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0219A - 매장 내 고객의 서비스 요청 및 주문을 위한 호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매장 내 고객의 서비스 요청 및 주문을 위한 호출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90219A KR20180090219A KR1020180024527A KR20180024527A KR20180090219A KR 20180090219 A KR20180090219 A KR 20180090219A KR 1020180024527 A KR1020180024527 A KR 1020180024527A KR 20180024527 A KR20180024527 A KR 20180024527A KR 20180090219 A KR20180090219 A KR 2018009021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ll
- signal
- employee
- bell
- transmitte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9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6 active pharmaceutic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978 adap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75 auth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405 be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267 cellular commun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9771 cogn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18 data m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71 general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90 polydopami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84 smar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 H04B5/04—
-
- H04B5/02—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호출 시스템이 개시된다. 호출 시스템은 특정 공간과 매칭되어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호출벨; 상기 하나 이상의 호출벨에서 전송하는 BLE(Bluetooth Low Energy) 신호를 수신하는 AP(Access Point); 상기 AP로부터 호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호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호출벨에서 호출을 요청한 호출벨을 식별하는 운용 서버; 및 상기 운용 서버에서 전송된 호출 신호에 기초하여 호출 정보를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직원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직원 디바이스에 상기 운용 서버로부터 전송된 호출 신호에 대한 수락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직원 디바이스는 매칭 신호를 상기 운용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운용 서버는 수신된 매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매칭 확인 신호를 상기 하나 이상의 직원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운용 서버는 상기 매칭 신호를 전송한 직원 디바이스 및 상기 호출을 요청한 호출벨 간에 태깅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호출 과정을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매장 내 고객의 서비스 요청 및 주문을 위한 호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누르는 동작이 가능한 BLE(Bluetooth Low Energy) 비콘(Beacon)을 이용하여 신호에 상응하는 요청을 서비스를 제공하는 측에 전달하고 이를 수신한 서비스 제공자는 해당 요청을 구분하여 정확하고 신속하게 대응하며 이를 기록하여 저장하고 매장 내 고객의 서비스 요청 및 주문을 위한 호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우리 사회는 산업혁명, 정보화혁명을 거쳐, 모든 것이 인터넷과 연결되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반의 초연결(Hyper-connectivity) 혁명을 진행 중이다. 현재 인터넷에 연결된 사물은 전체 사물의 1% 미만이나 향후 연결 확대 과정에서 다양한 혁신과 사업기회가 창출될 수 있다.
주변에서 찾아볼 수 있는 사물인터넷 서비스의 예시로서,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의 등장으로 차량을 인터넷으로 연결하여 긴급구난 메시지 자동 전송, 무인자율 주행 서비스 등을 지원하고 있다. 그리고, 헬스케어 제품들이 신체의 심장박동, 운동량 등을 측정하여 헬스케어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스마트홈의 태양으로는, 가전 기기의 원격제어 또는 홈 CCTV와 같은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IoT의 주요 기술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 및 IoT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을 설명할 수 있다. 먼저 센싱 기술은 전통적인 온도/습도/열/가스/조도/초음파 센서 등으로부터 원격 감지, SAR(Synthetic Aperture Radar), 레이더, 위치, 모션, 영상 센서 등 유형 사물과 주위 환경으로부터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물리적인 센서에서의 감지를 의미한다. 물리적인 센서는 응용 특성을 좋게 하기 위해 표준화된 인터페이스와 정보 처리 능력을 내장한 스마트 센서로 발전하고 있으며, 또한, 이미 센싱한 데이터로부터 특정 정보를 추출하는 가상 센싱 기능도 포함되며 가상 센싱 기술은 실제 IoT 서비스 인터페이스에 구현된다. IoT 센싱 기술은 기준의 독립적이고 개별적인 센서보다 한 차원 높은 다중(다분야) 센서 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에 한층 더 지능적이고 고차원적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에 대하여 설명하면, IoT의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장치로는 기존의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i-Fi, 3G/4G/LTE, 블루투스(Bluetooth), 이더넷(Ethernet), BcN(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위성통신, Microware, 시리얼 통신,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등 인간과 사물, 서비스를 연결시킬 수 있는 모든 유무선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IoT 서비스 인터페이스는 IoT의 주요 3대 구성요소(인간/사물/서비스)를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응용서비스와 연동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IoT 서비스 인터페이스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개념이 아니라, 정보를 센싱, 가공/추출/처리, 저장, 판단, 상황 인식, 인지, 보안/프라이버시 보호, 인증/인가, 디스커버리, 객체 정형화, 온톨러지 기반의 시맨틱, 오픈 센서 API, 가상화, 위치확인, 프로세서 관리, 오픈 플랫폼 기술, 미들웨어 기술, 데이터 마이닝 기술, 웹 서비스 기술, 소셜네트워크 등 서비스 제공을 위해 인터페이스(저장, 처리, 변환 등)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일반 음식점 및 병원, 공장 등에 활용되고 있는 무선 호출벨(wireless calling bell)은 사용자에게 필요한 요구 사항 또는 특정 이벤트의 발생 여부 등을 전달하기 위해 타인을 호출하거나, 정보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사용자는 무선 호출벨을 누르고(push), 호출 신호는 중앙 제어 장치로 전송되어 무선 호출벨을 식별하고, 해당 무선 호출벨에 대한 후속 조치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준다.
최근에는 근거리 네트워크 기술 중에 주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블루투스(Bluetooth) 기술을 이용하여 디바이스간 통신(Device to Device; D2D)을 수행할 수 있으며, 데이터를 단방향으로 전송할 뿐만 아니라 양방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블루투스(Bluetooth) 기술은 근거리 내에서 하나의 무선 연결을 통해서 장치 간에 필요한 여러 케이블 연결을 대신하게 해준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무선 기술이 휴대폰과 랩 탑 컴퓨터 안에 구현되면 케이블 없이도 연결되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프린터, PDA, 데스크탑, FAX, 키보드, 조이스틱은 물론이고, 사실상 모든 디지털 장비들이 블루투스 시스템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장치들을 케이블로부터 자유롭게 만들어 주는 것뿐 아니라, 블루투스 무선 기술은 기존의 데이터망과 주변 장치들간의 인터페이스, 그리고 고정된 네트워크 하부구조로부터 멀리 떨어진 장치들 간에 특별한 그룹을 형성시켜주는 보편적인 다리 역할을 제공할 수 있다. 블루투스는 빠른 인식과 주파수 호핑 방식을 사용하여 기기 간의 연결을 튼튼하게 한다. 블루투스 모듈은 패킷을 전송하거나 보낸 후에 새로운 주파수 호핑을 함으로써 다른 신호들과의 간섭을 피한다. 같은 주파수대에서 작동하는 다른 시스템들과 비교하여 블루투스는 특별히 빠르고 짧은 패킷을 사용한다. 한편, 클래식 블루투스와 블루투스 하이 스피드와 블루투스 저 에너지를 포함한 기능을 가진 블루투스 4.0이 발표됨에 따라, 블루투스 저 에너지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우리가 익히 잘 알고 있는 초근거리 무선통신 기술로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가 있다. 이러한 NFC와 RFID 기술은 특정 RF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게 되면 비콘(Beacon) 또는 아이비콘(iBeacon) 기술은 블루투스(Bluetooth)의 2.4GHz 대역을 사용한다.
이러한 비콘은 근거리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맞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마케팅 분야에서 많은 응용이 있다.
이러한 비콘 기술은 블루투스 4.0 버전인 블루투스LE(Bluetooth Low Energy, BLE)를 활용한 저전력 디바이스로 요즘에 다시금 주목 받고 있다.
종전의 블루투스 버전은 전력 효율과 동시 연결 가능한 기기 대수에 제한이 있었다. 블루투스 4.0은 동전 모양 배터리 하나로 1년 이상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전력 소모량이 획기적으로 개선됐고 동시 연결할 수 있는 기기 수에도 제한이 없기 때문에 비콘 서비스가 더 폭 넓게 가능하게 되었다.
비콘의 특징은 출력 파워에 따라서 몇 십 cm에서 100m 까지의 거리에서 인식이 가능하고, 한정된 공간에 많은 사람이 있는 실내에서도 개개인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개별 기기마다 서로 다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개인별 맞춤 정보 송신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기존의 특정 RF(AM, FM) 주파수로 정해진 신호를 송출하는 호출벨과 이 신호를 수신하여 화면에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로 단일 구성되어 있는 시스템에서 보다 진화시켜 도달거리의 제약사항을 없애기 위해 각각의 수신 디바이스를 IoT 기술을 활용하여 연결하고 단순 호출번호 뿐 아니라 요청 내용을 함께 전달하며 대응 시간의 확인, 호출 목적과 이를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호출벨은 기존의 단순한 호출벨 시스템의 기능을 확장하고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비콘은 호출벨을 누르는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 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선택적으로 전달하고, 수신 측에서는 단순히 요청 여부를 인지하는 것에서 벗어나 수신 즉시 의도를 파악하여 빠른 대응을 할 수 있다. 이때 수신 측에서 착용하는 스마트워치, 스마트폰 또는 전용 단말 등에서 이 신호를 수신하고 바쁜 업무 처리 중에도 누락없는 효율적인 서비스 대응을 할 수 있다.
또한, 호출을 요청한 사용자의 서비스 처리를 지시하는 전체 서비스 담당자의 경우에는, 실제로 고객 응대가 이루어졌는지 알 수 있는 방법이 기존에는 없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수신자가 직접 호출을 요청한 사용자의 위치로 이동하여 대면함으로써 실제 응대 여부 및 응대까지 소요 시간 등의 데이터를 관리하여 전체적으로 서비스 질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비콘 신호를 전송하는 호출벨에서 호출 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 이에 대한 응대까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방법 및 호출 시스템에 대하여 제안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BLE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호출 측과 피호출 측간에 신속하고 정확한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 시스템은 특정 공간과 매칭되어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호출벨; 상기 하나 이상의 호출벨에서 전송하는 BLE(Bluetooth Low Energy) 신호를 수신하는 AP(Access Point); 상기 AP로부터 호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호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호출벨에서 호출을 요청한 호출벨을 식별하는 운용 서버; 및 상기 운용 서버에서 전송된 호출 신호에 기초하여 호출 정보를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직원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직원 디바이스에 상기 운용 서버로부터 전송된 호출 신호에 대한 수락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직원 디바이스는 매칭 신호를 상기 운용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운용 서버는 수신된 매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매칭 확인 신호를 상기 하나 이상의 직원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운용 서버는 상기 매칭 신호를 전송한 직원 디바이스 및 상기 호출을 요청한 호출벨 간에 태깅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호출 과정을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나 이상의 호출벨은, 호출벨에 호출 요청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AP로 BLE 신호를 전송하고, 호출벨에 호출 요청 정보가 수신되는 것과 무관하게, 기설정된 전송 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AP로 BLE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출벨에 호출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전송되는 BLE 신호와 상기 호출 요청 정보가 수신되는 것과 무관하게 전송되는 BLE 신호는 서로 다르고, 상기 호출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전송되는 BLE 신호는, 호출 요청을 지시하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용 서버에 상기 하나 이상의 직원 디바이스로부터 복수의 매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운용 서버는 하나의 직원 디바이스를 상기 호출벨과 매칭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운용 서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직원 디바이스에 호출 신호를 전송한 이후의 일정 시간동안 수신된 매칭 신호 중에서 최우선으로 수신된 매칭 신호에 대응되는 직원 디바이스를 상기 호출벨과 매칭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태깅 정보는, 상기 직원 디바이스가 상기 호출벨에 물리적으로 접촉을 완료한 경우에 생성되는 정보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태깅 정보는, 상기 직원 디바이스가 상기 호출벨에 기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접근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생성되는 정보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벨 시스템은, 특정 공간과 매칭되어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호출벨; 상기 하나 이상의 호출벨에서 전송하는 BLE(Bluetooth Low Energy) 신호를 수신하는 AP(Access Point); 상기 AP로부터 호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호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호출벨에서 호출을 요청한 호출벨을 식별하는 운용 서버; 상기 운용 서버에서 전송된 호출 신호에 기초하여 호출 정보를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직원 디바이스; 및 상기 호출벨에서 호출 요청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BLE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 상기 운용 서버로부터 웹 주문 정보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주문용 디바이스;을 포함하고, 상기 직원 디바이스에 상기 운용 서버로부터 전송된 호출 신호에 대한 수락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직원 디바이스는 매칭 신호를 상기 운용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운용 서버는 수신된 매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매칭 확인 신호를 상기 하나 이상의 직원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운용 서버는 상기 매칭 신호를 전송한 직원 디바이스 및 상기 호출을 요청한 호출벨 간에 태깅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호출 과정을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운용 서버는, 상기 호출 요청 신호를 전송한 호출벨과 상기 웹 주문 정보를 수신하는 주문용 디바이스를 매칭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문용 디바이스에서 상기 호출벨에서 전송한 BLE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매칭이 되고, 상기 주문용 디바이스에서 주문 정보를 전송하는 시점에 상기 운용 서버에서 상기 호출벨 및 상기 주문용 디바이스 간에 매칭이 되었음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문용 디바이스는 상기 호출벨에 호출 요청 신호를 입력한 사용자의 스마트폰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주문용 디바이스는 상기 호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자 소유의 스마트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호출 시스템은 호출 신호 이후에 실제로 고객 응대가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호출 신호 이후 다수의 서버에게 동시에 고객의 호출 또는 필요 사항이 전달되어 고객에게 보다 빠른 대응이 가능해지며, 요청 신호 수신자가 직접 요청자의 위치로 이동하여 착용한 직원 디바이스를 요청 비콘 호출벨에 접촉하는 방식으로 실제 대응 여부와 소요시간을 판단하는 자료도 제공되므로, 전체적인 서비스 질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호출벨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AP(Access Point)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 및 응답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문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 과정에서 각 디바이스들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 과정에서 각 디바이스들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AP(Access Point)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 및 응답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문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 과정에서 각 디바이스들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 과정에서 각 디바이스들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는 게이트웨이(gateway)에 연결되어 IoT(Internet of Things)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장치(또는 사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무선 호출기, 스마트폰, 태블릿 PC, 컴퓨터,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음향 센서, 모션 센서, 근접 센서, 가스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냉장고, CCTV, TV, 세탁기, 제습기, 전등, 화재 경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device)는 “기기” 또는 “장치”와 혼용될 수 있으며, “디바이스”, “기기” 및 “장치”는 동일한 표현으로 기재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는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의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예를 들어, 디바이스의 식별 값, 디바이스의 종류, 디바이스에 의해 감지되는 센싱 데이터의 종류 및 속성, 및 디바이스의 센싱 주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서비스(service)는 디바이스에서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는 서버 또는 타 디바이스와의 통신에 기초한 서비스, 디바이스 내에서 동작 가능한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적용되는 서비스는 본 개시에 예로서 기재된 서비스 이외에도 디바이스에서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들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호출벨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콘 호출벨은 비콘 호출벨의 버튼부에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비콘의 정해진 신호가 블루투스 전력(BLE) 비콘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비콘 호출벨에 의해서 전송된 BLE 비콘 신호는 비콘 AP(Access Point)에서 수신할 수 있으며, 비콘 AP는 하나 이상의 비콘 호출벨로부터 BLE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비콘 호출벨은 디스플레이부, 버튼부, 통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비콘 호출벨의 디스플레이부는 호출을 원하는 사용자에게 버튼(또는 터치) 입력이 가능함을 지시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액정, LCD, LED, TFT 등의 발광 소자에 의해서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프린트되어 있는 이미지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버튼부는 사용자의 버튼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유형의 버튼부에 대한 사용자의 물리적인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는, 버튼부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에 의해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는 비콘 호출벨에서 신호를 전송하고, 타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는 BLE 비콘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밖의 셀룰러 통신 신호, Wi-Fi, NFC, Zigbee 등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통신부는 비콘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유니캐스팅(uni-casting), 멀티 캐스팅(multi-casting) 및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유니캐스팅 방식은 일대일 통신 방식으로서, 비콘 호출벨은 타 디바이스에 대하여 비콘 신호를 각각 유니캐스팅 할 수 있다. 멀티캐스팅 방식은 한번에 동일한 비콘 신호를 복수의 수신 대상에게 전송하는 기법이며, 브로드캐스팅은 무분별하게 복수의 타 디바이스들에게 전송하는 기법이다. 비콘 호출벨은 자기를 타 디바이스에서 발견시키기 위해서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비콘을 전송하여 광고(advertising)할 수 있다.
제어부는 비콘 호출벨의 디스플레이부, 버튼부 및 통신부에서 입출력되는 신호를 제어할 수 있으며, 호출벨이 하나의 디바이스로서 구동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비콘 호출벨은 특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비콘 호출벨은 일반 음식점 및 병원, 공장 등에 활용될 수 있으며, 음식점의 테이블, 병원의 침상 등에 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의 요구가 있는 경우, 고정부는 탈착되어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비콘 호출벨은 휴대용 단말로서의 일반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비콘 호출벨은 호출벨(calling bell)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태블릿PC, 스마트워치, PC, 스마트 글래스, 스마트 반지, 스마트 TV,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기기, 디지털방송용 기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AP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콘 AP는 비콘 호출벨에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비콘 AP는 BLE 신호를 스캐닝(scanning) 할 수 있으며, BLE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BLE 신호로부터 전송 주체를 식별할 수 있다.
비콘 AP는 수신한 BLE 신호를 운용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즉, 비콘 AP는 신호를 수신 및 전송할 수 있다. 비콘 AP는 비콘 호출벨과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로서 동일 공간으로 인식될 수 있는 반경마다 비콘 AP가 설치될 수 있다.
비콘 AP의 통신 반경은 다른 비콘 AP와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공간에 위치하는 비콘 호출벨은 복수의 비콘 AP들과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비콘 AP에서는 어느 비콘 호출벨에서 BLE 신호를 전송하였는지 식별할 수 있으며, 최우선으로 비콘 호출벨을 식별한 비콘 AP 또는 BLE 신호 수신 세기가 가장 큰 비콘 AP에서 해당 비콘 호출벨과 지속적으로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명세서에서의 사용자는 타인을 호출하기를 원하는 사용자일 수 있다. 사용자는 음식점의 손님일 수 있으며, 병원의 환자 또는 공장의 직원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음식점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호출 시스템은 비콘 호출벨, 비콘 AP, 운용 서버, 직원 디바이스 및 공간 관리 WEB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비콘 호출벨은 서비스 제공을 원하는 사용자에 의해서 버튼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버튼 입력에 대응하여 BLE 신호를 비콘 AP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비콘 호출벨은 사용자의 버튼 입력이 없어도 주기적으로 또는 특정 시간대에서 BLE 신호를 비콘 AP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콘 호출벨은 손님으로부터 음식점의 직원을 호출하는 호출 명령과 대응되는 BLE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손님이 음식점의 특정 메뉴(예, 맥주 한 병)를 선택하여 해당 메뉴에 대한 주문에 대응되는 BLE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비콘 호출벨은 호출 명령과 무관하게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주변에 BLE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비콘 AP는 비콘 호출벨에서 전송된 BLE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비콘 AP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운용 서버에 BLE 신호에 대응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비콘 AP는 비콘 호출벨에서 전송된 BLE 신호를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으며, BLE 신호에 특정 코드가 포함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호출 요청이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호출 요청이 있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해당 BLE 신호에 대응되는 신호를 운용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비콘 AP는 BLE 신호를 전송한 비콘 호출벨을 특정할 수 있다. 비콘 AP에서 수신한 BLE 신호의 특정 프레임에는 비콘 호출벨의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운용 서버는 비콘 호출벨 및 비콘 AP 간의 신호 송수신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비콘 AP에서 수신된 BLE 신호에 기초하여, 어느 비콘 호출벨에서 BLE 신호를 전송하였는지 식별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 같이, 비콘 AP에서 비콘 호출벨을 식별할 수 있으며, 비콘 AP가 식별하는 것과 무관하게, 운용 서버에서도 비콘 호출벨을 식별할 수 있다. 비콘 호출벨은 고유의 식별 정보를 BLE 신호에 함께 전송할 수 있으며, BLE 신호 내 특정 프레임에 해당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운용 서버는 비콘 호출벨의 식별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저장된 비콘 호출벨의 식별 정보와 수신된 BLE 신호를 비교하여 어느 비콘 호출벨에서 전송하였는지 특정할 수 있다.
운용 서버는 직원 디바이스에 호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직원 디바이스는 호출 대상이 되는 직원의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식점에서 서빙을 하는 서버(server)의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워치와 같은 기기일 수 있다.
직원 디바이스는 운용 서버로부터 호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직원 디바이스는 수신된 호출 신호에 기초하여, 어느 비콘 호출벨에서 호출을 요청하였는지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직원은 직원 디바이스에 표시된 정보에 기초하여, 호출을 요청한 사용자의 공간으로 이동하여 응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공간 관리 WEB 서버는 호출을 요청한 사용자 및 직원 간의 응대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청 사항 등을 수신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해당 공간에서의 비콘 호출벨의 신호 전송 횟수, 전송 주기 등의 정보를 통계치로서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요청 데이터를 저장하고 분석하여 마케팅 툴 또는 효율적 운용을 위한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 및 응답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출을 원하는 고객과 호출의 대상이 되는 매장 직원 간의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할 수 있다.
먼저 단계1에서, 고객은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 고객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는 음식의 주문과 같은 유상의 서비스이거나, 배터리 충전과 같은 무상의 서비스를 모두 포함하는 넓은 개념일 수 있다.
고객은 요청용 비콘벨을 짧게 1회 누를 수 있으며, 요청용 비콘벨은 고객으로부터 호출에 대응되는 명령을 입력받았으므로, 이에 대응되는 BLE 신호를 브로드캐스팅 할 수 있다.
요청용 비콘벨은 고객으로부터 호출에 대응되는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특정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특정한 신호의 경우, iBeacon 신호 또는 Eddystone-URL 신호와 같이 단순 호출 신호가 아닌 추가적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신호일 수 있다. 최근의 구글 크롬 브라우져(Google Chrome Browser) 기술과 같이, 특정한 BLE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기설정된 웹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는 Physical Web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호출용 비콘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크롬 브라우져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계 2에서, 요청용 비콘벨에서 브로드캐스팅된 BLE 신호는 비콘 AP에서 수신할 수 있으며, 비콘 AP는 운용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운용 서버는 기설정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직원용 기기인 스마트워치에 호출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3에서, 매장 직원이 착용하고 있는 스마트워치에서는 어느 비콘벨에서 호출 요청을 했는지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응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매장 직원은 수락 입력을 스마트워치에 함으로써, 호출의 대상으로 특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운용 서버는 해당 손님과 매장 직원 간의 매칭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후의 호출 요청이 있는 경우에 동일 매장 직원의 스마트워치에 호출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운용 서버는 해당 매장 직원의 대응 서비스가 일정 시간 이상 지연 제공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다른 매장 직원들의 스마트워치로 호출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고객과 매장 직원 간에 1:1 매칭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고객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단계 4에서, 응대 서비스를 수락한 매장 직원은 호출을 요청한 고객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으며, 고객의 테이블의 비콘 호출벨과 매장 직원의 스마트워치를 태깅(tagging)하여, 실제로 매장 직원이 고객의 요청에 대응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태깅은 실제의 물리적인 접촉 외에도 근접 터치를 포함하는 태깅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장 직원의 스마트워치가 테이블의 비콘 호출벨과 10cm 정도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근접 센서 등을 통해서 태깅이 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운용 서버 또는 공간 관리 웹 서버에서는 고객의 호출 요청이 있은 이후부터, 매장 직원이 이를 수락하고, 해당 위치로 이동하여 태깅하기까지의 일련의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운용 서버는 해당 시간들을 누적 정리함으로써, 응대 서비스의 통계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단계 5에서, 고객은 매장 직원과 대면(face to face)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으며, 매장 직원은 이에 대한 응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식의 주문이나 결제의 요청 등을 진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문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앞서 도 4의 설명과 마찬가지로, 호출을 원하는 고객과 호출의 대상이 되는 매장 직원 간의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할 수 있다.
먼저 단계1에서, 고객은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 고객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는 음식의 메뉴 주문과 같은 서비스일 수 있다.
고객은 테이블 비콘벨을 짧게 1회 누를 수 있으며, 테이블 비콘벨은 고객으로부터 호출에 대응되는 명령을 입력받았으므로, 이에 대응되는 BLE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테이블 비콘벨에서 전송된 BLE 신호는 비콘 AP에서 수신될 수 있으며, 운용 서버를 거쳐서, 해당 테이블 비콘벨로 매장의 웹 주문이 가능한 웹 페이지로의 접근 경로를 전송할 수 있다.
웹 주문이 가능한 전자 메뉴판이 디스플레이되는 디바이스는 테이블에 구비되어 있는 태블릿, 스마트폰과 같은 기기일 수 있으며, 고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테이블 비콘벨과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주문용 디바이스에서는 바로 전자 메뉴판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고객의 메뉴 주문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고객의 스마트폰과 같은 디바이스에서도 웹 주문이 가능한 전자 메뉴판이 디스플레이 되는 것이 가능하다. 고객의 스마트폰에 대한 정보가 운용 서버에 사전 등록이 되어 있는 경우, 고객은 테이블 비콘벨을 누름으로써, 고객의 스마트폰에 웹 주문이 가능한 전자 메뉴판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고객의 스마트폰에 대한 정보가 운용 서버에 사전 등록되는 경우는 다양한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첫째, 고객의 스마트폰과 테이블 비콘벨이 직접 무선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사전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이블 비콘벨에서 브로드캐스팅되는 BLE 신호를 비콘 AP 뿐만 아니라 고객의 스마트폰에서도 수신할 수 있으며, 고객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해당 테이블 비콘벨을 인증할 수 있다. 테이블 비콘벨과 고객의 스마트폰 간의 세션(session)이 설정된 이후에, 고객은 테이블 비콘벨을 호출함으로써, 이후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둘째, 고객의 스마트폰에서 해당 테이블 비콘벨의 식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이블 비콘벨의 고유 식별번호(예, ID번호)를 웹 상에서 등록할 수 있으며, 또는 QR코드를 촬영하여 입력하거나, NFC 태깅 등을 통해서 고객의 스마트폰에 테이블 비콘벨을 등록할 수 있다.
고객의 스마트폰에 테이블 비콘벨의 식별 정보가 등록이 되는 경우, 운용 서버는 해당 테이블에 고객이 위치하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하여,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셋째, 스마트폰이 특정 공간내에서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운용 서버가 자동적으로 해당 테이블 비콘벨과 스마트폰 간의 관계를 매칭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은 매장이라는 특정 공간에 설치된 와이파이나 블루투스의 무선 통신 기술을 통해서 해당 매장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테이블 비콘벨은 테이블 비콘벨마다 서로 다른 BLE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폰에서는 매장의 신호와 BLE 신호를 매칭함으로써(경우에 따라서는 신호 수신 세기가 가장 센 디바이스 간에 매칭할 수 있다) 이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테이블 비콘벨에서 브로드캐스팅된 BLE 신호는 비콘 AP에서 수신할 수 있으며, 비콘 AP는 운용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운용 서버는 기설정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직원용 기기인 스마트워치에 호출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2에서, 고객은 전자 메뉴판 상에 디스플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주문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단계에서의 주문은 전자 메뉴판 상에서 주문 가능한 주문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전자 메뉴판 상에서는 선택 가능한 주문 형식 외에도 텍스트나 음성의 입력 등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주문을 진행할 수 있다.
*고객은 전자 메뉴판에서 단순히 선택지 내의 메뉴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메뉴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전자 메뉴판을 디스플레이하는 기기(테이블의 태블릿이거나 고객의 스마트폰일 수 있다)에서는 연관된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식 주문의 경우, 칼로리 등의 영양 정보, 함께 주문을 추천하는 메뉴 정보, 과거의 주문 정보, 결제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단계 3에서, 운용 서버는 수신된 BLE 정보 및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주문을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번 테이블에서 스테이크 커플 세트를 주문한 것으로 특정할 수 있다.
운용 서버는 해당 주문 정보를 매장 직원의 스마트워치와 같은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으며, 매장 직원의 스마트워치에서는 해당 주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매장 직원이 착용하고 있는 스마트워치에서는 테이블 비콘벨에서 호출 요청을 했는지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계 4에서, 주문 정보에 대한 응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매장 직원은 수락 입력을 스마트워치에 함으로써, 호출의 대상으로 특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운용 서버는 해당 손님과 매장 직원 간의 매칭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후의 호출 요청이 있는 경우에 동일 매장 직원의 스마트워치에 호출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운용 서버는 해당 매장 직원의 대응 서비스가 일정 시간 이상 지연 제공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다른 매장 직원들의 스마트워치로 호출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고객과 매장 직원 간에 1:1 매칭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고객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단계 5에서, 응대 서비스를 수락한 매장 직원은 호출을 요청한 고객의 위치로 주문된 메뉴 음식을 가져다 줄 수 있으며, 고객의 테이블의 테이블 호출벨과 매장 직원의 스마트워치를 태깅(tagging)하여, 실제로 매장 직원이 고객의 요청에 대응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운용 서버 또는 공간 관리 웹 서버에서는 고객의 호출 요청이 있은 이후부터, 매장 직원이 이를 수락하고, 해당 위치로 이동하여 태깅하기까지의 일련의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운용 서버는 해당 시간들을 누적 정리함으로써, 응대 서비스의 통계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 과정에서 각 디바이스들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단계 S601에서, 호출벨(610)은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매장 내에서 호출을 원하는 고객(또는 사용자)에 의해서 호출 명령 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호출벨(610)은 호출 명령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BLE 비콘 신호를 AP(62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602에서, AP(620)는 하나 이상의 호출벨(610)로부터 BLE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호출벨(610)과 AP(620) 간에는 블루투스, WiFi, NFC, 지그비 등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AP(620)는 수신한 호출 신호를 운용 서버(63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운용 서버(630)는 호출벨, 비콘, 매장 직원의 스마트워치(640) 간에 원활한 정보의 송수신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이면 충분하다.
단계 S603에서, 운용 서버(630)는 AP(620)로부터 수신한 호출 신호에 기초하여, 어느 호출벨에서 호출 요청을 하였는지 특정할 수 있다. 호출벨(610)에서 전송된 BLE 비콘 신호 내에는 호출벨(610)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단계 S604에서, 운용 서버(630)는 어느 호출벨에서 호출 요청을 보냈는지 특정한 이후에, 운용 서버(630)와 연결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스마트워치(640)에 호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음식점의 운용 서버에서는 한 명 이상의 매장 서빙 직원(server)의 스마트워치에게 호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605에서, 각 스마트워치(640)는 운용 서버(630)의 호출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스마트워치(640)의 디스플레이부에서는 해당 호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장의 3번 테이블에서 직원을 호출한다는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스마트워치(640)의 착용자 중 한 명인 매장 서빙 직원은 자신이 해당 호출에 응대하겠다는 의사를 표시할 수 있으며, 스마트워치 상에 수락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이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606에서, 스마트워치(640)는 스마트워치(640)의 착용자인 매장 서빙 직원이 호출에 응대하겠음을 지시하는 매칭 신호를 운용 서버(63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607에서, 운용 서버(630)는 호출 요청에 어느 스마트워치가 매칭되었는지를 지시하는 매칭 확인 신호를 스마트워치(640)에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워치(640)의 착용 직원은 매칭 확인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매칭이 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만일, 운용 서버(630)에 복수의 스마트워치(640)들로부터 수락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운용 서버는 다양한 기준을 가지고 어느 매장 직원을 매칭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먼저 운용 서버(630)에 매칭 신호를 전송한 스마트워치를 매칭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운용 서버(630)는 후순위의 스마트워치에도 선순위 스마트워치와 매칭이 되었음을 지시하는 매칭 확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후순위로 매칭 신호를 전송한 스마트워치라 하더라도, 현재 아이들(idle)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운용 서버(630)는 해당 스마트워치를 매칭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운용 서버(630)는 다른 스마트워치에도 특정 스마트워치와 매칭이 되었음을 지시하는 매칭 확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608에서, 스마트워치(640)는 호출벨(610)과 태깅(tagging)할 수 있다. 즉, 스마트워치(640)를 착용하고 있는 매장 직원이 호출벨(610)의 위치로 이동하여, 이동을 완료하였음을 나타내는 의미로 호출벨(610)과 태깅할 수 있다. 태깅은 반드시 물리적인 접촉을 수반할 것을 필요로 할 것이 아니라, 근접 센서 등을 이용하여 일정 거리 범위 내에 접근하였음을 확인하는 것으로 태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609에서, 호출벨(610)을 누른 고객과 스마트워치(640)의 착용자인 매장 직원은 서로 대면할 수 있으며, 고객의 요청 사항에 대하여 응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장 직원은 고객의 음식 주문이나 특별한 요청에 대하여 응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호출벨(610)은, 태깅 이후에도 AP(620)에 응대 서비스에 대한 피드백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장 직원의 응대 이후에도 호출벨(610)은 지속적으로 BLE 비콘 신호를 AP에 전송할 수 있으며, 운용 서버(630)는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마지막 응대 시간으로부터 어느 정도의 시간이 지났는지 통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 과정에서 각 디바이스들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에서의 설명과 차이를 설명하면, 도 6에서는 고객이 호출벨을 누름으로써 매장 직원을 호출하는 과정을 설명한 것이었으며, 도 7에서는 고객이 매장 직원을 호출하여 매장 직원이 해당 고객과 대면하기 전에 고객이 원하는 사항을 주문할 수 있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단계 S701에서, 호출벨(710)은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매장 내에서 호출을 원하는 고객(또는 사용자)에 의해서 호출 명령 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호출벨(710)은 호출 명령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BLE 비콘 신호를 AP(72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702에서, AP(720)는 하나 이상의 호출벨(710)로부터 BLE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호출벨(710)과 AP(720) 간에는 블루투스, WiFi, NFC, 지그비 등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AP(720)는 수신한 호출 신호를 운용 서버(73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운용 서버(730)는 호출벨(710), AP(720), 매장 직원의 스마트워치(740) 간에 원활한 정보의 송수신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이면 충분하다.
단계 S703에서, 운용 서버(730)는 AP(720)로부터 수신한 호출 신호에 기초하여, 어느 호출벨에서 호출 요청을 하였는지 특정할 수 있다. 호출벨(710)에서 전송된 BLE 비콘 신호 내에는 호출벨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운용 서버(730)는 특정된 호출벨(710)과 연관이 있는 스마트폰(750)에 웹 주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스마트폰(750)은 호출벨과 동일한 테이블 또는 공간에 위치하는 매장 소유의 기기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호출벨의 식별정보 및 스마트폰의 식별정보는 미리 운용 서버에 매칭되어 있어, 바로 스마트폰으로 웹 주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스마트폰(750)은 매장 소유의 기기가 아닌, 호출을 요청한 고객 소유의 기기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운용 서버(730)에서 호출벨의 식별정보와 고객의 식별 정보를 매칭시키는 과정이 요구될 수 있다.
고객의 스마트폰에 대한 정보가 운용 서버에 사전 매칭되는 경우는 다양한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첫째, 고객의 스마트폰과 호출벨이 직접 무선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사전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출벨에서 브로드캐스팅되는 BLE 신호를 AP 뿐만 아니라 고객의 스마트폰에서도 수신할 수 있으며, 고객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해당 호출벨을 인증할 수 있다. 호출벨과 고객의 스마트폰 간의 세션(session)이 설정된 이후에, 고객은 호출벨을 호출함으로써, 이후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둘째, 고객의 스마트폰에서 해당 호출벨의 식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출벨의 고유 식별번호(예, ID번호)를 웹 상에서 등록할 수 있으며, 또는 QR코드를 촬영하여 입력하거나, NFC 태깅 등을 통해서 고객의 스마트폰에 호출벨을 등록할 수 있다.
고객의 스마트폰에 호출벨의 식별 정보가 등록이 되는 경우, 운용 서버는 해당 테이블에 고객이 위치하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하여,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셋째, 스마트폰이 특정 공간내에서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운용 서버가 자동적으로 해당 호출벨과 스마트폰 간의 관계를 매칭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은 매장이라는 특정 공간에 설치된 와이파이나 블루투스의 무선 통신 기술을 통해서 해당 매장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호출벨은 호출벨마다 서로 다른 BLE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폰에서는 매장의 신호와 BLE 신호를 매칭함으로써(경우에 따라서는 신호 수신 세기가 가장 센 디바이스 간에 매칭할 수 있다) 이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넷째, 고객의 스마트폰에서 사전에 매장의 운용 서버에 예약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운용 서버는 고객의 스마트폰 및 호출벨을 미리 매칭을 시켜놓음으로써, 고객의 스마트폰에서 바로 웹 주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식점에 고객이 미리 예약을 할 수 있으며, 오후 7시 창가 Table3을 예약할 수 있으며, 운용 서버는 오후 7시 ? Table3 ? 고객의 스마트폰을 연동시킬 수 있다.
단계 S704에서, 스마트폰(750)에서는 웹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메뉴판이 표시될 수 있다. 전자 메뉴판은 웹 상의 메뉴판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특정 응용프로그램에서 실행되는 메뉴판일 수 있다.
스마트폰(750)의 사용자는 전자 메뉴판에 표시된 정보에 기초하여, 메뉴를 주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스마트폰(750) 상에 스테이크 커플 세트라는 음식 주문을 입력할 수 있다. 본 단계에서의 주문은 전자 메뉴판 상에서 주문 가능한 주문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전자 메뉴판 상에서는 선택 가능한 주문 형식 외에도 텍스트나 음성의 입력 등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주문을 진행할 수 있다.
*단계 S705에서, 스마트폰(750)은 수신된 주문 정보를 운용 서버(73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706에서, 운용 서버(730)는 주문 정보를 하나 이상의 스마트워치(74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장의 운용 서버(730)는 식당의 서빙 직원(server)들이 착용하고 있는 스마트워치(740)로 주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3번 테이블에서 스테이크 커플 세트라는 메뉴를 주문하였음을 지시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707에서, 주문 정보를 수신한 스마트워치(740) 상에는 어느 고객이 어떠한 주문을 하였는지 표시될 수 있으며, 스마트워치(740)를 착용하고 있는 매장 직원은 해당 주문을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708에서, 매장 직원은 해당 주문에 대하여 자신이 담당자로서 서비스를 하겠음을 지시하는 매칭 정보를 운용 서버(73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709에서, 운용 서버(730)는 어느 스마트워치에서 매칭 정보를 전송하였는지에 따라서, 고객과 매장 직원을 매칭할 수 있으며, 매칭을 완료한 이후에, 매칭 확인 정보를 매칭된 스마트워치를 포함한 다른 스마트워치들에도 전송할 수 있다. 매칭된 스마트워치에만 매칭 확인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매칭되지 않은 다른 스마트워치에도 매칭 확인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고객과 매장 직원 간에 매칭 정보를 서로 공유할 수 있으며,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지원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단계 S710에서, 스마트워치(740)는 스마트폰(750)과 태깅(tagging)할 수 있으며, 이는 매칭된 매장 직원이 주문한 고객으로 찾아와 응대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태깅이 완료된 이후에는, 해당 호출에 대하여 완료가 되었어도 지속적으로 BLE 비콘 신호등을 호출벨에서 전송하여, 고객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뉴를 가져다 주고 나서 10분이 지난 후에 매장 직원이 다시 고객을 찾아감으로써, 고객의 요구 사항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용 서버는 공간 관리 WEB 서버와 고객 응대 서비스에 대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운용 서버는 호출벨 및 AP와 통신하는 주체일 수 있으며, 공간 관리 WEB 서버의 경우, 실제 고객과 매장 직원 간의 응대 서비스를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공간 관리 WEB 서버의 경우, 고객의 호출 정보 등에 기초하여 다양한 정보를 고객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고객 기기라 함은, 고객 소유의 기기일 수 있으며, 또는 고객이 위치한 공간 상에 위치하는 매장 소유의 기기일 수 있다.
공간 관리 WEB 서버는 고객을 식별할 수 있는 경우, 해당 고객의 누적 주문 내역을 고객 기기에 전송하여, 고객으로 하여금 원활한 주문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음식점의 경우에는, 인기 음식 또는 고객의 생체 정보에 근거하여 음식 메뉴를 추천할 수 있다. 또는 다른 고객이 주문한 내역 정보, 또는 음식이 나오기까지 예상되는 시간 정보 등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공간 관리 WEB 서버는 고객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상 동안 주문 정보가 없는 경우, 주문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자동적으로 매장 직원을 호출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매장 직원이 고객의 위치로 직접 이동하여 원활한 주문이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공간 관리 WEB 서버는 고객 기기에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이 주문한 메뉴와 관련된 TV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고객은 수신한 콘텐츠에 기반하여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주문이 완료된 이후에, 공간 관리 WEB 서버는 고객 기기에 게임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주문 이후에 고객 기기에 제휴된 게임 콘텐츠를 제공하거나, 고객이 이용하는 게임에 혜택을 제공하여, 실제 응대가 이루어지기까지의 시간에 게임 콘텐츠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호출벨과 스마트폰을 구별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스마트폰에서 BLE 비콘 신호 전송이 가능한 경우에는, 호출벨과 스마트폰을 단일 기기로서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식점 매장 테이블에 설치된 호출벨과 스마트폰(또는 태블릿일 수 있다)은 단일 기기로서, 호출 및 주문 요청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모든 순서를 도시된 순서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음에 주의한다.
610: 호출벨
620: AP
630: 운용 서버
640: 스마트워치
620: AP
630: 운용 서버
640: 스마트워치
Claims (3)
- 특정 공간과 매칭되어 위치한 서로 다른 테이블에 구비되고, 버튼 입력에 대응하는 BLE(Bluetooth Low Energy) 신호를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호출벨;
상기 특정 공간 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직원 디바이스;
상기 특정 공간에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호출벨로부터 전송받은 BLE 신호를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AP(Access Point); 및
상기 하나 이상의 AP로부터 수신한 BLE 신호를 근거로 상기 하나 이상의 호출벨 중에서 상기 BLE 신호를 전송한 호출벨을 특정하고, 상기 BLE 신호를 전송한 호출벨의 위치를 포함하는 호출 요청 신호를 상기 하나 이상의 직원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직원 디바이스 중 수락 정보를 입력한 직원 디바이스가 상기 BLE 신호를 전송한 호출벨을 매칭하고 호출 과정을 완료하는 운용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운용 서버는,
매칭 신호를 전송한 직원 디바이스에게 순위를 설정하고, 최우선순위 및 후순위의 직원 디바이스중 아이들(idle) 상태인 직원 디바이스를 상기 BLE 신호를 전송한 호출벨과 매칭하고,
상기 BLE 신호를 전송한 호출로부터 다른 BLE 신호를 전송받으면 상기 BLE 신호를 전송한 호출벨에 매칭된 직원 디바이스로 호출 요청을 전송하되, 상기 매칭된 직원 디바이스의 대응 서비스가 일정 시간 이상 지연되면 다른 직원 디바이스들로 호출 요청을 전송하고,
호출벨과 직원 디바이스의 매칭이 완료되면 고객과 매장 직원 간에 매칭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직원 디바이스로 매칭 확인 정보를 전송하여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BLE 신호를 전송받은 이후부터 상기 호출 과정을 완료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응대 서비스의 통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운용 서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호출벨로부터 전송된 BLE 신호를 상기 하나 이상의 AP로부터 수집하여 각 호출벨에 대해 마지막 응대 시간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관리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호출벨과 상기 웹 주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주문용 디바이스를 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시스템.
- 특정 공간과 매칭되어 위치한 서로 다른 테이블에 구비되고, 버튼 입력에 대응하는 BLE(Bluetooth Low Energy) 신호를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호출벨;
상기 특정 공간 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직원 디바이스;
상기 특정 공간에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호출벨로부터 전송받은 BLE 신호를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AP(Access Point); 및
상기 하나 이상의 AP로부터 수신한 BLE 신호를 근거로 상기 하나 이상의 호출벨 중에서 상기 BLE 신호를 전송한 호출벨을 특정하고, 상기 BLE 신호를 전송한 호출벨의 위치를 포함하는 호출 요청 신호를 상기 하나 이상의 직원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직원 디바이스 중 수락 정보를 입력한 직원 디바이스가 상기 BLE 신호를 전송한 호출벨을 매칭하고 호출 과정을 완료하는 운용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운용 서버는,
매칭 신호를 전송한 직원 디바이스에게 순위를 설정하고, 최우선순위 및 후순위의 직원 디바이스중 아이들(idle) 상태인 직원 디바이스를 상기 BLE 신호를 전송한 호출벨과 매칭하고,
상기 BLE 신호를 전송한 호출로부터 다른 BLE 신호를 전송받으면 상기 BLE 신호를 전송한 호출벨에 매칭된 직원 디바이스로 호출 요청을 전송하되, 상기 매칭된 직원 디바이스의 대응 서비스가 일정 시간 이상 지연되면 다른 직원 디바이스들로 호출 요청을 전송하고,
호출벨과 직원 디바이스의 매칭이 완료되면 고객과 매장 직원 간에 매칭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직원 디바이스로 매칭 확인 정보를 전송하여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BLE 신호를 전송받은 이후부터 상기 호출 과정을 완료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응대 서비스의 통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운용 서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호출벨로부터 전송된 BLE 신호를 상기 하나 이상의 AP로부터 수집하여 각 호출벨에 대해 마지막 응대 시간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관리하고,
상기 주문용 디바이스에서 상기 호출벨에서 전송한 BLE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매칭이 되고, 상기 주문용 디바이스에서 주문 정보를 전송하는 시점에 상기 운용 서버에서 상기 호출벨 및 상기 주문용 디바이스 간에 매칭이 되었음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시스템.
- 특정 공간과 매칭되어 위치한 서로 다른 테이블에 구비되고, 버튼 입력에 대응하는 BLE(Bluetooth Low Energy) 신호를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호출벨;
상기 특정 공간 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직원 디바이스;
상기 특정 공간에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호출벨로부터 전송받은 BLE 신호를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AP(Access Point); 및
상기 하나 이상의 AP로부터 수신한 BLE 신호를 근거로 상기 하나 이상의 호출벨 중에서 상기 BLE 신호를 전송한 호출벨을 특정하고, 상기 BLE 신호를 전송한 호출벨의 위치를 포함하는 호출 요청 신호를 상기 하나 이상의 직원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직원 디바이스 중 수락 정보를 입력한 직원 디바이스가 상기 BLE 신호를 전송한 호출벨을 매칭하고 호출 과정을 완료하는 운용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운용 서버는,
매칭 신호를 전송한 직원 디바이스에게 순위를 설정하고, 최우선순위 및 후순위의 직원 디바이스중 아이들(idle) 상태인 직원 디바이스를 상기 BLE 신호를 전송한 호출벨과 매칭하고,
상기 BLE 신호를 전송한 호출로부터 다른 BLE 신호를 전송받으면 상기 BLE 신호를 전송한 호출벨에 매칭된 직원 디바이스로 호출 요청을 전송하되, 상기 매칭된 직원 디바이스의 대응 서비스가 일정 시간 이상 지연되면 다른 직원 디바이스들로 호출 요청을 전송하고,
호출벨과 직원 디바이스의 매칭이 완료되면 고객과 매장 직원 간에 매칭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직원 디바이스로 매칭 확인 정보를 전송하여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BLE 신호를 전송받은 이후부터 상기 호출 과정을 완료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응대 서비스의 통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운용 서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호출벨로부터 전송된 BLE 신호를 상기 하나 이상의 AP로부터 수집하여 각 호출벨에 대해 마지막 응대 시간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관리하고,
상기 주문용 디바이스는 상기 호출벨이 구비된 테이블에 배치된 기기이거나, 상기 테이블에 위치한 고객의 스마트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4527A KR20180090219A (ko) | 2018-02-28 | 2018-02-28 | 매장 내 고객의 서비스 요청 및 주문을 위한 호출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4527A KR20180090219A (ko) | 2018-02-28 | 2018-02-28 | 매장 내 고객의 서비스 요청 및 주문을 위한 호출 시스템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15186A Division KR101835832B1 (ko) | 2017-02-02 | 2017-02-02 |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한 호출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0219A true KR20180090219A (ko) | 2018-08-10 |
Family
ID=63229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24527A KR20180090219A (ko) | 2018-02-28 | 2018-02-28 | 매장 내 고객의 서비스 요청 및 주문을 위한 호출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90219A (ko) |
-
2018
- 2018-02-28 KR KR1020180024527A patent/KR20180090219A/ko active Application Fil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35832B1 (ko) |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한 호출 시스템 | |
JP6854887B2 (ja) | アプリ基盤の仮想ボタンを用いたサービス要請システム及び方法 | |
US10412534B2 (en) |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ervice using data broadcasting of mobile device | |
KR100650512B1 (ko) |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 |
KR20180090218A (ko) | 매장 내 고객의 서비스 요청을 위한 블루투스 기반의 호출 시스템 | |
KR102255253B1 (ko) | 매장 내 주문 정보 송수신 지원 시스템 | |
KR102551618B1 (ko) | 매장내 호출 및 주문 플랫폼을 위한 운영 시스템 | |
KR20180090220A (ko) | 고객 응대 및 처리 현황을 처리하기 위한 호출 및 태깅 시스템 | |
KR20190110988A (ko) | 매장에서 사용되는 고객 디바이스 맞춤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 | |
KR102027281B1 (ko) |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반의 고객 요청 사항 전송 방법 및 시스템 | |
KR20180090219A (ko) | 매장 내 고객의 서비스 요청 및 주문을 위한 호출 시스템 | |
KR20180090217A (ko) | 블루투스 기반의 고객 응대를 위한 호출 시스템 | |
KR20180090215A (ko) | 태깅 정보를 활용하여 고객 응대를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호출 시스템 | |
KR20180090216A (ko) | 근거리 무선 통신 호출 시스템과 연동하는 주문용 디바이스 | |
KR20180090213A (ko) | 블루투스 기반의 서비스 요청을 위한 디바이스 | |
KR101675216B1 (ko) | 비콘 연동 정보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102255254B1 (ko) | 서비스 요청 신호 송신 및 고객 응대 지원 시스템 | |
KR101888545B1 (ko) | 지피에스 기반의 지정 영역별 설정 서비스 수행방법 | |
KR102159115B1 (ko) | 서비스 요청 사항 관리 및 전송 시스템 | |
KR102159116B1 (ko) | 매장 서비스 품질 정보 통계 시스템 | |
KR101571927B1 (ko) | 특정 지역의 인스턴트 메시지 및 위치를 능동적으로 고지하는 시스템과 그 방법 | |
US9622045B2 (en) | Managing location profiles for personal area maps | |
KR20200006411A (ko) | 웹(Web) 기반의 가상 버튼을 이용한 서비스 요청 시스템 및 방법 | |
KR20130026682A (ko) | 패턴알람을 이용한 위치기반 개인 안전확인 서비스 제공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