there is no platform call button 12 determined to be a failure, the process of step S101 is repeated. When there is the platform call button 12 determined to be a failure, the platform special operation is validated (step S102). Following step S102, the platform is notified of guidance on special operation of the platform (step S103).

제어 장치(7)는 정상인 승강장 호출 버튼(12)이 눌려졌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04). 정상인 승강장 호출 버튼(12)이 눌려지지 않는 경우, 스텝 S104의 처리가 반복된다. 정상인 승강장 호출 버튼(12)이 눌려졌을 경우, 제어 장치(7)는 승강장 특수 조작이 행해졌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05). The control device 7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normal platform call button 12 has been pressed (step S104). When the normal platform call button 12 is not pressed, the process of step S104 is repeated. When the normal landing call button 12 is pressed, the control apparatus 7 determines whether a landing special operation was performed (step S105).

스텝 S105에서, 승강장 특수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제어 장치(7)는 고장으로 판정된 승강장 호출 버튼(12)에 대응하는 승강장 호출을 등록한다(스텝 S106). 스텝 S105에서, 승강장 특수 조작이 행해지지 않았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제어 장치(7)는 정상인 승강장 호출 버튼(12)에 대응하는 승강장 호출을 등록한다(스텝 S107).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S105 that a platform special operation has been performed, the control device 7 registers a platform call corresponding to the platform call button 12 determined to be a failure (step S106).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S105 that the landing special operation has not been performed, the control device 7 registers a platform call corresponding to the normal platform call button 12 (step S107).

도 6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제2 플로차트이다. 도 6은 행선지층 버튼(20)이 고장났을 경우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6 is a second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example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6 shows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device when the destination floor button 20 is broken.

제어 장치(7)는 고장으로 판정된 행선지층 버튼(20)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01). 고장으로 판정된 행선지층 버튼(20)이 없는 경우, 스텝 S201의 처리가 반복된다. 고장으로 판정된 행선지층 버튼(20)이 있는 경우, 엘리베이터 칸내 특수 조작이 유효화된다(스텝 S202). 스텝 S202에 이어서, 엘리베이터 칸내 특수 조작에 대한 안내가 엘리베이터 칸(5) 내에 알림된다(스텝 S203). The control device 7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re is the destination floor button 20 determined to be a failure (step S201). If there is no destination floor button 20 determined to be a failure, the process of step S201 is repeated. When there is the destination floor button 20 determined to be a failure, the special operation in the car is validated (step S202). Following step S202, the guidance about the special operation in the cage|basket|car 5 is notified in the cage|basket|car 5 (step S203).

제어 장치(7)는 정상인 행선지층 버튼(20)이 눌려졌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04). 정상인 행선지층 버튼(20)이 눌려지지 않는 경우, 스텝 S204의 처리가 반복된다. 정상인 행선지층 버튼(20)이 눌려졌을 경우, 제어 장치(7)는 엘리베이터 칸내 특수 조작이 행해졌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05). The control device 7 determines whether the normal destination floor button 20 has been pressed (step S204). When the normal destination floor button 20 is not pressed, the process of step S204 is repeated. When the normal destination floor button 20 is pressed, the control device 7 determines whether or not a special operation in the car was performed (step S205).

스텝 S205에서, 엘리베이터 칸내 특수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제어 장치(7)는 고장으로 판정된 행선지층 버튼(20)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칸 호출을 등록한다(스텝 S206). 스텝 S205에서, 엘리베이터 칸내 특수 조작이 행해지지 않았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제어 장치(7)는 눌려진 행선지층 버튼(20)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칸 호출을 등록한다(스텝 S207).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S205 that a special operation in the car has been performed, the control device 7 registers a car call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floor button 20 determined to be a failure (step S206).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S205 that the special operation in the car has not been performed, the control device 7 registers a car call corresponding to the pressed destination floor button 20 (step S207).

도 7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제3 플로차트이다. 도 7은 권상기(3)의 모터에 과전류가 흘렀을 경우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Fig. 7 is a third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example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7 : has shown the operation|movement of the control apparatus in the case where an overcurrent flows through the motor of the hoisting machine 3. As shown in FIG.

제어 장치(7)는 권상기(3)의 모터에 과전류가 흘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01). 권상기(3)의 모터에 과전류가 흐르고 있지 않은 경우, 스텝 S301의 처리가 반복된다. 권상기(3)의 모터에 과전류가 흘렀을 경우, 제어 장치(7)는 과전류가 흘렀을 때의 저울 장치(24)의 측정값을 기억한다(스텝 S302). The control device 7 determines whether an overcurrent has flowed through the motor of the hoisting machine 3 (step S301). When the overcurrent does not flow through the motor of the hoisting machine 3, the process of step S301 is repeated. When an overcurrent flows through the motor of the hoisting machine 3, the control apparatus 7 memorize|stores the measured value of the scale apparatus 24 when the overcurrent flowed (step S302).

제어 장치(7)는 호출이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03). 호출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스텝 S303의 처리가 반복된다. 호출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 제어 장치(7)는 엘리베이터 칸(5)이 다음에 응답하는 호출은 상향의 호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04). The control device 7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all is registered (step S303). If the call is not registered, the processing of step S303 is repeated. When the call is registered, the control device 7 determines whether the call to which the car 5 responds next is an upward call (step S304).

스텝 S304에서, 엘리베이터 칸(5)이 다음에 응답하는 호출은 상향의 호출이라고 판정되었을 경우, 제어 장치(7)는 기억한 저울 장치(24)의 측정값을 만원 판정 임계값으로서 설정한다(스텝 S305). 스텝 S304에서, 엘리베이터 칸(5)이 다음에 응답하는 호출은 하향의 호출이라고 판정되었을 경우, 제어 장치(7)는 만원 판정 임계값을 변경하지 않는다(스텝 S306). In step S304,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all to which the car 5 responds next is an upward call, the control device 7 sets the stored measurement value of the scale device 24 as the fullness determination threshold (step S304). S305).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S304 that the call to which the car 5 responds next is a downlink call, the control device 7 does not change the fullness determination threshold value (step S306).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호출 등록부(25)는, 엘리베이터(1)의 승강장 또는 엘리베이터 칸(5)에 마련된 조작부에 대한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에, 조작된 조작부에 대응하는 호출을 등록한다. 고장 판정부(28)는 조작부가 고장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호출 등록부(25)는, 고장 판정부(28)에 의해 고장났다고 판정된 조작부와 같은 승강장 또는 같은 엘리베이터 칸(5)에 마련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정상인 조작부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특수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에, 당해 고장났다고 판정된 조작부에 대응하는 호출을 등록한다. 이 때문에,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고장나 있는 조작부를 다른 정상인 조작부로 대체할 수 있다. 그 결과, 엘리베이터의 조작부가 고장났을 경우에 있어서의 편리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보수 점검을 실시할 때까지의 시간적 유예가 얻어지기 때문에, 보수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In Embodiment 1, when an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 part provided in the platform of the elevator 1 or the car 5 is performed, the call registration part 25 registers the call corresponding to the operated operation part. The failure determination unit 28 determines whether the operation unit is malfunctioning. The call registration unit 25, when a preset special operation is performed on at least one normal operation unit provided in the same platform or the same car 5 as the operation unit determined to have failed by the failure determination unit 28, A cal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unit determined to be faulty is registered. For this reason, according to Embodiment 1, the malfunctioning operation part can be replaced with another normal operation part.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uppress a decrease in convenience when the operation part of the elevator breaks down. Moreover, since the temporal delay until implementing a maintenance check is obtained, the burden of a maintenance worker can be reduced.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호출 등록부(25)는, 엘리베이터(1)의 승강장에 마련된 승강장 호출 버튼(12)인 상방향 버튼(12a) 또는 하방향 버튼(12b)에 대한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에, 조작된 승강장 호출 버튼(12)에 대응하는 승강장 호출을 등록한다. 고장 판정부(28)는 승강장 호출 버튼(12)이 고장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호출 등록부(25)는 고장 판정부(28)에 의해 고장났다고 판정된 상방향 버튼(12a)과 같은 승강장에 마련되어 있는 정상인 하방향 버튼(12b)에 대해서 특수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에 상방향의 승강장 호출을 등록한다. 호출 등록부(25)는 고장 판정부(28)에 의해 고장났다고 판정된 하방향 버튼(12b)과 같은 승강장에 마련되어 있는 정상인 상방향 버튼(12a)에 대해서 특수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에 하방향의 승강장 호출을 등록한다. 이 때문에,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고장나 있는 승강장 호출 버튼(12)을 다른 정상인 승강장 호출 버튼(12)으로 대체할 수 있다. 그 결과,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호출 버튼(12)이 고장났을 경우에 있어서의 편리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In the first embodiment, when an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up button 12a or the down button 12b, which is the platform call button 12 provided in the platform of the elevator 1, the call registration unit 25 is operated. The platform call corresponding to the operated platform call button 12 is registered. The failure determination unit 28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platform call button 12 is broken. When a special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normal downward button 12b provided in the same platform as the upward button 12a judged to have failed by the failure determination unit 28, the call registration unit 25 is located in the upward direction of the platform. Register the call. When a special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normal upward button 12a provided in the same platform as the downward button 12b judged to have failed by the failure determination unit 28, the call registration unit 25 is loca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platform. Register the call. For this reason, according to Embodiment 1, the malfunctioning boarding point call button 12 can be replaced with the other normal boarding point call button 12. As shown in FIG.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uppress a decrease in convenience when the landing call button 12 of the elevator breaks down.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고장 판정부(28)는, 어느 상방향 버튼(12a)에 대응하는 상방향의 승강장 호출이 일정 기간내에 등록되고 있지 않고 또한 당해 일정 기간내에 상방향으로의 엘리베이터 칸(5)의 이동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 당해 상방향 버튼(12a)이 고장났다고 판정한다. 고장 판정부(28)는, 어느 하방향 버튼(12b)에 대응하는 하방향의 승강장 호출이 일정 기간내에 등록되고 있지 않고 또한 당해 일정 기간내에 하방향으로의 엘리베이터 칸(5)의 이동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 당해 하방향 버튼(12b)이 고장났다고 판정한다. 이 때문에,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승강장 호출 버튼(12)이 고장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In the first embodiment, the failure determination unit 28 is configured such that an upward platform call corresponding to a certain upward button 12a is not registered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 upward car 5 is not registered within the predetermined period. ), it is determined that the upward button 12a has failed. The failure determination unit 28 determines that a downward platform call corresponding to a certain downward button 12b has not been registered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at the car 5 is being moved in the downward direction within the predetermined period. In this case, it is determined that the down button 12b is broken. For this reason, according to Embodiment 1, it can determine whether the boarding point call button 12 is malfunctioning with a simple structure.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호출 등록부(25)는, 엘리베이터(1)의 엘리베이터 칸(5)에 마련된 행선지층 버튼(20)에 대한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에, 조작된 행선지층 버튼(20)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칸 호출을 등록한다. 고장 판정부(28)는 행선지층 버튼(20)이 고장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호출 등록부(25)는, 고장 판정부(28)에 의해 고장났다고 판정된 행선지층 버튼(20)과 같은 엘리베이터 칸(5)에 마련되어 있는 정상인 조작부에 대해서 특수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에, 당해 고장났다고 판정된 행선지층 버튼(20)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칸 호출을 등록한다. 이 때문에,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고장나 있는 행선지층 버튼(20)을 다른 정상인 행선지층 버튼(20) 등으로 대체할 수 있다. 그 결과, 엘리베이터의 행선지층 버튼(20)이 고장났을 경우에 있어서의 편리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In the first embodiment, when an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destination floor button 20 provided in the car 5 of the elevator 1, the call registration unit 25 corresponds to the operated destination floor button 20 Registers a car call to be called. The failure determination unit 28 determines whether the destination floor button 20 is malfunctioning. When a special operation is performed on a normal operation unit provided in the car 5, such as the destination floor button 20 determined to be defective by the failure determination unit 28, the call registration unit 25 indicates that the failure has occurred. A car call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destination floor button 20 is registered. For this reason, according to Embodiment 1, the broken destination floor button 20 can be replaced with another normal destination floor button 20 or the lik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uppress a decrease in convenience when the destination floor button 20 of the elevator fails.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고장 판정부(28)는, 어느 행선지층 버튼(20)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칸 호출이 일정 기간내에 등록되고 있지 않고 또한 당해 일정 기간내에 엘리베이터 칸(5)의 이동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 당해 행선지층 버튼(20)이 고장났다고 판정한다. 이 때문에,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행선지층 버튼(20)이 고장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In the first embodiment, the failure determination unit 28 determines that a car call corresponding to a certain destination floor button 20 is not registered within a certain period, and the car 5 is moved within the prescribed period. In this case, it is determined that the destination floor button 20 is broken. For this reason, according to Embodiment 1,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destination floor button 20 is malfunctioning with a simple structure.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알림 제어부(29)는 고장 판정부(28)에 의해 고장났다고 판정된 조작부에 대응하는 호출을 등록하기 위한 특수 조작을 안내하는 정보를 당해 고장났다고 판정된 조작부와 같은 승강장 또는 같은 엘리베이터 칸(5)에 마련되어 있는 알림부로부터 알리게 한다. 이 때문에,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이용자에 대해서 특수 조작의 안내를 할 수 있다. 그 결과, 엘리베이터의 조작부가 고장났을 경우에 있어서의 편리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In the first embodiment,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29 transmits information guiding a special operation for registering a cal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unit determined by the failure determination unit 28 to be out of order at the same platform as the operation unit determined to be defective or in the first embodiment. It is notified from the notification unit provided in the same car 5 . For this reason, according to Embodiment 1, guidance of special operation can be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user of an elevator.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uppress a decrease in convenience when the operation part of the elevator breaks down.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전류 검출부(30)는 엘리베이터(1)의 권상기(3)의 모터 전류를 검출한다. 저울값 검출부(31)는 엘리베이터(1)의 엘리베이터 칸(5)의 적재 중량을 측정하는 저울 장치(24)에 의한 측정값을 검출한다. 만원 판정부(32)는, 저울값 검출부(31)에 의해 검출된 값이 미리 설정된 만원 판정 임계값보다도 큰 경우에, 엘리베이터 칸(5)이 만원이라고 판정한다. 임계값 설정부(33)는, 전류 검출부(30)에 의해 과전류가 검출되고 또한 엘리베이터 칸(5)이 상방향의 호출에 응답하는 경우에, 당해 과전류가 검출되었을 때에 저울값 검출부(31)에 의해 검출되어 있던 값을 만원 판정 임계값으로서 설정한다. 이 때문에,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권상기(3)의 모터에 과전류가 흘렀던 것이 검출된 후에는, 통상보다도 모터의 부하를 경감시킨 상태로 엘리베이터(1)의 운전을 계속할 수 있다. 그 결과, 엘리베이터의 권상기가 보수 점검될 때까지의 동안에 있어서의 편리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In Embodiment 1, the current detection unit 30 detects a motor current of the hoisting machine 3 of the elevator 1 . The scale value detection unit 31 detects a value measured by the scale device 24 for measuring the loading weight of the car 5 of the elevator 1 . The fullness determination unit 32 determines that the car 5 is full when the value detected by the scale value detection unit 31 is greater than a preset fullness determination threshold value. Threshold value setting unit 33, when overcurrent is detected by current detection unit 30 and car 5 responds to an upward call, when the overcurrent is detected, to scale value detection unit 31 The detected value is set as the fullness judgment threshold value. For this reason, according to Embodiment 1, after it is detected that overcurrent has flowed in the motor of the hoisting machine 3,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1 can be continued in the state which reduced the load of the motor than usual.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uppress a decrease in convenience until the hoisting machine of the elevator is maintained and inspected.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예를 들면, 어느 조작부가 고장났다고 판정된 것에 기초하여 특수 조작이 유효화되어 있을 때에, 당해 조작부에 대한 통상의 조작에 기초하는 호출이 등록되었을 경우, 당해 특수 조작은 무효화된다. 즉,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1)의 이용자가 우연히 적었기 때문에 정상인 조작부가 고장났다고 판정되었다고 해도, 당해 정상인 조작부가 조작되면 당해 특수 조작은 무효화된다. 이 때문에, 불필요한 특수 조작이 계속 유효한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e first embodiment, for example, when a special operation is validated based on a determination that an operation unit has failed, and a call based on a normal operation to the operation unit is registered, the special operation is invalidated. . That is, for example, even if it is determined that a normal operation part has failed because the number of users of the elevator 1 is small by chance, if the said normal operation part is operated, the said special operation is invalidated.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prevent unnecessary special operation from continuing to be effective.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예를 들면, 알림 제어부(29)는, 보수 장치(8)를 통해서, 엘리베이터(1)의 조작부가 고장났다고 판정된 것 및 권상기(3)의 모터에 과전류가 흘렀던 것 등을 감시 센터(9)에 통보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1)의 보수 작업원은, 엘리베이터(1)의 상황을 신속히 파악할 수 있다. In Embodiment 1, for example, through the maintenance device 8,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29 determines that the operation unit of the elevator 1 has failed, and that an overcurrent has flowed through the motor of the hoisting machine 3, etc. may be notified to the monitoring center 9 . In this case, for example, the maintenance worker of the elevator 1 can grasp the situation of the elevator 1 quickly.

도 8은 제어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8 is a hardware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control device.

제어 장치(7)에 있어서의 호출 등록부(25), 운전 제어부(26), 기억부(27), 고장 판정부(28), 알림 제어부(29), 전류 검출부(30), 저울값 검출부(31), 만원 판정부(32) 및 임계값 설정부(33)의 각 기능은, 처리 회로에 의해 실현된다. 처리 회로는 전용 하드웨어(50)여도 된다. 처리 회로는 프로세서(51) 및 메모리(52)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처리 회로는 일부가 전용 하드웨어(50)로서 형성되고, 추가로 프로세서(51) 및 메모리(52)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도 8은, 처리 회로가, 그 일부가 전용 하드웨어(50)로서 형성되고, 프로세서(51) 및 메모리(52)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In the control device 7 , the call registration unit 25 , the operation control unit 26 , the storage unit 27 , the failure determination unit 28 ,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29 , the current detection unit 30 , and the scale value detection unit 31 . ), the fullness determination unit 32 and the threshold value setting unit 33 each function is realized by a processing circuit. The processing circuit may be dedicated hardware 50 . The processing circuit may include a processor 51 and a memory 52 . A part of the processing circuit is formed as dedicated hardware 50 , and may further include a processor 51 and a memory 52 . FIG. 8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processing circuit is partially formed as dedicated hardware 50 and includes a processor 51 and a memory 52 .

처리 회로의 적어도 일부가, 적어도 하나의 전용 하드웨어(50)인 경우, 처리 회로는, 예를 들면, 단일 회로, 복합 회로,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병렬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ASIC, FPGA, 또는 이것들을 조합한 것이 해당된다. Where at least a portion of the processing circuitry is at least one dedicated hardware 50, the processing circuitry may be, for example, a single circuit, a complex circuit, a programmed processor, a parallel programmed processor, an ASIC, an FPGA, or these combination is applicable.

처리 회로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51) 및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52)를 구비하는 경우, 호출 등록부(25), 운전 제어부(26), 기억부(27), 고장 판정부(28), 알림 제어부(29), 전류 검출부(30), 저울값 검출부(31), 만원 판정부(32) 및 임계값 설정부(33)의 각 기능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펌웨어의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는 프로그램으로서 기술되어, 메모리(52)에 격납된다. 프로세서(51)는 메모리(52)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실행함으로써, 각 부의 기능을 실현한다. 프로세서(5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 처리 장치, 처리 장치, 연산 장치,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컴퓨터, DSP라고도 한다. 메모리(52)는, 예를 들면, RAM, ROM, 플래시 메모리, EPROM, EEPROM 등의, 불휘발성 또는 휘발성의 반도체 메모리, 자기 디스크, 플렉서블 디스크, 광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미니 디스크, DVD 등이 해당된다. When the processing circuit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51 and at least one memory 52 , the call registration unit 25 , the operation control unit 26 , the storage unit 27 , the failure determination unit 28 ,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29), each function of the current detection unit 30, the scale value detection unit 31, the full capacity determination unit 32 and the threshold value setting unit 33 is realized by software, firmware, or a combination of software and firmware. . Software and firmware are described as programs and stored in the memory 52 . The processor 51 reads and executes the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52, thereby realizing the functions of each unit. The processor 51 is also referred to as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a central processing unit, a processing unit, an arithmetic unit, a microprocessor, a microcomputer, or a DSP. The memory 52 is, for example, a nonvolatile or 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such as RAM, ROM, flash memory, EPROM, and EEPROM, magnetic disk, flexible disk, optical disk, compact disk, mini disk, DVD, etc. do.

이와 같이, 처리 회로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것들의 조합에 의해서, 제어 장치(7)의 각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processing circuit can realize each function of the control device 7 by hardware, software, firm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Industrial Applicabilit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 적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 elevator.

1 엘리베이터
2 승강로
3 권상기
4 로프
5 엘리베이터 칸
6 균형추
7 제어 장치
8 보수 장치
9 감시 센터
10 승강장 도어
11 승강장 조작반
12 승강장 호출 버튼
12a 상방향 버튼
12b 하방향 버튼
13 승강장 알림부
14 승강장 모니터
15 승강장 스피커
16 엘리베이터 칸 도어
17 엘리베이터 칸내 조작반
18 도어 열림 버튼
19 도어 닫힘 버튼
20 행선지층 버튼
21 엘리베이터 칸내 알림부
22 엘리베이터 칸내 모니터
23 엘리베이터 칸내 스피커
24 저울 장치
25 호출 등록부
26 운전 제어부
27 기억부
28 고장 판정부
29 알림 제어부
30 전류 검출부
31 저울값 검출부
32 만원 판정부
33 임계값 설정부
50 전용 하드웨어
51 프로세서
52 메모리
1 elevator
2 hoistway
3 hoisting machine
4 rope
5 car
6 counterweight
7 control unit
8 maintenance device
9 Surveillance Center
10 Platform door
11 Platform control panel
12 Platform call button
12a up button
12b Down button
13 Platform notification section
14 Platform Monitor
15 platform speaker
16 car door
17 Control panel in elevator car
18 Door open button
19 Door close button
20 destination floor button
21 Information department in the car
22 In-car monitor
23 Car Speakers
24 scale device
25 call register
26 operation control
27 memory
28 Failure judgment unit
29 Notification control
30 Current Detector
31 Balance value detector
32 million won
33 Threshold setting unit
50 dedicated hardware
51 processors
52 memory

Claims (8)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 마련된 조작부로서의 승강장 호출 버튼인 상방향 버튼 또는 하방향 버튼에 대한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에, 조작된 승강장 호출 버튼에 대응하는 승강장 호출을 등록하는 호출 등록부와,
승강장 호출 버튼이 고장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고장 판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호출 등록부는 상기 고장 판정부에 의해 고장났다고 판정된 상방향 버튼과 같은 승강장에 마련되어 있는 정상인 하방향 버튼에 대해서 특수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에 상방향의 승강장 호출을 등록하고, 상기 고장 판정부에 의해 고장났다고 판정된 하방향 버튼과 같은 승강장에 마련되어 있는 정상인 상방향 버튼에 대해서 특수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에 하방향의 승강장 호출을 등록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A call registration unit for registering a platform call corresponding to the operated platform call button when an operation is performed on an up button or a down button that is a platform call button as an operation unit provided in the platform of the elevator;
A failure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platform call button is broken is provided;
The call registration unit registers an upward platform call when a special operation is performed on a normal downward button provided in the same platform as the upward button determined to be broken by the failure determination unit, and the failure determination unit An elevator control device that registers a call to a downward platform when a special operation is performed on a normal upward button provided on the same platform as the downward button determined to be malfunctioning b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장 판정부는 어느 상방향 버튼에 대응하는 상방향의 승강장 호출이 일정 기간내에 등록되고 있지 않고 또한 당해 일정 기간내에 상방향으로의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 당해 상방향 버튼이 고장났다고 판정하고, 어느 하방향 버튼에 대응하는 하방향의 승강장 호출이 일정 기간내에 등록되고 있지 않고 또한 당해 일정 기간내에 하방향으로의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 당해 하방향 버튼이 고장났다고 판정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ailure judging unit determines that the upward button has failed when an upward platform call corresponding to a certain upward button is not registered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and the car is moving upward within the predetermined period. Elevator that determines that the down button is broken when a call to the down platform corresponding to a certain down button is not registered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and the car is moving in the down direction within the predetermined period 's control unit.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된 조작부로서의 행선지층 버튼에 대한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에, 조작된 행선지층 버튼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칸 호출을 등록하는 호출 등록부와,
행선지층 버튼이 고장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고장 판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호출 등록부는, 상기 고장 판정부에 의해 고장났다고 판정된 행선지층 버튼과 같은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되어 있는 정상인 조작부에 대해서 특수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에, 당해 고장났다고 판정된 행선지층 버튼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칸 호출을 등록하고,
상기 고장 판정부는 어느 행선지층 버튼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칸 호출이 일정 기간내에 등록되고 있지 않고 또한 당해 일정 기간내에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 당해 행선지층 버튼이 고장났다고 판정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a call registration unit for registering a car call corresponding to the operated destination floor button when an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destination floor button as an operation unit provided in the car of the elevator;
A failure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destination floor button is broken is provided;
The call registration unit, when a special operation is performed on a normal operation unit provided in the same car as the destination floor button determined to be broken by the failure determination unit, the car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floor button determined to be defective register the call,
The failure judging unit is an elevator control device that determines that the destination floor button is broken when a car call corresponding to a certain destination floor button is not registered within a certain period and the car is being moved within the predetermined period.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판정부에 의해 고장났다고 판정된 조작부에 대응하는 호출을 등록하기 위한 특수 조작을 안내하는 정보를 당해 고장났다고 판정된 조작부와 같은 승강장 또는 같은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되어 있는 알림부로부터 알리게 하는 알림 제어부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notification control unit for notifying information guiding a special operation for registering a cal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unit determined by the failure determination unit to be broken from the notification unit provided in the same platform or the same car as the operation unit determined to be defective. Elevator control system equipped with.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또는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된 조작부에 대한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에, 조작된 조작부에 대응하는 호출을 등록하는 호출 등록부와,
조작부가 고장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고장 판정부와,
엘리베이터의 권상기의 모터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와,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적재 중량을 검출하는 저울값 검출부와,
상기 저울값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값이 만원 판정 임계값보다도 큰 경우에 엘리베이터 칸이 만원이라고 판정하는 만원 판정부와,
상기 전류 검출부에 의해 과전류가 검출되고 또한 엘리베이터 칸이 상방향의 호출에 응답하는 경우에, 당해 과전류가 검출되었을 때에 상기 저울값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어 있던 값을 만원 판정 임계값으로서 설정하는 임계값 설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호출 등록부는, 상기 고장 판정부에 의해 고장났다고 판정된 조작부와 같은 승강장 또는 같은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되어 있는 정상인 조작부에 대해서 특수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에, 당해 고장났다고 판정된 조작부에 대응하는 호출을 등록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a call registration unit for registering a call corresponding to the operated operation unit when an operation is performed on an operation unit provided in a platform or a car of an elevator;
a failure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operation unit is out of order;
A current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motor current of the hoisting machine of the elevator;
A scale valu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loading weight of the car of the elevator;
a fullness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that the car is full when the value detected by the scale value detection unit is greater than the fullness determination threshold value;
When an overcurrent is detected by the current detection unit and the car responds to an upward call, the threshold value setting for setting the value detected by the scale value detection unit when the overcurrent is detected as the fullness determination threshold to have wealth,
The call registration unit registers a cal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unit determined to be broken when a special operation is performed on a normal operation unit provided in the same platform or in the same car as the operation unit judged to have failed by the failure determination unit. elevator control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7021432A 2016-12-26 2016-12-26 elevator control unit KR10226240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88691 WO2018122915A1 (en) 2016-12-26 2016-12-26 Elevator control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289A KR20190100289A (en) 2019-08-28
KR102262406B1 true KR102262406B1 (en) 2021-06-08

Family

ID=62707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1432A KR102262406B1 (en) 2016-12-26 2016-12-26 elevator control unit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555434B2 (en)
KR (1) KR102262406B1 (en)
CN (1) CN110099862B (en)
WO (1) WO2018122915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47626B1 (en) * 2019-03-15 2020-08-26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Elevator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WO2021240807A1 (en) * 2020-05-29 2021-12-02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failure determination system
KR102573174B1 (en) * 2020-08-05 2023-08-31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Elevator systems, mobile terminals and storage media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84051A (en) 2011-03-03 2012-09-27 Toshiba Elevator Co Ltd Elevator control apparatus
JP2016204075A (en) 2015-04-17 2016-12-08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Destination registration device of elevator, destination registration method and elevato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23056A (en) * 1976-04-08 1977-10-15 Mitsubishi Electric Corp Device for registering elevator ride call
JP5190210B2 (en) 2007-03-19 2013-04-24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Elevator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JP2009256018A (en) * 2008-04-15 2009-11-05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elevator
CN102239099B (en) * 2008-12-11 2013-06-26 三菱电机株式会社 Elevator controller
WO2013076862A1 (en) * 2011-11-25 2013-05-30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apparatus
JP2014088228A (en) * 2012-10-29 2014-05-15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Elevator monitoring device
JP6180667B2 (en) * 2014-12-26 2017-08-16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inspection device
CN105060055B (en) * 2015-07-29 2019-11-12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Elevator button fault detection and processing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84051A (en) 2011-03-03 2012-09-27 Toshiba Elevator Co Ltd Elevator control apparatus
JP2016204075A (en) 2015-04-17 2016-12-08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Destination registration device of elevator, destination registration method and elevat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289A (en) 2019-08-28
CN110099862B (en) 2021-02-26
JPWO2018122915A1 (en) 2019-03-22
JP6555434B2 (en) 2019-08-07
CN110099862A (en) 2019-08-06
WO2018122915A1 (en) 2018-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2406B1 (en) elevator control unit
WO2011048991A1 (en) Rescue operation system for elevator
JP5456836B2 (en) Elevator control device
JP6717437B2 (en) Elevator system controller
KR102512225B1 (en) A monitoring device that avoids trapping users in elevators
JP6975108B2 (en) Elevator diagnostic system and elevator diagnostic method
JP2014114157A (en) Elevator control device
JP2012162390A (en) Voice information device of elevator
JP6776955B2 (en) Abnormal sound detection method
KR102490052B1 (en) Elevator system with diagnostic function
JP6304446B2 (en) Elevator control system
AU2019351613B2 (en) Method and monitoring device for inferring a health status of call devices in an elevator arrangement
KR102562729B1 (en) elevator device
JP2004359405A (en) Remote rescue method for elevator in case of earthquake
CN113767059B (en) Slip detection system for elevator
KR20190047053A (en) Elevator control system
JP5955071B2 (en) Elevator passenger confirmation system and method
CN113329963A (en) Control system for elevator not performing automatic operation when performing maintenance operation in hoistway
JP6923102B1 (en) Elevator system
WO2018235156A1 (en) Elevator device
JP6705306B2 (en) Elevator group management device with a function to prevent erroneous operation of rescue operation switch
JPH03195689A (en) Control device for elevator
JP2007186324A (en) Elevator controller
JP2013209208A (en) Controller of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