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2294B1 - 접이식 부이 - Google Patents

접이식 부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2294B1
KR102252294B1 KR1020200037841A KR20200037841A KR102252294B1 KR 102252294 B1 KR102252294 B1 KR 102252294B1 KR 1020200037841 A KR1020200037841 A KR 1020200037841A KR 20200037841 A KR20200037841 A KR 20200037841A KR 102252294 B1 KR102252294 B1 KR 102252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r
coupled
buoy
block member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혁
서힘찬
양원준
홍석인
최지웅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37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22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022/00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or watch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21/22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angular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요에 따라 접거나 펼쳐질 수 있어 휴대와 보관이 용이한 접이식 부이가제공된다. 접이식 부이는, 막대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바와, 지지바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동일 평면상에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부유체와, 일단부가 복수 개의 부유체에 각각 고정되고, 타단부가 지지바에 회동 가능하게 축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1 회동바와, 지지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블록부재와, 일단부가 복수 개의 제1 회동바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축결합되며, 타단부가 블록부재의 일측면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축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2 회동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접이식 부이{Folding type buoy}
본 발명은 접이식 부이에 관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 접거나 펼쳐질 수 있어 휴대와 보관이 용이한 접이식 부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상에서 풍향, 풍속, 온도, 습도, 수온, 기압, 파향 등과 같은 기상 및 해양 상태를 관측하기 위해 부이가 사용된다. 부이는 해운, 수산업, 해양 레저 등에도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수산업의 현대화 및 군사적 응용, 환경 감시 및 탐사활동이 활발하게 행해짐에 따라 해양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해양 환경 및 해양 관측 모니터링 장치로 널리 연구 및 사용되고 있다.
한편, 해상풍력단지에서 발생하는 운영소음은 지속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주변해역의 어획량, 어로 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어, 해상부이를 통해 지속적으로 수중소음을 모니터링하고 측정결과를 바탕으로 소음영향을 평가해야 한다.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해양부이는 크기와 중량이 크기 때문에 부이를 육상에서 운반할 때 장비나 인력이 동원되어야 하며, 해양에서 계류 및 회수가 어려워 단기간 모니터링의 목적에 있어서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부분의 해양부이는 부유체가 하나로 구성되어 있어 태풍, 해일과 같은 기상 현상 또는 선박충돌사고 등에 의해 파손될 경우 부이와 함께 설치된 고가의 장비들도 함께 파손 및 유실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부이를 필요로 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04803호("접이식 레이더 부이",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2016. 03. 1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48032호("해양 관측용 부이", 한국해양연구원, 2008. 07. 17)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12195호("부이", 미쯔이카가쿠 가부시기가이샤, 2006. 10. 31)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접거나 펼쳐질 수 있어 휴대와 보관이 용이한 접이식 부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접이식 부이는, 막대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동일 평면상에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부유체와, 일단부가 복수 개의 상기 부유체에 각각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바에 회동 가능하게 축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1 회동바와, 상기 지지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블록부재와, 일단부가 복수 개의 상기 제1 회동바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축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블록부재의 일측면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축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2 회동바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회동바는 타단부가 상부를 향하여 적어도 한번 굴절된 굴절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회동바는 일단부가 상기 굴절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블록부재는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여 내주면이 상기 지지바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배치되며, 내측과 외측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공에 결합되어 상기 블록부재를 상기 지지바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는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회동바와 축결합되는 복수 개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부재는 상기 돌출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부유체는 복수 개가 적층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의 상부에 결합되어 해양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하부에 결합되는 질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부유체는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이식 부이는 무게를 경량화하고 크기를 소형화 하여 수중 소음을 모니터링 할 경우 펼쳐서 사용하고, 회수 후에는 접어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고 휴대가 간편한 특징이 있다.
아울러, 접이식 부이는 해상풍력단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주변 해역에서의 어획량, 어로 등에 미치는 영향을 즉시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부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접이식 부이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3은 접이식 부이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접이식 부이의 부유체가 복수 개가 결합된 도면이다.
도 5는 접이식 부이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6 및 도 7은 접이식 부이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접이식 부이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접이식 부이의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 후에,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접이식 부이의 작동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접이식 부이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부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접이식 부이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3은 접이식 부이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접이식 부이의 부유체가 복수 개가 결합된 도면이고, 도 5는 접이식 부이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접이식 부이(1)는 해상에 부유 가능하게 설치되어 기상 및 해양 정보를 관측하고, 수중 소음을 모니터링 하기 위한 장치이다. 접이식 부이(1)는 환경 정보를 측정하거나 수중 소음을 모니터링 할 경우 해상에 부유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되며, 사용되지 않을 경우 회수되어 보관된다. 본 발명의 접이식 부이(1)는 접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해상에 펼쳐서 사용되거나 회수 후에는 접어 크기를 소형화 하고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휴대가 간편하고 운반 및 보관이 효율적인 특징이 있다. 이하,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접이식 부이(1)의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접이식 부이(1)는 해상에 부유 가능한 부유체(20)와, 부유체(20)를 연결하며 해상에 펼치거나 접기 위한 지지바(10). 블록부재(50), 제1 회동바(30), 및 제2 회동바(4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접이식 부이(1)는 막대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바(10)와, 지지바(1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동일 평면상에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부유체(20)와, 일단부가 복수 개의 부유체(20)에 각각 고정되고, 타단부가 지지바(10)에 회동 가능하게 축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1 회동바(30)와, 지지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블록부재(50)와, 일단부가 복수 개의 제1 회동바(3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축결합되며, 타단부가 블록부재(50)의 일측면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축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2 회동바(40)를 포함한다.
지지바(10)는 해수면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접이식 부이(1)의 중심축으로, 가느다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지지바(10)는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부에 빈 공간인 통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원통 또는 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도면에서와 같이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수직하게 배치된 지지바(10)는 하부에 질량부재(70)가 결합되고 상부에 센서부(도시하지 않음), 레이더(도시하지 않음), 경광등(도시하지 않음) 등이 결합된다.
질량부재(70)는 접이식 부이(1)의 균형과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바(10)의 끝단부에 배치되는 무게추를 예로 들 수 있으며, 접이식 부이(1)를 해저면에 계류하기 위한 고리부(71)를 형성할 수 있다.
센서부는 지지바(10)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어 해양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해류의 흐름, 수온, 기압, 풍향, 풍속 등을 측정하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는 단파를 해상에 발사하고 바다 표면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위상차를 분석하여 해수 흐름 정보를 측정하는 안테나와, 풍향 또는 풍속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측정 방법에 따라 해수면 위로 노출되도록 지지바(10)의 상부에 설치되거나, 해수에 잠기도록 지지바(1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송수신하여 해양 환경 및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한편, 지지바(10)의 상부에는 빛을 발산하는 경광등과 같은 발광부재가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지지바(10)는 외측에 복수 개의 부유체(20)가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이격 배치된다. 지지바(10)는 4개의 측면이 각각 복수 개의 부유체(20)와 마주하며,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돌출부를 포함하여 제1 회동바(30)에 의해 복수 개의 부유체(20)와 연결될 수 있다.
지지바(10)는 각각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돌출부를 포함한다. 제1 돌출부는 지지바(10)와 수직하도록 지지바(10)의 일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일측면의 가장자리에 한 쌍이 서로 마주하도록 이격 형성된다. 한 쌍의 제1 돌출부는 서로 이격되어 대칭을 이루며, 지지바(10)의 4개의 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 돌출부는 중앙에 양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중앙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 사이에 제1 회동바(30)가 배치되어 제1 축(3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축결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부유체(20)는 접이식 부이(1)를 해상에 부유시키기 위한 것으로, 해상에 부유 가능한 가볍고 부력이 큰 재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부유체(20)는 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접이식 부이(1)의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다. 부유체(20)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 개를 포함하며, 복수 개가 동일 평면상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된다. 부유체(20)는 복수 개가 지지바(10)의 각 측면과 마주하도록 이격되어 지지바(1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부유체(20)는 제1 회동바(30)에 의해 복수 개가 지지바(1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중심부에 상하면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되어 제1 회동바(30)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회동바(30)는 부유체(20)와 지지바(1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가늘고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부가 각각 부유체(20)와 지지바(10)에 연결된다. 제1 회동바(30)는 지지바(10)와 같이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각기둥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되, 서로 마주하는 측면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동바(30)는 도 2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상하면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돌출부와 결합되는 일측면도 개방되어 상부에서 또는 하부에서 바라보았을 때'ㄷ'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회동바(30)는 도 3을 기준으로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적어도 한번 굴절된 굴절부(32)를 형성하여 'ㄴ'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1 회동바(30)는 일단부가 나사부(60)와 너트에 의해 부유체(20)의 하면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하로 회동할 수 있도록 제1 돌출부에 축결합되어 제1 축(31)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제1 회동바(30)가 부유체(20)의 하부에 고정될 때, 부유체(20)의 하면에 밀착되는 제1 평판부재(33)에 의해 제1 회동바(30)가 부유체(20)에 가하는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제1 평판부재(33)는 평평한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구가 부유체(20)에 형성된 관통구와 연통되도록 일측면이 부유체(20)의 하면에 밀착 배치된다. 제1 평판부재(33)는 제1 회동바(30)가 부유체(20)에 고정될 때, 제1 회동바(30)가 부유체(20)에 압력을 가하여 부유체(20)의 형태가 변하는 현상을 방지하고, 제1 회동바(30)가 부유체(20)에 가하는 압력을 분산시키기 위한 것으로, 부유체(20)의 하면과 제1 회동바(30)의 일단부 사이에 배치된다. 제1 평판부재(33)는 제1 회동바(30)와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제1 회동바(30)의 일단부에 용접 등에 의해 제1 회동바(3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본명세서 상에서는 제1 회동바(30)가 제1 평판부재(33)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부유체(20)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평판부재(61)가 배치되며,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나사부(60)가 제2 평판부재(61), 부유체(20), 제1 평판부재(33)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제1 평판부재(33)의 외측에서 결합되는 너트부재에 의해 부유체(20)와 제1 회동바(30)의 일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부유체(20)는 제1 회동바(30)와 연결되어 제1 축(3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하면이 지지바(10)와 수직하게 펼쳐지거나, 상하면이 지지바(10)와 평행하게 접혀질 수 있다. 한편, 부유체(20)는 제2 회동바(40)와 블록부재(50)에 의해 지지바(10)에 안정적으로 연결되어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제2 회동바(40)는 부유체(20)와 지지바(1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로, 양단부가 제1 회동바(30)의 굴절부(32)와 지지바(10)에 결합된 블록부재(5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회동바(40)는 가늘고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으로 형성되며, 일단부가 굴절부(32)에 결합되어 제2 축(41)에 의해 회동 가능하며, 타단부가 블록부재(50)의 제2 돌출부(52)에 결합되어 제3 축(51)에 의해 회동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블록부재(50)를 설명한 후에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블록부재(50)는 부유체(20)를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접고 펼치기 위한 것으로, 지지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블록부재(50)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상하가 개방된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이 지지바(10)의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지지바(10)에 결합되어 지지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의 블록부재(50)는 지지바(10)의 외측에 결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외주면이 지지바(10)의 내주면과 마주하도록 지지바(10)의 내부 빈 공간에 배치되어 지지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도 있으며, 롤러 또는 레일 등에 의해 지지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블록부재(50)는 지지바(10)의 외주면에 결합되되, 제1 돌출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1 돌출부의 하측에서만 지지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으며, 제1 돌출부의 상부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블록부재(50)는 내주면과 외주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으며, 관통공에 고정부재(53)가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관통공의 내주면과 고정부재(53)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관통공과 고정부재(53)는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고정부재(53)의 일단부가 지지바(10)의 외면과 접하면서 블록부재(50)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관통공과 고정부재(53)는 블록부재(50)의 각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를 포함하여 블록부재(50)를 특정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관통공과 고정부재(53)의 상부에는 블록부재(5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제2 돌출부(5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출부(52)는 지지바(10)와 수직하도록 블록부재(50)의 각각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2 돌출부(52)는 블록부재(50)의 일측면의 가장자리에 한 쌍이 서로 마주하도록 이격 형성되며, 한 쌍은 서로 이격되어 대칭을 이룬다. 제2 돌출부(52)는 블록부재(50)의 4개의 측면에 각각 배치된다. 제2 돌출부(52)는 중앙을 관통하는 관통구를 형성하며, 한 쌍 사이에 제2 회동바(40)가 배치되어 제3 축(51)에 의해 축결합되어 제3 축(51)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제2 회동바(40)는 일단부가 제1 회동바(30)의 굴절부(32)에 제2 축(41)에 의해 축결합되고, 블록부재(50)의 제2 돌출부(52)에 제3 축(51)에 의해 축결합되어 제2 축(41)과 제3 축(51)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작동 과정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접이식 부이(1)의 작동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및 도 7은 접이식 부이(1)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접이식 부이(1)는 기상 또는 해양상태를 관측하거나 수중 소음을 측정할 때 해상에 펼쳐진 상태로 설치되고, 사용되지 않을 때 회수될 수 있다. 해상에 설치된 접이식 부이(1)를 회수하고자 할 때, 부유체(20)가 지지바(10)를 중심으로 접힐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이식 부이(1)를 회수하고자 할 때, 블록부재(50)에 형성된 고정부재(53)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고정부재(53)가 회전하면서 나사결합이 풀어져 지지바(10)로부터 블록부재(50)의 완전한 고정이 해제된다. 이때, 부유체(20)의 상부에서 하부로 압력이 가해지면 제1 회동바(30)가 제1 축(3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하부로 이동하고, 제1 회동바(30)가 회동함에 따라 제2 회동바(40)의 양끝단이 연결된 제2 축(41) 및 제3 축(51)도 동시에 회동할 수 있다. 제1 축(31), 제2 축(41) 및 제3 축(51)은 부유체(20)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동시에 회동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제3 축(51)과 연결된 블록부재(50)가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제1 축(31)은 위치가 고정된 제1 돌출부에 결합되고, 제3 축(51)은 슬라이딩 이동하는 블록부재(50)의 제3 돌출부에 결합되어, 부유체(20)의 상부에서 하부로 압력이 가해지면 블록부재(50)가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제1 회동바(30)와 제2 회동바(40) 사이의 각이 커지게 된다.
부유체(20)의 상부에서 지속적으로 압력이 가해지면 제1 축(31), 제2 축(41) 및 제3 축(51)이 계속해서 회전하여 제1 회동바(30)와 제2 회동바(40) 사이의 각이 더욱 커지고, 부유체(20)의 하면이 지지바(10)와 평행에 가까워지면서 접힐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이식 부이(1)는 부유체(20)가 회동 가능한 다수의 회동바로 연결되고, 제1 회동바(30)와 제2 회동바(40)의 일단부가 각각 지지바(10)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어서 구조가 안정적인 특징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접이식 부이(1)는 제1 회동바(30)가 상부를 향하여 적어도 한번 굴절 형성되어 부유체(20)가 펼쳐졌을 때 부유체(20)의 상면 및 하면이 지지바(10)와 수직하게 배치되면서 완전하게 펼쳐지고, 다수의 회동축에 의해 회동하여 접혀졌을 때 부유체(20)의 상면 및 하면이 지지바(10)와 평행하도록 접힐 수 있어, 접혀 있을 때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조는 상면 또는 하면의 면적이 더욱 큰 부유체(20)를 사용하더라도, 보관할 때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접이식 부이(1)는 중량을 경량화하고 크기를 소형화하여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고 휴대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한편, 도 7과 같이 접혀 있는 접이식 부이(1)를 다시 설치하고자 할 경우, 블록부재(50)를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고 고정부재(53)로 블록부재(50)의 위치를 고정하여 접이식 부이(1)를 펼쳐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접이식 부이 10: 지지바
11: 제1 돌출부 20: 부유체
30: 제1 회동바 31: 제1 축
32: 굴절부 33: 제1 평판부재
40: 제2 회동바 41: 제2 축
50: 블록부재 51: 제3 축
52: 제2 돌출부 53: 고정부재
54: 너트 60: 나사부
61, 62: 제2 평판부재 64: 너트
70: 질량부재 71: 고리부

Claims (8)

  1. 막대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바;
    상기 지지바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동일 평면상에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부유체;
    일단부가 복수 개의 상기 부유체에 각각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바에 회동 가능하게 축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1 회동바;
    상기 지지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블록부재;
    일단부가 복수 개의 상기 제1 회동바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축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블록부재의 일측면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축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2 회동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회동바는 타단부가 상부를 향하여 적어도 한번 굴절된 굴절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회동바는 일단부가 상기 굴절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이식 부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부재는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여 내주면이 상기 지지바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배치되며, 내측과 외측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을 포함하는 접이식 부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에 결합되어 상기 블록부재를 상기 지지바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접이식 부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는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회동바와 축결합되는 복수 개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부재는 상기 돌출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부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는 복수 개가 적층 가능한 접이식 부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의 상부에 결합되어 해양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하부에 결합되는 질량부재를 포함하는 접이식 부이.
  8. 제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부유체는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접이식 부이.
KR1020200037841A 2020-03-27 2020-03-27 접이식 부이 KR102252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841A KR102252294B1 (ko) 2020-03-27 2020-03-27 접이식 부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841A KR102252294B1 (ko) 2020-03-27 2020-03-27 접이식 부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2294B1 true KR102252294B1 (ko) 2021-05-13

Family

ID=75913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841A KR102252294B1 (ko) 2020-03-27 2020-03-27 접이식 부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229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032B1 (ko) 2007-09-05 2008-07-23 한국해양연구원 해양 관측용 부이
KR101347361B1 (ko) * 2012-02-28 2014-01-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
KR20150134892A (ko) * 2014-05-23 2015-12-02 이규상 접이식 카트
KR20160005193A (ko) * 2014-07-03 2016-01-14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이식 레이더 부이
KR20160112195A (ko) 2015-03-18 2016-09-28 김태분 요철판을 갖는 장식용 led 조명기구
KR101778215B1 (ko) * 2016-08-11 2017-09-26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부유체 횡동요 억제를 위한 접이식 수중 계류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032B1 (ko) 2007-09-05 2008-07-23 한국해양연구원 해양 관측용 부이
KR101347361B1 (ko) * 2012-02-28 2014-01-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
KR20150134892A (ko) * 2014-05-23 2015-12-02 이규상 접이식 카트
KR20160005193A (ko) * 2014-07-03 2016-01-14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이식 레이더 부이
KR101604803B1 (ko) 2014-07-03 2016-03-21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이식 레이더 부이
KR20160112195A (ko) 2015-03-18 2016-09-28 김태분 요철판을 갖는 장식용 led 조명기구
KR101778215B1 (ko) * 2016-08-11 2017-09-26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부유체 횡동요 억제를 위한 접이식 수중 계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ovland et al. Slick detection in SAR images
KR101809342B1 (ko) 플로팅 이중 풍력계 - 마스트 및 도플러
US4631921A (en) Float for wave energy harvesting device
US2888675A (en) Water borne inflatable radar reflector unit
KR100848032B1 (ko) 해양 관측용 부이
US20220090992A1 (en) Sampler Apparatus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RU2502629C2 (ru) Плавучая платформ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ею
IES20060345A2 (en) A float and a floatable structure
FR2996722A1 (fr) Installation d'aquaculture de haute mer
JP2015504026A (ja) 船舶
KR102252294B1 (ko) 접이식 부이
Riska Ship–ice interaction in ship design: theory and practice
Tekman et al. Marine debris floating in arctic and temperate northeast Atlantic waters
Allen et al. Field determination of the leeway of drifting objects
KR100854126B1 (ko) 인공위성 합성개구레이더를 이용한 위치 및 이동방향식별시스템
Shaik et al. Numerical Investigation on Different Configurations of Offshore Fish Cages in Submerged Conditions Subjected to Regular Waves
KR102217814B1 (ko) 강유속 적용 해양자료 관측용 복합 사설항로표지
CN107444581A (zh) 一种无人测量船防撞减震船体
Kato et al. Spilled oil tracking autonomous buoy
JP6191035B2 (ja) 投げ込み式波浪計測ブイ
EP3326236B1 (fr) Dispositif support d'antennes mobile
CN113177260B (zh) 无人艇折叠方法及系统、无人艇装置和计算机存储介质
Lee et al. Analysis and tests of the behavior of an underwater acoustic horizontal array platform
KR102361654B1 (ko) 안정성이 향상된 해양표층관측 관측시스템
KR20240018821A (ko) 무인 해양관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