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1026B1 - 공기분리부를 갖는 의료 영상용 표준 팬텀 - Google Patents

공기분리부를 갖는 의료 영상용 표준 팬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1026B1
KR102261026B1 KR1020190053127A KR20190053127A KR102261026B1 KR 102261026 B1 KR102261026 B1 KR 102261026B1 KR 1020190053127 A KR1020190053127 A KR 1020190053127A KR 20190053127 A KR20190053127 A KR 20190053127A KR 102261026 B1 KR102261026 B1 KR 102261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eparation
separation unit
medical imaging
phantom
standard phant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8937A (ko
Inventor
조효민
안봉영
이창우
홍철표
Original Assignee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표준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53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1026B1/ko
Publication of KR20200128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8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위 블록 형태를 기반으로 하는 의료 영상용 표준 팬텀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공기가 촬영되지 않도록 공기분리부를 갖는 의료 영상용 표준 팬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의료 영상용 표준 팬텀에 있어서, 상면(122)에 다수의 돌기(124)가 형성되고, 용액(152) 주입이 가능한 볼트공(128)이 형성된 헤드블록(120); 헤드블록(120)과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용액(152)을 수용할 수 있는 공동(146)이 형성된 본체블록(140); 및 공동(146)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용액(152) 또는 공기를 통과시키는 관통공(136)이 형성된 공기분리부(130);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공기분리부를 갖는 의료 영상용 표준 팬텀{Standard phantom for a medical image with an air separation part}
본 발명은 단위 블록 형태를 기반으로 하는 의료 영상용 표준 팬텀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공기가 촬영되지 않도록 공기분리부를 갖는 의료 영상용 표준 팬텀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팬텀(MEDICAL PHANTOM)은 인체의 전체 혹은 부분의 물리적 성질을 모사한 모델로서 진단 및 치료 기기의 성능평가, 의료영상품질평가, 선량측정, 중재적 시술 훈련 및 평가 등에서 다양한 형태,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특히, 영상진단기기에 따라 영상획득의 물리적 매커니즘이 다르고 영상진단기기의 크기와 형태도 다르기 때문에 현재 여러 형태와 성질을 가진 팬텀이 존재한다.
즉, 의료용 팬텀은 영상진단기기의 다양한 크기와 형태에 적합하도록 여러 형태로 제작될 수 밖에 없고, 결국 팬텀은 기기의 특성에 제한 받을 수 밖에 없다.
더욱이 인체와 유사한 형태로 팬텀을 만들기 위해서는 인체와 유사한 크기로 제작해야 하고 그 안에 매체를 넣기 때문에 무게가 무겁고 운용에도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결국, 의료용 팬텀에도 상기 개념을 적용하여 복셀 단위로 팬텀을 구성할 수 있고, 이를 가장 잘 구현한 것이 레고 블록을 이용한 팬텀이다. 기존에는 레고의 단위 블록인 브릭을 조합하여 일정한 형태의 팬텀으로 구성한 뒤 이를 영상진단기기의 성능평가에 이용한 경우가 있었다. 더욱이 영상평가 및 선량 측정을 위해서라도 블록 내부에 특정한 물리적 성질을 가진 매질이 필요하다는 기술적 요구사항이 있었다.
도 1은 종래의 모듈형 표준 팬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준 팬텀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형태의 팬텀(10)은 상면(12)에 4개가 돌기(16)가 형성되고, 하면(14)에는 하부돌기(28)가 형성되어 삽입부(26)로 또 다른 팬텀(10)의 돌기(16)가 삽입되어 조립되는 구조이다.
종래의 팬텀(10) 내부에는 공동(18)을 형성하여 비어 있고, 주입구(22)를 통해 용액을 주입한 후 밀봉하였다. 이와 같이 내부가 용액(20)으로 채워진 팬텀(10)은 여러개가 조립되어 의료용 영상장비(CT, MRI 등) 내에서 촬영되어 교정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팬텀(10) 각각의 내부를 물 또는 서로 다른 종류나 농도의 상자성물질의 용액으로 충진한 후 의료용 영상장비 내에서 쵤영한다. 그러면, 촬영된 영상 이미지 상에서 용액의 종류나 농도 차이에 따라 서로 다른 회색계조가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영상 이미지를 통해 대조도(계조 또는 그라데이션(Gradation)), 회색계조(Grayscale), 계조선형성, 공간해상도, 신호대잡음비, 균일도, 단면선택의 위치 및 정확도, 기하학적 정확도 등을 판별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해당 영상장비의 영상 파라미터를 교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와 같은 종래의 팬텀(10)은 제조과정에서 주입구(22)를 통해 용액(20)을 주입한 후 영구 밀봉하는 방식이었다. 따라서, 10단계의 회색계조를 표출하기 위하여는 10가지의 팬텀(10)을 준비해야만 했다. 그런데, 종래의 팬텀(10)은 사용할 수록 내부의 용액(20)이 외부로 증발하거나 미세하게 누수되어 내부에 공기방울(24) 또는 기포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공기방울(24)은 용액(20)과는 다른 매질이어서 의료용 영상장비로 촬영하는 경우 팬텀(10) 내부가 균일하게 보이지 않고 공기방울(24)이 이미지상에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공기방울(24)이 있는 해당 팬텀(10)은 폐기하고 새로 구입했어야 하며, 개별 판매가 아닌 묶음식 셋트 판매(예 : 10개 한 셋트)이기 때문에 경제적 부담이 컸다.
1.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739187호 2.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856352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팬텀 내부에서 발생하는 기포나 공기방울을 분리함으로써, 해당 팬텀을 폐기하기 않고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분리부를 갖는 의료 영상용 표준 팬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팬텀 내부의 용액을 용이하게 충진하거나 교체할 수 있는 공기분리부를 갖는 의료 영상용 표준 팬텀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의료 영상용 표준 팬텀에 있어서, 상면(122)에 다수의 돌기(124)가 형성되고, 용액(152) 주입이 가능한 볼트공(128)이 형성된 헤드블록(120); 헤드블록(120)과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용액(152)을 수용할 수 있는 공동(146)이 형성된 본체블록(140); 및 공동(146)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용액(152) 또는 공기를 통과시키는 관통공(136)이 형성된 공기분리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분리부를 갖는 의료 영상용 표준 팬텀이 제공된다.
또한, 볼트공(128)에 밀봉가능하게 결합되는 볼트(110); 및 볼트공(128)과 볼트(110)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재(115);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돌기(124)는 4개의 원통 형상이다.
또한, 헤드블록(120)와 본체블록(140)은 접합되거나 접착될 수 있다.
또한, 본체블록(140)의 내면으로 부터 돌출되는 걸림턱(144)을 더 포함하고, 공기분리부(130)는 걸림턱(144)에 의해 위치 고정된다.
또한, 공동(146)중 걸림턱(144) 아래부분부터 공동(146)의 바닥면까지가 유효촬영영역(154)이다.
또한, 본체블록(140)의 하면(148)에는, 하면(148) 둘레로부터 중심을 향해 돌출하는 다수의 돌기(124); 및 하면(148)의 중심 영역에 돌출형성된 하부돌기(150);가 더 형성되어, 다른 팬텀의 상기 돌기(124)가 결합 가능하다.
또한, 헤드블록(120), 공기분리부(130), 및 본체블록(140)은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용액(152)은 물 또는 상자성물질의 용액을 포함한다.
또한, 헤드블록(120), 공기분리부(130), 및 본체블록(140)은 직육면체 형상 또는 원기둥 형상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에 따라 팬텀 내부에서 기포나 공기방울이 발생하더라도 폐기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포나 공기방울이 많아진 경우 쉽게 용액을 재주입하여 공기방울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팬텀에 비해 더 오랜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 용액을 배출하고 다른 용액으로 충진하여 교정에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교정에 필요한 모든 경우의 팬텀을 준비할 필요가 없고, 교정 현장의 필요에 따라 쉽게 팬텀 내부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팬텀의 구입과 유지에 대한 경제적 부담을 크게 경감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의 모듈형 표준 팬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준 팬텀의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분리부를 갖는 의료 영상용 표준 팬텀의 분해사시도,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표준 팬텀의 저면도,
도 4는 도 3a에 도시된 팬텀의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공기분리부를 갖는 의료 영상용 표준 팬텀의 사시도,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팬텀의 저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제 1 실시예의 구성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분리부를 갖는 의료 영상용 표준 팬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표준 팬텀의 저면도이며, 도 4는 도 3a에 도시된 팬텀의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팬텀은 대략 헤드블록(120), 공기분리부(130), 및 본체블록(140)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헤드블록(120), 공기분리부(130), 및 본체블록(140)은 폴리카보네이트, ABS 수지, PE(폴리에틸렌), PP(폴리프로필렌), 아크릴, 우레탄, PVC 등의 고분자, 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또한, 헤드블록(120), 공기분리부(130), 및 본체블록(140)은 사출성형, 절삭가공,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헤드블록(120)은 사각 단면을 가지며 상면(122)에는 4개의 돌기(124)가 형성되어 다른 팬텀과의 조립을 가능하게 한다. 볼트공(128)은 헤드블록(120)의 가운데 영역에 관통 형성되며, 용액(152)을 주입하거나 공기방울(24)을 배출하거나 용액(152)을 밀봉하는데 사용된다. 볼트공(128)의 내부에는 실링재(115)가 삽입되어 밀봉력을 더욱 제고시키고, 볼트(110)가 체결됨으로써 내부의 공동(146)과 용액(152)을 완벽하게 밀봉한다.
공기분리부(130)는 사각 단면을 가지며, 얇은 두께로 이루어지고 헤드블록(120)과 본체블록(140) 사이에 게재된다. 관통공(136)은 공기분리부(130)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어 공기방울(24)이 상부로 이동하는 통로 기능을 하고, 용액(152) 주입시 통로 역할도 한다. 공기분리부(130)는 본체블록(140)의 걸림턱(144)에 걸려 위치하게 된다.
본체블록(140)은 육면체 형상이고, 내부는 공동(146)을 형성하여 용액(152)을 수용할 수 있다. 상부 영역에는 걸림턱(144)이 내벽으로 부터 돌출되어 공기분리부(130)가 조립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148)에는 원형의 하부돌기(150)가 중앙에 형성되고, 8개의 하면돌기(151)가 돌출되어 다른 팬텀의 돌기(124)가 연속적으로 조립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체블록(140)의 본체상면(142)은 헤드블록(120)의 하면(126)과 접합되거나 접착된다. 접합을 위해서는 초음파 융착이나 마찰융착, 압착 등이 적용될 수 있고, 접착을 위해서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경화시킬 수도 있다. 본체블록(140)과 헤드블록(120)은 그외에도 별도의 나사공을 형성하여 볼트조립을 할 수도 있다.
공동(146)에 채워지는 용액(152)은 물 또는 상자성(常磁性)물질(예 : 철, 니켈, 코발트, 망간, 크롬, 백금, 알루미늄 등)을 포함하는 용액이 가능하다.
그 밖의 용액(152)으로는 자기공명영상에 필요한 신호원인 CuSO4, MnCl2, NiCl2 및 조영효과를 낼 수 있는 Gd계열, 산화철계열 및 젤타입 등의 매질을 넣을 수도 있다. 또한, 용액(152)으로 X선 컴퓨터 단층촬영에서 영상평가를 할 수 있는 물, 요오드(Iodine), 바륨(Barium), CaCO3, 파라핀(Paraffin), 지방질(Adipose) 등의 매질을 넣을 수도 있으며 핵의학 영상기기인 PET과 SPECT의 신호원인 양전자-방사동위원소(positron-emmittingisotopes)과 감마-방사동위원소(gamma-emittingisotopes)를 넣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돌기(124), 하부돌기(150) 및 하면돌기(151)는 유아용 블록 장난감(예 : 레고블록)과 같은 크기로 제작되어 쉽게 조립하거나 분해할 수 있고, 이들과 호환되도록 하여 혼용함으로써 저렴하게 다양한 블록체를 꾸밀 수 있다.
제 1 실시예의 동작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효촬영영역(154)은 공동(146)의 바닥부터 공기분리부(130)의 저면까지이다. 따라서, 팬텀(100)을 사용함에 따라 용액(152)이 새거나 자연적으로 감소되면서 발생하는 미세한 공기방울(24)이나 기포는 관통공(136)을 통해 공기분리부(130)에 모이게 된다. 따라서, 온전한 유효촬영영역(154)의 촬영이 가능하고 대조도 등의 확인과 의료용 영상장비의 교정이 가능해진다.
만약, 공기방울(24)이 많이 생겼다고 판단되면, 볼트(110)를 풀고, 볼트공(128)을 통해 용액(152)을 더 주입함으로써 공기방울(24)을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간단한 보수과정을 통해 공기방울(24)이 있는 팬텀(100)이더라도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다른 용액(152)으로 충진된 팬텀(100)이 필요한 경우에는 볼트(110)를 풀고, 기충진된 용액(152)을 모두 배출시킨 다음 원하는 용액(152)으로 다시 충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팬텀(100)을 5개 ~ 20개를 연속적으로 조립하고 각각 다른 농도의 용액을 충진하여 대조도(계조 또는 그라데이션(Gradation)), 회색계조(Grayscale), 계조선형성, 공간해상도, 신호대잡음비, 균일도, 단면선택의 위치 및 정확도, 기하학적 정확도 등을 판별할 수 있다.
변형 실시예의 동작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공기분리부를 갖는 의료 영상용 표준 팬텀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팬텀의 저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에서 형태는 다르지만 동일한 기능을 하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이다. 이에 따라 헤드블록(120), 공기분리부(130) 및 본체블록(140)도 원통형으로 제작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124)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 영역에는 원형의 하부돌기(150)가 형성되고, 하면(148)에는 돌기(124)가 조립될 수 있도록 4개의 개구(160)가 형성된다.
변형 실시예의 다른 구성들은 도 3a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반복적인 설명를 피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육면체 형상의 블록과 원통 형상의 블록을 설명하였으나 내부가 공동(146)을 형성하여 용액(152)을 수용할 수 있고, 공기분리부(130)를 조립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태(예 : 타원단면, 삼각단면, 육각단면 등)의 블록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 : 팬텀,
12 : 상면,
14 : 하면,
16 : 돌기,
18 : 공동,
20 : 용액,
24 : 공기방울,
26 : 삽입부,
28 : 하부돌기,
100 : 팬텀,
110 : 볼트,
112 : 보조볼트,
115 : 실링재,
120 : 헤드블록,
122 : 상면,
124 : 돌기,
126 : 하면,
128 : 볼트공,
130 : 공기분리부,
132 : 측벽,
134 : 바닥,
136 : 관통공,
140 : 본체블록,
142 : 본체상면,
144 : 걸림턱,
146 : 공동,
148 : 하면,
150 : 하부돌기,
152 : 용액,
154 : 유효촬영영역,
160 : 개구,
200 : 원통형 팬텀.

Claims (11)

  1. 의료 영상용 표준 팬텀에 있어서,
    상면(122)에 다수의 돌기(124)가 형성되고, 용액(152) 주입이 가능한 볼트공(128)이 형성된 헤드블록(120);
    상기 헤드블록(120)과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용액(152)을 수용할 수 있는 공동(146)이 형성된 본체블록(140);
    상기 공동(146)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용액(152) 또는 공기를 통과시키는 관통공(136)이 형성된 공기분리부(130); 및
    상기 본체블록(140)의 내면으로 부터 돌출되는 걸림턱(144);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분리부(130)는 상기 걸림턱(144)에 의해 위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분리부를 갖는 의료 영상용 표준 팬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공(128)에 밀봉가능하게 결합되는 볼트(110); 및
    상기 볼트공(128)과 상기 볼트(110)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재(115);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분리부를 갖는 의료 영상용 표준 팬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돌기(124)는 4개의 원통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분리부를 갖는 의료 영상용 표준 팬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블록(120)와 상기 본체블록(140)은 접합되거나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분리부를 갖는 의료 영상용 표준 팬텀.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146)중 상기 걸림턱(144) 아래부분부터 상기 공동(146)의 바닥면까지가 유효촬영영역(15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분리부를 갖는 의료 영상용 표준 팬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블록(140)의 하면(148)에는,
    상기 하면(148) 둘레로부터 중심을 향해 돌출하는 다수의 돌기(124); 및
    상기 하면(148)의 중심 영역에 돌출형성된 하부돌기(150);가 더 형성되어,
    다른 팬텀의 상기 돌기(124)가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분리부를 갖는 의료 영상용 표준 팬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블록(120), 상기 공기분리부(130), 및 상기 본체블록(140)은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분리부를 갖는 의료 영상용 표준 팬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152)은 물 또는 상자성물질 용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분리부를 갖는 의료 영상용 표준 팬텀.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블록(120), 상기 공기분리부(130), 및 상기 본체블록(140)은 직육면체 형상 또는 원기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분리부를 갖는 의료 영상용 표준 팬텀.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공(128)의 인근에 형성된 또 다른 볼트공; 및
    상기 또 다른 볼트공에 결합되는 보조볼트(1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분리부를 갖는 의료 영상용 표준 팬텀.
KR1020190053127A 2019-05-07 2019-05-07 공기분리부를 갖는 의료 영상용 표준 팬텀 KR102261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127A KR102261026B1 (ko) 2019-05-07 2019-05-07 공기분리부를 갖는 의료 영상용 표준 팬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127A KR102261026B1 (ko) 2019-05-07 2019-05-07 공기분리부를 갖는 의료 영상용 표준 팬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8937A KR20200128937A (ko) 2020-11-17
KR102261026B1 true KR102261026B1 (ko) 2021-06-04

Family

ID=73642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127A KR102261026B1 (ko) 2019-05-07 2019-05-07 공기분리부를 갖는 의료 영상용 표준 팬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102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9567B1 (ko) * 2015-10-30 2017-04-25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양전자 단층촬영 및 컴퓨터 단층촬영 전용 팬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187B1 (ko) 2004-12-27 2007-07-13 허순녕 의료영상 촬영장치 정도관리용 팬텀 및 상기 팬텀사용준비장치
KR101943247B1 (ko) * 2014-12-30 2019-01-28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다목적, 다중융합영상을 위한 모듈단위 매핑팬텀
KR101856352B1 (ko) 2016-09-07 2018-05-10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단위 블록 형태를 기반으로 하는 의료 영상 길이 측정 표준용 팬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9567B1 (ko) * 2015-10-30 2017-04-25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양전자 단층촬영 및 컴퓨터 단층촬영 전용 팬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8937A (ko) 202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3247B1 (ko) 다목적, 다중융합영상을 위한 모듈단위 매핑팬텀
RU2459273C2 (ru) Анатомически и функционально точные фантомы мягких тканей и способ для их формирования
Valladares et al. Physical imaging phantoms for simulation of tumor heterogeneity in PET, CT, and MRI: an overview of existing designs
KR101018880B1 (ko) 동적 영상 정합용 변형가능 폐 팬텀장치
KR20120022729A (ko) 뇌 화상화 장치용 두부 모형 및 그 제조 기술
US20190029633A1 (en) Thyroid phantom, corresponding production method, overall phantom comprising such a thyroid phantom and corresponding phantom families
KR101729567B1 (ko) 양전자 단층촬영 및 컴퓨터 단층촬영 전용 팬텀
KR101587368B1 (ko) 다목적 다중영상을 위한 단위블록 및 단위블록을 이용한 다중 모듈 의료용 팬텀
KR102261026B1 (ko) 공기분리부를 갖는 의료 영상용 표준 팬텀
US10092214B2 (e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arker
JP2008132021A (ja) 脳模型
KR102307494B1 (ko) 뇌질환 임상시험용 표준 팬텀
KR102130915B1 (ko) 의료 영상용 팬텀을 수용하는 개폐식 용기
KR102339858B1 (ko) 내부용기에 표준물질을 담은 의료 영상용 표준 팬텀
CN106901765A (zh) 一种仿人头部的pet/mr成像质量检测体模及其制备方法
KR100721117B1 (ko) 유체순환시스템을 갖는 팬텀장치
KR101518289B1 (ko) 표준섭취계수 측정을 위한 실린더형 팬텀장치
JP2010092068A (ja) 脳模型
JP6189683B2 (ja) 線条体ファントム
CN106923855A (zh) 一种动物pet/ct成像质量检测体模
KR20230090015A (ko) 올인원 핵의학 전용 팬텀
JP6630413B2 (ja) 線条体ファントム
CN217186172U (zh) 心肌梗死分析体模
JP6392410B2 (ja) 線条体ファントム
KR102403017B1 (ko) 골밀도 모사블록의 교체가 가능한 골밀도 표준 팬텀 및 이를 조립한 골밀도 표준 팬텀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