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4027B1 - 고정식 대형 스테인리스스틸 저장탱크 내부의 표면처리를 할 수 있는 이동식 전해연마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정식 대형 스테인리스스틸 저장탱크 내부의 표면처리를 할 수 있는 이동식 전해연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4027B1
KR102254027B1 KR1020190176609A KR20190176609A KR102254027B1 KR 102254027 B1 KR102254027 B1 KR 102254027B1 KR 1020190176609 A KR1020190176609 A KR 1020190176609A KR 20190176609 A KR20190176609 A KR 20190176609A KR 102254027 B1 KR102254027 B1 KR 102254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ic polishing
electrolyte
polishing machine
wal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진
박성식
신수철
Original Assignee
(주)천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천우테크 filed Critical (주)천우테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4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4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F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REMOVAL OF MATERIALS FROM OBJECTS; APPARATUS THEREFOR
    • C25F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removal of material from objects; Servicing or oper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F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REMOVAL OF MATERIALS FROM OBJECTS; APPARATUS THEREFOR
    • C25F3/00Electrolytic etching or polishing
    • C25F3/16Polish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식 대형 스테인리스스틸 저장탱크 내부의 표면처리를 할 수 있는 이동식 전해연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내부가 오염되어 내부 표면처리가 필요한 대형의 탱크를 전해연마 공장으로 가져가기 위해 해체하지 않고서도 현장에서 그대로 표면처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전해질에 의한 전해연마로 저장탱크의 내벽을 표면처리하는 포터블 전해연마기; 상기 전해연마기에 전해액을 이송하는 전해액 이송펌프; 전해액을 저장하면서 상기 전해액 이송펌프를 통해 상기 전해연마기에 전해액을 공급하는 전해액 저장용기; 상기 저장탱크에는 양극을 연결하고 상기 전해연마기에는 음극을 연결하여 전해를 위한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공급기; 및 상기 전해액 이송펌프와 상기 전해액 저장용기를 탑재하여 운반하는 후방 지원대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전해연마 시스템.

Description

고정식 대형 스테인리스스틸 저장탱크 내부의 표면처리를 할 수 있는 이동식 전해연마 시스템{Portable electropolishing device for surface treatment inside large fixed stainless steel storage tanks}
본 발명은 저장탱크 내부 표면처리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가 오염되어 내부 표면처리가 필요한 대형의 탱크를 전해연마 공장으로 가져가기 위해 해체하지 않고서도 현장에서 그대로 표면처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전해연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의약품 관련 제조 탱크의 내부표면은 ASME BPE-2016 규정에 따른 균일한 표면 조도 관리가 중요하며, 이와 같은 표면처리는 전해 연마를 통해 가능하다.
식·의약품 탱크 내부의 표면조도 보수를 위하여 기존에 행해지던 방법을 살펴보면 식·의약품 탱크 자체가 부피가 큰 대형인 관계로 탱크가 설치된 생산공장에서 철거 및 운반하여 전해연마공장에서 전해연마 작업을 행한 후 운반 및 재설치를 하는 복잡한 과정들을 거쳐야만 하였다.
그러다 보니 보수 작업기간이 길어지고 보수기간 중 기회비용의 발생, 철거 및 운반 그리고 재설치에 따른 과도한 비용 및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9-0121483호(2009.11.26.)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가 오염되어 내부 표면처리가 필요한 대형의 탱크를 전해연마 공장으로 가져가기 위해 해체하지 않고서도 현장에서 그대로 표면처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전해연마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이동식 전해연마 시스템은, 고정식 대형 스테인리스스틸 소재의 저장탱크 내부를 표면처리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전해연마 시스템으로서, 전해질에 의한 전해연마로 저장탱크의 내벽을 표면처리하는 포터블 전해연마기; 상기 전해연마기에 전해액을 이송하는 전해액 이송펌프; 전해액을 저장하면서 상기 전해액 이송펌프를 통해 상기 전해연마기에 전해액을 공급하는 전해액 저장용기; 상기 저장탱크에는 양극을 연결하고 상기 전해연마기에는 음극을 연결하여 전해를 위한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공급기; 상기 전해액 이송펌프와 상기 전해액 저장용기를 탑재하여 운반하는 후방 지원대차;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포터블 전해연마기는, 내부에 충진된 전해액이 상기 저장탱크 내벽과 접촉하도록 하면이 개방된 용기 형상의 몸체를 갖고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으로 전해액이 유입되도록 전해액 유입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원공급기의 음극 전원을 인가받는 구리판;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 중간에 설치되어 전해액과 접촉하면서 전해반응이 활발하게 일어나도록 유도하는 백금촉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해연마기의 하우징은, 하면이 개방된 용기 형상의 몸체로 형성되고 상기 전해액 유입구를 구비하며 내부에는 상기 구리판이 위치하는 상부 하우징과,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단부에 하방향 돌출된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과 하면이 각각 개방된 상부 개구부와 하부 개구부를 갖는 관 형상의 몸체로 형성된 하부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
또한, 상기 백금촉매는 와이어 메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부 개구부를 가로질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이동 및 전해연마 작업 시 작업자가 붙잡을 수 있도록 복수의 제1손잡이가 방사상으로 뻗쳐있는 형상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해연마기의 하부 하우징 외주면에는 상기 제1손잡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복수의 제2손잡이가 방사상으로 뻗쳐있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간 착탈 시 작업자가 붙잡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해연마기의 상부 하우징 상면 중앙에는 음극 전원단자를 착탈식으로 끼워 접속시켜주는 전원소켓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해연마기를 탑재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한 전방 투입대차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방 투입대차에 수직하게 세워진 복수의 제1수직 지지봉과, 상기 제1수직 지지봉의 상단부에 지지되어 상기 전해연마기를 작업자의 상체 높이로 거치하는 수평 거치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 투입대차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어 수직하게 세워진 복수의 제2수직 지지봉과, 상기 제2수직 지지봉 상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형성된 끼움슬릿을 구비한 복수의 홀더와, 상기 홀더에 구비된 끼움슬릿에 수직하게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전해연마기와는 별개로 구비된 여분의 스페어 전해연마기를 좁은 면적에서도 추가 거치할 수 있도록 한 수직 거치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전해연마 작업의 대상이 되는 저장탱크의 벽면에 대하여 이물질이나 불규칙한 돌출 부위 존재 여부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밀착시켜 전해액의 누설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부 하우징의 하단 둘레부에 선택적으로 장착 가능한 링 형상의 밀착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하단 둘레부를 따라 끼워질 수 있도록 상면에 끼움홈을 구비한 링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단부 내측 둘레부와 외측 둘레부를 따라서 각각 하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연장되어 서로 이격을 두고 저장탱크 내벽에 접촉할 수 있도록 이중의 외벽을 형성하는 이중 외벽부; 상기 이중 외벽부가 형성하는 내부공간에서 서로 이격을 두고 저장탱크 내벽에 접촉할 수 있도록 이중의 내벽을 형성하는 이중 내벽부; 상기 이중 외벽부에 대하여 상기 이중 내벽부를 승강 가능하도록 탄성지지하는 탄성연결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연결막은 상기 이중 외벽부와의 인접부위에 다른 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는 박막으로 형성된 박막부와, 상기 박막부로부터 상기 이중 내벽부에 이르기까지 점진적으로 두껍게 형성된 연결부로 이루어져, 상기 이중 내벽부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으면 상기 박막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꺾이고 상기 연결부는 상측으로 볼록한 원호 형태로 휘면서 상기 이중 내벽부의 상승을 허용하였다가 상기 이중 내벽부에 작용하는 힘이 사라지면 상기 연결부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이중 내벽부를 하강시켜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전해연마 시스템은 내부가 오염되어 내부 표면처리가 필요한 대형의 탱크를 해체하여 전해연마 공장으로 가져가지 않고 현장에서 그대로 표면처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종래기술 대비하여 탱크 철거 및 운반에 따른 복잡한 과정이 필요 없고, 작업기간의 단축, 비용 및 인력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전해연마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전해연마 시스템에서 전해연마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전해연마 시스템에서 전해연마기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전해연마 시스템에서 전해연마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전해연마 시스템에서 전방 투입대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전해연마 시스템에서 하부 하우징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밀착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밀착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 6의 I-I에 따른 단면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전해연마 시스템에서 밀착부재의 작용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이동식 전해연마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전해연마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전해연마 시스템에서 전해연마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전해연마 시스템에서 전해연마기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전해연마 시스템에서 전해연마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전해연마 시스템은 작업자가 식·의약품 저장탱크 내부에 간편하게 들고들어가서 저장탱크 내벽(TS)을 전해연마할 수 있도록 한 포터블 전해연마기(110)를 비롯하여 전해액 이송펌프(120), 전해액 저장용기(130), 전원공급기(140), 전방 투입대차(150), 후방 지원대차(170)를 주요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이같은 주요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전해연마 시스템은 내부가 오염되어 표면처리가 필요한 대형의 식·의약품 저장탱크를 전해연마 공장으로 가져가기 위해 해체하지 않고서도 현장에서 그대로 전해연마에 의한 고품질의 표면처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전해연마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전해연마기(110)는 전술된 것처럼 전해질에 의한 전해연마로 저장탱크의 내벽(TS)을 표면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특히 작업자가 식·의약품 저장탱크 내부에 간편하게 들고들어가서 저장탱크 내벽(TS)을 구석구석 전해연마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전해연마기(110)는 내부에 충진된 전해액이 저장탱크 내벽(TS)과 접촉하도록 하면이 개방된 용기 형상의 몸체를 가지며 내부의 수용공간(111a)으로 전해액이 유입되도록 전해액 유입구(111b)를 구비한 하우징(111,112)과, 하우징(111,112)의 수용공간(111a)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원공급기(140)의 음극 전원을 인가받는 구리판(113)과, 상기 하우징(111,112)의 수용공간(111a) 중간에 설치되어 전해액과 활발하게 접촉하면서 전해반응이 활발하게 일어나도록 유도하는 백금촉매(1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전해연마기(110)의 하우징(111,112)은, 하면이 개방된 용기 형상의 몸체로 형성되고 전해액 유입구(111b)를 구비하며 내부에는 상기 구리판(113)이 위치하는 상부 하우징(111)과, 상기 상부 하우징(111)의 하단부에 하방향 돌출된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과 하면이 각각 개방되어 형성된 상부 개구부(112a)와 하부 개구부(112b)를 갖는 관 형상의 하부 하우징(1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 하우징(112)의 내부에도 작은 공간(112c)이 형성되지만 상부 하우징(111)에 형성된 수용공간(111a)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이처럼 상기 하우징(111,112)이 서로 착탈 가능한 상부 하우징(111)과 하부 하우징(112)으로 구비되면 저장탱크 내벽(TS)과 접촉하면서 내부에 충진된 전해액이 누설되지 않도록 해야 하는 하부 하우징(112)을 우레탄, 실리콘, 고무와 같이 상부 하우징(111)과는 다른 소재로 구성하기 용이하다는 점에서 장점이 된다. 또한, 하우징(111)과 하부 하우징(112)을 서로 분리한 상태로 만들 수 있으므로 메쉬 형상으로 형성된 백금촉매(114)를 상기 하부 하우징(112)의 상단부에서 상부 개구부(112a)를 가로지른 상태로 설치하고 교환하기 편하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111)과 하부 하우징(112)의 외주면에는 도 2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각각 제1손잡이(115)와 제2손잡이(116)가 구비된다. 상부 하우징(111) 외주면에 구비된 제1손잡이(115)는 이동 및 전해연마 작업 시 작업자가 안정적으로 붙잡을 수 있도록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뻗쳐있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한편, 상기 하부 하우징(112) 외주면에 구비된 제2손잡이(116)는 제1손잡이(115)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것으로 제1손잡이(115)와 마찬가지로 복수개가 하부 하우징(112)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뻗쳐있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2손잡이(116)의 경우 전해연마기(110)를 운반하거나 전해연마 작업을 수행할 때 작업자가 안정적으로 붙잡는데 사용되기도 하지만 상부 하우징(111)과 하부 하우징(112) 간 착탈 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해연마기(110)의 상부 하우징(111) 상면 중앙에는 전원공급기(140)에 연결된 음극 전선(142)의 전원단자(142a)를 착탈식으로 끼워 접속시켜주는 전원소켓(117)이 구비된다. 이같은 전원소켓(117)은 부착된 음극 전원단자(142a)와 구리판(113)을 연결하여 도통시켜준다.
상기 전해연마기(110)의 백금촉매(114)는 와이어 메쉬 형상으로 형성되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하부 하우징(112)의 상부 개구부(112a)부부를 완전히 가로질러 설치된다. 이같은 구성에 의하면 와이어 메쉬 형상의 백금촉매(114)가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111a) 중간을 가로질러 설치된 것을 의미하며, 이로써 하우징(111,112)의 수용공간(111a) 주안에서 전해액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전해액과 접촉성을 높일 수 있게 되어 전해반응이 보다 활발하게 일어나도록 유도한다.
상기 전해액 이송펌프(120)는 전해액 저장용기(130)로부터 전해연마기(110)에 전해액을 이송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해액 이송펌프(120)는 전해액 이송호스(121)에 의해 전해연마기(110)의 전해액 유입구(111b)와 연결된다. 상기 전해액 이송펌프(120)는 전해연마기(110)에 의해 저장탱크 내벽(TS)에 대한 전해연마가 수행될 때 상기 전해연마기(110) 하우징(111,112)의 수용공간(111a)에 전해액을 가득 충진시켜준다.
상기 전해액 저장용기(130)는 전해액을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전해액 이송펌프(120)를 통해 전해연마기(110)에 전해액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전해액 저장용기(130)는 전해연마기(110)를 간섭하지 않으면서 별개 이동이 가능하도록 후방 지원대차(170)에 탑재된다.
상기 전원공급기(140)는 상기 전해연마기(110)의 구리판(113)과 상기 저장탱크의 내벽(TS) 간에 전기분해가 일어날 수 있도록 전원을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전원공급기(140)의 양극은 저장탱크 내벽(TS)에 연결되고 음극은 전해연마기(110)의 구리판(113)에 연결된다. 상기 전원공급기(140)의 전면에는 조작을 위한 컨트롤패널이 설치된다.
상기 전방 투입대차(150)는 전해연마기(110)를 탑재하여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전방 투입대차(15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1대차본체(151)에 방향전환이 가능한 복수의 제1휠(152)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전방 투입대차(150)에 수직하게 세워진 복수의 제1수직 지지봉(153a)과, 제1수직 지지봉(153a)의 상단부에 지지되어 전해연마기(110)를 작업자의 상체 높이로 거치하는 수평 거치판(153)을 구비한다. 이로써 작업자가 수평 거치판(153)에 놓여 거치된 전해연마기(110)를 간편하게 잡아서 저장탱크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저장탱크가 더 대형이라면 전방 투입대차(150)를 저장탱크 내부로 직접 투입한 후에 실제 작업이 이루어지는 작업영역 인근에서 작업자가 수평 거치판(153)에 거치된 전해연마기(110)를 바로 들어 작업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전방 투입대차(150)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어 수직하게 세워진 복수의 제2수직 지지봉(154a)과, 상기 제2수직 지지봉(154a) 상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형성된 끼움슬릿(154a)을 구비한 복수의 홀더(154)와, 상기 홀더(154)에 구비된 끼움슬릿(154a)에 수직하게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어 전해연마기(110)와는 별개로 구비된 여분의 스페어 전해연마기(110')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한 수직 거치판(155)이 더 구비된다. 이같은 복수의 홀더(154)와 수직 거치판(155)의 구성에 따르면 공간을 많이 빼앗지 않는 좁은 공간에서도 여분의 스페어 전해연마기(110'를 거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후방 지원대차(170)는 전해액 이송펌프(120)와 전해액 저장용기(130)를 탑재하여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후방 지원대차(170)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사각의 제2대차본체(171) 및 복수의 제2휠(172)로 간단히 이루어진다. 상기 후방 지원대차(170)에는 전원공급기(140)까지 간단히 탑재할 수 있다. 다만 도 1에서는 상기 전원공급기(140)가 후방 지원대차(170)에 탑재되는 대신 이격된 지점에 위치한 별도의 거치대 위에 놓인 것으로 도시되었다. 상기 전원공급기(140)의 경우 전기시설이므로 전해액을 저장하고 펌핑하는 전해액 저장용기(130)와 전해액 이송펌프(120)와 떨어진 곳에 위치하는 것이 안전하기는 하다.
여기서 전방 투입대차(150)와 후방 지원대차(170) 간 서로 분리되었다는 점에 주목할 수 있다. 이같이 전방 투입대차(150)와 후방 지원대차(170)가 서로 분리된 구성에 따르면 현장 전방에서 잦은 이동을 필요로 하는 전해연마기(110)는 전방 투입대차(150)에 배정하고, 주로 후방에서 거의 이동하지 않고 지원업무를 수행하는 전해액 이송펌프(120)와 전해액 저장용기(130)는 후방 지원대차(170)에 배정하여 간섭없이 보다 자유롭게 현장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전해연마 시스템은 저장탱크 내벽(TS)에 이물질이나 불규칙한 돌출 부위가 다수 존재하는 경우에도 전해연마기(110)를 안정적으로 밀착시켜 전해액의 주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밀착부재(160)를 옵션 형태로 장착할 수 있도록 추가 구비한다. 아래에서는 이같은 밀착부재(16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전해연마 시스템에서 하부 하우징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밀착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밀착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 6의 I-I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전해연마 시스템에서 밀착부재의 작용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이다.
상기 밀착부재(160)는 저장탱크 내벽(TS)에 이물질이나 불규칙한 돌출 부위 존재 여부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것으로 도 6과 도 6의 I-I에 따른 단면도인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전해연마기(110)의 하부 하우징(112) 하단부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옵션이다. 상기 밀착부재(160)는 우레탄이나 고무와 같은 연질의 탄성소재로 이루어지며 본체부(161), 이중 외벽부(162), 이중 내벽부(163) 및 탄성연결막(164)이 일체로 성형된 것이다.
상기 본체부(161)는 하부 하우징(112)의 하단 둘레부를 따라 끼워질 수 있도록 상면에 끼움홈(161a)을 구비하며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중 외벽부(162)는 본체부(161)의 하단부 내측 둘레부와 외측 둘레부를 따라서 각각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연장되어 서로 이격을 두고 저장탱크 내벽(TS)에 접촉할 수 있도록 이중의 외벽(162b)을 형성한다. 상기 이중 내벽부(163)는 이중 외벽부(162)가 형성하는 내부공간에서 서로 이격을 두고 저장탱크 내벽(TS)에 접촉할 수 있도록 또 다른 이중의 내벽(163b)을 형성한다. 상기 이중 내벽부(163)는 브릿지부(163a)에 의해 이중의 내벽(163b)을 연결한다. 한편 상기 탄성연결막(164)은 이중 외벽부(162)에 대하여 상기 이중 내벽부(163)를 승강 가능하도록 탄성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연결막(164)의 세부구성에 주목할 수 있는데, 상기 탄성연결막(164)은 상기 이중 외벽부(162)와의 인접부위에 다른 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는 박막으로 형성된 박막부(164a)와, 상기 박막부(164a)로부터 상기 이중 내벽부(163)에 이르기까지 점진적으로 두껍게 형성된 연결부(164b)로 이루어진다. 이같은 탄성연결막(164)의 구성에 의하면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일련의 과정과 같이 저장탱크 내벽(TS)에 이물질이나 불규칙하게 돌출된 부위(OB)에 의해 상기 이중 내벽부(163)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으면 상기 박막부(164a)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꺾이고 상기 연결부(164b)는 상측으로 볼록한 원호 형태로 휘면서 상기 이중 내벽부(163)의 상승을 허용하게 된다. 이후 상기 이중 내벽부(163)에 작용하는 힘이 사라지면 상기 연결부(164b)의 탄성력에 의해 이중 내벽부(163)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밀착부재(160)의 본체부(161)에 외측으로 형성된 공기 유통공(161b)은 외부 공기의 출입을 일부 허용함으로써 이중 내벽부(163)가 승강동작할 때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압의 저항을 과도하게 받지 않고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이중 외벽부(162)와 이중 내벽부(163)로 둘러싸인 공간에 진공압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한다.
이같은 밀착부재(160)를 구비하게 되면 도면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이중 내벽부(163)와 이중 외벽부(162)에 의해 평상시 4중의 다중 벽을 형성하여 저장탱크 내벽(TS)에 안정적으로 접촉하면서 전해질의 외부 누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도 8a 내지 도 8c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저장탱크 내벽(TS)에 불규칙하게 돌출된 부위나 이물질(OB)이 존재하더라도 최소한 이중의 벽을 형성하여 저장탱크 내벽(TS)과 안정적인 접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전해연마기 120: 전해액 이송펌프
130: 전해액 저장용기 140: 전원공급기
150: 전방 투입대차 160: 밀착부재
170: 후방 지원대차

Claims (10)

  1. 고정식 대형 스테인리스스틸 소재의 저장탱크 내부를 표면처리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전해연마 시스템으로서,
    전해질에 의한 전해연마로 저장탱크의 내벽을 표면처리하는 포터블 전해연마기; 상기 전해연마기에 전해액을 이송하는 전해액 이송펌프; 전해액을 저장하면서 상기 전해액 이송펌프를 통해 상기 전해연마기에 전해액을 공급하는 전해액 저장용기; 상기 저장탱크에는 양극을 연결하고 상기 전해연마기에는 음극을 연결하여 전해를 위한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공급기; 및 상기 전해액 이송펌프와 상기 전해액 저장용기를 탑재하여 운반하는 후방 지원대차;를 포함하며,
    상기 포터블 전해연마기는, 내부에 충진된 전해액이 상기 저장탱크 내벽과 접촉하도록 하면이 개방된 용기 형상의 몸체를 갖고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으로 전해액이 유입되도록 전해액 유입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원공급기의 음극 전원을 인가받는 구리판;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 중간에 설치되어 전해액과 접촉하면서 전해반응이 활발하게 일어나도록 유도하는 백금촉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전해연마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연마기의 하우징은, 하면이 개방된 용기 형상의 몸체로 형성되고 상기 전해액 유입구를 구비하며 내부에는 상기 구리판이 위치하는 상부 하우징과,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단부에 하방향 돌출된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과 하면이 각각 개방된 상부 개구부와 하부 개구부를 갖는 관 형상의 몸체로 형성된 하부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전해연마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백금촉매는 와이어 메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부 개구부를 가로질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전해연마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이동 및 전해연마 작업 시 작업자가 붙잡을 수 있도록 복수의 제1손잡이가 방사상으로 뻗쳐있는 형상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전해연마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연마기의 하부 하우징 외주면에는 상기 제1손잡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복수의 제2손잡이가 방사상으로 뻗쳐있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간 착탈 시 작업자가 붙잡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전해연마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연마기의 상부 하우징 상면 중앙에는 음극 전원단자를 착탈식으로 끼워 접속시켜주는 전원소켓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전해연마 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연마기를 탑재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한 전방 투입대차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방 투입대차에 수직하게 세워진 복수의 제1수직 지지봉과, 상기 제1수직 지지봉의 상단부에 지지되어 상기 전해연마기를 작업자의 상체 높이로 거치하는 수평 거치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전해연마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투입대차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어 수직하게 세워진 복수의 제2수직 지지봉과, 상기 제2수직 지지봉 상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형성된 끼움슬릿을 구비한 복수의 홀더와, 상기 홀더에 구비된 끼움슬릿에 수직하게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전해연마기와는 별개로 구비된 여분의 스페어 전해연마기를 좁은 면적에서도 추가 거치할 수 있도록 한 수직 거치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전해연마 시스템.
  10. 제3항에 있어서,
    전해연마 작업의 대상이 되는 저장탱크의 벽면에 대하여 이물질이나 불규칙한 돌출 부위 존재 여부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밀착시켜 전해액의 누설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부 하우징의 하단 둘레부에 선택적으로 장착 가능한 링 형상의 밀착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하단 둘레부를 따라 끼워질 수 있도록 상면에 끼움홈을 구비한 링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단부 내측 둘레부와 외측 둘레부를 따라서 각각 하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연장되어 서로 이격을 두고 저장탱크 내벽에 접촉할 수 있도록 이중의 외벽을 형성하는 이중 외벽부;
    상기 이중 외벽부가 형성하는 내부공간에서 서로 이격을 두고 저장탱크 내벽에 접촉할 수 있도록 이중의 내벽을 형성하는 이중 내벽부;
    상기 이중 외벽부에 대하여 상기 이중 내벽부를 승강 가능하도록 탄성지지하는 탄성연결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연결막은 상기 이중 외벽부와의 인접부위에 다른 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는 박막으로 형성된 박막부와, 상기 박막부로부터 상기 이중 내벽부에 이르기까지 점진적으로 두껍게 형성된 연결부로 이루어져, 상기 이중 내벽부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으면 상기 박막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꺾이고 상기 연결부는 상측으로 볼록한 원호 형태로 휘면서 상기 이중 내벽부의 상승을 허용하였다가 상기 이중 내벽부에 작용하는 힘이 사라지면 상기 연결부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이중 내벽부를 하강시켜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전해연마 시스템.
KR1020190176609A 2019-11-28 2019-12-27 고정식 대형 스테인리스스틸 저장탱크 내부의 표면처리를 할 수 있는 이동식 전해연마 시스템 KR1022540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55480 2019-11-28
KR1020190155480 2019-11-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4027B1 true KR102254027B1 (ko) 2021-05-20

Family

ID=76142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609A KR102254027B1 (ko) 2019-11-28 2019-12-27 고정식 대형 스테인리스스틸 저장탱크 내부의 표면처리를 할 수 있는 이동식 전해연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40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2220A (ko) * 2021-08-30 2023-03-07 이강익 중성염 전해액을 이용한 포터블 전해연마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71389A (en) * 1993-12-16 1996-11-05 Dalic Device for the electrochemical treatment especially the local electrochemical treatment, of conductive substrate
JP2001322036A (ja) * 2000-03-09 2001-11-20 Sony Corp 研磨装置
JP2003266245A (ja) * 2002-03-12 2003-09-24 Ebara Corp 電解加工装置及び方法
KR20090121483A (ko) 2008-05-22 2009-11-26 대봉아크로텍(주) 탱크의 전해연마 방법
KR20120026839A (ko) * 2010-09-10 2012-03-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전해 연마 장치
JP2016196673A (ja) * 2015-04-02 2016-1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配線パターンの形成方法および配線パターン形成用のエッチング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71389A (en) * 1993-12-16 1996-11-05 Dalic Device for the electrochemical treatment especially the local electrochemical treatment, of conductive substrate
JP2001322036A (ja) * 2000-03-09 2001-11-20 Sony Corp 研磨装置
JP2003266245A (ja) * 2002-03-12 2003-09-24 Ebara Corp 電解加工装置及び方法
KR20090121483A (ko) 2008-05-22 2009-11-26 대봉아크로텍(주) 탱크의 전해연마 방법
KR20120026839A (ko) * 2010-09-10 2012-03-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전해 연마 장치
JP2016196673A (ja) * 2015-04-02 2016-1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配線パターンの形成方法および配線パターン形成用のエッチング処理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2220A (ko) * 2021-08-30 2023-03-07 이강익 중성염 전해액을 이용한 포터블 전해연마기
KR102534371B1 (ko) * 2021-08-30 2023-05-26 이강익 중성염 전해액을 이용한 포터블 전해연마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4027B1 (ko) 고정식 대형 스테인리스스틸 저장탱크 내부의 표면처리를 할 수 있는 이동식 전해연마 시스템
WO2021227479A1 (zh) 光伏槽式机兼容不同产品的方法
KR102107987B1 (ko) 기판 처리 장치
KR20110136677A (ko) 기판 처리 장치
US7549428B2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JP2017094548A (ja) 交換装置、印刷機
KR200447797Y1 (ko) 튜브용기 운반용 홀더
JP4766279B2 (ja) バレルめっき装置
JP2019074383A (ja) 放射性金属廃棄物の除染装置
US20140290698A1 (en) Chemical supplying unit, substrate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treating substrate using the substrate treatment appparatus
CN210724511U (zh) 一种电机定子转运专用工装
US20130319878A1 (en) Electrolytic solution, electrolysis case, electropolishing system, and electropolishing method using these
CN207595760U (zh) 一种硫酸储存罐
CN211330434U (zh) 一种工业清洗设备清洗液供给小车
KR20130087417A (ko)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CN110600396B (zh) 用于移除遮罩清洁槽中的杂质的循环设备及方法
JP2013051267A (ja) 槽キャリア及び基板処理装置
CN214378763U (zh) 承载治具
KR101335709B1 (ko) 전해 연마장치
US20210230764A1 (en) Adaptive apparatus for release of trapped gas bubbles and enhanced agitation for a plating system
CN201942612U (zh) 一种用于清洗玻璃器皿的专用酸缸
KR20230168773A (ko) 수동형 전해액 정화 방법이 사용된 가공물 내면 전해연마 장치
CN215925138U (zh) 一种电解脱脂系统
CN215251193U (zh) 清洗固定机构及铝阴极清洗装置
CN215044811U (zh) 一种实验室危险品存储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