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0175Y1 - 베어링용 멈춤링 - Google Patents

베어링용 멈춤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0175Y1
KR200330175Y1 KR20-2003-0021725U KR20030021725U KR200330175Y1 KR 200330175 Y1 KR200330175 Y1 KR 200330175Y1 KR 20030021725 U KR20030021725 U KR 20030021725U KR 200330175 Y1 KR200330175 Y1 KR 2003301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 ring
bearing
ring
chamfer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17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복남
Original Assignee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217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01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01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017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5/00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 F16C35/04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in the case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5/06Mounting or dismounting of ball or roller bearings; Fixing them onto shaft or in housing
    • F16C35/063Fixing them on the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축용 기계요소인 베어링을 축 또는 보스에 고정시키기 위한 멈춤링(Snap ring)에 관한 것으로, 멈춤링의 모서리에 챔퍼(chamfer)를 형성하여 멈춤링의 챔퍼와 베어링의 내륜 및 외륜의 라운드 형상의 모서리가 접하도록 접촉면적을 넓혀서 축의 길이방향으로 베어링에 가해지는 부하에 의해 베어링이 멈춤링의 외측으로 벗겨져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견고하게 베어링을 지탱하도록 하는 베어링용 멈춤링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Description

베어링용 멈춤링 { a Snap Ring for Bearing }
본 고안은 축용 기계요소인 베어링을 축 또는 보스에 고정시키기 위한 멈춤링(Snap ring)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멈춤링의 모서리에 챔퍼(chamfer)를 형성하여 멈춤링의 챔퍼와 베어링의 내륜 및 외륜의 라운드 형상의 모서리가 접하도록 접촉면적을 넓혀서 축의 길이방향으로 베어링에 가해지는 부하에 의해 베어링이 멈춤링의 외측으로 벗겨져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견고하게 베어링을 지탱하도록 하는 베어링용 멈춤링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멈춤링은 축 또는 보스에 구멍을 파놓은 홈에 끼워 핀이나 축에 설치한 부품의 이동을 방지하는 고리 모양의 링으로서 자동차의 부품에는 많이 사용된다.
종래의 멈춤링(1)을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멈춤링(1)은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 형상의 링의 일측에 틈 사이(a)를 형성한 것이다.
멈춤링(1)의 단면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상기 멈춤링(1)은 자체의 탄력에 의해 오므라들거나 벌려지는 것이고, 이렇게 변형한 멈춤링(1)을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2) 또는 보스(3)에 끼우는 것이다.
도 3a는 베어링(4)을 축(2)에 장착한 것으로 축(2)외 외경에 장착홈(2a)을 오목하게 형성하여, 장착홈(2a)에 멈춤링(1)을 끼워 넣고, 베어링(4)의 내륜(4a)을 축(2)의 외경에 삽입시키며, 반대쪽의 장착홈(2a)에 다른 멈춤링(1)을 장착하여 베어링(4)을 고정시킨 것이다.
도 3b는 베어링(4)을 보스(3)에 장착한 것으로 보스(3)의 내경에 장착홈(3a)을 오목하게 형성하여, 장착홈(3a)에 멈춤링(1)을 끼워 넣고, 베어링(2)의 외륜(4b)을 보스(3)의 내경에 삽입시키며, 반대쪽의 장착홈(3a)에는 다른 멈춤링(1)을 장착하여 베어링(4)을 고정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멈춤링(1)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된다.
통상적으로 베어링(4)의 내륜(4a) 및 외륜(4b)의 모서리는 삽입이 용이하도록 라운드(Rounding)형상을 이루고 있다.
즉 도 3a 및 도 3b의 상세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어링(4)의 내륜(4a) 및 외륜(4b)은 멈춤링(1)의 모서리 극히 제한된 이부분만 접하게 된다.
베어링(4)이 설치된 기계는 축(2)에 가해지는 부하가 수직, 수평 등 다양한 방향에서 가해지게 되는데, 축(2)의 길이방향으로 부하가 걸릴 때에는 베어링(4)이 멈춤링(1)의 외측으로 벗겨져 이탈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베어링(4)이 축(2) 또는 보스(3)에서 이탈하면, 연쇄적으로 다른 기계 구성요소와 원활하게 연동되지 못하여 결국 기계장치의 큰 결함을 일으키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베어링용 멈춤링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멈춤링의 모서리에 챔퍼(chamfer)를 형성하여 베어링의 내륜 및외륜과 접촉면적을 넓혀 보다 견실하게 베어링을 지탱할 수 있도록 하는 베어링용 멈춤링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멈춤링에 형성한 챔퍼는 오목하게 형성하여 베어링의 내륜 및 외륜의 모서리와 긴밀하게 접하도록 하는 베어링용 멈춤링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멈춤링의 좌우 양측에 챔퍼를 형성하여 복수개의 베어링과 베어링사이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베어링용 멈춤링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멈춤링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종래의 멈춤링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멈춤링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멈춤링의 사용상태를 보인 예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멈춤링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C-C선 단면도
도 9는 도 7의 멈춤링의 사용상태를 보인 예시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멈춤링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D-D선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멈춤링의 사용상태를 보인 예시 단면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멈춤링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E-E선 단면도.
도 15는 도 13의 멈춤링의 사용상태를 보인 예시 단면도.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멈춤링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F-F선 단면도.
도 18은 본 고안에 따른 멈춤링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G-G선 단면도.
도 20은 본 고안에 따른 멈춤링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1은 도 20의 H-H선 단면도.
도 22는 본 고안에 따른 멈춤링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3은 도 22의 I-I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멈춤링 a: 틈 사이
2: 축 2a: 장착홈
3: 보스 3a: 장착홈
4: 베어링 4a: 내륜 4b: 외륜
10, 20, 30, 40, 50, 60, 70, 80: 멈춤링
11, 12: 챔퍼(chamfer)
본 고안의 상기목적들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도면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멈춤링을 보인 사시도 및 사용상태를 보인 예시 단면도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멈춤링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이며, 도 10 내지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멈춤링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이고, 도 13 내지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멈춤링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이고, 도 16 내지 도 23은 본 고안에 따른 멈춤링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멈춤링(10)은 첨부도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틈 사이(a)를 형성한 C형상의 고리모양으로 형성하되, 멈춤링(10)의 외경 일측 모서리에챔퍼(11)를 형성한 것이다.
즉 멈춤링(10)의 단면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경의 일측 모서리에 오목한 형상의 챔퍼(11)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에 따른 멈춤링(10)은 외경용으로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2)의 외경에 장착하여 베어링(4)을 고정시키는 것이다.
즉 축(2)의 외경에는 멈춤링(10)의 폭에 대응하는 너비로 장착홈(2a)을 형성하고, 그 장착홈(2a)에 멈춤링(10)을 끼워 장착하되, 베어링(4)의 내륜(4a)모서리에 형성된 라운드 모서리가 챔퍼(11)에 닿도록 장착하는 것이다.
베어링(4)의 반대쪽에 다른 멈춤링(10)을 장착할 때에는 챔퍼(11)가 베어링(4)의 내륜(4a)쪽으로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장착하는 것이고, 끼워 져야할 공간보다 멈춤링(10)의 폭이 넓어도 멈춤링(10)의 자체 탄력에 의해 벌려지거나 오므려지므로 고무망치 등으로 가볍게 타격을 가해서 삽입 장착시키는 것이다.
첨부도면 도 7에 도시한 멈춤링(20)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멈춤링(20)의 외경 모서리 양측에 챔퍼(11)를 형성한 것이다.
즉,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멈춤링(20)은 외경용으로 축(2)에 복수개 이상의 베어링(4)을 연달아 장착할 때에 베어링(4)과 다른 베어링(4)사이에 장착하여 베어링(4)을 지탱하도록 한 것이다.
첨부도면 도 10에 도시한 멈춤링(30)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멈춤링(30)의 내경 모서리 일측에 챔퍼(11)를 형성한 것이다.
즉,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멈춤링(30)은 내경용으로 보스(3)의 내경에장착홈(3a)을 오목하게 형성하고, 그 장착홈(3a)에 멈춤링(30)을 삽입시킨 후 베어링(4)의 외륜(4b)이 보스(3)의 내경에 접하도록 끼워 넣은 것이다.
베어링(4)의 반대쪽에 다른 멈춤링(30)을 장착할 때에는 챔퍼(11)가 베어링(4)의 외륜(4b)쪽으로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장착하는 것이고, 끼워 져야할 공간보다 멈춤링(30)의 폭이 넓어도 멈춤링(30)의 자체 탄력에 의해 벌려지거나 오므려지므로 고무망치 등으로 가볍게 타격을 가해서 삽입 장착시키는 것이다.
첨부도면 도 13에 도시한 멈춤링(40)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멈춤링(30)의 내경 모서리 양측에 챔퍼(11)를 형성한 것이다.
즉,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멈춤링(40)은 내경용으로 보스(3)에 복수개 이상의 베어링(4)을 연달아 장착할 때에 베어링(4)과 다른 베어링(4)사이에 장착하여 베어링(4)을 지탱하도록 한 것이다.
첨부도면 도 16 및 도 18에 도시한 멈춤링(50)(60)은 외경용으로서 챔퍼(12)를 면(面)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상기 멈춤링(50)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경의 일측 모서리에만 면형상의 챔퍼(12)를 형성한 것이고, 상기 멈춤링(60)은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경의 양측 모서리에 면형상의 챔퍼(12)를 형성한 것이다.
첨부도면 도 20 및 도 22에 도시한 멈춤링(70)(80)은 내경용으로서 챔퍼(12)를 면(面)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상기 멈춤링(70)은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경의 일측 모서리에만 면형상의 챔퍼(12)를 형성한 것이고, 상기 멈춤링(80)은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경의 양측 모서리에 면형상의 챔퍼(12)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멈춤링(50)(60)(70)(80)의 사용상태 설명은 상기 멈춤링(10)(20)(30)(40)의 사용상태 설명과 동일하므로 그에 다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멈춤링(10)(20)(30)(40)(50)(60)(70)(80)은 챔퍼(11)(12)를 형성함으로서, 베어링(4)의 내륜(4a) 또는 외륜(4b)의 라운드 형상 모서리와 멈춤링(10)(20)(30)(40)(50)(60)(70)(80)이 접하였을 때에 종래의 멈춤링(1)과 비교하여 보다 넓은 접촉면을 갖는 것으로 베어링(4)에 가해지는 부하가 축(2)의 길이방향으로 작용하더라도 베어링(4)이 멈춤링의 외측으로 벗겨지지 않고 부하에 견뎌 내는 것이다.
따라서 베어링(4)을 보다 견실하게 지탱할 수 있는 것으로 기계장치의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5)

  1. 틈 사이(a)를 형성하여 C형상의 고리모양으로 형성한 멈춤링에 있어서,
    베어링(4)의 내륜(4a)과 외륜(4b)의 라운드형상의 모서리와 직접 닿는 쪽의 모서리에 챔퍼(11)(1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멈춤링.
  2. 청구항 1에 있어서,
    챔퍼(11)는 오목한 라운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멈춤링.
  3. 청구항 1에 있어서,
    챔퍼(12)는 면(面)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멈춤링.
  4. 청구항 1에 있어서,
    챔퍼(11)(12)는 외경(外徑)의 좌우 양측 모서리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멈춤링.
  5. 청구항 1에 있어서,
    챔퍼(11)(12)는 내경(內徑)의 좌우 양측 모서리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멈춤링.
KR20-2003-0021725U 2003-07-07 2003-07-07 베어링용 멈춤링 Ceased KR2003301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1725U KR200330175Y1 (ko) 2003-07-07 2003-07-07 베어링용 멈춤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1725U KR200330175Y1 (ko) 2003-07-07 2003-07-07 베어링용 멈춤링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5646A Division KR100545552B1 (ko) 2003-07-07 2003-07-07 베어링용 동심 멈춤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0175Y1 true KR200330175Y1 (ko) 2003-10-17

Family

ID=49417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1725U Ceased KR200330175Y1 (ko) 2003-07-07 2003-07-07 베어링용 멈춤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017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54048A1 (en) * 2006-10-31 2008-05-08 Kefico Corporation Circuit for measuring battery voltage and method for battery voltage measurement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54048A1 (en) * 2006-10-31 2008-05-08 Kefico Corporation Circuit for measuring battery voltage and method for battery voltage measurement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26818A (en) Yielding nut retainer
EP2944838B1 (en) Bearing seal and rolling bearing with seal
KR0186033B1 (ko) 부분링 형상의 래디알 액슬-스라이드 베어링과 그 제조를 위한 방법
US5918987A (en) Thrust bearing assembly with washer
JP2008281154A (ja) クリープ防止転がり軸受
JPH08145143A (ja) ボールねじ装置のシール部材
JP2019510255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KR200330175Y1 (ko) 베어링용 멈춤링
JP2004180824A (ja) ミシン用ガスケット及びそれを使用したミシン
KR100545552B1 (ko) 베어링용 동심 멈춤링
US6533461B2 (en) Anti-reversal and anti-rotation thrust washer
EP1669646A1 (en) Sealing device
JP2012207738A (ja) 密封構造
US20030102634A1 (en) Radial seal arrangement
RU2761491C1 (ru) Система уплотнения для разъемного корпуса
CN110337550B (zh) 滚动轴承
KR20130061284A (ko) 오-링 삽입용 홈
JP2000170754A (ja) クロスローラベアリング
GB2049070A (en) Bearings
KR930021968A (ko) 자동 감김 금속 베어링 캠 및 플라스틱 베어링 조립체
KR20170036835A (ko) 구름베어링용 씰
JP2007010091A (ja) 軸受取付用アダプ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軸受取付構造
JP2526723Y2 (ja) 密封装置
KR200381876Y1 (ko) 선운동용 스크류너트장치
EP2930384A1 (en) Linear guid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7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707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100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70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31024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917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50124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50128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EXTG Ip right invalidated
UC2102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