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8857B1 - 제작 편의성 및 사용 안전성을 갖는 무인대차 - Google Patents

제작 편의성 및 사용 안전성을 갖는 무인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8857B1
KR102258857B1 KR1020190165889A KR20190165889A KR102258857B1 KR 102258857 B1 KR102258857 B1 KR 102258857B1 KR 1020190165889 A KR1020190165889 A KR 1020190165889A KR 20190165889 A KR20190165889 A KR 20190165889A KR 102258857 B1 KR102258857 B1 KR 102258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alarm
unit
shaft
trans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5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온주석
Original Assignee
온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온주석 filed Critical 온주석
Priority to KR1020190165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88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1Ste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06Bumpers;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chai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55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with safety arrangements
    • G05D1/006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with safety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automatic pilot to manual pilot and vice vers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 B62B2301/04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omprising a wheel pivotable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e.g. swivelling ca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작 편의성 및 사용 안전성을 갖는 무인대차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상부에 물품이 안치되는 수납칸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이송을 안내하는 다수의 바퀴와, 상기 몸체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를 강제로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무인대차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몸체의 이송을 유도하는 이송 유도부와, 상기 이송 유도부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몸체의 방향을 안내하는 방향 전환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무인대차의 이송 및 방향 전환을 수행하는 이송부의 이송 유도부와 방향 전환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매우 간단한 구조로 구현되므로, 종래의 무인대차에 대비하여 장치의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 및 부품의 소요가 대폭 절감되어 완제품인 장치의 단가를 최소화할 수 있어 장치의 우수한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의 낮은 단가를 통해 장치의 사용범용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람을 이용하는 경보수단을 통해 무인대차의 주행 경로에 존재하는 사람에게 용이하게 경보하여 대피를 유도할 수 있어 무인대차의 효율적인 주행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제작 편의성 및 사용 안전성을 갖는 무인대차{Unmanned truck with ease of production and safety of use}
본 발명은 제작 편의성 및 사용 안전성을 갖는 무인대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인대차의 이송 및 방향 전환을 수행하는 이송부의 이송 유도부와 방향 전환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매우 간단한 구조로 구현되므로, 종래의 무인대차에 대비하여 장치의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 및 부품의 소요가 대폭 절감되어 완제품인 장치의 단가를 최소화할 수 있어 장치의 우수한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의 낮은 단가를 통해 장치의 사용범용성을 강화할 수 있는 제작 편의성 및 사용 안전성을 갖는 무인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서 각종 부품 등을 이송할 시에는 작업자가 파레트 등에 부품을 적재하여 대차를 이용하여 특정 장소로 이동을 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인력에 의존한 부품 이송작업은 인력낭비는 물론 작업자 안전사고 발생률도 높아 근자에 들어서는 바닥면에 부착된 자기테이프를 인식하여 설정된 경로로 주행하면서 자동으로 부품 등을 이송하는 무인대차가 널리 공급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무인대차는 바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바퀴의 좌우 회전을 통해 무인대차의 주행 방향을 전환하는 전환부의 구성이 복잡하고 독립되어 무인대차를 제작하는데 많은 시간과 부품이 소요되어 무인대차의 제작단가가 다소 높아 무인대차의 사용범용성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무인대차는 주행하는 과정에서 전방에 사람이 존재하면 경보음과 같은 경보수단으로 경보하는 방식으로 사람의 대피를 유도하였으나, 소음이 발생하는 산업현장, 일 예로 공장과 같은 장소에서는 경보음이 효과적으로 사람에게 전달되지 않아 무인대차의 주행 경로에 존재하는 사람의 신속한 대피가 곤란하여 무인대차의 효율적은 주행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무인대차의 이송 및 방향 전환을 수행하는 이송부의 이송 유도부와 방향 전환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매우 간단한 구조로 구현되므로, 종래의 무인대차에 대비하여 장치의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 및 부품의 소요가 대폭 절감되어 완제품인 장치의 단가를 최소화할 수 있어 장치의 우수한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의 낮은 단가를 통해 장치의 사용범용성을 강화할 수 있는 제작 편의성 및 사용 안전성을 갖는 무인대차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바람을 이용하는 경보수단을 통해 무인대차의 주행 경로에 존재하는 사람에게 용이하게 경보하여 대피를 유도할 수 있어 무인대차의 효율적인 주행을 유도할 수 있는 제작 편의성 및 사용 안전성을 갖는 무인대차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작 편의성 및 사용 안전성을 갖는 무인대차는 상부에 물품이 안치되는 수납칸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이송을 안내하는 다수의 바퀴와, 상기 몸체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를 강제로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무인대차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몸체의 이송을 유도하는 이송 유도부와, 상기 이송 유도부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몸체의 방향을 안내하는 방향 전환부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이송 유도부는 상기 몸체에 대하여 상대회동 가능하게 상기 몸체여 결합되는 이송축과, 상기 이송축의 하부에 연결되어 지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상기 이송축에 대하여 상대회동 가능한 이송바퀴와, 상기 이송바퀴와 연결되어 상기 이송바퀴와 함께 회전되는 제1스프로킷과, 상기 이송축 상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바퀴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이송모터와, 상기 이송모터의 축 상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모터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제2스프로킷과, 상기 제1,2스프로킷을 연결하여 상기 이송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이송바퀴로 전달하는 제1연결체인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방향 전환부는 상기 이송축 상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축과 함께 회전되는 제3스프로킷과, 상기 몸체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3스프로킷으로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이송축을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모터와, 상기 방향모터의 축 상에 형성되어 상기 방향모터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제4스프로킷과, 상기 제3,4스프로킷을 연결하여 상기 방향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이송축을 전달하여 상기 이송축에 형성되는 상기 이송바퀴의 방향을 전환하는 제2연결체인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무인대차가 주행하는 동선에 사람이 존재하는 경우에 사람의 신속한 대피를 유도하는 경보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경보수단은 상기 몸체의 전방에 설치되어 전방에 사람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를 통해 사람의 존재가 감지되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경보노즐로 공기를 공급하는 경보 브로아와, 상기 몸체의 전방에 형성되며, 상기 경보 브로아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경보 브로아에서 공급되는 바람을 전방으로 방출하되, 끝단에는 수평으로 길게 형성되는 첨예한 경보출구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경보출구를 통해 방출되는 바람이 사용자의 다리 측으로 강하게 공급되도록 하는 경보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작 편의성 및 사용 안전성을 갖는 무인대차에 의하면, 무인대차의 이송 및 방향 전환을 수행하는 이송부의 이송 유도부와 방향 전환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매우 간단한 구조로 구현되므로, 종래의 무인대차에 대비하여 장치의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 및 부품의 소요가 대폭 절감되어 완제품인 장치의 단가를 최소화할 수 있어 장치의 우수한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의 낮은 단가를 통해 장치의 사용범용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람을 이용하는 경보수단을 통해 무인대차의 주행 경로에 존재하는 사람에게 용이하게 경보하여 대피를 유도할 수 있어 무인대차의 효율적인 주행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 편의성 및 사용 안전성을 갖는 무인대차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작 편의성 및 사용 안전성을 갖는 무인대차의 요부 구성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작 편의성 및 사용 안전성을 갖는 무인대차의 A-A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작 편의성 및 사용 안전성을 갖는 무인대차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작 편의성 및 사용 안전성을 갖는 무인대차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 편의성 및 사용 안전성을 갖는 무인대차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 편의성 및 사용 안전성을 갖는 무인대차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작 편의성 및 사용 안전성을 갖는 무인대차의 요부 구성의 사시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작 편의성 및 사용 안전성을 갖는 무인대차의 A-A 단면도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작 편의성 및 사용 안전성을 갖는 무인대차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 편의성 및 사용 안전성을 갖는 무인대차(100)는 상부에 물품이 안치되는 수납칸(1a)이 형성되는 몸체(1)와, 상기 몸체(1)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1)의 이송을 안내하는 다수의 바퀴(2)와, 상기 몸체(1)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1)를 강제로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무인대차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10)는 상기 몸체의 이송을 유도하는 이송 유도부(11)와, 상기 이송 유도부(11)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몸체(1)의 방향을 안내하는 방향 전환부(12)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이송 유도부(11)는 상기 몸체(1)에 대하여 상대회동 가능하게 상기 몸체여 결합되는 이송축(111)과, 상기 이송축(111)의 하부에 연결되어 지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상기 이송축(111)에 대하여 상대회동 가능한 이송바퀴(112)와, 상기 이송바퀴(112)와 연결되어 상기 이송바퀴(112)와 함께 회전되는 제1스프로킷(113)과, 상기 이송축(111) 상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바퀴(112)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이송모터(114)와, 상기 이송모터(114)의 축(114a) 상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모터(114)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제2스프로킷(115)과, 상기 제1,2스프로킷(113,115)을 연결하여 상기 이송모터(114)의 회전력을 상기 이송바퀴(112)로 전달하는 제1연결체인(116)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방향 전환부(12)는 상기 이송축(111) 상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축(111)과 함께 회전되는 제3스프로킷(121)과, 상기 몸체(1)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3스프로킷(121)으로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이송축(111)을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모터(122)와, 상기 방향모터(122)의 축(122a) 상에 형성되어 상기 방향모터(122)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제4스프로킷(123)과, 상기 제3,4스프로킷(121,123)을 연결하여 상기 방향모터(122)의 회전력을 상기 이송축(111)을 전달하여 상기 이송축(111)에 형성되는 상기 이송바퀴(112)의 방향을 전환하는 제2연결체인(1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10)는 상기 이송 유도부(11)를 통해 상기 이송축(111)에 형성되는 상기 이송바퀴(112)를 구동시켜 상기 몸체(1)를 이송시키며, 동시에 상기 방향 전환부(12)를 통해 상기 이송축(111)을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이송축(111)와 함께 상기 이송바퀴(112)를 좌우 방향으로 전환하여 상기 몸체(1)의 자유로운 이송을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송부(10)는 상기 이송 유도부(11)와 상기 방향 전환부(12)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짐으로, 장치의 구조를 매우 간단하게 설계할 수 있어 장치에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 부품 등을 최소화하여 장치의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 상에는 상기 이송부(10)의 자동 작동 또는 수동 작동을 설정하는 컨트롤러(20);가 형성되되,
상기 컨트롤러(20)에는 상기 이송부(10)의 온/오프를 설정하는 온/오프 스위치(21)와, 상기 이송부(10)의 자동 또는 수동 작동을 설정하는 제어 스위치(22)가 포함되며,
상기 제어 스위치(22)를 통해 수동 작동이 설정되면 상기 이송부(10)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전진 및 정지버튼(23)과, 좌회전 버튼(24)과, 우회전 버튼(25)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20)의 온/오프 스위치(21)를 통해 상기 이송부(10)가 온(ON) 상태가 되면 상기 이송부(10)가 작동을 시작하되, 이때 상기 제어 스위치(22)를 통해 상기 이송부(10)가 자동 작동이 설정되면 상기 이송부(10)가 자동으로 작동하여 본 발명의 제작 편의성 및 사용 안전성을 갖는 무인대차(100)의 운행이 자동으로 수행된다.
반대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 스위치(22)를 통해 상기 이송부(10)가 수동 작동이 설정되면 사용자가 상기 전진 및 정지버튼(23)과, 좌회전 버튼(24)과, 우회전 버튼(25)의 조작을 통해 상기 이송부(10)의 작동을 제어하여 본 발명의 제작 편의성 및 사용 안전성을 갖는 무인대차(100)의 운행을 수동으로 제어하게 된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인대차가 주행하는 동선에 사람이 존재하는 경우에 사람의 신속한 대피를 유도하는 경보수단(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경보수단(30)은 상기 몸체(1)의 전방에 설치되어 전방에 사람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31)와, 상기 감지센서(31)를 통해 사람의 존재가 감지되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경보노즐(33)로 공기를 공급하는 경보 브로아(32)와, 상기 몸체(1)의 전방에 형성되며, 상기 경보 브로아(32)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경보 브로아(32)에서 공급되는 바람을 전방으로 방출하되, 끝단에는 수평으로 길게 형성되는 첨예한 경보출구(33a)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경보출구(33a)를 통해 방출되는 바람이 사용자의 다리 측으로 강하게 공급되도록 하는 경보노즐(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무인대차는 설정된 주행 동선에 따라 주행되는데, 이때 주행 동선 상에 사람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경보음을 발생하여 사람이 신속하게 대피하도록 유도하여 무인대차가 원활하게 주행되도록 하지만, 소음이 심하게 발생하는 공장 등에는 경보음을 사람이 명확하게 인지하기 곤란하고, 이로 인해 무인대차의 주행이 사람에 의해 방해되어 효율적인 주행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경보수단(30)은 상기 감지센서(31)를 통해 전방에 사람의 존재가 감지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보 브로아(32)를 통해 상기 경보노즐(33)로 바람을 공급하여 상기 경보노즐(33)의 경보출구(33a)를 통해 사람의 다리 측으로 바람이 강하게 분사 공급되게 함으로, 소음이 심한 공장과 같은 장소에서라도 사람이 무인대차의 근접을 용이하게 인지하여 대피할 수 있어 무인대차의 효율적인 주행을 유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경보노즐(33)의 경보출구(33a)가 수평으로 길게 첨예하게 형성되는 구조로 인해 사람의 다리 측에 강하고 유효하게 분사될 수 있으므로 주행을 방해하는 사람에게 매우 효율적인 경보를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 편의성 및 사용 안전성을 갖는 무인대차(100)의 감지센서(31)로 통상의 초음파 센서가 적용 사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센서로 한정하여 구현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제작 편의성 및 사용 안전성을 갖는 무인대차(100)는 무인대차의 이송 및 방향 전환을 수행하는 상기 이송부(10)의 이송 유도부(11)와 방향 전환부(12)가 일체로 형성되는 매우 간단한 구조로 구현되므로, 종래의 무인대차에 대비하여 장치의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 및 부품의 소요가 대폭 절감되어 완제품인 장치의 단가를 최소화할 수 있어 장치의 우수한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의 낮은 단가를 통해 장치의 사용범용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람을 이용하는 상기 경보수단(30)을 통해 무인대차의 주행 경로에 존재하는 사람에게 용이하게 경보하여 대피를 유도할 수 있어 무인대차의 효율적인 주행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 편의성 및 사용 안전성을 갖는 무인대차(100)는 다음과 같이 주행한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20)의 온/오프 스위치(21)를 통해 이송부(10)의 작동을 온(ON) 시키면 이송부(10)의 이송 유도부(11)의 작동을 통해 본 발명의 제작 편의성 및 사용 안전성을 갖는 무인대차(100)가 전방으로 이송된다.
이때, 좌·우측 방향으로 방향 전환이 요구되면 상기 이송부(10)의 방향 전환부(12)를 통해 이송바퀴(112)의 방향이 전환되면서 무인대차의 원활한 주행이 유도된다.
그러다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작 편의성 및 사용 안전성을 갖는 무인대차(100)의 전방에 사람의 존재가 감지되면 바람을 이용하는 경보수단(30)을 통해 무인대차의 근접을 명확하게 사람에게 경보하는 방식으로 사람의 신속한 대피를 유도하여 무인대차의 안정적인 주행을 유도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작 편의성 및 사용 안전성을 갖는 무인대차(100)의 수동 조작이 요구되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20)의 제어 스위치(22)를 통해 수동 제어로 설정한 후, 전진 및 정지버튼(23)과, 좌회전 버튼(24)과, 우회전 버튼(25)의 조작을 통해 무인대차의 운행을 간편히 제어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몸체 2. 수납칸
10. 이송부 11. 이송 유도부
111. 이송축 112. 이송바퀴
113. 제1스프로킷 114. 이송모터
115. 제2스프로킷 116. 제1연결체인
12. 방향 전환부 121. 제3스프로킷
122. 방향모터 123. 제4스프로킷
124. 제2연결체인 20. 컨트롤러
21. 온/오프 스위치 22. 제어 스위치
23. 전진 및 정지버튼 24. 좌회전 버튼
25. 우회전 버튼 30. 경보수단
31. 감지센서 32. 경보 브로아
33. 경보노즐 33a. 경보출구
100. 제작 편의성 및 사용 안전성을 갖는 무인대차

Claims (3)

  1. 상부에 물품이 안치되는 수납칸(1a)이 형성되는 몸체(1)와, 상기 몸체(1)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1)의 이송을 안내하는 다수의 바퀴(2)와, 상기 몸체(1)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1)를 강제로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무인대차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10)는 상기 몸체의 이송을 유도하는 이송 유도부(11)와, 상기 이송 유도부(11)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몸체(1)의 방향을 안내하는 방향 전환부(12)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이송 유도부(11)는,
    상기 몸체(1)에 대하여 상대회동 가능하게 상기 몸체와 결합되는 이송축(111)과,
    상기 이송축(111)의 하부에 연결되어 지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상기 이송축(111)에 대하여 상대회동 가능한 이송바퀴(112)와,
    상기 이송바퀴(112)와 연결되어 상기 이송바퀴(112)와 함께 회전되는 제1스프로킷(113)과,
    상기 이송축(111) 상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바퀴(112)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이송모터(114)와,
    상기 이송모터(114)의 축(114a) 상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모터(114)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제2스프로킷(115)과,
    상기 제1,2스프로킷(113,115)을 연결하여 상기 이송모터(114)의 회전력을 상기 이송바퀴(112)로 전달하는 제1연결체인(116)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방향 전환부(12)는,
    상기 이송축(111) 상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축(111)과 함께 회전되는 제3스프로킷(121)과,
    상기 몸체(1)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3스프로킷(121)으로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이송축(111)을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모터(122)와,
    상기 방향모터(122)의 축(122a) 상에 형성되어 상기 방향모터(122)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제4스프로킷(123)과,
    상기 제3,4스프로킷(121,123)을 연결하여 상기 방향모터(122)의 회전력을 상기 이송축(111)을 전달하여 상기 이송축(111)에 형성되는 상기 이송바퀴(112)의 방향을 전환하는 제2연결체인(12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무인대차가 주행하는 동선에 사람이 존재하는 경우에 사람의 신속한 대피를 유도하는 경보수단(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경보수단(30)은 상기 몸체(1)의 전방에 설치되어 전방에 사람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31)와, 상기 감지센서(31)를 통해 사람의 존재가 감지되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경보노즐(33)로 공기를 공급하는 경보 브로아(32)와, 상기 몸체(1)의 전방에 형성되며, 상기 경보 브로아(32)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경보 브로아(32)에서 공급되는 바람을 전방으로 방출하되, 끝단에는 수평으로 길게 형성되는 첨예한 경보출구(33a)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경보출구(33a)를 통해 방출되는 바람이 사용자의 다리 측으로 강하게 공급되도록 하는 경보노즐(3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작 편의성 및 사용 안전성을 갖는 무인대차.
  2. 삭제
  3. 삭제
KR1020190165889A 2019-12-12 2019-12-12 제작 편의성 및 사용 안전성을 갖는 무인대차 KR102258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889A KR102258857B1 (ko) 2019-12-12 2019-12-12 제작 편의성 및 사용 안전성을 갖는 무인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889A KR102258857B1 (ko) 2019-12-12 2019-12-12 제작 편의성 및 사용 안전성을 갖는 무인대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8857B1 true KR102258857B1 (ko) 2021-05-31

Family

ID=76150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5889A KR102258857B1 (ko) 2019-12-12 2019-12-12 제작 편의성 및 사용 안전성을 갖는 무인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885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67753A (en) * 1963-03-05 1965-01-26 United States Steel Corp Proximity warning system
KR20050077450A (ko) * 2004-01-28 2005-08-02 김태식 자동 및 수동 가변 대차
JP2009202841A (ja) * 2008-02-29 2009-09-10 Denso Corp 運転者警告システム
KR20100041932A (ko) * 2008-10-15 2010-04-23 주식회사 미래인도 무인 전동운반차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05743A (ko) * 2016-03-10 2017-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캐스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 장치
KR20180072984A (ko) * 2016-12-22 2018-07-02 한채진 무인 자동운반대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67753A (en) * 1963-03-05 1965-01-26 United States Steel Corp Proximity warning system
KR20050077450A (ko) * 2004-01-28 2005-08-02 김태식 자동 및 수동 가변 대차
JP2009202841A (ja) * 2008-02-29 2009-09-10 Denso Corp 運転者警告システム
KR20100041932A (ko) * 2008-10-15 2010-04-23 주식회사 미래인도 무인 전동운반차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05743A (ko) * 2016-03-10 2017-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캐스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 장치
KR20180072984A (ko) * 2016-12-22 2018-07-02 한채진 무인 자동운반대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505127A5 (ko)
JPH0824648B2 (ja) 自走式掃除機
KR20160079540A (ko) 자율 이동 청소기 및 이의 제어 방법
US11820634B2 (en) Modify vehicle parameter based on vehicle position information
KR102258857B1 (ko) 제작 편의성 및 사용 안전성을 갖는 무인대차
JP3307288B2 (ja) 移動ロボット
WO2002032611A1 (fr) Equipement de soudage de reproduction
US20220001942A1 (en) Traveling Vehicle
JP2007217076A (ja) 搬送車
US8151972B2 (en) Turnstile system
JP3743461B2 (ja) 搬送車の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装置
JP4670899B2 (ja) 走行車
JPH09300252A (ja) 移動ロボット
JP3301436B1 (ja) 自立走行装置
JP2011084104A (ja) 動力付移動装置
JP5254271B2 (ja) 電動アシスト台車
JP2004078585A (ja) 無軌道式搬送用自走車両
KR100477046B1 (ko) 자동추종 골프 카트
KR20000002316A (ko) 로봇청소기 및 그 구동제어방법
TWM575165U (zh) Cone-shaped rice paddy device capable of detecting obstacles
JP2005178505A (ja) かご台車用補助車両
JP4935580B2 (ja) 電気掃除機
JPH1039925A (ja) 磁気誘導式運搬車
JP2007182127A (ja) 電動搬送車の走行制御装置
KR100631535B1 (ko) 로봇 청소기의 물건운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