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8208B1 - 손목 시계 - Google Patents

손목 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8208B1
KR102258208B1 KR1020210049953A KR20210049953A KR102258208B1 KR 102258208 B1 KR102258208 B1 KR 102258208B1 KR 1020210049953 A KR1020210049953 A KR 1020210049953A KR 20210049953 A KR20210049953 A KR 20210049953A KR 102258208 B1 KR102258208 B1 KR 102258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ch
coupler
connecting member
bezel
frag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9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삼
Original Assignee
이규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삼 filed Critical 이규삼
Priority to KR1020210049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82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0008Cases for pocket watches and wrist watches
    • G04B37/005Cases for pocket watches and wrist watches with cover or protection device which can be completely removed, either by lifting off or by sliding, or by turning (protection covers, protection cases also against humidity)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4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fastening to a wrist-watch or the like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04Hands; Discs with a single mark or the like
    • G04B19/042Construction and manufacture of the hands; arrangements for increasing reading accuracy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14Suspending devices, supports or stands for time-pieces insofar as they form part of the case
    • G04B37/1486Arrangements for fixing to a bracelet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7/00Time-piec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hich do not interfere with the running or the time-keeping of the time-pie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목 시계에 관한 것으로, 시계 무브먼트를 포함한 시계 부속품을 수용하고 상향 돌출된 보호벽을 포함하는 본체 케이스; 상기 보호벽에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본체 케이스에 지지되는 베젤; 상기 본체 케이스의 양측에 연결부재를 매개로 각각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착용자의 손목에 채워지는 제1,2 시계줄; 및 상기 보호벽의 상면에 안착되며 시침과 분침을 투시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보호벽에 체결되는 베젤에 의해 상기 보호벽에 고정되는 투시막;을 포함하고, 상기 시침 및 분침은 시계 무브먼트를 구성하는 아우어 휠과 캐논 피니언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시침 및 분침은 캐릭터 또는 도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손목 시계{WRIST WATCH}
본 발명은 착용하고 있는 신발이나 의상에 따라 시계줄과, 다양한 모양의 베젤, 시침 및 분침을 시계본체에 편리하게 교체하여 코디할 수 있고, 시침 및 분침을 캐릭터 또는 도형 형상으로 형성하여 다양한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는 손목 시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목 시계는 유리커버체에 시계 무브먼트를 내장하고 그 하부에는 덮개를 덮음으로써 일체화되어 시간을 표시하는 본체와, 그 본체와 결합되어 시계의 외관을 형성하는 교체용 케이스체와, 그 케이스체의 상하단 에 형성된 각각의 결합홀과 결합핀의 삽입에 의해 고정되는 시계줄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손목 시계는 공통의 시계 몸체에 대하여 여러 개의 케이스체를 구비하고, 그 중에서 1개를 선택함 으로써 마치 여러 개의 시계를 착용하는 효과를 제공하지만, 시계줄을 교체 시 시계 본체에 삽입된 결합핀을 제 거하고 다시 재장착하는 등의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제10-0681175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시계케이스 양 옆으로 시계케이스핀들을 포함하고, 두 개 또는 한 개로 구성된 시계 밴드를 시계케이스핀에 끼 우거나 걸어 매고 후크나 패스너부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결합구조를 개발하여 손목 시계를 착용하고자 하는 착용자가 선택한 시계에 시계밴드들을 비교적 쉽게 탈부착을 할 수 있게 하여 의상을 선택하여 입는 사람들에게는 다양한 컬러와 스타일을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 역시도 시계 밴드만을 탈부착할 수 있을 뿐, 시계 본체 부분에 대해서는 교체할 수 없는 결합구조를 적용하기 때문에 보다 다양하고 시각적 연출을 중시하는 사람들이 다양한 개성을 표출하는데 미흡한 점이 있었다.
앞서 설명한 선행문헌들을 포함한 종래 기술과 연결하여 이들 및 기타 문제점을 개선하여 패션 시계의 구성부품으로서 시계 밴드와 베젤을 쉽게 탈부착하여 다양한 심미감을 시각적으로 연출함과 동시에 사용 편의성을 향상 할 필요가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70782호 한국등록특허 제10-0681175호
본 발명은, 시계 본체에 결합되는 베젤, 및 시계줄이 결합된 연결부재가 시계본체에 고정및 분리되도록 록킹력을 제공하도록 함과 동시에 시계 본체에 서 베젤을 쉽고 편리하게 다른 형상의 베젤로 교체하여 가면서 사용할 수 있고, 다양한 모양의 시침과 분침을 시계본체에 편리하게 교체하여 착용하고 있는 의상이나 신발에 따라 코디할 수 있는 손목 시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베젤에 의해 록킹력을 제공받으며 시계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연결부재에 여러 형상의 시계줄을 쉽고 편리하게 사용자가 착용하고자 하는 의류나 신발에 따라 교체하여 결합시킬 수 있는 손목 시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계줄의 상면과 저면을 밝은 계통의 색상과 어두운 계통의 색상으로 코팅하고, 이러한 시계줄의 상면과 저면을 상,하 반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계줄을 교체하지 아니하고도 코디를 용이하게 하고, 다양한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는 손목 시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계줄에 큐빅과 같은 장식수단을 마련하고, 사용자가 장식수단을 노출 또는 은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코디의 폭을 넓게 할 수 있는 손목 시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계줄과 상이한 색상을 갖는 가림부로 시계줄을 커버하고, 색상을 갖는 가림부로 손목 시계를 코디할 수 있는 손목 시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향기부재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항상 좋은 향기를 풍기도록 할 수 있고, 향기가 소진되거나 다른 향기를 원할 경우 간편하게 교체하여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향기가 배출되는 통로의 노출영역을 선택적으로 가변하여 향기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손목 시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시계는, 시계 무브먼트를 포함한 시계 부속품을 수용하고 상향 돌출된 보호벽을 포함하는 본체 케이스; 상기 보호벽에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본체 케이스에 지지되는 베젤; 상기 본체 케이스의 양측에 연결부재를 매개로 각각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착용자의 손목에 채워지는 제1,2 시계줄; 및 상기 보호벽의 상면에 안착되며 시침과 분침을 투시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보호벽에 체결되는 베젤에 의해 상기 보호벽에 고정되는 투시막;을 포함하고, 상기 시침 및 분침은 시계 무브먼트를 구성하는 아우어 휠과 캐논 피니언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시침 및 분침은 캐릭터 또는 도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2 시계줄은 상면과 저면이 서로 다른 색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2 시계줄의 일측면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내부에 수용되거나 또는, 상기 연결부재의 외부로 인출되며 그 일단에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커플러가 각각 연결되되, 상기 커플러의 상면 및 저면은 상기 제1,2 시계줄의 상면 및 저면과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한 색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내벽면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코일스프링이 형성되어, 상기 커플러 및 제1,2 시계줄은 상기 코일스프링 상에서 회전되는 걸림돌기의 회전에 의해 상면과 저면이 반전되도록 각각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플러는 상기 연결부재의 외부로 인출될 시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의해 상기 연결부재의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내부 양측벽에는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상기 커플러의 양측면을 각각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는 외력에 의해 일정수준으로 압축될 수 있도록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중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재 및 커플러는 서로 상이한 극성을 갖는 자석재질로 형성되어 자력을 통해 서로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커플러에는 상기 제1,2 시계줄의 일정영역이 수용되는 은닉공간이 일측면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2 시계줄은 상기 은닉공간에 점진적으로 인입되거나 또는, 은닉공간에서 인출될 수 있으며, 상기 제1,2 시계줄의 상면과 저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상기 은닉공간에 수용되거나 또는, 은닉공간에서 인출되고 큐빅, 캐릭터, 도형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제1 장식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플러의 내부 양측벽에는 상기 제1,2 시계줄의 가장자리 상면과 저면을 각각 가압하여 이동을 억제시키는 클립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2 시계줄을 선택적으로 가리거나 노출시키는 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환부는, 상기 각각의 커플러 상면 또는 저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측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축부; 상기 축부에 코일형태로 권취되며, 권출될 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되면서 펼쳐져 상기 제1,2 시계줄을 각각 가리며, 상기 제1,2 시계줄과 상이한 색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가림부; 상기 가림부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가림부가 상기 축부에 권취될 시 상기 하우징의 개구를 가리면서 상기 하우징에 밀착되는 스토퍼; 및 상기 제1,2 시계줄의 끝 부분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가림부가 권출될 시 상기 스토퍼가 고정되는 고정홈을 갖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 케이스의 테두리를 따라서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며 상기 베젤에 의해 가려지고 향기를 발산시키는 향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베젤에는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에 체결되며, 내부에 상기 향기부재의 향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둘레를 따라 상기 향기부재의 향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홀이 장방향으로 형성된 체결부재 및 상기 체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베젤의 상부로 돌출되며, 큐빅으로 형성되는 헤드부재를 포함하는 제2 장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장식부의 회전 방향 및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체결홀에 대한 체결부재의 인입 또는 인출길이가 상이해져 상기 향기부재에서 발산되는 향의 배출양이 조절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시계 본체에 결합되는 베젤, 및 시계줄이 결합된 연결부재가 시계본체에 고정및 분리되도록 록킹력을 제공하도록 함과 동시에 시계 본체에 서 베젤을 쉽고 편리하게 다른 형상의 베젤로 교체하여 가면서 사용할 수 있고, 다양한 모양의 시침과 분침을 시계본체에 편리하게 교체하여 착용하고 있는 의상이나 신발에 따라 코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베젤에 의해 록킹력을 제공받으며 시계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연결부재에 여러 형상의 시계줄을 쉽고 편리하게 사용자가 착용하고자 하는 의류나 신발에 따라 교체하여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계줄의 상면과 저면을 밝은 계통의 색상과 어두운 계통의 색상으로 코팅하고, 이러한 시계줄의 상면과 저면을 상,하 반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계줄을 교체하지 아니하고도 코디를 용이하게 하고, 다양한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시계줄에 큐빅과 같은 장식수단을 마련하고, 사용자가 장식수단을 노출 또는 은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코디의 폭을 넓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계줄과 상이한 색상을 갖는 가림부로 시계줄을 커버하고, 색상을 갖는 가림부로 손목 시계를 코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향기부재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항상 좋은 향기를 풍기도록 할 수 있고, 향기가 소진되거나 다른 향기를 원할 경우 간편하게 교체하여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향기가 배출되는 통로의 노출영역을 선택적으로 가변하여 향기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시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시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시계에 적용된 시계줄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시계에 적용된 연결부재와, 커플러와, 코일스프링 및 가압부를 도시한 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시계에 적용된 커플러와, 클립부 및 제1 장식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시계에 적용된 커플러 및 코일스프링에 의해 제1,2 시계줄의 상면과 저면을 반전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시계에 적용된 변환부를 도시한 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시계에 적용된 변환부의 세부 구성 및 작동을 도시한 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시계에 적용된 향기부재 및 제2 장식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시계에서 본체 케이스 및 베젤에 향기부재 및 제2 장식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시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시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시계에 적용된 시계줄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시계는 시계 무브먼트를 포함한 시계 부속품을 수용하고 상향 돌출된 보호벽(111)을 포함하는 본체 케이스(110)와, 보호벽(111)에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베젤(190)과, 본체 케이스(110) 양측에 연결부재(130)를 매개로 연결되어 착용자의 손목에 채워지는 제1, 2 시계줄(140,15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보호벽(111)의 상면에는 시침(270)과 분침(280)을 투시할 수 있는 투명 재질의 투시막(180)이 안착된다.
투시막(180)은 보호벽(111)에 체결되는 베젤(190)에 의해 가압되어 보호벽(111)의 상면에 고정된다.
보호벽(111) 외주연에는 나사산(111a)이 형성되며, 베젤(190)의 내주연에는 나사산(111a)에 체결이 이루어지는 나사홈(190)이 형성된다.
보호벽(111)의 하부에는 평평한 형상의 결합면(120)이 형성된다.
나사산(111a)에 나사홈(190)이 체결되면 결합면(120)의 상면에 베젤(190)의 하면이 면접촉한다.
본체 케이스(110)의 좌우 양측에는 걸림턱(171)이 전후부에 형성된 안착홈(170)이 상부가 개구된 형태로 각각 파여져 형성된다.
안착홈(170)에는 걸림턱(171)이 형성되며, 연결부재(130)의 외측에는 걸림턱(171)에 걸리는 걸림돌기(131)가 돌출된다.
또한, 연결부재(130)의 양측에는 지지구(132)가 각각 형성된다.
연결부재(130)와 지지구(132)의 조합된 형상은 대략 'ㄷ'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2 시계줄(140,150)의 일측을 각각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261a)이 형성된다.
지지구(132)에는 결합홈(132a)이 각각 형성되고, 제1,2 시계줄(140,150)의 양측에는 결합홈(132a)에 끼움결합되는 고정핀(160)이 각각 형성된다.
고정핀(160)에는 손가락으로 잡은 상태에서 하중을 가해주는 것에 의해 탄성변형되면서 길이변형이 이루어지는 조작돌기(161)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제1, 2 시계줄(140,150)의 일측단부에는 조작돌기(161)가 이동하는 이동홈(141,151)이 각각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시계는 제1시계줄(140)과 제2시계줄(150)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핀(160)의 좌우 양측단부를 각각 연결부재(130)의 지지구(132)에 형성된 결합홈(132a)에 인입시켜, 제1,2시계줄(140,150)을 연결부재(130)에 결합시키고, 제1,2시계줄(140,150)이 각각 결합되어 있는 연결부재(130)를 본체 케이스(110)의 결합면(120)에 형성된 안착홈(170)에 각각 삽입시킨다.
이때, 안착홈(170)에 형성된 걸림턱(171)에 연결부재(130)에 형성된 걸림돌기(131)가 걸려 본체 케이스 (110)의 좌우 양측으로 인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부재(130)를 안착홈(170)에 안착시킨 후에는 보호벽(111)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111a)에 베젤(190)에 형성된 나사홈(190)을 체결시킨다. 이때, 베젤(190)은 하면이 본체 케이스(110)의 결합면(120)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나사홈(190)에 보호벽 (111)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111a)에 체결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연결부재(130)가 인입된 안착홈(170)의 상부를 폐쇄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연결부재(130)가 안착홈(170)의 상부를 통해 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제1,2시계줄(140,150)과 베젤(190)을 본체 케이스(110)에 결합시켜 손목 시계(100)를 착용하고자 하는 착용자가 입고자 하는 의상 및 신발에 맞춰 코디하고자 베젤(190)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베젤(190) 을 일측방향으로 돌려주어 본체 케이스(110)의 보호벽(111)으로 부터 분리한 후 새로운 베젤(190)을 보호 벽(111)에 체결되도록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베젤(190)을 본체 케이스(110)로 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는 기존의 제1,2시계줄(140,150)이 결합되어 있는 연결부재(130)를 안착홈(170)으로 부터 인출시킨 상태에서 새로운 제1,2시계줄(140,150)이 결합되어 있는 연결부재(130)를 걸림돌기(131)가 안착홈(170)의 걸림턱(171)에 걸리도록 안착시킨 상태에서 베젤(190)을 보호벽(111)에 체결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베젤(190)과 연결부재(130)를 본체 케이스(110)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제1시계줄(140)과 제2시계줄 (150)만 교체하여 손목 시계(100)를 착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고정핀(160)에 형성된 조작돌기(161)를 일측방향 으로 하중을 가해주게 되면, 조작돌기(161)에 가해지는 하중만큼 제1시계줄(140)과 제2시계줄(150)에 각각 형성된 이동홈(141,151)을 따라 조작돌기(161)가 이동되고, 조작돌기(161)가 이동된 량만큼 고정핀(160)은 길이가 짧아지도록 탄성변형되면서 연결부재(130)의 지지구(132)에 형성된 결합홈(132a)에 인입되어 있는 일측 단부가 빠지면서 제1시계줄(140)또는 제2시계줄(150)이 연결부재(130)로 부터 분리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부재(130)로 부터 기존의 제1,2시계줄(140,150)을 분리시킨 후에는 새로운 다른 제1,2시계줄 (140,150)의 고정핀(160)에 형성된 조작돌기(161)를 일측방향으로 하중을 가해주게 되면, 상기 조작돌기(161)에 가해지는 하중만큼 제1시계줄(140)과 제2시계줄(150)에 각각 형성된 이동홈(141,151)을 따라 조작돌기(161)가 이동되고, 조작돌기(161)가 이동된 량만큼 고정핀(160)은 길이가 짧아지도록 탄성변형되면서 연결부재 (130)의 지지구(132)에 인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지지구(132)에 고정핀(160)을 인입시킨 후에는 조작돌기(161)에 가해주는 하중을 제거하는 것에 의해 상기 고정핀(160)이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원상복귀되면서 결합홈(132a)에 고정핀(160)의 좌우 양측단부가 각각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1,2시계줄(140,150)을 교체해 가면서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부가적으로, 시침(270) 및 분침(280)은 손목 시계가 보다 특색 있게 보여지도록 캐릭터 또는 도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시침(270)은 시계 무브먼트를 구성하는 아우어 휠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분침(280)은 시계 무브먼트를 구성하는 캐논 피니언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다양한 형상의 캐릭터 또는 도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시침(270)과 분침(280)을 택일하여 손목 시계에 적용함으로써 장식효과를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보다 폭 넓게 의상과 신발에 맞게 코디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시계 무브먼트는 상부 무브먼트 플레이트(미도시)와 하부 무브먼트 플 레이트(미도시) 사이에 내부 기어들이 움직일 수 있도록 동력을 공급해 주는 태엽통(미도시)과 태엽통의 외주면에 마련된 톱니에 맞물리는 2번 피니언(미도시), 2번 피니언(미도시)과 한 몸체인 2번 휠(미도시), 2번 휠과 맞물리는 3번 피니언(미도시), 3번 피니언과 한 몸체인 3번 휠(미도시), 3번 휠과 맞물리는 4번 피니언(미도시), 4번 피니언과 한 몸체인 4번 휠(미도시), 4번 휠과 맞물려 돌아가는 탈진바퀴(미도시)와, 탈진바퀴(미도시)와 연결되고 탈진기의 진동을 회전력으로 바꿔주는 앵커(미도시)와, 앵커(미도시)와 연결되고 일정한 주기로 진동하는 탈진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브먼트 내에 내부 기어들이 정확한 시간흐름으로 제어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탈진기는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진자처럼 규칙적인 운동이 가능하게 만든 장치로, 스프링이 풀렸다 감겼다 하는 과정을 반복하며 규칙적으로 진동운동을 하는데 이러한 규칙적인 탈진기의 진동은 앵커를 통해 탈진바퀴로 전해져서 탈진바퀴가 일정한 속도로 움직일 수 있도록 조절한다.
이 운동은 초 단위 시간을 나타내는 4 번 휠로 전달되고, 계속해서 기어비를 변환시켜주는 3번 휠을 거쳐 분 단위 시간을 나타내는 2번 휠로 차례대로 전달되어 규칙적인 시간의 흐름을 나타내게 된다. 아울러 2번 휠 상부에는 분침(280)이 결합되는 캐논 피니언이 결합되고, 캐논 피니언에 맞물려 돌아가는 미닛 휠(미도시)과, 미닛 휠과 한 몸체를 이루는 미닛 피니언(미도시)이 있고 미닛 피니언은 다시 아우어 휠과 연결되며 아우어 휠에는 시침(270)이 끼워지게 된다. 미닛 휠과 캐논 피니언과 아우어 휠과 미닛 피니언의 톱니 비율에 따라 시침(270)과 분침(280)의 회전 속도가 결정될 수 있다. 아울러 초침은 4번 휠과 연결된 축에 결합되어 분당 60초의 속도로 시간의 흐름을 보여주게 된다. 이러한 시계 무브먼트는 상용화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시계에서 시침(270) 및 분침(280)이 아우어 휠과 캐논 피니언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시계의 다른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시계에 적용된 연결부재와, 커플러와, 코일스프링 및 가압부를 도시한 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시계에 적용된 커플러와, 클립부 및 제1 장식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시계에 적용된 커플러 및 코일스프링에 의해 제1,2 시계줄의 상면과 저면을 반전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시계에 적용된 변환부를 도시한 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시계에 적용된 변환부의 세부 구성 및 작동을 도시한 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시계에 적용된 향기부재 및 제2 장식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시계에서 본체 케이스 및 베젤에 향기부재 및 제2 장식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2 시계줄(140,150)은 상면과 저면이 서로 다른 색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1,2 시계줄(140,150)의 상면은 어두운 계통인 검정색, 갈색, 그레이색 등 모던한 이미지를 연출하는 색상이 코팅되고, 저면은 밝은 계통인 노랑색, 빨강색, 살구색 등 화려한 이미지를 연출하는 색상이 코팅될 수 있다.
제1,2 시계줄(140,150)의 일측에는 커플러(200)가 각각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2 시계줄(140,150)은 연결부재(130)에 연결되지 아니하고 커플러(200)를 매개로 연결부재(130)와 연결될 수 있다.
커플러(200)는 대략 사각블록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면이 개구되고 그 내부에 제1,2 시계줄(140,150)의 일정영역이 수용되는 은닉공간(202)이 형성된다.
일 예로, 커플러(200)의 상면 및 저면은 제1,2 시계줄(140,150)의 상면 및 저면과 각각 동일한 색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커플러(200)의 상면 및 저면은 제1,2 시계줄(140,150)의 상면 및 저면과 각각 상이한 색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커플러(200)가 제1,2 시계줄(140,150)을 장식하는 장식 포인트의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커플러(200)의 외측에는 대략 'ㅓ'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걸림돌기(210)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부재(130)의 내측면에는 걸림돌기(210)가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코일스프링(210)이 형성된다.
이때, 걸림돌기(210)는 도 4를 기준으로 커플러(200)의 외측에 연결되고 그 일부분이 코일스프링(210)의 내부공간에 위치되는 수평부 및 수평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그 양측이 코일스프링(210)의 외부로 돌출되는 수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스프링(210)은 평상 시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여, 커플러(200)는 코일스프링(210)에 고정되는 걸림돌기(210)에 의해 연결부재의 내부공간 상에 위치된다.
또한, 지지구의 내측면에는 커플러(200)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가압하여 연결부재의 내부공간 상에 고정하는 가압부(220)가 각각 형성된다.
가압부(220)는 대략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력이 가해지면 일정수준으로 압축될 수 있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된다.
가압부(220)는 지지구(132)의 결합홈(132a)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핀(22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커플러(200) 및 제1,2 시계줄(140,150)은 코일스프링(210) 상에서 회전되는 걸림돌기(210)에 의해 상면과 저면이 반전되도록 각각 회전될 수 있다.
이를 도 6을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2 시계줄(140,150)을 각각 당겨 커플러(200)를 연결부재의 외측으로 돌출시킨다.
이때, 코일스프링(210)은 팽창되어 일부분이 연결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후, 제1,2 시계줄(140,150)을 180도 각도로 회전시켜 상면과 저면을 반전시킨 후, 다시 제1,2 시계줄(140,150)을 연결부재(130) 방향으로 밀면, 커플러(200)가 가압부(220)를 일정수준으로 압축시키고, 이와 동시에 코일스프링(210)이 원래의 상태로 압축되어, 커플러(200)가 연결부재(130)의 내부공간에 고정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2 시계줄(140,150)의 상면과 저면은 각각 어두운 계통과 밝은 계통의 색상으로 코팅됨으로, 상견례나 장례식장 등과 같이 엄숙한 자리에 참석할 경우 제1,2 시계줄(140,150)의 상면이 노출되도록 손목에 착용하고, 결혼식장이나 지인 모임과 같은 자리에 참석할 경우에는 제1,2 시계줄(140,150)의 상면과 저면을 반전시켜 저면이 노출되도록 손목에 착용하면 된다.
이때, 연결부재에 대한 커플러(200)의 결합력이나 정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연결부재 및 가압부(220)는 서로 동일한 극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커플러(200)는 연결부재 및 가압부(220)와 상이한 극성을 갖는 자석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2 시계줄(140,150)은 자유 이동가능하여 은닉공간(202)에 점진적으로 인입되거나 또는 은닉공간(202)에서 점진적으로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제1,2 시계줄(140,150)의 상면과 저면의 일정영역에는 은닉공간(202)에 수용되거나 또는, 은닉공간(202)에 인출되는 제1 장식부(2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커플러(200)의 내부 양측벽에는 제1,2 시계줄(140,150)의 가장자리 상면과 저면을 동시에 가압하는 "C"자 단면 형상의 클립부(203)가 각각 형성된다.
클립부(203)는 제1,2 시계줄(140,150)의 일측과 타측의 가장자리를 각각 가압하여 제1,2 시계줄(140,150)의 이동을 억제시킴에 따라, 제1,2 시계줄(140,150)이 커플러(200)에서 과도하게 이동되어 외부로 완전하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제1 장식부(230)는 큐빅, 캐릭터, 도형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캐릭터, 도형은 제1,2 시계줄(140,150)에 인쇄되거나 또는 부착될 수 있다.
나아가, 제1,2 시계줄(140,15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 장식부(230)와 저면에 형성되는 제1 장식부(230)는 서로 다른 형상이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b)와 같이, 제1,2 시계줄(140,150)을 커플러(200)의 외부로 일정길이 인출할 경우 제1 장식부(230)가 외부로 돌출되어 보여지게 되고, 도 6(a)와 같이 제1,2 시계줄(140,150)을 커플러(200)의 내부로 인입할 경우 제1 장식부(230)가 은닉되어 보여지지 아니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그날 기분이나, 상황, 신발, 의상 등에 따라 제1 장식부(230)를 자유롭게 선택적으로 은닉하거나 노출하여 코디하면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시계는 제1,2 시계줄(140,150)을 선택적으로 가리거나 노출시키는 변환부(240)를 더 포함할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환부(240)는 하우징(241)과, 축부(242)와, 가림부(243)와, 스토퍼(244) 및 고정수단(245)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41)은 측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일 예로, 하우징(241)의 저면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커플러(200)의 상면과 저면에는 고정홈(2451)이 형성되어, 하우징(241)은 고정홈(2451)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돌기를 통해 커플러(200)에 결합 또는 분리 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하우징(241)의 저면에는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된 돌기가 형성되고, 커플러(200)의 상면과 저면에는 돌기가 체결되는 나선홀이 고정홈(2451)이 형성되어, 하우징(241)은 나선홀에 체결되는 돌기를 통해 커플러(200)에 결합 또는 분리 될 수 있다.
축부(242)는 그 양측이 하우징(241)의 내부공간의 벽면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가림부(243)는 축부(242)의 외주연에 코일이나 롤 형태로 권취된다.
가림부(243)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가림부(243)를 당겨 축부(242)에서 권출시키면 하우징(241)의 외부로 인출되면서 펼쳐져 제1,2 시계줄(140,150)의 상면 또는 저면을 가린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가림부(243)를 하우징(241)의 내부공간으로 밀어 넣으면, 가림부(243)가 축부(242)에 다시 권취된다.
가림부(243)는 그 상면이 제1,2 시계줄의 상면 및 저면과 상이한 색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2 시계줄의 색상이 의상이나 신발에 어울리지 않고, 가림부(243)의 색상이 의상이나 신발에 어울릴 경우에는 제1,2 시계줄(140,150) 대신 가림부(243)로 의상이나 신발에 맞게 코디하면 된다.
이와 같이 제1,2 시계줄(140,150) 및 가림부(243)가 함께 적용되는 경우, 보다 폭 넓은 코디를 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스토퍼(244)는 가림부(243)의 일단에 형성되며, 가림부(243)가 축부(242)에 권취될 시, 하우징(241)의 개구를 가리면서 하우징(241)에 밀착된다.
고정수단(245)은 제1,2 시계줄(140,150)의 끝부분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일 예로, 제1,2 시계줄(140,150)의 끝부분에는 고정홀이 각각 형성되고, 고정수단(245)의 저면에는 돌기(2452)가 형성되어, 고정수단(245)은 고정홀에 고정되는 돌기(2452)를 통해 제1,2 시계줄(140,150)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고정수단(245)의 상면에는 스토퍼(244)가 고정되는 고정홈(245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수단(245)에 대한 스토퍼(244)의 결합력이나 정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고정수단(245) 및 스토퍼(244)는 서로 상이한 극성을 갖는 자석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수단(245)과 스토퍼(244)는 제1,2 시계줄(140,150)을 장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고정수단(245)과 스토퍼(244)는 그 표면이 어두운 계통의 색상 또는 밝은 계통의 색상으로 코팅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110)의 결합면(120) 테두리를 따라서는 수용홈(120a)이 형성되고, 수용홈(120a)에는 베젤(190)에 의해 가려지고 향기를 발산시키는 향기부재(250)가 수용된다.
수용홈(120a)은 대략 'C'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안착홈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향기부재(250)는 수용홈(120a)과 대응되게 'C'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수용홈(120a)에 각각 수용된다.
이때, 향기부재(250)는 액체로 적용되어 수용홈(120a)에 충진될 수도 있다.
이때, 베젤(190)은 보호벽에 체결될 시 결합면의 상면에 접촉되어 향기부재(250)를 가리게 된다.
향기부재(250)는 향기를 발산하여 사용자가 항상 좋은 향기를 풍길 수 있게 한다.
그리고, 향기부재(250)의 향기가 소진되거나 다른 향기를 원할 경우 보호벽에서 베젤(190)을 분리하여 수용홈(120a)에 수용된 향기부재(250)를 간편하게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가적으로, 베젤(190)에는 다수개의 체결홀(19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체결홀(192)에는 제2 장식부(260)가 각각 결합된다.
도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장식부(260)는 체결부재(261) 및 헤드부재(262)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재(261)는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되어 체결홀(192)에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재(261)는 향기부재(250)의 향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26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체결부재(261)에는 둘레를 따라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적용되며 향기부재(250)의 향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홀(261b)이 장방향으로 형성된다.
일예로, 체결부재(261)는 체결홀(192)에 체결될 시 향기부재(250)와 접촉되지 아니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일예로, 체결부재(261)는 하측이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체결홀(192)에 체결될 시 고체 형태의 향기부재(250)를 관통할 수 있다.
물론, 향기부재(250)가 액상으로 적용될 경우 체결부재(261)의 일부분은 향기부재(250)에 잠기게 된다.
헤드부재(262)는 베젤(190)의 상부로 노출되는 것으로, 헤드부재(262)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체결홀(192)에 체결 또는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부재(262)를 우측방향으로 회전시킬수록 체결부재(261)가 점진적으로 하강되고, 헤드부재(262)를 좌측방향으로 회전시킬수록 체결부재(261)가 점진적으로 상승된다.
체결부재(261)가 하강될수록 배출홀(261b)의 노출범위가 적어져 향기부재(250)에서 발산되는 향기의 배출량이 적어지고, 체결부재(261)가 상승할수록 체결홀(192)의 노출범위가 커져 향기부재(250)에서 발산되는 향기의 배출량이 커진다.
따라서, 헤드부재(262)를 통해 향기부재(250)에서 발산되는 향의 배출양을 조절하면 된다.
그리고, 헤드부재(262)는 베젤(190)의 상부로 노출되어 사용자나 주변사람들에게 보여지기 때문에, 손목 시계의 장식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큐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손목 시계 110 : 본체 케이스
111 : 보호벽 111a: 나사산
120 : 결합면 120a : 수용홈
130 : 연결부재 131,210 : 걸림돌기
132 : 지지구 132a: 결합홈
140 : 제1시계줄 150 : 제2시계줄
160,221 : 고정핀 170 : 안착홈
171 : 걸림턱 180 : 투명체
190 : 베젤 191 : 나사홈
192 : 체결홀 200 : 커플러
202 : 은닉공간 203 : 클립부
210 : 코일스프링 220 : 가압부
230 : 제1 장식부 240 : 변환부
241 : 하우징 242 : 축부
243 : 가림부 244 : 스토퍼
245 : 고정수단 2451 : 고정홈
2452 : 돌기 250 : 향기부재
260 : 제2 장식부 261 : 체결부재
261a : 수용공간 261b : 배출홀
262 : 헤드부재 270 : 시침
280 : 분침

Claims (2)

  1. 시계 무브먼트를 포함한 시계 부속품을 수용하고 상향 돌출된 보호벽을 포함하는 본체 케이스;
    상기 보호벽에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본체 케이스에 지지되는 베젤;
    상기 본체 케이스의 양측에 연결부재를 매개로 각각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착용자의 손목에 채워지는 제1,2 시계줄; 및
    상기 보호벽의 상면에 안착되며 시침과 분침을 투시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보호벽에 체결되는 베젤에 의해 상기 보호벽에 고정되는 투시막;을 포함하고,
    상기 시침 및 분침은 시계 무브먼트를 구성하는 아우어 휠과 캐논 피니언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시침 및 분침은 캐릭터 또는 도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2 시계줄은 상면과 저면이 서로 다른 색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2 시계줄의 일측면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내부에 수용되거나 또는, 상기 연결부재의 외부로 인출되며 그 일단에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커플러가 각각 연결되되, 상기 커플러의 상면 및 저면은 상기 제1,2 시계줄의 상면 및 저면과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한 색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내벽면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코일스프링이 형성되어, 상기 커플러 및 제1,2 시계줄은 상기 코일스프링 상에서 회전되는 걸림돌기의 회전에 의해 상면과 저면이 반전되도록 각각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커플러는 상기 연결부재의 외부로 인출될 시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의해 상기 연결부재의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내부 양측벽에는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상기 커플러의 양측면을 각각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는 외력에 의해 일정수준으로 압축될 수 있도록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중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재 및 커플러는 서로 상이한 극성을 갖는 자석재질로 형성되어 자력을 통해 서로 부착되며,
    상기 커플러에는 상기 제1,2 시계줄의 일정영역이 수용되는 은닉공간이 일측면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커플러의 내부 양측벽에는 상기 제1,2 시계줄의 가장자리 상면과 저면을 각각 가압하여 이동을 억제시키는 클립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2 시계줄은 일정영역이 상기 클립부에 가압된 상태로 상기 은닉공간에 점진적으로 인입되거나 또는, 은닉공간에서 인출될 수 있으며, 상기 제1,2 시계줄의 상면과 저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상기 제1,2 시계줄과 함께 상기 은닉공간에 수용되거나 또는, 은닉공간에서 인출되고 큐빅, 캐릭터, 도형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제1 장식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2 시계줄을 선택적으로 가리거나 노출시키는 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환부는,
    상기 각각의 커플러 상면 또는 저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측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축부;
    상기 축부에 코일형태로 권취되며, 권출될 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되면서 펼쳐져 상기 제1,2 시계줄을 각각 가리며, 상기 제1,2 시계줄과 상이한 색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가림부;
    상기 가림부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가림부가 상기 축부에 권취될 시 상기 하우징의 개구를 가리면서 상기 하우징에 밀착되는 스토퍼; 및
    상기 제1,2 시계줄의 끝 부분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가림부가 권출될 시 상기 스토퍼가 고정되는 고정홈을 갖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 케이스의 테두리를 따라서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며 상기 베젤에 의해 가려지고 향기를 발산시키는 향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베젤에는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에 체결되며, 내부에 상기 향기부재의 향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둘레를 따라 상기 향기부재의 향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홀이 장방향으로 형성된 체결부재 및 상기 체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베젤의 상부로 돌출되며, 큐빅으로 형성되는 헤드부재를 포함하는 제2 장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장식부의 회전 방향 및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체결홀에 대한 체결부재의 인입 또는 인출길이가 상이해져 상기 향기부재에서 발산되는 향의 배출양이 조절되는 손목 시계.
  2. 삭제
KR1020210049953A 2021-04-16 2021-04-16 손목 시계 KR102258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953A KR102258208B1 (ko) 2021-04-16 2021-04-16 손목 시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953A KR102258208B1 (ko) 2021-04-16 2021-04-16 손목 시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8208B1 true KR102258208B1 (ko) 2021-05-27

Family

ID=76135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9953A KR102258208B1 (ko) 2021-04-16 2021-04-16 손목 시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82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20330A (zh) * 2022-08-29 2022-10-21 邓思婕 一种女性防狼安全智能手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782Y1 (ko) 2001-12-29 2002-04-04 고영곤 케이스 교체가 가능한 시계
KR100681175B1 (ko) 2001-11-02 2007-02-09 다리 바우어 톤야 신속 교체가능한 시계밴드 및 그 부착방법
KR20150126116A (ko) * 2014-05-02 2015-11-11 김귀탁 교체 가능한 패션 시계
KR20210007428A (ko) * 2019-07-11 2021-01-20 (주)크리스챤모드 손목 시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175B1 (ko) 2001-11-02 2007-02-09 다리 바우어 톤야 신속 교체가능한 시계밴드 및 그 부착방법
KR200270782Y1 (ko) 2001-12-29 2002-04-04 고영곤 케이스 교체가 가능한 시계
KR20150126116A (ko) * 2014-05-02 2015-11-11 김귀탁 교체 가능한 패션 시계
KR20210007428A (ko) * 2019-07-11 2021-01-20 (주)크리스챤모드 손목 시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20330A (zh) * 2022-08-29 2022-10-21 邓思婕 一种女性防狼安全智能手表
CN115220330B (zh) * 2022-08-29 2023-09-26 邓思婕 一种女性防狼安全智能手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27739A (en) Bracelet type wrist watch
EP2000865A2 (en) Modular watch and device for securing a watch strap to a watch casing
KR102258208B1 (ko) 손목 시계
US20130088943A1 (en) Open-side bracelet with frame for watch
CN106681124A (zh) 一种趣味儿童手表结构
US20160316887A1 (en) Enhanced lipstick tubes
US2099515A (en) Watchcase
KR20210007428A (ko) 손목 시계
US20060285446A1 (en) Time display apparatus
CN206684486U (zh) 可自由更换模块部件的手表
US1850216A (en) Watchcase
CN210776222U (zh) 一种从上至下透视的手表
JPH06281753A (ja) 交換可能な装飾部材を備えたアラーム時計、壁時計またはナップザック等に装着される時計
US20230004122A1 (en) Nmotion Watches
US20070274162A1 (en) Split crown and pushers watch
JP2009207842A (ja) 装飾カバー
CN211478882U (zh) 一种便于更换表心和表圈的手表
US1549909A (en) Pendant watchcase
CN210222490U (zh) 一种可更换配件的手表结构
KR200311262Y1 (ko) 손목시계
JP6757998B1 (ja) 腕時計ケース
WO2012127509A1 (en) Double - case watch with partially transparent dial
JPS5847871Y2 (ja) 指輪のサイズ調節兼用装飾嵌合体
KR200353721Y1 (ko) 장식보석시계줄에 착탈되는 시계케이스
CN207337085U (zh) 组合手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