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0138B1 - 광섬유 프로브 - Google Patents

광섬유 프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0138B1
KR102260138B1 KR1020190081593A KR20190081593A KR102260138B1 KR 102260138 B1 KR102260138 B1 KR 102260138B1 KR 1020190081593 A KR1020190081593 A KR 1020190081593A KR 20190081593 A KR20190081593 A KR 20190081593A KR 102260138 B1 KR102260138 B1 KR 102260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axis
axis direction
housing
frequency s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1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4733A (ko
Inventor
박준호
윤덕환
조윤석
Original Assignee
그린스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스펙(주) filed Critical 그린스펙(주)
Priority to KR1020190081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0138B1/ko
Publication of KR20210004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4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6/122Basic optical elements, e.g. light-guiding path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ndoscopes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Abstrac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 신호를 수신하며 일측의 일단부(101)가 자유단인 광섬유(100)와, 상기 광섬유(100)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광섬유(100)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구동부(200) 및 상기 광섬유(100)와 구동부(200)를 감싸며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광섬유 프로브(Probe)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광섬유(100)가 관통되어 물리적으로 고정 결합된 광섬유 고정부(210)와, 상기 광섬유 고정부(210)의 일측에 구비되어 결합되고,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변형되는 튜브 형상의 피에조 액추에이터(220)와, 상기 피에조 액추에이터(220) 내에 구비되어 상기 광섬유 고정부(210)와 결합되는 주파수 분리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주파수 분리부(230)에는 상기 광섬유(100)를 감싸면서 이격되도록 형성된 주파수 분리홀(23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프로브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광섬유 프로브{Optical Fiber Probe}
본 발명은 광섬유 프로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파수 분리홀이 형성된 주파수 분리부를 구비함으로써 주파수를 분리하여 균일한 영상정보의 취득 및 균일한 빛 조사가 가능하여 효율적인 스캐닝이 가능한 광섬유 프로브에 관한 것이다.
광섬유 프로브란, 광섬유를 사용하여 외부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장비로서, 촬영대상에 접근 및 조작이 용이하여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된다.
특히, 장비의 소형화가 용이하여, 의료용 프로브 및 내시경의 스캐너로 그 활용도가 높다.
이러한, 광섬유 프로브는, 일반적으로, 광섬유의 일단에 광섬유를 진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광섬유의 타단에 빔을 집속시키는 렌즈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구동수단은, 마이크로 모터, 압전소자, CMOS-MEMS 미러, MEMS 미러와 같은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국내 등록특허 10-1583277호는, MEMS 기반의 주파수 분리기를 이용한 광섬유 스캐닝 프로브에 관한 것으로 스캐너 자체의 비대칭성을 통한 공진주파수의 변조를 이용해 공진주파수 변조를 위한 추가적인 구조물 없이 하나의 입력 신호로 2차원 구동을 구현 할 수 있는 2차원 광학 스캐닝을 위한 스캐너를 제공하는 구성이 개시된다.
도 1을 통해 설명하면 국내 등록특허 10-1583277호는, 제1고정부(50)와 고정블록(51)의 상측에 절연층(52)이 형성되고, 절연층(52)의 상측에 구동 암의 일단이 고정된다. 즉, 구동 암들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1고정부(50)는 구동 암들의 일단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고정블록(51)의 상측에 절연층(52)이 형성되고 절연층(52)의 상측에 구동 암의 일단이 고정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위의 종래 기술에 의하면 광섬유 끝단을 MEMS 타입의 판형 Cantilever를 통해 진동시켜 스캐닝하고, 비대칭 형상의 MEMS Cantilever가 두 축방향으로 광섬유의 공진주파수를 분리시킬 수 있으며 Cantilever의 Stiffness를 조절하여 두 주파수의 차이를 조절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1은 MEMS 방식은 제품의 소형화에 한계가 있으며, MEMS 공정으로 추가 mass를 만드는 과정이 복잡하여 비용 효율 측면에서도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미국특허 US2008/0249369A1(2008. 10. 9 공개)에 의하면 광섬유 끝단을 PZT 타입의 튜브 액추에이터(225)를 통해 진동시켜 스캐닝 하는 프루브(245)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는 튜브 액추에이터와 광섬유의 부착부가 튜브 액추에이터의 고정점보다 더 뒤에 위치하는 인버터 구조이다.
즉 미국특허 US2008/0249369A1은 도 2를 통해 설명하면, 스캐너인 광섬유의 일부분이 튜브 액추에이터에 의해 감싸지는 구조로서 전체 길이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프로브의 위치를 다양한 형태로 제어하는 구성이 결여됨에 따라 프로브의 위치를 제어하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8327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8-013429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8-003481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931751호 미국특허 등록번호 US.07583872(2009.09.01 등록) 미국특허 출원번호 US.12088057(2013.09.17 등록) 미국특허 출원번호 US.10880008(2009.11.10 등록) 미국특허 출원번호 US.09994377(2005.02.15 등록) 일본특허 출원번호 JP.23011370(2012.08.16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파수 분리홀이 형성된 주파수 분리부를 피에조 액추에이터 내에 구비함으로써 x축과 y축 방향의 공진주파수를 분리시킬 수 있으며, 하우징의 전장 길이를 줄임으로써 제품의 초소형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또한 상기 주파수 분리부에 의해 균일한 영상 정보를 취득하고, 원하고자 하는 영역에 균일한 광량 조사가 가능한 광섬유 프로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 신호를 수신하며 일측의 일단부(101)가 자유단인 광섬유(100)와, 상기 광섬유(100)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광섬유(100)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구동부(200) 및 상기 광섬유(100)와 구동부(200)를 감싸며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광섬유 프로브(Probe)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광섬유(100)가 관통되어 물리적으로 고정 결합된 광섬유 고정부(210)와, 상기 광섬유 고정부(210)의 일측에 구비되어 결합되고,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변형되는 튜브 형상의 피에조 액추에이터(220)와, 상기 피에조 액추에이터(220) 내에 구비되어 상기 광섬유 고정부(210)와 결합되는 주파수 분리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주파수 분리부(230)에는 상기 광섬유(100)를 감싸면서 이격되도록 형성된 주파수 분리홀(23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프로브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피에조 액추에이터(220)의 중심축을 z축이라 하고, 상기 z축과 수직을 이루는 가로축을 x축 및 세로축을 y축 이라 할 때, 상기 주파수 분리부(230)의 주파수 분리홀(231)은 y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홀 형상으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광섬유(100)는 상기 x축, y축 방향에서 서로 다른 벤딩 포인트(Bending point)를 형성함으로써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프로브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피에조 액추에이터(220)의 z축 방향의 길이를 L 이라하고, 상기 주파수 분리부(230)의 z축 방향의 길이를 L1 이라 하며, 상기 광섬유 고정부(210)에서 상기 광섬유(100)의 자유단까지의 길이를 L2라고 할 때, 상기 피에조 액추에이터(220)의 거동에 의해 상기 광섬유(100)가 y축 방향으로 휘어져 변형이 이루어지는 길이는 L2 이고, 상기 광섬유(100)가 x축 방향으로 휘어져 변형이 이루어지는 길이는 L2-L1 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주파수 분리부(230) 일측 단부와 상기 광섬유(100)가 접하는 지점에 상기 광섬유(100)가 x축 방향으로 휘어져 변형이 이루어지는 제1벤딩 포인트(P1)가 형성되고, 상기 광섬유 고정부(210)와 광섬유(100)가 접하는 지점에서 상기 광섬유(100)가 y축 방향으로 휘어지는 제2벤딩 포인트(P2)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300)은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단면의 직경이 점차 증가하는 원뿔형상의 리어 하우징(310)과, 상기 리어 하우징(3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원통 형상의 미들 하우징(320)과, 상기 미들 하우징(320)의 일측에 결합되는 원통 형상의 프론트 하우징(3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프론트 하우징(330)의 일측 내부공간(V)에는 렌즈(500)가 실장된다.
한편, 상기 광섬유(100)는 더블 클래드 광섬유(DCF; Double Clad Fiber)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에조 액추에이터(220)의 일측 단부는 상기 하우징(300) 내면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액추에이터 결합부(R)에 물리적으로 고정 결합된다.
또한, 상기 광섬유 고정부(210)와 주파수 분리부(230)는 일체형이거나 분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섬유 고정부(210)는 상기 피에조 액추에이터(220)와 주파수 분리부(230)가 결합되는 플레이트부(211)와, 상기 플레이트부(211)의 타측 z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원추 형상을 이루는 원추부(212)와, 상기 플레이트부(211)와 원추부(212)를 관통하여 상기 광섬유(100)가 구비되는 광섬유 결합홈(2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주파수 분리홀이 형성된 주파수 분리부를 피에조 액추에이터 내에 삽입하여 스캐닝 하되, 상기 광섬유의 x축, y축 방향의 길이를 다르게 조절함으로써 광섬유의 x과 y축 방향의 공진주파수를 분리하여 광섬유의 거동을 폭넓게 구현 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비대칭 질량을 가진 주파수 분리기를 이용한 광섬유 스캐닝 프로브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광섬유 스캐닝 프로브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광섬유 프로브의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광섬유 프로브의 결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도 5는 본 발명의 광섬유의 x축 방향으로의 거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도 6은 본 발명의 광섬유의 y축 방향으로의 거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도 7은 본 발명의 주파수 분리부의 결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의 광섬유 프로브의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광섬유 프로브의 결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도 5는 본 발명의 광섬유의 x축 방향으로의 거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도 6은 본 발명의 광섬유의 y축 방향으로의 거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도 7은 본 발명의 주파수 분리부의 결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프로브(10)는, 광 신호를 수신하며 일측의 일단부(101)가 자유단인 광섬유(100)와, 상기 광섬유(100)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광섬유(100)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구동부(200) 및 상기 광섬유(100)와 구동부(200)를 감싸며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광섬유 프로브(10)는 신체 내부를 촬영하여 측정 대상체의 표면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촬영부가 마련된 내시경 장치(미도시)에 설치될 수 있으며, 위장 내시경, 대장 내시경 등과 같이 신체 내부를 촬영하는 다양한 내시경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상기 광섬유(100)는 더블 클래드 광섬유(DCF; Double Clad Fiber)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광섬유(100)는 코어와, 이너 클래드와, 아우터 클래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더블 클래드 광섬유의 구조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광섬유(100)가 관통되어 물리적으로 고정 결합된 광섬유 고정부(210)와, 상기 광섬유 고정부(210)의 일측에 구비되어 결합되고,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변형되는 튜브 형상의 피에조 액추에이터(220)와, 상기 피에조 액추에이터(220) 내에 구비되어 상기 광섬유 고정부(210)와 결합되는 주파수 분리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주파수 분리부(230)에는 상기 광섬유(100)를 감싸면서 이격되도록 형성된 주파수 분리홀(23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섬유 고정부(210)는, 상기 피에조 액추에이터(220)와 주파수 분리부(230)가 결합되는 플레이트부(211)와, 상기 플레이트부(211)의 타측 z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원추 형상을 이루는 원추부(212)와, 상기 플레이트부(211)와 원추부(212)를 관통하여 상기 광섬유(100)가 구비되는 광섬유 결합홈(2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피에조 액추에이터(220)의 일측 단부는 상기 하우징(300) 내면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액추에이터 결합부(R)에 물리적으로 고정 결합된다.
또한, 상기 광섬유 고정부(210)와 주파수 분리부(230)는 일체형이거나 분리형으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에조 액추에이터(220)의 중심축을 z축이라 하고, 상기 z축과 수직을 이루는 가로축을 x축 및 세로축을 y축 이라 할 때, 상기 주파수 분리부(230)의 주파수 분리홀(231)은 y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홀 형상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주파수 분리홀(231)은 상기 z축과 동축이면서, 대칭으로 장홀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광섬유(100)는 상기 x축, y축 방향에서 서로 다른 벤딩 포인트(Bending point)를 형성함으로써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에조 액추에이터(220)의 z축 방향의 길이를 L 이라하고, 상기 주파수 분리부(230)의 z축 방향의 길이를 L1 이라 하며, 상기 광섬유 고정부(210)에서 상기 광섬유(100)의 자유단까지의 길이를 L2라고 할 때, 상기 피에조 액추에이터(220)의 거동에 의해 상기 광섬유(100)가 y축 방향으로 휘어져 변형이 이루어지는 길이는 L2 이고, 상기 광섬유(100)가 x축 방향으로 휘어져 변형이 이루어지는 길이는 L2-L1 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광섬유(100)는 x축, y축 방향이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프로브(10)는 L1 < L < L2 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광섬유(100)는 상기 주파수 분리부(230) 일측 단부와 상기 광섬유(100)가 접하는 지점에 상기 광섬유(100)가 x축 방향으로 휘어져 변형이 이루어지는 제1벤딩 포인트(P1)가 형성되고, 상기 광섬유 고정부(210)와 광섬유(100)가 접하는 지점에서 상기 광섬유(100)가 y축 방향으로 휘어지는 제2벤딩 포인트(P2)가 형성된다.
즉, 상기 주파수 분리홀(231)이 형성된 주파수 분리부(230)를 피에조 액추에이터(220) 내에 삽입하여 설치함으로써 상기 광섬유(100)의 x축, y축 방향의 길이를 다르게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광섬유(100)의 x축과 y축 방향의 공진주파수를 분리하여 광섬유의 거동을 폭넓게 구현 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300)은,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단면의 직경이 점차 증가하는 원뿔형상의 리어 하우징(310)과, 상기 리어 하우징(3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원통 형상의 미들 하우징(320)과, 상기 미들 하우징(320)의 일측에 결합되는 원통 형상의 프론트 하우징(3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리어 하우징(310)은 리어 하우징(310)의 일단부 외측면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돌출 된 제1 결합부(31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결합부(311)의 내경은 상기 리어 하우징(310)의 내경과 일치하고, 상기 미들 하우징(320)은 미들 하우징(320)의 타단부 외측면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돌출 된 제2 결합부(32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 결합부(321)의 외경은 상기 미들 하우징(320)의 외경과 일치하며, 상기 제1 결합부(311)의 외경이 상기 제2결합부(321)의 내경과 일치함에 따라 제1결합부(311)가 상기 제2결합부(321)와 끼움 결합된다.
또한, 상기 미들 하우징(320)은 미들 하우징(320)의 일단부 외측면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돌출 된 제3 결합부(32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3 결합부(322)의 내경은 상기 미들 하우징(320)의 내경과 일치하고, 상기 프론트 하우징(330)은 프론트 하우징(330)의 타단부 외측면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돌출 된 제4 결합부(33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4 결합부(331)의 외경은 상기 프론트 하우징(330)의 외경과 일치하며, 상기 제3 결합부(322)의 외경이 상기 제4 결합부(331)의 내경과 일치함에 따라 제3 결합부(322)가 상기 제4 결합부(331)와 끼움 결합된다.
또한, 상기 프론트 하우징(330)의 일측 내부공간(V)에는 렌즈(500)가 실장되어 상기 광섬유(100)의 일단부(101)에서 나온 광을 집광시켜 소정의 영역에 초점이 맺히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 : 프로브 100 : 광섬유 200 : 구동부
210 : 광섬유 고정부 220 : 피에조 액추에이터
230 : 주파수 분리부 231 : 주파수 분리홀 300 : 하우징
310 : 리어 하우징 320 : 미들 하우징
330 : 프론트 하우징 500 : 렌즈

Claims (7)

  1. 광 신호를 수신하며 일측의 일단부(101)가 자유단인 광섬유(100)와, 상기 광섬유(100)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광섬유(100)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구동부(200) 및 상기 광섬유(100)와 구동부(200)를 감싸며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광섬유 프로브(Probe)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광섬유(100)가 관통되어 물리적으로 고정 결합된 광섬유 고정부(210)와,
    상기 광섬유 고정부(210)의 일측에 구비되어 결합되고,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변형되는 튜브 형상의 피에조 액추에이터(220)와,
    상기 피에조 액추에이터(220) 내에 구비되어 상기 광섬유 고정부(210)와 결합되는 주파수 분리부(230)를 포함하며,
    상기 주파수 분리부(230)에는 상기 광섬유(100)를 감싸면서 이격되도록 형성된 주파수 분리홀(231)이 구비되고
    상기 피에조 액추에이터(220)의 중심축을 z축, 상기 z축과 수직을 이루는 가로축을 x축 및 세로축을 y축 이라 할 때, 상기 주파수 분리부(230)의 주파수 분리홀(231)의 중심축은 z축과 동축이면서, y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홀 형상으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주파수 분리부(230) 일측 단부와 상기 광섬유(100)가 접하는 지점에 상기 광섬유(100)가 x축 방향으로 휘어져 변형이 이루어지는 제1벤딩 포인트(P1)가 형성되고,
    상기 광섬유 고정부(210)와 광섬유(100)가 접하는 지점에서 상기 광섬유(100)가 y축 방향으로 휘어지는 제2벤딩 포인트(P2)가 형성되어 상기 광섬유(100)는 상기 x축방향과 y축 방향에서 서로 다른 벤딩 포인트(Bending point)가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광섬유(100)의 x축방향과 y방향의 길이가 다르게 조절되어 x축과 y축이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를 갖되
    상기 피에조 액추에이터(220)의 z축 방향의 길이를 L 이라하고, 상기 주파수 분리부(230)의 z축 방향의 길이를 L1 이라 하며, 상기 광섬유 고정부(210)에서 상기 광섬유(100)의 자유단까지의 길이를 L2라고 할 때,
    상기 피에조 액추에이터(220)의 거동에 의해 상기 광섬유(100)가 y축 방향으로 휘어져 변형이 이루어지는 길이는 L2 이고,
    상기 광섬유(100)가 x축 방향으로 휘어져 변형이 이루어지는 길이는 L2-L1 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광섬유(100)는 x축, y축 방향이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프로브.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00)은,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단면의 직경이 점차 증가하는 원뿔형상의 리어 하우징(310)과,
    상기 리어 하우징(3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원통 형상의 미들 하우징(320)과,
    상기 미들 하우징(320)의 일측에 결합되는 원통 형상의 프론트 하우징(3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프로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하우징(310)은 리어 하우징(310)의 일단부 외측면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돌출 된 제1 결합부(311)가 구비되되,
    상기 제1 결합부(311)의 내경은 상기 리어 하우징(310)의 내경과 일치하고, 상기 미들 하우징(320)은 미들 하우징(320)의 타단부 외측면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돌출 된 제2 결합부(321)가 구비되며,
    상기 제2 결합부(321)의 외경은 상기 미들 하우징(320)의 외경과 일치하고, 상기 제1 결합부(311)의 외경이 상기 제2결합부(321)의 내경과 일치함에 따라 제1결합부(311)가 상기 제2결합부(321)와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프로브.











KR1020190081593A 2019-07-05 2019-07-05 광섬유 프로브 KR102260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593A KR102260138B1 (ko) 2019-07-05 2019-07-05 광섬유 프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593A KR102260138B1 (ko) 2019-07-05 2019-07-05 광섬유 프로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733A KR20210004733A (ko) 2021-01-13
KR102260138B1 true KR102260138B1 (ko) 2021-06-03

Family

ID=74142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593A KR102260138B1 (ko) 2019-07-05 2019-07-05 광섬유 프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013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6922A (ja) 2006-09-14 2008-05-22 Optiscan Pty Ltd 光ファイバ走査装置
KR101583277B1 (ko) 2014-08-25 2016-01-08 한국과학기술원 2차원 광학 스캐닝을 위한 스캐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채용한 의료 영상 기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83872B2 (en) 2007-04-05 2009-09-01 University Of Washington Compact scanning fiber device
US20120088057A1 (en) 2010-10-07 2012-04-12 Randy Meirowitz Clothing product to reduce hypothermia
US9415916B2 (en) 2012-10-01 2016-08-16 Berwick Offray Llc Gift card packaging and associated methods
KR102067759B1 (ko) * 2013-02-15 2020-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이버 스캐닝 프로젝터
KR102146558B1 (ko) * 2013-11-06 2020-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이버 스캐닝 광 프로브 및 이를 구비한 의료 영상 기기
KR101587520B1 (ko) * 2014-03-13 2016-01-22 한국과학기술원 공진 주파수 변조 수단을 포함하는 광섬유 스캐너
KR101931751B1 (ko) 2016-09-07 2018-12-24 주시회사 현주인테크 비침습적 방법에 의하여 복수의 동시 영상화가 가능한 검이경
KR101935970B1 (ko) 2016-09-28 2019-01-08 주식회사 현주인테크 삼차원 공초점 스캐닝 니들 프로브
US10187149B2 (en) 2017-05-05 2019-01-22 Cisco Technology, Inc. Downstream node setup
KR102125226B1 (ko) 2017-06-08 2020-06-2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섬유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
KR102224891B1 (ko) * 2018-11-29 2021-03-09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파이버 스캐닝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6922A (ja) 2006-09-14 2008-05-22 Optiscan Pty Ltd 光ファイバ走査装置
KR101583277B1 (ko) 2014-08-25 2016-01-08 한국과학기술원 2차원 광학 스캐닝을 위한 스캐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채용한 의료 영상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733A (ko) 202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35061B2 (ja) コンパクトな走査型ファイバ・デバイス
US9835852B2 (en) Scanner for two-dimensional optical scanning,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edical imag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5883683B2 (ja) 光走査型内視鏡
EP1142529A1 (en) Optical scanning probe system
CN102196764B (zh) 光学扫描探针组件
JP2008116922A (ja) 光ファイバ走査装置
WO2016075738A1 (ja) 光ファイバスキャナ、照明装置および観察装置
US20160377857A1 (en) Optical fiber scanner, illumination apparatus, and observation apparatus
KR102224891B1 (ko) 파이버 스캐닝 시스템
KR102260138B1 (ko) 광섬유 프로브
WO2016075777A1 (ja) 光ファイバスキャナ、照明装置および観察装置
CN113900247A (zh) 内窥镜
JP2015139537A (ja) 光走査型内視鏡
JP2008122465A (ja) レンズ駆動装置及び撮像装置
US20180252910A1 (en) Optical fiber scanner, illumination device, and observation device
JP2003315239A (ja) Spm用スキャナ
KR101346351B1 (ko) 광섬유 캔틸레버를 이용한 광학 스캔장치
WO2016189627A1 (ja) 光ファイバスキャナ、照明装置および観察装置
JP6006127B2 (ja) 光走査装置
JP5114715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及びカメラ付き携帯電話
JP7146056B2 (ja) 内視鏡
JP2015128548A (ja) 光走査型内視鏡
KR20120129361A (ko) 단일 솔레노이드로 구성된 자기 구동수단을 이용한 2차원 스캔이 가능한 광섬유 프로브
JP2011098168A (ja) 共焦点内視鏡装置、及び共焦点内視鏡システム
WO2020008589A1 (ja) 光学ユニット及び内視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