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5693B1 - 세륜기를 포함하는 세차장치 - Google Patents

세륜기를 포함하는 세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5693B1
KR102025693B1 KR1020190071485A KR20190071485A KR102025693B1 KR 102025693 B1 KR102025693 B1 KR 102025693B1 KR 1020190071485 A KR1020190071485 A KR 1020190071485A KR 20190071485 A KR20190071485 A KR 20190071485A KR 102025693 B1 KR102025693 B1 KR 102025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vehicle
car wash
water tank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1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희
김희성
안종철
Original Assignee
엔트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트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트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1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56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5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5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05B12/12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responsive to presence or shape of targ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08B5/023Cleaning travelling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세륜기를 포함하는 세차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세륜기를 포함하는 세차장치는 바닥부 및 세차실을 제공하는 터널부를 포함하는 세차터널; 상기 바닥부에 설치되고, 제1 차량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차량감지센서가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면 진입한 차량의 차륜을 세척하도록 구성된 세륜기; 상기 세차터널의 외부 일측에 구비되고, 세척수가 저장된 세척수수조; 상기 터널부의 내부의 좌우측에서 상기 터널부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고, 수조연결관을 통해 상기 세척수수조와 연결되어 상기 세척수수조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고, 상기 세차실로 진입한 차량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한 쌍의 제1 세척수분사관; 상기 수조연결관 상에 설치되되 상기 세척수수조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세척수수조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여 상기 한 쌍의 제1 세척수분사관에 공급하는 제1 펌프; 상기 세륜기 및 상기 한 쌍의 제1 세척수분사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세륜기를 통과 후 상기 한 쌍의 제1 세척수분사관에 근접하게 진입하는 차량을 감지하기 위한 제2 차량감지센서; 및 상기 세차터널의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차량감지센서 및 상기 제2 차량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차량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세륜기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2 차량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 펌프를 작동시키는 콘트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륜기를 포함하는 세차장치{CAR WASH DEVICE INCLUDING TIRE WASHER}
본 발명은 세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차체 및 하부 세차가 동시 가능한 세륜기를 포함하는 세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세차는 진입된 차량을 저속 이동시키면서 살수, 브러쉬의 회전에 의한 세차, 헹굼살수, 강풍에 의한 건조를 수행한 후 출고시키는 고정식과, 진입된 차량을 정위치에 고정시키고 세차장치가 전후로 이동하며 살수, 브러쉬의 회전에 의한 세차, 헹굼살수, 강풍에 의한 건조를 수행한 후 출고시키는 이동식으로 대별되며, 이들은 공통적으로 일정공간을 확보하여 세차장치를 설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세차장치는 차량의 하부를 세차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하지 않으므로 차량의 하부 세차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세차장치는 차량의 천정을 세차하기 위한 부분이 존재한다. 그런데 그 높이의 조절이 자유롭지 못하여 대형 차량의 세차에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82938호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의 차륜 및 차량의 차체를 동시에 세척할 수 있도록 한 세륜기를 포함하는 세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른 목적으로, 소형 및 대형 차량의 진입에 간섭 없이 차량의 천정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한 세륜기를 포함하는 세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륜기를 포함하는 세차장치는 바닥부 및 세차실을 제공하는 터널부를 포함하는 세차터널; 상기 바닥부에 설치되고, 제1 차량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차량감지센서가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면 진입한 차량의 차륜을 세척하도록 구성된 세륜기; 상기 세차터널의 외부 일측에 구비되고, 세척수가 저장된 세척수수조; 상기 터널부의 내부의 좌우측에서 상기 터널부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고, 수조연결관을 통해 상기 세척수수조와 연결되어 상기 세척수수조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고, 상기 세차실로 진입한 차량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한 쌍의 제1 세척수분사관; 상기 수조연결관 상에 설치되되 상기 세척수수조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세척수수조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여 상기 한 쌍의 제1 세척수분사관에 공급하는 제1 펌프; 상기 세륜기 및 상기 한 쌍의 제1 세척수분사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세륜기를 통과 후 상기 한 쌍의 제1 세척수분사관에 근접하게 진입하는 차량을 감지하기 위한 제2 차량감지센서; 및 상기 세차터널의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차량감지센서 및 상기 제2 차량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차량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세륜기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2 차량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 펌프를 작동시키는 콘트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륜기를 포함하는 세차장치는 상기 터널부의 내부의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세척수수조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터널부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조연결부, 상기 수조연결부의 상단에 연결되되 상기 수조연결부의 길이방향과 수직하여 상기 터널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 및 상기 수평연장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수평연장부로 공급된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제2 분사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분사노즐을 통해 세척수를 마주하는 방향을 향해 분사하는 제2 세척수분사관; 상기 수조연결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세척수수조에 저장된 세척수를 펌핑하여 상기 제2 세척수분사관으로 공급하며, 상기 제2 차량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가 콘트롤부로 입력되면 콘트롤부에 의해 구동되는 제2 펌프; 상기 터널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2 세척수분사관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제2 분사노즐과 마주하는 길이를 갖고, 상기 제2 세척수분사관과 마주하는 면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상기 세척수가 충돌하면 세척수를 분무 형태로 분산시키는 세척수분산돌기가 구비되는 세척수충돌판; 상기 세척수충돌판에 연결되되 상기 세척수충돌판의 상기 세척수분산돌기가 형성된 면에 대해 예각으로 배치되며, 상기 세척수충돌판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송풍기설치판; 및 상기 송풍기설치판에 설치되는 다수의 송풍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세척수분사관의 상기 수평연장부 및 복수의 제2 분사노즐과 상기 세척수충돌판, 상기 송풍기설치판 및 상기 다수의 송풍기는 상기 터널부 내로 진입한 차량의 천정보다 높게 위치하는 높이에 배치되고, 그 높이에서 상기 다수의 송풍기는 차량의 천정을 향해 송풍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송풍기설치판에 연결되어 상기 송풍기설치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1 높이조절장치; 및 상기 제2 세척수분사관에 연결되어 상기 수평연장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2 높이조절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륜기를 포함하는 세차장치에 의하면, 차량의 차륜 및 차량의 차체를 동시에 세척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차륜 및 차체에 묻은 이물질 및 오염물질을 동시 제거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소형 및 대형 차량의 진입에 간섭 없이 차량의 천정을 세척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륜기를 포함하는 세차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차장치를 정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륜기를 포함하는 세차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세차장치를 정면에서 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륜기를 포함하는세차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륜기를 포함하는 세차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차장치를 정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륜기를 포함하는 세차장치는 세차터널(110), 제1 차량감지센서(미도시)를 포함하는 세륜기(120), 세척수수조(130), 한 쌍의 제1 세척수분사관(140), 제1 펌프(150), 제2 차량감지센서(160) 및 콘트롤부(170)를 포함한다.
세차터널(110)은 바닥부(111) 및 세차실을 제공하는 터널부(112)를 포함한다. 터널부(112)는 바닥부(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측벽(1121) 및 제2 측벽(1122), 상기 제1 측벽(1121) 및 제2 측벽(1122)의 상단에 연결되는 천정부(1123)를 포함할 수 있다.
세륜기(120)는 세차터널(110)의 바닥부(111) 상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세륜기(120)는 세척용 물이 저장되는 세륜기수조, 세륜기수조가 설치되는 프레임, 프레임의 상측에 전, 후방에 차륜이 지지하면서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 롤러의 둘레에 설치되어 분사노즐을 통해 고압의 세척수를 여러 각도로 분사시키는 세척수배관, 세척수배관에 세륜기수조의 물을 공급하여 주는 세륜기제1 펌프, 세륜기수조의 저면에 설치되어 침전된 토사, 모래, 자갈 등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세륜기(120)는 상기 제1 차량감지센서를 통해 차량이 감지되면 구동된다.
세척수수조(130)는 세차터널(110)의 외부 일측에 구비되면, 세척수가 저장된다. 세척수수조(130)에 저장되는 세척수는 제1 펌프(150)를 통해 한 쌍의 제1 세척수분사관(140)으로 공급된다.
한 쌍의 제1 세척수분사관(140)은 터널부(112)의 내부의 좌우측에서 터널부(112)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다. 한 쌍의 제1 세척수분사관(140)은 수조연결관(10)을 통해 세척수수조(130)와 연결될 수 있고, 어느 하나는 터널부(112)의 제1 측벽(1121)측에 설치되고, 나머지 하나는 터널부(112)의 제2 측벽(1122)측에 설치된다. 한 쌍의 제1 세척수분사관(140)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1 분사노즐(141)이 구비된다.
제1 펌프(150)는 수조연결관(10) 상에 설치되되 세척수수조(130)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제1 펌프(150)는 세척수수조(130)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여 한 쌍의 제1 세척수분사관(140)에 공급한다.
제2 차량감지센서(160)는 세륜기(120) 및 한 쌍의 제1 세척수분사관(140)의 사이, 즉 세륜기(120)의 위치와 한 쌍의 제1 세척수분사관(140)의 위치 사이에 위치하며, 세륜기(120)를 통과 후 한 쌍의 제1 세척수분사관(140)에 근접하게 진입하는 차량을 감지한다. 제2 차량감지센서(160)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는 차량이 제2 차량감지센서(160)의 위치를 완전히 통과하면 비활성화된다.
콘트롤부(170)는 세차터널(110)의 외부에 구비되고, 제1 차량감지센서 및 제2 차량감지센서(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차량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세륜기(120)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2 차량감지센서(160)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 펌프(150)를 작동시킨다. 또한, 콘트롤부(170)는 제1 차량감지센서로부터 차량의 감지신호의 입력이 중단되면 세륜기(120)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제2 차량감지센서(160)로부터 차량의 감지신호의 입력이 중단되면 제1 펌프(15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륜기를 포함하는 세차장치를 이용한 세차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차량은 터널부(112)로 진입하여 바닥부(111) 상에 위치한다. 이때, 제1 차량감지센서가 진입된 차량을 감지한다.
제1 차량감지센서의 감지신호는 콘트롤부(170)로 입력되고, 콘트롤부(170)는 제1 차량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세륜기(120)를 작동시킨다.
이때, 차량의 앞 차륜이 세륜기(120)의 한 쌍의 롤러에 위치되고,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 한 쌍의 롤러가 회전 작동되고 세륜기제1 펌프가 작동되어서 차량의 앞 차륜이 회전되며, 세륜기수조 내의 세척수를 세척수배관에 공급하여, 차량의 앞 차륜이 세척된다.
이어서, 차륜을 세척한 세척수에 의해 하부로 낙하되는 분진, 먼지, 비산, 토사 등의 오물은 컨베이어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차륜이 세척된 차량은 전방으로 진행하며, 차량이 전방으로 진행되는 중에 제2 차량감지센서(160)는 차량이 한 쌍의 제1 세척수분사관(140) 방향으로 진입되는 것을 감지하고, 제2 차량감지센서(160)로부터 감지신호가 콘트롤부(170)로 입력된다.
이어서, 콘트롤부(170)는 제2 차량감지센서(160)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제1 펌프(150)를 구동시키고, 제1 펌프(150)는 세척수수조(130)에 저장된 세척수를 펌핑하여 한 쌍의 제1 세척수분사관(140)에 공급한다. 제1 세척수분사관(140)으로 공급된 세척수는 복수의 제1 분사노즐(141)을 통해 차량을 향해 분사되어 차량의 차체를 세척하게 된다.
차량의 차체가 세척되는 과정에서 차량이 제2 차량감지센서(160)의 위치를 통과하게 되면 제2 차량감지센서(160)는 감지신호의 출력이 중단되고, 콘트롤부(170)는 제2 차량감지센서(160)로부터의 감지신호의 입력이 중단되면 제1 펌프(150)의 구동을 멈춰서 차량의 차체의 세척 과정이 종료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륜기를 포함하는 세차장치를 이용하면 차량의 차륜 및 차량의 차체를 동시에 세척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차륜 및 차체에 묻은 이물질 및 오염물질을 동시 제거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륜기를 포함하는 세차장치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륜기를 포함하는 세차장치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륜기를 포함하는 세차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세차장치를 정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륜기를 포함하는 세차장치는 제2 세척수분사관(210), 제2 펌프(220), 세척수충돌판(230), 송풍기설치판(240), 다수의 송풍기(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세척수분사관(210)은 수조연결부(211), 수평연장부(212), 제2 분사노즐(213)을 포함할 수 있다.
수조연결부(211)는 터널부(112)의 내부의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될 수 있고, 일단이 세척수수조(130)와 연결되고 타단이 터널부(112)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 수조연결부(211)는 지면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수평관(2111) 및 수평관(2111)에 연결되고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관(2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관(2112)은 작은 직경의 관이 큰 직경의 관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이중관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수직관(2112)은 높이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수평연장부(212)는 수조연결부(211)의 상단에 연결되되 수조연결부(211)의 수직관(2112)의 길이방향과 수직하여 터널부(11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분사노즐(213)은 수평연장부(2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고, 수평연장부(212)로 공급된 세척수를 분사한다. 세척수는 제2 세척수분사관(210)의 위치에 마주하는 방향을 향해 분사된다.
제2 펌프(220)는 수조연결부(211) 상에 설치되어 세척수수조(130)에 저장된 세척수를 펌핑하여 제2 세척수분사관(210)으로 공급하며, 콘트롤부(170)에 의해 제어된다. 즉, 제2 펌프(220)는 제2 차량감지센서(160)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콘트롤부(170)에 의해 구동된다.
세척수충돌판(230)은 터널부(112)의 내부에서 제2 세척수분사관(210)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복수의 제2 분사노즐(213)과 마주하는 길이를 갖는다. 세척수충돌판(230)은 제2 세척수분사관(210)과 마주하는 면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세척수가 충돌하면 세척수를 분무 형태로 분산시키는 세척수분산돌기(231)가 구비된다. 세척수충돌판(230)은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중관 구조의 지지대(20)를 통해 바닥부(111) 위로 설치될 수 있다.
송풍기설치판(240)은 세척수충돌판(230)에 연결되되 세척수충돌판(230)의 세척수분산돌기(231)가 형성된 면에 대해 예각으로 배치되며, 세척수충돌판(230)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다.
다수의 송풍기(250)는 송풍기설치판(240)에 설치된다. 일 예로, 다수의 송풍기(250)는 송풍기설치판(240)에 송풍기(250) 설치를 위한 다수의 설치구멍(241)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구멍(241) 내에 송풍기(250)가 고정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세척수분사관(210)의 수평연장부(212) 및 복수의 제2 분사노즐(213)과, 세척수충돌판(230), 상기 송풍기설치판(240) 및 상기 다수의 송풍기(250)는 터널부(112) 내로 진입한 차량의 천정보다 높게 위치하는 높이에 배치되고, 그 높이에서 다수의 송풍기(250)는 차량의 천정을 향해 송풍한다.
한편, 송풍기설치판(240) 및 제2 세척수분사관(210)은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송풍기설치판(240)에는 제1 높이조절장치(261)가 연결되고, 제2 세척수분사관(210)에는 제2 높이조절장치(262)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높이조절장치(261)는 유압 또는 공압의 실린더장치일 수 있고, 피스톤로드가 세척수충돌판(230)의 배면에 연결되는 형태일 수 있다.
제2 높이조절장치(262)는 유압 또는 공압의 실린더장치일 수 있고, 피스톤로드가 제2 세척수분사관(210)의 수직관(2112)에 연결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륜기를 포함하는 세척장치에서 제2 세척수분사관(210), 세척수충돌판(230) 및 송풍기(250)에 차량의 천정부가 세척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세륜기(120)를 통해서 차륜이 세척된 차량은 전방으로 진행하며, 차량이 전방으로 진행되는 중에 제2 차량감지센서(160)는 차량이 한 쌍의 제1 세척수분사관(140) 방향으로 진입되는 것을 감지하고, 제2 차량감지센서(160)로부터 감지신호가 콘트롤부(170)로 입력된다.
이어서, 콘트롤부(170)는 제2 차량감지센서(160)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제1 펌프(150), 제2 펌프(220) 및 송풍기(250)를 구동시킨다.
제2 펌프(220)가 구동되면 제2 펌프(220)에 의해 세척수수조(130)에 저장된 세척수가 펌핑되어 제2 세척수분사관(210)의 수평연장부(212)를 향해 공급되고, 공급된 세척수는 수평연장부(212)에 구비되는 복수의 제2 분사노즐(213)을 통해 세척수충돌판(230)을 향해 분사된다.
세척수충돌판(230)을 향해 분사되는 세척수는 세척수충돌판(230)의 세척수분산돌기(231)들에 충돌되면서 분무 형태로 분사된다.
이때, 분산되는 세척수는 다수의 송풍기(250)에 의한 송풍에 의해 차량의 천정 방향으로 강제로 보내져서 차량의 천정에 세척수가 공급된다. 이와 함께 송풍기(250)는 차량의 천정을 향해 송풍하므로 천정으로 공급된 세척수는 송풍에 의해 차량의 천정에서 이물질과 함께 지면 방향으로 낙하된다.
이와 같이, 세척수를 분산시켜서 분산되는 세척수를 송풍에 의해 차량의 천정으로 공급하는 과정 및 차량의 천정에 공급된 세척수를 송풍을 통해 이물질과 함께 차량의 천정에서 지면 방향으로 낙하되는 과정이 세척수가 펌핑되는 시간 동안 지속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륜기를 포함하는 세차장치는 차량이 진입하는 터널부(112)의 내부의 상측 가운데에 차량의 진입을 방해하는 배관이 위치하지 않으므로 소형 및 대형 차량의 진입에 간섭이 없고, 터널부(112)의 좌, 우측에 위치하는 제2 세척수분사관(210) 및 세척수충돌판(230), 송풍기(250)를 통해 차량의 천정을 세척할 수 있으므로 소형 및 대형 차량의 진입에 간섭 없이 차량의 천정을 세척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륜기를 포함하는 세차장치의 제1 분사노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륜기를 포함하는 세차장치의 제1 분사노즐(141)의 다른 실시예로, 제1 분사노즐(141)은 에어의 분사력을 강하게 하면서도 분사되는 에어를 회전시키는 수단으로서, 그 상단부에는 호스와 체결되도록 나사산을 갖는 나사산형성부(141a)가 형성되고, 이 나사산형성부(141a)로부터 그 아래쪽으로는 중공형이고 원추 형상을 갖는 바디부(141b)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데, 이 바디부(141b)에는 나선방향을 따라 에어가 최종 분사되는 홀인 다수개의 에어홀(141c)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디부(141b)의 외면에는 나선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에어홀(141c)과 일치되는 나선형의 에어이동안내홈(141d)이 형성되며, 이 에어이동안내홈(141d)은 에어홀(141c)로부터 분사되는 에어의 분사방향을 나선방향으로 안내하여 소용돌이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상기 제1 분사노즐(141)의 에어홀(141c) 및 나선형의 에어이동안내홈(141d)을 통해 분사되는 물이 회전하는 동시에 소용돌이를 형성하면서 상기 차량에 분사됨으로써, 차량의 차체를 향해 빠르게 공급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차량의 차체에 들러 붙는 각종 이물질 등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륜기를 포함하는 세차장치의 한 쌍의 제1 세척수분사관(140) 및 제2 세척수분사관(210), 세척수충돌판(230)은 금속 재질로 구비되고, 이들의 표면에는 표면의 부식현상을 방지시키기 위해 부식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으며, 부식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의 표면 도포재료는 벤조트리아졸 35중량%, 보론 5중량%, CMC(Carboxy Methyl Cellulose) 5중량%, 지르코늄 5중량%, 티타늄 5중량%, 산화알루미늄(Al₂O₃) 45중량%로 구성된다.
벤조트리아졸은 부식방지 및 변색방지 등의 목적으로 첨가되며, 보론은 탈산제 등의 역할을 한다.
CMC(Carboxy Methyl Cellulose)는 흡수성이 큰 백색 또는 미백색의 분말로서 물에 용이하게 녹아 점성을 나타내며, 피막을 형성하고 분산제 등의 역할을 한다.
지르코늄은 내마모성 및 내부식성 등을 높이는 역할을 하며, 티타늄은 내부식성이 있는 전이 금속원소로 뛰어난 방수성, 내식성 등을 갖도록 배합한다.
산화알루미늄은 내화도 및 화학적 안정성 등을 목적으로 첨가된다.
상기 구성 성분의 비율을 상기와 같이 수치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시험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비율에서 최적의 부식방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세륜기를 포함하는 세차장치의 제1 차량감지센서 및 제2 차량감지센서(160)의 외부면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오염 방지도포용 조성물이 도포된 오염방지도포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암포디글리시네이트 및 솔비톨 에스테르가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암포디글리시네이트와 솔비톨 에스테르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10 중량%이다.
상기 암포디글리시네이트 및 솔비톨 에스테르는 몰비로서 1:0.01 ~ 1:2가 바람직한 바, 몰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거나 도포 후에 표면의 수분흡착이 증가하여 도포막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암포디글리시네이트 및 솔비톨 에스테르는 전제 조성물 수용액중 1 ~ 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재 상의 최종 도포막 두께는 500 ~ 2000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 2000 Å이다. 상기 도포막의 두께가 500 Å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000 Å을 초과하면 도포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암포디글리시네이트 0.1 몰 및 솔비톨 에스테르 0.05몰을 증류수 1000 ㎖에 첨가한 다음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륜기를 포함하는 세척장치의 제1 펌프(150) 및 제2 펌프(220)의 본체 케이스의 외부면에는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변색부가 도포될 수 있다. 이 변색부는, 소정의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색이 변하는 두 가지 이상의 온도변색물질이 제1 펌프(150) 및 제2 펌프(220)의 본체 케이스 표면에 도포되어 온도 변화에 따라 두 개 이상의 구간으로 분리됨으로써 단계적인 온도 변화를 판단할 수 있고, 변색부 위에는 변색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막층이 도포된다.
여기서, 변색부는, 각각 40℃ 이상 및 60℃ 이상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변색부는 제1 펌프(150) 및 제2 펌프(220)의 본체 케이스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여 도료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변색부는 소정의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색깔이 변하는 온도변색물질이 제1 펌프(150) 및 제2 펌프(220)의 본체 케이스 표면에 도포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온도변색물질은 일반적으로 1~10㎛의 마이크로캡슐 구조로 구성되어 있고, 마이크로캡슐 내에 전자 공여체와 전자 수용체의 온도에 따른 결합 및 분리현상으로 인해 유색 및 투명색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온도변색물질은 색의 변화가 빠르고, 40℃, 60℃, 70℃, 80℃, 등의 다양한 변색온도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변색온도는 여러 방법으로 쉽게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변색물질은 유기화합물의 분자 재배열, 원자단의 공간 재배치 등의 원리에 의한 다양한 종류의 온도변색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변색부는 서로 다른 변색 온도를 가지는 두 가지 이상의 온도변색물질을 도포하여 온도 변화에 따라 두 개 이상의 구간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온도변색층은 상대적으로 저온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과 상대적으로 고온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이상 및 60℃이상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을 사용하여 변색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펌프(150) 및 제2 펌프(220)의 온도 변화를 단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도료의 온도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펌프(150) 및 제2 펌프(220)를 최적의 상태에서 운용할 수 있으며, 과열에 의한 제1 펌프(150) 및 제2 펌프(220)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보호막층은 변색부 위에 도포되어서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변색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변색부의 변색 여부를 쉽게 확인함과 동시에 온도변색물질이 열에 약한 것을 고려하여 단열 효과를 가지는 투명 도포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세차터널 120 : 세륜기
130 : 세척수수조 140 : 한 쌍의 제1 세척수분사관
150 : 제1 펌프 160 : 제2 차량감지센서
170 : 콘트롤부

Claims (3)

  1. 바닥부(111) 및 세차실을 제공하는 터널부(112)를 포함하는 세차터널(110);
    상기 바닥부(111)에 설치되고, 제1 차량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차량감지센서가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면 진입한 차량의 차륜을 세척하도록 구성된 세륜기(120);
    상기 세차터널(110)의 외부 일측에 구비되고, 세척수가 저장된 세척수수조(130);
    상기 터널부(112)의 내부의 좌우측에서 상기 터널부(112)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고, 수조연결관(10)을 통해 상기 세척수수조(130)와 연결되어 상기 세척수수조(130)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고, 상기 세차실로 진입한 차량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한 쌍의 제1 세척수분사관(140);
    상기 수조연결관(10) 상에 설치되되 상기 세척수수조(130)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세척수수조(130)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여 상기 한 쌍의 제1 세척수분사관(140)에 공급하는 제1 펌프(150);
    상기 세륜기(120) 및 상기 한 쌍의 제1 세척수분사관(140)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세륜기(120)를 통과 후 상기 한 쌍의 제1 세척수분사관(140)에 근접하게 진입하는 차량을 감지하기 위한 제2 차량감지센서(160); 및
    상기 세차터널(110)의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차량감지센서 및 상기 제2 차량감지센서(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차량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세륜기(120)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2 차량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 펌프(150)를 작동시키는 콘트롤부(170)를 포함하고;
    상기 터널부(112)의 내부의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세척수수조(130)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터널부(112)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조연결부(211), 상기 수조연결부(211)의 상단에 연결되되 상기 수조연결부(211)의 길이방향과 수직하여 상기 터널부(11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212), 및 상기 수평연장부(2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수평연장부(212)로 공급된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제2 분사노즐(213)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분사노즐(213)을 통해 세척수를 마주하는 방향을 향해 분사하는 제2 세척수분사관(210);
    상기 수조연결부(211) 상에 설치되어 상기 세척수수조(130)에 저장된 세척수를 펌핑하여 상기 제2 세척수분사관(210)으로 공급하며, 상기 제2 차량감지센서(160)로부터 감지신호가 콘트롤부(170)로 입력되면 콘트롤부(170)에 의해 구동되는 제2 펌프(220);
    상기 터널부(112)의 내부에서 상기 제2 세척수분사관(210)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제2 분사노즐(213)과 마주하는 길이를 갖고, 상기 제2 세척수분사관(210)과 마주하는 면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상기 세척수가 충돌하면 세척수를 분무 형태로 분산시키는 세척수분산돌기(231)가 구비되는 세척수충돌판(230);
    상기 세척수충돌판(230)에 연결되되 상기 세척수충돌판(230)의 상기 세척수분산돌기(231)가 형성된 면에 대해 예각으로 배치되며, 상기 세척수충돌판(230)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송풍기설치판(240); 및
    상기 송풍기설치판(240)에 설치되는 다수의 송풍기(2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세척수분사관(210)의 상기 수평연장부(212) 및 복수의 제2 분사노즐(213)과 상기 세척수충돌판(230), 상기 송풍기설치판(240) 및 상기 다수의 송풍기(250)는 상기 터널부(112) 내로 진입한 차량의 천정보다 높게 위치하는 높이에 배치되고, 그 높이에서 상기 다수의 송풍기(250)는 차량의 천정을 향해 송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륜기를 포함하는 세차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설치판(240)에 연결되어 상기 송풍기설치판(240)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1 높이조절장치(261); 및
    상기 제2 세척수분사관(210)에 연결되어 상기 수평연장부(212)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2 높이조절장치(26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륜기를 포함하는 세차장치.
KR1020190071485A 2019-06-17 2019-06-17 세륜기를 포함하는 세차장치 KR102025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485A KR102025693B1 (ko) 2019-06-17 2019-06-17 세륜기를 포함하는 세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485A KR102025693B1 (ko) 2019-06-17 2019-06-17 세륜기를 포함하는 세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5693B1 true KR102025693B1 (ko) 2019-09-26

Family

ID=68067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1485A KR102025693B1 (ko) 2019-06-17 2019-06-17 세륜기를 포함하는 세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569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162B1 (ko) * 2015-08-31 2016-02-24 이선희 농장 출입용 차량의 밀폐식 거점 자동소독장치
KR200482938Y1 (ko) 2015-11-13 2017-03-27 주식회사 한성브라보 대형차량용 터널식 자동세차기
JP2017154615A (ja) * 2016-03-02 2017-09-07 井上鋼材株式会社 車輌泥落洗浄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162B1 (ko) * 2015-08-31 2016-02-24 이선희 농장 출입용 차량의 밀폐식 거점 자동소독장치
KR200482938Y1 (ko) 2015-11-13 2017-03-27 주식회사 한성브라보 대형차량용 터널식 자동세차기
JP2017154615A (ja) * 2016-03-02 2017-09-07 井上鋼材株式会社 車輌泥落洗浄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7065B1 (ko) 자동 세차장치
KR100900565B1 (ko) 페인트 비산물 흡입장치
US7582164B1 (en) Tire dressing system
JP6061540B2 (ja) 洗浄装置
US11203328B2 (en) Vehicle drying assembly
CN101885324A (zh) 电脑记忆全自动洗车机
CN201457320U (zh) 全方位电脑自动洗车机
KR102025693B1 (ko) 세륜기를 포함하는 세차장치
KR102230724B1 (ko)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장치
JP2013151182A (ja) 洗車機
CN207222441U (zh) 车身涂装生产线随动清洗装置
KR100898982B1 (ko) 터널 및 방음벽 자동세척장치
KR101014274B1 (ko) 다목적 살수차
US20070289616A1 (en) Car wash apparatus with pivotable arms
US11590939B2 (en) Brushless car wash system including a traveling module for washing side surfaces of vehicles
US8505213B2 (en) Extendable nozzle for a vehicle drying apparatus
KR102614243B1 (ko) 차량의 상단 표면 및 후방 표면을 세척하기 위한 텔레스코핑 유닛을 포함하는 브러시리스 세차 시스템
KR100999845B1 (ko) 다목적 살수차
US20220055575A1 (en) Two-stage brushless car wash system
NL1016679C1 (nl)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reinigen van gevels.
KR200449759Y1 (ko) 개량된 살균,탈취기능을 갖는 세륜기
US11858480B2 (en) Ready mix truck wash system
US20240101075A1 (en) Cantilevered ready mix truck wash system
KR102290350B1 (ko) 도로 블랙아이스 자동 감지 염화칼슘 분사 시스템
US20240149838A1 (en) Vehicle wash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