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9705B1 - 폐선박을 이용한 인공 잠수풀 시설 - Google Patents

폐선박을 이용한 인공 잠수풀 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9705B1
KR102259705B1 KR1020190094293A KR20190094293A KR102259705B1 KR 102259705 B1 KR102259705 B1 KR 102259705B1 KR 1020190094293 A KR1020190094293 A KR 1020190094293A KR 20190094293 A KR20190094293 A KR 20190094293A KR 102259705 B1 KR102259705 B1 KR 102259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ol
diving
vertical
horizontal
submers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4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5440A (ko
Inventor
박준철
Original Assignee
박준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철 filed Critical 박준철
Priority to KR1020190094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9705B1/ko
Publication of KR20210015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5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0018Easily movable or transportable swimming p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4/00Buildings for combinations of different purposes not covered by any single one of main groups E04H1/00-E04H13/00 of this subclass, e.g. for double purpose; Buildings of the drive-in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06Safety devices; Coverings for bath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12Device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water, i.e. devices for removal of polluted water, cleaning baths or for water treatment
    • E04H4/1209Treatment of water for swimming pools
    • E04H4/1218Devices for removal of polluted water; Circumferential gut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1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H4/144Means for facilitating access, e.g. step units or sl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1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H2004/146Fixing of l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상에서도 스쿠버다이빙과 프리다이빙 등을 포함하는 잠수활동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폐선박을 이용한 인공 잠수풀 시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선박을 이루는 선체블록들을 이용하여 수평잠수풀과 수직잠수풀 및 관제실 및 부대시설실을 구성함으로써 구조적으로 안전하고 공기 단축이 가능하며 건설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폐선박을 이용한 인공 잠수풀 시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폐선박을 이루고 상부와 하부에 상판과 하판이 구비되고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의 전후측에 각각 격벽이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상판과 하판의 좌우측에 각각 측판이 수직으로 설치되는 선체블록으로 구성된 것으로, 복수 개의 상기 선체블록이 전후 다단 및 상하 다층으로 설치되고 전후 수평 방향 및 상하 수직 방향으로 서로 연통하도록 수평연통구와 수직연통구가 전후 및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내부에 물이 저수되는 수평잠수풀; 및 상기 수평잠수풀 상에서 복수 개의 상기 선체블록이 상하 다층으로 설치되고 상하 수직방향으로 서로 연통하도록 수직연통구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내부에 물이 저수되는 수직잠수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선박을 이용한 인공 잠수풀 시설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폐선박을 이용한 인공 잠수풀 시설{Artificial diving pool facility using waste ship}
본 발명은 육상에서 스쿠버다이빙과 프라다이빙 등을 포함하는 잠수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폐선박을 이용한 인공 잠수풀 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쿠버다이빙(Scuba diving)은 수중에서 호흡을 가능하게 하는 스쿠버 장비를 착용하여 바다 속에 잠수하여 주위 해역을 수영하는 해양 레저 스포츠를 말하고, 프리다이빙(free diving)은 스쿠버 장비를 착용하지 않고 바다 속에 잠수하여 수중에서 무호흡으로 주위 해역을 수영하는 해양 레저 스포츠를 말한다.
이러한 스쿠버다이빙과 프리다이빙 등을 포함하는 잠수활동은 수심이 깊은 바다에서 행할 수 있으므로 해안가에서 배를 타고 먼바다로 이동해야 한다. 즉, 배편을 별도로 확보해야 하므로 배편 확보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배편 확보로 인해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배편이 확보되더라도 강한 바람으로 인해 파도가 매우 높거나 낮은 기온의 영향으로 인해 수온이 매우 낮거나 대기의 영향으로 비와 눈이 많이 내리는 날씨 환경에서는 바다에 나가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고 안전도 보장되지 않아 잠수활동을 행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단점과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배를 타고 바다로 나갈 필요가 없이 육상에서 잠수활동을 즐길 수 있도록 지반을 굴착하고 기초 공사를 실시하여 잠수풀이 마련된 건축물 형태의 인공 잠수풀 시설들을 건설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인공 잠수풀 시설들은 용지 확보를 위해 많은 대지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지반을 굴착하고 기초 공사를 실시하여 건축물을 축조해야 하므로 공기가 길어지고 건설비용이 막대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인공 잠수풀 시설들은 건축 구조물이므로 지반 굴착 깊이에 따라 잠수풀의 깊이가 결정되는데, 잠수풀의 깊이에 따라 막대한 공사비용이 소요되면서 잠수풀의 깊이도 한정될 수 밖에 없고 구조적인 안전성 보장도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바다에 나가지 않고 육상에서도 스쿠버다이빙과 프리다이빙 등을 포함하는 잠수활동을 행할 수 있도록 하되, 공기를 단축할 수 있고 소요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잠수풀의 수심을 깊게 할 수 있고 구조적인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인공 잠수풀 시설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79231호, 2010.07.08.자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바다에 나가지 않고 육상에서 스쿠버다이빙과 프리다이빙 등을 포함하는 잠수활동을 행할 수 있으며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소요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잠수풀의 수심을 깊게 할 수 있고 구조적인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폐선박의 선체블록들을 이용하여 수평잠수풀과 수직잠수풀과 관제실과 부대시설실을 구성한 폐선박을 이용한 인공 잠수풀 시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폐선박을 이용한 인공 잠수풀 시설은 폐선박을 이루고 상부와 하부에 상판과 하판이 구비되고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의 전후측에 각각 격벽이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상판과 하판의 좌우측에 각각 측판이 수직으로 설치되는 선체블록으로 구성된 것으로, 복수 개의 상기 선체블록이 전후 다단 및 상하 다층으로 설치되고 전후 수평 방향 및 상하 수직 방향으로 서로 연통하도록 수평연통구와 수직연통구가 전후 및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내부에 물이 저수되는 수평잠수풀; 및 상기 수평잠수풀 상에서 복수 개의 상기 선체블록이 상하 다층으로 설치되고 상하 수직방향으로 서로 연통하도록 수직연통구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내부에 물이 저수되는 수직잠수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폐선박을 이용한 인공 잠수풀 시설은 하기와 같은 효과들을 기대할 수 있다.
먼저 폐선박을 이루는 선체블록을 이용하여 수평잠수풀과 수직잠수풀과 부대시설실 및 관제실을 구성하여 육상에서도 편리하게 잠수활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비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며 구조적으로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잠수풀의 깊이도 최대화할 수 있다.
그리고 수평잠수풀과 수직잠수풀에 담긴 물을 순환시켜 이물질을 제거하고 소독제를 투입하는 여과장치가 구비되어 물을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수평잠수풀의 상부에 다양한 부대시설물이 구비되어 편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수평잠수풀의 상부에 관제장비가 마련되는 관제실이 마련되어 안전한 잠수활동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수평잠수풀과 수직잠수풀에 각각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관람터널이 설치되어 잠수활동을 외부에서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고, 수평잠수풀의 상부에 데크와 파라솔 등이 구비되어 야영이나 캠핑도 즐길 수 있다.
그리고 수평잠수풀과 수직잠수풀에 아연재질의 부식방지판이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평잠수풀과 수직잠수풀의 부식도 방지할 수 있고 부식방지판의 교체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폐선박을 이용한 인공 잠수풀 시설에 사용되는 선체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폐선박을 이용한 인공 잠수풀 시설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폐선박을 이용한 인공 잠수풀 시설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F-F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E부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배편 확보가 전혀 필요하지 않고 날씨의 영향도 전혀 받지 않도록 육상에서 스쿠버다이빙과 프리다이빙 등을 포함하는 잠수활동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폐선박을 이용한 인공 잠수풀 시설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폐선박을 이용한 인공 잠수풀 시설은 바다에 나가지 않고 육상에서 잠수활동을 할 수 있으며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소요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잠수풀의 수심을 깊게 할 수 있고 구조적인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폐선박을 이루는 선체블록들을 지면 위에 수평 및 수직으로 배치하고 수평으로 배치된 선체블록들을 서로 연결하고 수직으로 배치된 선체블록들을 서로 연결하여 수평잠수풀과 수직잠수풀과 관제실과 부대시설실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폐선박을 이용한 인공 잠수풀 시설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폐선박을 이용한 인공 잠수풀 시설은 폐선박을 이루는 선체블록(B)들을 개조하고 서로 연결하여 배치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잠수풀(10), 수직잠수풀(20), 여과장치(30), 부대시설실(40) 및 관제실(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선체블록(B)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공간(S)이 구비되게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판(U)과 하판(D)이 설치되고 상판(U)과 하판(D)의 전후측에 각각 격벽(W)이 설치되며 상판(U)과 하판(D)의 전후측에 측판(C)이 수직으로 설치된 구조를 가진다.
먼저, 상기 수평잠수풀(10)은 복수 개의 선체블록(B)이 전후 다단 및 상하 다층으로 연결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수평잠수풀(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다단 및 상하 다층으로 연결된 복수 개의 선체블록(B)으로 구성되어 선체블록(B)의 내부를 잠수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전후 다단으로 서로 연결되는 선체블록(B)은 상판(U)과 하판(D) 및 측판(C)끼리 서로 용접되고 격벽(W)마다 선택적으로 제거되거나 수평연통홀이 전후로 관통 형성될 수 있고, 상하 다층으로 서로 연결되는 선체블록(B)은 측판(C)끼리 용접되고 상판(U) 또는 하판(D)이 선택적으로 제거되거나 수직연통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수평잠수풀(10)을 이루는 모든 선체블록(B)의 내부는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긴 하나의 잠수공간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잠수공간은 격벽(W)의 제거나 수평연통홀과 수직연통홀의 관통 형성 유무에 따라 수평으로 연통되거나 연통되지 않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수평잠수풀(10)의 내부에 일정한 수심으로 물을 채우면 그 내부는 전후 방향으로 길이가 긴 잠수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단, 수평잠수풀(10)의 내면에는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방수층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수평잠수풀(10)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에어포켓(11)이 전후 일정간격으로 에어포켓(1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에어포켓(11)은 내부에 외기가 공급되어 물이 없어 산소탱크 없이도 호흡을 할 수 있도록 한 공간이다.
즉, 에어포켓(11)에는 외기를 내부로 공급하는 외기공급수단(11a)이 구비되어 잠수활동 도중에 산소탱크의 산소가 소진되어 호흡을 할 수 없는 비상상황 발생시 사용하거나 산소탱크 없이 잠수할 때 중간중간 호흡하기 위해 사용하거나 비상대비 훈련시 조난 상황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수평잠수풀(10)의 상부에는 잠수공간으로 출입하기 위해 복수 개의 출입구(12)가 서로 간격을 두고 마련될 수 있다. 단, 출입구(12)는 익사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복수 개의 외벽(13)으로 둘러싸여 보호될 수 있고, 외벽(13) 중의 하나에는 출입구(12)로의 접근을 위해 출입문(14)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수평잠수풀(10)의 내부에는 도 2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활동을 잠수공간 밖에서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도록 투명유리 재질로 이루어진 관람터널(15)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관람터널(15)의 입구(151)와 출구(152)에는 수평잠수풀(10)의 상부와 연결되도록 연결계단(153)과 연결통로(154)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수평잠수풀(10)을 이루는 선체블록(B)의 외면에는 산화에 따른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아연재질로 이루어진 부식방지판(16)이 설치될 수 있다. 단, 부식방지판(16)은 부식 정도에 따라 교체가 용이하도록 볼팅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식방지판(16)에 볼트공이 형성되고 선체블록(B)의 외면에 볼트공을 관통하는 볼트(161)가 설치되며 볼트공을 관통한 볼트(161) 단부에 부식방지판(16)이 볼트(16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너트(162)가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수평잠수풀(10)의 상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야영이나 캠핑이 가능하도록 야영이나 캠핑을 위한 캠핑구역이 마련되고, 캠핑구역에는 텐트나 타프 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목재 재질의 데크(17), 테이블과 의자가 구비된 파라솔(18)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수평잠수풀(10)의 하부 외측에는 수평잠수풀(10)을 지면으로부터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지지대(미도시)가 일정간격으로 둘러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직잠수풀(20)은 복수 개의 선체블록(B)이 상하 다층으로 연결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수직잠수풀(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다층으로 연결된 복수 개의 선체블록(B)으로 구성되어 선체블록(B)의 내부를 잠수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수직잠수풀(20)은 수평잠수풀(10) 상에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수평잠수풀(10)의 전후 및 좌우 중간에 수직잠수풀(20)의 하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수용공간에 복수 개의 선체블록(B)이 상하 다층으로 연결되어 수직잠수풀(20)을 이루게 된다.
단, 수직잠수풀(20)을 이루는 선체블록(B)은 상판(U)과 하판(D)이 수직방향과 평행하도록 90도로 회전된 상태로 상하 다층으로 적층되어 연결될 수 있다. 그러면 선체블록(B)의 상판(U)과 하판(D)과 측판(C)이 수직잠수풀(20)의 수직벽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선체블록(B)의 내부가 수직방향을 따라 서로 연통되도록 상하로 이웃하는 선체블록(B)의 상판(U)과 하판(D) 및 측판(C)끼리 서로 용접되고, 선체블록(B)의 격벽(W)이 모두 제거되거나 격벽(W)에 수직연통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수직잠수풀(20)을 이루는 모든 선체블록(B)의 내부는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긴 하나의 잠수공간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수직잠수풀(20)의 내부에 일정한 수심으로 물을 채우면 그 내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잠수풀(10)의 잠수공간과 구분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긴 잠수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수직잠수풀(20)의 내면에는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방수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직잠수풀(20)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의 수심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깊게 변화되도록 복수 개의 계단이 다층으로 단이 진 층층대(2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층층대(21)는 잠수능력에 따라 잠수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잠수도중에 잠수깊이를 대략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수직잠수풀(20)의 상부 일측에는 출입구(22)가 마련될 수 있고, 수직잠수풀(20)의 일측 외부에는 출입구(22)로 안전하고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층계(23) 또는 승강기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수직잠수풀(20)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활동을 잠수공간 밖에서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도록 투명유리 재질로 이루어진 관람터널(24)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관람터널(24)은 수직잠수풀(20)의 일측에 수평으로 설치될 수 있고 관람터널(24)의 일측은 개방되어 층계(23)와 통하는 출입구(241)가 형성되고 관람터널(24)의 타측은 폐쇄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수직잠수풀(20)을 이루는 선체블록(B)의 외면에는 산화에 따른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아연재질로 이루어진 부식방지판(16)이 설치될 수 있다. 단, 부식방지판(16)은 부식 정도에 따라 교체가 용이하도록 볼팅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즉, 부식방지판(16)에 볼트공이 형성되고 선체블록(B)의 외면에 볼트공을 관통하는 볼트(161)가 설치되며 볼트공을 관통한 볼트(161) 단부에 부식방지판(16)이 볼트(16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너트(162)가 체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여과장치(30)는 수평잠수풀(10)과 수직잠수풀(20)에 구비되어 수평잠수풀(10)과 수직잠수풀(20)에 채워진 물을 여과 처리하여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여과장치(30)는 수평잠수풀(10)과 수직잠수풀(20)의 하부 일측에 연결되어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관(31)과, 배출관(31)의 단부에 연결되어 배출관(31)을 따라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물을 흡인하여 압송하는 압송펌프(32)와, 압송펌프(32)의 단부에 연결되어 압송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 처리하는 여과부재(33)와, 여과부재(33)의 단부에 연결되어 이물질이 여과된 물에 소독제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주입하는 소독제주입기(34)와, 소독제주입기(34)의 단부에 연결되어 소독제가 일정시간 간격으로 주입된 물을 다시 수평잠수풀(10)과 수직잠수풀(20)로 압송되도록 유입시키는 유입관(35)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여과장치(30)는 수평잠수풀(10)과 수직잠수풀(20)에 채워진 물을 외부에서 배출시켜 그 속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일정시간 간격으로 소독제를 주입한 다음 수평잠수풀(10)과 수직잠수풀(20)의 내부로 유입시켜 계속적으로 순환시킴으로써 물의 사용기간을 최대로 연장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여과장치(30)는 여과용량에 따라 수평잠수풀(10)과 수직잠수풀(20)에 채워진 물을 독립적으로 여과 처리할 수 있도록 수평잠수풀(10)과 수직잠수풀(20)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부대시설실(40)은 수평잠수풀(10)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선체블록(B)이 설치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부대시설실(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잠수풀(10)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선체블록(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부대시설실(40)을 이루는 선체블록(B)의 내부에 잠수복을 갈아 입을 수 있는 탈의실과, 잠수복으로 갈아 입고 잠수활동을 위해 잠수 차례를 기다릴 수 있는 대기실과, 잠수활동 후 간단하게 샤워할 수 있는 샤워실과, 식사, 간식, 차, 음료 등을 제공할 수 있는 식당과, 수면과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휴게실과, 대소변을 해결할 수 있는 화장실이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관제실(50)은 수평잠수풀(10)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선체블록(B)이 설치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관제실(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잠수풀(10)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선체블록(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관제실(50)을 이루는 선체블록(B)의 내부에 수평잠수풀(10)과 수직잠수풀(20)과 여과장치(30) 및 부대시설실(40)을 통합 관리하기 위해 관제장비들이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관제실(50)은 관제가 용이하도록 부대시설실(40)을 이루는 선체블록(B)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즉, 관제실(50)을 이루는 선체블록(B)이 부대시설실(40)을 이루는 선체블록(B)의 최상부에 설치되어 관제실(50)을 부대시설실(40)의 상부에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관제실(50)과 부대시실설(40)의 일측에는 지면에서 수평잠수실(10)과 수직잠수실(20)과 관제실(50)과 부대시실설(40)에 접근 가능하도록 계단이나 승강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 수평잠수풀
11: 에어포켓
11a: 외기공급수단
12: 출입구
13: 외벽
14: 출입문
15: 관람터널
151: 입구
152: 출구
153: 연결계단
154: 연결통로
16: 부식방지판
161: 볼트
162: 너트
17: 데크
18: 파라솔
20: 수직잠수풀
21: 층층대
22: 출입구
23: 층계
24: 관람터널
241: 출입구
30: 여과장치
31: 배출관
32: 압송펌프
33: 여과부재
34: 소독제주입기
35: 유입관
40: 부대시설실
50: 관제실
B: 선체블록
S: 내부공간
U: 상판
D: 하판
C: 측판
W: 격벽

Claims (9)

  1. 폐선박을 이루고 상부와 하부에 상판과 하판이 구비되고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의 전후측에 각각 격벽이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상판과 하판의 좌우측에 각각 측판이 수직으로 설치되는 선체블록으로 구성된 것으로,
    복수 개의 상기 선체블록이 전후 다단 및 상하 다층으로 설치되고 전후 수평 방향 및 상하 수직 방향으로 서로 연통하도록 수평연통구와 수직연통구가 전후 및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내부에 물이 저수되는 수평잠수풀;
    상기 수평잠수풀 상에서 복수 개의 상기 선체블록이 상하 다층으로 설치되고 상하 수직방향으로 서로 연통하도록 수직연통구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내부에 물이 저수되는 수직잠수풀;
    상기 수직잠수풀의 내부에 설치되고 출입과 통행이 가능하도록 입구와 출구와 통행로가 구비되며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관람터널; 및
    상기 수평잠수풀의 하부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잠수풀을 지면으로부터 수평으로 지지하는 지지대;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잠수풀의 내부에는
    외기를 내부로 공급하는 외기공급수단이 별도로 구비되어 잠수활동 도중에 산소탱크의 산소가 소진되어 호흡을 할 수 없는 비상상황 발생을 위해 사용하거나 산소탱크 없이 잠수할 때 중간중간 호흡하기 위해 사용하거나 비상대비 훈련시 조난 상황을 위해 외기가 내부로 공급되어 호흡을 가능하게 하는 에어포켓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기 수평잠수풀의 상부에는
    잠수공간으로 출입하기 위한 복수 개의 출입구가 간격을 두고 구비되고,
    상기 출입구는
    익사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복수 개의 외벽으로 둘러싸여 보호되되 상기 외벽 중의 하나에는 상기 출입구로의 접근을 위해 출입문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선박을 이용한 인공 잠수풀 시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잠수풀의 내부에는
    상기 물의 수심에 따라 복수 개의 계단이 다층으로 단이 진 층층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선박을 이용한 인공 잠수풀 시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잠수풀의 상부 일측에는
    출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잠수풀의 일측에는
    상기 출입구로 접근 가능하도록 층계 또는 승강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선박을 이용한 인공 잠수풀 시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잠수풀과 상기 수직잠수풀에는
    부식 방지를 위한 아연재질의 부식방지판이 설치되고,
    상기 부식방지판은
    상기 수평잠수풀과 수직잠수풀을 각각 이루는 상기 선체블록에 교체 가능하게 볼팅 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선박을 이용한 인공 잠수풀 시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잠수풀과 상기 수직잠수풀에 각각 저수된 상기 물을 순환시키면서 이물질을 제거하고 소독제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투입하는 여과장치;
    상기 수평잠수풀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선체블록이 설치되고 부대시설물이 구비되는 부대시설실; 및
    상기 수평잠수풀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선체블록이 설치되고 상기 수평잠수풀과 상기 수직잠수풀과 상기 여과장치 및 상기 부대시설실을 관제하는 관제장비가 마련되는 관제실;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선박을 이용한 인공 잠수풀 시설.
  9. 삭제
KR1020190094293A 2019-08-02 2019-08-02 폐선박을 이용한 인공 잠수풀 시설 KR102259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293A KR102259705B1 (ko) 2019-08-02 2019-08-02 폐선박을 이용한 인공 잠수풀 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293A KR102259705B1 (ko) 2019-08-02 2019-08-02 폐선박을 이용한 인공 잠수풀 시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440A KR20210015440A (ko) 2021-02-10
KR102259705B1 true KR102259705B1 (ko) 2021-06-02

Family

ID=74561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4293A KR102259705B1 (ko) 2019-08-02 2019-08-02 폐선박을 이용한 인공 잠수풀 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97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4022B1 (ko) * 2021-04-27 2022-09-21 해주이엔씨 (주) 피라미드형 해중구조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0451Y1 (ko) * 1999-12-08 2000-05-01 하기태 선박부식방지용 아연판구조
KR101588411B1 (ko) * 2015-03-30 2016-01-25 송창영 선박용 에어포켓 발생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1355A (ja) * 1992-09-21 1994-04-12 Ohbayashi Corp 廃ドックの再利用施設
KR20100079231A (ko) 2008-12-31 2010-07-08 허승애 잠수시설을 갖춘 건축물 및 그 이용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0451Y1 (ko) * 1999-12-08 2000-05-01 하기태 선박부식방지용 아연판구조
KR101588411B1 (ko) * 2015-03-30 2016-01-25 송창영 선박용 에어포켓 발생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 Y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440A (ko) 202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3972B1 (ko) 균형성과 작업성을 개선시킨 이동형 침하부상식 외해양식 가두리장치
US9289664B2 (en) Apparatus for underwater activities
RU2604932C2 (ru) Плавучее сооружение
CA2991016A1 (en) Closed tank for fish farming and method for transporting fish into and out from such tank
KR102259705B1 (ko) 폐선박을 이용한 인공 잠수풀 시설
EP2920052B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underwater activities
KR100770385B1 (ko) 선박을 이용한 해양 부상 양식장
TWI809207B (zh) 避難用構造物
RU2399549C1 (ru) Самоходный надводно-подводный остров
CN106697212B (zh) 海上漂浮式安全避护仓
CN206590080U (zh) 海上漂浮式安全避护仓
JP6514917B2 (ja) シェルター
KR102150664B1 (ko) 해양 부유식 해수 수영장
RU2410283C1 (ru) Самоходный надводно-подводный остров-гидроаэродром
ES1184858U (es) Plataforma flotante
WO2009016209A2 (en) Submerged port for underwater craft
JP2001301686A (ja) 双胴式水中観光船
KR20110002307A (ko) 레저용 부선
JP3726264B2 (ja) 半没双胴式海洋探検船
RU3961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ъема судна
JP2002154481A (ja) 水中ドーム艇
DE19904759A1 (de) Hurrikan-Haus
KR200206379Y1 (ko) 수중전망대 용도의 플로팅도크식 부양 구조물
JPH0354095A (ja) 水中窓を有する浮体
JP2022060941A (ja) 避難用構造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