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1528B1 - 볼스터드 자동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볼스터드 자동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1528B1
KR102261528B1 KR1020200156464A KR20200156464A KR102261528B1 KR 102261528 B1 KR102261528 B1 KR 102261528B1 KR 1020200156464 A KR1020200156464 A KR 1020200156464A KR 20200156464 A KR20200156464 A KR 20200156464A KR 102261528 B1 KR102261528 B1 KR 102261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stud
inspection
fixing
fixing plate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6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순
김문철
Original Assignee
(주)이화테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화테크원 filed Critical (주)이화테크원
Priority to KR1020200156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15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15Objects of complex shape, e.g. examined with use of a surface follower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54Grading and classifying of fla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87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based on image processing techniqu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스터드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불량 유무를 자동으로 검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검사 작업의 신뢰도 및 작업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볼스터드 자동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베이스 프레임(20)과; 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20) 상에 설치되고, 볼스터드(100)가 안치되어 회전되는 안치수단(30)과; 상기 안치수단(30)에 안치된 상기 볼스터드(100)를 이탈시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40)과; 상기 이송수단(40)으로부터 상기 볼스터드(100)를 전달받고,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50)과; 상기 회전수단(50)에 의해 회전되어 공급된 상기 볼스터드(100)의 형상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볼스터드(100)의 불량 유무를 판별하기 위한 검사수단(60)과; 상기 안치수단(30), 이송수단(40), 회전수단(50) 및 검사수단(6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볼스터드 자동 검사장치{Ball stud automatic inspection device}
본 발명은 볼스터드 자동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볼스터드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불량 유무를 자동으로 검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검사 작업의 신뢰도 및 작업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볼스터드 자동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스터드(Ball Stud)는 구조용강재를 어닐링(Annealing:풀림) 처리하여 헤드부와 하단부 및 테이퍼부로 구성되고 구상화된 단조품을 형성하고, 냉간단조품을 다시 QT열처리 후 핀 홀을 가공하고 나사 전조 후 표면처리하고 CNC에서 절삭가공 공정을 통해 볼스터드는 가공되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볼스터드는 단조공정, Q&T 열처리공정, 핀홀 가공공정, 나사 전조공정, 표면처리공정, CNC 구가공 공정을 통해 가공되어진 볼스터드는 각각의 가공공정 중 기계 정밀도에 따른 치수 편차, 낙하, 부딪힘 등으로 인해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제품의 치수편차, 찍힘 등 불량이 발생함에 따라 작업자는 완성된 제품에 대하여 불량 여부를 검사하게 되었다.
제품의 불량 여부를 검사시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볼스터드(100)를 개별적으로 검사장치에 투입하여 검사하게 되는데, 이때, 수작업으로 위치를 조정함에 따라 검사시간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볼스터드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불량 유무를 자동으로 검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검사 작업의 신뢰도 및 작업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볼스터드 자동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특히, 볼스터드를 투입 후 검사수단을 통해 불량 여부를 판별하고, 정상의 볼스터드와 불량의 볼스터드를 별도로 분리함에 따라 검사 작업의 신뢰도 및 작업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볼스터드 자동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베이스 프레임(20)과; 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20) 상에 설치되고, 볼스터드(100)가 안치되어 회전되는 안치수단(30)과; 상기 안치수단(30)에 안치된 상기 볼스터드(100)를 이탈시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40)과; 상기 이송수단(40)으로부터 상기 볼스터드(100)를 전달받고,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50)과; 상기 회전수단(50)에 의해 회전되어 공급된 상기 볼스터드(100)의 형상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볼스터드(100)의 불량 유무를 판별하기 위한 검사수단(60)과; 상기 안치수단(30), 이송수단(40), 회전수단(50) 및 검사수단(6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볼스터드 자동 검사장치에서 상기 안치수단(30)은 구동모터(31)와;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구동모터(31)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테이블(32)과; 상기 볼스터드(100)가 삽입되도록 2열종대로 삽입홀(331)이 형성된 블럭(33)을 포함하여, 상기 블럭(33)은 상기 회전테이블(32) 상에서 방사형으로 복수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볼스터드 자동 검사장치에서 상기 이송수단(40)은 하부가 상기 안치수단(30)의 후측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라켓(41)과; 상기 안치수단(30)에 안치된 상기 볼스터드(100)를 고정 후 이탈시켜 직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이탈부(42)와; 일측 하부에 상기 이탈부(42)가 고정되고, 상기 이탈부(42)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이동부재(43)와; 일측에 상기 상하이동부재(43)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고정브라켓(41)에 결합되며, 상기 상하이동부재(43)를 수평이동시키기 위한 수평이동부재(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볼스터드 자동 검사장치에서 상기 수평이동부재(44)는 타측이 상기 고정브라켓(41)에 고정되는 고정판(441)과; 상기 고정판(441)의 일측 상하로 이격되어 결합되는 레일(442)과; 상기 레일(442) 사이에 배치되고, 구동모터(443)에 의해 수평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상하이동부재(43)가 결합되는 결합구(444)를 갖는 스크류봉(4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볼스터드 자동 검사장치에서 상기 회전수단(50)은 구동모터(51)와;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전,후,좌,우 방향으로 돌출부(521)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모터(51)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52)과; 상기 회전판(52)의 돌출부(521)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이송수단(40)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볼스터드(100)를 전달받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53)와; 상기 고정부재(53)에 고정된 상기 볼스터드(100) 중 상기 검사수단(60)에 의해 검사완료된 상기 볼스터드(100)를 고정부재(53)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한 실린더(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볼스터드 자동 검사장치에서 상기 회전수단(50)의 고정부재(53)는 상기 볼스터드(100)의 하부를 받치기 위한 하부고정판(531)과; 상기 하부고정판(531)의 상부에서 상기 실린더(54)에 의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볼스터드(100)의 상부를 고정하는 상부고정판(5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볼스터드 자동 검사장치에 의하면, 볼스터드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불량 유무를 자동으로 검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검사 작업의 신뢰도 및 작업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볼스터드를 투입 후 검사수단을 통해 불량 여부를 판별하고, 정상의 볼스터드와 불량의 볼스터드를 별도로 분리함에 따라 검사 작업의 신뢰도 및 작업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수작업으로 볼스터드의 불량 여부를 판별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볼스터드 자동 검사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볼스터드 자동 검사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볼스터드 자동 검사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볼스터드 자동 검사장치에서 안치수단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볼스터드 자동 검사장치에서 이송수단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볼스터드 자동 검사장치에서 회전수단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볼스터드 자동 검사장치에서 검사수단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2 내지 도 8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2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볼스터드 자동 검사장치(10)는 베이스 프레임(20), 안치수단(30), 이송수단(40), 회전수단(50), 검사수단(60) 및 컨트롤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볼스터드 자동 검사장치(10)에 의해 검사되는 볼스터드(100)는 헤드부와 하단부 및 테이퍼부로 구성되지만,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하단부 및 테이퍼부를 하단부로 통칭하도록 한다. 즉, 볼스터드(100)는 헤드부와 하단부로 구성되어 진다.
베이스 프레임(20)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이 설치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지지대 역할을 하는 수직프레임(21), 수평프레임(22)과 안치수단(30), 이송수단(40), 회전수단(50)이 고정 설치되는 받침프레임(23)으로 구성하였다.
안치수단(30)은 볼스터드(100)가 안치되는 것으로, 베이스 프레임(20)의 받침프레임(23)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1)와,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져 구동모터(31)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테이블(32)과, 볼스터드(100)가 삽입되도록 2열종대로 삽입홀(331)이 형성된 블럭(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블럭(33)은 회전테이블(32) 상에서 방사형으로 복수개로 형성되어 진다. 여기서, 볼스터드(100)를 블럭(33)의 삽입홀(331)에 삽입시에는 작업자가 삽입하도록 하고, 볼스터드(100)의 하단부 및 테이퍼부가 블럭(33)의 삽입홀(331)에 삽입되고, 헤드부는 상부로 돌출되도록 한다.
한편, 회전테이블(32) 상에는 2열종대로 삽입홀(321)이 방사형으로 복수개로 형성되고, 회전테이블(32)의 삽입홀(321)과 대응되도록 블럭(33)의 삽입홀(331)이 위치되어 볼스터드(100)가 삽입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블럭(33)을 회전테이블(32)의 삽입홀(321)과 대응되도록 위치시키는 것은 작업자가 볼스터드(100)를 회전테이블(32)의 삽입홀(321)에 바로 삽입시 삽입홀(321)의 주변에 충격을 가하면서 삽입하므로 회전테이블(32)이 파손시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블럭(33)을 위치시켜 차후 블럭(33)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교체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송수단(40)은 안치수단(30)의 블럭(33)의 삽입홀(331)에 삽입된 볼스터드(100)를 이탈시켜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하부가 안치수단(30)의 회전테이블(32)의 후측에서 베이스 프레임(20)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라켓(41)과, 안치수단(30)의 블럭(33)의 삽입홀(331)에 삽입된 볼스터드(100)를 고정 후 이탈시켜 직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이탈부(42)와, 일측 하부에 이탈부(42)가 고정되고, 이탈부(42)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이동부재(43)와, 일측에 상하이동부재(43)가 결합되고, 타측이 고정브라켓(41)에 결합되며, 상하이동부재(43)를 수평이동시키기 위한 수평이동부재(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탈부(42)는 양측으로 이격되어 내측에 볼스터드(100)의 헤드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홈(421)을 갖는 고정구(422)와, 고정구(422)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구가 내장되고, 직각으로 회전을 위한 모터가 내장된 하우징(4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이탈부(42)의 직각회전은 수직되는 방향으로 직각 회전하는 것이다.
상하이동부재(43)는 일측 하부에 이탈부(42)의 하우징에 내장된 모터의 중심축이 고정되는 고정판(431)과, 타측 상부에 고정되는 이동구(432)와, 일측에 이동구(432)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타측에 수평이동부재(44)의 레일(442)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433)가 형성된 가이드부(434)를 포함한다. 이때, 가이드부(434)는 가이드(433) 사이에 수평이동부재(44)의 스크류봉(445) 상에 형성되는 결합구(444)가 결합되어 진다.
수평이동부재(44)는 타측이 고정브라켓(41)에 고정되는 고정판(441)과, 고정판(441)의 일측 상하로 이격되어 결합되는 레일(442)과, 레일(442) 사이에 배치되고, 구동모터(443)에 의해 수평이동가능하도록 상하이동부재(43)가 결합되는 결합구(444)를 갖는 스크류봉(44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회전수단(50)은 이송수단(40)에 의해 이송되는 볼스터드(100)를 회전시켜 검사수단(60)으로 투입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 프레임(20)의 받침프레임(23)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51), 회전판(52), 고정부재(53), 실린더(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회전판(52)은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전,후,좌,우 방향으로 돌출부(521)가 형성되고, 구동모터(51)에 의해 회전하도록 한다. 즉, 회전판(52)은 평면에서 보면 '+'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구동모터(51)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52)은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한편, 회전판(52)을 전,후,좌,우 방향 즉, '+'자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은 전,후,좌,우로 안치수단(30) 및 이송수단(40), 검사수단(60), 후술하는 정상보관부(55), 불량보관부(56)가 순차적으로 직각되는 방향으로 위치하기 때문이다.
고정부재(53)는 회전판(52)의 돌출부(521)의 상부에 결합되고, 이송수단(40)에 의해 이송되는 볼스터드(100)를 전달받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볼스터드(100)의 하부를 받치기 위한 하부고정판(531)과, 하부고정판(531)의 상부에서 실린더(54)에 의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볼스터드(100)의 상부를 고정하는 상부고정판(5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부고정판(531)은 회전판(52)의 돌출부(521)의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구(5311)와 결합구(5311)로부터 외측으로 형성되어 볼스터드(100)의 하부를 받치기 위한 받침구(5312)로 이루어진다. 이때, 받침구(5312)는 외측에서 중심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받침구(5312)는 2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안치수단(30)의 블럭(33)이 2열로 형성되므로 받침구(5312)도 2열로 형성되어 볼스터드(100)를 검사시 2개씩 검사하도록 한다.
상부고정판(532)은 하부고정판(531)의 결합구(5311)와 대응되도록 결합구(5321)가 형성되고, 결합구(5321)로부터 외측으로 형성되어 볼스터드(100)의 상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5322)로 이루어진다. 이때, 결합구(5321)는 하부고정판(531)의 상부에서 실린더(54)의 동작에 의해 상하로 안정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봉(533)이 관통하고, 고정구(5322)의 끝단은 하부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진다. 이는 볼스터드(100)를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부고정판(532)은 2개로 이루어져 하부고정판(531)의 상부에 위치된다. 이는 볼스터드(100)가 2개씩 이송되어 검사받는 것으로, 2개 중에서 하나가 불량으로 판별될 경우 불량으로 판별된 하나만 불량보관부(56)에 넣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부고정판(532)을 동작시키는 실린더(54)는 2개로 구성되는 상부고정판(532) 각각을 동작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실린더(54)는 고정부재(53)의 상부고정판(532)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부고정판(532)을 상하로 이동시켜 검사수단(60)에 의해 검사완료된 볼스터드(100)를 이탈시키도록 한다.
한편, 회전수단(50)은 검사수단(60)에 의해 정상으로 판별된 볼스터드(100)를 보관 및 저장할 수 있는 정상보관부(55)와, 불량으로 판별된 볼스터드(100)를 보관 및 저장할 수 있는 불량보관부(56)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검사수단(60)은 회전수단(50)에 의해 회전되어 공급된 볼스터드(100)의 형상정보를 비교하여 볼스터드(100)의 불량 유무를 판별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 프레임(20)의 일측 전면에 별도의 보조프레임(24)이 상부에 설치되어 진다. 즉, 회전수단(50)을 중심으로 안치수단(30) 및 이송수단(40)과 직각되는 방향에 설치되어 진다.
검사수단(60)은 정해진 규격의 볼스터드(100)의 정상형상정보가 저장된 저장메모리(61)를 갖고, 저장메모리(61)에 저장된 볼스터드(100)의 정상형상정보와 회전수단(50)에 의해 회전되어 투입되는 볼스터드(100)의 형상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62)를 가지며, 촬영부(62)에 의해 촬영된 볼스터드(100)의 형상정보를 비교하여 볼스터드(100)의 불량 유무를 판별하기 위한 연산처리기구(63) 및 연산처리기구(63)에서 판별된 볼스터드(100)의 불량 유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컨트롤러(70)는 안치수단(30), 이송수단(40), 회전수단(50) 및 검사수단(6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볼스터드 자동 검사장치에 의하면, 볼스터드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불량 유무를 자동으로 검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검사 작업의 신뢰도 및 작업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볼스터드를 투입 후 검사수단을 통해 불량 여부를 판별하고, 정상의 볼스터드와 불량의 볼스터드를 별도로 분리함에 따라 검사 작업의 신뢰도 및 작업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볼스터드 자동 검사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하면, 안치수단(30)의 블럭(33)의 삽입홀(331)에 작업자에 의해 볼스터드(100)가 삽입되면, 이송수단(40)의 이탈부(42)의 고정구(422)는 볼스터드(100)의 헤드부를 고정하고, 이탈부(42)는 직각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후, 이송수단(40)의 상하이동부재(43)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고, 수평이동부재(44)에 의해 회전수단 (50)방향으로 수평이동 하게 된다. 이송수단(40)에 의해 볼스터드(100)가 이송되면 회전수단(50)의 고정부재(53)는 볼스터드(100)의 하단부를 고정하고, 구동모터(51)에 의해 직각으로 회전하여 검사수단(60)으로 투입하게 된다. 검사수단(60)으로 투입된 볼스터드(100)는 검사수단(60)의 촬영부(62)에 의해 형상이 촬영되고, 검사수단(60)은 촬영부(62)에서 촬영한 볼스터드(100)와 저장메모리(61)에 저장된 볼스터드(100)의 정상형상정보를 비교하여 정상유무를 판별하도록 한다. 볼스터드(100)의 정상유무를 판별 후 회전수단(50)은 회전하여 정상의 볼스터드(100)는 정상보관부(55)에 보관되고, 불량의 볼스터드(100)는 고정부재(53)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수단(5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어 불량보관부(56)에 보관되어 지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볼스터드 자동 검사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볼스터드 자동 검사장치
20 : 베이스 프레임 30 : 안치수단
31 : 구동모터 32 : 회전테이블
33 : 블럭 40 : 이송수단
41 : 고정브라켓 42 : 이탈부
43 : 상하이동부재 44 : 수평이동부재
441 : 고정판 442 : 레일
443 : 구동모터 444 : 결합구
445 : 스크류봉 50 : 회전수단
51 : 구동모터 52 : 회전판
53 : 고정부재 54 : 실린더
60 : 검사수단 70 : 컨트롤러
100 : 볼스터드

Claims (6)

  1. 베이스 프레임(20)과;
    구동모터(31)를 갖고,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구동모터(31)에 의해 회전되고, 볼스터드(100)가 삽입되도록 2열종대로 삽입홀(321)이 방사형으로 복수개로 형성되는 회전테이블(32)을 가지며, 상기 회전테이블(32)의 삽입홀(321)과 대응되도록 2열종대로 삽입홀(331)이 형성된 블럭(33)을 갖는 안치수단(30)과;
    하부가 상기 안치수단(30)의 후측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라켓(41)과, 양측으로 이격되어 내측에 상기 볼스터드(100)의 헤드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홈(421)을 갖는 고정구(422)를 갖고, 상기 고정구(422)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구가 내장되고, 수직되는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회전을 위한 모터가 내장된 하우징(423)을 갖는 이탈부(42)와, 일측 하부에 상기 이탈부(42)의 하우징(423)에 내장된 모터의 중심축이 고정되는 고정판(431)을 갖고, 타측 상부에 고정되는 이동구(432)를 가지며, 일측에 상기 이동구(432)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타측에 수평이동부재(44)의 레일(442)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433)가 형성된 가이드부(434)를 갖고, 상기 이탈부(42)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이동부재(43)와, 타측이 상기 고정브라켓(41)에 고정되는 고정판(441)을 갖고, 상기 고정판(441)의 일측 상하로 이격되어 결합되는 레일(442)을 가지며, 상기 레일(442) 사이에 배치되고, 구동모터(443)에 의해 수평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상하이동부재(43)가 결합되는 결합구(444)를 갖는 스크류봉(445)을 갖는 수평이동부재(44)를 가지며, 상기 안치수단(30)에 안치된 상기 볼스터드(100)를 이탈시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40)과;
    상기 이송수단(40)으로부터 상기 볼스터드(100)를 전달받고,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50)과;
    상기 회전수단(50)에 의해 회전되어 공급된 상기 볼스터드(100)의 형상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볼스터드(100)의 불량 유무를 판별하기 위한 검사수단(60)과;
    상기 안치수단(30), 이송수단(40), 회전수단(50) 및 검사수단(6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스터드 자동 검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50)은 구동모터(51)와;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전,후,좌,우 방향으로 돌출부(521)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모터(51)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52)과;
    상기 회전판(52)의 돌출부(521)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이송수단(40)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볼스터드(100)를 전달받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53)와;
    상기 고정부재(53)에 고정된 상기 볼스터드(100) 중 상기 검사수단(60)에 의해 검사완료된 상기 볼스터드(100)를 고정부재(53)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한 실린더(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스터드 자동 검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50)의 고정부재(53)는 상기 볼스터드(100)의 하부를 받치기 위한 하부고정판(531)과;
    상기 하부고정판(531)의 상부에서 상기 실린더(54)에 의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볼스터드(100)의 상부를 고정하는 상부고정판(5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스터드 자동 검사장치.
KR1020200156464A 2020-11-20 2020-11-20 볼스터드 자동 검사장치 KR102261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464A KR102261528B1 (ko) 2020-11-20 2020-11-20 볼스터드 자동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464A KR102261528B1 (ko) 2020-11-20 2020-11-20 볼스터드 자동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1528B1 true KR102261528B1 (ko) 2021-06-07

Family

ID=76374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6464A KR102261528B1 (ko) 2020-11-20 2020-11-20 볼스터드 자동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15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075B1 (ko) * 2021-11-24 2022-07-08 (주)이화테크원 볼스터드 검사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3751A (ja) * 1993-04-30 1994-11-08 Bridgestone Corp 引張り試験装置
JP2003065968A (ja) * 2001-08-29 2003-03-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破れ検査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160032816A (ko) * 2014-09-17 2016-03-25 재단법인 경북하이브리드부품연구원 전동 파워스티어링용 삽입축 결함 자동검사장치
KR20180021406A (ko) * 2016-08-22 2018-03-05 신한열처리 주식회사 볼스터드 검사장치
KR20200070905A (ko) * 2018-12-10 2020-06-18 (주) 에스비네트워크 나사 형상의 절삭 가공품의 표면 불량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3751A (ja) * 1993-04-30 1994-11-08 Bridgestone Corp 引張り試験装置
JP2003065968A (ja) * 2001-08-29 2003-03-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破れ検査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160032816A (ko) * 2014-09-17 2016-03-25 재단법인 경북하이브리드부품연구원 전동 파워스티어링용 삽입축 결함 자동검사장치
KR20180021406A (ko) * 2016-08-22 2018-03-05 신한열처리 주식회사 볼스터드 검사장치
KR20200070905A (ko) * 2018-12-10 2020-06-18 (주) 에스비네트워크 나사 형상의 절삭 가공품의 표면 불량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075B1 (ko) * 2021-11-24 2022-07-08 (주)이화테크원 볼스터드 검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6373B2 (en) Honing machine with a machine frame and at least two units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machine frame
US7338345B2 (en) Cutting machine
KR100846065B1 (ko) 웨이퍼 검사장치 및 방법
CN106515214A (zh) 一种全自动丝网印刷机
CN105666145A (zh) 一种车轮加工全自动生产系统及其加工工艺
KR102261528B1 (ko) 볼스터드 자동 검사장치
TWI495535B (zh) Machine tool
JP2012213842A (ja) 薄板状物加工装置及び薄板状部材の製造方法
KR101175770B1 (ko) 렌즈 검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렌즈 검사 방법
KR101229799B1 (ko) 레이저 리페어 장치
KR102419075B1 (ko) 볼스터드 검사장치
JP2022078570A (ja) 中心検出装置
KR20060086162A (ko) 엘시디 패널의 자동 검사장치
US2607213A (en) Shot peening test fixture
CN209736905U (zh) 一种焊接装置
KR20230160035A (ko) 너트 전조 탭핑기
KR101364061B1 (ko) 압연강재 표면거칠기 시험장치
KR101169915B1 (ko) 액정표시모듈 테스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액정표시모듈 테스트 방법
KR100922775B1 (ko) 웨이퍼 검사용 듀얼 검사장치
KR20230160033A (ko) 너트 전조 탭핑시스템
RU2684333C2 (ru) Способ ремонта зубьев зубчатого колеса
KR20230160034A (ko) 너트 전조 탭핑기
JP2002254275A (ja) 数値製御工作機械による加工品の検査方法、および検査治具
JP3090585B2 (ja) ベアチップ導通検査装置
CN209736907U (zh) 一种焊接装夹工作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