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9206B1 - 근로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근로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9206B1
KR102259206B1 KR1020190052347A KR20190052347A KR102259206B1 KR 102259206 B1 KR102259206 B1 KR 102259206B1 KR 1020190052347 A KR1020190052347 A KR 1020190052347A KR 20190052347 A KR20190052347 A KR 20190052347A KR 102259206 B1 KR102259206 B1 KR 102259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ime
workers
wo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2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7700A (ko
Inventor
박필조
류지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젠피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젠피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젠피앤피
Priority to KR1020190052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9206B1/ko
Publication of KR20200127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7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K9/0026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8Feature extraction; Face represent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5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로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로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방법은, 작업장의 출입구에 인접하게 설치된 리더기가 고용 계약이 완료된 근로자에게 부여되는 식별 정보의 인식을 통해 근로자의 출근 및 퇴근 상태를 판단하는 출퇴근 판단 단계; 근로자가 작업장에 출근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시, 작업장 내에 기 설치된 영상 촬영 모듈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영상 데이터로부터 근로자에 부여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동적 객체의 모션을 감지함으로써, 근로자의 근로 상태를 파악하는 근로 상태 파악 단계; 및 근로 상태 파악 결과,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동적 객체의 모션이 기 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감지되지 않을 경우, 임계 시간 경과 시점부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동적 객체의 모션이 재감지되는 시점까지를 근로 정지 시간으로 간주하여, 근로자의 총 근무 시간에서 근로 정지 시간을 제외함으로써 근로자의 실 근로 시간을 산출하는 실 근로 시간 산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근로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MANAGING DILIGENCE OF WORKER IDENTIFIABLE INFORMATION}
본 발명은 근로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근로자의 근태 관리를 수행하되, 근로자의 얼굴 폴리곤 집합체 및 의복 특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초로 근태 관리를 수행하여 개인 정보 유출 및 침해 이슈를 최소화한 근로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기술과 관련된 것이다.
최근 사물 인터넷의 발달로 인하여 이러한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등이 활발하게 연구 및 개발되어 근태 관리를 위한 시스템으로 상용화되고 있다.
일 예로써,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5-0096251호(공사 현장의 근로자 출퇴근 관리 시스템)에서는, 공사 현장의 출입구 경비실에 근로자 성명, 사원 번호와 같은 근로자 정보를 저장하여, 근로자 출입구 검출 장치에서 센서 신호 및 근로자 정보를 수신하여 근로자의 출근 또는 퇴근 여부를 판단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선행 기술에서는, 단순히 현장 근로자의 출근 및 퇴근 여부만을 파악 가능할 뿐으로서, 실질적으로 작업장에 출근한 근로자가 근로를 성실히 수행하고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것엔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작업장에는 일용직 근로자들을 관리 감독하기 위한 관리자가 배치되어 근태 현황을 파악하고 있긴 하나, 근로자가 다수일 경우, 근로자를 식별하는데 어려움을 느낄 뿐 아니라, 일일이 수 많은 근로자의 근태를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았으며, 이에 일용직 근로자의 건설적인 근태 분위기를 조성하고, 관리자의 부재 시에도 근로자들의 근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근태 관리 방법의 필요성이 요구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은 근로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근태 관리를 수행하되, 근로자의 얼굴 폴리곤 집합체 및 의복 특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근로자의 개인 정보 유출 및 침해 이슈를 최소화한 근로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제1 목적이 있다.
또한, 한 명 이상의 일용직, 현장 근로자의 출입 및 업무 수행 여부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근로자 관리의 용이성 및 작업장의 업무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는 근로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제2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로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방법은, 작업장의 출입구에 인접하게 설치된 리더기가 고용 계약이 완료된 근로자에게 부여되는 식별 정보의 인식을 통해 근로자의 출근 및 퇴근 상태를 판단하는 출퇴근 판단 단계; 근로자가 작업장에 출근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시, 작업장 내에 기 설치된 영상 촬영 모듈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영상 데이터로부터 근로자에 부여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동적 객체의 모션을 감지함으로써, 근로자의 근로 상태를 파악하는 근로 상태 파악 단계; 및 근로 상태 파악 결과,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동적 객체의 모션이 기 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감지되지 않을 경우, 임계 시간 경과 시점부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동적 객체의 모션이 재감지되는 시점까지를 근로 정지 시간으로 간주하여, 근로자의 총 근무 시간에서 근로 정지 시간을 제외함으로써 근로자의 실 근로 시간을 산출하는 실 근로 시간 산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식별 정보는, 고용 계약 수행 시 근로자의 신분 확인을 위해 획득된 근로자의 전신 이미지 중 근로자 얼굴의 특징 점을 추출하여 생성한 폴리곤 집합체 정보 및, 근로자가 소속된 인력 업체에서 근로자에게 지급한 의복에 부착된 코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출퇴근 판단 단계는, 고용 계약이 완료된 근로자에게 부여되는 식별 정보로서 리더기와 연동된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제1 식별 정보와, 근로자에 의해 리더기의 입력 수단에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실물 식별 정보인 제2 식별 정보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여, 근로자의 출근 및 퇴근 판단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식별 정보는, 위변조가 불가능하도록, 블록 데이터에 기록되어, 블록 체인을 형성하는 다수의 단말에서 저장 및 관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식별 정보는,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동적 객체인 근로자가 퇴근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시, 자동 삭제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실 근로 시간 산출 단계의 수행 결과, 근로자의 실 근로 시간이 기 설정된 기준 근로 시간에 미충족될 시,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근로 대금에 있어서, 미충족된 시간에 따라 기 설정된 비율의 패널티가 적용되도록 하여 근로자에게 감액된 근로 대금이 지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실 근로 시간 산출 단계의 수행 후, 산출된 실 근로 시간을 기초로, 한 명 이상의 근로자에 대한 근태 결과 보고서를 생성하여, 생성된 근태 결과 보고서를 관리자 단말에 통보하는 통보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근태 결과 보고서에는, 한 명 이상의 근로자에 대하여, 근로자의 근무 정지 시간, 근로 정지 횟수 및 근로 정지 주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초로 판단된 평가 등급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평가 등급은, 근태 관리 서버로 전송되어, 근로자별 및 근로자가 소속된 인력 업체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하는 인력 평가 정보로서 관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근로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장치는, 작업장의 출입구에 인접하게 설치된 리더기가 고용 계약이 완료된 근로자에게 부여되는 식별 정보의 인식을 통해 근로자의 출근 및 퇴근 상태를 판단하는 출퇴근 판단부; 근로자가 작업장에 출근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시, 작업장 내에 기 설치된 영상 촬영 모듈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영상 데이터로부터 근로자에 부여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동적 객체의 모션을 감지함으로써, 근로자의 근로 상태를 파악하는 근로 상태 파악부; 및 근로 상태 파악 결과,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동적 객체의 모션이 기 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감지되지 않을 경우, 임계 시간 경과 시점부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동적 객체의 모션이 재감지되는 시점까지를 근로 정지 시간으로 간주하여, 근로자의 총 근무 시간에서 근로 정지 시간을 제외함으로써 근로자의 실 근로 시간을 산출하는 실 근로 시간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한편,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는,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계들은: 작업장의 출입구에 인접하게 설치된 리더기가 고용 계약이 완료된 근로자에게 부여되는 식별 정보의 인식을 통해 근로자의 출근 및 퇴근 상태를 판단하는 출퇴근 판단 단계; 근로자가 작업장에 출근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시, 작업장 내에 기 설치된 영상 촬영 모듈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영상 데이터로부터 근로자에 부여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동적 객체의 모션을 감지함으로써, 근로자의 근로 상태를 파악하는 근로 상태 파악 단계; 및 근로 상태 파악 결과,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동적 객체의 모션이 기 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감지되지 않을 경우, 임계 시간 경과 시점부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동적 객체의 모션이 재감지되는 시점까지를 근로 정지 시간으로 간주하여, 근로자의 총 근무 시간에서 근로 정지 시간을 제외함으로써 근로자의 실 근로 시간을 산출하는 실 근로 시간 산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근로자의 식별 정보로 근태 관리를 수행하되, 근로자의 얼굴 폴리곤 집합체 및 의복 특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초로 근태 관리를 수행하여 개인 정보 유출 및 침해 이슈를 최소화한 근로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한 명 이상의 일용직, 현장직 근로자의 출입 및 업무 수행 여부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관리자 측면에서 근로자 관리의 용이성 및 작업장 업무의 효율이 극대화를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근로자의 실제 근로 시간에 대한 객관적 데이터를 도출하여 근로를 성실하게 수행한 근로자에게는 정상 근로 대금이 지급되도록 하고, 근로를 불성실하게 수행한 근로자에게는 근로를 미수행한 시간에 대응되는 비율의 대금이 차감된 근로 대금이 지급되도록 하여 근로 대금 지급의 형평성을 고려한 합리적인 근로 대금 지급 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관리자의 부재 시에도, 근로자들의 근무 태도가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작업장 내의 근로자들의 근무 태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단순히 근로 정지 시간만을 판단하여 근로자를 평가하는 것이 아닌, 근로 정지 횟수 및 주기를 판단하여 근로자를 평가하여, 평가 기준을 더욱 구체화함으로써 근로자의 평가 등급 산정의 합리성이 도모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로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로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근로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한 근태관리 방법에서 이용되는 근로자에 부여된 식별 정보의 일 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근로자의 근로 여부를 파악하는 일 예.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근로자의 실 근로 시간이 산출되는 일 예.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근로자의 실 근로 시간을 기초로 근로 대금이 차등 지급되는 일 예.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근로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근로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근태 관리를 수행하되, 근로자의 얼굴 폴리곤 및 의복 특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근로자의 개인 정보 유출 및 침해 이슈를 최소화한 근로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제1 목적이, 한 명 이상의 일용직, 현장 근로자의 출입 및 업무 수행 여부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근로자 관리의 용이성 및 작업장의 업무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는 근로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제2 목적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도 1을 참조하면,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로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작업장의 출입구에 인접하게 설치된 리더기가 고용 계약이 완료된 근로자에게 부여되는 식별 정보의 인식을 통해 근로자의 출근 및 퇴근 상태를 판단하는 출퇴근 판단 단계(S1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S10 단계에서 근로자의 출근 및 퇴근 상태의 판단을 위한 식별 정보의 인식은, 고용 계약이 완료된 근로자에 부여되는 식별 정보로서 리더기와 연동된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제1 식별 정보와, 리더기의 입력 수단에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실물 식별 정보인 제2 식별 정보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근로자의 식별 정보에는 다양한 실시 예가 존재할 수 있다.
한 실시 예로써, 상술한 근로자의 식별 정보는, 예를 들어 관리자와 근로자의 전자 고용 계약을 진행할 시, 근로자의 신분 확인을 위해 획득된 근로자의 전신 이미지 중 근로자의 얼굴에 대한 특징점을 추출하여 생성된 폴리곤(polygon) 집합체가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폴리곤은, 3차원 컴퓨터그래픽에서 입체 형상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가장 작은 단위인 다각형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폴리곤은 3차원 공간에서 시작점과 끝점이 선으로 연결된 폴리 라인으로 곡선 위에 있는 몇 개의 점을 직선으로 이어서 곡선을 표현하게 된다.
이때, 하나의 폴리곤은 하나의 면을 나타내며, 폴리곤 수를 늘리면 늘릴수록 물체가 세밀하게 표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폴리곤의 특징을 이용하여 근로자의 얼굴에 대한 폴리곤 집합체를 생성함으로써, 서로 다른 얼굴을 갖는 근로자들의 식별 정보로서 이용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근로자의 식별 정보에 대한 다른 실시 예로써, 근로자가 소속된 인력 업체에서 근로자에게 지급한 의복에 부착된 코드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술한 의복은, 일용직 및 현장 근로자가 신체에 착용하는 모든 대상물이 될 수 있으며, 일 예로써, 안전모, 유니폼, 신발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상술한 코드 정보는, 바코드가 이용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바코드에 비하여 월등히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는 격자무늬의 2차원 코드인 QR 코드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술한 코드 정보는 출입 판단 시는 물론, 후술할 근로자의 근로 여부를 작업장 내에 설치된 영상 촬영 모듈에서도 원활히 인식되어야 하기 때문에, 영상 촬영 모듈에서 용이하게 포착될 수 있도록 의복의 상단부, 예를 들어 유니폼의 경우에는 어깨, 가슴 및 등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한 영역에 하나 이상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술한 실시 예들은 서로 독립적 혹은 하나 이상의 실시 예가 서로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즉, 상술한 S10 단계에서는, 광학 스캔 장치를 포함한 통상의 스캔 장치가 이용되는 리더기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근로자의 식별 정보인 제1 식별 정보와, 작업장에 출입하고자 근로자가 리더기의 입력 수단에 실시간으로 입력하는 실물 식별 정보인 제2 식별 정보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여 출퇴근을 판단할 수 있는 구성인 것으로서,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작업장의 외부 및 내부에 둘 이상의 리더기를 구비하여, 외부에 설치된 리더기에서 제2 식별 정보가 입력되었을 경우를, 근로자가 작업장에 출근한 상태로 파악하고, 내부에 설치된 리더기에서 제2 식별 정보가 입력되었을 경우를 근로자가 작업장에서 퇴근하는 상태로 파악하여 근로자의 출퇴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리더기는, 근로자에 의해 실물 식별 정보인 제2 식별 정보가 리더기에 입력된 시각 정보를 통하여 근로자의 출근 및 퇴근 시각을 저장하여 후술할 실 근로 시간 산출부에 출퇴근 시각 정보를 전달하여 근로자의 실 근로 시간 산출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근로자의 식별 정보 다양한 방식으로 관리될 수 있는데, 한 예로써, 상술한 근로자의 식별 정보는, 개인 정보 유출 및 침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위변조가 불가능하도록 블록 데이터에 기록되어, 블록 체인을 형성하는 다수의 단말에서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블록 체인 방식은, 블록을 잇따라 연결한 모음을 의미하며, 블록에서 근로자의 식별 정보를 기록하고, 예를 들어 근로자 및 근로자와 고용 계약을 체결한 다수의 단말에 분산 저장 및 관리되도록 하여 근로자의 식별 정보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상술한 근로자의 식별 정보는, 근로자의 출퇴근을 판단하는 리더기를 통해 상술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동적 객체인 근로자가 퇴근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시, 자동 삭제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근로자에 부여되는 식별 정보는 출근 시 마다 갱신되는 식별 정보인 것으로도 이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현장 근로자에 있어서 하루 단위로 일하는 일용직 근로자가 많은 특성을 반영하여, 근로자가 퇴근 상태로 전환될 시, 근로자의 식별 정보를 삭제 처리하여, 근로자의 개인 정보 유출 및 침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S10 단계를 수행함에 따라 단기적으로 근로를 수행하는 일용직 근로자가 많을 경우에도 인력의 근태 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근로자 개인의 직접적인 개인 정보를 이용하여 근로자의 근태 관리를 수행하는 것이 아닌, 근로자의 얼굴 폴리곤 집합체 및 의복 특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초로 출퇴근 판단을 포함한 근태 관리를 수행하여 개인 정보 유출 및 침해 이슈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 역시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S10 단계의 수행 후, 상술한 S10 단계의 수행에 의하여, 상술한 근로자가 작업장에 출근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시, 작업장 내에 기 설치된 영상 촬영 모듈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근로자에 부여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동적 객체의 모션을 감지함으로써, 근로자의 근로 상태를 파악하는 근로 상태 파악 단계(S2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영상 촬영 모듈은, 작업장 내에 근로자의 안전 관리 등을 목적으로 기 설치된 CCTV 등의 영상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상술한 S20 단계는, 작업장 내의 근로자 모습이 촬영된 영상 데이터에서, 근로자마다 부여된 제2 식별 정보, 즉 얼굴 폴리곤 집합체 및 코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식별 정보인 제1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대응되는 동적 객체의 모션을 감지하여 근로자의 근로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술한 S20 단계는, 근로자의 모션, 즉 근로자가 움직이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근로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일 예로서, 근로자가 움직이고 있을 경우를 근로 중인 상태로, 기 설정된 임계 시간(예를 들어 5분)이 경과 후에도 움직이지 않을 경우를 근로 정지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S20 단계의 수행 결과,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동적 객체의 모션이 기 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술한 임계 시간 경과 시점부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동적 객체의 모션이 재감지되는 시점까지를 근로 정지 시간으로 간주하여 근로자의 총 근무 시간에서 상기 근로 정지 시간을 제외함으로써 근로자의 실 근로 시간을 산출하는 실 근로 시간 산출 단계(S30)가 수행된다.
이때, 상술한 S30 단계는, 상술한 근로자가 2회 이상 근로 정지를 수행한 것으로 감지될 경우, 근로 정지가 수행된 시간을 모두 합산하여 총 근로 정지 시간으로 산출하고, 이를 상술한 근로자의 기준 근로 시간에서 제외함으로써 실 근로 시간을 산출하는 것으로 이해됨이 당연하다.
즉, 상술한 S30 단계는, 근로자의 기준 근로 시간에서 근로자가 근로를 정지한 시간을 제외하여, 근로자가 근로를 수행한 정확한 실 근로 시간을 산출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현장직 근로자마다의 근로 평가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한 명 이상의 일용직, 현장직 근로자의 출입 및 업무 수행 여부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관리자 측면에서 근로자 관리의 용이성 및 작업장 업무의 효율이 극대화를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술한 S30 단계의 수행 결과, 근로자의 실 근로 시간이 기 설정된 기준 근로 시간에 미충족될 시,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근로 대금에 있어서 미충족된 시간에 따른 기 설정된 비율의 패널티가 적용되도록 하여 근로자에게 감액된 근로 대금이 지급되도록 할 수 있다.
한 실시 예로써, 근로자 A의 기준 근로 시간이 8시간이고, 8시간의 근로 시간에 대한 기준 근로 대금이 8만원이며, S30 단계에서 도출된 근로자 A의 실 근로 시간이 7시간으로 도출되었다고 가정했을 때,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근로자 A의 기준 근로 대금 8만원에서 근로 시간 1시간이 미충족된 부분에 대한 패널티를 적용하여 근로 대금을 지급할 수 있다.
일 예로써, 시간 당 패널티 비율이 10%씩 증가한다고 가정했을 때, 1시간 미충족된 근로자 A의 패널티는 기준 근로 대금의 10%의 패널티가 적용된 금액인 7만2천원이 근로 대금으로 지급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은, 근로자마다의 실제 근로 시간에 대한 객관적 데이터를 도출하여 근로를 성실하게 수행한 근로자에게는 정상 근로 대금이 지급되도록 하고, 근로를 불성실하게 수행한 근로자에게는 근로를 미수행한 시간에 대응되는 비율의 대금이 차감된 근로 대금이 지급되도록 하여 근로 대금 지급의 형평성을 고려한 합리적인 근로 대금 지급 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근로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흐름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동적 객체의 모션이 기 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술한 임계 시간 경과 시점부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동적 객체의 모션이 재감지되는 시점까지를 근로 정지 시간으로 간주하여 근로자의 총 근무 시간에서 상기 근로 정지 시간을 제외함으로써 근로자의 실 근로 시간을 산출하는 실 근로 시간 산출 단계(S30)의 수행 후, 산출된 실 근로 시간을 기초로 한 명 이상의 근로자에 대한 근태 결과 보고서를 생성하여, 생성된 근태 결과 보고서를 관리자 단말에 통보하는 통보 단계(S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근태 결과 보고서는, 일용직 근로자가 많은 작업장 특성 상 일 단위로 작성되어 관리자 단말에 통보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기 설정된 주기, 예를 들어 주별, 월별, 분기별 및 연별 중 어느 하나를 기초로 작업장에서 근로한 근태 결과 보고서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에 통보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즉, S40 단계가 수행됨에 따라, 다수의 근로자를 관리해야 하는 관리자 측면에서는, 작업장에 일일이 방문하여, 근로자들을 근로 상태를 감독하지 않더라도 근로자들의 근무 태도가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작업장 내의 근로자들의 근무 태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술한 S40 단계에서 관리자 단말에 통보되는 근태 결과 보고서에는 한 명 이상의 근로자에 대하여 근로자의 근무 정지 시간, 근로 정지 횟수, 및 근로 정지 주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초로 판단된 평가 등급이 포함될 수 있다.
즉, 근로 정지 시간이 길고, 근로 정지 횟수가 많으며, 근로 정지 주기가 짧을수록 평가 등급이 낮게 평가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단순히 근로 정지 시간만을 판단하여 근로자를 평가하는 것이 아닌, 근로 정지 횟수 및 주기를 판단하여 근로자를 평가하여, 평가 기준을 더욱 구체화함으로써 근로자의 평가 등급 산정의 합리성이 도모되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한편 S40 단계의 수행에 의하여 작업장에서 근로를 수행한 근로자마다 평가된 평가 등급은, 근태 관리 서버로 전송되어, 근로자별 및 상술한 근로자가 소속된 인력 업체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하는 인력 평가 정보로서 관리될 수 있다.
즉 이를 통해, 추후, 관리자 단말을 통해 인력 모집이 수행될 시, 관리자 단말의 인력 평가 정보 요청에 따라, 상술한 인력 평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관리자 단말에, 평가 등급에 따른 우수 근로자 혹은 우수 인력 업체에 대한 정보를 추천 제공해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단순 근로자 관리를 넘어, 관리자 단말을 통한 인력 모집 및 인력 고용에도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종합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근로자의 식별 정보로 근태 관리를 수행하되, 근로자의 얼굴 폴리곤 및 의복 특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초로 근태 관리를 수행하여 개인 정보 유출 및 침해 이슈를 최소화한 근로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한 명 이상의 일용직, 현장직 근로자의 출입 및 업무 수행 여부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관리자 측면에서 근로자 관리의 용이성 및 작업장 업무의 효율이 극대화를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근로자의 실제 근로 시간에 대한객관적 데이터를 도출하여 근로를 성실하게 수행한 근로자에게는 정상 근로 대금이 지급되도록 하고, 근로를 불성실하게 수행한 근로자에게는 근로를 미수행한 시간에 대응되는 비율의 대금이 차감된 근로 대금이 지급되도록 하여 근로 대금 지급의 형평성을 고려한 합리적인 근로 대금 지급 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관리자의 부재 시에도, 근로자들의 근무 태도가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작업장 내의 근로자들의 근무 태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단순히 근로 정지 시간만을 판단하여 근로자를 평가하는 것이 아닌, 근로 정지 횟수 및 주기를 판단하여 근로자를 평가하여, 평가 기준을 더욱 구체화함으로써 근로자의 평가 등급 산정의 합리성이 도모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로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장치(10)의 구성도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및 2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로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장치(10)는, 출퇴근 판단부(11), 근로 상태 파악부(12), 실 근로 시간 산출부(13)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출퇴근 판단부(11), 근로 상태 파악부(12) 및 실 근로 시간 산출부(13)와 더불어 통보부(14)가 더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술한 출퇴근 판단부(11)는, 작업장의 출입구에 인접하게 설치된 리더기가 고용 계약이 완료된 근로자에게 부여되는 식별 정보의 인식을 통해 근로자의 출근 및 퇴근 상태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술한 출퇴근 판단부(11)는, 상술한 리더기와 연동된 데이터베이스(20) 상에 저장된 상술한 고용 계약이 완료된 근로자에게 부여되는 식별 정보를 제1 식별 정보로 하고, 상술한 리더기의 입력 수단에 근로자에 의해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실물 식별 정보, 즉 예를 들어 근로자의 얼굴 및 근로자의 유니폼에 부착된 QR코드 정보인 제2 식별 정보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여 작업장의 출입 여부를 감지하여 근로자의 출근 및 퇴근을 판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며, 결국 상술한 출퇴근 판단부(11)는, 앞서 언급한 도 1의 S10 단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상술한 근로 상태 파악부(12)는, 앞서 언급한 출퇴근 판단부(11)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근로자가 작업장에 출근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시, 작업장 내에 기 설치된 영상 촬영 모듈(3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술한 영상 데이터로부터 근로자에 부여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동적 객체의 모션을 감지함으로써 근로자의 근로 상태를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술한 근로 상태 파악부(12)는, 영상 데이터에서 근로자마다 부여된 식별 정보, 즉 얼굴 폴리곤 집합체 및 코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20)에 저장된 식별 정보인 제1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대응되는 동적 객체의 모션을 감지하여 근로자의 근로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되며, 근로자가 작업장 내에서 움직이고 있는 경우를 근무 중인 상태로 판단하고, 기 설정된 임계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움직이지 않을 경우를 근로 정지 상태로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결국 상술한 근로 상태 파악부(12)는, 앞서 언급한 도 1의 S20 단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실 근로 시간 산출부(13)는 앞서 언급한 근로 상태 파악부(12)의 기능 수행 결과,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동적 객체의 모션이 기 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감지되지 않을 경우 임계 시간 경과 시점부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동적 객체의 모션이 재감지되는 시점까지를 근로 정지 시간으로 간주하여 근로자의 총 근무 시간에서 근로 정지 시간을 제외함으로써 근로자의 실 근로 시간을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술한 실 근로 시간 산출부(13)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근로자의 기준 근로 시간에서 근로자가 근로를 정지한 시간을 제외하여, 근로자가 근로를 수행한 정확한 실 근로 시간을 산출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현장직 근로자마다의 근로 평가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한 명 이상의 일용직, 현장직 근로자의 출입 및 업무 수행 여부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관리자 측면에서 근로자 관리의 용이성 및 작업장 업무의 효율이 극대화를 기대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상술한 실 근로 시간 산출부(13)는, 앞서 언급한 도 1 및 2의 S30 단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상술한 통보부(14)는, 산출된 실 근로 시간을 기초로, 한 명 이상의 근로자에 대한 근태 결과 보고서를 생성하여, 생성된 근태 결과 보고서를 관리자 단말(40)에 통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술한 통보부(14)에 의하여, 관리자 단말(40)에서는 작업장에서 근로를 수행한 한 명 이상의 근로자에 대한 근태 내역을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수의 근로자를 관리해야 하는 관리자 측면에서는, 작업장에 일일이 방문하여, 근로자들을 근로 상태를 감독하지 않더라도 근로자들의 근무 태도가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작업장 내의 근로자들의 근무 태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상술한 통보부(14)는, 앞서 언급한 도 2의 S40 단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술한 근로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장치(10)는, 근로자의 식별 정보로 근태 관리를 수행하되, 근로자의 얼굴 폴리곤 집합체 및 의복 특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초로 근태 관리를 수행하여 개인 정보 유출 및 침해 이슈를 최소화한 근로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기능, 한 명 이상의 일용직, 현장직 근로자의 출입 및 업무 수행 여부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관리자 측면에서 근로자 관리의 용이성 및 작업장 업무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으며, 더불어 근로자의 실제 근로 시간에 대한 객관적 데이터를 도출하여 근로를 성실하게 수행한 근로자에게는 정상 근로 대금이 지급되도록 하고, 근로를 불성실하게 수행한 근로자에게는 근로를 미수행한 시간에 대응되는 비율의 대금이 차감된 근로 대금이 지급되도록 하여 근로 대금 지급의 형평성을 고려한 합리적인 근로 대금 지급 체계를 구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근로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장치(10)는, 관리자의 부재 시에도, 근로자들의 근무 태도가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작업장 내의 근로자들의 근무 태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작업 효율을 향상하고, 단순히 근로 정지 시간만을 판단하여 근로자를 평가하는 것이 아닌, 근로 정지 횟수 및 주기를 판단하여 근로자를 평가하여, 평가 기준을 더욱 구체화함으로써 근로자의 평가 등급 산정의 합리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상술한 관리자 단말(40)은, 본 발명의 기능 수행이 가능한 통신 기기로서 유/무선 전화기(wire/wireless telephone),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스마트폰(Smartphone),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근로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한 근태관리 방법에서 이용되는 근로자에 부여된 식별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3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식별 정보는 고용 계약 수행 시 근로자의 신분 확인을 위해 획득된 근로자의 전신 이미지 중 근로자 얼굴의 특징점, 예를 들어 눈, 코, 입의 위치, 얼굴의 윤곽 특징 등을 추출하여 생성한 폴리곤 집합체(111) 정보 및 근로자가 소속된 인력 업체에서 근로자에게 지급한 의복에 부착된 코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일 예로써, 먼저 도 4의 100을 참조하면, 100에서는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근로자의 식별 정보로서 인력 업체에서 근로자에게 지급한 의복에 부착된 코드 정보로서 안전모와 유니폼에 QR코드(101)가 부착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상술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근로자의 출퇴근 상태 판단 및 근로자의 근로 여부를 파악하기 때문에 10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거리에서도 식별 가능한 크기로 부착됨이 바람직하며, 의복의 상단부, 예를 들어 유니폼의 경우에는 어깨, 가슴 및 등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한 영역에 하나 이상 부착되어 근로자의 식별 정보가 용이하게 포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의 110에서는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근로자의 식별 정보로서 근로자의 이미지 중 얼굴에 대한 폴리곤 집합체(111)가 이용되는 일 예를 도시하였다.
더욱 구체적으로, 관리자와 근로자의 전자 고용 계약을 진행할 시, 근로자의 신분 확인을 위해 획득된 근로자의 전신 이미지 중 근로자의 얼굴에 대한 특징점을 추출하여 생성된 폴리곤(polygon) 집합체가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때, 상술한 폴리곤은, 3차원 컴퓨터그래픽에서 입체 형상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가장 작은 단위인 다각형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폴리곤은 3차원 공간에서 시작점과 끝점이 선으로 연결된 폴리 라인으로 곡선 위에 있는 몇 개의 점을 직선으로 이어서 곡선을 표현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폴리곤의 특징을 이용하여 근로자의 얼굴에 대한 폴리곤 집합체(111)를 생성함으로써, 서로 다른 얼굴을 갖는 근로자들의 식별 정보로서 이용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에서는 100 및 110에서 언급한 실시 예에 따라 근로자마다 식별 정보가 부여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며, 이렇게 부여된 식별 정보는, 근로자가 작업장에 출근 및 퇴근을 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하는 지표로 이용되며, 더불어, 작업장 내에 설치된 영상 촬영 모듈이 상술한 식별 정보를 토대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동적 객체의 모션을 감지하여 근로 상태를 파악하게 하는 자료로서 이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서는 근로자 개인의 직접적인 개인 정보를 이용하여 근로자의 근태 관리를 수행하는 것이 아닌, 근로자의 얼굴 폴리곤 집합체(111) 및 의복 특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초로 출퇴근 판단을 포함한 근태 관리를 수행하여 개인 정보 유출 및 침해 이슈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아울러 단기적으로 근로를 수행하는 일용직 근로자가 많을 경우에도 인력의 근태 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근로자의 근로 여부를 파악하는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4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장(A)에는 고용 계약이 완료된 한 명 이상의 근로자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근로자의 안전 관리 및 근로자의 근로 상태 파악을 위한 하나 이상의 영상 촬영 모듈(30)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상술한 영상 촬영 모듈(30)에 의해 획득된 영상 데이터에서 근로자의 식별 정보에 따라 작업장(A) 내의 근로자들의 모션을 감지하여 근로자의 근로 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근로자의 근로 여부는 근로자에 부여된 식별 정보에 대한 동적 객체의 모션이 기 설정된 임계 시간 경과 후에도 감지되지 않을 경우를 근무 정지 상태인 것인 것으로 파악하여, 상술한 임계 시간 경과 후 시점부터, 상술한 근로자에 부여된 식별 정보에 대한 동적 객체의 모션이 재감지되는 시점까지를 근무 정지 시간으로 산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근로자의 모션이 기 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기 설정된 단위 영역 내에 지속하여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될 경우(예를 들어 1m 이내에서 지속하는 경우)에도, 이를 근로자의 근로 정지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근로 정지 시간에 반영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영상 촬영 모듈(30)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에서 근로자에 부여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동적 객체의 모션을 감지하여 근로자의 근로 정지 시간을 산출하고, 이를 기 설정된 기준 근로 시간에서 제외함으로써 근로자마다의 실 근로 시간을 용이하게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관리자 측면에서는, 근로자의 실제 근로 시간에 대한 객관적 데이터를 도출하여 근로를 성실하게 수행한 근로자에게는 정상 근로 대금이 지급되도록 하고, 근로를 불성실하게 수행한 근로자에게는 근로를 미수행한 시간에 대응되는 비율의 대금이 차감된 근로 대금이 지급되도록 하여 근로 대금 지급의 형평성을 고려한 합리적인 근로 대금 지급 체계를 구축하거나, 관리자의 부재 시에도, 근로자들의 근무 태도가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작업장(A) 내의 근로자들의 근무 태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잇게 되며, 더 나아가 단순히 근로 정지 시간만을 판단하여 근로자를 평가하는 것이 아닌, 근로 정지 횟수 및 주기를 판단하여 근로자를 평가하여, 평가 기준을 더욱 구체화함으로써 근로자의 평가 등급 산정의 합리성이 도모되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근로자의 실 근로 시간이 산출되는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5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관리자 단말에는 한 명 이상의 근로자들에 대한 근태 결과 보고서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때 상술한 근태 결과 보고서에는 도 6의 200에 도시된 화면과 같은, 근로자마다의 실 근로 시간에 대한 객관적 데이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근로자의 근태 결과 보고서에 포함되는 데이터는, 근로자의 근무 내역으로서, 리더기에 실물 식별 정보로서 근로자의 얼굴 및 코드 정보가 입력되어 인식된 출근 및 퇴근 시각 정보, 기 설정된 휴게 시간 정보, 기준 근로 시간 정보, 휴게 시간을 제외하고 산출된 근로 정지 시간 정보, 상술한 기준 근로 시간 정보에서 상술한 근무 정지 시간 정보를 제외함으로써 산출된 근로자의 실 근로 시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도 6의 200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근로자 별로 근로 정지 횟수 및 근로 정지 주기에 대한 정보가 더 포함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단순히 근로 정지 시간만을 판단하여 근로자를 평가하는 것이 아닌, 근로 정지 횟수 및 주기를 판단하여 근로자를 평가하여, 평가 기준을 더욱 구체화함으로써 근로자의 평가 등급 산정의 합리성이 도모되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근태 결과 보고서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근로자의 근태 평가가 수행되어 근로자별 혹은 근로자가 소속된 인력 업체별 평가 등급이 매겨질 수 있으며, 이때 매겨진 평가 등급은 근태 관리 서버로 전송되어, 근로자별 및 상술한 근로자가 소속된 인력 업체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하는 인력 평가 정보로서 관리되며, 추후 이를 통해, 추후, 관리자 단말을 통해 인력 모집이 수행될 시, 관리자 단말의 인력 평가 정보 요청에 따라, 상술한 인력 평가 정보를 제공하여 관리자 단말에, 평가 등급에 따른 우수 근로자 혹은 우수 인력 업체에 대한 정보를 추천 제공하는 프로세스로 응용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앞서, 본 발명에서는 각 근로자마다 산출된 실 근로 시간을 기반으로 근로자 혹은 근로자가 소속된 인력 업체의 평가를 수행하는 예를 살펴보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근로자의 실 근로 시간을 기초로 근로 대금이 차등 지급되는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6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근로자의 실 근로 시간이 기 설정된 기준 근로 시간에 미충졸될 시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근로 대금에 있어서, 미충족된 시간에 따른 기 설정된 비율의 패널티가 적용되도록 하여 근로자에게 감액된 근로 대금이 지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의 300에서는 근로 시간을 미충족한 시간에 있어서 1시간 당 근로 대금의 10%가 차감되는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300을 기초로 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면, 예를 들어 근로자 P001, P002, 및 P003이 존재할 때, 각 근로자들의 기준 근로 시간은 8시간이고, 본 발명의 각 단계별 프로세스 수행 결과, 각 근로자들의 산출된 실 근로 시간이 8시간, 7시간 및 6시간 30분일 경우, 상술한 근로자 P001, P002 및 P003에 대하여, 근로 시간을 충족한 P001을 제외한 P002 및 P003에게는 기준 근로 대금에서 각각 10% 및 15%의 패널티가 적용되어 근로 대금이 지급될 수 있다.
즉, 근로 시간을 충족한 P001 근로자의 경우는 기준 근로 대금인 8만원을, 기준 근로 시간에 비하여 실 근로 시간이 1시간 미충족된 P002 근로자의 경우 10% 감액된 7만2천원이, 기준 근로 시간에 비하여 실 근로 시간이 1시간 30분 미충족된 P003 근로자의 경우 15% 감액된 6만 8천원이 지급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은, 근로자마다의 실제 근로 시간에 대한 객관적 데이터를 도출하여 근로를 성실하게 수행한 근로자에게는 정상 근로 대금이 지급되도록 하고, 근로를 불성실하게 수행한 근로자에게는 근로를 미수행한 시간에 대응되는 비율의 대금이 차감된 근로 대금이 지급되도록 하여 근로 대금 지급의 형평성을 고려한 합리적인 근로 대금 지급 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으며, 더불어, 작업장 내에서 근로를 수행하는 근로자들의 근태 분위기를 더욱 건설적으로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기준 근로 시간 대비 실 근로 시간이 미충족된 경우에 한해서 설명하였으나, 기준 근로 시간 대비 실 근로 시간이 초과된 경우, 초과 근로한 부분에 대한 어드밴티지가 적용되어 실 지급 근로 대금이 증액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6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0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8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8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8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8에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1)

  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근로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방법은,
    작업장의 출입구에 인접하게 설치된 리더기가 고용 계약이 완료된 근로자에게 부여되는 식별 정보의 인식을 통해 상기 근로자의 출근 및 퇴근 상태를 판단하는 출퇴근 판단 단계;
    상기 근로자가 상기 작업장에 출근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시, 작업장 내에 기 설치된 영상 촬영 모듈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근로자에 부여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동적 객체의 모션을 감지함으로써, 근로자의 근로 상태를 파악하는 근로 상태 파악 단계; 및
    상기 근로 상태 파악 결과,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동적 객체의 모션이 기 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감지되지 않을 경우 및, 기 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기 설정된 단위 영역 내에서만 상기 동적 객체의 모션이 지속 감지되는 경우를 근로 정지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동적 객체의 근로 정지 상태가 근로 중인 상태로 감지되는 시점까지를 근로 정지 시간으로 간주하여, 상기 근로자의 총 근무 시간에서 상기 근로 정지 시간을 제외함으로써 상기 근로자의 실 근로 시간을 산출하는 실 근로 시간 산출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고용 계약 수행 시 상기 근로자의 신분 확인을 위해 획득된 근로자의 전신 이미지 중 상기 근로자 얼굴의 특징점을 추출하여 생성한 폴리곤(polygon) 집합체 정보 및, 상기 근로자가 소속된 인력 업체에서 상기 근로자에게 지급한 의복에 부착된 코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출퇴근 판단 단계는,
    상기 고용 계약이 완료된 근로자에게 부여되는 식별 정보로서 상기 리더기와 연동된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근로자에 의해 상기 리더기의 입력 수단에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실물 식별 정보인 제2 식별 정보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근로자의 출근 및 퇴근 판단을 수행하고,
    상기 실 근로 시간 산출 단계의 수행 후,
    산출된 실 근로 시간을 기초로, 한 명 이상의 근로자에 대한 근태 결과 보고서를 생성하여, 생성된 상기 근태 결과 보고서를 관리자 단말에 통보하는 통보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근태 결과 보고서에는,
    상기 한 명 이상의 근로자에 대하여, 상기 근로자의 근무 정지 시간, 근로 정지 횟수 및 근로 정지 주기를 기초로 판단된 평가 등급이 포함되고,
    상기 평가 등급은,
    근태 관리 서버로 전송되어, 근로자별 및 상기 근로자가 소속된 인력 업체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하는 인력 평가 정보로서 관리되도록 하여, 추후 상기 관리자 단말을 통한 인력 모집이 수행될 시, 상기 관리자 단말의 인력 평가 정보 요청에 따라 상기 인력 평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평가 등급에 따른 우수 근로자 또는 우수 인력 업체에 대한 정보를 추천 제공하고,
    상기 식별 정보는,
    위변조가 불가능하도록, 블록 데이터에 기록되어, 블록 체인을 형성하는 다수의 단말에서 저장 및 관리되도록 하되,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동적 객체인 상기 근로자가 퇴근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시, 자동 삭제 처리되도록 하여, 상기 근로자의 출근 시 마다 갱신되는 식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실 근로 시간 산출 단계의 수행 결과,
    상기 근로자의 실 근로 시간이 기 설정된 기준 근로 시간에 미충족될 시, 상기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근로 대금에 있어서, 상기 미충족된 시간에 따른 기 설정된 비율의 패널티가 적용되도록 하되, 상기 기준 근로 시간 대비 실 근로 시간의 미충족 시간이 클수록 상대적으로 높은 근로 대금의 패널티가 적용되도록 하여 상기 근로자에게 감액된 근로 대금이 지급되도록 하고,
    상기 기준 근로 시간 대비 실 근로 시간이 초과된 경우에는, 초과 근로 시간에 대한 어드밴티지가 적용되도록 하여 상기 근로자에게 증액된 근로 대금이 지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로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근로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장치에 있어서,
    작업장의 출입구에 인접하게 설치된 리더기가 고용 계약이 완료된 근로자에게 부여되는 식별 정보의 인식을 통해 상기 근로자의 출근 및 퇴근 상태를 판단하는 출퇴근 판단부;
    상기 근로자가 상기 작업장에 출근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시, 작업장 내에 기 설치된 영상 촬영 모듈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근로자에 부여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동적 객체의 모션을 감지함으로써, 근로자의 근로 상태를 파악하는 근로 상태 파악부; 및
    상기 근로 상태 파악 결과,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동적 객체의 모션이 기 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감지되지 않을 경우 및, 기 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기 설정된 단위 영역 내에서만 상기 동적 객체의 모션이 지속 감지되는 경우를 근로 정지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동적 객체의 근로 정지 상태가 근로 중인 상태로 감지되는 시점까지를 근로 정지 시간으로 간주하여, 상기 근로자의 총 근무 시간에서 상기 근로 정지 시간을 제외함으로써 상기 근로자의 실 근로 시간을 산출하는 실 근로 시간 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고용 계약 수행 시 상기 근로자의 신분 확인을 위해 획득된 근로자의 전신 이미지 중 상기 근로자 얼굴의 특징점을 추출하여 생성한 폴리곤(polygon) 집합체 정보 및, 상기 근로자가 소속된 인력 업체에서 상기 근로자에게 지급한 의복에 부착된 코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출퇴근 판단부는,
    상기 고용 계약이 완료된 근로자에게 부여되는 식별 정보로서 상기 리더기와 연동된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근로자에 의해 상기 리더기의 입력 수단에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실물 식별 정보인 제2 식별 정보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근로자의 출근 및 퇴근 판단을 수행하고,
    상기 실 근로 시간 산출부의 기능 수행 후,
    산출된 실 근로 시간을 기초로, 한 명 이상의 근로자에 대한 근태 결과 보고서를 생성하여, 생성된 상기 근태 결과 보고서를 관리자 단말에 통보하는 통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근태 결과 보고서에는,
    상기 한 명 이상의 근로자에 대하여, 상기 근로자의 근무 정지 시간, 근로 정지 횟수 및 근로 정지 주기를 기초로 판단된 평가 등급이 포함되고,
    상기 평가 등급은,
    근태 관리 서버로 전송되어, 근로자별 및 상기 근로자가 소속된 인력 업체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하는 인력 평가 정보로서 관리되도록 하여, 추후 상기 관리자 단말을 통한 인력 모집이 수행될 시, 상기 관리자 단말의 인력 평가 정보 요청에 따라 상기 인력 평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평가 등급에 따른 우수 근로자 또는 우수 인력 업체에 대한 정보를 추천 제공하고,
    상기 식별 정보는,
    위변조가 불가능하도록, 블록 데이터에 기록되어, 블록 체인을 형성하는 다수의 단말에서 저장 및 관리되도록 하되,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동적 객체인 상기 근로자가 퇴근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시, 자동 삭제 처리되도록 하여, 상기 근로자의 출근 시 마다 갱신되는 식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실 근로 시간 산출부의 기능 수행 결과,
    상기 근로자의 실 근로 시간이 기 설정된 기준 근로 시간에 미충족될 시, 상기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근로 대금에 있어서, 상기 미충족된 시간에 따른 기 설정된 비율의 패널티가 적용되도록 하되, 상기 기준 근로 시간 대비 실 근로 시간의 미충족 시간이 클수록 상대적으로 높은 근로 대금의 패널티가 적용되도록 하여 상기 근로자에게 감액된 근로 대금이 지급되도록 하고,
    상기 기준 근로 시간 대비 실 근로 시간이 초과된 경우에는, 초과 근로 시간에 대한 어드밴티지가 적용되도록 하여 상기 근로자에게 증액된 근로 대금이 지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로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장치.
  11.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는,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계들은:
    작업장의 출입구에 인접하게 설치된 리더기가 고용 계약이 완료된 근로자에게 부여되는 식별 정보의 인식을 통해 상기 근로자의 출근 및 퇴근 상태를 판단하는 출퇴근 판단 단계;
    상기 근로자가 상기 작업장에 출근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시, 작업장 내에 기 설치된 영상 촬영 모듈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근로자에 부여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동적 객체의 모션을 감지함으로써, 근로자의 근로 상태를 파악하는 근로 상태 파악 단계; 및
    상기 근로 상태 파악 결과,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동적 객체의 모션이 기 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감지되지 않을 경우 및, 기 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기 설정된 단위 영역 내에서만 상기 동적 객체의 모션이 지속 감지되는 경우를 근로 정지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동적 객체의 근로 정지 상태가 근로 중인 상태로 감지되는 시점까지를 근로 정지 시간으로 간주하여, 상기 근로자의 총 근무 시간에서 상기 근로 정지 시간을 제외함으로써 상기 근로자의 실 근로 시간을 산출하는 실 근로 시간 산출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고용 계약 수행 시 상기 근로자의 신분 확인을 위해 획득된 근로자의 전신 이미지 중 상기 근로자 얼굴의 특징점을 추출하여 생성한 폴리곤(polygon) 집합체 정보 및, 상기 근로자가 소속된 인력 업체에서 상기 근로자에게 지급한 의복에 부착된 코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출퇴근 판단 단계는,
    상기 고용 계약이 완료된 근로자에게 부여되는 식별 정보로서 상기 리더기와 연동된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근로자에 의해 상기 리더기의 입력 수단에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실물 식별 정보인 제2 식별 정보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근로자의 출근 및 퇴근 판단을 수행하고,
    상기 실 근로 시간 산출 단계의 수행 후,
    산출된 실 근로 시간을 기초로, 한 명 이상의 근로자에 대한 근태 결과 보고서를 생성하여, 생성된 상기 근태 결과 보고서를 관리자 단말에 통보하는 통보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근태 결과 보고서에는,
    상기 한 명 이상의 근로자에 대하여, 상기 근로자의 근무 정지 시간, 근로 정지 횟수 및 근로 정지 주기를 기초로 판단된 평가 등급이 포함되고,
    상기 평가 등급은,
    근태 관리 서버로 전송되어, 근로자별 및 상기 근로자가 소속된 인력 업체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하는 인력 평가 정보로서 관리되도록 하여, 추후 상기 관리자 단말을 통한 인력 모집이 수행될 시, 상기 관리자 단말의 인력 평가 정보 요청에 따라 상기 인력 평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평가 등급에 따른 우수 근로자 또는 우수 인력 업체에 대한 정보를 추천 제공하고,
    상기 식별 정보는,
    위변조가 불가능하도록, 블록 데이터에 기록되어, 블록 체인을 형성하는 다수의 단말에서 저장 및 관리되도록 하되,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동적 객체인 상기 근로자가 퇴근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시, 자동 삭제 처리되도록 하여, 상기 근로자의 출근 시 마다 갱신되는 식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실 근로 시간 산출 단계의 수행 결과,
    상기 근로자의 실 근로 시간이 기 설정된 기준 근로 시간에 미충족될 시, 상기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근로 대금에 있어서, 상기 미충족된 시간에 따른 기 설정된 비율의 패널티가 적용되도록 하되, 상기 기준 근로 시간 대비 실 근로 시간의 미충족 시간이 클수록 상대적으로 높은 근로 대금의 패널티가 적용되도록 하여 상기 근로자에게 감액된 근로 대금이 지급되도록 하고,
    상기 기준 근로 시간 대비 실 근로 시간이 초과된 경우에는, 초과 근로 시간에 대한 어드밴티지가 적용되도록 하여 상기 근로자에게 증액된 근로 대금이 지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190052347A 2019-05-03 2019-05-03 근로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259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347A KR102259206B1 (ko) 2019-05-03 2019-05-03 근로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347A KR102259206B1 (ko) 2019-05-03 2019-05-03 근로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700A KR20200127700A (ko) 2020-11-11
KR102259206B1 true KR102259206B1 (ko) 2021-06-01

Family

ID=73451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2347A KR102259206B1 (ko) 2019-05-03 2019-05-03 근로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92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843B1 (ko) * 2021-07-14 2021-11-11 주식회사 비엠에스솔루션 근태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95025B1 (ja) * 2021-10-22 2022-12-23 株式会社金星 貸与管理システム、管理サーバ、管理端末、及び、勤務管理システ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510B1 (ko) * 2007-10-17 2008-02-12 서진정보통신주식회사 근로자 근태정보와 연계된 전사적자원관리시스템
JP2008046745A (ja) 2006-08-11 2008-02-28 Proxy Co Ltd 勤怠状況管理システム、勤怠状況管理方法、学習状況管理システム及び学習状況管理方法
KR101710200B1 (ko) 2015-11-05 2017-02-24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얼굴 인식을 사용한 자동 출석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8028731A (ja) * 2016-08-15 2018-02-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従業員管理システム及び従業員管理方法
KR101973629B1 (ko) * 2019-02-14 2019-04-29 해치랩스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의 검증을 수행하는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6745A (ja) 2006-08-11 2008-02-28 Proxy Co Ltd 勤怠状況管理システム、勤怠状況管理方法、学習状況管理システム及び学習状況管理方法
KR100802510B1 (ko) * 2007-10-17 2008-02-12 서진정보통신주식회사 근로자 근태정보와 연계된 전사적자원관리시스템
KR101710200B1 (ko) 2015-11-05 2017-02-24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얼굴 인식을 사용한 자동 출석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8028731A (ja) * 2016-08-15 2018-02-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従業員管理システム及び従業員管理方法
KR101973629B1 (ko) * 2019-02-14 2019-04-29 해치랩스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의 검증을 수행하는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843B1 (ko) * 2021-07-14 2021-11-11 주식회사 비엠에스솔루션 근태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700A (ko) 202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mdy et al. Towards a smart warehouse management system
US11087130B2 (en) Simultaneous object localization and attribute classification using multitask deep neural networks
KR102259206B1 (ko) 근로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US1041044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ccess to a secured container
CN205015915U (zh) 自助住宿管理系统
CN103279852A (zh) 基于rfid的仓库物资精细化实时监控管理系统及方法
CN101853542B (zh) 一种集成了手指静脉识别技术的ic卡消费系统
US1165754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isplay method, and program storage medium for monitoring object movement
CN112668525A (zh) 一种人流量的计数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4992275A (zh) 一种基于射频识别技术的企业人员管理系统
KR102099850B1 (ko) 외국인 여행객을 위한 미용 상품의 중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Silva et al. Object tracking by color and active contour models segmentation
KR102235536B1 (ko) 버스 운행 노선의 실태 분석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Rohinidevi et al. A Taxonomy towards fog computing Resource Allocation
JP2018005752A (ja) 振る舞い検知システム
TWI728285B (zh) 身分識別的方法、裝置、系統、伺服器及電腦可讀儲存媒體
KR102235535B1 (ko) 실시간 탑승 정보를 활용한 버스 운행 노선 개편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CN109712289A (zh) 一种基于智能管理平台的园区安全信息处理方法及装置
Guo et al. Droplet-transmitted infection risk ranking based on close proximity interaction
JP2017130061A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464063B2 (ja) 管理システム、管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Delabrida et al. Towards a wearable device for monitoring ecological environments
CN114758286A (zh) 基于工作票事件的边缘智能安全监测方法和装置
CN109816825A (zh) 共享住宿平台云锁系统
Chin et al. What authentication technology should be chosen for construction manpower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