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0621B1 - Sorting device for sorting foreign matter contained in soil and aggregate by brush conveyor and specific gravity separation - Google Patents
Sorting device for sorting foreign matter contained in soil and aggregate by brush conveyor and specific gravity separ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70621B1 KR100870621B1 KR1020070061649A KR20070061649A KR100870621B1 KR 100870621 B1 KR100870621 B1 KR 100870621B1 KR 1020070061649 A KR1020070061649 A KR 1020070061649A KR 20070061649 A KR20070061649 A KR 20070061649A KR 100870621 B1 KR100870621 B1 KR 1008706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reign matter
- soil
- conveyor
- sorting
- aggregat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4887 air pu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10000001520 comb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408 swee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5204 segreg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29920006328 Styrofoam Polymer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10985 leath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9000012615 aggreg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6
- 239000010812 mixed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49 combustible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4/00—Separating by pneumatic tables or by pneumatic jigs
- B03B4/04—Separating by pneumatic tables or by pneumatic jigs using rotary tables or tables formed by travelling bel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4/00—Separating by pneumatic tables or by pneumatic jigs
- B03B4/02—Separating by pneumatic tables or by pneumatic jigs using swinging or shaking tab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러시 컨베이어와 비중분리에 의하여 토사 및 골재에 포함된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건설폐기물 중간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폐사토 또는 비위생 쓰레기 매립장에서 수거한 매립폐기물에 포함된 혼합쓰레기를 선별시스템의 제 1선별기에서 개략적으로 35mm∼50mm정도로 선별된 선별토사나 골재에서 이물질을 분리제거하기 위해 1차 선별기에서 배출되는 선별토사를 이물질분리 컨베이어로 이송하는 과정과, 상기 선별토사와 골재에 혼합되어 있는 경량성 이물질인 비닐, 목재, 스티로폼, 섬유류, 가죽, 검불류 등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1차 및 2차에 걸쳐 송풍에 의한 비중분리로 분리함과 동시에 3차에 걸쳐 진동채를 통과하면서 양질의 토사나 골재를 분리선별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rting device for sorting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soil and aggregate by a brush conveyor and specific gravity separation, and more preferably to the landfill waste collected in the waste soil or non-sanitary landfill site generated during the construction waste intermediate treatment process. Transferring the sorted soil discharged from the primary sorting machine to the foreign matter separating conveyor to separate and remove foreign matters from the sorted soil or aggregates sorted approximately 35 mm to 50 mm in the first sorting system of the sorting system. In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lightweight foreign materials mixed with the selected soil and aggregate, vinyl, wood, styrofoam, fiber, leather, gum, etc. It is for separating and separating high-quality soil and aggregate while passing through the vibration.
그 구성은 선별시스템의 제 1선별기에서 선별된 선별토사를 1차적으로 이물질 분리컨베이어에서 송풍과 T/C회전체로 이물질을 분리한 토사를 2차에 걸쳐 선별장치의 하우징 내부에서 다시 송풍에 의해 비중 분리하여 양질의 토사를 선별함과 동시에 분리된 이물질을 진동채나 선별식 회전통에 의해 채가름하여 양질의 토사를 3차에 걸쳐 선별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Its composition consists of blowing the sediment selected from the first sorter of the segregation system by blowing air and sewage separated from the foreign matter separation conveyor by T / C rotating body in the housing of the segregation unit. It separates the specific gravity and selects the high quality soil, and at the same time, separates the separated foreign matter by vibrating sieve or the sorting rotary tube so that the high quality soil can be sorted three times.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서 선별시스템의 전반적인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구성도이다. 1 is a plan view showing the overall installation of the sorting system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비중에 의해 토사 및 골재를 선별하기 위한 선별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orting device for sorting soil and aggregates by the specific gravit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선별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이물질분리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 foreign matter separator constituting the sor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선별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이물질분리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foreign matter separator constituting the sor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선별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회전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otating body constituting the sor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선별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진동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vibrating body constituting the sor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선별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또 다른 실시 예의 이물질분리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Figure 7 is a front view showing a foreign matter separator of another embodiment constituting the sor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의 이물질분리기의 송풍배출관의 외부에 회전롤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otary roll is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blower discharge pipe of the foreign matter separator of FIG.
도 9는 도 7의 이물질분리기의 송풍배출관의 외부에 회전롤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otary roll is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blower discharge pipe of the foreign matter separator of FIG.
도 10은 본 발명의 비중에 의해 토사 및 골재를 선별하기 위한 선별장치를 나타낸 또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showing a sorting device for sorting soil and aggregates by specific gravity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이물질분리기 11. 이물질분리 컨베이어10.
12. 회전솔 13. 송풍기12. Rotary Brush 13. Blower
14. 브러시 15. 이물질분리 컨베이어밸트14. Brush 15. Contaminant Separation Conveyor Belt
16. 이물질 이송컨베이어 17. 이물질 배출컨베이어16.
18. 구동모터 20. 하우징18.
21. 선별토사 투입구 22. 송풍구21.
23. 토사배출구 24. 이물질배출구23.
25. 차단판 30. 송풍기25.
31. 송풍관 40. T/C회전체31.Blowing pipe 40.T / C rotating body
41. 회전축 42. 강봉빗살41.
50. 배출컨베이어 60. 진동채50.
70. 이송컨베이어 80. 이물질배출컨베이어70.
90. 공기정화 싸이크론 100. 선별장치90.
본 발명은 브러시 컨베이어와 비중분리에 의하여 토사 및 골재에 포함된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건설폐기물 중간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폐사토 또는 비위생 쓰레기 매립장에서 수거한 매립폐기물에 포함된 혼합쓰레기를 선별시스템의 제 1선별기에서 개략적으로 35mm∼50mm정도로 선별된 선별토사나 골재에서 이물질을 분리제거하기 위해 1차 선별기에서 배출되는 선별토사를 이물질분리 컨베이어로 이송하는 과정과, 상기 선별토사와 골재에 혼합되어 있는 경량성 이물질인 비닐, 목재, 스티로폼, 섬유류, 가죽, 검불류 등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1차 및 2차에 걸쳐 송풍에 의한 비중분리로 분리함과 동시에 3차에 걸쳐 진동채를 통과하면서 양질의 토사나 골재를 분리선별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rting device for sorting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soil and aggregate by a brush conveyor and specific gravity separation, and more preferably to the landfill waste collected in the waste soil or non-sanitary landfill site generated during the construction waste intermediate treatment process. Transferring the sorted soil discharged from the primary sorting machine to the foreign matter separating conveyor to separate and remove foreign matters from the sorted soil or aggregates sorted approximately 35 mm to 50 mm in the first sorting system of the sorting system. In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lightweight foreign materials mixed with the selected soil and aggregate, vinyl, wood, styrofoam, fiber, leather, gum, etc. It is for separating and separating high-quality soil and aggregate while passing through the vibration.
일반적으로 건설폐토사나 매립지에 매립된 쓰레기 중에는 재활용 가능한 자원 및 오랜 시간이 지나도 분해되지 않는 폐기물들이 제대로 선별되지 않는 채로 무작위로 매립되어 있으므로 쓰레기의 재매립량이 증가하고 쓰레기의 함수율이 높아 선별 후에도 쓰레기의 무게가 높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쓰레기의 처리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심각한 토양의 오염을 유발하여 자원의 재활용 측면에서 매우 비효율적이라는 문제를 낳고 있다.In general, among the landfills of landfills or landfills, randomly reclaimed wastes that cannot be sorted out after recyclable resources and long-term wastes are randomly reclaimed. Not only is it high in weight, it causes excessive waste disposal costs and causes serious soil contamination, resulting in a very inefficient resource recycling.
또한, 매립된 쓰레기에서 침출수와 악취 및 비산먼지가 발생하여 환경오염을 야기하는 한편 재활용이 가능한 자원이 낭비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leachate, odor and scattering dust are generated from the landfill waste, causing environmental pollution, and waste of recyclable resources.
그리고 건설공사 현장에서 발생하는 건축폐기물도 매년 늘어나고 있음에도 불구 하고 이에 대한 재활용 실적은 매우 저조한 상황인 것이 현실이다.In addition, despite the fact that construction wastes generated at construction sites are increasing every year, the recycling performance is very low.
따라서 공사현장에서 발생한 건축쓰레기나 일반 폐 쓰레기는 재활용이 가능 한 자원과 가연성 소각용 쓰레기 및 매립용 쓰레기로 분리 선별하여 재활용이 불가능한 쓰레기만을 소각 또는 매립하여 처리함으로써, 쓰레기의 처리량을 대폭 줄이는 한편 선별쓰레기를 건조선별분리기에 재투입하여 건조시키고 이물질을 제거하여 감량화시켜 소각 또는 매립량을 최소화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처리할 필요성이 있다.Therefore, building wastes and general wastes generated at the construction site are separated and sorted into recyclable resources, combustible incineration wastes, and landfill wastes. There is a need to efficiently dispose of waste by re-inputting the waste into a drying separator, minimizing the amount of incineration or landfill by removing and reducing the foreign matter.
그래서 본 출원인은 매립된 혼합쓰레기를 굴착하여 토사 및 골재와 쓰레기를 분리 선별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특허 제674817호의 "비중분리식 쓰레기 감량화 선별장치"를 개발하였다.Therefore, the present applicant has developed "Non-separable waste reduction screening device" of Patent No. 674,817 to excavate the landfill mixed waste and to separate and recycle the soil, aggregate and waste.
상기 공개된 특허는 1차적으로 대략 선별된 선별토사가 투입 컨베이어를 타고 하우징 내부로 투입될 때 선별토사에 포함된 혼합쓰레기를 선별하기 위하여 하우징의 내부에 한 쌍의 완충부재를 설치하여 투입되는 선별토사의 충격을 줄이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완충부재는 상하로 회전하는 샤프트의 전방으로 다수의 완충바를 장착하였고, 또 완충바의 양측에 형성된 암은 탄성스프링에 지지되어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하고 있다.The disclosed patent discloses a screening process in which a pair of cushioning members are installed in a housing to sort mixed waste contained in the screening soil when the screening soil selected as the first screen i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by an input conveyor. To reduce the impact of the soil, the shock absorbing member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shock absorbing bar in front of the shaft to rotate up and down, and the arm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hock absorbing bar is configured to have an elastic force is supported by the elastic spring.
그러나 상기 구성은 하우징 내부로 투입된 선별토사가 1차 및 2차에 걸쳐 완충바에 부딪치면서 완충바를 하향시킴과 동시에 충격을 완화하기 때문에 탄성스프링에 의해 상하로 진동하는 완충바에 무리가 생겨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완충바를 자주 교체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However, the configuration is because the sediment introduced into the housing bumps the buffer bar over the first and second, while lowering the buffer bar and at the same time to alleviate the impact due to the elastic spring springs to the buffer bar vibrating up and down to be bent or broken In some cases, it was inconvenient to replace the buffer bar frequently.
그뿐만 아니라 상기 완충바를 완충하기 위해 완충바 양측의 암에 장착된 탄성스프링도 잦은 신축작용에 의해 늘어가게 되어 완충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하였다.In addition, the elastic springs mounted on the arms of both sides of the buffer bar in order to buffer the buffer bar are also stretched by frequent stretching, resulting in a case where the buffering role is not properly performed.
또한, 제 1선별기에서 선별된 선별토사에 포함된 이물질을 선별하기 위하여 개발한 특허 제639826호의 "참 빗살을 이용한 토사 이물질 선별장치"는 크러셔와 진동선별기 및 선별망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선별장치를 통해 1차적으로 선별된 선별토사의 덩어리를 로터리파쇄기로 파쇄한 후, 파쇄된 선별토사를 T/C회전체 (Teeth of a comb roll)에 장착된 다수의 빗살 강봉에 의해 채가름으로 선별토사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리시켜 낙하되는 선별토사를 진동채에 의하여 토사와 이물질을 쉽게 분리시킨 후, 다시 이송하면서 로터리파쇄기로 분산함과 동시에 송풍으로 분진 및 이물질을 수거하기 위한 자유낙하법에 의한 선별장치의 구성으로, 상기 구성은 선별토사가 하우징 내로 투입되면서 T/C회전체의 강봉 빗살에 의해 채가름될 때, 이물질이 강봉 빗살에 걸리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되므로 이를 분리하기 위한 롤 브러시를 추가로 장착하여야 하므로 그 구성이 복잡하다. 또한, 분리된 토사와 이물질이 진동채로 낙하 되어 진동에 의해 토사를 분리하게 될 때 스크린 홀이 막히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되므로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없었던 것이다.In addition, Patent No. 639826, "Soil foreign matter sorting device using true comb teeth," developed to sort out foreign matters included in the sorted soil selected by the first sorter, through a sorting device including a crusher, a vibrator and a sorting network. After crushing the firstly sorted sediment of sediment with a rotary crusher, the sedimented sediment is attached to the sediment by slicing it with a plurality of comb bars mounted on a T / C rotating body (Teeth of a comb roll). The sedimented sediment that falls by separating the separated foreign matters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sediment and the foreign matters by vibrating sieves, and then distributed again to the rotary crusher while being transported again. In the configuration, the configuration is that when the sediment is sedimented by the rod comb of the T / C rotating body while being injected into the housing, foreign matter is caught in the rod comb Its configuration is complicated, because if it is so frequently be equipped with an additional roll brush to separate them. In addition, when the separated soil and foreign matter falls to the vibration and the soil is separated by vibration, screen holes are often clogged, so work efficiency could not be improved.
상기와 같은 방법 이외에도 채가름 망이 적은(주로 20mm이하) 진동채나 회전솔 방법 등에 의하여 토사 이물질을 제거하고 있으나, 처리 용량이 작고 채가름망 막힘 현상과 회전솔의 끼임과 파손되는 문제점이 크게 대두 되고 있으며 특히 20mm이상의 토석이 토사 이물질로 처리됨으로 인하여 자원의 낭비가 많고 그만큼 선별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o the above methods, soil dirt is removed by vibrating blades or rotary brush method with a small mesh net (mainly 20mm or less), but the processing capacity is small, and the problem of clogging of the mesh net and pinching and breaking of the rotary brush is large. In particular, since more than 20 mm of soil is treated with soil particles, there is a lot of waste of resources and the sorting efficiency is reduc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건설공사 현장에서 발생되는 폐토사나 매립장 쓰레기를 굴착하여 1차 선별시스템에서 선별한 토사나 골재에 포함된 이물질을 이물질분리 컨베이어와 토사선별장치에서 송풍에 의한 비중분리로 선별하여 양질의 토사를 제조함으로써, 자원을 재활용함과 동시에 환경훼손을 줄이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excavated waste soil or landfill waste generated in the construction site to separate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soil or aggregates selected in the primary screening system, foreign matter separation conveyor and soil screening devic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environmental damage while recycling resources while manufacturing high quality soil by sorting by specific gravity separation by blowing air.
즉, 1차 선별기에서 배출되는 선별토사나 골재에 포함한 이물질을 1차적으로 이물질분리기에 장착된 회전롤과 송풍장치로 분리선별하고, 2차적으로 토사선별장치의 하우징 내부에 투입되면서 T/C(Teetch of comb roll : 빗살)회전체에 의해 채가름되어 분산되는 이물질을 송풍을 가하여 비중분리로 분리하여 양질의 토사나 골재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That is, foreign matters contained in the sediment or aggregate discharged from the primary segregator are separated and sorted by a rotary roll and a blower mounted on the foreign matter separator firstly, and secondly, the T / C ( Teetch of comb roll (comb) It is also aimed to obtain high quality soil or aggregate by separating the debris separated by specific gravity by blowing air.
또한, 본 발명은 1차 및 2차에 걸쳐 분리된 이물질에 포함된 토사나 골재를 3차에 걸쳐 진동채의 진동으로 토사와 이물질을 마지막까지 선별하여 분리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sediment or aggregate contained in the foreign matter separated in the first and second to be separated by separating the soil and foreign matter to the end by the vibration of the vibration over three times.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진동채는 스크린을 2중으로 중첩하여 상부스크린의 홀 규격이 하부스크린 홀의 규격보다 작게 형성하여 진동시 상호 떨림 차이에 의하여 하부 스크린의 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vibrating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verlap the screen in a double to form a hole size of the upper screen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lower screen hole to prevent the hole of the lower screen is blocked by the vibration difference between the vibration.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 내부로 투입되는 선별토사 및 골재를 비중에 의하여 이물질을 선별하여 분리시키는 송풍을 공기정화 싸이크론에서 정화한 후, 깨끗한 공기만을 다시 하우징 내부로 투입하여 순환시키기 때문에 먼지의 비산과 탁한 공기의 유출이 없는 친환경적으로 자원을 재활용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urifies the air blown to sort and separate the foreign matter separated by the specific gravity of the sediment and the aggregate introduced into the housing in the air purification cyclone, and then only the clean air is put back into the housing to circulate dust and Its purpose is to recycle resources in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anner without the release of muddy air.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object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본 발명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별시스템의 제 1선별기(300)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이 포함된 선별토사를 이송하는 이물질 분리컨베이어(11)의 하부에 형성된 회전솔(12)에 송풍을 가하는 송풍기(13)와, 상기 이물질 분리컨베이어(11) 상부 중앙부에 다수개가 장착되어 이물질을 분리하기 위해 다수의 브러시(14)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구동모터(18)에 의해 구동하는 이물질분리 컨베이어밸트(15)와, 상기 이물질 분리 컨베이어밸트(15)에 의해 1차 분리되어 이물질이송슬라이드판(19)을 타고 이송하는 이물질을 이물질배출컨베이(17)로 이송하기 위해 이물질 분리컨베이어(11)의 일측에 형성된 이물질 이송컨베이어(16)로 형성된 이물질 분리기(10)와,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to blow air to the
상기 이물질 분리기(10)에서 이물질이 1차 분리된 선별토사를 투입하기 위한 선별토사 투입구(21)가 형성된 하우징(20)과, A housing (20) formed with a sorted soil inlet (21) for injecting the sorted soil in which the foreign matter is first separated from the foreign matter separator (10);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 투입된 선별토사를 송풍기(30)에서 송풍구(22)로 유입되는 송풍에 의해 비중차로 분리하여 낙하되는 토사 및 골재를 완충시킴과 동시에 채가름 및 분산시키는 한 쌍의 T/C회전체(40)와,A pair of T for separating and dispersing the sediment and sediment introduced into the
상기 T/C회전체(40)에서 선별분리된 토사 및 골재를 배출하기 위해 토사배출구(23)의 하부에 설치되는 배출컨베이어(50)와,And discharge
상기 송풍기(30)의 송풍에 의해 비산되어 이물질 배출구(24)를 통해 낙하되는 이물질에서 토사 및 골재를 선별분리하기 위하여 상부스크린(62)과 하부스크 린(61)을 중첩한 진동채(60)와,
상기 진동채(60)에서 선별분리된 토사 및 골재를 배출컨베이어(50)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컨베이어(70) 및 분리된 이물질을 이송하기 위한 이물질배출컨베이어(80)와,A
상기 하우징(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송풍에 의해 비산되는 이물질은 이물질배출구(24)로 낙하시키게 함과 동시에 송풍만 배출시키기 위해 다수의 통공(251)이 천공된 차단판(25)과,The foreign matters scattered by the blowing air introduced into the
상기 차단판(25)을 통과한 송풍을 정화하여 송풍관(31)을 통해 프레임(200)의 상부에 장착된 송풍기(30)로 순환시키는 공기정화 싸이크론(9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 컨베이어와 비중분리에 의하여 토사 및 골재에 포함된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장치를 제공한다.The brush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ir purification cyclone (90) for purifying the air flow passing through the blocking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이물질 분리기(10)는 이물질 분리컨베이어(11)의 상부에 장착되어 송풍기(110)에서 배출되는 송풍을 유입구(120)로 유입하여 배출구(130)로 배출하기 위한 송풍배출관(140)과,In addition, the
상기 송풍배출관(140)의 외부에 장착되어서 상기 배출구(130)로 배출되는 송풍을 통과시키기 위해 외주면에 다수 천공된 통공(150) 및 이물질을 분리하는 브러시(160)가 형성되어 회전하는 이물질분리 회전롤(170)과, Is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상기 이물질분리 회전롤(170)의 외주면에 형성된 브러시(160)를 소재하기 위해 일측으로 장착된 소제용 회전솔(180)과,Sweeping
상기 이물질분리 회전롤(170)에 의해 분리된 이물질이 송풍에 의해 비중분리 되어 포집되는 비중분리실(190)과, A specific
상기 비중분리실(190)로 분리되어 온 이물질을 이송하기 위한 이물질 이송컨베이어(171)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 컨베이어와 비중분리에 의하여 토사 및 골재에 포함된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장치를 제공한다.The sorting device for sorting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earth and aggregate by a specific gravity convey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oreig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한 쌍의 T/C회전체(40)는 서로 상하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대향하는 내측으로 회전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 컨베이어와 비중분리에 의하여 토사 및 골재에 포함된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ir of T /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한 쌍의 T/C회전체(40)는 회전축(41)의 외주면에 등간격에 걸쳐 강봉 빗살(42)을 다수 형성한 것을 특징을 하는 브러시 컨베이어와 비중분리에 의하여 토사 및 골재에 포함된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ir of T /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물질 분리 컨베이어밸트(15)의 외주면에 다수의 브러시(14)를 등간격으로 설치하고, 상기 이물질 분리 컨베이어밸트(15) 저면에는 이물질이송슬라이드판(19)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 컨베이어와 비중분리에 의하여 토사 및 골재에 포함된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송풍기(30)에 의해 비산되는 이물질을 이물질 배출구(24)로 낙하시키기 위해 차단판(25)에 다수의 이물질 낙하수단(26)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 컨베이어와 비중분리에 의하여 토사 및 골재에 포함된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brush conveyor and specific gravity separation,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foreign matter dropping means 26 is configured in the blocking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진동채(60)는 상부스크린(62)의 홀(621) 규격이 하부 스크린(61)의 홀(611) 규격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 컨베이어와 비중분리에 의하여 토사 및 골재에 포함된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본 발명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물질 분리컨베이어(11)를 타고 이송되어온 선별토사를 투입하기 위한 선별토사 투입구(21)를 형성하고 있는 하우징(20)과,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 the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 투입된 선별토사를 송풍기(30)에서 송풍구(22)로 유입되는 송풍에 의해 비중차로 분리하여 낙하되는 토사 및 골재를 완충시킴과 동시에 채가름 및 분산시키기 위해 회전축(41)의 외주면에 강봉 빗살(42)을 다수 장착한 한 쌍의 T/C회전체(40)와,The
상기 T/C회전체(40)에서 선별분리된 토사 및 골재를 배출하기 위해 토사배출구(23)의 하부에 설치되는 배출컨베이어(50)와,And discharge
상기 송풍에 의해 비산되는 이물질을 다시 선별하기 위해 다수의 선별구멍(610)이 천공되어 프레임(200)의 상부 회전롤러(210)에 경사지게 지지되어 모터(211)의 축에 연결된 밸트(212)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선별식 회전통(600)과,A plurality of sorting
상기 선별식 회전통(600)에 의해 선별된 토사 및 골재를 배출컨베이어(50)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컨베이어(70) 및 선별된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이물질배출컨베이어(80)와,A
상기 회전식 선별통(600)의 선별구멍(610)을 통해 하우징(20)의 유도구(27)를 따라 유도되는 송풍을 유입하여 이물질과 분진을 정화시켜 송풍관(31)을 통해 송풍기(30)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정화 싸이크론(9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 컨베이어와 비중분리에 의하여 토사 및 골재에 포함된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장치를 제공한다.The blowing air guided along the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서 선별시스템의 전반적인 설치형태를 나타낸 평면 구성도로서,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폐기토사나 매립된 쓰레기를 굴착하여 쓰레기에 혼합된 토사와 골재를 선별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컨베이어를 통하여 이송되는 혼합쓰레기를 개략적으로 분리하기 위해 투입컨베이어(310)를 통해 제 1선별기(300)로 투입한다. 상기 제 1선별기(300)에서는 입도가 작은 토사와 입도가 큰 토석류 및 가연성 쓰레기인 혼합쓰레기로 2원 분리 선별한다. 즉, 제 1선별기(300)에서 분리선별된 선별토사는 이물질분리기(10)를 통해 선별장치(100)로 투입되어 양질의 토사와 이물질을 선별하여 분리한다. 그리고 제 1선별기(300)에서 분리선별된 입도가 큰 혼합쓰레기는 이송컨베이어를 통하여 쓰레기 선별 비중분리기(400)로 투입되어 토석과 쓰레기를 분리하게 된다. 1 is a plan view showing the overall installation of the sorting system in the present invention, so as to excavate the waste soil and landfills generated during the intermediate treatment process of construction waste to sort and recycle the soil and aggregate mixed in the waste In order to roughly separate the mixed waste transported through the conveyor in order to feed into the
상기와 같이 혼합쓰레기에서 토사를 분리하여 선별하는 선별장치의 시스템에서 선별된 선별토사를 비중분리에 의하여 토사와 이물질을 선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선별장치(1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sorting soil selected in the system of the sorting device for separating and sorting the soil from the mixed waste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도 2는 본 발명의 선별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전술한 도 1의 제 1선별 기(300)에서 선별된 선별토사를 이물질분리기(10)로 이송하기 위한 이물질 분리컨베이어(11)는 선별장치(100)의 하우징(20)에 형성되는 선별토사 투입구(21)의 상부에 설치된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or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eign
그리고 상기 이물질분리기(1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물질을 이송하는 이물질 분리컨베이어(11)의 상부에는 구동모터(18)의 구동에 의해 가동되는 이물질분리 컨베이어밸트(15)가 장착되고, 상기 이물질분리 컨베이어밸트(15)의 외주면에는 이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브러시(14)가 다수 장착되어 있다. 이때 이물질 분리 컨베이어밸트(15)는 이물질 분리컨베이어(11)의 길이에 맞추어 다수개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이물질 분리컨베이어(11)를 타고 이송하는 선별토사에 포함된 이물질을 송풍기(13)에 의해 비중으로 분리시켜서 이물질분리 컨베이어밸트(15)의 브러시(14)가 채가름하여 이물질이송슬라이드판(19)을 타고 이물질 배출컨베이어(17)로 보내어진다.And the
또한, 선별시스템의 제 1선별기(300)에서 선별된 선별토사 이물질 분리컨베이어(11)로 낙하되면서 이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회전솔(12)이 이물질 분리컨베이어(11)의 하단 상부에 장착되고, 그 하부에는 송풍기(13)가 장착되어 제 1선별기(300)에서 배출되는 토사 속의 이물질의 낙하시간을 길게 하여 토사표면으로 부상시킨다.In addition, a
그리고 상기 이물질분리기(10)에서 1차적으로 이물질이 분리된 선별토사가 선별장치(100)의 선별토사 투입구(21)로 투입되어 낙하될 때 완충과 채가름 및 분산시키기 위하여 T/C회전체(40)를 하우징(20)의 내부에 서로 경사지게 한 쌍을 설 치하여 서로 대향하는 내측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T/C회전체(40)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측벽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회전축(41)과 상기 회전축(41)의 외주면에 등 간격을 두고 다수의 강봉 빗살(42)이 형성되어 토사를 채가름으로 분리한다.In addition, when the sedimented soil separated from the
이때 상기 T/C회전체(40)에서 채가름 된 선별토사를 2차에 걸쳐 비중으로 분리하기 위한 송풍기(30)가 프레임(200)의 상부에 장착되어 하우징(20)에 형성된 송풍구(22)를 통해 송풍을 T/C회전체(40)로 유입되면서 채가름되는 토사량의 15% 내지 20% 정도를 분산시키기 위하여 송풍구(22)의 내부에는 송풍을 조절하는 칸막이(22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송풍기(30)에서 배출되는 송풍은 대략 20마력 내지 30마력으로 배출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T/C회전체(40)에서 채가름된 토사 및 골재는 하우징(20)의 하부에 형성된 토사배출구(23)로 배출되도록 형성하고 배출된 토사를 이송하기 위하여 토사배출구(23)의 하부에 배출컨베이어(50)가 설치된다.And the soil and aggregate sieved from the T /
또한, 상기 하우징(20) 내부로 투입된 송풍에 의해 비중으로 분리된 이물질을 하우징(20)의 하부에 형성된 이물질 배출구(24)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우징(20) 내부에는 차단판(25)이 형성되고 분산되는 이물질이 차단판(25)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송풍에 의해 분리된 이물질을 진동채(60)로 낙하시키기 위하여 차단판(25)에 다수의 이물질 낙하수단(26)이 장착되어 이동되는 큰 이물질을 차단시켜 하부의 이물질 배출구(24)로 낙하시킨다. 그리고 비중으로 분리된 작은 이물질은 차단판(25)에 부딪혀 이물질 배출구(24)로 낙하되어 배출됨과 동시에 송풍은 차단판(25)에 다수 형성된 통공(251)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 상기 송풍에는 분진이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정화하기 위하여 하우징(20)의 일측에 설치되는 공기정화 싸이크론(90)으로 송풍을 유도하여 깨끗하게 정화시킨 후, 정화된 공기만 다시 송풍관(31)을 통해 송풍기(30)로 연결하여 송풍을 순환시키면서 사용하도록 구성한다.In addition, a blocking
그리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이물질 배출구(24)로 배출된 이물질에서 토사와 골재를 3차에 걸쳐 분리선별하기 위한 진동채(60)가 설치된다. 상기 진동채(60)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존에 설치되어 사용하고 있는 하부스크린(61)의 상부에 하나 더 상부스크린(62)을 설치한다. 이때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스크린(62)의 홀(621) 규격은 하부의 기존에 형성하고 있는 하부스크린(61)의 홀(611) 규격보다 작은 치수로 형성하여 상호 떨림에 의해 하부스크린(61)에 토사가 부착되어 홀(611)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And, as shown in Figure 6, a
또한, 상기 진동채(60)에 의해 분리선별되어 낙하하는 토사 및 골재는 배출컨베이어(50)로 이송하기 위하여 진동채(60)의 하부에 이송컨베이어(70)를 설치하여 토사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컨베이어(50)와 연결되도록 구성하고, 또한, 진동채(60)에서 선별분리되어 경사면을 타고 하향하는 이물질을 소각 및 매립하기 위하여 이송할 수 있는 이물질배출컨베이어(80)를 진동채(60)의 경사진 단부에 설치한다.In addition, the sediment and aggregate that is separated and dropped by the vibrating
상기 본 발명의 작동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면, 선별시스템의 제 1선별기(300)에서 선별하여 분리된 선별토사는 이물질 분리컨베이어(11)를 타고 이송되 어 이물질분리기(10)로 이송하게 된다.Referring to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rted soil separated by the sorting in the
이때 이물질 분리컨베이어(11)의 하단 상부에 장착된 회전솔(12)이 선별토사를 분산시킴과 동시에 하부에 장착된 송풍기(13)에서 송풍을 배출하여 회전솔(12)에 의해 토사와 이물질을 분리하고, 또한, 회전솔(12)에서 토사상부로 부상하지 못한 이물질에 대하여는 이물질 분리컨베이어(11)의 상부에서 구동모터(18)에 의해 구동하는 이물질 분리 컨베이어벨트(15)의 외주면에 다수 형성된 브러시(14)가 이송하는 선별토사에 포함된 이물질을 채가름 하여 이물질이송슬라이드판(19)을 따라 이물질 이송컨베이어(16)로 이송하여 이물질 배출컨베이어(17)로 보낸다At this time, the
상기와 같이 회전솔(12)과 이물질 분리 컨베이어밸트(15)가 회전하면서 브러시(14)로 채가름 하여 분리된 이물질은 송풍으로 비중 분리하여 이물질 배출컨베이어(17)로 안착하여 배출하고, 이물질이 분리된 선별토사는 선별장치(100)로 이송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상기와 같이 비중에 의해 선별된 선별토사는 다시 선별장치(100)의 하우징(20) 상부에 형성된 선별토사 투입구(21)로 투입되어 하우징(20) 내부에 설치된 한 쌍의 T/C회전체(40)로 자유 낙하 되면서 충격이 완화됨과 동시에, 송풍기(30)의 작동으로 하우징(20)의 일측에 천공된 송풍구(22)를 통해 송풍이 유입되면서 T/C회전체(40)로 자유낙하 하는 선별토사에 가해져 비중이 작은 이물질은 비산 되고, 비중이 큰 토사와 골재는 한 쌍의 T/C회전체(40)가 회전하는 내측으로 투입되어 가면서 토사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채가름 하여 분산시킴과 동시에 토사는 하우징(20)의 하부의 토사배출구(23)로 배출되면서 배출컨베이어(50)에 안착되어 이송된다. 이때 상기 송풍구(22)를 통해 한 쌍의 T/C회전체(40)로 유입되는 송풍을 분산하여 조절시키기 위한 칸막이(221)가 설치되어 있다.The sorted sediment sorted by specific gravity as described above is introduced into the sorted
그리고 송풍에 의해 분산된 이물질은 이물질 배출구(24)로 떨어지거나 날려 하우징(20)의 내부에 형성된 차단판(25)에 부딪친 다음 이물질 배출구(24)로 배출되어 진동채(60)에 떨어진다. 그리고 송풍은 차단판(25)에 다수 천공된 통공(251)을 통해 공기정화 싸이크론(90)으로 이송되어 분진 등을 정화한 후, 송풍관(31)을 통해 송풍기(30)로 순환하여 계속해서 하우징(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oreign matter dispersed by the blower blows or falls to the
또한, 상기 이물질 배출구(24)로 배출되는 이물질에는 아직도 토사와 골재가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다시 선별하기 위하여 진동채(60)에서 진동에 의해 토사와 골재를 선별분리한다. 이때 상기 진동채(60)는 기존에 사용되는 진동채(60)의 상부스크린(62) 홀(621)의 규격이 하부스크린(61)의 홀(611)의 규격보다 작게 형성되어 중첩되어 있기 때문에, 상호 떨림작용에 의해 하부스크린(61)에 토사가 부착되어도 홀(611)이 막히지 않고 토사를 선별하여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oil discharged to the foreign
상기 진동채(60)를 통과한 토사 및 골재는 하부의 이송컨베이어(70)를 타고 토사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컨베이어(50)로 이송하여 배출함과 동시에, 진동채(60)에서 선별분리된 이물질은 경사면을 따라 진동채(60)의 단부에 형성된 이물질배출컨베이어(80)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이물질배출컨베이어(80)를 타고 이송되는 쓰레기는 송풍에 의해 건조되어 있기 때문에 소각용과 재활용으로 감량화되어 선별 작업이 진행된다.The soil and aggregate passed through the vibrating
그리고 도 7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이물질분리기에 대하여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And another Example is shown about the foreign matter separator of this invention shown in FIG.
즉, 선별시스템의 제 1선별기(300)에서 선별된 선별토사에 대하여 이물질분리기(10)에서도 송풍에 의한 비중으로 이물질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물질 분리컨베이어(11)의 상부에 송풍기(110)에서 배출되는 송풍을 유입하기 위한 유입구(120)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120)로 유입된 송풍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30)가 형성된 송풍배출관(140)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배출관(140)의 배출구(130)를 통해 배출되는 송풍으로 이물질을 비중 분리하기 위해서 송풍배출관(140)의 외부에는 구동모터(181)에 의해 회전하면서 선별토사에 포함된 이물질을 채가름하기 위한 브러시(160)가 외주면에 다수 장착되어 있고, 또한, 배출구(130)에서 배출되는 송풍이 배출될 수 있도록 통공(150)이 다수 천공된 회전롤(170)이 장착된다. That is, the
또한, 상기 회전롤(170)의 외주면에 다수 형성된 브러시(160)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회전롤(170)의 일측 상부에는 소제용 회전솔(180)이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adhering to the
그리고 상기 회전롤(170)의 브러시(160)에 의해 채가름 된 이물질이 송풍기(110)의 배출구(130)를 통해 배출되는 강한 송풍에 의해 비중으로 분리되어 포집할 수 있도록 방진망으로 형성된 비중분리실(190)이 전방에 설치된다. 상기 비중분리실(190)에 포집된 이물질을 이송하기 위하여 하부에는 이물질 배출컨베이 어(171)가 장착된다.And a specific gravity separation chamber formed of a dustproof network so that the foreign matter, which is sifted by the
본 발명의 도 8 및 도 9는 회전롤(170)의 브러시(160)로 선별토사의 이물질을 채가름하여 송풍배출관(140)에서 배출되는 강한 송풍으로 비중 분리할 수 있도록 송풍이 배출되는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것으로, 중앙에 형성되는 송풍배출관(140)은 일측 단부로 송풍을 유입하기 위한 유입구(120)가 형성되어 있고, 전방의 일측에 긴 장공으로 형성된 배출구(13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배출관(140)의 외부로 브러시(160)가 외주면에 다수 형성된 회전롤(170)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구동모터(181)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회전롤(170)의 표면에는 다수의 통공(150)이 천공되어 있으므로 브러시(160)로 선별토사의 이물질을 선별하기 위해 회전하여도 송풍배출관(140)의 배출구(130)에서 배출되는 송풍은 회전롤(170)의 통공(150)을 통해 전방으로 배출된다. 8 and 9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ate in which the blowing is discharged to separate the specific gravity by the strong blowing discharged from the blowing
본 발명의 도 10에 나타내는 선별장치는 선별장치에서 1차에 송풍에 의해 비중차로 분리된 이물질에 포함된 토사를 다시 분리시키기 위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붙여 설명한다.The sorting apparatus shown in FIG. 10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another embodiment for re-separating soil contained in foreign matter separated by specific gravity by blowing in the sorting apparatus at first, and the same configuration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demonstrates with the same code | symbol.
선별토사를 1차적으로 이물질 분리기(10)와 2차적으로 하우징(20) 내부의 송풍에 의해 비중차로 선별하는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다. 그리고 송풍에 의해 비중차로 분리된 이물질에서 토사를 재차 선별하기 위하여 하우징(20) 내부에 즉, T/C회전체(40)의 전방으로 선별구멍(610)이 다수 천공된 회전식 선별통(600)이 프레임(200) 상부 회전롤러(210)에 경사지게 지지된다. 또한, 상기 회 전식 선별통(600)은 회전하면서 내부로 투입된 이물질에서 토사를 분리하기 위하여 모터(211)의 축에 연결된 밸트(212)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The configuration of sorting the sedimentation soil by the specific gravity difference by blowing the inside of the
그리고 회전식 선별통(600)의 하부에는 분리된 토사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컨베이어(70)가 장착되고, 또한, 회전식 선별통(600)의 경사면을 타고 이송하는 이물질은 이물질 배출컨베이어(80)를 타고 이송하도록 구성되고, 또 송풍은 하우징(20)의 유도구(27)를 타고 이송되어 공기정화 사이클론(90)에서 정화된 후 송풍관(31)을 통해 송풍기(30)로 순환하도록 구성한다.And the lower portion of the
상기의 본 발명에 대한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이물질 분리컨베이어(11)를 타고 하우징(20) 내부로 낙하된 선별토사는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게 한 쌍의 T/C회전체(40)에서 채가름하여 토사를 분리함과 동시에 송풍기(30)에서 유입되는 송풍에 의해 이물질이 분리되어 토사는 토사배출구(23)를 통해 배출컨베이어(50)를 타고 이송하게 되고, 비중차에 의하여 분리된 이물질은 프레임(200)의 상부 회전롤러(210)에 지지되어 모터(211)의 동력을 밸트(212)에 의해 전달받아 경사지게 회전하는 회전식 선별통(600)의 내부로 투입된다.Looking at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dimentation sediment dropped into the
따라서 회전하고 있는 회전식 선별통(600)에서 이물질과 토사가 분리되어 토사는 선별구멍(610)을 통해 하부의 이송컨베이어(70)로 안착되어 배출컨베이어(50)로 이송하게 되고, 이물질은 회전식 선별통(600)의 경사면을 타고 이송되어 이물질 배출컨베이어(80)를 타고 이송하게 된다. Therefore, the foreign matter and the soil is separated from the
또한, 송풍은 하우징(20)의 상부에 형성된 유도구(27)를 통해 유도되어 공기 정화 싸이크론(90)으로 유입되어 정화된 후 송풍관(31)을 통해 송풍기(30)로 순환되어 연속해서 사용하게 된다.In addition, the blowing is guided through th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1차 선별기에서 선별된 선별토사를 이물질분리기와 송풍에 의한 비중과 T/C회전체의 채가름 및 분산과 동시에 진동채 또는 회전식 선별통에서 이물질에 포함된 토사와 골재를 분리함으로써, 재활용 자원을 낭비 없이 사용하기 때문에 경제적임은 물론 분리되는 이물질의 양을 줄여주기 때문에 소각 또는 매립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므로 환경오염을 줄이고 친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ediment contained in the foreign matter in the vibration sieve or rotary sorting barrel at the same time as the selected sediment selected in the primary sorter and the specific gravity by the foreign matter separator and blowing and the separation and dispersion of the T / C rotating body By separating waste and aggregate, waste materials are recycled without waste, which is economical as well as reduces the amount of separated foreign matter, so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treat incineration or landfill, thus reducing environmental pollution and creating eco-friendly environment. .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61649A KR100870621B1 (en) | 2007-06-22 | 2007-06-22 | Sorting device for sorting foreign matter contained in soil and aggregate by brush conveyor and specific gravity separ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61649A KR100870621B1 (en) | 2007-06-22 | 2007-06-22 | Sorting device for sorting foreign matter contained in soil and aggregate by brush conveyor and specific gravity separa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70621B1 true KR100870621B1 (en) | 2008-11-27 |
Family
ID=40284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61649A KR100870621B1 (en) | 2007-06-22 | 2007-06-22 | Sorting device for sorting foreign matter contained in soil and aggregate by brush conveyor and specific gravity separ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70621B1 (en) |
Cited B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06744B1 (en) * | 2010-05-25 | 2011-01-10 | (주)해양연구개발 | Sorting device and method for rapidly separating garbage, gravel and sand from dredged sediments generated during fishing ground purification, air dredging and various dredging projects |
KR101061166B1 (en) | 2010-11-29 | 2011-08-31 | 성안이엔티주식회사 | Reduction screening system and sorting method of landfill waste |
KR101136047B1 (en) * | 2010-11-29 | 2012-04-18 | 성안이엔티주식회사 | Separating device for soil debris |
KR101266958B1 (en) | 2010-10-06 | 2013-05-30 | 김용래 | Extraneous Substance Separator Using Brush |
KR101313421B1 (en) | 2011-12-07 | 2013-10-14 | 김연실 | Sheet type refused waste separate device for Refused waste recycle plant |
KR101836832B1 (en) * | 2017-11-03 | 2018-03-09 | 두제산업개발(주) | Foreign material quality sorting system of construction waste |
KR101956753B1 (en) * | 2018-03-27 | 2019-03-11 | 박한결 | a system sorting shape of wastes for recycling |
KR102001052B1 (en) * | 2019-02-08 | 2019-07-17 | (주)국제세라믹 | Ceramic product manufacturing equipment |
KR102000969B1 (en) * | 2019-02-15 | 2019-08-09 | 주식회사 가연건축 | Ceramic tile manufacturing equipment for interior |
CN110721908A (en) * | 2019-09-29 | 2020-01-24 | 贞丰县恒山建材有限责任公司 | Facing sand screening equipment for water permeable bricks |
KR102073421B1 (en) * | 2019-04-03 | 2020-02-05 | (유)현영 |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waste using fall and wind power |
KR102149777B1 (en) | 2020-05-14 | 2020-09-01 | 이알앤디 주식회사 | Foreign Material Sorting System In Construction Waste Soil By Dry Continuous Process |
KR20230042819A (en) * | 2021-09-23 | 2023-03-30 | 주식회사 한강이앰피 | Vibrating screen for selecting aggregate of construction wastes |
CN116141538A (en) * | 2022-12-30 | 2023-05-23 | 南通开普乐工程塑料有限公司 | Raw material screening equipment for plastic product production |
KR20230114542A (en) | 2022-01-25 | 2023-08-01 | 성안이엔티주식회사 | the aggregate production screening method capable of the recycle of the soil and stone and construction waste soil and apparatus thereof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226704A (en) | 1978-03-01 | 1980-10-07 | Raytheon Company | Collector discharge apparatus |
KR20050095226A (en) * | 2004-03-25 | 2005-09-29 | 성안산업개발 주식회사 | Sand and gravel a manufacturing device and process system |
KR100582847B1 (en) | 2005-11-15 | 2006-05-23 | (주)금광 이 엔 지 | Construction waste recycling aggregate sorting device and its sorting method |
KR100674817B1 (en) | 2005-12-29 | 2007-01-25 | 성안산업개발 주식회사 | Specific gravity separation weight reduction sorting device |
KR100733631B1 (en) | 2007-02-15 | 2007-06-28 | 세창환경건설(주) | Crushing construction waste and foreign substance removal device |
-
2007
- 2007-06-22 KR KR1020070061649A patent/KR10087062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226704A (en) | 1978-03-01 | 1980-10-07 | Raytheon Company | Collector discharge apparatus |
KR20050095226A (en) * | 2004-03-25 | 2005-09-29 | 성안산업개발 주식회사 | Sand and gravel a manufacturing device and process system |
KR100582847B1 (en) | 2005-11-15 | 2006-05-23 | (주)금광 이 엔 지 | Construction waste recycling aggregate sorting device and its sorting method |
KR100674817B1 (en) | 2005-12-29 | 2007-01-25 | 성안산업개발 주식회사 | Specific gravity separation weight reduction sorting device |
KR100733631B1 (en) | 2007-02-15 | 2007-06-28 | 세창환경건설(주) | Crushing construction waste and foreign substance removal device |
Cited B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06744B1 (en) * | 2010-05-25 | 2011-01-10 | (주)해양연구개발 | Sorting device and method for rapidly separating garbage, gravel and sand from dredged sediments generated during fishing ground purification, air dredging and various dredging projects |
KR101266958B1 (en) | 2010-10-06 | 2013-05-30 | 김용래 | Extraneous Substance Separator Using Brush |
KR101061166B1 (en) | 2010-11-29 | 2011-08-31 | 성안이엔티주식회사 | Reduction screening system and sorting method of landfill waste |
KR101136047B1 (en) * | 2010-11-29 | 2012-04-18 | 성안이엔티주식회사 | Separating device for soil debris |
KR101313421B1 (en) | 2011-12-07 | 2013-10-14 | 김연실 | Sheet type refused waste separate device for Refused waste recycle plant |
KR101836832B1 (en) * | 2017-11-03 | 2018-03-09 | 두제산업개발(주) | Foreign material quality sorting system of construction waste |
KR101956753B1 (en) * | 2018-03-27 | 2019-03-11 | 박한결 | a system sorting shape of wastes for recycling |
KR102001052B1 (en) * | 2019-02-08 | 2019-07-17 | (주)국제세라믹 | Ceramic product manufacturing equipment |
KR102000969B1 (en) * | 2019-02-15 | 2019-08-09 | 주식회사 가연건축 | Ceramic tile manufacturing equipment for interior |
KR102073421B1 (en) * | 2019-04-03 | 2020-02-05 | (유)현영 |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waste using fall and wind power |
CN110721908A (en) * | 2019-09-29 | 2020-01-24 | 贞丰县恒山建材有限责任公司 | Facing sand screening equipment for water permeable bricks |
KR102149777B1 (en) | 2020-05-14 | 2020-09-01 | 이알앤디 주식회사 | Foreign Material Sorting System In Construction Waste Soil By Dry Continuous Process |
KR20230042819A (en) * | 2021-09-23 | 2023-03-30 | 주식회사 한강이앰피 | Vibrating screen for selecting aggregate of construction wastes |
KR102672667B1 (en) * | 2021-09-23 | 2024-06-05 | 주식회사 한강이앰피 | Vibrating screen for selecting aggregate of construction wastes |
KR20230114542A (en) | 2022-01-25 | 2023-08-01 | 성안이엔티주식회사 | the aggregate production screening method capable of the recycle of the soil and stone and construction waste soil and apparatus thereof |
CN116141538A (en) * | 2022-12-30 | 2023-05-23 | 南通开普乐工程塑料有限公司 | Raw material screening equipment for plastic product produc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70621B1 (en) | Sorting device for sorting foreign matter contained in soil and aggregate by brush conveyor and specific gravity separation | |
KR101823975B1 (en) | Multistage sorting and circulation aggregate recovery system of suspended matter in construction waste | |
KR101061166B1 (en) | Reduction screening system and sorting method of landfill waste | |
KR101136047B1 (en) | Separating device for soil debris | |
KR101223668B1 (en) | apparatus for seperating waste from constructionwaste matter | |
KR100870648B1 (en) | Separating device for sorting foreign substances in soil and aggregate | |
KR100396451B1 (en) | aggregate and sand sorting system which is contained in construction waste | |
KR20120084825A (en) | System of equipment for separating of impurity content by high pressure wind power for production of recyling grevel from constructional waste materials in recycling system | |
KR101346354B1 (en) | Landslide debris screening system for landfill | |
JP2006167653A (en) | Sorting apparatus of lightweight transporting articles | |
JP2012091092A (en) | Soil lump disintegrator | |
JP2010058116A (en) | Screening apparatus | |
KR100674817B1 (en) | Specific gravity separation weight reduction sorting device | |
KR100971723B1 (en) | Waste sorting system | |
KR100869063B1 (en) | Waste net sorting device | |
KR100722569B1 (en) | Aggregate sorting method using trommel and bucket and its device | |
KR0152297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on of waste materials | |
KR100771660B1 (en) | Earth and sand foreign matter sorting device using true comb meat conveyor | |
KR100494579B1 (en) | Waste selector | |
CN214132654U (en) | Sand and soil separating mechanism | |
JP2917788B2 (en) | Waste separation and recovery method and equipment | |
KR100639826B1 (en) | Earth and sand foreign matter sorting device using true comb | |
KR20030078844A (en) | Treatment Apparatus of Construction Waste Articles | |
KR100553024B1 (en) | Fine Aggregate Manufacturing Equipment Using Waste Soil | |
KR100404147B1 (en) | A sorting device for seperating wast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6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1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11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0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2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1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1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2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13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71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3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11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0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0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0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02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