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2162B1 -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자동차용 스위블 타입 무빙 암레스트 - Google Patents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자동차용 스위블 타입 무빙 암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2162B1
KR102262162B1 KR1020210039311A KR20210039311A KR102262162B1 KR 102262162 B1 KR102262162 B1 KR 102262162B1 KR 1020210039311 A KR1020210039311 A KR 1020210039311A KR 20210039311 A KR20210039311 A KR 20210039311A KR 102262162 B1 KR102262162 B1 KR 102262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extension
swivel
extension part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9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8505A (ko
Inventor
김종대
Original Assignee
카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8567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43173B1/ko
Application filed by 카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카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9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2162B1/ko
Publication of KR20210038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8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2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2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8Arm-rests post or panel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60R2011/0021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자동차용 스위블 타입 무빙 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가 형성된 암레스트부를 도어트림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탑승자가 암레스트부를 원하는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를 통해 암레스트부를 차량의 실내측으로 연장시켜 사용이 가능하고, 제2연장부를 스위블 동작이 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스위블 동작을 통해 제2연장부의 상하를 반전시켜 팔받침대, 무선충전, 수납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자동차용 스위블 타입 무빙 암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자동차용 스위블 타입 무빙 암레스트{Swivel type moving armrest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스위블 타입 무빙 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가 형성된 암레스트부를 도어트림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탑승자가 암레스트부를 원하는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를 통해 암레스트부를 차량의 실내측으로 연장시켜 사용이 가능하고, 제2연장부를 스위블 동작이 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스위블 동작을 통해 제2연장부의 상하를 반전시켜 팔받침대, 무선충전, 수납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자동차용 스위블 타입 무빙 암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패널에는 도어트림을 부설하여 외관을 개선함과 동시에 소음의 실내유입을 억제하며, 또한, 도어트림에는 암레스트, 풀 핸들 등을 필수적으로 구비하여 탑승자의 편의성을 증진하고 있다.
도어트림의 암레스트는 사이드 도어에 부착되어 있으며 도어 개폐에 쓰이는 손잡이, 수납공간, 사이드도어 윈도우글라스의 승강스위치 등과 일체구조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의 차량 도어트림 암레스트는 차량의 도어트림의 내측에 차량의 주행방향과 평행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차량 도어트림 암레스트는 운전자 및 탑승자가 차량에 탑승했을 때 팔을 올려놓을 수도 있으며, 차량의 도어 개폐를 위한 손잡이 및 각종 편의장치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도어트림에 설치되는 암레스트는 고정된 형상을 갖는 사출물로써 도어트림의 특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이동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연장도 불가능하였기 때문에 체형이 다양한 각각의 탑승객들이 동일한 위치에 고정된 암레스트를 사용하여야 함에 따라 탑승객들에게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자동차용 암레스트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41856호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가 형성된 암레스트부를 도어트림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탑승자가 암레스트부를 원하는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를 통해 암레스트부를 차량의 실내측으로 연장시켜 사용이 가능하고, 제2연장부를 스위블 동작이 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스위블 동작을 통해 제2연장부의 상하를 반전시켜 팔받침대, 무선충전, 수납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자동차용 스위블 타입 무빙 암레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술한 과제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후술할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스위블 타입 무빙 암레스트는 차량에 탑승한 승객이 팔을 올려놓을 수 있는 암레스트부; 및 도어트림에 형성되어 상기 암레스트부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암레스트부는, 내측에 가이드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좌우로 이동하여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인출되거나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제1연장부; 상단 및 하단에 팔걸이부 및 수납부가 형성된 제2연장부; 상기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가 각각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연결부가 힌지축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암레스트는, 상기 레일의 내측 공간에 형성되며 연장봉을 통해 상기 암레스트부와 연결되는 제1승강판; 및 상기 제1승강판의 하단에 형성되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승강판 및 상기 암레스트부를 상승시키는 제2승강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연장부와 상기 연결부가 회전축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제2연장부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스위블 동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스위블 타입 무빙 암레스트는 암레스트부를 도어트림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탑승자가 암레스트부를 원하는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하여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트림 내측에 형성된 승강판에 의해 암레스트부가 도어트림의 상단 방향으로 상승한 뒤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암레스트부가 이동 시 도어트림에 형성된 기능부에 걸리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암레스트부 본체의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부를 통해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제1연장부 및 제1연장부와 연결부를 통해 결합되어 회동이 가능한 제2연장부를 형성함으로써 탑승자가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를 통해 암레스트를 차량의 실내측으로 연장시킨 후 팔받침대, 테이블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회전축을 통해 제2연장부를 연결부에 결합함으로써 제2연장부의 스위블 동작이 가능하여, 스위블 동작을 통해 제2연장부의 상하를 반전시켜 팔받침대, 무선충전, 수납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스위블 타입 무빙 암레스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스위블 타입 무빙 암레스트에서 제1연장부가 인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스위블 타입 무빙 암레스트에서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가 인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스위블 타입 무빙 암레스트에서 제2연장부가 스위블 동작을 통해 상하 반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스위블 타입 무빙 암레스트에서 암레스트부가 도어트림의 레일을 따라 이동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스위블 타입 무빙 암레스트에서 레일 내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스위블 타입 무빙 암레스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스위블 타입 무빙 암레스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스위블 타입 무빙 암레스트에서 제1연장부가 인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스위블 타입 무빙 암레스트에서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가 인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스위블 타입 무빙 암레스트에서 제2연장부가 스위블 동작을 통해 상하 반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스위블 타입 무빙 암레스트에서 암레스트부가 도어트림의 레일을 따라 이동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스위블 타입 무빙 암레스트에서 레일 내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스위블 타입 무빙 암레스트(이하 '암레스트'라 함)는 암레스트부(10), 레일(20), 제1승강판(30) 및 제2승강판(4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암레스트부(10)는 차량에 탑승한 승객이 팔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여 편안하고 안락한 느낌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본체(11), 제1연장부(12) 및 제2연장부(13)를 포함한다.
본체(11)는 연장봉(50)을 통해 레일(20)의 내측 공간에 형성된 제1승강판(30)과 연결되며 본체(11)의 내부에는 제1연장부(12)가 도 1 기준으로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11a)가 형성된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봉(50)은 내측봉과 외측봉으로 구성되어 외측봉이 내측봉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본체(11)를 좌우로 이동시켜 도어트림(100)에 밀착시키거나 도어트림(100) 외측으로 연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1연장부(12)는 본체(11)의 가이드부(11a)를 따라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가이드부(11a)를 따라 도 1 기준으로 좌우로 이동함으로써 가이드부(11a)에 인입되거나, 가이드부(11a)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암레스트부(10)를 차량 내측으로 연장하는 역할을 한다.
제2연장부(13)는 연결부(14)를 통해 제1연장부(12)와 결합되며, 상하단면에 팔걸이부(13a) 및 수납부(13b)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2연장부(13)는 연결부(14)와 힌지축(15)을 통해 제1연장부(12)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연장부(13)는 연결부(14)와 회전축(16)을 통해 제1연장부(12)에 대해서 스위블 동작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이에 따라 연결부(14)가 힌지축(15)을 통해 회동하여 제1연장부(12)의 상부에 포개어짐과 동시에 연결부(14)를 통해 제1연장부(12)와 결합된 제2연장부(13)도 함께 회동하여 제1연장부(12)의 상부에 포개어지게 된다.
또한, 제2연장부(13)는 연결부(14)에 회전축(16)을 통해 결합되어 스위블 동작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제2연장부(13)를 스위블 동작을 통해 상하 반전시킴으로써 팔걸이부(13a)가 상단에 위치하도록 하여 탑승자가 팔을 받치는 용도로도 사용이 가능하고, 제2연장부(13)의 수납부(13b)가 상단에 위치하도록 하여 다양한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는 수납용도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수납부(13b)에 스마트폰의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폰 무선충전 시스템(미도시)을 형성하여 스마트폰의 무선충전 용도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레일(20)은 도어트림(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암레스트부(10)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하며, 레일(20)의 내측 공간에는 암레스트부(1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성인 제1승강판(30) 및 제2승강판(40)이 형성된다.
제1승강판(30)은 연장봉(50)을 통해 암레스트부(10)의 본체(11)에 연결되며, 하단에는 스프링(60)에 의해 상승하고 외력에 의해 하강하는 제2승강판(40)이 형성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승강판(30) 및 제2승강판(40)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태의 홈부(30a)와 돌출부(40a)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레일(20)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1승강판(30)의 홈부(30a)와 제2승강판(40)의 돌출부(40a)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동시에 상하 이동함으로써 암레스트부(10)가 레일(20)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고, 수평방향으로 좌우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1승강판(30)의 홈부(30a)와 제2승강판(40)의 돌출부(40a)가 서로 분리되면서 제1승강판(30)만 좌우로 이동함으로써 암레스트부(10)가 레일(20)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레일(20)의 내측 공간에는 돌출부(70) 및 단턱(80)이 형성되며, 돌출부(70)는 레일(20)의 내측 공간의 하단 양측면에 형성되어 평상시에는 인출된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제2승강판(40)의 상단과 맞닿아 제2승강판(40)이 상승하지 못하도록 하고, 탑승자가 외부의 버튼(미도시)를 조작하면 인입되어 하단에 걸려있던 제2승강판(40)이 스프링(60)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하도록 한다.
단턱(80)은 레일(20)의 내측 공간의 상단 양측면에 형성되어 스프링(60)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하는 제2승강판(40)의 상승 높이를 제한함으로써 제2승강판(40)의 상단에서 함께 상승하는 제1승강판(30)이 레일(20) 내측 공간의 상단면과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버튼(미도시) 조작에 의한 돌출부(70)의 인입 및 인출 동작은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스위블 타입 무빙 암레스트의 동작 과정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평상시에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된 돌출부(70)의 하단에 제2승강판(40)이 걸려 있는 상태로 제2승강판(40), 제1승강판(30) 및 암레스트부(10)의 상승이 제한되어 암레스트부(10)가 도어트림(100)의 기능부(110)와 인접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으며, 탑승자가 암레스트부(10)를 레일(20)을 따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돌출부(70)를 인입시키기 위한 버튼(미도시)을 누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70)가 인입됨에 따라 스프링(60)의 탄성력에 의해 홈부(30a)와 돌출부(40a)를 통해 서로 결합된 상태의 제1승강판(30) 및 제2승강판(40)이 동시에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승강판(30)과 연장봉(50)을 통해 연결된 암레스트부(10)도 동시에 상승하게 된다.
이후, 제2승강판(40)이 단턱(80)의 하단과 맞닿게 되면 제1승강판(30), 제2승강판(40) 및 암레스트부(10)가 상승을 멈추게 되고, 이 상태에서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가 암레스트부(10)을 잡고 직접 레일(20)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1승강판(30)의 홈부(30a)와 제2승강판(40)의 돌출부(40a)가 서로 분리되면서 제1승강판(30)만 좌우로 이동됨으로써 암레스트부(10)가 레일(20)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어 탑승자가 암레스트부(10)를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물론, 다시 원위치로 복귀 시에는 홈부(30a)와 돌출부(40a)가 결합되게 한 후 원위치 시키게 된다.
이때, 암레스트부(10)의 수평 방향 이동 시 레일(20)의 내측 공간에 형성된 구성들을 통해 암레스트부(10)를 상승시킨 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수납공간, 사이드도어 윈도우글라스의 승강스위치 등이 형성된 기능부(110)에 걸리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20)의 내부공간이 제1승강판(30)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레일(20)의 내부공간에 의해 제1승강판(30)이 지지되기 때문에 제1승강판(30)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때 흔들리지 않고 고정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암레스트부(10)를 레일(20)의 수평방향으로 원하는 위치에 이동시킨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봉(50)을 통해 암레스트부(10)를 일정 길이만큼 탑승자 쪽으로 인출시켜 사용이 가능하며, 이보다 더 연장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장부(12)를 본체(11)의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부(11a)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켜 원하는 만큼 인출시킨 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장부(12)가 본체(11)의 가이드부(11a)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인출된 상태에서 제1연장부(12)에 힌지축(15)을 통해 결합된 연결부(14)를 통해 제2연장부(13)를 회동시켜 펼침으로써 암레스트부(10)를 더 연장시킬 수 있으며, 제2연장부(13)는 회전축(16)을 통해 연결부(14)와 결합되어 스위블 동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블 동작을 통해 제2연장부(13)의 상하를 반전시킴으로써 팔걸이부(13a)가 상단에 위치하도록 하여 팔받침대로 사용하거나, 수납부(13b)가 상단에 위치하도록 하여 다양한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는 수납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수납부(13b)에 스마트폰의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폰 무선충전 시스템(미도시)을 형성하여 스마트폰의 무선충전 용도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 암레스트부(10)를 다시 원위치 시킬 때에는 제1연장부(12)를 본체(11)의 가이드부(11a)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켜 본체(11)의 내측으로 인입시키고 제2연장부(13)의 수납부(13b)가 상단에 오도록 회전시킨 후 힌지축(15)을 통해 연결부(14) 및 제2연장부(13)를 회동시켜 본체(11)의 상단에 놓이도록 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장부(12)는 본체(11)의 내부에 인입되고 제2연장부(13)는 본체(11)의 상단에 포개어진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탑승자가 암레스트부(1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승강판(30)의 홈부(30a)와 제2승강판(40)의 돌출부(40a)가 서로 결합되도록 한 후 돌출부(70)를 인입시키기 위한 버튼(미도시)를 누른 상태에서 암레스트부(10)를 잡고 하단 방향으로 내리면 암레스트부(11)와 연장봉(50)을 통해 연결된 제1승강판(30)과 단턱(80)의 하단에 맞닿아 있던 제2승강판(40)이 홈부(30a)와 돌출부(40a)를 통해 서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로 동시에 하강하게 되고 이후 버튼(미도시)에서 손을 때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70)가 인출되어 제2승강판(40)이 돌출부(70)의 하단과 맞닿아 상승하지 못하게 되면서 제2승강판(40)의 상단에 위치한 제1승강판(30)과 제1승강판(30)과 연결된 암레스트부(10)가 하단에 위치한 상태로 고정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스위블 타입 무빙 암레스트는 암레스트부를 도어트림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탑승자가 암레스트부를 원하는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하여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트림 내측에 형성된 승강판에 의해 암레스트부가 도어트림의 상단 방향으로 상승한 뒤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암레스트부가 이동 시 도어트림에 형성된 기능부에 걸리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암레스트부 본체의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부를 통해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제1연장부 및 제1연장부와 연결부를 통해 결합되어 회동이 가능한 제2연장부를 형성함으로써 탑승자가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를 통해 암레스트를 차량의 실내측으로 연장시킨 후 팔받침대, 테이블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회전축을 통해 제2연장부를 연결부에 결합함으로써 제2연장부의 스위블 동작이 가능하여, 스위블 동작을 통해 제2연장부의 상하를 반전시켜 팔받침대, 무선충전, 수납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 : 암레스트부
11 : 본체
11a : 가이드부
12 : 제1연장부
13 : 제2연장부
13a : 팔걸이부
13b : 수납부
14 : 연결부
15 : 힌지축
16 : 회전축
20 : 레일
30 : 제1승강판
30a : 홈부
40 : 제2승강판
40a : 돌출부
50 : 연장봉
60 : 스프링
70 : 돌출부
80 : 단턱
100 : 도어트림
110 : 기능부

Claims (1)

  1. 차량에 탑승한 승객이 팔을 올려놓을 수 있는 암레스트부; 및
    도어트림에 형성되어 상기 암레스트부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암레스트부는,
    내측에 가이드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좌우로 이동하여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인출되거나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제1연장부;
    상단 및 하단에 팔걸이부 및 수납부가 형성된 제2연장부;
    상기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가 각각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연결부가 힌지축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것이고,
    상기 암레스트는,
    상기 레일의 내측 공간에 형성되며 연장봉을 통해 상기 암레스트부와 연결되는 제1승강판; 및
    상기 제1승강판의 하단에 형성되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승강판 및 상기 암레스트부를 상승시키는 제2승강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연장부와 상기 연결부가 회전축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제2연장부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스위블 동작이 가능하며,
    상기 레일의 내측 공간에는 돌출부 및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레일의 내측 공간의 하단 양측면에 형성되어 평상시에는 인출된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2승강판의 상단과 맞닿아 상기 제2승강판의 상승을 억제하고, 버튼을 조작하면 인입되어 하단에 걸려있던 상기 제2승강판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자동차용 스위블 타입 무빙 암레스트.
KR1020210039311A 2019-07-16 2021-03-26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자동차용 스위블 타입 무빙 암레스트 KR102262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311A KR102262162B1 (ko) 2019-07-16 2021-03-26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자동차용 스위블 타입 무빙 암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677A KR102243173B1 (ko) 2019-07-16 2019-07-16 자동차용 스위블 타입 무빙 암레스트
KR1020210039311A KR102262162B1 (ko) 2019-07-16 2021-03-26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자동차용 스위블 타입 무빙 암레스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677A Division KR102243173B1 (ko) 2019-07-16 2019-07-16 자동차용 스위블 타입 무빙 암레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8505A KR20210038505A (ko) 2021-04-07
KR102262162B1 true KR102262162B1 (ko) 2021-06-08

Family

ID=75469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9311A KR102262162B1 (ko) 2019-07-16 2021-03-26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자동차용 스위블 타입 무빙 암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21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5025A (ko) 2021-04-21 2022-10-28 (주)대한솔루션 테이블로 이용할 수 있는 자율주행차 시트용 암레스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711U (ko) * 1994-07-15 1996-02-16 글로브 박스의 유격흡수판
KR960017001U (ko) * 1994-11-07 1996-06-17 아암 레스트
KR0120006B1 (ko) * 1995-05-31 1997-10-22 김태구 도어 암레스트의 가이드식 간이 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8505A (ko) 2021-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106286U (zh) 可调节车辆杯架组件和车辆杯架组件
KR102262162B1 (ko)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자동차용 스위블 타입 무빙 암레스트
US3594036A (en) Vehicles with sliding doors
CN111532211A (zh) 一种汽车内饰件
KR102243173B1 (ko) 자동차용 스위블 타입 무빙 암레스트
CN110143162B (zh) 一种汽车用储物盒式杯托
KR102262161B1 (ko) 스마트폰의 충전이 가능한 자동차용 스위블 타입 무빙 암레스트
KR102352221B1 (ko) 승강이 가능한 자동차용 스위블 타입 무빙 암레스트
KR101926382B1 (ko) 자동차의 콘솔 테이블 지지장치
KR101494800B1 (ko) 절첩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CN214215632U (zh) 一种汽车副仪表板储物结构及车辆
CN206575485U (zh) 一种具有智能手机控制的汽车音响
KR102257592B1 (ko)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킨 능동형 암레스트를 갖는 도어트림
CN207433226U (zh) 一种电动轿车轿车门体内总成
CN107139796B (zh) 一种用于汽车的杯托
WO2016011285A1 (en) Low-profile storage assembly for a vehicle
KR102160577B1 (ko) 능동형 암레스트를 갖는 도어트림
JP4648090B2 (ja) 自動車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
CN212047092U (zh) 汽车车身自动延长系统
CN210139798U (zh) 便于收纳的隐藏式桌板
JPH0724272Y2 (ja) サンルーフのシェード装置
CN210258154U (zh) 一种汽车用储物盒式杯托
CN218907116U (zh) 保持装置及装饰元件
CN110329160A (zh) 一种汽车储物箱
KR101172138B1 (ko) 콘솔 암레스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