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8491B1 -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설비의 컨베이어 라인용 베어링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설비의 컨베이어 라인용 베어링 결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8491B1
KR102258491B1 KR1020190111348A KR20190111348A KR102258491B1 KR 102258491 B1 KR102258491 B1 KR 102258491B1 KR 1020190111348 A KR1020190111348 A KR 1020190111348A KR 20190111348 A KR20190111348 A KR 20190111348A KR 102258491 B1 KR102258491 B1 KR 102258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conveyor
insertion member
display panel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1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9986A (ko
Inventor
유종현
민경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셀
Priority to KR1020190111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8491B1/ko
Publication of KR20210029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9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65G39/09Arrangements of bearing or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5/00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 F16C35/04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in the case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5/06Mounting or dismounting of ball or roller bearings; Fixing them onto shaft or in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58Conveyor systems, e.g. rollers or bearings therefor

Abstract

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설비의 컨베이어 라인용 베어링 결합 구조가 베어링 지지체와, 컨베이어 회전축과, 베어링과, 베어링 축 개입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베어링 축 개입 부재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 회전축과 상기 베어링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면서도, 상기 베어링 축 개입 부재, 상기 컨베이어 회전축 및 상기 베어링이 함께 일체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컨베이어 회전축의 회전 시에 파티클 발생이 억제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설비의 컨베이어 라인용 베어링 결합 구조{Bearing connecting structure for conveyor line of display panel manufacturing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설비의 컨베이어 라인용 베어링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설비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이동 등을 위하여 컨베이어 라인이 다수 적용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설비의 컨베이어 라인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의 그 것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설비의 컨베이어 라인에서는, 이송 롤러 등을 회전시켜주기 위한 컨베이어 회전축과, 컨베이어 프레임 등의 베어링 지지체 사이에 베어링이 체결되어, 상기 베어링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 회전축이 상기 베어링 지지체에 대해 매끄럽게 회전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설비의 컨베이어 라인용 베어링 결합 구조에 의하면, 상기 베어링이 상기 베어링 지지체에 고정되고, 상기 베어링에 상기 컨베이어 회전축이 단순 관통되고, 상기 컨베이어 회전축의 위치 고정을 위하여, 상기 베어링의 양 단에 접하도록 상기 컨베이어 회전축에 각각 스냅 링을 체결해주거나, 상기 베어링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에 볼트 체결을 해주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컨베이어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냅 링과 상기 컨베이어 회전축이 마찰되면서 파티클(particle)이 발생되고, 그러한 파티클에 의해 크린룸으로 관리되어져야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설비의 설치 공간에 상기 파티클에 의한 오염 문제가 발생된다.
등록특허 제 10-0850441호, 등록일자: 2008.07.30., 발명의 명칭: 평판 디스플레이용 글래스 이송 컨베이어의 동력전달장치
본 발명은 컨베이어 회전축의 회전 시에 파티클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설비의 컨베이어 라인용 베어링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설비의 컨베이어 라인용 베어링 결합 구조는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설비의 컨베이어 라인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설비의 컨베이어 라인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베어링 지지체; 상기 베어링 지지체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는 컨베이어 회전축; 상기 베어링 지지체에 고정되고, 상기 컨베이어 회전축이 그 내부를 관통하는 베어링; 및 상기 컨베이어 회전축과 상기 베어링의 접면 사이에 개입되어, 상기 컨베이어 회전축과 상기 베어링과 함께 회전되는 베어링 축 개입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축 개입 부재는 상기 베어링의 내륜의 일 측에 삽입되는 베어링 일 측 삽입 부재와, 상기 베어링의 상기 내륜의 타 측에 삽입되어, 상기 베어링 일 측 삽입 부재와 맞물리는 베어링 타 측 삽입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일 측 삽입 부재는 상기 베어링의 상기 내륜에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고, 그 내부가 빈 형태로 형성되는 베어링 일 측 삽입 몸체와, 상기 베어링 일 측 삽입 몸체의 일 측 말단에서 원형 테두리 형태로 확장되어, 상기 베어링의 상기 내륜의 일 측면에 걸릴 수 있는 베어링 일 측 삽입 플랜지와, 상기 베어링 일 측 삽입 몸체의 내면에서 일정 길이로 돌출되는 고정 돌기와, 상기 베어링 일 측 삽입 몸체의 내면에서 상기 고정 돌기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베어링 일 측 삽입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길게 선형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부재는 상기 베어링 일 측 삽입 몸체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고, 그 내부가 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컨베이어 회전축이 관통될 수 있는 베어링 타 측 삽입 몸체와,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몸체의 타 측 말단에서 원형 테두리 형태로 확장되어, 상기 베어링의 상기 내륜의 타 측면에 걸릴 수 있는 베어링 타 측 삽입 플랜지와,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몸체의 일 측 말단으로부터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 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고정 홈과,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몸체의 내면에서 상기 고정 홈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길게 선형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설비의 컨베이어 라인용 베어링 결합 구조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설비의 컨베이어 라인용 베어링 결합 구조가 베어링 지지체와, 컨베이어 회전축과, 베어링과, 베어링 축 개입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베어링 축 개입 부재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 회전축과 상기 베어링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면서도, 비금속 재질인 상기 베어링 축 개입 부재와, 금속 재질인 상기 컨베이어 회전축 및 상기 베어링이 함께 일체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컨베이어 회전축의 회전 시에 파티클 발생이 억제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설비의 컨베이어 라인용 베어링 결합 구조에 대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설비의 컨베이어 라인용 베어링 결합 구조에 적용되는 베어링 축 개입 부재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설비의 컨베이어 라인용 베어링 결합 구조가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B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설비의 컨베이어 라인용 베어링 결합 구조가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C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D부분에 대한 확대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설비의 컨베이어 라인용 베어링 결합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설비의 컨베이어 라인용 베어링 결합 구조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설비의 컨베이어 라인용 베어링 결합 구조에 적용되는 베어링 축 개입 부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설비의 컨베이어 라인용 베어링 결합 구조(100)는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설비의 컨베이어 라인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베어링 지지체(110)와, 컨베이어 회전축(120)과, 베어링(130)과, 베어링 축 개입 부재(140)를 포함한다.
상기 베어링 지지체(11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설비의 컨베이어 라인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베어링(130)의 후술되는 외륜(131)이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컨베이어 회전축(120)은 상기 베어링(130)을 사이에 두고 상기 베어링 지지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는 것으로, 상기 베어링 축 개입 부재(140)를 사이에 두고 상기 베어링(130)의 후술되는 내륜(132)에 의해 감싸지면서 상기 내륜(132)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베어링(130)은 상기 베어링 지지체(110)에 고정되고, 상기 컨베이어 회전축(120)이 그 내부(144)를 관통하는 것으로, 상기 베어링 지지체(110)에 고정되고 후술되는 볼(133)의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외륜(131)과, 상기 베어링 축 개입 부재(14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컨베이어 회전축(120)이 관통되고 상기 볼(133)의 내측에 배치되는 상기 내륜(132)과, 상기 외륜(131)과 상기 내륜(132) 사이에 복수 개 배치되는 상기 볼(133)을 포함한다.
상기 컨베이어 회전축(120)과 상기 베어링(130)은 모두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베어링(130)의 구조는 일반적인 것이므로, 여기서는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베어링(130)이 볼 베어링(130)으로 제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다른 다양한 구조의 베어링(130)이 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베어링 축 개입 부재(140)는 상기 컨베이어 회전축(120)과 상기 베어링(130)의 접면 사이에 개입되어, 상기 컨베이어 회전축(120)과 상기 베어링(130)과 함께 회전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베어링 축 개입 부재(140)는 베어링 축 개입 몸체(141)와, 일 측 절곡부(142)와, 타 측 절곡부(143)를 포함한다.
상기 베어링 축 개입 부재(140)는 비금속 재질인 플라스틱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베어링 축 개입 몸체(141), 상기 일 측 절곡부(142) 및 상기 타 측 절곡부(143)는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베어링 축 개입 부재(140)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컨베이어 회전축(120)과 상기 베어링(130) 사이에 개재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 회전축(120), 상기 베어링 축 개입 부재(140) 및 상기 베어링(130)이 서로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베어링 축 개입 몸체(141)는 상기 컨베이어 회전축(120)과 상기 베어링(130)의 상기 내륜(132)의 접면에서 상기 컨베이어 회전축(120)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베어링 축 개입 몸체(141)는 상기 컨베이어 회전축(120)과 상기 베어링(130)의 접면에서 상기 컨베이어 회전축(120)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원형 실린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일 측 절곡부(142)는 상기 베어링 축 개입 몸체(141)의 일 측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된 형태를 이루어, 상기 베어링(130)의 일 측면을 감싸는 것이다.
상기 타 측 절곡부(143)는 상기 베어링 축 개입 몸체(141)의 타 측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된 형태를 이루어, 상기 베어링(130)의 타 측면을 감싸는 것이다.
상기 일 측 절곡부(142)와 상기 타 측 절곡부(143)는 상기 베어링 축 개입 몸체(141)의 각 측단이 각각 외측으로 원형으로 확장된 원형 플랜지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어링 축 개입 몸체(141)의 내면과 외면이 각각 상기 컨베이어 회전축(120)과 상기 베어링(130)의 상기 내륜(132)과 각각 맞물리되, 상기 베어링 축 개입 몸체(141)는 상기 베어링(130)의 상기 내륜(132) 전체 길이만큼의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컨베이어 회전축(120)과 상기 베어링(130)의 상기 내륜(13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일 측 절곡부(142)와 상기 타 측 절곡부(143)는 각각 상기 베어링 축 개입 몸체(141)의 각 말단에서 외측으로 원형 플랜지 형태로 확장되되, 상기 베어링(130)의 적어도 상기 내륜(132)은 감싸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베어링 축 개입 부재(140)의 임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베어링 축 개입 부재(140)는 상기 컨베이어 회전축(120)과 상기 베어링(130) 사이에 억지끼움됨으로써, 상기 컨베이어 회전축(120), 상기 베어링 축 개입 부재(140) 및 상기 베어링(130)이 서로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설비의 컨베이어 라인용 베어링 결합 구조(100)가 상기 베어링 지지체(110)와, 상기 컨베이어 회전축(120)과, 상기 베어링(130)과, 상기 베어링 축 개입 부재(140)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베어링 축 개입 부재(140)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 회전축(120)과 상기 베어링(13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면서도, 비금속 재질인 상기 베어링 축 개입 부재(140)와, 금속 재질인 상기 컨베이어 회전축(120) 및 상기 베어링(130)이 함께 일체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컨베이어 회전축(120)의 회전 시에 파티클 발생이 억제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설비의 컨베이어 라인용 베어링 결합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설비의 컨베이어 라인용 베어링 결합 구조가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B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설비의 컨베이어 라인용 베어링 결합 구조가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C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D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설비의 컨베이어 라인용 베어링 결합 구조는 베어링 축 개입 부재(240)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축 개입 부재(240)가 베어링 일 측 삽입 부재(250)와, 베어링 타 측 삽입 부재(260)를 포함한다.
상기 베어링 일 측 삽입 부재(250)는 베어링의 내륜의 일 측에 삽입되는 것으로, 베어링 일 측 삽입 몸체(251)와, 베어링 일 측 삽입 플랜지(252)와, 고정 돌기(254)와, 가이드 돌기(253)를 포함한다.
상기 베어링 일 측 삽입 몸체(251)는 상기 베어링의 상기 내륜에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고, 그 내부가 빈 형태로 형성되어, 후술되는 베어링 타 측 삽입 몸체(261)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일 측 삽입 플랜지(252)는 상기 베어링 일 측 삽입 몸체(251)의 일 측 말단에서 원형 테두리 형태로 확장된 것으로, 상기 베어링의 상기 내륜의 일 측면에 걸릴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고정 돌기(254)는 상기 베어링 일 측 삽입 몸체(251)의 내면에서 일정 길이로 돌출되는 것으로, 원형 돌기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253)는 상기 베어링 일 측 삽입 몸체(251)의 내면에서 상기 고정 돌기(254)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베어링 일 측 삽입 몸체(251)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길게 선형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 돌기(254)와 상기 가이드 돌기(253)는 각각 복수 개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상기 고정 돌기(254)는 한 쌍으로 형성되되,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253)는 한 쌍으로 형성되되, 상기 각 고정 돌기(254)의 사이 부분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부재(260)는 상기 베어링의 상기 내륜의 타 측에 삽입되어, 상기 베어링 일 측 삽입 부재(250)와 맞물리는 것으로, 베어링 타 측 삽입 몸체(261)와, 베어링 타 측 삽입 플랜지(262)와, 고정 홈(275)과, 가이드 홈(270)을 포함한다.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몸체(261)는 상기 베어링 일 측 삽입 몸체(251)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고, 그 내부가 빈 형태로 형성되어, 컨베이어 회전축이 관통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플랜지(262)는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몸체(261)의 타 측 말단에서 원형 테두리 형태로 확장된 것으로, 상기 베어링의 상기 내륜의 타 측면에 걸릴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고정 홈(275)은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몸체(261)의 일 측 말단으로부터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몸체(261)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 돌기(254)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고정 홈(275)은 고정 안착홀(278)과, 고정 인입구(276)와, 억지 끼움홀(277)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 안착홀(278)은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몸체(261)의 일 측 말단으로부터 일정 깊이 상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 돌기(254)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돌기(254)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 돌기(254)가 안착됨으로써, 상기 베어링 일 측 삽입 부재(250)와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부재(260)가 서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 인입구(276)는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몸체(261)의 일 측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 안착홀(278)로 진입하는 입구에 해당되는 것으로,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몸체(261)의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 돌기(254)가 상기 고정 인입구(276)를 따라 안내되면서 상기 고정 안착홀(278)을 향해 인입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억지 끼움홀(277)은 상기 고정 인입구(276)와 상기 고정 안착홀(278)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 인입구(276)와 상기 고정 안착홀(278)을 연통시키되, 상기 고정 안착홀(278)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폭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고정 돌기(254)가 억지 끼움되면서 지나가게 되고, 상기 고정 안착홀(278)에 안착된 상기 고정 돌기(254)의 임의적인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 인입구(276)는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몸체(261)의 일 측 말단으로부터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몸체(261)의 내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억지 끼움홀(277)에서 상기 고정 홈(275)은 최고로 좁아지게 되고, 상기 억지 끼움홀(277)에 연통되도록 상기 고정 안착홀(278)이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 홈(270)은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몸체(261)의 내면에서 상기 고정 홈(275)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몸체(261)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길게 선형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253)가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 홈(270)은 가이드 안착홀(272)과, 가이드 인입구(271)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안착홀(272)은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몸체(261)의 일 측 말단으로부터 일정 깊이 상에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 돌기(25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 폭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253)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베어링 일 측 삽입 부재(250)와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부재(260)가 서로 결합될 때 상기 베어링 일 측 삽입 부재(250)와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부재(260)가 미리 설정된 자세로 정확하게 서로 맞물리게 안내하고, 상기 베어링 일 측 삽입 부재(250)와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부재(260)가 결합된 후에는 외력에 의해 상기 베어링 일 측 삽입 부재(250)와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부재(260)가 요동되지 아니하도록 잡아주게 된다.
상기 가이드 인입구(271)는 상기 가이드 안착홀(272)로부터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몸체(261)의 일 측 말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253)가 상기 가이드 인입구(271)를 따라 안내되면서 상기 가이드 안착홀(272)을 향해 인입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몸체(261) 중 상기 고정 홈(275)과 상기 가이드 홈(270)의 사이 부분에는, 탄성 신축 홀(263)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 신축 홀(263)은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몸체(261)에 그 길이 방향으로 일정 폭으로 절개된 것으로, 상기 베어링 일 측 삽입 부재(250)와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부재(260)가 서로 결합되기 위해,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몸체(261)가 상기 베어링 일 측 삽입 몸체(251)에 삽입될 때 상기 탄성 신축 홀(263)이 탄성 변형되면서 좁아지고, 그에 따라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몸체(261)가 상기 베어링 일 측 삽입 몸체(251)에 원활하게 삽입되면서도, 그러한 삽입 완료 후에 상기 탄성 신축 홀(263)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몸체(261)의 외면이 상기 베어링 일 측 삽입 몸체(251)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베어링의 상기 내륜에 상기 베어링 일 측 삽입 부재(25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베어링 일 측 삽입 부재(250)의 내부에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부재(260)가 삽입된다.
이 때, 상기 베어링 일 측 삽입 플랜지(252)와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플랜지(262)가 상기 베어링의 양 측단에 각각 걸리고, 상기 고정 돌기(254)는 상기 고정 홈(275)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253)는 상기 가이드 홈(270)을 따라 안내되면서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서로 결합된 상기 베어링, 상기 베어링 일 측 삽입 부재(250) 및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부재(260)에서,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부재(260)의 내부에 상기 컨베이어 회전축이 삽입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베어링, 상기 베어링 축 개입 부재(240) 및 상기 컨베이어 회전축의 결합 순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설비의 컨베이어 라인용 베어링 결합 구조에 의하면, 컨베이어 회전축의 회전 시에 파티클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설비의 컨베이어 라인용 베어링 결합 구조
110 : 베어링 지지체
120 : 컨베이어 회전축
130 : 베어링
140 : 베어링 축 개입 부재

Claims (4)

  1.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설비의 컨베이어 라인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설비의 컨베이어 라인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베어링 지지체;
    상기 베어링 지지체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는 컨베이어 회전축;
    상기 베어링 지지체에 고정되고, 상기 컨베이어 회전축이 내부를 관통하는 베어링; 및
    상기 컨베이어 회전축과 상기 베어링의 접면 사이에 개입되어, 상기 컨베이어 회전축과 상기 베어링과 함께 회전되는 베어링 축 개입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축 개입 부재는
    상기 베어링의 내륜의 일 측에 삽입되는 베어링 일 측 삽입 부재와,
    상기 베어링의 상기 내륜의 타 측에 삽입되어, 상기 베어링 일 측 삽입 부재와 맞물리는 베어링 타 측 삽입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일 측 삽입 부재는
    상기 베어링의 상기 내륜에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가 빈 형태로 형성되는 베어링 일 측 삽입 몸체와,
    상기 베어링 일 측 삽입 몸체의 일 측 말단에서 원형 테두리 형태로 확장되어, 상기 베어링의 상기 내륜의 일 측면에 걸릴 수 있는 베어링 일 측 삽입 플랜지와,
    상기 베어링 일 측 삽입 몸체의 내면에서 일정 길이로 돌출되는 고정 돌기와,
    상기 베어링 일 측 삽입 몸체의 내면에서 상기 고정 돌기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베어링 일 측 삽입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길게 선형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부재는
    상기 베어링 일 측 삽입 몸체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가 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컨베이어 회전축이 관통될 수 있는 베어링 타 측 삽입 몸체와,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몸체의 타 측 말단에서 원형 테두리 형태로 확장되어, 상기 베어링의 상기 내륜의 타 측면에 걸릴 수 있는 베어링 타 측 삽입 플랜지와,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몸체의 일 측 말단으로부터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 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고정 홈과,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몸체의 내면에서 상기 고정 홈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길게 선형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설비의 컨베이어 라인용 베어링 결합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홈은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몸체의 일 측 말단으로부터 일정 깊이 상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돌기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 돌기가 안착됨으로써, 상기 베어링 일 측 삽입 부재와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부재가 서로 결합되도록 하는 고정 안착홀과,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몸체의 일 측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 안착홀로 진입하는 입구에 해당되고,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몸체의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 돌기가 안내되면서 상기 고정 안착홀을 향해 인입될 수 있게 되는 고정 인입구와,
    상기 고정 인입구와 상기 고정 안착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 인입구와 상기 고정 안착홀을 연통시키되, 상기 고정 안착홀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폭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고정 돌기가 억지 끼움되면서 지나가게 되고, 상기 고정 안착홀에 안착된 상기 고정 돌기의 임의적인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억지 끼움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인입구는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몸체의 일 측 말단으로부터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몸체의 내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억지 끼움홀에서 상기 고정 홈은 최고로 좁아지게 되고, 상기 억지 끼움홀에 연통되도록 상기 고정 안착홀이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설비의 컨베이어 라인용 베어링 결합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몸체의 일 측 말단으로부터 일정 깊이 상에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 폭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베어링 일 측 삽입 부재와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부재가 서로 결합될 때 상기 베어링 일 측 삽입 부재와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부재가 미리 설정된 자세로 서로 맞물리게 안내하고, 상기 베어링 일 측 삽입 부재와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부재가 결합된 후에는 외력에 의해 상기 베어링 일 측 삽입 부재와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부재가 요동되지 아니하도록 잡아주게 되는 가이드 안착홀과,
    상기 가이드 안착홀로부터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몸체의 일 측 말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가 안내되면서 상기 가이드 안착홀을 향해 인입될 수 있게 되는 가이드 인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설비의 컨베이어 라인용 베어링 결합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몸체 중 상기 고정 홈과 상기 가이드 홈의 사이 부분에는,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폭으로 절개된 탄성 신축 홀이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 일 측 삽입 부재와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부재가 서로 결합되기 위해,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몸체가 상기 베어링 일 측 삽입 몸체에 삽입될 때 상기 탄성 신축 홀이 탄성 변형되면서 좁아지고,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몸체가 상기 베어링 일 측 삽입 몸체에 삽입되면서도, 상기 삽입 완료 후에 상기 탄성 신축 홀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베어링 타 측 삽입 몸체의 외면이 상기 베어링 일 측 삽입 몸체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설비의 컨베이어 라인용 베어링 결합 구조.
KR1020190111348A 2019-09-09 2019-09-09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설비의 컨베이어 라인용 베어링 결합 구조 KR102258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348A KR102258491B1 (ko) 2019-09-09 2019-09-09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설비의 컨베이어 라인용 베어링 결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348A KR102258491B1 (ko) 2019-09-09 2019-09-09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설비의 컨베이어 라인용 베어링 결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9986A KR20210029986A (ko) 2021-03-17
KR102258491B1 true KR102258491B1 (ko) 2021-06-01

Family

ID=75243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348A KR102258491B1 (ko) 2019-09-09 2019-09-09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설비의 컨베이어 라인용 베어링 결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849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578Y1 (ko) * 2006-01-23 2006-04-07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컨베이어용 축베어링 보호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0530A (ja) * 1994-07-28 1996-02-13 Techno Takagi Kk コンベアローラーの軸ブッシュ
KR100850441B1 (ko) 2007-04-18 2008-08-07 주식회사 에스엘텍 평판 디스플레이용 글래스 이송 컨베이어의 동력전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578Y1 (ko) * 2006-01-23 2006-04-07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컨베이어용 축베어링 보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9986A (ko) 2021-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41615B2 (ja) トルク支持体を有するローラーコンベヤー
KR102258491B1 (ko)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설비의 컨베이어 라인용 베어링 결합 구조
US20150303769A1 (en) Gear Motor Assembly
KR101705808B1 (ko) 서랍용 롤러 유닛
JP5672895B2 (ja) 直動案内装置の仮軸用アタッチメント
CA3041564C (en) Transmission device for attaching to a driveshaft
KR101751351B1 (ko) 금속분진 발생을 억제하는 반도체 클린룸용 경첩
US3515445A (en) Conveyor bearing
US9543092B2 (en) Control device with optimized coaxiality
JP2007120106A (ja) 引戸の揺れ止め防止具
JP2007186873A (ja) 粉塵防止型蝶番
KR20180117437A (ko) 컨베이어 롤러의 베어링블록 보강시스템
KR20060089900A (ko) 선운동용 스크류너트장치
JP6024291B2 (ja) 転がり軸受
KR101514301B1 (ko) 마그네틱이 구비된 클린룸용 경첩
JP6332587B2 (ja) 回転軸支持装置、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CN109026983B (zh) 一种能调整槽宽且抗污垢的滑轮
JP4929103B2 (ja) 蝶番
JP6875356B2 (ja) 等速ジョイントの組立方法
JP2006144815A (ja) ころ軸受
US20150075937A1 (en) Bearing structure
KR200330175Y1 (ko) 베어링용 멈춤링
JP6166542B2 (ja) 取付体
KR20000002783U (ko) 힌지장치
KR200178873Y1 (ko) 구름로울러 지지베어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