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915B1 - 의료 영상용 팬텀을 수용하는 개폐식 용기 - Google Patents

의료 영상용 팬텀을 수용하는 개폐식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915B1
KR102130915B1 KR1020190053128A KR20190053128A KR102130915B1 KR 102130915 B1 KR102130915 B1 KR 102130915B1 KR 1020190053128 A KR1020190053128 A KR 1020190053128A KR 20190053128 A KR20190053128 A KR 20190053128A KR 102130915 B1 KR102130915 B1 KR 102130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ntom
container body
container
substrat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효민
안봉영
이창우
홍철표
Original Assignee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표준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53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9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0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of curved cross-section
    • B65D11/06Drums or barrels
    • B65D11/08Arrangements of filling or discharging aper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위 블록 형태를 기반으로 하는 의료 영상용 표준 팬텀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팬텀과 팬텀 주위의 용액을 각각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의료 영상용 팬텀을 수용하는 개폐식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면에 팬텀(10)이 조립되는 기판돌기(155)가 다수 형성된 기판(150); 일측으로 기판(150)이 조립되고, 타측에 제 2 나사부(137)가 형성된 제 2 용기체(130); 일측에 제 2 나사부(137)와 체결하는 제 1 나사부(117)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면(119)이 형성된 제 1 용기체(110); 제 1 용기체(110)와 제 2 용기체(130)중 하나에 형성된 관통공(115); 및 관통공(115)을 개방하거나 밀폐할 수 있는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관통공(115)을 통해 제 1 용기체(110), 제 2 용기체(130) 및 기판(150)으로 정의되는 내부공간(170)에 용액(160)을 충진하거나 배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료 영상용 팬텀을 수용하는 개폐식 용기{Retractable container accommodating a phantom for a medical image}
본 발명은 단위 블록 형태를 기반으로 하는 의료 영상용 표준 팬텀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팬텀과 팬텀 주위의 용액을 각각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의료 영상용 팬텀을 수용하는 개폐식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팬텀(MEDICAL PHANTOM)은 인체의 전체 혹은 부분의 물리적 성질을 모사한 모델로서 진단 및 치료 기기의 성능평가, 의료영상품질평가, 선량측정, 중재적 시술 훈련 및 평가 등에서 다양한 형태,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특히, 영상진단기기에 따라 영상획득의 물리적 매커니즘이 다르고 영상진단기기의 크기와 형태도 다르기 때문에 현재 여러 형태와 성질을 가진 팬텀이 존재한다.
즉, 의료용 팬텀은 영상진단기기의 다양한 크기와 형태에 적합하도록 여러 형태로 제작될 수 밖에 없고, 결국 팬텀은 기기의 특성에 제한 받을 수 밖에 없다.
더욱이 인체와 유사한 형태로 팬텀을 만들기 위해서는 인체와 유사한 크기로 제작해야 하고 그 안에 매체를 넣기 때문에 무게가 무겁고 운용에도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결국, 의료용 팬텀에도 상기 개념을 적용하여 복셀 단위로 팬텀을 구성할 수 있고, 이를 가장 잘 구현한 것이 레고 블록을 이용한 팬텀이다. 기존에는 레고의 단위 블록인 브릭을 조합하여 일정한 형태의 팬텀으로 구성한 뒤 이를 영상진단기기의 성능평가에 이용한 경우가 있었다. 더욱이 영상평가 및 선량 측정을 위해서라도 블록 내부에 특정한 물리적 성질을 가진 매질이 필요하다는 기술적 요구사항이 있었다. 그리고, 팬텀(10)은 여러개가 조립되어 의료용 영상장비(CT, MRI 등) 내에서 촬영되어 교정에 사용된다.
도 1a는 종래의 모듈형 표준 팬텀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표준 팬텀의 저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형태의 팬텀(10)은 상면(12)에 4개가 팬텀돌기(16)가 형성되고, 하면(14)에는 하부돌기(18)가 형성되어 팬텀돌기(16)가 삽입되어 조립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팬텀(10)은 용도에 따라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팬텀간의 기하학적 거리의 교정을 위해 금속볼을 포함하는 팬텀, 대조도(계조 또는 그라데이션(Gradation)), 회색계조(Grayscale), 계조선형성, 신호대잡음비, 균일도 등을 평가하기 위해 내부에 용액을 담고 있는 팬텀, 기하학적 기준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인디케이터(Indicator) 팬텀, 공간해상도를 평가하기 위해 격자를 갖는 팬텀, 더미팬텀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다양한 팬텀들은 그 자체로 촬영하여 교정하기도 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용액에 침지시킨 후 용액과 함께 촬영하는 필요가 있었다.도 2는 도 1a에 도시된 팬텀을 포함하는 종래의 팬텀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30) 상에 팬텀조립체(20)를 설치하고, 내부가 용액(50)으로 채워진 밀폐용기(40)의 구성이었다.
그런데, 종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미리 제작되어 판매되고 있었다. 이러한 방식은 밀폐용기(40)를 개방할 수 없었으며, 용액(50)을 교체하거나 팬텀(10)을 교체할 수 없었다. 따라서, 필요한 목적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밀폐용기를 구입해야 하는 경제적 부담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밀폐용기(40)은 제조과정에서 용액(50)을 주입한 후 영구 밀봉하는 방식이었다. 그런데, 종래의 밀폐용기(40)는 사용할 수록 내부의 용액(50)이 외부로 증발하거나 미세하게 누수되어 내부에 공기방울 또는 기포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공기방울이나 기포는 용액(50)과는 다른 매질이어서 의료용 영상장비로 촬영하는 경우 밀폐용기(40) 내부가 균일하게 보이지 않고 공기방울이나 기포가 이미지상에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공기방울(24)이 있는 해당 밀폐용기(40)는 폐기하고 새로 구입했어야 하며, 이로 인해 경제적 부담이 컸다.
1.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739187호 2.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856352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용기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여 팬텀의 교환이 가능하며, 팬텀을 둘러싼 용액의 보충이나 교환이 가능한 의료 영상용 팬텀을 수용하는 개폐식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기 내부의 팬텀을 조립식 블록 형태로 구비함으로써 팬텀을 필요에 따라 다양한 기능의 조합으로 구성할 수 있는 의료 영상용 팬텀을 수용하는 개폐식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일면에 팬텀(10)이 조립되는 기판돌기(155)가 다수 형성된 기판(150); 일측으로 기판(150)이 조립되고, 타측에 제 2 나사부(137)가 형성된 제 2 용기체(130); 일측에 제 2 나사부(137)와 체결하는 제 1 나사부(117)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면(119)이 형성된 제 1 용기체(110); 제 1 용기체(110)와 상기 제 2 용기체(130)중 하나에 형성된 관통공(115); 및 관통공(115)을 개방하거나 밀폐할 수 있는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관통공(115)을 통해 제 1 용기체(110), 제 2 용기체(130) 및 기판(150)으로 정의되는 내부공간(170)에 용액(160)을 충진하거나 배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용 팬텀을 수용하는 개폐식 용기가 제공된다.
또한, 팬텀(10)은 제 1 나사부(117)와 제 2 나사부(137)가 해체되었을 때 용기(100) 내부로 수용되거나 꺼내질 수 있다.
또한, 팬텀(10)의 상면에 팬텀돌기(16)가 더 형성되고, 그리고 팬텀돌기(16와 기판돌기(155)는 동일한 크기이다.
또한, 팬텀돌기(16)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팬텀(10)이 조립됨으로써 팬텀조립체(20)를 형성하고, 팬텀조립체(20)가 용기(100) 내부로 수용된다.
또한, 제 1 용기체(110)와 제 2 용기체(130)는 원통형상이다.
또한, 관통공(115)은 상면(119)의 중앙영역에 형성된다.
또한, 개폐수단은, 관통공(115)을 체결되는 볼트(120); 및 관통공(115)과 상기 볼트(120) 사이에 게재되는 실링재(125);를 포함한다.
또한, 제 1 용기체(110)와 제 2 용기체(130)중 적어도 하나는 투명하다.
또한, 용액(160)은 물 또는 상자성물질을 포함하는 용액일 수 있다.
또한, 제 1 용기체(110)와 제 2 용기체(130)는 폴리카보네이트, ABS 수지, PE(폴리에틸렌), PP(폴리프로필렌), 아크릴, 우레탄, PVC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기판(150)의 타면에는 또 다른 팬텀(10)이 조립될 수 있도록 기판하부돌기(18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용기체(110)의 상면(119)에는 상부기판돌기(180)가 더 형성되어, 또 다른 팬텀(10)이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에 따라 용기 내부에 기포나 공기방울이 발생하더라도 손쉽게 용액을 보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용기를 폐기하지 않고, 팬텀이 포함된 용기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경제적 장점이 있다.
그리고, 교정 환경에 따라 다른 용액을 이용한 팬텀 촬영이 필요한 경우에도 손쉽게 용액을 교체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또한, 용기의 개폐와 팬텀의 교환이 가능하므로 팬텀을 필요에 따라 다양한 기능의 조합으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기능별로 팬텀이 포함된 용기를 구비할 필요가 없고, 하나의 용기에 기능별 팬텀을 구비하면 충분하다.
이로 인해, 교정장비의 전체적인 부피감소, 이동성 증대, 의료 현장의 상황변화에 따른 신속한 교정대응 등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a는 종래의 모듈형 표준 팬텀의 사시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표준 팬텀의 저면도,
도 2는 도 1a에 도시된 팬텀을 포함하는 종래의 팬텀용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용 팬텀을 수용하는 개폐식 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개폐식 용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제 1 실시예의 구성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용 팬텀을 수용하는 개폐식 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개폐식 용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용기(100)는 대략 제 1 용기체(110), 제 2 용기체(130) 및 기판(15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 1 용기체(110), 제 2 용기체(130) 및 기판(150)은 폴리카보네이트, ABS 수지, PE(폴리에틸렌), PP(폴리프로필렌), 아크릴, 우레탄, PVC 등의 고분자, 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제 1 용기체(110), 제 2 용기체(130) 및 기판(150)은 사출성형, 절삭가공,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할 때, 제 1 용기체(110)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지름 약 5cm ~ 15cm)형상이고, 상부가 상면(119)으로 막혀 있고, 하부가 개방되며, 하부의 원주방향에는 제 1 나사부(117)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 1 용기체(110)는 얇고(두께 약 0.5 mm ~ 1 mm) 투명한 재질이 바람직하다.
상면(119)의 중심에는 관통공(115)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115)은 제 1 용기체(110)의 가운데 영역에 관통 형성되며, 용액(160)을 주입, 교체하거나 공기방울을 배출하거나 용액(160)을 밀봉하는데 사용된다. 관통공(115)의 내부에는 실링재(125)가 삽입되어 밀봉력을 더욱 제고시키고, 볼트(120)가 체결됨으로써 내부공간(170)과 용액(160)을 완벽하게 밀봉한다.
제 2 용기체(130)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지름 약 5cm ~ 15cm)형상이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며, 상부의 원주방향에는 제 2 나사부(137)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나사부(117)와 제 2 나사부(137)는 밀봉을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체결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제 1 나사부(117)를 암나사로 가공하고, 제 2 나사부(137)을 숫나사로 가공한다. 선택적으로 제 1 나사부(117)를 숫나사로 가공하고, 제 2 나사부(137)을 암나사로 가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 2 용기체(130)는 얇고(두께 약 0.5 mm ~ 1 mm) 투명한 재질이 바람직하다.
제 2 용기체(130)는 제 1 용기체(110)와 동일한 재질, 동일한 직경,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용기체(130)의 하단에는 기판(150)이 단단하게 고정된다.
기판(150)은 상면에 다수의 기판돌기(155)가 형성되고, 원주에는 제 2 용기체(130)가 끼워져 고정된다. 기판돌기(155)는 팬텀돌기(16)와 동일한 크기 및 규격으로 제작되어 팬텀(10) 또는 팬텀조립체(20)를 쉽게 조립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팬텀(10)은 본 발명에서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즉, 블록 형태의 팬텀(10)은 상면(12)에 4개가 팬텀돌기(16)가 형성되고, 하면(14)에는 하부돌기(18)가 형성되어 팬텀돌기(16)가 삽입되어 조립되는 구조이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14)에는 원형의 하부돌기(18)가 중앙에 형성되고, 8개의 하면돌기(번호 미부여)가 돌출되어 다른 팬텀의 팬텀돌기(16)가 연속적으로 조립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팬텀(10)은 용도에 따라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팬텀간의 기하학적 거리의 교정을 위해 금속볼을 포함하는 팬텀, 대조도(계조 또는 그라데이션(Gradation)), 회색계조(Grayscale), 계조선형성, 신호대잡음비, 균일도 등을 평가하기 위해 내부에 용액을 담고 있는 팬텀, 기하학적 기준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인디케이터(Indicator) 팬텀, 공간해상도를 평가하기 위해 격자를 갖는 팬텀, 더미팬텀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전술한 다양한 팬텀들은 장난감 블록처럼 조립되어 팬텀조립체(20)를 형성한다. 팬텀조립체(20)는 2개 ~ 64개의 팬텀(10)을 조립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외관이 제 1, 2 용기체(110, 130) 내부에 들어갈 수 있는 크기라면 어떠한 팬텀이나 갯수라도 무방하다. 특히 팬텀조립체(20)는 모두 팬텀(10)으로만 구성할 수도 있고, 일부의 팬텀(10)과 일부의 장난감 블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장난감 블록은 평면상에서 또는 공간상에서 이격된 채로 설치되어야 하는 팬텀(10)의 사이를 채우는데 사용될 수 있다. 장난감 블록을 사용하는 것은 구입이 용이하고 규격이 정확하며, 팬텀에 비해 극히 저렴하기 때문이다.
내부공간(170)과 팬텀조립체(20) 사이에 채워지는 용액(160)은 물 또는 상자성(常磁性)물질(예 : 철, 니켈, 코발트, 망간, 크롬, 백금, 알루미늄 등)을 포함하는 용액이 가능하다. 그 밖의 용액(160)으로는 자기공명영상에 필요한 신호원인 CuSO4, MnCl2, NiCl2 및 조영효과를 낼 수 있는 Gd계열, 산화철계열 및 젤타입 등의 매질을 넣을 수도 있다. 또한, 용액(152)으로 X선 컴퓨터 단층촬영에서 영상평가를 할 수 있는 물, 요오드(Iodine), 바륨(Barium), CaCO3, 파라핀(Paraffin), 지방질(Adipose) 등의 매질을 넣을 수도 있으며 핵의학 영상기기인 PET과 SPECT의 신호원인 양전자-방사동위원소(positron-emmittingisotopes)과 감마-방사동위원소(gamma-emittingisotopes)를 넣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팬텀돌기(16), 기판돌기(155) 및 하부돌기(18)는 유아용 블록 장난감(예 : 레고블록)과 같은 크기로 제작되어 쉽게 조립하거나 분해할 수 있고, 이들과 호환되도록 하여 혼용함으로써 저렴하게 다양한 블록체를 꾸밀 수 있다.
제 1 실시예의 동작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의료용 영상장비(예 : MRI, CT, PET 등)는 대부분 대규모의 크기이고 거치형이기 때문에 교정을 위해서는 팬텀과 교정장비를 갖고 현장으로 이동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먼저, 원하는 팬텀(10)을 이용하여 팬텀조립체(20)를 구성한다. 그 다음, 제 1, 2 용기체(110, 130)를 분리한 후 기판(150) 상에 팬텀조립체(20)를 조립한다.
다시 제 1, 2 용기체(110, 130)를 체결한 후 관통공(115)을 통해 원하는 용액(160)을 주입한다. 이때, 공기방울이나 기포가 주입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실링재(125)와 볼트(120)로 관통공(115)을 밀봉하면 용기(100)가 완성된다. 이렇게 완성된 용기(100)는 의료용 영상장비(예 : MRI, CT, PET 등)내에 투입되어 촬영된다. 그리고,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분석하는 팬텀간의 기하학적 거리, 대조도(계조 또는 그라데이션(Gradation)), 회색계조(Grayscale), 계조선형성, 신호대잡음비, 균일도 등이 정확한지 평가한다. 만약, 팬텀조립체(20)와 다르게 왜곡된 이미지가 촬영되었다면 해당 의료용 영상장비를 교정한다.
만약, 용기(100) 내부에 공기방울이나 기포가 많이 생겼다고 판단되면, 볼트(120)를 풀고, 관통공(115)을 통해 용액(160)을 더 주입함으로써 공기방울이나 기포를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간단한 보수과정을 통해 공기방울이나 기포가 있는 용기(100)라도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다른 용액(160)으로 충진된 용기(100)가 필요한 경우에는 볼트(120)를 풀고, 기충진된 용액(160)을 모두 배출시킨 다음 원하는 용액(160)으로 다시 충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필요한 경우 제 1, 2 용기체(110, 130)를 분리한 후 세척하는 과정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변형 실시예
본 발명에서는 나사체결을 통해 개폐되는 용기(100)를 제안하였으나, 도어를 통해 개폐되는 용기, 뚜껑으로 개폐되는 용기, 제 1, 2 용기체를 일체로 형성하고 용기체와 기판을 나사체결로 개폐하는 용기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도 5는 도 4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용기체(110)의 상면에는 다수의 상부기판돌기(180)가 형성되어 있다. 다수의 상부기판돌기(180)는 도 1b에 도시된 하부돌기(18)와 호환 가능한 크기와 간격을 갖는다. 그리고, 기판(150)의 하면에는 다수의 기판하부돌기(185)가 형성되어 있다. 기판하부돌기(185)는 도 1b에 도시된 팬텀돌기(16)와 호환 가능한 크기와 간격을 갖는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용기체(110)의 상면에 추가로 도 1a와 같은 팬텀(10)을 다수 조립할 수 있고, 기판(150)의 하면에도 도 1a와 같은 팬텀(10)을 다수 조립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 : 팬텀,
12 : 상면,
14 : 하면,
16 : 팬텀돌기,
18 : 하부돌기,
20 : 팬텀조립체,
30 : 기판,
35 : 기판돌기,
40 : 밀폐용기,
50 : 용액,
100 : 용기,
110 : 제 1 용기체,
115 : 관통공,
117 : 제 1 나사부,
119 : 상면,
120 : 볼트,
125 : 실링재,
130 : 제 2 용기체,
137 : 제 2 나사부,
150 : 기판,
155 : 기판돌기,
160 : 용액,
170 : 내부공간,
180 : 상부기판돌기,
185 : 기판하부돌기.

Claims (12)

  1. 일면에 팬텀(10)이 조립되는 기판돌기(155)가 다수 형성된 기판(150);
    일측으로 상기 기판(150)이 조립되고, 타측에 제 2 나사부(137)가 형성된 제 2 용기체(130);
    일측에 상기 제 2 나사부(137)와 체결하는 제 1 나사부(117)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면(119)이 형성된 제 1 용기체(110);
    상기 제 1 용기체(110)와 상기 제 2 용기체(130)중 하나에 형성된 관통공(115);
    상기 관통공(115)을 개방하거나 밀폐할 수 있는 개폐수단;
    또 다른 팬텀(10)이 조립될 수 있도록 상기 기판(150)의 타면에 형성되는 기판하부돌기(185);
    상기 또 다른 팬텀(10)이 조립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용기체(110)의 상기 상면(119)에 형성되는 상부기판돌기(180); 및
    상기 팬텀(10)의 상면에 형성된 팬텀돌기(16);를 포함하여,
    상기 팬텀돌기(16)와 상기 기판돌기(155)는 동일한 크기이고,
    상기 팬텀돌기(16)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팬텀(10)이 조립됨으로써 팬텀조립체(20)를 형성하고,
    상기 팬텀조립체(20)가 용기(100) 내부로 수용되며, 그리고
    상기 관통공(115)을 통해 상기 제 1 용기체(110), 제 2 용기체(130) 및 상기 기판(150)으로 정의되는 내부공간(170)에 용액(160)을 충진하거나 배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용 팬텀을 수용하는 개폐식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텀(10)은 상기 제 1 나사부(117)와 상기 제 2 나사부(137)가 해체되었을 때 상기 용기(100) 내부로 수용되거나 꺼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용 팬텀을 수용하는 개폐식 용기.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용기체(110)와 상기 제 2 용기체(130)는 원통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용 팬텀을 수용하는 개폐식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115)은 상기 상면(119)의 중앙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용 팬텀을 수용하는 개폐식 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관통공(115)을 체결되는 볼트(120); 및
    상기 관통공(115)과 상기 볼트(120) 사이에 게재되는 실링재(1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용 팬텀을 수용하는 개폐식 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용기체(110)와 상기 제 2 용기체(130)중 적어도 하나는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용 팬텀을 수용하는 개폐식 용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160)은 물 또는 상자성물질을 포함하는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용 팬텀을 수용하는 개폐식 용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용기체(110)와 상기 제 2 용기체(130)는 폴리카보네이트, ABS 수지, PE(폴리에틸렌), PP(폴리프로필렌), 아크릴, 우레탄, PVC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용 팬텀을 수용하는 개폐식 용기.
  11. 삭제
  12. 삭제
KR1020190053128A 2019-05-07 2019-05-07 의료 영상용 팬텀을 수용하는 개폐식 용기 KR102130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128A KR102130915B1 (ko) 2019-05-07 2019-05-07 의료 영상용 팬텀을 수용하는 개폐식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128A KR102130915B1 (ko) 2019-05-07 2019-05-07 의료 영상용 팬텀을 수용하는 개폐식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0915B1 true KR102130915B1 (ko) 2020-07-06

Family

ID=71571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128A KR102130915B1 (ko) 2019-05-07 2019-05-07 의료 영상용 팬텀을 수용하는 개폐식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91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187B1 (ko) 2004-12-27 2007-07-13 허순녕 의료영상 촬영장치 정도관리용 팬텀 및 상기 팬텀사용준비장치
KR101729567B1 (ko) * 2015-10-30 2017-04-25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양전자 단층촬영 및 컴퓨터 단층촬영 전용 팬텀
KR20170097668A (ko) * 2014-12-30 2017-08-28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다목적, 다중융합영상을 위한 모듈단위 매핑팬텀
KR101856352B1 (ko) 2016-09-07 2018-05-10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단위 블록 형태를 기반으로 하는 의료 영상 길이 측정 표준용 팬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187B1 (ko) 2004-12-27 2007-07-13 허순녕 의료영상 촬영장치 정도관리용 팬텀 및 상기 팬텀사용준비장치
KR20170097668A (ko) * 2014-12-30 2017-08-28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다목적, 다중융합영상을 위한 모듈단위 매핑팬텀
KR101729567B1 (ko) * 2015-10-30 2017-04-25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양전자 단층촬영 및 컴퓨터 단층촬영 전용 팬텀
KR101856352B1 (ko) 2016-09-07 2018-05-10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단위 블록 형태를 기반으로 하는 의료 영상 길이 측정 표준용 팬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alladares et al. Physical imaging phantoms for simulation of tumor heterogeneity in PET, CT, and MRI: an overview of existing designs
KR101943247B1 (ko) 다목적, 다중융합영상을 위한 모듈단위 매핑팬텀
KR100517889B1 (ko) 영상정합 정확성 평가용 팬텀
KR101587368B1 (ko) 다목적 다중영상을 위한 단위블록 및 단위블록을 이용한 다중 모듈 의료용 팬텀
US20020195575A1 (en) Radiopharmaceutical pig and transportation apparatus
US20190029633A1 (en) Thyroid phantom, corresponding production method, overall phantom comprising such a thyroid phantom and corresponding phantom families
US7858925B2 (en) Calib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ET scanners
KR20120022729A (ko) 뇌 화상화 장치용 두부 모형 및 그 제조 기술
KR102130915B1 (ko) 의료 영상용 팬텀을 수용하는 개폐식 용기
US10092214B2 (e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arker
EP1414004B1 (en) Lesion phantoms with no inner cold encapsulation
KR102339858B1 (ko) 내부용기에 표준물질을 담은 의료 영상용 표준 팬텀
KR102261026B1 (ko) 공기분리부를 갖는 의료 영상용 표준 팬텀
EP110949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on and quality assurance of nuclear medicine imaging
KR101518289B1 (ko) 표준섭취계수 측정을 위한 실린더형 팬텀장치
KR100721117B1 (ko) 유체순환시스템을 갖는 팬텀장치
KR102307494B1 (ko) 뇌질환 임상시험용 표준 팬텀
CN110840475A (zh) 模体及具有该模体的多模态医学成像系统
JPS631332Y2 (ko)
JP2010092068A (ja) 脳模型
KR20230090015A (ko) 올인원 핵의학 전용 팬텀
CN108771547B (zh) Ct图像质量和辐射剂量体模和ct成像系统
JP6189683B2 (ja) 線条体ファントム
CN219742720U (zh) 分饮杯
KR102403017B1 (ko) 골밀도 모사블록의 교체가 가능한 골밀도 표준 팬텀 및 이를 조립한 골밀도 표준 팬텀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