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3045B1 - 피스톤 - Google Patents

피스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3045B1
KR102253045B1 KR1020140046939A KR20140046939A KR102253045B1 KR 102253045 B1 KR102253045 B1 KR 102253045B1 KR 1020140046939 A KR1020140046939 A KR 1020140046939A KR 20140046939 A KR20140046939 A KR 20140046939A KR 102253045 B1 KR102253045 B1 KR 102253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entral axis
piston
disposed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6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0797A (ko
Inventor
이희영
Original Assignee
메디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디칸(주) filed Critical 메디칸(주)
Priority to KR1020140046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045B1/ko
Publication of KR20150120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0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00Pistons; Trunk pistons; Plungers
    • F16J1/005Pistons; Trunk pistons; Plungers obtained by assembling several pie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16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means to prevent the extrusion of the pa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9/00Piston-rings, e.g. non-metallic piston-rings, seats therefor; Ring sealings of similar construction
    • F16J9/12Details
    • F16J9/22Rings for preventing wear of grooves or like sea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7/00Seal for a joint or juncture
    • Y10S277/909Similar sealing structures for mounting on piston and about r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스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린지 내에 배치되는 피스톤으로서, 소정의 두께를 갖고 중심축을 갖는 원반형으로 구성되는 몸체를 갖는 제1 부재; 소정의 두께를 갖고 중심축을 갖는 원반형으로 구성되는 본체를 갖는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에는 하나 이상의 제1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하나 이상의 제2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관통공은 상기 중심축과 원주 사이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를 중심축 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제2 관통공은 상기 중심축과 원주 사이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중심축 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는 중심축을 공유하도록 동심으로 배치되며,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서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의 상대 회전에 따라서, 상기 제1 관통공과 상기 제2 관통공이 서로 일 부분 중첩되어 상기 제1 관통공과 제2 관통공을 관통하는 관통 영역이 형성되거나, 상기 제1 관통공과 상기 제2 관통공이 서로 중첩되지 아니하여 물질의 유통이 제어되게 구성되는 피스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스톤{PISTON}
본 발명은 피스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린지 내에 배치되는 피스톤으로서, 소정의 두께를 갖고 중심축을 갖는 원반형으로 구성되는 몸체를 갖는 제1 부재; 소정의 두께를 갖고 중심축을 갖는 원반형으로 구성되는 본체를 갖는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에는 하나 이상의 제1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하나 이상의 제2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관통공은 상기 중심축과 원주 사이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를 중심축 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제2 관통공은 상기 중심축과 원주 사이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중심축 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는 중심축을 공유하도록 동심으로 배치되며,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서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의 상대 회전에 따라서, 상기 제1 관통공과 상기 제2 관통공이 서로 일 부분 중첩되어 상기 제1 관통공과 제2 관통공을 관통하는 관통 영역이 형성되거나, 상기 제1 관통공과 상기 제2 관통공이 서로 중첩되지 아니하여 물질의 유통이 제어되게 구성되는 피스톤에 관한 것이다.
주사기는 약제 등을 인체에 주입하거나 인체 조직을 추출할 때 사용되는 의료 기기로서, 의료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주사기는 일반적으로 주사침을 유지하는 주사침 고정 부재, 시린지, 및 피스톤을 포함한다. 피스톤은 시린지 내에 배치되어 시린지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 사이의 물질의 출입을 차단함이 보통이다.
그러나, 이러한 주사기와 같은 부재가 원심 분리에 사용될 경우, 피스톤 쪽으로 치우쳐 분리된 물질을 분리할 필요가 있을 때, 상기 피스톤을 사이에 두고 물질이 유통되지 아니하여 문제가 된다. 이에 따라서, 피스톤 방향으로 치우친 물질을 피스톤을 통과하여 분리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밀폐 또한 달성할 수 있는 피스톤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공개특허 10-2008-004285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시린지 내에 배치되는 피스톤으로서, 소정의 두께를 갖고 중심축을 갖는 원반형으로 구성되는 몸체를 갖는 제1 부재; 소정의 두께를 갖고 중심축을 갖는 원반형으로 구성되는 본체를 갖는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에는 하나 이상의 제1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하나 이상의 제2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관통공은 상기 중심축과 원주 사이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를 중심축 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제2 관통공은 상기 중심축과 원주 사이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중심축 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는 중심축을 공유하도록 동심으로 배치되며,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서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의 상대 회전에 따라서, 상기 제1 관통공과 상기 제2 관통공이 서로 일 부분 중첩되어 상기 제1 관통공과 제2 관통공을 관통하는 관통 영역이 형성되거나, 상기 제1 관통공과 상기 제2 관통공이 서로 중첩되지 아니하여 물질의 유통이 제어되게 구성되는 피스톤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은, 시린지 내에 배치되는 피스톤에 있어서, 소정의 두께를 갖고 중심축을 갖는 원반형으로 구성되는 몸체를 갖는 제1 부재; 소정의 두께를 갖고 중심축을 갖는 원반형으로 구성되는 본체를 갖는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에는 하나 이상의 제1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하나 이상의 제2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관통공은 상기 중심축과 원주 사이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를 중심축 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제2 관통공은 상기 중심축과 원주 사이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중심축 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는 중심축을 공유하도록 동심으로 배치되며,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서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의 상대 회전에 따라서, 상기 제1 관통공과 상기 제2 관통공이 서로 일 부분 중첩되어 상기 제1 관통공과 제2 관통공을 관통하는 관통 영역이 형성되거나, 상기 제1 관통공과 상기 제2 관통공이 서로 중첩되지 아니하여 물질의 유통이 제어되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는 서로 밀착하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관통공과 제2 관통공은 복수 개 형성되되, 각각 중심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게 현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관통공과 제2 관통공 중 적어도 하나는, 중심축과 원주 사이로 연장되도록 소정의 폭 및 길이를 갖는 슬릿 형태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관통공과 제2 관통공 중 적어도 하나는 중심축 방향에 중심각이 위치하며 원주 방향에 호가 위치하는 부채꼴 형태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관통공과 제2 관통공은, 서로 상이한 면적을 갖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소정 길이를 갖는 축 돌출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의 중심에는 중심축을 관통하는 축공이 형성되며, 상기 축 돌출부는 상기 축공에 삽입되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본체의 외주부를 따라 중심축 방향으로 상기 본체의 두께보다 연장되게 배치되는 원통형 외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원통형 외판의 내측 원주면과 상기 본체는 원반형 삽입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 영역에 상기 제1 부재가 삽입되어 결합되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원환형 실 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원통형 외판의 외측 원주면에는 실링 홈이 형성되며, 상기 실 링은 상기 실링 홈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무게를 갖는 중량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량 부재는 소정의 두께 및 중심축을 갖는 원반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중량 부재 사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에는, 소정의 통공을 갖는 메쉬가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제1 부재와 제2 부재의 상대 회전 가능하며, 제1 관통공과 제2 관통공 사이의 위치가 가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1 관통공과 제2 관통공이 서로 일 부분 중첩되거나 또는 서로 전혀 겹쳐지지 아니하여 서로를 폐쇄하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1 관통공과 제2 관통공이 서로 중첩될 경우, 피스톤을 중심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영역이 형성됨으로써 물질이 피스톤을 사이에 두고 출입할 수 있으며, 반대로 제1 관통공과 제2 관통공이 전혀 서로 중첩되지 아니할 경우, 관통 영역이 형성되지 않고 물질의 유통이 차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물질의 유통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는 서로 밀착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서, 제1 관통공과 제2 관통공이 서로 중첩되지 아니할 경우 물질의 유통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이 원심 분리 등에 사용되는 시린지에 배치되어 사용될 경우, 원심 분리에 따라서 분리된 물질을 피스톤 내, 외의 공간으로 유통시킬 수 있고, 원심 분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원심 분리 과정에서, 중량에 따라 물질이 분리되며 피스톤이 원주의 외측에 위치시키도록 원심 분리를 수행할 경우 무거울 물질이 피스톤 쪽에 위치하도록 분리된다. 제1 관통공과 제2 관통공이 서로 중첩되어 개방되도록 하면 피스톤을 통과하여 분리된 물질의 배출이 가능해질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유통의 제어는 단순히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의 상대 회전만으로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축공 및 축 돌출부가 마련됨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을 시린지 내에 배치시켜 사용할 때, 시린지 내의 물질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즉, 축 돌출부가 시린지 내의 면에 충분히 밀착하여 시린지 내에 물질이 잔류함이 없도록 시린지 내의 물질을 충분히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무게를 갖는 중량 부재;를 더 포함하여, 원심 분리가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을 전체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의 제1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의 제2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의 제1 관통공과 제2 관통공의 상대 위치에 따른 관통 영역의 개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과 시린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의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1)을 전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1)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1)의 제1 부재(10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1)의 제2 부재(2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 및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1)의 제1 관통공(120)과 제2 관통공(230)의 상대 위치에 따른 관통 영역의 개폐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 내지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1)과 시린지(S)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1)은, 시린지(S) 내에 배치되는 피스톤(1)에 있어서, 소정의 두께를 갖고 중심축을 갖는 원반형으로 구성되는 몸체(110)를 갖는 제1 부재(100); 소정의 두께를 갖고 중심축을 갖는 원반형으로 구성되는 본체(220)를 갖는 제2 부재(200);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110)에는 하나 이상의 제1 관통공(120)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220)에는 하나 이상의 제2 관통공(230)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관통공(120)은 상기 중심축과 원주 사이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110)를 중심축 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제2 관통공(230)은 상기 중심축과 원주 사이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220)를 중심축 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제1 부재(100)와 제2 부재(200)는 중심축을 공유하도록 동심으로 배치되며,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서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제1 부재(100)와 제2 부재(200)의 상대 회전에 따라서, 상기 제1 관통공(120)과 상기 제2 관통공(230)이 서로 일 부분 중첩되어 상기 제1 관통공(120)과 제2 관통공(230)을 관통하는 관통 영역이 형성되거나, 상기 제1 관통공(120)과 상기 제2 관통공(230)이 서로 중첩되지 아니하여 물질의 유통이 제어되게 구성된다.
제1 부재(100)는 소정의 두께를 갖고 중심축을 갖는 원반형으로 구성되는 몸체(110)를 갖는다. 한편, 제1 부재(1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원주의 외주에 원통형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외판(210)을 더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원통형 외관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몸체(110)에는 하나 이상의 제1 관통공(120)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관통공(120)은 중심축과 원주 사이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110)를 중심축 방향으로 관통한다. 따라서, 제1 관통공(120)을 통해서 물질의 출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원주라 함은 몸체(110)의 원둘레를 지칭한다.
제2 부재(200) 또한 소정의 두께를 갖고 중심축을 갖는 원반형으로 구성되는 본체(220)를 갖는다. 상기 본체(220)에는 하나 이상의 제2 관통공(230)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관통공(230) 또한 제1 관통공(120)과 같이 상기 중심축과 원주 사이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220)를 중심축 방향으로 관통한다. 따라서, 제2 관통공(230)을 통해서 물질의 출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부재(100)와 제2 부재(200)는 상기 중심축을 공유하도록 동심으로 배치되며,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서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1 부재(100)와 제2 부재(200)의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서, 상기 제1 관통공(120)과 상기 제2 관통공(230) 사이의 위치가 가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1 관통공(120)과 상기 제2 관통공(230)이 서로 일 부분 중첩되거나 또는 서로 전혀 겹쳐지지 아니하여 서로를 폐쇄하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도 5 와 같이 상기 제1 관통공(120)과 제2 관통공(230)이 서로 중첩될 경우, 피스톤(1)을 중심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영역이 형성됨으로써 물질이 피스톤(1)을 사이에 두고 출입할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제1 관통공(120)과 상기 제2 관통공(230)이 전혀 서로 중첩되지 아니할 경우, 관통 영역이 형성되지 않고 물질의 유통이 차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물질의 유통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부재(100)와 상기 제2 부재(200)는 서로 밀착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1 관통공(120)과 제2 관통공(230)이 서로 중첩되지 아니할 경우 물질의 유통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관통 영역의 면적을 조절하여 물질의 유통량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서,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1)이 원심 분리 등에 사용되는 시린지(S)에 배치되어 사용될 경우, 원심 분리에 따라서 분리된 물질을 피스톤(1) 내, 외의 공간으로 유통시킬 수 있고, 원심 분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원심 분리 과정에서, 중량에 따라 물질이 분리되며 상기 피스톤(1)이 원주의 외측에 위치시키도록 원심 분리를 수행할 경우 무거울 물질이 상기 피스톤(1) 쪽에 위치하도록 분리된다. 상기 제1 관통공(120)과 제2 관통공(230)이 서로 중첩되어 개방되도록 하면 피스톤(1)을 통과하여 분리된 물질의 배출이 가능해질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유통의 제어는 단순히 제1 부재(100)와 제2 부재(200) 사이의 상대 회전만으로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부재(200)는 상기 본체(220)의 외주부를 따라 중심축 방향으로 상기 본체(220)의 두께보다 연장되게 배치되는 원통형 외판(21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원통형 외판(210)의 내측 원주면과 상기 본체(220)는 원반형 삽입 영역(212)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 영역(212)에 상기 제1 부재(100)가 삽입되어 결합되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서, 상기 제2 부재(20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 외관을 가지며, 상기 원통 내에 상기 제1 부재(10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1 부재(100)와 제2 부재(200) 사이의 밀착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원환형 실 링(4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원통형 외판(210)의 외측 원주면에는 실링 홈(250)이 형성되며, 상기 실 링(400)은 상기 실링 홈(250)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피스톤(1)과 시린지(S) 내면 사이의 밀착이 달성될 수 있다. 한편, 실 링(400)은 링 형태의 실 링(400), 및 원통 형태의 실 링(600)이 각각 구비될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부재(100)와 제2 부재(200) 사이에는 소정의 메쉬(mesh)(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메쉬는 예컨대 소정의 체와 같이 구성되는 철망, 그물망 등으로 구성되며, 메쉬를 통하는 물질을 입자의 크기에 따라서 걸러 구분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1 관통공(120)과 제2 관통공(230)을 통과하는 물질의 분리가 더욱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쉬가 갖는 통공의 크기는 한정하지 아니한다. 아울러, 상기 메쉬는 상기 삽입 영역(212)에 배치되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1 관통공(120)과 제2 관통공(230)의 구체적인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관통공(120)과 제2 관통공(230)은 복수 개 형성되되, 각각 중심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게 현성될 수 있다. 즉,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관통공(120)과 제2 관통공(230)은 복수 개 형성되며, 각각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고 원주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는 방사형 배치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관통공(120)과 제2 관통공(230) 중 적어도 하나는, 중심축과 원주 사이로 연장되도록 소정의 폭 및 길이를 갖는 슬릿(slit) 형태로 구성된다. 즉,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관통공(120)은 소정의 폭 A 를 갖고 원주와 중심축 사이로 연장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슬릿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제2 관통공(230)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관통공(120)과 제2 관통공(230) 중 적어도 하나는 중심축 방향에 중심각이 위치하며 원주 방향에 호가 위치하는 부채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관통공(230)은 소정의 폭 B 를 갖는 호가 원주 방향에 배치되게 구성되며 중심축 방향에 중심각이 위치하는 부채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제1 관통공(120)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관통공(120)과 제2 관통공(230)은, 서로 상이한 면적을 갖게 구성된다. 즉,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관통공(120)과 제2 관통공(230)은 서로 상이한 면적을 가져서, 관통 영역과 밀폐 영역의 조절 및 그에 따른 물질의 출입 제어를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제1 관통공(120)의 폭 A 및 제2 관통공(230)의 호의 폭 B 를 서로 상이하게 하는 구성을 통해 이를 달성할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서, 제1 관통공(120)과 제2 관통공(230) 사이의 상대 위치가 효과적으로 조절되며, 따라서 관통 영역과 밀폐 영역이 조절되어 물질 사이의 출입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소정 길이를 갖는 축 돌출부(300);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부재(100)와 제2 부재(200)의 중심에는 중심축을 관통하는 축공(130, 240)이 형성되며, 상기 축 돌출부(300)는 상기 축공(130, 240)에 삽입되게 배치된다.
즉,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부재(100)와 제2 부재(200)의 중심에는 각각 중심축을 관통하는 축공(130, 240)이 형성된다. 상기 축공(130, 240)은 제1 부재(100)와 제2 부재(200)의 중심에 형성되며, 중심축을 관통하여 제1 부재(100)와 제2 부재(200)의 축공(130, 240)은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축공(130, 240) 내에 소정의 축 돌출부(300)가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축 돌출부(300)는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축공(130, 240) 및 축 돌출부(300)가 마련됨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1)을 시린지(S) 내에 배치시켜 사용할 때, 시린지(S) 내의 물질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축 돌출부(300)가 시린지(S) 내의 면에 충분히 밀착하여 시린지(S) 내에 물질이 잔류함이 없도록 시린지(S) 내의 물질을 충분히 배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부재(200)는 상기 본체(220)의 외주부를 따라 중심축 방향으로 상기 본체(220)의 두께보다 연장되게 배치되는 원통형 외판(21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원통형 외판(210)의 내측 원주면과 상기 본체(220)는 원반형 삽입 영역(212)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 영역(212)에 상기 제1 부재(100)가 삽입되어 결합되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서, 상기 제2 부재(20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 외관을 가지며, 상기 원통 내에 상기 제1 부재(10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1 부재(100)와 제2 부재(200) 사이의 밀착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무게를 갖는 중량 부재(5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량 부재(500)는 소정의 두께 및 중심축을 갖는 원반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부재(200)는, 상기 제1 부재(100)와 상기 중량 부재(500) 사이에 배치된다.
중량 부재(500)는 소정의 중량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며, 예컨대 철, 알루미늄 등의 비교적 높은 중량을 갖는 금속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량 부재(500)는 제1 부재(100)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두께 및 중심축을 갖는 원반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 부재(200)가 상기 제1 부재(100)와 상기 중량 부재(500) 사이에 배치되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부재(200)가 상기 본체(220)의 외주부를 따라 중심축 방향으로 상기 본체(220)의 두께보다 연장되게 배치되는 원통형 외판(21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원통형 외판(210)의 내측 원주면과 상기 본체(220)는 원반형 삽입 영역(212)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량 부재(500) 또한 상기 삽입 영역(212)에 배치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 영역(212)은 상기 본체(220)를 중심으로 양 측면에 형성되며, 일 측에는 상기 제1 부재(100)가 삽입되고 타 측에는 상기 중량 부재(500)가 삽입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중량 부재(500)를 가짐에 따라서, 원심 분리가 더욱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을 한정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또한 설명되지는 않았으나, 균등한 수단도 또한 본 발명에 그대로 결합되는 것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피스톤
100: 제1 부재
110: 몸체
120: 제1 관통공
130: 축공
200: 제2 부재
210: 원통형 외판
212: 삽입 영역
220: 본체
230: 제2 관통공
240: 축공
250: 실링 홈
300: 축 돌출부
400: 실 링
500: 중량 부재
600: 실 링
S: 시린지

Claims (12)

  1. 시린지 내에 배치되는 피스톤에 있어서,
    소정의 두께를 갖고 중심축을 갖는 원반형으로 구성되는 몸체를 갖는 제1 부재;
    소정의 두께를 갖고 중심축을 갖는 원반형으로 구성되는 본체를 갖는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에는 하나 이상의 제1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하나 이상의 제2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관통공은 상기 중심축과 원주 사이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를 중심축 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제2 관통공은 상기 중심축과 원주 사이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중심축 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는,
    중심축을 공유하도록 동심으로 배치되며,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서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의 상대 회전에 따라서,
    상기 제1 관통공과 상기 제2 관통공이 서로 일 부분 중첩되어 상기 제1 관통공과 제2 관통공을 관통하는 관통 영역이 형성되거나,
    상기 제1 관통공과 상기 제2 관통공이 서로 중첩되지 아니하여 물질의 유통이 제어되게 구성되며,
    상기 제1 관통공과 제2 관통공은 복수 개 형성되되,
    각각 중심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관통공과 제2 관통공은, 서로 상이한 면적을 갖고
    상기 제1 관통공은, 중심축과 원주 사이로 연장되도록 소정의 폭 및 길이를 갖는 슬릿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제2 관통공은 중심축 방향에 중심각이 위치하며 원주 방향에 호가 위치하는 부채꼴 형태로 형성된 피스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는 서로 밀착하게 배치되는 피스톤.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소정 길이를 갖는 축 돌출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의 중심에는 중심축을 관통하는 축공이 형성되며,
    상기 축 돌출부는 상기 축공에 삽입되게 배치되는 피스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본체의 외주부를 따라 중심축 방향으로 상기 본체의 두께보다 연장되게 배치되는 원통형 외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원통형 외판의 내측 원주면과 상기 본체는 원반형 삽입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 영역에 상기 제1 부재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피스톤.
  9. 제 8 항에 있어서,
    원환형 실 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원통형 외판의 외측 원주면에는 실링 홈이 형성되며,
    상기 실 링은 상기 실링 홈에 배치되는 피스톤.
  10. 제 1 항에 있어서,
    소정의 무게를 갖는 중량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량 부재는 소정의 두께 및 중심축을 갖는 원반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중량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피스톤.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에는,
    소정의 통공을 갖는 메쉬가 배치되는 피스톤.
  12. 제1항, 제2항, 및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피스톤을 포함하는 시린지.
KR1020140046939A 2014-04-18 2014-04-18 피스톤 KR102253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939A KR102253045B1 (ko) 2014-04-18 2014-04-18 피스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939A KR102253045B1 (ko) 2014-04-18 2014-04-18 피스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0797A KR20150120797A (ko) 2015-10-28
KR102253045B1 true KR102253045B1 (ko) 2021-05-18

Family

ID=54428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6939A KR102253045B1 (ko) 2014-04-18 2014-04-18 피스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30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5496B1 (ko) 2017-09-05 2019-09-25 이준석 원심분리용 피스톤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분리 장치
WO2019050248A1 (ko) 2017-09-05 2019-03-14 이준석 원심분리용 피스톤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분리 장치
KR102446918B1 (ko) * 2021-08-26 2022-09-26 (주)비에스엘레스트 원심분리용 피스톤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분리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67004A1 (en) 1999-07-08 2004-08-26 Jorgensen Glen E. Platelet concentration syringe kit
KR100628364B1 (ko) 2005-07-07 2006-09-27 메디칸(주) 지방 흡입 이식용 주사기의 피스턴
KR200435652Y1 (ko) 2006-09-29 2007-02-05 메디칸(주) 의료용 주사기 세트, 의료용 주사기 및 착탈식 주사바늘 고정장치
KR101150529B1 (ko) 2011-01-18 2012-05-31 양현진 지방 분리용 주사기 및 그 주사기를 이용한 지방 분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3669B1 (ko) * 2004-06-23 2006-02-24 메디칸(주) 지방 흡입 이식용 주사기의 피스턴
JP4784605B2 (ja) 2005-08-01 2011-10-05 ニプロ株式会社 注射器用プランジャーとこれを用いたシリンジ及び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KR101087653B1 (ko) * 2008-11-13 2011-11-30 이희영 다혈소판 혈장의 제조방법
KR20110012312A (ko) * 2009-07-30 2011-02-09 한상범 혈액 원심 분리형 주사기
KR101283886B1 (ko) * 2011-06-20 2013-07-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원심분리용 주사기 및 원심분리방법
KR101350867B1 (ko) * 2011-01-18 2014-01-13 양현진 비중 구분용 주사기 및 지방 분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67004A1 (en) 1999-07-08 2004-08-26 Jorgensen Glen E. Platelet concentration syringe kit
KR100628364B1 (ko) 2005-07-07 2006-09-27 메디칸(주) 지방 흡입 이식용 주사기의 피스턴
KR200435652Y1 (ko) 2006-09-29 2007-02-05 메디칸(주) 의료용 주사기 세트, 의료용 주사기 및 착탈식 주사바늘 고정장치
KR101150529B1 (ko) 2011-01-18 2012-05-31 양현진 지방 분리용 주사기 및 그 주사기를 이용한 지방 분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0797A (ko) 2015-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3045B1 (ko) 피스톤
DE2262856C3 (de) Flexibler Einsatzbehälter für eine Zentrifuge
BR112015005027A2 (pt) combinação de uma lâmina de faca giratória anular, combinação de uma lâmina de faca giratória e arranjo de cabeça para um dermátomo operado por energia
US5528653A (en) Rotational coniformly-focused gamma radiating unit
US9333515B2 (en) Centrifugal separator having an inlet with wear resistance members, and a feed zone element with wear resistance members
AU2016320415B2 (en) Filtering Syringe
DE102015120943A1 (de) Torsionsschwingungsreduziervorrichtung
EP1786565B1 (de) Selbstentleerender separator mit tellerpaket
EA20090035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сеивания гранулирова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 вращающаяся измельчающая установка, использующая такое устройство
MX2019001964A (es) Rueda guia estriada para resistencia a las ondulaciones.
RU2016105118A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е взвеш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US2778282A (en) Pulp refining apparatus
CN105705201B (zh) 放射源组件及具有该放射源组件的治疗头及伽玛刀
BR112016014528A2 (pt) Cápsula para preparar uma infusão de um produto em pó, em especial de café americano e método para obter uma infusão de um produto em pó
CA2833700C (en) Discharge grate assembly
US5131170A (en) Freeze-drying apparatus
CN105156468B (zh) 具有内圈相对于外圈进行角度调整的装置的滚动轴承
CA3101105C (fr) Dispositif de veille proximale
CN104886747B (zh) 用于烟草加工行业的干燥滚筒的介质穿通装置
CN117396109B (zh) 烹饪装置
DE925945C (de) Vorrichtung zum Aufloesen, Homogenisieren, Mischen und Verreiben von fluessigen und streichfaehigen Massen
JP2013223848A (ja) 選別装置
KR20180001855A (ko) Cnc 선반용 절삭유 및 이물질 침투방지 고속 베어링 센터
Laris Drones keep entering no-fly zones over Washington, raising security concerns
TWM542335U (zh) 培育菇類太空包及其封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