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5887B1 - 식물 조직 배양 장치 - Google Patents

식물 조직 배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5887B1
KR102255887B1 KR1020190031194A KR20190031194A KR102255887B1 KR 102255887 B1 KR102255887 B1 KR 102255887B1 KR 1020190031194 A KR1020190031194 A KR 1020190031194A KR 20190031194 A KR20190031194 A KR 20190031194A KR 102255887 B1 KR102255887 B1 KR 102255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ontainer
plant tissue
culture solution
container
out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1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1476A (ko
Inventor
푸르와르 프라산트
이현재
Original Assignee
(주) 텔로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텔로팜 filed Critical (주) 텔로팜
Priority to KR1020190031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5887B1/ko
Publication of KR20200111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7/00Means for mixing, agitating or circulating fluids in the vessel
    • C12M27/02Stirrer or mobile mix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4/00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Tissue culture techniques therefor
    • A01H4/001Culture apparatus for tissue cul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4/00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Tissue culture techniques therefor
    • A01H4/005Methods for micropropagation; Vegetative plant propagation using cell or tissue culture techniqu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5/00Means for supporting, enclosing or fixing the microorganisms, e.g. immunocoatings
    • C12M25/06Plates; Walls; Drawers; Multilayer p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9/00Means for introduction, extraction or recirculation of materials, e.g. pumps
    • C12M29/04Filters; Permeable or porous membranes or plates, e.g. dia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7/00Means for sterilizing, maintaining sterile conditions or avoiding chemical or biological contamination
    • C12M37/02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42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agitation speed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조직 배양 장치는, 배양액을 저장하는 외측 용기; 및 상기 외측 용기에 수용되는 내측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용기의 측면 및 바닥면은 상기 외측 용기의 내측면 및 내바닥면과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내측 용기의 하측 일부가 상기 배양액에 잠기도록 배치되고, 상기 내측 용기에는 반고체 배지가 저장되고, 상기 내측 용기의 바닥면에는 복수 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배양액이 상기 복수 개의 구멍을 통해 상기 반고체 배지에 스며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물 조직 배양 장치{Plant tissue culture apparatus}
본 발명은 식물 조직 배양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 내에서 배지를 이용하여 식물 조직을 배양하는 식물 조직 배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물 조직 배양은 식물의 조직, 기관, 세포 등을 용기 또는 배양조에서 필요한 영양성분, 식물호르몬 등을 주어 증식시키는 것을 총괄하여 말한다. 식물 조직 배양 기술은 개체의 대량증식, 분자육종, 대량배양을 통한 식물원료 생산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효과적인 기술로 이용되고 있다. 식물 조직 배양을 위해서는 생존, 발육에 불가결한 영양물질로서 다량요소, 미량요소 등을 요구한다. 그 중 기체상으로 얻어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모두 무기 또는 유기화합물로서 배지에 공급해 주어야 한다.
통상적인 식물 조직 배양은 배지의 무균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폐쇄된 용기 내에서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용기의 내부 환경은 외부와 공기의 교환이 제한되어 이산화탄소의 부족, 유해한 가스의 농축, 높은 습도 등 식물에 건강하고 자연적인 환경을 제공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식물이 자라면서 발생하는 폐기물이나 독소가 배지에 누적되고 배지의 영양이 고갈되어 식물의 성장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기존의 식물 조직 배양은 멸균 상태를 유지하면서 동일 또는 다른 유형의 배지로 교체하는 것이 어렵고, 배지의 갑작스런 변화는 식물에 스트레스를 줄 수도 있다. 게다가, 식물의 생장을 촉진하거나 수확량을 높이려면 식물을 배양액에 일시적 혹은 주기적으로 침지시키는 임시 침지 배양(temporary immersion culture)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데, 기존의 식물 조직 배양에서는 이러한 임시 침지 배양이 불가능하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02908호(2017.11.29. 공고)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위와 같은 기존의 식물 조직 배양이 가지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무균 상태를 유지하면서 식물 성장을 위한 건강하고 자연적인 환경을 제공하거나, 폐기물이나 독소가 배지에 누적되고 배지의 영양이 고갈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멸균 상태를 유지하면서 배지의 갑작스런 변화로 인한 식물의 스트레스 없이 쉽고 편리하게 배지를 교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거나, 원하는 조건으로 임시 침지 배양을 할 수 있는 식물 조직 배양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조직 배양 장치는, 배양액을 저장하는 외측 용기; 및 상기 외측 용기에 수용되는 내측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용기의 측면 및 바닥면은 상기 외측 용기의 내측면 및 내바닥면과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내측 용기의 하측 일부가 상기 배양액에 잠기도록 배치되고, 상기 내측 용기에는 반고체 배지가 저장되고, 상기 내측 용기의 바닥면에는 복수 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배양액이 상기 복수 개의 구멍을 통해 상기 반고체 배지에 스며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측 용기의 측면 하단에는 상기 배양액의 주입 및 배출을 위한 주입배출구가 형성되되, 상기 주입배출구는 러버 실(rubber seal)로 밀봉되어 주사기를 이용하여 상기 러버 실을 통해 상기 배양액의 주입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식물 조직 배양 장치는, 상기 외측 용기를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배양액의 주입 및 배출을 위한 주입배출구가 형성되되, 상기 주입배출구는 러버 실(rubber seal)로 밀봉되어 주사기를 이용하여 상기 러버 실을 통해 상기 배양액의 주입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식물 조직 배양 장치는, 상기 내측 용기를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내측 용기와 외부 간의 통기를 위한 통기관이 구비되되, 상기 통기관은 외부로부터의 먼지나 이물질이 상기 내측 용기 내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 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기관에는 먼지나 이물질을 차단하기 위한 필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측 용기의 측면에는 상기 외측 용기와 상기 내측 용기 간의 통기를 위한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 용기에 저장된 배양액 내에는 상기 내측 용기의 바닥면 아래에 자기 교반기(Magnetic Stirrer)의 자기 교반 막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자기 교반기의 동작에 따른 상기 자기 교반 막대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배양액이 상기 내측 용기 바닥면의 상기 복수 개의 구멍을 통해 상기 내측 용기 내로 진입하여 상기 반고체 배지 상의 식물 조직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배양액에 침지될 수 있다.
상기 식물 조직 배양 장치는, 상기 자기 교반기를 주기적으로 동작시키거나 상기 자기 교반기의 속도를 조절하는 자기 교반기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물 조직 배양 장치는, 상기 내측 용기를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내측 용기와 외부 간의 통기를 위한 통기관이 구비되며, 상기 통기관의 개구를 밀봉하는 착탈 가능한 러버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 용기의 측면 최하단에는 상기 배양액의 주입 및 배출을 위한 주입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식물 조직 배양 장치는 상기 주입배출구에서 돌출 형성되는 돌출관; 일측이 상기 돌출관에 연결되는 플렉서블 튜브; 상기 플렉서블 튜브의 타측에 연결되는 주입배출관; 및 상기 주입배출관의 입구를 막기 위한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된 본 발명에 의하면, 무균 상태를 유지하면서 식물 성장을 위한 건강하고 자연적인 환경을 제공하거나, 폐기물이나 독소가 배지에 누적되고 배지의 영양이 고갈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멸균 상태를 유지하면서 배지의 갑작스런 변화로 인한 식물의 스트레스 없이 쉽고 편리하게 배지를 교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거나, 원하는 조건으로 임시 침지 배양을 할 수 있는 효과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조직 배양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조직 배양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3a 및 도 3b는 내측 용기 바닥면의 복수 개의 구멍의 형태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4는 내측 용기 바닥면의 복수 개의 구멍의 단면 형태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1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식물 조직 배양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2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식물 조직 배양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조직 배양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조직 배양 장치에서 배양액을 외측 용기에 주입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 9는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조직 배양 장치에서 배양액을 외측 용기로부터 배출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각각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조직 배양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조직 배양 장치는 전체적으로 외측 용기(10), 외측 용기(10)에 수용되는 내측 용기(20), 외측 용기(10)와 내측 용기(20)를 덮는 커버(30)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 용기(10), 내측 용기(20), 커버(30)는 투명한 재질로서, 예컨대 유리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측 용기(10)는 상부가 개구된 병(bottle) 형태로, 외측 용기(10) 내에는 식물 조직(T)의 배양을 위한 배양액(L)이 저장된다. 식물 조직(T)은 식물의 씨앗, 조직, 기관, 세포, 캘러스(callu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배양액(L)은 무기염류, 당류, 비타민, 아미노산, 생장조절제 등을 함유하는 용액일 수 있다.
내측 용기(20)는 그 측면 및 바닥면이 외측 용기(10)의 내측면 및 내바닥면과 이격되도록 외측 용기(10)에 고정 배치된다. 이를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용기(20)는 외측 용기(10)보다 길이 및 넓이가 작게 형성되고, 내측 용기(20)의 상부 둘레에는 외측 용기(10)의 상부 둘레에 걸쳐져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측 용기(20)는 그 하측 일부가 외측 용기(10)에 저장된 배양액(L)에 잠기도록 배치된다. 달리 말하자면, 배양액(L)은 내측 용기(20)의 하측 일부가 배양액(L)에 잠길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내측 용기(20)에는 하부에 반고체 배지(semi-solid medium)(M)가 저장된다. 반고체 배지(M)는 한천 배지(agar medium), 아가로스 배지(agarose mediu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물 조직(T)은 반고체 배지(M) 위에 놓여진다.
내측 용기(20)의 바닥면에는 복수 개의 구멍들(20a)이 형성된다. 복수 개의 구멍들(20a)을 통해, 외측 용기(10)에 저장된 배양액(L)은 확산 작용에 의해 반고체 배지(M)에 스며들어 식물 조직(T)에 공급된다. 반고체 배지(M) 표면에서의 증발 및 식물의 증산 작용으로 인해 반고체 배지(M)에 함유된 배양액(L) 및 수분의 지속적인 손실이 일어나지만, 외측 용기(10)에 충분한 배양액(L)이 제공되거나 보충되는 한 배양액(L)은 복수 개의 구멍들(20a)을 통해 반고체 배지(M)로 지속적으로 공급되므로 반고체 배지(M)의 영양과 수분은 고갈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복수 개의 구멍들(20a)을 통해, 내측 용기(20) 안에서 식물이 자라면서 생성되거나 기타 요인으로 반고체 배지(M)에 축적되는 노폐물은 확산 작용에 의해 배양액(L)으로 유출된다. 따라서 반고체 배지(M)에 폐기물이나 독소가 누적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 경우 배양액(L)이 오염되는 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양액(L)의 간편한 교체를 통해 방지될 수 있다.
배양액(L)의 높이(h3)는, 내측 용기(20)가 배양액(L)에 잠겨서 반고체 배지(M)와 배양액(L)이 내측 용기(20) 바닥면의 구멍들(20a)을 통해 닿을 수 있도록 내측 용기(20)의 바닥면의 높이(h1)보다 높아야 하고, 배양액(L)의 반고체 배지(M)로의 확산이 원활하도록 반고체 배지(M)의 높이(h2)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 용기(10)의 측면 하단에는 배양액(L)의 주입 및 배출을 위한 주입배출구(10a)가 형성되는데, 주입배출구(10a)는 러버 실(rubber seal)(11)로 밀봉된다. 따라서 주사기를 이용하여 러버 실(11)을 통해 외측 용기(10)로 배양액(L)의 주입 및 배출이 가능하며, 이때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므로 멸균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배양액(L)이 부족하거나 오염되는 경우, 주사기로 간편하게 외측 용기(10) 안의 배양액(L)을 뽑아내고 주사기로 새로운 배양액을 주입하여 배양액(L)을 간편하게 교체 또는 보충하는 것이 가능하다.
외측 용기(10) 내의 기존의 배양액(L)을 제거하고 새로운 배양액(L)을 투입하게 되면, 확산 작용에 의해 반고체 배지(M)가 함유하던 기존의 배양액이 새로운 배양액으로 교체되는 과정이 일어나는데, 이 과정을 통해 결국 배지(M)가 교환되는 것과 마찬가지의 결과를 얻게 된다. 또한 반고체 배지(M)가 함유하는 배양액이 변화되는 과정은 서서히 일어나므로, 배양액 또는 배지의 갑작스런 변화로 인해 식물이 스트레스를 받는 것이 방지된다.
커버(30)에는 내측 용기(20)와 외부 간의 통기를 위한 개구(30a) 및 개구(30a)와 연통하는 통기관(31)이 구비될 수 있다. 통기관(31)은 외부로부터 먼지나 이물질이 내측 용기(20) 내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 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통기관(31) 내에는 개구(30a) 측에 먼지나 이물질을 차단하기 위한 필터(32)가 구비될 수 있다. 통기관(31)을 통해 외부와 공기와 습기가 교환되므로 장치 내에 식물 성장을 위한 건강하고 자연적인 환경이 제공되며, ∩ 자형 통기관(31)과 필터(32)에 의해 장치 내부의 멸균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내측 용기(20)의 측면 상단에는 외측 용기(10)와 내측 용기(20) 간의 통기를 위한 구멍(20b)이 형성될 수 있다. 구멍(20b)을 통해 외측 용기(10)와 내측 용기(20) 간에 공기와 습기가 교환되므로 장치 내에 식물 성장을 위한 보다 건강하고 자연적인 환경이 제공될 수 있다.
외측 용기(10)에 저장된 배양액(L) 내에는 내측 용기(20)의 바닥면 아래에 자기 교반기(Magnetic Stirrer)(40)의 자기 교반 막대(41)가 배치되고, 그에 대응하는 외측 용기(10)의 하부에는 자기 교반기(40)의 구동 자석(42)과 구동 모터(43)가 설치될 수 있다. 자기 교반기(40)의 동작은, 구동 모터(43)가 구동 자석(42)을 회전시키면 구동 자석(42)의 자기력에 의해 자기 교반 막대(41)가 회전하는 것이다. 이러한 자기 교반기(40)의 동작에 따른 자기 교반 막대(41)의 회전은 내측 용기(20) 아래쪽의 배양액(L)을 밀어올려 배양액(L)이 복수 개의 구멍(20a)을 통해 반고체 배지(M)로 흡수되는 것을 더욱 촉진할 수 있다.
나아가, 자기 교반 막대(41)의 회전 속도를 충분히 증가시키면, 내측 용기(20) 아래쪽의 배양액(L)이 복수 개의 구멍(20a)을 통해 내측 용기(20) 내로 진입하게 되어 반고체 배지(M) 상의 식물 조직(T)의 적어도 일부가 내측 용기(20) 내로 진입한 배양액(L)에 침지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일시적 혹은 주기적으로 자기 교반기(40)를 동작시킴으로써, 식물 조직(T)을 배양액에 일시적 혹은 주기적으로 침지시키는 임시 침지 배양(temporary immersion culture)을 수행할 수 있다. 자기 교반기(40)의 구동 모터(43)에는 자기 교반기(40)를 주기적으로 동작시키거나 자기 교반기(40)의 속도를 조절하는 자기 교반기 제어부(44)가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조직 배양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조직 배양 장치는 도 1을 통해 설명한 식물 조직 배양 장치의 기술적 특징을 대부분 포함하며, 따라서 이하에서는 편의상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조직 배양 장치는 전체적으로, 배양액(L)을 저장하는 외측 용기(50), 외측 용기(50)에 수용되며 반고체 배지(M)를 저장하는 내측 용기(60), 외측 용기(50)를 덮는 제1 커버(70), 내측 용기(60)를 덮는 제2 커버(80)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 용기(50)는 상부가 개구된 페트리 접시(Petri dish) 형태이다. 외측 용기(50)의 측면에는 그 둘레를 따라 제1 돌출부(51)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외측 용기(50)를 다룰 때 제1 돌출부(51) 부분을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측 용기(50) (특히, 개구 둘레 부분) 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커버(70)는 내측 용기(60)의 측면 둘레에 환형으로 형성되어, 내측 용기(60)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내측 용기(60)와 함께 외측 용기(50)를 덮는다. 제1 커버(70)와 내측 용기(6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내측 용기(60)의 바닥면에는 배양액(L)과 반고체 배지(M)의 접촉을 위한 복수 개의 구멍들(60a)이 형성되고, 내측 용기(60)의 측면 상단에는 외측 용기(50)와 내측 용기(60) 간의 통기를 위한 구멍(60b)이 형성된다. 내측 용기(60) 역시 외측 용기(50)와 마찬가지로, 내측 용기(60)의 측면에는 그 둘레를 따라 제2 돌출부(61)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내측 용기(60)를 다룰 때 제2 돌출부(61) 부분을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측 용기(60)(특히, 개구 둘레 부분)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커버(80)에는 내측 용기(60)와 외부 간의 통기를 위한 개구(80a) 및 개구(80a)와 연통하는 ∩ 자형 통기관(81)이 구비될 수 있다. 통기관(81) 내에는 개구(80a) 측에 먼지나 이물질을 차단하기 위한 필터(82)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외측 용기(10)의 측면 하단에 배양액(L)의 주입 및 배출을 위한 주입배출구(10a)와 러버 실(11)이 배치되는 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커버(70)에 배양액(L)의 주입 및 배출을 위한 주입배출구(70a)와 러버 실(7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의 러버 실(11)과 마찬가지로, 주사기를 이용하여 러버 실(71)을 통해 외측 용기(50)로 배양액(L)의 주입 및 배출이 가능하며, 이때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므로 멸균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내측 용기(20, 60) 바닥면의 복수 개의 구멍(20a, 60a)의 형태의 예들을 나타낸다. 구멍(20a, 60a)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일 수도 있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형 형태일 수도 있으며, 물론 사각형 등 다른 형태일 수도 있다. 배양액(L)과 반고체 배지(M)의 접촉 면적을 최대화하는 데에는 원형보다는 육각형이 유리할 수 있다.
도 4는 내측 용기(20, 60) 바닥면의 복수 개의 구멍(20a, 60a)의 단면 형태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20a, 60a)의 단면을 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 테이퍼진 형상으로 할 수 있다. 구멍(20a, 60a)을 크게 하면 배양액(L)과 반고체 배지(M)의 접촉면에서의 영양소와 노폐물의 확산을 보다 빠르게 할 수 있는데, 이때 구멍(20a, 60a)을 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 테이퍼진 형상으로 함으로써 반고체 배지(M)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식물 조직 배양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 자형 통기관(31) 대신에 1자형 통기관(31')이 커버(30)에 구비되고, 통기관(31')의 개구는 착탈 가능한 러버 캡(33)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통기관(31')이 러버 캡(33)에 의해 밀봉됨으로써 배양 환경을 고습도 상태를 만들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러버 캡(33)을 일시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배양 환경과 외부 간에 공기 및 습기가 교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식물 조직 배양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의 ∩ 자형 통기관(81) 대신에 1자형 통기관(81')이 제2 커버(80)에 구비되고, 통기관(81')의 개구는 착탈 가능한 러버 캡(83)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통기관(81')이 러버 캡(83)에 의해 밀봉됨으로써 배양 환경을 고습도 상태를 만들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러버 캡(83)을 일시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배양 환경과 외부 간에 공기 및 습기가 교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조직 배양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조직 배양 장치는, 외측 용기(10)의 주입배출구(10a)와 러버 실(11)이 생략되고 그 대신에, 외측 용기(10)의 측면 최하단에 주입배출구(10b)가 형성되고, 주입배출구(10b)에서 돌출 형성되는 돌출관(91), 일측이 돌출관(91)에 연결되는 플렉서블 튜브(92), 플렉서블 튜브(92)의 타측에 연결되는 주입배출관(93), 주입배출관(93)의 입구를 막기 위한 캡(9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주입배출구(10a)와 러버 실(11)을 가지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의하면, 여러 식물 조직 배양 장치마다 배양액(L)을 주입하거나 배출시킬 때, 오염을 피하기 위해 장치 별로 별도의 주사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는 주사기를 이용하지 않고 주입배출관(93)과 플렉서블 튜브(92)를 통해 오염 없이 간편하게 배양액(L)을 주입 및 배출할 수 있는 구조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외측 용기(10)에 주입배출관(93)을 걸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하여 주입배출관(93)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식물 조직 배양 장치는, 내측 용기(20)의 바닥면 아래에 부착되는,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기공을 가지는 멤브레인(25)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내측 용기(20) 안에 배지(M)를 넣는 과정은, 액체 상태(녹은 상태)의 배지(M)를 내측 용기(20)에 붓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내측 용기(20) 바닥의 구멍(20a)을 통해 배지(M)가 유출되지 않도록 내측 용기(20) 바닥에 멤브레인을 부착하여 구멍(20a)을 막은 상태에서 배지(M)를 붓고, 배지(M)가 냉각되어 반고체 상태가 된 다음 멤브레인을 제거할 수 있다. 그런데 멤브레인을 제거하는 과정은 수동으로 처리되어야 하므로 이 과정에서 오염이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내측 용기(20)의 바닥면에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기공을 가지는 멤브레인(25)을 부착하면 멤브레인(25)을 제거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 제거 과정에서 유발될 수 있는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멤브레인(25)이 없는 것이 배양액(L)과 반고체 배지(M) 간의 영양소와 노폐물의 확산에 보다 유리하다.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조직 배양 장치에서 주입배출관(93)과 플렉서블 튜브(92)를 통해 배양액(L)을 외측 용기(10)에 주입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배출관(93)을 세우고 캡(94)을 제거한 상태에서 주입배출관(93)의 입구에 배양액(L)을 원하는 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부으면 된다.
도 9는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조직 배양 장치에서 플렉서블 튜브(92)와 주입배출관(93)과 통해 배양액(L)을 외측 용기(10)로부터 배출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튜브(92)와 주입배출관(93)을 수평하게 혹은 그보다 더 아래로 내림으로써, 배양액(L)이 외측 용기(10)로부터 플렉서블 튜브(92)와 주입배출관(93)을 통해 바깥으로 빠져나오도록 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배양액을 저장하는 외측 용기; 및
    상기 외측 용기에 수용되는 내측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용기의 측면 및 바닥면은 상기 외측 용기의 내측면 및 내바닥면과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내측 용기의 하측 일부가 상기 배양액에 잠기도록 배치되고, 상기 내측 용기에는 반고체 배지가 저장되고, 상기 내측 용기의 바닥면에는 복수 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배양액이 상기 복수 개의 구멍을 통해 상기 반고체 배지에 스며들고,
    상기 외측 용기에 저장된 배양액 내에는 상기 내측 용기의 바닥면 아래에 자기 교반기(Magnetic Stirrer)의 자기 교반 막대가 배치되고,
    상기 자기 교반기의 동작에 따른 상기 자기 교반 막대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배양액이 상기 내측 용기 바닥면의 상기 복수 개의 구멍을 통해 상기 내측 용기 내로 진입하여 상기 반고체 배지 상의 식물 조직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배양액에 침지되고,
    상기 식물 조직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배양액에 일시적으로 침지되도록 상기 자기 교반기를 주기적으로 동작시키거나 상기 자기 교반기의 속도를 조절하는 자기 교반기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조직 배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용기의 측면 하단에는 상기 배양액의 주입 및 배출을 위한 주입배출구가 형성되되, 상기 주입배출구는 러버 실(rubber seal)로 밀봉되어 주사기를 이용하여 상기 러버 실을 통해 상기 배양액의 주입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조직 배양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용기를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배양액의 주입 및 배출을 위한 주입배출구가 형성되되, 상기 주입배출구는 러버 실(rubber seal)로 밀봉되어 주사기를 이용하여 상기 러버 실을 통해 상기 배양액의 주입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조직 배양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용기를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내측 용기와 외부 간의 통기를 위한 통기관이 구비되되, 상기 통기관은 외부로부터의 먼지나 이물질이 상기 내측 용기 내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 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조직 배양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관에는 먼지나 이물질을 차단하기 위한 필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조직 배양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용기의 측면에는 상기 외측 용기와 상기 내측 용기 간의 통기를 위한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조직 배양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용기를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내측 용기와 외부 간의 통기를 위한 통기관이 구비되며, 상기 통기관의 개구를 밀봉하는 착탈 가능한 러버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조직 배양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용기의 측면 최하단에는 상기 배양액의 주입 및 배출을 위한 주입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주입배출구에서 돌출 형성되는 돌출관;
    일측이 상기 돌출관에 연결되는 플렉서블 튜브;
    상기 플렉서블 튜브의 타측에 연결되는 주입배출관; 및
    상기 주입배출관의 입구를 막기 위한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조직 배양 장치.
KR1020190031194A 2019-03-19 2019-03-19 식물 조직 배양 장치 KR102255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194A KR102255887B1 (ko) 2019-03-19 2019-03-19 식물 조직 배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194A KR102255887B1 (ko) 2019-03-19 2019-03-19 식물 조직 배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476A KR20200111476A (ko) 2020-09-29
KR102255887B1 true KR102255887B1 (ko) 2021-05-25

Family

ID=72661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194A KR102255887B1 (ko) 2019-03-19 2019-03-19 식물 조직 배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588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41741A (ja) * 2005-05-30 2008-11-27 ノバルティス ヴァクシンズ アンド ダイアグノスティクス ゲーエムベーハー アンド カンパニー カーゲー バイオ技術処理用の発酵槽システム
KR101802908B1 (ko) * 2011-03-30 2017-11-29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막분취 배양기, 막분취 배양 키트, 이것을 사용한 줄기 세포 분취 방법, 및 분리막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35496B1 (fr) * 1995-06-15 1997-08-29 Chemodyne Sa Nouveau dispositif de culture de cellules et les tissus ainsi recolt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41741A (ja) * 2005-05-30 2008-11-27 ノバルティス ヴァクシンズ アンド ダイアグノスティクス ゲーエムベーハー アンド カンパニー カーゲー バイオ技術処理用の発酵槽システム
KR101802908B1 (ko) * 2011-03-30 2017-11-29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막분취 배양기, 막분취 배양 키트, 이것을 사용한 줄기 세포 분취 방법, 및 분리막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ISSERTATION, NAZMUL HUDA AL MAMUN, DOCTOR OF PHILOSOPHY IN MECHANICAL ENGINEERING,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MAY 2015
ENGINEERING IN LIFE SCIENCES, VOL.14(6), P.607_621, 201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476A (ko) 202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97753B2 (ja) 細胞培養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大容量自動化細胞培養器
US9845451B2 (en) Multilayered cell culture apparatus
ES2207616T3 (es) Dispositivo para realizar cultivos de tejidos vegetales o animales.
AU658079B2 (en) Cell culture insert
US4649118A (en) Cell culturing apparatus with improved stirring and filter means
KR100932861B1 (ko) 세포배양플라스크
JP6664692B2 (ja) 接着系細胞用の閉鎖系培養容器
EP1704222B1 (en) Cell cultivating flask
KR20060023543A (ko) 액체 표면 상에 지지되는 생물학적 물질 배양을 위한바이오리액터
JP6739273B2 (ja) シングルユース培養装置及び培養方法
WO2016157322A1 (ja) 閉鎖系培養容器、輸送方法、及び自動培養装置
US10077420B2 (en) Cell and tissue culture container
MX2013012473A (es) Recipiente para cultivo in vitro de material de plantas de inmersión temporal.
JP2006204263A (ja) 培養容器および培養方法
JPWO2015076115A1 (ja) 細胞培養容器及び細胞培養物収容済み容器
EP3604547A1 (en) Fixed-bed bioreactor with constant-flow pump/tubing system
KR102255887B1 (ko) 식물 조직 배양 장치
KR102146608B1 (ko) 표고버섯 배지 자동화 성형시스템
CN206462138U (zh) 一种便于组培操作的培养瓶
JP2016007170A (ja) 細胞培養容器
ES2611958B2 (es) Biorreactor tipo columna de burbujeo para cultivo de células vegetales en suspensión
US11089747B2 (en) Bioreactor
WO1996029856A1 (en) Heat sealed container and method of use in plant culture
KR100953518B1 (ko) 세포배양플라스크를 구비한 세포배양장치
US20230287319A1 (en) Petri di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