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1529B1 - 차량 측면 충돌 시 도어 열림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측면 충돌 시 도어 열림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1529B1
KR102261529B1 KR1020150022173A KR20150022173A KR102261529B1 KR 102261529 B1 KR102261529 B1 KR 102261529B1 KR 1020150022173 A KR1020150022173 A KR 1020150022173A KR 20150022173 A KR20150022173 A KR 20150022173A KR 102261529 B1 KR102261529 B1 KR 102261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collision
vehicle
blocking
door
doo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2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9901A (ko
Inventor
송하종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2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1529B1/ko
Publication of KR20160099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9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12Automatic locking or unlock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측면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양 방향성 관성에 의해 도어 개방 현상을 방지하는 도어 차량 측면 충돌시 도어 열림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바, 아웃사이드 핸들과 연결되어 구성되는 스트로크부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 양방향 회전할 수 있는 한 쌍의 블로킹 레버를 구성하고, 상기 스트로크부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서로 접촉하여 위치하는 블로킹 레버를 제공하는 측면 충돌 시 도어 열림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충돌 시 도어 열림 방지장치는 중공부를 포함하는 스트로크부 및 정지부를 포함하는 스트로크부를 제공하는바, 블로킹 레버가 스트로크부와 수직으로 위치하여, 스트로크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측면 충돌 시 도어 열림 방지장치{Door open preventing device in broad side collision}
본 발명 차량 측면 충돌 시 도어 열림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측면 충돌 시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을 움직임을 구속하여 도어의 열림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바람직하게, 도어 내부에 다수의 블로킹 레버를 위치하여, 측면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관성에 의해 아웃사이드 핸들과 연결된 스트로크의 움직임을 제한하는바, 차량의 측면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차량 도어의 개방을 방지하는 도어 열림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사고가 발생함에 있어서, 차량 내부의 운전자 및 동승자의 안전이 중요한 요소로 판단되는바, 차량의 측면 충돌 시 승객의 안전을 위하여 관련된 법규 및 상품성 시험을 실시하고 있다. 특히 측면 충돌 시에는 승객의 상해뿐만 아니라 승객이 충돌 중 차량 밖으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품성 시험 시, 도어가 물리적으로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엄격한 규제가 적용되고 있다.
만약 위의 측면 충돌 시험에서 차량의 도어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규제를 만족하지 못하게 되는바, 상품성 홈페이지에 도어 문 열림에 대한 문구가 개재되는 등 엄격하게 규제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아웃사이드 핸들의 구조상 충돌시 발생하는 가속도에 의해 핸들이 바깥쪽으로 빠지는 형태의 도어 개방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즉, 측면 충돌 시, 문을 여는 방향으로 관성이 발생하게 되면 도어가 개방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종래에는 아웃사이드 핸들이 움직일 수 있는 관성보다 작은 관성으로 회전할 수 있는 블로킹 레버를 내부에 별도 장착하여 충돌시 아웃사이드 핸들이 빠지는 현상을 막아 문열림을 방지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 아웃사이드 핸들 구조물에 발생하는 가속도는 한쪽 방향이 아닌 양방향으로 발생하고, 특히 블로킹 레버는 작은 관성에도 회전할 수 있게 설계되기 때문에, 아웃사이드 핸들의 이동을 막아줄 수 없는 위치에 이를 수 있다. 실제 블로킹 레버가 장착된 차량에도 문 열림 문제가 발생한 사례가 있다.
도 1은 상기와 같이 아웃사이드 핸들의 이동을 막아주지 못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도시하고 있다.
선행 기술로서, 이와 같이, 차량의 측면 충돌 시 도어의 열림을 방지하는 장치는 한국등록특허 10-0792931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다만, 상기 개시된 선행 기술에 의거, 차량의 측면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양방향으로 작용하는 관성에 의해 블로킹 레버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아우사이드 핸들의 외측 이동을 제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하며, 상기와 같이, 아웃사이드 핸들이 외측으로 이동할 경우,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차량 도어가 개방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차량 측면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양 방향성 관성에 의해 도어 개방 현상을 방지하는 도어 차량 측면 충돌시 도어 열림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차량의 측면 충돌에 의해 도어 개방시 발생하는 이차적인 상해를 방지하고 측면 충돌의 발생에 따른 승객의 안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더욱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차량 도어 외부에 위치하는 아웃사이드 핸들; 상기 차량 도어 내부에 위치하고, 일단부가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과 연결되고, 타단부에 돌출된 정지부를 포함하는 스트로크부; 상기 차량 도어 내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블로킹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블로킹 레버는 측면 충돌 시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 보다 먼저 회전하고, 상기 각각의 블로킹 레버의 일단부가 서로 접하여 억지 끼움 결합구조를 형성하여 상기 정지부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하여 상기 스트로크부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며, 서로 접하는 상기 블로킹 레버의 단부에 위치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블로킹 레버의 단부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돌출된 상기 고정부의 단면은 일정한 곡률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와 접하는 상기 다른 블로킹 레버의 단부는 상기 고정부와 억지 끼움이 가능하도록 오목한 형태의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측면 충돌 시 도어 열림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블로킹 레버 내부의 탄성부재와 체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측면 충돌 시 도어 열림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블로킹 레버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측면 충돌 시 도어 열림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블로킹 레버의 양 끝단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측면 충돌 시 도어 열림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블로킹 레버의 외측면과 접하는 위치하여, 상기 스트로크 정지부의 이동경로 방향으로만 상기 각각의 블로킹 레버가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측면 충돌 시 열림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측면 충격에도 도어의 개방을 억제하는 차량 측면 충돌시 도어 열림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바,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양 방향성 관성에도 아웃사이드 핸들과 연결된 스트로크부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도어 개방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차량에 가해지는 측면 충격에 의해 도어가 개방될 경우, 승객에게 가해지는 이차사고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더욱이, 종래에 설치되어 있는 차량 도어에 적용할 수 있는 차량 측면 충돌시 도어 열림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바, 제조공정상에 시간 및 경제성 측면에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기술로서 측면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차량 도어 개방 방지장치의 작동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열림 방지장치에서, 차량 도어의 측면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발생하는 양방향 가속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열림 방지장치에서, 차량 도어의 측면 충돌이 없는 경우, 아웃사이드 핸들의 움직임에 따른 작동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열림 방지장치에서, 차량 도어의 측면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도어 열림 방지장치의 작동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열림 방지장치에서, 차량 도어의 측면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도어 열림 방지장치의 측면 작동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 측면 충돌 시 도어 열림 방지장치의 경우, 차량의 측면 충격에도 도어의 개방을 억제하는 차량 측면 충돌시 도어 열림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바,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양 방향성 관성에도 아웃사이드 핸들(1)과 연결된 스트로크부(2)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도어 개방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따라서, 차량의 측면 충격에 따라 아웃사이드 핸들(1)이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관성을 받아 충격이 가해진 차량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바, 사고에 따른 이차적 피해 및 승객의 상해를 예방할 수 있다.
도 2는 차량의 측면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충격이 가해진 차량의 도어에 부착되어 있는 아웃사이드 핸들(1)의 가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그래프와 같이, 차량의 외측 도어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관성에 의거, 아웃사이드 핸들(1)은 양방향 가속도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아웃사이드 핸들(1)의 외부 쪽으로 발생하는 가속도의 영향으로, 하나의 블록킹 레버로 구성된 도어 개방 방지장치의 경우, 차량의 충격부 도어가 개방되는 결과를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에 차량의 외측으로 발생하는 가속도를 고려하여, 도어 열림 방지장치를 고안하는 경우, 충격에 따라 내측으로 발생하는 가속도에 의거, 그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결과가 발생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열림 방지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측면 충격 시 도어 열림 방지장치는 도어에 위치하는 아웃사이드 핸들(1), 아웃사이드 핸들(1)과 연결되는 스트로크부(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트로크부(2)는 일단부가 아웃사이드 핸들(1)과 연결되고, 타단부는 차량 도어 내부의 도어 개방을 위한 구성들과 연결되어, 아웃사이드 핸들(1)에 차량 외부 방향으로 일정한 힘을 가할 경우,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1)과 연결된 스트로크부(2)에 일정한 힘을 전달하여 차량의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크부(2)는 아웃사이드 핸들(1)과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스트로크부(2) 일단부는 아웃사이드 핸들(1)과 결합되는 구성을 포함한다. 측면 충격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차량 도어를 개방함에 있어서, 아웃사이드 핸들(1)에 차량 도어 외측 방향으로 일정강도 이상의 장력을 가하는 경우, 아웃사이드 핸들(1)에 연결되어 구성되는 스트로크부(2) 역시 일정한 장력을 전달받게 되고, 스트로크부(2)의 타단부와 연결된 차량 도어 내부의 개방 유닛을 구동하여, 도어를 개방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스트로크부(2)는 차량 내부방향 일단부에 정지부(4)를 포함하고 있는바, 상기 정지부(4)는 스트로크부(2)의 적어도 일면 방향 외부로 돌출되는 구성을 포함한다. 이렇게 구성된 정지부(4)는 한 쌍의 블로킹 레버(3)가 회전하여, 상기 정지부(4)의 이동경로 상에 결합구조를 구성하고, 정지부(4)의 이동을 간섭하는바, 스트로크부(2)의 이동을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측면 충격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차량 도어 내부에 위치하는 블로킹 레버(3)는 스트로크부(2)의 움직임을 제한하지 않는바,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위치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로킹 레버(3)는 적어도 한쌍으로 구성되어 있는바, 측면 충격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스트로크부(2)를 중심으로 대칭되어 구성되며, 스트로크부(2)와 평행하게 위치한다.
더욱이, 블로킹 레버(3)의 경우, 아웃사이드 핸들(1)을 작동하기 위한 관성보다 작은 관성에도 회전이 가능하며, 측면 충격이 발생한 경우, 아웃사이드 핸들(1)의 작동 이전에 블로킹 레버(3)의 회전을 수행한다. 상기 블로킹 레버(3)는 한쌍으로 구성되는바, 각각의 블로킹 레버(3)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각각의 블로킹 레버(3)는 일정한 회전궤적으로 가지고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회전궤적의 적어도 한 지점 이상에서 서로 접하는 이동 경로를 포함한다. 따라서, 관성에 의해 각각의 블로킹 레버(3)가 회전하는 경우, 억지 끼움 형태의 결합구조를 체결하는바, 결합구조를 유지하기 위한 일정한 장력을 제공하는 고정부(5)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5)는 한 쌍의 블로킹 레버의 적어도 일단부에 위치하고, 한 쌍의 블로킹 레버가 접하는 단부에 돌출되어 위치하는바, 고정부(5)가 접하는 부분은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것을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부(5)의 곡률을 갖는 면과 접하는 타 블로킹 레버의 단부는 상기 고정부(5)의 곡률면과 대응되는 오목한 곡률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곡률을 포함하는 돌출된 고정부(5)와 상기 고정부(5)와 접하며 오목한 형태의 곡률을 갖는 블로킹 레버의 일 단부는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구성을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외부 충격이 발생한 경우, 도어 열림 방지장치의 작동도를 도시하고 있다.
차량 도어 측면에 외부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아웃사이드 핸들(1)은 외부 방향으로 관성이 발생한다. 즉, 충격이 가해진 반대 방향으로 관성력이 발생한다. 상기 관성에 의거하여 아웃사이드 핸들(1) 및 아웃사이드 핸들(1)과 연결된 스트로크부(2)에 일정한 장력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경우, 상기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충격에 의해 관성력은 양방향으로 발생하는바, 적어도 한 쌍을 이루는 각각의 블로킹 레버(3)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 충격에 의해 발생한 관성에 의거하여, 아웃사이드 핸들(1)보다 더 작은 관성에 회전할 수 있는 적어도 한 쌍의 블로킹 레버(3)는 아웃사이드 핸들(1)이 당겨지기 이전에 회전을 수행하여, 아웃사이드 핸들(1)이 차량 도어 외측으로 이격되기 이전에 각각의 블로킹 레버(3) 일단부는 서로 접촉하는 형태를 취한다. 더 바람직하게, 각각의 블로킹 레버(3)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을 수행함에 있어서 각각의 회전궤적은 적어도 한 지점에서 접하는 회전 경로를 포함하는바, 블로킹 레버(3)가 정지부(4)의 이동경로 상에 결합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억지 끼움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억지 끼움 구조로 결합구조가 형성되는 블로킹 레버(3)의 접촉 단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5)를 형성한다.
더욱이, 상기 고정부(5)는 블로킹 레버(3)에 돌출된 형태를 구성하며, 타 블로킹 레버(3)와 접하는 면의 일정한 곡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5)를 포함하는 블로킹 레버(3)의 회전을 통해 타 블로킹 레버(3)와 접촉하는 타 블로킹 레버(3)의 단부는 억지 끼움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고정부(5)에 대응되는 오목한 형태의 곡률을 갖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각각의 블로킹 레버(3) 외측면에 위치하는 방지부(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지부(7)는 블로킹 레버(3)의 외측면에 접하여 위치하고, 블로킹 레버(3)가 스트로크부(2) 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도록 블로킹 레버(3)의 회전 방향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블로킹 레버(3)는 스트로크부(2) 방향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스트로크부(2) 반대 방향으로 회전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방지부(7)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5)는 블로킹 레버(3)들이 접촉되는 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며, 블로킹 레버(3) 내부에 위치하는 탄성부재(6)와 접촉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6)는 블로킹 레버(3)들이 회전을 통해 서로 억지 끼움 형태로 결합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접촉부위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더 바람직하게, 억지 끼움 형태의 결합구조를 유지하기 위해서 서로 접하는 각각의 블로킹 레버(3)에 장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스트로크부(2)는 아웃사이드 핸들(1)과 연결되는 타단부에 위치하는 돌출형태의 정지부(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트로크부(2)의 돌출된 정지부(4)의 이동 경로 상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블로킹 레버(3) 결합구조를 구성하여, 결합구조의 블로킹 레버(3)는 도어 개방시 정지부(4)의 이동 경로를 간섭하여 스트로크부(2)의 이동을 제한한다.
도 5는 스트로크부(2)의 일 단부에 정지부(4)를 포함하는 구성과 블로킹 레버(3)간의 간섭되는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정지부(4)를 포함하는 스트로크부(2)와 블로킹 레버(3)를 구성하는 도어 열림 방지 장치의 경우, 정지부(4)는 스트로크부(2)의 일면에서 돌출되는 구조를 포함한다. 따라서, 측면 충격에 의한 관성이 발생한 경우, 한 쌍 이상의 블로킹 레버(3)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운동을 수행하는바, 스트로크부(2)의 일면에 인접하여 정지부(4)의 이동 경로에 수직인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스트로크 정지부(4)의 이동 경로와 간섭이 생기는 스트로크부(2) 일면 상에 블로킹 레버(3)가 결합 구조를 형성하는바, 아웃사이드 핸들(1)이 작동하는 경우, 정지부(4)와 블로킹 레버(3)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아웃사이드 핸들(1)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도어의 개방을 방지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기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기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아웃사이드 핸들
2: 스트로크부
3: 블로킹 레버
4: 정지부
5: 고정부
6: 탄성부재
7: 방지부

Claims (7)

  1. 차량 도어 외부에 위치하는 아웃사이드 핸들;
    상기 차량 도어 내부에 위치하고, 일단부가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과 연결되고, 타단부에 돌출된 정지부를 포함하는 스트로크부;
    상기 차량 도어 내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블로킹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블로킹 레버는 측면 충돌 시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 보다 먼저 회전하고, 상기 각각의 블로킹 레버의 일단부가 서로 접하여 억지 끼움 결합구조를 형성하여 상기 정지부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하여 상기 스트로크부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며,
    서로 접하는 상기 한 쌍의 블로킹 레버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위치하여, 측면 충돌시 상기 정지부의 이동경로 상에 상기 한 쌍의 블로킹 레버가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측면 충돌 시 도어 열림 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블로킹 레버 내부의 탄성부재와 체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측면 충돌 시 도어 열림 방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블로킹 레버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측면 충돌 시 도어 열림 방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블로킹 레버의 양 끝단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측면 충돌 시 도어 열림 방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블로킹 레버의 외측면과 접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각각의 블로킹 레버가 상기 스트로크부의 이동경로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측면 충돌 시 열림 방지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한쌍의 블로킹 레버 중 하나의 단부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돌출된 상기 고정부의 단면은 일정한 곡률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와 접하는 상기 한 쌍의 블로킹 레버 중 다른 하나의 단부는 상기 고정부와 억지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오목한 형태의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측면 충돌 시 도어 열림 방지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한 곡률을 갖는 상기 고정부와 오목한 형태의 곡률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와 접하는 상기 타 블로킹 레버의 단부는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측면 충돌 시 도어 열림 방지장치.





KR1020150022173A 2015-02-13 2015-02-13 차량 측면 충돌 시 도어 열림 방지장치 KR102261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173A KR102261529B1 (ko) 2015-02-13 2015-02-13 차량 측면 충돌 시 도어 열림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173A KR102261529B1 (ko) 2015-02-13 2015-02-13 차량 측면 충돌 시 도어 열림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9901A KR20160099901A (ko) 2016-08-23
KR102261529B1 true KR102261529B1 (ko) 2021-06-04

Family

ID=56875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2173A KR102261529B1 (ko) 2015-02-13 2015-02-13 차량 측면 충돌 시 도어 열림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15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7147B1 (ko) 2016-09-12 2018-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DE102017101418A1 (de) * 2017-01-25 2018-07-26 Daimler Ag Türgriffanordnung für eine Fahrzeugtür
CN108843158A (zh) * 2018-07-31 2018-11-20 宁波华德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把手惯性锁止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14115A (ja) 2013-07-04 2015-01-22 株式会社アルファ 車両のドア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14115A (ja) 2013-07-04 2015-01-22 株式会社アルファ 車両のドア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9901A (ko) 2016-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7399B2 (en) Device for prevention of door opening during roll-over
US9863170B2 (en) Structure of hood latch for vehicle
KR100893442B1 (ko) 오픈 방지 구조를 갖는 차량용 트레이
KR102261529B1 (ko) 차량 측면 충돌 시 도어 열림 방지장치
US9969345B2 (en) Energy absorbing strap retaining device
KR101827147B1 (ko)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US20150123410A1 (en) Door holding device for vehicle
US9689184B2 (en) Door outside handle for vehicle
EP2942461B1 (en) Vehicle latch activation system and motor vehicle comprising such vehicle latch activation system
KR20110135548A (ko) 백업레버를 갖는 자동차용 도어래치
KR101592792B1 (ko) 자동차용 후드 힌지 장치
JP4397704B2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JP4431500B2 (ja) 歩行者の衝撃を緩和することを可能にする自動車のボンネット用ロック装置
US20160312510A1 (en) Safety device for spring-loaded mechanism
KR102022851B1 (ko) 사고시 비상 탈출용 버스 창문 구조
WO2017018962A2 (en) A cabin lock mechanism
CN107002429A (zh) 用于机动车辆门扇的锁闩
KR101020487B1 (ko) 자동차용 후드의 액티브 힌지장치
CN112983150B (zh) 动态锁机构
KR102128317B1 (ko) 자동차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열림 방지구조
KR101360337B1 (ko)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장치
KR101964243B1 (ko) 차량의 측면 충돌에 의한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열림 방지 장치
EP3569432B1 (en) Vehicle roof top crash opening prevention
JP6552220B2 (ja) インスツルメントパネル
JP6756968B2 (ja) 車両内装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