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0585B1 - 요로결석 진단을 위한 분석방법 및 키트 - Google Patents

요로결석 진단을 위한 분석방법 및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0585B1
KR102260585B1 KR1020200124723A KR20200124723A KR102260585B1 KR 102260585 B1 KR102260585 B1 KR 102260585B1 KR 1020200124723 A KR1020200124723 A KR 1020200124723A KR 20200124723 A KR20200124723 A KR 20200124723A KR 102260585 B1 KR102260585 B1 KR 102260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in
urolithiasis
kit
yod1
pri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4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5428A (ko
Inventor
백광현
박준혁
Original Assignee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0851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62847B1/ko
Application filed by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24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0585B1/ko
Publication of KR20200115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5428A/ko
Priority to KR1020210067591A priority patent/KR1022744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9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microorganisms, e.g. protozoa, bacteria, viruses
    • G01N33/56983Viru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8Expression mar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90Enzymes; Proenzymes
    • G01N2333/914Hydrolases (3)
    • G01N2333/948Hydrolases (3) acting on peptide bonds (3.4)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34Genitourinary disorders
    • G01N2800/345Urinary calculi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로결석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대상자의 시료 중 YOD1, USP6, USP19, PSMD14, 또는 USP26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석방법 및 상기 분석방법에 사용되는 요로결석 진단용 키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요로결석 진단을 위한 분석방법 및 키트{Analytical method for diagnosing urolithiasis and kit therefor}
본 발명은 요로결석(urolithiasis)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분석방법 및 요로결석 진단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소변이 생성되어 체외로 배출될 때까지의 경로를 요로라고 하며, 요로결석이란 소변이 만들어져 수송, 배설되는 길에 결석이 생긴 것을 말한다. 결석은 요로의 어느 부위에서나 형성될 수 있으며, 크기와 숫자는 하나에서 여러 개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비뇨기과적 결석은 크게 신장결석, 요관결석, 방광결석으로 나뉜다. 실제 임상에서는 방광결석은 매우 드물고 요관결석의 비중이 높다. 요로결석 환자는 2013년 28만 명으로 연평균 2.8%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으며, 주로 활동적인 20~40대에 자주 발생하며, 여자보다 남자에게 2배 이상 많이 발생하고 재발 확률이 70% 이상인 질환이다. 또한 치료비는 2013년 기준 1,926억 원으로 연평균 6% 정도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증상으로는 혈뇨가 나타날 수 있으며, 옆구리에 심한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요로결석의 진단 방법은 병력청취와 소변검사, 혈액검사, 요로 단순촬영, 경정맥 요로조영술 등을 통해 진행된다. 또한, 소변에는 여러 가지 세포가 있어 요세포 검사가 가능하다. 요 중에 나타나는 주요세포로서는 적혈구, 백혈구 이외에 신장 등에서 탈락된 편평상피세포, 이행상피세포, 요세관 상피세포, 원주상피세포 등이 존재한다. 치료방법은 크게 보존적 치료와 외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나뉘며, 보존적 치료는 수술 없이 결석이 자연 배출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5 mm 이하의 결석에서 사용가능한 방법이다. 외과적 치료는 체외충격파쇄석술, 경피적신쇄석술이 주로 사용되며 이 방법들은 서로 상호보완적인 방법으로 상황에 따라 치료법이 결정된다.
바이오마커는 정상이나 병적인 상태를 객관적으로 구분시켜주는 표지자를 말하며, 치료에 대한 결과를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현대 의학에 있어서 바이오마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인체 내에서 살펴볼 수 있는 여러 가지 바이오마커 중에서 요로결석과 연관된 바이오마커는 아직 보고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자들은 요로결석을 나타내는 마우스의 일측성 요관 폐색(unilateral ureteral obstruction, UUO) 모델을 제작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요로결석에서 발현 차이를 나타내는 단백질분해조절 효소를 mRNA와 단백질 수준에서 확인하였다. 그 결과, 특정 단백질 즉, YOD1, USP6, USP19, PSMD14, 또는 USP26 단백질이 요로결석 모델에서 특이적으로 높게 혹은 낮게 발현된다는 것을 밝혀냈다. 따라서, 이들 단백질의 과발현 또는 저발현의 검출은 요로결석 진단을 위한 바이오마커로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요로결석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YOD1, USP6, USP19, PSMD14, 또는 USP26의 mRNA 또는 단백질을 이용한 분석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YOD1, USP6, USP19, PSMD14, 또는 USP26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량을 측정할 수 있는 분자를 포함하는 요로결석 진단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라, 요로결석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대상자의 시료 중 YOD1, USP6, USP19, PSMD14, 또는 USP26 단백질, 바람직하게는 YOD1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석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분석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상자의 시료는 혈액 또는 뇨일 수 있다. 상기 유전자의 발현량의 측정은 mRNA 또는 단백질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수행될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단백질의 양의 측정은 웨스턴 블럿팅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mRNA 양의 측정은 RT-PCR 또는 실시간-PCR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라, YOD1, USP6, USP19, PSMD14, 또는 USP26 단백질, 바람직하게는 YOD1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량을 측정할 수 있는 분자를 포함하는 요로결석 진단용 키트로서, 상기 분자가 상기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기질, 리간드, 또는 보조인자; 또는 상기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에 특이적인 상보적 서열을 갖는 프라이머인 요로결석 진단용 키트가 제공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분자는 검출가능한 표지로 표지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프라이머는 기판상에 고정화되어 있는 마이크로어레이 형태일 수 있다.
YOD1, USP6, USP19, PSMD14, 또는 USP26 단백질이 요로결석 환자들에서 특이적으로 과발현되거나 낮게 발현된다는 것이 본 발명에 의해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분석방법 및 키트는 요로결석을 진단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단백질분해조절 효소에 대하여 다중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Multiplex RT-PCR)을 수행한 결과로서, 요로결석 모델에서 발현의 차이를 나타내는 mRNA(즉 USP6, USP19, PSMD14, USP26, 및 YOD1의 mRNA)의 밴드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밴드를 Image J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대적인 mRNA 발현량을 정량분석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qRT-PCR)을 이용하여 YOD1 단백질의 mRNA 수준의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웨스턴 블롯팅을 이용하여 YOD1 단백질 및 Hippo 신호전달경로에 관련되는 단백질들의 발현 수준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YOD1을 인간 신장세포에 과발현시켰을 때 인간 신장세포의 증식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요로결석(urolithiasis)"라 함은 소변이 만들어져 수송, 저장, 배설되는 길에 결석이 생긴 것을 말하며, 신장결석, 요관결석, 방광결석, 및 요도결석을 모두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로결석은 신장결성 및 요관결석을 포함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요관결석을 의미한다.
본 발명자들은 요로결석을 나타내는 마우스의 일측성 요관 폐색(unilateral ureteral obstruction, UUO) 모델을 제작하였으며, 정상군과 비교하였을 때 요로결석 동물모델에서 신장크기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신장조직으로부터 정상군과 mRNA 수준에서 차이를 보이는 단백질분해조절 효소의 유전자(USP6, USP19, PSMD14, USP26, 및 YOD1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다중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Multiplex RT-PCR)을 이용해 발굴하였다. 그 결과, USP6 mRNA는 정상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높은 발현을 나타내었으며, USP19, PSMD14, USP26, 및 YOD1 mRNA는 정상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낮은 발현을 나타내었다. 또한, YOD1의 경우 실시간 정량 중합효소연쇄반응(qRT-PCR) 및 웨스턴 블롯팅을 이용해 정상군과 요로결석 동물모델의 신장 조직에서 mRNA와 단백질 수준에서 발현 차이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들 단백질의 과발현 또는 저발현의 검출은 요로결석 진단을 위한 바이오마커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요로결석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대상자의 시료 중 YOD1, USP6, USP19, PSMD14, 또는 USP26 단백질, 바람직하게는 YOD1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석방법을 제공한다.
YOD1, USP6, USP19, PSMD14, 및 USP26 단백질은 단백질분해조절 효소군에 속하는 단백질이다. 예를 들어, PSMD14 단백질의 NCBI 억세션 번호(NCBI accession number)는 NP_005796 이며, 이를 코딩하는 mRNA의 NCBI 억세션 번호는 NM_005805 이다. USP26 단백질의 NCBI 억세션 번호는 Q9BXU7이며, 이를 코딩하는 mRNA의 NCBI 억세션 번호는 NM_031907.1, NM_031388.2이다. YOD1, USP6 및 USP19 단백질은 각각 다양한 동형체들(isoforms)이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의 분석방법은 상기 동형체들을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키트는 상기 동형체들을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량을 측정할 수 있는 분자를 포함한다. YOD1 단백질은 단백질 기질로부터 유비퀴틴을 제거함으로써 유비퀴틴화를 저해하는 단백질로서 알려져 있다. YOD1 단백질의 NCBI 억세션 번호는 Q5VVQ6, B2RNX3, Q5VVQ5, Q6ZRS6, Q86T63, Q9P1L8이며, 이를 코딩하는 mRNA의 NCBI 억세션 번호는 BC137166.1, NM_178691.4이다. USP6 단백질의 NCBI 억세션 번호는 NP_001291213, NP_004496 이며, 이를 코딩하는 mRNA의 NCBI 억세션 번호는 NM_001304284, NM_004505, NM_005152 등이다. USP19 단백질의 NCBI 억세션 번호는 NP_001186089, NP_001186090, NP_001186091, NP_006668, NP_001338027 이며, 이를 코딩하는 mRNA의 NCBI 억세션 번호는 NM_001199160, NM_001199161, NM_001199162, NM_006677, NM_001351098 등이다.
본 발명의 분석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상자의 시료는 인체로부터 체외로 분리된 시료를 말하며, 예를 들어, 인체로부터 체외로 분리된 혈액, 뇨 등을 포함한다. 혈액 및 뇨에는 적혈구, 백혈구 이외에 신장 등에서 탈락된 편평상피세포, 이행상피세포, 요세관 상피세포, 원주상피세포 등을 포함하며, 인체로부터 체외로 분리된 혈액(바람직하게는, 투석 환자로부터 체외로 분리된 혈액 등) 및 뇨로부터 상기 유전자의 발현량 측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분석방법은 YOD1, USP6, USP19, PSMD14, 또는 USP26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백질을 각각 코딩하는 유전자 서열은 상기한 바와 같이 유전자은행에 공지되어 있는 공지의 유전자일 수 있다.
상기 유전자의 발현량의 측정은 해당 유전자의 mRNA 또는 단백질의 수준(level)을 생명공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측정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단백질(들) 양의 측정은 웨스턴 블럿팅 등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웨스턴 블럿팅 방법에 따른 분석에 있어서, USP6 단백질의 발현량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높거나 및/또는 USP19, PSMD14, USP26, 및 YOD1 단백질의 발현량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낮은 경우 요로결석 환자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백질(들)을 코딩하는 유전자의 mRNA 양의 측정은 역전사-PCR(Reverse Transcription PCR) 또는 실시간-PCR(Real Time PCR) 등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YOD1, USP6, USP19, PSMD14, 또는 USP26 단백질, 바람직하게는 YOD1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량을 측정할 수 있는 분자를 포함하는 요로결석 진단용 키트로서, 상기 분자가 상기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기질, 리간드, 또는 보조인자; 또는 상기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에 특이적인 상보적 서열을 갖는 프라이머인 요로결석 진단용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단백질(들)은 생명공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따라 폴리클론 항체 또는 단일클론 항체를 제조할 수 있으며, 해당 항체를 포함하는 진단용 키트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백질(들)은 기능이 밝혀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기질, 리간드, 또는 보조인자를 포함하도록 본 발명의 키트를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백질(들)을 코딩하는 유전자에 특이적인 상보적 서열을 갖는 프라이머를 생명공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으며, 해당 프라이머를 포함한 진단용 키트를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진단용 키트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들)을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량을 측정할 수 있는 분자는 검출가능한 표지(예를 들어, 발색단 등)로 표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진단용 키트는 상기 프라이머가 기판상에 고정화되어 있는 마이크로어레이 형태를 가짐으로써 DNA 칩 또는 단백질 칩 등의 칩(chip) 형태일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시험방법
(1) 샘플준비
마우스의 요관을 묶어 6주간 키워 요로결석 동물모델을 제작하였다. 정상 마우스 및 상기 요로결석 동물모델로부터 신장조직을 적출하였다.
(2) RNA 추출 및 cDNA 합성
적출된 신장조직으로부터 Trizol 용액을 사용하여 RNA를 추출하였다. 같은 농도의 RNA로 cDNA 합성한 후, 다중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Multiplex RT-PCR)을 위해 cDNA 샘플을 희석하였다. GAPDH를 housekeeping 유전자로서 사용하였으며, 같은 농도로 희석된 각 cDNA에 대하여, 다중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Multiplex RT-PCR)용 2X premix (Solgent) 및 프라이머(표 1 참조)를 사용하여, 다중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Multiplex RT-PCR)를 수행하였다. PCR 조건은 변성 단계 95℃에서 20초, 결합 단계 60℃에서 40초, 신장 단계 72℃에서 60초로 총 40 사이클을 수행하였다.
유전자 명칭 서열번호 프라이머 서열
USP6 1 정방향 프라이머 CGTTGGAATCAACAGCAGCATTGA
2 역방향 프라미어 CATCCATCCGCTCGTTCGTGTCA
USP19 3 정방향 프라이머 GTTCTTTCCTTCATCGTCAGGGTC
4 역방향 프라미어 AGTGGGAGTAGCCAAGAGATCATG
PSMD14 5 정방향 프라이머 GGTTTGACACTTCAGGACTACA
6 역방향 프라미어 GAGGTCATAAGTACATCCACATG
YOD1 7 정방향 프라이머 ACTTGCCCATCCAATCTGGTGA
8 역방향 프라미어 ACGTAACTAGAAGCACCACGTT
USP26 9 정방향 프라이머 CAGCCACCTGTGAGACCTGGTAA
10 역방향 프라미어 CTGATAACTCTCCGCAAGTAAG
(3) 단백질 추출 및 수준확인
적출된 신장조직을 액체질소와 막자사발을 이용해 갈고, 용해 완충액(lysis buffer)를 넣어 단백질을 추출한 다음, 웨스턴 블롯팅을 수행하여 단백질 수준을 확인하였다.
(4) 결과 확인 및 분석
다중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Multiplex RT-PCR) 반응물들은 2% 아가로오스 겔에서 전기영동하였다. ChemiDoc gel Imaging System (biorad)을 통해 각각의 프라이머에 의해 cDNA에서 증폭된 밴드를 확인하였다. 또한 웨스턴 블롯팅을 진행한 막을 가지고 단백질을 검출하였다.
2. 결과 및 고찰
요로결석 동물모델에서 신장조직을 적출하여 RNA를 추출하고 cNDA를 합성한다. 각 10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진 프라이머와 cDNA를 혼합하여 다중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Multiplex RT-PCR)을 수행한 후, 아가로스 젤 전기영동에 내려 확인하였으며, 정상군에 비하여 요로결석 모델에서 발현의 차이를 나타내는 단백질들(즉 USP6, USP19, PSMD14, USP26, 및 YOD1 단백질)을 동정하였다(도 1). 동정된 단백질들의 밴드를 Image J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대적인 mRNA 발현량을 정량분석한 결과는 도 2와 같다. 도 2의 결과로부터, USP6 단백질은 정상군에 비해 요로결석 동물모델에서 유의성 있게 높은 발현을 나타내었으며, USP19, PSMD14, USP26, 및 YOD1 단백질은 정상군에 비해 요로결석 동물모델에서 유의성 있게 낮은 발현을 나타내었다. YOD1의 mRNA 수준의 감소를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qRT-PCR)을 이용하여 검증하였으며(도 3), 또한 YOD1 단백질의 발현 감소를 웨스턴 블롯팅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도 4). 또한, YOD1을 인간 신장세포에 과발현시킨 결과 인간 신장세포의 증식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5). 따라서, 마우스와 인간에서 동일하게 YOD1이 감소하면 신장의 증식이 증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YOD1, USP6, USP19, PSMD14, 또는 USP26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함으로써, 요로결석을 진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들 단백질 또는 이들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는 요로결석을 진단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로 사용이 가능하다.
<110> CHA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120> Analytical method for diagnosing urolithiasis and kit therefor <130> PN0884 <160> 10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 cgttggaatc aacagcagca ttga 24 <210> 2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2 catccatccg ctcgttcgtg tca 23 <210> 3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3 gttctttcct tcatcgtcag ggtc 24 <210> 4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4 agtgggagta gccaagagat catg 24 <210> 5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5 ggtttgacac ttcaggacta ca 22 <210> 6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6 gaggtcataa gtacatccac atg 23 <210> 7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7 acttgcccat ccaatctggt ga 22 <210> 8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8 acgtaactag aagcaccacg tt 22 <210> 9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9 cagccacctg tgagacctgg taa 23 <210> 10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0 ctgataactc tccgcaagta ag 22

Claims (7)

  1. 요로결석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대상자의 분리된 신장 조직 시료 중 USP6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석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의 발현량의 측정이 mRNA 또는 단백질의 양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석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의 양의 측정이 웨스턴 블럿팅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석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mRNA 양의 측정이 RT-PCR 또는 실시간-PCR을 수행하여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석방법.
  5. USP6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량을 측정할 수 있는 분자를 포함하는 요로결석 진단용 키트로서,
    상기 분자가 상기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기질, 리간드, 또는 보조인자; 또는 상기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에 특이적인 상보적 서열을 갖는 프라이머인 요로결석 진단용 키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자가 검출가능한 표지로 표지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요로결석 진단용 키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가 기판상에 고정화되어 있는 마이크로어레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로결석 진단용 키트.
KR1020200124723A 2019-01-23 2020-09-25 요로결석 진단을 위한 분석방법 및 키트 KR102260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723A KR102260585B1 (ko) 2019-01-23 2020-09-25 요로결석 진단을 위한 분석방법 및 키트
KR1020210067591A KR102274480B1 (ko) 2020-09-25 2021-05-26 요로결석 진단을 위한 분석방법 및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510A KR102162847B1 (ko) 2019-01-23 2019-01-23 요로결석 진단을 위한 분석방법 및 키트
KR1020200124723A KR102260585B1 (ko) 2019-01-23 2020-09-25 요로결석 진단을 위한 분석방법 및 키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510A Division KR102162847B1 (ko) 2019-01-23 2019-01-23 요로결석 진단을 위한 분석방법 및 키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7591A Division KR102274480B1 (ko) 2020-09-25 2021-05-26 요로결석 진단을 위한 분석방법 및 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5428A KR20200115428A (ko) 2020-10-07
KR102260585B1 true KR102260585B1 (ko) 2021-06-03

Family

ID=7288331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723A KR102260585B1 (ko) 2019-01-23 2020-09-25 요로결석 진단을 위한 분석방법 및 키트
KR1020210067591A KR102274480B1 (ko) 2020-09-25 2021-05-26 요로결석 진단을 위한 분석방법 및 키트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7591A KR102274480B1 (ko) 2020-09-25 2021-05-26 요로결석 진단을 위한 분석방법 및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6058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23589A2 (en) 1999-09-29 2001-04-05 Millennium Pharmaceuticals, Inc. 23431, a novel human ubiquitin protease
US20100015645A1 (en) 2008-07-18 2010-01-21 Kaohsiung Medical University Il-8 as biomarker for the detection of urolithiasis
US20150158931A1 (en) 2012-07-06 2015-06-11 Stichting Het Nederlands Kanker Instituut Cysteine protease capturing agent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23589A2 (en) 1999-09-29 2001-04-05 Millennium Pharmaceuticals, Inc. 23431, a novel human ubiquitin protease
US20100015645A1 (en) 2008-07-18 2010-01-21 Kaohsiung Medical University Il-8 as biomarker for the detection of urolithiasis
US20150158931A1 (en) 2012-07-06 2015-06-11 Stichting Het Nederlands Kanker Instituut Cysteine protease capturing agents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logical Trace Element Research (2018) 185:266-274
PeerJ (2018) 6:e5192*
PLoS ONE (2014) 9(7):e101306*
Urological Research (2010) 38:81-87
Urology (2002) 59(4):495-49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4480B1 (ko) 2021-07-06
KR20210064161A (ko) 2021-06-02
KR20200115428A (ko)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1043216A (ja) 疾患の診断用組成物
CN110719960B (zh) 用于诊断和治疗炎性肠病的方法
US20140371081A1 (en) Compositions for and Methods of Detecting, Diagnosing, and Prognosing Thymic Cancer
EP3828546A1 (en) Composition for diagnosing diseases
KR102562614B1 (ko) 비침습적 방법을 이용한 치주 질환 진단용 키트
KR102260585B1 (ko) 요로결석 진단을 위한 분석방법 및 키트
KR102162847B1 (ko) 요로결석 진단을 위한 분석방법 및 키트
KR20220126661A (ko) 췌장암의 진단용 조성물
KR101786309B1 (ko) 사이클린(Cyclin) D1 b 를 이용한 갑상선암의 진단 방법
WO2011038063A1 (en) Method of diagnosing and treating interstitial cystitis
KR102499664B1 (ko) 암의 진단용 조성물
US20020055117A1 (en) Methods for detecting prostate cancer
KR102289639B1 (ko) 난소암의 예후 예측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KR102461422B1 (ko) 양성 종양 또는 결절로부터 암을 구분하기 위한 바이오마커
KR102347836B1 (ko) 뇌미세혈관 손상 뇌질환 진단용 바이오 마커 조성물
KR102347835B1 (ko) 뇌미세혈관 손상 뇌질환 진단용 바이오 마커 조성물
EP3321683A1 (en) Method for evaluating lymph node metastatic potential of endometrial cancer
KR102499678B1 (ko) 암의 진단용 조성물
KR102618065B1 (ko) 췌장암 진단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췌장암 진단 방법
KR102113111B1 (ko) 프탈레이트계 화합물에 의해 유발된 조기폐경 진단을 위한 분석방법 및 키트
EP4317458A1 (en) Follicular thyroid cancer-specific marker
KR102327509B1 (ko) 남성 불임 또는 생식 능력 저하 진단용 바이오 마커
KR20230160425A (ko) 췌장암의 진단용 조성물
WO2008129265A1 (en) Diagnostics and therapeutics for diabetic nephropathy involving ccl18
CN111024944A (zh) 通过分子标志物预测垂体腺瘤放射治疗敏感性或抵抗性的试剂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