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9313B1 - Road structure to prevent fine dus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Google Patents
Road structure to prevent fine dus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59313B1 KR102259313B1 KR1020200058161A KR20200058161A KR102259313B1 KR 102259313 B1 KR102259313 B1 KR 102259313B1 KR 1020200058161 A KR1020200058161 A KR 1020200058161A KR 20200058161 A KR20200058161 A KR 20200058161A KR 102259313 B1 KR102259313 B1 KR 1022593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crete block
- teok
- side connection
- seated
- sea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 E01C5/065—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materials, e.g. concrete layers of different structure, special additiv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별도의 미세먼지 수집판을 설치한 자동차나 열차 등의 운행 없이도 대기중의 미세먼지 발생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랙아이스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싱크홀로 인한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교체보수가 용이한 미세먼지 발생 방지 도로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prevent the generation of fine dust in the air without the operation of a car or train having a separate fine dust collecting plate installed, and also to prevent the black ice phenomenon, and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2 It is possible to prevent a car accident, and also relates to a fine dust prevention road structure that is easy to replace and repair,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자동차가 다니는 도로나 지하철이 다니는 철로에는 미세먼지가많으며, 이로 인하여 자동차나 열차와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있음으로 현대에 있어서 큰 문제점으로 대두 되고 있다.In general, there is a lot of fine dust on the road on which a car travels or a railroad on which the subway runs, and this is emerging as a major problem in modern times because there is a component harmful to the car or train and the human body.
즉, 미세먼지는 미세먼지(微細-, Particulate Matter, PM) 또는 분진(粉塵)이란 아황산가스, 질소 산화물, 납, 오존, 일산화 탄소 등과 함께 수많은 대기오염물질 가운데 한 가지로 자동차 등에서 발생하여 대기중 장기간 떠다니는 입경 10㎛ 이하의 미세한 먼지이며, PM10이라 하고, 입자가 2.5㎛ 이하인 경우는 '극미세먼지(PM 2.5)라고 부른다.In other words, fine dust is one of numerous air pollutants along with sulfur dioxide, nitrogen oxide, lead, ozone, carbon monoxide, etc. Fine dust with a particle diameter of 10 μm or less that floats for a long time is called PM10, and when the particle size is 2.5 μm or less, it is called 'fine dust (PM 2.5).
미세먼지(fine particles) 는 부유분진(Suspendid particles), 입자상물질(Particulate matter) 또는 에어로솔(aerosol) 등으로도 불리며 명칭에 따라 약간씩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다.Fine particles are also called suspended particles, particulate matter, or aerosol, and have slightly different meanings depending on their names.
입자상 물질은 입경(지름)이 10nm에서 100㎛ 정도이며, 이보다 입경이 큰 경우는 중력에 의한 침강 효과로 대기 중 체류시간이 아주 짧다.Particulate matter has a particle diameter (diameter) of about 10 nm to 100 μm, and when the particle diameter is larger than this, the residence time in the atmosphere is very short due to the sedimentation effect by gravity.
그리고, 미세먼지는 사람의 폐포까지 깊숙하게 침투해 기관지와 폐에 쌓인 미세먼지는 각종 호흡기 질환의 직접 원인이 되며 몸의 면역 기능을 떨어뜨리고, 천식과 호흡곤란을 일으키며 장거리 이동으로 비 또는 눈 속의 중금속 농도를 증가시키기도 한다.In addition, the fine dust penetrates deeply into the human alveoli, and the fine dust accumulated in the bronchial tubes and lungs directly causes various respiratory diseases, lowers the body's immune function, causes asthma and breathing difficulties, and causes long-distance movement in rain or snow. It also increases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이러한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최근에는 도로나 철로에 있는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어 미세먼지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도로나 철로에 있는 미세먼지 제거방법 및 그 장치가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3-0107783호로 제안된 바 있다.In order to remove such fine dust, recently, a method and device for removing fine dust from a road or railroad that can remove fine dust from a road or railroad, thereby reducing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fine dust, and the device are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It has been proposed as No. 10-2013-0107783.
그러나, 상기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3-0107783호는 자동차나 열차에 별도의 미세먼지 수집판을 설치하여 운행을 하므로서 도로나 철로에 있는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별도의 미세먼지 수집판을 자동차나 열차에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별도의 미세먼지 수집판을 설치한 자동차나 열차가 도로나 철로를 운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로나 철로의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3-0107783, a separate fine dust collecting plate is installed and operated in a car or train to remove fine dust from a road or railroad, so a separate fine dust There are problems in that it is cumbersome to install a collection plate on a car or train, and when a car or train with a separate fine dust collection plate installed does not operate a road or railroad, it is impossible to remove fine dust from the road or railroa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미세먼지 수집판을 설치한 자동차나 열차 등의 운행 없이도 대기중의 미세먼지 발생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랙아이스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싱크홀로 인한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교체보수가 용이한 미세먼지 발생 방지 도로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prevent the generation of fine dust in the air without running a car or train installed with a separate fine dust collecting plate, as well as to prevent the black ice phenomenon. It is possible to prevent,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secondary accidents due to sinkholes, and, at the same time, to provide a road structure for preventing fine dust that is easy to replace and repair,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 안착고정되고, 측면에 반턱부가 형성되는 안착콘크리트블럭과;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의 일측 주변의 지면 및 타측 주변의 지면에 각각 안착고정되고, 측면에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의 반턱부와 반턱이음방식에 의해 연결결합되는 반턱부가 각각 형성되는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 및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발생 방지 도로구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seated and fixed on the ground, and a seated concrete block in which a half-teok portion is formed on the side; One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and the other side connection each of which is seated and fixed on the ground around one side of the seating concrete block and the ground around the other side, and is connected and coupled to the side of the concrete block by a half-teok part and a half-teok joint method Concrete block; provides a road structure to prevent generation of fine dus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또한, 본 발명은 a) 지면에 안착고정되고 측면에 반턱부가 형성되는 안착콘크리트블럭과,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의 일측 주변의 지면 및 타측 주변의 지면에 각각 안착고정되고 측면에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의 반턱부와 반턱이음방식에 의해 연결결합되는 반턱부가 각각 형성되는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 및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을 준비하는 콘크리트블럭 준비단계와; b) 지면에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 및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을 순차적으로 안착시키는 콘크리트블럭 안착단계와; c) 지면에 안착된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 및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을 위치고정시키는 콘크리트블럭 고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발생 방지 도로 시공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ated and fixed on the ground and a seated concrete block in which a half-teok portion is formed on the side, and the seating and fixed on the ground around one side of the seated concrete block and on the ground around the other side, respectively, and the half-teak of the seated concrete block on the side A concrete block preparation step of preparing a connecting concrete block on one side and a connecting concrete block on the other side in which a half-teok portion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half-teok joint method is formed; b) a concrete block seating step of sequentially seating the one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the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and the seating concrete block on the ground; c) a concrete block fixing step of fixing the position of the one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the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and the seating concrete block seated on the ground; provides a road construction method for preventing fine dust gen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여기서,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과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은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은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지면의 일측에 안착고정되는 제 1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과; 상기 제 1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과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 사이의 지면의 일측에 안착고정되는 복수의 제 2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으로 구성되고, 복수의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은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지면의 타측에 안착고정되는 제 1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과; 상기 제 1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과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 사이의 지면의 타측에 안착고정되는 복수의 제 2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one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and the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are made in plurality, and the plurality of the one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s are seated and fixed on one side of the ground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ating concrete block. concrete block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cond one-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s seated and fixed on one side of the ground between the first one-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and the seating concrete block, and a plurality of the other-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s are spaced apart from the seating concrete block a first other connecting concrete block that is seated and fixed on the other side of the ground in a maintained state; Preferably,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ng concrete blocks seated and fixed on the other side of the ground between the first other connecting concrete block and the seated concrete block.
그리고,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의 반턱부는 상기 제 1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의 타측면 하부와 복수의 상기 제 2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의 타측면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하부반턱부와; 복수의 상기 제 2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의 일측면 상부에 각각 형성되어 인접한 제 1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의 하부반턱부 및 인접한 제 2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의 하부반턱부와 각각 반턱이음방식에 의해 연결결합되는 상부반턱부;로 구성되고,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의 반턱부는 상기 제 1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의 일측면 하부와 복수의 상기 제 2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의 일측면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하부반턱부와; 복수의 상기 제 2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의 타측면 상부에 각각 형성되어 인접한 제 1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의 하부반턱부 및 인접한 제 2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의 하부반턱부와 각각 반턱이음방식에 의해 연결결합되는 상부반턱부;로 구성되며,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의 반턱부는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의 일측면 상부에 형성되어 인접한 제 2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의 하부반턱부와 반턱이음방식에 의해 연결결합되는 일측상부반턱부와;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의 타측면 상부에 형성되어 인접한 제 2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의 하부반턱부와 반턱이음방식에 의해 연결결합되는 타측상부반턱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half-teok portion of the one-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and a lower half-teok portion respectively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one-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and the other side low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second one-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s; The plurality of second one-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s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upper side of one side and are connected and coupled with the lower half-teok part of the adjacent first one-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and the lower half-teok part of the adjacent second one-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by a half-joint method, respectively. An upper half-teok portion consisting of; a lower half-teok portion of the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formed on the lower side of one side of the first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and one side low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second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s, respectively;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plurality of second connecting concrete blocks, respectively, the lower half of the adjacent first connecting concrete block and the lower half of the adjacent second connecting concrete block are connected and coupled by a half-joint method, respectively. Consisting of; an upper half-teok portion of the seating concrete block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eating concrete block and is connected to and coupled to a lower half-teok portion of an adjacent second one-side connecting concrete block by a half-tuck joint method. Wow; It is preferable to consist of a; it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other side of the seated concrete block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half-teok part of the adjacent second other-side connecting concrete block by a half-tuck joint method.
또한,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의 하부반턱부,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의 하부반턱부에 각각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의 상부방향 및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의 상부반턱부,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의 상부반턱부 및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의 일측상부반턱부와 타측상부반턱부에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고정되는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sertion protrusions protru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one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and the upper direction of the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are formed in the lower half of the one side connecting concrete block and the lower half of the other connecting concrete block, respectively. and an upper half-teok portion of the one-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an upper half-teok portion of the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and an upper half-teok portion of one side and the other upper half-teok portion of the seating concrete block, and insertion grooves in which the insertion protrusion is inserted and fixed are formed, respectively it is preferable
또는,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의 하부반턱부,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의 하부반턱부에 각각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의 상부반턱부,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의 상부반턱부 및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의 일측상부반턱부와 타측상부반턱부에 상기 삽입홈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어 상기 삽입홈에 각각 삽입고정되는 삽입돌기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lternatively, an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the lower half-teok portion of the one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and the lower half-teok portion of the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respectively, the upper half-teok portion of the one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the upper half-teok portion of the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and the It is preferable that insertion protrusions which protrude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direction of the insertion groove and are respectively inserted and fixed in the insertion groove are formed in the upper half-teok portion of one side and the upper half-teok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seating concrete block.
여기서, 상기 삽입돌기의 외주면에 상기 삽입홈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삽입돌기의 내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toward the inside of the insertion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protrusion in the direction of the insertion groove.
그리고,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의 전측과 후측,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의 전측과 후측 및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의 삽입구,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의 삽입구 및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의 삽입구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상태로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어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 및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을 지면에 안착고정시키는 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seating concrete block,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one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and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respectively, the insertion hole is formed, the insertion hole of the one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the insertion hole of the seating concrete block I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in a state of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insertion hole and the insertion hole of the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and a fixing part for seating and fixing the seating concrete block, the one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and the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to the ground; desirable.
여기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의 삽입구,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의 삽입구 및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의 삽입구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상태로 상기 삽입구에 삽입고정되는 인장강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xing part is a tensile steel wire inserted and fixed into the insertion hole while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insertion hole of the one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the insertion hole of the seating concrete block, and the insertion hole of the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또한,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의 일측면 전측과 일측면 후측 및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의 타측면 전측과 타측면 후측에 상기 삽입구와 각각 연통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인장강선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연결고정되어 상기 삽입구에 삽입된 상기 인장강선을 위치고정시키고,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위치고정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receiving grooves communicating with the insertion hole are respectively formed on one side front side and one side rear side of the one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and on the other side front side and the other side rear side of the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and the fixing part is one side of the tensile steel wir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position fixing member which is connected and fixed to the other side, respectively, to fix the position of the tensile steel wi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nd to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나아가, 상기 위치고정부재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어 상기 위치고정부재의 노출을 방지하는 마감캡;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a closing cap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osition fixing member to prevent exposure of the position fixing member.
더불어,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의 내부,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의 내부 및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의 내부에 탄소발열체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carbon heating element is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seating concrete block, the inside of the one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and the inside of the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아울러,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의 일측 하부 및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의 타측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의 일측 하부 및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의 타측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콘크리트블럭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ne side lower part of the one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and the other side lower part of the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are respectively provided to support the one side lower part of the one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and the other side lower part of the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to be provided with a support concrete block provided desirable.
본 발명은 별도의 미세먼지 수집판을 설치한 자동차나 열차 등의 운행 없이도 대기정화가 가능한 안착콘크리트블럭과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 및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으로 이루어진 미세먼지 발생 방지 도로를 통해 대기중의 미세먼지 발생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착콘크리트블럭과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 및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의 내부에 구비된 탄소발열체가 발산하는 고온의 열을 통해 블랙아이스 현상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지면에 발생된 싱크홀 현상에 의해 안착콘크리트블럭과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 및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이 싱크홀 발생지점의 하부방향으로 하강할 우려가 없어 싱크홀로 인한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과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 및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의 교체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ne dust in the air through a roa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fine dust consisting of a seating concrete block that can purify the air without running a car or train installed with a separate fine dust collecting plate, one side connecting concrete block, and the other connecting concrete block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more easily prevent the occurrence of black ice, the black ice phenomenon can be more easily prevented through the high-temperature heat emitted by the carbon heating element provided inside the seated concrete block, the one-side connecting concrete block, and the other-side connecting concrete block. Furthermore, there is no fear that the seated concrete block, one side connecting concrete block, and the other connecting concrete block will descend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sinkhole occurrence point due to the sinkhole phenomenon occurring in the ground, so secondary accidents due to the sinkhole can be prevented. ,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easy replacement and repair of the seating concrete block, one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and the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미세먼지 발생 방지 도로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분리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정면도이고,
도 5는 복수의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과 복수의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 사이에 안착콘코리트블럭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분리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결합정면도이고,
도 9는 안착콘크리트블럭,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 및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이 지면에 안착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미세먼지 발생 방지 도로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11은 지면에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 및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이 안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과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 사이의 지면에 안착콘크리트블럭이 안착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4는 일예의 삽입돌기와 일예의 삽입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분리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6은 일예의 삽입돌기의 외주면에 경사면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분리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18은 다른예의 삽입돌기와 다른예의 삽입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분리단면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0은 다른예의 삽입돌기의 외주면에 경사면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분리단면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22는 일예의 고정부가 안착콘크리트블럭,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 및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23은 도 22의 C - C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24는 도 22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5는 도 24의 D - D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6은 고정부에 의해 안착콘크리트블럭,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 및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이 지면에 안착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7은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의 수용홈 및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의 수용홈에 각각 위치고정부재가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8은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의 수용홈 및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의 수용홈으로부터 마감캡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분리단면도이고,
도 29는 도 28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30은 안착콘크리트블럭의 내부,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의 내부 및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의 내부에 탄소발열체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1은 일예의 지지콘크리트블럭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2는 안착콘크리트블럭,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 및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이 안착고정된 지면에 싱크홀이 발생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oad structure for preventing fine dust gen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n exploded front view of Figure 1,
Figure 4 is a front view of the coupling of Figure 3,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ating concrete block is provided between a plurality of connecting concrete blocks on one side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concrete blocks on the other side;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5,
Figure 7 is an exploded front view of Figure 5,
Figure 8 is a front view of the coupling of Figure 7,
9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ting concrete block, the one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and the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are seated and fixed on the ground;
10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 road for preventing fine dust gen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one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and the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are seated on the ground;
12 and 13 are front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seating concrete block is seated on the ground between the one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and the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14 is a partially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sertion protrusion of an example and an insertion groove of an example;
1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 - A of FIG. 14;
16 is a partially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protrusion of an example;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upling of FIG. 16;
18 is a partially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sertion protrusion of another example and an insertion groove of another example;
1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 - B of FIG. 18;
20 is a partially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protrusion of another example;
21 is a combin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20;
2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part of an example is separated from the seating concrete block, the one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and the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23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 - C of FIG. 22;
24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FIG. 22;
2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 - D of FIG. 24;
2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ting concrete block, the one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and the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are seated and fixed on the ground by the fixing part;
27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fixing member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of one side connecting concrete block and the receiving groove of the other connecting concrete block, respectively;
28 is a parti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osing cap is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groove of one side connecting concrete block and the receiving groove of the other connecting concrete block;
29 is a combin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28;
30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rbon heating element is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seating concrete block, the inside of one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and the inside of the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3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support concrete block;
3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sink hole is generated in the ground on which the seating concrete block, the one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and the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are mounted and fix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cour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미세먼지 발생 방지 도로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for preventing fine dust gen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미세먼지 발생 방지 도로구조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안착콘크리트블럭(10),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 및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road structure for preventing fine du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ing
도 3은 도 1의 분리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정면도이다.3 is an exploded front view of FIG. 1 , and FIG. 4 is a combined front view of FIG. 3 .
먼저,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은 지면에 안착고정될 수 있다.First, the seated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의 측면에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재질의 반턱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4 on the side of the seating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의 반턱부(110)는 크게, 일측상부반턱부(111)와 타측상부반턱부(112)로 구성될 수 있다.The half-
상기 일측상부반턱부(111)는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의 일측면 상부에서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돌출형성될 수 있다.The one-side upper half-
상기 타측상부반턱부(112)는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의 타측면 상부에서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의 타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돌출형성될 수 있다.The other upper half-
다음으로,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은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의 일측 주변의 지면에 안착고정될 수 있다.Next, the one-side connection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의 측면에도 콘크리트 재질의 반턱부(210)가 형성된다.A half-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의 반턱부(210)는 하부반턱부(211)로 구성될 수 있다.The half-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의 하부반턱부(211)는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의 일측면의 반대측인 타측면 하부에서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의 타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돌출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half-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의 하부반턱부(211)의 상부에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의 일측상부반턱부(111)가 안착된 상태로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의 하부반턱부(211)는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의 일측상부반턱부(111)와 반턱이음방식에 의해 연결결합될 수 있다.The lower half of the one-side connecting
다음으로,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은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의 타측 주변의 지면에 안착고정될 수 있다.Next, the other side connection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의 측면에도 콘크리트 재질의 반턱부(310)가 형성된다.A half-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의 반턱부(310)는 하부반턱부(311)로 구성될 수 있다.The half-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의 하부반턱부(311)는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의 일측면 하부에서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돌출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half-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의 하부반턱부(311)의 상부에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의 타측상부반턱부(112)가 안착된 상태로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20)의 하부반턱부(311)는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의 타측상부반턱부(112)와 반턱이음방식에 의해 연결결합될 수 있다.The lower half of the other connecting
도 5는 복수의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과 복수의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 사이에 안착콘코리트블럭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리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ating concrete block is provided between a plurality of one-side connecting concrete blocks and a plurality of other connecting concrete blocks, and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5 .
다음으로,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의 일측과 타측에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1개의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 및 1개의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이 연결결합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의 일측과 타측에 복수의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 및 복수의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이 연결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Next, as shown in FIGS. 1 to 4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eating
도 7은 도 5의 분리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결합정면도이고, 도 9는 안착콘크리트블럭,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 및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이 지면에 안착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FIG. 7 is an exploded front view of FIG. 5 , FIG. 8 is a combined front view of FIG. 7 , and FIG. 9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ating concrete block, the one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and the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are seated and fixed on the ground.
복수의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은 도 6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제 1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1)과 복수의 제 2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2)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the one-side connecting
상기 제 1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1)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면(3)의 중앙에 안착고정될 수 있는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지면(3)의 일측에 안착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side connection
복수의 상기 제 2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2)은 상기 제 1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1)과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 사이의 지면(3)의 일측에 안착고정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second one-side connecting
복수의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은 도 6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제 1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1)과 복수의 제 2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2)으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6 to 8 , the plurality of the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s 30 may be largely composed of a first other side connection
상기 제 1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1)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면(3)의 중앙에 안착고정될 수 있는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지면(3)의 타측에 안착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other side connection
복수의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의 반턱부(210)는 하부반턱부(211)와 상부반턱부(212)로 구성될 수 있다.The half-
상기 하부반턱부(211) 주변에 위치한 상기 상부반턱부(212)가 각각 상기 하부반턱부(211)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하부반턱부(211)와 상기 상부반턱부(212)가 반턱이음방식에 의해 연결결합될 수 있다.The lower half-
복수의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의 하부반턱부(211)는 상기 제 1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1)의 일측면의 반대측인 타측면 하부 및 복수의 제 2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2)의 일측면의 반대측인 타측면 하부에서 상기 제 1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1)의 일측 외부방향 및 복수의 상기 제 2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2)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각각 일정길이로 수평돌출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half-
복수의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의 상부반턱부(212)는 복수의 상기 제 2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2)의 일측면 상부에서 복수의 상기 제 2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2)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각각 일정길이로 수평돌출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half-
상기 제 1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1)의 타측면 하부에 형성된 하부반턱부(211)는 상기 제 1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1)의 타측과 인접한 어느 하나의 제 2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2)의 상부반턱부(212)와 반턱이음방식에 의해 연결결합될 수 있다.The lower half-
어느 하나의 제 2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2)의 타측면 하부에 형성된 하부반턱부(211)는 어느 하나의 제 2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2)의 타측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제 2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2)의 상부반턱부(212)와 반턱이음방식에 의해 연결결합될 수 있다.The lower half-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의 일측상부반턱부(111)는 복수의 상기 제 2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2) 중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의 일측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상기 제 2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2)의 하부반턱부(211)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로 다른 하나의 상기 제 2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2)의 하부반턱부(211)와 반턱이음방식에 의해 연결결합될 수 있다.One side upper half-
복수의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의 반턱부(310)는 하부반턱부(311)와 상부반턱부(312)로 구성될 수 있다.The half-
상기 하부반턱부(311) 주변의 상기 상부반턱부(312)가 각각 상기 하부반턱부(311)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하부반턱부(311)와 상기 상부반턱부(312)가 반턱이음방식에 의해 연결결합될 수 있다.The lower half-
복수의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의 하부반턱부(311)는 제 1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1)의 일측면 하부 및 복수의 제 2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2)의 일측면 하부에서 상기 제 1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1)의 일측 외부방향 및 복수의 제 2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2)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각각 일정길이로 수평돌출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half-
복수의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의 상부반턱부(312)는 복수의 상기 제 2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2)의 타측면 상부에서 복수의 상기 제 2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2)의 타측 외부방향으로 각각 일정길이로 수평돌출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half-
상기 제 1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1)의 일측면 하부에 형성된 하부반턱부(311)는 상기 제 1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1)의 일측과 인접한 어느 하나의 제 2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2)의 상부반턱부(312)와 반턱이음방식에 의해 연결결합될 수 있다.The lower half-
어느 하나의 제 2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1)의 일측면 하부에 형성된 하부반턱부(311)는 어느 하나의 제 2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1)의 일측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제 2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1)의 상부반턱부(312)와 반턱이음방식에 의해 연결결합될 수 있다.The lower half-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의 타측상부반턱부(112)는 복수의 상기 제 2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1) 중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의 타측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제 2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2)의 하부반턱부(311)와 반턱이음방식에 의해 연결결합될 수 있다.The other upper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 및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은 미세먼지 제거 효율이 우수한 효과가 있는 콘크리트 조성물로서, 이는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105571호를 통해 공지된 사항이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seating
별도의 미세먼지 수집판을 설치한 자동차나 열차 등의 운행 없이도 대기정화가 가능한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과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 및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인 미세먼지 발생 방지 도로를 통해 대기중의 미세먼지 발생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hich consists of the seating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미세먼지 발생 방지 도로구조의 상세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상 하기에서 상술되는 미세먼지 발생 방지 도로 시공방법을 통해 상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oad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fine dust,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e construction method for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fine dust,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미세먼지 발생 방지 도로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10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 road for preventing fine dust gen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미세먼지 발생 방지 도로 시공방법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a) 콘크리트블럭 준비단계(이하, 'a)단계'라 한다.), b) 콘크리트블럭 안착단계(이하, 'b)단계'라 한다.) 및 c) 콘크리트블럭 고정단계(이하, 'c)단계'라 한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Next, as shown in FIG. 10 ,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road construction method for preventing fine dust gen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a concrete block preparation step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tep'), b) a concrete block seating step (hereinafter referred to as 'step b)') and c) concrete block fixing step (hereinafter referred to as 'step c)').
먼저, 상기 a)단계는 일예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 및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을 각각 준비하는 단계이다.First, step a) is, for example, pouring and curing concrete in a formwork to prepare the seating
도 11은 지면에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 및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이 안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11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one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and the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are seated on the ground.
다음으로, 상기 b)단계는 지면(3)에 1개 또는 복수의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과 1개 또는 복수의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 및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을 순차적으로 안착시키는 단계이다.Next, in step b), one or a plurality of the one-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s 20 and one or a plurality of the other-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s 30 and the seating concrete blocks 10 are sequentially placed on the ground (3). It is a step to set up.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과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면(3)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순차적으로 수평안착될 수 있다.The one side connection
도 12 및 도 13은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과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 사이의 지면에 안착콘크리트블럭이 안착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12 and 13 are front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seating concrete block is seated on the ground between the one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and the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그리고,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은 도 12 및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과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 사이의 지면(3) 중앙에 안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ting
도 14는 일예의 삽입돌기와 일예의 삽입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분리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1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insertion protrusion and an example insertion groove, and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 - A of FIG. 14 .
한편, 상기 b)단계를 통해 지면(3)에 순차적으로 안착된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 및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이 지면(3)의 전후방향으로 각각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14 및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예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의 하부반턱부(211)의 상부 전측과 상부 후측 및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의 하부반턱부(311)의 상부 전측과 상부 후측에 각각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의 상부방향 및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는 삽입돌기(213, 313)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ating
그리고,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의 상부반턱부(212),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의 상부반턱부(312) 하부 전측과 하부 후측,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의 일측상부반턱부(111)의 하부 전측과 하부 후측 및 상기 타측상부반턱부(112)의 하부 전측과 하부 후측에 상기 삽입돌기(213, 313)가 삽입고정되는 삽입홈(214, 314)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And, the upper half-
도 16은 일예의 삽입돌기의 외주면에 경사면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분리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결합단면도이다.16 is a parti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sertion protrusion of an example, and FIG. 17 is a combin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16 .
여기서, 일예의 상기 삽입돌기(213, 313)가 도 16 및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홈(214, 314)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예의 상기 삽입돌기(213, 313)의 외주면에 환형의 경사면(215, 315)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Here, in order to allow the
일예의 상기 삽입돌기(213, 313)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는 환형의 상기 경사면(215, 315)은 일예의 상기 삽입돌기(213, 313)의 하부에서 상기 삽입홈(214, 314)의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일예의 상기 삽입돌기(213, 313)의 상부 내측으로 상향경사질 수 있다.The annular
도 18은 다른예의 삽입돌기와 다른예의 삽입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분리단면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18 is a partially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sertion protrusion of another example and an insertion groove of another example, and FIG. 1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 - B of FIG. 18 .
이와 달리, 다른예로서, 도 18 및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의 하부반턱부(211)의 상부 전측과 상부 후측 및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의 하부반턱부(311)에 각각 상기 삽입홈(214, 314)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S. 18 and 19 , the upper front side and upper rear side of the lower half-
또한, 다른예로서, 상기 삽입돌기(213, 313)는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의 상부반턱부(212)의 하부 전측과 하부 후측,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의 상부반턱부(312)의 하부 전측과 하부 후측 및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의 일측상부반턱부(111)의 하부 전측과 하부 후측 및 상기 타측상부반턱부(112)의 하부 후측에서 다른예의 상기 삽입홈(214, 314)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어 다른예의 상기 삽입홈(214, 314)에 각각 삽입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the
도 20은 다른예의 삽입돌기의 외주면에 경사면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분리단면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결합단면도이다.20 is a parti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protrusion of another example, and FIG. 21 is a combin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여기서, 다른예의 상기 삽입돌기(213, 313)이 도 20 및 도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른예의 상기 삽입홈(214, 314)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른예의 상기 삽입돌기(213, 313)의 외주면에도 환형의 경사면(215, 315)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Here, in order to allow the
다른예의 상기 삽입돌기(213, 313)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는 환형의 상기 경사면(215, 315)은 다른예의 상기 삽입돌기(213, 313)의 상부에서 다른예의 상기 삽입홈(214, 315)의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다른예의 상기 삽입돌기(213, 313)의 하부 내측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The annular
도 22는 일예의 고정부가 안착콘크리트블럭,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 및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23은 도 22의 C - C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다.2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part of an example is separated from the seating concrete block, the one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and the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and FIG. 23 is a separat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 - C of FIG. 22 .
상기 a)단계에서 준비된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 및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이 고정부(40)에 의해 지면(3)에 유동없이 더욱 안정적으로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22 및 도 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의 전측과 후측,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의 전측과 후측 및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의 전측과 후측에 상기 고정부(40)가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하는 삽입구(11, 21, 31)가 지면(3)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각각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The seating
도 24는 도 22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5는 도 24의 D - D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6은 고정부에 의해 안착콘크리트블럭,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 및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이 지면에 안착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24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Fig. 22, Fig. 2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 - D of Fig. 24, and Fig. 26 is a seated concrete block, one side connecting concrete block and the other connecting concrete block seated and fixed on the ground by a fixing unit.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te of being
다음으로, 상기 c)단계는 지면(3)에 안착된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 및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을 상기 고정부(40)를 통해 위치고정하는 단계이다.Next, in step c), the one side connection
상기 고정부(40)는 도 24 내지 도 2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예로,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의 삽입구(21),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의 삽입구(11) 및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의 삽입구(31)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상태로 상기 삽입구(21, 11, 31)에 삽입고정되는 인장강선(41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xing
상기 인장강선(410)이 상기 삽입구(21, 11, 3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부(40)는 상기 인장강선(4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연결고정되어 상기 삽입구(21, 11, 31)에 삽입된 상기 인장강선(410)을 위치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재(4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상기 위치고정부재(420)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예로, 상기 인장강선(4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나사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체결되어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의 일측 외면과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 외면에 각각 밀착되는 인장강선너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또는, 상기 삽입구(21, 11, 31)내로 물이나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높은 효율로 방지하여 상기 인장강선(410)의 녹발생으로 인한 단락 또는 상기 인장강선(4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위치고정부재(420)는 다른예로서, 지수제인 패킹제(421), 앙카플레이트(422) 및 강선고정구(423)으로 구성될 수 있다.Alternatively, to prevent water or moisture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insertion holes 21, 11, 31 with high efficiency to prevent a short circuit or separation of the
상기 패킹제(421)의 내측을 상기 인장강선(410)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수평관통한 상태로 상기 패킹제(421)는 1개의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의 삽입구(21)의 일측과 1개의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의 삽입구(31)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에 일정깊이로 수밀하게 삽입고정될 수 있다.In a state wher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또는, 상기 패킹제(421)는 도 2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 중 제 1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1)의 삽입구(21)의 일측과 복수의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20) 중 제 1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21)의 삽입구(21)의 타측에 일정깊이로 수밀하게 삽입고정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상기 앙카플레이트(422)와 상기 강선고정구(423)는 상기 패킹제(421)의 외측으로 일정길이로 각각 노출되는 상기 인장간선(4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순차적으로 체결고정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다른예의 상기 위치고정부재(420)는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2008-0000888호를 통해 공지된 사항이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작업자는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 및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으로부터 상기 고정부(40)를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을 지면(3)으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을 순차적으로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 및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의 전체의 교체보수 또는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 및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 중 어느 하나의 교체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The worker separates the fixing
도 27은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의 수용홈 및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의 수용홈에 각각 위치고정부재가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27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fixing member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of one side connecting concrete block and the receiving groove of the other connecting concrete block, respectively.
다음으로, 상기 위치고정부재(420)를 외부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1개의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의 일측면 전측과 일측면 후측 및 1개의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의 일측면의 반대측인 타측면 전측과 타측면 후측에 1개의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의 삽입구(21) 및 1개의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의 삽입구(31)와 각각 연통되어 상기 위치고정부재(420)를 수용하는 수용홈(22, 3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Next, in order to safely protect the
또는, 도 2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 중 제 1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1)의 일측면 전측과 일측면 후측 및 복수의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 중 제 1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1)의 일측면의 반대측인 타측면 전측과 타측면 후측에 제 1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1)의 삽입구(21) 및 제 1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1)의 삽입구(31)와 각각 연통되어 상기 위치고정부재(420)를 수용하는 수용홈(22, 3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27 , one side front side and one side rear side of the first one side connection
도 28은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의 수용홈 및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의 수용홈으로부터 마감캡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분리단면도이고, 도 29는 도 28의 결합단면도이다.2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osing cap is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groove of one side connecting concrete block and the receiving groove of the other connecting concrete block, and FIG. 29 is a combin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다음으로, 상기 위치고정부재(420)가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 및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 및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의 외관의 미려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28 및 도 2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수용홈(22, 32)에는 상기 수용홈(22, 32)에 수용된 상기 위치고정부재(420)의 노출을 방지하는 마감캡(50)이 상기 위치고정부재(42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억지끼움, 나사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삽입구비될 수 있다.Next, the
상기 마감캡(50)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있겠으나, 일예로, 특히,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 및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과 상기 마감캡(50)의 이질감이 없도록 하기 위해 상기 마감캡(50)은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The finishing
도 30은 안착콘크리트블럭의 내부,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의 내부 및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의 내부에 탄소발열체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30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rbon heating element is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seating concrete block, the interior of one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and the interior of the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다음으로,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과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 및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에 블랙아이스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3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의 내부 상부,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의 내부 상부 및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의 내부 상부에 고온의 열을 발산하는 탄소발열체(60)가 구비될 수 있다.Next, in order to prevent a black ice phenomenon from occurring in the seating
상기 탄소발열체(60)는 탄소섬유면상발열체 등 다양한 종류의 탄소섬유발열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도 31은 일예의 지지콘크리트블럭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3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support concrete block.
다음으로, 도 3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면(3)의 일측과 타측에 상기 지면(3)의 일측 하부방향 및 타측하부방향으로 각각 사선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3a, 3b)이 형성될 경우, 상기 경사면(3a, 3b)의 상부방향에 각각 위치하는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 및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이 불안정한 상태를 이루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Next, as shown in FIG. 31 , if
지면(3)의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 상기 경사면(3a, 3b)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 및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이 보다 안정적으로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d) 지지콘크리트블럭 구비단계(이하, 'd)단계'라 한다.)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e one side connection
상기 d)단계는 도 3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면(3)의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 상기 경사면(3a, 3b)에 상기 경사면(3a, 3b)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의 하부 및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의 하부를 받침지지하는 지지콘크리트블럭(70)을 각각 구비시키는 단계이다.In step d), as shown in FIG. 31 , the one-side connection
상기 지지콘크리트블럭(70)은 1개의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의 일측 하부 또는 복수의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 중 제 1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1)의 일측 하부를 받침지지할 수 있다.The support
또한, 상기 지지콘크리트블럭(70)은 1개의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 하부 또는 복수의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 중 제 1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 하부를 받침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상기 지지콘크리트블럭(70)의 하부는 지면(3)의 경사면(3a, 3b)에 일정깊이로 매설될 수 있다.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ing
도 32는 안착콘크리트블럭,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 및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이 안착고정된 지면에 싱크홀이 발생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3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sink hole is generated in the ground on which the seating concrete block, the one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and the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are mounted and fixed.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과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 및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이 반턱이음방식에 의해 상호 연결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과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 및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을 지면에 안착고정시키는 고정부(40)로 인해 도 3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면(3)에 싱크홀(5)현상이 발생되어도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과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 및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이 싱크홀(5) 발생지점의 하부방향으로 하강할 우려가 없어 싱크홀(5)로 인한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The seating
10; 안착콘크리트블럭, 20;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
30;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10; seated concrete block, 20; One side connecting concrete block,
30; Concrete block connecting the other side.
Claims (24)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의 일측 주변의 지면(3)에 안착고정되고, 측면에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의 반턱부(110)와 반턱이음방식에 의해 연결결합되는 반턱부(210)가 형성되며, 전측과 후측에 삽입구(21)가 형성되고, 일측면 전측과 일측면 후측에 상기 삽입구(21)와 연통되는 수용홈(22)이 형성되는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과;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의 타측 주변의 지면에 안착고정되고, 측면에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의 반턱부(110)와 반턱이음방식에 의해 연결결합되는 반턱부(310)가 형성되며, 전측과 후측에 삽입구(31)가 형성되고, 타측면 전측과 타측면 후측에 상기 삽입구(31)와 연통되는 수용홈(32)이 형성되는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과;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의 삽입구(21)와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의 삽입구(11) 및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의 삽입구(31)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상태로 상기 삽입구(21, 11, 31)에 삽입고정되어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 및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을 지면에 안착고정시키는 인장강선(410)과, 상기 인장강선(4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연결고정되어 상기 삽입구(21, 11, 31)에 삽입된 상기 인장강선(410)을 위치고정시키고, 상기 수용홈(22, 32)에 수용되는 위치고정부재(420)로 이루어지는 고정부(40)와;
상기 위치고정부재(42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수용홈(22, 32)에 수용되어 상기 위치고정부재(420)의 노출을 방지하고,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 및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과의 이질감이 없도록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지는 마감캡(50)과;
지면(3)의 일측과 타측에 상기 지면(3)의 일측 하부방향 및 타측 하부방향으로 각각 사선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3a, 3b)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3a, 3b)에 일정깊이로 매설되어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의 일측 하부 및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의 하부를 받침지지하는 지지콘크리트블럭(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발생 방지 도로구조.
Seated and fixed on the ground (3), a half-teok portion (110) is formed on the side, and a seating concrete block (10) in which the insertion hole (11) is formed 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respectively;
The seated concrete block 10 is seated and fixed on the ground 3 around one side, and the half-teok portion 210 i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seated concrete block 10 with the half-teok portion 110 and the half-tuck joint by a half-tuck joint method. One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20 which is formed, the insertion hole 21 is formed 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and the receiving groove 22 communicating with the insertion hole 21 is formed on one side front side and one side rear side;
It is seated and fixed on the ground around the other side of the seated concrete block 10, and a half-teok portion 310 that is connected to and coupled to the half-teok portion 110 of the seated concrete block 10 by a half-joint method is formed on the side, The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30 in which the insertion hole 31 is formed 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and the receiving groove 32 communicating with the insertion hole 31 is formed on the other side front side and the other side rear side;
The insertion hole (21) of the one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20), the insertion hole (11) of the seating concrete block (10), and the insertion hole (31) of the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30) are sequentially pass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 A tensile steel wire 410 that is inserted and fixed in 21, 11, 31 to seat and fix the seating concrete block 10, the one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20 and the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30 on the ground, and the tension A position fixing member which is connected and fix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teel wire 410, respectively, to fix the position of the tensile steel wire 41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1, 11, 31, and to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s 22, 32 a fixing part 40 made of (420);
It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s 22 and 32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osition fixing member 420 to prevent exposure of the position fixing member 420, and the one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20 and the other side a closing cap 50 made of a concrete material so that there is no sense of alienation with the connecting concrete block 30;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ground surface (3) inclined surfaces (3a, 3b) that are inclined in an oblique direction respectively in the lower direction and the other lower direction of the ground (3) are formed, and the inclined surfaces (3a, 3b) to a predetermined depth. A support concrete block (70) which is buried and supports the lower part of one side of the one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20) and the lower part of the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30);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과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은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은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지면(3)의 일측에 안착고정되는 제 1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1)과;
상기 제 1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1)과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 사이의 지면(3)의 일측에 안착고정되는 복수의 제 2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2);으로 구성되고,
복수의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은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지면(3)의 타측에 안착고정되는 제 1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1)과;
상기 제 1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1)과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 사이의 지면(3)의 타측에 안착고정되는 복수의 제 2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발생 방지 도로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one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20 and the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30 are made of a plurality,
A plurality of the one-side connecting concrete block 20 is a first one-side connecting concrete block 201 that is seated and fixed on one side of the ground 3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ated concrete block 10;
A plurality of second one-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s 202 seated and fixed on one side of the ground 3 between the first one-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201 and the seating concrete block 10;
A plurality of the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30 is a first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301 which is seated and fixed on the other side of the ground (3)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ating concrete block (10);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ng concrete blocks (302) that are seated and fixed on the other side of the ground (3) between the first other connecting concrete block (301) and the receiving concrete block (10); Dust-proof road structure.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의 반턱부(210)는 상기 제 1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1)의 타측면 하부와 복수의 상기 제 2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2)의 타측면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하부반턱부(211)와;
복수의 상기 제 2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2)의 일측면 상부에 각각 형성되어 인접한 제 1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1)의 하부반턱부(211) 및 인접한 제 2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2)의 하부반턱부(211)와 각각 반턱이음방식에 의해 연결결합되는 상부반턱부(212);로 구성되고,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의 반턱부(310)는 상기 제 1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1)의 일측면 하부와 복수의 상기 제 2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2)의 일측면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하부반턱부(311)와;
복수의 상기 제 2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2)의 타측면 상부에 각각 형성되어 인접한 제 1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1)의 하부반턱부(311) 및 인접한 제 2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2)의 하부반턱부(311)와 각각 반턱이음방식에 의해 연결결합되는 상부반턱부(312);로 구성되며,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의 반턱부(110)는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의 일측면 상부에 형성되어 인접한 제 2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2)의 하부반턱부(211)와 반턱이음방식에 의해 연결결합되는 일측상부반턱부(111)와;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의 타측면 상부에 형성되어 인접한 제 2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2)의 하부반턱부(311)와 반턱이음방식에 의해 연결결합되는 타측상부반턱부(11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발생 방지 도로구조.
The method of claim 2,
The half-teok portion 210 of the one-side connecting concrete block 20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one-side connecting concrete block 201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plurality of second one-side connecting concrete blocks 202, respectively. a lower half-cheok portion 211;
The lower half 211 of the plurality of second one-side connecting concrete blocks 202 are respectively formed on one side of the adjacent first one-side connecting concrete block 201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adjacent second one-side connecting concrete block 202. Consists of; a half-teok portion 211 and an upper half-teok portion 212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half-teok joint method;
The halves 310 of the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30 ar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one side of the first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301 and the lower side of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the second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s 302, respectively. And the lower half-cheok portion (311);
The lower half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s 302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adjacent first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301 and the lower half 311 of the adjacent second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302 and the lower part of the adjacent second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302 . It consists of; a half-teok part 311 and an upper half-teok part 312 connected and coupled by a half-teok joint method, respectively,
The half-teok portion 110 of the seated concrete block 1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eated concrete block 10, and the lower half-teok portion 211 of the adjacent second one-side connecting concrete block 202 and the half-teok joint method are formed. And one side upper half-teok portion 111 coupled by the connection;
The other upper half-teok part 112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ating concrete block 10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half-teok part 311 of the adjacent second other-side connecting concrete block 302 by a half-tuck joint method; A road structure to prevent generation of fine dust, characterized in that it becomes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의 하부반턱부(211),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의 하부반턱부(311)에 각각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의 상부방향 및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는 삽입돌기(213, 313)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의 상부반턱부(212),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의 상부반턱부(312) 및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의 일측상부반턱부(111)와 타측상부반턱부(112)에 상기 삽입돌기(213, 313)가 삽입고정되는 삽입홈(214, 314)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발생 방지 도로구조.
The method of claim 3,
The lower half-teok portion 211 of the one-side connecting concrete block 20 and the lower half-teok portion 311 of the other-side connecting concrete block 30, respectively,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one-side connecting concrete block 20 and the other connecting concrete block Insertion projections (213, 313) that protrude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upper direction of (30) are formed,
The upper half-teok part 212 of the one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20, the upper half-teok part 312 of the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30, and the upper half-teok part 111 and the other upper part of the seating concrete block 10 A road structure for preventing fine dust gen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grooves (214, 314) into which the insertion protrusions (213, 313) are inserted and fixed are formed in the half-teeth portion (112), respectively.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의 하부반턱부(211),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의 하부반턱부(311)에 각각 삽입홈(214, 314)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의 상부반턱부(212),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의 상부반턱부(312) 및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의 일측상부반턱부(111)와 타측상부반턱부(112)에 상기 삽입홈(214, 314)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어 상기 삽입홈(214, 314)에 각각 삽입고정되는 삽입돌기(213, 313)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발생 방지 도로구조.
The method of claim 3,
Insertion grooves 214 and 314 are formed in the lower half-teok portion 211 of the one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20 and the lower half-teok portion 311 of the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30, respectively,
The upper half-teok part 212 of the one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20, the upper half-teok part 312 of the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30, and the upper half-teok part 111 and the other upper part of the seating concrete block 10 A microscopic fea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protrusions 213 and 313 which protrude for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direction of the insertion grooves 214 and 314 and are inserted and fixed in the insertion grooves 214 and 314, respectively, are formed in the half-teak portion 112, respectively. Dust-proof road structure.
상기 삽입돌기(213, 313)의 외주면에 상기 삽입홈(214, 314)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삽입돌기(213, 313)의 내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215, 31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발생 방지 도로구조.
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Fine dust, characterized in that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sertion protrusions (213, 313), inclined surfaces (215, 315) inclined inward of the insertion protrusions (213, 313) are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insertion grooves (214, 314). Prevention road structure.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의 내부,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의 내부 및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의 내부에 탄소발열체(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발생 방지 도로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inside of the seating concrete block 10, the inside of the one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20, and the inside of the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30, a carbon heating element 60 is provided. .
b) 지면(3)에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 (30) 및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을 순차적으로 안착시키는 콘크리트블럭 안착단계와;
c)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의 삽입구(21)와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의 삽입구(11) 및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의 삽입구(31)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상태로 상기 삽입구(21, 11, 31)에 삽입고정되는 인장강선(410)과, 상기 인장강선(4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연결고정되어 상기 삽입구(21, 11, 31)에 삽입된 상기 인장강선(410)을 위치고정시키고 상기 수용홈(22, 32)에 수용되는 위치고정부재(420)로 이루어지는 고정부(40)를 통해 지면(3)에 안착된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 및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을 위치고정시키고, 상기 위치고정부재(42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수용홈(22, 32)에 상기 위치고정부재(420)의 노출을 방지하는 마감캡(50)이 수용되며, 상기 마감캡(50)이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 및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과의 이질감이 없도록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블럭 고정단계와;
d) 지면(3)의 일측과 타측에 상기 지면(3)의 일측 하부방향 및 타측 하부방향으로 각각 사선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3a, 3b)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3a, 3b)에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의 일측 하부 및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의 하부를 받침지지하기 위한 지지콘크리트블럭(70)을 일정깊이로 매설하는 지지콘크리트블럭 구비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발생 방지 도로 시공방법.
a) seated and fixed on the ground (3), a half-teok portion (110) is formed on the side, and a seating concrete block (10) in which insertion holes (11) are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respectively; The seated concrete block 10 is seated and fixed on the ground 3 around one side, and the half-teok portion 210 i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seated concrete block 10 with the half-teok portion 110 and the half-tuck joint by a half-tuck joint method. One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20 which is formed, the insertion hole 21 is formed 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respectively, and the receiving groove 22 is formed on one side front side and one side rear side; It is seated and fixed on the ground 3 around the other side of the seating concrete block 10, and i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seated concrete block 10 with the half-teok part 110 and the half-teok part 310 connected by a half-tuck joint method. Concrete block preparation step of preparing; the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30 which is formed, the insertion hole 31 is formed 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respectively, and the receiving groove 32 is formed on the other side front side and the other side rear side;
b) a concrete block seating step of sequentially seating the one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20, the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30 and the seating concrete block 10 on the ground (3);
c) In a state in which the insertion hole 21 of the one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20, the insertion hole 11 of the seating concrete block 10, and the insertion hole 31 of the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30 are sequentially passed The tensile steel wire 410 inserted and fixed into the insertion holes 21, 11, 31, and the tensile steel wire 410 connected and fix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tensile steel wire 410,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s 21, 11, 31 ( 410) and the one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20 seated on the ground 3 through a fixing part 40 made of a position fixing member 420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s 22 and 32, the other side The connecting concrete block 30 and the seating concrete block 10 are fixed in position, and the position fixing member 420 is placed in the receiving grooves 22 and 32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osition fixing member 420. The closing cap 50 to prevent exposure of the closure cap 50 is accommodated, and the closing cap 50 is fixed to a concrete block made of a concrete material so that there is no sense of difference between the one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20 and the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30 step;
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ground surface (3) inclined surfaces (3a, 3b) inclined in an oblique direction respectively in the lower direction and the other lower direction of the ground surface (3) are formed, and the inclined surfaces (3a, 3b) are A support concrete block providing step of burying a support concrete block 70 for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one side of the one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20 and the lower part of the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30 to a predetermined depth; A road construction method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fine dust.
상기 a) 콘크리트블럭 준비단계에서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과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은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은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지면(3)의 일측에 안착고정되는 제 1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1)과;
상기 제 1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1)과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 사이의 지면(3)의 일측에 안착고정되는 복수의 제 2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2);으로 구성되고,
복수의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은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지면(3)의 타측에 안착고정되는 제 1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1)과;
상기 제 1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1)과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 사이의 지면(3)의 타측에 안착고정되는 복수의 제 2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발생 방지 도로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8,
In the a) concrete block preparation step, the one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20 and the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30 are made in plurality,
A plurality of the one-side connecting concrete block 20 is a first one-side connecting concrete block 201 that is seated and fixed on one side of the ground 3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ated concrete block 10;
A plurality of second one-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s 202 seated and fixed on one side of the ground 3 between the first one-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201 and the seating concrete block 10;
A plurality of the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30 is a first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301 which is seated and fixed on the other side of the ground (3)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ating concrete block (10);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ng concrete blocks (302) that are seated and fixed on the other side of the ground (3) between the first other connecting concrete block (301) and the receiving concrete block (10); Road construction method to prevent dust generation.
상기 a) 콘크리트블럭 준비단계에서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의 반턱부(210)는 상기 제 1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1)의 타측면 하부와 복수의 상기 제 2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2)의 타측면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하부반턱부(211)와;
복수의 상기 제 2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2)의 일측면 상부에 각각 형성되어 인접한 제 1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1)의 하부반턱부(211) 및 인접한 제 2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2)의 하부반턱부(211)와 각각 반턱이음방식에 의해 연결결합되는 상부반턱부(212);로 구성되고,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의 반턱부(310)는 상기 제 1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1)의 일측면 하부와 복수의 상기 제 2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2)의 일측면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하부반턱부(311)와;
복수의 상기 제 2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2)의 타측면 상부에 각각 형성되어 인접한 제 1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1)의 하부반턱부(311) 및 인접한 제 2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2)의 하부반턱부(311)와 각각 반턱이음방식에 의해 연결결합되는 상부반턱부(312);로 구성되며,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의 반턱부(110)는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의 일측면 상부에 형성되어 인접한 제 2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2)의 하부반턱부(211)와 반턱이음방식에 의해 연결결합되는 일측상부반턱부(111)와;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의 타측면 상부에 형성되어 인접한 제 2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2)의 하부반턱부(311)와 반턱이음방식에 의해 연결결합되는 타측상부반턱부(11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발생 방지 도로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a) concrete block preparation step, the half-teok portion 210 of the one-side connecting concrete block 20 is the low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one-side connecting concrete block 201 and a plurality of the second one-side connecting concrete blocks 202 A lower half-teok portion 211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other side, respectively;
The lower half 211 of the plurality of second one-side connecting concrete blocks 202 are respectively formed on one side of the adjacent first one-side connecting concrete block 201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adjacent second one-side connecting concrete block 202. Consists of; a half-teok portion 211 and an upper half-teok portion 212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half-teok joint method;
The halves 310 of the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30 ar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one side of the first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301 and the lower side of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the second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s 302, respectively. And the lower half-cheok portion (311);
The lower half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s 302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adjacent first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301 and the lower half 311 of the adjacent second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302 and the lower part of the adjacent second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302 . It consists of; a half-teok part 311 and an upper half-teok part 312 connected and coupled by a half-teok joint method, respectively,
The half-teok portion 110 of the seated concrete block 1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eated concrete block 10, and the lower half-teok portion 211 of the adjacent second one-side connecting concrete block 202 and the half-teok joint method are formed. And one side upper half-teok portion 111 coupled by the connection;
The other upper half-teok part 112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ating concrete block 10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half-teok part 311 of the adjacent second other-side connecting concrete block 302 by a half-tuck joint method; A road construction method for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fine dus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상기 a) 콘크리트블럭 준비단계에서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의 하부반턱부(211),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의 하부반턱부(311)에 각각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의 상부방향 및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는 삽입돌기(213, 313)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의 상부반턱부(212),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의 상부반턱부(312) 및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의 일측상부반턱부(111)와 타측상부반턱부(112)에 상기 삽입돌기(213, 313)가 삽입고정되는 삽입홈(214, 314)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발생 방지 도로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In the a) concrete block preparation step, the lower half-teok portion 211 of the one-side connecting concrete block 20 and the lower half-teok portion 311 of the other-side connecting concrete block 30 of the one-side connecting concrete block 20, respectively Insertion projections 213 and 313 protruding for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upper direction an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other connecting concrete block 30 are formed,
The upper half-teok part 212 of the one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20, the upper half-teok part 312 of the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30, and the upper half-teok part 111 and the other upper part of the seating concrete block 10 A road construction method for preventing fine dust,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grooves (214, 314) into which the insertion protrusions (213, 313) are inserted and fixed are formed in the half-teak portion (112), respectively.
상기 a) 콘크리트블럭 준비단계에서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의 하부반턱부(211),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의 하부반턱부(311)에 각각 삽입홈(214, 314)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의 상부반턱부(212),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의 상부반턱부(312) 및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의 일측상부반턱부(111)와 타측상부반턱부(112)에 상기 삽입홈(214, 314)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어 상기 삽입홈(214, 314)에 각각 삽입고정되는 삽입돌기(213, 313)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발생 방지 도로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Insertion grooves 214 and 314 are formed in the lower half-teok portion 211 of the one side connecting concrete block 20 and the lower half-teok portion 311 of the other connecting concrete block 30 in the step a) preparing the concrete block, respectively. become,
The upper half-teok part 212 of the one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20, the upper half-teok part 312 of the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30, and the upper half-teok part 111 and the other upper part of the seating concrete block 10 A microscopic fea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protrusions 213 and 313 which protrude for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direction of the insertion grooves 214 and 314 and are inserted and fixed in the insertion grooves 214 and 314, respectively, are formed in the half-teak portion 112, respectively. Road construction method to prevent dust generation.
상기 a) 콘크리트블럭 준비단계에서 상기 삽입돌기(213, 313)의 외주면에 상기 삽입홈(214, 314)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삽입돌기(213, 313)의 내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215, 31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발생 방지 도로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or 12,
In the a) concrete block preparation step, the inclined surfaces 215 and 315 that are inclined inward of the insertion projections 213 and 313 toward the insertion grooves 214 and 314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sertion projections 213 and 313 are formed. A road construction method for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fine dus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상기 a) 콘크리트블럭 준비단계에서 상기 안착콘크리트블럭(10)의 내부, 상기 일측연결콘크리트블럭(20)의 내부 및 상기 타측연결콘크리트블럭(30)의 내부에 탄소발열체(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발생 방지 도로 시공방법.The method of claim 8,
In the a) concrete block preparation step, the inside of the seating concrete block 10, the inside of the one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20, and the inside of the other side connection concrete block 30,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bon heating element 60 is provided A road construction method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fine dus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8161A KR102259313B1 (en) | 2020-05-15 | 2020-05-15 | Road structure to prevent fine dus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8161A KR102259313B1 (en) | 2020-05-15 | 2020-05-15 | Road structure to prevent fine dus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59313B1 true KR102259313B1 (en) | 2021-06-01 |
Family
ID=76375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58161A KR102259313B1 (en) | 2020-05-15 | 2020-05-15 | Road structure to prevent fine dus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59313B1 (en)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200206A (en) * | 1985-02-27 | 1986-09-04 | 新井 元之助 | Road joint |
JPS6365704U (en) * | 1986-10-17 | 1988-04-30 | ||
KR200387387Y1 (en) * | 2005-03-22 | 2005-06-20 | 박영식 | Boundary stone of road |
KR20060076542A (en) * | 2004-12-29 | 2006-07-04 | 강대군 | A block for sidewalk block |
KR20100081876A (en) * | 2009-01-07 | 2010-07-15 | 조수연 | Concrete block for pavement of a road and it's working process |
KR20110022843A (en) * | 2009-08-28 | 2011-03-08 | 박석자 | The pavement block on the knockdown plan with ethylene prophlene diene monomer |
KR20130107783A (en) | 2012-03-23 | 2013-10-02 | 안희성 | In road and rail dust removal method and apparatus |
-
2020
- 2020-05-15 KR KR1020200058161A patent/KR10225931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200206A (en) * | 1985-02-27 | 1986-09-04 | 新井 元之助 | Road joint |
JPS6365704U (en) * | 1986-10-17 | 1988-04-30 | ||
KR20060076542A (en) * | 2004-12-29 | 2006-07-04 | 강대군 | A block for sidewalk block |
KR200387387Y1 (en) * | 2005-03-22 | 2005-06-20 | 박영식 | Boundary stone of road |
KR20100081876A (en) * | 2009-01-07 | 2010-07-15 | 조수연 | Concrete block for pavement of a road and it's working process |
KR20110022843A (en) * | 2009-08-28 | 2011-03-08 | 박석자 | The pavement block on the knockdown plan with ethylene prophlene diene monomer |
KR20130107783A (en) | 2012-03-23 | 2013-10-02 | 안희성 | In road and rail dust removal method and apparatu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688235B2 (en) | Suspended coach transportation system | |
CN206736635U (en) | The evacuation inspection platform of straddle-type monorail transportation system | |
KR102130397B1 (en) | Fine dust removal device using natural wind from lane control rod, parking prevention rod and bollard | |
KR102259313B1 (en) | Road structure to prevent fine dus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CN205970924U (en) | Condact rail protection casing convenient to patrol and examine | |
CN109606409B (en) | Vehicle armrest mounting structure and vehicle | |
KR102137580B1 (en) | Apparatus for collecting fine dust | |
KR101006169B1 (en) | That is established to Subway station tunnel track remove installation | |
CN108978367A (en) | A kind of suspension type monorail vehicle and its track girder | |
KR20090094512A (en) | Zero-power centrifugal de-dusting apparatus for subway tunnel | |
ES2944484T3 (en) | Station, in particular tunnel station and use of a filter unit in a station | |
CN204365056U (en) | Vehicle-mounted air purification device and automobile | |
KR20090042134A (en) | Adhesion device for cleaning subway air | |
US20040016358A1 (en) | Novel suspended coach transportation system | |
KR200488459Y1 (en) | Prefabricated road | |
CN208774758U (en) | A kind of screw sky rail system | |
CN201703276U (en) | Supporting frame of contact rail protecting cover | |
CN210737241U (en) | Overhead rail applied to bus station | |
KR102106241B1 (en) | Smart guard rail with fine dust absorption | |
CN209395804U (en) | A kind of vehicle armrest mounting structure and a kind of vehicle | |
JP3377602B2 (en) | Stiffening girder of long bridge | |
CN207266750U (en) | A kind of roof of train job safety ensures equipment and system | |
CN215715559U (en) | Noise reduction inspection shaft lid of high leakproofness | |
KR20100126050A (en) | Car stopper | |
KR102070574B1 (en) | Bus stop with fine dust reduction fun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