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0334B1 - 티슈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티슈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0334B1
KR102260334B1 KR1020210008848A KR20210008848A KR102260334B1 KR 102260334 B1 KR102260334 B1 KR 102260334B1 KR 1020210008848 A KR1020210008848 A KR 1020210008848A KR 20210008848 A KR20210008848 A KR 20210008848A KR 102260334 B1 KR102260334 B1 KR 102260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abric
winding
compression
p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8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호
Original Assignee
최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호 filed Critical 최승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002Tissue paper; Absorbent pap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CMAKING WOUND ARTICLES, e.g. WOUND TUB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C11/00Machinery for winding combined with other machinery
    • B31C13/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1/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flat articles ; Making flat articles
    • B31D1/04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flat articles ; Making flat articles the articles being napkins, handkerchiefs, towels, doili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22Changing the web roll in 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winding operations
    • B65H19/30Lifting, transporting, or removing the web roll; Inserting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24Napkins or tissues, e.g. dressings, toweling, serviettes, kitchen paper and compresses

Abstract

본 발명은 티슈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판 형상의 티슈용 원단을 롤 형태로 권취한 다음, 일정크기로 압축하여 물 티슈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티슈 제조장치는, 티슈용 원단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원단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부; 상기 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원단을 순차적으로 롤 형태로 권취하면서 낙하시키는 권취부; 상기 권취부에서 낙하된 원단들을 구획하여 수집하며, 무한궤도를 형성하며 회전되면서 상기 원단들을 이송시키는 제1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원단들을 각각 푸쉬하여 인출시키는 전달부; 상기 전달부의 일측에 다수 배치되고, 인출된 원단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포켓부; 무한궤도를 형성하며 회전하면서 상기 포켓부들을 이송시키는 제2 이송부; 상기 제2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어온 포켓부의 수용공간에 인입되면서 상기 원단을 압축시키는 압축부; 및 상기 압축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포켓부의 수용공간에 인입되면서 원단을 푸쉬하여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티슈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TISSUE}
본 발명은 티슈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크기로 압축되고, 수분을 흡수시켜 손이나 얼굴 등을 닦을 수 있는 티슈를 제조하는 티슈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당 등에서 사용되는 물티슈는 롤타입이 주로 사용되는데, 롤타입 물티슈는 평면타입 물티슈를 둥글게 감아 굴려 원기둥 형상으로 만든 것이다.
이때, 식당에서 사용되는 롤타입 물티슈는 비닐 포장이 된 것과 포장되지 않은 상태의 2가지 경우를 볼 수 있다.
비닐 포장이 된 롤타입 물티슈와 포장되지 않은 상태의 롤타입 물티슈의 경우 물티슈에 함유된 수분의 잔존기간의 차이와 함께 비닐 포장에 따른 포장비용의 차이를 들 수 있다.
식당에서는 적은 비용으로 많은 양의 물티슈를 공급받고자 포장되지 않은 롤타입 물티슈를 구매하기도 하고, 수분의 잔존기간을 고려하여 비닐 포장이 된 롤타입 물티슈를 구매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식당의 선택은 짧은 시간에 얼마나 많은 양의 물티슈를 사용하는지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서, 큰 식당에서는 포장되지 않은 물티슈를, 작은 식당에서는 비닐 포장이 된 물티슈를 구매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다.
상기와 같이 롤타입 물티슈의 경우에도 비닐 포장이 된 것과 포장되지 않은 것을 각각 제조할 필요가 있고, 물티슈 제조업자는 롤타입 물티슈 제조장치에 비닐 포장을 할 수 있는 포장기가 설치된 롤타입 물티슈 제조장치와 포장기가 설치되지 않은 롤타입 물티슈 제조장치 각각을 확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57127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판 형상의 티슈용 원단을 롤 형태로 권취한 다음, 일정크기로 압축함으로써 물을 흡수시켜 사용할 수 있는 티슈를 제조할 수 있는 티슈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티슈 제조장치는, 티슈용 원단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원단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부; 상기 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원단을 순차적으로 롤 형태로 권취하면서 낙하시키는 권취부; 상기 권취부에서 낙하된 원단들을 구획하여 수집하며, 무한궤도를 형성하며 회전되면서 상기 원단들을 이송시키는 제1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원단들을 각각 푸쉬하여 인출시키는 전달부; 상기 전달부의 일측에 다수 배치되고, 인출된 원단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포켓부; 무한궤도를 형성하며 회전하면서 상기 포켓부들을 이송시키는 제2 이송부; 상기 제2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어온 포켓부의 수용공간에 인입되면서 상기 원단을 압축시키는 압축부; 및 상기 압축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포켓부의 수용공간에 인입되면서 원단을 푸쉬하여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부는, 상기 원단과 접촉되는 요철부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시트부를 포함하는 제1 권취부재; 및 상기 제1 권취부재와 대향되며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권취용 롤러 및 상기 권취용 롤러에서 무한궤도를 형성하면서 회전하며 원단과 접촉되는 요철부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권취용 밸트;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압축부는, 상기 제2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어온 포켓부의 수용공간과 대향하는 압축봉; 및 상기 압축봉이 상기 포켓부의 수용공간에 인입되면서 원단을 압축하도록 구동되는 제1 전,후진 실린더;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압축부는, 상기 포켓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압축봉과 대향되면서 상기 포켓부의 수용공간과 대향되는 지지봉; 및 상기 지지봉이 상기 포켓부의 수용공간에 인입되어 압축봉에 의해 압축되는 원단을 지지하도록 구동되는 제2 전,후진 실린더;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압축부는, 상기 지지봉의 후방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지지블록; 및 상기 지지봉이 수용공간에 인입시 상기 지지블록이 지지봉을 지지하도록 구동되는 승강실린더;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티슈 제조장치는,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판 형상의 티슈용 원단을 롤 형태로 권취한 다음, 일정크기로 압축함으로써, 물을 흡수시켜 사용할 수 있는 티슈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티슈 제조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티슈 제조장치를 도시한 권취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티슈 제조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티슈 제조장치에 적용된 압축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티슈 제조장치에 적용된 제2 이송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티슈 제조장치에 적용된 수집부재, 전달부 및 포켓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티슈 제조장치에 적용된 압축부 및 포켓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티슈 제조장치에 적용된 배출부, 포켓부 및 수집부를 도시한 평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티슈 제조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티슈 제조장치를 도시한 권취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티슈 제조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티슈 제조장치에 적용된 압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티슈 제조장치에 적용된 제2 이송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티슈 제조장치에 적용된 수집부재, 전달부 및 포켓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티슈 제조장치에 적용된 압축부 및 포켓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티슈 제조장치에 적용된 배출부, 포켓부 및 수집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슈 제조장치는, 티슈용 원단(2)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권취한 다음, 압축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제품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슈 제조장치(1)는, 공급부(10), 절단부(30), 낙하부(20), 권취부(40), 제1 이송부(50), 전달부(60), 포켓부(70), 제2 이송부(80), 압축부(90), 배출부(100), 및 수집부(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급부(10)는 티슈용 원단(이하 "원단"이라 함.)을 절단부(30) 및 권취부(40)에 공급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공급부(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2)이 롤 형태로 권취되는 권취드럼(11), 권취드럼(11)에서 원단(2)이 권출되도록 권취드럼(11)을 제자리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 서로 상이한 높낮이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권취드럼(11)에서 권출되는 원단(2)의 텐션을 유지시키는 복수개의 텐션유지롤(12)러, 텐션유지롤(12)러의 일측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그 사이에 텐션유지롤(12)러를 통과한 원단(2)이 개재되며, 어느 하나가 모터(미도시)의 동력으로 제자리 회전되어 원단(2)을 하부에 위치된 절단부(30) 방향으로 하강시키는 한 쌍의 하강롤러(13), 절단부(30)에 의해 절단된 원단(2)을 낙하부(20)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재(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부재(14)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절단부(30)의 하측에 상,하 방향으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각각이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회전롤러(141), 회전롤러(141)에서 무한궤도를 형성하면서 회전되는 밸트(142)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롤러(141)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모터(미도시)의 동력으로 제자리 회전되어 밸트(142)에 연속 회전력을 제공한다.
절단부(30)에 의해 일정길이로 절단된 원단(2)은 밸트(142)의 사이에 개재된다.
따라서, 원단(2)은 밸트(142)의 회전에 의해 낙하부(20)로 이송된다.
절단부(30)는 하강롤러(13)의 하측에 배치된다.
절단부(30)의 전면에는 하강롤러(13)에 의해 하강된 원단(2)의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롤러(33)가 배치된다.
이때, 하강롤러(13), 지지롤러(33), 회전롤러(141), 절단부(30)는 하나의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하강롤러(13), 지지롤러(33), 회전롤러(141), 절단부(30)의 양측에는 케이스에 고정되는 축이 형성된다.
하강롤러(13), 지지롤러(33), 회전롤러(141), 절단부(30)는 축을 기준으로 제자리 회전될 수 있다.
절단부(30)는 전체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31), 본체(31)의 외면에 형성되는 커팅날(32)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31)는 케이스에 축 고정된 상태에서 모터의 동력으로 제자리 회전된다.
커팅날(32)은 본체(31)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때, 커팅날(32)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본체(3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절단부(30)는 지속적으로 제자리 회전되면서 하강롤러(13)에 의해 하강된 원단(2)을 일정길이로 여러 조각으로 커팅하게 된다.
이때, 하강롤러(13)의 회전속도, 본체(31)의 직경, 본체(31)의 회전속도 등에 따라 원단(2)의 절단길이가 상이해 질 수 있다.
낙하부(20)는 권취부(40)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절단부(30)에 의해 일정길이로 절단된 후 이송부재(14)에 의해 이송되어온 원단(2)들을 하강작동에 의해 낙하시켜 권취부(40)에 투입시키는 구성이다.
낙하부(20)는 대략 다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낙하부(20)는 공압실린더, 캠 등과 같은 승강부재(미도시)에 의해 반복적으로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다.
이송부재(14)에 의해 이송된 원단(2)은 권취부(40)의 상측에 위치되며, 이에 낙하부(20)가 하강되면서 원단(2)을 가압하여 권취부(40)에 투입시킨다.
이때, 이송부재(14)는 원단(2)을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고, 낙하부(20)는 원단(2)을 하 방향으로 가압하여 권취부(40)에 수직형태로 투입시킨다.
이때, 낙하부(20)에는 원단(2)과의 접촉면을 줄일 수 있도록 절개홀이 형성된다.
절개홀은 낙하부(2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중앙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절개홀은 낙하부(20)의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대략 중앙부분에서 하단까지 이르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절개홀로 인해 낙하부(20)의 저면 중앙부분에 공간이 발생된다.
이로 인해, 낙하부(20)는 하강 시 저면 전체가 원단(2)의 상면을 가압하는 것이 아니라 절개홀의 양측 부분만 가압하기 때문에, 비교적 두께가 얇은 원단(2)을 가압했을 때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 하게 된다.
권취부(40)는 낙하부(20)에 의해 낙하된 원단(2)들을 순차적으로 롤 형태로 권취하면서 낙하시키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권취부(40)는 낙하부(20)의 하부에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1 권취부재(41) 및 제2 권취부재(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권취부재(41)는 낙하부(20)의 하부에 수직 배치되는 베이스판(411), 베이스판(411)에 설치되는 시트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시트부(412)는 원단(2)과 마주하는 면에 원단(2)과 마찰을 발생시키는 요철부(413)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제2 권취부재(42)는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권취용롤러(421) 및 권취용롤러(421)에서 무한궤도를 형성하면서 회전하는 권취용밸트(422)를 포함할 수 있다.
권취용롤러(421) 중 어느 하나는 모터의 동력으로 제자리 회전될 수 있다.
권취용밸트(422)는 공지의 타이밍 밸트로 형성될 수 있다.
권취용밸트(422)는 원단(2)과 마주하는 면에 원단(2)과 접촉되는 요철부(423)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때, 시트부(412)와 권취용밸트(422)는 그 간격이 상측에서 중앙부분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넓어지고, 중앙부분에서 하단까지의 간격을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시트부(412)와 권취용밸트(422)의 상측에서 중앙부분의 간격보다 중앙부분에서 하단까지의 간격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최초 판 형상으로 투입되는 원단(2)을 점진적으로 권취할 수 있다.
낙하부(20)는 원단(2)을 시트부(412)와 권취용밸트(422)의 사이로 원단(2)을 투입시키고, 권취용밸트(422)는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무한궤도를 형성하면서 회전된다.
따라서, 납작한 판 형상이던 원단(2)이 시트부(412)의 요철부(413)와 권취용밸트(422)의 요철부(423)와의 마찰에 의해 롤 형태로 권취된 후 낙하된다.
제1 이송부(50)는 권취부(40)의 하측에 배치되어, 권취부(40)에 의해 낙하된 롤 형태의 원단(2)들을 구획하여 전달부(60) 방향으로 순차 이송시키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1 이송부(50)는 컨베이어밸트(51) 및 컨베이어밸트(51)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다수개의 수집부재(52)를 포함할 수 있다.
컨베이어밸트(51)는 원단(2)이 시트부(412)와 권취용밸트(422)의 사이 공간을 완전히 빠져나오는 타이밍에 맞춰 수집부재(52)를 시트부(412)와 권취용밸트(422)의 사이 공간 하측에 상에 위치시키도록 프로그래밍된다.
그리고, 컨베이어밸트(51)는 원단(2)이 시트부(412)와 권취용밸트(422)의 사이 공간을 완전히 빠져나오는 타이밍에 맞춰 수집부재(52)를 시트부(412)와 권취용밸트(422)의 사이 공간 하측에 위치시키도록 스탭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즉, 컨베이어밸트(51)와 스탭모터의 상호 작용에 의해 수집부재(52)들이 이송 및 정지를 반복하면서 전달부(60) 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으로, 수집부재(52)들은 권취부(40)의 하방에서 약 1초 내지 3초 정도 잠시 정지되었다가 전달부(60) 방향으로 이송됨을 반복하게 되며, 이러한 원리를 통해 권취부(40)에 의해 권취된 원단(2)이 각각의 수집부재(52)에 1개씩 수집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수집부재(52)들은 전술한 원리를 통해 전달부(60)의 전방에서도 약 1초 내지 3초 정도 잠시 정지되었다가 권취부(40) 방향으로 이송됨을 반복하게 된다.
그리고, 수집부재(52)는 저면이 컨베이어밸트(51)에 고정된다.
수집부재(52)는 상면 및 양측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원단(2)이 수집되는 수집홈(521)이 형성된다.
수집홈(521)은 대략 "U"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부(60)는 제1 이송부(50)에 의해 이송되어온 원단(2)들을 푸쉬하여 인출시키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전달부(60)는 사각블록(61)에 수평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다수개의 푸쉬봉(62) 및 푸쉬봉(62)이 수집부재(52)의 수집홈(521)에 위치한 원단(2)을 푸쉬하도록 사각블록(61)을 전진시키는 실린더(63)로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63)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각블록(61)을 수집부재(52)에 대해 일정시간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전,후진 시키도록 프로그래밍 된다.
이로 인해 푸쉬봉(62)들이 전진되면서 각자 마주하는 수집부재(52)의 수집홈(521)에 위치한 원단(2)을 푸쉬하여 포켓부(70)에 전달한 다음, 후진하여 수집부재(52)의 수집홈(521)에서 인출된다.
그리고, 푸쉬봉(62)들이 후진되면 원단(2)이 이탈된 수집부재(52)는 컨베이어밸트(51)에 의해 다시 권취부(40) 방향으로 이송되고, 후행되는 수집부재(52)들이 푸쉬봉(62)의 전방에 위치되게 된다.
포켓부(70)는 양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원단(2)이 수용되는 수용공간(71)이 형성된 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포켓부(70)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서는 원단(2) 뿐만 아니라 푸쉬봉(62), 압축부(90)의 압축봉(91) 및 지지봉(93)이 출입하게 된다.
이러한 포켓부(70)는 다수개로 적용되며, 일정량이 제1 이송부(50)를 사이에 두고 전달부(60)와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포켓부(70)는 푸쉬봉(62)의 개수에 대응되게 한 조를 이룬다.
도면에는 푸쉬봉(62)이 6개로 적용된 예를 도시하였는바, 포켓부(70)는 6개씩 한 조를 이룬다.
포켓부(70)는 후술되는 제2 이송부(80)에 의해 한 조(6개씩) 전달부(60)로 순차 이송된다.
따라서, 포켓부(70)와 푸쉬봉(62)은 1:1로 마주하게 된다.
아울러, 6개의 포켓부(70)는 전달부(60)로부터 원단(2)을 각각 전달 받은 후, 제2 이송부(80)에 의해 압축부(90)와 배출부(100)로 순차 이송된다.
제2 이송부(80)는 포켓부(70)들을 압축부(90) 및 배출부(100) 방향으로 순차 이송시키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2 이송부(80)는 이동가이드(81) 및 스프로켓(8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가이드(81)는 대략 타원형 박스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가이드(81)는 대략 전달부(60)에서 부터 배출부(100)에 이르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가이드(81)는 일부분이 푸쉬봉(62)의 전방에 위치되고, 다른 일부분은 후술되는 압축봉(91)과 지지봉(93)의 사이에 위치되고, 다른 일부분은 배출부(100)의 전방에 위치된다.
그리고, 이동가이드(81)의 일측면에는 압축봉(91)과 배출부(100)가 출입하는 출입홀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푸쉬봉(62)과 지지봉(93)이 출입하는 출입홀이 형성된다.
이동가이드(81)의 내부공간 양측에는 스프로켓(82)이 수용되는 수용공간(71)이 형성되고, 수용공간(71)에는 블록형상의 레일(811)이 형성된다.
레일(811)은 이동가이드(81)의 천장면 및 바닥면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포켓부(70)는 레일(811)과 천장면의 사이 공간 및 레일(811)과 바닥면의 사이 공간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스프로켓(82)은 포켓부(70)들이 무한궤도를 형성하면서 전달부(60), 압축부(90) 및 배출부(100)를 반복적으로 순환하도록 하는 것으로,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이동가이드(81)의 수용공간(71)에 각각 축 고정된다.
스프로켓(82)의 원주방향을 따라서는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용홈(821)이 형성된다. 수용홈(821)들에는 포켓부(70)의 일부분이 수용된다.
스프로켓(82)의 축에는 풀리(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으며, 양 풀리는 하나의 타이밍밸트(미도시)로 연결된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스프로켓(82)의 축은 스탭모터(미도시)의 동력으로 제자리 회전된다.
따라서, 모터가 구동되면 타이밍밸트는 무한궤도를 형성하면서 회전되고, 이로 인해 한 쌍의 스프로켓(82)이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포켓부(70)들을 순환이동시킨다.
이때,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포켓부(70)들은 스프로켓(82)의 수용홈(821)에 수용된 상태에서 스프로켓(82)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며, 수용홈(821)에서 인출된 포켓부(70)가 스프로켓(82)의 사이에 위치된 포켓부(70)를 밀어 이동시키게 된다.
스프로켓(82)을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되는 스탭모터(미도시)는 포켓부(70)를 6개씩 배출부(100)와 압축부(90) 및 배출부(100) 방향으로 순차 이송시키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
아울러, 스탭모터는 6개의 포켓부(70)씩 푸쉬봉(62)의 전방에서 약 3초 내지 7초 정도 위치한 후 압축부(90)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
아울러, 스탭모터는 후술되는 압축봉(91) 및 배출부(100) 상에서도 6개의 포켓부(70)를 약 3초 내지 7초 정도 위치한 후 이동하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
압축부(90)는 제2 이송부(80)에 의해 이송되어온 포켓부(70) 내의 원단(2)을 일정부피로 압축시키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압축부(90)는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봉(91), 제1 전,후진 실린더(92), 지지봉(93), 제2 전,후진 실린더(94), 지지블록(95), 승강실린더(96)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봉(91)은 다수개가 하나의 사각블록(911)에 수평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압축봉(91)은 포켓부(70)와 동일한 개수로 적용될 수 있다.
즉, 포켓부(70)가 6개 한 조로 구성됨에 따라, 압축봉(91)은 6개로 적용되어 원단(2)을 수용하고 있는 6개의 포켓부(70)와 수평방향으로 1:1 마주한다.
그리고, 사각블록(911)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판(912)에 고정되고, 제1 전,후진 실린더(92)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압축봉(91)이 포켓부(70)의 수용공간(71) 위치한 원단(2)을 압축하도록 고정판(912)을 전진시킨다.
제1 전,후진 실린더(92)는 고정판(912)을 포켓부(70)에 대해 일정 시간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전,후진 시키도록 프로그래밍 된다.
이로 인해, 압축봉(91)들이 전진되면서 각자 마주하는 포켓부(70)의 수용공간(71)에 위치한 원단(2)을 압축하여 롤 형태의 티슈(3)를 생성한 다음, 후진하여 수용공간(71)에서 인출된다.
그리고, 압축봉(91)이 후진하면 원단(2)의 압축이 이루어진 포켓부(70)는 제2 이송부(80)에 의해 이송되어 압축봉(91) 상에서 이탈되고, 후행하는 조의 포켓부(70)들이 이송되어 압축봉(91)들과 1:1로 마주하게 된다.
지지봉(93)은 전달부(60)의 일측에 배치되며, 다수개가 하나의 사각블록(931)에 수평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지지봉(93)은 제2 이송부(80)에 위치한 포켓부(70)를 사이에 두고 압축봉(91)과 대향한다. 그리고, 지지봉(93)은 압축봉(91)과 동일한 개수로 적용될 수 있다.
즉, 압축봉(91)이 6개로 적용됨으로, 지지봉(93)은 6개로 적용되어 티슈(3)를 수용하고 있는 6개의 포켓부(70)와 수평방향으로 1:1 마주한다.
아울러, 지지봉(93)은 포켓부(70)를 사이에 두고 압축봉(91)과 대향하면서 포켓부(70)의 수용공간(71)과 대향한다.
그리고, 지지봉(93)은 포켓부(70)의 수용공간(71)에서 원단(2)만 지지하면 됨으로 압축봉(91)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사각블록(931)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판(98)에 고정되며, 제2 전,후진 실린더(94)는 지지봉(93)이 포켓부(70)의 수용공간(71)에 위치한 원단(2)을 지지하도록 고정판(98)을 전진시킨다.
즉, 제1 전,후진 실린더(92)가 압축봉(91)을 전진시킴과 동시에 제2 전,후진 실린더(94)가 지지봉(93)을 전진시킴에 따라, 지지봉(93)은 원단(2)의 일단을 지지하고, 압축봉(91)은 원단(2)의 타단을 가압하여 일정부피로 압축시키는 것이다.
제2 전,후진 실린더(94)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판(98)을 포켓부(70)에 대해 일정 시간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전,후진 시키도록 프로그래밍 된다.
이로 인해, 지지봉(93)들이 전진되면서 각자 마주하는 포켓부(70)의 수용공간(71)에 위치한 원단(2)을 지지한 다음, 후진하여 수용공간(71)에서 인출된다.
이때, 제2 전,후진 실린더(94)는 사각플레이트(97)에 고정되되, 피스톤이 사각플레이트(97)를 관통하여 고정판(98)에 고정될 수 있다.
사각플레이트(97)에는 후술되는 승강실린더(96)가 매립되는 매립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봉(93)이 후진하면 원단(2)의 압축이 이루어진 포켓부(70)는 제2 이송부(80)에 의해 이송되어 압축봉(91) 및 지지봉(93) 상에서 이탈되고, 후행하는 조의 포켓부(70)들이 이송되어 지지봉(93)들과 1:1로 마주하게 된다.
지지블록(95)은 고정판(98)의 후방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다.
승강실린더(96)는 공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승강실린더(96)는 제2 전,후진 실린더(94)가 지지봉(93)을 전진시켜 수용공간(71)에 인입시키는 타이밍에 지지블록(95)을 상승시킨다.
지지블록(95)은 상승 시 고정판(98)의 후면에 위치한 돌출턱(981)을 지지하여 지지봉(93)이 압축봉(91)의 가압력에 의해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제2 전,후진 실린더(94)는 승강실린더(96)가 지지블록(95)을 하강시키면 고정판(98)을 후진시켜 지지봉(93)이 포켓부(70)의 수용공간(71)에서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배출부(100)는 압축부(90)의 일측에 배치되며 제2 이송부(80)에 의해 이송되어온 포켓부(70)에서 압축된 티슈(3)를 배출시키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배출부(100)는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가 하나의 사각블록(101)에 수평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배출부(100)는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출부(100)도 압축봉(91)과 동일하게 6개 적용되어 압축된 티슈(3)를 수용하고 있는 6개의 포켓부(70)와 수평방향으로 1:1 마주한다.
그리고, 사각블록(101)은 전술한 압축봉(91)이 설치되는 사각블록(911)과 함께 고정판(912)에 고정된다.
따라서, 배출부(100)는 제1 전,후진 실린더(92)의 구동에 의해 포켓부(70)의 수용공간(71)에 인입되면서 압축된 티슈(3)를 푸쉬하여 배출한 후 다시 수용공간(71)에서 인출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티슈(3)가 배출된 포켓부(70)는 제2 이송부(80)에 의해 이동가이드(81)의 바닥면을 거친 후 전달부(60) 측으로 이송하게 된다.
또한, 전달부(60) 측으로 이송된 포켓부(70)는 전달부(60)로부터 수집부재(52)에 위치한 새로운 권취된 원단(2)을 전달 받은 후, 압축부(90) 및 배출부(100)를 이동되며, 그 과정에서 원단(2)이 압축 및 배출되게 된다.
배출된 티슈(3)는 이동가이드(81)의 외측면에 설치된 배출호퍼(120)의 경사면(121)을 따라 하강된 후, 배출구(122)를 통해 낙하된 다음 수집부(110)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배출판(123)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수집부(110)에 수집된다.
수집부(110)는 배출부(100)에 의해 배출되는 티슈(3)를 수집한 후 배출시키는 구성이다.
수집부(110)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집부(110)의 내벽면을 따라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경사를 갖는 배출로(111)가 형성되고, 배출로(111)의 끝단에 티슈(3)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22)가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배출구(122)의 하방에는 배출구(122)를 통해 배출되는 티슈(3)를 수집하는 수집박스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수집부(110)는 바이브레이터(미도시)로부터 진동을 부여 받아 티슈(3)를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배출부(100)에 의해 배출된 티슈(3)는 수집부(110)의 내부 바닥면으로 낙하된 후, 배출로(111)를 따라 배출구(122)로 이동한 후 수집박스로 낙하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조된 티슈(3)를 개별포장하여 음식점 등에 공급하면 되고, 사용자는 티슈(3)에 물을 흡수시켜 부풀린 다음, 손이나 얼굴 등을 닦으면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티슈 제조장치 10 : 공급부
11 : 권취드럼 12 : 텐션유지롤
13 : 하강롤러 14 : 이송부재
141 : 회전롤러 142 : 밸트
20 : 낙하부 30 : 절단부
31 : 본체 32 : 커팅날
33 : 지지롤러 40 : 권취부
41 : 제1 권취부재 411 : 베이스판
412 : 시트부 413,423 : 요철부
42 : 제2 권취부재 421 : 권취용롤러
422 : 권취용밸트 50 : 제1 이송부
51 : 컨베이어밸트 52 : 수집부재
521 : 수집홈 60 : 전달부
61, 101, 911, 931 : 사각블록 62 : 푸쉬봉
63 : 실린더 70 : 포켓부
71 : 수용공간 80 : 제2 이송부
81 : 이동가이드 811 : 레일
82 : 스프로켓 821 : 수용홈
90 : 압축부 91 : 압축봉
912,98 : 고정판 92 : 제1 전,후진 실린더
93 : 지지봉 94 : 제2 전,후진 실린더
95 : 지지블록 96 : 승강실린더
97 : 사각플레이트 100 : 배출부
110 : 수집부 111 : 배출로
120 : 배출호퍼 121 : 경사면
122 : 배출구 123 : 배출판

Claims (5)

  1. 티슈용 원단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원단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부;
    상기 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원단을 순차적으로 롤 형태로 권취하면서 낙하시키는 권취부;
    상기 권취부에서 낙하된 원단들을 구획하여 수집하며, 무한궤도를 형성하며 회전되면서 상기 원단들을 이송시키는 제1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원단들을 각각 푸쉬하여 인출시키는 전달부;
    상기 전달부의 일측에 다수 배치되고, 인출된 원단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포켓부;
    무한궤도를 형성하며 회전하면서 상기 포켓부들을 이송시키는 제2 이송부;
    상기 제2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어온 포켓부의 수용공간에 인입되면서 상기 원단을 압축시키는 압축부; 및
    상기 압축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포켓부의 수용공간에 인입되면서 원단을 푸쉬하여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부는,
    상기 원단과 접촉되는 요철부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시트부를 포함하는 제1 권취부재; 및
    상기 제1 권취부재와 대향되며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권취용 롤러 및 상기 권취용 롤러에서 무한궤도를 형성하면서 회전하며 원단과 접촉되는 요철부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권취용 밸트;를 포함하는 티슈 제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는,
    상기 제2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어온 포켓부의 수용공간과 대향하는 압축봉; 및
    상기 압축봉이 상기 포켓부의 수용공간에 인입되면서 원단을 압축하도록 구동되는 제1 전,후진 실린더;를 포함하는 티슈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는,
    상기 포켓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압축봉과 대향되면서 상기 포켓부의 수용공간과 대향되는 지지봉; 및
    상기 지지봉이 상기 포켓부의 수용공간에 인입되어 압축봉에 의해 압축되는 원단을 지지하도록 구동되는 제2 전,후진 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티슈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는,
    상기 지지봉의 후방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지지블록; 및
    상기 지지봉이 수용공간에 인입시 상기 지지블록이 지지봉을 지지하도록 구동되는 승강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티슈 제조장치.
KR1020210008848A 2020-12-11 2021-01-21 티슈 제조장치 KR1022603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369 2020-12-11
KR20200173369 2020-12-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0334B1 true KR102260334B1 (ko) 2021-06-04

Family

ID=76391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848A KR102260334B1 (ko) 2020-12-11 2021-01-21 티슈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0334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7708B2 (ko) * 1986-11-06 1991-03-08 Wakodo Kk
KR20040099378A (ko) * 2002-03-29 2004-11-26 멧소 페이퍼 칼스타드 아크티에보라그 개선된 질감을 가진 크레이프된 티슈 제공 및 웹의 취급개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509427B1 (ko) * 2004-09-02 2005-08-22 (주)을지산업 티슈롤 이송장치
JP3814597B2 (ja) * 2003-09-29 2006-08-30 ピジョン株式会社 容器付きロール状ウェットティシュ及びロール状ウェットティシュの製造方法
KR100937110B1 (ko) * 2009-06-22 2010-01-15 최나래 일회용 티슈 및 그 제조방법
KR100971884B1 (ko) * 2007-09-27 2010-07-22 이순길 향기 성분과 얼굴 맛사지용 미용 성분이 첨가된 일회용압축티슈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27566A (ko) * 2010-09-13 2012-03-22 김형민 롤타입 물티슈 제조장치
KR101557127B1 (ko) 2015-07-07 2015-10-02 주식회사 조은 물티슈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7708B2 (ko) * 1986-11-06 1991-03-08 Wakodo Kk
KR20040099378A (ko) * 2002-03-29 2004-11-26 멧소 페이퍼 칼스타드 아크티에보라그 개선된 질감을 가진 크레이프된 티슈 제공 및 웹의 취급개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4717353B2 (ja) * 2002-03-29 2011-07-06 メッツォ ペーパー カルルスタッド アクチボラグ 触感品質が向上したクレープティッシュを製造するための、ウェブの取り扱いを改善した方法及び装置
JP3814597B2 (ja) * 2003-09-29 2006-08-30 ピジョン株式会社 容器付きロール状ウェットティシュ及びロール状ウェットティシュの製造方法
KR100509427B1 (ko) * 2004-09-02 2005-08-22 (주)을지산업 티슈롤 이송장치
KR100971884B1 (ko) * 2007-09-27 2010-07-22 이순길 향기 성분과 얼굴 맛사지용 미용 성분이 첨가된 일회용압축티슈 및 그 제조방법
KR100937110B1 (ko) * 2009-06-22 2010-01-15 최나래 일회용 티슈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27566A (ko) * 2010-09-13 2012-03-22 김형민 롤타입 물티슈 제조장치
KR101557127B1 (ko) 2015-07-07 2015-10-02 주식회사 조은 물티슈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77363A2 (en) Machine for filling containers with rod-shaped objects
CN210557827U (zh) 一种物流分拣用传送机构
KR101853359B1 (ko) 시트 마스크 패킹장치
FR2542293A1 (fr) Appareil d'empilage de feuilles
CN111438722B (zh) 一种连续裁纸装置
KR102260334B1 (ko) 티슈 제조장치
CN112850307A (zh) 一种高聚物改性防水卷材裁切收卷一体机
KR100763576B1 (ko) 고기구이봉의 공급 및 이송장치
CN108861479B (zh) 生物膜培养专用托盘的倒料及回收的方法
KR20140110299A (ko) 스틱 공급장치
KR20170071280A (ko) 과일선별기
CN213264613U (zh) 一种用于压辊工作间距的调节装置
CN111895762B (zh) 野菊花干燥工艺
CN110294265B (zh) 一种成箱棉花运输设备
CN204170098U (zh) 一种中药材条形镇压机
CN206999055U (zh) 一种海绵圆盘平切机
KR100231621B1 (ko) 층상화된 섬유소 제품, 특히 원면 패드용 처리장치
KR100692246B1 (ko) 제품 자동정렬장치
CN218142388U (zh) 一种卷状胶带的批量输送装置
RU234552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порции теста
CN116620643B (zh) 一种双排式小型便携式湿巾装包装置
CN219546385U (zh) 一种收线机用双工位上下料装置
CN213414309U (zh) 一种不锈钢钢管薄膜自动包装机
KR101456799B1 (ko) 그물 또는 비닐을 이용하여 가연성 쓰레기를 원기둥 형태로 말아주는 장치
CN116620913B (zh) 一种菱形网机拧丝打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