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0460B1 - 교량슬래브 상에 형성되는 교면방수층을 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교량슬래브 상에 형성되는 교면방수층을 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0460B1
KR102260460B1 KR1020200171221A KR20200171221A KR102260460B1 KR 102260460 B1 KR102260460 B1 KR 102260460B1 KR 1020200171221 A KR1020200171221 A KR 1020200171221A KR 20200171221 A KR20200171221 A KR 20200171221A KR 102260460 B1 KR102260460 B1 KR 102260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ating film
film waterproofing
material layer
grid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1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병표
진경석
Original Assignee
(주)리빌텍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빌텍이엔씨 filed Critical (주)리빌텍이엔씨
Priority to KR1020200171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04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3Waterproofing of bridge decks; Other insulations for bridges, e.g. thermal ; Bridge deck surfac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9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bituminous materials, e.g. asphalt,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2Priming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슬래브 상에 형성되는 교면방수층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치밀성 및 전단저항력이 우수하여 아스팔트 포장층의 균열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친환경 재료를 사용하여 경제성이 뛰어나며 시공성이 우수한, 교량슬래브 상에 형성되는 교면방수층을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교량슬래브 상에 형성되는 교면방수층을 시공하는 방법{Method For Constructing Waterproofing Layer on Bridge Slab}
본 발명은 교량슬래브 상에 형성되는 교면방수층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치밀성 및 전단저항력이 우수하여 아스팔트 포장층의 균열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친환경 재료를 사용하여 경제성이 뛰어나며 시공성이 우수한, 교량슬래브 상에 형성되는 교면방수층을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교량슬래브는 제설작업에 의한 염해 환경, 계절에 따른 온도변화 등 가혹한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 있다. 일반적인 교량의 공용연수는 약 30년이며, 공용연수를 유지하거나 현저하게 줄어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교면 위에 방수층을 시공한다.
이에 대해, 한국등록특허 제10-1865089호('친환경, 상온시공 비투멘-라텍스계 방수제와 아스팔트 에멀젼 함침 부직포 및 스프레이 장비를 이용한 교면 복합 방수 공법')는 도막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부직포를 시공하는 복합방수구조를 제안하였다. 다만, 이 방식은 차량 등이 이동함에 따라 발생되는 전단응력에 의하여 도막층 위의 부직포가 고정된 영역을 벗어나거나 이로 인하여 방수구조에 균열이 발생하는 위험성이 있어 추가적인 보수작업이 요구될 수 있다.
한편, 도막층을 형성하는 도막방수재는 주성분인 아스팔트에 개질제, 가소제, 필러, 및 산화방지제 등을 첨가하여 제조되고 있으나, 입자들 사이에 발생된 공극으로 인하여 도막층에 유격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외부 전단응력에 대한 저항력이 저하되어 방수구조의 내구성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도막방수재에 포함되는 재료를 합성하거나 수득하는 과정에서 환경을 파괴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6508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치밀성 및 전단저항력이 우수하여 아스팔트 포장층의 균열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친환경 재료를 사용하여 경제성이 뛰어나며 시공성이 우수한, 교량슬래브 상에 형성되는 교면방수층을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교량슬래브 상에 형성되는 교면방수층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교량슬래브의 위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층 위에 아스팔트, SBS중합체, 프로세스오일, 수지, 벤토나이트, 및 폐타이어분말을 포함하는 도막방수재를 도포하여 도막방수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도막방수재층 위에 상기 도막방수재층 측으로 접합돌기가 형성된 그리드부재를 포함하는 보호재층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재층 위에 아스팔트를 포함하는 포장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돌기는 상기 도막방수재층으로 함입되어 상기 그리드부재가 상기 도막방수재층에 결합되는, 교면방수층을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막방수재층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벤토나이트를 1 내지 5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폐타이어분말을 1 내지 5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벤토나이트는 0.08mm 이하의 입경을 갖는 분말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호재층은, 내부에 복수의 격자가 형성되고, 상기 도막방수재층 측으로 접합돌기가 형성된 그리드부재; 및 상기 그리드부재의 상기 도막방수재층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부직포층;을 포함하고, 상기 그리드부재 및 상기 부직포층은 서로 접합된 상태에서 아스팔트에 의하여 함침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호재층은, 내부에 복수의 격자가 형성되고, 상기 도막방수재층 측으로 접합돌기가 형성된 그리드부재; 및 규사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재층을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도막방수재층 위에 상기 그리드부재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도막방수재층 및 상기 그리드부재 위에 규사를 살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막방수재층의 두께는 2 내지 3mm이고, 상기 그리드부재는 내부에 복수의 관통부가 형성된 격자구조부; 및 상기 격자구조부의 일부에서 상기 도막방수재층 측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접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돌기의 돌출길이는 0.5 내지 1.5m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그리드부재는 상기 도막방수재층의 반대측으로 상측접합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그리드부재의 상기 도막방수재층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부직포층;을 포함하고, 상기 그리드부재 및 부직포층은 서로 접합된 상태에서 아스팔트에 의하여 함침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재층이 접합돌기가 형성된 그리드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전단저항력 특성을 갖는 교면방수층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폐타이어분말 및 벤토나이트의 조합에 의하여 도막방수재층 내부의 입자간 유격을 최소화하여 치밀한 도막방수재층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막방수재층에 폐타이어분말을 첨가함으로써 환경을 보호하는 친환경적인 교면방수층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막방수재층에 폐타이어분말이 첨가됨에 따라 도막방수재의 분산성이 향상되어 교면방수층의 기계적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단저항력이 우수한 보호재층이 치밀성이 우수한 도막방수재층 위에 시공됨에 따라 도막방수재층을 보호함과 동시에 포장층의 균열 등을 방지하여 교면방수층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면방수층의 시공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리드부재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면방수층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방수재층 및 보호재층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재층의 시공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리드부재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재층 배치단계의 세부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다른 내용을 지시하지 않는 “한”과, “상기”와 같은 단수 표현들은 복수 표현들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교면방수층(1)의 시공단계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면방수층(1)의 시공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슬래브(C) 상에 형성되는 교면방수층(1)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교량슬래브(C)의 위에 프라이머층(100)을 형성하는 단계(S100); 상기 프라이머층(100) 위에 아스팔트, SBS중합체, 프로세스오일, 수지, 벤토나이트, 및 폐타이어분말을 포함하는 도막방수재를 도포하여 도막방수재층(200)을 형성하는 단계(S200); 상기 도막방수재층(200) 위에 상기 도막방수재층(200) 측으로 접합돌기(312)가 형성된 그리드부재(310)를 포함하는 보호재층(300)을 배치하는 단계(S300); 및 상기 보호재층(300) 위에 아스팔트를 포함하는 포장층(A)을 형성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돌기(312)는 상기 도막방수재층(200)으로 함입되어 상기 그리드부재(310)가 상기 도막방수재층(2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100) 형성단계(S100)에서는, 상기 교량슬래브(C)의 위에 프라이머층(100)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프라이머층(100)은 상기 도막방수재층(200)과 상기 교량슬래브(C)의 상면 사이에 형성되어 접착층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프라이머층(100) 형성단계는 상기 교량슬래브(C) 상에 교면방수층(1)을 형성하기 위해 수행되는 기초 작업 단계에 해당한다.
한편, 상기 도막방수재를 도포하여 도막방수재층(200)을 형성하는 단계(S200)에서는, 상기 프라이머층(100) 위에 아스팔트, SBS중합체, 프로세스오일, 수지, 벤토나이트, 및 폐타이어분말을 포함하는 도막방수재를 도포하여 도막방수재층(200)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도막방수재층(200)은 교면방수층(1)에서 실질적인 방수층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막방수재층(200)은 상기 교량슬래브(C)의 상면으로 수분 등의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수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방수기능은 상기 도막방수재층(200)을 형성하는 상기 도막방수재 조성물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막방수재는 아스팔트를 주성분으로 포함하고, 아스팔트개질제, 가소제, 점착부여제, 및 무기질필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아스팔트개질제는 SBS중합체, EVA수지, 및 폐타이어분말을 포함하고, 상기 가소제는 프로세스오일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부여제는 천연송진을 포함하고, 상기 무기질필러는 탄산칼슘, 규사, 플라이애쉬, 및 미립점토광물 중 1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폐타이어분말은 상기 도막방수재에서 아스팔트개질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폐타이어분말은 도막방수층(200)의 연화점을 상승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폐타이어분말은 자원의 낭비를 억제함과 동시에 폐고무를 처리할 때 발생될 수 있는 공해를 감소시켜 환경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폐타이어분말은 0.05 내지 2mm의 입경을 갖는 분말에 해당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폐타이어분말은 0.05 내지 1.5mm의 입경을 갖는 분말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상기 도막방수재층(200)에 상기 폐타이어분말을 첨가함으로써 환경을 보호하는 친환경적인 교면방수층(1)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벤토나이트는 상기 도막방수재에서 무기질필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벤토나이트는 층상구조를 이루고 있는 미립점토광물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벤토나이트는 0.02 내지 2mm 이하의 입경을 갖는 분말에 해당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벤토나이트는 0.04 내지 0.08mm 이하의 입경을 갖는 분말에 해당할 수 있다.
미세한 입경을 갖는 상기 벤토나이트에 의하여 상기 도막방수재층(200) 내부의 입자간 공극이 최소화되어 치밀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도막방수재층(200)으로의 염화이온 침투량이 감소되어 내염해성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막방수재층(200)의 내열치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막방수재층(200)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벤토나이트를 1 내지 5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폐타이어분말을 1 내지 5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벤토나이트는 0.08mm 이하의 입경을 갖는 분말에 해당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막방수재층(200)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55 내지 70중량%의 아스팔트, 5 내지 10중량%의 SBS중합체, 1 내지 5중량%의 EVA수지, 1 내지 5중량%의 폐타이어분말, 2 내지 5중량%의 천연송진, 8 내지 18중량%의 탄산칼슘, 규사, 및 플라이애쉬 중 1 이상, 및 1 내지 5중량%의 벤토나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성을 갖는 상기 도막방수재층(200)은 입자간 유격이 최소화되어 치밀한 방수층을 형성할 수 있고, 인장성능, 전단성능, 내열 안정성, 염화이온 침투 저항성, 및 내열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특징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접합돌기(312)가 형성된 그리드부재(310)를 포함하는 보호재층(300)을 배치하는 단계(S300)에서는, 상기 도막방수재층(200) 위에 상기 도막방수재층(200) 측으로 접합돌기(312)가 형성된 그리드부재(310)를 포함하는 보호재층(300)을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접합돌기(312)는 상기 도막방수재층(200)으로 함입되어 상기 그리드부재(310)가 상기 도막방수재층(2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호재층(300)은 상기 도막방수재층(200)과 상기 포장층(A)의 사이에서 접착층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포장층(A) 형성단계(S400)에서는, 상기 보호재층(300) 위에 아스팔트를 포함하는 포장층(A)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포장층(A)은 아스팔트를 주재료로 포함하고 있으며, 차량 등이 통행할 수 있는 도로면에 해당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의하여 형성되는 교면방수층(1)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자세하게 서술하기로 한다.
접합돌기가 형성된 그리드부재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리드부재(310)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그리드부재(310)는 내부에 복수의 관통부가 형성된 격자구조부(311); 및 상기 격자구조부(311)의 일부에서 상기 도막방수재층(200) 측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접합돌기(3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그리드부재(310)는 상기 격자구조부(311) 및 상기 복수의 접합돌기(3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격자구조부(311)는 1줄의 종선 및 1줄의 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격자구조부(311)는 내부에 복수의 정방형 형태의 관통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접합돌기(312)는 상기 격자구조부(311)의 교차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교차지점은 상기 종선 및 상기 횡선이 교차하는 지점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접합돌기(312)가 종선 및 횡선으로 이루어진 상기 격자구조부(311)의 교차지점이 아닌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그리드부재(310)는 두 개의 교차지점 사이에 1 이상의 상기 접합돌기(3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격자구조부(311)는 1줄의 종선, 1줄의 횡선, 및 1줄의 사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격자구조부(311)는 내부에 복수의 삼각형 형태의 관통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접합돌기(312)는 상기 격자구조부(311)의 교차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교차지점은 상기 종선, 상기 횡선, 및 상기 사선이 교차하는 지점, 또는 상기 종선, 및 상기 횡선이 교차하는 지점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접합돌기(312)가 종선, 횡선, 및 사선으로 이루어진 상기 격자구조부(311)의 교차지점이 아닌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그리드부재(310)는 두 개의 교차지점 사이에 1 이상의 상기 접합돌기(3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격자구조부(311)는 종선 및 횡선의 조합, 및 종선, 횡선, 및 사선의 조합 중 1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격자구조부(311)가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1 이상의 선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격자구조부(311)는 2줄의 종선 및 1줄의 횡선(2x1), 3줄의 종선 및 2줄의 횡선(3x2), 2줄의 종선, 2줄의 횡선, 및 1줄의 사선(2x2x1)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수의 접합돌기(312)는, 상기 격자구조부(311)를 이루는 선들의 어느 지점에나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그리드부재(310)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틸렌, 및 폴리에스터 중 1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교면방수층(1)의 구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면방수층(1)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면방수층(1)은 교량슬래브(C) 위에 상기 프라이머층(100), 상기 도막방수재층(200), 상기 보호재층(300), 및 상기 포장층(A)이 차례로 적층되어 있는 층상구조를 이루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라이머층(100)은 상기 교량슬래브(C)와 상기 도막방수재층(200)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접착층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도막방수재층(200)은 상기 교면방수층(1)에서 실질적으로 방수층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호재층(300)은 상기 도막방수재층(200)과 상기 포장층(A) 사이의 접착력 및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접착층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재층(300)은 상기 접합돌기(312)를 포함하는 그리드부재(310)에 의하여, 상기 도막방수재층(2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호재층(300)은 상기 교면방수층(1)의 전단저항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포장층(A)은 상기 교면방수층(1)의 최상단층에 배치되어 도로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방수재층 및 보호재층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보호재층(300)은, 내부에 복수의 격자가 형성되고, 상기 도막방수재층(200) 측으로 접합돌기(312)가 형성된 그리드부재(310); 및 상기 그리드부재(310)의 상기 도막방수재층(200)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부직포층(320);를 포함하고, 상기 그리드부재 및 상기 부직포층은 서로 접합된 상태에서 아스팔트에 의하여 함침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합돌기(312)가 형성된 그리드부재(310)는 상기 부직포층(320)과 서로 접합되어 아스팔트에 의해 함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그리드부재(310) 및 상기 부직포층(320)는 일체형의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부직포층(320)은 상기 보호재층(300) 및 상기 포장층(A)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교면방수층(1)의 전단저항력을 부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그리드부재(310)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틸렌, 및 폴리에스터 중 1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호재층(300)이 폴리프로필렌의 재질로 이루어진 그리드부재(310), 및 부직포층(3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부직포층(320) 위에 텍코팅층을 형성하여 상기 보호재층(300)과 상기 포장층(A)을 접합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부직포층(320) 위에 텍코팅층을 형성하여 상기 도막방수재층(200)과 상기 포장층(A)을 접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막방수재층의 두께는 2 내지 3mm이고, 상기 접합돌기의 돌출길이는 0.5 내지 1.5 mm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재층(300)은 상기 도막방수재층(200)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접합돌기(312)는 시공 과정에서 상기 도막방수재층(200)의 내부로 함입되므로, 돌출길이(H)가 상기 도막방수재층(200)의 두께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접합돌기(312)의 돌출길이(H)를 도출하기 위하여, 상기 접합돌기(312)의 돌출길이(H)에 따른 기계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하기 표 1은 상기 접합돌기(312)의 돌출길이(H)의 길이에 따른 인장성능, 내투수성, 염화이온 침투 저항성, 및 내열치수 안정성 테스트 결과를 개시한다.
품질 구분 및 기준 접합돌기(312) 돌출길이 H (㎜)
0.0 0.3 0.5 0.8 1.0 1.3 1.5 1.8
인장

성능
인장강도(㎫)
23℃ 무처리
4.0 이상
KS F 3211
5.78 5.85 5.95 6.07 6.2 6.48 6.12 5.96
인장강도(㎫)
40℃ 무처리
4.0 이상
KS F 3211
4.99 5.01 5.38 5.51 5.54 5.33 5.28 5.05
최대하중 시
신장률(%)
23℃ 무처리
20~60
KS F 3211
41 43 47 47 49 48 45 44
최대하중 시
신장률(%)
40℃ 무처리
20~60
KS F 3211
32 32 36 38 38 39 34 31
내투수성 투수 안 됨
KS F 4931
염화이온 침투 저항성 100 이하KS F 2711 0 0 0 0 0 0 0 3
내열치수 안정성
150℃ 30분
±2.0 이내
KS F 4931
-0.4 -0.4 -0.2 -0.3 -0.2 -0.2 -0.3 -0.5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접합돌기(312)의 돌출길이(H)의 모든 길이범위에서 인장성능, 염화이온 침투 저항성, 내투수성, 및 내열치수 안정성에 대한 표준 기준을 통과하였다.
특히, 접합돌기(312)의 돌출길이가 0.5 내지 1.5mm인 경우에 내투수성, 염화이온 침투 저항성, 및 내열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접합돌기(312)의 돌출길이가 0.8 내지 1.0mm인 경우에 40℃에서의 인장강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접합돌기(312)의 돌출길이가 0.8 내지 1.3mm인 경우에 40℃에서의 최대하중 시 신장률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접합돌기(312)의 돌출길이가 1.0 내지 1.3mm인 경우에 23℃에서의 인장강도, 및 23℃에서의 최대하중 시 신장률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와 같은 테스트 결과를 통해, 접합돌기(312)가 형성된 그리드부재(310)를 포함하는 보호재층(300)의 기계적 성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접합돌기(312)를 포함하는 그리드부재(310)는 보호재층(300)의 기계적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호재층(300)이 접합돌기(312)가 형성된 그리드부재(310)를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전단저항력 특성을 갖는 교면방수층(1)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재층(300)의 시공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a)는 상기 도막방수재층(200) 위에 상기 그리드부재(310) 및 상기 부직포층(320)을 포함하는 상기 보호재층(300)이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도막방수재층(200)의 상면과 상기 그리드부재(310)의 접합돌기(312)의 일부면은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보호재층(300) 위에 아스팔트를 포설할 수 있다.
도 5(b)는 상기 보호재층(300) 위에 상기 아스팔트가 포설되어 양생되면서 상기 포장층(A)이 형성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호재층(300)은 상기 도막방수재층(200)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리드부재(310)가 상기 도막방수재층(200)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접합돌기(312)의 일부가 상기 도막방수재층(200)의 내부로 함입될 수 있다.
도 5(c)는 상기 보호재층(300) 위에 상기 아스팔트를 포함하는 상기 포장층(A)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합돌기(312)가 모두 상기 도막방수재층(200)의 내부로 함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포장층(A)의 형성 이후에도, 상기 접합돌기(312)의 일부만이 상기 도막방수재층(200)으로 함입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접합돌기(312)의 일부만이 상기 도막방수재층으로 함입되거나, 상기 접합돌기(312)의 전부가 상기 도막방수재층의 내부로 함입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리드부재(310)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그리드부재(310)는 내부에 복수의 관통부가 형성된 격자구조부(311); 및 상기 격자구조부(311)의 일부에서 상기 도막방수재층(200) 측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접합돌기(3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그리드부재(310)는 상기 도막방수재층(200)의 반대측으로 상측접합돌기(31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그리드부재(310)의 상기 도막방수재층(200)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부직포층(320);을 포함하고, 상기 그리드부재(310) 및 부직포층(320)은 서로 접합된 상태에서 아스팔트에 의하여 함침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리드부재(310)는 상기 격자구조부(311), 상기 접합돌기(312), 및 상기 상측접합돌기(3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a)는 상기 도막방수재층(200) 측으로 상기 접합돌기(312)가 형성된 그리드부재(310)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 경우, 부직포층(320)은 상기 도막방수재층(200)의 반대측에 배치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도 6(b)는 상기 도막방수재층(200)의 반대측으로 상측접합돌기(313)가 형성된 그리드부재(310)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그리드부재(310)에 형성된 복수의 상측접합돌기(313)는 상기 보호재층(300) 또는 상기 포장층(A)으로 함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부직포층(320)은 상기 그리드부재(310)의 상기 도막방수재층(200) 측에 배치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도 6(c)는 상기 접합돌기(312) 및 상기 상측접합돌기(313)가 형성된 그리드부재(310)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접합돌기(312)는 상기 도막방수재층(200) 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측접합돌기(313)는 상기 도막방수재층(200)의 반대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그리드부재(310)에 형성된 복수의 상기 접합돌기(312)는 상기 도막방수재층(200)으로 함입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그리드부재(310)에 형성된 복수의 상기 상측접합돌기(313)는 상기 보호재층(300) 또는 상기 포장층으로 함입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그리드부재(310)는 사용환경에 따라 상기 접합돌기(312), 및 상기 상측접합돌기(313) 중 1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재층(300) 배치단계(S300)의 세부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보호재층(300)은, 내부에 복수의 격자가 형성되고, 상기 도막방수재층(200) 측으로 접합돌기(312)가 형성된 그리드부재(310); 및 규사;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재층(300)을 배치하는 단계(S300)는, 상기 도막방수재층(200) 위에 상기 그리드부재(310)를 배치하는 단계(S310); 및 상기 도막방수재층(200) 및 상기 그리드부재(310) 위에 규사를 살포하는 단계(S3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직포층(320)을 배치하는 대신에, 상기 도막방수재층(200) 및 상기 그리드부재(310) 위에 규사를 살포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층(320) 대신 상기 규사를 살포하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세부단계에 의하여 상기 보호재층(300)을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규사는 상기 부직포층(32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규사는 상기 보호재층(300) 및 상기 포장층(A)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교면방수층(1)의 전단저항력을 부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규사를 상기 도막방수재층(200) 위에 살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그리드부재(310)는 상기 규사가 살포된 상기 도막방수재층(20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도막방수재의 성분실험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방수재의 성분에 의한 도막방수재층(200)의 기계적 성질의 향상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에 대하여 자세하게 서술하기로 한다.
본 실험에서는 상기 도막방수재의 성분에 의한 도막방수재층(200)의 기계적 성질의 향상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도막방수재의 조성 최적화 실험을 수행하였다. 특히, 상기 폐타이어분말, 및 상기 벤토나이트의 첨가량 최적화에 초점을 맞추어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상기 도막방수재에 첨가된 아스팔트개질제인 상기 폐타이어분말의 조성을 최적화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SBS중합체 및 폐타이어분말을 각각 10:0, 7.5:2.5, 5:5, 2.5:7.5, 및 0:10의 비율(중량%)로 혼합하였다. 이 후 인장성능, 전단접합성능, 인장접착강도, 내투수성, 염화이온 침투 저항성, 및 내열치수 안정성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하기 표 2는 상기 폐타이어분말의 조성에 따른 상기 테스트 결과를 개시한다. 표 2에서의 상기 도막방수재층(200)의 성분별 중량은 다음과 같다.
아스팔트: 65중량%
EVA수지: 4중량%
천연송진: 3중량%
규사: 14중량%
벤토나이트: 4중량%
SBS중합체: 0 내지 10중량%
폐타이어분말: 0 내지 10중량%
품질 구분 및 기준 SBS중합체 : 폐타이어 분말 비 (중량%)
10 : 0 7.5 : 2.5 5 : 5 2.5 : 7.5 0 : 10
인장

성능
인장강도(㎫)
무처리
1.5 이상
KS F 4932
1.62 1.67 1.68 1.63 1.59
신장률(%)
무처리
100 이상
KS F 4932
1,081 1,150 1,183 1,109 1,095
전단

접합

성능
전단접합강도
(㎫) -20℃
0.8 이상
KS F 4932
1.22 1.29 1.36 1.31 1.23
전단접합강도
(㎫) 20℃
0.15 이상
KS F 4932
0.23 0.26 0.28 0.23 0.24
전단접착변형률(%) -20℃ 0.5 이상
KS F 4932
3.9 4.4 4.7 4.0 3.7
전단접착변형률(%) 20℃ 1.0 이상
KS F 4932
5.1 5.4 5.9 5.1 4.8
인장접착강도 (㎫)
-20℃
1.2 이상
KS F 4932
1.28 1.37 1.44 1.32 1.28
인장접착강도 (㎫)20℃ 0.6 이상
KS F 4932
0.70 0.73 0.80 0.74 0.68
내투수성 투수 안 됨KS F 4932
염화이온 침투 저항성 100 이하KS F 4932 12 5 0 0 5
내열치수 안정성
150℃ 30분
±2.0 이내
KS F 4932
-0.7 -0.5 -0.5 -0.6 -0.8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폐타이어분말의 모든 조성범위에서 인장성능, 전단접합성능, 인장접착강도, 내투수성, 및 염화이온 침투 저항성에 대한 표준 기준을 통과하였다.특히, 폐타이어분말이 2.5 내지 5중량%으로 첨가되는 경우에 인장성능, 전단접합성능(-20℃에서의 전단접합강도 제외), -20℃에서의 인장접착강도, 및 내열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폐타이어분말이 5 내지 7.5중량%로 첨가되는 경우에 -20℃에서의 전단접합강도, 20℃에서의 인장접착강도, 및 염화이온 침투저항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폐타이어분말이 첨가된 경우 구조적 성능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폐타이어분말이 SBS중합체, 및 EVA수지를 포함하는 아스팔트개질제를 균질하게 확산시킴에 따라, 도막방수재층(200)의 성능을 개선시킨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도막방수재층(200)에 폐타이어분말이 첨가됨에 따라 도막방수재의 분산성이 향상되어 교면방수층(1)의 기계적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방수재층(200)은 1 내지 5중량%의 폐타이어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도막방수재에 첨가된 무기질필러인 상기 벤토나이트의 조성을 최적화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규사 및 벤토나이트를 각각 18:0, 15.5:2.5, 13:5, 10.5:7.5, 및 8:10의 비율(중량%)로 혼합하였다. 이 후 인장성능, 전단접합성능, 인장접착강도, 내투수성, 염화이온 침투 저항성, 및 내열치수 안정성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하기 표 3은 상기 벤토나이트의 조성에 따른 상기 테스트 결과를 개시한다. 표 3에서의 상기 도막방수재층(200)의 성분별 중량은 다음과 같다.
아스팔트: 65중량%
EVA수지: 4중량%
천연송진: 3중량%
SBS중합체: 5중량%
폐타이어분말: 5중량%
규사: 8 내지 18 중량%
벤토나이트: 0 내지 10 중량%
품질 구분 및 기준 규사 : 벤토나이트 비 (중량%)
18 : 0 15.5 : 2.5 13 : 5 10.5 : 7.5 8 : 10
인장

성능
인장강도(㎫)
무처리
1.5 이상
KS F 4932
1.62 1.68 1.71 1.67 1.63
신장률(%)
무처리
100 이상
KS F 4932
1,081 1,125 1,070 1,076 1,049
전단

접합

성능
전단접합강도
(㎫) -20℃
0.8 이상
KS F 4932
1.22 1.35 1.40 1.33 1.27
전단접합강도
(㎫) 20℃
0.15 이상
KS F 4932
0.23 0.24 0.25 0.25 0.23
전단접착변형률(%) -20℃ 0.5 이상
KS F 4932
3.9 4.1 4.2 4.2 3.8
전단접착변형률(%) 20℃ 1.0 이상
KS F 4932
5.1 5.2 5.3 5.1 5.1
인장접착강도 (㎫)
-20℃
1.2 이상
KS F 4932
1.28 1.41 1.42 1.36 1.30
인장접착강도 (㎫)20℃ 0.6 이상
KS F 4932
0.70 0.78 0.78 0.72 0.72
내투수성 투수 안 됨KS F 4932
염화이온 침투 저항성 100 이하KS F 4932 12 0 0 0 0
내열치수 안정성
150℃ 30분
±2.0 이내
KS F 4932
-0.7 -0.3 -0.3 -0.3 -0.5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벤토나이트의 모든 조성범위에서 인장성능, 전단접합성능, 인장접착강도, 내투수성, 염화이온 침투 저항성, 및 내열치수 안정성에 대한 표준 기준을 통과하였다. 특히, 벤토나이트가 0 내지 2.5중량%로 첨가되는 경우에 신장률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벤토나이트가 2.5 내지 5중량%으로 첨가되는 경우에 인장강도, -20℃에서의 전단접합강도, 20℃에서의 전단접착변형률, 인장접착강도, 내투수성, 및 염화이온 침투 저항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벤토나이트가 2.5 내지 7.5중량%으로 첨가되는 경우에 내열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벤토나이트가 5 내지 7.5중량%로 첨가되는 경우에 20℃에서의 전단접합강도, 및 -20℃에서의 전단접착변형률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벤토나이트 첨가 이후에 염화이온 침투 저항성 및 내열치수 안정성이 향상되었으므로 벤토나이트가 도막방수재층(200)의 조직 치밀화에 기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방수재층(200)은 1 내지 5중량%의 벤토나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합돌기가 형성된 그리드부재를 포함하는 보호재층이 도막방수재층과 포장층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우수한 전단저항력 특성을 갖는 교면방수층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폐타이어분말 및 벤토나이트의 조합에 의하여 도막방수재층 내부의 입자간 유격을 최소화하여 치밀한 도막방수재층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막방수재층에 폐타이어분말을 첨가함으로써 환경을 보호하는 친환경적인 교면방수층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단저항력이 우수한 보호재층이 치밀성이 우수한 도막방수재층 위에 시공됨에 따라 도막방수재층을 보호함과 동시에 포장층의 균열 등을 방지하여 교면방수층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교량슬래브 상에 형성되는 교면방수층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교량슬래브의 위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층 위에 아스팔트, SBS중합체, 프로세스오일, 수지, 규사, 벤토나이트, 및 폐타이어분말을 포함하는 도막방수재를 도포하여 도막방수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도막방수재층 위에 상기 도막방수재층 측으로 접합돌기가 형성된 그리드부재를 포함하는 보호재층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재층 위에 아스팔트를 포함하는 포장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도막방수재는,
    아스팔트개질제인 상기 SBS중합체 및 상기 폐타이어분말을 각각 3:1 내지 1:1의 배합비로 포함하고,
    무기질필러인 상기 규사 및 상기 벤토나이트를 각각 6.2:1 내지 2.6:1의 배합비로 포함하고,
    상기 보호재층은,
    내부에 복수의 격자가 형성되고, 상기 도막방수재층 측으로 접합돌기가 형성된 그리드부재; 및
    상기 그리드부재의 상기 도막방수재층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부직포층;을 포함하고,
    상기 그리드부재 및 상기 부직포층은 서로 접합된 상태에서 아스팔트에 의하여 함침되어 일체형의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접합돌기는 시공 과정에서 상기 도막방수재층의 내부로 함입되어 상기 그리드부재가 상기 도막방수재층에 결합되고,
    상기 접합돌기의 돌출길이는 0.5 내지 1.5 mm인, 교면방수층을 시공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막방수재층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벤토나이트를 1 내지 5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폐타이어분말을 1 내지 5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벤토나이트는 0.08mm 이하의 입경을 갖는 분말에 해당하는, 교면방수층을 시공하는 방법.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재층은,
    규사;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재층을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도막방수재층 위에 상기 그리드부재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도막방수재층 및 상기 그리드부재 위에 규사를 살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면방수층을 시공하는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막방수재층의 두께는 2 내지 3mm이고,
    상기 그리드부재는 내부에 복수의 관통부가 형성된 격자구조부; 및
    상기 격자구조부의 일부에서 상기 도막방수재층 측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접합돌기;를 포함하는, 교면방수층을 시공하는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부재는 상기 도막방수재층의 반대측으로 상측접합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교면방수층을 시공하는 방법.
KR1020200171221A 2020-12-09 2020-12-09 교량슬래브 상에 형성되는 교면방수층을 시공하는 방법 KR102260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221A KR102260460B1 (ko) 2020-12-09 2020-12-09 교량슬래브 상에 형성되는 교면방수층을 시공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221A KR102260460B1 (ko) 2020-12-09 2020-12-09 교량슬래브 상에 형성되는 교면방수층을 시공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0460B1 true KR102260460B1 (ko) 2021-06-03

Family

ID=76396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1221A KR102260460B1 (ko) 2020-12-09 2020-12-09 교량슬래브 상에 형성되는 교면방수층을 시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046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321B1 (ko) * 2021-06-08 2022-01-04 솜인이엔씨 주식회사 활성탄 미분말을 이용한 교면방수공법
KR102526898B1 (ko) * 2022-09-21 2023-05-16 주식회사 제이브리드 교량 복합방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541823B1 (ko) * 2022-07-27 2023-06-13 김영철 접합성 및 시공정확성이 개선된 교면방수공법
KR102600851B1 (ko) * 2023-04-12 2023-11-10 (주)리빌텍이엔씨 분리형격자구조를 가지는 보호층을 구비하는 시공성 및 경제성이 개선된 교면방수공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76287A (ja) * 2011-09-30 2013-04-25 Hakogata Yoheki Kenkyusho:Kk ジオグリッド
KR101286931B1 (ko) * 2012-11-12 2013-07-16 조우림 옥상 복합 방수층 및 그 방수 시공방법
KR101712845B1 (ko) * 2016-09-26 2017-03-07 (유)이지스건설 도막방수와 그리드를 이용한 교면 방수구조
KR101792539B1 (ko) * 2017-03-10 2017-11-02 진석토건 주식회사 도막시공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시공된 도막 레이어
KR101865089B1 (ko) 2018-01-22 2018-07-05 (주)우암건설 친환경, 상온시공 비투멘-라텍스계 방수제와 아스팔트 에멀젼 함침 부직포 및 스프레이 장비를 이용한 교면 복합 방수 공법
JP2020176485A (ja) * 2019-04-22 2020-10-29 阪神高速道路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床版の防水補修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76287A (ja) * 2011-09-30 2013-04-25 Hakogata Yoheki Kenkyusho:Kk ジオグリッド
KR101286931B1 (ko) * 2012-11-12 2013-07-16 조우림 옥상 복합 방수층 및 그 방수 시공방법
KR101712845B1 (ko) * 2016-09-26 2017-03-07 (유)이지스건설 도막방수와 그리드를 이용한 교면 방수구조
KR101792539B1 (ko) * 2017-03-10 2017-11-02 진석토건 주식회사 도막시공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시공된 도막 레이어
KR101865089B1 (ko) 2018-01-22 2018-07-05 (주)우암건설 친환경, 상온시공 비투멘-라텍스계 방수제와 아스팔트 에멀젼 함침 부직포 및 스프레이 장비를 이용한 교면 복합 방수 공법
JP2020176485A (ja) * 2019-04-22 2020-10-29 阪神高速道路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床版の防水補修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321B1 (ko) * 2021-06-08 2022-01-04 솜인이엔씨 주식회사 활성탄 미분말을 이용한 교면방수공법
KR102461048B1 (ko) * 2021-06-08 2022-10-31 솜인이엔씨 주식회사 시공성이 개선된 교면방수공법
KR102541823B1 (ko) * 2022-07-27 2023-06-13 김영철 접합성 및 시공정확성이 개선된 교면방수공법
KR102629427B1 (ko) * 2022-07-27 2024-01-24 김영철 점선구조가 적용된 시공용이성이 향상된 교면방수공법
KR102526898B1 (ko) * 2022-09-21 2023-05-16 주식회사 제이브리드 교량 복합방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600851B1 (ko) * 2023-04-12 2023-11-10 (주)리빌텍이엔씨 분리형격자구조를 가지는 보호층을 구비하는 시공성 및 경제성이 개선된 교면방수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0460B1 (ko) 교량슬래브 상에 형성되는 교면방수층을 시공하는 방법
KR101776893B1 (ko)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0699451B1 (ko) 방수성능 및 피로저항성이 우수한 교면포장공법
KR101963829B1 (ko)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복합 중층막 보수공법
KR101914733B1 (ko) 균열 충전용 상온 경화형 침투식 균열 보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균열 보수 공법
KR102036879B1 (ko)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2194464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방법
KR100869080B1 (ko) 수지몰탈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포장된 구조물
KR101942986B1 (ko) 콘크리트 일체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와 단열 및 보강재료를 이용한 외단열, 방수 및 보강 복합 구조 및 그 시공공법
KR102002499B1 (ko) 교면 방수용 하이브리드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과 시공장치를 이용한 교면 방수공법
KR101810550B1 (ko) 교면 방수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섬유 보강재 및 이를 활용한 복합 방수 공법
JP2012021315A (ja) 複合防水シート、床版防水構造、及び床版防水構造の施工方法
CN101016726A (zh) 钢桥面上有聚合物多孔混凝土面层的结构及施工方法
KR102461905B1 (ko) 분말형 탄성 도포방수재, 이를 이용한 방수처리방법 및 방수처리층
KR102178147B1 (ko) 교면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573028B1 (ko) 투수성이 우수한 경량기포콘크리트를 이용한 포장공법
JP2006037702A (ja) 舗装道路
KR101136810B1 (ko) 고내구성 에폭시 아스팔트 포장재
KR101575770B1 (ko) 에폭시퍼티와 탄성에폭시를 이용한 철근 피복부족 및 노출부의 단면보수공법
KR101386116B1 (ko) 고부착 및 내후성 가열식 아스팔트계 실란트를 이용한 교량지하차도부 신축이음재 시공방법
KR102128967B1 (ko) 친환경 레진 모르타르 조성물을 이용한 초속경 도로 포장 보수 공법
KR102121820B1 (ko) 마이크로캡슐을 적용한 코팅제 및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방법
US7393583B1 (en) Flooring tile
CN101906756A (zh) 钢桥面沥青混凝土铺装意外损伤修复材料及修复方法
KR20180017859A (ko) 재활용이 가능한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