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3181B1 - 시간경과에 따라 색이 바래지는 바코드를 포함하는 용기 - Google Patents

시간경과에 따라 색이 바래지는 바코드를 포함하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3181B1
KR102253181B1 KR1020210037207A KR20210037207A KR102253181B1 KR 102253181 B1 KR102253181 B1 KR 102253181B1 KR 1020210037207 A KR1020210037207 A KR 1020210037207A KR 20210037207 A KR20210037207 A KR 20210037207A KR 102253181 B1 KR102253181 B1 KR 102253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main body
food
mounting groov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7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경회
유동균
Original Assignee
(주)유성피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성피앤디 filed Critical (주)유성피앤디
Priority to KR1020210037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1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18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using adhesive applied to integral parts, e.g. to flaps
    • B65D33/22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using adhesive applied to integral parts, e.g. to flaps using heat-activatable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04Information or decoration elements, e.g. level indicators, detachable tabs or coup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decoration, information or contents indicating devices, 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06Arrangements on packages concerning bar-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내부에 식품의 보관 공간을 제공하고, 상단부에 구비되는 지퍼부를 통해 내부를 개폐하는, 용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시간경과에 따라 색이 바래지는 바코드를 포함하는 용기{ZIPPER PACKS FOR COOKING}
본 발명은 조리용 지퍼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레인지 가열에 의해 내부에 담긴 식품을 조리하는 지퍼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조리용 지퍼팩에 인쇄되는 바코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퍼팩에 담긴 식품의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과 핵가족화, 맞벌이 및 독신가구 등의 증가로 인해 식생활의 간편화를 추구하는 경향이 날로 증대되고 있다.
이처럼 편의 지향적인 소비자들의 필요 요구에 의해 식품업계에서는 간단히 조리하여 즉석에서 섭취할 수 있는 다양한 즉석조리식품들을 출시하고 있다.
이러한 즉석조리식품들은 많은 시간과 식품재료들이 필요한 음식을 직접 조리해 내기보다는 언제 어디서든 즉석에서 간편하게 조리하여 섭취할 수 있어 그 종류와 생산량이 점점 더 증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즉석조리식품들 중 대표적인 예로, 컵라면을 들 수 있고, 밥 종류, 죽 종류, 국 종류, 짜장면류, 냉면류, 누룽지 등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그런데, 이들 대부분은 뜨거운 물을 부은 후 일정시간이 경과한 다음에 취식할 수 있도록 조리되어 있기 때문에 뜨거운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어느 정도 강도를 가진 용기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합성수지물로 성형된 용기들이 대부분 사용되고 있는데, 이들의 경우 용기 제조에 필요한 공정증대, 원가상승은 물론 부피가 커 유통상 불리한 점이 많았다.
최근에는 지퍼락을 이용하고 하면을 넓게 유지하며 지지면에 안정적으로 받쳐 세울 수 있는 구조의 봉지형 용기가 개시된 바 있으며, 이를 통해 별도의 합성수지물 용기를 만들지 않고도 필름형 봉지 자체로 포장 겸 용기로 활용함으로써 사용 후 폐기하기도 쉽고 부피도 작으며 제조원가도 낮출 수 있도록 한 예들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봉지형 용기는 열이 가해지는 경우 팽창하여 터질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가열되는 경우 흐물해져 사용하는 데에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현재 유효기간이 있는 물품(주로 식품 등)의 유효기간의 표시는 포장지나 케이스 등의 포장수단에 인쇄의 방법으로 특정위치에 표시를 하게 되어 있는데 이러한 것의 단점은 쉽게 눈에 띄이지를 않는다는 것이고 또한 단순한 인쇄의 방식이어서 다시 인쇄를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위조가 가능하다 라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유효기간을 확인치 아니하고 내용물을 취식할 경우에 많은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으며, 공급자측에서도 이러한 유효기간을 일일이 확인토록 하고 교환하여야 하는데 이럴 경우에도 용이한 확인이 불가능하여 작업에 어려움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일정 압력 이상이면 공기를 배출하는 터짐 방지 기능을 갖고, 가열되는 경우에도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절개부를 지퍼부 하부에 배치하여 조리 후 절개하여 시식하도록 하고, 바닥면이 넓게 펼쳐지도록 형성하며, 상측을 볼록한 곡선 형태로 형성하는 조리용 지퍼팩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유통기간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인쇄하되, 유통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희미해지도록 인쇄한 조리용 지퍼팩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본체부를 세워진 상태로 설치 고정하여 본체부에 식품을 담는 동안 본체부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조리용 지퍼팩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조리용 지퍼팩은, 내부에 식품의 보관 공간을 제공하고, 상단부에 구비되는 지퍼부를 통해 내부를 개폐한다.
한편, 상기 용기는 상단부에 구비되는 지퍼부를 통해 내부를 개폐하고,
제1 시트부 및 제2 시트부를 맞댄 상태에서 양측단을 열접합하여 구비되는 본체부; 및 상기 식품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외측면에 변색 잉크로 인쇄되는 바코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색 잉크는, 상기 식품의 유통기한에 비례하여 설정되는 함량비의 나노 입자를 포함하여, 상기 식품의 유통기한이 경과하는 경우, 상기 바코드의 인식이 불가능하도록 변색되고,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폭이 넓혀진 형태로 펼쳐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바닥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부가 내입되어 상기 바닥부의 저면과 맞닿아 상기 본체부를 세워진 상태로 설치 고정하는 거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소정 두께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설치면에 수평하게 놓여지는 거치 블록; 상기 거치 블록의 중심 부분에서 내입되는 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하부가 삽입 설치되는 거치 홈; 및 상기 거치 홈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거치 홈에 내입되어 있는 본체부에 담겨지는 식품에 의해 상기 본체부로 가해지는 진동을 감쇄하는 탄성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 블록은, 저면에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마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거치 홈은, 입구가 상기 본체부의 하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정 깊이까지의 내벽이 수직하게 형성되나 최하단을 구성하는 바닥면은 중심부를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내벽 측에 일정 간격으로 연결되며, 스프링으로 구비되는 복수 개의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모듈은, 상기 거치 홈에 내입되는 상기 바닥부의 저면과 맞닿아 상기 바닥부를 지지하고, 상측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측면의 둘레를 따라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접촉 링을 포함하는 접촉부; 및 상측면에 상기 접촉부가 삽입되는 홈 부를 구비하여 수직 스프링을 통해 상기 홈 부에 상기 접촉부를 삽입 설치하고, 외측면에 상기 복수 개의 연결 부재가 연결되어 상기 거치 홈에 설치되되, 상기 거치 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설치되는 지지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모듈은, 상기 바닥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본체부가 상기 거치 홈에 내입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에 식품이 담겨짐에 따라 상기 바닥부가 유동하여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연결 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진동을 감쇄하고,
상기 거치부의 저면에서 상호 대향하는 모서리 부분에 맞추어 한 쌍 마련되고, 상기 거치부에 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거치부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송부는, 사각 판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거치부의 저면에 나사 결합되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설치 바아를 포함하는 설치 플레이트; 탄성이 있는 볼 형태로 구비되고, 중심 부분을 관통하는 회전 핀을 통해 상기 설치 바아에 설치되는 제1 연결 부재; 아치 형태의 판 스프링으로 구비되고, 중심 부분에 마련되는 돌기를 관통하는 상기 회전 핀을 통해 상기 설치 바아에 설치되며, 하방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펼쳐지도록 마련되는 제2 연결 부재; 상기 제2 연결 부재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설치 모듈; 바퀴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설치 모듈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이송 모듈; 및 상기 한 쌍의 설치 모듈을 연결하도록 구비되고, 하방으로 외력이 가해져 상기 제2 연결 부재가 펼쳐지는 경우 신장되는 신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설치 모듈은, 상기 제2 연결 부재의 일단부가 끼워지는 연결편 및 상기 연결편의 내측면에 접착 설치되는 진동 흡수 패드를 포함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하단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꺽여있는 형태로 구비되고, 하단부에 상기 한 쌍의 이송 모듈을 각각 삽입하기 위한 삽입 홈을 형성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외주면에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클램프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클램프부는, 중간 부분이 상기 헤드부의 외주면에 힌지 결합되고, 하단 부분과 상기 헤드부의 외주면 사이에는 스프링이 게재되는 푸시부; 및 상기 푸시부가 상기 헤드부의 외주면과 나란히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편의 입구 부분을 일부 폐쇄하도록 상기 푸시부의 상단 부분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푸시부의 하단 부분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연결편의 입구 부분을 개방하도록 전개되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 부재는, 양 단부가 상기 연결편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확장된 형태로 구비되어 단턱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편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단턱에 걸리는 상기 파지부에 의해 설치 고정되며,
상기 신축 모듈은,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설치 모듈 중 어느 하나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소정 길이의 이동 공간을 형성하는 메인 바아; 및 일단이 스프링을 통해 상기 이동 공간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한 쌍의 설치 모듈 중 나머지 하나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 연결 부재가 펼쳐지는 경우, 상기 한 쌍의 이송 모듈이 상호 이격되도록 이동함에 따라 상기 메인 바아로부터 출몰되도록 이동하는 서브 바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체부가 가열됨에 따라 팽창되어 일정 압력에 도달하는 경우, 배출 홀이 본체부의 내부와 연통되어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본체부가 터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에 식품이 담기는 경우, 타원 형상으로 넓게 펼쳐져 본체부를 세워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지퍼부의 하단을 절개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증진을 도모한다.
또한, 본체부의 상단 부분을 볼록한 곡선 형태로 형성하여 가열 시 내부 대류 현상을 원활하게 하여 보다 빠른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유통기한이 경과하는 경우 인식이 불가능하도록 변색되는 바코드를 포함하여 유통기간을 쉽게 확인가능토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체부를 세워진 상태로 설치 고정하는 거치부를 포함하여, 본체부로 액체 형태의 식품을 담는 동안 유동하는 경우에도 본체부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지퍼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용 지퍼팩을 저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공기 배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지퍼팩의 일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지퍼팩의 일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지퍼팩의 일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지퍼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거치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거치부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지퍼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지퍼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지퍼팩(1000)은 내부에 담긴 식품을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가열 조리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으로, 본체부(100), 바닥부(200), 지퍼부(300) 및 공기 배출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0)는 제1 시트부(110) 및 제2 시트부(120)를 맞댄 상태에서 양측단을 열접합하여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시트부(110)는 레토르트 필름지로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둘 이상의 필름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시트부(120)는 크래프트지로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면에 내유성, 내수성, 방습성 및 열실링성을 위한 코팅층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는 크래프트지로 구비되는 제2 시트부(120)를 포함하여 전자레인지에 의한 가열 조리에 의해 레토르트 필름지로 구비되는 제1 시트부(110)가 흐물해지더라도 세워진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바닥부(200)는 본체부(100)의 하단에 폭이 넓혀진 형태로 펼쳐질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지퍼부(300)는 본체부(100)의 상단부에 상단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퍼부(300)는 본체부(100)의 상단부를 개폐하기 위한 구성으로, 잘 알려져 있는 공지된 구조로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공기 배출부(400)는 본체부(100)에서 지퍼부(30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 배출부(400)는 제1 시트부(110) 및 제2 시트부(120)의 적어도 일부분을 열접합하여 형성될 수 있는데, 본체부(100)가 가열됨에 따라 팽창하는 외력에 의해 분리되어 본체부(1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용 지퍼팩을 저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바닥부(200)는 직사각형의 크래프트지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시트부(120)와 같이 상면에 내유성, 내수성, 방습성 및 열실링성을 위한 코팅층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바닥부(20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절반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제1 시트부(110) 및 제2 시트부(120) 사이에 게재되고, 제1 시트부(110) 및 제2 시트부(120)의 하단부와 각각 맞닿은 부분이 열접합됨으로써 제1 시트부(110) 및 제2 시트부(120)가 벌어지는 경우 폭이 넓혀진 형태로 펼쳐질 수 있다.
이때, 바닥부(200)의 양측단은 제1 시트부(110) 및 제2 시트부(120)가 벌어지는 경우 타원 형상으로 펼쳐지도록 일정 폭으로 열접합될 수 있으며, 해당 부분은 일정한 강도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바닥부(200)는 본체부(100)에 식품이 담기는 경우 타원 형상으로 넓게 펼쳐지면서 본체부(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공기 배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공기 배출부(400)는 제1 시트부(110) 및 제2 시트부(120)의 일부분을 열접합한 접합 영역(410) 및 접합 영역(410)의 가장자리 부분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배출 홀(420)을 포함할 수 있다.
접합 영역(410)은 제1 시트부(110) 및 제2 시트부(120)의 일측단과 장변이 맞닿아 형성되는 직사각형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배출 홀(420)은 접합 영역(410)의 하부 꼭지점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체부(100)에 열이 가해져 제1 시트부(110) 및 제2 시트부(120)가 벌어지면서 팽창하는 경우, 접합 영역(410)의 하부 꼭지점 부분부터 외력이 가해지면서 분리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배출 홀(420)은 제1 시트부(110) 및 제2 시트부(120) 사이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면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 배출부(400)는 본체부(100)가 가열됨에 따라 팽창되어 일정 압력에 도달하는 경우, 배출 홀(420)이 본체부(100)의 내부와 연통되어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본체부(100)가 터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지퍼팩의 일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지퍼팩(1000)은 도 1에 도시된 본체부(100), 바닥부(200), 지퍼부(300) 및 공기 배출부(400)의 구성에 더하여 절개 홈 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절개 홈 부(130)는 본체부(100)에서 지퍼부(300) 및 공기 배출부(4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본체부(100)의 양측단에 한 쌍 구비될 수 있다.
절개 홈 부(130)는 제1 시트부(110) 및 제2 시트부(120)의 열접합 부분에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부(100)에 담긴 식품의 조리가 완료되는 경우, 본체부(100)의 상부를 절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퍼부(300)의 하단에 절개 홈 부(130)를 구비함으로써 지퍼부(300)가 구비된 부분을 함께 절개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증진을 도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지퍼팩의 일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지퍼팩(2000)은 도 1에 도시된 조리용 지퍼팩(1000)과 비교하였을 때 본체부(100)의 상단 부분(101)을 볼록한 곡선 형태로 형성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바닥부(200), 지퍼부(300), 공기 배출부(400) 및 절개 홈 부(130)의 특징은 동일하다. 다만, 지퍼부(300) 또한 상단 부분(101)의 형상에 맞추어 볼록한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100)의 상단 부분(101)을 볼록한 곡선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본체부(100)의 가열 시 내부 대류 현상을 원활하게 하여 보다 빠른 조 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지퍼팩의 일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지퍼팩(3000)은 본체부(100), 바닥부(200), 지퍼부(300), 공기 배출부(400) 및 절개 홈 부(130)의 구성에 더하여 바코드(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코드(500)는 본체부(100)의 적어도 일부분에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2 시트부(120)의 하단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바코드(500)는 본체부(100)에 담기는 식품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코드(500)는 본체부(100)에 담기는 식품의 제품명, 판매 가격 등을 포함하는 식품 판매 정보를 13자리 숫자로 변환하여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바코드(5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색 잉크로 제2 시트부(120)에 인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색 잉크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색상이 점차 변화됨으로써 바코드(500)의 인식을 불가능하게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500)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색상이 점차 희미해지는 변색 잉크로 인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변색 잉크는 햇빛이나 자외선에 의해 그 색상이 변화되며, 본체부(100)에 담기는 식품의 종류에 따라 그 변색되는 기간이 다른 것을 사용하게 된다. 예를 들어, 식품의 유통기한에 따라 변색기간이 설정될 수 있는데, 유통기한이 경과하는 경우, 바코드(500)의 인식이 불가함에 따라 식품의 판매가 불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변색 잉크는 나노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나노 입자는 자외선에 의하여 응집될 수 있고, 가시광선에 의하여 해리될 수 있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나노입자는 자외선에 의하여 응집되어, 응집되기 이전과 보이는 색상이 달라질 수 있게 됨으로써, 패 상기 나노입자 지름의 평균 길이는 8 내지 12 nm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나노입자 지름의 평균 길이는 9 내지 11 nm일 수 있다. 여기서, 나노입자 지름의 평균 길이는 후술하는 시스-트랜스 전환을 할 수 있는 광변환화합물의 코팅 두께가 제외된 것을 의미한다. 나노입자의 지름의 평균 길이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자외선에 의하여 패턴이 형성될 때 상기 패턴이 선명해질 수 있으며, 패턴이 형성 되는 시간이 짧아질 수 있다. 또한, 광변환화합물이 코팅되는 나노입자의 표면적이 넓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패턴이 유지되는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상기 나노입자는 자외선에서 시스-트랜스 전환을 할 수 있는 광변환화합물로 코팅되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광변환화합물로 인하여, 자외선이 조사되면 나노입자들끼리 서로 응집(aggregation)될 수 있고, 이러한 응집으로 인하여 색깔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색깔을 이용하여 눈에 보이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광변환화합물은 도데실아민, 4-(11-머캅토운데칸옥시)아조벤젠, 스피로피란 화합물, 스피로옥사진 화합물, 디아릴에텐 및 이와 관련된 화합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 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광변환화합물은 나노입자에 0.5 내지 10 nm의 두께로 코팅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1 내지 2 nm의 두께로 상기 광변환화합물이 상기 나노입자에 코팅될 수 있다. 광변환화합물의 코팅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자외선에 의하여 패턴을 형성하는데 충분한 양을 제공할 수 있다. 광변환화합물의 코팅 두께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자외선에 의하여 패턴이 더 잘 형성되는 효과의 증대 없이, 생산 비용만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500)는 지퍼팩(3000)에 담기는 식품의 유통기한에 비례하여 설정되는 함량비의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변색 잉크로 인쇄됨으로써, 유통기한이 경과하는 경우 인식이 불가능하도록 변색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지퍼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지퍼팩(4000)은 본체부(100), 바닥부(200), 지퍼부(300), 공기 배출부(400) 및 바코드(500)의 구성에 더하여 거치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거치부(600)는 본체부(100)를 세워진 상태로 설치 고정하여 본체부(100)에 식품을 담을 때에 본체부(100)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거치부(600)는 바닥면이 중심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거치 홈을 상단에 형성한 소정 두께의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거치 홈에 본체부(100)의 설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거치부(600)는 본체부(100)의 하부가 내입되는 거치 홈에 탄성 수단을 구비하여 본체부(100)가 설치된 상태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치부(600)에 본체부(100)를 설치 고정한 상태에서 내부에 식품을 담는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9 이하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거치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600)는 거치 블록(610), 거치 홈(620), 탄성 모듈(630) 및 이동 모듈(640)을 포함할 수 있다.
거치 블록(610)은 소정 두께의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설치면에 수평하게 놓여질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서 거치 블록(610)은 사각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원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거치 블록(610)은 저면에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마찰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즉, 거치 블록(610)은 설치면과의 강한 마찰력을 형성할 수 있다.
거치 홈(620)은 거치 블록(610)의 중심 부분에서 내입되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거치 홈(620)은 입구가 바닥부(200)의 넓혀진 형태, 예컨대, 타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정 깊이까지의 내벽이 수직하게 형성되나 최하단을 구성하는 바닥면은 중심부를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전체적인 단면은 'U'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거치 홈(620)의 바닥면은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로 갈수록 경사가 급격하게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되, 중심부를 구성하는 일부 구간은 평평하게 구성되거나 완만한 경사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탄성 모듈(630)은 거치 홈(62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거치 홈(620)에 내입되어 있는 본체부(100)에 담겨지는 식품에 의해 본체부(100)로 가해지는 진동을 감쇄할 수 있다.
여기에서, 거치 홈(620)은 내벽 측에 일정 간격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연결 부재(62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연결 부재(621)는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거치 블록(610)의 상단면 및 하단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양단이 각각 거치 홈(620)의 내벽과 탄성 모듈(630)의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탄성 모듈(630)은 복수 개의 연결 부재(621)를 통해 거치 홈(62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복수 개의 연결 부재(621)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정지된 상태를 최대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탄성 모듈(630)은 접촉부(632) 및 지지 브라켓(633)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632)는 거치 홈(620)에 내입되는 바닥부(200)의 저면과 맞닿아 바닥부(200)를 지지할 수 있다.
접촉부(632)는 상측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측면의 둘레를 따라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접촉 링(631)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 링(631)은 바닥부(200)의 저면과의 마찰력을 형성하여 바닥부(20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을 것이다.
지지 브라켓(633)은 접촉부(632)의 설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지지 브라켓(633)은 중심 부분에 접촉부(632)를 삽입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 브라켓(633)은 상측면에 접촉부(632)가 삽입되는 홈 부를 구비하여 접촉부(632)의 설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접촉부(632)의 저면은 수직 스프링(634)을 통해 홈 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브라켓(633)은 접촉부(632)의 측면을 견고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접촉부(632)가 수직 방향으로만 승강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도 10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지지 브라켓(633)의 외측면은 연결 부재(621)의 타단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접촉부(632)의 상단면의 높이와 지지 브라켓(633)의 상단면의 높이는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접촉부(632)의 상단면의 높이가 지지 브라켓(633)의 상단면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러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모듈(640)은 거치 홈(620) 및 탄성 모듈(63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동 모듈(640)은 볼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합성 고무, 합성 수지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동 모듈(640)은 탄성 모듈(630)이 바닥부(200)와 접촉한 상태에서 본체부(100)에 액체 형태의 식품에 담겨짐에 따라 바닥부(200)가 유동하여 탄성 모듈(630)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탄성 모듈(63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거치부의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지지 브라켓(633)의 외측면은 복수 개의 연결 부재(621)의 타단이 설치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연결 부재(621)를 통해 거치 홈(62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설치 고정될 수 있다.
접촉부(632)의 저면은 수직 스프링(634)을 통해 지지 브라켓(633)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지지 브라켓(633)의 저면 중심부는 이동 모듈(640)의 삽입을 위해 돔 형태의 내입 홈(635)을 형성할 수 있으며, 거치 홈(620)은 바닥면의 중심부에 이동 모듈(640)의 삽입을 위해 하향 굴곡진 형태의 오목 홈(622)을 형성할 수 있다. 이동 모듈(640)은 상측 및 하측이 각각 내입 홈(635) 및 오목 홈(622)에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접촉부(632)가 바닥부(200)와 접촉하도록 본체부(100)가 거치 홈(620)에 내입된 상태에서 본체부(100)에 식품이 담겨짐에 따라 바닥부(200)가 유동하는 경우,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탄성 모듈(630)로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이동 모듈(640)이 오목 홈(622)을 이탈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연결 부재(62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이동 모듈(640)이 다시 오목 홈(622)에 삽입되도록 왕복 이동하여 탄성 모듈(630)이 원래의 정지된 상태를 최대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바닥부(200)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본체부(10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600)는 탄성 복원력 뿐만 아니라 경사진 거치 홈(620)의 바닥면에 의한 이동 모듈(640)로 가해지는 중력을 더한 크기에 대응하는 복원력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지퍼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지퍼팩(5000)은 본체부(100), 바닥부(200), 지퍼부(300), 공기 배출부(400), 바코드(500) 및 거치부(600)의 구성에 더하여 이송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송부(700)는 거치부(600)의 하단에 거치부(600)에 힘이 가해지는 경우, 거치부(60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송부(700)는 박스 형태로 마련되는 거치부(600)의 저면에서 상호 대향하는 모서리 부분에 맞추어 한 쌍 마련될 수 있다.
이송부(700)는 거치부(600)에 설치된 본체부(100)의 내부에 식품을 담은 상태에서 본체부(100)를 소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작업자가 본체부(100)를 손으로 잡아 이동시킴에 따라 본체부(100)의 내부에 담긴 식품이 넘쳐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내부에 담긴 식품에 의해 가열된 본체부(100)를 파지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700)는 설치 플레이트(710), 제1 연결 부재(720), 제2 연결 부재(730), 한 쌍의 설치 모듈(740, 750), 한 쌍의 이송 모듈(760, 750) 및 신축 모듈(280)을 포함할 수 있다.
설치 플레이트(710)는 사각 판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거치부(600)의 저면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설치 플레이트(710)는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설치 바아(7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부재(720)는 탄성이 있는 볼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중심 부분을 관통하는 회전 핀(715)을 통해 설치 바아(712)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연결 부재(730)는 아치 형태의 판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볼록한 중심 부분에 마련되는 돌기를 관통하는 회전 핀(715)을 통해 설치 바아(7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제2 연결 부재(730)는 설치 바아(712)에 대하여 전방 및 후방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제1 연결 부재(720)는 설치 플레이트(710) 및 제2 연결 부재(730) 사이에서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한 쌍의 설치 모듈(740, 750)은 제2 연결 부재(73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설치 모듈(740, 750)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서로 마주하게 대칭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하, 제1 설치 모듈(740)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 설치 모듈(740)은 헤드부(742) 및 몸체부(7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헤드부(742) 및 몸체부(745)는 일체로 성형된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서로 소정 각도 꺽여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헤드부(742)는 제2 연결 부재(730)의 일단부가 끼워지는 연결편(743)을 형성할 수 있으며, 연결편(743)의 내측면에는 진동 흡수 패드(744)가 접착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연결 부재(730)는 일단부가 연결편(743)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b1)-너트(n1)의 체결을 통해 제1 설치 모듈(740)에 설치될 수 있다.
몸체부(745)는 하단부에 제1 이송 모듈(760)의 삽입을 위한 삽입 홈(746)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이송 모듈(760)은 삽입 홈(746)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축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헤드부(742)는 외주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클램프부(790)를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부(790)는 연결편(743)에 대한 제2 연결 부재(730)의 단부(732)의 삽입 또는 해제를 용이하게 한다.
클램프부(790)는 파지부(792) 및 푸시부(79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파지부(792) 및 푸시부(764)는 일체로 성형된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푸시부(764)의 상단에 파지부(792)가 수직으로 꺽인 상태로 구되어 전체적으로는 'ㄱ'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푸시부(794)의 중간 부분은 헤드부(742)의 외주면에 힌지 결합될 수 있으며, 푸시부(794)의 하단 부분과 헤드부(742)의 외주면 사이에는 스프링(796)이 게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푸시부(794)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스프링(79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푸시부(794)는 헤드부(742)의 외주면과 나란히 배치되고, 파지부(792)는 연결편(743)에 안착된 상태로 배치되어 연결편(743)의 입구 부분을 일부 폐쇄 수 있다. 또한, 푸시부(794)의 하단 부분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시소 작용에 의해 파지부(792)가 연결편(743)의 입구 부분을 개방하도록 전개될 수 있다.
이때, 제2 연결 부재(730)의 단부(732)는 연결편(743)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확장된 형태로 구비되어 단턱(733)을 형성할 수 있으며, 연결편(743)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이러한 단턱(733)에 파지부(792)가 걸림으로써 그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설치 모듈(740, 750)에 양단부가 각각 설치되는 제2 연결 부재(730)는 상술한 것처럼 아치 형태로 구비되는데, 거치부(600)에 설치되는 본체부(100)에 식품이 담김에 따라 하방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양측으로 펼쳐지면서 그 외력을 흡수할 수 있다.
한 쌍의 이송 모듈(760, 770)은 한 쌍의 설치 모듈(740, 75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이송 모듈(760, 770)은 바퀴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거치부(600)에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거치부(6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신축 모듈(780)은 한 쌍의 설치 모듈(740, 750)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하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신장되어 제2 연결 부재(730)의 탄성력을 보강할 수 있다.
신축 모듈(780)은 메인 바아(781), 서브 바아(784) 및 스프링(786)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바아(781)는 일단이 한 쌍의 설치 모듈(740, 750) 중 어느 하나에 회동 부재(781a)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소정 길이의 이동 공간(782)을 형성할 수 있다.
서브 바아(784)는 일단이 이동 공간(782)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타단이 한 쌍의 설치 모듈(740, 750) 중 나머지 하나에 회동 부재(784a)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스프링(786)은 서브 바아(784)의 일단을 이동 공간(782)에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신축 모듈(780)은 제2 연결 부재(730)가 양측으로 펼쳐지는 경우, 한 쌍의 이송 모듈(760, 770)이 상호 이격되도록 이동함에 따라 신장됨으로써 제2 연결 부재(730)의 탄성력을 보강할 수 있으며, 하방으로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스프링(786)의 복원력에 의해 원 상태로 복귀하면서 한 쌍의 이송 모듈(760, 770)을 상호 가까워지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송부(700)는 필요에 따라 거치부(600)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때, 탄성 지지 구조를 채택하여 거치부(600)에 설치되는 본체부(100)에 식품이 담기는 동안에 본체부(100)로 가해지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으며, 거치부(600)를 이동시키는 동안에도 본체부(10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0: 조리용 지퍼팩
100: 본체부
110: 제1 시트부
120: 제2 시트부
200: 바닥부
300: 지퍼부
400: 공기 배출부

Claims (2)

  1. 내부에 식품의 보관 공간을 제공하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단부에 구비되는 지퍼부를 통해 내부를 개폐하고,
    제1 시트부 및 제2 시트부를 맞댄 상태에서 양측단을 열접합하여 구비되는 본체부; 및
    상기 식품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외측면에 변색 잉크로 인쇄되는 바코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색 잉크는,
    상기 식품의 유통기한에 비례하여 설정되는 함량비의 나노 입자를 포함하여, 상기 식품의 유통기한이 경과하는 경우, 상기 바코드의 인식이 불가능하도록 변색되고,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폭이 넓혀진 형태로 펼쳐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바닥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부가 내입되어 상기 바닥부의 저면과 맞닿아 상기 본체부를 세워진 상태로 설치 고정하는 거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소정 두께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설치면에 수평하게 놓여지는 거치 블록;
    상기 거치 블록의 중심 부분에서 내입되는 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하부가 삽입 설치되는 거치 홈; 및
    상기 거치 홈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거치 홈에 내입되어 있는 본체부에 담겨지는 식품에 의해 상기 본체부로 가해지는 진동을 감쇄하는 탄성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 블록은,
    저면에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마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거치 홈은,
    입구가 상기 본체부의 하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정 깊이까지의 내벽이 수직하게 형성되나 최하단을 구성하는 바닥면은 중심부를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내벽 측에 일정 간격으로 연결되며, 스프링으로 구비되는 복수 개의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모듈은,
    상기 거치 홈에 내입되는 상기 바닥부의 저면과 맞닿아 상기 바닥부를 지지하고, 상측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측면의 둘레를 따라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접촉 링을 포함하는 접촉부; 및
    상측면에 상기 접촉부가 삽입되는 홈 부를 구비하여 수직 스프링을 통해 상기 홈 부에 상기 접촉부를 삽입 설치하고, 외측면에 상기 복수 개의 연결 부재가 연결되어 상기 거치 홈에 설치되되, 상기 거치 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설치되는 지지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모듈은,
    상기 바닥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본체부가 상기 거치 홈에 내입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에 식품이 담겨짐에 따라 상기 바닥부가 유동하여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연결 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진동을 감쇄하고,
    상기 거치부의 저면에서 상호 대향하는 모서리 부분에 맞추어 한 쌍 마련되고, 상기 거치부에 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거치부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용기.
  2. 삭제
KR1020210037207A 2021-03-23 2021-03-23 시간경과에 따라 색이 바래지는 바코드를 포함하는 용기 KR102253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207A KR102253181B1 (ko) 2021-03-23 2021-03-23 시간경과에 따라 색이 바래지는 바코드를 포함하는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207A KR102253181B1 (ko) 2021-03-23 2021-03-23 시간경과에 따라 색이 바래지는 바코드를 포함하는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3181B1 true KR102253181B1 (ko) 2021-05-17

Family

ID=76158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7207A KR102253181B1 (ko) 2021-03-23 2021-03-23 시간경과에 따라 색이 바래지는 바코드를 포함하는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318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470A (ja) * 1990-10-29 1993-01-14 Fujita Corp バーコード
JP2010220970A (ja) * 2009-03-25 2010-10-07 Nichiyu Giken Kogyo Co Ltd 工程管理インジケータ及びそれを用いた工程管理方法
US20150344210A1 (en) * 2012-02-17 2015-12-03 Amcor Flexibles Transpac Nv Self-Venting Package
KR20170066059A (ko) * 2015-12-04 2017-06-14 (주)천일 전자레인지용 포장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470A (ja) * 1990-10-29 1993-01-14 Fujita Corp バーコード
JP2010220970A (ja) * 2009-03-25 2010-10-07 Nichiyu Giken Kogyo Co Ltd 工程管理インジケータ及びそれを用いた工程管理方法
US20150344210A1 (en) * 2012-02-17 2015-12-03 Amcor Flexibles Transpac Nv Self-Venting Package
KR20170066059A (ko) * 2015-12-04 2017-06-14 (주)천일 전자레인지용 포장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32821C (en) Bag utilizing a microwave susceptor pad and non-heated flap
EP054561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microwave popcorn
US4678882A (en) Packaging container for microwave popcorn popping
US4989748A (en) Moisture recirculating cover for microwave oven dish
ES2563080T3 (es) Envase autoventilable para calentamiento con microondas
US20040089656A1 (en) Cooperating blanks for forming a microwave heating food container
KR102253181B1 (ko) 시간경과에 따라 색이 바래지는 바코드를 포함하는 용기
KR102253180B1 (ko) 조리용 지퍼팩
BRPI0709741A2 (pt) pacote de isolamento de ativaÇço tÉrmica
TW201105552A (en) Food container having improved ventilation
WO1994005549A1 (en) Suspended beverage infusion bag
BRPI0712450A2 (pt) construto para aquecer, tostar e/ ou tornar crocante um item alimentìcio em um forno de microondas, embalagem revestida para aquecimento em microondas com aprimorada estabilidade térmica, e caixa cartonada para aquecer, tostar e /ou tornar crocante um item alimentìcio em um forno de microondas
JPH0920374A (ja) マイクロ波調理用容器
GR20190100322A (el) Περιεκτης συσκευασιας τροφιμων με κυψελες σχηματος αστερα στον πυθμενα
ES2243716T3 (es) Contenedor de plastico y metodo para su utilizacion.
JP2003063573A (ja) 食品包装容器
KR200484205Y1 (ko) 계란 포장 용기
US200302030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food delivery container
CA2504254A1 (en) Microwave popcorn container and method of fabrication
JP3302818B2 (ja) 炊飯器の蓋パッキング
CN213083961U (zh) 一种自加热袋
PL182256B1 (pl) Zatyczka pojemnika i sposób wytwarzania zatyczki pojemnika PL
CN219278256U (zh) 一种烧烤餐盘
CN217199631U (zh) 一种可分层放置的黄精包装盒
US20070218241A1 (en) Method and device for adding moisture during coo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