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9580B1 - 인쇄회로기판 픽업용 핀셋 - Google Patents

인쇄회로기판 픽업용 핀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9580B1
KR102259580B1 KR1020200071539A KR20200071539A KR102259580B1 KR 102259580 B1 KR102259580 B1 KR 102259580B1 KR 1020200071539 A KR1020200071539 A KR 1020200071539A KR 20200071539 A KR20200071539 A KR 20200071539A KR 102259580 B1 KR102259580 B1 KR 102259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tip
tongs
tweez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1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태민
Original Assignee
서태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태민 filed Critical 서태민
Priority to KR1020200071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95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61Tools for holding the circuit boards during processing; handling transport of printed circuit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9/00Hand-held gripping tool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group B25B7/00
    • B25B9/02Hand-held gripping tool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group B25B7/00 without sliding or pivotal connections, e.g. tweezers, onepiece to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 픽업용 핀셋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회로기판을 집어 올리고 내려 놓는 과정에서 인쇄회로기판의 도금면에 긁힘 손상을 발생시키지 않는 인쇄회로기판 픽업용 핀셋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인쇄회로기판 픽업용 핀셋(100)은 이격된 상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집게부(111)와 상기 집게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112)를 구비한 핀셋본체(110)와, ABS와 PC 중 적어도 어느 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인쇄회로기판 픽업시 인쇄회로기판과 접촉하는 팁(120)과, 상기 팁을 상기 핀셋본체의 집게부 전단(111a)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수단(13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인쇄회로기판 픽업용 핀셋{Pincette for picking up printed circuit board}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 픽업용 핀셋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회로기판을 집어 올리고 내려 놓는 과정에서 인쇄회로기판의 도금면에 긁힘 손상을 발생시키지 않는 인쇄회로기판 픽업용 핀셋에 관한 것이다.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은 전기 절연성 기판에 구리와 같은 전도성 재료로 회로라인 패턴을 인쇄형성시킨 것으로, 전자부품을 탑재하기 직전의 기판(Board)을 말한다.
최근 들어 전자 기기가 급격히 소형화 및 고성능화가 되어 가면서, 이들 회로 기판의 배선들이 더욱 고밀도화되어 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미세 패턴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아울러, 인쇄회로기판(PCB)이 열변형 등 외부 환경에 내구성이 취약한 문제를 가지므로 이를 보강하는 차원에서 개발된 고온동시소성세라믹(HTCC) 기판도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인쇄회로기판들은 포토레지스트를 이용한 기존의 화학적 에칭방법으로는 회로 패턴 미세화에 구조적인 한계가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전도성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패턴 인쇄 후 열처리하여 금속패턴을 구현하는 스크린 인쇄 기술 및 나노 입자 잉크를 사용하여 패턴 인쇄 후 열처리하여 금속 패턴을 구현하는 잉크젯 인쇄 기술 등이 선택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은 항상 도금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바, 다단계의 제조공정을 거치는 동안 도금상태가 불량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즉, 각 공정마다 인쇄회로기판을 검사하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발생되며, 검사시 인쇄회로기판의 오염을 방지하는 차원에서 인쇄회로기판과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핀셋을 이용하게 되는데, 상기 핀셋으로 인쇄회로기판을 집어들고 내려 놓는 과정에서 도금면이 첨예한 핀셋의 단부에 긁히면서 손상이 발생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검사과정 이외에도 인쇄회로기판의 수거 및 불량 인쇄회로기판의 제거 등 다양한 공정 및 처리과정에서도 핀셋을 통한 도금면의 긁힘 손상이 발생되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시급하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4474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인쇄회로기판의 제조공정시 도금면의 긁힘 현상없이 인쇄회로기판을 집어올리고 내릴 수 있게 되는 인쇄회로기판 픽업용 핀셋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인쇄회로기판 픽업용 핀셋은 이격된 상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집게부와 상기 집게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한 핀셋본체와, ABS와 PC 중 적어도 어느 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인쇄회로기판 픽업시 인쇄회로기판과 접촉하는 팁과, 상기 팁을 상기 핀셋본체의 집게부 전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좌우방향의 장공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팁에 형성된 나사공(131)과, 상기 나사공에 대응되도록 상기 핀셋본체의 집게부에 형성된 볼트통과공과, 상기 볼트통과공을 통해 나사공에 체결되는 결합볼트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팁의 회동을 방지하는 회동방지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동방지수단은 핀셋본체의 집게부 내측면 밀착된 상태로 안착되도록 상기 팁의 외측면에 형성된 안착면과, 상기 핀셋본체의 집게부 전단과 간섭되게 상기 안착면의 전단에 형성된 수직단턱을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팁의 내측면은 마주하는 팁의 내측면과 합치되는 경우 전구간에 걸쳐 수평 밀착이 이루어지도록 수평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팁의 전단은 아래를 향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ABS와 PC 중 적어도 어느 한 재질로 이루어진 팁이 핀셋본체의 집게부의 전단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을 픽업할 때 도금면에 발생되는 긁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 중 각 팁들의 위치가 달라질 경우, 각 팁의 위치를 독립적으로 이동시켜 가면서 전후방향 위치를 용이하게 정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픽업용 핀셋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픽업용 핀셋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픽업용 핀셋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픽업용 핀셋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픽업용 핀셋의 정면도로서, 팁의 위치가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컨대,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아울러, "포함한다" 또는 "구비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픽업용 핀셋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픽업용 핀셋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픽업용 핀셋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픽업용 핀셋의 평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쇄회로기판 픽업용 핀셋(100)은 핀셋본체(110)와, 상기 핀셋본체(110)의 전단에 위치하는 한 쌍의 팁(120)과, 상기 팁(120)을 상기 핀셋본체(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수단(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핀셋본체(110)는 이격된 상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집게부(111)와 상기 집게부(111)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112)로 이루어진다.
상기 핀셋본체(110)는 강도와 내구성 및 탄성력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팁(120)은 핀셋본체(110)의 각 집게부(111)의 전단(111a)에 결합수단(130)을 통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팁(120)은 인쇄회로기판을 픽업할 때 인쇄회로기판과 접촉이 이루어지는 부재로서, ABS(Acrylonitrile-Butadien-Styrene) 또는 PC(Polycarbonate) 재질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팁(120)은 ABS와 PC 재질이 혼합된 PC-ABS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팁(120)이 ABS와 PC 중 적어도 어느 한 재질로 이루어지게 되면, ABS와 PC의 재질 특성상 자체 탄성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과 접촉될 때 팁(120)과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접촉면적이 확장되게 되고, 여기에 도금면보다 경도가 낮은 재질적 특징이 더해져 인쇄회로기판의 도금면이 긁히는 손상이 전혀 발생되지 않게 된다.
아울러, 상기 팁(120)은 전단(121)이 아래를 향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팁(120)의 전단(121)이 아래를 향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손목을 아래로 구부리지 않고 쉽고 간편하게 인쇄회로기판을 픽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팁(120)의 전단(121)이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직선형태 또는 직선으로 경사진 형태에 비하여 픽업시 팁(120)의 전단(121)으로 집중되는 압력 및 하중에 대한 구조적 강도가 우수하다.
한편, 상기 결합수단(130)은 팁(120)에 형성된 나사공(131)과, 상기 나사공(131)에 대응되게 상기 핀셋본체(110)의 집게부(111)에 형성된 볼트통과공(132)과, 상기 볼트통과공(132)을 통해 나사공(131)에 체결되는 결합볼트(133)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팁(120)이 손상된 경우, 상기 결합볼트(133)를 나사공(131)으로부터 분리하여 쉽고 간편하게 팁(120)만 교체하여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다.
도 5는 팁(120)의 위치가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사공(131)이 좌우방향의 장공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면, 상기 팁(120)의 위치를 핀셋본체(110)의 집게부(111)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사용 편의성이 증대된다.
뿐만 아니라, 사용 중 각 팁(120)들의 위치가 달라질 경우, 각 팁(120)의 위치를 독립적으로 이동시켜 가면서 전후방향 위치를 용이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팁(120)의 회동을 방지하는 회동방지수단(14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회동방지수단(140)은 팁(120)의 외측면에 형성된 안착면(141)과, 상기 핀셋본체(110)의 집게부(111)의 전단(111a)과 간섭되게 상기 안착면(141)의 전단에 형성된 수직단턱(142)으로 구성된다.
상기 안착면(141)에는 핀셋본체(110)의 집게부(111) 내측면(122)이 밀착된 상태로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수직단턱(142)에 핀셋본체(110)의 집게부(111)의 전단(111a)을 밀착시킨 상태로 결합시키면 인쇄회로기판을 픽업하는 과정에서 상기 팁(120)에 회동력이 작용하게 되더라도 상기 수직단턱(142)이 집게부(111)의 전단에 간섭되면서 회동이 불허되므로 상기 팁(120)은 항시 정확한 자세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팁(120)의 내측면(122)은 마주하는 팁(120)의 내측면(122)과 합치되는 경우 전구간에 걸쳐 수평상태로 밀착되도록 수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인쇄회로기판의 전면과 후면이 팁(120)의 내측면(122) 전구간에 걸쳐 평면상태로 밀착되므로 픽업시 팁(120)에 발생되는 압력 및 하중이 팁(120)의 단부로 집중되지 않고 팁(120)의 내측면(122) 전구간에 걸쳐 분산되면서 안정된 픽업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와 동시에 도금면의 손상 위험이 현저하게 낮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100...인쇄회로기판 픽업용 핀셋
111...집게부 111a...전단
112...연결부 110...핀셋본체
120...팁 130...결합수단
131...나사공 132...볼트통과공
133...결합볼트 140...회동방지수단
141...안착면 142...수직단턱
122...내측면

Claims (6)

  1. 이격된 상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집게부(111)와, 상기 집게부(111)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112)를 구비한 핀셋본체(110);
    ABS(Acrylonitrile-Butadien-Styrene)와 PC(Polycarbonate) 중 적어도 어느 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인쇄회로기판 픽업시 인쇄회로기판과 접촉하는 팁(120); 및
    상기 팁(120)을 상기 핀셋본체(110)의 집게부(111)의 전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수단(130);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수단(130)은 좌우방향의 장공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팁(120)에 형성된 나사공(131); 상기 나사공(131)에 대응되도록 상기 핀셋본체(110)의 집게부(111)에 형성된 볼트통과공(132); 및 상기 볼트통과공(132)을 통해 나사공(131)에 체결되는 결합볼트(133)를 구비하며,
    상기 팁(120)의 내측면은 마주하는 팁(120)의 내측면과 합치되는 경우 전구간에 걸쳐 수평 밀착이 이루어지도록 수평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팁(120)의 전단은 아래를 향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팁(120)의 회동을 방지하는 회동방지수단(140)을 더 구비하고,
    상기 회동방지수단(140)은
    핀셋본체(110)의 집게부(111)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안착되도록 상기 팁(120)의 외측면에 형성된 안착면(141)과, 상기 핀셋본체(110)의 집게부(111) 전단과 간섭되게 상기 안착면(141)의 전단에 형성된 수직단턱(142)을 구비한 인쇄회로기판 픽업용 핀셋.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071539A 2020-06-12 2020-06-12 인쇄회로기판 픽업용 핀셋 KR102259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539A KR102259580B1 (ko) 2020-06-12 2020-06-12 인쇄회로기판 픽업용 핀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539A KR102259580B1 (ko) 2020-06-12 2020-06-12 인쇄회로기판 픽업용 핀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9580B1 true KR102259580B1 (ko) 2021-06-02

Family

ID=76373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1539A KR102259580B1 (ko) 2020-06-12 2020-06-12 인쇄회로기판 픽업용 핀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95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4012A (ja) * 1999-04-23 2000-10-31 Kawasaki Heavy Ind Ltd セルフタップネジによる取付構造
KR200224474Y1 (ko) 2000-07-28 2001-05-15 윤여상 칩소자용 핀셋
JP2003136414A (ja) * 2001-11-06 2003-05-14 Matsumoto Giken:Kk 電子部品挟持用ピンセット
CN204639992U (zh) * 2015-04-22 2015-09-16 苏州市锐意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具有可调防护套及夹持部的工业镊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4012A (ja) * 1999-04-23 2000-10-31 Kawasaki Heavy Ind Ltd セルフタップネジによる取付構造
KR200224474Y1 (ko) 2000-07-28 2001-05-15 윤여상 칩소자용 핀셋
JP2003136414A (ja) * 2001-11-06 2003-05-14 Matsumoto Giken:Kk 電子部品挟持用ピンセット
CN204639992U (zh) * 2015-04-22 2015-09-16 苏州市锐意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具有可调防护套及夹持部的工业镊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8860B2 (ja) 部品実装機のパーツフィーダ位置決め装置
JP2006310140A (ja) コネクタ
JPH0719633B2 (ja) 電気的コネクタ装置
US7413451B2 (en) Connector having self-adjusting surface-mount attachment structures
KR102259580B1 (ko) 인쇄회로기판 픽업용 핀셋
JPWO2005106504A1 (ja) 電気的接続装置
KR20030019135A (ko) 솔더볼 추출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55452A (ko) 표면실장기용 그립퍼
DE602006007250D1 (de) Verfahren zum Zusammenbau einer doppelseitigen Schaltungskomponente
EP1065751A3 (en) Mounting electronic components on circuit boards
US8491340B2 (en) Edge connector that accommodates printed circuit boards of varying thickness
US6792675B2 (en) Apparatus for aligning and soldering connectors to a printed board
JP2006086515A (ja) 電子部品実装用の基準位置決定方法及び基準位置決定装置、接合材料の印刷方法及び印刷装置、電子部品の実装方法、並びに電子部品実装用の処理制御方法
JP6155322B2 (ja) 不良部材判定装置及びその方法
JP3268640B2 (ja) コネクタ取付用治具
JP4013860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KR101208003B1 (ko) 솔더 범프 형성 방법
US8333011B2 (en) Method for making an electronic assembly
AU3051000A (en) Method for making electronic modules with ball connector or with integrated preforms capable of being soldered on printed circuit and implementing device
US20020063370A1 (en) Chuck for microscopic contacts
KR20030047161A (ko) 인쇄회로기판 가공용 예비정렬장치
CN210731304U (zh) 一种板间连接器引脚局部搪锡工装
KR100660656B1 (ko) 표면실장기의 노즐장치
KR100771476B1 (ko) 전기적 접속장치
KR200256614Y1 (ko) 박판 pcb 지지용 지그의 클램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