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1052A - 접거나 접착하여 만든 마스크 - Google Patents

접거나 접착하여 만든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1052A
KR20110031052A KR1020090088863A KR20090088863A KR20110031052A KR 20110031052 A KR20110031052 A KR 20110031052A KR 1020090088863 A KR1020090088863 A KR 1020090088863A KR 20090088863 A KR20090088863 A KR 20090088863A KR 20110031052 A KR20110031052 A KR 20110031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folding
bonding
fold line
end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8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봄
김한식
Original Assignee
김봄
김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봄, 김한식 filed Critical 김봄
Publication of KR20110031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10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기성이 있는 종이류 부직포, 직물류 등의 미세먼지나 세균성을 걸러 낼 수 있는 수단을 간단히 접어서 만드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황사나, 공해, 세균 등의 유해물질로 인하여 많은 폐단이 발생하고 있다. 그 상황에 대비하는 제일 첫 번째의 수단이 마스크이고 각종 마스크가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시판되고 있는 마스크는 대부분 일회용 개념의 마스크인데도 그 가격이 높아 사실 일회용 으로 사용하기에는 너무 경제적으로 맞지 않기 때문에 많은 사람이 마스크를 재사용하고 있는바 먼지, 분진 등을 막기 위한 수단의 마스크라면 얼마든지 빨아 건조해 재사용할 수 있지만 무서운 바이러스가 창궐하는 시기에 마스크를 재사용하는 것은 자칫 자신을 위험에 빠뜨릴 수 있다. 바이러스를 막으려는 마스크는 철저하게 일회용으로 사용하여야 하는바 사회 생활을 할 때면 때에 따라서 하루에도 몇 개씩 사용할 수 있으며 많게는 10개 이상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 될 때가 있다. 이럴 때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는 효과 있으면서도 값싼 마스크가 절실히 필요하다.
마스크, 종이마스크, 접는 마스크, 일회용마스크

Description

접거나 접착하여 만든 마스크{ made a mask fold and glueing}
본 발명은 얼굴의 입과 코의 부분을 가려 호흡기에 먼지, 분진, 세균 등을 막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중국에서 넘어오는 황사가 기승을 부리고 있고 거리에서는 지나가는 차들이 시커먼 매연을 내뿜고 있으며 공사현장에서는 분진이 날려 숨을 쉬기조차 불편하며 민감한 분들은 대단한 고통을 겪고 있다. 또한, 계절마다 어김없이 찾아오는 불청객인 각종 바이러스의 종류가 대단히 많고 그 위험도가 높아 공포마저 일고 있다. 이러한 많은 유해 물질을 제일 먼저 1차적으로 손쉽게 차단할 수 있는 것이 마스크이며 다행스럽게 많은 종류의 좋은 마스크가 시판되고 있다. 또한, 그 종류는 미세한 미세먼지뿐만 아니고 바이러스도 모두 걸러내는 고급 마스크가 생산되고 있기 때문에 그나마 다행스럽다. 그러나 상기 마스크는 그 가격이 높아 일회용으로 사용하기가 힘든 단점이 있다.
겨울철이면 독감도 무섭지만 최근 유행하고 있는 사스, 조류독감, 신종인플루엔자, 슈퍼박테리아, 각종 내성바이러스 등 고도로 위험한 각종 바이러스가 기승을 부리고 많은 이들이 안타깝게 사망에 이르고 있다. 뿐만 아니라 그러한 상황이 전 세계적으로 동시 다발적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치료약과 예방 백신을 구경조차 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고 있어 페닉 상태에 이르고 있는 실정이다. 이럴 때 국민 개개인이 철저하게 손 씻기와 같은 개인위생에 관리를 할 필요가 있고 그 첫 번째로 마스크를 적절하게 사용하여 1차적인 감염요인을 막아내야 하고 또한 다른 사람에게 전염시키는 것을 막아야 한다. 따라서 마스크를 일회용으로 철저하게 사용하여야 하는데 시판되고 있는 마스크는 그 가격이 너무 높아 실상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없어 오히려 마스크가 오염이 되고 오염된 마스크를 입과 코의 주 변에 밀착시켜 사용하는 것으로 역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철저하게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값이 싸고 효과가 좋은 일회용 마스크가 절실하다.
본 발명에서는 디자인도 멎있고 얼굴에 밀착이 되면서 마스크의 본래 취지를 살리면서 값이 매우 저렴하여 일회용으로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는 마스크를 만들고자 함이다.
본 발명에서는 값싼 마스크를 만들기 위하여 통기성이 있고 그 통기성이 매우 조밀하여 호흡을 할 수 있으나 먼지, 분진, 각종 바이러스가 차단될 수 있는 종이, 부직포, 직물, 필터 수단 등을 일정크기로 재단하고 특정 부위를 몇 번 접거나 또는 접착하며 일부에 귀에 걸 수 있는 끈이나 접착할 수 있는 점착물질, 또는 접착 테이프 등을 구성하여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마스크이다.
본 발명의 접거나 접착하여 만든 마스크는 그 구조와 디자인이 간단하면서도 예뻐 얼굴에 잘 어울리는 모양의 마스크이며 입과 코의 부분이 일정 부분 마스크에서 떨어져 구비되며 그 전체적인 가장자리가 얼굴에 밀착이 되어 고정이 되는 구조이어서 쉽게 오염물질이 호흡 되지 않으며 그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일회용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미세한 통기성이 있어 미세먼지, 세균성 바이러스 등 인체 에 유해한 물질을 걸러 낼 수 있는 수단으로 종이류, 직물류, 필터 류 등의 시트 지를 일정크기의 직사각형 형태로 구비하며 바람직한 크기는 가로 약 230mm에 세로 약 115mm로 세로 크기가 가로의 절반에 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치수는 시중에서 시판되고 있는 부엌용 휴지의 치수로 누구나 쉽게 부엌용 휴지를 몇 장 뜯어서 접어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사람 얼굴에 사용할 수 있는 범주에 가로 세로 비율과 상관없이 모든 치수를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혀두며 다만 사람의 얼굴의 크기가 다 다른 만큼 대, 중, 소로 나누어 본 발명의 마스크를 만들기 위해서는 상기 치수는 바람직한 치수이지만 변화를 줄 수 있으며 가로, 세로 비율도 조정할 수 있다. 그 두께도 얇은 시트지 몇 장을 포개서 할 수 있으며 또는 조금 두꺼운 단일 시트 지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미세한 통기성이 있어 미세먼지, 세균성 바이러스 등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걸러 낼 수 있는 수단으로 종이류, 직물류, 필터 류를 시트 지로 총칭하여 설명할 수 있으며 또는 소재라고 불릴 수 있다. 시트지의 접는선(12)을 중간으로 배분된 절반(10), 절반(11)을 접는선(12)을 따라 접어서 도 2와 같이 접고, 도 3에서와 같이 모서리(13)를 접는선(14)을 기준으로 접어서 접착부위(15)에서 서로 접착을 시킨다. 접는선(14)는 접는선(12)에 대해서는 약 135도의 각을 가지며 모서리(13)의 측선의 수직에 대한 각도는 약 315도의 각이다. 즉 모서리(13)의 측선이 열림부(20)와 면이 서로 갖게 접어지는 것이며 접었을 때 접힌 부분이 삼각형이 만들어지며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같게 된다. 우측의 모서리(16)도 접는선(17)을 따라 접고 접착부위(18)에서 접착을 하며 접는선(17)은 접는선(12)에 대해서 약 45도의 각을 가진다. 접착부위(15), 접착부위(18)는 접착 제로 접착을 할 수도 있지만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접은 상태에서 재봉수단으로 제 봉을 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스테플러(호치키스) 집어 사용할 수 있다. 모서리(13), 모서리(16)는 말아올려서 접착, 바느질, 스테플러 등의 수단으로 고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에서 접는선(14), 접는선(17)까지 말아 올리는 것이 좋다. 그러나 바람직한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접는 방법이 모양이 예쁘게 나오므로 좋은 방법이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는 접는선(14), 접는선(17)을 재봉 및 접착을 하고 그 외부로 절단을 하여 구성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또는 모서리(13), 접는선(14)까지 접착하고 모서리(16)에서 접는선(17)까지 모두 접착으로 하여 접지 않고 만들면 모서리(13), 모서리(16)는 좋은 손잡이가 된다. 즉 상기의 방식으로도 만들 수 있음을 밝혀둔다. 접착부위(15), 접착부위(18)는 절반(11)의 접어 올린 한 면의 소재에만 접합되어 고정되게 되므로 열림부(20)가 열린다. 만약 스테플러 등으로 집어서 고정할 때 절반(10), 절반(11)과 같이 집어 고정하면 목적하는 효과가 제한적이다. 따라서 목적하는 마스크의 효과를 얻으려면 절반(11)에만 접합시켜야한다. 상기의 설명대로 접거나 접착하여 만들어 같이 두 장의 열림부(20)를 잡고 벌리거나 또는 끝모서리(23), 끝모서리(24)를 잡고 안쪽으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살 짝 밀어주면 열림부(20)가 열린다. 열림부(20)가 열리기 전에는 측면에서 보면 직선으로 되어 있지만 열림부(20)가 열리면서 곡선으로 변화가 되어 열림부(20)가 열려 내부공간부(25)가 코와 입을 완전히 덮을 만큼 열리면 열림부(20)의 곡선은 직선이었던 것이 얼굴에 완전히 밀착이 될 수 있도록 곡선이 형성이 된다. 도 5에서 끝모서리(23), 끝모서리(24)를 잡고 얼굴에 씌어 고정하면 얼굴에 열림부(20)가 밀착되어 고정이 되며 입 주변과 코의 주변은 접힘경계(21), 접힘경계(22)의 버팀으로 인해 형상이 만들어져 입과 코에 밀착이 되지 않고 떠 있게 될 수 있도록 일조하여 코와 입에 밀착이 되지 않고 떠 있는 최적의 마스크의 내부공간부(25)가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접어 만든 마스크를 얼굴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끝모서리(23), 끝모서리(24)를 에 마스크끈(30)을 구성할 수 있으며 다른 수단으로 열림부(20)의 안쪽 가장자리에 점탄성 물질을 도포하거나 또는 양면 테이프 수단을 붙여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끝모서리(23), 끝모서리(24)나 열림부(20)의 가장자리 안쪽으로 일부에만 양면테이프 구성으로 된 접착테이프수단(35)을 구성할 수 있으며 또는 그 끝에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접착테이프수단(35)이 열림부(20), 끝모서리(23), 끝모서리(24)의 외부로 돌출되게 구성할 수 있거나 또는 가장자리 안쪽으로 구성해서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8은 직사각형모양(80)의 소재를 2장 이상으로 해서 구강방향접착부(41)와 직각측면부(42), 직각측면부(43)는 모두 접착수단, 봉제수단으로 접합시켜 마무리하며 사선접합경계(44), 사선접합경계(45)까지 사선으로 접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사선접합경계(44), 사선접합경계(45)부위는 반드시 사선이 아닌 둥근 모양으로 오목하거나 볼록하게 만들 수 있다. 열림부(20)를 열어 얼굴의 입과 코의 부분에 씌워 사용할 때 혹 접거나 접착하여 만든 마스크를 만져야 한다면 직각측면부(42), 직각측면부(43)는 마스크를 잡는 손잡이 역할 도 할 수 있다. 마스크는 필요 이상으로 손으로 만지는 것은 안 좋은데 직각측면부(42), 직각측면부(43)는 손으로 만져도 될 만큼 안전한 손잡이라 볼 수 있다. 열림부(20)에서 구강방향접착부(41)의 거리 는 약 7㎝가 가장 좋다. 직선 형태의 열림부(20)는 그 부위를 벌리면 직선형태가 둥근 모양으로 바뀌어 사람의 얼굴에 밀착이 될 수 있도록 변하기 때문에 사람의 얼굴에 밀착이 된다. 상기 구성에서 두 장으로 모두 접착하여 만들 수 있지만 구강방향접착부(41)는 접는선(12)과 접어서 구성할 수 있다. 즉 한 장으로 된 소재를 접는선(12)을 기준으로 접고 직각측면부(42)와 직각측면부(43)를 사선접합경계(44), 사선접합경계(45)의 경계까지 접착하여 만들 수 있다. 도 9의 측면직선배모양(81)의 소재를 2장 이상으로 해서 열림부(20)와 구강방향접착부(41)는 직선으로 되어있고 사선측면부(51), 사선측면부(52)가 약 135도, 45도 각으로 되어 있어 구강방향접착부(41)가 열림부(20)보다 그 길이가 더 작아 전체적인 모양이 종이배 모양으로 되어 있다. 구강방향접착부(41), 사선측면부(51), 사선측면부(52)는 그 외부 끝의 부위를 접착수단, 봉제수단, 스테플러, 테이프 수단으로 접합하여 구성하고 열림부(20)를 열고 끝모서리(23), 끝모서리(24)를 잡고 얼굴에 씌울 수 있다. 열림부(20)의 테두리와 끝모서리(23), 끝모서리(24)에 접착물질, 접착물질, 테이프 수단 등을 구성하여 얼굴에 붙일 수 있으며 또는 끝모서리(23), 끝모서리(24)에 귀걸이 끈을 달 수 있다. 도 10은 도 9에서 열림부(20)를 구강방향접착부(41)의 방향으로 오목하게 둥근 형태로 만들 수 있다. 둥근 모양의 깊이가 깊으면 열림부(20)를 조금만 벌려도 얼굴에 밀착될 수 있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오목한 둥근 모양은 아주 작은 오목한 둥근 형태이어야 한다. 구강방향접착부(41)에서 열림부(20)의 거리는 약 3㎝에서 10㎝의 사이가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약 7㎝가 좋다. 그 거리가 짧으면 구강방향접착부(41)가 입 과 코에 밀착되어 좋지 않고 아주 멀면 구강방향접착부(41)이 너무 멀어 보기에 좋지 않다. 도 11에서 열림부(20)는 구강방향접착부(41)의 반대 방향의 볼록하게 둥근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이때에는 열림부(20)에서 구강방향접착부(41)의 거리는 약 7㎝가 가장 좋다. 하지만, 그 이하의 거리와 그 이상의 걸이도 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12 는 열림부(20)에서 구강방향접착부(41)의 걸이가 조금씩 다른 측면직선배모양(81)을 나열한 것이며 도 13에서 와 같이 조립을 하면 각 구강방향접착부(41)의 사이 사이에 공기층공간부(53)가 구비되어 더욱 좋은 필터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열림부(20)는 모두 똑같이 크기가 맞아야 하며 그 부위는 접착수단, 봉제수단, 스테플러 수단, 테이프 수단 등으로 서로 접합하여 사용하며 열림부(20)는 서로 개시가 되어야 한다. 도 14는 2장 이상의 소재로 접합하여 만든 측면둥근배모양(82)으로 만든 접거나 접착하여 만든 마스크이며 열림부(20)의 한 부분 이상은, 바람직하게는 콧대의 양 측면에 위치할 부분에 접착용돌기(57)를 일체화시켜 구비하고 그 부위의 안쪽에 점착, 접착물질을 도포하거나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끝모서리(23), 끝모서리(24)의 부위에도 접착용돌기(58)를 일체화 시켜 구비할 수 있으며 구강방향접착부(41)의 한 부분에는 손잡이용돌기(59)를 일체로 구비할 수 있으며 손잡이용돌기(59)는 서로 접착할 수 있다. 접착용돌기(57), 접착용돌기(58)은 각각 얼 굴의 한 부분에 접착하여 붙이는 용도이고 손잡이용돌기(59)는 접거나 접착하여 만든 마스크를 만질 일이 생기면 손으로 잡는 손잡이용으로 사용하여 접거나 접착하여 만든 마스크가 쉽게 손에서 오염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5는 2장 이상의 소재로 접합하여 만든 삼각형모양(80) 의 접거나 접착하여 만든 마스크로 끝모서리(23), 끝모서리(24)와 구강방향꼭지점(61)이 삼각형 형태로 끝모서리(23)과 구강방향꼭지점(61)을 잊는 사선측면부(62)와 끝모서리(24)와 구강방향꼭지점(61)을 잊는 사선측면부(63)과 열림부(20)이 3 변을 갖는다. 사선측면부(62)와 사선측면부(63)은 접착수단, 재봉수단, 스테플러 수단, 테이프 수단 등으로 접합하고 열림부(20)는 개시되어 얼굴에 형태에 맞게 둥근 모양으로 변하여 얼굴에 밀착이 되어 좋은 접거나 접착하여 만든 마스크가 구비된다. 도 16은 2장 이상의 소재로 접합하여 만든 접거나 접착하여 만든 마스크로 반달형모양(84)의 형태를 갖추어 끝모서리(23), 끝모서리(24)에서 둥근모양구강부(65)까지 둥근 원형으로 되어 구비된다. 둥근모양구강부(65)에서 끝모서리(23)를 잊는 부위를 둥근모양측면부(66)라 칭하였고 끝모서리(24)를 잊는 부위를 둥근모양측면부(67)라 칭하였다. 둥근 모양의 호의 크기는 끝모서리(23)에서 끝모서리(24)의 거리를 19㎝미터로 정하고 열림부(20)에서 둥근모양구강부(65)의 거리를 7㎝로 정하면 둥근 호는 약 99.5㎜의 호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 치수는 반드시 정한 치수가 아니며 이해를 돕기 위하여 기재한 것이며 제조시 그 치수를 변화시킬 수 있다. 도 17은 열림부(20)에서 둥근모양구강부(65)의 거리가 조금씩 다른 반달형모양(84)를 위에서부터 작은 치수대로 나열하여 보인 것이며 도 18은 나열한 반달형모양(84)를 조립하여 보인 것으로 열림부(20)는 모두 일치하며 끝모서리(23), 끝모서리(24)도 서로 일치시키고 그 부위들은 서로 상기에 언급한 접합수단으로 접합하면 제각기 다른 열림부(20)에서 둥근모양구강부(65)의 사이에 공기층공간부(69)가 구비되어 더욱 확실한 필터효과를 가진다. 접거나 접착하여 만 든 마스크를 사용할 때 손은 이미 오염이 되었다고 판단해야 옳으므로 이왕이면 절대 손이 마스크에 닿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접어 만든 마스크는 일회용 비닐봉지에 개별적으로 포장이 되며 한 부분이 개시할 수 있도록 하여 그 한 부분을 개시하고 한쪽 마스크끈(30)을 귀에 걸고 손으로 비닐 포장을 잡고 마스크를 빼내면서 다른 쪽 마스크끈(30)을 잡고 귀에 걸어 이왕이면 마스크에는 손이 닿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한 번 벗으면 아낌없이 내버리고 다시 새것으로 착용하는 것이 좋다.
도 1은 접는선(12)을 중간으로 배분된 절반(10), 절반(11)을 보인 도면.
도 2는 접는선(12)를 중간으로 하여 절반(10)에 절반(11)을 접어서 두 장이 합쳐진 열림부(20)를 보인 도면.
도 3은 모서리(13)를 접는선(14)을 기준으로 접는 모양과 모서리(16)를 접는선(17)을 기준으로 접는 모양을 보인 도면.
도 4는 도 3에서 모서리(13), 모서리(16)을 접어 보인 도면.
도 5는 2장의 열림부(20)를 잡고 당기거나 끝모서리(23), 끝모서리(24)를 잡고 열림부(20)를 열어 내부공간부(25)가 보이도록 하였으며 끝모서리(23), 끝모서리(24)에 마스크끈(30)을 구성하여 보인 도면.
도 6은 도 5에서 마스크끈(30) 대신에 열림부(20)의 안쪽 가장자리에 점착물질을 도포하여 점착부(32)를 구성하여 보인 도면.
도 7은 끝모서리(23), 끝모서리(24)에 접착테이프수단(35)을 구성하여 보인 도면.
도 8은 접착하여 만든 직사각형모양(80)의 접거나 접착하여 만든 마스크를 보인도면.
도 9는 접착하여 만든 측면직선배모양(81)의 접거나 접착하여 만든 마스크를 보인도면.
도 10은 열림부(20)가 구강방향접착부(41)방향으로 둥근 모양으로 오목하게 구성이 된 접거나 접착하여 만든 마스크를 보인도면.
도 11은 열림부(20)가 구강방향접착부(41)의 반대 방향으로 둥근 모양으로 볼록하게 구성이 된 접거나 접착하여 만든 마스크를 보인도면.
도 12는 크기가 다른 접거나 접착하여 만든 마스크를 나열하여 보인도면.
도 13은 크기가 다른 접거나 접착하여 만든 마스크를 조립하여 그 사이에 구성이된 공기층공간부(53)를 보인도면.
도 14는 접착하여 만든 측면둥근배모양(82)의 접거나 접착하여 만든 마스크를 보인 도면.
도 15는 접착하여 만든 삼각형모양(80)의 접거나 접착하여 만든 마스크를 보인 도면.
도 16은 접착하여 만든 반달형모양(84)의 접거나 접착하여 만든 마스크를 보인 도면.
도 17은 크기가 다른 반달형모양(84)의 접거나 접착하여 만든 마스크를 나열하여 보인도면.
도 18은 크기가 다른 접거나 접착하여 만든 마스크를 조립하여 그 사이에 구성이 된 공기층공간부(69)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절반(10) 절반(11)
접는선(12) 모서리(13)
접는선(14) 접착부위(15)
모서리(16) 접는선(17)
접착부위(18) 열림부(20)
접힘경계(21) 접힘경계(22)
끝모서리(23) 끝모서리(24)
내부공간부(25) 마스크끈(30)
점착부(32) 접착테이프수단(35)
구강방향접착부(41) 직각측면부(42)
직각측면부(43) 사선접합경계(44)
사선접합경계(45) 사선측면부(51)
사선측면부(52) 공기층공간부(53)
둥근모양측면부(55) 둥근모양측면부(56)
접착용돌기(57) 접착용돌기(58)
손잡이용돌기(59) 구강방향꼭지점(61)
사선측면부(62) 사선측면부(63)
둥근모양구강부(65) 둥근모양측면부(66)
둥근모양측면부(67) 공기층공간부(69)
직사각형(80) 측면직선배모양(81)
측면둥근배모양(82) 삼각형(80)
반달형(84)

Claims (20)

  1. 직사각형의 마스크 소재를 접는선(12)을 중간으로 배분된 절반(10), 절반(11)을 접는선(12)을 따라 접어서 모서리(13)를 접는선(14)을 기준으로 접어서 접착부위(15)에서 서로 접착을 시키며 접는선(14)는 접는선(12)에 대해서는 약 135도의 각을 가지며 모서리(13)의 측선의 수직에 대한 각도는 약 315도의 각으로 할 수 있으며 우측의 모서리(16)도 접는선(17)을 따라 접고 접착부위(18)에서 접착을 하며 접는선(17)은 접는선(12)에 대해서 약 45도의 각을 가지며 접착부위(15), 접착부위(18)는 접착수단으로 접착을 하여 구성하는 것을 한 접거나 접착하여 만든 마스크.
  2. 접는선(17)은 접는선(12)을 기준으로 0도에서 100도 내의 각도의 모든 각도에서 구성할 수 있으며 접는선(14)은 접는선(12)에 기준으로 80도에서 180도의 모든 각도에서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한 접거나 접착하여 만든 마스크.
  3. 제 1항에 있어서 접착부위(15)에 모서리(13)을, 접착부위(18)에 모서리(16)에 각 각 접어 접합을 할 때 그 접합 수단을 접착수단, 테이프수단, 스테플러수단. 봉제수단 등으로 할 수 있는 것으로 한 접거나 접착하여 만든 마스크.
  4. 제 1항에 있어서 모서리(13)을 접는선(14)까지 말아 올려 고정할 수 있으며 모서리(16)를 접는선(17)까지 말아올려 고정하는 것으로 한 접거나 접착하여 만든 마스크.
  5. 제 1항에 있어서 접는선(12)을 기준으로 서로 접힌 절반(10), 절반(11)의 모서리(13)에서 접는선(14)까지 안쪽에 서로 접착물질을 사용하여 서로 접합하며, 모서리(16)에서 접는선(17)까지 안쪽에 서로 접착 물질을 사용하여 소로 접합하여 구성하여 모서리(13), 모서리(16)이 손잡이 구실을 할 수 있도록 한 접거나 접착하여 만든 마스크.
  6. 제 1항에 있어서 열림부(20)를 잡고 벌리거나 또는 끝모서리(23), 끝모서리(24)를 잡고 안쪽으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살 짝 밀어주면 열림부(20)가 열리고 열림부(20)가 열리기 전에는 측면에서 보면 직선으로 되어 있지만 열림부(20)가 열리면서 곡선으로 변화가 되어 열림부(20)가 열려 내부공간부(25)가 코와 입을 완전히 덮을 만큼 열리면 열림부(20)의 곡선은 직선이었던 것이 얼굴에 완전히 밀착이 될 수 있도록 곡선이 형성이 되는 것으로 한 접거나 접착하여 만든 마스크.
  7. 제 1항에 있어서 소재는 가로 약 23㎝에 세로 약 11.5㎝의 세로크기이며 가로 치수에 비율에 세로 치수가 약 절반으로 되는 것으로 한 접거나 접착하여 만든 마스크.
  8. 제 7항에 있어서 소재는 작게는 가로 약 5㎝에서 크게는 가로 약 50㎝로 만들 수 있으며 가로 치수에 대한 세로 치수의 비율이 절반보다 높거나 또는 작게 할 수 있는 것으로 한 접거나 접착하여 만든 마스크.
  9. 구강방향접착부(41)와 직각측면부(42), 직각측면부(43)는 모두 접착수단, 봉제수단으로 접합하여 사선접합경계(44), 사선접합경계(45)까지 접합하여 구성한 것으로 한 접거나 접착하여 만든 마스크.
  10. 열림부(20)와 구강방향접착부(41)는 직선으로 되어있고 사선측면부(51), 사선측면부(52)가 약 135도, 45도 각으로 되어 있어 구강방향접착부(41)가 열림부(20)보다 그 길이가 더 작아 전체적인 모양이 종이배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구강방향접착부(41), 사선측면부(51), 사선측면부(52)는 그 외부 끝의 부위를 접합하여 구성한 접거나 접착하여 만든 마스크.
  11. 사선측면부(51), 사선측면부(52)를 둥근모양측면부(55), 둥근모양측면부(56)와 같이 오목하거나 또는 볼록한 둥근 모양으로 으로 할 수 있는 것으로 한 접거나 접착하여 만든 마스크.
  12. 끝모서리(23)에서 끝모서리(24)까지는 그 길이가 같거나 비슷하지만 열림부(20)에서 구강방향접착부(41)의 걸이가 조금씩 다른 측면직선배모양(81)을 조립 구성하여 열림부(20)와 끝모서리(23), 끝모서리(24)를 같은 선상에 구비하고 그 부위를 접합하면 구강방향접착부(41)의 사이에 공기층공간부(53)가 구성되는 것으로 한 접거나 접착하여 만든 마스크.
  13. 열림부(20)의 양끝의 끝모서리(23), 끝모서리(24)와 구강방향꼭지점(61)이 삼각형 형태로 끝모서리(23)과 구강방향꼭지점(61)을 잊는 사선측면부(62)와 끝모서리(24)와 구강방향꼭지점(61)을 잊는 사선측면부(63)과 열림부(20)이 3 변을 갖는 것으로 한 접거나 접착하여 만든 마스크.
  14. 열림부(20)의 양끝의 끝모서리(23), 끝모서리(24)에서 둥근모양구강부(65)까지 둥근 원형으로 되어 구비된 것으로 한 접거나 접착하여 만든 마스크.
  15. 본 발명에 사용되는 소재는 부엌에서 사용하는 일명 키친(kitchen)화장지를 한 장을 포함한 그 이상의 개수로 포개어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한 접거나 접착하여 만든 마스크.
  16. 제 15항에 있어서 소재는 종이류, 섬유의 조합으로 만들어진 직물류, 모든 필터수단등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한 접거나 접착하여 만든 마스크.
  17. 끝모서리(23), 끝모서리(24)에 귀에 걸 수 있는 마스크끈(30)을 구성하여 만 든 접거나 접착하여 만든 마스크.
  18. 열림부(20)가 수직으로 되어 있거나 또는 접는선(12)의 방향으로 오목한 둥근 형태를 취하거나 또는 접는선(12)의 반대 방향으로 볼록한 둥근 형태를 취한 형상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한 접거나 접착하여 만든 마스크.
  19. 열림부(20), 끝모서리(23), 끝모서리(24)의 가장자리 안쪽에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수단을 모두 구성하거나 또는 일부에 구성하여 얼굴에 직접 붙일 수 있도록 한 접거나 접착하여 만든 마스크.
  20. 끝모서리(23)과 끝모서리(24)의 거리는 7㎝이상으로 하고 30㎝이하의 치수로 하며 열림부(20)에서 접는선(12), 구강방향접착부(41), 구강방향꼭지점(61), 둥근모양구강부(65)의 거리는 3㎝의 이상의 치수로 한 접거나 접착하여 만든 마스크.
KR1020090088863A 2009-09-18 2009-09-21 접거나 접착하여 만든 마스크 KR201100310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307 2009-09-18
KR20090088307 2009-09-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1052A true KR20110031052A (ko) 2011-03-24

Family

ID=43936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8863A KR20110031052A (ko) 2009-09-18 2009-09-21 접거나 접착하여 만든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105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843A (ko) * 2016-06-28 2018-01-05 오승묵 디아이와이 마스크 및 디아이와이 마스크 제조방법
KR20200112792A (ko) * 2019-03-08 2020-10-05 오정덕 공기기층이 형성된 이중구조를 갖는 마스크
KR102240198B1 (ko) 2020-04-20 2021-04-19 김성일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102253686B1 (ko) * 2020-06-10 2021-05-18 (주)그레이스벨 마스크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843A (ko) * 2016-06-28 2018-01-05 오승묵 디아이와이 마스크 및 디아이와이 마스크 제조방법
KR20200112792A (ko) * 2019-03-08 2020-10-05 오정덕 공기기층이 형성된 이중구조를 갖는 마스크
KR102240198B1 (ko) 2020-04-20 2021-04-19 김성일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102253686B1 (ko) * 2020-06-10 2021-05-18 (주)그레이스벨 마스크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9660Y1 (ko) 필터교체형 마스크
US20120097167A1 (en) Mask with nosal cushion
AU2001235803B2 (en) Disposable breathing mask
JP3126242U (ja) マスク
JPH0556143B2 (ko)
JP2007021031A (ja) 立体マスク
WO2019198252A1 (ja) 使い捨てマスク
ES2401085T3 (es) Pañal desechable con cinta de cadena
KR20200141023A (ko) 일회용 마스크
KR20110031052A (ko) 접거나 접착하여 만든 마스크
TWM579045U (zh) Multi-function protective mask with smoking whistle
WO2017196996A1 (en) Hygienic tissue
JP2014200459A (ja) マスク
JP2010227194A (ja) シート部材使い捨て衛生マスク。
JP3125945U (ja) マスク
JP4632941B2 (ja) マスク
WO2015159345A1 (ja) マスク
KR102387116B1 (ko) 와이어리스 보건 의료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JP2011030884A (ja) 透明部付きマスク
KR102328657B1 (ko) 밀착형 마스크
JP2019183354A (ja) 使い捨てマスク
JP2007021026A (ja) マスク
JP2007021026A5 (ko)
US20110226253A1 (en) Cough shield
JP2022034631A (ja) マ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