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3886B1 - 원심분리용 주사기 및 원심분리방법 - Google Patents

원심분리용 주사기 및 원심분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3886B1
KR101283886B1 KR1020110059743A KR20110059743A KR101283886B1 KR 101283886 B1 KR101283886 B1 KR 101283886B1 KR 1020110059743 A KR1020110059743 A KR 1020110059743A KR 20110059743 A KR20110059743 A KR 20110059743A KR 101283886 B1 KR101283886 B1 KR 101283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barrel
syringe
plunger body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9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40092A (ko
Inventor
조현철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59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3886B1/ko
Priority to PCT/KR2011/007556 priority patent/WO2012050351A2/ko
Priority to US13/878,995 priority patent/US9956554B2/en
Priority to EP11832738.6A priority patent/EP2638968B1/en
Publication of KR20120140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40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3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3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11Piston or piston-rod constructions, e.g. connection of piston with piston-r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5/00Other centrifuges
    • B04B5/02Centrifug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parate bowls rotating round an axis situated between the bow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일단에 노즐이 형성된 배럴 및 상기 배럴의 타단에서 상기 배럴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플런저를 포함하는 원심분리용 주사기는, 원심분리를 통해 목적물을 분리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되, 상기 플런저는 배럴 및 플런저의 헤드 사이의 공간과 연결되는 통로를 제공하고, 원심분리 후 플런저의 상기 헤드에 인접한 물질을 플런저의 통로를 통해 배럴 내부의 다른 물질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심분리용 주사기 및 원심분리방법{SYRINGE AND METHOD FOR CENTRIFUGING}
본 발명은 원심분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원심분리장치에서도 바로 사용 및 물질 분리가 가능한 원심분리용 주사기 및 그 주사기를 이용한 원심분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혈액(blood)은 크게 고형 성분인 혈구와 액체 성분인 혈장으로 구분될 수 있다. 혈구는 적혈구, 백혈구 및 혈소판으로 이루어져 있고, 혈장은 주로 수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기에 생명유지에 필수적인 혈액응고인자, 전해질 등이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혈액은 다양한 성분의 혼합물로서, 여러 의학적 목적으로 인해 혈액을 분리하여 목적 성분을 추출하는 공정이 널리 이용되고 있는바, 그 중 원심분리기를 이용한 혈액 원심분리 공정과 특정 조성물을 이용한 공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혈액의 원심분리 공정은 일정 속도로 혈액을 회전시켜 혈액을 구성하는 각 성분의 비중 차를 이용하여 층간 분리를 수행하는 공정을 의미하며, 혈액을 원심분리할 경우 가장 무거운 적혈구가 하층(바깥쪽)을 이루고 그로부터 상부(안쪽)로 백혈구, 혈장, 혈청 층이 형성된다.
한편, 혈장 중에서 PRP(Platelet Rich Plasma:혈소판 농축 혈장)는 비교적 혈장의 하부에 위치하며, 혈액의 응고나 지혈작용에 관여하여 수술 시 용이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PRP는 싸이토카인, PDCF, TGF-BETA1, VEGP 등의 성장인자를 포함하고 있는 바, 이는 피부의 질환과 상처 치유에서 좋은 효과를 도출하고 있다고 논문 등의 자료에서 밝혀지고 있다.
그런데, 기존에는 혈액에서 혈소판과 같은 목적 성분을 추출하는 추출과정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즉, 현재 널리 이용되고 있는 혈액의 원심분리 공정에 의하면, 적혈구의 경우 혈액으로부터 한번의 원심분리 과정을 통해서 원심분리할 수 있으나, 혈소판의 경우에는 혈액으로부터 적혈구를 원심분리한 후, 적혈구 이외의 부분을 다시 원심분리함으로써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혈소판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2곳 이상의 서로 다른 원심분리 공간에서 각각 원심분리 과정을 거쳐야 하는 불편함 및 번거로움이 있으며, 원심분리 과정에서 혈액을 옮겨 닮아야 하기 때문에 혈액이 외부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에는 혈액 목적 성분의 분리과정에 소용되는 시간이 길어, 환자에서 혈액을 채취한 뒤 혈소판과 같은 목적 성분을 분리한 다음 곧바로 환자에게 해당 목적 성분을 이용한 시술을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혈액과 같은 처리대상물을 보다 신속하고 간단하게 원심분리할 수 있도록 한 원심분리방법에 관한 여러 가지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처리대상물로부터 목적 성분을 보다 신속하고 간단하게 추출할 수 있는 원심분리방법 및 원심분리용 주사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처리대상물의 외부 노출 또는 이동 없이 처리대상물으로부터 목적 성분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으며, 외부 노출에 따른 변형 및 감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원심분리방법 및 원심분리용 주사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한번의 원심분리 과정을 통해서도 목적 성분을 다른 성분으로부터 분리하고, 바로 주사기에서 이용할 수 있으며, 처리대상물의 원심분리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원심분리방법 및 원심분리용 주사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처리대상물로부터 추출된 목적 성분을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원심분리용 주사기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단에 노즐이 형성된 배럴 및 상기 배럴의 타단에서 상기 배럴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플런저를 포함하는 원심분리용 주사기는, 원심분리를 통해 목적물을 분리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되, 상기 플런저는 배럴 및 플런저의 헤드 사이의 공간과 연결되는 통로를 제공하고, 원심분리 후 플런저의 상기 헤드에 인접한 물질을 플런저의 통로를 통해 배럴 내부의 다른 물질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사기는 굳이 주사기를 뒤집지 않더라도 배럴 내부에서 플런저 헤드에 인접한 물질을 통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거나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럴 내부에 목적 성분만 남기고 나머지 성분을 목적 성분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는 배럴 내부에 잔류하는 목적 성분 등을 주사기를 통해 주입함으로써 이용할 수가 있다. 여기서 통로를 통해 분리되는 성분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통로에 분리하고자 하는 성분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도록 할 수도 있다.
혈액으로부터 PRP를 원심분리로 분리하는 경우, 아래부터 적혈구, PRP, 혈장이 층 분리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주사기를 이용하면 아래의 노즐로는 적혈구를 분리하고, 위의 혈장은 플런저의 통로를 통해 분리될 수가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주사기의 배럴 내부에는 PRP 또는 고밀도 혈소판을 포함하는 혈장만 남길 수 있으며, 주사기에 바늘을 장착함으로써 바로 신체에 주입하거나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가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혈액 및 그 성분들은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며, 위생적인 과정을 통해서 간편한 PRP 분리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일단에 노즐이 형성된 배럴 및 상기 배럴의 타단에서 배럴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플런저를 포함하는 주사기를 이용하여 원심분리를 수행하는 원심분리방법은, 플런저 내부로 배럴 및 플런저의 헤드 사이의 공간과 연결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단계, 배럴 및 플런저 헤드 사이의 공간으로 처리대상물을 충진하는 단계, 주사기 내의 처리대상물을 원심분리하는 단계, 및 플런저의 헤드에 인접한 물질을 상기 플런저의 통로를 통해 배럴 내부의 다른 물질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원심분리 이후 중간에 있는 목적 성분을 분리하기 위해서, 목적 성분의 아래 위로 있는 성분을 각각 노즐 또는 통로를 통해 분리시킬 수 있으며, 2개 층으로 분리된 영역에서 목적 성분이나 나머지 성분 하나만 분리하는 경우에도 사용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원심분리용 주사기 및 원심분리방법은 처리대상물로부터 목적 성분을 적은 수의 원심분리를 거쳐 바로 주사기 내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원심분리 과정에서 처리대상물이나 목적 성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안전하고, 신속하고 간단하게 목적 성분을 분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심분리 과정에서 처리대상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부 노출에 따른 변형 및 감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한번의 원심분리 과정을 통해서도 목적 성분을 다른 성분으로부터 분리하고, 목적 성분의 위 아래 층을 배럴로부터 분리하여 목적 성분만 쉽게 남길 수 있으며, 원심분리 회수를 줄여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심분리용 주사기 및 원심분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심분리용 주사기 및 원심분리방법에 따른 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용 주사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원심분리용 주사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용 주사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원심분리용 주사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용 주사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원심분리용 주사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용 주사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원심분리용 주사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원심분리용 주사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용 주사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원심분리용 주사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심분리용 주사기 및 원심분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심분리용 주사기 및 원심분리방법에 따른 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용 주사기(100)는 기본적으로 배럴(110) 및 플런저(120)를 포함한다. 배럴(110) 및 플런저(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주사기 구조를 가질 수 있지만, 다르게는 플런저의 이동에 의해서 배럴 내부의 약액을 주입하거나 외부 액체를 흡입할 수 있는 다른 수동 또는 자동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런저(120)의 내부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통로(160)가 제공된다. 상기 통로(160)는 외부와 통하는 연결홀(165)을 통해 다른 흡입장치(10) 또는 다른 주사기(20)와 연결될 수 있으며, 플런저(120)의 헤드(122)에 인접한 물질을 노즐(112)이 아닌 플런저(120)의 경로를 통해서 배출 또는 이동시킬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럴(110) 내부의 처리대상물 중 목적 성분(34) 이외의 분리되는 성분(32, 36)은 노즐(112)이나 통로(16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통로(160)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는 것 외에도, 통로(160)에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의 (a)를 참조하면, 주사기(100)로 혈액 샘플(30)을 획득할 수 있다. 혈액 샘플(30)은 신체로부터 직접 획득되거나 다른 혈액 저장조로부터 획득될 수도 있다.
도 1의 (b)를 참조하면, 주사기(100) 내의 혈액 샘플(30)을 원심분리기를 통해 원심분리 시킬 수가 있다. 원심분리 후, 혈액 샘플은 대략 아래에서부터 적혈구(32), PRP(34) 및 혈장(36) 층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대략적으로 PRP(34)는 중간 층에 위치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원심분리 과정에서 배럴(110) 및 플런저(120)는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플런저(120)가 배럴(110)에 이동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 다양한 고정 구조 및 장비가 사용될 수가 있다.
또한, 적혈구(32)는 배럴(110)의 내벽에 묻어 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럴(110)의 노즐(112) 측으로 원심분리 후의 적혈구(32) 양만큼 보조 챔버를 장작하고, 원심분리를 통해서 적혈구(32)가 배럴(110) 내부가 아닌 보조 챔버에 머물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의 (c)를 참조하면, 배럴(110)의 내부를 통해서 적혈구(32)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적혈구(32)와 PRP(34)의 경계까지 적혈구(32)를 배출할 수 있으며, PRP(34)의 상부로는 혈장(36)이 잔류할 수 있다.
도 1의 (d)를 참조하면, 통로(160)를 개방하고, 통로(160)를 통해 혈장(36)을 PRP(34)로부터 분리할 수가 있다. 혈장(36)은 별도의 흡입장치(10) 또는 다른 주사기(20)를 통해 분리시킬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통로(160)를 개폐하기 위한 다양한 밸브부재가 제공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통로(160)는 플런저(120) 내부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통로(160)의 일단은 플런저(120)의 헤드(122)에 형성되고, 타단은 플런저(120)의 반대편에 형성되어 배럴(110) 및 플런저(120)의 헤드(122) 사이의 공간을 외부와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과정을 통해서, 배럴(110) 내부에는 목적 성분인 PRP(34) 및 혈장 일부가 남게 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주사기(100) 내부에 남은 PRP(34)를 치료, 시술 또는 시험 등의 목적에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용 주사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원심분리용 주사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용 주사기(200)는 배럴(210), 플런저(220) 및 통로(260)를 포함하며, 플런저(220)는 배럴(210)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혈액이나 기타 샘플을 주입 또는 배출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플런저(220)는 제1 플런저 몸체(230) 및 제2 플런저 몸체(240)를 포함하는 2중 구조로 제공된다. 제1 플런저 몸체(230)는 배럴(210) 내면을 따라 이동하며, 제2 플런저 몸체(240)는 제1 플런저 몸체(230)의 내부에 삽입된다.
제1 플런저 몸체(230)는 원통형의 중공 형상으로 제공되며, 그 중심부로는 통로(260)를 제공하는 제1 파이프(232)가 제공된다. 제1 파이프(232)는 일단이 배럴(210)의 내부와 연결되며, 타단은 노즐의 반대편으로 연장된다. 제1 파이프(232)에 대응하여, 제2 플런저 몸체(240)에는 제1 파이프(232)를 수용할 수 있는 제2 파이프(242)가 제공된다. 제1 파이프(232) 및 제2 파이프(242)는 실링 가능한 구조로 제공된다.
제1 플런저 몸체(230) 및 제2 플런저 몸체(240)에는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연결홀(234, 244)이 각각 형성된다. 서로 '대응'한다 라고 함은, 제1 플런저 몸체(230) 및 제2 플런저 몸체(240)의 상대적인 움직임에 의해 연결홀(234, 244)이 상호 연통되거나 차단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파이프(232) 및 제2 파이프(242)의 단부에 연결홀(234, 244)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 플런저 몸체(240)의 회전에 대응하여 연결홀(234, 244)이 상호 연결 또는 차단될 수 있다.
제2 플런저 몸체(240)는 중앙에 제2 파이프(242)를 포함하며, 십자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1 플런저 몸체(230)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다. 제2 플런저 몸체(240)가 회전하여 연결홀(234, 244)이 상호 일치하는 경우, 외부로 흡입장치나 다른 주사기가 연결되어 플런저(220)의 헤드 또는 전방에 위치한 성분부터 외부로 배출할 수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용 주사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원심분리용 주사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용 주사기(300)는 배럴(310), 플런저(320) 및 통로(360)를 기본적으로 포함하며, 플런저(320)는 배럴(310)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혈액이나 기타 샘플을 주입 또는 배출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플런저(320)는 제1 플런저 몸체(330) 및 제2 플런저 몸체(340)를 포함하는 2중 구조로 제공된다. 제1 플런저 몸체(330)는 배럴(310) 내면을 따라 이동하며, 제2 플런저 몸체(340)는 제1 플런저 몸체(330)의 내부에 삽입되고, 직선 이동에 따라 연결홀(232)를 개폐할 수 있다.
제1 플런저 몸체(330)는 원통형의 중공 형상으로 제공되며, 그 중심부로는 통로(360)를 제공한다. 제2 플런저 몸체(340)는 제1 플런저 몸체(330)와 일단에서 나사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제공되며, 연결홀(334)에 대응하는 밸브체(344)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2 플런저 몸체(340)가 회전함으로써 전진하면 밸브체(344)가 연결홀(334)로부터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통로(360)가 개방되도록 할 수 있으며, 다시 밸브체(344)가 후진하면 연결홀(334)이 폐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런저 몸체(330) 내부의 통로(360)는 외부와 연결되지 않고, 하나의 저장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통로(360)를 개방한 후 플런저(320)를 앞으로 이동시켜 목적 성분 이외의 성분이 통로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가 있다. 필요한 경우, 통로(360)를 통해 분리된 성분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되, 통로(360) 내부에 음압을 형성하여 통로(360)로의 유입이 원활하도록 할 수가 있다. 물론, 통로(360)와 직접적으로 연결된 호스 또는 관을 이용하여 분리된 성분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용 주사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원심분리용 주사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용 주사기(400)는 배럴(410), 플런저(420) 및 통로(460)를 기본적으로 포함하며, 플런저(420)는 배럴(410)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혈액이나 기타 샘플을 주입 또는 배출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플런저(420)는 제1 플런저 몸체(430) 및 제2 플런저 몸체(440)를 포함하는 2중 구조로 제공된다. 제1 플런저 몸체(430)는 배럴(410) 내면을 따라 이동하며, 제2 플런저 몸체(440)는 제1 플런저 몸체(430)의 내부에 삽입되고, 직선 이동에 따라 연결홀(232)를 개폐할 수 있다.
제1 플런저 몸체(430)는 원통형의 중공 형상으로 제공되며, 그 중심부로는 통로(460)를 제공한다. 제2 플런저 몸체(440)는 제1 플런저 몸체(430)와 일단에서 나사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제공되며, 연결홀(434)에 대응하는 밸브체(444)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2 플런저 몸체(440)가 회전함으로써 후진하면 밸브체(444)가 연결홀(434)로부터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통로(460)가 개방되도록 할 수 있으며, 다시 밸브체(444)가 전진하면 연결홀(434)이 폐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런저 몸체(430) 내부의 통로(460)는 호스 등을 통해 외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하나의 저장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밸브체(444)를 후진 시켜 통로(460)를 개방한 후 플런저(420)를 앞으로 이동시켜 목적 성분 이외의 성분이 통로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가 있다. 필요한 경우, 외부의 흡입장치나 주사기를 통해 통로(460) 내부에 음압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음압 형성을 통해 통로(460)로의 성분 유입이 원활하도록 할 수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용 주사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원심분리용 주사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9의 원심분리용 주사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용 주사기(500)는 배럴(510), 플런저(520) 및 통로(560)를 포함하며, 플런저(520)는 배럴(510)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혈액이나 기타 샘플을 주입 또는 배출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플런저(520)는 제1 플런저 몸체(530) 및 제2 플런저 몸체(540)를 포함하는 2중 구조로 제공되며, 제1 플런저 몸체(520) 및 제2 플런저 몸체(530) 모두 중공형의 원통 형상으로 제공된다. 제1 플런저 몸체(530)는 배럴(510) 내면을 따라 이동하며, 제2 플런저 몸체(540)는 제1 플런저 몸체(530)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삽입된다. 따라서 통로(560)는 제2 플런저 몸체(540)의 내면으로 제공된다.
제1 플런저 몸체(530) 및 제2 플런저 몸체(540)의 정면 단부, 즉 헤드 측으로 연결홀(534, 544)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연결홀(534, 544)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홀(534, 544)은 플런저 몸체(530, 540) 간의 상호 회전에 의해서 일치하여 통로(560)를 개방할 수 있으며, 역시 상호 회전에 의해서 통로(570)를 차단할 수가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플런저 몸체(530) 내부의 통로(560)는 또 다른 연결홀(536, 546)을 통해 외부와 연결될 수 있으며, 통로(560)를 개방한 후 플런저(520)를 앞으로 이동시켜 목적 성분 이외의 성분이 통로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가 있다. 이 때, 통로(560)를 통해 분리된 성분이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다른 연결홀(536, 546)을 통해 통로(560) 내부에 음압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용 주사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원심분리용 주사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용 주사기(600)는 배럴(610), 플런저(620) 및 통로를 포함하며, 플런저(620)는 배럴(610)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혈액이나 기타 샘플을 주입 또는 배출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플런저(620)는 제1 플런저 몸체(630) 및 제2 플런저 몸체(640)를 포함하는 2중 구조로 제공되며, 제1 플런저 몸체(620)는 제2 플런저 몸체(630)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제공된다. 제1 플런저 몸체(630)는 배럴(610) 내면을 따라 이동하며, 제2 플런저 몸체(640)는 제1 플런저 몸체(630)의 중심축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다. 통로는 제2 플런저 몸체(640)의 내면으로 제공된다.
제1 플런저 몸체(630) 및 제2 플런저 몸체(640)의 정면 단부, 즉 헤드 측으로 연결홀(634, 644)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연결홀(634, 644)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홀(634, 644)은 플런저 몸체(630, 640) 간의 상호 회전에 의해서 일치하여 통로를 개방할 수 있으며, 역시 상호 회전에 의해서 통로를 차단할 수가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플런저 몸체(630) 내부의 통로(660)는 또 다른 연결홀(646)을 통해 외부와 연결될 수 있으며, 통로를 개방한 후 플런저(620)를 앞으로 이동시켜 목적 성분 이외의 성분이 통로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가 있다. 이 때, 통로(660)를 통해 분리된 성분이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다른 연결홀(646)을 통해 통로(660) 내부에 음압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원심분리용 주사기 110 : 배럴
112 : 노즐 120 : 플런저
160 : 통로

Claims (16)

  1. 일단에 노즐이 형성된 배럴 및 상기 배럴의 타단에서 상기 배럴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플런저를 포함하며, 원심분리를 통해 목적물을 분리하는 원심분리용 주사기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배럴 및 상기 플런저의 헤드 사이의 공간과 연결되는 통로를 제공하고, 상기 주사기는 원심분리 후 상기 플런저의 상기 헤드에 인접한 물질을 상기 플런저의 상기 통로를 통해 상기 배럴 내부의 다른 물질로부터 분리할 수 있되,
    상기 플런저는 상기 배럴의 내면에 접하는 제1 플런저 몸체 및 상기 제1 플런저 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2 플런저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플런저 몸체는 상기 통로를 제공하는 제1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플런저 몸체는 상기 제1 파이프를 수용하는 제2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파이프에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파이프 간의 상대적 회전에 의해서 상기 연결홀이 상호 연결 또는 차단되어 상기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용 주사기.
  2. 일단에 노즐이 형성된 배럴 및 상기 배럴의 타단에서 상기 배럴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플런저를 포함하며, 원심분리를 통해 목적물을 분리하는 원심분리용 주사기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배럴 및 상기 플런저의 헤드 사이의 공간과 연결되는 통로를 제공하고, 상기 주사기는 원심분리 후 상기 플런저의 상기 헤드에 인접한 물질을 상기 플런저의 상기 통로를 통해 상기 배럴 내부의 다른 물질로부터 분리할 수 있되,
    상기 플런저는 상기 배럴의 내면에 접하는 제1 플런저 몸체 및 상기 제1 플런저 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2 플런저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플런저 몸체는 중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배럴 내부를 향하는 상기 제1 및 제2 플런저 몸체의 단부에는 상호 대응되도록 연결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플런저 몸체 간의 상대적 회전에 의해서 상기 연결홀이 상호 연결 또는 차단되어 상기 제2 플런저 몸체의 내부에 정의된 상기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용 주사기.
  3. 일단에 노즐이 형성된 배럴 및 상기 배럴의 타단에서 상기 배럴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플런저를 포함하며, 원심분리를 통해 목적물을 분리하는 원심분리용 주사기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배럴 및 상기 플런저의 헤드 사이의 공간과 연결되는 통로를 제공하고, 상기 주사기는 원심분리 후 상기 플런저의 상기 헤드에 인접한 물질을 상기 플런저의 상기 통로를 통해 상기 배럴 내부의 다른 물질로부터 분리할 수 있되,
    상기 플런저는 상기 배럴의 내면에 접하는 제1 플런저 몸체 및 상기 제1 플런저 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2 플런저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플런저 몸체는 상기 제1 플런저 몸체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배럴 내부를 향하는 상기 제1 플런저 몸체의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런저 몸체의 단부에는 상기 연결홀에 대응하는 밸브체가 형성되어, 상기 제2 플런저 몸체의 길이 방향 이동에 의해서 상기 연결홀이 개방 또는 폐쇄되고, 상기 제1 플런저 몸체의 내부에 정의된 상기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용 주사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밸브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용 주사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상기 플런저 내부를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용 주사기.
  6. 삭제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외부와 연결된 연결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외부와 연결된 연결홀을 통해 상기 통로 내부로 유입된 물질을 상기 플런저 외부로 배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용 주사기.
  8. 일단에 노즐이 형성된 배럴 및 상기 배럴의 타단에서 상기 배럴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플런저를 포함하는 주사기를 이용하여 원심분리를 수행하는 원심분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내부로 상기 배럴 및 상기 플런저의 헤드 사이의 공간과 연결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배럴 및 상기 플런저 헤드 사이의 공간으로 처리대상물을 충진하는 단계; 상기 주사기 내의 처리대상물을 원심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플런저의 상기 헤드에 인접한 물질을 상기 플런저의 상기 통로를 통해 상기 배럴 내부의 다른 물질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플런저는 상기 배럴의 내면에 접하는 제1 플런저 몸체 및 상기 제1 플런저 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2 플런저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플런저 몸체는 상기 통로를 제공하는 제1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플런저 몸체는 상기 제1 파이프를 수용하는 제2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파이프에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홀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파이프 간의 상대적 회전에 의해서 상기 연결홀이 상호 연결 또는 차단되도록 하여 상기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방법.
  9. 일단에 노즐이 형성된 배럴 및 상기 배럴의 타단에서 상기 배럴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플런저를 포함하는 주사기를 이용하여 원심분리를 수행하는 원심분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내부로 상기 배럴 및 상기 플런저의 헤드 사이의 공간과 연결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배럴 및 상기 플런저 헤드 사이의 공간으로 처리대상물을 충진하는 단계; 상기 주사기 내의 처리대상물을 원심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플런저의 상기 헤드에 인접한 물질을 상기 플런저의 상기 통로를 통해 상기 배럴 내부의 다른 물질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플런저는 상기 배럴의 내면에 접하는 제1 플런저 몸체 및 상기 제1 플런저 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2 플런저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플런저 몸체는 중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배럴 내부를 향하는 상기 제1 및 제2 플런저 몸체의 단부에는 상호 대응되도록 연결홀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플런저 몸체 간의 상대적 회전에 의해서 상기 연결홀이 상호 연결 또는 차단되도록 하여 상기 제2 플런저 몸체의 내부에 정의된 상기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방법.
  10. 일단에 노즐이 형성된 배럴 및 상기 배럴의 타단에서 상기 배럴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플런저를 포함하는 주사기를 이용하여 원심분리를 수행하는 원심분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내부로 상기 배럴 및 상기 플런저의 헤드 사이의 공간과 연결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배럴 및 상기 플런저 헤드 사이의 공간으로 처리대상물을 충진하는 단계; 상기 주사기 내의 처리대상물을 원심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플런저의 상기 헤드에 인접한 물질을 상기 플런저의 상기 통로를 통해 상기 배럴 내부의 다른 물질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플런저는 상기 배럴의 내면에 접하는 제1 플런저 몸체 및 상기 제1 플런저 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2 플런저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플런저 몸체는 상기 제1 플런저 몸체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배럴 내부를 향하는 상기 제1 플런저 몸체의 단부에는 연결홀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플런저 몸체의 단부에는 상기 연결홀에 대응하는 밸브체를 형성하고, 상기 제2 플런저 몸체의 길이 방향 이동에 의해서 상기 연결홀이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하여 상기 제1 플런저 몸체의 내부에 정의된 상기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방법.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심분리 후, 상기 배럴의 노즐에 인접한 물질을 상기 노즐을 통해 상기 배럴 내부의 다른 물질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방법.
  12.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상기 헤드에 인접한 물질을 흡입 또는 가압으로 상기 배럴 내부의 다른 물질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방법.
  13.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밸브부재를 제공하며, 상기 플런저의 상기 헤드에 인접한 물질을 상기 배럴 내부의 다른 물질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 선택적으로 상기 밸브부재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방법.
  14.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상기 플런저 내부를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방법.
  15. 삭제
  16.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외부와 연결된 연결홀을 더 형성하며, 상기 외부와 연결된 연결홀을 통해 상기 통로 내부로 유입된 물질을 상기 플런저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방법.
KR1020110059743A 2010-10-12 2011-06-20 원심분리용 주사기 및 원심분리방법 KR101283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743A KR101283886B1 (ko) 2011-06-20 2011-06-20 원심분리용 주사기 및 원심분리방법
PCT/KR2011/007556 WO2012050351A2 (ko) 2010-10-12 2011-10-12 원심분리방법 및 원심분리장치
US13/878,995 US9956554B2 (en) 2010-10-12 2011-10-12 Centrifugation method with a reversed syringe position
EP11832738.6A EP2638968B1 (en) 2010-10-12 2011-10-12 Centrifuga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743A KR101283886B1 (ko) 2011-06-20 2011-06-20 원심분리용 주사기 및 원심분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40092A KR20120140092A (ko) 2012-12-28
KR101283886B1 true KR101283886B1 (ko) 2013-07-08

Family

ID=47906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9743A KR101283886B1 (ko) 2010-10-12 2011-06-20 원심분리용 주사기 및 원심분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38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173B1 (ko) * 2014-02-21 2015-07-28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통로를 구비한 시린지
KR101569172B1 (ko) * 2015-05-27 2015-11-13 김준우 성분 분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597Y1 (ko) * 2013-10-29 2015-07-02 (주)차바이오메드 원심분리용 주사기
KR102253045B1 (ko) * 2014-04-18 2021-05-18 메디칸(주) 피스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309Y1 (ko) * 1990-01-06 1992-04-09 주식회사 효 원 보조 시험관이 내설된 혈액 검사용 채혈 주사기
US7452344B2 (en) * 1999-07-08 2008-11-18 Biomet 3I, Llc Platelet concentration syringe kit
KR20100054019A (ko) * 2008-11-13 2010-05-24 이희영 다혈소판 혈장의 제조방법
KR20110012312A (ko) * 2009-07-30 2011-02-09 한상범 혈액 원심 분리형 주사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309Y1 (ko) * 1990-01-06 1992-04-09 주식회사 효 원 보조 시험관이 내설된 혈액 검사용 채혈 주사기
US7452344B2 (en) * 1999-07-08 2008-11-18 Biomet 3I, Llc Platelet concentration syringe kit
KR20100054019A (ko) * 2008-11-13 2010-05-24 이희영 다혈소판 혈장의 제조방법
KR20110012312A (ko) * 2009-07-30 2011-02-09 한상범 혈액 원심 분리형 주사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173B1 (ko) * 2014-02-21 2015-07-28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통로를 구비한 시린지
KR101569172B1 (ko) * 2015-05-27 2015-11-13 김준우 성분 분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40092A (ko) 2012-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9201B1 (ko) 말초혈액 내의 조혈 줄기세포 및 중간엽 줄기세포의 추출을 위한 바이오 디바이스
US848595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parating constituents of biologic liquid mixtures
US8992862B2 (en) All-in-one means of separating blood components
KR101283886B1 (ko) 원심분리용 주사기 및 원심분리방법
KR101433293B1 (ko) 혈소판이 풍부한 성장인자 추출을 위한 혈액분리 및 추출장치
KR101406574B1 (ko) 혈액의 혈소판 농축 혈장 분리용 수집용구
KR101333789B1 (ko) 원심 분리 용기 및 그의 용도
KR101445322B1 (ko) 원심분리방법
KR101504819B1 (ko) 원심분리용 용기
KR101250353B1 (ko) 혈소판 축출 키트
JP7388621B2 (ja) 幹細胞を含む体液抽出用バイオキット
KR101928515B1 (ko) 원심분리방법
KR101617881B1 (ko) 원심분리방법 및 원심분리용 주사기
KR20140058032A (ko) 버피코트추출키트
KR101029255B1 (ko) 원심분리장치
KR101043231B1 (ko) 원심분리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어댑터
KR200477597Y1 (ko) 원심분리용 주사기
KR101730512B1 (ko) 원심분리방법
KR101043227B1 (ko) 원심분리방법 및 원심분리용 주사기
KR101655379B1 (ko) 원심분리용 주사기
KR101726948B1 (ko) 혈액 분리 키트 및 혈액 분리 방법
KR20170006820A (ko) 혈소판 농축 방법 및 이를 위한 농축기구
KR20140085284A (ko) 버피코트추출키트
KR101990633B1 (ko) 혈소판 농축 물질 추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