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8005B1 - 사료를 공급하는 건초 급이기 - Google Patents

사료를 공급하는 건초 급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8005B1
KR102258005B1 KR1020200140966A KR20200140966A KR102258005B1 KR 102258005 B1 KR102258005 B1 KR 102258005B1 KR 1020200140966 A KR1020200140966 A KR 1020200140966A KR 20200140966 A KR20200140966 A KR 20200140966A KR 102258005 B1 KR102258005 B1 KR 102258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y
shaft
plate
bal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0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헌식
김주철
Original Assignee
오헌식
김주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헌식, 김주철 filed Critical 오헌식
Priority to KR1020200140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80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Abstract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측면부재와, 상기 측면부재의 일측 상부를 관통하며 결합된 제1 샤프트 및 상기 측면부재의 타측 하부를 관통하며 결합된 제2 샤프트를 포함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측면부재의 하부를 관통하며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위치하는 결합용 각관과,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의 타측부 사이에 구비되어 베일의 수용공간을 마련하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초공급부; 및
상기 결합용 각관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용 바와, 상기 제1 샤프트와 결합하여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와, 상기 결합용 바와 상기 구동부재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이동장비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와 맞닿으며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한 베일의 회전으로 인해 건초가 풀어지고, 상기 건초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측 외부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초 급이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사료를 공급하는 건초 급이기{Hay feeder of supplying feeds}
본 발명은 건초 급이기에 대한 것으로, 트랙터와 같은 이동장비에 용이하게 결합 또는 해제될 수 있으며, 이동장비 동력원 하나로 베일을 적재함은 물론 자동으로 동력을 연결하여 베일로부터 풀어낸 건초를 정확하고 일정하게 사료로 공급할 수 있는 건초 급이기에 관한 것이다.
소, 말, 염소 등과 같은 동물들을 사육하는 축산 농가에서는 다양한 사료와 함께 섬유소가 풍부한 건초를 동물들에게 공급한다. 건초는 일반적으로 건조라는 물리적인 방법에 의해 저장성을 부여한 사료로써 대개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수분함량이 15 내지 20% 이하가 되도록 건조시킨 것을 말한다. 건초는 특히 송아지에 있어서 정장제 효과가 있으며, 태양 건조로 인해 비타민 D의 함량이 높고, 반추동물의 소화를 돕는데 유용하여 축산 농가에서 사료로 널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건초는 운반과 보관이 용이하도록 베일러를 이용하여 원형으로 말아 압축한 후 랩핑하여 베일(bale)이라는 압축형 볏집으로 가공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축산 농가의 사료로 건초를 공급하려는 경우, 수작업에 의해 베일의 랩핑을 제거하고, 건초 절단기를 이용하여 일정한 길이로 절단 후 인력으로 운반하여 축사에 공급함으로써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1160099호에 볏집 자동급이기가 개시된 바 있으나, 이는 건초를 낭비할 수 있으며 베일과 같은 압축형 볏집은 통상적으로 수백kg의 무게를 가지므로 별도의 농기계가 필요할 수 있고, 베일의 운반을 위한 제한적 용도로 사용되어 장비의 효율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경제적 부담이 될 수 있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제10-1709148호의 건초용 절단 및 공급장치가 개시된 바 있으나, 이는 자체동력으로 절단을 위한 작업까지 수행하므로 기계구조가 복잡하고, 롤의 배출시간이 상당히 소요될 수 있으며, 비산 먼지가 다량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60099호(등록일: 2012년 06월 20일) 한국등록특허 제10-1709148호(등록일: 2017년 02월 16일)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필요에 따라 트랙터와 같은 이동장비에 용이하게 결합 또는 해제되어 장비의 효율성을 높이고 경제적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건초 급이기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이동장비 동력원 하나로 베일을 적재함은 물론 자동으로 동력을 연결하여 베일을 풀어낼 수 있는 건초 급이기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나아가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베일로부터 풀어낸 건초를 정확하고 일정하게 사료로 공급함으로써 사료 배출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먼지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건초 급이기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측면부재와, 상기 측면부재의 일측 상부를 관통하며 결합된 제1 샤프트 및 상기 측면부재의 타측 하부를 관통하며 결합된 제2 샤프트를 포함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측면부재의 하부를 관통하며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위치하는 결합용 각관과,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의 타측부 사이에 구비되어 베일의 수용공간을 마련하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초공급부; 및 상기 결합용 각관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용 바와, 상기 제1 샤프트와 결합하여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와, 상기 결합용 바와 상기 구동부재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이동장비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와 맞닿으며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한 베일의 회전으로 인해 건초가 풀어지고, 상기 건초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측 외부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초 급이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측에 구비되는 탑 링크와 하측에 하나 이상 구비되는 로우 링크를 포함하는 링크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링크부재는 이동장비 로더(Loader)의 암(Arm)과 링크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는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수직으로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바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샤프트는 상기 측면부재를 관통한 일단부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건초 급이기는, 상기 로드 사이에 상기 회전바가 위치하도록 상기 건초공급부와 상기 이동장비결합부가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는 서로 대향된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되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레일부재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부재의 양단부 연장선 상에 상기 제1 샤프트 및 상기 제2 샤프트가 위치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레일부재의 외측면과 상기 제1 샤프트 및 상기 제2 샤프트의 양단부를 감싸며 이동하는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인은 더블피치 체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샤프트 또는 제2 샤프트의 양단부는 상기 더블피치 체인의 피치 반경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오목홈이 외주면에 형성된 체인회전판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합용 각관은 상기 레일부재의 이격된 공간 사이에 일단부가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초 급이기는 필요에 따라 트랙터와 같은 이동장비에 용이하게 결합 또는 해제되어 장비의 효율성을 높이고 경제적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적재장치가 필요 없이 이동장비 동력원 하나로 베일을 적재함은 물론 자동으로 동력을 연결하여 베일을 풀어낼 수 있으며, 나아가서 베일로부터 풀어낸 건초를 정확하고 일정하게 사료로 공급함으로써 사료 배출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먼지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초 급이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초 급이기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 4는 도 2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초급이기의 건초공급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초공급부의 체인을 나타낸 상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초공급부의 체인과 체인회전판을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초공급부와 이동장비결합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의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초 급이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초 급이기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 4는 도 2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초급이기의 건초공급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초공급부의 체인을 나타낸 상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초공급부의 체인과 체인회전판을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초공급부와 이동장비결합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초 급이기(10)는 건초공급부(100)와 이동장비결합부(2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장비결합부(200)는 트랙터와 같은 이동장비에 결합 및 해제가능하여 건초 급이기(10)가 이동장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건초공급부(100)는 측면부재(110)와, 회전부재(120)와, 결합용 각관(130)과, 지지플레이트(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장비결합부(200)는 프레임(210)과, 결합용 바(230)와, 구동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건초공급부(100)의 측면부재(110)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제1 플레이트(111) 및 제2 플레이트(1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지지 플레이트(140)가 상기 제1 플레이트(111) 및 제2 플레이트(112)의 타측부 사이에 구비됨으로써 베일의 수용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이때 수용공간의 하측은 회전부재(120)와 결합용 각관(130)이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120)는 상기 측면부재(110)의 일측 상부를 관통하며 결합된 제1 샤프트(121) 및 상기 측면부재(110)의 타측 하부를 관통하며 결합된 제2 샤프트(12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베일(B)은 측면부재(110)와 지지플레이트(140)로 마련된 수용공간 내에 위치하되 상기 회전부재(120)와 맞닿으며 수용될 수 있으며, 나가아서 베일(B)은 상기 회전부재(120)의 제1 샤프트(121) 및 제2 샤프트(122)와 베일(B)의 중심축이 평행하도록 수용공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부재(120)의 회전에 따라 베일(B)이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결합용 각관(130)은 상기 측면부재(110)의 하부를 관통하며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위치하며, 이동장비결합부(200)의 결합용 바(230)가 건초공급부(100)의 결합용 각관(130)의 내부로 끼움결합됨으로써 건초공급부(100)와 이동장비결합부(2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동장비결합부(200)는 건초공급부(100)의 결합용 각관(130)에 해제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되는 결합용 바(230)와, 상기 제1 샤프트(121)와 결합하여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결합용 바(230)가 결합용 각관(130)에 삽입되어 끼움결합되고, 구동부재(250)와 제1 샤프트(121)가 결합됨으로써, 건초공급부(100)와 이동장비결합부(200)는 결합되어 건초 급이기(1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이동장비결합부(200)는 상기 결합용 바(230)와 상기 구동부재(250)를 지지하는 프레임(2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프레임(210)은 이동장비의 일측과 결착되어 이동장비의 이동에 따라 건초 급이기(10)가 이동할 수 있다.
도 2 및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210)은 상측에 구비되는 탑 링크(242)와 하측에 하나 이상 구비되는 로우 링크(244)를 포함하는 링크부재(240)를 구비하되, 상기 링크부재(240)는 이동장비 로더(Loader)의 암(Arm; 22)과 링크결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트랙터 로드의 베일 클램프와 링크부재(240)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장비결합부(200)의 프레임(210)과 링크부재(240)에 의해 필요에 따라 트랙터와 같은 이동장비에 용이하게 결합 또는 해제되어 장비의 효율성을 높이고 경제적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과 같이, 베일(B)은 트랙터와 같은 이동장비를 이용하여 건초 급이기(10)의 수용공간 내에 적재될 수 있으며, 이동장비결합부(200)의 링크부재(240) 및 프레임(210)과 이동장비 로더의 암(22, 예로써, 트랙터 로드의 베일 클램프)과 이동장비의 일측면을 결합시킴으로써 이동장비에 이동장비결합부(200)를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장비결합부(200)의 결합용 바(230)와 구동부재(250)를 건초공급부(100)의 결합용 각관(130)과 제1 샤프트(121)에 각각 결합시킴으로써 건초공급부(100)가 이동장비결합부(200)에 결합되어 건초급이기(10)를 이동장비에 장착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120)와 맞닿으며 수용공간 내에 위치한 베일(B)은 이동장비결합부(200)의 구동부재(250)와 연결된 제1 샤프트(121)의 회전으로 인해 베일(B)이 회전되며 건초가 풀어지고, 풀어진 건초는 베일(B)의 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플레이트(140)의 상측 외부로 이동하여 건초 급이기(10)의 외부로 공급될 수 있다. 즉 건초 급이기(10)가 장착된 이동장비가 이동하며 이동과 동시에 베일(B)로부터 풀어낸 건초를 사료로 바로 공급함으로써 별도의 적재장치가 필요 없이 이동장비 동력원 하나로 베일을 적재함은 물론 자동으로 동력을 연결하여 베일을 풀어낼 수 있으며, 사료 배출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먼지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구동부재(250)는 구동모터(252)의 회전축과 수직으로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바(254)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샤프트(121)는 상기 측면부재(110)를 관통한 일단부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로드(123)를 구비하며, 상기 건초 급이기(10)는 상기 로드(123) 사이에 상기 회전바(254)가 위치하도록 상기 건초공급부(100)와 상기 이동장비결합부(200)가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즉, 구동모터(252)의 동작으로 회전바(254)가 회전을 하게 되면 회전바(254)의 측면과 맞닿은 한 쌍의 로드(123)는 회전바(254)의 회전으로 인해 한 쌍의 로드(123)가 회전바(254)를 지름으로 한 원형의 형태로 회전되고, 로드(123)의 회전력이 제1 샤프트(121)에 제공됨으로써 제1 샤프트(121)가 회전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베일(B)이 회전될 수 있다.
이때 구동모터(252)의 동력원은 이동장비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적재장치가 필요 없이 베일을 건초공급부(100)에 적재함은 물론 이동장비 동력원 하나로 구동부재(250)에 동력을 연결하여 베일을 풀어낼 수 있다. 예로써, 트랙터와 같은 이동장비 로더의 베일 클램프를 이용하는 경우, 별도의 베일 적재장치가 필요 없음은 물론, 베일의 적재 후 건초 급이기(10)의 이동장비결합부(200)를 이용하여 건초급이기(10)와 이동장비는 용이하게 결착될 수 있으며, 별도의 동력 연결 없이 이동장비의 동력을 이용하여 건초공급부(100)로부터 건초를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111) 및 제2 플레이트(112)는 서로 대향된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되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레일부재(150)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일부재(150) 상에 베일(B)의 양단부가 안착됨으로써 안정적으로 베일(B)의 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레일부재(150)의 양단부 연장선 상에는 상기 제1 샤프트(121) 및 상기 제2 샤프트(122)가 위치하고, 상기 회전부재(120)는 상기 레일부재(150)의 외측면과 상기 제1 샤프트(121) 및 상기 제2 샤프트(122)의 양단부를 감싸며 이동하는 체인(127)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재(250)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은 제1 샤프트(121)의 회전력이 제2 샤프트(122)까지 회전력의 손실이 최소화되도록 제공되어 베일(B)의 회전과 그로 인한 건초의 풀림이 더욱 용이할 수 있다.
예로써, 상기 체인(127)은 더블피치 체인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샤프트(121) 또는 제2 샤프트(122)의 양단부는 상기 더블피치 체인의 피치(127p) 반경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오목홈(129a)이 외주면에 형성된 체인회전판(129)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체인(127)의 회전 시 이탈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회전부재(120)가 회전함으로써 베일(B)의 회전 및 건초의 제공이 지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결합용 각관(130)은 상기 레일부재(150)의 이격된 공간 사이에 일단부가 위치함으로써, 레일부재(150)의 형태 유지와 베일(B)의 하측면 지지에 더욱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초 급이기(10)는 필요에 따라 트랙터와 같은 이동장비에 용이하게 결합 또는 해제되어 장비의 효율성을 높이고 경제적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적재장치가 필요 없이 이동장비 동력원 하나로 베일을 적재함은 물론 자동으로 동력을 연결하여 베일을 풀어낼 수 있으며, 나아가서 베일로부터 풀어낸 건초를 정확하고 일정하게 사료로 공급함으로써 사료 배출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먼지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건초급이기
22; 이동장비 로더의 암
100; 건초공급부
110; 측면부재
111; 제1 플레이트
112; 제2 플레이트
120; 회전부재
121; 제1 샤프트
122; 제2 샤프트
123; 로드
127; 체인
129; 체인회전판
130; 결합용 각관
140; 지지플레이트
150; 레일부재
200; 이동장비결합부
210; 프레임
230; 결합용 바
240; 링크부재
242; 탑 링크
244; 로우 링크
250; 구동부재
252; 구동모터
254; 회전바
B; 베일

Claims (7)

  1.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측면부재와, 상기 측면부재의 일측 상부를 관통하며 결합된 제1 샤프트 및 상기 측면부재의 타측 하부를 관통하며 결합된 제2 샤프트를 포함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측면부재의 하부를 관통하며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위치하는 결합용 각관과,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의 타측부 사이에 구비되어 베일의 수용공간을 마련하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초공급부; 및
    상기 결합용 각관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용 바와, 상기 제1 샤프트와 결합하여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와, 상기 결합용 바와 상기 구동부재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이동장비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와 맞닿으며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한 베일의 회전으로 인해 건초가 풀어지고, 상기 건초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측 외부로 공급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는 서로 대향된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되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레일부재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재 상에 베일의 양단부가 안착되어 베일의 회전을 가이드 하고,
    상기 레일부재의 양단부 연장선 상에 상기 제1 샤프트 및 상기 제2 샤프트가 위치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레일부재의 외측면과 상기 제1 샤프트 및 상기 제2 샤프트의 양단부를 감싸며 이동하는 체인을 포함하되,
    상기 체인은 더블피치 체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샤프트 또는 제2 샤프트의 양단부는 상기 더블피치 체인의 피치 반경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오목홈이 외주면에 형성된 체인회전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초 급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측에 구비되는 탑 링크와 하측에 하나 이상 구비되는 로우 링크를 포함하는 링크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링크부재는 이동장비 로더(Loader)의 암(Arm)과 링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초 급이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수직으로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바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샤프트는 상기 측면부재를 관통한 일단부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건초 급이기는, 상기 로드 사이에 상기 회전바가 위치하도록 상기 건초공급부와 상기 이동장비결합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초 급이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용 각관은 상기 레일부재의 이격된 공간 사이에 일단부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초 급이기.
KR1020200140966A 2020-10-28 2020-10-28 사료를 공급하는 건초 급이기 KR102258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966A KR102258005B1 (ko) 2020-10-28 2020-10-28 사료를 공급하는 건초 급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966A KR102258005B1 (ko) 2020-10-28 2020-10-28 사료를 공급하는 건초 급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8005B1 true KR102258005B1 (ko) 2021-05-27

Family

ID=76135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966A KR102258005B1 (ko) 2020-10-28 2020-10-28 사료를 공급하는 건초 급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80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8451A (ko) 2021-11-26 2023-06-02 오헌식 양방향 건초 공급장치
KR20230109520A (ko) 2022-01-13 2023-07-20 오헌식 건초 급이 호퍼 및 그를 포함하는 사료배합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6899A (en) * 1979-04-30 1981-05-12 Skeem Wayne B Round bale feeder
KR101160099B1 (ko) 2009-10-30 2012-06-26 김종규 볏짚 자동 급이기
KR101709148B1 (ko) 2016-07-13 2017-02-22 박상민 건초용 절단 및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6899A (en) * 1979-04-30 1981-05-12 Skeem Wayne B Round bale feeder
KR101160099B1 (ko) 2009-10-30 2012-06-26 김종규 볏짚 자동 급이기
KR101709148B1 (ko) 2016-07-13 2017-02-22 박상민 건초용 절단 및 공급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8451A (ko) 2021-11-26 2023-06-02 오헌식 양방향 건초 공급장치
KR20230109520A (ko) 2022-01-13 2023-07-20 오헌식 건초 급이 호퍼 및 그를 포함하는 사료배합장치
KR102597900B1 (ko) * 2022-01-13 2023-11-03 오헌식 건초 급이 호퍼 및 그를 포함하는 사료배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8005B1 (ko) 사료를 공급하는 건초 급이기
US20130125518A1 (en) Multiple rolls net wrap assembly
BR112012010132B1 (pt) Dispositivo de empacotar e método para formar fardos de material de colheita no dispositivo
EP2647282B1 (en) Baler and method for forming a bale
KR101709148B1 (ko) 건초용 절단 및 공급장치
US5865589A (en) Bale feeder
US5586519A (en) Bale feeder
CN111955170A (zh) 一种农业机械用带有输送机构的高效打谷机及使用方法
CN109720618A (zh) 一种包膜系统
US4232986A (en) Trailer with multiple bale elev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bale handling
KR101211680B1 (ko)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
CN105638117B (zh) 一种牵引式打捆裹膜一体机
CN104620761B (zh) 一种芦苇/农作物秸秆收割打捆机
CN112189457A (zh) 一种用于牧草收割的就地式打捆设备
CN102177856A (zh) 全自动饲料运输喂料系统
KR101456785B1 (ko) 볏짚 절단기
KR20230078451A (ko) 양방향 건초 공급장치
CA2877632C (en) Conveyer belt apparatus with engaging front arms for gathering bales
CN211210600U (zh) 整带式碎物料圆捆打捆机
CN108419694A (zh) 一种牛羊养殖自动投食装置
US6431480B1 (en) Square bale processor
CN220255154U (zh) 一种自动上料打捆包膜机
US5784997A (en) Bale manger
CN212383843U (zh) 一种农业生产用秸秆破碎装置
CN212402512U (zh) 一种用于二氧化氯消毒剂封装的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