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7361B1 -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 - Google Patents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7361B1
KR101347361B1 KR1020120020311A KR20120020311A KR101347361B1 KR 101347361 B1 KR101347361 B1 KR 101347361B1 KR 1020120020311 A KR1020120020311 A KR 1020120020311A KR 20120020311 A KR20120020311 A KR 20120020311A KR 101347361 B1 KR101347361 B1 KR 101347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line
rod member
laying
pair
buoya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0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8636A (ko
Inventor
박성국
박선규
유홍재
이희원
임옥진
홍영화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0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7361B1/ko
Publication of KR20130098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8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20Accessories therefor, e.g. floats, weights
    • F16L1/24Floats; We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6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on the bottom

Abstract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가 개시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는 해저에 위치하여 파이프라인의 적어도 양측을 감싸며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에 연결되어 지지프레임에 부력을 제공하는 된 한 쌍의 제1부이와, 한 쌍의 제1부이사이의 간격을 가변시켜 지지프레임을 파이프라인에 밀착시키거나, 밀착을 해제시키는 로드부재와, 로드부재와 연결되어 소정수심에서 지지프레임이 파이프라인에 대해 밀착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로드부재에 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BUOY FOR PIPELINE LAYING IN SUBSEA}
본 발명은 해저에 파이프라인의 부설시 사용되는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저에 파이프라인을 부설하는 방법으로는 S형 부설법(S-Laying)과 J형 부설법(J-Laying)이 알려져 있다. S형 부설법은 파이프부설선(Pipe Laying Vessel)으로부터 해저에 파이프라인을 S형으로 내리면서 부설하는 방식이다. J형 부설법은 파이프부설선으로부터 해저에 파이프라인을 J형으로 내리면서 부설하는 방식이다.
S형 부설법은 파이프부설선 위의 여러 개 작업영역에서 용접, 비파괴검사, 피복작업 등을 수행하여 파이프라인을 만든다. 그리고 이 파이프라인을 파이프부설선 후미 쪽으로 이동시켜 스팅거(Stinger)로 지지하는 가운데 수중으로 내려 부설한다. 파이프부설선의 스팅거는 수중으로 진입하는 파이프라인이 안전한 곡률로 휘어져 내리도록 지지한다.
S형 부설법은 파이프부설선 위의 여러 작업영역에서 파이프의 연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J형 부설법에 비해 파이프라인의 부설속도가 빠르다. 하지만, 이 방식은 파이프라인을 심해에 부설하는 경우에 적용하기가 어려워 수심이 얕은 곳에서 파이프라인를 부설하는 경우에 선호되고 있다. 수심이 깊을수록 수중에 내려지는 파이프라인의 무게가 증가하여 스팅거에 작용하는 부하가 커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미국등록특허(제4,563,108호)는 S-lay 방식과 같이 S자 형태로 비스듬하게 파이프를 하강시켜 해저에 설치하는 경우, 수중으로 하강되는 파이프에 부이를 체결(클램핑)시켜 파이프의 하중을 감소시키는 기술을 공개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일정수심이 되면, 수압에 의해 파이프에 체결된 체결수단이 파이프로부터 체결해제되어 부이에 의해 해상으로 떠오르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파이프가 지속적으로 수중으로 하강되어 해저에 설치되고 있는 상황에서, 부이와 연결된 체결수단을 계속해서 파이프에 체결해 주어야 하므로 파이프 설치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게 된다.
특허문헌1: 미국등록특허 제4,563,108호(1986.01.07 등록일)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파이프라인의 하중을 경감시키는 부력체를 장착하여 심해에서도 파이프라인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파이프라인이 부설되는 동안 부력체가 소정위치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해저에 설치되는 파이프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해저에 부설되는 파이프라인의 하중을 줄이기 위한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에 있어서, 해저에 위치하여 상기 파이프라인의 적어도 양측을 감싸며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에 부력을 제공하는 된 한 쌍의 제1부이; 상기 한 쌍의 제1부이사이의 간격을 가변시켜 상기 지지프레임을 상기 파이프라인에 밀착시키거나, 밀착을 해제시키는 로드부재; 및 상기 로드부재와 연결되어 소정수심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이 상기 파이프라인에 대해 밀착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상기 로드부재에 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파이프라인의 하면을 지지하는 하측프레임과, 상기 하측 프레임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파이프라인의 측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부재는 접히거나 펴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측면프레임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부재가 접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해수면에 부유하는 제2부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2부이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해수면에 뜬 상태를 유지하는 부유구조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부유구조물에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측프레임은 그 중앙에 설치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양분되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측프레임은 상기 파이프라인과 구름접촉하는 롤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에는 상기 파이프라인의 곡률과 대응하는 형상의 지지면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1부이 각각은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부재가 접힌 상태에서는 상기 파이프라인은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에 구속되고, 상기 접이식 로드부재가 펴진 상태에서는 상기 파이프라인은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에서 구속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부재는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제1부이에 각각 마련된 힌지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이 상호 힌지 결합되어 연결되는 제1회전암 및 제2회전암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부재는 상기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상기 접이식 로드부재가 펴지는 경우 상기 로드부재가 상방향으로 접히는 것을 제한하는 회전제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부재가 접힌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회전암의 양단이 하측 방향으로 쳐진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로드부재가 펴진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회전암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해저에 부설되는 파이프라인의 하중을 줄이기 위한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에 있어서, 해저에 위치하여 상기 파이프라인의 적어도 양측을 감싸며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에 부력을 제공하는 제1부이; 상기 지지프레임을 상기 파이프라인에 밀착시키거나, 밀착을 해제시키는 로드부재; 일단이 상기 로드부재와 연결된 소정길이의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타단과 연결되며 해수면에 부유하는 제2부이;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라인이 소정수심에 도달하기 전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이 상기 파이프라인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파이프라인을 따라 하강하고, 상기 파이프라인이 수정수심에 도달하면 상기 제2부이에 연결된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의 밀착을 해제시켜 상기 파이프라인이 상기 지지프레임에 대해 슬라이딩되어 해저에 부설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부력장치는 해저에 설치되는 파이프의 진행방향으로 부설되는 파이프라인의 수중하중에 의해 스팅거에 가해지는 힘을 적절히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 예의 부력장치는 파이프라인의 부설중에도 부력체를 해저의 소정 수심에 위치시킬 수 있게 하여 파이프라인의 부설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력장치에 의해 파이프라인이 부설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부력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부력장치가 파이프라인을 구속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부력장치가 파이프라인을 구속 해제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부력장치가 파이프라인을 구속 해제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당김 와이어를 제공하는 부이구조물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부력장치의 동작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력장치에 의해 파이프라인이 부설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부설선(100)은 S형 부설법으로 해저에 파이프라인(300)을 부설할 수 있도록 후미에 스팅거(160)가 장착된 선체(110)를 구비한다.
선체(110)의 저부에는 추진을 위한 복수의 추진기(111)가 설치되고, 선체(110) 내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파이프들(310)을 보관하는 보관실(112)이 마련된다. 선체(110)는 상측에 복층으로 구성되는 갑판들(121,122)을 구비하고, 여기에는 파이프들(310)을 연결하여 파이프라인(300)을 생산하기 위한 작업영역이 마련된다.
작업영역은 파이프들(310)을 길게 연결하여 최종 파이프라인(300)을 만드는 메인 작업라인(130)과, 메인 작업라인(130)으로 공급할 파이프들을 소망하는 길이로 연결하는 복수의 서브 작업라인(140)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작업라인(140)은 파이프의 연결을 위한 베벨링, 예열, 용접, 검사 등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고, 메인 작업라인(130)과 같은 층의 갑판(122) 또는 다른 층의 갑판(121)에 병렬 작업라인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메인 작업라인(13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수(101) 쪽으로부터 선미(102) 방향으로 길게 마련된다. 여기에는 복수 개소에 용접영역(131)이 마련됨으로써 서브 작업라인(140)에서 생산된 파이프들을 직렬로 배치한 상태에서 빠르게 연결할 수 있다. 메인 작업라인(130)에도 용접부분의 검사 및 피복을 위한 작업영역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메인 작업라인(130) 후미 쪽에는 생산된 파이프라인(300)을 수중으로 안내하기 위해 선미(102) 쪽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는 경사안내부(125)가 마련된다. 그리고 경사안내부(125) 직전의 메인 작업라인(130)에는 수중에 부설되는 파이프라인(300)의 무게를 지탱하면서 파이프라인(300)을 이동시키는 복수의 텐셔너(150,Tensioner)가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텐셔너들(150) 중 일부는 경사안내부(125)에 설치될 수도 있다.
스팅거(160)는 경사안내부(125)와 연계되는 파이프라인 지지경로를 형성하도록 선체(110)의 후미 쪽에 연결되며, 수중으로 진입하는 파이프라인(300)이 안전한 곡률로 휘어져 내릴 수 있도록 지지한다. 이러한 스팅거(160)는 선체(110)의 후미 쪽으로부터 하향경사를 유지하며 후방으로 연장되는 트러스구조물의 형태일 수 있고, 선체(110)에 설치된 크레인(115) 등의 지지수단에 의해 각도조절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스팅거(160)에는 파이프라인(300)의 원활한 이송을 위해 다수의 롤러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파이프부설선(100)은 선상에서 생산된 파이프라인(300)을 선체(110) 후미 쪽의 이동시켜 스팅거(160)로 지지하는 가운데 수중으로 내려 부설할 수 있다. 즉 S형 부설법으로 해저에 파이프라인을 부설할 수 있다. 이때 수중에 내리는 파이프라인(300)의 무게는 대부분 스팅거(160)를 통해 선체(110)의 후미 쪽에 작용한다. 상대적으로 수심이 얕은 해역(대략 1000m 미만)에서 파이프라인(300)을 부설할 경우 스팅거(160)에 작용하는 파이프라인(300)의 무게가 상대적으로 크지 않기 때문에 단독으로 해저에 파이프라인(300)을 부설할 수 있다. 그러나, 수심이 깊은 해역(대략 1000m 이상)에서 파이프라인(300)을 부설할 경우에는 스팅거(160)에 걸리는 하중은 매우 크게 되므로 S형 부설법으로 파이프라인(300)을 부설하기에는 어려운 문제가 있게 되나, 본 실시 예의 파이프부설선(100)은 스팅거(160)에서 이격되어 해중에서 낙하되는 파이프라인(300)의 부분을 지지하는 부력장치(40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부력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부력장치가 파이프라인을 구속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부력장치가 파이프라인을 구속 해제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부력장치가 파이프라인을 구속 해제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부력장치(400)는 수중에서 파이프라인(30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410)을 구비하고, 지지프레임(410)은 파이프라인(300)의 하중을 줄이기 위한 부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제1부이(421, 422)와 연결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410)은 파이프라인(300)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측프레임(411)과, 파이프라인(300)의 좌우 양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412,413)을 구비할 수 있다.
한 쌍의 측면프레임(412,413)은 하측프레임(411)에 마련된 회전축(415)을 기준으로 좌우로 회전되어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측면프레임(412,413)에는 파이프라인(300)의 좌우측 외면과 밀착되도록 파이프라인(300)의 곡률과 대응하는 형상의 지지면(417)을 가진 지지패드(418)가 마련될 수 있다.
하측프레임(411)에는 수중에서 지지되어 이동되는 파이프라인(30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파이프라인(300)의 하측과 구름 접촉하는 롤러부재(419)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회전축(415)이 하측프레임(411)의 중앙부분에 형성하였으나, 하측프레임(411)의 양측 단부에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 쌍의 측면프레임(412,413)의 상측 단부에는 한 쌍의 제1부이(421,422)이 각각 연결되고, 한 쌍의 제1부이(421,422)는 접히거나 펴지도록 설치되는 접이식 로드부재(430)에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부이(421,422)와 연결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412,413)의 상단은 축(41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라인(300)의 유동에 따른 움직임을 보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접이식 로드부재(430)는 하측으로 접힌 상태에서 한 쌍의 제1부이(421,422)와 연결되어 해중에 투하되고, 펴진 상태에서는 파이프라인(300)을 구속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412,413)을 벌어지게 함으로써 파이프라인(300)의 구속을 해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접이식 로드부재(430)는 일단이 한 쌍의 제1부이(421,422)에 마련된 회전축(431,432)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회전암(433) 및 제2회전암(434)을 구비하고, 제1회전암(433)과 제2회전암(434)의 타단은 힌지축(435)을 매개로 서로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접이식 로드부재(430)의 힌지축(435)에 인접한 부분에는 제1회전암(433)과 제2회전암(434)의 타단에서 각각 연장되어 접이식 로드부재(430)가 상방향으로 접히는 것을 제한하는 회전제한부(436,437)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접이식 로드부재(430)는 한 쌍의 제1부이(421,422)의 상단에서 좌우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을 구비하고, 한 쌍의 접이식 로드부재(430)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힌지축(435)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힌지축(435)에는 접이식 로드부재(430)가 펴지는 방향으로 장력을 제공하는 당김 와이어(440)가 마련되고, 당김 와이어(440)는 해수면에 부유하는 제2부이(450)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당김 와이어(440)의 장력이 작용하기 전 까지 한 쌍의 측면프레임(412,413)이 안정적으로 파이프라인(3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식 로드부재(430)가 접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470)가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470)는 양단이 각각 한 쌍의 제1부이(421,422)의 상단에 지지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스팅거(160)를 통하여 수중에 진입되는 파이프라인(300)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력장치(400)가 결합된 상태로 함께 수중에 진입되게 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수면에 떠 다니는 제2부이(450)와 연결된 당김 와이어(440)는 느슨한 상태로 연결되고, 파이프라인(300)은 한 쌍의 측면프레임(412,413)에 의해 구속된 상태에 있게 된다. 또한, 접이식 로드부재(430)는 하측으로 접힌 상태에 있게 된다.
그리고, 파이프라인(300)이 소정 수심에 도달하게 되면, 당김 와이어(440)는 팽팽한 긴장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러한 당김 와이어(440)의 장력에 의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식 로드부재(430)는 상부로 당겨지게 되어 펴지게 된다. 이때, 접이식 로드부재(430)는 회전제한부 (436,437)에 의해 회동이 제한된 상태에 있게 되므로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측면프레임(412,413)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파이프라인(300)의 구속을 해제하게 되고, 파이프라인(300)은 수중에서 지지프레임(410)에 지지된 상태로 안내되어 해저에 부설되게 된다.
따라서, 스팅거(160)에 걸리는 파이프라인(300)의 하중은 부력장치(400)에 의해 분산됨에 따라 수심이 깊은 지역에서 파이프라인(300)의 부설작업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해수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당김 와이어(440)는 해수면에서 부유하는 제2부이(450)와 연결되도록 구성하였으나,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별도의 부유구조물(460)에서 연장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부유구조물(460)에는 당김 와이어(440)를 감거나 풀기 위한 윈치(461)가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선체, 160: 스팅거,
300: 파이프라인, 400: 부력장치,
410: 지지프레임, 411: 하측프레임,
412,413: 측면프레임, 417: 지지면,
419: 롤러부재, 421,422: 제1부이,
430: 접이식 로드부재, 433: 제1회전암,
434: 제2회전암, 435: 힌지축,
436,437: 회전제한부, 440: 당김 와이어,
450: 제2부이, 460: 부유구조물,
470: 탄성부재.

Claims (15)

  1.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에 있어서,
    해중에서 하강하는 파이프라인의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파이프라인의 좌우 양측을 감싸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을 갖는 지지프레임;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에 부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제1부이;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을 밀거나 당겨 회전시킴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 사이 간격을 가변시켜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을 상기 파이프라인에 밀착시키거나, 밀착을 해제시키는 로드부재; 및
    상기 로드부재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로드부재와 연결된 소정길이의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이 상기 소정길이와 대응하는 수심에 도달한 경우 상기 와이어에는 일정장력이 작용하여 상기 로드부재를 작동시킴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이 상기 파이프라인의 밀착을 해제시키는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파이프라인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측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재는 접히거나 펴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측면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재가 접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해수면에 부유하는 제2부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2부이와 연결되는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해수면에 뜬 상태를 유지하는 부유구조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부유구조물에서 연장되는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프레임은 그 중앙에 설치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양분되어 회전되는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
  8. 제 2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프레임은 상기 파이프라인과 구름접촉하는 롤러부재를 포함하는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
  9. 제 2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에는 상기 파이프라인의 곡률과 대응하는 형상의 지지면이 구비되는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
  10. 제 2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부이 각각은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
  11. 제 2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재가 접힌 상태에서는 상기 파이프라인은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에 구속되고, 상기 로드부재가 펴진 상태에서는 상기 파이프라인은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에서 구속 해제되는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
  12.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재는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제1부이에 각각 마련된 힌지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이 상호 힌지 결합되어 연결되는 제1회전암 및 제2회전암을 포함하는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재는 상기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상기 로드부재가 펴지는 경우 상기 로드부재가 상방향으로 접히는 것을 제한하는 회전제한부를 포함하는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재가 접힌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회전암의 양단이 하측 방향으로 쳐진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로드부재가 펴진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회전암은 수평을 유지하는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
  15.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에 있어서,
    해중에 위치하여 상기 파이프라인의 적어도 양측을 감싸며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에 부력을 제공하는 제1부이;
    상기 지지프레임을 상기 파이프라인에 밀착시키거나, 밀착을 해제시키는 로드부재;
    일단이 상기 로드부재와 연결된 소정길이의 와이어;및
    상기 와이어의 타단과 연결되며 해수면에 부유하는 제2부이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라인이 상기 소정길이와 대응하는 수심에 도달하기 전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이 상기 파이프라인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파이프라인을 따라 하강하고, 상기 파이프라인이 수정수심에 도달하면 상기 제2부이에 연결된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의 밀착을 해제시켜 상기 파이프라인이 상기 지지프레임에 대해 슬라이딩되어 해저에 부설되는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
KR1020120020311A 2012-02-28 2012-02-28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 KR101347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311A KR101347361B1 (ko) 2012-02-28 2012-02-28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311A KR101347361B1 (ko) 2012-02-28 2012-02-28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636A KR20130098636A (ko) 2013-09-05
KR101347361B1 true KR101347361B1 (ko) 2014-01-10

Family

ID=49450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0311A KR101347361B1 (ko) 2012-02-28 2012-02-28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73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294B1 (ko) * 2020-03-27 2021-05-13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접이식 부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22197B (en) * 2014-01-15 2018-08-01 Acergy France SAS Transportation and installation of subsea rigid tie-in connections
KR200487527Y1 (ko) * 2017-04-06 2018-10-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로어링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7006A (en) 1975-10-03 1978-11-28 Oosterkamp Johannes F Method and equipment for installing marine pipelines to extremely great water depth
US4436450A (en) 1981-08-21 1984-03-13 Exxon Production Research Co.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buoyancy modules from submerged pipe
US20080063478A1 (en) 2006-05-01 2008-03-13 Reddy Sanjay K Subsea connector insulation device
KR20110017868A (ko) * 2008-06-03 2011-02-22 베른트 한센 파이프라인 상의 연결편을 함께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프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7006A (en) 1975-10-03 1978-11-28 Oosterkamp Johannes F Method and equipment for installing marine pipelines to extremely great water depth
US4436450A (en) 1981-08-21 1984-03-13 Exxon Production Research Co.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buoyancy modules from submerged pipe
US20080063478A1 (en) 2006-05-01 2008-03-13 Reddy Sanjay K Subsea connector insulation device
KR20110017868A (ko) * 2008-06-03 2011-02-22 베른트 한센 파이프라인 상의 연결편을 함께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프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294B1 (ko) * 2020-03-27 2021-05-13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접이식 부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636A (ko) 201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8148B1 (ko) 파이프라인 부설선박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라인 부설방법
AU665572B2 (en) Reel pipelaying vessel with inclined conditioning ramp including endless conveyor radius control
US8777517B2 (en) Undersea pipe-laying
AU764207B2 (en) Deep water pipelaying ship
NO20110989A1 (no) Anordning og fremgangsmate for legging av et langstrakt element fra et fartoy
US9404604B2 (en) Device for laying a pipe in an expanse of water, and related structure and method
US20130084135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laying pipeline
KR101347361B1 (ko)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
KR101335249B1 (ko) 부유지지체 및 이를 갖는 파이프라인 부설선
AU200828822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ying offshore pipeline from a vessel
US3472035A (en) Method of abandoning and recovering a pipeline during an underwater pipe laying operation
CN110886903A (zh) 橡胶软管铺设装置
KR101335253B1 (ko) 부유식 파이프라인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장치와 부설방법
KR101347356B1 (ko) 파이프부설선 및 이를 이용한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장치와 부설방법
CN201566810U (zh) 卷筒自安装深水海底管道铺设作业船
US3555835A (en) Suspended pipe laying stringer for laying pipelines in unlimited depths of water
NO336637B1 (no) Et apparat for å styre et avlangt produkt, og en fremgangsmåte for drift
KR20130095890A (ko) 부유식 파이프라인 지지장치 및 이를 갖춘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장치
GB2321290A (en) Laying of underwater pipeline from a vessel-mounted drum
KR101335252B1 (ko) 부유식 파이프라인 지지장치 및 이를 갖춘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장치
KR101335250B1 (ko) 파이프 부설선
AU2013205534A1 (en) Undersea pipe-laying
MXPA97010449A (en) Improvements regarding the placement of underwater tub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