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5836B1 - 기계학습을 이용한 온라인 면접을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 Google Patents

기계학습을 이용한 온라인 면접을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5836B1
KR102255836B1 KR1020190005319A KR20190005319A KR102255836B1 KR 102255836 B1 KR102255836 B1 KR 102255836B1 KR 1020190005319 A KR1020190005319 A KR 1020190005319A KR 20190005319 A KR20190005319 A KR 20190005319A KR 102255836 B1 KR102255836 B1 KR 102255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view
applicant
image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2512A (ko
Inventor
이영복
유대훈
박주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네시스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네시스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네시스랩
Priority to KR1020190005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5836B1/ko
Publication of KR20200092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2512A/ko
Priority to KR1020210060087A priority patent/KR1023815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Q10/1053Employment or hi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계학습을 이용한 온라인 면접을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원하고자 하는 기관에서 설정한 질문에 대하여 피평가자가 온라인 면접 영상을 촬영하고, 피평가자의 영상에 대하여 기계학습을 이용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피평가자가 먼저 자신의 면접영상에 대한 자동평가를 확인한 후에, 기관에 면접영상을 제출할 수 있는 기계학습을 이용한 온라인 면접을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계학습을 이용한 온라인 면접을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Online Interview Providing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Using Machine Learning}
본 발명은 기계학습을 이용한 온라인 면접을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원하고자 하는 기관에서 설정한 질문에 대하여 피평가자가 온라인 면접 영상을 촬영하고, 피평가자의 영상에 대하여 기계학습을 이용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피평가자가 먼저 자신의 면접영상에 대한 자동평가를 확인한 후에, 기관에 면접영상을 제출할 수 있는 기계학습을 이용한 온라인 면접을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면접은 일반적으로 면접을 통해 평가를 받는 면접자 및 면접자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면접관으로 구성되며, 면접관의 질문과 면접자의 답변으로 진행되며 전체 질의응답에 대한 종합평가로 이루어진다.
면접은 질문 및 응답을 통해 면접자의 전문지식, 전문기술 혹은 정보활용능력 등의 하드 스킬(hard skill) 뿐만 아니라 면접자의 태도, 의사소통 능력 등의 소프트 스킬(soft skill) 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많은 구직자들이 면접 준비를 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 결과를 제공하기는 어려운 실정이고, 특히 소프트 스킬의 경우에는 다양한 면접관으로서의 경험이 있는 평가자만이 바른 평가를 내릴 수 있으며, 또한 현실적으로 오프라인에서 타인의 소프트 스킬적인 부분에 대해 지적을 하기는 어렵다.
또한, 소프트 스킬은 면접관의 주관적 경험과 직관에 따라 다르게 판단되는 영역으로서, 면접관에 따라 평가 기준 및 평가 방법 등이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면접관의 주관에 따라 달라지는 평가 방법에 의해 면접자의 소프트 스킬이 객관적으로 평가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소프트 스킬의 경우에는 다양한 요소가 존재하며, 이에 대한 결과를 제공하는 방식도 매우 중요하다. 단순히 외향적이다 혹은 내향적이다 정도의 평가가 아닌 면접준비자가 자신이 전체적으로 부족한 부분을 세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면접 중에 어느 시점에서 부족함이 있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나, 이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는 종래기술은 전무하다.
또한, 기존 비디오 면접 방식은 기업에서 질문을 제시하고 구직자가 온라인으로 비디오를 촬영하여 인사 담당자에게 전달하는 방식으로 진행이 된다.
구직자 입장에서는 단발성이기 때문에 여러 기업을 지원할 때 "자신을 소개해 주세요."와 같은 비슷한 질문을 받을 경우 각 기업마다 여러번 촬영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 소모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자신의 면접영상에 대한 피드백을 받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시간 비디오면접의 경우에는 해당 일정을 조율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또한 면접 진행 중에 컴퓨팅 시스템 및 통신 시스템의 문제로 면접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을 수 있고, 또한 이에 의하여 야기된 문제점을 면접자 자체가 확인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123377호 (동화상 온라인 면접 시스템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전송장치, 2005년 12월 29일 공개)에서는, 구직자에게 구인 회사별 채용정보를 제공함과 더불어 구인/구직을 위한 면접동영상이나 자기소개 동영상을 용이하게 제작하고 이를 다수의 구인회사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삭제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123377호 (동화상 온라인 면접 시스템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전송장치, 2005년 12월 29일 공개)
본 발명은 지원하고자 하는 기관에서 설정한 질문에 대하여 피평가자가 온라인 면접 영상을 촬영하고, 피평가자의 영상에 대하여 기계학습을 이용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피평가자가 먼저 자신의 면접영상에 대한 자동평가를 확인한 후에, 기관에 면접영상을 제출할 수 있는 기계학습을 이용한 온라인 면접을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비스서버에서 수행되는 기계학습을 이용한 온라인 면접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기관단말기에서 입력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질문세트를 업데이트하는 질문세트업데이트단계; 기설정된 질문세트 중 1 이상의 질문정보를 지원자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지원자단말기로부터 상기 질문정보에 응답을 수행한 면접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면접영상저장단계; 기계학습을 이용한 평가모델을 통하여 상기 면접영상에 대한 자동평가정보를 생성하는 면접영상평가단계; 상기 자동평가정보에 기초하여 지원자단말기에 자동평가결과를 제공하는 평가결과제공단계; 및 지원자단말기에서의 입력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가 지원하고자 하는 기관에 대한 면접영상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는 지원영상설정단계;를 포함하는, 기계학습을 이용한 온라인 면접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질문세트업데이트단계는, 기관으로 로그인한 기관단말기로부터 해당 기관에 대한 질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외부의 채용지원서버로부터 해당 지원자 및 해당 지원자가 지원한 기관에 대한 지원정보를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질문정보 및 상기 지원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지원자에 대한 질문세트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계학습을 이용한 온라인 면접을 제공하는 방법은, 외부의 채용지원서버로부터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수신한 해당 지원자 및 해당 지원자가 지원한 기관에 대한 지원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해당 지원자의 지원기관별 질문을 포함하는 질문세트에 대한 정보를 해당 지원자의 지원자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지원자단말기의 입력에 따라 면접영상을 촬영할 질문세트를 설정하는 질문세트설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평가결과제공단계에 의하여 제공되는 지원자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요소는, 상기 면접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영상레이어; 2 이상의 평가결과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는 카테고리레이어; 상기 2 이상의 평가결과 카테고리 중 선택된 평가결과 카테고리에 대한 자동평가결과가 디스플레이되는 자동평가결과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평가결과제공단계에 의하여 제공되는 지원자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요소는, 상기 면접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영상레이어; 상기 면접영상의 부분단위의 평가에 대한 요소를 디스플레이하는 자동평가결과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원영상설정단계는, 해당 지원자단말기로부터 지원기관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해당 지원자단말기로부터 해당 지원기관에서 등록한 1 이상의 질문사항 각각에 대한 해당 지원자의 면접영상 선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해당 지원자단말기의 지원자의 해당 기관에 대한 지원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원영상설정단계에 의하여 표시되는 지원자단말기의 화면은, 지원하고자 하는 기관의 목록을 표시하는 기관목록레이어; 선택된 기관의 1 이상의 질문사항을 표시하는 질문사항레이어; 및 해당 지원자가 저장한 면접영상을 표시하는 면접영상레이어;를 포함하고, 지원자단말기에서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면접영상레이어의 면접영상 중 어느 1 이상을 상기 질문사항레이어의 각각의 질문사항에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계학습을 이용한 온라인 면접을 제공하는 방법은, 지원영상제공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원영상제공단계는 해당 기관에 대해 지원을 한 지원자의 해당 기관에서 설정한 질문별 면접영상을 상기 기관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서비스서버에 의하여 구현되는 기계학습을 이용한 온라인 면접을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기관단말기에서 입력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질문세트를 업데이트하는 질문세트업데이트부; 기설정된 질문세트 중 1 이상의 질문정보를 지원자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지원자단말기로부터 상기 질문정보에 응답을 수행한 면접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면접영상저장부; 기계학습을 이용한 평가모델을 통하여 상기 면접영상에 대한 자동평가정보를 생성하는 면접영상평가부; 상기 자동평가정보에 기초하여 지원자단말기에 자동평가결과를 제공하는 평가결과제공부; 및 지원자단말기에서의 입력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가 지원하고자 하는 기관에 대한 면접영상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는 지원영상설정부;를 포함하는, 기계학습을 이용한 온라인 면접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기계학습을 이용한 온라인 면접을 제공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직자는 자신의 면접영상을 지원기관에 제출하기 전에 면접영상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받고, 평가에 기초하여 자신의 면접영상을 개선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직자가 전체적인 자신의 면접 평가뿐만 아니라 시간 혹은 프레임별 면접 평가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직자가 보다 직관적이고 분석적인 형태로 자신의 면접영상에 대한 평가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여러 기업을 지원할 때, 각각의 기업에 대한 질문에 대한 각각의 영상을 촬영하는 것이 아닌 유사한 취지의 질문에 대한 기존의 면접영상을 제출함으로써, 기관 지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관은 비디오로 구직자의 역량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고, 구직자는 최소한의 비용으로 자신의 가장 좋은 면접영상을 기관에 제출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관은 지원자의 최상의 상태만을 효율적으로 확인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면접을 제공하는 제공하는 방법의 전체적인 시스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서버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면접을 제공하는 방법의 전체적인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 따른 질문세트업데이트부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문세트설정부의 수행에 따른 지원자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접영상저장부의 수행에 따른 지원자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접영상평가부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결과제공부의 종합평가제공부의 수행에 따른 지원자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결과제공부의 성격특성제공부의 수행에 따른 지원자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결과제공부의 프레임별분석제공부의 수행에 따른 지원자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결과제공부의 프레임별분석제공부의 시선처리 결과제공 수행에 따른 지원자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결과제공부의 프레임별분석제공부의 머리움직임결과제공 수행에 따른 지원자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결과제공부의 프레임별분석제공부의 감정결과제공 수행에 따른 지원자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원영상설정부의 수행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원영상설정부의 동작에 따른 지원자단말기의 표시화면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원영상제공부의 동작에 따른 기관단말기의 표시화면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 (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면접을 제공하는 방법의 전체적인 시스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의 회원단말기는 전술한 사용자 단말에 해당할 수 있고, 서비스서버(1000)는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1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한다.
회원단말기는 상기 서비스서버(1000)에 웹브라우져 프로그램을 통하여 접속하거나 혹은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서비스서버(1000)에 접속할 수 있다.
회원단말기는 지원자 계정으로 로그인을 수행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지원자단말기 혹은 기관 계정으로 로그인을 수행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기관단말기에 해당할 수 있다.
지원자단말기는 서비스서버에서 지원하고자 하는 기관에 면접영상을 제출하면서, 해당 기관에 지원을 수행할 수 있다.
지원자단말기의 지원자는 아르바이트, 정규직, 기간제, 임시직 등의 직장을 구직하고자 하는 사람에 해당할 수 있고, 기관은 기업, 요식업 매장, 공공기관, 개인사업자 등의 정규직, 기간제, 임시직, 아르바이트직을 채용하고자 하는 기관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원자 및 기관은 위의 범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지원자의 경우 자신의 노동을 제공하고자 하는 사람을 모두 포함하고, 기관은 구인을 하고자 하는 개인, 기관을 모두 포함하는 광의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회원단말기는 사용자 각각의 계정으로 상기 서비스서버(1000)에 로그인하여 상기 서비스서버(1000)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회원단말기는 각각 상이한 형태의 계정, 예를 들어 지원자 타입의 계정 혹은 기관 타입의 계정으로 상기 서비스서버(1000)에 로그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및 기능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채용서비스서버는 한국의 사람인TM, 리쿠르트TM, 알바천국TM 등과 같은 채용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채용서비스서버에서는 지원자가 지원자로 로그인하고, 지원자는 기관의 구인 공고를 보고 지원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지원자가 기관의 구인 공고에 대한 지원을 수행한 후에, 온라인면접 및 상기 서비스서버에 대한 안내가 상기 채용서비스서버에서 제공이 되고, 상기 지원자는 SNS로그인 형태 등으로 상기 서비스서버에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서버는 상기 채용서비스서버로부터 지원자 및 지원자가 지원을 한 기관의 정보를 자동적으로 수집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채용서비스서버에서 지원자 및 기관의 매칭 혹은 지원이 이루어진 후에, 채용서비스서버에서 온라인면접에 대한 안내를 지원자가 확인하고, 안내의 링크를 클릭하여 서비스서버에 접속하고, SNS로그인 등으로 간편하게 서비스서버에 접속한 후에, 해당 기관에서 요구하는 질문들에 대한 온라인면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서비스서버(1000)의 구성에 대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서버(1000)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서비스서버(1000)는 기계학습을 이용한 면접준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개략적으로, 상기 회원단말기로부터 면접영상을 수신하고, 이에 대한 평가정보를 제공함으로 상기 회원단말기의 사용자는 자신의 면접영상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회원단말기는 전술한 지원자단말기일 수 있다.
상기 서비스서버는 질문세트설정부(1100), 면접영상저장부(1200), 면접영상평가부(1300), 평가결과제공부(1400), 온라인면접부(1500), 및 DB(1600)를 포함할 수 있다.
질문세트설정부(1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질문세트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질문세트설정부(1100)는 로그인 한 지원자가 지원한 기관에 따른 질문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는 해당 질문들에 기초하여 질문세트를 구성할 수 있다. 혹은, 지원한 해당 기관에서 요구하는 질문세트 자체를 온라인 면접을 수행할 질문세트로 선택할 수도 있다.
혹은, 사용자는 자신의 지원이력과 관계없이 기본적으로 주어지는 공통질문 중에서 질문세트를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지원자가 복수의 기관에 지원하는 경우에 일반적으로 동일한 질문에 대한 면접영상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혹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지원하고자 하는 기관에 대한 정보를 단계적으로 입력하고, 상기 서비스서버(1000)는 해당 기관에 대한 정보에 상응하는 질문(기업 혹은 기업 종류의 면접에서 출제되거나 혹은 출제될 수 있는 질문)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질문세트설정부(1100)는 사용자에게 기관의 종류(예를 들어, 기업, 공공기관 등), 기업의 명칭(예를 들어, 삼성전자, 한국은행), 직군(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직, 관리직)을 단계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에 따른 질문들을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사용자는 제시된 질문들에 대하여 선택을 수행하여 자신이 온라인면접을 수행할 질문세트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서버(1000)는 전술한 구인을 하고자 하는 기관단말기로부터 질문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고, 이에 따라 해당 기관에 대해 지원을 하고자 하는 지원자들에 대한 질문세트를 DB에 저장해놓을 수 있다.
혹은, 상기 서비스서버(1000)은 각각의 기업, 직군 등의 지원정보에 상응하는 질문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응하는 질문 리스트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주요 기업, 혹은 주요 기관에서의 질문을 확인하고 자신이 온라인 면접을 수행하기 위한 질문세트를 스스로 만들어낼 수도 있다.
위와 같은 방법들에 의하여, 상기 질문세트설정부(1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면접영상저장부(1200)에 의한 영상촬영을 위한 질문들을 포함하는 질문세트를 설정한다.
이후, 후술하는 면접영상저장부(1200)에는 질문세트에 포함된 질문을 순차적으로 혹은 무작위로 추출하여 이를 회원단말기에 전송하고, 회원단말기에서 사용자는 해당 질문을 파악한 후에, 이에 대한 응답영상을 회원단말기로 기록하여, 서비스서버(1000)로 전송한다.
혹은, 면접영상저장부(1200)는 질문세트에 포함된 질문 중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결정된 특정 질문에 대해서만 회원단말기에 전송하고, 회원단말기에서 사용자는 해당 질문을 파악한 후에, 이에 대한 응답영상을 회원단말기로 기록하여, 서비스서버(1000)로 전송한다.
면접영상저장부(1200)는 기설정된 질문세트 중 1 이상의 질문정보를 지원자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지원자단말기로부터 상기 질문정보에 응답을 수행한 면접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상기 질문정보는 질문텍스트, 질문음성, 및 질문영상 중 1 이상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면접영상저장부(1200)는 지원자단말기에서는 질문정보에 따른 질문이 단말기에서 표시 혹은 재생이 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지원자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 및 마이크에 의하여 촬영된 면접영상을 지원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면접영상에 대한 식별자와 함께 DB(1600)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원자단말기에서 자신이 지원하고자 하는 기관의 질문세트를 선택하고, 이에 대한 면접영상 촬영 입력을 함에 따라, 상기 면접영상저장부(1200)이 실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기관에서 상기 서비스서버에 제공 혹은 업로드한 해당 기관에 대한 설명자료, 구체적으로 설명텍스트, 설명음성, 및 설명영상 중 1 이상이 디스플레이된 후에, 지원자단말기에 질문이 표시 혹은 재생이 된다. 바람직하게는, 설명영상의 경우에는 지원한 기관의 근무환경을 보여주는 영상 혹은 고용자, 상사가 촬영한 영상에 해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보다 지원자는 해당 기관의 세부 사항을 파악할 수 있으며 해당 면접의 문맥 및 맥락을 파악한 후에, 질문에 대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면접영상평가부(1300)는 기계학습을 이용한 평가모델을 통하여 상기 면접영상에 대한 자동평가정보를 생성한다.
즉, 서비스서버(1000)는 상기 면접영상을 수신한 후에, 평가모델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평가를 수행하고, 이를 통하여 자동평가정보를 생성한다. 자동평가정보는 호감도, 집중도, 신뢰감, 활기참, 침착성, 소통능력, 눈마주침, 친절함, 습관어 사용여부, 및 유쾌함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면접과 관련된 종합평가 요소; 및 개방성, 성실성, 외향성, 친화성, 및 신경성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성격특징; 시선처리, 머리움직임, 음성높낮이, 음성높낮이, 음성크기, 및 감정 중 1 이상의 특징에 대한 정량적 정보 중 1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평가모델은 1 이상의 딥러닝 기반의 학습된 인공신경망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평가모델은 학습된 인공신경망 모듈뿐만 아니라 기설정된 규칙에 기반한 평가모듈을 복합적으로 이용하는 형태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평가결과제공부(1400)는 상기 자동평가정보에 기초하여 지원자단말기에 자동평가결과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평가결과제공부(1400)는 자동평가정보 혹은 상기 자동평가정보가 가공된 형태의 데이터(자동평가정보가 반영된 인터페이스 구현과 관련된 데이터)를 상기 회원단말기에 전송하고, 회원단말기의 웹브라우져 및 전용애플리케이션에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평가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평가결과제공부(1400)는 호감도, 집중도, 신뢰감, 활기참, 침착성, 소통능력, 눈마주침, 친절함, 습관어 사용여부, 및 유쾌함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면접과 관련된 종합평가 요소를 제공하는 종합평가제공부(1410); 개방성, 성실성, 외향성, 친화성, 및 신경성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성격특징 요소를 제공하는 성격특성제공부(1420); 및 시선처리, 머리움직임, 음성높낮이, 음성높낮이, 음성크기, 및 감정 중 1 이상의 요소를 면접영상의 부분단위 별로 제공하는 프레임별분석제공부(143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별분석제공부(1430)는 면접영상의 부분단위, 예를 들어 프레임, 프레임구간, 시간, 시간구간별에 따른 특성 평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프레임별분석제공부'의 용어에서 프레임은 단일 프레임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면접영상의 부분단위임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온라인면접부(1500)은 질문세트업데이트부(1510), 지원영상설정부(1520), 및 지원영상제공부(1530)을 포함한다.
질문세트업데이트부(1510)는 기관단말기에서 입력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질문세트를 업데이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해당 기관에서 기관단말기로 서비스서버에 로그인을 하여, 자신의 기관에 지원하고자 하는 지원자에 대한 온라인면접에서 표시될 질문들을 입력할 수 있다.
이후, 지원자는 상기 질문세트설정부의 동작에 의하여 해당 기관의 질문세트를 자신이 면접영상을 촬영할 질문세트로 설정하고, 면접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혹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질문세트업데이트부(1510)는 상기 채용서비스서버로부터 해당 지원자의 지원정보(어느 기관에 지원한 지 여부)를 자동적으로 수신하거나 혹은 상기 서비스서버에서 해당 지원자가 지원하고자 하는 기관에 대한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해당 지원자가 지원하고자 하는 해당 기관에서 설정한 질문세트를 해당 지원자의 계정에 할당 혹은 설정한다.
이후, 해당 지원자는 질문세트설정부(1100)의 동작에 의하여 지원하고자 하는 기관의 질문을 확인하고, 이로부터 면접영상을 촬영할 질문들을 선택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상기 질문세트업데이트부(1510)는 기관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기관의 질문세트를 설정하거나, 및/또는 이와 같이 설정된 해당 기관의 질문세트를 지원자의 정보 혹은 입력에 따라 할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지원영상설정부(1520)은 지원자단말기에서의 입력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가 지원하고자 하는 기관에 대한 면접영상에 대한 정보를 설정 혹은 업로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지원영상제공부(1530)은 해당 기관에 대해 지원을 한 지원자의 해당 기관에서 설정한 질문별 면접영상을 상기 기관단말기에 제공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서비스서버(1000)는 도시된 구성요소 외의 다른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온라인 면접을 제공하는 방법과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을 표시하였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면접을 제공하는 방법의 전체적인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단계 S10에서는, 기관단말기에서 서비스서버에 질문정보를 입력한다. 여기서 질문정보는 해당 기관에서 온라인 면접시 대답을 원하는 질문에 대한 정보이고, 이는 텍스트, 음성, 및 동영상 중 1 이상의 형태에 해당할 수 있다.
단계 S11에서는, 상기 서비스서버는 상기 기관단말기의 입력에 따라서 해당 기관에 대한 질문세트를 설정한다. 이 절차를 통하여, 서비스서버는 상기 서비스서버를 이용하여 온라인면접을 수행하고자 하는 기관들 각각에 대한 질문세트를 저장할 수 있다.
단계 S12에서는, 상기 서비스서버는 상기 지원자단말기로부터 질문세트설정정보입력을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지원자의 서비스서버에서의 기관에 대한 지원 입력 혹은 채용서비스서버로부터 수신한 지원자의 지원정보에 기초하여 지원자가 지원을 한 기관의 질문세트를 포함한 다양한 질문세트를 상기 지원자단말기에 제공하고, 이에 대해 지원자단말기에서 선택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선택입력이 단계 S12에서의 질문세트설정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혹은, 단계 S12에서는 1 이상의 기저장된 질문을 지원자에게 제시하고, 지원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1 이상의 질문을 질문세트로 설정할 수도 있다.
단계 S13에서는 상기 지원자단말기의 질문세트설정정보에 따라 면접영상을 촬영할 질문세트를 설정한다.
이와 같이 설정된 질문세트는 1 이상의 질문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4에서는, 상기 서비스서버는 지원자단말기에 질문정보를 제공하고, 단계 S15에서는, 상기 지원자단말기는 해당 질문정보에 대한 면접영상을 촬영하여 이를 서비스서버에 전송한다.
단계 S16에서는 상기 서비스서버는 수신한 면접영상을 저장하고, 단계 S17에서는 수신한 면접영상에 대해 자동화된 평가모델을 이용하여 평가를 수행한다.
단계 S18에서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상기 서비스서버는 평가결과를 제공한다. 이후, 단계 S19에서는 지원자는 자신의 단말기에서 자신이 촬영한 면접영상들에 대한 평가 결과들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평가 결과들을 확인하고, 다시 S14 내지 S19 과정을 거쳐서 새로운 영상의 촬영 및 평가결과 확인을 함으로써 보다 자신의 면접영상을 개선할 수 있다.
단계 S20에서는, 지원자단말기에서 자신이 지원하고자 하는 기업에 대하여 자신의 면접영상을 제출할 수 있다. 단계 S20에서의 지원정보는 일 실시예에서는, 자신이 지원하고자 하는 기업 및 자신이 제출하고자 하는 면접영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원정보는 자신이 지원하고자 하는 기업, 기업에서 요구하는 질문 각각에 대한 자신이 제출하고자 하는 면접영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1에서는 지원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지원정보에 따라서 지원영상설정과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지원자가 상기 서비스서버에 저장된 자신의 면접영상을 해당 기관 혹은 해당 기관의 질문에 대하여 설정, 제출, 혹은 공유를 하는 설정입력을 함으로써(S20), 서비스서버에서는 해당 지원자의 면접영상을 지원한 기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한 영상에 대한 공유 등의 설정을 수행한다(S21).
혹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지원자가 자신의 단말기에 저장된 자신의 면접영상을 해당 기관 혹은 해당 기관의 질문에 대하여 실제로 업로드 함으로써(S20), 서비스서버에서는 해당 지원자의 면접영상을 지원한 기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한 영상에 대한 공유 등의 설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S21).
상기 단계 S21이 완료된 후, 단계 S22에서는 상기 기관단말기의 요청에 따라서 지원자가 제출한 면접영상인 지원영상을 제공하고, 기관단말기에서는 해당 지원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직자는 자신의 면접영상을 지원기관에 제출하기 전에 면접영상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받고, 평가에 기초하여 자신의 면접영상을 개선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면접영상을 촬영한 후에, 이에 대한 자동평가정보를 확인하고, 이 중 평가정보가 양호한 영상을 선별하여 지원기관에 제출할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의 최상의 상태에서의 면접영상을 지원기관에 제출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여러 기업을 지원할 때, 각각의 기업에 대한 질문에 대한 각각의 영상을 촬영하는 것이 아닌 유사한 취지의 질문에 대한 기존의 면접영상을 제출함으로써, 기관 지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 따른 질문세트업데이트부(1510)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의 (A)에서는 기관단말기가 서비스서버의 질문세트업데이트부(1510)에 질문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여기서 질문정보는 해당 기관이 면접자에게 요구할 수 있는 질문정보로서, 예를 들어, “자기소개를 해보세요”, “자신의 장점은 무엇인가요?”, “과거 유사 직무에 대한 경험을 이야기해주세요” 정도의 질문이 될 수 있고, 이는 텍스트, 음성, 동영상의 형태로도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질문정보는 기관의 설명자료, 구체적으로 설명텍스트, 설명음성, 및 설명영상 중 1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설명자료는 지원한 기관의 근무환경, 예를 들어 아르바이트인 경우에는 해당 매장의 환경을 보여주는 영상 혹은 고용자, 상사가 촬영한 영상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면접지원자가 해당 질문세트에 대한 면접영상을 촬영하는 경우에, 질문이 제공되기 전에, 상기 설명자료가 상기 지원자단말기에서 재생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보다 지원자는 해당 기관의 세부 사항을 파악할 수 있으며 해당 면접의 문맥 및 맥락을 파악한 후에, 질문에 대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도 4의 (A)의 단계를 통하여 각각의 기관별 질문세트가 상기 서비스서버에 저장되게 된다.
이후,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채용서비스서버로부터 상기 질문세트업데이트부(1510)가 지원정보(해당 지원자가 어느 기관에 지원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수신하고, 지원한 기관에 대한 정보 및 도 4의 (A)에서 입력된 기관별 질문세트에 기초하여 지원자별 질문세트를 설정하고, 이후 지원자는 질문세트설정부(1100)에 의한 화면에서 자신이 지원한 기관에 대한 질문세트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해당 기관의 질문 전체에 대해 면접영상을 촬영하거나 혹은 일부 질문에 대해서 면접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혹은, 이후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지원자가 상기 서비스서버에 자신이 지원하고자 하는 기관에 대한 정보인 지원기관정보를 입력하고, 지원한 기관에 대한 정보 및 도 4의 (A)에서 입력된 기관별 질문세트에 기초하여 지원자별 질문세트를 설정하고, 이후 지원자는 질문세트설정부(1100)에 의한 화면에서 자신이 지원한 기관에 대한 질문세트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해당 기관의 질문 전체에 대해 면접영상을 촬영하거나 혹은 일부 질문에 대해서 면접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즉, 상기 질문세트업데이트부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관으로 로그인한 기관단말기로부터 해당 기관에 대한 질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도 4의 (B) 혹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채용지원서버로부터 해당 지원자 및 해당 지원자가 지원한 기관에 대한 지원정보를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질문정보 및 상기 지원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지원자에 대한 질문세트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문세트설정부(1100)의 수행에 따른 지원자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질문세트는 회원의 계정 마다 생성, 및 관리될 수 있다. 도 5의 (A)는 질문세트설정부(1100)에 의한 초기 회원단말기의 표시화면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질문세트설정부(1100)은 외부의 채용지원서버로부터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수신한 해당 지원자 및 해당 지원자가 지원한 기관에 대한 지원정보 혹은 서비스서버에서의 지원자의 기관에 대한 지원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해당 지원자의 지원기관별 질문을 포함하는 질문세트에 대한 정보를 해당 지원자의 지원자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지원자단말기의 입력에 따라 면접영상을 촬영할 질문세트를 설정할 수 있다.
도 5의 (A)에서는 해당 계정의 사용자의 이미 생성되거나 혹은 초기에 주어지는 질문세트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도 5의 (A)의 1번째 박스는 사용자가 질문세트를 생성하기 위한 선택박스에 해당하고, 2번째 박스는 사용자에게 무작위로 질문을 추출하여 이에 대한 질문세트를 생성하기 위한 선택박스에 해당하고, 3번째 박스 및 4번째 박스는 공통적으로 사용자에게 초기에 주어지는 질문세트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도 5의 (A)의 5번째 및 6번째 질문세트는 채용서비스서버로부터 수신하거나 혹은 지원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지원기관에 대한 질문세트에 해당한다.
사용자는 채용서비스서버 혹은 서비스서버에 자신이 지원하고자 하는 기관의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에, 상기 질문세트업데이트부(1510)는 해당정보에 기초하여 지원자 별로 질문세트를 생성하고, 이를 질문세트설정부(1100)의 동작에 의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각각의 질문세트 박스를 클릭하여 자신이 면접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 질문을 선택하고, 이에 따른 면접영상저장부(120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질문세트의 정보는 해당 질문세트의 질문, 질문세트의 식별정보, 및 질문세트의 생성일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첫 번째 박스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질문세트를 생성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요소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두 번째 박스에서와 같이 무작위로 질문세트를 생성하고, 바로 면접영상저장부(1200)가 실행되는 인터페이스 요소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5의 (B)는 상기 질문세트설정부(1100)에 의하여 제공되는 회원단말기의 (A)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첫 번째 박스를 입력했을 때의 화면을 도시한다.
도 5의 (B)의 상단레이어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대분류(기관 종류), 중분류(기관의 명칭), 및 소분류(기관에서의 직군)을 선택할 수 있다.
이후, 도 5의 (B)의 중단레이어에서는 질문은행 및 내가 만든 질문을 선택할 수 있고, 질문은행을 선택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선택한 대분류, 중분류, 및 소분류에 따른 서비스서버(1000)에 기저장된 질문들이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질문들에 대해 입력(예를 들어 클릭)을 하면서, 현재 설정하고자 하는 질문세트에 질문을 추가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추가된 질문은 좌측레이어에 표시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자신이 연습하고자 하는 질문들을 포함하는 질문세트를 편리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접영상저장부(1200)의 수행에 따른 지원자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면접영상저장부(12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질문세트 혹은 질문세트에 포함된 질문을 회원단말기에 전송하고, 회원단말기에서는 도 6의 (A), (B)의 과정이 수행된 이후에, 촬영된 면접영상을 서비스서버(1000)에 전송하고, 이후 서비스서버(1000)는 수신한 면접영상을 저장한다.
도 6의 (A)에서는 현재 촬영 영상에서 질문이 표시되면서, 카운트다운을 하는 디스플레이요소가 표시된다. 구체적으로 도 6의 (A)의 '7'은 7초 후에 영상촬영이 진행됨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표시이다.
도 6의 (B)에서는 도 6의 (A) 화면이 끝나고 영상촬영이 진행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6의 (B)에서는 사용자는 이전 화면에서의 질문에 대한 대답을 수행하고, 회원단말기에서는 이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여 서비스서버(1000)로 전송한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접영상평가부(1300)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면접영상평가부(1300)는 학습된 평가모델을 이용하여 해당 면접영상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다.
면접영상평가부(1300)는 면접영상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다양한 평가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가모듈은 딥러닝 기반의 학습된 평가모델에 기초하여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평가모듈에 해당하거나 혹은 학습이 아닌 기설정된 루틴 혹은 알고리즘에 따라 특징정보(예를 들어 시선의 위치)를 도출하고, 도출된 특징정보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평가모듈에 해당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영상으로부터 태도, 감정 등을 학습된 딥러닝 기반 모델을 통하여 도출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다수의 논문 및 특허들이 존재하고, 본 발명의 면접영상평가부(1300)는 평가방법에 있어서 특정한 방법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면접영상평가부(1300)는 기본적으로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포함하는 면접영상을 입력받고 딥러닝과 같은 기계학습기술을 통한 학습된 평가모델을 통하여 자동평가정보를 도출한다.
또한, 이에 추가적으로, 상기 면접영상평가부(1300)는 기계학습이 아닌 기설정된 규칙에 따라 영상을 분석하고, 특정 평가값들을 도출할 수도 있다.
상기 면접영상평가부(1300)를 구성하는 평가모듈들은 동영상인 면접영상으로부터 음성 및 영상 정보를 추출하여 이를 각각 평가모듈에 입력하여 결과값을 도출하거나 혹은 음성 및 영상 정보를 종합하여 평가모듈에 입력하여 결과값을 도출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모델을 이용한 면접영상평가부(1300)의 평가모듈은 입모양을 통한 말하는 상태 여부를 추론하고, 이를 고려하여 면접영상의 피평가자를 평가하는 모델을 포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편접영상평가부의 특정 평가모듈은 면접영상에 포함된 얼굴 중에 입모양 부분을 별도로 검출하고 RNN, LSTM, GRU와 같은 시간적 개념이 포함된 인공 신경망 기술을 이용하여 말을 하고 있는 상태인지 아닌지를 구분하는 모델을 포함하고, 이러한 정보를 기초하여 영상 정보와 음성 정보에 대해 어느 정도로 가중치로 평가에 영향을 줄 것인지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이와 같은 가중치에 대해서도 학습하도록 모델을 구성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구성에서 면접영상에서 입모양을 통해 피평가자 혹은 화자가 말하는 상태가 아닌 경우 자동으로 영상 정보를 좀 더 중요하게 처리(일반 상태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고 음성 정보를 덜 중요하게 처리(일반 상태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면접영상평가부(1300)는 면접영상의 복수의 프레임에서의 사용자의 시선의 복수의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상기 평가결과제공부(1400)에 의하여 회원단말기에서 시선의 위치현황 및 시선의 이동현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면접영상평가부(1300)는 면접영상의 복수의 프레임에서의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추출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상기 평가결과제공부(1400)에 의하여 회원단말기에서 머리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면접영상평가부(1300)는 면접영상의 복수의 프레임에서의 음성높낮이, 음성크기 등의 음성의 소리적 특성값을 추출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평가결과제공부(1400)에 의하여 회원단말기에서 음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면접영상평가부(1300)는 면접영상의 구간별로 감정요소들의 세기를 추출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평가결과제공부(1400)에 의하여 회원단말기에서 감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딥러닝으로 학습된 인공신경망에 의한 평가모듈이 이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결과제공부(1400)의 종합평가제공부(1410)의 수행에 따른 지원자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평가결과제공부(1400)는 회원단말기에서의 입력에 따라서 다양한 평가화면을 회원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회원단말기에서의 입력에 따라 종합평가를 제공하는 화면(도 8의 L3의 AI 종합을 사용자가 입력한 경우)을 도시한다.
상기 평가결과제공단계에 의하여 제공되는 지원자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요소는, 상기 면접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영상레이어(L1); 상기 면접영상에 대한 식별정보, 날짜, 설명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는 영상정보레이어(L2); 2 이상의 평가결과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는 카테고리레이어(L3); 상기 2 이상의 평가결과 카테고리 중 선택된 평가결과 카테고리에 대한 자동평가결과가 디스플레이되는 자동평가결과레이어(L4, L5, L6)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레이어(L1)에서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면접영상이 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카테고리레이어(L3)에서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평가결과 카테고리가 변경되면서, 제공화면이 전환된다. 카테고리레이어(L3)의 'AI종합'은 종합평가제공부(1410)에 의한 평가결과를 제공하는 것을 지칭하고, '성격특성'은 성격특성제공부(1420)에 의한 평가결과를 제공하는 것을 지칭하고, '프레임별분석'은 프레임별분석제공부(1430)에 의한 평가결과를 제공하는 것을 지칭한다.
즉, 상기 평가결과제공단계에 의하여 제공되는 지원자단말기에서의 화면은, 상기 면접영상 전체에 대한 평가에 대한 요소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화면(종합평가제공부(1410) 혹은 성격특성제공부(1420)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도 8, 7의 화면) 및 상기 면접영상의 부분단위의 평가에 대한 요소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화면(프레임별분석제공부(1430)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도 10 내지 도 13의 화면)을 포함한다.
도 8의 자동평가결과레이어(L4, L5, L6 가 이에 해당할 수 있음)에는 복수의 평가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자동평가정보에 기초한 평가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복수의 평가정보는 호감도, 집중도, 신뢰감, 활기참, 침착성, 소통능력, 눈마주침, 친절함, 습관어 사용여부, 및 유쾌함 중 1 이상에 대한 정량화된 수치; 및 상기 정량화된 수치로부터 기초한 종합평가점수, 등급정보, 및 추천지수; 및 상기 평가정보들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작성된 텍스트평가정보를 포함한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결과제공부(1400)의 성격특성제공부(1420)의 수행에 따른 지원자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평가결과제공부(1400)는 회원단말기에서의 입력에 따라서 다양한 평가화면을 회원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도 9은 회원단말기에서의 입력에 따라 성격특성평가를 제공하는 화면(도 9의 L3의 성격특성을 사용자가 입력한 경우)을 도시한다.
상기 평가결과제공단계에 의하여 제공되는 지원자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요소는, 상기 면접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영상레이어(L1); 상기 면접영상에 대한 식별정보, 날짜, 설명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는 영상정보레이어(L2); 2 이상의 평가결과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는 카테고리레이어(L3); 상기 2 이상의 평가결과 카테고리 중 선택된 평가결과 카테고리에 대한 자동평가결과가 디스플레이되는 자동평가결과레이어(L7)을 포함한다.
도 9의 자동평가결과레이어(L7)에는 복수의 평가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자동평가정보에 기초한 평가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복수의 평가정보는 개방성, 성실성, 외향성, 친화성, 및 신경성 중 1 이상의 성격특성에 대한 정량 혹은 등급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결과제공부(1400)의 프레임별분석제공부(1430)의 수행에 따른 지원자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상기 평가결과제공부(1400)의 프레임별분석제공부(1430)에 의하여 표시되는 지원자단말기의 화면의 일 실시예에서의 디스플레이요소는, 상기 면접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영상레이어(L1); 상기 면접영상에 대한 식별정보, 날짜, 설명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는 영상정보레이어(L2); 2 이상의 평가결과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는 카테고리레이어(L3); 및 상기 면접영상의 부분단위의 평가에 대한 요소를 디스플레이하는 자동평가결과레이어(L7)를 포함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상레이어(L1)에는 면접영상, 및 면접영상의 시간 혹은 프레임의 위치를 표시하는 영상타이밍요소(E1)가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자동평가레이어(L7)에는 면접영상의 시간 혹은 프레임에 따른 평가요소에 대한 정량화된 수치를 그래프로 표시하는 그래프요소, 및 상기 그래프요소의 시간 혹은 프레임위치를 표시하는 그래프타이밍요소(E2)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10의 자동평가레이어(L7)에는 시간 혹은 프레임의 흐름에 따른 평가지표의 그래프가 도시된다. 이를 통하여 자신이 전체적으로 해당 평가지표를 일관되게 유지하였는지 혹은 어느 타이밍에 문제가 있었는지 혹은 어느 타이밍에 잘 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원자단말기에서의 입력에 따라 상기 영상타이밍요소가 변하는 경우에, 예를 들어, 영상타이밍요소(E1)을 사용자가 클릭하여 드래그하는 경우에, 상기 영상타이밍요소(E1)의 변화에 상응하여 상기 그래프타이밍요소(E2)가 변화할 수 있다.
혹은, 지원자단말기에서의 입력에 따라 상기 그래프타이밍요소(E2)가 변하는 경우에, 상기 그래프타이밍요소(E2)의 변화에 상응하여 상기 영상타이밍요소(E1)가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동평가레이어(L7)에서 특정 구간에서 해당 평가지표가 낮거나 불안하게 나오는 경우에, 해당 구간으로 그래프타이밍요소(E2)를 이동시킨다. 이 경우, 상기 영상레이어에서의 영상타이밍요소(E1)이 이동한 상기 그래프타이밍요소(E2)의 위치에 상응하는 타이밍 혹은 프레임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사용자는 이 상태에서 영상의 플레이 입력을 함으로써, 해당 구간에서의 자신의 영상을 바로 파악할 수 있다.
도 10의 (A) 및 (B)는 위와 같은 그래프타이밍요소(E2)와 영상타이밍요소(E1)의 연동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의 (B)에서와 같이 그래프타이밍요소(E2)를 특정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영상타이밍요소(E1)이 상기 그래프타이밍요소(E2)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결과제공부(1400)의 프레임별분석제공부(1430)의 시선처리 결과제공 수행에 따른 지원자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전술한 면접영상평가부(1300)에 의하여 도출된 상기 자동평가정보는 면접영상의 복수의 프레임에서의 사용자의 시선의 복수의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면접영상평가부(1300)는 사용자의 눈의 이미지 정보 등을 고려하여 프레임별 혹은 특정 시간구간별 시선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도출한다.
이후,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평가결과제공부(1400)의 프레임별분석제공부(1430)는 시선처리 결과제공을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공되는 지원자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요소는 자동평가레이어(L7)에서 도시되는 시간구간 혹은 프레임구간에 따른 시선의 위치, 변동량, 혹은 시선처리의 적합성 정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선처리 결과제공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은 시선처리의 누적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시선정보레이어(L8) 및 시선처리 결과에 대한 설명을 디스플레이하는 시선정보설명레이어(L9)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선정보레이어(L8)에는 시선의 중심을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표시하는 배경레이어에서 상기 사용자의 시선의 복수의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배경레이어에서의 위치가 결정되는 복수의 그래픽엘리먼트가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는 자동평가레이어(L7)을 통하여 시간에 따른 시선의 변화 정보를 확인하면서, 동시에 시선정보레이어(L8)을 통하여 자신의 시선이 평균적으로 어디에 위치하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동평가레이어(L7)에서 시선변동이 심한 프레임 혹은 타이밍을 확인하고, 이에 따라 그래프타이밍요소(E2)를 해당 타이밍으로 위치시키면, 영상레이어(L1)에서의 영상타이밍요소(E1)이 상응하는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하고, 사용자는 단순히 영상재생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시선변동이 심할 때의 자신의 모습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결과제공부(1400)의 프레임별분석제공부(1430)의 머리움직임결과제공 수행에 따른 지원자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전술한 면접영상평가부(1300)에 의하여 도출된 상기 자동평가정보는 면접영상의 복수의 프레임에서의 사용자의 머리움직임의 정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면접영상평가부(1300)는 사용자의 머리 이미지 정보 등을 고려하여 프레임별 혹은 특정 시간구간별 머리움직임의 정도에 대한 정보를 도출한다.
이후,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평가결과제공부(1400)의 프레임별분석제공부(1430)는 머리움직임 결과제공을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공되는 지원자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요소는 자동평가레이어(L10)에서 도시되는 시간구간 혹은 프레임구간에 따른 머리의 평균 위치, 머리의 평균 높이, 혹은 머리움직임의 정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는 자동평가레이어(L10)을 통하여 시간에 따른 머리움직임과 관련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동평가레이어(L10)에서 머리움직임이 심한 프레임 혹은 타이밍을 확인하고, 이에 따라 그래프타이밍요소(E2)를 해당 타이밍으로 위치시키면, 영상레이어(L1)에서의 영상타이밍요소(E1)이 상응하는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하고, 사용자는 단순히 영상재생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머리움직임이 심할 때의 자신의 모습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결과제공부(1400)의 프레임별분석제공부(1430)의 감정결과제공 수행에 따른 지원자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평가결과제공부(1400)의 프레임별분석제공부(1430)는 감정 변화에 대한 결과제공을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공되는 지원자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요소는 시간구간 혹은 프레임구간에 따른 감정의 그래프를 포함하는 감정레이어(L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정레이어(L11)에는 시간구간 혹은 프레임구간에 따라 각각의 감정, 예를 들어, 화남, 두려움, 놀람 등의 정도가 도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감정레이어(L11)에는 각각의 감정에 대한 색상을 달리하여 그래프를 도시하고, 각각의 감정의 색상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정종합레이어(L12)에는 영상 전체의 감정요소에 대한 정보가 도시되고, 바람직하게는 도 13에서와 같이 그래픽 요소에 의하여 각각의 감정요소의 비율을 도시한다.
위와 같은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는 면접 동안 타인에게 자신이 어떤 감정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보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감정레이어(L11)에서 특정 감정이 강하거나 약했던 프레임 혹은 타이밍을 확인하고, 이에 따라 그래프타이밍요소(E2)를 해당 타이밍으로 위치시키면, 영상레이어(L1)에서의 영상타이밍요소(E1)이 상응하는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하고, 사용자는 단순히 영상재생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특정 감정이 강하거나 약했던 때의 자신의 모습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원영상설정부의 수행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서비스서버에서 지원자는 자신의 면접영상에 대한 평가를 확인하고, 자신이 지원하고자 하는 기관에 대해 자신의 면접영상을 기관에서 볼 수 있도록 제출 혹은 설정을 함으로써, 온라인면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면접영상저장부(1200) 및 면접영상평가부(1300)의 동작에 따라서, 지원자는 면접영상을 복수개 촬영하고, 이에 대한 자동평가를 보고 다시 자신의 면접방식을 개선하고, 다시 면접영상을 촬영함으로써 자신의 면접역량을 강화하면서, 개선된 면접영상을 확보할 수 있다.
이후, 지원자는 자신이 지원하고자 하는 기관에 대하여 자신의 면접영상을 제공, 제출 혹은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지원하고자 하는 기관에서 특별히 요청하는 질문세트가 없는 경우에는 자신의 면접영상만을 지원하고자 하는 기관에 제출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지원자는 자신이 지원하고자 하는 기관에서 요구하는 질문 각각에 대하여 면접영상을 제출함으로써 온라인면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과 관련하여, 상기 지원영상설정부는 해당 지원자단말기로부터 지원기관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S30); 해당 지원자단말기에 대하여 지원기관에서 등록한 1 이상의 질문사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31); 지원자단말기로부터 해당 지원기관에서 등록한 1 이상의 질문사항 각각에 대한 해당 지원자의 면접영상 선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32); 및 해당 지원자단말기의 지원자의 해당 기관에 대한 지원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S33);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 S33에서 업데이트 되는 지원정보는 해당 지원자가 해당 기관에 대하여 서비스서버에서 지원을 했다는 취지의 정보, 및 해당 기관에서 요청한 질문들 각각에 대하여 지원자가 제출한 면접영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원영상설정부의 동작에 따른 지원자단말기의 표시화면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지원영상설정단계에 의하여 표시되는 지원자단말기의 화면은, 지원하고자 하는 기관의 목록을 표시하는 기관목록레이어(L100); 선택된 기관의 1 이상의 질문사항을 표시하는 질문사항레이어(L110); 및 해당 지원자가 저장한 면접영상을 표시하는 면접영상레이어(L1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지원자단말기에서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면접영상레이어의 면접영상 중 어느 1 이상을 상기 질문사항레이어의 각각의 질문사항에 입력할 수 있다.
기관목록레이어(L100)에는 지원자가 서비스서버 혹은 채용서비스서버에서 지원을 입력한 기관들의 목록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자신이 면접영상을 제출할 기관을 기관목록레이어(L100)에서 선택할 수 있다.
질문사항레이어(L110)에는 지원자가 지원하고자 선택을 한 기관에서 상기 도 4의 (A)에서와 같은 절차를 통하여 업데이트한 질문사항들이 디스플레이된다. 지원자는 각각의 질문사항들에 대하여 자신의 면접영상들을 제출함으로써, 온라인면접을 수행할 수 있다.
면접영상레이어(L120)에는 사용자가 면접영상평가부(1300)에 의하여 촬영을 하고, 평가결과제공부(1400)에 의하여 평가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1 이상의 면접영상들을 표시한다. 즉, 면접영상레이어(L120)에는 지원자가 이전에 촬영한 면접영상들의 목록 혹은 요약디스플레이요소들이 표시되고, 사용자는 면접영상레이어(L120)에 표시되는 면접영상을 상기 질문사항레이어(L110)의 각각의 질문에 대해 입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면접영상레이어(L120)은 자신이 촬영한 면접영상들에 대한 검색을 수행할 수 있는 검색레이어(L121) 및 면접영상의 클립들을 표시하는 클립레이어(L122)를 포함한다.
각각의 기관에서는 지원자들에게 요구하는 질문사항이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자기소개를 해보세요”, “자신에 대해 설명을 해보세요”, “자기의 특징에 대해서 설명해보세요”, “자신의 성격에 대해서 설명해보세요” 와 같은 질문의 경우에는 동일한 면접영상이 이에 대한 응답으로 제출되더라도 기관측에서 문제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도 15에서와 같은 인터페이스는 지원자가 복수의 기관에 지원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기관에서 제시하는 복수의 질문 각각에 대해 영상을 촬영하는 것이 아니라, 이전에 촬영한 유사한 질문에 대한 영상을 업로드할 수 있게 함으로써, 지원자로 하여금 본 발명의 서비스서버에서 수행되는 온라인 면접지원에 대한 이용편의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비스서버의 면접영상저장부(1200), 면접결과제공부(1400)는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면접영상에 대하여 코멘트 혹은 설명을 추가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복수의 면접영상을 촬영하고 이에 대한 코멘트 혹은 설명을 추가하고, 상기 검색레이어(L121)을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영상을 바로 검색하여 지원하고자 하는 기관의 세부 질문사항에 대한 면접영상을 입력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원영상제공부의 동작에 따른 기관단말기의 표시화면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기관단말기는 상기 질문세트업데이트부(1510)을 통하여 해당 기관에 지원하고자 하는 지원자에게 제시하는 질문사항들을 입력할 수 있다.
이후, 지원자들은 상기 기관단말기에서 업데이트한 질문사항을 상기 질문세트설정부(1100)에서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질문세트를 설정하여 면접영상저장부(1200)에 의한 면접영상의 촬영을 수행하고, 평가결과제공부(1400)에 의한 피드백 정보를 확인하고, 이후, 지원영상설정부(1520)의 동작에 따라 지원하고자 하는 기관에서 제시하는 질문 별로 자신의 면접영상을 설정할 수 있다.
이후, 기관의 사용자는 기관단말기를 통하여 서비스서버에 기관으로 로그인을 수행하고, 지원영상제공부(1530)는 상기 지원영상제공단계는 해당 기관에 대해 지원을 한 지원자의 해당 기관에서 설정한 질문별 면접영상을 상기 기관단말기에 제공한다.
상기 지원영상제공부(1530)에 의하여 표시되는 기관단말기의 화면은, 지원자의 목록을 표시하는 지원자목록레이어(L200); 선택된 지원자의 1 이상의 질문사항 및 이에 대해 지원자가 제출한 면접영상을 표시하는 지원영상레이어(L210); 및 해당 지원자의 상기 면접영상평가부(1300)에 의하여 수행된 자동평가결과 자체 혹은 일부를 표시하거나 및/또는 자동평가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선택입력 아이콘을 제공하는 자동평가결과레이어(L220)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원영상제공부(1530)에 의하여 표시되는 기관단말기의 화면은, 기관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지원자목록레이어(L200)에 표시되는 지원자의 순서를 달리하여 표시하거나 혹은 일부만 표시하도록 하는 기준을 설정하는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에서는 '정렬기준' 은 순서를 달리하는 메뉴를 입력하기 위한 표시엘리먼트에 해당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원자의 순서를 달리하여 표시하거나 혹은 일부만 표시하도록 하는 기준은 상기 면접영상평가부(1300)에서 평가하는 요소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면접영상평가부(1300)에서 도출하는 자동평가정보가 호감도, 집중도, 신뢰감, 활기참, 침착성, 소통능력, 눈마주침, 및 친절함를 포함하는 경우에, 기관단말기에서는 예를 들어, 활기참을 기준으로 지원자들의 순서를 정렬 혹은 소팅할 수 있다. 혹은 기관단말기에서는 예를 들어, 활기참이 기설정된 수치 혹은 단계 이상인 지원자들만을 상기 지원자목록레이어(L200)에서 표시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기관 입장에서도 면접영상에 대한 자동평가결과를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지원자의 면접영상을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서비스서버에서 수행되는 기계학습을 이용한 온라인 면접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서비스서버는, 질문세트업데이트부, 면접영상저장부, 면접영상평가부, 평가결과제공부, 및 지원영상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질문세트업데이트부에 의하여, 기관단말기에서 입력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질문세트를 업데이트하는 질문세트업데이트단계;
    상기 면접영상저장부에 의하여, 기설정된 질문세트 중 1 이상의 질문정보를 지원자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지원자단말기로부터 상기 1 이상의 질문정보 각각에 응답을 수행한 면접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면접영상저장단계;
    상기 면접영상평가부에 의하여, 딥러닝 기반의 학습된 인공신경망 모듈을 포함하는 기계학습을 이용한 평가모델을 통하여 상기 면접영상에 대한 자동평가정보를 생성하는 면접영상평가단계;
    상기 평가결과제공부에 의하여, 상기 자동평가정보에 기초하여 지원자단말기에 자동평가결과를 제공하는 평가결과제공단계; 및
    상기 지원영상설정부에 의하여, 지원자단말기에서의 입력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가 지원하고자 하는 기관에서 상기 면접영상을 볼 수 있도록 설정하는 지원영상설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원영상설정단계 이전에, 지원자단말기는 상기 면접영상저장단계에서 저장한 면접영상에 대하여 상기 평가결과제공단계에 의하여 제공되는 자동평가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고,
    상기 지원영상설정단계는,
    해당 지원자단말기로부터 지원기관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해당 지원자단말기로부터 해당 지원기관에서 등록한 1 이상의 질문사항 각각에 대한 해당 지원자의 상기 면접영상저장단계에서 저장된 면접영상 중에서의 선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해당 지원자단말기의 지원자의 해당 기관에 대한 지원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원영상설정단계에 의하여 표시되는 지원자단말기의 화면은,
    선택된 기관의 1 이상의 질문사항을 표시하는 질문사항레이어; 및
    해당 지원자가 상기 면접영상저장단계에서 저장한 면접영상의 목록 혹은 요약디스플레이요소를 표시하는 면접영상레이어;를 포함하고,
    지원자단말기에서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면접영상레이어의 면접영상 중 어느 1 이상을 상기 질문사항레이어의 각각의 질문사항에 입력할 수 있고,
    상기 면접영상레이어는,
    해당 지원자가 촬영한 면접영상의 클립들을 표시하는 클립레이어;를 포함하는, 기계학습을 이용한 온라인 면접을 제공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질문세트업데이트단계는,
    기관으로 로그인한 기관단말기로부터 해당 기관에 대한 질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외부의 채용지원서버로부터 해당 지원자 및 해당 지원자가 지원한 기관에 대한 지원정보를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질문정보 및 상기 지원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지원자에 대한 질문세트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계학습을 이용한 온라인 면접을 제공하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서버는, 질문세트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계학습을 이용한 온라인 면접을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질문세트설정부에 의하여, 외부의 채용지원서버로부터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수신한 해당 지원자 및 해당 지원자가 지원한 기관에 대한 지원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해당 지원자의 지원기관별 질문을 포함하는 질문세트에 대한 정보를 해당 지원자의 지원자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지원자단말기의 입력에 따라 면접영상을 촬영할 질문세트를 설정하는 질문세트설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계학습을 이용한 온라인 면접을 제공하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평가결과제공단계에 의하여 제공되는 지원자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요소는,
    상기 면접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영상레이어;
    2 이상의 평가결과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는 카테고리레이어;
    상기 2 이상의 평가결과 카테고리 중 선택된 평가결과 카테고리에 대한 자동평가결과가 디스플레이되는 자동평가결과레이어를 포함하는, 기계학습을 이용한 온라인 면접을 제공하는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평가결과제공단계에 의하여 제공되는 지원자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요소는,
    상기 면접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영상레이어;
    상기 면접영상의 부분단위의 평가에 대한 요소를 디스플레이하는 자동평가결과레이어를 포함하는, 기계학습을 이용한 온라인 면접을 제공하는 방법.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서버는, 지원영상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계학습을 이용한 온라인 면접을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지원영상제공부에 의하여, 해당 기관에 대해 지원을 한 지원자의 해당 기관에서 설정한 질문별 면접영상을 상기 기관단말기에 제공하는 지원영상제공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계학습을 이용한 온라인 면접을 제공하는 방법.
  9. 서비스서버에 의하여 구현되는 기계학습을 이용한 온라인 면접을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기관단말기에서 입력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질문세트를 업데이트하는 질문세트업데이트부;
    기설정된 질문세트 중 1 이상의 질문정보를 지원자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지원자단말기로부터 상기 1 이상의 질문정보 각각에 응답을 수행한 면접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면접영상저장부;
    딥러닝 기반의 학습된 인공신경망 모듈을 포함하는 기계학습을 이용한 평가모델을 통하여 상기 면접영상에 대한 자동평가정보를 생성하는 면접영상평가부;
    상기 자동평가정보에 기초하여 지원자단말기에 자동평가결과를 제공하는 평가결과제공부; 및
    지원자단말기에서의 입력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가 지원하고자 하는 기관에 대한 면접영상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는 지원영상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원영상설정부의 수행 이전에, 지원자단말기는 상기 면접영상저장부에 의하여 저장된 면접영상에 대하여 상기 평가결과제공부에 의하여 제공되는 자동평가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고,
    상기 지원영상설정부는,
    해당 지원자단말기로부터 지원기관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해당 지원자단말기로부터 해당 지원기관에서 등록한 1 이상의 질문사항 각각에 대한 해당 지원자의 면접영상저장부에 의하여 저장된 면접영상 중에서의 선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해당 지원자단말기의 지원자의 해당 기관에 대한 지원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지원영상설정부에 의하여 표시되는 지원자단말기의 화면은,
    선택된 기관의 1 이상의 질문사항을 표시하는 질문사항레이어; 및
    해당 지원자가 상기 면접영상저장부에서 저장한 면접영상의 목록 혹은 요약디스플레이요소를 표시하는 면접영상레이어;를 포함하고,
    지원자단말기에서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면접영상레이어의 면접영상 중 어느 1 이상을 상기 질문사항레이어의 각각의 질문사항에 입력할 수 있고,
    상기 면접영상레이어는,
    해당 지원자가 촬영한 면접영상의 클립들을 표시하는 클립레이어;를 포함하는, 기계학습을 이용한 온라인 면접을 제공하는 시스템.
  10. 청구항 1에 따르는 기계학습을 이용한 온라인 면접을 제공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190005319A 2019-01-15 2019-01-15 기계학습을 이용한 온라인 면접을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102255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319A KR102255836B1 (ko) 2019-01-15 2019-01-15 기계학습을 이용한 온라인 면접을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1020210060087A KR102381572B1 (ko) 2019-01-15 2021-05-10 기계학습을 이용한 온라인 면접을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319A KR102255836B1 (ko) 2019-01-15 2019-01-15 기계학습을 이용한 온라인 면접을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087A Division KR102381572B1 (ko) 2019-01-15 2021-05-10 기계학습을 이용한 온라인 면접을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512A KR20200092512A (ko) 2020-08-04
KR102255836B1 true KR102255836B1 (ko) 2021-05-25

Family

ID=7204866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319A KR102255836B1 (ko) 2019-01-15 2019-01-15 기계학습을 이용한 온라인 면접을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1020210060087A KR102381572B1 (ko) 2019-01-15 2021-05-10 기계학습을 이용한 온라인 면접을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087A KR102381572B1 (ko) 2019-01-15 2021-05-10 기계학습을 이용한 온라인 면접을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558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3808B1 (ko) * 2020-12-07 2023-04-21 이상록 외국인을 위한 ai 면접 수행 방법 및 장치
KR20220095482A (ko)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글루리 딥러닝을 이용해 가상면접에서 직무를 추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13645B1 (ko) * 2021-01-05 2023-03-27 주식회사 제네시스랩 기계학습모델을 이용하여 우울증예비진단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102585693B1 (ko) * 2022-01-10 2023-10-06 김병복 비대면 구인구직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40051499A (ko) * 2022-10-13 2024-04-22 유한책임회사 블루바이저시스템즈 비대면 채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전문 인적자원 플랫폼 서비스 방법
KR20240052104A (ko) * 2022-10-13 2024-04-23 유한책임회사 블루바이저시스템즈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한 비대면 면접 방법
KR102584078B1 (ko) * 2022-12-15 2023-10-04 에이블제이 주식회사 면접 피드백 제공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445B1 (ko) * 2011-08-26 2012-11-06 (주) 나인원 면접 영상 분석을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JP2017219989A (ja) * 2016-06-07 2017-12-14 株式会社採用と育成研究社 オンライン面接評価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3377A (ko) 2004-06-25 2005-12-29 (주)퍼스트 엠 동화상 온라인 면접 시스템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전송장치
KR20130055833A (ko) * 2011-11-21 2013-05-29 배창수 단말기를 이용한 구인구직 면접 중개시스템
KR20170071144A (ko) * 2015-12-15 2017-06-23 조나솜 유치원 임용 모의 면접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445B1 (ko) * 2011-08-26 2012-11-06 (주) 나인원 면접 영상 분석을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JP2017219989A (ja) * 2016-06-07 2017-12-14 株式会社採用と育成研究社 オンライン面接評価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512A (ko) 2020-08-04
KR20210055666A (ko) 2021-05-17
KR102381572B1 (ko) 2022-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5836B1 (ko) 기계학습을 이용한 온라인 면접을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US10922656B2 (en) Internet-based method and apparatus for career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via structured feedback loop
US20210279668A1 (en) Method of preparing recommendations for taking decisions on the basis of a computerized assessment of the capabilities of users
US20180268341A1 (en) Methods, systems and networks for automated assessment,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the selling intelligence and sales performance of individuals competing in a field
US20150004571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skills training
US8954343B2 (en) Person-to-person matching system
US20150154564A1 (en) Weighted evaluation comparison
JP7333404B2 (ja) 面接映像自動評価モデルを管理する方法、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な媒体
US20130297324A1 (en) Virtual professionals community for conducting virtual consultations with suggested professionals
KR102297947B1 (ko) 온라인 면접을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US11069250B2 (en) Maze training platform
US9990608B2 (en) Virtual professionals community for conducting virtual consultations with suggested professionals
WO2014100776A2 (en) System and methods for identifying possible associations and monitoring impacts of actual associations between synergistic persons, opportunities and organizations
KR102236720B1 (ko) 기계학습을 이용한 면접준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US20170017926A1 (en) System for identifying orientations of an individual
KR102397112B1 (ko) 면접영상 자동평가모델을 관리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102242484B1 (ko) 대입 수시전형 준비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140236850A1 (en) On-Demand, Web-Based Interactive Video Interviewing
KR102258636B1 (ko) 면접영상 자동평가모델을 학습시키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102261673B1 (ko) 기계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채용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US202204146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nhanced platform and video supplement for resumé review
US1011675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ocial network service
CA28712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connection platform
KR100557304B1 (ko) 온라인 교육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JP7170291B1 (ja) 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