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0247B1 - 선박 추진장치의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선박 추진장치의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0247B1
KR102260247B1 KR1020170082875A KR20170082875A KR102260247B1 KR 102260247 B1 KR102260247 B1 KR 102260247B1 KR 1020170082875 A KR1020170082875 A KR 1020170082875A KR 20170082875 A KR20170082875 A KR 20170082875A KR 102260247 B1 KR102260247 B1 KR 102260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ollow shaft
inner shaft
central
prope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2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797A (ko
Inventor
이태구
박형길
이진석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2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0247B1/ko
Publication of KR20190002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02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mechanical gearing
    • B63H23/08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mechanical gearing with provision for reversing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32Other parts
    • B63H23/321Bearings or seals specially adapted for propeller sh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32Other parts
    • B63H23/34Propeller shafts; Paddle-wheel shafts; Attachment of propellers on sh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08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more than one propeller
    • B63H5/1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more than one propeller of coaxial type, e.g. of counter-rotative type
    • B63B2749/00
    • B63B2750/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32Other parts
    • B63H23/321Bearings or seals specially adapted for propeller shafts
    • B63H2023/323Bearings for coaxial propeller shafts, e.g. for driving propellers of the counter-rotativ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32Other parts
    • B63H23/34Propeller shafts; Paddle-wheel shafts; Attachment of propellers on shafts
    • B63H2023/342Propeller shafts; Paddle-wheel shafts; Attachment of propellers on shafts comprising couplings, e.g. resilient couplings; Coupl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32Other parts
    • B63H23/34Propeller shafts; Paddle-wheel shafts; Attachment of propellers on shafts
    • B63H2023/346Propeller shafts; Paddle-wheel shafts; Attachment of propellers on shafts comprising hollow shaft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Abstract

선박 추진장치의 설치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선박 추진장치의 설치방법은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전방프로펠러 및 후방프로펠러를 포함하고, 선체를 추진시키기 위한 추진력을 제공하는 선박 추진장치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선체 후미에 마련되는 설치공간에 마련된 후방중공축 내부로 후방중공축과 반대되는 회전력을 전달받는 후방내축을 진입시키는 단계; 전방프로펠러 및 후방프로펠러를 각각 후방중공축과 후방내축에 결합시키는 단계; 중앙내축과 내부에 중앙내축이 삽입된 중앙중공축을 각각 후방내축과 후방중공축에 결합시키는 단계; 전방중공축의 전방 측 단부를 기어박스에 결합시키는 단계; 기어박스 및 전방중공축의 내측을 관통하여 삽입된 전방내축의 후방 측 단부를 중앙내축에 결합시키는 단계; 전방중공축의 후방 측 단부를 중앙중공축에 결합시키는 단계; 및 동력원의 동력축과 결속된 주축을 전방내축의 전방 측 단부와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기어박스는 전방내축과 전방중공축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주축의 회전을 반전시켜 전방중공축으로 동력을 전달한다.

Description

선박 추진장치의 설치방법{METHOD FOR SETTING PROPULSION APPARATUS OF SHIP}
본 발명은 선박 추진장치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박이나 잠수함 등의 추진장치는 대부분 프로펠러를 사용한다. 하나의 프로펠러를 구비하는 선박 추진장치는 프로펠러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의 회전에너지를 추진력으로 온전히 회수할 수 없다. 이에 하나의 축에 두 개의 프로펠러가 상호 반대로 회전하면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이중반전 추진장치(CRP, Counter Rotating Propeller)가 적용되고 있다.
이중반전 추진장치의 후방프로펠러는 전방프로펠러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의 회전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해 전방프로펠러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프로펠러가 하나인 추진장치에 비해 높은 추진성능을 나타낸다. 이중반전 추진장치는 통상적으로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과, 선미 쪽에 설치되는 전방프로펠러 및 후방프로펠러와, 선체에 설치되어 전방프로펠러 및 후방프로펠러의 상반된 회전을 구현하는 반전회전장치와, 엔진에 의해 발생된 동력을 반전회전장치를 거쳐 전방프로펠러 및 후방프로펠러로 각각 전달하는 내축 및 외축을 구비한다.
이러한 이중반전 추진장치에는 엔진으로부터 전방프로펠러 및 후방프로펠러 측으로 동력을 반전시켜 전달하는 많은 부품이 배치되어야 하므로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제작 및 설치가 어렵다.
또, 이중반전 추진장치가 컨테이너 선박 등 대형 선박에 설치될 경우, 내축 및 외축 등의 부품 규모가 증가하여 운용 및 유지보수에도 어려움이 있다.
이에 이중반전 추진장치의 제작 및 설치에 투입되는 노동력 및 시간을 절감하면서도 대형 선박에 적용이 용이한 선박 추진장치의 개발과 함께 이를 효과적으로 설치하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994-0009004호(1994. 05. 16. 공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구조가 단순하고 다양한 규모의 선박에 적용 가능한 추진장치를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선박 추진장치의 설치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전방프로펠러 및 후방프로펠러를 포함하고, 선체를 추진시키기 위한 추진력을 제공하는 선박 추진장치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선체 후미에 마련되는 설치공간에 마련된 후방중공축 내부로 상기 후방중공축과 반대되는 회전력을 전달받는 후방내축을 진입시키는 단계; 상기 전방프로펠러 및 상기 후방프로펠러를 각각 상기 후방중공축과 상기 후방내축에 결합시키는 단계; 중앙내축과 내부에 상기 중앙내축이 삽입된 중앙중공축을 각각 상기 후방내축과 상기 후방중공축에 결합시키는 단계; 전방중공축의 전방 측 단부를 기어박스에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기어박스 및 상기 전방중공축의 내측을 관통하여 삽입된 전방내축의 후방 측 단부를 상기 중앙내축에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전방중공축의 후방 측 단부를 상기 중앙중공축에 결합시키는 단계; 및 동력원의 동력축과 결속된 주축을 상기 전방내축의 전방 측 단부와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어박스는 상기 전방내축과 상기 전방중공축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주축의 회전을 반전시켜 상기 전방중공축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선박 추진장치의 설치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방프로펠러가 상기 후방내축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상기 후방내축의 외면과 상기 전방프로펠러의 허브 내면 사이에 베어링조립체를 개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베어링조립체를 개재하는 단계는 상기 후방내축의 외면에 내측슬리브를 결합시키고, 상기 내측슬리브의 외측에 베어링을 설치하고, 상기 베어링의 외측에 외측슬리브를 설치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중공축을 상기 설치공간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중앙중공축의 중간 부위에 지지베어링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베어링을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설치공간 저면에 지지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중앙중공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중앙중공축에 가해지는 반경방향 하중을 받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베어링부를 설치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양단에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중앙부가 분할되어 결합하는 제1스플릿 중공축에 의해 상기 중앙중공축과 상기 전방중공축을 결속시키되, 상기 제1스플릿 중공축의 양단에 마련된 플랜지부를 각각 상기 중앙중공축의 전방 측 단부에 마련된 플랜지부 및 상기 전방중공축의 후방 측 단부에 마련된 플랜지부에 볼트 체결에 의해 결속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내축과 상기 전방중공축 사이에 상기 제1스플릿 중공축의 내측에 인접하게 제1롤러베어링을 설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양단에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중앙부가 분할되어 결합하는 제2스플릿 중공축에 의해 상기 후방중공축과 상기 중앙중공축을 결속시키되, 상기 제2스플릿 중공축의 후방 측 단부에 마련된 플랜지부를 상기 후방중공축에 고정 설치되는 일단플랜지슬리브이음장치에 볼트 체결에 의해 결속시키고, 상기 제2스플릿 중공축의 전방 측 단부에 마련된 플랜지부를 상기 중앙중공축의 후방 측 단부에 마련된 플랜지부에 볼트 체결에 의해 결속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내축과 상기 후방중공축 사이 또는 상기 후방내축과 상기 일단플랜지슬리브이음장치 사이에 상기 제2스플릿 중공축의 내측에 인접하게 제2롤러베어링을 설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축과 상기 주축으로 전달받은 동력 충격을 완화하여 상기 기어박스로 동력을 전달하는 탄성이음장치를 연결 및 결속시키기 위해, 양단플랜지슬리브이음장치의 전방 측 플랜지부를 상기 주축의 후방 측에 마련된 플랜지부에 볼트 체결에 의해 결속시키고, 상기 양단플랜지슬리브이음장치의 후방 측 플랜지부를 상기 탄성이음장치에 볼트 체결에 의해 결속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선박 추진장치의 설치방법은 구조가 단순하고 다양한 규모의 선박에 적용 가능한 선박 추진장치의 설치방법은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추진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선박 추진장치가 선박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지지유닛과, 제2이음부에 의해 지지유닛과 동력연결유닛이 연결 및 결속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동력연결유닛과, 제1이음부에 의해 동력연결유닛과 반전회전유닛이 연결 및 결속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반전회전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동력전달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할 수 있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선박 추진장치가 선박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선박 추진장치(1000)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전방프로펠러(11) 및 후방프로펠러(12)를 포함하고, 전방프로펠러(11) 및 후방프로펠러(12)의 회전에 의해 선체(10)가 추진력을 받을 수 있는 선박에 적용될 수 있다.
동력원(20)은 액화천연가스(LNG) 등의 연료를 공급받아 전방프로펠러(11) 및 후방프로펠러(12)의 회전 및 작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된다. 동력원(20)은 다양한 구조 및 방식의 엔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후술하는 동력전달유닛(1400), 반전회전유닛(1300), 동력연결유닛(1200), 지지유닛(1100)을 거쳐 전방프로펠러(11) 및 후방프로펠러(12)에 동력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선박 추진장치(1000)는 동력원(20)으로부터 발생한 동력을 전달하는 주축(1410)을 포함하는 동력전달유닛(1400)과, 후방프로펠러(12)가 결합되는 후방내축(1110) 및 전방프로펠러(11)가 결합하는 후방중공축(1120)을 포함하고, 전방프로펠러(11) 및 후방프로펠러(12)를 선체(10)에 지지하는 지지유닛(1100)과, 후방내축(1110)과 연결되는 중앙내축(1210) 및 후방중공축(1120)과 연결되는 중앙중공축(1220)을 포함하는 동력연결유닛(1200)과, 중앙내축(1210)과 연결되는 전방내축(1310), 중앙중공축(1220)과 연결되는 전방중공축(1320), 주축(1410)의 회전을 반전시켜 전방중공축(1320)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박스(1340) 및 주축(1410)으로부터 전달받은 동력 충격을 완화하여 기어박스(1340)로 동력을 전달하는 탄성이음장치(1350)를 포함하는 반전회전유닛(1300)과, 동력연결유닛(1200)과 반전회전유닛(1300)을 연결 및 결속시키는 제1이음부(1600)와, 지지유닛(1100)과 동력연결유닛(1200)을 연결 및 결속시키는 제2이음부(1500)를 포함한다. 이때, 상술한 각각의 유닛은 선체(10)의 외부에서 조립 및 제작되어 모듈(module)화한 후, 선체(10)의 후미에 마련되는 설치공간(1)에 진입하여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전방' 및 '후방'은 도 1 내지 도 5를 기준으로 선박의 '선수 측' 및 '선미 측'을 각각 의미하는 것으로서, 어느 하나의 위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구성요소 간 위치 차이에 따른 상대적인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지지유닛(1100)과, 제2이음부(1500)에 의해 지지유닛(1100)과 동력연결유닛(1200)이 연결 및 결속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동력연결유닛(1200)과, 제1이음부(1600)에 의해 동력연결유닛(1200)과 반전회전유닛(1300)이 연결 및 결속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반전회전유닛(1300) 및 동력전달유닛(1400)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지지유닛(1100)은 후방프로펠러(12)가 결합되는 후방내축(1110)과, 내부에 후방내축(1110)이 통과하도록 후방내축(11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전방프로펠러(11)가 결합되는 후방중공축(1120)과, 후방내축(1110)과 후방중공축(1120) 사이 또는 후방내축(1110)과 후술하는 일단플랜지슬리브이음장치(1511) 사이에 개재되는 제2롤러베어링(1160)과, 후방내축(1110)과 전방프로펠러(11)의 허브(11a) 사이에 개재되는 베어링조립체(1130)와, 선체(10)와 전방프로펠러(11)의 허브(11a) 사이를 밀봉하는 제1밀봉장치(1140)와, 전방프로펠러(11)의 허브(11a)와 후방프로펠러(12)의 허브(12a) 사이를 밀봉하는 제2밀봉장치(1150)를 포함하고, 후방내축(1110) 및 후방중공축(1120)의 적어도 일부분이 선체(10)의 후미에 마련되는 설치공간(1)에 삽입됨으로써 전방프로펠러(11) 및 후방프로펠러(12)를 선체(10)에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후방프로펠러(12)는 후방내축(1110)의 후미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허브(12a)와, 허브(12a)의 외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12b)를 포함한다. 후방프로펠러(12)는 허브(12a) 중심부의 결합공이 후방내축(1110)의 외면에 압입 결합됨으로써 후방내축(111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후방내축(1110)의 후단부에는 고정캡(30)이 체결되어 후방프로펠러(12)와 후방내축(1110)의 결속력을 강화할 수 있다.
전방프로펠러(11)는 후방프로펠러(12) 전방의 후방내축(1110)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허브(11a)와, 허브(11a)의 외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11b)를 포함한다. 전방프로펠러(11)는 허브(11a)의 전면이 볼트 체결에 의해 후방중공축(1120) 후단의 플랜지부(1120a)에 연결됨으로써 후방중공축(112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전방프로펠러(11)의 블레이드(11b)는 후방프로펠러(12)와 반대로 회전하면서 같은 방향으로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블레이드(11b)의 각이 후방프로펠러(12)의 블레이드(12b) 각과 반대로 형성될 수 있다.
후방내축(1110)은 선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되 후방 측 단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후방프로펠러(12)의 허브(12a)와 결합되고, 전방 측 단부는 후술하는 제2이음부(1500)의 제2슬리브이음장치(1520)에 의해 동력연결유닛(1200)의 중앙내축(1210)과 결속될 수 있다.
후방중공축(1120)은 후방내축(1110)과 마찬가지로 선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되, 내부에 후방내축(1110)이 통과하도록 중공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후방 측 단부는 전방프로펠러(11)의 허브(11a)와 결합되고, 전방 측 단부는 후술하는 제2이음부(1500)의 제2플랜지이음장치(1510)에 의해 동력연결유닛(1200)의 중앙중공축(1220)과 결속될 수 있다.
베어링조립체(1130)는 전방프로펠러(11)가 후방내축(1110)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후방내축(1110)의 외면과 전방프로펠러(11)의 허브(11a) 내면 사이에 개재되어 마련될 수 있다. 베어링조립체(1130)는 후방내축(1110)의 외면에 결합되는 내측슬리브(1131)와, 내측슬리브(1131)의 외측에 설치되는 베어링(1132)과, 베어링(1132)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슬리브(1133)를 포함한다.
베어링(1132)은 내륜(1132a)과, 롤러부(1132b) 및 외륜(1132c)을 포함하는 레이디얼 베어링(1132)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베어링(1132)은 반경방향의 하중과 축방향의 하중을 동시에 받을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내측슬리브(1131)의 내면은 후방내축(1110)의 외면과 결합되고, 내측슬리브(1131)의 외면에는 베어링(1132)의 내륜(1132a)이 접하여 결합되며, 외면의 일측에는 조임링(1134)이 체결될 수 있도록 조임나사부(1131a)가 마련된다. 내측슬리브(1131)는 외면에 베어링(1132)을 장착한 후 조임링(1134)을 체결함으로써 베어링(1132)이 후방내축(1110)의 외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외측슬리브(1133)의 내면에는 베어링(1132)의 외륜이 접하여 지지되고, 외측슬리브(1133)의 외면은 전방프로펠러(11)의 허브(11a) 내면과 접하여 결합된다. 외측슬리브(1133)의 후단은 플랜지(1133a) 구조로 마련되어 전방프로펠러(11)의 허브(11a) 후면에 볼트 체결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후방중공축(1120)과 선체(10) 후미의 설치공간(1)의 내면 사이에는 후방중공축(1120)을 지지하는 원통 형상의 저널베어링(1170)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유닛(1100)은 선체(10)의 후미와 전방프로펠러(11)의 허브(11a) 사이를 밀봉하여 해수(또는 민물)나 기타 이물질이 후방중공축(1120)과 선체(10)의 후미 사이로 침입을 방지하면서 내부의 윤활유가 선체(10)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밀봉장치(1140)와, 유사한 목적으로 전방프로펠러(11)의 허브(11a)와 후방프로펠러(12)의 허브(12a) 사이를 밀봉하는 제2밀봉장치(1150)를 포함한다.
제2롤러베어링(1160)은 후방중공축(1120)이 후방내축(1110)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후방내축(1110)과 후방중공축(1120) 사이 또는 후방내축(1110)과 후술하는 일단플랜지슬리브이음장치(1511)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동력연결유닛(1200)은 후술하는 반전회전유닛(1300)을 거쳐 전달되는 상호 반대되는 회전력을 지지유닛(1100)의 후방내축(1110) 및 후방중공축(1120)으로 각각 전달하도록 지지유닛(1100)의 전방과 후술하는 반전회전유닛(1300)의 후방 사이에 마련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동력연결유닛(1200)은 후방이 후방내축(1110)과 연결되는 중앙내축(1210)과, 내부에 중앙내축(1210)이 통과하도록 중앙내축(12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중공축(1220)과, 중앙중공축(1220)을 설치공간(1)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지지베어링(1230)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내축(1210)은 선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되, 후방 측 단부는 후술하는 제2이음부(1500)의 제2슬리브이음장치(1520)에 의해 지지유닛(1100)의 후방내축(1110)과 결속된다. 전방 측 단부는 후술하는 제1이음부(1600)의 제1슬리브이음장치(1620)에 의해 반전회전유닛(1300)의 전방내축(1310)과 결속될 수 있다. 이로써 중앙내축(1210)은 반전회전유닛(1300)의 전방내축(1310)과 더불어, 지지유닛(1100)의 후방내축(1110)과 동작이 구속되어 함께 회전할 수 있으므로, 반전회전유닛(1300)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후방내축(1110)으로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중앙중공축(1220)은 후방내축(1110)과 마찬가지로 선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되, 내부에 중앙내축(1210)이 통과하도록 중공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후방 측 단부는 후술하는 제2이음부(1500)의 제2플랜지이음장치(1510)에 의해 지지유닛(1100)의 후방중공축(1120)과 결속된다. 전방 측 단부는 후술하는 제1이음부(1600)의 제1플랜지이음장치(1610)에 의해 반전회전유닛(1300)의 전방중공축(1320)에 결속될 수 있다.
이로써 중앙중공축(1220)은 반전회전유닛(1300)의 전방중공축(1320)과 더불어, 지지유닛(1100)의 후방중공축(1120)과 동작이 구속되어 함께 회전할 수 있으므로, 반전회전유닛(1300)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후방중공축(1120)으로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2지지베어링(1230)은 중앙중공축(1220)의 중간 부위에 마련되어 중앙중공축(1220)을 선체(10)의 설치공간(1)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2지지베어링(1230)은 선체(10)의 설치공간(1) 저면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231)과, 지지프레임(1231)에 마련되되 중앙중공축(12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중앙중공축(1220)에 가해지는 반경방향 하중을 받도록 마련되는 베어링부(123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부(1232)는 볼 베어링 구조, 레이디얼 베어링 구조 등 다양한 구조에 의해 마련될 수 있다. 베어링부(1232)는 중앙중공축(1220)이 선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됨에 따라 중앙중공축(1220)의 자중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받아줌과 동시에 중앙중공축(1220)의 안정적인 회전을 도모할 수 있다.
제2이음부(1500)는 지지유닛(1100)과 동력연결유닛(1200) 사이에 마련되어, 지지유닛(1100)과 동력연결유닛(1200)을 상호 연결 및 결속시키도록 마련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2이음부(1500)는 후방중공축(1120)과 중앙중공축(1220)을 결속시키는 제2플랜지이음장치(1510) 및 후방내축(1110)과 중앙내축(1210)을 결속시키는 제2슬리브이음장치(1520)를 포함한다.
제2플랜지이음장치(1510)는 후방중공축(1120)에 고정 설치되는 일단플랜지슬리브이음장치(1511)와, 전방 측 단부가 중앙중공축(1220)과 결속되고, 후방 측 단부가 일단플랜지슬리브이음장치(1511)와 결속되는 제2스플릿 중공축(1512)을 포함할 수 있다. 일단플랜지슬리브이음장치(1511)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심부의 결합공이 후방중공축(1120)의 외면에 압입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2스플릿 중공축(1512) 역시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양단에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중앙부가 분할되어 결합하도록 스플릿(Split) 타입의 체결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스플릿 중공축(1512)은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체결플랜지(1512a)가 마련되고, 체결플랜지(1512a)에 복수개의 볼트 체결(1512b)을 통해 제2스플릿 중공축(1512)이 결합될 수 있다. 제2스플릿 중공축(1512)의 후방 측 단부에 마련된 플랜지부는 일단플랜지슬리브이음장치(1511)와 볼트 체결에 의해 결속되고, 전방 측 단부에 마련된 플랜지부는 중앙중공축(1220)의 후방 측 단부에 마련된 플랜지부와 볼트 체결에 의해 결속됨으로써, 후방중공축(1120)과 중앙중공축(1220)이 연결 및 결속될 수 있다. 제2스플릿 중공축(1512)의 내측에는 제2롤러베어링(1160)이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제2슬리브이음장치(1520)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심부의 결합공 일단(후방 측 단부)이 후방내축(1110)의 외면에 고정되고, 타단(전방 측 단부)이 중앙내축(1210)의 외면에 고정되어 후방내축(1110)과 중앙내축(1210)의 연결 및 결합을 구현할 수 있다. 제2슬리브이음장치(1520)의 일단 측 내면과 후방내축(1110)의 외면, 제2슬리브이음장치(1520)의 타단 측 내면과 중앙내축(1210)의 외면은 각각 압입 결합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제2롤러베어링(1160)은 후방중공축(1120)의 전방 측이 후방내축(1110)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후방내축(1110)의 외면과 후방중공축(1120)의 내면 사이 또는 후방내축(1110)의 외면과 후방중공축(1120)의 전방 측 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일단플랜지슬리브이음장치(1511)의 내면 사이에 개재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롤러베어링(1160)은 후방내축(1110)의 외면에 결합되는 내륜과, 내륜의 외측에 설치되는 롤러와, 롤러의 외측이자 후방중공축(1120)의 내면 또는 일단플랜지슬리브이음장치(1511)의 내면에 결합되는 외륜을 포함하는 레이디얼 베어링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롤러베어링(1160)에 의해 후방중공축(1120)의 전방 측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후방중공축(1120) 및 후방내축(1110)에 가해지는 하중을 완화시켜줄 수 있다.
제2롤러베어링(1160)은 제2스플릿 중공축(1512)의 내측에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선박 추진장치(1000)의 운용에 따라 제2롤러베어링(1160)의 유지보수가 빈번히 요구되는 바, 제2롤러베어링(1160)을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제2스플릿 중공축(1512)에 인접하게 배치함으로써, 설비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고, 설비 운용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
반전회전유닛(1300)은 후술하는 동력전달유닛(1400)을 거쳐 전달되는 동력을 동력연결유닛(1200)의 중앙내축(1210) 및 중앙중공축(1220)에 회전을 반전시켜 전달하도록 동력연결유닛(1200)의 전방과 후술하는 동력전달유닛(1400)의 후방 사이에 마련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반전회전유닛(1300)은 후방이 중앙내축(1210)과 연결되는 전방내축(1310)과, 내부에 전방내축(1310)이 통과하도록 전방내축(13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중공축(1320)과, 주축(1410)과 전방내축(1310)을 연결 및 결속시키는 양단플랜지슬리브이음장치(1330)와, 동력전달유닛(1400)의 주축(1410)의 회전을 반전시켜 전방중공축(1320)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박스(1340)와, 주축(1410)으로 전달받은 동력 충격을 완화하여 기어박스(1340)로 동력을 전달하는 탄성이음장치(1350)와, 전방내축(1310)과 전방중공축(1320) 사이에 개재되는 제1롤러베어링(1360)을 포함한다.
전방내축(1310)은 선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되, 후방 측 단부는 후술하는 제1이음부(1600)의 제1슬리브이음장치(1620)에 의해 동력연결유닛(1200)의 중앙내축(1210)과 결속된다. 그리고, 전방 측 단부 외면은 양단플랜지슬리브이음장치(1330)의 내면에 압입 결합에 의해 고정된다. 여기서, 양단플랜지슬리브이음장치(1330)의 전방 측 플랜지부가 동력전달유닛(1400)의 주축(1410)의 후방 측 플랜지부와 볼트 체결됨으로써, 주축(1410)과 결속될 수 있다.
이로써 전방내축(1310)은 동력전달유닛(1400)의 주축(1410)과 더불어, 동력연결유닛(1200)의 중앙내축(1210)과 동작이 구속되어 함께 회전할 수 있으므로, 동력전달유닛(1400)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중앙내축(1210)으로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양단플랜지슬리브이음장치(1330)의 양단에는 플랜지부가 각각 마련되며, 전방 측 플랜지부는 동력전달유닛(1400)의 주축(1410)의 후방 측에 마련되는 플랜지부에 볼트 체결에 의해 결속되고, 후방 측 플랜지부는 후술하는 탄성이음장치(1350)에 볼트 체결에 의해 결속될 수 있다. 또한 양단플랜지슬리브이음장치(1330)의 내면은 전방내축(1310)의 외면에 압입 결합되어 마련됨으로써, 동력전달유닛(1400)의 주축(1410)과 전방내축(1310)을 연결 및 결속시킴과 동시에, 주축(1410)의 동력을 후술하는 탄성이음장치(1350)에 전달할 수 있다.
전방중공축(1320)은 후방내축(1110)과 마찬가지로 선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되, 내부에 전방내축(1310)이 통과하도록 중공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전방중공축(1320)의 후방 측 단부는 후술하는 제1이음부(1600)의 제1플랜지이음장치(1610)에 의해 동력연결유닛(1200)의 중앙중공축(1220)과 결속되고, 전방 측 단부는 후술하는 기어박스(1340)의 반전회전축(1341)에 결속될 수 있다.
이로써 전방중공축(1320)은 기어박스(1340)의 반전회전축(1341)과 더불어, 동력연결유닛(1200)의 중앙중공축(1220)과 동작이 구속되는 바, 기어박스(1340)의 반전회전축(1341)으로부터 전달되는 반전된 회전 동력을 중앙중공축(1220)으로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전방중공축(1320)의 양단에는 플랜지부가 각각 마련되며, 전방 측 플랜지부는 기어박스(1340)의 반전회전축과 볼트 체결에 의해 결속되고, 후방 측 플랜지부는 후술하는 제1이음부(1600)의 제1스플릿 중공축(1612) 플랜지부와 볼트 체결에 의해 결속될 수 있다.
기어박스(1340)는 동력전달유닛(1400)의 주축(1410)으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 회전을 반전시켜 전방중공축(1320)으로 공급한다. 기어박스(1340)는 내축에 전방내축(1310)이 관통하도록 마련되되, 주축(1410)으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의 회전방향을 반대로 반전시키도록 내부에 복수의 기어들을 포함한다. 일 예로, 기어박스(1340)의 내부에는 태양기어, 복수의 유성기어 및 링기어 등이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조에 의해 주축(1410)의 회전방향을 반전시켜 전달하는 구조를 포함한다. 기어박스(1340)에 의해 전방중공축(1320)과 전방내축(1310)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탄성이음장치(1350)는 동력전달유닛(1400)의 주축(1410)으로부터 전달받은 동력 충격을 완화하여 기어박스(1340)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기어박스(1340)의 전방에 마련된다.
탄성이음장치(1350)는 전방내축(1310)의 외면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마련되되, 전방 측 단부가 양단플랜지슬리브이음장치(1330)의 후방 측 플랜지부와 볼트 체결에 의해 결속되고, 후방 측 단부가 기어박스(1340)와 연결되어 양단플랜지슬리브이음장치(1330)를 거쳐 전달받은 주축(1410)의 회전 동력을 기어박스(1340)에 전달하되, 주축(1410)의 동력 충격을 감쇄 또는 완화하여 전달할 수 있다.
제1롤러베어링(1360)은 전방중공축(1320)이 전방내축(1310)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전방내축(1310)과 전방중공축(1320) 사이 개재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제1이음부(1600)는 동력연결유닛(1200)과 반전회전유닛(1300) 사이에 마련되어, 동력연결유닛(1200)과 반전회전유닛(1300)을 상호 연결 및 결속시키도록 마련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이음부(1600)는 중앙중공축(1220)과 전방중공축(1320)을 결속시키는 제1플랜지이음장치(1610) 및 중앙내축(1210)과 전방내축(1310)을 결속시키는 제1슬리브이음장치(1620)를 포함한다.
제1플랜지이음장치(1610)는 전방 측 단부가 전방중공축(1320)과 결속되고 후방 측 단부가 중앙중공축(1220)과 결속되는 제1스플릿 중공축(16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스플릿 중공축(1612)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양단에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중앙부가 분할되어 결합하도록 스플릿(Split) 타입의 체결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스플릿 중공축(1612)은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체결플랜지(1612a)가 마련되고, 체결플랜지(1612a)에 복수개의 볼트 체결(1612b)을 통해 제1스플릿 중공축(1612)이 결합될 수 있다. 제1스플릿 중공축(1612)의 양단에 마련된 플랜지부는 각각 중앙중공축(1220)의 전방 측 단부에 마련되는 플랜지부와 전방중공축(1320)의 후방 측 단부에 마련되는 플랜지부와 볼트 체결에 의해 결속됨으로써, 중앙중공축(1220)과 전방중공축(1320)이 연결 및 결속될 수 있다. 제1스플릿 중공축(1612)의 내측에는 제1롤러베어링(1360)이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제1슬리브이음장치(1620)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심부의 결합공 일단(후방 측 단부)이 중앙내축(1210)의 외면에 고정되고, 타단(전방 측 단부)이 전방내축(1310)의 외면에 고정되어 중앙내축(1210)과 전방내축(1310)의 연결 및 결합을 구현할 수 있다. 제1슬리브이음장치(1620)의 일단과 중앙내축(1210), 제1슬리브이음장치(1620)의 타단과 전방내축(1310)은 각각 압입 결합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제1롤러베어링(1360)은 전방중공축(1320)의 후방 측이 전방내축(1310)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전방내축(1310)의 외면과 전방중공축(1320)의 내면 사이에 개재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롤러베어링(1360)은 전방내축(1310)의 외면에 결합되는 내륜과, 내륜의 외측에 설치되는 롤러와, 롤러의 외측이자 전방중공축(1320)의 내면에 결합되는 외륜을 포함하는 레이디얼 베어링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롤러베어링(1360)에 의해 전방중공축(1320)의 후방 측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전방중공축(1320) 및 전방내축(1310)에 가해지는 하중을 완화시켜줄 수 있다.
제1롤러베어링(1360)은 제1스플릿 중공축(1612)의 내측에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선박 추진장치(1000)의 운용에 따라 제1롤러베어링(1360)의 유지보수가 빈번히 요구되는 바, 제1롤러베어링(1360)을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제1스플릿 중공축(1612)에 인접하게 배치함으로써, 설비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고, 설비 운용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
동력전달유닛(1400)은 동력원(20)으로부터 발생한 동력을 반전회전유닛(1300)으로 전달하도록 반전회전유닛(1300)과 동력원(20) 사이에 마련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동력전달유닛(1400)은 엔진 등의 동력원(20)과 반전회전유닛(1300)의 탄성이음장치(1350)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주축(1410) 및 주축(1410)을 설치공간(1)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지지베어링(1430)을 포함하여 마련된 수 있다.
주축(1410)은 선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되, 전방 측 단부는 엔진 등의 동력원(20)에 마련되는 동력축(21)에 결속되고, 후방 측 단부는 양단플랜지슬리브이음장치(1330)를 통해 반전회전유닛(1300)의 탄성이음장치(1350)와 결속될 수 있다. 주축(1410)의 양단에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각각의 플랜지부는 동력축(21)의 단부에 마련되는 플랜지부와 양단플랜지슬리브이음장치(1330) 전방의 플랜지부에 볼트 체결에 의해 서로 결속될 수 있다. 이로써, 동력축(21) 및 탄성이음장치(1350)와 동작이 구속되어 함께 회전할 수 있으므로 동력축(21)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은 탄성이음장치(1350)로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제1지지베어링(1430)은 중앙중공축(1220)의 중간 부위에 마련되어 주축(1410)을 선체(10)의 설치공간(1)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제1지지베어링(1430)은 선체(10)의 설치공간(1) 저면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431)과, 지지프레임(1431)에 마련되되 주축(14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주축(1410)에 가해지는 반경방향 하중을 받도록 마련되는 베어링부(1432)를 포함한다.
베어링부(1432)는 볼 베어링 구조, 레이디얼 베어링 구조 등 다양한 구조에 의해 마련될 수 있으며, 주축(1410)이 선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됨에 따라 주축(1410)의 자중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받아줌과 동시에 주축(1410)의 안정적인 회전을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선박 추진장치(1000)는 엔진 등의 동력원(20)에 의해 발생한 동력을 선박의 전방프로펠러(11) 및 후방프로펠러(12)로 반전하여 전달하기 위한 각각의 유닛, 구체적으로 동력전달유닛(1400), 반전회전유닛(1300), 동력연결유닛(1200) 및 지지유닛(1100)이 선체(10)의 외부에서 조립 및 제작이 완료되어 모듈화된 후, 선체(10)의 후미에 마련되는 설치공간(1)에 진입하여 설치됨으로써, 선박 추진장치(1000)의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해지고, 제작비용 및 공정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나아가, 각각의 유닛을 모듈화한 후 선체(10)의 설치공간(1)에 설치하므로, 컨테이너 선 등 규모가 매우 큰 선박이나, 선체(10)의 내부 구조가 복잡한 선박 등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기초로 선박 추진장치(1000)의 설치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선체(10) 후미에 마련되는 설치공간(1)에 마련된 후방중공축(1120) 내부로 후방중공축(1120)과 반대되는 회전력을 전달받는 후방내축(1110)을 진입시킨다.
다음으로, 전방프로펠러(11) 및 후방프로펠러(12)를 각각 후방중공축(1120)과 후방내축(1110)에 결합시킨다.
여기서, 전방프로펠러(11)가 후방내축(1110)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후방내축(1110)의 외면과 전방프로펠러(11)의 허브 내면 사이에 베어링조립체(1130)를 개재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베어링조립체(1130)를 개재하는 과정은 후방내축(1110)의 외면에 내측슬리브(1131)를 결합시키고, 내측슬리브(1131)의 외측에 베어링(1132)을 설치하고, 베어링(1132)의 외측에 외측슬리브(1133)를 설치하는 과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중앙내축(1210)과 내부에 중앙내축(1210)이 삽입된 중앙중공축(1220)을 각각 후방내축(1110)과 후방중공축(1120)에 결합시킨다.
여기서, 중앙중공축(1220)을 설치공간(1)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중앙중공축(1220)의 중간 부위에 지지베어링(1230)을 설치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지지베어링(1230)을 설치하는 과정은 설치공간(1) 저면에 지지프레임(1231)을 설치하고, 중앙중공축(12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중앙중공축(1220)에 가해지는 반경방향 하중을 받도록 지지프레임(1231)에 베어링부(1232)를 설치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양단에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중앙부가 분할되어 결합하는 제2스플릿 중공축(1512)에 의해 후방중공축(1120)과 중앙중공축(1220)을 결속시키되, 제2스플릿 중공축(1512)의 후방 측 단부에 마련된 플랜지부를 후방중공축(1120)에 고정 설치되는 일단플랜지슬리브이음장치(1511)에 볼트 체결에 의해 결속시키고, 제2스플릿 중공축(1512)의 전방 측 단부에 마련된 플랜지부를 중앙중공축(1220)의 후방 측 단부에 마련된 플랜지부에 볼트 체결에 의해 결속시키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또, 중앙중공축(1220)을 후방중공축(1120)에 결합시키기 이전에, 후방내축(1110)과 후방중공축(1120) 사이 또는 후방내축(1110)과 일단플랜지슬리브이음장치(1511) 사이에 제2스플릿 중공축(1512)의 내측에 인접하게 제2롤러베어링(1160)을 설치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전방중공축(1320)의 전방 측 단부를 기어박스(1340)에 결합시킨다. 여기서, 기어박스(1340)는 전방내축(1310)과 전방중공축(1320)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주축(1410)의 회전을 반전시켜 전방중공축(1320)으로 동력을 전달한다.
다음으로, 기어박스(1340) 및 전방중공축(1320)의 내측을 관통하여 삽입된 전방내축(1310)의 후방 측 단부를 중앙내축(1210)에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전방중공축(1320)의 후방 측 단부를 중앙중공축(1220)에 결합시킨다.
여기서, 양단에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중앙부가 분할되어 결합하는 제1스플릿 중공축(1612)에 의해 중앙중공축(1220)과 전방중공축(1320)을 결속시키되, 제1스플릿 중공축(1612)의 양단에 마련된 플랜지부를 각각 중앙중공축(1220)의 전방 측 단부에 마련된 플랜지부 및 전방중공축(1320)의 후방 측 단부에 마련된 플랜지부에 볼트 체결에 의해 결속시키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또, 전방중공축(1320)을 중앙중공축(1220)에 결합시키기 이전에, 전방내축(1310)과 전방중공축(1320) 사이에 제1스플릿 중공축(1612)의 내측에 인접하게 제1롤러베어링(1360)을 설치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동력원(20)의 동력축(21)과 결속된 주축(1410)을 전방내축(1310)의 전방 측 단부와 결합시킨다.
여기서, 주축(1410)과 주축(1410)으로 전달받은 동력 충격을 완화하여 기어박스(1340)로 동력을 전달하는 탄성이음장치(1350)를 연결 및 결속시키기 위해, 양단플랜지슬리브이음장치(1330)의 전방 측 플랜지부를 주축(1410)의 후방 측에 마련된 플랜지부에 볼트 체결에 의해 결속시키고, 양단플랜지슬리브이음장치(1330)의 후방 측 플랜지부를 탄성이음장치(1350)에 볼트 체결에 의해 결속시키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선체 11: 전방프로펠러
12: 후방프로펠러 1000: 선박 추진장치
1100: 지지유닛 1110: 후방내축
1120: 후방중공축 1200: 동력연결유닛
1210: 중앙내축 1220: 중앙중공축
1300: 반전회전유닛 1310: 전방내축
1320: 전방중공축 1330: 양단플랜지슬리브이음장치
1340: 기어박스 1350: 탄성이음장치
1400: 동력전달유닛 1410: 주축
1500: 제2이음부 1510: 제2플랜지이음장치
1511: 일단플랜지슬리브이음장치 1512: 제2스플릿 중공축
1520: 제2슬리브이음장치 1600: 제1이음부
1610: 제1플랜지이음장치 1612: 제1스플릿 중공축
1620: 제1슬리브이음장치

Claims (8)

  1.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전방프로펠러 및 후방프로펠러를 포함하고, 선체를 추진시키기 위한 추진력을 제공하는 선박 추진장치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선체 후미에 마련되는 설치공간에 마련된 후방중공축 내부로 상기 후방중공축과 반대되는 회전력을 전달받는 후방내축을 진입시키는 단계;
    상기 전방프로펠러 및 상기 후방프로펠러를 각각 상기 후방중공축과 상기 후방내축에 결합시키는 단계;
    중앙내축과 내부에 상기 중앙내축이 삽입된 중앙중공축을 각각 상기 후방내축과 상기 후방중공축에 결합시키는 단계;
    전방중공축의 전방 측 단부를 기어박스에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기어박스 및 상기 전방중공축의 내측을 관통하여 삽입된 전방내축의 후방 측 단부를 상기 중앙내축에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전방중공축의 후방 측 단부를 상기 중앙중공축에 결합시키는 단계; 및
    동력원의 동력축과 결속된 주축을 상기 전방내축의 전방 측 단부와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중앙중공축을 상기 설치공간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중앙중공축의 중간 부위에 지지베어링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베어링을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설치공간 저면에 지지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중앙중공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중앙중공축에 가해지는 반경방향 하중을 받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베어링부를 설치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기어박스는 상기 전방내축과 상기 전방중공축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주축의 회전을 반전시켜 상기 전방중공축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선박 추진장치의 설치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프로펠러가 상기 후방내축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상기 후방내축의 외면과 상기 전방프로펠러의 허브 내면 사이에 베어링조립체를 개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베어링조립체를 개재하는 단계는
    상기 후방내축의 외면에 내측슬리브를 결합시키고,
    상기 내측슬리브의 외측에 베어링을 설치하고,
    상기 베어링의 외측에 외측슬리브를 설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선박 추진장치의 설치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70082875A 2017-06-29 2017-06-29 선박 추진장치의 설치방법 KR102260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875A KR102260247B1 (ko) 2017-06-29 2017-06-29 선박 추진장치의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875A KR102260247B1 (ko) 2017-06-29 2017-06-29 선박 추진장치의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797A KR20190002797A (ko) 2019-01-09
KR102260247B1 true KR102260247B1 (ko) 2021-06-04

Family

ID=65017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2875A KR102260247B1 (ko) 2017-06-29 2017-06-29 선박 추진장치의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02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4617A (zh) * 2019-06-27 2019-09-20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整体式长艉管的进轴工装及进轴方法
CN110789686B (zh) * 2019-11-29 2020-09-11 江南造船(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船舶轴系安装方法
CN113148053A (zh) * 2021-03-18 2021-07-23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大型造船厂轴系校中的体验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845Y1 (ko) * 2003-06-10 2003-08-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이중반전 프로펠러의 축계장치 취부구조
KR101732583B1 (ko) * 2015-11-10 2017-05-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추진장치 및 그 설치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1797U (ko) * 1986-11-18 1988-05-30
KR950011594B1 (ko) 1992-10-02 1995-10-06 삼성중공업주식회사 선박용 이중반전 프로펠러의 내측선미관실의 오일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845Y1 (ko) * 2003-06-10 2003-08-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이중반전 프로펠러의 축계장치 취부구조
KR101732583B1 (ko) * 2015-11-10 2017-05-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추진장치 및 그 설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797A (ko) 2019-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89786A1 (en) Counter-Rotating Integrated Propeller Assembly
KR102260247B1 (ko) 선박 추진장치의 설치방법
EP2722270A1 (en) Propulsion device for ship and ship having same
KR101606242B1 (ko) 선박용 추진장치
KR102334533B1 (ko) 선박 추진장치
KR102260251B1 (ko) 선박 추진장치
KR102220419B1 (ko) 선박 추진장치
KR102467832B1 (ko) 선박 추진장치
US9017119B2 (en) Ship propulsion device and ship having the same
KR101617027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101652224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101601471B1 (ko) 선박용 추진장치
KR101444330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US20140248153A1 (en) Propulsion device for ship and ship having the same
KR101444341B1 (ko) 선박 프로펠러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로펠러의 설치방법
KR101236760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20120138508A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20120108546A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600700B1 (ko) 선박용 추진장치
KR101510964B1 (ko) 선박용 추진장치
KR101454615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20160046034A (ko) 선박용 추진장치
KR101487666B1 (ko) 선박의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101510967B1 (ko) 선박용 추진장치
KR101236762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