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7114B1 - 저장창고의 냉각시스템 - Google Patents

저장창고의 냉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7114B1
KR102257114B1 KR1020190164559A KR20190164559A KR102257114B1 KR 102257114 B1 KR102257114 B1 KR 102257114B1 KR 1020190164559 A KR1020190164559 A KR 1020190164559A KR 20190164559 A KR20190164559 A KR 20190164559A KR 102257114 B1 KR102257114 B1 KR 102257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warehouse
evaporator
insulation box
storag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4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홍선
Original Assignee
(주)대성마리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성마리프 filed Critical (주)대성마리프
Priority to KR1020190164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71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4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deep-frozen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7Evaporator fa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6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the pipes or pip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val Of Water From Condensation And Defro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산물 등을 냉동 및 냉장 저장하는 저장창고에 설치되어 저장물을 보호하되 증발기를 창고의 외부에 설치하여 저장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설치비용을 줄이고 제상에 따른 온도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저장창고의 냉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저장창고(10)의 상단 일측에서 저장창고(10)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저장창고(10)의 외부에 설치되는 단열상자(20); 저장창고(10)의 외벽 상단에 설치되어 단열상자(20)를 지지하는 설치 프레임(25); 저장창고(10)의 외부에 설치되는 응축기(11); 단열상자(20)의 내부에 설치되고 응축기(11)와 냉매배관(14)으로 연결되어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12); 및 단열상자(20)의 냉기토출구에 설치되어 증발기(12)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저장창고(10)로 송풍하는 송풍팬(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저장창고의 냉각시스템{Cooling System for Storage}
본 발명은 저장창고의 냉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농산물 등을 냉동 및 냉장 저장하는 저장창고에 설치되어 저장물을 보호하되 증발기를 창고의 외부에 설치하여 저장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설치비용을 줄이고 제상에 따른 온도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저장창고의 냉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구마나 감자, 양파, 고추 등의 농산물은 소비량과 수확량의 예측이 어렵기 때문에, 저장창고를 이용하여 수확된 농산물을 일정 기간동안 저장한 후 수확시기가 지난 후 판매하고 있다. 이는 수산물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저장창고에는 내부 온도와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냉각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 즉, 농산물은 냉각 시스템을 이용하여 일정 온도 이하로 냉장하여 저장하고, 수산물의 경우는 냉각 시스템을 이용하여 일정 온도 이하로 냉각하여 저장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통상적인 저장창고의 냉각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창고(100)의 외부에 설치되어 압축기(도시 생략)에서 공급되는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110)와, 저장창고(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응축기(110)에 냉매배관(140)으로 연결되며 냉매의 증발을 이용하여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120)와, 냉각된 공기를 송풍하도록 증발기(120)의 전방에 구비되는 송풍팬(130)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증발기(120)는 저장창고(100)의 상측에 설치될 수도 있고, 저장창고(100)의 바닥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저장창고의 냉각시스템은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가 냉매배관을 통해 증발기로 공급된 후 증발기에서 기화하면서 주변 공기를 냉각시키고, 송풍팬이 냉각된 공기를 송풍함으로써 저장창고의 내부를 냉장 또는 냉동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저장창고의 내부 온도가 낮은 상태에서 증발기가 장시간 작동하게 되면, 증발기의 응축수가 얼어붙어 성에가 발생하고 이러한 성에는 증발기의 정상적인 작동을 저해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증발기에 고온의 냉매를 공급하여 증발기의 성에를 제거하게 되는데, 이를 제상 운전이라 한다.
이와 같이, 제상 운전을 하게 되면, 고온의 냉매에 의해 증발기의 온도가 올라가게 되고, 이로 인해 저장창고의 내부온도에 변화가 발생함으로써 저장창고의 내부에 저장된 물품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종래의 저장창고의 냉각시스템은 증발기가 저장창고의 내부에 위치함으로써 제상 운전시 성에를 녹이는데 사용되는 열이 저장창고의 내부로 발산되어 실내 온도의 변화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증발기가 설치되는 부분은 물론 그 주위에도 저장물을 적재할 수 없어 저장공간이 감소하게 되고, 증발기를 저장창고의 상부에 고정하고 냉매배관과 전선 등을 연결 설치함에 따라 설치비용이 증가하는 다른 문제점이 있다.
이외에도,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나 성에의 제거에 따라 발생하는 제상수의 배출을 위한 배수관이 저장창고의 외벽을 관통하여 설치됨에 따라 설치 비용이 증가함은 물론 배수관이 설치되는 구멍이나 배수관을 통해 외기가 유입되어 저장창고의 실내 온도가 변화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조사한 결과 다수의 특허문헌이 검색되었으며, 그 중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농산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내부에 마련되는 저장실; 저장실의 상부에 마련되어 저장공간의 내부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거나 저장공간의 내부습기를 제습함으로써 저장공간의 내부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조절 및 제습유닛; 저장실의 내부공기의 순환을 위하여 저장실의 내벽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는 순환덕트; 및 온도조절 및 제습유닛에 의하여 가열되거나 냉각된 공기가 순환덕트를 따라 강제로 이동할 수 있도록 온도조절 및 제습유닛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다수의 강제송풍유닛을 포함하며, 농산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의 내부온도 및 습도를 간편, 신속하고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는 농산물 저장창고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농산물을 보관하는 단열저장고, 상기 단열저장고의 내부온도를 조절하는 냉각수단, 상기 단열저장고의 내부에 위치한 곰팡이 제거기 및 상기 단열저장고 내의 온도에 따라 상기 냉각수단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수단은 상기 단열저장고의 내부 온도를 낮추기 위한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와 팽창밸브를 통해 연결되는 응축기 및 상기 응축기에 액체 냉매를 보내기 위한 압축기를 포함하며, 증발기의 대수평균온도차를 4.5℃ 이내가 되도록 제어하여 증발기에 생성되는 얼음을 녹이기 위해 제상기를 구비할 필요가 없고 가습기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단열저장고 내의 상대습도를 90% 이상으로 유지하여 농산물을 장기간 신선도를 유지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 농산물의 저장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고습도 저온 저장고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밀폐된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저장고에 있어서, 상기 저장고의 바닥에 외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다수 개의 순환유로와; 상기 저장고의 일측 내면에 밀착되어 본체와 유기적으로 연결되며 설치되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를 감싸며 설치되고, 하부에 다수 개의 유입홀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모터에 결합된 송풍팬이 구비된 송풍부와; 상기 송풍부의 상측과 연결되며 저장고 상측 내면에 관로 형상으로 설치되고, 송풍팬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가 저장고의 내부로 고르게 배출되도록 양측에 다수 개의 메인통공이 구비된 메인덕트와; 상기 송풍부의 하부와 외부를 연결하며 설치되어,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호스와; 상기 드레인호스의 저장고 내측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은 저장고의 외부와 연통되어 외부의 공기가 드레인호스를 통해 저장고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공기공급관을 포함하며, 저장고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킴과 동시에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자연스럽게 배출하고, 외부의 공기를 자연스럽게 내부로 유입하여, 저장고 내부의 온도를 균일화시킴과 동시에 물 또는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시켜 저장고에 보관된 저장물의 품질을 장기간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는, 저장고의 공기순환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4는, 저온저장고의 내·외부를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단속하는 배출댐퍼를 구비한 배출덕트; 상기 배출덕트와 열교환을 이루며 외부의 공기가 저온저장고 내부로 흡입되도록 설치하고,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단속하는 흡입댐퍼를 구비한 흡입덕트; 상기 배출덕트 및 흡입덕트와 연결 설치하여 저온저장고에 구비된 온도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공기의 온도를 이미 설정된 공기의 온도범위로 조절하는 공기조화기; 상기 공기조화기와 연결 설치하여 온도가 조절된 공기가 저온저장고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덕트; 및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저온저장고 내부의 온도가 이미 설정된 온도범위 이상인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저온저장고 내부 공기의 배출과 외부 공기의 흡입을 이루도록 하거나 또는 저온저장고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며 상기 공기조화기를 제어하여 외부로부터 흡입되거나 내부에서 순환되는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저온저장고용 공기조화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KR 10-0951628 B1 KR 10-2004-0035346 A KR 20-0424133 Y1 KR 10-2018-0049319 A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증발기를 저장창고의 외부에 배치함으로써 저장창고의 저장공간을 더 확보함과 아울러 증발기와 냉매배관 및 배수관의 설치 비용을 감소시키고 제상 운전시 뜨거운 공기가 저장창고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함으로써 제상 운전에 따른 실내 온도 변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저장창고의 냉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저장창고의 상단 일측에서 저장창고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저장창고의 외부에 설치되는 단열상자; 저장창고의 외벽 상단에 설치되어 단열상자를 지지하는 설치 프레임; 저장창고의 외부에 설치되는 응축기; 단열상자의 내부에 설치되고 응축기와 냉매배관으로 연결되어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 및 단열상자의 냉기토출구에 설치되어 증발기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저장창고로 송풍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저장창고의 냉각시스템에 따르면, 증발기의 하부에 고이는 응축수 및 제상 운전시 발생하는 제상수를 단열상자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일측 단부는 증발기의 하부에 연통되고 타측 단부는 단열상자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배수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저장창고의 냉각시스템에 따르면, 단열상자가 설치되는 저장창고의 안쪽에 설치되어 단열상자의 냉기토출구를 개폐하는 냉기토출구 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저장창고의 냉각시스템에 따르면, 단열상자는 증발기가 설치되는 냉각부와 저장창고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부로 분할 형성되고, 냉각부와 공기유입부 사이에 증발기가 설치되는 증발기 설치대가 구비됨과 아울러 증발기 설치대와 단열상자의 내벽 사이에 유입공기를 차단하는 공기유입구 도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저장창고의 냉각시스템에 따르면, 공기유입부는 냉각부의 하부나 상부 또는 좌우측 중 일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저장창고의 냉각시스템에 따르면, 저장창고는 냉동창고 또는 냉장창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창고의 냉각시스템은, 증발기가 저장창고의 외부에 설치되는 단열상자의 내부에 구비됨에 따라 저장창고의 저장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증발기와 응축기를 연결하는 냉매배관이나 전선 및 배수관의 설치가 쉬워지고 설치 비용이 감소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열상자의 냉기토출구를 개폐하는 냉기토출구 도어가 구비됨에 따라 제상 운전시 냉기토출구 도어를 닫아 제상열이 저장창고의 안쪽으로 전파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저장창고의 내부 온도가 변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열상자가 냉각부와 공기유입부로 분할 형성됨에 따라 공기의 유동이 원활해지고, 단열상자에 공기유입구 도어가 구비되어 제상 운전시 공기의 유동을 차단함으로써 제상열이 저장창고의 안쪽으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열상자에 점검도어가 구비됨에 따라 점검도어를 통해 단열상자에 구비된 증발기와 송풍팬을 유지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통상적인 저장창고의 냉각시스템이 도시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창고의 냉각시스템이 도시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장창고의 냉각시스템에서 냉기토출구의 개폐구조가 도시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창고의 냉각시스템에서 단열상자의 내부 구조가 도시된 단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장창고의 냉각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창고의 냉각시스템이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장창고의 냉각시스템에서 냉기토출구의 개폐구조가 도시된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창고의 냉각시스템에서 단열상자의 내부 구조가 도시된 단면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창고의 냉각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창고나 냉장창고로 이용되는 저장창고(10)에 구비되는 것으로, 응축기(11)와 증발기(12), 송풍팬(13), 냉매배관(14), 배수관(15) 및 단열상자(20)를 포함한다.
응축기(11)는 압축기(도시 생략)에서 배출되는 고온고압의 냉매를 응축시켜 액상 냉매로 변환시키는 것으로, 저장창고(10)의 외부 바닥에 설치된다. 그리고 증발기(12)는 냉매의 증발잠열을 이용하여 주변 공기를 냉각시키는 것으로, 저장창고(10)의 외벽 상단에 설치되는 단열상자(20)의 내부에 설치되며 응축기(11)에 냉매배관(14)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증발기(12)에서 기화된 냉매는 압축기로 귀환하게 된다.
송풍팬(13)은 증발기(12)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저장창고(10)의 내부로 송풍하는 것으로, 단열상자(20)의 냉기토출구와 증발기(12) 사이에 설치된다. 냉매배관(14)은 응축기(11)와 증발기(12)를 연결하여 냉매가 흐르도록 하는 것으로, 그 중간에 응축기(11)에서 응축 액화된 고온 고압의 냉매의 압력을 증발이 일어날 수 있을 정도로 감압하는 팽창밸브(도시 생략)가 설치된다.
배수관(15)은 증발기(12)의 작동에 따라 발생하여 증발기(12)의 하부에 고이는 응축수 및 제상 운전시 발생하는 제상수를 단열상자(20)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배수관(15)의 일측 단부는 증발기(12)의 하부에 연통되고 배수관(15)의 타측 단부는 단열상자(2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와 같이, 배수관(15)이 저장창고(10)의 외부에 설치되는 단열상자(20)에 구비됨에 따라, 배수관(15)의 설치가 쉬워지고, 배수관(15)으로 인해 외기가 저장창고(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상자(20)의 냉기토출구를 개폐하는 냉기토출구 도어(17)가 단열상자(20)가 설치되는 저장창고(10)의 안쪽에 구비되어 제상 운전시에는 냉기토출구를 닫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증발기(12)를 제상 운전하는 동안 증발기(12)에 공급되는 뜨거운 냉매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냉기토출구 도어(17)에 의해 차단되어 저장창고(1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되고, 그로 인해 저장창고(10)의 내부 온도가 변화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단열상자(20)는 저장창고(10)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저장창고(10)의 외측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증발기(12)와 송풍팬(13)이 구비됨과 아울러 저장창고(10)의 외벽 상단에 설치되는 설치 프레임(25)에 의해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단열상자(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12)가 설치되는 냉각부(20a)와, 저장창고(10)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부(20b)로 분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공기유입부(20b)는 냉각부(20a)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냉각부(20a)의 상부에 위치하거나 냉각부(20a)의 좌측이나 우측에 위치하더라도 무방하다.
그리고 냉각부(20a)와 공기유입부(20b) 사이에 증발기(12)가 설치되는 증발기 설치대(21)가 구비되고, 제상 운전시에는 공기의 유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냉각부(20a)로의 공기 유입을 차단하는 공기유입구 도어(23)가 증발기 설치대(21)와 단열상자(20)의 내벽 사이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제상 운전시 뜨거운 냉매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저장창고(1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또한, 단열상자(20)의 내부에 구비된 증발기와 송풍팬의 점검을 위한 점검도어(24)가 설치될 수 있는데, 점검도어(24)는 단열상자(20)의 배면이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단열상자(20)의 단열성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점검도어(24)가 밀폐구조로 형성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저장창고의 냉각시스템은 정상 운전시에는 증발기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저장창고의 내부로 송풍하고, 제상 운전시에는 단열상자를 밀폐하여 제상열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저장창고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저장창고(10)의 내부를 냉장 또는 냉각시키는 경우에는, 응축기(11)에서 나온 고온 고압의 액상 냉매를 냉매배관(14)의 팽창밸브를 통과시켜 감압한 후 단열상자(20) 내부의 증발기(12)로 공급함으로써, 증발기(12)에서 냉매가 기화하면서 주변의 공기를 냉각시키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단열상자(20) 내부의 공기유입구 도어(23)와 냉기토출구의 전방에 구비된 냉기토출구 도어(17)를 모두 개방하여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고, 송풍팬(13)을 이용하여 증발기(12)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저장창고(10)의 내부로 송풍함으로써 저장창고(10)의 내부를 냉장 또는 냉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증발기(12)에서 생성된 응축수는 배수관(15)을 통해 단열상자(20)의 외부로 배출한다.
한편, 응축수가 증발기(12)에 응결되어 성에가 발생하게 되면, 제상 운전을 통해 증발기(12)의 성에를 제거하고 제상 과정에서 발생한 제상수는 배수관(15)을 통해 단열상자(20)의 외부로 배출한다. 즉, 응축기(11)에서 나온 고온 고압의 액상 냉매를 냉매배관(14)의 팽창밸브에서 감압시키지 않고 그대로 증발기(12)에 공급함으로써 고온의 냉매에 의해 증발기(12)의 성에가 제거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압축기의 냉매가 증발기(12)로 공급되도록 냉매의 순환 경로를 바꿔줌으로써 증발기(12)의 성에를 제거하는 제상 운전을 실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상 운전시에는 단열상자(20) 내부의 공기유입구 도어(23)와 냉기토출구의 전방에 구비된 냉기토출구 도어(17)를 모두 닫아줌으로써 공기의 순환을 차단하고 제상열이 저장창고(10)의 내부로 발산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제상열로 인해 저장창고(10)의 내부 온도가 변화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로서, 증발기(12)와 응축기(11)를 상하 또는 앞뒤로 부착하여, 하나의 몸체로 구성하여 저장창고의 외부에 설치해도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설명된 대로의 구성과 작용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저장창고
11...응축기
12...증발기
13...송풍팬
14...냉매배관
15...배수관
17...냉기토출구 도어
20...단열상자
21...증발기 설치대
23...공기유입구 도어
24...점검도어
25...설치 프레임

Claims (7)

  1. 저장창고(10)의 상단 일측에서 저장창고(10)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저장창고(10)의 외부에 설치되는 단열상자(20);
    저장창고(10)의 외벽 상단에 설치되어 단열상자(20)를 지지하는 설치 프레임(25);
    저장창고(10)의 외부에 설치되는 응축기(11);
    단열상자(20)의 내부에 설치되고 응축기(11)와 냉매배관(14)으로 연결되어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12); 및
    단열상자(20)의 냉기토출구에 설치되어 증발기(12)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저장창고(10)로 송풍하는 송풍팬(13);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단열상자(20)는 증발기(12)가 설치되는 냉각부(20a) 및 저장창고(10)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부(20b)로 분할형성되고, 증발기 설치대(21)가 냉각부(20a)와 공기유입부(20b) 사이에 설치되며, 제상운전시 공기유입부(20b)로부터 냉각부(20a)로 공기가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공기유입구 도어(23)가 증발기 설치대(21)와 단열상자(20)의 내벽 사이에 설치되고,
    제상운전시 단열상자(20)의 냉기토출구를 닫는 냉기토출구 도어(17)가 단열상자(20)의 냉기토출구와 대응되는 저장창고(10)의 안쪽 부분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창고의 냉각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증발기(12)의 하부에 고이는 응축수 및 제상 운전시 발생하는 제상수를 단열상자(20)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일측 단부는 증발기(12)의 하부에 연통되고 타측 단부는 단열상자(20)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배수관(1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창고의 냉각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공기유입부(20b)는 냉각부(20a)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창고의 냉각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90164559A 2019-12-11 2019-12-11 저장창고의 냉각시스템 KR102257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559A KR102257114B1 (ko) 2019-12-11 2019-12-11 저장창고의 냉각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559A KR102257114B1 (ko) 2019-12-11 2019-12-11 저장창고의 냉각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7114B1 true KR102257114B1 (ko) 2021-05-27

Family

ID=76135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4559A KR102257114B1 (ko) 2019-12-11 2019-12-11 저장창고의 냉각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7114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6878U (ko) * 1985-03-19 1986-09-29
JP2607298B2 (ja) * 1990-04-09 1997-05-07 日本電装株式会社 空気冷却装置
KR20010035165A (ko) * 2001-01-09 2001-05-07 권오영 농산물 저온저장고용 일체형냉동기
KR20040035346A (ko) 2002-10-22 2004-04-29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농산물의 저장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고습도 저온 저장고
KR200424133Y1 (ko) 2006-05-24 2006-08-16 주식회사 농산이십이세기 저장고의 공기순환구조
KR100951628B1 (ko) 2009-09-02 2010-04-09 (주) 지에스이엔지 농산물 저장창고
KR20180049319A (ko) 2016-10-31 2018-05-11 손창규 저온저장고용 공기조화시스템
KR101993089B1 (ko) * 2018-05-15 2019-06-25 박기춘 제상기능이 구비된 냉장고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6878U (ko) * 1985-03-19 1986-09-29
JP2607298B2 (ja) * 1990-04-09 1997-05-07 日本電装株式会社 空気冷却装置
KR20010035165A (ko) * 2001-01-09 2001-05-07 권오영 농산물 저온저장고용 일체형냉동기
KR20040035346A (ko) 2002-10-22 2004-04-29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농산물의 저장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고습도 저온 저장고
KR200424133Y1 (ko) 2006-05-24 2006-08-16 주식회사 농산이십이세기 저장고의 공기순환구조
KR100951628B1 (ko) 2009-09-02 2010-04-09 (주) 지에스이엔지 농산물 저장창고
KR20180049319A (ko) 2016-10-31 2018-05-11 손창규 저온저장고용 공기조화시스템
KR101993089B1 (ko) * 2018-05-15 2019-06-25 박기춘 제상기능이 구비된 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06571A1 (zh) 风冷冰箱及其除湿方法
US20080178621A1 (en) Refrigerator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JP2009121803A (ja) 冷蔵庫
JP2006266585A (ja) 冷蔵庫
KR100560561B1 (ko) 연속 운전식 쇼케이스
JP5363247B2 (ja) 冷蔵庫
JP6803217B2 (ja) 冷蔵庫
JPH11311473A (ja) 冷蔵庫の制御方法
KR101330936B1 (ko) 냉장고
KR102257114B1 (ko) 저장창고의 냉각시스템
JP3049425B2 (ja) 2つの蒸発器を備えた冷蔵庫
KR101570763B1 (ko) 저온 및 냉동 저장이 가능한 농수산물 건조장치
KR20160148337A (ko) 냉장고의 제빙덕트 및 상기 제빙덕트를 이용한 제빙방법
KR100633149B1 (ko) 냉장고
KR20100050350A (ko) 냉장고
KR20030081927A (ko) 냉장 쇼케이스
US2722809A (en) Refrigerator
JPH08303918A (ja) 低温ショーケース
JP2004092939A (ja) 冷凍冷蔵庫
KR100597302B1 (ko) 냉장고
KR101659011B1 (ko) 냉장고
JP3600009B2 (ja) 冷蔵庫の制御方法
JP5308241B2 (ja) 冷却貯蔵庫
JP2002090025A (ja) 冷蔵庫
WO2023223429A1 (ja) 冷凍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