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7065B1 - 자동 세차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세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7065B1
KR102257065B1 KR1020200120515A KR20200120515A KR102257065B1 KR 102257065 B1 KR102257065 B1 KR 102257065B1 KR 1020200120515 A KR1020200120515 A KR 1020200120515A KR 20200120515 A KR20200120515 A KR 20200120515A KR 102257065 B1 KR102257065 B1 KR 102257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frame
unit
accommodation space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0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석원
Original Assignee
양석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석원 filed Critical 양석원
Priority to KR1020200120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70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065B1/ko
Priority to PCT/KR2021/012508 priority patent/WO2022060054A1/ko
Priority to US18/022,674 priority patent/US20230322189A1/en
Priority to JP2023512753A priority patent/JP2023542617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4Cleaning by means of spray elements moving over the surface to be clea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02Vehicle dry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차량 수용 공간부를 마련하며, 가이드 프레임이 구비된 프레임 모듈부;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차량 수용 공간부 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송풍부가 구비된 이동 모듈부; 및 상기 이동 모듈부에 구비된 로터부에 결합되며, 상기 차량 수용 공간부로 진입한 차량에 대해 세척 작업을 진행하는 세차 모듈부를 포함하며, 상기 세차 모듈부는 상기 로터부의 수직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이루어진 것인 자동 세차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 세차장치{AUTOMATIC CAR WASHING DEVICE}
본 발명은 자동 세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 자동 세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자동으로 세차하는 자동 세차장치는 회전 브러쉬가 차체의 표면을 따라 회전 이동하면서 세차를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자동 세차장치는 크게 터널식 타입과 이동식 타입이 있다.
그러나 터널식 또는 이동식 자동 세차장치는 설치공간을 크게 차지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터널식 또는 이동식 자동 세차장치는 구성도 복잡하여 초기 설치비용이 크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터널식 또는 이동식 자동 세차장치는 회전 브러쉬가 차량의 표면에 직접적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세차 작업이 이루어지기에, 차량 표면에 흠집이 발생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문제로 인해 고압의 세척수 및 세제수를 분사하여 세차를 수행하는 노브러시형 자동 세차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노브러시형 자동 세차장치는 구조가 복잡하여 설치 비용이 크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노브러시형 자동 세차장치는 차량의 양측면에 대해 세척을 진행하는 2개의 측면 세척부와, 차량의 상부면에 대해 세척을 진행하는 상부 세척부가 각각 구비되어야 하기에, 구조가 복잡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심플한 구조를 갖는 노브러쉬형 자동 세차장치에 대한 다양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선행문헌 1 :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2-0046381호(2012.05.10)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 자동 세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차량 수용 공간부를 마련하며, 가이드 프레임이 구비된 프레임 모듈부;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차량 수용 공간부 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송풍부가 구비된 이동 모듈부; 및 상기 이동 모듈부에 구비된 로터부에 결합되며, 상기 차량 수용 공간부로 진입한 차량에 대해 세척 작업을 진행하는 세차 모듈부를 포함하며, 상기 세차 모듈부는 상기 로터부의 수직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이루어진 것인 자동 세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모듈부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차량 수용 공간부를 형성하는 전방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을 가지는 메인 프레임; 상기 전방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을 연결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전방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을 연결하며, 상기 이동 모듈부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프레임; 상기 전방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후방 프레임 측으로 돌출된 전방 브라켓; 상기 후방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전방 프레임 측으로 돌출된 후방 브라켓; 상기 전방 브라켓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 수용 공간부로 진입하는 차량의 주차 위치를 안내하는 주차 센서부; 상기 주차 센서부로부터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전방 브라켓에 설치되는 전방 센서부; 및 상기 후방 브라켓에 설치되는 후방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 모듈부는, 내부에 설치 공간부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설치 공간부에 구비되는 송풍부; 상기 설치 공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세차 모듈부를 회전시키는 로터부; 상기 케이싱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부; 상기 케이싱의 중앙 후부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차량 수용 공간부로 진입한 차량의 주차 위치를 감지하는 차량 위치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차 모듈부는, 상기 로터부에 결합되는 수평 분사암; 미리 정해진 각도를 이루되, 일단부는 상기 수평 분사암의 단부에 연결되는 연결 분사암; 및 상기 연결 분사암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수직 분사암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 분사암, 연결 분사암 및 수직 분사암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는 복수개의 분사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 수용 공간부로 진입하는 차량의 폭 방향에 대한 주차 위치를 안내하는 진입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량 수용 공간부의 바닥면에는 저면 세척 분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세차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차 모듈부는 이동 모듈부에 구비된 로터부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자동 세차장치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차량 외관을 효과적으로 세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세차장치는 하나의 세차 모듈부만으로도 차량의 전외관을 효과적으로 세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자동 세차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자동 세차장치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세차 모듈부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부와 하부는 대상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반드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자동 세차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자동 세차장치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세차 모듈부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동 세차장치(1000)는 프레임 모듈부(100), 이동 모듈부(200) 및 세차 모듈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 모듈부(100)는 자동 세차장치(1000)의 뼈대를 이룬다.
이러한 프레임 모듈부(100)는 메인 프레임(110), 지지 프레임(120), 가이드 프레임(130), 전방 브라켓(140), 후방 브라켓(150), 주차 센서부(160), 전방 센서부(170) 및 후방 센서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프레임(110)은 전방 프레임(111)과 후방 프레임(112)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전방 프레임(111)과 후방 프레임(112)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며, 차량 수용 공간부(101)를 마련하게 된다.
그리고 지지 프레임(120)은 전방 프레임(111)과 후방 프레임(112)을 연결하며, 메인 프레임(110)과 함께 프레임 모듈부(100)의 뼈대를 이룬다. 이러한 지지 프레임(120)은 전방 프레임(111)과 후방 프레임(112)을 지지 고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지지 프레임(120)의 개수는 본 발명에서 2개인 형태를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지지 프레임(120)의 개수는 다양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프레임(130)은 지지 프레임(120)과 같이 전방 프레임(111)과 후방 프레임(112)을 연결하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 프레임(130)은 이동 모듈부(200)에 구비된 롤러부(240)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게 된다. 여기서 가이드 프레임(130)에는 롤러부(240)의 안정적인 이동을 위한 안내홈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안내홈은 롤러부(240)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킴은 물론 롤러부(240)의 이탈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전방 브라켓(140)은 전방 프레임(111)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전방 브라켓(140)은 후방 프레임(112) 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전방 브라켓(140)에는 주차 센서부(160)와 전방 센서부(170)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주차 센서부(160)는 차량 세차를 위해 차량 수용 공간부(101)로 진입한 차량의 주차 위치를 안내하게 된다. 이와 같은 주차 센서부(160)는 예를 들어, 발광부와 수광부가 한 쌍을 이룬 상태에서 차량 수용 공간부(101)로 진입한 차량의 주차 위치를 안내하게 된다. 즉, 차량 이용자는 주차 센서부(160)에 의해 감지되는 지점에 해당 차량을 주차시키면 된다.
이때, 주차 센서부(160)에 의해 감지된 상태 정보는 예를 들어, 컬러 표시등을 통해 차량 이용자에게 해당 차량의 위치 정보를 제공해 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차 센서부(160)에 의해 차량이 감지된 경우, 컬러 표시등에는 녹색등이 켜질 수 있다.
그리고 전방 센서부(170)는 주차 센서부(160)와 이격 배치된다.
이러한 전방 센서부(170)는 주차 센서부(160) 보다 전방 프레임(111)에 가까이 배치된다. 여기서 전방 센서부(170)는 주차 센서부(160)와 같이 발광부와 수광부가 한 쌍을 이룬 상태에서 차량 수용 공간부(101)로 진입한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전방 센서부(170)는 차량 수용 공간부(101)로 진입하는 차량의 전부측이 넘지 말아야 되는 한계 지점을 감지하게 된다. 여기서 차량이 전진을 하며 차량 수용 공간부(101)로 진입하는 경우, 전방 센서부(170)에 의해 감지되는 부분은 차량의 앞범퍼 부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이 전방 센서부(170)에 의해 감지되는 경우, 컬러 표시등에는 예를 들어 빨간색등이 켜질 수도 있다. 이에, 차량 이용자는 컬러 표시등을 확인하며, 세차시 요구되는 정확한 세차 위치에 차량을 주차시킬 수 있다.
그리고 후방 센서부(180)는 후방 프레임(112)으로부터 돌출된 후방 브라켓(150)에 설치된다. 여기서 후방 브라켓(150)은 전방 프레임(111) 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후방 센서부(180)는 전방 센서부(170)와 같이, 차량 수용 공간부(101)로 진입하는 차량의 후부측이 넘지 말아야 되는 한계 지점을 감지하게 된다. 여기서 차량의 후부측은 예를 들어 차량의 뒷범퍼 부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이 후방 센서부(180)에 의해 감지되는 경우, 컬러 표시등에는 예를 들어 빨간색등이 켜질 수도 있다. 즉, 전방 센서부(170), 주차 센서부(160) 및 후방 센서부(180)는 세차를 위한 차량의 정확한 세차 위치 정보를 차량 이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전방 센서부(170), 주차 센서부(160) 및 후방 센서부(180)는 자동 세차장치(1000)의 길이 방향에 대한 차량의 세차위치를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자동 세차장치(1000)에는 진입 가이드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진입 가이드부(400)는 차량 수용 공간부(101)로 진입하는 차량의 폭 방향에 대한 주차 위치를 안내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차량 수용 공간부(101)로 진입하는 차량은 앞서 설명된 3개의 센서부와 진입 가이드부(400)에 의해 요구되는 세차위치에 주차될 수 있다.
한편, 차량 수용 공간부(101)가 위치된 바닥면에는 저면 세척 분사부(4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저면 세척 분사부(410)는 홀 형태를 이루며, 차량의 하부측과 휠 부분으로 세척수 또는 세척액 등을 분사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세차를 하기 위해 차량 수용 공간부(101) 내로 진입하는 차량은 저면 세척 분사부(410)에 의해 차량의 하부측과 휠 부분에 대해서도 자동 세차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이동 모듈부(200)는 프레임 모듈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동 모듈부(200)는 케이싱(210), 송풍부(220), 로터부(230), 롤러부(240), 연장부(250) 및 차량 위치 센서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싱(210)은 이동 모듈부(200)의 외형을 이룬다.
이러한 케이싱(210)의 내부에는 설치 공간부(211)가 형성되며, 설치 공간부(211)에는 송풍부(220) 및 로터부(23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송풍부(220)는 설치 공간부(211)에 구비된다. 이와 같은 송풍부(220)는 예를 들어, 세척 및 세정 작업이 완료된 차량의 외관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차량의 세척 및 세정 작업 과정에서 차량의 외관에 존재하는 물기는 송풍부(220)로부터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모듈부(200)가 프레임 모듈부(100)의 전부에서 후부측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송풍부(220)가 차량의 외관에 존재하는 물기를 전체적으로 제거함에 있어, 송풍부(220)로부터 분사되는 공기의 배출 방향은 수직 방향이 아닌 일정의 경사를 이룬 상태로 공기 분사가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는, 차량에 잔존하는 물기를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이러한 송풍부(220)는 차량의 외관을 건조시키는 작업 이외에, 세차 모듈부(300)가 세척수 및 세정액 등을 분사할 시, 분사되는 세척수 및 세정액 등의 압력 세기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로터부(230)는 설치 공간부(211)에 구비된다. 이러한 로터부(230)는 세차 모듈부(300)를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세차 모듈부(300)는 로터부(230)를 기준으로 360°로 선택적인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세차 모듈부(300)는 로터부(230)의 회전을 통해 차량의 양측면과 차량의 전, 후면 등 차량의 전체적인 외관에 대한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 모듈부(200)는 프레임 모듈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선택적인 이동이 가능하고, 세차 모듈부(300)는 이동 모듈부(200)를 기준으로 선택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자동 세차장치(1000)는 차량 수용 공간부(101)에 위치하는 차량의 전체 외관에 대한 세척 작업이 가능하다.
여기서 케이싱(210)의 양측에는 롤러부(240)가 구비되어 이동 모듈부(200)는 프레임 모듈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부(250)는 케이싱(210)의 후부로부터 연장되되, 케이싱(21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부(250)의 단부에는 차량 위치 센서부(2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위치 센서부(260)는 차량 수용 공간부(101)로 진입한 차량의 후미부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차량 위치 센서부(260)는 예를 들어 거리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차량 위치 센서부(260)로부터 측정되는 측정 거리가 기 설정된 예를 들어 차량이 존재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바닥면으로부터 차량 위치 센서부까지의 거리가 측정되는 경우, 차량 위치 센서부(260)는 해당 지점이 차량의 후미부인 것으로 차량의 위치를 감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차량 위치 센서부(260)는 다양한 전장 길이를 가지는 다양한 차량에 대해 해당 차량에 맞는 세척 작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차량 후미부의 위치를 정확히 측정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세차 모듈부(300)는 차량 수용 공간부(101)로 진입한 차량에 대해 세척 작업을 진행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세차 모듈부(300)는 수평 분사암(310), 연결 분사암(320) 및 수직 분사암(3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평 분사암(310), 연결 분사암(320) 및 수직 분사암(330)은 서로 연결 형성되며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수평 분사암(310)의 일단부는 로터부(230)와 결합된다. 이러한 로터부(230)는 이동 모듈부(200)의 폭 방향에 대해 중앙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로터부(230)에 결합된 수평 분사암(310)는 로터부(230)의 회전에 의해 로터부(230)의 수직축을 기준으로 360°의 회전 범위에서 선택적인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수평 분사암(310)에는 수평 분사암(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는 복수개의 제1 분사홀(3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분사홀(311)은 차량을 향해 세척수, 세정액 및 발수 코팅액 등을 분사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 분사홀(311)은 차량 외관의 상부측 즉, 차량의 루프, 본네트, 트렁크 등에 대한 세차 작업을 진행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연결 분사암(320)의 일단부는 수평 분사암(310)의 타단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연결 분사암(320)은 수평 분사암(310)으로부터 일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결 형성된다. 이와 같은 연결 분사암(320)에는 연결 분사암(3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는 복수개의 제2 분사홀(3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분사홀(321)은 차량을 향해 세척수, 세정액 및 발수 코팅액 등을 분사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2 분사홀(321)은 차량 외관의 상부측과 측면측의 연결 부위에 대한 세차 작업을 진행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수직 분사암(330)의 일단부는 연결 분사암(320)의 타단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수직 분사암(330)은 수직 분사암(3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는 복수개의 제3 분사홀(3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3 분사홀(331)은 차량 외관의 측면측 즉, 차량의 도어 등에 대한 세차 작업을 진행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자동 세차장치(1000)의 작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차량이 차량 수용 공간부(101)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저면 세척 분사부(410)는 차량의 하부측과 휠 부분으로 세척수 또는 세척액 등을 분사하여 차량의 하부측에 대한 세차 작업을 진행한다.
다음으로, 세차 모듈부(300)는 이동 모듈부(200)와 함께 프레임 모듈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됨과 동시에, 이동 모듈부(200)로부터 회전되며 차량 외관에 대한 세차 작업을 단계별로 진행하게 된다.
예를들어, 1단계 세차 작업은 차량의 전체 외관에 대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단계일 수 있다.
그리고 2단계 세차 작업은 차량의 전체 외관에 대해 세척액을 분사하는 단계일 수 있다. 즉, 2단계 세차 작업은 버블펌 워시 작업을 통해 차량의 외관에 묻어 있는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단계일 수 있다.
그리고 3단계 세차 작업은 차량의 전체 외관에 대해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3단계 세차 작업에서는 차량 외관에 존재하는 세척액을 비롯한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4단계 세차 작업은 차량의 전체 외관에 대해 발수 코팅액을 분사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세차 모듈부(300)는 각 단계별로 세척수, 세정액 및 발수 코팅액 등을 선택적으로 분사하며, 차량의 세차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여기서 세차 모듈부(300)의 단계별 세차 작업은 상기에서 언급한 단계로만 세차 작업이 이루어져야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단계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마지막으로, 송풍부(220)는 세척 및 세정 작업이 완료된 차량의 외관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며, 차량의 외관에 존재하는 물기를 제거하게 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 범위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프레임 모듈부
101: 차량 수용 공간부
110: 메인 프레임
111: 전방 프레임
112: 후방 프레임
120: 지지 프레임
130: 가이드 프레임
140: 전방 브라켓
150: 후방 브라켓
160: 주차 센서부
170: 전방 센서부
180: 후방 센서부
200: 이동 모듈부
210: 케이싱
211: 설치 공간부
220: 송풍부
230: 로터부
240: 롤러부
250: 연장부
260: 차량 위치 센서부
300: 세차 모듈부
310: 수평 분사암
311: 제1 분사홀
320: 연결 분사암
321: 제2 분사홀
330: 수직 분사암
331: 제3 분사홀
400: 진입 가이드부
410: 저면 세척 분사부
1000: 자동 세차장치

Claims (5)

  1. 차량 수용 공간부를 마련하며, 가이드 프레임이 구비된 프레임 모듈부;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차량 수용 공간부 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송풍부가 구비된 이동 모듈부;
    상기 이동 모듈부에 구비된 로터부에 결합되며, 상기 차량 수용 공간부로 진입한 차량에 대해 세척 작업을 진행하는 세차 모듈부; 및
    상기 차량 수용 공간부로 진입하는 차량의 폭 방향에 대한 주차 위치 안내를 위한 진입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세차 모듈부는 상기 로터부의 수직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 모듈부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차량 수용 공간부를 형성하는 전방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을 가지는 메인 프레임;
    상기 전방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을 연결하며, 상기 이동 모듈부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프레임;
    상기 전방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후방 프레임 측으로 돌출된 전방 브라켓;
    상기 후방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전방 프레임 측으로 돌출된 후방 브라켓;
    상기 전방 브라켓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 수용 공간부로 진입하는 차량의 주차 위치를 안내하는 주차 센서부;
    상기 전방 브라켓에 설치되되, 상기 주차 센서부보다 상기 전방 프레임에 근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차량 수용 공간부로 진입하는 차량의 전부측이 넘지 말아야 되는 한계 지점을 감지하고, 차량이 감지되는 경우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전방 센서부; 및
    상기 후방 브라켓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 수용 공간부로 진입하는 차량의 후부측이 넘지 말아야 되는 한계 지점을 감지하고, 차량이 감지되는 경우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후방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모듈부는,
    내부에 설치 공간부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설치 공간부에 구비되며, 차량의 외관 건조를 위한 공기 분사 동작, 및 상기 세차 모듈부가 세척수 및 세정액을 분사할 시, 분사되는 세척수 및 세정액의 압력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송풍부;
    상기 설치 공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세차 모듈부를 회전시키는 로터부;
    상기 케이싱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부;
    상기 케이싱의 중앙 후부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차량 수용 공간부로 진입한 차량의 후미부 위치를 감지하는 차량 위치 센서부를 포함하는, 자동 세차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차 모듈부는,
    상기 로터부에 결합되는 수평 분사암;
    미리 정해진 각도를 이루되, 일단부는 상기 수평 분사암의 단부에 연결되는 연결 분사암; 및
    상기 연결 분사암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수직 분사암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 분사암, 연결 분사암 및 수직 분사암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는 복수개의 분사홀이 형성된 것인 자동 세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수용 공간부의 바닥면에는 저면 세척 분사부가 구비된 것인 자동 세차장치.
KR1020200120515A 2020-09-18 2020-09-18 자동 세차장치 KR102257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515A KR102257065B1 (ko) 2020-09-18 2020-09-18 자동 세차장치
PCT/KR2021/012508 WO2022060054A1 (ko) 2020-09-18 2021-09-14 자동 세차장치
US18/022,674 US20230322189A1 (en) 2020-09-18 2021-09-14 Automatic car washing apparatus
JP2023512753A JP2023542617A (ja) 2020-09-18 2021-09-14 自動洗車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515A KR102257065B1 (ko) 2020-09-18 2020-09-18 자동 세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7065B1 true KR102257065B1 (ko) 2021-05-26

Family

ID=76137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0515A KR102257065B1 (ko) 2020-09-18 2020-09-18 자동 세차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322189A1 (ko)
JP (1) JP2023542617A (ko)
KR (1) KR102257065B1 (ko)
WO (1) WO2022060054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97906A (zh) * 2021-10-22 2022-02-01 南京易自助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化自动洗车机器人
WO2022060054A1 (ko) * 2020-09-18 2022-03-24 양석원 자동 세차장치
KR102406539B1 (ko) 2021-10-13 2022-06-07 김정수 이중노즐라인을 갖는 차량용 노브러쉬 자동세차장치
KR102591272B1 (ko) 2023-07-27 2023-10-19 유한회사명지엔지니어링 세차 부스의 결빙을 방지할 수 있는 노 브러시 자동세차시스템
KR102619238B1 (ko) 2023-07-27 2023-12-29 유제영 충전 알람 및 자동주입 기능을 가지는 세정액 공급장치
KR102619240B1 (ko) 2023-07-27 2023-12-29 유충범 바닥 결빙을 방지할 수 있는 노 브러시 자동세차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15222A1 (en) * 2000-05-08 2003-01-23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Touch-free loading system for an in-bay, automatic vehicle wash system
JP2010064700A (ja) * 2008-09-12 2010-03-25 Abetec Kk 自動・手動選択式洗車装置
KR20110007338U (ko) * 2011-06-14 2011-07-25 삼양철강 (주) 자동차 세차장치
KR20120046381A (ko) 2010-11-02 2012-05-10 (주)선농 자동 세차장치
JP2014148179A (ja) * 2013-01-31 2014-08-21 Mk Seiko Co Ltd 洗車装置
KR101706039B1 (ko) * 2016-08-29 2017-02-15 주식회사 한성브라보 노브러쉬 세차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065B1 (ko) * 2020-09-18 2021-05-26 양석원 자동 세차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15222A1 (en) * 2000-05-08 2003-01-23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Touch-free loading system for an in-bay, automatic vehicle wash system
JP2010064700A (ja) * 2008-09-12 2010-03-25 Abetec Kk 自動・手動選択式洗車装置
KR20120046381A (ko) 2010-11-02 2012-05-10 (주)선농 자동 세차장치
KR20110007338U (ko) * 2011-06-14 2011-07-25 삼양철강 (주) 자동차 세차장치
JP2014148179A (ja) * 2013-01-31 2014-08-21 Mk Seiko Co Ltd 洗車装置
KR101706039B1 (ko) * 2016-08-29 2017-02-15 주식회사 한성브라보 노브러쉬 세차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0054A1 (ko) * 2020-09-18 2022-03-24 양석원 자동 세차장치
KR102406539B1 (ko) 2021-10-13 2022-06-07 김정수 이중노즐라인을 갖는 차량용 노브러쉬 자동세차장치
CN113997906A (zh) * 2021-10-22 2022-02-01 南京易自助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化自动洗车机器人
CN113997906B (zh) * 2021-10-22 2023-09-26 南京易自助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化自动洗车机器人
KR102591272B1 (ko) 2023-07-27 2023-10-19 유한회사명지엔지니어링 세차 부스의 결빙을 방지할 수 있는 노 브러시 자동세차시스템
KR102619238B1 (ko) 2023-07-27 2023-12-29 유제영 충전 알람 및 자동주입 기능을 가지는 세정액 공급장치
KR102619240B1 (ko) 2023-07-27 2023-12-29 유충범 바닥 결빙을 방지할 수 있는 노 브러시 자동세차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42617A (ja) 2023-10-11
US20230322189A1 (en) 2023-10-12
WO2022060054A1 (ko) 2022-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7065B1 (ko) 자동 세차장치
ES2252226T3 (es) Sistema de carga sin contacto para un sitema de lavado automatico de vehiculos en un recinto.
US8539968B2 (en) Car wash system with lighted spray arms and method of making same
AU2001257531A2 (en) Touch free loading system for an automatic in-bay vehicle wash system
AU2001257531A1 (en) Touch free loading system for an automatic in-bay vehicle wash system
JP5747829B2 (ja) 洗車機
KR101871750B1 (ko) 자동 세차기
US10830576B2 (en) Unit for detecting geometric characteristics of a component of a tired wheel of a vehicle
ES2332156T3 (es) Portico de lavado para una instalacion de lavado de automoviles.
JP2010064700A (ja) 自動・手動選択式洗車装置
CN115479727A (zh) 一种汽车led灯成品质量检测设备及其检测方法
ES2924050T3 (es) Sistema de tratamiento de vehículos y procedimiento de funcionamiento
JP6944752B2 (ja) 洗浄装置
KR101841690B1 (ko) 차량 진입방식의 자동 세차기 및 이를 이용한 세차방법
JP7310755B2 (ja) 洗車機
KR102025693B1 (ko) 세륜기를 포함하는 세차장치
JP7056601B2 (ja) 洗車機
KR100646830B1 (ko) 자동차 하부 세척장치
JP2018103919A (ja) 洗車装置
JP2020100218A (ja) 洗車機
FI124702B (fi) Ajoneuvon kuivauslaite ja menetelmä ajoneuvon kuivaamiseksi
CN116811798A (zh) 一种清洁方法及洗车机
JP6015621B2 (ja) 洗車機及び洗車場
JP2016199248A (ja) 洗車機及び洗車方法
JP2022185469A (ja) 車両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