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4868B1 - 댐퍼를 이용한 펌프의 맥동 저감 장치 - Google Patents

댐퍼를 이용한 펌프의 맥동 저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4868B1
KR102254868B1 KR1020190113251A KR20190113251A KR102254868B1 KR 102254868 B1 KR102254868 B1 KR 102254868B1 KR 1020190113251 A KR1020190113251 A KR 1020190113251A KR 20190113251 A KR20190113251 A KR 20190113251A KR 102254868 B1 KR102254868 B1 KR 102254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pump
fluid
damper member
damp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2041A (ko
Inventor
노성왕
Original Assignee
노성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성왕 filed Critical 노성왕
Priority to KR1020190113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4868B1/ko
Publication of KR20210032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2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4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4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2/00 - F04C14/00
    • F04C15/0042Systems for the equilibration of forces acting on the machines or pump
    • F04C15/0049Equalization of pressure pul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21Systems for the equilibration of forces acting on the pump
    • F04C29/0035Equalization of pressure pul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96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 F05B2260/964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by dam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Details And Applications Of Rotary Liquid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댐퍼를 이용한 펌프의 맥동 저감 장치는 유체가 유입되는 흡입부 및 유체가 배출되는 토출구를 가지는 펌프의 일단면에 위치하는 진동 저감 장치에 있어서, 댐퍼몸체(110)와; 상기 댐퍼몸체(110)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부 또는 토출구에 연결되어 댐퍼몸체(110) 내부에 유체의 유입을 가능하게 하는 댐퍼홀(120)과; 상기 댐퍼몸체(110)의 타단부에 위치하여 댐퍼몸체(110) 내부에 댐핑공간이 형성되도록 폐쇄시키는 댐퍼마개(130); 및 상기 댐퍼몸체(110) 내부에 위치하여 탄성재로 이루어져 댐퍼몸체(110) 내로 유체 유입시 유체의 공급압력에 탄성변형되는 제 1댐퍼부재(141)를 포함하는 댐퍼부재부(1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댐퍼를 이용한 펌프의 맥동 저감 장치{Pulsation Reduction Device of Pump Using Air Damper}
본 발명은 댐퍼를 이용한 펌프의 맥동 저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펌프의 흡입부와 토출부 일측에 댐퍼를 설치하여 펌프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의 맥동을 저감하도록 하는 댐퍼를 이용한 펌프의 맥동 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펌프는 압력작용에 의하여 액체나 기체의 유체를 관을 통해서 수송하거나, 저압의 용기 속에 있는 유체를 고압의 용기 속으로 압송하는 장치로서, 펌프 케이싱 내부에 회전차가 연속적으로 회전하면서 유체동력학적으로 유체에 각운동량을 증가시키는 형태로 에너지를 전달하는 터보형 펌프와 펌프 케이싱 내부에 베인과 피스톤 같은 것이 이동함에 따라 펌프 내부의 체적변화를 이용하여 펌프 공간 내부에 갇혀있는 유체를 압력에 대항하여 밀어내도록 하여 유체정역학으로 유체에너지 전달하는 용적형 펌프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터보형 펌프는 송출압력이 낮고 유량이 많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기 적합하며, 원심펌프, 사류펌프 및 축류펌프 등이 이에 속한다
상기 용적형 펌프는 상기 터보형 펌프에 비해 높은 송출압력을 가지며, 송출량이 부하(압력)에 관계없이 일정하여 유압시스템에 유압을 공급하는 역할에 적합하고, 기어펌프, 베인펌프, 피스톤펌프, 플런저펌프 및 나사펌프 등이 이에 속한다. 상기 용적형 펌프는 흡입밸브와 송출밸브를 장치한 일정한 체적을 가진 실린더 내를 피스톤, 플렌저 또는 버킷 등의 왕복 직선 운동에 대하여 실린더 내를 진공으로 만들어 액체를 흡입하고 이에 용적의 이동 변화를 통하여 소요의 압력을 가함으로서 액체에 정압력에너지를 공급하여 송수하는 왕복식과 케이싱 안에서 특수한 형태의 로터를 회전시켜 펌핑하는 회전식이 있다.
상기와 같은 용적형 펌프는 정확한 양을 토출시킬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용적의 변화에 의해 맥동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맥동현상으로 인해 펌프의 진동 및 소음 증가, 실링부재의 파손, 모터나 로터의 수명 감소, 주변 배관 등의 부대장비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댐퍼를 이용하여 펌프의 흡입구 및 토출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을 균일하게 만들어 종래의 용적형 펌프에서의 유체의 맥동현상으로 인한 펌프의 진동 및 소음 증가, 실링부재의 파손, 모터나 로터의 수명 감소, 주변 배관 등의 부대장비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는 댐퍼를 이용한 펌프의 맥동 저감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댐퍼를 이용한 펌프의 맥동 저감 장치는 유체가 유입되는 흡입부 및 유체가 배출되는 토출구를 가지는 펌프의 일단면에 위치하는 진동 저감 장치에 있어서, 댐퍼몸체(110)와; 상기 댐퍼몸체(110)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부 또는 토출구에 연결되어 댐퍼몸체(110) 내부에 유체의 유입을 가능하게 하는 댐퍼홀(120)과; 상기 댐퍼몸체(110)의 타단부에 위치하여 댐퍼몸체(110) 내부에 댐핑공간이 형성되도록 폐쇄시키는 댐퍼마개(130); 및 상기 댐퍼몸체(110) 내부에 위치하여 탄성재로 이루어져 댐퍼몸체(110) 내로 유체 유입시 유체의 공급압력에 탄성변형되는 제 1댐퍼부재(141)를 포함하는 댐퍼부재부(14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댐퍼를 이용한 펌프의 맥동 저감 장치는, 펌프의 흡입부 및 토출부 일측에 제 1댐퍼부재와 제 2댐퍼부재를 포함하는 댐퍼를 설치하여 유입되는 유체의 맥동에 대하여 용적을 변화시켜 유체의 맥동을 저감시켜 종래의 용적형 펌프에서의 유체의 맥동현상으로 인한 펌프의 진동 및 소음 증가, 실링부재의 파손, 모터나 로터의 수명 감소, 주변 배관등의 부대장비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펌프의 내구성을 높이고 유지보수가 쉬워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댐퍼를 이용한 펌프의 진동 저감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댐퍼를 이용한 펌프의 진동 저감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댐퍼를 이용한 펌프의 진동 저감 장치의 댐퍼부재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4c은 본 발명에 따른 댐퍼를 이용한 펌프의 진동 저감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에 따른 댐퍼를 이용한 펌프의 진동 저감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댐퍼부재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댐퍼를 이용한 펌프의 진동 저감 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위해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댐퍼를 이용한 펌프의 진동 저감 장치는 유체가 유입되는 흡입부 및 유체가 배출되는 토출구를 가지는 펌프의 일단면에 위치하는 진동 저감 장치에 있어서, 댐퍼몸체(110)와; 상기 댐퍼몸체(110)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부 또는 토출구에 연결되어 댐퍼몸체(110) 내부에 유체의 유입을 가능하게 하는 댐퍼홀(120)과; 상기 댐퍼몸체(110)의 타단부에 위치하여 댐퍼몸체(110) 내부에 댐핑공간이 형성되도록 폐쇄시키는 댐퍼마개(130); 및 상기 댐퍼몸체(110) 내부에 위치하여 탄성재로 이루어져 댐퍼몸체(110) 내로 유체 유입시 유체의 공급압력에 탄성변형되는 제 1댐퍼부재(141)를 포함하는 댐퍼부재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댐퍼마개(130)는, 상기 댐퍼몸체(110)의 일측을 폐쇄시키기 위해 댐퍼몸체(110)와 볼트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댐퍼부재부(140)는, 상기 제 1 댐퍼부재(141)의 내측에 위치하여 제 1 댐퍼부재(141)의 가압에 따라 탄성변형되는 제 2 댐퍼부재(14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댐퍼부재(141)는, 상기 댐퍼홀(120)과 댐퍼 마개(130)에 대해 소정의 곡률을 갖는 볼록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댐퍼부재(141)는, 하단부에 날개부를 가지고 상기 날개부가 댐퍼 몸체(110)와 댐퍼 마개(130)사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댐퍼홀(120)은, 상기 펌프에 나사결합토록 외경측에 나사산(121)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댐퍼를 이용한 펌프의 진동 저감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댐퍼를 이용한 펌프의 진동 저감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댐퍼를 이용한 펌프의 진동 저감 장치의 댐퍼부재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댐퍼를 이용한 펌프의 진동 저감 장치는 유체가 유입되는 흡입부 및 유체가 배출되는 토출부를 가지는 펌프의 일단면에 댐퍼(10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댐퍼(100)는 댐퍼몸체(110), 상기 댐퍼몸체(110)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댐퍼몸체(110) 내부에 유체의 유입을 가능하게 하는 댐퍼홀(120), 상기 댐퍼몸체(110)의 타단부에 위치하여 댐퍼몸체(110) 내부에 댐핑공간이 형성되도록 폐쇄시키는 댐퍼마개(130) 및 상기 댐퍼몸체(110) 내부에 위치하며 탄성채로 이루어져 댐퍼몸체(110) 내로 유체 유입 시 탄성변형되는 댐퍼부재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댐퍼홀(120)은 상기 댐퍼몸체(110) 일단부에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펌프의 흡입부 또는 토출구과 연결되어 댐퍼몸체(110) 내부에 유체의 유입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댐퍼홀(120)의 외경측에는 나사산(121)이 존재하여 펌프와의 결합이 가능하다. 상기 댐퍼홀(120)의 나사산과 결합되는 펌프의 흡입구와 토출구에도 나사산이 존재하고 상기 댐퍼(100)가 펌프의 흡입구와 토출구에 나사결합 됨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탈부착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퍼(100)는 상기 펌프의 흡입부 또는 토출구 중 어느 하나의 일단면에만 위치할 수 있고, 흡입구 및 토출구 양 쪽 모두의 일단면에 위치할 수도 있어 가변적이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펌프뿐만이 아니라 배관 또는 맥동이 존재하는 다양한 장치에 설치하여 맥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댐퍼마개(130)는 상기 댐퍼몸체(110) 타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댐퍼마개(130) 가장자리에 형성된 복수개의 볼트 고정부와 댐퍼몸체(110) 가장자리에 형성된 복수개의 볼트 삽입 홈을 수직방향으로 일치시킨 후 복수개의 볼트로 고정시켜 상기 댐퍼(100)의 일측을 폐쇄시킬 수 있다.
상기 댐퍼부재부(140)는 댐퍼몸체(110) 내부에 위치하고 제 1 댐퍼부재(141) 및 제 2 댐퍼부재(14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댐퍼부재(141) 및 제 2 댐퍼부재(142)는 댐퍼몸체(110)내의 유체 유입에 따른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댐퍼부재(141)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기둥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댐퍼몸체(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공급압력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압력맥동을 1차적으로 감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댐퍼부재(141)의 재료로 고무를 사용하였고 고무의 낮은 탄성계수로 인해 유체의 공급압력이 작더라도 제 1 댐퍼부재(141)는 탄성변형되어 압력맥동을 감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퍼부재부(140)는 더 효율적인 압력맥동 감쇠를 위하여 제 1 댐퍼부재(141) 내부에 제 2 댐퍼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댐퍼부재(142)는 상기 제 1 댐퍼부재(141)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어 제 1 댐퍼부재(141)가 유체의 공급압력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고 그 가압에 따라 제 2 댐퍼부재(142)도 탄성변형되어 압력맥동을 2차적으로 감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상기 제 1 댐퍼부재(141) 내부에 위치함으로서 제 1 댐퍼부재의 소성변형을 방지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 2 댐퍼부재(142)가 제 1 댐퍼부재(141) 내부에 위치하여 제 1 댐퍼부재의 소성변형을 방지함으로써 유체의 공급압력이 큰 경우에도 제 1 댐퍼부재(141)는 소성변형 되지 않고 탄성변형을 통하여 압력맥동을 감쇠할 수 있다.
상기 제 1 댐퍼부재(141)는 원통형의 하단부에 날개부를 가지고 상기 날개부가 댐퍼 몸체(110)와 댐퍼 마개(130)사이에 고정되어 강한 맥동에도 위치를 이탈하지 않아 압력맥동을 저감하는데 있어서 장애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4a 내지 4c은 본 발명에 따른 댐퍼를 이용한 펌프의 진동 저감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5b는 본 발명에 따른 댐퍼를 이용한 펌프의 진동 저감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댐퍼부재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댐퍼부재부(140)를 제외한 구성들은 본 발명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2 댐퍼부재(142)는 직사각형모양의 판상형 탄성재가 둥글게 말린 상태로 제 1 댐퍼부재(141) 내에 위치하여 압력맥동을 더 효율적으로 감쇠하는 역할을 한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제 2 댐퍼부재(142)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a와 도 5a는 제 2 댐퍼부재(142)를 원통형 탄성재(145)를 사용한 것으로 제 1 댐퍼부재(141) 내부에 위치하여 탄성변형을 통해 압력맥동을 저감시킬 수 있고 제 1 댐퍼부재(141)의 소성변형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도 4b와 도 5b는 제 2 댐퍼부재(142)로 스프링(143)을 사용한 것으로, 제 2 댐퍼부재(142)로 스프링(143)을 사용하는 경우 스프링(143)의 말단부에 의해 제 1 댐퍼부재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스프링캡(144)을 더 포함한다. 스프링(143)의 탄성변형을 이용하여 유체의 공급압력을 흡수 및 축적시킬 수 있어 본 발명의 제 2 댐퍼부재(142)와 같이 압력맥동을 2차적으로 감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c는 제 2 댐퍼부재로 공기를 사용한 것이다. 상기 제 1 댐퍼부재부의 하단에 위치한 볼록 구조를 포함한 날개부를 사용하여, 상기 날개부의 양 끝단이 댐퍼 몸체(110)와 댐퍼 마개(130)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댐퍼 몸체(110) 내부에 공기를 포함한 밀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유체의 공급압렵에 의해 상기 날개부의 볼록 구조가 오목 구조로 탄성변형되며 압력맥동을 1차적으로 감쇠하고 상기 댐퍼 몸체(110)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의 압력이 압력맥동을 2차적으로 감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댐퍼를 이용한 펌프의 진동 저감 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여 댐퍼를 이용한 펌프의 진동 저감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6a는 펌프 내 유체 유입 시 댐퍼의 작동을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유체의 공급압력에 의해 펌프의 흡입구(210) 쪽 댐퍼 내의 제 1 댐퍼부재(141)의 양단의 볼록 구조가 오목 구조로 변형되어 댐퍼몸체(110) 내의 체적변화가 일어날 수 있고 그 결과 유체의 공급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맥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6b는 펌프 내 유체가 안정화 된 상태의 댐퍼의 작동을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오목 구조로 변형된 펌프의 흡입구(210) 쪽 댐퍼 내의 제 1 댐퍼부재(141)의 양단이 볼록 구조로 전환됨을 볼 수 있다.
도 6c는 펌프 내 압축되어 있던 유체가 토출구(220)로 배출 시 댐퍼의 작동을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펌프 내 유체가 토출구(220)로 배출 시 펌프의 토출구 쪽 댐퍼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고 상기 유체의 공급압력에 의해 제 1 댐퍼부재(141)의 양단의 볼록 구조가 오목 구조로 변형되어 댐퍼몸체 내의 체적변화가 일어날 수 있고 그 결과 유체의 공급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맥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6d는 펌프 내 유체가 모두 배출된 후 댐퍼의 작동을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오목 구조로 변형된 펌프의 토출구(220) 쪽 댐퍼 내의 제 1 댐퍼부재(141)의 양단이 볼록 구조로 전환됨을 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인, 본 발명에 따른 댐퍼는 펌프 외에도 배관과 같이 맥동이 존재하는 곳에 설치할 수 있으며, 댐퍼몸체(110) 내의 댐퍼부재부(140)의 탄성변형으로 인한 체적 변화가 발생하여 압력맥동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어, 종래의 유체의 맥동현상으로 인한 펌프의 진동 및 소음 증가, 실링부재의 파손, 모터나 로터의 수명 감소, 주변 배관 등의 부대장비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펌프의 내구성을 높이고 유지보수가 쉬워지는 효과가 있다.
100 : 댐퍼
110 : 댐퍼몸체
120 : 댐퍼홀
130 : 댐퍼마개
140 : 댐퍼부재부
141 : 제 1 댐퍼부재
142 : 제 2 댐퍼부재
143 : 스프링
144 : 스프링캡
145 : 원통형 탄성재
200 : 펌프
210 : 흡입구
220 : 토출구

Claims (6)

  1. 유체가 유입되는 흡입부 및 유체가 배출되는 토출구를 가지는 펌프의 일단면에 위치하는 진동 저감 장치에 있어서,
    댐퍼몸체(110)와;
    상기 댐퍼몸체(110)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부 또는 토출구에 연결되어 댐퍼몸체(110) 내부에 유체의 유입을 가능하게 하는 댐퍼홀(120)과;
    상기 댐퍼몸체(110)의 타단부에 위치하여 댐퍼몸체(110) 내부에 댐핑공간이 형성되도록 폐쇄시키는 댐퍼마개(130); 및
    상기 댐퍼몸체(110) 내부에 위치하여 탄성재로 이루어져 댐퍼몸체(110) 내로 유체 유입시 유체의 공급압력에 탄성변형되는 제 1댐퍼부재(141)를 포함하는 댐퍼부재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마개(130)는 상기 댐퍼몸체(110)의 일측을 폐쇄시키기 위해 댐퍼몸체(110)와 볼트로 결합되고,
    상기 댐퍼부재부(140)는 상기 제 1 댐퍼부재(141)의 내측에 위치하여 제 1 댐퍼부재(141)의 가압에 따라 탄성변형되는 제 2 댐퍼부재(14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댐퍼부재(141)는 상기 댐퍼홀(120)과 댐퍼 마개(130)에 대해 소정의 곡률을 갖는 볼록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댐퍼부재(141)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원기둥 모양의 하단부에 날개부를 가지고 상기 날개부가 상기 댐퍼 몸체(110)와 상기 댐퍼 마개(130)사이에 고정되며,
    상기 제 2 댐퍼부재(142)는 상기 제 1 댐퍼부재(141)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어 상기 제 1 댐퍼부재(141)가 유체의 공급압력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고 그 가압에 따라 상기 제 2 댐퍼부재(142)도 탄성변형되어 압력맥동을 감쇠하고, 상기 제 1 댐퍼부재(141)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댐퍼부재(141)의 소성변형을 방지하고, 상기 댐퍼홀(120)은 상기 펌프에 나사결합토록 외경측에 나사산(121);을 가지며,
    상기 제 2 댐퍼부재(142)는 직사각형모양의 판상형 탄성재가 둥글게 말린 상태로 제 1 댐퍼부재(141)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를 이용한 펌프의 진동 저감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113251A 2019-09-16 2019-09-16 댐퍼를 이용한 펌프의 맥동 저감 장치 KR102254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251A KR102254868B1 (ko) 2019-09-16 2019-09-16 댐퍼를 이용한 펌프의 맥동 저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251A KR102254868B1 (ko) 2019-09-16 2019-09-16 댐퍼를 이용한 펌프의 맥동 저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041A KR20210032041A (ko) 2021-03-24
KR102254868B1 true KR102254868B1 (ko) 2021-05-24

Family

ID=75257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251A KR102254868B1 (ko) 2019-09-16 2019-09-16 댐퍼를 이용한 펌프의 맥동 저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486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416B1 (ko) * 2010-03-15 2011-05-20 진명이십일 (주) 맥동을 저감시키는 기능이 구비된 회전 용적형 펌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416B1 (ko) * 2010-03-15 2011-05-20 진명이십일 (주) 맥동을 저감시키는 기능이 구비된 회전 용적형 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041A (ko) 2021-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3725B1 (en) High-pressure fuel supply assembly
US6318978B1 (en) Fluid pulsation stabilizer, system, and method
JP2852032B2 (ja) ダイヤフラムポンプ
CN101868614B (zh) 安全阀以及包括该安全阀的高压泵
US20140137963A1 (en) Integrated Design Fluid End Suction Manifold
EP3707377B1 (en) Pulsation damper
CN113614369B (zh) 泵以及相关联的系统和方法
US20200291942A1 (en) A Slide Valve for a Twin-Screw Compressor
KR102254868B1 (ko) 댐퍼를 이용한 펌프의 맥동 저감 장치
KR100291161B1 (ko) 다이어프램펌프
KR102173467B1 (ko) 다단펌프
US20180135614A1 (en) Shock dampening pump
MXPA06013341A (es) Bomba para liquido.
CN218971319U (zh) 一种高压燃油泵及发动机
US9790934B2 (en) Pump pulsation discharge dampener with curved internal baffle and pressure drop feature creating two internal volumes
KR100677924B1 (ko) 다이어프램을 이용한 정량토출펌프의 맥동 감쇄 장치
CN111512039B (zh) 高压燃料泵
CN102261553A (zh) 一种柱塞式润滑油脂泵
KR101420449B1 (ko) 유체 분배 장비에서 사용하는 자흡식 노즐
KR20090029714A (ko) 유압식 펌프
KR100939253B1 (ko) 고압 유체 유입 제어 유닛 및 이를 갖는 유압 펌프 장치
GB2607592A (en) Pump pulsation damping
CN115773217A (zh) 一种高压潜水泵
JPH11257189A (ja) 高圧燃料ポンプのフィード圧脈動低減装置
CN101545468A (zh) 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