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9772B1 - Trommel screen - Google Patents

Trommel scre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9772B1
KR102259772B1 KR1020190095462A KR20190095462A KR102259772B1 KR 102259772 B1 KR102259772 B1 KR 102259772B1 KR 1020190095462 A KR1020190095462 A KR 1020190095462A KR 20190095462 A KR20190095462 A KR 20190095462A KR 102259772 B1 KR102259772 B1 KR 102259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perforated
baffle
external
organic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4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16961A (en
Inventor
나민수
Original Assignee
나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민수 filed Critical 나민수
Priority to KR1020190095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9772B1/en
Publication of KR20210016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69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7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07B1/24Revolving drums with fixed or moving interior agit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4609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ing surfaces or meshe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성폐기물 등을 건조 처리한 후에 이중 타공망 드럼을 이용한 선별방식으로 건조 유기성폐기물 등을 입도에 따라 분류하는 트롬멜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기성폐기물의 건조 처리 후에 이중 타공망 드럼을 이용하여 건조 유기성폐기물 속에 포함되어 있는 굵은 입자의 건조 유기성폐기물은 물론 가는 입자의 건조 유기성폐기물을 입도에 따라 단계별로 분류할 수 있는 한편, 특히 내부 타공망 드럼과 외부 타공망 드럼에 건조 유기성폐기물을 타격함과 더불어 이송시키는 역할의 베플을 설치한 새로운 형태의 트롬멜 선별기를 구현함으로써, 일일 처리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고, 설비의 내구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 및 보수 등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으며,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한편, 베플의 타격에 의한 마찰 운동을 유도하여 선별 효율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트롬멜 선별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ommel sorting machine that sorts organic wastes and the like according to particle size by a sorting method using a double perforated net drum after drying them.
The present invention can classify the dry organic waste of coarse particles as well as the dry organic waste of fine particles contained in the dried organic waste by using a double perforated drum after the drying treatment of the organic waste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By implementing a new type of trommel sorter equipped with a baffle that serves to blow and transport dry organic waste on the perforated drum and external perforated drum,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aily processing capacity and extend the durability of the equipment. It provides a trommel sorter that can be operated efficiently, such as maintenance and repair, and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dry organic waste sorting operation, while inducing frictional motion caused by the blow of the baffle to further improve the sorting efficiency. do.

Figure R1020190095462
Figure R1020190095462

Description

트롬멜 선별기{Trommel screen}Trommel screen

본 발명은 트롬멜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기성폐기물 등을 건조 처리한 후에 이중 타공망 드럼을 이용한 선별방식으로 건조 유기성폐기물 등을 입도에 따라 분류하는 트롬멜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ommel sor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ommel sorter that sorts organic wastes and the like according to particle size by a sorting method using a double perforated mesh drum after drying them.

일반적으로 산업 현장에서 발생되는 각종 일반쓰레기 및 매립쓰레기의 일부는 소각하고, 그 나머지는 대부분 땅에 전량 매립하게 된다.In general, some of the general waste and landfill waste generated at industrial sites are incinerated, and the rest is mostly landfilled.

하지만, 쓰레기의 매립은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하였으며,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쓰레기를 매립할 수 있는 매립지도 거의 포화상태에 이르렀고, 쓰레기의 매립으로 인해 썩거나 분해되지 않은 채 거의 영구적인 공해물질로 남아 있어 자연환경을 파괴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However, landfilling of waste has not been a fundamental solution, and landfills that can fill the continuously increasing number of wastes are almost saturated, and due to landfilling, they remain almost permanent pollutants without rotting or decomposing. It is the cause of destruc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또한, 지금까지는 가정 및 산업 현장에서 발생되어 반입되는 폐기물을 종류에 따라 생활폐기물, 건축폐기물, 유기성폐기물 및 가내폐기물 등으로 구분하지 않고, 소각 및 매립하게 됨으로서, 폐기물에 포함된 악취, 침출수, 먼지 등의 오염물질에 의해 매립장 주변에 환경이 오염되는 현상도 발생하게 된다. In addition, until now, wastes generated from households and industrial sites have not been classified into household waste, building waste, organic waste, and domestic waste according to the type, but are incinerated and landfilled, so the odor, leachate, and dust contained in the waste have been incinerated and landfilled. The environment around the landfill site is also polluted by pollutants such as other pollutants.

일 예로서, 현재 가정에서 배출하는 전체 쓰레기양의 30∼40% 정도가 음식물 쓰레기이다. As an example, about 30 to 40% of the total amount of waste currently discharged from households is food waste.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해서 기존에는 지하 매립, 해양 투기, 또는 소각의 방법으로 처리하였다.In order to dispose of such food waste, conventional methods such as landfilling, dumping at sea, or incineration have been used.

그러나, 지하 매립 시에는 매립부지 확보 문제와 매립 시의 침출수에 의한 토양오염 및 지하수 오염이 발생하고, 해양 투기시에는 물고기의 떼죽음과 적조현상 및 해양오염이 발생하며, 소각 시에는 악취와 분진으로 인한 심각한 대기오염 유발이 발생하여 생활터전과 자연환경이 크게 위협받고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underground reclamation, there is a problem of securing a landfill site, and soil and groundwater contamination by leachate during reclamation occurs. When dumping in the sea, swarms of fish die, red tides, and marine pollution occur. When incinerated, odor and dust occur. As a result, serious air pollution has occurred, which greatly threatens the living environment and the natural environment.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가공 처리하여 사료나 비료로 재활용하는 공정이 많이 개발되어 왔는 바, 종래에 음식물 쓰레기 처리공정은 가정과 음식점 등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한 후,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잘게 파쇄 및 분쇄한 다음 상온에서 건조, 발효시키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many processes of processing food waste and recycling it as feed or fertilizer have been developed. In the related art, the food waste treatment process collects food waste from homes and restaurants, and then collects foreign substances from the collected food waste. Removed, crushed and pulverized, then dried and fermented at room temperature are widely used.

보통 음식물 쓰레기 등과 같은 유기성폐기물을 건조한 후, 가축용 사료나 농작물의 퇴비로 재활용하는 경우에는 건조 유기성폐기물에 혼입되어 있는 비닐류, 나무젓가락, 스푼 등과 같은 것들을 선별해야 한다. When organic waste such as food waste is usually dried and recycled as livestock feed or crop compost, plastics, wooden chopsticks, spoons, etc. mixed with the dried organic waste must be sorted.

현재 비닐류, 나무젓가락, 스푼 등과 같은 이물질의 선별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렇게 수작업에 의해 이물질을 선별할 경우, 작업능률이 떨어져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인건비로 의한 제품의 원가가 상승되어 시장경쟁력이 저하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고, 작업자가 악취에 노출되어 작업자의 건강을 보호할 수 없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다.Currently, the sorting of foreign substances such as vinyls, wooden chopsticks, spoons, etc. is usually done by the manual operation of the operator. There are many problems, such as an increase in the cost of a product due to an increase in the cost of the product and a decrease in market competitiveness, and the inability to protect the health of the worker due to exposure to the odor.

그리고, 일반적인 진동 선별기 등은 비닐 및 섬유 물질(풀뿌리 등), 원사 조직류 등의 원인으로 진동 선별기의 타공망을 막아 선별 능력을 저하시키고, 사료원료로 사용가능한 뼈조각 등의 유기물질도 소각 폐기물로 분리되어 선별 폐기물의 양이 많아지게 되면서 높은 비용으로 소각처리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general vibratory sorters reduce the sorting ability by blocking the perforation network of the vibrating sorter due to vinyl and fiber materials (grass roots, etc.), yarn tissue, etc., and organic substances such as bone fragments that can be used as feed materials are also converted to incineration waste. As the amount of separated and sorted waste increases,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must be incinerated at a high cost.

한편, 트롬멜 선별기(Trommel screen)는 선별망 장착 회전드럼을 이용한 입도 선별장치로서, 커다란 원통에 타공망을 구성하여 투입된 재질을 입도에 따라 선별하는 설비이다. On the other hand, a trommel screen is a particle size screening device using a rotating drum equipped with a screening net, and is a facility that forms a perforated network in a large cylinder to sort the input material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이러한 트롬멜 선별기는 원통 스크린을 다양한 구경으로 구성하여 투입물을 입도별로 선별 가능하고, 내부에 설치된 여러 개의 칼날은 봉투류 및 대형물의 파봉/파쇄를 돕게 되며, 따라서 트롬멜 선별기는 후단 선별기계들에 적합한 규격만을 선별 투입함으로 각 선별기의 선별 효율을 극대화 시키는 역할을 한다. This trommel sorter consists of a cylindrical screen with various calibers to sort the input by particle size, and several blades installed inside help break/shredding envelopes and large objects. Therefore, the trommel sorter can be used in rear-end sorting machines. It plays a role of maximizing the sorting efficiency of each sorting machine by selecting and inputting only suitable specifications.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트롬멜 선별기의 선별 방식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한국 등록특허 제10-1940451호『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기』의 구조와 성능을 개선한 트롬멜 선별기를 그 안출의 대상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trommel sorter with improved structure and performance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40451 『Dried Organic Waste Sorter』, which is based on the sorting method of the trommel sorter as described above, is intended to be devised.

한국 등록특허 제10-1252271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52271 한국 등록특허 제10-1940451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40451 한국 공개특허 제10-2017-0090011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90011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55183호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55183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유기성폐기물의 건조 처리 후에 이중 타공망 드럼을 이용하여 건조 유기성폐기물 속에 포함되어 있는 굵은 입자의 건조 유기성폐기물은 물론 가는 입자의 건조 유기성폐기물을 입도에 따라 단계별로 분류할 수 있는 한편, 특히 내부 타공망 드럼과 외부 타공망 드럼에 건조 유기성폐기물을 타격함과 더불어 이송시키는 역할의 베플을 설치한 새로운 형태의 트롬멜 선별기를 구현함으로써, 일일 처리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고, 설비의 내구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 및 보수 등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으며,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한편, 베플의 타격에 의한 마찰 운동을 유도하여 선별 효율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트롬멜 선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is point, and after drying the organic waste, using a double perforated drum, the dry organic waste of coarse particles as well as the dry organic waste of fine particles contained in the dried organic waste are granulated. On the other hand, in particular, the daily processing capacity is increased by implementing a new type of trommel sorter equipped with a baffle for transporting and hitting dry organic waste on the inner perforated net drum and the external perforated net drum. In addition to extending the durable life of the equipment, it can be operated efficiently such as maintenance and repair, and the efficiency of the dry organic waste sorting operation can be increased, while the frictional motion caused by the blow of the baffle can be induced for sorting.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ommel sorter that can further improve efficienc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트롬멜 선별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trommel sorter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상기 트롬멜 선별기는 프레임 상에 양단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면서 건조 유기성폐기물을 앞쪽으로 밀어내는 스크류 피더 및 상기 스크류 피더의 회전을 위한 스크류 피더 구동부와, 건조 유기성폐기물의 투입과 배출을 위한 투입구 및 배출구(14)를 가지고 있으며 스크류 피더의 후단부 외측 둘레에 동심원 상으로 배치되면서 프레임 상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파이프 피더와, 상기 스크류 피더 및 파이프 피더의 외측 둘레에 동심원 상으로 배치되면서 제1롤지지장치와 스크류 피더측에 양단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됨과 더불어 선단부에 제1배출구를 가지고 있고 드럼 길이방향을 따라가면서 연속해서 이어지는 동시에 드럼 원주방향을 따라가면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내부 타공망 드럼 내부 베플 및 내부 타공망 드럼 외부 베플을 가지고 있으며 건조 유기성폐기물을 1차 선별하는 내부 타공망 드럼 및 상기 내부 타공망 드럼의 회전을 위한 내부 타공망 드럼 구동부와, 상기 내부 타공망 드럼의 외측 둘레에 동심원 상으로 배치되면서 제2롤지지장치에 양단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됨과 더불어 선단부에 제2배출구를 가지고 있고 드럼 길이방향을 따라가면서 연속해서 이어지는 동시에 드럼 원주방향을 따라가면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외부 타공망 드럼 내부 베플을 가지고 있으며 내부 타공망 드럼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내부 타공망 드럼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홀 크기를 가지면서 건조 유기성폐기물을 2차 선별하는 외부 타공망 드럼 및 상기 외부 타공망 드럼의 회전을 위한 외부 타공망 드럼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The trommel sorter is installed in a structure supported at both ends on a frame and includes a screw feeder that pushes dry organic waste forward, a screw feeder driving unit for rotation of the screw feeder, and an inlet and outlet for input and discharge of the dry organic waste. A pipe feeder having (14) and being installed in a structure supported on a frame while being arranged concentrically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rear end of the screw feeder, and the screw feeder and the first roll while being arranged concentrically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pipe feeder A plurality of internal perforated mesh drums are installed at both ends to be supported on the support device and screw feeder side, have a first outlet at the tip, and are continuously continuous along the drum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drum circumferential direction. A baffle and an inner perforated net drum An inner perforated net drum having an outer baffle and primary screening of dry organic waste, an inner perforated net drum driving unit for rotation of the inner perforated net drum, and a concentric circle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ner perforated net drum A plurality of external perforated mesh drum inner baffles are installed in a structure supported at both ends by the two-roll support device, have a second outlet at the tip, and are continuously continuous along the drum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drum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has a relatively large diameter compared to the internal perforated drum, and while having a relatively small hole size compared to the internal perforated drum, an external perforated drum for secondary screening of dry organic waste and an external perforated drum for rotation of the external perforated drum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driving unit.

여기서, 상기 내부 타공망 드럼의 내부 타공망 드럼 내부 베플 및 내부 타공망 드럼 외부 베플과 외부 타공망 드럼의 외부 타공망 드럼 내부 베플은 드럼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한 일직선 형태 또는 드럼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의 궤적을 이루며 이어지는 형태 또는 끝 부분이 호(弧) 형상을 이루며 휘어져 있는 형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the inner baffle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and the outer baffle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and the outer perforated net drum inner baffle of the outer perforated network drum form a straight line parallel to the drum longitudinal direction or form a spiral trajectory along the drum longitudinal direction Alternatively, the end portion may be formed in an arc-shape and curved shape or the like.

또한, 상기 트롬멜 선별기는 외부 타공망 드럼의 하부에 나란하게 배치됨과 더불어 프레임 상에 양단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외부 타공망 드럼을 거친 선별 폐기물을 이송시켜주는 스크류 이송장치 및 스크류 이송장치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ommel sorter is disposed in parallel under the ex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and installed in a structure supported at both ends on the frame, and further includes a screw conveying device and a screw conveying device driving unit for transferring the sorted wast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ex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can do.

그리고, 상기 내부 타공망 드럼과 외부 타공망 드럼의 선단부에는 배출 슈트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배출 슈트의 내부에는 내부 타공망 드럼의 제1배출구와 외부 타공망 드럼의 제2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선별 폐기물을 구분하여 유도하는 구획판이 설치될 수 있다. And, a discharge chute may be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and the ex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and inside the discharge chute, the sorted waste discharged from the first outlet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and the second outlet of the ex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is separated. Guiding partition plates may be installed.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트롬멜 선별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trommel selector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내부 타공망 드럼과 외부 타공망 드럼을 조합한 형태의 이중 타공망 드럼을 이용하여 건조 유기성폐기물을 크기에 따라 3단계로 선별하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 작업과 관련한 일일 처리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고, 설비의 내구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비의 유지 및 보수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등 설비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으며, 전반적으로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rst, by applying a method of sorting dry organic wastes in three stages according to the size using a double perforated net drum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of an internal perforated net drum and an external perforated net drum,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aily processing capacity related to the dry organic waste sorting operation. In addition to extending the durable life of the equipment,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operate the equipment, such as to facilitate the maintenance and repair of the equipment, and to improve the overall efficiency of the dry organic waste sorting operation. It works.

둘째, 트롬멜의 1단계 내부 타공망 드럼의 내부에 평철 형태의 베플을 부착하여 입도가 큰 것을 분리할 때 타공망을 넓게 사용하며, 외부에도 평철 형태의 베플을 부착하여 외부 타공망 드럼과 역회전 시 타격에 의한 마찰 운동을 유도함으로써 선별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는 한편, 트롬멜의 2단계 외부 타공망 드럼의 내부에 평철 형태의 베플을 부착하여 내부 타공망 드럼의 외부 베플과 역회전을 하면서 선별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Second, by attaching a flat iron type baffle to the inside of the trommel's first-stage internal perforated drum, the perforated net is widely used when separating large-sized ones, and a flat iron type baffle is also attached to the outside to strike when rotating in reverse with the external perforated net drum. On the other hand,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sorting efficiency by inducing a frictional motion by the trommel, while attaching a flat iron type baffle to the inside of the trommel's two-stage external perforated net drum to rotate in reverse with the outer baffle of the inner perforated net drum, and the sorting efficiency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셋째, 내부 타공망 드럼의 내부와 외부, 그리고 외부 타공망 드럼의 내부에 부착되는 베플의 경우 다양한 형태의 것을 적용함으로써, 예를 들면 나선형 구조를 이루는 베플, 후단부의 일부 길이가 휘어진 형태를 이루는 베플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것을 적용함으로써, 건조 유기성폐기물의 이송 효율 향상은 물론 건조 유기성폐기물이 일부 구간에서 정체된 상태로 선별이 이루어짐에 따라 선별기의 선별 능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ird, by applying various types of baffles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and to the inside of the external perforated net drum, for example, a baffle forming a spiral structure, a baffle having a curved shape of some length of the rear end, etc. By applying the various types,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transport efficiency of the dry organic waste as well as increasing the sorting ability of the sorter as the dry organic waste is sorted in a stagnant state in some sec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롬멜 선별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롬멜 선별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롬멜 선별기의 내부 타공망 드럼 및 외부 타공망 드럼을 정면도 및 측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롬멜 선별기에서 내부 타공망 드럼 및 외부 타공망 드럼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롬멜 선별기에서 내부 타공망 드럼 및 외부 타공망 드럼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롬멜 선별기에서 내부 타공망 드럼 및 외부 타공망 드럼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1 is a front view showing a trommel so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showing a trommel so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of the inner perforated net drum and the outer perforated net drum of the trommel so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nner perforated net drum and an outer perforated net drum in a trommel so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n inner perforated net drum and an outer perforated net drum in a trommel so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inner perforated net drum and the outer perforated net drum in the trommel so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서 뒷쪽은 건조 유기성폐기물이 진행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건조 유기성폐기물이 투입되는 곳을, 앞쪽은 선별 폐기물이 배출되는 곳을 각각 정의하며, 정면도를 기준으로 할 때 왼쪽을 앞쪽, 오른쪽을 뒷쪽으로 각각 정의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 side defines the place where the dry organic waste is input and the front side defines the place where the sorted waste is discharged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y organic waste proceeds. Define each on the back.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롬멜 선별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롬멜 선별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롬멜 선별기의 내부 타공망 드럼 및 외부 타공망 드럼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showing a trommel so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a trommel so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trommel so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of the inner perforated net drum and the outer perforated net drum of the Rommel sorter.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트롬멜 선별기는 설비의 지지와 작업자의 동선 확보를 위한 수단으로 프레임(10)을 포함한다. 1 to 3 , the trommel sorter includes a frame 10 as a means for supporting the equipment and securing the movement of the worker.

상기 프레임(10)은 일정 높이의 빔 구조물 형태로서, 이러한 프레임(10)의 상단부에는 타공망 드럼 등의 설비가 설치되며, 설비 주변으로는 점검이나 수리, 운전 등을 위해 작업자가 다닐 수 있는 발판(미도시)은 물론 오르고 내릴 수 있는 계단(미도시), 난간(미도시) 등이 갖추어질 수 있다. The frame 10 is in the form of a beam structure of a certain height, and facilities such as a perforated mesh drum are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frame 10, and a footrest ( Not shown), as well as stairs (not shown), handrails (not shown), etc. for going up and down may be equipped.

또한, 상기 트롬멜 선별기는 건조 유기성폐기물의 투입, 이송 등을 위한 수단으로 스크류 피더(11)와 스크류 피더 구동부(12)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trommel sorter includes a screw feeder 11 and a screw feeder driving unit 12 as a means for input and transport of dry organic waste.

상기 스크류 피더(11)는 샤프트(11a)와 스크류(11b)로 구성되며, 샤프트(11a)의 양단부를 통해 프레임(1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앞쪽과 뒷쪽의 지지대(30) 상에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수평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The screw feeder 11 is composed of a shaft 11a and a screw 11b, and bearings are interposed on the front and rear supports 30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frame 10 through both ends of the shaft 11a. It is installed in a horizontally supported structure.

여기서, 상기 스크류 피더(11)의 스크류(11b)는 샤프트(11a)의 전체 길이 중에서 후단부 쪽의 약 1/3 정도에 해당하는 길이에 걸쳐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되는 스크류(11b)의 선단부가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후단부 내측으로 위치될 수 있게 된다. Here, the screw 11b of the screw feeder 11 is formed over a length corresponding to about 1/3 of the rear end of the shaft 11a, and the front end of the screw 11b thus formed It can be located inside the rear end of the inner perforated mesh drum 18 .

즉, 스크류(11b)의 선단부는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내측 후단 구간까지만 위치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front end of the screw 11b can be positioned only to the inner rear end section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18 .

상기 스크류 피더 구동부(12)는 스크류 피더(11)의 작동을 위한 동력, 즉 샤프트(11a)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screw feeder driving unit 12 serves to provide power for operation of the screw feeder 11 , that is, power for rotation of the shaft 11a.

이를 위하여, 프레임(10)의 상단부 뒷쪽에 모터(12a)가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모터(12a)의 축에는 구동 스프로킷(12b)이 장착되는 동시에 샤프트(11a)의 후단부에는 피동 스프로킷(12c)이 장착되며, 이때의 구동 스프로킷(12b)과 피동 스프로킷(12c) 사이에는 체인(12d)이 연결된다. To this end, the motor 12a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upper end of the frame 10, and the driving sprocket 12b is mounted on the shaft of the motor 12a installed in this way, and at the same time, the driven sprocket 12c is mounted on the rear end of the shaft 11a. ) is mounted, and a chain 12d is connected between the driving sprocket 12b and the driven sprocket 12c at this time.

이에 따라, 상기 모터(12a)의 작동 시 구동 스프로킷(12b)과 피동 스프로킷(12c) 간의 전동에 의해 스크류 피더(11)의 샤프트(11a)가 회전되고, 계속해서 스크류(11b)에 의해 건조 유기성폐기물이 밀려나면서 타공망 드럼 내부를 향해 이송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motor 12a is operated, the shaft 11a of the screw feeder 11 is rotat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driving sprocket 12b and the driven sprocket 12c, and the drying organic property is continuously performed by the screw 11b. As the waste is pushed out, it can be transported toward the inside of the perforated drum drum.

또한, 상기 트롬멜 선별기는 건조 유기성폐기물의 공급을 위한 수단으로 파이프 피더(15)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trommel sorter includes a pipe feeder 15 as a means for feeding dry organic waste.

상기 파이프 피더(15)는 원형의 관 형태로서, 스크류 피더(11)의 외측 둘레에 동심원 상으로 배치되면서 스크류 피더(11)의 샤프트(11a)가 지지되어 있는 뒷쪽의 지지대(30) 상에 후단부를 통해 고정되는 구조로 수평 설치된다. The pipe feeder 15 is in the form of a circular tube, and is disposed concentrically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screw feeder 11 and the rear end on the support 30 at the rear on which the shaft 11a of the screw feeder 11 is supported. It is installed horizontally with a structure that is fixed through the part.

이러한 파이프 피더(15)의 후단부 외주면 일측에는 건조 유기성폐기물의 투입을 위한 투입구(13)가 형성되고, 선단부에는 건조 유기성폐기물의 배출을 위하여 관 전체 직경에 해당하는 형태의 배출구(14)가 형성된다.An inlet 13 for input of dry organic wast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pipe feeder 15, and an outlet 14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ntire diameter of the pipe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pipe feeder 15 to discharge the dry organic waste. do.

그리고, 상기 파이프 피더(15)의 선단부도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내측 후단 구간까지만 위치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front end of the pipe feeder 15 can also be positioned only to the inner rear end section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18 .

이에 따라, 상기 파이프 피더(15)의 투입구(13)를 통해 파이프 피더(15)의 내부로 건조 유기성폐기물이 투입되면, 이때의 건조 유기성폐기물은 파이프 피더(15)의 내부에 위치되어 있는 스크류 피더(11)의 스크류(11b)에 의해 앞쪽으로 밀려나게 되고, 계속해서 파이프 피더(15)의 선단 배출구(14)를 통해 빠져나가서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dry organic waste is input into the pipe feeder 15 through the inlet 13 of the pipe feeder 15, the dry organic waste at this time is a screw feeder located inside the pipe feeder 15. It is pushed forward by the screw 11b of (11), and it can b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inner perforated mesh drum 18 by continuously exiting through the tip outlet 14 of the pipe feeder 15.

또한, 상기 트롬멜 선별기는 건조 유기성폐기물 1차 선별을 위한 수단으로 내부 타공망 드럼(18)과 내부 타공망 드럼 구동부(19)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trommel sorter includes an inner perforated net drum 18 and an inner perforated net drum driving unit 19 as a means for primary sorting of dry organic waste.

상기 내부 타공망 드럼(18)은 건조 유기성폐기물 속에 포함되어 있는 비교적 굵은 이물질, 예를 들면 비닐류, 나무젓가락, 스푼 등과 같은 이물질을 1차 선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in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18 serves to primarily select relatively coarse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dry organic waste, for example, plastics, wooden chopsticks, spoons, and the like.

이를 위하여, 상기 내부 타공망 드럼(18)은 둘레면에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원형의 타공 드럼 형태로서, 스크류 피더(11)를 포함하는 파이프 피더(15)의 외측 둘레에 동심원 상으로 배치됨과 더불어 이와 나란한 수평 자세를 취하게 되고, 이렇게 수평 자세를 취하는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후단부는 프레임(1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1롤지지장치(16)에 지지되는 동시에 선단부는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스크류 피더(11)의 샤프트(11a)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To this end,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18 is in the form of a circular perforated drum having a plurality of holes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s concentrically dispose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pipe feeder 15 including the screw feeder 11 and In addition, it takes a horizontal posture parallel to this, and the rear end of the in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18 taking this horizontal posture is supported by the first roll support device 16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frame 10, and at the same time, the front end has a bearing It is installed in a structure coupled to the tip of the shaft 11a of the screw feeder 11 as a medium.

이러한 내부 타공망 드럼(18)은 후술하는 외부 타공망 드럼(22)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외부 타공망 드럼(22)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홀 크기를 가지면서 굵은 이물질을 선별할 수 있게 된다. This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18 has a relatively small diameter compared to the external perforated net drum 22 to be described later, and at the same time has a relatively large hole size compared to the ex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22, and it is possible to sort out thick foreign substances.

이때의 상기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홀은 약 15∼20㎜ 정도의 직경, 바람직하게는 약 18㎜ 정도의 직경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hole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18 may have a diameter of about 15 to 20 mm, preferably, a diameter of about 18 mm.

그리고, 상기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선단부에는 외주면 일부를 사각형으로 절개한 형태의 제1배출구(17)가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한 제1배출구(17)를 통해 1차로 분류된 선별 폐기물이 드럼 밖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 first outlet 17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cutout of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formed at the tip of the in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18, and the sorted waste primarily classified through the first outlet 17 thus formed is disposed on the drum. can be discharged outside.

이와 같은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회전 지지를 위해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후단부를 받쳐주는 제1롤지지장치(16)는 프레임(1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브라켓(16a)과 이렇게 설치되는 브라켓(16a)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외주면 단부와 구름접촉하는 롤(16b)로 구성된다. The first roll support device 16 for supporting the rear end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18 for rotation support of the in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18 is a bracket 16a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frame 10 and a bracket 16a installed in this way. It is composed of a roll 16b that is freely rotatably installed on the bracket 16a and is in rolling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18 .

이때의 브라켓(16a) 및 롤(16b)은 2개가 구비되며, 각각의 브라켓(16a) 및 롤(16b)은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폭방향 하단부 양편을 받쳐주면서 내부 타공망 드럼(18)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At this time, two brackets 16a and roll 16b are provided, and each bracket 16a and roll 16b supports both sides of the lower 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18 while supporting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18. It serves as a support for smooth rotation.

여기서, 상기 2개의 브라켓(16a) 및 롤(16b)은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약 90°위상차를 두고 배치되면서 내부 타공망 드럼(18)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Here, the two brackets 16a and the roll 16b are disposed with a phase difference of about 90° from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18 to stably support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18 do.

상기 내부 타공망 드럼 구동부(19)는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driving unit 19 serves to provide power for rotation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18 .

이를 위하여, 상기 프레임(10)의 뒷쪽으로 위치되면서 상단부 바로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는 모터 프레임(31)에는 모터(19a)가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모터(19a)의 축에는 구동 스프로킷(19b)이 장착되는 동시에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후단부 외주면 둘레에는 피동 스프로킷(19c)이 장착되며, 이때의 구동 스프로킷(19b)과 피동 스프로킷(19c) 사이에는 체인(19d)이 연결된다. To this end, a motor 19a is installed in the motor frame 31 that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frame 10 and installed just below the upper end, and a driving sprocket 19b is installed on the shaft of the motor 19a installed in this way. At the same time, a driven sprocket 19c is mounted a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inner perforated mesh drum 18, and a chain 19d is connected between the driving sprocket 19b and the driven sprocket 19c at this time.

이에 따라, 상기 모터(19a)의 작동 시 구동 스프로킷(19b)과 피동 스프로킷(19c) 간의 전동에 의해 내부 타공망 드럼(18)이 회전되고, 결국 회전하는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내부에 들어 있는 건조 유기성폐기물 중의 굵은 이물질들이 홀을 통해 1차 선별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motor 19a is operated,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18 is rotat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driving sprocket 19b and the driven sprocket 19c, and eventually the rotating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18 is contained inside Coarse foreign substances in the dry organic waste can be first sorted through the hole.

특히, 상기 내부 타공망 드럼(18)은 건조 유기성폐기물의 선별 효율을 배가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내부 타공망 드럼 내부 베플(24a) 및 내부 타공망 드럼 외부 베플(24b)을 포함한다. In particular, the inner perforated net drum 18 includes an inner perforated net drum inner baffle 24a and an inner perforated net drum outer baffle 24b as a means to double the screening efficiency of dry organic waste.

상기 내부 타공망 드럼 내부 베플(24a)과 내부 타공망 드럼 외부 베플(24b)은 일정 길이를 갖는 평철 형태로서,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평철 폭방향으로 세워진 자세를 유지하면서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 설치된다. The inner baffle 24a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and the outer baffle 24b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have a flat iron shape having a certain length, and are welded while maintaining an erect posture on the inner and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18 in the flat iron width direction. fixed in a way that

이러한 내부 타공망 드럼 내부 베플(24a)과 내부 타공망 드럼 외부 베플(24b)은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길이방향을 따라가면서 연속해서 이어지는 동시에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원주방향을 따라가면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The inner baffles 24a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and the outer baffles 24b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18 are continuously connec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18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18. It can be made of a plurality of arranged pieces.

예를 들면, 상기 내부 타공망 드럼 내부 베플(24a)은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내주면 원주방향을 따라가면서 약 90°간격으로 배치되는 4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상기 내부 타공망 드럼 외부 베플(24b)의 경우에도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외주면 원주방향을 따라가면서 약 90°간격으로 배치되는 4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이때의 내부 타공망 드럼 내부 베플(24a)과 내부 타공망 드럼 외부 베플(24b)은 서로 간에 약 45°정도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or example, the inner baffles 24a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18 can be made of four that are arranged at intervals of about 90°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perforated drum 18, and the inner baffles 24b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Even in the case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18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can be made of four pieces arranged at intervals of about 90°, and at this time,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inner baffle (24a) and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outer baffle (24b) are It is desirable to ensure that an interval of about 45° can be maintained between each other.

여기서, 상기 내부 타공망 드럼 내부 베플(24a)과 내부 타공망 드럼 외부 베플(24b)은 다양한 궤적을 그리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Here, the inner baffle 24a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and the outer baffle 24b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can be formed in a form that draws various trajectories.

일 예로서,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타공망 드럼 내부 베플(24a) 및 내부 타공망 드럼 외부 베플(24b)은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한 일직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4A , the inner baffle 24a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and the outer baffle 24b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side by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18. .

다른 예로서,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타공망 드럼 내부 베플(24a) 및 내부 타공망 드럼 외부 베플(24b)은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의 궤적을 이루며 이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5A , the inner baffle 24a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and the outer baffle 24b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form a spiral trajector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18. can be done

또 다른 예로서,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타공망 드럼 내부 베플(24a) 및 내부 타공망 드럼 외부 베플(24b)은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한 일직선 형태로 이어지다가 끝 부분이 호(弧) 형상을 이루며 휘어져 있는 형태, 즉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뒷쪽을 향해 오목한 부분이 향하도록 한 호(弧) 형상의 휘어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6A , the inner baffle 24a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and the outer baffle 24b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are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in paralle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18 and end The portion forms an arc (弧) and is curved, that is, it can be formed in an arc (弧) curved form such that the concave portion faces toward the rear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18).

이렇게 상기 내부 타공망 드럼 내부 베플(24a) 및 내부 타공망 드럼 외부 베플(24b)을 갖춤으로써, 건조 유기성폐기물 중 입도가 큰 것을 선별할 때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전체 타공면을 넓게 활용할 수 있게 되며, 외부 타공망 드럼(22)과의 역회전 시에는 외부 타공망 드럼(22)에 있는 외부 타공망 드럼 내부 베플(25)과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내부 타공망 드럼 외부 베플(24b)이 상호 간의 역회전 움직임을 보이면서 건조 유기성폐기물을 타격하게 되는 등 타격에 의한 마찰 운동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엉켜 있거나 뭉쳐 있는 건조 유기성폐기물을 풀어서 헤쳐줄 수 있는 등 선별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By having the inner baffle 24a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and the outer baffle 24b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in this way, the entire perforated surface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18 can be widely utilized when sorting the dry organic waste with a large particle size. , In the case of reverse rotation with the ex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22, the external perforated net drum inner baffle 25 in the external perforated net drum 22 and the inner perforated net drum outer baffle 24b of the inner perforated net drum 18 are reversed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induce frictional movement by hitting, such as hitting the dry organic waste while it is moving, so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orting efficiency by loosening the tangled or clumping dry organic waste.

그리고, 상기 내부 타공망 드럼 내부 베플(24a) 및 내부 타공망 드럼 외부 베플(24b)이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의 궤적을 이루며 이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건조 유기성폐기물이 나선형의 베플을 따라 유도되면서 자연스럽게 배출구가 있는 앞쪽으로 진행하게 되므로 건조 유기성폐기물의 이송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And, when the inner baffle 24a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and the outer baffle 24b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form a spiral trajector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18, the dry organic waste is a spiral baffle As it is guided along the path, it naturally proceeds to the front with the outlet, so that the transport efficiency of the dry organic waste can be increased.

이와 더불어, 상기 내부 타공망 드럼 내부 베플(24a) 및 내부 타공망 드럼 외부 베플(24b)이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한 일직선 형태로 이어지다가 끝 부분이 호(弧) 형상을 이루며 휘어져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건조 유기성폐기물이 호(弧) 형상의 내측에 갇히면서 일정시간 정체될 수 있게 되고, 이렇게 정체되어 있는 동안에도 계속해서 드럼 회전에 의한 선별과정이 이루어지게 되므로서, 건조 유기성폐기물이 그대로 앞쪽으로 진행되면서 빠져나가는 것과 대비할 때 상대적으로 건조 유기성폐기물에 대한 선별 효율이 높아질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inner baffle (24a) and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outer baffle (24b) are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in paralle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18, and the end portion forms an arc shape and is bent In the case of having a form in which the dry organic waste is trapped inside the arc shape, it can be stagna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 sorting process by drum rotation continues while it is stagnant, so that the dry organic waste is In contrast to the waste that proceeds forward as it is and exits, the sorting efficiency for dry organic waste can be relatively increased.

또한, 상기 트롬멜 선별기는 건조 유기성폐기물 2차 선별을 위한 수단으로 외부 타공망 드럼(22)과 외부 타공망 드럼 구동부(23)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trommel sorter includes an external perforated net drum 22 and an external perforated net drum driving unit 23 as a means for secondary sorting of dry organic waste.

상기 외부 타공망 드럼(22)은 건조 유기성폐기물 속에 포함되어 있는 중간 굵은 이물질, 예를 들면 내부 타공망 드럼(18)에 의해 1차 선별되고 남은 선별 폐기물 중에서 상대적으로 굵은 이물질을 2차 선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ex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22 is a medium coarse foreign material contained in the dry organic waste, for example, a relatively coarse foreign material from the selected waste remaining after primary screening by the internal perforated net drum 18. do.

이를 위하여, 상기 외부 타공망 드럼(22)은 둘레면에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원형의 타공 드럼 형태로서,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외측 둘레에 동심원 상으로 배치됨과 더불어 이와 나란한 수평 자세를 취하게 되고, 이렇게 수평 자세를 취하는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선단부와 후단부는 프레임(10)의 상단부에 앞쪽과 뒷쪽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제2롤지지장치(20)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To this end, the outer perforated network drum 22 is in the form of a circular perforated drum having a plurality of holes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s arranged concentrically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18 and takes a horizontal posture parallel to i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ex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22 taking a horizontal posture in this way are installed in a structure supported by the second roll support device 20 installed in the front and rear sides, respectively, at the upper end of the frame 10 .

이러한 외부 타공망 드럼(22)은 내부 타공망 드럼(18)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내부 타공망 드럼(22)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홀 크기를 가지면서 중간 굵은 이물질을 선별할 수 있게 된다. This ex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22 has a relatively large diameter compared to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18 and at the same time has a relatively small hole size compared to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22, and it is possible to select medium thick foreign substances.

이때의 상기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홀은 약 5∼10㎜ 정도의 직경, 바람직하게는 약 8㎜ 정도의 직경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hole of the ex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22 may have a diameter of about 5 to 10 mm, preferably a diameter of about 8 mm.

이렇게 내부 타공망 드럼(18)과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이중 타공망을 채택함으로써, 입도 사이즈별로 선별 배출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By adopting a double perforated network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the inner perforated net drum 18 and the outer perforated net drum 22,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orting and discharging ability for each particle size size.

즉, 상기 내부 타공망 드럼(18)과 외부 타공망 드럼(22)을 이용한 이중 구조로 분리 배출하여 내부의 타공망을 통해 입도가 크고 가벼운 물질을 1차 선별하고, 외부 타공망을 통해 2차로 입도 크기별 선별을 진행함으로써, 건조 유기성폐기물에 대한 우수한 선별 배출능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by separating and discharging into a double structure using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18 and the external perforated net drum 22, materials with large and light particle sizes are first selected through the internal perforated network, and secondarily, the particle size is sorted through the external perforated network. By proceeding, it is possible to secure excellent selective discharge capability for dry organic waste.

그리고, 상기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선단부에는 2차 선별된 폐기물의 배출을 위하여 드럼 전체 직경에 해당하는 형태의 제2배출구(21)가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한 제2배출구(21)를 통해 2차로 분류된 선별 폐기물이 드럼 밖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 second outlet 21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verall diameter of the drum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external perforated drum 22 for discharging the secondarily sorted waste, and through the second outlet 21 formed in this way Secondary sorting waste can be discharged out of the drum.

이와 같은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회전 지지를 위해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선단부와 후단부를 받쳐주는 제2롤지지장치(20)는 프레임(1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브라켓(20a)과 이렇게 설치되는 브라켓(20a)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외주면 단부와 구름접촉하는 롤(20b)로 구성된다. In order to support the rotation of the ex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22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roll support device 20 for supporting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ex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22 includes a bracket 20a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frame 10 and this It consists of a roll (20b) which is freely rotatably installed on the installed bracket (20a) and in rolling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ex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22).

이때의 브라켓(20a) 및 롤(20b)은 4개가 구비되며, 각각의 브라켓(20a) 및 롤(20b)은 외부 타공망 드럼(20)의 선단부와 후단부 위치에서 폭방향 하단부 양편을 받쳐주면서 외부 타공망 드럼(22)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At this time, four brackets (20a) and rolls (20b) are provided, and each bracket (20a) and roll (20b) is external while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lower end in the width direction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ex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20). It serves to support the perforated drum 22 so that it can rotate smoothly.

여기서, 앞쪽과 뒷쪽의 각 2개의 브라켓(20a) 및 롤(20b)은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약 90°위상차를 두고 배치되면서 외부 타공망 드럼(22)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Here, each of the two brackets 20a and the roll 20b of the front and the rear are arranged with a phase difference of about 90° from each other bas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ex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22 while stably holding the ex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22 be able to support

상기 외부 타공망 드럼 구동부(23)는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ex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driving unit 23 serves to provide power for rotation of the ex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22 .

이를 위하여, 상기 프레임(10)의 뒷쪽으로 위치되면서 상단부 바로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는 모터 프레임(31)에는 모터(23a)가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모터(23a)의 축에는 구동 스프로킷(23b)이 장착되는 동시에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후단부 외주면 둘레에는 피동 스프로킷(23c)이 장착되며, 이때의 구동 스프로킷(23b)과 피동 스프로킷(23c) 사이에는 체인(23d)이 연결된다. To this end, the motor 23a is installed in the motor frame 31 installed just below the upper end while being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frame 10, and the driving sprocket 23b is installed on the shaft of the motor 23a installed in this way. At the same time, a driven sprocket 23c is mounted a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external perforated mesh drum 22, and a chain 23d is connected between the driving sprocket 23b and the driven sprocket 23c at this time.

이에 따라, 상기 모터(23a)의 작동 시 구동 스프로킷(23b)과 피동 스프로킷(23c) 간의 전동에 의해 외부 타공망 드럼(23)이 회전되고, 결국 회전하는 외부 타공망 드럼(23)의 내부에 들어 있는 건조 유기성폐기물 중의 중간 굵기 이물질들이 홀을 통해 2차 선별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motor 23a is operated, the ex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23 is rotat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driving sprocket 23b and the driven sprocket 23c, and eventually the rotating external perforated net drum 23 is contained inside Medium-thick foreign substances in the dry organic waste can be secondary sorted through the hole.

이때의 상기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회전 방향은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회전 방향에 대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게 되고, 이렇게 외부 타공망 드럼(22)과 내부 타공망 드럼(18)이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되므로서, 타공망 드럼의 1차 선별 및 2차 선별 능력이 한층 더 향상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ex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22 can be set in opposite directions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18, and thus the ex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22 and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18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s it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primary and secondary sorting capabilities of the perforated net drum can be further improved.

특히, 상기 외부 타공망 드럼(22)은 건조 유기성폐기물의 선별 효율을 배가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외부 타공망 드럼 내부 베플(25)을 포함한다. In particular, the external perforated net drum 22 includes an inner baffle 25 for the external perforated net drum as a means to double the screening efficiency of dry organic waste.

상기 외부 타공망 드럼 내부 베플(25)은 일정 길이를 갖는 평철 형태로서,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내주면 평철 폭방향으로 세워진 자세를 유지하면서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 설치된다. The inner baffle 25 of the ex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has a flat iron shape having a certain length, and is fixedly installed by welding or the like while maintaining an erect postur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perforated network drum 22 in the flat iron width direction.

이러한 외부 타공망 드럼 내부 베플(25)은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길이방향을 따라가면서 연속해서 이어지는 동시에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원주방향을 따라가면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This ex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inner baffle 25 is continuously connec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22, and at the same time, it can be made of a plurality of piece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ex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22.

예를 들면, 상기 외부 타공망 드럼 내부 베플(25)은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내주면 원주방향을 따라가면서 약 90°간격으로 배치되는 4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the inner baffle 25 of the ex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may be formed of four pieces arranged at intervals of about 90° alo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perforated network drum 22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여기서, 상기 외부 타공망 드럼 내부 베플(25)은 다양한 궤적을 그리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Here, the inner baffle 25 of the ex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can be formed in a form that draws various trajectories.

일 예로서,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타공망 드럼 내부 베플(25)은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한 일직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4B , the inner baffle 25 of the ex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can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22 .

다른 예로서,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타공망 드럼 내부 베플(25)은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의 궤적을 이루며 이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5B , the inner baffle 25 of the ex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can be formed in a continuous form while forming a spiral trajector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22 .

또 다른 예로서,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타공망 드럼 내부 베플(25)은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한 일직선 형태로 이어지다가 끝 부분이 호(弧) 형상을 이루며 휘어져 있는 형태, 즉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뒷쪽을 향해 오목한 부분이 향하도록 한 호(弧) 형상의 휘어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6b, the inner baffle 25 of the outer perforated network drum is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in paralle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perforated net drum 22, and the end portion forms an arc shape, It can be made in a curved form, that is, in an arc-shaped curved form such that the concave portion is directed toward the rear of the ex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22 .

이렇게 상기 외부 타공망 드럼 내부 베플(25)을 갖춤으로써, 건조 유기성폐기물 중 입도가 큰 것을 선별할 때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전체 타공면을 넓게 활용할 수 있게 되며, 내부 타공망 드럼(18)과의 역회전 시에는 내부 타공망 드럼(18)에 있는 내부 타공망 드럼 외부 베플(24b)과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외부 타공망 드럼 내부 베플(25)이 상호 간의 역회전 움직임을 보이면서 건조 유기성폐기물을 타격하게 되는 등 타격에 의한 마찰 운동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엉켜 있거나 뭉쳐 있는 건조 유기성폐기물을 풀어서 헤쳐줄 수 있는 등 선별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By having the inner baffle 25 of the ex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in this way, the entire perforated surface of the external perforated net drum 22 can be widely utilized when selecting the dry organic waste with a large particle size, and with the internal perforated net drum 18 During reverse rotation, the inner baffle 24b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18 in the inner perforated net drum 18 and the outer perforated net drum inner baffle 25 of the outer perforated net drum 22 strike the dry organic waste while exhibiting a reverse rotation movement. It is possible to induce frictional motion caused by blows, so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orting efficiency, such as loosening and dissolving tangled or clumped dry organic waste.

그리고, 상기 외부 타공망 드럼 내부 베플(25)이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의 궤적을 이루며 이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건조 유기성폐기물이 나선형의 베플을 따라 유도되면서 자연스럽게 배출구가 있는 앞쪽으로 진행하게 되므로 건조 유기성폐기물의 이송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And, when the inner baffle 25 of the ex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has a spiral trajector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22 and is formed in a continuous form, the dry organic waste is guided along the spiral baffle and naturally the front side with the outle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transport efficiency of dry organic waste.

이와 더불어, 상기 외부 타공망 드럼 내부 베플(25)이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한 일직선 형태로 이어지다가 끝 부분이 호(弧) 형상을 이루며 휘어져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건조 유기성폐기물이 호(弧) 형상의 내측에 갇히면서 일정시간 정체될 수 있게 되고, 이렇게 정체되어 있는 동안에도 계속해서 드럼 회전에 의한 선별과정이 이루어지게 되므로서, 건조 유기성폐기물이 그대로 앞쪽으로 진행되면서 빠져나가는 것과 대비할 때 상대적으로 건조 유기성폐기물에 대한 선별 효율이 높아질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inner baffle 25 of the ex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is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in paralle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ternal perforated net drum 22 and the end is curved in an arc shape, dry organic waste Being trapped inside this arc shape, it can stagnat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even while it is stagnant, the sorting process by drum rotation continues to take place, so that the dry organic waste flows forward as it is. Compared to that, the sorting efficiency for dry organic waste can be relatively high.

한편, 본 발명에서는 내외부 타공망을 통해 선별이 진행되는 동안에 건조 유기성폐기물이 별도의 이송수단없이도 자연스럽게 내외부 타공망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앞쪽으로 진행되어 내외부 타공망 전체 길이 구간을 거치면서 선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y organic waste naturally proceeds for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and outer perforation network without a separate transport means while the sorting is carried out through the internal and external perforated network, so that the selection is made while passing through the entire length of the inner and outer perforated network. to provide.

이를 위하여, 상호 동심원 상으로 나란하게 적층 조합되는 스크류 피더(11)와 파이프 피더(15), 그리고 내부 타공망 드럼(18) 및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경우 드럼 길이 방향의 수평선을 기준으로 그 후단부가 약 5∼10°정도 낮게 경사진 자세를 취하게 되고, 즉 스크류 피더(11), 파이프 피더(15), 내부 타공망 드럼(18) 및 외부 타공망 드럼(22)은 앞쪽이 뒷쪽에 비해 약 5∼10°정도 낮은 자세를 취하게 되고, 이와 더불어 상기 스크류 피더(11)의 스크류(11b) 선단부와 파이프 피더(15)의 선단부는 서로 내외측으로 조합되어 있는 내부 타공망 드럼(18) 및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내측 후단부까지만 위치될 수 있게 된다.To this end, in the case of the screw feeder 11 and the pipe feeder 15, which are stacked and combined in parallel concentric with each other, and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18 and the outer perforated net drum 22, the rear end thereof based on the horizontal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um The sub is inclined lower by about 5 to 10°, that is, the screw feeder 11, the pipe feeder 15, the inner perforated net drum 18 and the outer perforated net drum 22 are about 5 in the front compared to the rear. The position is lowered by ∼10°, and in addition, the tip of the screw 11b of the screw feeder 11 and the tip of the pipe feeder 15 are internally and externally combined with the inner perforated net drum 18 and the outer perforated net drum. It can be positioned only to the inner rear end of (22).

이에 따라, 상기 파이프 피더(15)의 내부로 공급된 후에 스크류 피더(11)에 밀려나는 건조 유기성폐기물은 내부 타공망 드럼(18) 및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내측 후단부까지만 강제 이송되고, 이후에는 경사진 자세를 취하고 있는 내부 타공망 드럼(18) 및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내부를 따라 앞쪽으로 자연스럽게 이송되면서 선별될 수 있게 되며, 결국 건조 유기성폐기물의 이송을 위한 동력수단없이도 내부 타공망 드럼(18)과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전체 길이 구간을 활용하여 건조 유기성폐기물을 선별할 수 있는 등 타공망 드럼의 이용 효율 및 선별 능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dry organic waste pushed into the screw feeder 11 after being supplied into the pipe feeder 15 is forcibly transferred only to the inner rear end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18 and the outer perforated net drum 22, and then It can be selected while being naturally transported forward along the inside of the inner perforated net drum 18 and the outer perforated net drum 22, which are in an inclined posture, and eventually the inner perforated net drum (without a power means for transporting dry organic waste) 18) and the entire length section of the external perforated net drum 22 can be used to sort dry organic waste,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and sorting ability of the perforated net drum.

또한, 상기 트롬멜 선별기는 내부 타공망 드럼(18)과 외부 타공망 드럼(22)을 통과한 3차 선별 폐기물, 즉 사료 등으로 사용되는 최종 선별 폐기물을 한쪽으로 이송시켜주는 수단으로 스크류 이송장치(26) 및 스크류 이송장치 구동부(27)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trommel sorter is a means for transferring to one side the tertiary sorting wast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inner perforated net drum 18 and the external perforated net drum 22, that is, the final sorted waste used as feed, etc. ) and a screw feeder driving unit 27 .

상기 스크류 이송장치(26)는 베어링에 의해 양단 지지되면서 모터 동력으로 회전하는 스크류 축(26a)과, 선별 폐기물 이송 방향 기준으로 앞쪽 하부에 선별 폐기물 배출구(26b)를 가지는 원형 또는 사각형의 길다란 박스 형태로 이루어진 이송 케이스(26c)로 구성된다. The screw transfer device 26 has a circular or rectangular elongated box shape having a screw shaft 26a rotating by motor power while being supported at both ends by bearings, and a sorting waste outlet 26b in the front lower part based on the sorting waste transport direction. It is composed of a transfer case (26c) made of.

여기서, 상기 이송 케이스(26c)는 케이스(24)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슈트(32)에 수평 자세로 결합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이송 케이스(26c)는 전체 길이에 걸쳐 케이스 슈트(32)와 연통되어 케이스 슈트(32)를 통해 배출되는 가는 입자의 선별 폐기물이 그대로 이송 케이스(26c) 내에 투입될 수 있게 된다. Here, the transfer case 26c is installed in a structure coupled to the case chute 32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ase 24 in a horizontal posture, and the transfer case 26c installed in this way is the case chute over the entire length. The sorting waste of fine particles that communicates with the case chute 32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case chute 32 can be put into the transfer case 26c as it is.

그리고, 상기 스크류 축(26a)은 이송 케이스(26c)의 내부 중심부를 가로지르면서 이송 케이스(26c)와 나란하게 수평 배치되고, 이렇게 배치된 상태에서 프레임(10) 상의 보조 프레임(33) 상에 설치되어 있는 베어링에 의해 양단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And, the screw shaft 26a is horizontally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transfer case 26c while crossing the inner center of the transfer case 26c, and in this arrangement, on the auxiliary frame 33 on the frame 10 It is installed in a structure supported at both ends by the installed bearings.

상기 스크류 이송장치 구동부(27)는 스크류 이송장치(26)의 작동을 위한 동력, 즉 스크류 축(26a)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screw feeder driving unit 27 serves to provide power for the operation of the screw feeder 26 , that is, power for the rotation of the screw shaft 26a.

이를 위하여, 프레임(10) 상에 모터 프레임(31)에 모터(27a)가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모터(27a)의 축에는 구동 스프로킷(27b)이 장착되는 동시에 스크류 축(26a)의 선단부에는 피동 스프로킷(27c)이 장착되며, 이때의 구동 스프로킷(27b)과 피동 스프로킷(27c) 사이에는 체인(27d)이 연결된다. To this end, a motor 27a is installed on the motor frame 31 on the frame 10, and a driving sprocket 27b is mounted on the shaft of the motor 27a installed in this way, and at the same time as the tip end of the screw shaft 26a. A driven sprocket 27c is mounted, and a chain 27d is connected between the driving sprocket 27b and the driven sprocket 27c at this time.

이에 따라, 상기 모터(27a)의 작동 시 구동 스프로킷(27b)과 피동 스프로킷(27c) 간의 전동에 의해 스크류 이송장치(26)의 스크류 축(26a)이 회전되고, 계속해서 스크류 축(26a)의 회전에 의해 이송 케이스(26c) 내의 선별 폐기물이 밀려나면서 폐기물 배출구(26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motor 27a is operated, the screw shaft 26a of the screw transfer device 26 is rotat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driving sprocket 27b and the driven sprocket 27c, and then the screw shaft 26a As the sorted waste in the transfer case 26c is pushed out by rotation, 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aste outlet 26b.

또한, 상기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기는 내부 타공망 드럼(18)과 외부 타공망 드럼(22)에 의해 선별된 1차 선별 폐기물(굵은 입자 이물질)과 2차 선별 폐기물(중간 입자 이물질)를 각각 구분하여 배출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배출 슈트(28)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dry organic waste sorter separates and discharges the primary sorting waste (thick particle foreign material) and the secondary sorting waste (intermediate particle foreign material) selected by the inner perforated net drum 18 and the external perforated net drum 22, respectively. Possible means include a discharge chute 28 .

상기 배출 슈트(28)는 내부 타공망 드럼(18)과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선단부를 동시에 감싸고 있는 하우징 형태로서, 프레임(10) 상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배출 슈트(28)의 내부 영역으로 내부 타공망 드럼(18)과 외부 타공망 드럼(22)에 있는 제1배출구(17)와 제2배출구(21)가 위치되므로서, 제1배출구(17)와 제2배출구(21)를 각각 빠져나온 1차 선별 폐기물과 1차 선별 폐기물이 배출 슈트(28)를 통해 아래쪽으로 분류되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The discharge chute 28 is a housing type that simultaneously surrounds the front ends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18 and the outer perforated net drum 22, and is installed in a structure supported on the frame 10, and the discharge chute 28 installed in this way ), the first outlet 17 and the second outlet 21 in the inner perforated net drum 18 and the outer perforated net drum 22 are positioned as the inner area of the , so the first outlet 17 and the second outlet 21 ), the primary sorting waste and the primary sorting waste that have exited each can be sorted downward through the discharge chute 28 and discharged.

그리고, 상기 배출 슈트(28)의 내부에는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제1배출구(17)와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제2배출구(21)에서 배출되는 선별 폐기물을 구분하여 유도하는 구획판(29)이 설치된다. And, inside the discharge chute 28, a partition plate for guiding the sorted wastes discharged from the first outlet 17 of the inner perforated net drum 18 and the second outlet 21 of the external perforated net drum 22 (29) is installed.

즉, 상기 구획판(29)은 배출 슈트(28)의 내부에서 제2배출구(21)의 끝과 내부 타공망 드럼(22)의 외주부 간의 경계부위에서부터 배출 슈트 하단까지 아래로 수직 연장되는 형태로 설치된다.That is, the partition plate 29 is installed in a vertically extending form from the boundary between the end of the second outlet 21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22 inside the discharge chute 28 to the bottom of the discharge chute. do.

이에 따라, 뒷쪽의 제2배출구(21)에서 배출되는 2차 선별 폐기물과 앞쪽의 제1배출구(17)에서 배출되는 1차 선별 폐기물은 구획판(29)에 의해 각각 분리 배출되므로서, 1차 선별 폐기물 및 2차 선별 폐기물의 회수 처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secondary sorting waste discharged from the second outlet 21 at the rear side and the primary sorting waste discharged from the first outlet 17 at the front are separately discharged by the partition plate 29, so that the primary It becomes possible to more easily recover and process the sorting waste and the secondary sorting waste.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트롬멜 선별기의 작동상태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ccordingly, the operating state of the trommel sorter configured in this way is as follows.

먼저, 유기성폐기물 건조 설비(미도시)에서 건조 처리를 마친 건조 유기성폐기물이 컨베이어(미도시) 등을 통해 파이프 피더(15)의 투입구(13)로 투입된다.First, the dried organic waste that has been dried in an organic waste drying facility (not shown) is fed into the inlet 13 of the pipe feeder 15 through a conveyor (not shown) or the like.

다음, 파이프 피더(15)의 내부로 투입된 건조 유기성폐기물은 스크류 피더(11)의 작동에 의해 앞쪽으로 밀려나면서 파이프 피더(15)의 배출구(14)를 빠져나가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내부로 공급된다. Next, the dry organic waste injected into the pipe feeder 15 is pushed forward by the operation of the screw feeder 11 and exits the outlet 14 of the pipe feeder 15 to the inside of the in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18. is supplied

다음, 회전하는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내부로 들어온 건조 유기성폐기물 속의 중간 이물질과 가는 이물질은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홀을 통해 빠져나가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내부로 공급되고, 이와 더불어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홀을 빠져나가지 못한 굵은 이물질, 즉 1차 선별 폐기물은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앞쪽으로 진행된 후, 제1배출구(17)를 통해 빠져나가게 되고, 계속해서 배출 슈트(28)를 통해 배출되어 회수될 수 있게 된다. Next, the intermediate foreign substances and fine foreign substances in the dry organic waste that have entered the inside of the rotating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18 are supplied through the hole of the inner perforated net drum 18 and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external perforated net drum 22, with The coarse foreign material that did not pass through the hole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18, that is, the primary sorting waste, proceeds to the front of the inner perforated net drum 18, and then exits through the first outlet 17, and continues to the discharge chute ( 28) and can be recovered.

다음, 회전하는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내부로 들어온 건조 유기성폐기물 속의 가는 이물질은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홀을 통해 빠져나가 아래쪽의 케이스 슈트(31)쪽으로 떨어지게 되고, 이와 더불어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홀을 빠져나가지 못한 중간 이물질, 즉 2차 선별 폐기물은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앞쪽으로 진행된 후, 제2배출구(21)를 통해 빠져나가게 되고, 계속해서 배출 슈트(28)를 통해 배출되어 회수될 수 있게 된다. Next, the fine foreign material in the dry organic waste that has entered the inside of the rotating ex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22 goes out through the hole of the external perforated net drum 22 and falls toward the lower case chute 31, along with the external perforated net drum ( 22), the intermediate foreign matter, that is, the secondary sorting waste, which has not passed through the hole in the hole, proceeds to the front of the ex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22, and then exits through the second outlet 21, and continues through the discharge chute 28. discharged and can be recovered.

다음,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배출 슈트(28)로 떨어진 가는 이물질, 즉 3차 선별 폐기물은 스크류 이송장치(26)의 내부로 유입되고, 이렇게 유입된 3차 선별 폐기물은 스크류 축(26a)의 회전에 의해 앞쪽으로 이송된 후, 계속해서 이송 케이스(26c)에 있는 폐기물 배출구(26b)를 통해 배출되어 회수될 수 있게 된다. Next, the fine foreign material that has fallen into the discharge chute 28 of the ex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22, that is, the tertiary sorting waste is introduced into the screw transfer device 26, and the tertiary sorted waste thus introduced is the screw shaft 26a). After being transferred to the front by the rotation of , it is continuously discharged through the waste outlet 26b in the transfer case 26c and can be recovered.

따라서, 건조 유기성폐기물은 내부 이중망 드럼(18)과 외부 이중망 드럼(22)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굵은 이물질, 중간 이물질, 가는 이물질 등 크기별로 선별된 후에 각각 회수되어 재분류 또는 사료 등으로 이용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dry organic waste is collected by size such as coarse foreign material, medium foreign material, and fine foreign material while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internal double mesh drum 18 and the external double mesh drum 22, and then collected and used as reclassification or feed. can become

특히, 상기 내부 타공망 드럼(18)과 외부 타공망 드럼(22)에 의한 1차 및 2차 선별 시, 내부 타공망 드럼(18)에는 내부 타공망 드럼 내부 베플(24a) 및 내부 타공망 드럼 외부 베플(24b)을 갖춤과 더불어 외부 타공망 드럼(22)에는 외부 타공망 드럼 내부 베플(25)을 갖추고, 이러한 베플들이 드럼 역회전에 의해 각각 또는 서로 엇갈리면서 건조 유기물폐기물과 간섭을 일으켜 건조 유기성폐기물을 타격함으로써, 건조 유기성폐기물 중 입도가 큰 것을 선별할 때 내외부 타공망 드럼(18,22)의 전체 타공면이 넓게 활용될 수 있게 되고, 건조 유기성폐기물이 타격에 의한 마찰 운동을 일으킬 수 있게 되는 등 건조 유기성폐기물의 선별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during the primary and secondary sorting by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18 and the ex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22,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18 has an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inner baffle 24a and an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outer baffle 24b In addition, the ex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22 is provided with an inner baffle 25 of the external perforated net drum, and these baffles interfere with the dry organic waste while crossing each or each other by the reverse rotation of the drum, and by striking the dry organic waste, drying When sorting organic wastes with a large particle size, the entire perforated surface of the inner and outer perforated network drums 18 and 22 can be widely used, and the dry organic waste can cause frictional motion due to blows, etc. Selection of dry organic wastes efficiency can be increas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이중 타공망 드럼을 이용하여 건조 유기성폐기물 속에 포함되어 있는 비닐류, 나무젓가락, 스푼, 풀뿌리 등과 같은 굵은 입자의 선별 폐기물은 물론 중간 입자의 선별 폐기물, 그리고 사료 등으로 사용가능한 가는 입자의 선별 폐기물을 크기에 따라 단계별로 분류할 수 있는 새로운 유기성폐기물 선별기를 제공함으로써, 선별기 설비의 일일 처리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등 선별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선별기 설비의 내구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 및 보수 등 선별기 설비를 효율적으로, 또 경제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As such, i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double perforated mesh drum, the screening waste of coarse particles such as vinyls, wooden chopsticks, spoons, grass roots, etc. contained in the dried organic waste, as well as the screening waste of intermediate particles, fine particles that can be used as feed, etc. By providing a new organic waste sorting machine that can classify the sorting wastes of the sorting equipment step by step according to their size, the efficiency of sorting operation can be increased, such as increasing the daily processing capacity of the sorter equipment, and the durability of the sorter equipment can be extended. In addition to this,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and economically operate the sorting equipment such as maintenance and repair.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내부 타공망 드럼과 외부 타공망 드럼에 건조 유기성폐기물을 타격함과 더불어 이송시키는 역할의 베플을 갖춘 새로운 트롬멜 선별기를 제공함으로써, 베플의 타격에 의한 마찰 운동을 유도하여 선별 효율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new trommel sorter equipped with a baffle that serves to blow and transport dry organic waste to the inner perforated net drum and the external perforated net drum, the selection efficiency is improved by inducing frictional motion by hitting the baffle. can be further improved.

10 : 프레임
11 : 스크류 피더
12 : 스크류 피더 구동부
13 : 투입구
14 : 배출구
15 : 파이프 피더
16 : 제1롤지지장치
17 : 제1배출구
18 : 내부 타공망 드럼
19 : 내부 타공망 드럼 구동부
20 : 제2롤지지장치
21 : 제2배출구
22 : 외부 타공망 드럼
23 : 외부 타공망 드럼 구동부
24a : 내부 타공망 드럼 내부 베플
24b : 내부 타공망 드럼 외부 베플
25 : 외부 타공망 드럼 내부 베플
26 : 스크류 이송장치
27 : 스크류 이송장치 구동부
28 : 배출 슈트
29 : 구획판
30 : 지지대
31 : 모터 프레임
32 : 케이스 슈트
33 : 보조 프레임
10: frame
11: screw feeder
12: screw feeder driving unit
13: inlet
14: outlet
15 : pipe feeder
16: first roll support device
17: first outlet
18: inner perforated mesh drum
19: in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driving unit
20: second roll support device
21: second outlet
22: external perforated net drum
23: ex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driving unit
24a: inner perforated mesh drum inner baffle
24b: inner perforated drum outer baffle
25: Outer perforated net drum inner baffle
26: screw transfer device
27: screw feeder driving unit
28 : discharge chute
29: partition plate
30: support
31: motor frame
32 : case suit
33: auxiliary frame

Claims (6)

프레임(10) 상에 양단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면서 건조 유기성폐기물을 앞쪽으로 밀어내는 스크류 피더(11) 및 상기 스크류 피더(11)의 회전을 위한 스크류 피더 구동부(12);
건조 유기성폐기물의 투입과 배출을 위한 투입구(13) 및 배출구(14)를 가지고 있으며 스크류 피더(11)의 후단부 외측 둘레에 동심원 상으로 배치되면서 프레임(10) 상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파이프 피더(15);
상기 스크류 피더(11) 및 파이프 피더(15)의 외측 둘레에 동심원 상으로 배치되면서 제1롤지지장치(16)와 스크류 피더(11)측에 양단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됨과 더불어 선단부에는 외주면 일부를 사각형으로 절개한 형태의 제1배출구(17)를 가지고 있고, 복수 개의 내부 타공망 드럼 내부 베플(24a) 및 내부 타공망 드럼 외부 베플(24b)을 가지고 있으며, 건조 유기성폐기물을 1차 선별하는 내부 타공망 드럼(18) 및 상기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회전을 위한 내부 타공망 드럼 구동부(19);
상기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외측 둘레에 동심원 상으로 배치되면서 제2롤지지장치(20)에 양단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됨과 더불어 선단부에 제2배출구(21)를 가지고 있고, 복수 개의 외부 타공망 드럼 내부 베플(25)을 가지고 있으며, 내부 타공망 드럼(18)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내부 타공망 드럼(18)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홀 크기를 가지면서 건조 유기성폐기물을 2차 선별하는 외부 타공망 드럼(22) 및 상기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회전을 위한 외부 타공망 드럼 구동부(23);
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타공망 드럼 내부 베플(24a)과 내부 타공망 드럼 외부 베플(24b)은 일정 길이를 갖는 평철 형태로서,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평철 폭방향으로 세워진 자세를 유지하면서 고정 설치되고, 상기 내부 타공망 드럼 내부 베플(24a)과 내부 타공망 드럼 외부 베플(24b)은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길이방향을 따라가면서 연속해서 이어지는 동시에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원주방향을 따라가면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상기 외부 타공망 드럼 내부 베플(25)은 일정 길이를 갖는 평철 형태로서,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내주면 평철 폭방향으로 세워진 자세를 유지하면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외부 타공망 드럼 내부 베플(25)은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길이방향을 따라가면서 연속해서 이어지는 동시에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원주방향을 따라가면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상기 내부 타공망 드럼 내부 베플(24a) 및 내부 타공망 드럼 외부 베플(24b)을 갖춤으로써, 건조 유기성폐기물 중 입도가 큰 것을 선별할 때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전체 타공면을 넓게 활용할 수 있게 되며, 외부 타공망 드럼(22)과의 역회전 시에는 외부 타공망 드럼(22)에 있는 외부 타공망 드럼 내부 베플(25)과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내부 타공망 드럼 외부 베플(24b)이 상호 간의 역회전 움직임을 보이면서 건조 유기성폐기물을 타격하게 되는 등 타격에 의한 마찰 운동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엉켜 있거나 뭉쳐 있는 건조 유기성폐기물을 풀어서 헤쳐줄 수 있는 등 선별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고,
상기 내부 타공망 드럼(18)과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선단부를 동시에 감싸고 있는 하우징 형태의 배출 슈트(28)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 슈트(28)의 내부 영역으로 내부 타공망 드럼(18)과 외부 타공망 드럼(22)에 있는 제1배출구(17)와 제2배출구(21)가 위치되므로서, 제1배출구(17)와 제2배출구(21)를 각각 빠져나온 1차 선별 폐기물과 1차 선별 폐기물이 배출 슈트(28)를 통해 아래쪽으로 분류되어 배출될 수 있게 되고,
상기 배출 슈트(28)의 내부에는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제1배출구(17)와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제2배출구(21)에서 배출되는 선별 폐기물을 구분하여 유도하는 구획판(29)이 설치되되, 상기 구획판(29)은 배출 슈트(28)의 내부에서 제2배출구(21)의 끝과 내부 타공망 드럼(22)의 외주부 간의 경계부위에서부터 배출 슈트 하단까지 아래로 수직 연장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롬멜 선별기.
a screw feeder 11 for pushing dry organic waste forward while being installed on the frame 10 in a structure supported at both ends and a screw feeder driving unit 12 for rotation of the screw feeder 11;
A pipe which has an inlet 13 and an outlet 14 for input and discharge of dry organic waste and is installed in a structure supported on the frame 10 while being arranged concentrically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rear end of the screw feeder 11 feeder (15);
The screw feeder 11 and the pipe feeder 15 are arranged concentrically around the outer periphery and are installed in a structure to be supported at both ends on the side of the first roll support device 16 and the screw feeder 11, and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provided at the distal end. It has a first outlet 17 in the form of a square cutout, has a plurality of inner perforated net drum inner baffles 24a and an inner perforated net drum outer baffle 24b, and an inner perforated net drum for primary screening of dry organic waste (18) and an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driving unit 19 for rotation of the inner perforated net drum 18;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18 is arranged concentrically around the outer periphery and is installed in a structure supported at both ends by the second roll support device 20 and has a second outlet 21 at the front end, and a plurality of ex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s It has an inner baffle 25 and has a relatively large diameter compared to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18 and has a relatively small hole size compared to the inner perforated net drum 18. An external perforated network for secondary screening of dry organic waste an ex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driving unit 23 for rotation of the drum 22 and the external perforated net drum 22;
Including,
The inner baffle 24a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and the outer baffle 24b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are flat-convex shapes having a certain length, and are fixedly installed on the inner and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18 while maintaining an erect posture in the width direction. , The inner baffle 24a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and the outer baffle 24b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are continuously connec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18 at a certain interval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18 It becomes possible to consist of a plurality of pieces arranged as
The ex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inner baffle 25 is a flat-convex shape having a certain length, and is fixedly installed while maintaining an erect postur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x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22, and the ex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inner baffle 25 is external It can be made of a plurality of perforated net drum 22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erforated net drum 22 while continuously continu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um 22,
By having the inner baffle 24a of the inner perforated net drum and the outer baffle 24b of the inner perforated net drum, the entire perforated surface of the inner perforated net drum 18 can be widely utilized when sorting the dry organic waste with a large particle size, During reverse rotation with the ex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22, the external perforated net drum inner baffle 25 of the outer perforated net drum 22 and the inner perforated net drum outer baffle 24b of the inner perforated net drum 18 move in reverse rotation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induce frictional motion by hitting, such as hitting the dry organic waste while showing
and a discharge chute 28 in the form of a housing enclosing the front ends of the inner perforated net drum 18 and the outer perforated net drum 22 at the same time, and an inner perforated net drum 18 and the outer as an inner region of the discharge chute 28 Since the first outlet 17 and the second outlet 21 in the perforated mesh drum 22 are located, the first sorting waste and the first sorting out of the first outlet 17 and the second outlet 21, respectively The waste can be sorted downward through the discharge chute 28 and discharged;
Inside the discharge chute 28, a partition plate 29 for guiding the sorted wastes discharged from the first outlet 17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18 and the second outlet 21 of the external perforated net drum 22 ) is installed, and the partition plate 29 extends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boundary between the end of the second outlet 21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22 in the discharge chute 28 to the bottom of the discharge chute. Trommel sort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in the form.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 타공망 드럼(18)의 내부 타공망 드럼 내부 베플(24a) 및 내부 타공망 드럼 외부 베플(24b)과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외부 타공망 드럼 내부 베플(25)은 끝 부분이 호(弧) 형상을 이루며 휘어져 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롬멜 선별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ner baffle 24a of the inner perforated network drum 18 and the outer baffle 24b of the inner perforated net drum and the outer perforated net drum inner baffle 25 of the outer perforated net drum 22 have an arc-shaped end A trommel sort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curved shap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타공망 드럼(22)의 하부에 나란하게 배치됨과 더불어 프레임(10) 상에 양단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외부 타공망 드럼(22)을 거친 선별 폐기물을 이송시켜주는 스크류 이송장치(26) 및 스크류 이송장치 구동부(2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롬멜 선별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crew conveying device 26 and a screw disposed in parallel to the lower portion of the external perforated network drum 22 and installed in a structure supported at both ends on the frame 10 and transporting the sorted wast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external perforated net drum 22 Trommel sort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ransfer device driving unit (27).
삭제delete
KR1020190095462A 2019-08-06 2019-08-06 Trommel screen KR1022597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462A KR102259772B1 (en) 2019-08-06 2019-08-06 Trommel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462A KR102259772B1 (en) 2019-08-06 2019-08-06 Trommel scre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961A KR20210016961A (en) 2021-02-17
KR102259772B1 true KR102259772B1 (en) 2021-06-01

Family

ID=74731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462A KR102259772B1 (en) 2019-08-06 2019-08-06 Trommel scre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977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77801B (en) * 2021-10-08 2022-12-27 洛阳山河混凝土科技工程有限公司 Concrete slurry recycling device
CN114433463B (en) * 2022-04-11 2022-06-28 滨州市沾化区镪力新型建材有限公司 Material distributing and transferring device for aerated brick production
CN117443710B (en) * 2023-12-13 2024-05-07 泰兴市淳芬塑料制品有限公司 Movable granulator with sorting func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7829A (en) * 1999-11-12 2001-05-22 Fujiki:Kk Metal classifying and collecting device for refuse incineration ash
KR101197299B1 (en) * 2012-05-08 2012-11-05 (주) 엠엔이엔티 Apparatus for sorting solid wast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2383A (en) * 1982-09-30 1984-04-09 Mitsubishi Heavy Ind Ltd Treatment of waste synthetic polymer by compacting and solidifying
KR200255183Y1 (en) 2001-08-10 2001-12-13 금강산랜드 주식회사 The aout separator of wastefood
KR20090033926A (en) * 2007-10-02 2009-04-07 주식회사 대흥금속 Dualpipe type heat exchanger and method for menufacturing the same
KR101252271B1 (en) 2012-10-25 2013-04-08 (주) 리클린 Drum-sorter with increased filtering efficiency of the food-waste's solid content by using washing-nozzle and the food-waste recycling system with the drum-sorter
KR101780227B1 (en) 2016-01-27 2017-09-21 주식회사 평안엔비텍 Automatic sorting garbage
KR20190029152A (en) * 2017-09-12 2019-03-2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Apparatus for dry cleaning gravels
KR101940451B1 (en) 2018-05-04 2019-01-18 주식회사 삼우티씨씨 Separate sorter for organic dry active solid wast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7829A (en) * 1999-11-12 2001-05-22 Fujiki:Kk Metal classifying and collecting device for refuse incineration ash
KR101197299B1 (en) * 2012-05-08 2012-11-05 (주) 엠엔이엔티 Apparatus for sorting solid was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961A (en) 202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9772B1 (en) Trommel screen
KR101940451B1 (en) Separate sorter for organic dry active solid waste
KR101516568B1 (en) Combustible foreign matter dry blow screening device
KR100870621B1 (en) A apparatus to sort materials
KR101805768B1 (en) Liquid type washing, crushing and sorting system of contamination soil
KR100866517B1 (en) Sor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cycling of inflammable wastes
KR101742163B1 (en) Garbage crushing and sorting apparatus of organic waste
CN201150917Y (en) Soil and sand foreign matter sorting device
CN102671854A (en) Two-section drum screen for municipal domestic waste
WO2007136228A1 (en) Waste sorting apparatus with wobbling breakup unit
CN112077003B (en) Integrated form domestic waste sorting unit
CN217491199U (en) Construction waste retrieves with categorised broken integration processing system
KR100870648B1 (en) A apparatus to sort materials
KR100476021B1 (en) Apparatus for pulverizing unit of food waste and separating reject materials in the food waste automatically and method thereof
KR102054995B1 (en) Dry separator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or foreign substance of aggregate
KR101501452B1 (en)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by dual crushing-type
JP4966990B2 (en) Trommel waste sorting device, waste treatment facility, and waste sorting method
KR100189690B1 (en) Sorting apparatus for building wastes
KR100869063B1 (en) Apparatus for sorting spent fishing- nets
CN214132654U (en) Sand and soil separating mechanism
KR102361059B1 (en) Removing apparatus of dirt attatched to waste synthetic resin for solid fuel
KR101060754B1 (en) Oscillatory Type Household Waste Separator
CN112657840A (en) Household garbage sorting system
KR102605671B1 (en) Sorting system for living waste
KR20020029059A (en) Waste sel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