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1466B1 - 선박 스크류의 이물질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스크류의 이물질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1466B1
KR102261466B1 KR1020190083665A KR20190083665A KR102261466B1 KR 102261466 B1 KR102261466 B1 KR 102261466B1 KR 1020190083665 A KR1020190083665 A KR 1020190083665A KR 20190083665 A KR20190083665 A KR 20190083665A KR 102261466 B1 KR102261466 B1 KR 102261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ship
screw
foreign material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3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7349A (ko
Inventor
이경현
Original Assignee
이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현 filed Critical 이경현
Priority to KR1020190083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1466B1/ko
Publication of KR20210007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7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6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in recesses; with stationary water-guiding elements; Means to prevent fouling of the propeller, e.g. guards, cages or screens
    • B63H5/165Propeller guards, line cutters or other means for protecting propellers or rud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157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rotating about a movable axis
    • B26D1/18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rotating about a movable axis mounted on a movable carr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07Control means comprising cameras, vision or image process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2001/006Cutting members therefor the cutting blade having a special shape, e.g. a special outline, ser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스크류의 이물질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선박의 스크류에 엉킨 이물질의 절삭 제거를 위해 선박의 갑판 후미에 위치된 확인구를 통해 수장된 절삭수단의 이물질 절삭 상황을 선박의 갑판 위에서 이물질의 절삭을 수행하는 단독 작업자에게 제공함에 따라 이물질의 절삭을 갑판 위에서 단독 작업자가 실시간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고, 이물질은 절삭기의 수동 혹은 자동에 의해 절삭되게 하는 선박 스크류의 이물질 제거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이물질에 대한 제거가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고 이물질의 제거율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 스크류의 이물질 제거 장치{Device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 of Ship Screw}
본 발명은 선박 스크류의 이물질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스크류에 엉키어 있는 이물질(예컨대, 밧줄이나 그물 및 기타 등)들을 선장이나 선원과 같은 작업자들이 잠수하지 않고서도 바닷물 밖에서 효과적으로 절삭하는 방식으로 제거할 수 있는 선박 스크류의 이물질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보통 후미에 항해 추진력을 위한 엔진의 설치와 함께 회전 날개를 갖춘 스크류가 선박의 후미 외부로 노출되는 방식의 구조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엔진으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통해 스크류가 회전되면서 선박을 전방이나 후방으로 추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연안 근처의 항만 부둣가 영역의 바닷물 속에는 미처 수거되지 못한 폐그물이나 로프 등의 이물질들이 떠다니거나 장애물에 걸린 채로 일렁이게 되는데, 이때 선박이 항만 접안을 위해 부둣가 근처로 도착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이물질들이 회전되는 스크류에 빨려들어가 엉키게 되는 현상이 자주 발생되고 있으며, 이러한 이물질들의 엉킴으로 인해 스크류의 회전이 정지되거나 오작동되어 선박이 멈춰서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로 인하여, 선원들이나 일반 잠수사들은 직접 바닷속으로 잠수하여 스크류 주변으로 엉키어 있는 이물질들을 휴대한 절단 장치로 제거하고 있다.
이처럼, 선원들이나 일반 잠수사들이 직접 잠수하여 이물질들을 제거할 수 있지만, 이러한 이물질들의 제거 작업성은 일반 잠수사들이 바닷속으로 직접 잠수하여 스크류 주변에 엉키어 붙은 이물질들을 제거하는 관계로 잠수장비의 하자로 인한 익사 사고나 급작스런 스크류의 동작에 따른 부상 사고와 같은 인명 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 위험성에 늘 노출되어 있다.
실제로, 바닷속으로 잠수한 일반 잠수사들이 스크류에 엉킨 이물질들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종종 인명 사고가 발생되고 있을뿐만 아니라, 바닷속에서의 이물질 제거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도 상당히 소모되며, 전문 잠수사들을 활용할 경우 그 인력 비용도 만만치 않다.
물론, 이러한 상기와 같은 이물질들의 제거 작업성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바닷속으로 선원들이나 일반 잠수사들이 잠수할 필요 없이 바닷물 밖에서 이물질들을 제거하는 상황을 모니터링하며 제거하는 기술도 다수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이물질들의 제거가 바닷물 밖에서 모니터링하며 이루어질 수 있을지 모르나, 이물질들의 제거 작업 과정에서 모니터링에 필요한 장비 및 전기 확인의 관리 소홀로 인하여, 일반 잠수사들이 감전되는 사고사도 최근 발생되고 있다.
특히, 바닷물 밖에서의 이물질 제거에 대한 모니터링 기술은 모니터링을 하는 담당자와 이물질을 직접 제거하는 작업자들이 각자 맡은 일을 분담하게 되는 것이며, 이는 결국 모니터링과 이물질 제거를 한사람이 동시에 수행하지 못하는 관계로, 이물질 제거에 요구되는 긴박한 상황에서의 모니터링 담당자와 이물질 제거 작업자 간의 신속한 의사소통이나 의사결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으며, 이 또한 이물질 제거가 비효율적일 수밖에 없다.
더군다나, 이물질 제거에 사용될 수 있는 제거 도구로서 장대와 장대끝에 결합된 낫으로 일체된 이물질 제거 도구를 이용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스크류에 엉킨 이물질들이 장대끝에 결합된 낫을 통하여 제거되기도 하나, 이러한 방식은 이물질들의 제거에 필요한 시야 확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제거의 정확한 포인트 파악이 어렵고, 이로 인한 이물질 제거에 애로가 늘 수반되고 있다.
특허문헌 001 : 공개특허 제10-2018-0081691호
전술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존의 잠수 방식으로 스크류에 엉킨 이물질들의 제거나 이보다 개선된 바닷물 밖에서 이물질의 제거를 모니터링하는 담당자와 직접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자 간의 의사소통 방식으로 이물질을제거하는 것보다 더욱 용이하고도 신속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한 선박 스크류의 이물질 제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전술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박의 스크류에 엉킨 이물질의 절삭 제거를 위해 선박의 갑판 후미에 위치된 확인구의 내부로 투입되어 바닷물속으로 수장된 절삭수단의 이물질 절삭 상황을, 선박의 갑판 위에서 모니터링수단을 통해 제공되는 영상이나 확인구를 통해 제공되는 육안으로 실시간 모니터링하며, 스크류에 엉킨 이물질이 상기 절삭수단에 의해 수동으로 신속 용이하게 절삭되는 상태로 제거되는 선박 스크류의 이물질 제거 장치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절삭수단은 예리한 날이나 톱니 구조로 이루어진 낫 혹은 톱 타입 구조의 절삭기이고, 유선 혹은 무선으로 영상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장치로 구성되어 상기 절삭기의 이물질 절삭 상황을 영상으로 전송하게 되는 전송수단, 영상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로 구성된 채 상기 전송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절삭기의 이물질 절삭 상황을 바닷물속에서 촬영하는 방수 가능한 촬영수단, 및 휴대 가능한 단말기로 구성된 채 상기 전송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촬영수단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모니터로부터 출력시켜 상기 절삭기의 이물질 절삭 상황을 바닷물 밖 선박의 갑판에서 이물질 절삭 작업을 수행하는 단독 작업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게 되는 모니터링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박 스크류의 이물질 제거 장치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전송수단을 외부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게 상기 전송수단을 기밀하게 에워싸는 구조이면서 작업자의 손에 홀딩되며 감전 우려가 없는 단단한 스테인리스 재질 혹은 수지 계열의 소재로 마련된 파이프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절삭기는 상기 파이프의 선단에서 길이 조절 가능한 방식으로 삽입 연결된 파이프의 선두로부터 탈착될 수 있게 구비된 탈착부의 선단에 결합되어 있는 선박 스크류의 이물질 제거 장치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탈착부는 상기 파이프의 선두를 향해 삽입되는 방식으로 탈착될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의 선두에 내장된 스프링 탄성력에 의해 돌출되는 걸림돌기를 통해 걸림되거나 해제되는 방식으로 탈착되고, 상기 촬영수단은 바닷물의 유속에도 미동없이 상기 절삭기의 이물질 절삭 상황 방향을 주시하며 촬영할 수 있도록 에워싼 구조로 보호받을 수 있게 한 자바라 구조의 조절보호관에 삽입되며, 상기 절삭기는 이물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절삭도구들이 선택적으로 상기 파이프의 선단에서 탈착되는 방식으로 이용되는 선박 스크류의 이물질 제거 장치에 일 특징이 있다.
한편, 선박의 스크류에 엉킨 이물질의 절삭 제거를 위해 선박의 갑판 후미에 위치된 확인구의 내부로 투입되어 바닷물속으로 수장된 절삭수단의 이물질 절삭 상황을, 선박의 갑판 위에서 모니터링수단을 통해 제공되는 영상이나 확인구를 통해 제공되는 육안으로 실시간 모니터링하며, 스크류에 엉킨 이물질이 상기 절삭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신속 용이하게 절삭되는 선박 스크류의 이물질 제거 장치에 다른 일 특징이 있다.
상기 절삭어셈블리는 전방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된 지지안내블럭을 갖는 블럭, 상기 지지안내블럭상에 안착되는 절삭안내판, 상기 절삭안내판의 상단에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된 한 쌍의 압착부, 상기 압착부에 대한 슬라이드 동력을 제공할 수 있게 상기 블럭의 전면 좌우측에 각각 수평하게 고정 설치된 주실린더, 상기 압착부에 구성된 가압유동편에 대한 슬라이드 동력을 제공할 수 있게 상기 압착부의 후미에 고성 설치된 보조실린더, 상기 절삭안내판의 중앙 부위 상으로 돌출된 상태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압착부에 의해 슬라이드 움직임을 갖는 이물질을 절삭하는 회전절삭날, 상기 회전절삭날에 대한 회전 동력을 제공할 수 있게 상기 지지안내블럭의 어느 일측편에 고정 설치된 주모터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유선 혹은 무선으로 영상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장치로 구성되어 상기 절삭어셈블리의 이물질 절삭 상황을 영상으로 전송하게 되는 전송수단, 영상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로 구성된 채 상기 전송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절삭어셈블리의 이물질 절삭 상황을 바닷물속에서 촬영하는 방수 가능한 촬영수단, 및 휴대 가능한 단말기로 구성된 채 상기 전송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촬영수단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모니터로부터 출력시켜 상기 절삭어셈블리의 이물질 절삭 상황을 바닷물 밖 선박의 갑판에서 이물질 절삭 작업을 수행하는 단독 작업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게 되는 모니터링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박 스크류의 이물질 제거 장치에 다른 일 특징이 있다.
상기 압축부에 대한 회전 동력을 제공할 수 있게 상기 절삭안내판의 하단에서 상기 압착부의 이면과 연결되는 구조로 설치된 보조모터를 더 포함하는 선박 스크류의 이물질 제거 장치에 다른 일 특징이 있다.
상기 전송수단을 외부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게 상기 전송수단을 기밀하게 에워싸는 구조이면서 작업자의 손에 홀딩되며 감전 우려가 없는 수지 계열의 소재나 단단잔 재질의 스테인레스 소재가 마련된 파이프가 더 포함되는 선박 스크류의 이물질 제거 장치에 다른 일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에 따르면, 선박의 스크류에 엉키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함에 있어, 선박의 갑판 위에서 작업자 단독으로 이물질의 제거 상황을 육안으로 목격 확인하면서 이물질을 직접 제거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스크류에 엉킨 이물질의 제거에 수반되는 인력, 노동, 시간소요, 비용의 절감뿐만 아니라, 이물질 제거작업성의 환경 개선으로 인한 이물질의 신속하고도 용이한 제거에 따른 이물질의 제거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스크류의 이물질 제거 장치에 대한 제1 실시예를 입체적인 사시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이물질 제거 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탈착부의 분리 혹은 결합 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탈착부의 내에 삽입된 걸림돌기의 설치 상태 및 탈착부의 외주면 및 파이프의 외주면에 대한 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파이프의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스크류의 이물질 제거 장치에 대한 제2 실시예를 입체적인 사시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절삭수단의 어느 일측편 방향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절삭수단의 정면 방향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절삭수단의 평면 방향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절삭수단에서의 압착부의 회전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절삭수단에서의 압착부에 이물질(예컨대, 밧줄)의 압착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절삭수단에서의 압착부에 압착된 이물질(예컨대, 밧줄)의 절삭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2는 선박의 갑판 후미상에 이물질의 감김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구가 설치 구성된 상태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선박의 도면,
도 1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 스크류의 이물질 제거 장치를 선박의 갑판 후미에 위치된 확인구의 내부로 투입하여 스크류에 엉킨 이물질의 제거 작업 상황을 나타내기 위한 선박의 일측을 개념적인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 실시 예들을 통한 기술적 사상에 이르는 권리 범위까지 포함하는 방식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더욱이, 본 발명에 유첨된 도면들은 어디까지나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방안으로 첨부된 관계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첨된 도면들에 의해 한정되어 해석되지 말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스크류의 이물질 제거 장치에 대한 제1 실시예는, 도면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링수단(100), 전송수단(200), 촬영수단(310), 및 절삭수단(4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수단(100)은 상기 절삭수단(400)을 통해 스크류에 감긴 이물질들을 절삭하는 상태를 화면으로 작업자에게 상세히 디스플레이하여 알려줄 수 있는 휴대 가능하며 무선 통신이 가능한 수단으로서 예컨대, 소형 컴퓨터, 스마트폰, PDA 등과 같은 단말기의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전송수단(200)은 상기 절삭수단(400)에 의해 절단되는 이물질들의 절삭 상태의 영상 데이터를 상기 모니터링수단(100)으로 전송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예컨대 유선 케이블, 무선 와이파이 등과 같은 유/무선의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촬영수단(310)은 상기 절삭수단(400)에 의해 절단되는 이물질들의 절삭 상태를 실시간으로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전송수단(200)에 제공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예컨대 방수가능한 캠코드, CCTV 등과 같은 영상카메라의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촬영수단(310)은 자바라 구조로서 도 2와 같은 조절보호관(300) 내에 끼워진 형태로 절삭수단(400)이 스크류에 감긴 이물질의 제거 상황을 모니터링수단(100)에 디스플레이하여 제공해줄 수 있다. 즉, 이러한 상기 조절보호관(300)은 원하는 방향으로 구부리거나 펴거나 하는 작동을 하게 되면, 그 원하는 방향을 향해 고정될 수 있는 자바라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조절보호관(300) 내에 끼워진 상기의 촬영수단(310)은 물속의 유속 압력에도 유동 없이 상기 절삭수단(400)의 이물질 제거 위치를 지속적으로 주시하며 촬영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조절보호관(300)은 상기 파이프(P)의 내부로 삽입되는 구조이되 상기 파이프(P)의 선단에 위치된 파이프(P')에서는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파이프(P')를 에워싸는 구조로 밴딩된 결속구(P4)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절삭수단(400)은 선박의 스크류에 엉키어 감겨진 이물질들을 절삭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예컨대 도면 1과 같은 절삭기(410)일 수 있고, 이러한 상기 절삭기(410)는 수동 작동식의 톱니를 형성한 낫 타입이나 톱 타입과 같은 절삭기가 이용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예리한 칼날 타입의 절삭기도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삭수단(400)으로서 상기 절삭기(410)가 선단에 결합 고정된 것을 포함한 탈착부(411)는 파이프(P) 내에서 인출 가능한 방식으로 길이 조절 가능한 파이프(P')의 선단에서 도면 2와 같은 탈착 가능한 방식으로 결합 혹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탈착부(411)에는 도면 2와 같이 그 선단에 절삭기(410)가 결합 고정되고 그 후미 부위에는 걸림홀(411a)이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P)의 선단 부위에 삽입되는 파이프(P')의 선단 부위로는 걸림돌기(P1)가 돌출되거나 수용될 수 있는 홀(P3)이 형성되며 상기 홀(P3)의 내부는 도 3과 같은 'ㄷ' 자 구조의 스프링(P2)이 내장되는 방식으로 설치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탈착부(411)가 상기 파이프(P')의 외부를 향해 진입될 경우, 파이프(P')의 홀(P3) 부위에서 노출되어 있던 걸림돌기(P1)가 수용된 상태로 일정 시간 머무르다가 상기 탈착부(411)에 형성된 걸림홀(411a)이 상기 홀(P3)과 일치되는 순간, 스프링(P2) 즉 판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돌기(P1)가 상기 홀(P3) 및 상기 걸림홀(411a)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상기 걸림홀(411a)의 상단으로 노출되어 상기 탈착부(411)가 걸착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물질의 종류에 따라, 낫이나 톱 혹은 다른 절개 도구 종류들이 결합된 다양한 종류 타입의 절삭기(410)를 선택적으로 파이프(P')의 선단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전송수단(200)으로서 예컨대 유선 케이블이 이용될 경우, 유선 케이블이 외부로부터 보호받으며 노출되지 않도록 도면 1과 같은 파이프(P)에 매립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파이프(P)는 작업자의 손에 잡힌 채로 이물질들의 절삭 작업에 용이함을 제공해줄 수 있는 도구로 이용됨과 동시, 유선 케이블이 노출되지 않고 매립될 수 있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상기 파이프(P)의 후단으로 삽입되는 다른 파이프 부위에는 손으로 홀딩하기 위한 손잡이(70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파이프(P)의 선단에 삽입된 상기 파이프(P') 선두 부위로는 상기 촬영수단(310) 및 상기 절삭수단(400)의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파이프(P)의 후미 부위로 노출되는 전송수단(200)에는 모니터링수단(100)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다른 파이프 부위는 도면에서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의 파이프(P)와 동일한 구조로 상기 파이프(P)에 삽입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파이프(P)(P')는 상기 전송수단(200)을 외부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게 상기 전송수단(200)을 기밀하게 에워싸는 구조이면서 작업자의 손에 홀딩될 수 있고 감전 우려가 없는 단단한 재질의 수지 계열 소재도 가능하며, 혹은 경우에 따라 스테인리스 재질과 같은 소재 사용도 가능하다.
물론, 이물질이 단단하고도 굵은 밧줄 같은 경우에는, 상기 파이프(P) 및 상기 파이프(P)의 내부로 삽입되는 길이 조절용 파이프(P')도 단단한 소재의 스테인리스 재질을 사용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특히, 상기 파이프(P) 및 상기 파이프(P')가 예컨대 단단한 소재로 이루어지게 되면, 이에 대한 구조는 도면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연 형태가 내측을 향해 볼록한 곡률을 갖는 제1오목부(Pa)(P'a)와 외측을 향해 볼록한 곡률을 갖는 제2오목부(Pb)(P'b)가 서로 연속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파이프(P)는 제1오목부(Pa) 및 제2볼록부(Pb)로 구성되며, 상기 파이프(P')는 제1오목부(P'a) 및 제2볼록부(P'b)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파이프(P')가 상기 파이프(P)의 내부에 삽입될 경우, 이와 같은 제1오목부(Pa)(P'a)와 제2볼록부(Pb)(P'b)들 간의 대응으로 상기 파이프(P) 내에서 상기 파이프(P')가 회전되지 않는 즉 헛돌림이 방지되면서, 선박의 스크류 부위에 엉키어 있는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P)의 선두 부위로 삽입된 상기 파이프(P')의 길이 조절이나 혹은 상기 파이프(P)의 후미 부위로 삽입된 다른 파이프는 조절구(500)와 스크류(510) 및 조절구(600)와 스크류(610)의 구비에 따른 조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조절구(500)와 스크류(510)는 도면 2와 같이 상기 파이프(P)의 선두 부위에 위치되어 상기 파이프(P')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조절구(500)가 역 회전되는 방식으로 상기 스크류(510)에서 풀리게 되면, 상기 파이프(P')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고, 상기 파이프(P')의 길이가 조절되면 상기 조절구(500)가 상기 스크류(510)에서 정 회전되는 방식으로 조임으로써 상기 파이프(P')의 길이가 조절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조절구(600)도 상기 스크류(610)에서 동일하게 풀리거나 조이는 방식으로 상기 파이프(P)의 후미 부위에 위치되어 상기 파이프(P)의 후미 부위로 삽입된 다른 파이프의 길이를 조절하거나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수단(100) 및 상기 촬영수단(310)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P)의 내부 어느 특정 위치에는 전력 공급용 배터리가 내장될 수 있다.
따라서, 단독 작업자는 상기 파이프(P)의 후단에 연결된 다른 파이프의 후미에 형성된 손잡이(700) 부위를 손으로 잡은 채, 파이프(P')의 선단에 걸착된 탈착부(411)의 선단 부위로 결합 고정된 절삭수단(400)의 절삭기(410)가 선박의 갑판 후미에 위치된 확인구(10)의 내부를 통해 바닷속 스크류에 엉킨 이물질들이 위치된 부위로 접근된 다음, 파이프(P')의 선단에 구성된 촬영수단(310)으로부터 제공되는 이물질들의 절삭에 관한 영상을 모니터링수단(100)을 통해 육안으로 모니터링 하면서 선박의 스크류에 엉킨 이물질들을 절삭수단(400)으로 용이하게 절삭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 경우 스크류에 엉킨 이물질들이 절삭수단(400)에 의해 절삭될 수 있도록 단독 작업자는 모니터링수단(100)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시청하며 절삭기(410)의 조작을 가할 수 있음에 따라, 이물질들이 상기 절삭기(410)을 통해절삭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단독 작업자는 선박의 갑판 후미에 위치된 확인구(10)의 내부로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 장치를 투입한 상태에서, 절삭수단(400)의 절삭기(410)가 스크류(30) 부위에 엉킨 이물질에 접근하게 되면, 확인구(10)를 통하여 이물질의 절삭 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도 이물질을 절삭기(410)로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절삭하며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스크류의 이물질 제거 장치에 대한 제2 실시예는, 도면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링수단(100), 전송수단(200), 촬영수단(300), 및 절삭수단(400,4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촬영수단(300)은 상술된 제1 실시예에 표기된 310의 부호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촬영수단일 수 있다.
특히, 상기의 모니터링수단(100), 전송수단(200), 촬영수단(300)은 제1 실시예에 구성된 것들과 동일하거나 대응될 수 있는 관계로, 제2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절삭수단(400)은 선박의 스크류에 엉키어 감겨진 이물질들을 절삭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예컨대 도면 5에서와 같은 절삭어셈블리(420)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절삭어셈블리(420)는 자동 작동 방식으로서 이물질(예컨대, 밧줄이나 그물(M))의 절삭 과정에서 작업자를 통해 파이프(P)에 가해지는 작업자의 조작 힘이 크게 요구되지 않아 이물질의 절삭 작업성이 기존의 이물질 제거 장치에 비해 훨씬 수월하다.
즉, 상기 절삭수단(400)으로서 상기 절삭어셈블리(420)는, 도면 5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가 되는 블럭(421)과 상기 블럭(421)의 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 형성된 지지안내블럭(421a)의 구조상에 절삭안내판(440)이 안착되고, 상기 가이드판(440)의 상단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며 배치된 한 쌍의 압착부(460), 상기 압착부에 대한 전진 혹은 후진 슬라이드 작동을 위해 구비된 주실린더(430), 상기 압착부(460)에 구성된 가압유동편(462에 대한 전진 혹은 후진 슬라이드 작동을 위해 구비된 보조실린더(450), 상기 압착부에 대한 회전 작동을 위해 구비된 보조모터(470), 상기 절삭안내판의 중앙 부위 상으로 돌출된 상태로 회전되며 이물질(예컨대, 밧줄이나 그물(M))을 절삭하게 되는 회전절삭날(480), 상기 회전절삭날의 회전 작동을 위해 구비된 주모터(490)를 포함하는 조합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안내블럭(421a)의 상단에 안착되는 상기 절삭안내판(440)은 절삭 용도에 따라 도면 5와 같은 걸림쇠(422)를 통해 상기 지지안내블럭(421a)과 연결되는 구조로 안착되어 상기 지지안내블럭(421a) 상에서 상기 주실린더(430)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통해 전진 혹은 후진으로 슬라이드 동작될 수도 있고, 절삭 용도에 따라 도면에 미도시되었으나 걸림쇠(422) 없이 상기 지지안내블럭(421a) 상에 결합되는 구조로 안착되어 슬라이드 방식으로 동작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절삭안내판(440)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좌 우측에 각각 소정의 전 후방을 향한 길이 정도로 형성되는 가이드로(440a)(440b)와 함께, 중앙 부위에서 전 후방을 향한 길이 정도로 형성되는 장홈(440c)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절삭안내판(440)의 좌 우측에 각각 형성된 상기 가이드로(440a)(440b)상에는 각각 압착부(460)가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로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되, 이러한 상기 압착부(460)는 도면 5를 기준으로 전단에 고정 결합된 제1 고정편(461), 후단에 고정 결합된 제2 고정편(463), 및 상기 제1 고정편과 상기 제2 고정편의 사이에서 전진 혹은 후진 가능하게 연결된 가압유동편(462)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제1 고정편(461), 제2 고정편(463), 및 가압유동편(462)으로 구성된 상기의 압착부(460)는 주실린더(430)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통해 상기 가이드로(440a)(440b)를 따라 전진 혹은 후진으로 슬라이드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주실린더(430)는 도 5와 같이 상기 블럭(421)의 전면 중앙에서 전방을 향해 연장된 지지안내블럭(421a) 사이인 상기 블럭(421)의 전면 좌우측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안내블럭(421a)과 같은 수평한 구조로 배치되되 상기 절삭안내판(440)의 하부에 위치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주실린더(430)의 피스톤로드(430a)는 압착부(460)의 후방에서 걸림쇠(471)와의 연결을 통해 배치된 보조모터(470)에 그 선단 부위가 결합되는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압착부(460)는 상기 주실린더(430)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통해 전진 혹은 후진하는 피스톤로드(430a)와 연결된 보조모터(470)의 전진 혹은 후진 동작을 통해 상기 가이드로(440a)(440b) 상에서 전진 혹은 후진으로 슬라이드 동작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압착부(460)는 상기 가이드로(440a)(440b) 상에서 상기 절삭안내판(440)의 후방에 배치된 보조모터(470)와 걸림쇠(471)로 연결되어 있는 관계로, 상기 압착부(460)는 상기 보조모터(470)로부터 제공되는 회전 동력을 통해 상기 가이드로(440a)(440b) 상에서 자유롭게 회전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압착부(460)는 주실린더(430)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통해 상기 절삭안내판(440)의 상기 가이드로(440a)(440b) 상에서 전진 혹은 후진으로 슬라이드 작동될 수 있고, 한편 상기 압착부(460)는 상기 보조모터(470)로부터 제공되는 회전 동력을 통해 상기 절삭안내판(440)의 상기 가이드로(440a)(440b) 상에서 회전 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압착부(460)가 상기 절삭안내판(440)의 상기 가이드로(440a)(440b) 상에서 슬라이드 동작과 회전 동작을 동시에 병행하거나 어느 하나의 동작만 수행할 수 있는 것은, 상기 보조모터(470)가 걸림쇠(471)를 통해 상기 압착부(460)와 연결됨과 동시 주실린더(430)의 피스톤로드(430a)와도 연결되어 있기 때문인 것이다.
또한, 상기 압착부(460)에 구성된 상기 가압유동편(462)은 상기 제2 고정편(463)의 후미에 고정되어 설치된 보조실린더(450)의 보조피스톤로드(450a)와 연결되는 구조인 관계로, 상기 가압유동편(462)은 상기 보조실린더(450)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전진 혹은 후진으로 슬라이드 동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절삭안내판(440)의 중앙 부위로 형성된 장홈(440c) 상에는 회전절삭날(460)이 회전 가능한 구조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되, 이러한 회전절삭날(460)은 도면 5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안내블럭(421a)의 어느 일측편에 고정 설치된 주모터(490)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통해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회전절삭날(460)은 회전 작동 과정에서 도 11에 도시된 이물질(예컨대, 밧줄이나 그물(M))을 용이하게 절삭할 수 있도록 예리한 톱니 구조의 형상이나 예리한 칼 구조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된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스크류의 이물질 제거 장치의 제2 실시예에 대한 작동에 관한 실시는 하기에서 설명될 수 있다.
작업자는 파이프(P)의 후미에 형성된 손잡이 부위를 잡은 상태로 선박의 스크류에 엉킨 이물질(예컨대, 밧줄이나 그물(M))의 위치까지 절삭수단(400)인 절삭어셈블리(420)가 근접될 수 있게 선박의 갑판 후미에 위치된 확인구(10)를 통하여 바닥물속으로 절삭어셈블리(420)를 수장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촬영수단(300)으로서 예컨대 방수가능한 영상카메라로부터 촬영되어 모니터링수단(100)의 일례로서 스마트폰의 화면으로 출력되는 이물질(예컨대, 밧줄이나 그물(M))의 스크류 엉킴을 확인하거나 확인구(10)를 통해 직접 육안으로 그물(M)의 스크류 엉킴을 확인한 다음, 절삭하고자 하는 그물(M)을 양쪽에서 붙잡을 수 있도록 절삭안내판(440) 상의 좌우에 각각 배치된 압착부(460)들에 대한 슬라이드 동작을 조절한다. 물론, 이러한 압착부의 슬라이드 및 회전 동작에 필요한 조절은 스마트폰에 설치된 조작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고, 별도로 구비된 조작기를 통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압착부(460)들은 주실린더(430)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통해 가이드로(440a)(440b) 상에서 도면 8과 같이 슬라이드식으로 조절 작동되면서 특정 이물질(예컨대 특정 그물)을 양쪽에서 붙잡을 수 있는 위치에 놓일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조작어플리케이션의 조작 혹은 별도의 조작기 조작을 통하여 상기 압착부(460)들을 회전 동작을 도면 9와 같이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상기 압착부(460)들의 슬라이드 동작이나 회전 동작의 순서는 특정 이물질(예컨대 특정 그물(M))을 용이하게 붙잡을 수 있는 바다속 환경 요인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상기 압착부(460)들은 특정 이물질(예컨대 특정 그물)을 용이하게 붙잡힐 수 있도록 적정하게 회전되는데, 이는 보조모터(470)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 동력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스마트폰에 설치된 조작어플리케이션의 조작 혹은 별도의 조작기 조작을 통하여 상기 압착부(460)들에 구성된 가압유동편(462)들에 대한 슬라이드 동작이 도면 10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압착부(460)들에 구성된 가압유동편(462)들은 보조실린더(450)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전달하는 보조피스톤로드(450a)의 전진 동작을 통해 특정 이물질(예컨대 특정 그물(M))을 제1 고정편(261) 방향으로 가압시켜 특정 이물질(예컨대 특정 그물(M))을 붙잡을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상기 압착부(460)들에 구성된 가압유동편(462)들이 특정 이물질(예컨대 특정 그물(M))을 가압하여 붙잡은 상태가 되면, 도면 11과 같이 주실린더(430)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전달하는 피스톤로드(430a)의 후진 동작에 따라, 상기 압착부(460)들은 특정 이물질(예컨대 특정 그물(M))을 양쪽에서 붙잡은 상태로 장홈(440c) 상에 돌출 상태로 회전되고 있는 회전절삭날(480)을 향하여 가이드로(440a)(440b)를 따라 후진으로 슬라이드하게 된다.
물론, 이때 상기 회전절삭날(480)은 지지안내블럭(421a)의 어느 일측편에 설치 고정된 주모터(490)로부터 제공되는 회전 동력을 통해 회전될 수 있다.
특정 이물질(예컨대 특정 그물(M))은 상기 압착부(460)들에 의해 붙잡힌 상태로 회전절삭날(480) 쪽으로 근접되다가 이내 곧 회전절삭날(480)에 의해 도면 11과 같이 절삭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특정 이물질(예컨대 특정 그물(M))의 절삭 작업 전반에 관한 상황은 모니터링수단(100)으로서 예컨대 스마트폰의 화면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통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거나 확인구(10)를 통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스크류의 이물질 제거 장치에 대한 제1,2 실시예는 기존의 이물질 제거 장치에서 도저히 구현하여 이룰 수 없는 선박의 스크류에 엉킨 이물질(예컨대 특정 그물(M))의 절삭 제거에 필요한 단독 작업자의 조작 작업성 측면에 있어 획기적인 편리함과 수월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단독 작업자는 스크류에 엉킨 이물질(예컨대 특정 그물(M))의 절삭 제거에 있어서, 모니터링수단(100)이나 확인구(10)를 통해 절삭수단(400)의 이물질 제거 상황을 확인하면서 이물질을 동시 제거하는 작업수행을 병행함으로써, 이물질의 제거가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고 이로 인한 이물질의 제거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단독 작업자는 제2 실시예의 이물질 제거 장치를 이물질(예컨대 특정 그물(M))의 절삭 지점에 근접시키는 작업만 수행하고, 더 이상의 인위적인 힘을 가할 필요 없이 스마트폰에서 제공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스마트폰에 설치된 조작어플리케이션의 조작이나 별도로 구비된 조작기의 조작을 통해 절삭수단(400)인 절삭어셈블리(420)의 자동 구동으로 이물질(예컨대 특정 그물(M))을 용이하게 절삭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는 도 12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의 후미 저부에 설치된 샤프트(20)와 상기 샤프트에서 회전 방식으로 설치된 스크류(3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상기 샤프트(20) 및 스크류(30)의 위치상에 해당되는 선박의 갑판 후미 바닥 부위에는 스크류(30)에 대한 육안 확인이 가능한 관통 형상의 확인구(10)가 더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상기 확인구(10)는 평상시에 해수가 갑판 위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기밀한 구조의 밀폐커버부(미도시)에 의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만일, 선박의 후미 저부에 위치된 샤프트(20) 및 스크류(30)의 부위에 이물질이 엉키게 될 경우, 단독 작업자는 상기 확인구(10)를 밀폐하고 있는 밀폐커버부(미도시)를 상기 확인구(10)로부터 꺼낸 다음, 상기 확인구(10)를 향해 절삭수단(400)의 절삭기(410)를 투입한 상태로 파이프(P)의 후미에 구성된 손잡이(700) 부위를 잡은 상태로 확인구(10)를 통해 보이는 스크류(30) 부위로 엉킨 이물질을 절삭기(410)로 절삭하는 조작 작업을 수행하면서 스크류(30) 부위에 엉킨 이물질을 용이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즉, 단독 작업자는 상기 확인구(10)의 내부로 투입되어 스크류(30)에 엉킨 이물질 근처에 위치된 절삭기(410)의 절삭 조작 상태를 상기 확인구(10)의 관통공을 통해서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동시에 엉킨 이물질을 절삭할 수 있는 관계로, 이물질의 제거가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갑판에 설치된 상기 확인구(10)에서 물속에 잠겨 있는 상기 샤프트(20) 및 상기 스크류(30)의 엉킨 상태 확인과 함께 특히, 이물질의 일례로서 로프나 폐그물들이 자주 감기는 샤프트(30) 및 스크류(30) 부위의 이물질 감김을 확인하면서 상기 확인구(10)의 관통공 내부로 투입된 이물질 제거 장치를 활용하여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모니터링수단(100) 전송수단(200)
촬영수단(300) 절삭수단(400)
절삭기(410) 절삭어셈블리(420)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선박의 스크류에 엉킨 이물질의 절삭 제거를 위해 선박의 갑판 후미에 위치된 확인구의 내부로 투입되어 바닷물속으로 수장된 절삭수단의 이물질 절삭 상황을, 선박의 갑판 위에서 모니터링수단을 통해 제공되는 영상이나 확인구를 통해 제공되는 육안으로 실시간 모니터링하며, 스크류에 엉킨 이물질이 상기 절삭수단에 의해 수동으로 신속 용이하게 절삭되는 상태로 제거되고,
    상기 절삭수단은 예리한 날이나 톱니 구조로 이루어진 낫 혹은 톱 타입 구조의 절삭기이고; 유선 혹은 무선으로 영상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장치로 구성되어 상기 절삭기의 이물질 절삭 상황을 영상으로 전송하게 되는 전송수단; 영상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로 구성된 채 상기 전송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절삭기의 이물질 절삭 상황을 바닷물속에서 촬영하는 방수 가능한 촬영수단; 및 휴대 가능한 단말기로 구성된 채 상기 전송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촬영수단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모니터로부터 출력시켜 상기 절삭기의 이물질 절삭 상황을 바닷물 밖 선박의 갑판에서 이물질 절삭 작업을 수행하는 단독 작업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게 되는 모니터링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송수단을 외부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게 상기 전송수단을 기밀하게 에워싸는 구조이면서 작업자의 손에 홀딩되며 감전 우려가 없는 단단한 스테인리스 재질 혹은 수지 계열의 소재로 마련된 파이프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절삭기는 상기 파이프의 선단에서 길이 조절 가능한 방식으로 삽입 연결된 파이프의 선두로부터 탈착될 수 있게 구비된 탈착부의 선단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스크류의 이물질 제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는 상기 파이프의 선두를 향해 삽입되는 방식으로 탈착될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의 선두에 내장된 스프링 탄성력에 의해 돌출되는 걸림돌기를 통해 걸림되거나 해제되는 방식으로 탈착되고;
    상기 촬영수단은 바닷물의 유속에도 미동없이 상기 절삭기의 이물질 절삭 상황 방향을 주시하며 촬영할 수 있도록 에워싼 구조로 보호받을 수 있게 한 자바라 구조의 조절보호관에 삽입되며;
    상기 절삭기는 이물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절삭도구들이 선택적으로 상기 파이프의 선단에서 탈착되는 방식으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스크류의 이물질 제거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90083665A 2019-07-11 2019-07-11 선박 스크류의 이물질 제거 장치 KR102261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665A KR102261466B1 (ko) 2019-07-11 2019-07-11 선박 스크류의 이물질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665A KR102261466B1 (ko) 2019-07-11 2019-07-11 선박 스크류의 이물질 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349A KR20210007349A (ko) 2021-01-20
KR102261466B1 true KR102261466B1 (ko) 2021-06-07

Family

ID=74305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3665A KR102261466B1 (ko) 2019-07-11 2019-07-11 선박 스크류의 이물질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14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7303B1 (ko) 2021-05-20 2021-12-09 양창학 해머링 커터
CN114212185A (zh) * 2021-12-15 2022-03-22 中船广西船舶及海洋工程有限公司 一种厚钢板型式的船舶艏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627Y1 (ko) 2002-11-11 2003-02-12 성달수 선박용 스크류 이물질 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7525A (ko) * 2015-10-23 2017-05-08 김영원 카메라 및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선박용 스크류 이물질제거장치
KR102003599B1 (ko) * 2017-09-13 2019-07-24 황민선 보호 지그 및 이를 구비한 선박용 스크류 이물질 제거장치
KR20180081691A (ko) 2018-07-06 2018-07-17 김영원 카메라 및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선박용 스크류 이물질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627Y1 (ko) 2002-11-11 2003-02-12 성달수 선박용 스크류 이물질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349A (ko) 202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1466B1 (ko) 선박 스크류의 이물질 제거 장치
KR101750614B1 (ko) 수중 구조물 검사장치
KR101050709B1 (ko) 수중 작업자를 위한 스마트 웨어
KR20110062248A (ko) 무선 조종을 이용한 선박 수중 청소 로봇
US2016030236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limbing timber
EP2830934B1 (de) Unterwasserarbeitssystem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unterwasserarbeitssystems
GB253668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fish
CN108166467A (zh) 一种与无人船联合作业的水草清除设备及其工作方法
CN207060362U (zh) 一种水下履带式船体检测装置
CN115946832B (zh) 一种自动回收的海床基
JP2002058370A (ja) 海草藻場の調査方法及び該調査方法に使用する装置
CN219394917U (zh) 一种船舶的安全监控系统及船舶
US20060081167A1 (en) Propulsion system for scuba diver
KR101879959B1 (ko) 수중 그라인더
CN108839775A (zh) 应用于潜水作业的汽艇船
JP7359532B2 (ja) ヘルメット
KR20210037784A (ko) 작업자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의류
KR101977560B1 (ko) 선박 스크류 이물질 제거장치
CN108860520A (zh) 应用于潜水作业的装置
CN107891956A (zh) 履带式水下探测机器人
US10500422B2 (en) Integrated umbilical delivery system for gas, data, communications acquisition/documentation, accessory power and safety for users in adverse environments
KR102548647B1 (ko) 선박스크류 이물질 절단장치
KR20150059281A (ko) 수중 청소로봇
CN109798876A (zh) 一种结合ar技术的视觉探测装置
JP2003081180A (ja) プロペラ翼等付着物除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