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3164B1 -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프링 위치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프링 위치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3164B1
KR102253164B1 KR1020140172982A KR20140172982A KR102253164B1 KR 102253164 B1 KR102253164 B1 KR 102253164B1 KR 1020140172982 A KR1020140172982 A KR 1020140172982A KR 20140172982 A KR20140172982 A KR 20140172982A KR 102253164 B1 KR102253164 B1 KR 102253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pring
stopper
spring
vehicle suspension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2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7496A (ko
Inventor
이의성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2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164B1/ko
Publication of KR20160067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7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5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5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 B60G17/015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pneumatic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력이 생성되는 코일 스프링과 코일 스프링이 안착되는 코일 스프링 안착부와 코일 스프링 안착부에 구비되어 코일 스프링의 안착 위치를 물리적으로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스토퍼와 마주보는 코일 스프링의 끝단부는 자성을 가지는 자화재질로 형성된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프링 위치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프링 위치 조절 장치{Spring position adjusting apparatus for a vehicle suspension}
본 발명은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프링 위치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코일 스프링의 안착 위치를 물리적으로 제한할 수 있는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프링 위치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링 서스펜션은 판스프링, 코일 스프링, 토션바 스프링으로 크게 나뉜다. 승용차에는 코일 스프링과 쇼크업쇼바를 병행한 것들이 많이 쓰이며, 차량의 주목적이 시내 혹은 장거리 여행시 편안함이나 안전한 주행 등을 목적으로 하기에, 스프링의 탄성이 아주 강하지 않고 차량의 중량과 잘 조화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코일 스프링은 쇼크업쇼바의 상단이 차체에 고정되고 쇼크업쇼바에 구비된 코일 스프링 안착부에 조립 설치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코일 스프링을 조립할 경우 조립 산포에 따라 코일 스프링의 하단 끝단부의 위치와 코일 스프링 안착부에 구비된 스토퍼 사이의 거리가 변하는 문제점이 있다.
코일 스프링의 조립위치가 의도된 바에서 벗어나게 되면 좌우 하중축 차이가 발생하게 되어 쏠림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프링 위치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코일 스프링의 안착 위치를 물리적으로 제한하여 코일 스프링과 스토퍼 사이의 간극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프링 위치 조절 장치에 있어서, 탄성력이 생성되는 코일 스프링과 코일 스프링이 안착되는 코일 스프링 안착부와 코일 스프링 안착부에 구비되어 코일 스프링의 안착 위치를 물리적으로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스토퍼와 마주보는 코일 스프링의 끝단부는 자성을 가지는 자화재질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또한, 스토퍼는 코일 스프링의 끝단부의 위치를 스토퍼와 맞추기 위해 구비된 자기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자기센서는 코일 스프링의 끝단부와 자기력이 발생하여 스토퍼와 코일 스프링 사이의 거리 및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스토퍼는 코일 스프링 안착부의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또한, 스토퍼는 코일 스프링의 끝단부와 마주보는 전면부와 전면부의 반대편에 형성된 후면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프링 위치 조절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스토퍼에 구비된 자기센서와 자화재질로 형성된 코일 스프링의 끝단부를 통해 코일 스프링의 조립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쏠림영향을 최소할 수 있다.
둘째, 별도의 추가 부품없이 기존의 구조를 활용할 수 있어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프링 위치 조절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구성 중 코일 스프링의 끝단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구성 중 스토퍼에 구비된 자기센서와 코일 스프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프링 위치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바람직한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프링 위치 조절 장치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프링 위치 조절 장치인 경우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프링 위치 조절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구성 중 코일 스프링의 끝단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구성 중 스토퍼에 구비된 자기센서와 코일 스프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프링 위치 조절 장치는 탄성력이 생성되는 코일 스프링과 코일 스프링이 안착되는 코일 스프링 안착부와 코일 스프링 안착부에 구비되어 코일 스프링의 안착 위치를 물리적으로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스토퍼와 마주보는 코일 스프링의 끝단부는 자성을 가지는 자화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쇼크업쇼바(10)는 차체(미도시)와 차축(미도시)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차체(미도시)는 차량의 바닥부분에 해당되고 차축은 바퀴축에 해당된다.
쇼크업쇼바(10)는 자체 깅리가 가변되며, 외력에 의해 수축되었다가 자체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팽창되면서 차량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쇼크업쇼바(10)의 외주면에는 고정브라켓(40)과 코일 스프링 안착부(30)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고정브라켓(40)은 코일 스프링(20)의 상측면과 밀착될 수 있고, 코일 스프링 안착부(30)는 코일 스프링(20)의 하측면과 밀착될 수 있다.
쇼크업쇼바(10)는 차축(미도시)에 고정 설치되는 실린더(12)와 실린더(12)에 내장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바(11)를 포함할 수 있다. 가변바(11)는 차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코일 스프링(20)은 탄성력이 생성되어 쇼크업쇼바(10)의 복원력을 보조할 수 있다.
코일 스프링(20)의 끝단부(21)는 자성을 가지는 자화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코일 스프링(20)은 후술할 스토퍼(31)와 마주볼 수 있다.
코일 스프링(20)의 끝단부(21)는 스토퍼(31)와 마주보게 되면, 스토퍼(31)에 구비된 자기센서(31a)에 의해 코일 스프링(20)의 위치 및 스토퍼(31)와 코일 스프링의 끝단부(21) 사이의 간극이 조절되어 코일 스프링 안착부(30)에 안착하게 된다.
코일 스프링 안착부(30)는 코일 스프링(20)의 하측면이 밀착되어 안착될 수 있다. 코일 스프링 안착부(30)는 코일 스프링(20)이 안착되어 감싸질 수 있도록 U형태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 안착부(30)는 코일 스프링(20)이 감겨지는 방향에 따라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31)는 코일 스프링 안착부(30)에 구비되어 코일 스프링(20)의 안착 위치를 물리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스토퍼(31)에는 자기센서(31a)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자기 센서(31a)는 코일 스프링(20)의 끝단부(21)의 위치를 스토퍼(31)와 맞추기 위해 스토퍼(31)에 구비될 수 있다. 자기센서(31a)는 코일 스프링(20)의 끝단부(21)와 자기력이 발생하여 스토퍼(31)와 코일 스프링(20) 사이의 거리 및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스토퍼(31)는 코일 스프링 안착부(30)의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스토퍼(31)는 ∩형태로 형성되어 돌출된 것이 바람직하나, 자기 센서(31a)가 부착될 수 있는 형태이면 실시예가 가능하므로 스토퍼(31)형태는 한정하지 아니한다.
스토퍼(31)는 코일 스프링(20)의 끝단부(21)와 마주보는 전면부(31b)와 전면부(31b)의 반대편에 형성되어 전면부(31b)와 마주보는 후면부(31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자기센서(31a)는 스토퍼의 전면부(31b) 또는 후면부(31c)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프링 위치 조절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스토퍼에 구비된 자기센서와 자화재질로 형성된 코일 스프링의 끝단부를 통해 코일 스프링의 조립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쏠림영향을 최소하고, 별도의 추가 부품없이 기존의 구조를 활용할 수 있어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을 창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프링 위치 조절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주요 도면부호의 상세한 설명>
10 : 쇼크업쇼바
20 : 코일 스프링
21 : 끝단부
30 : 코일 스프링 안착부
31 : 스토퍼
31a : 자기 센서

Claims (5)

  1. 탄성력이 생성되는 코일 스프링;
    상기 코일 스프링이 안착되는 코일 스프링 안착부;
    상기 코일 스프링 안착부에 구비되어 코일 스프링의 안착 위치를 물리적으로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와 마주보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끝단부는 자성을 가지는 자화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끝단부와의 위치를 맞추기 위해 구비된 자기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프링 위치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센서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끝단부와 자기력이 발생하여 상기 스토퍼와 상기 코일 스프링 사이의 거리 및 위치를 조절하는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프링 위치 조절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코일 스프링 안착부의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프링 위치 조절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끝단부와 마주보는 전면부; 및
    상기 전면부의 반대편에 형성된 후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프링 위치 조절 장치.
  5. 삭제
KR1020140172982A 2014-12-04 2014-12-04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프링 위치 조절 장치 KR102253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982A KR102253164B1 (ko) 2014-12-04 2014-12-04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프링 위치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982A KR102253164B1 (ko) 2014-12-04 2014-12-04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프링 위치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7496A KR20160067496A (ko) 2016-06-14
KR102253164B1 true KR102253164B1 (ko) 2021-05-18

Family

ID=56191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2982A KR102253164B1 (ko) 2014-12-04 2014-12-04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프링 위치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31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2484A (ko) 2022-06-29 2024-01-05 김용로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1661A (ja) 2004-01-13 2005-07-28 Sumitomo Electric Ind Ltd 自動車用傾斜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5731A (ja) * 1997-05-14 1998-12-02 Suzuki Motor Corp 車両のコイルスプリング取付構造
KR20130021963A (ko) * 2011-08-24 2013-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석 일체형 스프링패드를 갖는 스프링시트
KR20130037957A (ko) * 2011-10-07 2013-04-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프링 지지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1661A (ja) 2004-01-13 2005-07-28 Sumitomo Electric Ind Ltd 自動車用傾斜検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2484A (ko) 2022-06-29 2024-01-05 김용로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7496A (ko) 2016-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22273A1 (en) Suspension with hydraulic preload adjust
CN104842825B (zh) 用于在至少一个空间方向上关于相对可移动的下悬挂部件对上悬挂部件减震的设备
BR112014017214A8 (pt) veículo
US20180370314A1 (en) Transverse leaf spring arrangement of a chassis axle of a motor vehicle
WO2006116513A3 (en) Vehicle suspensions having leaf springs and alternative clamp groups
CN104864024A (zh) 用于在至少一个空间方向上关于相对可移动的下悬挂部件对上悬挂部件减震的设备
CN105228841A (zh) 车辆用悬架系统
BR112019009644A2 (pt) dispositivo de suspensão para um eixo de veículo compreendendo rodas apropriadas a circular
CN105667442A (zh) 乘客识别装置
JP2017507830A (ja) 原動機付き車両用のボギー装置
KR102253164B1 (ko)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프링 위치 조절 장치
US9586607B2 (en) Stroller with a dual spring rear suspension
RU14829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табилизации автомобиля против движения с креном
WO2009092588A3 (de) Kraftfahrzeug mit verbesserter radbewegungsdämpfung
KR102226553B1 (ko) 서스펜션용 리프스프링의 비틀림 억제장치
JP2006315434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FR3058489B1 (fr) Dispositif d&#39;amortissement en torsion et vehicule automobile
KR102487823B1 (ko)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
KR20160050641A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판스프링 마찰 방지구조
KR20130005359A (ko) 상용차량의 판스프링 샤클 어셈블리
CN204878494U (zh) 一种大筒双吊环后减震器
PL426450A1 (pl) Urządzenie do przewozu dzieci w pojazdach
MX2018005227A (es) Conjunto amortiguador de un sistema de suspension de un vehiculo.
US1559101A (en) Cushion-spring shackle
KR101582854B1 (ko) 차량용 전륜 에어스프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