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5253B1 - 매장 내 주문 정보 송수신 지원 시스템 - Google Patents
매장 내 주문 정보 송수신 지원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55253B1 KR102255253B1 KR1020200090279A KR20200090279A KR102255253B1 KR 102255253 B1 KR102255253 B1 KR 102255253B1 KR 1020200090279 A KR1020200090279 A KR 1020200090279A KR 20200090279 A KR20200090279 A KR 20200090279A KR 102255253 B1 KR102255253 B1 KR 1022552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mployee
- customer
- service request
- request signal
- signal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6854 communic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6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7175 bidirectional commun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06010020751 Hypersensitiv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6935 allerg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815 allerg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1001045744 Sus scrofa Hepatocyte nuclear factor 1-beta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6 active pharmaceutic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75 auth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267 cellular commun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18 data m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41 food compon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71 general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60 site-specific infrared dichroism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주문 내용 선택 및 서비스 제공자 호출 기능을 수행하는 물리 버튼을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하는 고객용 디바이스, 하나 이상의 상기 고객용 디바이스 및 하나 이상의 직원용 디바이스와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메쉬 네트워크를 이용해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AP(Access Point), 상기 고객용 디바이스에서 발생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상기 AP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고객용 디바이스 중 서비스 요청한 고객용 디바이스를 식별하고, 상기 서비스 요청 신호를 직원용 디바이스에 전달하는 운용 서버 및 상기 운용 서버에서 전송된 서비스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테이블 식별 번호 및 주문 정보를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직원용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직원용 디바이스에 상기 운용 서버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요청 신호에 대한 확인 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직원용 디바이스는 직원 확인 신호를 상기 운용 서버 측에 전송하고, 상기 운용 서버는 상기 직원 확인 신호를 고객용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서비스 요청 신호가 접수됨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출원번호 제 10-2017-0015186의 개량발명으로, 매장 내 주문 정보 송수신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근거리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주문 사항이 포함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서비스 제공자 측에 전달하면 이를 수신한 서비스 제공자가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주문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하며, 서비스 요청자는 서비스 제공자의 신호 수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우리 사회는 산업혁명, 정보화혁명을 거쳐, 모든 것이 인터넷과 연결되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반의 초연결(Hyper-connectivity) 혁명을 진행 중이다. 현재 인터넷에 연결된 사물은 전체 사물의 1% 미만이나 향후 연결 확대 과정에서 다양한 혁신과 사업기회가 창출될 수 있다.
주변에서 찾아볼 수 있는 사물인터넷 서비스의 예시로서,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의 등장으로 차량을 인터넷으로 연결하여 긴급구난 메시지 자동 전송, 무인자율 주행 서비스 등을 지원하고 있다. 그리고, 헬스케어 제품들이 신체의 심장박동, 운동량 등을 측정하여 헬스케어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스마트홈의 태양으로는, 가전 기기의 원격제어 또는 홈 CCTV와 같은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IoT의 주요 기술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 및 IoT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을 설명할 수 있다. 먼저 센싱 기술은 전통적인 온도/습도/열/가스/조도/초음파 센서 등으로부터 원격 감지, SAR(Synthetic Aperture Radar), 레이더, 위치, 모션, 영상 센서 등 유형 사물과 주위 환경으로부터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물리적인 센서에서의 감지를 의미한다. 물리적인 센서는 응용 특성을 좋게 하기 위해 표준화된 인터페이스와 정보 처리 능력을 내장한 스마트 센서로 발전하고 있으며, 또한, 이미 센싱한 데이터로부터 특정 정보를 추출하는 가상 센싱 기능도 포함되며 가상 센싱 기술은 실제 IoT 서비스 인터페이스에 구현된다. IoT 센싱 기술은 기준의 독립적이고 개별적인 센서보다 한 차원 높은 다중(다분야) 센서 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에 한층 더 지능적이고 고차원적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에 대하여 설명하면, IoT의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장치로는 기존의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i-Fi, 3G/4G/LTE, 블루투스(Bluetooth), 이더넷(Ethernet), BcN(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위성통신, Microware, 시리얼 통신,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등 인간과 사물, 서비스를 연결시킬 수 있는 모든 유무선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IoT 서비스 인터페이스는 IoT의 주요 3대 구성요소(인간/사물/서비스)를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응용서비스와 연동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IoT 서비스 인터페이스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개념이 아니라, 정보를 센싱, 가공/추출/처리, 저장, 판단, 상황 인식, 인지, 보안/프라이버시 보호, 인증/인가, 디스커버리, 객체 정형화, 온톨러지 기반의 시맨틱, 오픈 센서 API, 가상화, 위치확인, 프로세서 관리, 오픈 플랫폼 기술, 미들웨어 기술, 데이터 마이닝 기술, 웹 서비스 기술, 소셜네트워크 등 서비스 제공을 위해 인터페이스(저장, 처리, 변환 등)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일반 음식점 및 병원, 공장 등에 활용되고 있는 무선 호출벨(wireless calling bell)은 사용자에게 필요한 요구 사항 또는 특정 이벤트의 발생 여부 등을 전달하기 위해 타인을 호출하거나, 정보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사용자는 무선 호출벨을 누르고(push), 호출 신호는 중앙 제어 장치로 전송되어 무선 호출벨을 식별하고, 해당 무선 호출벨에 대한 후속 조치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준다.
그러나 종래 호출벨은 RF(Radio Frequency)를 이용한 단방향 통신방식이 대부분이었으며 호출 신호를 수신한 서비스 제공자 측에서 서비스 요청자(고객)에게 신호를 송신하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 호출벨은 서비스 요청자를 단순 호출할 뿐 서비스 요청사항을 전달하지 못하므로 서비스 제공자가 서비스 요청사항을 전달받기 위한 움직임을 추가로 수행해야 했다. 이에 따라 종래 호출벨 방식을 이용한 사업장에서는 불필요한 동작을 추가로 수행하여야 하므로 업무의 비효율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유사한 특허로는 공개특허공보 10-2009-0051485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호출 신호를 전송하는 고객용 디바이스에서 호출 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 이에 대한 응대까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제안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와이파이 신호를 이용하여 호출 측과 피호출 측간에 신속하고 정확한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주문 내용 선택 및 서비스 제공자 호출 기능을 수행하는 물리 버튼을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하는 고객용 디바이스, 하나 이상의 상기 고객용 디바이스 및 하나 이상의 직원용 디바이스와 와이파이 메쉬(Mesh) 또는 블루투스 메쉬 네트워크 이용해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AP(Access Point), 상기 고객용 디바이스에서 발생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상기 AP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고객용 디바이스 중 서비스 요청한 고객용 디바이스를 식별하고, 상기 서비스 요청 신호를 직원용 디바이스에 전달하는 운용 서버 및 상기 운용 서버에서 전송된 서비스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테이블 식별 번호 및 주문 정보를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직원용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직원용 디바이스에 상기 운용 서버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요청 신호에 대한 확인 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직원용 디바이스는 직원 확인 신호를 상기 운용 서버 측에 전송하고, 상기 운용 서버는 상기 직원 확인 신호를 고객용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서비스 요청 신호가 접수되어 처리되고 있음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호출 신호를 전송한 이후 이에 대한 접수가 이루어졌는지 송신측에서 판단할 수 있도록 하므로 송신측으로 하여금 불필요하게 호출버튼을 재전송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호출 신호 이후 다수의 수신기(직원용 디바이스)에 동시에 고객의 호출 또는 필요 사항이 전달되어 고객에게 보다 빠른 대응이 가능해지며 전체적인 서비스 질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객용 디바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숫자 버튼식 메뉴판형 호출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뉴별 버튼식 메뉴판형 호출벨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요청 신호 확인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객용 디바이스에서 주문 확인을 수행하는 순서에 대하여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객용 디바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숫자 버튼식 메뉴판형 호출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뉴별 버튼식 메뉴판형 호출벨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요청 신호 확인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객용 디바이스에서 주문 확인을 수행하는 순서에 대하여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는 게이트웨이(gateway)에 연결되어 IoT(Internet of Things)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장치(또는 사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무선 호출기, 스마트폰, 태블릿 PC, 컴퓨터,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음향 센서, 모션 센서, 근접 센서, 가스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냉장고, CCTV, TV, 세탁기, 제습기, 전등, 화재 경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device)는 “기기” 또는 “장치”와 혼용될 수 있으며, “디바이스”, “기기” 및 “장치”는 동일한 표현으로 기재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는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의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예를 들어, 디바이스의 식별 값, 디바이스의 종류, 디바이스에 의해 감지되는 센싱 데이터의 종류 및 속성, 및 디바이스의 센싱 주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서비스(service)는 디바이스에서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는 서버 또는 타 디바이스와의 통신에 기초한 서비스, 디바이스 내에서 동작 가능한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적용되는 서비스는 본 개시에 예로서 기재된 서비스 이외에도 디바이스에서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들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명세서에서의 사용자는 서비스 제공자를 호출하기를 원하는 사용자일 수 있다. 사용자는 음식점의 손님일 수 있으며, 병원의 환자 또는 공장의 직원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음식점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고객용 디바이스 110, 직원용 디바이스 120, 운용 서버 130, 매장 관리 WEB 서버 131, AP(Access Point) 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객용 디바이스 110는 서비스 제공을 원하는 사용자에 의해서 버튼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버튼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AP 140를 통해 이를 중계하는 운용 서버측에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운용 서버는 해당 신호를 직원용 디바이스 12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고객용 디바이스 110는 와이파이를 이용해 직원용 디바이스 120와 신호를 송수신하므로 직원용 디바이스 120측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고객용 디바이스 110측에서 수신하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다. 그러나 고객용 디바이스 110가 직원용 디바이스가 통신하는 방식은 이와 같은 와이파이 방식에 한정되지 않으며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고객용 디바이스 110는 직원용 디바이스 120와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수행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블루투스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 BR/EDR(Basic Rate/Enhanced Data Rate), Low Energy(LE)방식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 방식 중 저에너지(Low Energy) 방식에는 점대점, 브로드캐스트, 메쉬 방식이 있고, 상기 점대점 방식은 1:1, 브로드캐스트는 1:다, 메쉬는 다:다 장치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블루투스 통신 방식은 상기 언급한 버전의 기술에 한정되지 않으며 추후 개발되는 다양한 형태의 블루투스 규격의 통신 방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객용 디바이스 110와 직원용 디바이스 120가 양방향 통신을 위해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하는 경우, 상기 고객용 디바이스 110와 직원용 디바이스 120는 별도의 중계기가 없더라도 기기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더욱 다양한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고객용 디바이스 110와 직원용 디바이스 120는 기기간 양방향 신호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고객용 디바이스 110와 직원용 디바이스 120는 AP가 요구되는 방식의 근거리 통신방식(예, 와이파이 등)과 AP 없이도 기기간 통신이 가능한 방식(예, 블루투스 페어링, 블루투스 메쉬 네트워크)을 모두 사용하여 고객 요청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통신 가능한 방식 중 기기의 위치 및 신호 세기 등의 컨디션에 기반하여 효과적인 통신 방식을 판단한 후, 특정 통신 방식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객용 디바이스 11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메뉴판형 호출벨, 테이블 부착형 호출벨, 리모컨형 호출벨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메뉴판형 호출벨은 일반적인 책자형 메뉴판 내에 메뉴별 버튼(예, 멤브레인식 돔 스위치)을 구비하여 서비스 요청 신호를 송신함과 동시에 주문 정보를 함께 전달할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메뉴판형 호출벨은 기존의 메뉴판 이미지를 제공하는 메뉴 이미지 영역과 각 메뉴에 대응하는 번호를 눌러 서비스 요청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디바이스 영역을 구분하여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바이스 영역에는 각 메뉴에 대응하는 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숫자 버튼 및 주문 요청 버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뉴판형 호출벨은 메뉴판에 호출벨 디바이스를 부가한 구성이므로 기존의 메뉴판과 이질감이 없도록 얇은 평판에 제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메뉴판형 호출벨에는 예컨대, 두께가 약 1mm 미만인 돔 스위치 제품을 사용한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뉴판형 호출벨은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일반 PCB 또는 FPCB가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메뉴판형 호출벨은 테이블 번호가 기 부여된 상태로 특정 테이블에 고정되어 사용될 수도 있으나, 테이블 번호를 새로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테이블 부착형 호출벨(테이블 번호 기 부여된 방식)은 일반적으로 상용화된 방식의 호출벨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테이블 부착형 호출벨도 숫자 버튼을 포함하여 각 메뉴별 번호를 직접 눌러 주문할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모컨형 호출벨은 메뉴판형 호출벨에서 디바이스 영역만을 분리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리모컨형 호출벨은 메뉴판형 호출벨과 마찬가지로 테이블 번호가 기 부여된 상태일 수도 있으나,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테이블 번호를 부여받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AP 140는 고객용 디바이스 110에서 전송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AP 140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운용 서버130 에 서비스 요청 신호에 대응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AP 140는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한 고객용 디바이스 110를 특정할 수 있다. AP 140에서 수신한 서비스 요청 신호의 특정 프레임에는 고객용 디바이스 110의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운용 서버 130는 고객용 디바이스 110 및 AP 140 간의 신호 송수신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AP 140에서 수신된 서비스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어느 고객용 디바이스 110에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하였는지 식별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AP 140에서 고객용 디바이스 110를 식별할 수 있으며, AP 140가 식별하는 것과 무관하게, 운용 서버 130에서도 고객용 디바이스 110를 식별할 수 있다. 고객용 디바이스 110는 고유의 식별 정보를 서비스 요청 신호에 함께 전송할 수 있으며, 서비스 요청 신호 내 특정 프레임에 해당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객용 디바이스 11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기기의 식별 정보가 고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고객)또는 서비스 제공자(직원)에 의해 수시로 변경될 수도 있다. 상기 기기의 식별 정보가 수시로 변경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고객용 디바이스 110는 서비스 요청 신호를 송신할 시, 당시의 고객용 디바이스 110 내 저장된 기기 식별 정보를 상기 서비스 요청 신호 내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운용 서버 130는 고객용 디바이스 110의 식별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저장된 고객용 디바이스 110의 식별 정보와 수신된 서비스 요청 신호를 비교하여 어느 고객용 디바이스 110에서 전송하였는지 특정할 수 있다.
운용 서버 130는 직원 디바이스 120에 호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직원 디바이스 120는 호출 대상이 되는 직원의 디바이스 120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식점에서 서빙을 하는 서버(server)의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또는 번호 표시판 과 같은 기기일 수 있다.
직원용 디바이스 120는 운용 서버 130로부터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직원용 디바이스 120는 수신된 서비스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호출한 고객용 디바이스 110에 대한 정보(예, 테이블 번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직원은 직원용 디바이스 120에 표시된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의 공간으로 이동하여 응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원용 디바이스 12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와이파이 통신 기능 또는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직원은 고객의 서비스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그에 대한 응답으로 직원용 디바이스 120의 일 버튼을 눌러 해당 호출 신호에 대한 접수 여부를 타 직원용 디바이스 및 고객용 디바이스 110에 알릴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직원용 디바이스 120에서 고객의 서비스 요청 신호가 확인된 경우, 해당 직원은 상기 직원용 디바이스 120에서 일 버튼을 선택함을 통해 본인이 그 서비스 요청에 응대할 것임을 먼 곳에 있는 동료 직원에게 알릴 수 있고, 고객에게는 해당 서비스 요청을 확인하였으니 기다리라는 의미를 암묵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매장 관리 WEB 서버 131는 서비스를 요청한(호출) 고객 및 직원 간의 응대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고객의 요청 사항 등을 수신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매장에서의 고객용 디바이스 110의 신호 전송 횟수, 전송 주기 등의 정보를 통계치로서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고객의 요청 데이터를 저장하고 분석하여 마케팅 툴 또는 효율적 운용을 위한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객용 디바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객용 디바이스 110는 통신부 210, 표시부 220, 키 입력부 230, 저장부 240, 제어부 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 210는 NFC 모듈 211, WiFi 모듈 212, 블루투스 모듈 213 등의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고객용 디바이스 110의 통신부 210는 고객용 디바이스 110에서 신호를 전송하고, 타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 210는 셀룰러 통신 신호, Wi-Fi, NFC, 블루투스(BLE 포함), Zigbee, RF 등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 210는 비콘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유니캐스팅(uni-casting), 멀티 캐스팅(multi-casting) 및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유니캐스팅 방식은 일대일 통신 방식으로서, 고객용 디바이스 110은 타 디바이스에 대하여 신호를 각각 유니캐스팅 할 수 있다. 멀티캐스팅 방식은 한번에 동일한 신호를 복수의 수신 대상에게 전송하는 기법이며, 브로드캐스팅은 무분별하게 복수의 타 디바이스들에게 전송하는 기법이다. 고객용 디바이스 110는 자기를 타 디바이스에서 발견시키기 위해서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신호를 전송하여 광고(advertising)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 220는 호출을 원하는 사용자에게 버튼(또는 터치) 입력이 가능함을 지시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 220는 액정, LCD, LED, TFT 등의 발광 소자에 의해서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프린트되어 있는 이미지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표시부 220는 사용자가 입력한 버튼에 대응하는 정보(예, 숫자 정보, 알파벳, 연산 기호 등)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 220는 숫자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주문 정보를 작성한 후 서비스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자 할 시, 이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본인이 입력하는 주문 정보가 올바른지 확인할 수 있도록 입력한 버튼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 220는 서비스 요청 신호를 송신한 이후 이를 서비스 제공자가 접수한 경우 이를 알리는 특정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표시부 220는 배경, 테두리, 글자 색상 등을 다양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표시부 220는 서비스 요청 신호가 발송된 이후 해당 서비스 요청 신호가 직원용 디바이스 120에 의해 접수되기 전과 접수된 이후의 테두리, 배경, 글자 중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 220는 주문이 접수된 이후 접수된 메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표시부 220는 계산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메뉴를 추가할 시 상기 표시부 220에 표시되는 주문 내역을 확인하고 주문이 제대로 수행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표시부 220에 표시되는 주문 내역은 매장 내 결제 시스템과 연동되어 상기 결제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정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매장측은 프린트된 계산서를 직접 전달하지 않고서도 상기 표시부 220에 표시되는 주문 내역을 통해 고객에게 주문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를 확인시켜줄 수 있다.
상기 표시부 220는 7세그먼트 방식으로 숫자, 알파벳 정도의 비교적 간단한 정보만을 표시하도록 제작될 수도 있으나 텍스트, 동영상, 이미지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과 유사한 크기의 화면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표시부 220는 메뉴판에서 제공하지 못하는 메뉴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표시부 220는 조리 방법에 대한 동영상 정보, 제휴 업체 광고,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의 영양 성분표, 알레르기 정보, 어울리는 메뉴의 조합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키 입력부 230는 사용자의 버튼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유형의 키 입력부 230에 대한 사용자의 물리적인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키 입력부 230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에 의해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키 입력부 230는 종이 등으로 형성된 메뉴판에 부착되어 형성될 시 멤브레인 방식의 돔 스위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키 입력부 230를 구성하는 각각의 버튼은 각 메뉴 및 서비스 요청 사항(예, 물 주세요)에 대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키 입력부 230의 버튼은 숫자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기존의 메뉴판에 기록된 각각의 메뉴에 부여된 번호를 숫자 버튼으로 입력하는 방식으로 주문할 수 있다.
저장부 240는 고객용 디바이스 110가 AP 140에 연결되기 위해 요구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저장부 240는 AP 140의 SSID, 비밀번호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 240는 상기 고객용 디바이스 110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AP 140를 통하지 않고 직원용 디바이스 120와 직접 연결을 수행할 경우에 요구되는 블루투스 페어링 정보 및 기타 통신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 240는 운용 서버 130 및 매장 관리용 웹 서버 131측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표시부 220에 표시하기 위해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 240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표시부 220에서 표시될 메뉴에 대한 정보(예, 재료, 알러지 정보, 조리방법, 가격 등)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 240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의 금액 합계를 계산하기 위한 계산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 250는 고객 디바이스 110의 통신부 210, 표시부220, 키 입력부에서 입출력되는 신호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고객 디바이스 110의 전반적 구동에 요구되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통신부 21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의 종류를 구분하고 정보의 종류에 따라 표시부 220에 정보를 표시하거나 표시부 220의 색상을 변경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 250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키 입력부 230에서 입력한 정보를 통신부 210를 통해 AP 140로 전달하도록 제어하고, 무선 통신 연결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무선 통신 연결을 재시도한 후 다시 해당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 250는 가능한 다른 방식의 통신 방식으로 직원용 디바이스 120와 무선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 250는 Wi-Fi 연결 상태가 원활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블루투스 모듈 213을 이용해 직원용 디바이스 120와 블루투스 페어링을 시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 25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계산기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 250는 고객용 디바이스 110에 표시부가 존재할 경우,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메뉴에 대한 번호를 입력하고 주문 버튼을 누르기 전에 선택한 메뉴의 금액 합계를 계산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객용 디바이스 110에 간단한 계산식을 작성할 수 있는 수식 기호 버튼이 추가로 존재한다고 가정할 경우, 상기 제어부 250는 일행의 인원수로 합계 금액을 나눠 1인이 계산해야 할 비용까지도 주문 전에 계산하여 표시부 220에 제공할 수 있다.
고객용 디바이스 110는 특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고객용 디바이스는 일반 음식점 및 병원, 공장 등에 활용될 수 있으며, 음식점의 테이블, 병원의 침상 등에 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의 요구가 있는 경우, 고정부는 탈착되어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고객용 디바이스 110는 휴대용 단말로서의 일반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고객용 디바이스 110은 호출벨(calling bell)뿐만 아니라, 스마트 디바이스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뉴판형 호출벨은 소형 프린터를 부착한 형태(또는 연동)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메뉴판형 호출벨은 주문이 접수되면 이에 대한 정보를 즉시 연동된 소형 프린터를 이용해 출력하고 사용자가 주문 정보를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계산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숫자 버튼식 호출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에서 도시되는 메뉴판형 호출벨은 고객용 디바이스 110의 일 실시 예이다. 상기 메뉴판형 호출벨은 호출버튼을 구비한 메뉴판이며, 각 메뉴명 옆에 버튼이 구비될 수도 있고, 도 3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별도의 영역에 버튼이 따로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각 메뉴명 옆에 버튼이 구비되는 방식의 메뉴판형 호출벨의 경우, 각 메뉴명 옆의 버튼을 누르면 해당 메뉴를 주문하는 신호가 직원용 디바이스 120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메뉴판 영역과 호출을 위한 디바이스 영역이 별도로 구분되는 메뉴판형 호출벨은 도 3a에서와 같이 제작될 수 있다. 메뉴판형 호출벨은 숫자 버튼 영역 310이 존재할 수 있으며, 여기에 각 메뉴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숫자 버튼 영역 310에는 0부터 9까지의 숫자 버튼 외에도 입력한 숫자를 지울 수 있는 삭제 버튼 311과 주문할 메뉴를 추가하고자 할 때 선택하는 더하기 버튼 312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더하기 버튼 312을 활용하여 다수개의 메뉴를 한번에 주문하고자 할 경우, 예컨대 사용자는 ' 1+2+3'을 입력한 후 주문 버튼 342를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직원은 직원용 디바이스 120에서 확인되는 상기 '1+2+3' 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1번 메뉴, 2번 메뉴 및 3번 메뉴에 대한 주문이 요청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상기 메뉴판형 호출벨에는 자주 사용되는 서비스 사항에 대응하는 버튼들이 존재하는 영역인 기타 버튼 영역 320이 일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타 버튼 영역 320에 포함되는 버튼은 예컨대, '물 요청', '물수건 요청', '냅킨 요청', '직원 호출'과 같은 기능을 요청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뉴판형 호출벨에는 표시부 3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 330는 사용자가 입력한 주문 사항이 제대로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예, 숫자)을 그대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주문하고자 하는 메뉴의 번호를 입력한 후 주문 버튼 342을 누르면 주문 정보를 포함한 서비스 요청 신호는 운용 서버 130를 거쳐 직원용 디바이스 120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메뉴판형 호출벨에는 주문 내역을 취소하기 위해 요구되는 주문 취소 버튼 34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메뉴판형 호출벨은 사용자에 의해 앞서 송신된 주문 정보와 동일한 정보(예, 동일 숫자 버튼)가 입력된 후 주문 취소 버튼 343이 입력되면 앞서 전달된 주문을 취소하도록 하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 330는 서비스 요청 신호를 송신한 직후와 해당 신호를 확인하고 서비스 요청을 직원이 인지한 이후에 색상이 달라질 수 있다. 이는 직원 디바이스 120에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특정 버튼을 선택하여 수신 확인 신호를 발송하면 고객용 디바이스 110측에서 이를 수신하여 표시부 330의 색상을 바꾸는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직원용 디바이스 110측의 수신확인 신호에 의해 변경되는 대상은 상기 표시부 330의 색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알림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고객용 디바이스 110는 사운드로 해당 서비스 요청 신호가 접수되었음을 알릴 수도 있고, 디바이스 영역 일측에 램프를 구비하고 해당 램프의 색상을 변화시켜 접수 사실을 알릴 수도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의 서비스 요청 신호의 접수 사실을 알리는 방법이 구현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메뉴판형 호출벨은 일 실시 예에 따라 각 테이블마다 비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통상적으로 메뉴판이 테이블 개수보다 적은 개수로 구비되는 것을 고려할 때 상기 메뉴판형 호출벨 또한 소량으로 다수개의 테이블에서 사용 가능해야 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메뉴판형 호출벨은 특정 테이블에 제공할 때마다 해당 테이블 정보를 새롭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테이블 지정 버튼 341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테이블 지정 버튼은 도 3b에서 제시되는 바와 같이 활용될 수 있다. 테이블 식별 번호를 지정하는 방법은 예컨대, 직원이 메뉴판형 호출벨을 특정 테이블에 제공할 시 해당 테이블 식별 번호를 직접 입력하고(예컨대, 13) 상기 테이블 지정 버튼 341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상기 표시부 330는 테이블 지정 버튼 341이 다시 눌리기 전까지는 해당 메뉴판형 호출벨의 식별 번호를 13으로 고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지정된 테이블 식별 번호는 표시부 330 내에 361과 같이 표시되어 추후 직원이 상기 메뉴판형 호출벨을 다른 테이블에 제공하게 될 시 테이블 식별 번호를 변경해야 할 필요성을 판단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상기 표시부 330는 361 영역은 고정하여 표시하고, 사용자가 추가로 입력하는 숫자 정보는 상기 표시부 330의 나머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메뉴판형 호출벨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숫자 버튼 영역 310, 기타 버튼 영역 320, 표시부 330 등으로 구성되는 디바이스 영역 360과 더불어, 기존의 메뉴명, 메뉴 이미지 등을 종이, 필름 등의 재료에 표시하는 메뉴 표시 영역 350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도 3c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고객용 디바이스 110는 테이블에 부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고객용 디바이스 110가 도 3c에서와 같이 테이블 부착용 호출벨 390로 구현될 수도 있고,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테이블 부착용 호출벨 390 내부의 저장부에 테이블 식별 번호가 고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테이블 부착용 호출벨 390의 주문 및 호출 방식은 앞서 설명한 메뉴판형 호출벨과 유사하게 이뤄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뉴별 버튼식 메뉴판형 호출벨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메뉴별 버튼식 메뉴판형 호출벨 400은 각 메뉴에 대응하는 정보(예, 메뉴의 명칭 정보, 이미지 정보 등)와 인접한 위치에 버튼 410을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각 버튼을 누름으로써 각 버튼에 대응하는 메뉴를 주문하는 신호를 종업원 측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뉴판형 호출벨 400은 또한 그 외의 서비스 항목에 대응하는 버튼 420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 외의 서비스 항목에 대응하는 버튼 420은 예컨대, 물 요청 버튼, 계산요청 버튼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메뉴별 버튼식 메뉴판형 호출벨 400에는 각 메뉴판 내에 테이블 번호를 지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숫자 버튼이 구비될 수도 있으나, 그렇지 않을 경우, 도 4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별도의 테이블 번호를 지정하기 위한 장치 430이 테이블 상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테이블 번호 지정 장치 430은 메뉴판형 호출벨 400과 NFC 등의 근거리 통신 방식을 통해 신호 송수신을 할 수 있다. 예컨대, 메뉴판형 호출벨 400의 일 지점을 테이블 번호 지정 장치 430과 접촉하도록 하여 메뉴판형 호출벨 400은 상기 테이블 번호 지정 장치 430에서 송신되는 테이블 번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메뉴판형 호출벨 400에서 선택되는 버튼은 각 메뉴에 대응하는 정보 뿐 아니라 테이블 번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테이블 번호 지정 장치 430는 다양한 방식의 고객용 디바이스 및 직원용 디바이스와 양방향 통신(예, 블루투스 5.0버전의 메쉬(Mesh)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테이블 번호 지정 장치 430 또한 특정한 하나의 장비(예, AP)를 통해 매장 내 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여아 하는 불편함을 극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각의 기기가 서로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각 기기는 기기간 거리 및 거리에 따른 신호 세기 등에 기반하여 신호 전달 방식 또는 순서를 다르게 결정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요청 신호 확인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객용 디바이스 110는 호출 신호를 직원용 디바이스 120에 송신하고자 할 시, 단순 호출 신호만을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고, 주문하고자 하는 제품 정보(메뉴판에 표시된 제품별 번호)를 포함한 호출 신호를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고객용 디바이스 110는 사용자로부터 주문사항을 입력받는 501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입력받은 주문사항을 포함하는 신호를 직원용 디바이스 120에 전달하는 503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객용 디바이스 110는 상기 주문 신호를 송신하는 503 동작 이후 직원용 디바이스 120로부터 직원 확인신호가 도달하기 전까지는 주문 전달중 신호를 표시하는 50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505동작은 예컨대, 호출벨 내 표시부의 색상을 붉게 표시하는 등의 동작으로 수행될 수 있다.
직원용 디바이스 120는 고객용 디바이스 110로부터 주문 정보가 포함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신호를 확인했음을 알리는 507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507동작은 예컨대, 직원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직원용 스마트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된 확인버튼을 터치하는 행위 또는 별도의 키를 입력하는 행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507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직원용 디바이스 120는 직원 확인 신호를 고객용 디바이스 110측에 전송하는 509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고객용 디바이스 110는 직원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주문 전달중 신호를 표시하던 505동작을 확인신호를 표시하는 511동작으로 변경할 수 있다.
고객용 디바이스 110와 직원용 디바이스 120가 블루투스 페어링 등으로 인해 직접 연결되어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경우에 상기 고객용 디바이스 110와 직원용 디바이스 120간 통신은 도 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직접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고객용 디바이스 110와 직원용 디바이스 120가 각각 와이파이 신호를 기반으로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경우, 상기 고객용 디바이스 110와 직원용 디바이스 120는 운용 서버 130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객용 디바이스에서 주문 확인을 수행하는 순서에 대하여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상기 도 5에서 설명한 501동작 내지 511동작에 이어 수행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서는 동작 주체에 매장 관리 웹 131이 추가되며, 상기 매장 관리 웹 131에 테이블 별 주문 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매장 관리 웹 131의 서버가 운용 서버 130와 동일하거나 또는 연동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리고 도 6에서 개시하는 동작은 고객용 디바이스 110와 직원용 디바이스 120 및 매장 관리 웹 131이 운용 서버 130를 거쳐 통신하는 경우에 한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고객용 디바이스 110에서 직원용 디바이스 120로 전송된 서비스 요청 신호가 단순 호출이 아닌 주문 사항을 포함하는 서비스 요청 신호인 경우, 직원은 매장관리 웹 131에 고객으로부터 전달받은 주문 사항을 추후 결제를 위해 입력하는 513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매장 관리 웹 131에 테이블 정보 및 해당 테이블의 주문 정보가 입력되면, 운용 서버 130에 의해 새롭게 입력된 주문사항이 고객용 디바이스 110에 전송되는 515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매장 관리 웹 131에서는 자동으로 주문 내역의 합계 금액이 표시될 것이므로 상기 운용 서버 130에서 고객용 디바이스 110로 주문 사항 정보를 전달할 시 상기 합계 금액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전달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고객용 디바이스 110는 수신한 주문사항 및 합계금액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517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고객은 직원의 주문 내역 재확인이 수행되지 않더라도 고객용 디바이스 110에 표시되는 내용을 확인하는 것만으로 충분히 주문 정보를 체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뉴판형 호출벨이 다수개의 테이블에서 사용되는 경우 테이블 번호를 직원이 직접 숫자버튼을 이용해 설정해주는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메뉴판형 호출벨은 숫자 버튼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도 다수개의 테이블에서 테이블 식별 번호를 바꿔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용 디바이스 110는 NFC 태그 내지는 NFC 모듈을 구비하고 있고, 각 테이블에는 NFC 라이터 기능을 가진 테이블 식별번호 송신기가 부착되는 경우, 직원은 고객용 디바이스 110를 테이블에 전달할 시 상기 테이블 식별 번호 송신기에 NFC 접촉을 수행함을 통해 상기 고객용 디바이스 110에 테이블 식별 번호가 입력(예, NFC Writing 기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고객용 디바이스 110에 저장되는 테이블 식별 번호는 각 테이블로 전달될 때마다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객용 디바이스 110는 해당 테이블에서 서비스 요청 신호 전달시 변경된 테이블 식별번호를 함께 송신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고객용 디바이스 110는 종래의 방식과 유사하게 단일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상기 고객용 디바이스는 직원용 디바이스로부터 서비스 요청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직원 확인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표시할 수 있다. 단일 버튼으로 구성되는 방식으로 통신하는 고객용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테이블과 직원용 디바이스를 매칭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객은 고객용 디바이스의 버튼을 짧게 1회 누를 수 있으며, 상기 고객용 디바이스는 고객으로부터 호출에 대응되는 명령을 입력받았으므로, 이에 대응되는 서비스 요청 신호를 브로드캐스팅 할 수 있다.
상기 고객용 디바이스는 고객으로부터 호출에 대응되는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특정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신호의 경우, 상기 고객용 디바이스에 저장된 테이블 식별 정보와 호출 발생을 알리는 정보를 함께 포함하는 신호일 수 있다.
이후, 고객용 디바이스 110에서 브로드캐스팅된 서비스 요청 신호는 AP에서 수신할 수 있으며, AP는 운용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운용 서버는 기설정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직원용 디바이스에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매장 직원이 착용하고 있는 스마트워치와 같은 직원용 디바이스 120에서는 어느 고객용 디바이스 110에서 호출했는지 알리기 위해 테이블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응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매장 직원은 수락 입력을 스마트워치에 함으로써, 매칭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응대 대상으로 특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운용 서버는 해당 고객과 매장 직원 간의 매칭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후의 호출 요청이 있는 경우에 동일 매장 직원의 스마트워치에 호출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운용 서버는 해당 매장 직원의 대응 서비스가 일정 시간 이상 지연 제공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다른 매장 직원들의 스마트워치로 호출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고객과 매장 직원 간에 1:1 매칭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고객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후, 응대 서비스를 수락한 매장 직원은 호출을 요청한 고객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으며, 고객의 테이블의 고객용 디바이스와 매장 직원의 스마트워치(직원용 디바이스)를 태깅(tagging)하여, 실제로 매장 직원이 고객의 요청에 대응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태깅은 실제의 물리적인 접촉 외에도 근접 터치를 포함하는 태깅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장 직원의 스마트워치가 테이블의 고객용 디바이스110와 10cm 정도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근접 센서 등을 통해서 태깅이 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운용 서버 또는 공간 관리 웹 서버에서는 고객의 호출 요청이 있은 이후부터, 매장 직원이 이를 수락하고, 해당 위치로 이동하여 태깅하기까지의 일련의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운용 서버는 해당 시간들을 누적 정리함으로써, 응대 서비스의 통계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이후, 고객은 매장 직원과 대면(face to face)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으며, 매장 직원은 이에 대한 응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식의 주문이나 결제의 요청 등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매장 직원이 직원용 디바이스 120를 통해 응대 서비스를 수락하면 이에 대한 신호는 운영 서버를 거쳐 타 직원용 디바이스 뿐 아니라 고객용 디바이스 110에도 전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객용 디바이스 110 상에 요청한 신호가 접수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이로 인해 제대로 버튼이 눌리지 않는 등의 이유로 실제 서비스 요청이 전송되지 않았음에도 서비스 요청이 전송된 것으로 착각하여 오랜시간동안 직원을 기다리게 되는 고객의 불편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을 통해 직원이 빠른 시간 안에 응대하지 않는 이유로 서비스 요청 신호가 전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불필요하게 서비스 요청 신호를 재 송신하여 직원을 재촉하게 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고객용 디바이스 110에서 직원용 디바이스 120까지의 신호 전달 방식은 비콘 신호(BLE)를 이용하고, 직원용 디바이스 120에서 고객용 디바이스 110로 전달되는 신호는 와이파이를 이용할 수도 있다. 고객용 디바이스 110와 직원용 디바이스 120 양측에서 신호 송신 시 비콘 신호를 이용한 통신 방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밖에도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고객용 디바이스 110와 직원용 디바이스 120 간의 신호 전달 방식은 제한되지 않는다. 고객용 디바이스에서 송신하는 서비스 요청 신호와 직원용 디바이스에서 송신하는 응답 신호(직원 확인 신호, 매칭 신호 등)를 타 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한, 다양한 조합의 통신 방식이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운용 서버는 매장 관리 WEB 서버 131와 고객 응대 서비스에 대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운용 서버130는 고객용 디바이스 110 및 AP 140와 통신하는 주체일 수 있으며, 공간 관리 WEB 서버 131의 경우, 실제 고객과 매장 직원 간의 응대 서비스를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매장 관리 WEB 서버 131의 경우, 고객의 호출 정보 등에 기초하여 다양한 정보를 고객용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고객용 디바이스는 매장 소유의 매장 내에 고객이 이용하도록 비치된 기기 이외에도 고객 소유의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매장 관리 WEB 서버 131는 고객을 식별할 수 있는 경우, 해당 고객의 누적 주문 내역을 고객용 디바이스 110에 전송하여, 고객으로 하여금 원활한 주문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음식점의 경우에는, 인기 음식 또는 고객의 생체 정보에 근거하여 음식 메뉴를 추천할 수 있다. 또는 다른 고객이 주문한 내역 정보, 또는 음식이 나오기까지 예상되는 시간 정보 등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매장 관리 WEB 서버 131는 고객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상 동안 주문 정보가 없는 경우, 주문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자동적으로 매장 직원을 호출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매장 직원이 고객의 위치로 직접 이동하여 원활한 주문이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매장 관리 WEB 서버 131는 고객용 디바이스 110에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이 주문한 메뉴와 관련된 TV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고객은 수신한 콘텐츠에 기반하여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주문이 완료된 이후에, 매장 관리 WEB 서버는 고객용 디바이스에 게임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주문 이후에 고객용 디바이스에 제휴된 게임 콘텐츠를 제공하거나, 고객이 이용하는 게임에 혜택을 제공하여, 실제 응대가 이루어지기까지의 시간에 게임 콘텐츠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고객용 디바이스와 스마트폰을 구별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스마트폰에서 BLE 비콘 신호 등을 이용한 서비스 요청 신호의 전송이 가능한 경우에는, 고객용 디바이스와 스마트폰을 단일 기기로서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식점 매장 테이블에 설치된 고객용 디바이스와 스마트폰(또는 태블릿일 수 있다)은 단일 기기로서, 호출 및 주문 요청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특정 공간과 매칭되어 서로 다른 테이블에 구비되고, 테이블 식별 번호 및 버튼 입력에 대응하는 주문정보를 포함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고객용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특정 공간 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직원용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특정 공간에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고객용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받은 주문 정보가 포함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서버에 전달하며, 서버로부터 직원 확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직원 확인 신호 내 포함된 테이블 식별 정보에 의해 판단된 고객용 디바이스에 상기 직원 확인 신호를 전달하는 AP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AP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요청 신호를 근거로 하나 이상의 고객용 디바이스 중에서 상기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한 고객용 디바이스를 특정하는 운영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운용 서버는, 상기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한 고객용 디바이스의 테이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요청 신호를 상기 하나 이상의 직원용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운용 서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직원용 디바이스 중 응답 신호(직원 확인 신호, 매칭 신호 등)를 입력한 직원용 디바이스가 상기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한 고객용 디바이스에 태깅되어 태깅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응답 신호를 입력한 직원용 디바이스와 상기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한 고객용 디바이스를 매칭하고 신호 전달 과정을 완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용 서버는 매칭 신호를 전송한 직원용 디바이스에게 순위를 설정하고, 최우선순위 및 후순위의 직원용 디바이스 중 아이들(idle) 상태인 직원용 디바이스를 상기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한 고객용 디바이스와 매칭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운용 서버는, 상기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한 고객용 디바이스로부터 추가의 서비스 요청 신호(제 2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받으면 상기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한 고객용 디바이스에 매칭된 직원용 디바이스에 상기 제 2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운용 서버는 상기 매칭된 직원용 디바이스의 대응 서비스가 일정 시간 이상 지연되면 다른 직원용 디바이스들에게 상기 제 2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는 고객용 디바이스와 직원용 디바이스의 매칭이 완료되면 고객과 매장 직원 간 매칭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직원용 디바이스로 매칭 확인 정보를 전송하여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운영 서버는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받은 이후부터 해당 서비스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응대를 완료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응대 서비스의 통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고객용 디바이스에 주문용 디바이스(예컨대, 사용자의 개인 단말기)가 연결된 경우,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한 고객용 디바이스로 웹 주문이 가능한 웹 페이지로의 접근 경로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근 경로를 전송받은 고객용 디바이스에 연결된 주문용 디바이스는 상기 전송받은 접근 경로를 근거로 전자 메뉴판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고객용 디바이스는 직원용 디바이스의 태깅 이후 응대 서비스에 대한 피드백을 수행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서비스 요청 신호를 하나 이상의 AP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운영 서버는 직원용 디바이스와 매칭이 완료된 후에 지속적으로 서비스 요청 신호를 AP로 전송하여 설정 시간 경과 후에 매장 직원이 매칭된 고객용 디바이스 측 고객의 요구 사항을 확인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운용 서버는 상기 하나 이상의 고객용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상기 하나 이상의 AP로부터 수집하여 각 호출벨에 대해 마지막 응대 시간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관리할 수 있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모든 순서를 도시된 순서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음에 주의한다.
110 : 고객용 디바이스
120 : 직원용 디바이스
130 : 운용 서버
140 : AP
210 : 통신부
220 : 표시부
230 : 키 입력부
240 : 저장부
250 : 제어부
120 : 직원용 디바이스
130 : 운용 서버
140 : AP
210 : 통신부
220 : 표시부
230 : 키 입력부
240 : 저장부
250 : 제어부
Claims (1)
- 주문 내용 선택 및 서비스 제공자 호출 기능을 수행하는 물리 버튼을 구비하는 고객용 디바이스;
하나 이상의 상기 고객용 디바이스 및 하나 이상의 직원용 디바이스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AP(Access Point);
상기 고객용 디바이스에서 발생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상기 AP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고객용 디바이스 중 서비스 요청한 고객용 디바이스를 식별하고, 상기 서비스 요청 신호를 직원용 디바이스에 전달하는 운용 서버;
상기 운용 서버와 통신하며, 매장 직원이 고객에게 제공하는 응대 서비스에 관한 관리를 수행하는 매장 관리 WEB서버; 및
상기 운용 서버에서 전송된 서비스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테이블 식별 번호 및 주문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서비스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수행되는 수락 입력을 감지하는 직원용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고객용 디바이스는
테이블 식별 번호를 저장하는 저장부;
이미지 및 동영상이 표시가능한 표시부;를 포함하고,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달하도록 하는 입력 이벤트를 수신하면, 상기 서비스 요청 신호에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테이블 식별 번호를 포함하여 전송하되, 상기 테이블 식별 번호는 변경 가능하며,
상기 테이블 식별 번호를 변경하는 방법은
상기 고객용 디바이스에 숫자 버튼 및 테이블 지정 버튼이 구비된 경우, 상기 숫자 버튼을 이용해 테이블 번호와 상기 테이블 지정 버튼을 눌러 고객용 디바이스의 테이블 식별 번호를 변경하는 방법 및
상기 고객용 디바이스 내 NFC 태그와 매장에 비치된 NFC 라이터 기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고객용 디바이스를 상기 NFC 라이터 기기에 접촉하여 변경된 테이블 식별 번호를 상기 NFC 태그에 입력받도록 하여 상기 고객용 디바이스의 테이블 식별 번호를 변경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로 수행되며
상기 고객용 디바이스는,
주문 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버튼의 선택이 감지되면, 상기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재료의 종류 및 재료의 원산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며,
상기 직원용 디바이스에 의해 직원의 수락 입력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표시부의 표시 설정을 변경하여 직원의 수락을 알리고,
상기 운용 서버는
서비스 요청 신호에 대해 수락 입력한 직원용 디바이스와 상기 서비스 요청 신호를 송신한 고객용 디바이스를 매칭하여 매칭 확인 신호를 생성하고, 전체 직원용 디바이스에 매칭 확인 신호를 전송하여 고객의 서비스 요청에 대하여 응대할 직원이 배정되었음을 알리고,
고객용 디바이스에 매칭 확인 신호를 전송하여 고객이 요청한 신호가 직원에게 접수되었음을 알리며,
상기 운용 서버는
상기 고객용 디바이스로부터 제2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2 서비스 요청 신호를 상기 매칭된 직원용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매칭된 직원용 디바이스의 대응 서비스가 일정 시간 이상 지연되면 다른 직원용 디바이스들에게 상기 제 2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기 매칭된 직원용 디바이스와 고객용 디바이스 간의 태깅이 이루어짐에 따라 요청된 서비스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서비스 요청 신호의 송신 동작을 완료하며,
일 서비스 요청에 대하여 직원 디바이스에서 수락 입력이 감지된 시점부터 상기 태깅이 이루어진 시점까지의 시간을 소요시간으로 기록하고, 상기 소요시간을 누적 기록한 통계 정보를 생성하며,
직원용 디바이스와 고객용 디바이스 간의 매칭 정보를 저장하고, 추후 고객의 서비스 요청 신호가 발생 시 기 매칭된 이력이 있는 직원용 디바이스를 우선적으로 호출하고,
상기 고객용 디바이스는
매장 소유의 기기 및 고객 소유의 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매장 관리 WEB서버는 고객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상 동안 주문 정보가 없는 경우, 주문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자동적으로 매장 직원을 호출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고객용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주문 정보를 입력받는 버튼으로 구성되는 키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 입력부는 메뉴판의 각 메뉴를 주문하는 버튼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객용 디바이스는
상기 버튼의 입력이 감지되면 메뉴판의 각 메뉴에 대응하여 해당 메뉴를 주문 요청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 내 주문 정보 송수신 지원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0279A KR102255253B1 (ko) | 2019-09-23 | 2020-07-21 | 매장 내 주문 정보 송수신 지원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6663A KR102159115B1 (ko) | 2019-09-23 | 2019-09-23 | 서비스 요청 사항 관리 및 전송 시스템 |
KR1020200090279A KR102255253B1 (ko) | 2019-09-23 | 2020-07-21 | 매장 내 주문 정보 송수신 지원 시스템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16663A Division KR102159115B1 (ko) | 2019-09-23 | 2019-09-23 | 서비스 요청 사항 관리 및 전송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90704A KR20200090704A (ko) | 2020-07-29 |
KR102255253B1 true KR102255253B1 (ko) | 2021-05-24 |
Family
ID=71893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90279A KR102255253B1 (ko) | 2019-09-23 | 2020-07-21 | 매장 내 주문 정보 송수신 지원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5525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50841B1 (ko) * | 2020-12-31 | 2022-01-14 | 주식회사 비코닉스 | 저전력 블루투스 그물망 네트워크 기반 결제시스템을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
KR102695511B1 (ko) | 2023-08-17 | 2024-08-16 | 이정헌 | 상품과 서비스를 주문하고 nft 기반으로 콘텐츠를 거래하는 서버,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프로그램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45368B1 (ko) * | 2015-09-25 | 2016-08-04 | 주식회사 오티디테크놀로지 | 음식 주문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8152B1 (ko) * | 2012-12-26 | 2014-12-05 | 주식회사지니 | 스마트 차임벨을 이용하여 음식 주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1864338B1 (ko) * | 2014-12-05 | 2018-06-04 | 노성국 | 식당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 |
-
2020
- 2020-07-21 KR KR1020200090279A patent/KR10225525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45368B1 (ko) * | 2015-09-25 | 2016-08-04 | 주식회사 오티디테크놀로지 | 음식 주문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90704A (ko) | 2020-07-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410510B2 (en) | Paging system and metho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 |
KR20190014515A (ko) | 음성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의 시각적 어포던스를 위한 led 설계 언어 | |
KR102255253B1 (ko) | 매장 내 주문 정보 송수신 지원 시스템 | |
CN104536561A (zh) | 采用可穿戴设备控制终端设备操作的方法及可穿戴设备 | |
TWI672959B (zh) | 藍牙服務呼叫系統 | |
JP2020502613A (ja) | アプリ基盤の仮想ボタンを用いたサービス要請システム及び方法 | |
JP2017151715A (ja) |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配信方法、および情報配信システム | |
KR102027281B1 (ko) |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반의 고객 요청 사항 전송 방법 및 시스템 | |
KR20190110988A (ko) | 매장에서 사용되는 고객 디바이스 맞춤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 | |
JP6454702B2 (ja) | 装置上のタスクをユーザに通知する方法 | |
KR102255254B1 (ko) | 서비스 요청 신호 송신 및 고객 응대 지원 시스템 | |
KR102159116B1 (ko) | 매장 서비스 품질 정보 통계 시스템 | |
KR102159115B1 (ko) | 서비스 요청 사항 관리 및 전송 시스템 | |
JP2010039889A (ja) | オーダーシステムおよびオーダー端末 | |
KR102551618B1 (ko) | 매장내 호출 및 주문 플랫폼을 위한 운영 시스템 | |
KR20180090218A (ko) | 매장 내 고객의 서비스 요청을 위한 블루투스 기반의 호출 시스템 | |
KR102439752B1 (ko) | 블루투스 기반의 고객 응대를 위한 호출 시스템 | |
KR102462309B1 (ko) | 태깅 정보를 활용하여 고객 응대를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호출 시스템 | |
JP2016071483A (ja) | 特典提供システム、特典提供サーバ、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端末プログラム | |
KR101795567B1 (ko) | 비콘을 이용한 오프라인의 이벤트 제공시스템 및 방법 | |
KR20180090220A (ko) | 고객 응대 및 처리 현황을 처리하기 위한 호출 및 태깅 시스템 | |
KR20180090213A (ko) | 블루투스 기반의 서비스 요청을 위한 디바이스 | |
KR20180090216A (ko) | 근거리 무선 통신 호출 시스템과 연동하는 주문용 디바이스 | |
KR20180090219A (ko) | 매장 내 고객의 서비스 요청 및 주문을 위한 호출 시스템 | |
KR20230000145U (ko) | Nfc 기능의 음성 서비스 주문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