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6548B1 - 전기 에너지 전송 링크를 설치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에너지 전송 링크를 설치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6548B1
KR102256548B1 KR1020197001100A KR20197001100A KR102256548B1 KR 102256548 B1 KR102256548 B1 KR 102256548B1 KR 1020197001100 A KR1020197001100 A KR 1020197001100A KR 20197001100 A KR20197001100 A KR 20197001100A KR 102256548 B1 KR102256548 B1 KR 102256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yostat
tube body
tube
superconducting cabl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1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6583A (ko
Inventor
마크 슈템레
슈테판 랑에
Original Assignee
넥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쌍 filed Critical 넥쌍
Publication of KR20190016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6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6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6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34Cable fittings for cryogenic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2/00Superconductive or hyperconductive conductors, cables, or transmission lines
    • H01B12/02Superconductive or hyperconductive conductors, cables, or transmission lin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2/00Superconductive or hyperconductive conductors, cables, or transmission lines
    • H01B12/16Superconductive or hyperconductive conductors, cables, or transmission lines characterised by coo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60Superconducting electric elements or equipment; Power systems integrating superconducting elements or equipment

Landscapes

  • Supercondu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Containers, Films, And Cooling For Superconductive Devices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 Gas Or Oil Filled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에너지 전송 링크를 설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초전도 케이블 및 상기 초전도 케이블을 둘러싸는 저온 유지 장치(cryostat)가 사용되고, 상기 저온 유지 장치는 서로 동심으로 배열되어 사이에 진공 절연이 제공된 2개의 금속 튜브로 구성된다. 상기 저온 유지 장치 내부에 위치된 초전도 케이블과 조립된 상태에 있는 저온 유지 장치의 단부들은 상기 전송 링크의 고정된 부분들 상에 부착된다. 상기 저온 유지 장치의 적어도 일 측 단부에서, 튜브 본체가 저온 유지 장치에 틈새없이 연결되고, 상기 튜브 본체는 적어도 180°의 각도로 구부러지며 마찬가지로 서로 동심으로 배열되어 사이에 진공 절연이 제공된 2개의 금속 튜브로 구성된다. 상기 저온 유지 장치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초전도 케이블은, 더 큰 굴곡 반경을 갖는 튜브 본체의 내측 튜브의 벽에 적어도 바로 근접하여 연장되도록 실온에서 튜브 본체 내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전기 에너지 전송 링크를 설치하는 방법
본 발명은 전기 에너지를 위한 전송 링크(transmission link)를 설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초전도 케이블 및 상기 초전도 케이블을 둘러싸는 저온 유지 장치(cryostat)가 사용되며, 상기 저온 유지 장치는 서로 동심으로 배열된 2개의 금속 튜브들인 외측 튜브 및 내측 튜브로 구성되며, 외측 튜브와 내측 튜브 사이에는 진공 절연이 제공되며, 저온 유지 장치의 적어도 일 단부에서, 구부러진 형태의 튜브 본체가 저온 유지 장치에 틈새없이 연결되고, 상기 튜브 본체는 마찬가지로 서로 동심으로 배열되어 사이에 진공 절연이 제공된 외측 튜브 및 내측 튜브의 2개의 금속 튜브로 구성되며, 조립된 상태에 있는 튜브 본체의 자유 단부와 상기 튜브 본체에 의해 둘러싸인 초전도 케이블은 상기 전송 링크의 고정된 부분에 연결되고, 냉각제가 상기 저온 유지 장치를 통과하여 상기 케이블이 초전도 상태로 되게 한다.
이러한 방법이 예컨대 EP 2 693 584 A1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전송 링크의 고정된 부분들은 종단부들(end terminations) 또는 연결 슬리브들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저온 유지 장치와 케이블로 구성된 전송 링크의 두 길이들이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저온 유지 장치는 스페이서에 의해 서로 분리된 2개의 튜브들로 구성된다. 결과적으로, 이들은 서로에 대해 동심으로 배열된다. "동심으로(concentrically)"라는 단어는 생산 상의 부정확성들로 인해 2개의 튜브들이 서로 정확히 평행하지 않는 저온 유지 장치의 설치에도 적용된다.
초전도 케이블은 충분히 낮은 온도들에서 초전도 상태로 가는 재료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전기 도전체를 갖는다. 적절한 초전도 재료들은 예를 들어 희토류 원소의 산화물(rare earths)(ReBCO), 특히 YBCO(이트륨(yttrium)-바륨(barium)-산화구리(copper oxide)) 또는 BSCCO(비스무트(bismuth)-스트론튬(strontium)-칼슘(calcium)-산화구리(copper oxide))를 기본으로 한 산화 물질이다. 이러한 재료를 초전도 상태로 유도하기에 충분한 저온들은 예를 들어 67K 내지 110K이다. 그러나, 예를 들어 이붕화 마그네슘과 같은 초전도 재료들도 있으며, 이들은 초전도 상태로 가기 위해서는 여전히 더 낮은 온도들로 냉각되어야 한다. 이러한 재료들 모두에 적합한 냉각제들은 예를 들어 질소, 헬륨, 네온, 및 수소, 또는 이러한 물질들의 혼합물들이다.
적어도 하나의 초전도 케이블을 갖는 장치(arrangement)의 작동 중에, 그러므로 상기 초전도 케이블은 저온 유지 장치 내에서 실온으로부터 작동 온도로 상당히 냉각된다 - 이로써 초전도 케이블은 열 수축으로 인해 더 짧아지게 된다. 전송 링크의 기능적 성능을 보장하기 위해, 케이블의 단축을 보완할 수 있는 예방 조치들이 취해져야 한다.
EP 1 720 176 B1에 따른 방법의 경우에, 초전도 케이블은 실온에서 파형(wave) 또는 나선형(helix)으로 작동하는 방식으로 저온 유지 장치 내에 제공된다. 저온 유지 장치와 관련하여 달성된 케이블의 초과 길이는 특정 지점들에서 케이블에 연결된 십자형(cross-like) 네트워크에 의해 안정화된다.
EP 1 617 537 B1은 저온 유지 장치 내에 놓이고, 종단부(end termination)에 연결된 초전도 케이블을 갖는 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종단부에는 전기 도전체가 제공되며, 상기 전기 도전체는 반경방향으로 탄성인 리브들을 포함하는 전기 도전성 재료의 튜브형 구성요소가 장착되며, 여기서 초전도 케이블의 도전체는 조립된 상태로 결합된다. 열적으로 유도된 길이의 변화들의 경우, 초전도 케이블의 도전체는 튜브형 구성요소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초반에 언급된 EP 2 693 584 A1은 적어도 하나의 초전도 케이블과 이를 둘러싸는 저온 유지 장치를 가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저온 유지 장치에는 두 개의 벨로우즈(bellows)가 설치되고, 이들 사이에는 구부러진 형테의 튜브가 제공된다. 벨로우즈는 바람직하게는 튜브에 대해 대칭으로 배열되며, 이를 위하여 180°로 굽어있거나 적어도 대략 180°로 굽어있다. 저온 유지 장치에 배열된 케이블은 장치의 작동 중 냉각되고, 그 결과 수축된다. 따라서, 이는 튜브의 벽에 대해 놓이고 벨로우즈가 함께 압축되는 방향으로 당긴다.
본 발명은, 전기 에너지를 위한 전송 링크를 설치하기 위한 전반부에 기술된 방법을 단순화하고 이에 사용되는 초전도 케이블의 열적 보상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은 다음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 상기 튜브 본체는 적어도 180°의 각도로 구부러져 있고, 상기 저온 유지 장치에 고정되고 밀봉되는 방식으로 연결되며,
- 상기 저온 유지 장치의 대응하는 튜브들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튜브들이 상기 튜브 본체의 제조에 사용되며,
- 상기 저온 유지 장치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초전도 케이블은, 더 큰 굴곡 반경을 갖는 내측 튜브의 벽에 적어도 바로 근접하여 연장되도록 실온에서 튜브 본체 내에 배치된다.
상기 튜브 본체는 적어도 180°의 각도로 구부러진 굽힘 형태(bent form)로 작업장에서 유리하게 조립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튜브 본체는 조립 장소로 단일-부품 구성요소(one-part component)로서 운반되어 전기 에너지를 위한 전송 링크의 상기 초전도 케이블을 둘러싸는 상기 저온 유지 장치에 연결된다. 그의 굽힘 형태의 결과로, 상기 튜브 본체는 조립 장소에서 비교적 작은 공간을 차지한다. 이는 특히 상기 저온 유지 장치 및 상기 케이블이 둘러싸인 케이블을 갖는 연속적인 저온 유지 장치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연결 슬리브에 연결될 때마다 이점이 있으며, 이는 시공 트렌치(construction trench)에 사용가능한 공간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보다 큰 굴곡 반경에 대응하도록 적어도 구부러진 상기 튜브 본체의 상기 내측 튜브의 벽 부근에 놓인 케이블은 냉각 및 수반하는 수축(contraction) 중에 상기 튜브 본체 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 실온에서 시작 위치에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튜브 본체 내에서 가장 큰 굴곡 반경을 갖는 "외측"에 놓이며, 그의 길이가 단축되면, 상기 튜브 본체 내에서 "내측으로", 가장 작은 굴곡 반경을 갖는 상기 내측 튜브의 벽의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 경우, 상기 저온 유지 장치 내에서의 초전도 케이블의 축 방향으로의 단축도 보상된다.
튜브 본체 내에서 초전도 케이블이 조립되는 동안, 초전도 케이블은 보다 큰 굴곡 반경으로 구부러진 튜브 본체의 내측 튜브의 벽에 직접 맞닿아 놓이도록 유리하게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조립이 간단하며, 튜브 본체 내에 케이블이 움직일 수 있는 최대 공간이 있다.
상기 튜브 본체가 구부러지는 각도는 전송 링크의 길이에 달려 있다. 따라서, 180°의 각도는 예를 들어 150m 길이의 전송 링크에 적용된다. 300m 길이의 전송 링크의 경우, 각도는 예를 들어 360°일 수 있다. 450m 길이의 전송 링크의 경우에는 540°의 각도가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도면들에 기초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설명되며,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사용에 적합한 장치를 개략도로 도시한다.
도 2는 선 II-II를 따라 도 1의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는 튜브 본체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과 관련하여 변형된 튜브 본체의 일부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 및 도 6은 튜브 본체의 다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에서, 2개의 종단부들(end terminations)(1 및 2)은 전기 에너지를 위한 전송 링크(transmission link)의 고정된 부분들로서 개략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종단부들은 이미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들의 설치(setup)는 더 이상 구체적으로 다루지 않는다. 2개의 종단부들(1 및 2)에는 저온 유지 장치(cryostat)(KR) 및 상기 저온 유지 장치(KR) 내에 위치된 초전도 케이블(SK)이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있다(도 2). 종단부들(1 또는 2) 중 적어도 하나는 연결 슬리브(connecting sleeve)일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종단부(1)와 저온 유지 장치(KR) 사이에는 튜브 본체(tube body)(RK)가 있으며, 이는 작은 박스(3)로 표시되며, 그의 설치 및 기능 원리는 도 3 내지 도 6에 기초하여 설명된다.
도 2에 따르면, 저온 유지 장치(KR)은 동축으로, 그리고 서로에 대해 일정한 거리에 배열된 2개의 금속 튜브들인 외측 튜브(4) 및 내측 튜브(5)로 구성되며, 상기 외측 튜브(4)와 내측 튜브(5)의 사이에는 스페이서 및 진공 절연재(6)가 배치된다. 튜브들(4 및 5)은 유리하게는 고급 강(high-grade steel)으로 구성된다. 튜브들(4 및 5)은 이들의 길이방향을 가로지르게(transversely) 주름지며(corrugated), 결과적으로 잘 구부러질 수 있다. 케이블(SK)과는 별도로, 저온 유지 장치(KR)는 냉각제(coolant)가 통과될 수 있는 공동(cavity)(HR)을 둘러싼다. 초전도 케이블(SK)은 임의의 원하는 설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2개 이상의 초전도 케이블들이 저온 유지 장치(KR)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도 3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은 튜브 본체(RK)이며, 이는 180° 구부러지고, 일측 단부는 저온 유지 장치(KR)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단지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부(1)에 연결된다. 저온 유지 장치(KR)와 마찬가지로, 튜브 본체(RK)는 서로에 대해 동심으로 배열된 2개의 금속 튜브들, 즉 외측 튜브(7) 및 내측 튜브(8)로 구성된다. 2개의 튜브들(7, 8) 사이에는 진공 절연재(vacuum insulation)(9)가 제공된다. 튜브들(7, 8)은 유리하게는 고급 강으로 구성된다. 튜브들(7, 8)은 그들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게 주름지기도 한다. 그러나, 튜브들(7 및 8)은 또한 부드러운 튜브들로서 유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조립 위치에서, 튜브 본체(RK)의 외측 튜브(7)는 저온 유지 장치(KR)의 외측 튜브(4)에 고정되고 밀봉되는 방식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외측 튜브(7)와 외측 튜브(4)는 서로 용접되어 있다. 이와 유사하게, 이는 일 측의 튜브 본체(RK) 및 타 측의 저온 유지 장치(KR)의 내측 튜브들(8 및 5)에도 유사하게 적용된다. 튜브 본체(RK)의 튜브들(7, 8)은, 그의 타 측 단부에서, 고정되고 밀봉되는 방식으로, 예를 들어 플랜지 연결부(10)를 통해 종단부(1)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장치의 실시예에 대해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길이가 대략 150m인 저온 유지 장치(KR)는 일 측 단부가 종단부(1)에 근접하도록 전송 링크를 따라 놓여 있다. 저온 유지 장치(KR)에 의해 둘러싸인 초전도 케이블(SK)은 유리하게는 사전결정된 길이만큼 저온 유지 장치로부터 돌출되도록 제조사의 작업들에서 저온 유지 장치 내에 동일하게 배치된다. 저온 유지 장치(KR)를 설치 장소(laying site)로 운반하는 동안, 저온 유지 장치는 적절한 외장에 의해 기계적 손상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돌출 케이블(SK)의 길이는 튜브 본체(RK)의 길이 및 종단부 또는 연결 슬리브에 요구되는 길이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튜브 본체(RK)와 저온 유지 장치(KR)의 기술된 연결 전에, 케이블(SK)이 튜브 본체(RK) 내에 제공된다. 그 다음, 케이블(SK)은 플랜지(10)가 제공된 튜브 본체(RK)의 단부에서, 케이블(SK)이 종단부(1)에 연결될 수 있는 정도로 튜브 본체(RK)로부터 돌출한다. 이 경우, 케이블(SK)은 유리하게는 보다 큰 굴곡 반경(bending radius)(Ra)으로 구부러진 내측 튜브(8)의 벽에 대하여 정확히 맞닿도록 튜브 본체(RK)의 내측 튜브(8)에 맞닿아 놓이도록 튜브 본체(RK) 내에 배치된다. 도 3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케이블(SK)은 가능한 한 외측으로 튜브 본체(RK)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에 놓인다. 이러한 위치에서, 케이블(SK)은 종단부(1)에도 연결된다. 케이블(SK)은 임의의 경우에 튜브 본체(RK)의 내측 튜브(8)의 언급된 벽의 바로 가까이에 위치하도록 의도된다.
기술된 방식으로 초전도 케이블(SK)이 그의 내부에 배치된 튜브 본체(RK)의 조립이 완료된 후, 냉각제가 저온 유지 장치(KR)를 통과한다. 그 결과, 케이블(SK)은 냉각된다. 따라서 케이블(SK)의 길이는 대략 0.3% 단축된다. 이러한 단축은 한편으로는 저온 유지 장치(KR) 내의 축 방향뿐만 아니라 튜브 본체(RK) 내에 수용된 케이블(SK)의 길이 상에 영향을 미친다. 케이블(SK)은 도 3에 도시된 화살표들의 방향으로 정확하게 "안쪽으로" 튜브 본체(RK) 내의 단축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점선들로 도시된 최대 달성가능한 단부 위치에서, 케이블(SK)은 보다 작은 반경(Ri)으로 구부러진 튜브 본체(RK)의 내측 튜브(8)의 벽에 맞닿아 놓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튜브 본체(RK)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은 인장 응력(tensile stress)을 받지 않으면서 케이블(SK)의 단축을 수용하는 데 사용된다.
튜브 본체(RK)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은 튜브 본체(RK)가 구부러지는 튜브들(7 및 8)이 저온 유지 장치(KR)의 대응하는 튜브들(4 및 5)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짐으로써 증가된다. 이는 도 4에 나타나 있으며, 여기서 저온 유지 장치(KR)로부터 튜브 본체(RK)로의 천이(transition)만이 나타난다. 나타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대략 원추형으로 구성된 천이 부분들(transition pieces)(11 및 12)은 서로 연결될 튜브들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천이 부분들(11, 12)은 상이한 기하학적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단부 위치에서, 천이 부분들(11, 12)은 고온 유지 장치(KR)의 튜브들(4 및 5) 및 튜브 본체(RK)의 튜브들(7 및 8)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며, 바람직하게는 용접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180°로 구부러진 튜브 본체(RK)가 충분한, 150m 길이의 저온 유지 장치(cryostat)(KR)에 대해 위에서 기술하였다. 상응하게 더 긴 케이블(SK)를 갖는 더 긴 저온 유지 장치의 경우에, 보다 큰 공간이 케이블(SK)의 이동을 위해 이용가능하도록 튜브 본체(RK)의 길이가 또한 연장되어야 한다. 튜브 본체(RK)는 예를 들어 90°로 구부러진 튜브 본체, 또는 90°의 짝수 배의 튜브 본체에 의해 연장될 수 있다.
300m 길이의 저온 유지 장치(KR)에 적합한 튜브 본체(RK)는 예를 들어 360°로 구부러져 있다. 이는 도 5에 개략적으로 나타나며, 여기서 튜브들(7 및 8)로 구성된 튜브 본체(RK)에 대응하는 선만이 도시된다. 더욱 연장된 튜브 본체(RK)는 도 6에 유사하게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튜브 본체는 540°로 구부러지며, 유리하게는 450m 길이의 저온 유지 장치(KR)에 사용될 수 있다.
기술된 모든 실시예들에서, 튜브 본체(RK)는 각각 90°로 절곡된 조립식 부품들로부터 조립될 수 있다. 이러한 부품들은 서로 용접된다. 이는 제조사의 작업들에서 이미 수행될 수 있지만, 조립 장소에서 유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Claims (4)

  1. 전기 에너지 전송 링크(transmission link)를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초전도 케이블 및 상기 초전도 케이블을 둘러싸는 저온 유지 장치(cryostat)가 사용되고, 상기 저온 유지 장치는 서로 동심으로 배열되어 사이에 진공 절연(vacuum insulation)이 제공된 외측 튜브와 내측 튜브의 2개의 금속 튜브로 구성되며, 상기 저온 유지 장치(KR)의 적어도 일 측 단부에서, 구부러진 형태의 튜브 본체(tube body)(RK)가 저온 유지 장치에 틈새없이 연결되고, 상기 튜브 본체는 서로 동심으로 배열되어 사이에 진공 절연(9)이 제공된 외측 튜브(7) 및 내측 튜브(8)의 2개의 금속 튜브로 구성되며, 조립된 상태에 있는 튜브 본체(RK)의 자유 단부와 상기 튜브 본체(RK)에 의해 둘러싸인 초전도 케이블(SK)은 상기 전송 링크의 고정된 부분에 연결되고, 냉각제가 상기 저온 유지 장치를 통과하여 상기 케이블이 초전도 상태로 되게 하며,
    - 상기 튜브 본체(RK)는 적어도 180°의 각도로 구부러져 있고, 상기 저온 유지 장치(KR)에 고정되고 밀봉되는 방식으로 연결되며,
    - 상기 저온 유지 장치(KR)의 대응하는 튜브들(4, 5)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튜브들(7, 8)이 상기 튜브 본체(RK)의 제조에 사용되며,
    - 상기 저온 유지 장치(KR)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초전도 케이블(SK)은, 더 큰 굴곡 반경(bending radius)(Ra)을 갖는 내측 튜브(8)의 벽에 적어도 바로 근접하여 연장되도록 실온에서 튜브 본체(RK) 내에 배치되어서, 상기 초전도 케이블(SK)이 상기 튜브 본체(RK) 안에서 냉각될 때 더 작은 굴곡 반경(Ri)을 갖는 내측 튜브(8)의 벽을 향하여 이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본체(RK)는 제조사의 작업에 의해 사전에 제조되어 조립 장소로 운반되며, 고정되고 밀봉되는 방식으로 상기 저온 유지 장치(KR)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초전도 케이블(SK)은, 실온에서 더 큰 굴곡 반경(Ra)으로 구부러진 상기 튜브 본체(RK)의 내측 튜브(8)의 벽에 대하여 맞닿도록 상기 튜브 본체(RK)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방법.
  4. 삭제
KR1020197001100A 2016-06-13 2017-05-31 전기 에너지 전송 링크를 설치하는 방법 KR1022565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305709.4 2016-06-13
EP16305709.4A EP3258562B1 (de) 2016-06-13 2016-06-13 Verfahren zum aufbau einer übertragungsstrecke für elektrische energie
PCT/EP2017/063102 WO2017215912A1 (de) 2016-06-13 2017-05-31 Verfahren zum aufbau einer übertragungsstrecke für elektrische energi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583A KR20190016583A (ko) 2019-02-18
KR102256548B1 true KR102256548B1 (ko) 2021-05-27

Family

ID=56368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1100A KR102256548B1 (ko) 2016-06-13 2017-05-31 전기 에너지 전송 링크를 설치하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944250B2 (ko)
EP (1) EP3258562B1 (ko)
JP (1) JP6778766B2 (ko)
KR (1) KR102256548B1 (ko)
CN (1) CN109417281B (ko)
DK (1) DK3258562T3 (ko)
WO (1) WO20172159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88747B2 (en) * 2018-06-28 2022-11-01 Advanced Conductor Technologies Llc Superconducting power cable system
CN113300292B (zh) * 2020-02-21 2022-08-30 上海电缆研究所有限公司 一种用于超导电缆的敷设保护装置
EP4248467A1 (en) 2020-11-18 2023-09-27 Veir, Inc. Conductor systems for suspended or underground transmission lines
CA3197224A1 (en) 2020-11-18 2022-05-27 Stephen Paul Ashworth Systems and methods for cooling of superconducting power transmission lines
CA3197746A1 (en) * 2020-11-18 2022-05-27 Stephen Paul Ashworth Suspended superconducting transmission lines
CN113720256B (zh) * 2021-08-23 2024-01-30 中国科学院合肥物质科学研究院 一种测量超导带材临界弯曲半径的装置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85636A (en) * 1928-01-20 1928-09-25 Kemp Joseph Tube-drawing plug
DE811945C (de) * 1948-10-01 1951-08-23 Otto Klein Vorrichtung zum Wellen von Rohren
US7237317B2 (en) * 2003-05-20 2007-07-03 Nexans Process for producing a superconducting cable
DE102004034494A1 (de) 2004-07-16 2006-02-16 Nexans Endenabschluß
DE502005000287D1 (de) 2005-05-06 2007-02-15 Nexans Supraleiterkabel
EP2209129B1 (de) * 2009-01-15 2012-03-07 Nexans Anordnung zur Strombegrenzung
US8630690B2 (en) * 2009-05-05 2014-01-14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Inc. Thermal contraction compensation for superconducting and cryo-resistive cables
EP2369600B1 (de) * 2010-03-04 2012-08-29 Nexans Supraleitfähiges elektrisches Gleichstrom-Kabel
EP2685469B1 (de) * 2012-07-11 2017-05-03 Nexans Anordnung mit mindestens einem supraleitfähigen Kabel
EP2693584B1 (de) * 2012-08-03 2017-11-22 Nexans Anordnung mit mindestens einem supraleitfähigen Kabel
JP6140377B2 (ja) * 2015-02-10 2017-05-3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超電導ケーブル及び超電導ケーブル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58562A1 (de) 2017-12-20
CN109417281A (zh) 2019-03-01
KR20190016583A (ko) 2019-02-18
JP2019526218A (ja) 2019-09-12
EP3258562B1 (de) 2019-03-27
DK3258562T3 (da) 2019-07-01
WO2017215912A1 (de) 2017-12-21
CN109417281B (zh) 2020-05-29
US20190260194A1 (en) 2019-08-22
US10944250B2 (en) 2021-03-09
JP6778766B2 (ja) 202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6548B1 (ko) 전기 에너지 전송 링크를 설치하는 방법
US7692338B2 (en) Direct current superconducting power transmission cable and system
US9070497B2 (en) Arrangement with at least one superconductive cable
US7979976B2 (en) Method for laying a superconductor cable
KR101556792B1 (ko) 초전도 케이블의 저온유지장치
US20110294669A1 (en) Superconducting direct-current electrical cable
US8670808B2 (en) System having at least one superconducting cable
JP2010251713A (ja) 限流装置
US9570214B2 (en) Superconducting cable line
KR20110137769A (ko) 초전도성 전기 케이블
US20140051581A1 (en) System with a three phase superconductive electrical transmission element
JP5810925B2 (ja) 常温絶縁型超電導ケーブルの接続構造
KR20120121443A (ko) 초전도 케이블 장치
WO2013151100A1 (ja) 超伝導ケーブルと設置方法
JP6345995B2 (ja) 超電導ケーブルの製造方法
KR20100004281A (ko) 삼상 초전도 케이블의 중간접속장치
JP6140377B2 (ja) 超電導ケーブル及び超電導ケーブルの製造方法
JPH01109609A (ja) 超電導送電路
KR20110047993A (ko) 하나 이상의 초전도성 케이블을 장착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