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3686B1 - 마스크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마스크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3686B1
KR102253686B1 KR1020200070575A KR20200070575A KR102253686B1 KR 102253686 B1 KR102253686 B1 KR 102253686B1 KR 1020200070575 A KR1020200070575 A KR 1020200070575A KR 20200070575 A KR20200070575 A KR 20200070575A KR 102253686 B1 KR102253686 B1 KR 102253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ar
mask assembly
fabric
filter
tangent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0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동규
Original Assignee
(주)그레이스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그레이스벨 filed Critical (주)그레이스벨
Priority to KR1020200070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6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카페 등에서 음료를 마시면서 동석자와 대화시 비말 확산을 차단할 수 있는 마스크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마스크 조립체는 i) 하나 이상의 평면형 지지체, 및 ii) 평면형 지지체에 부착되고, 사용자의 입과 코에 대향하도록 적용된 평면형 필터를 포함한다. 평면형 지지체는, i) 그 상하 방향을 따라 접선이 형성된 바디부, ii) 바디부와 연결되고, 바디부의 하측으로 돌출하며, 접선이 연속되어 형성된 파지부, 및 iii) 바디부와 파지부 위에 평면형 필터와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형성된 수지 코팅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마스크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MASK ASEMBLY HELD BY HAND AND METHOD FO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마스크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카페 등에서 커피 등의 음식물을 섭취하면서 동석자와 대화시 비말 확산을 차단할 수 있는 마스크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코로나19로 인해 사회적 거리두기가 지속됨에 따라 원격근무, 원격 강의, 화상회의 등 소위 언택트(untact) 비즈니스가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사람들은 코로나-19로 인한 감염 우려로 인해 타인들과의 접촉을 꺼려한다. 따라서 대화시 비말 확산에 의한 마스크 착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그러나 카페 등 밀폐된 공간에서 커피 등을 마시는 경우, 마스크를 벗어야 하므로 코로나19에 걸릴 가능성이 높다. 특히, 혼자가 아닌 여러명이 함께 있는 경우, 마스크를 쓰지 않고 대화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코로나19의 감염 위험에 그대로 노출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043797호
카페 등에서 커피 등의 음식물을 섭취하면서 동석자와 대화시 비말 확산을 차단할 수 있는 마스크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마스크 조립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조립체는, i) 하나 이상의 평면형 지지체, 및 ii) 평면형 지지체에 부착되고, 사용자의 입과 코에 대향하도록 적용된 평면형 필터를 포함한다. 평면형 지지체는, i) 그 상하 방향을 따라 접선이 형성된 바디부, ii) 바디부와 연결되고, 바디부의 하측으로 돌출하며, 접선이 연속되어 형성된 파지부, 및 iii) 바디부와 파지부 위에 평면형 필터와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형성된 수지 코팅층을 포함한다. 평면형 필터는 스펀(spun) 및 레이온(rayon)을 포함하고, 스펀은 평면형 필터의 30wt% 내지 70wt%이고, 평면형 지지체와 평면형 필터는 폴리에틸렌으로 상호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조립체는 제1 접선을 따라 파지부를 반으로 접어서 수용하도록 적용된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홀더는, i) 파지부를 반으로 접어서 형성되는 제1 파지면에 대응하는 제1 홀딩부, ii) 파지부에 포함되고, 제1 파지면과 접선을 공유하는 제2 파지면에 대응하며, 제1 홀딩부와 직접 연결되어 파지부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제2 홀딩부, 및 iii) 제1 홀딩부와 제2 홀딩부를 연결하고 접선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폭을 가지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홀딩부와 제2 홀딩부는 수용 공간 위에서 상호 이격되어 이격 공간을 형성하고, 이격 공간과 수용 공간의 사이에 슬라이딩 공간을 형성하며, 슬라이딩 공간에서의 제1 홀딩부의 면적 및 제2 홀딩부의 면적은 이격 공간에서의 제1 홀딩부의 면적 및 제2 홀딩부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조립체는 평면형 필터를 덮어서 커버하고 수지로 제조된 보관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관 커버는, i) 평면형 필터에 맞닿은 커버부, ii) 커버부와 연결되고 파지부의 길이 이상으로 더 길게 돌출하여 파지부를 덮는 파지 커버부, 및 iii) 커버부의 가장자리에 부착되어 평면형 지지체와 평면형 필터를 커버부와의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홀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에는 접선을 그 사이에 두고 접선과 예각을 이루면서 파지부에 가까워질수록 접선과의 거리가 점차 가까워지는 한 쌍의 또다른 접선들이 형성되고, 한 쌍의 또다른 접선들 중 어느 한 또다른 접선을 사이에 두고 접선의 반대편에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평면형 지지체는 한 쌍의 평면형 지지체들을 포함하고, 한 쌍의 평면형 지지체들 중 하나 이상의 평면형 지지체에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평면형 필터는 한 쌍의 평면형 지지체들 사이에 삽입되어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제조 방법은, i) 평면형 지지체 원단을 제공하는 단계, ii) 평면형 필터 원단에 수지 코팅층 원단을 제공하여 수지 코팅층 원단을 평면형 필터 원단에 합지시키는 단계, iii) 평면형 필터 원단을 사이에 두고 수지 코팅층 원단의 공급 위치의 반대 위치에서 평면형 지지체 원단에 대응하는 평면형 필터 원단을 제공하는 단계, iv) 평면형 지지체 원단과 평면형 필터 원단을 합지하면서 가열해 마스크 조립체 원단을 제공하는 단계, 및 v) 마스크 조립체 원단을 커팅하여 마스크 조립체를 제공하면서 마스크 조립체를 눌러서 복수의 접선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마스크 조립체 원단을 제공하는 단계에서, 평면형 필터 원단에 인가되는 인장력은 평면형 지지체 원단에 인가되는 인장력보다 클 수 있다. 복수의 접선들을 형성하는 단계는 마스크 조립체의 형상에 대응하는 커팅부가 형성되고 커팅부 내에 복수의 접선들에 대응하는 누름용 돌출부가 형성된 목형이 회전하면서 마스크 조립체 원단을 프레싱하면서 커팅할 수 있다. 복수의 접선들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복수의 접선들은 반칼 가공되어 형성되고, 마스크 조립체는 i) 그 상하 방향을 따라 제1 접선이 형성된 바디부, 및 ii) 바디부의 아래에 바디부와 사선 방향으로 뻗은 한 쌍의 제2 접선들을 형성하고, 파지부를 그 사이에 두고 그 양측에 각각 좌우 방향으로 길게 뻗어 형성된 한 쌍의 받침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접선들 중 하나 이상의 제2 접선의 반칼 가공 깊이는 제1 접선의 반칼 가공 깊이보다 클 수 있다.
마스크 조립체로 카페 등 밀폐된 공간에서도 입을 가리면서 대화할 수 있어서 비말에 의한 코로나19 등의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마스크 조립체를 저가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1회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그리고 마스크 조리체에 다양한 광고를 넣을 수 있어서 판촉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조립체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마스크 조립체를 얼굴에 대고 사용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마스크 조립체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조립체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홀더의 개략적인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마스크 조립체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마스크 조립체의 또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조립체에 포함된 홀더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조립체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조립체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조립체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조립체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3는 도 1의 마스크 조립체의 제조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도 1의 마스크 조립체의 또다른 제조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사용하는 “마스크 조립체”라는 용어는 마스크 그 자체이거나 마스크 이외의 액세서리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마스크 조립체”는 사용자의 입 또는 코를 가려서 이로부터 발산되는 비말이 외부로 확산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조립체(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의 확대원에는 마스크 조립체(100)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의 마스크 조립체(100)의 형태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마스크 조립체(100)의 형태를 다른 형태로도 변형할 수 있다.
도 1의 확대원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크 조립체(100)는 평면형 지지체(10) 및 평면형 필터(12)를 포함한다. 평면형 지지체(10)와 평면형 필터(12) 사이에는 접착제로 된 접착층(14)이 개재되어 평면형 지지체(10)와 평면형 필터(12)를 상호 접착한다. 접착층(14)으로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 마스크 조립체(100)는 필요에 따라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확대원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크 조립체(100)는 평면형 지지체(10) 및 평면형 필터(12)에 의해 곡면형이 아닌 평면형으로 제조된다. 일반적인 마스크는 사람 얼굴의 입체적인 윤곽을 감안하여 곡면형으로 제조되는 반면에 도 1의 마스크 조립체(100)는 평면형으로 제조된다. 따라서 그 제조 공정이 일반적인 마스크의 제조 공정보다는 단순하여 제조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평면형 지지체(10)는 종이 또는 수지로 제조할 수 있다. 평면형 지지체(10)를 수지로 제조하는 경우, 이를 접어서 사용자의 입과 코를 감싸는 입체적인 형태로 만들기 위해 평면형 지지체(10)의 두께를 작게 한다. 즉, 평면형 지지체(10)는 접힐 정도의 두께를 가진다. 즉, 마스크 조립체(100)를 얼굴에 대고 사용하는 경우, 비말이 비산되지 않도록 마스크 조립체(100)가 접히면서 사용자의 얼굴을 감싸 굴곡면에 대응시킨다.
평면형 필터(12)는 스펀(spun) 및 레이온(rayon)을 포함한다. 즉, 평면형 필터(12)는 부직포로 제조되어 사용자가 대화시에 방출하는 비말을 포집하여 흡수한다. 평면형 필터(12)는 그 제조 비용을 감안하여 그 두께가 평면형 지지체(10)의 두께보다 작도록 형성한다. 평면형 필터(12)에 함유된 스펀의 양은 30wt% 내지 70wt%일 수 있다. 좀더 바람직하게는, 스펀의 양은 40wt% 내지 60wt%일 수 있다. 스펀의 양이 너무 많은 경우, 평면형 필터(12)의 흡습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스펀의 양이 너무 적은 경우, 상대적으로 레이온의 양이 많아져 그 가격이 높아진다. 따라서 스펀의 양을 전술한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평면형 필터(12)의 두께는 0보다 크고 0.1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면형 필터(12)의 두께가 너무 큰 경우, 소재 비용이 상승한다. 또한, 평면형 필터(12)의 두께가 너무 작은 경우, 그 흡습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평면형 필터(12)의 두께를 전술한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면형 필터(12)에는 안내 문구를 인쇄할 수 있다. 마스크 조립체(100)는 비말 오염으로 재사용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사용 후에는 마스크 조립체(100)를 휴지통에 버리고 손을 씻어달라는 안내 문구를 넣을 수 있다. 카페 등에서는 테이블마다 마스크 조립체(100)를 비치해 손님들의 대화시 마스크 조립체(100)를 사용하도록 유도한다. 따라서 코로나19 감염에 의한 점포 폐쇄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평면형 지지체(10)와 평면형 필터(12)는 상호 동일한 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즉, 평면형 지지체(10)의 가장자리와 평면형 필터(12)의 가장자리는 상호 일치한다. 이를 위해 평면형 지지체(10)의 원단과 평면형 필터(12)의 원단을 상호 합지한 후 함께 커팅하여 일체로 만든다. 그 결과, 저비용으로 마스크 조립체(100)를 제조할 수 있다.
평면형 지지체(10)는 바디부(16)와 파지부(18)를 포함한다. 이외에, 평면형 지지체(10)는 필요에 따라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6)와 파지부(18)에는 복수의 접선들(191, 193, 195, 197)이 형성된다. 복수의 접선들(191, 193, 195, 197)은 제1 접선(191), 제2 접선(193), 제3 접선(195) 및 제4 접선(197)을 포함한다. 이들 접선들(191, 193, 195, 197)을 이용하여 마스크 조립체(100)를 쉽게 접을 수 있다. 따라서 평면형의 마스크 조립체(100)를 입체형으로 접어 사용자의 얼굴에 갖다 댈 수 있다. 바디부(16)는 접선들(191, 193, 195, 197)에 의해 각각 상부(161), 본체부(163), 측부(164), 및 받침부(167)로 구획된다. 상부(161), 본체부(163), 측부(164), 및 받침부(167)는 접선들(191, 193, 195, 197)에 의해 구획되어 접히므로 마스크 조립체(100)를 입체형으로 만들 수 있다.
바디부(16)는 평면형 필터(12)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며, 사용자의 얼굴 대부분을 커버한다. 바디부(16)의 최상단에는 홈(1611)이 형성된다. 홈(1611)은 오목하게 형성된다. 마스크 조립체(100)는 평면 형태로 제조되므로, 얼굴에 마스크 조립체(100)를 밀착시키기 위해서는 마스크 조립체(100)를 사용시에 곡면 형태로 접어야 한다. 제1 접선(191)과 연결된 홈(161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마스크 조립체(100)를 접는 경우, 바디부(16) 전체의 접힘에 대한 저항력을 최소화하여 마스크 조립체(100)를 쉽게 반으로 접을 수 있다. 바디부(16)의 가장자리는 곡면으로 형성되며, 홈(1611)은 이와 연속으로 이어져서 제1 접선(191)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이 대칭인 형태를 가진다.
바디부(16)의 양측에는 한 쌍의 제3 접선들(193)이 형성된다. 한 쌍의 제3 접선들(193)의 사이에는 제1 접선(191)이 위치한다. 한 쌍의 제3 접선들(193)은 제1 접선(191)과 예각을 이룬다. 즉, 홈(1611)에 가까워질수록 한 쌍의 제3 접선들(193)과 제1 접선(191)과의 거리는 점차 가까워진다. 제1 접선(191) 이외에 한 쌍의 제3 접선들(193)을 이용하여 마스크 조립체(100)를 얼굴의 윤곽에 대응해 곡면으로 접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서 발생하는 비말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좌측의 제3 접선(193)을 사이에 두고 제1 접선(191)의 반대편, 즉 좌측의 측부(165)에는 결합구(1651)가 형성된다. 결합구(1651)는 상하로 길게 뻗어 있다. 마스크 조립체(100)를 좌우 반으로 접는 경우, 우측의 측부(165)를 결합구(1651)에 끼워서 마스크 조립체(100)의 부피를 반으로 접어 휴대하기 편하게 만들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제3 접선들(195)은 한 쌍의 제2 접선들(193)과 각각 만난다. 이들이 만나는 점은 평면형 필터(12)의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좌우로 사선으로 뻗은 한 쌍의 제3 접선들(195)을 이용하여 한 쌍의 받침부들(167)을 쉽게 접을 수 있다. 한 쌍의 받침부들(167)은 파지부(18)를 사이에 두고 그 양측에 각각 위치한다. 한 쌍의 받침부들(167)은 사용자로부터 생성되는 비말이 너무 많아 평면형 필터(12)에 흡수되지 않고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경우, 이를 받쳐서 밑으로 떨어지지 않게 한다. 이를 위해 받침부(165)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뻗은 형태로 되어 있다.
제4 접선들(197)은 상부(161) 및 본체부(163)에 걸쳐서 좌우 대칭의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4 접선들(197)을 이용하여 마스크 조립체(100)를 상하 방향으로 굴곡지게 접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대화시에 비말이 밖으로 새지 않게 할 수 있다.
파지부(18)는 바디부(16)와 연결되어 바디부(16)의 하측으로 돌출한다. 제1 접선(191)은 파지부(18)에도 연속으로 이어져 형성된다. 즉, 제1 접선(191)은 파지부(18)를 반분하여 그 상하 방향으로 뻗어 있다. 파지부(18)는 일반적인 마스크에 달린 끈을 대체한다. 이를 도 2를 통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마스크 조립체(100)를 얼굴에 대고 사용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즉, 사용자의 입과 코에 마스크 조립체(100)를 접어서 갖다 댄 상태를 나타낸다.
카페 등에서 음료수를 마시는 경우, 입이 오픈되어야 하므로 일반 마스크의 착용은 불가능하다. 그 대신에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부(18)를 쥐고 대화를 나눌 때 입과 코를 마스크 조립체(100)로 막으면서 음료수를 마실 수 있다. 즉 파지부(18)는 일반 마스크의 끈을 대체하는 기능을 한다. 사용자가 마스크 조립체(100)를 쉽게 파지하도록 파지부(18)는 아래로 돌출되어 있다.
도 3은 도 1의 마스크 조립체(100)를 접은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좀더 구체적으로, 마스크 조립체(100)를 좌우 방향으로 반으로 접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부(165)를 접어서 결합구(1651)에 끼워 마스크 조립체(100)를 반으로 접을 수 있다. 마스크 조립체(100)에는 제2 접선(193)이 형성된다. 따라서 측부(165)를 용이하게 접어 결합구(1651)에 고정할 수 있다. 그 결과, 마스크 조립체(100)의 부피를 크게 감소시켜서 마스크 조립체(100)를 휴대하기에 편하다. 특히, 마스크 조립체(100)를 완전히 반으로 접는 경우에 비해 반접은 면적은 작아지는 효과를 가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조립체(2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의 마스크 조립체(200)는 도 1의 마스크 조립체(100)를 화살표 방향을 따라 홀더(40)에 결합시켜 제조한다. 홀더(40)를 이용하여 마스크 조립체(200)를 접은 상태로 휴대하기 편하게 만들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지부(18)를 제1 접선(191)을 따라 반으로 접는 경우, 파지부(18)가 마스크 조립체(100)의 중심에 위치하므로, 마스크 조립체(100)를 쉽게 반으로 접을 수 있다. 홀더(40)는 파지부(18)가 반으로 접힌 상태 그대로 유지되도록 반으로 접힌 파지부(18)를 홀더(40)에 수용하여 고정한다. 그 결과, 마스크 조립체(100)가 반으로 접힌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한 홀더(40)의 구조를 도 5에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도 4의 홀더(40)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5의 홀더(40)의 구조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홀더(40)의 구조를 다른 형태로도 변형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40)는 제1 홀딩부(401), 제2 홀딩부(403) 및 지지부(405)를 포함한다. 이외에, 홀더(40)는 고리부(4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리부(407)는 지지부(405)에 연결되어 형성된다. 또한, 홀더(40)에는 위에서 아래로 이격 공간(S41), 슬라이딩 공간(S43) 및 수용 공간(S45)이 차례로 형성된다.
제1 홀딩부(401)와 제2 홀딩부(403)는 상호 동일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제1 홀딩부(401)는 파지부(18)(도 4에 도시, 이하 동일)를 반으로 접어서 형성되는 제1 파지면(181)(도 4에 도시, 이하 동일)에 대응한다. 즉, 제1 파지면(181)이 제1 홀딩부(401)와 제2 홀딩부(403)의 사이로 삽입되어 제1 홀딩부(401)는 제1 파지면(181)과 마주한다. 또한, 제2 홀딩부(403)는 제2 파지면(183)(도 4에 도시, 이하 동일)에 대응한다. 제2 파지면(183)은 파지부(18)를 반으로 접는 경우에 형성되며, 제1 파지면(181)과 제1 접선(191)(도 4에 도시)을 공유한다.
제1 홀딩부(401)와 제2 홀딩부(403)는 이격 공간(S41)에서 상호 이격된다. 제1 홀딩부(401)와 제2 홀딩부(403)가 기설정된 면적을 가지면서 상호 좌우로 이격되므로, 이격 공간(S41)을 통해 파지부(18)를 위에서 아래로 움직여 홀더(40)로 쉽게 유입시킬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지지부(403)는 제1 홀딩부(401)와 제2 홀딩부(403)를 연결하면서 제1 접선(191)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폭(w403)을 가진다. 여기서, 폭(w403)은 1mm 내지 3mm일 수 있다. 파지부(18)는 완전히 접힌 상태가 아니라 다소 벌어진 상태로 홀더(40)로 유입된다. 따라서 지지부(403)의 폭(w403)을 전술한 범위로 조절해야 어느 정도 벌어진 파지부(18)를 홀더(40)로 잘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이격 공간(S41)에서 제1 홀딩부(401)와 제2 홀딩부(403)는 기설정된 면적을 가지므로, 파지부(18)를 중앙으로 모아 홀더(40) 내로 잘 가이드할 수 있다.
슬라이딩 공간(S43)은 이격 공간(S41)의 아래에 연결된다. 즉, 슬라이딩 공간(S43)은 이격 공간(S41)과 수용 공간(S45)의 사이에 위치한다. 홀더(40)로 삽입되는 파지부(18)는 이격 공간(S41)에서 이미 잘 안내되어 아래로 삽입된다. 따라서 홀더(40)의 부피를 최소화하면서 재료비를 절감하기 위해 슬라이딩 공간(S43)의 면적을 이격 공간(S41)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더 구체적으로, 슬라이딩 공간(S43)에서의 제1 홀딩부(401)의 면적과 제2 홀딩부(403)의 면적은 이격 공간(S41)에서의 제1 홀딩부(401)의 면적과 제2 홀딩부(403)의 면적보다 작다.
파지부(18)가 슬라이딩 공간(S43)을 타고 인입되어 수용되는 수용 공간(S45)은 제1 홀딩부(401)와 제2 홀딩부(403)가 직접 연결되어 형성된다. 즉, 제1 홀딩부(401)와 제2 홀딩부(403)는 상호 맞닿아 선접점(4021)을 형성한다. 즉, 상호 이격된 이격 공간(S41)과는 달리 수용 공간(S45)에서는 제1 홀딩부(401)와 제2 홀딩부(403)가 상호 연결된다. 그 결과, 제1 홀딩부(401)와 제2 홀딩부(403)의 간격이 매우 좁게 형성되어 슬라이딩 공간(S43)을 따라 인입되는 파지부(18)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홀더(40)가 이러한 구조를 가지므로, 홀더(40)를 통해 마스크 조립체(200)(도 4에 도시)를 안정적으로 접어 휴대하기 쉽다.
도 6은 도 4의 마스크 조립체(200)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6의 마스크 조립체(200)의 사용 상태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마스크 조립체(200)의 사용 상태를 다르게 변형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40)에 마스크 조립체(100)를 끼워서 고정시킨 후 고리부(40)를 목걸이(N)에 연결해 목에 걸 수 있다. 마스크 조립체(100)는 홀더(40)에 움직이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목걸이(N)를 목에 건 형태로 마스크 조립체(200)를 휴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사의 구내 식당 등 다수의 사용자들이 모이는 곳에서는 마스크 조립체(100)를 휴대하여 필요시 착용함으로써 코로나19 감염을 차단할 수 있다.
도 7은 도 4의 마스크 조립체(200)의 또다른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7의 마스크 조립체(200)의 사용 상태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마스크 조립체(200)의 사용 상태를 다르게 변형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홀더(H)가 부착된 테이블(T) 위에 마스크 조립체(200)를 꽂아서 비치할 수 있다. 마스크 조립체(200)는 홀더(40)(도 6에 도시, 이하 동일)를 포함하므로, 홀더(40)를 고정 홀더(H)에 꽂아 마스크 조립체(200)를 안정적으로 비치할 수 있다. 오염물이 존재할 수 있는 테이블(T) 위에 마스크 조립체(200)를 눕혀서 놓기보다는 고정 홀더(H)를 통해 세운 상태로 고정할 수 있어서 좀더 위생적이다. 홀더(40)를 수지 소재로 형성하는 경우, 홀더(40)가 일정한 강도 및 탄성을 가지므로 고정 홀더(H)에 꽂아서 비치하기에 적합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조립체에 포함된 홀더(48)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8의 홀더(48)의 구조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홀더(48)의 구조를 다른 형태로도 변형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48)는 제1 슬라이딩면(481) 및 제2 슬라이딩면(483)을 포함한다. 마스크 조립체는 제1 슬라이딩면(481)과 제2 슬라이딩면(483)을 타고 홀더(48)에 안정적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파지부가 접혀져 있으므로 제1 슬라이딩면(481) 및 제2 슬라이딩면(483)에 의해 안정적으로 접혀서 고정된다. 제1 슬라이딩면(481) 및 제2 슬라이딩면(483)을 각도를 이루고 각각 제1 고정면(487) 및 제2 고정면(485)에 각각 대향한다. 이들 면들은 평행사변형 또는 마름모 형태의 공간을 형성한다. 마스크 조립체와의 간섭을 피하도록 제1 고정면(487) 및 제2 고정면(485) 각각의 길이는 제1 슬라이딩면(481) 및 제2 슬라이딩면(483) 각각의 길이보다 짧다. 홀더(48)는 일체형 플라스틱을 접어서 부착면(486)을 제1 슬라이딩면(481)에 접착하는 방법으로 쉽게 제조할 수 있다. 홀더(48)의 단부에는 고리홈(489)이 형성되어 목걸이 등에 걸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조립체(3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9의 마스크 조립체(300)의 구조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마스크 조립체(300)의 구조를 다른 형태로도 변형할 수 있다. 한편, 도 9의 마스크 조립체(100)는 도 1의 마스크 조립체(100)를 뒤집어서 나타낸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조립체(3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9의 마스크 조립체(300)의 구조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마스크 조립체(300)의 구조를 다른 형태로도 변형할 수 있다. 한편, 도 9의 마스크 조립체(100)는 도 1의 마스크 조립체(100)를 뒤집어서 나타낸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관 커버(50)는 +z축 방향을 향하는 평면형 필터(12)를 덮어서 커버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입과 코에 대응하는 평면형 필터(12)를 좀더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특히, 보관 커버(50)가 PET 등의 수지로 제조되므로, 마스크 조립체(100)를 구겨지지 않은 형태로 잘 보관할 수 있다. 보관 커버(50)는 투명 소재로 형성하여 그 내부에 보관된 마스크 조립체(100)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보관 커버(50)는 커버부(501), 홀더부(503) 및 파지 커버부(505)를 포함한다. 이외에, 보관 커버(50)는 필요에 따라 다른 구성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501)는 마스크 조립체(100)의 대부분을 커버한다. 커버부(501)는 평면형 필터(12)와 맞닿는다. 파지 커버부(505)는 커버부(501)와 연결된다. 파지 커버부(505)는 파지부(18)의 길이 이상으로 -y축 방향, 즉 아래 방향으로 더 길게 돌출된다. 따라서 파지부(18)를 좀더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부(501)의 가장자리에 부착된 홀더부(503)는 복수로 형성된다. 홀더부(503)는 각각 위에 2개 및 아래에 2개가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다. 홀더부(503)를 이와는 달리 배치할 수도 있다. 홀더부(503)가 마스크 조립체(100)의 중심을 향해 볼록한 곡면 형상을 가지므로, 마스크 조립체(100)를 보관 커버(50)에 안정적으로 수납 보관할 수 있다. 또한, 홀더부(503)가 일부에만 위치하므로, 마스크 조립체(100)를 보관 커버(50)로부터 쉽게 넣고 뺄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조립체(4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0의 확대원에는 마스크 조립체(400)의 측면 구조와 접선들(491, 495)의 단면 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낸다. 도 10의 마스크 조립체(400)의 구조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마스크 조립체(400)의 구조를 다른 형태로도 변형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의 마스크 조립체(400)의 구성요소들은 도 1의 마스크 조립체(100)의 구성요소들과 기능면에서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크 조립체(400)는 한 쌍의 평면형 지지체들(40)과 평면형 필터(42)를 포함한다. 평면형 필터(42)는 한 쌍의 평면형 지지체들(40) 사이에 삽입 고정된 상태로 형성된다. 평면형 지지체(40)는 바디부(403), 받침부들(407) 및 파지부(408)를 포함한다. 바디부(403)에는 개구부(4031)가 형성되어 이를 통해 평면형 필터(12)가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평면형 필터(42)를 입에 대고 얘기하는 경우, 비말이 평면형 필터(42)에 의해 차단되어 외부로 비산되지 않는다. 한편, 도 10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평면형 필터(42)는 +z축 방향으로만 노출되는 것이 아니라 -z축 방향으로도 노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 주위에 있는 사람들은 사용자와의 대화시에도 평면형 필터(42)에 의한 비말 차단을 알 수 있어서 안심하고 편안하게 대화할 수 있다.
도 10의 상부 확대원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평면형 지지체들(40)은 각각 지지 기재(40a) 및 필름(40b)을 포함한다. 필름(40b)은 지지 기재(40a)의 외부 노출면을 향해 지지 기재(40a) 위에 코팅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입에서 방출된 침이 평면형 지지체(40)에 묻어도 잘 젖지 않는다. 나아가, 받침부들(407)을 +z축 방향으로 접어서 아래로 침이 떨어지지 않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비말의 외부 비산을 이중으로 차단한다.
한편, 도 10의 2개의 하부 확대원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선들(491, 495)은 각각 반칼 가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접선(495) 형성에 필요한 반칼 가공 깊이(d495)는 접선(491) 형성에 필요한 반칼 가공 깊이(d491)보다 크다. 즉, 받침부들(407)은 90˚ 정도로 크게 접어야 하므로, 그 반칼 가공의 깊이(d495)를 크게 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접선(491)은 얼굴 윤곽에 맞게 마스크 조립체(400)를 약간만 좌우로 휘게 접을 수 있을 정도로 형성하면 된다. 따라서 그 반칼 가공의 깊이(d491)를 크게 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조립체(500)의 분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1의 확대원에는 마스크 조립체(500)의 측면 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낸다. 도 11의 마스크 조립체(400)의 구성요소들은 도 10의 마스크 조립체(400)의 구성요소들과 유사하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형 필터(42)는 교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평면형 지지체들(40) 사이에 개구부(4031)가 형성된다. 따라서 평면형 필터(42)을 점선 화살표 방향을 따라 개구부(4031)에 넣은 후 사용하고 다 쓴 후에는 빼서 교체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평면형 지지체(40)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원 재활용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조립체(6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2의 확대원에는 마스크 조립체(600)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2의 마스크 조립체(600)의 형태는 도 1의 마스크 조립체(100)와 유사하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의 확대원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형 지지체(10) 위에는 수지 코팅층(169)이 형성된다. 수지 코팅층(169)은 바디부(16)와 파지부(18) 위에 형성된다. 수지 코팅층(169)은 평면형 필터(12)와 멀어지는 방향, 즉 -z축 방향을 향하여 평면형 지지체(10) 위에 형성된다. 수지 코팅층(169)의 소재로는 폴리에틸렌을 사용할 수 있다. 수지 코팅층(169)이 평면형 지지체(10) 위에 형성되므로, 평면형 지지체(10)가 종이 등의 물에 잘 젖는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 수지 코팅층(169)이 방수 기능을 한다. 따라서 평면형 지지체(10)가 음료수, 얼음, 비말 등에 잘 젖지 않게 할 수 있다. 특히, 판촉용으로 평면형 지지체(10)를 사용하는 경우, 평면형 지지체(10) 위에 홍보 내용을 인쇄한 후 그 위에 수지 코팅층(169)을 형성한다. 그 결과, 수지 코팅층(169)에 의해 인쇄 내용이 수지 코팅층(169)에 의해 방수 처리된다. 따라서 음료수, 얼음, 비말 등의 물에 의해 인쇄 내용이 번지거나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평면형 지지체(10)를 사이에 두고 수지 코팅층(169)에서 멀어지는 방향, 즉, +z축 방향으로는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는다. 즉, 평면형 지지체(10)와 평면형 필터(12)의 합지를 위해 수지 코팅층(169)의 반대편에 위치한 평면형 지지체(10) 위에는 코팅층을 형성하지 않고 비코팅면으로 사용한다. 수지 코팅층(169)의 두께는 평면형 지지체(1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하여 그 소재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의 마스크 조립체(100)의 제조 장치(10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3의 제조 장치(1000)의 구조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조 장치(1000)의 구조를 다른 형태로 변형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크 조립체(100)의 제조 장치(1000)를 사용하여 마스크 조립체(100)를 제조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마스크 조립체(100)를 제조하는 방법은, i) 평면형 지지체 원단(850)을 제공하는 단계, ii) 평면형 지지체 원단(850)에 대응하는 평면형 필터 원단(852)을 제공하는 단계, iii) 평면형 지지체 원단(850) 위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평면형 지지체 원단(850)과 평면형 필터 원단(852)을 합지하면서 가열해 마스크 조립체 원단(800)을 제공하는 단계, 및 iv) 마스크 조립체 원단(800)을 커팅하여 마스크 조립체(100)를 제공하면서 마스크 조립체(100)를 눌러서 복수의 접선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외에, 마스크 조립체(100)의 제조 방법은 다른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평면형 지지체 공급 장치(801)는 평면형 지지체 원단(850)을 제공한다. 도 13에는 평면형 지지체 공급 장치(801)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는 롤 형태로 도시하였지만 이와는 다른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평면형 지지체 원단(850)은 인쇄기(803)를 통과하면서 그 하부에 마스크 조립체(100)를 홍보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홍보용 캐릭터나 문구를 인쇄한다. 그리고 평면형 필터 공급 장치(805)를 통해서는 평면형 필터 원단(852)을 공급된다. 롤 형태의 평면형 필터 공급 장치(805)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평면형 필터 원단(852)을 합지 장치(809)에 공급한다.
그리고 평면형 지지체 원단(850) 위에는 디스펜서(807)를 사용하여 접착제인 앵커 코팅제를 균일하게 도포한다. 접착제로는 폴리에틸렌(PE)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PE)을 사용하는 경우, 냉각 속도가 빠르고 생산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폴리에틸렌(PE)이 도포된 평면형 지지체 원단(850)과 평면형 필터 원단(852)을 합지해 마스크 조립체 원단(800)을 제공한다. 평면형 필터 원단(852)은 스펀 및 레이온 등을 포함하는 탄성력이 있는 소재로 제조된다. 따라서 평면형 필터 원단(852)은 편평하게 펴지지 못하고 주름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평면형 필터 공급 장치(805)와 합지 장치(809) 사이의 장력을 평면형 지지체 공급 장치(801)와 합지 장치(809) 사이의 장력보다 높게 만든다. 그 결과, 평면형 지지체 원단(850)과 평면형 필터 원단(852)을 합지하는 경우, 평면형 필터 원단(852)에 주름이 발생한 상태로 평면형 지지체 원단(850)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합지 장치(809)는 한 쌍의 합지롤들을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평면형 지지체 원단(850)과 평면형 필터 원단(852)을 가열해 합지한다. 가열 온도는 200℃ 내지 330℃일 수 있다. 그 결과, 일체로 합체된 마스크 조립체 원단(800)이 제공된다. 합지 온도가 너무 높은 경우, 평면형 지지체 원단(850)과 평면형 필터 원단(852)이 열화될 수 있다. 또한, 합지 온도가 너무 낮은 경우, 평면형 지지체 원단(850)과 평면형 필터 원단(852)이 상호 잘 부착되지 않아 우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온도 범위에서 평면형 지지체 원단(850)과 평면형 필터 원단(852)을 상호 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스크 조립체 원단(800)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는 목형(811)에 의해 커팅되면서 접선을 형성하도록 프레싱된다. 이를 위해 목형(811)에는 커팅부(8111)와 누름용 돌출부(8113)가 형성된다. 커팅부(8111)는 마스크 조립체(100)의 형상에 대응하고, 복수의 접선들은 누름용 돌출부(8113)에 대응한다. 누름용 돌출부(8113)는 커팅부(8111) 내에 형성된다. 그 결과, 도 1의 마스크 조립체(100)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의 마스크 조립체(100)의 또다른 제조 장치(20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4의 제조 장치(2000)의 구조는 도 13의 제조 장치(1000)의 구조와 유사하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의 마스크 조립체(100)의 또다른 제조 장치(2000)에서는 프레싱 장치(813)를 사용하여 마스크 조립체(100)를 제조한다. 즉, 프레싱 장치(813)가 화살표 방향으로 움직여 마스크 조립체(100)를 마스크 조립체 원단(800)으로부터 커팅해 제조한다. 이 경우, 마스크 조립체(100)에 형성되는 점선은 반칼 가공하여 제조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형성되는 점선 부위마다 반칼의 깊이를 달리할 수 있어서 깊이가 상이한 점선들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의 마스크 조립체(400)와 같은 점선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5는 도 1의 마스크 조립체(100)의 또다른 제조 장치(30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5의 제조 장치(3000)의 구조는 도 12의 제조 장치(1000)의 구조와 유사하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의 마스크 조립체(100)의 또다른 제조 장치(3000)는 한 쌍의 코팅층 합지롤들(819)을 더 포함한다. 수지 코팅층 원단(892)은 인쇄기(803)를 통과한 평면형 지지체 원단(850) 위로 공급되어 코팅층 합지 장치(819)에 의해 평면형 지지체 원단(850) 위에 코팅된다. 수지 코팅층 원단(892)의 소재로는 폴리에틸렌(PE)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 폴리염화비닐도 사용 가능하다. 코팅층 합지 장치(819)에 수지 코팅층 원단(892)과 평면형 지지체 원단(850)이 상호 가열되어 수지 코팅층 원단(892)이 평면형 지지체 원단(850) 아래에 라미네이팅된다. 즉, 평면형 지지체 원단(850) 위에 판촉 내용이 인쇄기(803)에 의해 먼저 인쇄된 후 수지 코팅층 원단(892)이 평면형 지지체 원단(850) 위에 코팅된다. 따라서 인쇄 내용은 수지 코팅층 원단(892)에 의해 덮여서 물이 닿더라도 번지는 등의 문제점이 없다.
또한, 수지 코팅층 원단(892)은 후속 공정에서 평면형 필터 원단(852)과 합지되는 평면형 지지체 원단(850)이 합지 장치(809)의 장력과 가열에 의해 터지거나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해 준다. 즉, 합지 장치(809)의 장력과 가열에 의해 평면형 지지체 원단(850)이 평면형 필터 원단(852)과 합지되면서 손상될 수 있다. 그러나 수지 코팅층 원단(892)이 평면형 지지체 원단(850) 위에 코팅되어 평면형 지지체 원단(850)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평면형 지지체 원단(850)이 손상되지 않고 평면형 필터 원단(852)과 주름없이 잘 합지된다. 한편, 접착제로 폴리에틸렌을 사용하고, 수지 코팅층 원단(892)으로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경우, 양자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어 그 사이에 위치한 평면형 지지체 원단(850)에 걸리는 인장력의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평면형 지지체 원단(850)이 평면형 필터 원단(852)과 대향하는 면에는 수지 코팅층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도포된 폴리에틸렌(PE)에 의해 양자가 잘 도포된다.
이하에서는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실험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그레이 규격의 종이를 평면형 지지체 원단으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평면형 필터 원단으로서 다양한 두께 및 다양한 소재들을 사용해 마스크 조립체를 제조하였다. 즉, 평면형 지지체 원단에 폴리에틸렌을 도포하고 평면형 필터 원단과 300℃에서 합지하여 마스크 조립체 원단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원단을 재단하여 마스크 조립체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10wt%의 스펀과 나머지 레이온 및 기타로 이루어진 평면형 필터 원단을 사용하여 도 1의 마스크 조립체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마스크 조립체의 흡수성, 가격 및 합지시의 주름 발생 여부를 관찰하였다. 흡수성은 물 10m를 평면형 필터에 분사하여 물이 흡수되지 않고 떨어지는 정도를 관찰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마스크 조립체의 가격은 스펀과 레이온의 원가를 실험예마다 산정하고 이를 상호 비교해 도출하였다. 그리고 합지시의 주름 발생 여부는 마스크 조립체의 제조 공정 중에 제조된 마스크 조립체를 관찰하여 결정하였다. 나머지 제조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와 동일하였다.
실험예 2
15wt%의 스펀과 나머지 레이온 및 기타로 이루어진 평면형 필터 원단을 사용하여 마스크 조립체를 제조하였다. 나머지 제조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3
20wt%의 스펀과 나머지 레이온 및 기타로 이루어진 평면형 필터 원단을 사용하여 마스크 조립체를 제조하였다. 나머지 제조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4
25wt%의 스펀과 나머지 레이온 및 기타로 이루어진 평면형 필터 원단을 사용하여 마스크 조립체를 제조하였다. 나머지 제조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5
30wt%의 스펀과 나머지 레이온 및 기타로 이루어진 평면형 필터 원단을 사용하여 마스크 조립체를 제조하였다. 나머지 제조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6
35wt%의 스펀과 나머지 레이온 및 기타로 이루어진 평면형 필터 원단을 사용하여 마스크 조립체를 제조하였다. 나머지 제조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7
40wt%의 스펀과 나머지 레이온 및 기타로 이루어진 평면형 필터 원단을 사용하여 마스크 조립체를 제조하였다. 나머지 제조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8
45wt%의 스펀과 나머지 레이온 및 기타로 이루어진 평면형 필터 원단을 사용하여 마스크 조립체를 제조하였다. 나머지 제조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9
50wt%의 스펀과 나머지 레이온 및 기타로 이루어진 평면형 필터 원단을 사용하여 마스크 조립체를 제조하였다. 나머지 제조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10
55wt%의 스펀과 나머지 레이온 및 기타로 이루어진 평면형 필터 원단을 사용하여 마스크 조립체를 제조하였다. 나머지 제조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11
60wt%의 스펀과 나머지 레이온 및 기타로 이루어진 평면형 필터 원단을 사용하여 마스크 조립체를 제조하였다. 나머지 제조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12
65wt%의 스펀과 나머지 레이온 및 기타로 이루어진 평면형 필터 원단을 사용하여 마스크 조립체를 제조하였다. 나머지 제조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13
70wt%의 스펀과 나머지 레이온 및 기타로 이루어진 평면형 필터 원단을 사용하여 마스크 조립체를 제조하였다. 나머지 제조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14
75wt%의 스펀과 나머지 레이온 및 기타로 이루어진 평면형 필터 원단을 사용하여 마스크 조립체를 제조하였다. 나머지 제조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15
80wt%의 스펀과 나머지 레이온 및 기타로 이루어진 평면형 필터 원단을 사용하여 마스크 조립체를 제조하였다. 나머지 제조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결과
전술한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15의 마스크 조립체의 실험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스펀의 양이 증가하면서 가격은 낮아지는 반면에 마스크 조립체의 흡수성은 저하되고 합지시의 주름 발생률은 증가한다. 다만, 마스크 조립체는 일회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가격이 가장 중요하다. 따라서 고가의 제조 비용을 회피하면서 흡수성과 합지시 주름 발생을 어느 정도 만족할만한 수준에서 마스크 조립체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래의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15 중에서 실험예 5 내지 실험예 13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NO 실험예 스펀의 양 흡수성 가격 합지시 주름발생
1 실험예 1 10wt% 매우 우수 다소 고가 거의 없음
2 실험예 2 15wt% 매우 우수 다소 고가 거의 없음
3 실험예 3 20wt% 매우 우수 다소 고가 거의 없음
4 실험예 4 25wt% 매우 우수 다소 고가 없음
5 실험예 5 30wt% 우수 보통 없음
6 실험예 6 35wt% 우수 보통 없음
7 실험예 7 40wt% 우수 보통 없음
8 실험예 8 45wt% 우수 보통 없음
9 실험예 9 50wt% 우수 보통 없음
10 실험예 10 55wt% 보통 보통 없음
11 실험예 11 60wt% 보통 저렴 없음
12 실험예 12 65wt% 보통 저렴 없음
13 실험예 13 70wt% 보통 매우 저렴 없음
14 실험예 14 75wt% 불량 매우 저렴 다소 있음
15 실험예 15 80wt% 불량 매우 저렴 다소 있음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0, 40. 평면형 지지체
40a. 지지 기재
40b. 필름
12, 42. 평면형 필터
14. 접착층
16. 바디부
161. 상부
163. 본체부
165. 측부
167. 받침부
169. 수지 코팅층
18. 파지부
181, 183. 파지면
191, 193, 195, 197, 491, 495. 접선
100, 200, 300, 400, 500. 마스크 조립체
401, 403. 홀딩부
405. 지지부
48. 홀더
481, 483. 슬라이딩면
485, 487. 고정면
486, 부착면
489. 고리홈
491, 495. 접선
1611. 홈
1651. 결합구
50. 보관 커버
501. 커버부
503. 홀더부
505. 파지 커버부
801. 평면형 지지체 공급 장치
803. 인쇄기
805. 평면형 필터 공급 장치
807. 디스펜서
809. 합지 장치
811. 목형
813. 프레싱 장치
819. 코팅층 합지롤
850. 평면형 지지체 원단
852. 평면형 필터 원단
892. 수지 코팅층 원단
1000, 2000, 3000. 마스크 조립체 제조 장치
4021. 선접점
4031. 개구부
d491, d495. 반칼 가공 깊이
H. 고정 홀더
N. 목걸이
S41. 이격 공간
S43. 슬라이딩 공간
S45. 수용 공간
T. 테이블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하나 이상의 평면형 지지체, 및
    상기 평면형 지지체에 부착되고, 사용자의 입과 코에 대향하도록 적용된 평면형 필터
    를 포함하는 마스크 조립체로서,
    상기 평면형 지지체는,
    그 상하 방향을 따라 접선이 형성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와 연결되고, 상기 바디부의 하측으로 돌출하며, 상기 접선이 연속되어 형성된 파지부, 및
    상기 바디부와 상기 파지부 위에 상기 평면형 필터와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형성된 수지 코팅층
    을 포함하고,
    상기 평면형 필터는 스펀(spun) 및 레이온(rayon)을 포함하고, 상기 스펀은 상기 평면형 필터의 30wt% 내지 70wt%이고, 상기 평면형 지지체와 상기 평면형 필터는 폴리에틸렌으로 상호 부착되며,
    상기 마스크 조립체는 상기 접선을 따라 상기 파지부를 반으로 접어서 수용하도록 적용된 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파지부를 반으로 접어서 형성되는 제1 파지면에 대응하는 제1 홀딩부,
    상기 파지부에 포함되고, 상기 제1 파지면과 상기 접선을 공유하는 제2 파지면에 대응하며, 상기 제1 홀딩부와 직접 연결되어 상기 파지부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제2 홀딩부, 및
    상기 제1 홀딩부와 상기 제2 홀딩부를 연결하고 상기 접선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폭을 가지는 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홀딩부와 상기 제2 홀딩부는 상기 수용 공간 위에서 상호 이격되어 이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이격 공간과 상기 수용 공간의 사이에 슬라이딩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슬라이딩 공간에서의 상기 제1 홀딩부의 면적 및 상기 제2 홀딩부의 면적은 상기 이격 공간에서의 상기 제1 홀딩부의 면적 및 상기 제2 홀딩부의 면적보다 작은 마스크 조립체.
  4. 하나 이상의 평면형 지지체,
    상기 평면형 지지체에 부착되고, 사용자의 입과 코에 대향하도록 적용된 평면형 필터, 및
    상기 평면형 필터를 덮어서 커버하고 수지로 제조된 보관 커버
    를 포함하는 마스크 조립체로서,
    상기 평면형 지지체는,
    그 상하 방향을 따라 접선이 형성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와 연결되고, 상기 바디부의 하측으로 돌출하며, 상기 접선이 연속되어 형성된 파지부, 및
    상기 바디부와 상기 파지부 위에 상기 평면형 필터와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형성된 수지 코팅층
    을 포함하고,
    상기 평면형 필터는 스펀(spun) 및 레이온(rayon)을 포함하고, 상기 스펀은 상기 평면형 필터의 30wt% 내지 70wt%이고, 상기 평면형 지지체와 상기 평면형 필터는 폴리에틸렌으로 상호 부착되며,
    상기 보관 커버는,
    상기 평면형 필터에 맞닿은 커버부,
    상기 커버부와 연결되고 상기 파지부의 길이 이상으로 더 길게 돌출하여 상기 파지부를 덮는 파지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가장자리에 부착되어 상기 평면형 지지체와 상기 평면형 필터를 상기 커버부와의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홀더부
    를 포함하는 마스크 조립체.
  5. 하나 이상의 평면형 지지체, 및
    상기 평면형 지지체에 부착되고, 사용자의 입과 코에 대향하도록 적용된 평면형 필터
    를 포함하는 마스크 조립체로서,
    상기 평면형 지지체는,
    그 상하 방향을 따라 접선이 형성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와 연결되고, 상기 바디부의 하측으로 돌출하며, 상기 접선이 연속되어 형성된 파지부, 및
    상기 바디부와 상기 파지부 위에 상기 평면형 필터와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형성된 수지 코팅층
    을 포함하고,
    상기 평면형 필터는 스펀(spun) 및 레이온(rayon)을 포함하고, 상기 스펀은 상기 평면형 필터의 30wt% 내지 70wt%이고, 상기 평면형 지지체와 상기 평면형 필터는 폴리에틸렌으로 상호 부착되며,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접선을 그 사이에 두고 상기 접선과 예각을 이루면서 상기 파지부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접선과의 거리가 점차 가까워지는 한 쌍의 또다른 접선들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또다른 접선들 중 어느 한 또다른 접선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접선의 반대편에 결합홈이 형성된 마스크 조립체.
  6. 하나 이상의 평면형 지지체, 및
    상기 평면형 지지체에 부착되고, 사용자의 입과 코에 대향하도록 적용된 평면형 필터
    를 포함하는 마스크 조립체로서,
    상기 평면형 지지체는,
    그 상하 방향을 따라 접선이 형성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와 연결되고, 상기 바디부의 하측으로 돌출하며, 상기 접선이 연속되어 형성된 파지부, 및
    상기 바디부와 상기 파지부 위에 상기 평면형 필터와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형성된 수지 코팅층
    을 포함하고,
    상기 평면형 필터는 스펀(spun) 및 레이온(rayon)을 포함하고, 상기 스펀은 상기 평면형 필터의 30wt% 내지 70wt%이고, 상기 평면형 지지체와 상기 평면형 필터는 폴리에틸렌으로 상호 부착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평면형 지지체는 한 쌍의 평면형 지지체들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평면형 지지체들 중 하나 이상의 평면형 지지체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평면형 필터는 상기 한 쌍의 평면형 지지체들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 노출된 마스크 조립체.
  7. 평면형 지지체 원단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평면형 지지체 원단에 수지 코팅층 원단을 제공하여 상기 수지 코팅층 원단을 상기 평면형 지지체 원단 아래에 합지시키는 단계,
    상기 평면형 지지체 원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수지 코팅층 원단의 공급 위치의 반대 위치에서 상기 평면형 지지체 원단에 대응하는 평면형 필터 원단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평면형 지지체 원단 위에 상기 평면형 필터 원단을 합지하면서 가열해 마스크 조립체 원단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크 조립체 원단을 커팅하여 마스크 조립체를 제공하면서 상기 마스크 조립체를 눌러서 복수의 접선들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 조립체 원단을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평면형 필터 원단에 인가되는 인장력은 상기 평면형 지지체 원단에 인가되는 인장력보다 큰 마스크 조립체의 제조 방법.
  8. 삭제
  9. 제7항에서,
    상기 복수의 접선들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마스크 조립체의 형상에 대응하는 커팅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팅부 내에 상기 복수의 접선들에 대응하는 누름용 돌출부가 형성된 목형이 회전하면서 상기 마스크 조립체 원단을 프레싱하면서 커팅하는 마스크 조립체의 제조 방법.
  10. 제7항에서,
    상기 복수의 접선들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접선들은 반칼 가공되어 형성되고,
    상기 마스크 조립체는
    그 상하 방향을 따라 제1 접선이 형성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아래에 상기 바디부와 사선 방향으로 뻗은 한 쌍의 제2 접선들을 형성하고, 파지부를 그 사이에 두고 그 양측에 각각 좌우 방향으로 길게 뻗어 형성된 한 쌍의 받침부들
    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 접선들 중 하나 이상의 제2 접선의 반칼 가공 깊이는 상기 제1 접선의 반칼 가공 깊이보다 큰 마스크 조립체의 제조 방법.
KR1020200070575A 2020-06-10 2020-06-10 마스크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2253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575A KR102253686B1 (ko) 2020-06-10 2020-06-10 마스크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575A KR102253686B1 (ko) 2020-06-10 2020-06-10 마스크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3686B1 true KR102253686B1 (ko) 2021-05-18

Family

ID=76158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575A KR102253686B1 (ko) 2020-06-10 2020-06-10 마스크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36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2285B1 (ko) * 2022-02-08 2023-06-13 전창수 접힘상태의 고정이 가능한 마스크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1888A (en) * 1993-07-12 1994-05-17 Leigh Mary E Ergonomic make-up shield
JP2000093229A (ja) * 1998-09-25 2000-04-04 Hoyu Co Ltd フェイスカバー
KR100609497B1 (ko) * 2004-09-02 2006-08-09 이용철 마스크 제조장치
JP2009226711A (ja) * 2008-03-21 2009-10-08 Acoustic Engineering Kk マスク
KR20110031052A (ko) * 2009-09-18 2011-03-24 김봄 접거나 접착하여 만든 마스크
KR20110043797A (ko) 2009-09-05 2011-04-28 김용진 끈 없는 마스크
KR20130096153A (ko) * 2010-05-11 2013-08-29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마스크용 시트
KR20180001843A (ko) * 2016-06-28 2018-01-05 오승묵 디아이와이 마스크 및 디아이와이 마스크 제조방법
KR20190104703A (ko) * 2018-03-02 2019-09-11 김한주 주름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1888A (en) * 1993-07-12 1994-05-17 Leigh Mary E Ergonomic make-up shield
JP2000093229A (ja) * 1998-09-25 2000-04-04 Hoyu Co Ltd フェイスカバー
KR100609497B1 (ko) * 2004-09-02 2006-08-09 이용철 마스크 제조장치
JP2009226711A (ja) * 2008-03-21 2009-10-08 Acoustic Engineering Kk マスク
KR20110043797A (ko) 2009-09-05 2011-04-28 김용진 끈 없는 마스크
KR20110031052A (ko) * 2009-09-18 2011-03-24 김봄 접거나 접착하여 만든 마스크
KR20130096153A (ko) * 2010-05-11 2013-08-29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마스크용 시트
KR20180001843A (ko) * 2016-06-28 2018-01-05 오승묵 디아이와이 마스크 및 디아이와이 마스크 제조방법
KR20190104703A (ko) * 2018-03-02 2019-09-11 김한주 주름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2285B1 (ko) * 2022-02-08 2023-06-13 전창수 접힘상태의 고정이 가능한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119093C (en) Paper lid and method for producing paper lid
US6669387B2 (en) Distributing substance onto a target surface
KR102253686B1 (ko) 마스크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CN1420730A (zh) 附件用一次性指套
CN101547623A (zh) 具有可分离衬片的护肤输送装置
US20120152955A1 (en) Bottle system
JP4555581B2 (ja) シートタイプ化粧品
FR2819390A1 (fr) Dispositif de nettoyage pour le corps
JP2004002253A (ja) フェイスマスク
US20060105143A1 (en) Apertured film abrasive wipes
CN102293464A (zh) 一种围兜
WO2004100735A1 (en) Glove-type napkin
KR101564633B1 (ko) 캡을 이용한 헤어팩
CN111031972A (zh) 温热体及其制造方法
JP2008208031A (ja) 化粧料含浸積層体
JP2005193984A (ja) 筒状ラベル付き容器、及び熱収縮性筒状ラベル
US8479974B2 (en) Paper cup with heat insulating material attached
JP2018130133A (ja) 化粧料含浸シートの製造方法
JP5551607B2 (ja) 金箔フェイスパックマスク
JP2015016593A (ja) 通液性に優れ、乾燥しにくい積層シート
CN209574222U (zh) 一种隔热竹杯套
KR102341394B1 (ko) 직물재 팩 제조시스템
KR102605666B1 (ko) 마스크팩 세트
JP5929976B2 (ja) 飲料用紙容器
US200601444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gloves and boots with a liquid inner coa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