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2006B1 - Logistics system using common duct - Google Patents

Logistics system using common duc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2006B1
KR102252006B1 KR1020200164522A KR20200164522A KR102252006B1 KR 102252006 B1 KR102252006 B1 KR 102252006B1 KR 1020200164522 A KR1020200164522 A KR 1020200164522A KR 20200164522 A KR20200164522 A KR 20200164522A KR 102252006 B1 KR102252006 B1 KR 102252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
rail part
logistics
area
contro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5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대식
손지우
권순우
유승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증권 주식회사
김도년
재단법인 여시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증권 주식회사, 김도년, 재단법인 여시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증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4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2006B1/en
Priority to KR1020210057069A priority patent/KR10232026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006B1/en
Priority to KR1020210121673A priority patent/KR2022007629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3/00Elevated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vehicles
    • B61B3/02Elevated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vehicles with self-propell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7/00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e of control gear and control systems
    • B61C17/12Control gear;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locomotives from remote points in the train or when operating in multiple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ransport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provide an operating method of a logistics system using a joint tool. At this time, the operation method of the logistics system includes: a step of loading the logistics into a cart at a first point through a control server; a step in which the cart loaded with logistics moves to a second point by moving along a rail part including a main rail part and an auxiliary rail part; and a step of taking out the logistics loaded on the cart at the second point through the control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fficiency of the logistics system can be improved.

Description

공동구를 활용한 물류 시스템{LOGISTICS SYSTEM USING COMMON DUCT}Logistics system using common zone {LOGISTICS SYSTEM USING COMMON DUCT}

실시예들은 공동구를 활용한 물류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구를 통해 물류 시스템을 설비하고, 이에 기초하여 물류를 운반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The embodiments are for a distribution system using a common zone. In more detail, it relates to a method of installing a logistics system through a common zone and transporting logistics based thereon.

공동구는 전력, 통신, 수도, 난방 등의 시설을 지하의 일정공간에 공동으로 수용하여 굴착 등의 도로시설 훼손없이 관리토록 한 도시 기반시설일 수 있다. 공동구에는 상수도관, 하수도관, 냉난방시설, 전선 및 통신선 등 건물에 공급되는 공공재를 위해 지하에 갖춰진 시설일 수 있다. 기존 공동구는 지하에 설치되어 상기 공공재를 위한 배관 및 시설들만 존재하였고, 공동구를 별도로 활용하는 방안은 전무한 상태였다. 그러나, 공동구는 도시 기반시설로 도시 내의 건물들로 연결되는 가장 좋은 통로일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면 효율적인 물류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A common ward may be an urban infrastructure facility in which facilities such as power, communication, water supply, and heating are jointly accommodated in a certain underground space and managed without damaging road facilities such as excavation. The common ward may be a facility provided underground for public goods supplied to the building, such as water supply pipes, sewer pipes, heating and cooling facilities, electric wires and communication lines. Existing communal zones were installed underground so that only piping and facilities for the public goods existed, and there was no plan to use the communal zones separately. However, the communal district may be the best path to connect to the buildings in the city as urban infrastructure, and if this is used, an efficient logistics system can be established.

하기에서는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공동구에 물류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에 대해 서술한다. 특히, 신도시나 새로운 지하철 노선 등 공동구 설비가 필요한 지역에 물류 시스템을 구축하여 효율적인 운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물류 시스템에 대해 서술한다.In the following,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oints, a method of constructing a distribution system in the common ward will be describe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icient transportation service by establishing a distribution system in areas requiring common facilities such as a new city or a new subway line, and a distribution system for this will be described.

한국등록특허 제10-2132852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132852

본 명세서는 공동구를 활용한 물류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provide a distribution system using a common zone.

본 명세서는 공동구에 메인레일 및 보조레일을 설치하고, 이를 통해 이동하는 카트를 제어하는 제어서버를 통해 물류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constructing a distribution system through a control server that installs a main rail and an auxiliary rail in a common ward, and controls a cart moving through the main rail and auxiliary rails.

본 명세서는 제어서버를 통해 공동구 내의 물류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controlling a distribution system in a common ward through a control server.

본 명세서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another technical problem that i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동구를 활용한 물류 시스템은 공동구에 포함되고 메인레일부 및 보조레일부를 포함하는 레일부, 물류를 적재하고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카트 및 상기 레일부와 상기 카트를 제어하는 제어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 distribution system using a common area includes a rail unit included in the common area and including a main rail unit and an auxiliary rail unit, a cart that loads distribution and moves along the rail unit, and the rail unit and the cart. It may include a control server to control.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동구를 활용한 물류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제어서버를 통해 제 1 지점에서 카트에 물류를 적재하는 단계, 상기 물류가 적재된 카트가 메인레일부 및 보조레일부를 포함하는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여 제 2 지점으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서버를 통해 상기 제 2 지점에서 상기 카트에 적재된 물류를 반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 method of operating a logistics system using a common zone includes loading logistics into a cart at a first point through a control server, and the cart loaded with the logistics includes a main rail part and an auxiliary rail. It may include moving along the rail unit including the unit to move to a second point, and carrying out the logistics loaded on the cart at the second point through the control server.

이때,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메인레일부 및 상기 보조레일부는 공동구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main rail part and the auxiliary rail part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cavity.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메인레일부는 상기 공동구 외의 제 1 지점에서 물류를 상차하고, 상기 공동구 내의 제 2 지점으로 물류를 이동시켜 하차하는 상기 카트가 이동하는 제 1 메인레일부 및 상기 공동구 내의 상기 제 2 지점에서 물류를 상차하고, 상기 공동구 외의 상기 제 1 지점으로 물류를 이동시켜 하차하는 제 2 메인레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main rail unit loads the logistics at a first point other than the common ward, and moves the logistics to a second point in the common ward, and a first main rail unit to which the cart moves. And a second main rail part for loading and unloading the logistics at the second point in the common zone, and moving the logistics to the first point outside the common zone to get off.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보조레일부는 상기 제 1 메인레일부 및 상기 제 2 메인레일부 사이에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auxiliary rail part may be configured between the first main rail part and the second main rail part.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메인레일부는 상기 공동구의 상부에서 공동구의 통로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보조레일부는 상기 메인레일부가 설치된 영역 중 일부 영역에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main rail part may be installed along the passage of the cavity from the upper part of the cavity, and the auxiliary rail part may be installed only in some of the areas in which the main rail part is installed.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보조레일부는 상기 메인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카트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레일부이고, 상기 카트의 방향 전환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카트,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 및 보조레일부의 제 1 영역을 제어하되,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카트를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 및 보조레일부의 제 1 영역을 회전시키고, 상기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 및 상기 보조레일부의 제 1영역을 상기 회전에 기초하여 소정의 각도에서 연결시키고, 상기 카트를 상기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에서 상기 보조레일부의 제 1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회전된 상기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 및 상기 보조레일부의 제 1 영역을 복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auxiliary rail part is a rail part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cart moving along the main rail part, and when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cart is required, the control server may include the cart, Controlling the first area of the main rail part and the first area of the auxiliary rail part, wherein the control server moves the cart to the first area of the main rail part, and the first area and the auxiliary rail part of the main rail part Rotate a first area of the main rail, connect the first area of the main rail part and the first area of the auxiliary rail part at a predetermined angle based on the rotation, and connect the cart in the first area of the main rail part. The auxiliary rail part may be moved to the first area, and the rotated first area of the main rail part and the first area of the auxiliary rail part may be restored.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레일부는 상기 공동구의 상부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카트를 보관하는 카트주차레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ail unit may further include a cart parking rail unit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vity, and storing a plurality of the carts.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카트주차레일부에 위치한 상기 카트의 사용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카트, 카트주차레일부의 제 1 영역 및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을 제어하되,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카트를 카트주차레일부의 제 1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카트주차레일부의 제 1 영역 및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을 회전시키고, 상기 카트주차레일부의 제 1 영역 및 상기 메인레일부의 제 1영역을 상기 회전에 기초하여 소정의 각도에서 연결시키고, 상기 카트를 상기 카트주차레일부의 제 1 영역에서 상기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회전된 상기 카트주차레일부의 제 1 영역 및 상기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을 복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the use of the cart located in the cart parking rail part is required, the control server controls the cart, the first area of the cart parking rail part, and the first area of the main rail part. However, the control server moves the cart to a first area of the cart parking rail part, rotates the first area of the cart parking rail part and a first area of the main rail part, and A first area and a first area of the main rail part are connected at a predetermined angle based on the rotation, and the cart is moved from the first area of the cart parking rail part to a first area of the main rail part, The rotated first area of the cart parking rail part and the first area of the main rail part may be restored.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카트는 상기 물류 적재를 위해 개폐가 가능한 일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물류 적재를 위해 기울기가 조절되되,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물류의 적재 및 반출을 고려하여 상기 카트의 상기 개폐 가능한 일측면 및 상기 기울기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art includes one side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for loading the logistics, and the inclination is adjusted for loading the logistics, but the control server takes into account the loading and unloading of the logistics. Thu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side of the cart and the inclination.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카트에 적재된 상기 물류가 반출되는 경우,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카트, 반출 지점의 컨베이어 벨트 및 반출 지점의 리프트를 제어하되,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물류를 상기 카트에서 상기 반출 지점의 컨베이어 벨트로 이동시키고, 상기 반출 지점의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동된 물류를 상기 반출 지점의 리프트를 따라 배송지로 이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the logistics loaded on the cart is unloaded, the control server controls the cart, the conveyor belt at the unloading point, and the lift of the unloading point, the control server, The logistics may be moved from the cart to the conveyor belt of the take-out point, and the logistics that has been moved along the conveyor belt of the take-out point may be moved to the delivery destination along the lift of the take-out point.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서버는 복수 개의 상기 카트를 제어하되, 복수 개의 상기 카트 각각은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 각각에는 복수 개의 상기 물류가 적재되되, 상기 물류가 상기 카트에 적재되는 경우, 상기 물류 각각에는 식별 정보가 할당되고,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카트 각각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물류 각각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레일부 및 상기 카트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ntrol server controls a plurality of the carts, each of the plurality of carts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each of the carts is loaded with a plurality of the logistics, the logistics is When loaded on the car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ssigned to each of the logistics, and the control server may control the rail unit and the cart based 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carts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logistics.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카트는 위치 정보 식별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는 상기 위치 정보 식별 장치에 기초하여 상기 공동구 내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상대적 위치 정보를 상기 제어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상대적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레일부 및 상기 카트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art includes a location information identification device, and the cart obtains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in the cavity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identification device, and the obtained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It transmits to the control server, and the control server may control the rail unit and the cart based on the relative position information.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동구를 활용한 물류 시스템을 제공하여 물류 시스템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distribution system by providing a distribution system using a common zone.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동구에 메인레일 및 보조레일을 설치하고, 이를 통해 이동하는 카트를 제어하는 제어서버를 제공하는데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providing a control server for controlling a moving cart by installing a main rail and an auxiliary rail in a common ward.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동구를 통해 구축된 물류 시스템을 통해 물류 배송을 수행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performing logistics delivery through a logistics system established through a common zone.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서버를 통해 공동구 내의 물류 시스템을 제어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controlling the distribution system in the common ward through the control server.

본 명세서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동작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팅 장치(20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동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에에 따라 공동구에 물류레일이 설치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서버에 기초하여 공동구 내의 물류 시스템이 제어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동구에서 물류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서버에 의해 카트가 제어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서버에 의해 카트가 제어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c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서버에 의해 카트가 제어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인레일에서 보조레일로 카트가 이동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인레일에서 보조레일로 카트가 이동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c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인레일에서 보조레일로 카트가 이동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카트주차레일에서 메인레일로 카트가 이동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카트주차레일에서 메인레일로 카트가 이동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c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카트주차레일에서 메인레일로 카트가 이동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동구 내의 물류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동구 내의 물류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동구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에서 물류 목적지로의 화물의 이동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물류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perating environment of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mputing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3 is a view showing a c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a distribution rail is installed in a common w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distribution system in a common ward based on a control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distribution system in a common w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7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cart by a control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7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cart by a control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7C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cart by a control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8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moving a cart from a main rail to an auxiliary 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8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moving a cart from a main rail to an auxiliary 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8C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moving a cart from a main rail to an auxiliary 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9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moving a cart from a cart parking rail to a main 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9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moving a cart from a cart parking rail to a main 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9C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moving a cart from a cart parking rail to a main 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distribution system in a common w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distribution system in a common w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12 is a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c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13 and 14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of moving cargo from a common ward to a distribution destin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관계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간접적인 연결관계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certain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with another component, it is not only a direct connection relationship, but also an indirect connection in which another component is present in the middle. It may also include a human connection. In addition, when a certain component "includes" or "have" an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요소들간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범위 내에서 실시예에서의 제1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실시예에서의 제2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다.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unless otherwise noted, the order or importance of the components is not limited. Does not. Accordingly, within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irst component in the embodi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in other embodiments,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in the embodiment is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in other embodiments. It can also be called.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복수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분산되어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와 같이 통합된 또는 분산된 실시예도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components that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re intended to clearly describe each feature, and do not necessarily mean that the component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at is, a plurality of components may be integrated into one hardware or software unit, or one component may be distributed to form a plurality of hardware or software units. Therefore, even if not stated otherwise, such integrated or distributed embodiments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네트워크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는 디바이스와 시스템 및 디바이스 상호 간의 데이터 교환이 수행될 수 있는 통신망을 의미할 수 있으며, 특정 네트워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network may be a concept including all wired and wireless networks. In this case, the network may mean a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data exchange between a device, a system, and a device can be performed, and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network.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는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이거나, 또는 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unit)", "장치" 또는 "시스템" 등은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 등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 장치 또는 시스템 등은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object), 실행 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및/또는 컴퓨터(computer)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터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컴퓨터의 양쪽이 모두 본 명세서의 부, 모듈, 장치 또는 시스템 등에 해당할 수 있다.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have an aspect that is entirely hardware, partially hardware and partially software, or entirely softwar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unit", "device", or "system" refers to a computer-related entity such as hardware,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or software. For examp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unit, module, device, or system is a running process, a processor, an object, an executable file, a thread of execution, a program, and/or a computer. It may be (comput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both an application running on a computer and a computer may correspond to a unit, module, device, or system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HMD(Head Mounted Display)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PC나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가전처럼 고정된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바이스는 차량 내 클러스터 또는 IoT (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일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는 어플리케이션 동작이 가능한 기기들을 지칭할 수 있으며, 특정 타입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기기를 디바이스로 지칭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vice may be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 wearable device, and a head mounted display (HMD), as well as a fixed device such as a PC or a home appliance having a display function. In addition, as an example, the device may be an in-vehicle cluster or an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 That i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device may refer to devices capable of an application operation, and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type. In the following,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device in which an application is operated is referred to as a device.

본 명세서에 있어서 네트워크의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각 구성요소간 연결이 동일한 네트워크 방식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네트워크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 위성망 등)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객체와 객체가 네트워킹 할 수 있는 모든 통신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무선 통신, 3G, 4G, 5G, 혹은 그 이외의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선 및/또는 네트워크는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GSM(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 (IEEE 802.16e), UMB (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및 초음파 활용 통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법에 의한 통신 네트워크를 지칭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network is not limited, and connections between components may not be connected by the same network method. The network may include not only a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wired Internet, a wireless Internet, a broadcasting network, a satellite network, etc.) but also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For example, the network may include an object and all communication methods in which the object can network, and is not limited to wired communication, wireless communication, 3G, 4G, 5G, or other methods. For example, wired and/or networks include Local Area Network (LAN),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GSM), 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EDGE),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Bluetooth, Zigbee, Wi-Fi, 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 (IEEE 802.16e), UMB (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and can refer to a communication network by one or more communication method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ultrasonic communication.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은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예도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도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Components described in various embodiments do not necessarily mean essential components, and some may be optional components. Accordingly, an embodiment consisting of a subset of the constituent elem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 is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addition, embodiments including other elements in addition to the elements described in the various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동작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디바이스(110), 하나 이상의 서버(120, 130, 140)가 네트워크(1)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사용자 디바이스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perating environment of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Referring to FIG. 1, a user device 110 and one or more servers 120, 130, and 140 are connected through a network 1. 1 is an example for explaining the invention, and the number of user devices or servers is not limited as shown in FIG. 1.

사용자 디바이스(110)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10)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게임 콘솔(game console),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VR(virtual reality) 디바이스, AR(augmented reality) 디바이스 등이 있다. 일례로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디바이스(110)는 실질적으로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를 통해 다른 서버들(120 - 140)과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한 물리적인 컴퓨터 시스템들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The user device 110 may be a fixed terminal implemented as a computer system or a mobile terminal. The user device 110 includes, for example, a smart phone, a mobile phone, a navigation system, a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tablet PC, a game console. console), wearable devices,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virtual reality (VR) devices, and augmented reality (AR) devices. As an example, in embodiments, the user device 110 substantially uses one of various physical computer system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other servers 120-140 through the network 1 using a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method. It can mean.

각 서버는 사용자 디바이스(110)와 네트워크(1)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콘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네트워크(1)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디바이스(110)로 각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서버는 사용자 디바이스(11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목적하는 서비스(일례로, 정보 제공 등)를 사용자 디바이스(110)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는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구동을 위한 파일을 사용자 디바이스(110)로 배포하고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해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Each server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device or a plurality of computer devices that communicates with the user device 110 through the network 1 to provide commands, codes, files, contents, services,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server may be a system that provides each service to the user device 110 accessed through the network 1. As a more specific example, the server may provide a service (for example, information provision) targeted by the application to the user device 110 through an application as a computer program installed and driven on the user device 110. As another example, the server may distribute a file for installing and running the above-described application to the user device 110 and receive user input information to provide a corresponding service.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팅 장치(20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러한 컴퓨팅 장치(200)는 도1을 참조하여 상술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110-1, 110-2) 또는 서버(120-140)에 적용될 수 있으며, 각 장치와 서버들은 일부 구성요소를 더 하거나 제외하여 구성됨으로써 동일하거나 유사한 내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mputing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mputing device 200 may be applied to one or more user devices 110-1 and 110-2 or servers 120-14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and each device and server may add some components or Excluding the configuration may have the same or similar internal configuration.

도 2를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200)는 메모리(210), 프로세서(220), 통신 모듈(230) 그리고 송수신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0)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디스크 드라이브,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OM, SSD,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는 메모리(210)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상술한 장치나 서버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10)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사용자 디바이스(110) 등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브라우저나 특정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사용자 디바이스(110) 등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computing device 200 may include a memory 210, a processor 220, a communication module 230, and a transceiver 240. The memory 210 is 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is a non-destructive large capacity such as random access memory (RAM), read only memory (ROM), disk drive, solid state drive (SSD), flash memory, etc. It may include a permanent mass storage device. Here, a non-destructive mass storage device such as a ROM, SSD, flash memory, disk drive, etc. may be included in the above-described device or server as a separate permanent storage device that is separate from the memory 210. In addition, the memory 210 stores an operating system and at least one program code (for example, a browser installed and driven on the user device 110 or a code for an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user device 110 to provide a specific service). Can be. These software components may be loaded fro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eparate from the memory 210. Such a separat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uch as a floppy drive, a disk, a tape, a DVD/CD-ROM drive, and a memory card.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230)을 통해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일례로, 상술한 서버)이 네트워크(1)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software components may be loaded into the memory 21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30 rather tha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example, at least one program is a computer program installed by files provided by a file distribution system (for example, the above-described server) for distributing the installation files of developers or applications (for example, It may be loaded into the memory 210 based on the above-described application).

프로세서(22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0) 또는 통신 모듈(230)에 의해 프로세서(22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rocessor 220 may be configured to process instructions of a computer program by performing basic arithmetic, logic, and input/output operations. Instructions may be provided to the processor 220 by the memory 210 or the communication module 230. For example, the processor 220 may be configured to execute a command received according to a program code stored in a recording device such as the memory 210.

통신 모듈(230)은 네트워크(1)를 통해 사용자 기기(110)와 서버(120 -14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장치(110) 및/또는 서버(120 - 140) 각각이 다른 전자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module 230 may provide a function for the user device 110 and the server 120 -140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network 1, and the device 110 and/or the server 120-140 may each This can provide a function for communicating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송수신부(240)는 외부 입력/출력장치(미도시)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입력장치는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카메라 등의 장치를, 그리고 외부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haptic feedback device) 등과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ransmission/reception unit 240 may be a means for interfacing with an external input/output device (not shown). For example, the external input device may include a device such as a keyboard, a mouse, a microphone, and a camera, and the external output device may include a device such as a display, a speaker, and a haptic feedback device.

다른 예로 송수신부(240)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transmission/reception unit 240 may be a means for interfacing with a device in which input and output functions are integrated into one, such as a touch screen.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컴퓨팅 장치(200)는 적용되는 장치의 성질에 따라서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200)가 사용자 디바이스(110)에 적용되는 경우 상술한 입출력 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사용자 디바이스가 스마트폰인 경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카메라 모듈,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other embodiments, the computing device 200 may include more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of FIG. 2 according to a property of a device to which it is applied. For example, when the computing device 200 is applied to the user device 110, it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at least some of the aforementioned input/output devices, or a transceiver,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odule, a camera, various sensors, Other components such as a database may be further included. As a more specific example, when the user device is a smartphone, various types of accelerometers, gyro sensors, camera modules, various physical buttons, buttons using a touch panel, input/output ports, vibrators for vibration, etc. It may be implemented to further include components.

하기에서 서술하는 제어서버는 도 1의 서버 중 어느 하나의 타입일 수 있다. 또한, 메일레일, 보조레일 및 카트주차레일은 도 1 및 도 2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장치일 수 있다. 즉, 메일레일, 보조레일 및 카트주차레일에는 컴퓨팅 장치가 부착(또는 설치)될 수 있으며, 도 1 및 도 2에 기초하여 제어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카트에도 컴퓨팅 장치가 부착(또는 설치)될 수 있으며, 도 1 및 도 2에 기초하여 제어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The control server described below may be of any one type of the servers of FIG. 1. In addition, the mail rail, the auxiliary rail, and the cart parking rail may be devices operating based on FIGS. 1 and 2. That is, a computing device may be attached (or installed) to the mail rail, the auxiliary rail, and the cart parking rail, and may be a device that communicates with the control server based on FIGS. 1 and 2. In addition, the computing device may be attached (or installed) to the cart, and may be a device that communicates with the control server based on FIGS. 1 and 2,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동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동구는 전력, 통신, 수도, 난방 등의 시설을 지하의 일정공간에 공동으로 수용하여 굴착 등의 도로시설 훼손없이 관리토록 한 도시 기반시설일 수 있다. 공동구에는 상수도관, 하수도관, 냉난방시설, 전선 및 통신선 등 건물에 공급되는 공공재를 위해 지하에 갖춰진 시설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공동구에는 냉난방 시설, 전선, 통신선, 상수도관 및 하수도관과 함께 보행로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공동구는 다른 시설 또는 설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3 is a view showing a c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mmon ward may be an urban infrastructure facility in which facilities such as electric power, communication, water supply, and heating are jointly accommodated in a predetermined underground space and managed without damaging road facilities such as excavation. The common ward may be a facility provided underground for public goods supplied to the building, such as water supply pipes, sewer pipes, heating and cooling facilities, electric wires and communication lines.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3, the common ward may include a walkway along with a cooling and heating facility, an electric wire, a communication line, a water supply pipe, and a sewer pipe. For example, the common ward may further include other facilities or facilities,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여기서, 기존 물류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도심 내 또는 도심간 차량 이동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도로 혼잡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지하 물류 체인을 형성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는 별도의 물류 터널을 갖춰야 되므로 자연파괴가 발생할 수 있고, 시민합의 등에 의해 사업이 길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Here, the existing distribution system may generally operate based on the movement of vehicles within or between the city centers, and various problems such as road congestion may occur based on this. In addition, although a technology for forming an underground distribution chain has been proposed, there is a problem that natural destruction may occur because a separate distribution tunnel must be provided, and the business may be prolonged due to civil agreements.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도 4를 참조하면, 기존의 공동구 또는 신도시나 새로운 지하철 노선에서 생성되는 공동구에 물류 시스템을 위한 설비를 구축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구에는 물류레일로서 메인레일(410-1, 410-2) 및 보조레일(420)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4에서는 공동구의 천장에 물류레일로서 메인레일(410-1, 410-2) 및 보조레일(420)이 장착된 경우를 기준으로 서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물류레일로서 메인레일(410-1, 410-2) 및 보조레일(420)은 보행로나 그 밖의 다른 형태로 장착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메인레일(410-1, 410-2)을 통해 카트(430-1, 430-2)가 장착될 수 있으며, 카트에 기초하여 물류 시스템이 동작할 수 있다.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oints, referring to FIG. 4, a method of constructing a facility for a distribution system in an existing common ward or a common ward created in a new city or a new subway line may be considered. More specifically, main rails 410-1 and 410-2 and auxiliary rails 420 may be provided as distribution rails in the common zone. As an example, in FIG. 4, the main rails 410-1 and 410-2 and the auxiliary rails 420 are mounted as distribution rails on the ceiling of the common ward, but the descrip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main rails 410-1 and 410-2 and the auxiliary rails 420 as distribution rails may be mounted in a walking path or other form, and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addition, the carts 430-1 and 430-2 may be mounted through the main rails 410-1 and 410-2, and the distribution system may operate based on the cart.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공동구 내의 물류 시스템은 제어서버(540)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서버(540)는 공동구 내에 설치된 서버로 물류레일로서 메인레일(510-1, 510-2)/보조레일(520) 및 카트(530-1, 530-2)와 통신을 수행하고, 이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서버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제어서버(540) 및 공동구 내의 상술한 구성들(510-1, 510-2, 520, 530-1, 530-2)은 통신망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 통신망은 근거리 통신, 유선 통신, 무선 통신, 3G, 4G 및 5G 통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제어서버(540)는 상술한 구성들(510-1, 510-2, 520, 530-1, 530-2)과 원활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공동구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서버(540)가 공동구 밖에 위치하고, 나머지 구성들(510-1, 510-2, 520, 530-1, 530-2)이 공동구 내에 위치하는 경우라면 제어서버(540)와 나머지 구성들(510-1, 510-2, 520, 530-1, 530-2)의 통신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지하에 설비된 공동구는 외부와 차단될 수 있으므로 외부와 연결하는 통신망은 연결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제어서버(540)와 나머지 구성들(510-1, 510-2, 520, 530-1, 530-2)은 공동구 내부에 함께 존재하고, 근거리 통신망이나 다른 통신망을 통해 자체적으로 통신망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서버(540)는 외부와 연결된 별도의 통신망을 구비할 수 있으며, 유선망이나 기타 통신이 원활한 위치에서 외부망과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공동구 내부에는 제어서버(540) 및 상술한 구성들(510-1, 510-2, 520, 530-1, 530-2)이 포함되는 인트라망이 구축되고, 제어서버(540)만이 외부와 연결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서버(540)는 물류 시스템을 제어하는 장치 또는 장치에 연결되는 어플리케이션과 통신을 원활하게 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일 예일뿐, 제어서버(540)가 공동구 밖에 위치하고, 나머지 구성들(510-1, 510-2, 520, 530-1, 530-2)이 공동구 내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5, the distribution system in the common ward may operate based on the control server 540. As an example, the control server 540 is a server installed in the common ward and communicates with the main rails 510-1 and 510-2 / auxiliary rails 520 and the carts 530-1 and 530-2 as distribution rails, and , It may be a server that performs control on this. As a specific example, the control server 540 and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510-1, 510-2, 520, 530-1, and 530-2 in the common zone may have a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at least one of short-range communication, wired communication, wireless communication, 3G, 4G, and 5G communication,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ere, the control server 540 may be located in the common ward so as to perform smooth communication with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510-1, 510-2, 520, 530-1, and 530-2. For example, if the control server 540 is located outside the common ward, and the remaining components 510-1, 510-2, 520, 530-1, 530-2 are located in the common ward, the control server 540 and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Communication between them (510-1, 510-2, 520, 530-1, 530-2) may not be smooth. That is, since a common ward installed in the basement may be blocked from the outside, a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ng with the outside may not be connected smoothly.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oints, the control server 540 and the remaining components 510-1, 510-2, 520, 530-1, and 530-2 exist together inside the common ward, and through a local area network or other communication network. You can form your own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control server 540 may have a separat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the outside, and may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network at a location where a wired network or other communication is smooth. That is, an intra network including the control server 540 and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510-1, 510-2, 520, 530-1, and 530-2 is built inside the common zone, and only the control server 540 is external.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by connecting with. Through this, the control server 540 may facilitate communication with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distribution system or an application connected to the device.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control server 540 may be located outside the common ward, and the remaining components 510-1, 510-2, 520, 530-1, 530-2 may be located within the common ward. .

여기서, 공동구 내에 설치되는 물류시스템의 상술한 구성 중 메인레일 및 보조레일은 공동구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나, 일 예로, 천장에 메인레일 및 보조레일이 설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구 내에서는 상수도관이나 하수도관 및 그 밖의 시설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시설들과 충돌을 피하기 위해 천장에 레일이 설치되고, 레일을 따라 카트가 이동하는 형태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상술한 시설들이 공동구 한쪽 면으로 설치되고, 다른 한쪽 면에 레일이 설치되고 한쪽면에 평행하게 카트가 이동하는 형태도 가능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레일이 천장에 설치된 경우를 기준으로 서술한다.Here, amo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of the distribution system installed in the common ward, the main rail and the auxiliary rail may be installed in various forms within the common ward, but as an example, the main rail and the auxiliary rail may be installed on the ceiling. More specifically, since water pipes, sewer pipes, and other facilities are included in the common ward, rails are installed on the ceiling to avoid collisions with the corresponding facilities, and the cart may move along the rails. As another example, the above-described facilities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vity, a rail may be installed on the other side, and a cart may be moved parallel to one side,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owev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described based on the case where the rail is installed on the ceiling.

일 예로, 물류 시스템은 공동구 천장에 설치된 레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물류 시스템은 레일부에 연결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화물을 적재하는 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물류 시스템은 레일부 및 카트와 통신을 수행하고, 카트의 이동 및 레일을 제어하는 제어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물류시스템은 레일부, 카트 및 제어서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istribution system may include a rail unit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common ward. The logistics system may include a cart connected to the rail unit and moving along the rail to load cargo. The distribution system may include a control server that communicates with the rail unit and the cart, and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cart and the rail. That is, the distribution system may be composed of a rail unit, a cart, and a control server, and may operate based on this.

보다 구체적인 일 예로, 도 6을 참조하면, 공동구 천장에 물류시스템의 레일부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레일부는 메인레일부(610-1, 610-2) 및 보조레일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레일부(610-1, 610-2)는 카트(630)가 물류를 적재하고 이동하는 통로일 수 있다. 즉, 카트(630)는 메인레일부(610-1, 610-2)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메인레일부(610-1, 610-2)는 서로 다른 방향의 메인레일부(610-1) 및 메인레일부(610-2)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IN" 메인레일부(610-1)는 물류를 공급하는 라인으로 기능하고 "OUT" 메인레일부(610-2)는 물류를 반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외부로부터 공동구를 따라 물류를 받는 건물로 연결된 메인레일부는 "IN" 메인레일부(610-1)일 수 있다. 반면, 건물에서 공동구로 물류를 반출하는 메인레일부는 "OUT" 메인레일부(610-2)일 수 있다. 여기서, "IN" 메인레일부(610-1) 및 "OUT" 메인레일부(610-2) 사이에는 보조레일부(62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보조레일부(620)는 물류의 방향을 변경하기 위해 사용되는 레일부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메인레일부(610-1, 610-2)에는 복수 개의 카트(630)가 존재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카트(630)의 순서 변경을 위해 보조적으로 구비된 레일부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구 내에 메인레일부(610-1, 610-2)만 존재하는 경우, 카트(630)의 방향이나 순서를 변경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인레일부(610-1, 610-2) 사이에 보조레일부(620)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보조레일부(620)는 메인레일부(610-1, 610-2) 전체에 설치될 필요성이 없으며, 일정 구간에만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보조레일부(620)는 기 설정된 영역에만 설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보조레일부(620)는 일정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보조레일부(620)는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As a more specific example, referring to FIG. 6, a rail part of the distribution system may be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common ward. In this case, the rail part may include main rail parts 610-1 and 610-2 and auxiliary rail parts 620. The main rail units 610-1 and 610-2 may be passages through which the cart 630 loads and moves logistics. That is, the cart 630 may move along the main rail portions 610-1 and 610-2. In this case, the main rail parts 610-1 and 610-2 may be composed of a main rail part 610-1 and a main rail part 610-2 in different directions. In one example, the "IN" main rail part 610-1 may function as a line for supplying logistics, and the "OUT" main rail part 610-2 may perform a function of carrying out the logistic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For example, a main rail part connected to a building receiving distribution along a common ward from the outside may be an "IN" main rail part 610-1. On the other hand, the main rail part for carrying out logistics from the building to the common ward may be the "OUT" main rail part 610-2. Here, an auxiliary rail part 62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IN" main rail part 610-1 and the "OUT" main rail part 610-2. In this case, the auxiliary rail unit 620 may be a rail unit used to change the direction of logistics. In addition, as an example, a plurality of carts 630 may be present in the main rail parts 610-1 and 610-2, and may be a rail part auxiliary provided to change the order of the plurality of carts 630. More specifically, when only the main rail parts 610-1 and 610-2 are present in the cavity, it may be difficult to change the direction or order of the cart 630. To this end, an auxiliary rail part 62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main rail parts 610-1 and 610-2. However, the auxiliary rail part 620 does not need to be installed all over the main rail parts 610-1 and 610-2, and may be installed only in a certain section. For example, the auxiliary rail unit 620 may be installed only in a preset area. As another example, the auxiliary rail unit 620 may b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n addition, the auxiliary rail part 620 may be installed in various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여기서, 메인레일부, 보조레일부 및 카트는 제어서버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Here, the main rail part, the auxiliary rail part, and the cart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server.

일 예로, 도 7을 참조하면, 제어서버(710)는 복수 개의 카트(72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카트 각각은 위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일 예로, 복수 개의 카트(720)들은 공동구 내에 위치하므로 카메라 센서를 구비하고, 이를 통해 획득되는 공동구 내의 이미지 정보를 통해 상대적 위치를 확인하여 위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복수 개의 카트(720) 각각은 식별 장치(e.g. RFID)를 포함하고, 공동구 내의 각각의 위치에는 식별 장치를 인식하는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장치는 공동구 내의 상대적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일정 간격마다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각각의 장치는 공동구 내의 물류 상하차 지점 및 그 밖의 물류 제어가 필요한 지점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에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카트(720)의 식별 장치는 공동구 내에 설치된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상대적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예로, 카트(720)의 식별장치는 공동구 내의 장치에 태깅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공동구 내에서 카트(720)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카트(720)는 획득한 위치 정보를 제어서버(71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제어서버(710)는 이를 통해 카트(720)의 상대적 위치를 주기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제어서버(710)는 특정 이벤트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 전송을 트리거링하고, 카트(720)로 위치 정보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서버(710)는 물류 배송 순서를 바꾸거나 중단해야 하는 경우에 대한 이벤트를 디텍트하면 카트(720)로 현재 위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카트(720)는 공동구 내의 장치로부터 획득한 상대적 위치 정보 또는 카메라를 통해 공동구 내의 이미지를 통해 획득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 정보를 제어서버(7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서버(710)는 공동구 내의 복수 개의 카트(630)들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이에 기초하여 물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7, the control server 710 may communicate with a plurality of carts 720. 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carts may include a device capable of recognizing location information. As a more specific example, since the plurality of carts 720 are located in the cavity, a camera sensor may be provided, and position information may be recognized by checking a relative position through image information in the cavity obtained through the plurality of carts 720. As another example, each of the plurality of carts 720 includes an identification device (e.g. RFID), and a device for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device may be provided at each location in the cavity. Here, each device may be installed based on the relative position information in the cavity, and may b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n addition, as an example, each of the devices may be installed at a distribution point in the common ward and other points requiring distribution control,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t this time, the identification device of the cart 720 communicates with the device installed in the common ward, and through this, the relative position information can be checked. For example, the identification device of the cart 720 may be tagged to a device in the common ward, and through this, the relativ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art 720 may be obtained in the common ward. The cart 720 may transmit the acquir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rver 710, and the control server 710 may periodically check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cart 720 through this. 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server 710 triggers transmission of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a specific event, and may request the cart 720 to transmit location information. As an example, the control server 710 may request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cart 720 upon detecting an event for a case in which the order of logistics delivery needs to be changed or stopped. At this time, the cart 720 may transmit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rver 710 based on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a device in the common ward or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an image in the common ward through a camera. Through this, the control server 710 may check the relativ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carts 630 in the common ward, and perform control for providing a distribution service based thereon.

또한, 일 예로, 도 7b를 참조하면, 제어서버(710)는 복수 개의 카트(720)에 대한 개폐 여부 및 그 밖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카트(720)는 공동구 내에 설치된 물류 투입부에서 물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예로, 물류 투입부는 물류 시스템의 동작 범위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물류 투입부는 공동구의 기 설정된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일 예로, 다수의 아파트들은 공동구에 기초한 물류 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고, 다수의 아파트와 관련된 허브가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허브에 물류 투입부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물류가 물류 시스템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제어서버(710)는 카트(720)의 개폐 장치를 제어하여 물류를 적재할 수 있다. 여기서, 카트(720)에 포함되는 각각의 물류는 각각의 식별 값이 부여될 수 있다. 제어서버(710)는 카트(720)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물류 각각에 대한 식별 값을 확인하고, 카트(720)를 통해 물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물류 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카트(720) 각각의 개별 식별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카트(720)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물류 각각도 개별 식별 값을 가질 수 있다. 제어서버(710)는 카트의 식별 값 및 물류의 식별 값의 조합으로 해당 물류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물류 배송을 위한 카트 개폐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서버(710)는 카트의 움직임 또는 기울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카트(720)에서 물류를 방출하는 경우에는 카트가 컨베이어 벨트로 기울어질 수 있다. 반대로, 카트(720)에 물류를 싣는 경우에는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져 물류가 실릴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어는 제어서버(71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카트(720)가 물류를 이동시켜 공동구 내의 도착 위치로 도착하는 경우, 제어서버(710)는 카트(72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카트를 개폐하여 물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도착 위치는 각 건물 내의 기 설정된 위치일 수 있으나,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 후, 물류는 건물 내의 리프트를 통해 배송될 수 있으며, 제어서버(710)는 해당 배송까지 확인 및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물류 분실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an example, referring to FIG. 7B, the control server 710 may control whether or not to open/close the plurality of carts 720 and other operations. For example, the cart 720 may receive logistics from a logistics input unit installed in the common ward. For example, the logistics input unit may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operating range of the logistics system. In addition, as an example, the logistics input unit may be set to a preset position of the common ward. As a more specific example, a plurality of apartments may be connected to a distribution system based on a common ward, and a hub related to a plurality of apartments may exist. Here, the logistics input unit may be installed in the corresponding hub, through which the logistics can be supplied to the logistics system. The control server 710 may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cart 720 to load the logistics. Here, each distribution included in the cart 720 may be assigned a respective identification value. The control server 710 may check identification values for each of a plurality of logistics included in the cart 720 and move the logistics through the cart 720. That is, in the distribution system, each of the plurality of carts 720 may have individual identification values,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distribution items included in the cart 720 may also have individual identification values. The control server 710 can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corresponding logistics by a combination of the identification value of the cart and the identification value of the logistics, and control whether to open or close the cart for logistics delivery. In addition, the control server 710 may control the movement or inclination of the cart. For example, in the case of discharging logistics from the cart 720, the cart may be inclined to a conveyor belt.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loading the logistics on the cart 720, it can be til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so that the logistics can be loaded, and this control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control server 710. In addition, when the cart 720 moves the logistics and arrives at the arrival position in the common ward, the control server 710 may open and close the cart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art 720 to move the logistics. For example, the arrival location may be a preset location in each building, bu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reafter, the logistics can be delivered through a lift in the building, and the control server 710 can check and control even the corresponding delivery, thereby preventing a loss of logistics accident.

보다 상세하게는, 도 7c를 참조하면, 카트(720)는 메인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도착 지점에 도착할 수 있다. 이때, 제어서버(710)는 카트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카트의 도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 후, 제어서버(710)는 카트(720)의 개폐 및 카트의 기울기를 제어하고, 카트(720)에서 해당 지점에 대응되는 물류를 컨베이어로 방출할 수 있다. 이때, 해당 물류는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리프트(또는 엘리베이터)로 이동되어 배송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7c에서 리프트는 목적지 건물의 화물용 엘리베이터일 수 있다. 이때, 리프트는 공동구에 인접한 건물들이 신도시 건설 단계에서부터 공동구 내 물류 레일에서 바로 해당 건물로 리프트를 통해 배송이 수행되도록 구현된 형태일 수 있다. 이때, 물류를 적재하고 온 카트(720)는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물로 물류를 이동시켜 자동 하역할 수 있다. 제어서버(710)는 카트(720)의 개폐뿐만 아니라 카트의 기울기도 제어할 수 있으며, 카트가 컨베이어 벨트에서 기울어지도록 제어하여 물류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 후, 카트(720)는 메인레일부로 다시 합류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물류 각각은 식별 값을 가지므로 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를 통해 물류가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서버(710)는 해당 엘리베이터 또는 리프트도 제어할 수 있으며, 해당 물류가 이동할 위치를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내부도 컨베이어 벨트일 수 있으며, 제어서버(710)는 해당 엘리베이터가 멈추면 해당 물류를 하차하여 배송을 완료할 수 있다. In more detail, referring to FIG. 7C, the cart 720 may move along the main rail to arrive at the arrival point. In this case, the control server 710 may check whether or not the cart has arriv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art. Thereafter, the control server 710 may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art 720 and the inclination of the cart, and discharge the logistics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point from the cart 720 to the conveyor. At this time, the logistics may be delivered by moving to a lift (or elevator) along a conveyor belt. For example, in FIG. 7C, the lift may be a freight elevator of a destination building. In this case, the lift may be implemented so that buildings adjacent to the common zone are delivered from the logistics rail in the common zone through the lift to the corresponding building from the new city construction stage. At this time, the cart 720 that has loaded the logistics can be unloaded automatically by moving the logistics to the building in which the elevator is installed through a conveyor belt. The control server 710 may control not only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art 720 but also the tilt of the cart, and control the cart to tilt from the conveyor belt to move the logistics. After that, the cart 720 may rejoin the main rail part. At this time, as an example, as described above, since each logistics has an identification value, the logistics can automatically move through an elevator based on this. For example, the control server 710 may control a corresponding elevator or lift, and automatically check a location to which the corresponding logistics will be moved. 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elevator may also be a conveyor belt, and the control server 710 may get off the corresponding logistics when the elevator stops to complete delivery.

구체적인 일 예로, "아파트 내의 1705호"가 물류의 목적지인 경우, 물류는 공동구 내의 카트에서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엘리베이터로 이동 후 17층 엘리베이터에서 정차할 수 있다. 이때, 엘리베이터 내의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해당 물류는 복도쪽으로 밀어지고(이동되고), 이에 따라 배송이 완료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서버는 상술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어서버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다른 서버와 연동되어 물류를 배송받는 유저 디바이스로 메시지 또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배송을 완료할 수 있다. As a specific example, when "No. 1705 in the apartment" is the destination of the logistics, the logistics may move from a cart in the common ward to an elevator along a conveyor belt and then stop at the elevator on the 17th floor. At this time, the distribution can be pushed (moved) toward the corridor through the conveyor belt in the elevator, and delivery can be completed accordingly. Here, the control server may control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In addition, as an example, the control server may provide a message or notification to a user device that receives logistics by interlocking with an application or another server, and through this, delivery can be completed.

또 다른 일 예로, 제어서버는 메인레일부 및 보조레일부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도 8a를 참조하면, 메인레일부 및 보조레일부의 모든 부분이 제어서버와 통신을 수행하지는 않을 수 있다. 일 예로, 메인레일부 및 보조레일부 및 방향 전환이 가능한 영역(811, 8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방향 전환이 가능한 영역은 구동 장치 및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보조레일부는 화물의 주문 취소, 배송지 변경, 경로 복잡성에 기초하여 카트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레일부일 수 있다. 여기서, 카트의 경로 변경을 위해서는 메인레일부 및 보조레일부의 소정의 위치에 방향전환용 영역(811, 812)이 포함될 수 있다. 공동구 내부는 좁은 영역일 수 있으므로 방향 전환을 위해서 방향전환용 영역(811, 812)은 구동 장치 및 통신 장치를 포함하여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server may communicate with the main rail unit and the auxiliary rail unit. As a specific example, referring to FIG. 8A, not all parts of the main rail part and the auxiliary rail part may communicate with the control server. For example, it may include a main rail part, an auxiliary rail part, and a direction changeable area 811 and 812. In this case, the area in which the direction can be changed may include a driving device and a communication device. In more detail, the auxiliary rail unit may be a rail unit required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cart based on order cancellation of cargo, change of delivery address, and route complexity. Here, in order to change the path of the cart, the direction change regions 811 and 812 may be includ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of the main rail part and the auxiliary rail part. Since the interior of the cavity may be a narrow area, the area for direction change (811, 812) may be controlled to include a driving device and a communication device for direction change.

보다 상세하게는, 도 8b를 참조하면, 카트의 경로 변경이 필요한 경우, 해당 카트는 보조레일부로 이동할 필요성이 있다. 이때, 제어서버는 카트가 메인레일부 및 보조레일부의 방향전환용 영역(811, 812)으로 이동함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서버는 상술한 카트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카트의 이동을 디텍트할 수 있다. 그 후, 제어서버는 메인레일부 및 보조레일부의 방향전환용 영역(811, 812)으로 카트 이동을 위한 방향 전환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메인레일부 및 보조레일부의 방향전환용 영역(811, 812)의 구동장치는 제어서버로부터 요청을 수락한 경우, 이에 대한 응답을 제어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그 후, 메인레일부 및 보조레일부의 방향전환용 영역(811, 812)의 구동장치로 방향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메인레일부 및 보조레일부의 방향전환용 영역(811, 812)은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도 8b처럼 소정 회전각도에서 메인레일부 및 보조레일부의 방향전환용 영역(811, 812)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메인레일부 및 보조레일부의 방향전환용 영역(811, 812)의 통신 장치는 연결이 완료되면 제어서버로 연결 완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 후, 제어서버는 연결 완료 메시지에 기초하여 카트로 이동 명령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카트는 보조레일부로 이동할 수 있다. 그 후, 카트가 보조레일부로 이동을 완료하면 카트는 이동 완료 메시지를 제어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그 후, 제어서버는 이동 완료 메시지에 기초하여 메인레일부 및 보조레일부의 방향전환용 영역(811, 812)으로 종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메인레일부 및 보조레일부의 방향전환용 영역(811, 812)의 구동장치는 이동 완료에 기초하여 도 8c처럼 기존 상태로 복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카트가 메인레일부에서 보조레일부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보조레일부는 방향전환을 위해 필요하므로 메인레일부 전체에 설치되지 않고, 기설정된 영역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이때, 상술한 카트의 이동은 제어서버에 의해 관리될 수 있으며, 메인레일부 및 보조레일부의 방향전환용 영역(811, 812)도 제어서버에 의해서 제어되므로 물류 시스템에서 카트나 물류가 분실되거나 관리 영역 밖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more detail, referring to FIG. 8B, when the path of the cart needs to be changed, the cart needs to be moved to the auxiliary rail part. At this time, the control server can confirm that the cart moves to the direction change areas 811 and 812 of the main rail part and the auxiliary rail part. The control server may detect the movement of the cart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art. Thereafter, the control server may transmit a request for direction change for moving the cart to the direction change areas 811 and 812 of the main rail part and the auxiliary rail part. In this case, when the driving device of the main rail part and the auxiliary rail part direction change areas 811 and 812 accepts a request from the control server, it may transmit a response thereto to the control server. Thereafter, direction change may be performed by a driving device of the direction change regions 811 and 812 of the main rail part and the auxiliary rail part. At this time, the main rail part and the auxiliary rail part direction change areas 811 and 812 may be rotated by the driving device, and the main rail part and the auxiliary rail part direction change area 811 at a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as shown in FIG. 8B. , 812) may be connected. At this time, as an example, the communication device of the main rail unit and the auxiliary rail unit direction change areas 811 and 812 may transmit a connection completion message to the control server when the connection is completed. Thereafter, the control server may transmit a move command message to the cart based on the connection completion message, and the cart may move to the auxiliary rail unit. Thereafter, when the cart completes movement to the auxiliary rail unit, the cart may transmit a movement completion message to the control server. Thereafter, the control server may transmit the end message to the direction change areas 811 and 812 of the main rail part and the auxiliary rail part based on the movement completion message. At this time, the driving device of the main rail part and the auxiliary rail part direction change area (811, 812) may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as shown in FIG. 8C based on the completion of the movement, through which the cart is moved from the main rail part to the auxiliary rail part. You can move. Her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auxiliary rail part is required for direction change, it may not be installed in the entire main rail part, but may be installed in a preset area, as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the movement of the cart described above can be managed by the control server, and the direction change areas 811 and 812 of the main rail part and the auxiliary rail part are also controlled by the control server, so that the cart or logistics is lost in the distribution system. You can prevent it from moving out of the management area.

또 다른 일 예로, 카트는 물류 상태 또는 물류 배송을 고려하여 보조레일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예로, 경로 변경 가능성이 생긴 카트는 메인레일부에서 보조레일부로 이동되어 대기할 수 있으며, 보조레일로 이동되어 서행 또는 중지되어 지시를 기다릴 수 있다. 여기서, 제어서버는 상술한 동작을 위해 카트 및 메인레일부 및 보조레일부의 방향전환용 영역(811, 812)의 통신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이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카트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cart may move to the auxiliary rail unit in consideration of the state of logistics or logistics delivery. For example, a cart with a possibility of changing the route may be moved from the main rail part to the auxiliary rail part to wait, and may be moved to the auxiliary rail to slow down or stop to wait for an instruction. Here, the control server may control the movement by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of the cart, the main rail part, and the direction change area 811 and 812 of the auxiliary rail part for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and based on this, the cart movement is performed. You can do it smoothly.

또 다른 일 예로, 보조레일부 이외에 카트주차레일부가 존재할 수 있다. 일 예로, 공동구 내에 복수 개의 카트가 존재하고, 이에 기초하여 물류가 배송되는 경우, 카트의 이동 및 보관이 필요할 수 있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도 9a처럼 별도의 카트 주차레일부가 존재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구 내에 카트들은 지하에 위치하기 때문에 카트의 공급 및 제거를 실시간으로 수행하는데 한계가 존재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카트들을 실시간으로 레일에 장착하거나 제거하는 것은 쉽지 않을 수 있을 수 있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공동구 내의 레일부는 카트주차레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있다. 여기서, 카트주차 레일부에는 복수 개의 카트들이 레일에 위치할 수 있으며, 메인레일부 및 보조레일부의 방향전환용 영역처럼 카트주차레일부 및 메인레일부 방향전황용 영역(911, 912)이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영역(911, 912)는 메인레일부 및 보조레일부의 방향전환용 영역처럼 구동장치 및 통신장치를 포함하고, 도 9b처럼 방향 전환되어 메인레일부로 카트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는 도 9c와 같을 수 있다. 여기서, 방향 전환 방법은 메인레일부 및 보조레일부의 방향 전환과 동일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re may be a cart parking rail part in addition to the auxiliary rail part. For exampl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carts in the common ward, and logistics is delivered based on this, it may be necessary to move and store the carts.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oints, a separate cart parking rail part may exist as shown in FIG. 9A. More specifically, since the carts in the cavity are located underground, there may be a limitation in performing the supply and removal of the cart in real time. That is, it may not be easy to mount or remove a plurality of carts on the rail in real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oints, the rail portion in the cavity may further include a cart parking rail portion. have. Here, in the cart parking rail part, a plurality of carts may be located on the rail, and the cart parking rail part and the main rail part direction change areas (911, 912) exist as in the direction change area of the main rail part and the auxiliary rail part. I can. At this time, the above-described areas 911 and 912 include a driving device and a communication device like a direction change area of the main rail part and the auxiliary rail part, and the cart can be moved to the main rail part by being changed in direction as shown in FIG. 9B. It may be the same as in Figure 9c. Here, the direction change method may be the same as the direction change of the main rail part and the auxiliary rail part.

또한, 일 예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물류 시스템에 기초하여 물류가 배송되는 구체적인 동작이 도시될 수 있다. 일 예로, 물류 시스템은 물류 센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물류 센터는 공동구로 물류를 공급할 수 있는 설비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물류들은 물류 센터로 모이고, 각각의 식별 값을 부여받을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물류들은 제어서버에 의해 각각의 카트로 할당될 수 있다. 그 후, 각각의 물류들은 에스컬레이터 또는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공동구 내로 이동되며 각각의 카트로 실릴 수 있다. 그 후, 카트들은 공동구 내의 레일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여기서, 도 10에서첨 레일부에는 메인레일부와 일정 영역에 방향 전환을 위한 보조레일부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그 후, 물류는 카트를 따라 이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일 예로, 카트는 "IN" 메일레일부를 따라 공동구 인접 건물 1로 하차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0에서처럼 리프트가 존재하고, 리프트를 통해 공동구 인접 건물 1의 해당 목적지로 자동 하역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카트는 "OUT" 메일레일부를 따라 공동구 밖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공동구 인접 건물 2에는 다른 지역으로 배송이 필요한 물류가 존재할 수 있다. 이때, 해당 물류는 리프트를 통해 카트로 전달되고, 카트는 "OUT" 메일레일부를 따라 반출되는 물류를 적재하고 공동부 밖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어서버는 건물에서 배출되는 물류에도 식별 값을 부여하고, 대응되는 카트를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an example, referring to FIGS. 10 and 11, a detailed operation of delivering logistics based on the logistics system may be illustrated. For example, the distribution system may include a distribution center. Here, the distribution center may be provided with facilities capable of supplying distribution to the common ward. At this time, each of the distributions is gathered at the distribution center, and each identification value may be assigned. In addition, each of the logistics can be assigned to each cart by the control server. After that, each of the goods is moved into the cavity through an escalator or a conveyor belt and can be loaded onto each cart. Thereafter, the carts can move along the rail portion in the cavity, as described above. Here, in FIG. 10, a main rail part and an auxiliary rail part for direction change may be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area in the attached rail part, as described above. After that, the logistics can be used along the cart. As a more specific example, the cart may be disembarked to the building 1 adjacent to the common ward along the "IN" mail rail part. Here, as shown in FIG. 10, there is a lift, and automatic unloading may be performed to the corresponding destination of the building 1 adjacent to the common ward through the lift. In addition, the cart can be moved out of the cavity along the "OUT" mailrail section. Here, in the building 2 adjacent to the common ward, there may be logistics that require delivery to other regions. At this time, the logistics is delivered to the cart through the lift, and the cart can load the logistics carried out along the "OUT" mail rail part and move out of the cavity. In this case, as an example, the control server may assign an identification value to logistics discharged from the building and check the corresponding cart.

하기에서는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물류 시스템의 동작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일 수 있다.Hereinafter, it may be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operation of the distribution system based on the above.

공동구 인접 건물에 거주하는 유저 A가 반품을 요청한 경우When User A, who lives in a building adjacent to the common ward, requests a return

일 예로, 물류 시스템은 물류 생산자로부터 물류 소비자로 배송하는 동작뿐만 아니라, 물류 소비자의 반품에 기초하여 물류 생산자로 물류를 다시 반송하는 경우까지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유저 A가 이커머스 업체에 모바일 앱으로 반품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앱의 반품 요청은 상술한 제어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즉, 반품 요청을 받은 이커머스 업체는 자동으로 공동구 운영 회사에 물건 수거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서버는 유저 A 거주 건물로 인근 카트를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서버는 유저 A 거주 건물 인근 카트 중 배송에 적합한 카트를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확인하고, 이를 유저 A 거주 건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유저 A는 리프트에 반품 물류를 상차시켜 지하의 컨베이어로 전달될 수 있다. 그 후, 컨베이어를 통해 카트로 반품 물류가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서버는 반품 물류가 카트에 포함되면 식별 값을 부여하여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카트는 상술한 메일레일부 중 "OUT" 메인레일부를 통해 공동구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logistics system may control not only an operation of delivering from a logistics producer to a logistics consumer, but also a case of returning the logistics back to the logistics producer based on the return of the logistics consumer. For example, user A may request a return to an e-commerce company through a mobile app. At this time, the return request of the mobile app may be transmitted to the above-described control server. In other words, the e-commerce company receiving the return request can automatically transmit the request to collect the item to the company operating the joint district. Here, the control server may move a nearby cart to the building in which the user A resides. For example, the control server may check a cart suitable for delivery among carts near the user A residence building,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and move it to the user A residence building. At this time, user A may load the returned logistics on a lift and transfer it to an underground conveyor. Thereafter, the return logistics may be delivered to the cart through the conveyor. Here, the control server may prevent loss by assigning an identification value when the returned logistics is included in the cart. In addition, the cart may be discharged out of the cavity through the "OUT" main rail part of the above-described mail rail part.

공동구 인접 건물에 거주하는 유저 A가 교환을 요청한 경우When User A who lives in a building adjacent to the common ward requests an exchange

일 예로, 물류 시스템은 물류 생산자로부터 물류 소비자로 배송하는 동작뿐만 아니라, 물류 소비자의 반품에 기초하여 물류 생산자로 물류를 다시 교환하는 경우까지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유저 A가 이커머스 업체에 모바일 앱으로 교환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앱의 교환 요청은 상술한 제어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즉, 교환 요청을 받은 이커머스 업체는 자동으로 공동구 운영 회사에 물건 수거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서버는 공동구 외의 물류센터에서 교환 물품을 식별하고, 이를 카트로 싣어 유저 A 거주 건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교환 물건은 유저 A 거주 건물의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자동 하역하고, 리프트를 통해 해당 교환 물품을 유저 A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카트는 "IN" 메일레일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유저 A는 리프트에 반품 물류를 상차 시켜 지하의 컨베이어로 전달될 수 있다. 그 후, 컨베이어를 통해 카트로 반품 물류가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서버는 반품 물류가 카트에 포함되면 식별 값을 부여하여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카트는 상술한 메일레일부 중 "OUT" 메인레일부를 통해 공동구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logistics system may control not only the operation of delivering from the logistics producer to the logistics consumer, but also the case of re-exchanging the logistics with the logistics producer based on the return of the logistics consumer. For example, user A may request an e-commerce company to exchange with a mobile app. In this case, the request for exchange of the mobile app may be transmitted to the above-described control server. In other words, the e-commerce company receiving the exchange request can automatically transmit the request to collect the item to the common ward operating company. Here, the control server may identify the exchanged product in a distribution center other than the common ward, load it with a cart and move it to the building in which the user A resides. At this time, the exchange product may be unloaded automatically through a conveyor belt of the user A residence building, and the exchange product may be provided to the user A through a lift. Here, the cart may move along the "IN" mail rail part. Here, the user A may load the return logistics on the lift and transfer it to the underground conveyor. Thereafter, the return logistics may be delivered to the cart through the conveyor. Here, the control server may prevent loss by assigning an identification value when the returned logistics is included in the cart. In addition, the cart may be discharged out of the cavity through the "OUT" main rail part of the above-described mail rail part.

공동구 인접 건물에 동시에 여러 화물이 도착하는 경우When multiple cargo arrives at the same time in a building adjacent to the common area

일 예로, 카트에는 다수의 물류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어서버는 물류의 목적지를 고려하여 물류를 이동시킬 카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목적지가 유사한 물류들은 동일한 카트를 통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카트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먼저 도착하는 물류 하차 지점에 물류를 자동하역하고, 이동을 통해 물류를 순차적으로 하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물류 시스템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For example, a cart may contain a number of logistics. In this case, as an example, the control server may determine a cart to move the logistics in consideration of the destination of the logistics. For example, logistics with similar destinations may be moved through the same cart. In addition, as an example, the cart can automatically unload the logistics at the logistics drop-off point that arrives first while moving along the rail, and can sequentially get off the logistics through movement,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logistics system.

물류 레일을 따라 이동 중 유저 A가 주문을 취소한 경우User A cancels the order while moving along the logistics rail

일 예로, 공동구 내의 카트를 통해 물류가 배송 중에 유저 A가 취소 주문을 수행한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때, 제어서버는 해당 배송을 변경해야 하므로 카트를 메인레일부에서 보조레일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카트는 보조레일부에서 방향이 전환되어 다시 물류센터로 이동할 수 있으며, 해당 물류를 물류센터에 하차 후 다시 배송을 위해 공동구로 이동할 수 있다.As an example, it may be considered a case in which user A performs a cancellation order while logistics is being delivered through a cart in the common ward. At this time, since the control server needs to change the delivery, the cart can be moved from the main rail part to the auxiliary rail part. In addition, the cart can be moved back to the distribution center by changing its direction at the auxiliary rail, and after getting off the corresponding distribution at the distribution center, it can be moved back to the common ward for delivery.

물류 레일을 따라 이동 중 유저 A가 배송지 변경 요청한 경우When user A requests to change the delivery address while moving along the logistics rail

일 예로, 공동구 내의 카트를 통해 물류가 배송 중에 유저 A가 배송지 변경을 요청한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때, 제어서버는 해당 배송지 변경을 수행하여도 카트 이동에 문제가 없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카트 이동에 문제가 없는 경우, 제어서버는 해당 카트의 해당 물류의 배송지를 변경하여 배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변경된 배송지가 카트 내의 다른 물류의 배송지와 동일한 경우, 제어서버는 변경된 배송지로 해당 물류를 배송할 수 있다. 반면, 카트 이동에 의해 배송에 지연 또는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제어서버는 해당 배송을 변경해야 하므로 카트를 메인레일부에서 보조레일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카트는 보조레일부에서 방향이 전환되어 다시 물류센터로 이동할 수 있으며, 해당 물류를 물류센터에 하차하고, 배송지를 변경하여 새로운 카트로 배송을 수행할 수 있다.As an example, it may be considered a case in which user A requests to change the delivery address while logistics is being delivered through a cart in the common ward. At this time, the control server can check whether there is no problem with moving the cart even after changing the delivery address. Here, when there is no problem in moving the cart, the control server may perform delivery by changing the delivery address of the corresponding logistics of the cart. For example, if the changed delivery address is the same as the delivery destination of other logistics in the cart, the control server may deliver the corresponding logistics to the changed delivery destination. On the other hand, when a delay or problem occurs in delivery due to movement of the cart, the control server needs to change the delivery, so that the cart can be moved from the main rail part to the auxiliary rail part. In addition, the cart can be moved back to the distribution center after its direction is changed at the auxiliary rail part, and the distribution can be disembarked at the distribution center, and the delivery destination can be changed to perform delivery with a new cart.

도 1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동구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예로, 도 12를 참조하면, 공동구 내의 냉난방시설, 상수관, 하수관 등 다른 시설들과 물류 레일의 교차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구조물 간 설치 높이를 다르게 설계할 수 있다. 즉, 공동구 내의 냉난방시설, 상수관, 하수관 등 다른 시설들은 낮은 높이에 위치하게 하고, 물류 시스템은 천장에 설치하여 상호 간의 간섭을 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12 is a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c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s an example, referring to FIG. 12, in order to prevent interference when a distribution rail crosses with other facilities such as air conditioning and heating facilities, water pipes, sewage pipes, etc. in a common ward, different installation heights may be designed between structures. In other words, other facilities such as heating and cooling facilities, water pipes, and sewage pipes in the common ward can be located at a low height, and distribution systems can be installed on the ceiling to prevent mutual interference.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구 내에서는 상수도관이나 하수도관 및 그 밖의 시설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시설들과 충돌을 피하기 위해 천장에 레일이 설치되고, 레일을 따라 카트가 이동하는 형태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상술한 시설들이 공동구 한쪽 면으로 설치되고, 다른 한쪽 면에 레일이 설치되고 한쪽면에 평행하게 카트가 이동하는 형태도 가능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More specifically, since water pipes, sewer pipes, and other facilities are included in the common ward, rails are installed on the ceiling to avoid collisions with the corresponding facilities, and the cart may move along the rails. As another example, the above-described facilities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vity, a rail may be installed on the other side, and a cart may be moved parallel to one side,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도 13 및 도 1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에서 물류 목적지로의 화물의 이동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3 and 14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of moving cargo from a common ward to a distribution destin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이하에서는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공동구(10)를 통해 이송된 화물(1330)이 건물(20) 내 배송 목적지로 이동되는 것을 설명하나 이는 그 반대로 건물에서 공동구로 화물이 이동되는 경우도 동일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3 and 14, it will be described that the cargo 1330 transferred through the common ward 10 is moved to the delivery destination within the building 20, but this is the same when the cargo is moved from the building to the common war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can be implemented in a way.

도 13을 참조하면, 공동구(10)의 레일부(1300)를 따라서 카트(1310)이 하역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하역 위치에서 카트(1310)의 일면에 형성된 도어가 열리고 카트(1310) 내 화물이 카트에서 내려질 수 있다. 카트 내 화물은 로컬이동수단(1320)으로 내려질 수 있다. 카트 내 화물이 내려지기 위해서, 카트 내에 컨베이어 장치(1311)가 구비될 수 있다. 컨베이어 장치의 동작 방향은 적어도 2개 방향일 수 있다. 즉 카트 내 컨베이어 장치(1311)는 카트 내부 또는 외부로 화물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로컬이동수단(1320)은 컨베이어 장치가 구비된 설치물 또는 이동 가능한 장비일 수 있다. 도 13에서는 컨베이어 장치가 컨베이어벨트로 표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13, the cart 1310 may be moved to the unloading position along the rail portion 1300 of the cavity 10. In the unloading position, a door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art 1310 is opened, and the cargo in the cart 1310 can be unloaded from the cart. The cargo in the cart may be lowered to the local moving means 1320. In order to unload the cargo in the cart, a conveyor device 1311 may be provided in the cart.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conveyor device may be at least two directions. That is, the conveyor device 1311 in the cart may move the cargo inside or outside the cart.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local moving means 1320 may be an installation equipped with a conveyor device or movable equipment. In FIG. 13, the conveyor device is shown as a conveyor bel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컨베이어 장치'는 컨베이어 시스템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화물의 이동을 위해서 벨트 형태의 면이 이동하는 것(컨베이어벨트) 뿐만 아니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바퀴, 볼 등을 통해 면 상에 배치된 물건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다양한 수단이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conveyor device'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refers to a conveyor system, and the belt-shaped surface moves for the movement of cargo (conveyor belt), as well as at least partially formed on the surface through wheels, balls, etc. Various means of moving the position of the placed object may be included here.

로컬 이동수단(1320)에 의해 이동되는 화물은 이동로봇(1340)으로 옮겨질 수 있다. 이동 로봇(1340)은 서버의 제어에의해 이동 및 화물의 상하차를 수행하는 기계장치이다. 이동로봇의 상부면의 일 부분에는 화물을 실을 수 있는 적재면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적재면에는 컨베이어 장치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이동로봇(1340)의 컨베이어 장치(적재면)의 높이와 로컬 이동수단(1320)의 높이는 동일하거나 비슷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양자간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이동로봇과 로컬 이동수단에 형성된 컨베이어 장치에의해 추가적인 에너지 소모 없이 화물이 이동될 수 있다.The cargo moved by the local moving means 1320 may be transferred to the mobile robot 1340. The mobile robot 1340 is a mechanical device that moves and loads and unloads cargo under the control of a server. A loading surface for loading cargo may be provided on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obile robot. A conveyor device may be configured on the loading surface. 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the height of the conveyor device (loading surface) of the mobile robot 1340 and the height of the local moving means 1320 may be configured to be the same or similar. That is, a step difference may not be formed between the two. Accordingly, cargo can be moved without additional energy consumption by the mobile robot and the conveyor device formed in the local moving means.

이동로봇(1340)은 화물을 적재 후 배송 목적지 건물(20)로 이동할 수 있다. 건물(20)에는 엘리베이터(135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는 건물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위치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건물 내 엘리베이터(1350)의 밑면 중 적어도 이 부분에는 컨베이어 장치(1351)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엘리베이터의 컨베이어 장치(1351)의 높이와 이동로봇(1340)의 높이는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양자간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이동로봇과 엘리베이터 각각에 형성된 컨베이어 장치에의해 추가적인 에너지 소모 없이 화물이 이동될 수 있다.The mobile robot 1340 may move to the delivery destination building 20 after loading the cargo. An elevator 1350 may be provided in the building 20, and the elevator may be mov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in the building. In addition, a conveyor device 1351 may be provided on at least this portion of the underside of the elevator 1350 in the building. In one embodiment, the height of the conveyor apparatus 1351 of the elevator and the height of the mobile robot 1340 may be configured to be the same or similar. That is, a step difference may not be formed between the two. Accordingly, cargo can be moved without additional energy consumption by a conveyor device formed in each of the mobile robot and the elevator.

엘리베이터의 컨베이어 장치(1351)에 이동된 화물은 목적지 층으로 이동되고, 목적치 층에서 엘리베이터 컨베이어 장치(1351)에 의해 화물이 목적지 층의 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13에서 설명한 이동로봇이 각 목적지 층마다 구비되어 엘리베이터로부터 화물을 수신하여 정확한 목적지까지 이동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cargo moved by the conveyor apparatus 1351 of the elevator is moved to the destination floor, and the cargo may be moved to the space of the destination floor by the elevator conveyor apparatus 1351 from the destination floor. Although not shown, the mobile robot described in FIG. 13 may be provided for each destination floor to receive cargo from an elevator and perform movement to an exact destination.

한편 도 13을 더 참조하면, 엘리베이터 컨베이어 장치(1351)로 화물을 하역한 이동로봇(1340)은 기 설정된 장소로 이동되어 충전 또는 세척과 같은 정비 작업을 받거나, 다른 화물의 이동을 위해서 로컬 이동수단(1320)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13 further, the mobile robot 1340 that unloads the cargo with the elevator conveyor device 1351 is moved to a preset location to receive maintenance work such as filling or washing, or a local moving means for moving other cargo. You can also go to (1320).

도 1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물류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공동구를 활용한 물류 시스템은 공동구에 포함되고 메인레일부 및 보조레일부를 포함하는 레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동구를 활용한 물류 시스템은 물류를 적재하고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카트 및 레일부와 카트를 제어하는 제어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tribution system using the common zone may include a rail part included in the common zone and including a main rail part and an auxiliary rail part. In addition, the distribution system using the common sphere may include a cart that loads distribution and moves along the rail unit, and a control server that controls the rail unit and the cart.

이때, 일 예로, 물류 시스템에 기초하여 물류가 배송되는 경우, 제어서버를 통해 제 1 지점에서 카트에 물류를 적재될 수 있다.(S1310) 그 후, 물류가 적재된 카트가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여 제 2 지점으로 이동할 수 있다.(S1320) 이때, 제어서버는 제 2 지점에서 카트에 적재된 물류를 반출할 수 있다.(S1330)At this time, as an example, when the logistics are delivered based on the logistics system, the logistics can be loaded into the cart at the first point through the control server. (S1310) Thereafter, the cart loaded with the logistics moves along the rail unit. It is possible to move to the second point (S1320) At this time, the control server may take out the logistics loaded on the cart at the second point (S1330).

여기서, 일 예로, 메인레일부 및 보조레일부는 공동구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메인레일부는 공동구 외부의 제 1 지점에서 물류를 상차하고, 공동구 내의 제 2 지점으로 물류를 이동시켜 하차하는 카트가 이동하는 제 1 메인레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공동구 내부로 이동하는 카트는 제 1 메인레일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레일부는 공동구 내의 제 2 지점에서 물류를 상차하고, 공동구 밖의 제 1 지점으로 물류를 이동시켜 하차하는 제 2 메인레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공동구 외부로 이동하는 카트는 제 1 메인레일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보조레일부는 제 1 메인레일부 및 제 2 메인레일부 사이에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인레일부는 공동구의 상부에서 공동구의 통로를 따라 설치되고, 보조레일부는 메인레일부가 설치된 영역 중 일부 영역에만 설치될 수 있다.Here, as an example, the main rail part and the auxiliary rail part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cavity. In addition, the main rail unit may include a first main rail unit for loading and unloading the logistics at a first point outside the common ward, moving the logistics to a second point in the common ward, and moving the unloading cart. That is, the cart moving inside the cavity may move along the first main rail part. In addition, the rail unit may include a second main rail unit for loading and unloading the logistics at a second point in the common ward and moving the logistics to a first point outside the common ward and getting off. That is, the cart moving outside the cavity may move along the first main rail part. In addition, the auxiliary rail part may be configured between the first main rail part and the second main rail part. Here, the main rail part may be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cavity along the passage of the cavity, and the auxiliary rail part may be installed only in a partial area of the area in which the main rail part is installed.

또한, 보조레일부는 메인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카트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레일부일 수 있다. 이때, 카트의 방향 전환이 필요한 경우, 제어서버는 카트,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 및 보조레일부의 제 1 영역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서버는 카트를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후, 제어서버는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 및 보조레일부의 제 1 영역을 회전시키고,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 및 보조레일부의 제 1영역을 회전에 기초하여 소정의 각도에서 연결시키고, 카트를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에서 보조레일부의 제 1 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후, 제어서버는 회전된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 및 보조레일부의 제 1 영역을 복원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카트가 메인레일부에서 보조레일부로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rail part may be a rail part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cart moving along the main rail part. In this case, when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cart, the control server may control the cart, the first area of the main rail part, and the first area of the auxiliary rail part. For example, the control server may move the cart to the first area of the main rail part. After that, the control server rotates the first area of the main rail part and the first area of the auxiliary rail part, and connects the first area of the main rail part and the first area of the auxiliary rail part at a predetermined angle based on the rotation. And, it is possible to move the cart from the first area of the main rail part to the first area of the auxiliary rail part. Thereafter, the control server may restore the first area of the rotated main rail part and the first area of the auxiliary rail part, through which the cart can move from the main rail part to the auxiliary rail part.

또한, 일 예로, 레일부는 공동구의 상부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카트를 보관하는 카트주차레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카트주차레일부에 위치한 카트의 사용이 필요한 경우, 제어서버는 카트, 카트주차레일부의 제 1 영역 및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서버는 카트를 카트주차레일부의 제 1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카트주차레일부의 제 1 영역 및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을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카트주차레일부의 제 1 영역 및 메인레일부의 제 1영역을 회전에 기초하여 소정의 각도에서 연결되고, 카트는 카트주차레일부의 제 1 영역에서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 후, 제어서버는 회전된 카트주차레일부의 제 1 영역 및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을 복원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을 위한 카트를 메인레일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s an example, the rail unit may further include a cart parking rail unit that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vity and stores a plurality of carts. In this case, when it is necessary to use a cart located in the cart parking rail part, the control server may control the cart, the first area of the cart parking rail part, and the first area of the main rail part. In this case, the control server may move the cart to the first area of the cart parking rail part and rotate the first area of the cart parking rail part and the first area of the main rail part. Here, the first area of the cart parking rail part and the first area of the main rail part are connected at a predetermined angle based on rotation, and the cart moves from the first area of the cart parking rail part to the first area of the main rail part. Can be. Thereafter, the control server may restore the first area of the rotated cart parking rail part and the first area of the main rail part, thereby moving the cart for use to the main rail part.

또한, 카트는 물류 적재를 위해 개폐가 가능한 일측면을 포함하고, 물류 적재를 위해 기울기가 조절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서버는 물류의 적재 및 반출을 고려하여 카트의 개폐 가능한 일측면 및 기울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카트에 적재된 물류가 반출되는 경우, 제어서버는 카트, 반출 지점의 컨베이어 벨트 및 반출 지점의 리프트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서버는 물류를 카트에서 반출 지점의 컨베이어 벨트로 이동시키고, 반출 지점의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동된 물류를 반출 지점의 리프트를 따라 배송지로 이동시켜 배송을 완료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rt includes one side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for loading the logistics, and the slope can be adjusted for loading the logistics. For example, the control server may control an open/closeable side and slope of the cart in consideration of loading and unloading of logistics. For example, when the logistics loaded on the cart is carried out, the control server may control the cart, the conveyor belt at the carrying point, and the lift at the carrying point. For example, the control server may move the logistics from the cart to the conveyor belt at the take-out point, and move the logistics moved along the conveyor belt at the take-out point to the delivery destination along the lift of the take-out point to complete delivery.

또한, 일 예로, 제어서버는 복수 개의 카트를 제어하되, 복수 개의 카트 각각은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트 각각에는 복수 개의 물류가 적재될 수 있다. 이때, 물류가 카트에 적재되는 경우, 물류 각각에는 식별 정보가 할당될 수 있다. 제어서버는 카트 각각의 식별 정보 및 물류 각각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레일부 및 카트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카트는 위치 정보 식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카트는 위치 정보 식별 장치에 기초하여 공동구 내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대적 위치 정보를 제어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서버는 상대적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레일부 및 카트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In addition, as an example, the control server controls a plurality of carts, but each of the plurality of carts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addition, each of the carts may be loaded with a plurality of logistics. At this time, when the logistics are loaded on the cart,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assigned to each of the logistics. The control server may control the rail unit and the cart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carts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logistics. In addition, as an example, the cart may include a location information identification device. In this case, the cart may acquire relative position information in the common ward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identification device, and transmit the obtained relative posi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rver. The control server may control the rail unit and the cart based on the relative position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disclosed as described above has been provi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implement and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do it.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명세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In addition,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claimed in the claims. In addition,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implement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rosp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Claims (9)

상수도관, 하수도관, 전선 및 통신선을 위한 공동구를 활용한 물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동구의 상부에 설치되는 메인레일부 및 보조레일부를 포함하는 레일부;
물류를 적재하고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카트; 및
상기 레일부 및 상기 카트를 제어하는 제어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레일부는,
상기 공동구 외의 제 1 지점에서 물류를 상차하고, 상기 공동구 내의 제 2 지점으로 물류를 이동시켜 하차하는 상기 카트가 이동하는 제 1 메인레일부; 및
상기 공동구 내의 상기 제 2 지점에서 물류를 상차하고, 상기 공동구 외의 상기 제 1 지점으로 물류를 이동시켜 하차하는 제 2 메인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레일부는,
상기 메인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카트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 1 메인레일부 및 상기 제 2 메인레일부 사이에만 구성되고, 상기 메인레일부가 설치된 영역 중 일부 영역에만 설치되고,
상기 카트의 방향 전환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카트,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 및 보조레일부의 제 1 영역을 제어하되,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카트를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 및 보조레일부의 제 1 영역을 회전시키고,
상기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 및 상기 보조레일부의 제 1영역을 상기 회전에 기초하여 소정의 각도에서 연결시키고,
상기 메인레일부의 제1 영역과 상기 보조레일부의 제1 영역이 연결되면, 상기 카트를 상기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에서 상기 보조레일부의 제 1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카트가 상기 보조레일부로 이동을 완료하면, 상기 회전된 상기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 및 상기 보조레일부의 제 1 영역을 복원시키며,
상기 제어서버는,
각각의 카트에 구비된 카메라 센서를 통해 획득한 공동구 내의 이미지 정보를 통해 확인되는 제1 위치정보; 및
각각의 카트에 구비된 RFID 식별장치와 공동구 내 각 위치에 구비된 식별장치를 통해 확인되는 제2 위치정보를 기초로 각 카트의 공동구 내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물류 시스템.
In the distribution system using common ports for water pipes, sewer pipes, electric wires and communication lines,
A rail part including a main rail part and an auxiliary rail part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cavity;
A cart for loading logistics and moving along the rail unit; And
Including a control server for controlling the rail unit and the cart,
The main rail part,
A first main rail part for loading and unloading the logistics at a first point other than the common zone, and moving the cart to move the logistics to a second point in the common zone and disembark; And
Including a second main rail for loading and unloading the logistics at the second point in the common zone, and moving the logistics to the first point outside the common zone to get off,
The auxiliary rail part,
It is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cart moving along the main rail part, is configured only between the first main rail part and the second main rail part, and is installed only in some of the areas in which the main rail part is installed,
When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cart, the control server controls the cart, the first area of the main rail part and the first area of the auxiliary rail part,
The control server,
Moving the cart to the first area of the main rail part,
Rotate the first area of the main rail part and the first area of the auxiliary rail part,
The first area of the main rail part and the first area of the auxiliary rail part are connected at a predetermined angle based on the rotation,
When the first area of the main rail part and the first area of the auxiliary rail part are connected, the cart is moved from the first area of the main rail part to the first area of the auxiliary rail part,
When the cart completes the movement to the auxiliary rail part, the rotated first area of the main rail part and the first area of the auxiliary rail part are restored,
The control server,
First location information confirmed through image information in the cavity obtained through a camera sensor provided in each cart; And
Based on the RFID identification device provided in each cart and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checked through the identification device provided at each location in the common ward, the distribution system for confirming the current position in the common ward of each car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상기 공동구의 상부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카트를 보관하는 카트주차레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트주차레일부에 위치한 상기 카트의 사용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카트, 카트주차레일부의 제 1 영역 및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을 제어하되,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카트를 카트주차레일부의 제 1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카트주차레일부의 제 1 영역 및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을 회전시키고,
상기 카트주차레일부의 제 1 영역 및 상기 메인레일부의 제 1영역을 상기 회전에 기초하여 소정의 각도에서 연결시키고,
상기 카트를 상기 카트주차레일부의 제 1 영역에서 상기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회전된 상기 카트주차레일부의 제 1 영역 및 상기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을 복원시키는, 물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rail portion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vity, further comprising a cart parking rail portion for storing the plurality of carts,
When it is necessary to use the cart located in the cart parking rail part, the control server controls the cart, a first area of the cart parking rail part, and a first area of the main rail part,
The control server,
Moving the cart to the first area of the cart parking rail part,
Rotating the first area of the cart parking rail part and the first area of the main rail part,
The first area of the cart parking rail part and the first area of the main rail part are connected at a predetermined angle based on the rotation,
Moving the cart from the first area of the cart parking rail part to the first area of the main rail part,
A distribution system for restoring the rotated first area of the cart parking rail part and the first area of the main rail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는 상기 물류 적재를 위해 개폐가 가능한 일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물류 적재를 위해 기울기가 조절되되,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물류의 적재 및 반출을 고려하여 상기 카트의 개폐 가능한 일측면 및 상기 기울기를 제어하는, 물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art includes one side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for loading the logistics, and the slope is adjusted for loading the logistics,
The control server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side of the cart and the slope in consideration of the loading and unloading of the logistic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에 적재된 상기 물류가 반출되는 경우,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카트, 반출 지점의 컨베이어 벨트 및 반출 지점의 리프트를 제어하되,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물류를 상기 카트에서 상기 반출 지점의 컨베이어 벨트로 이동시키고, 상기 반출 지점의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동된 물류를 상기 반출 지점의 리프트를 따라 배송지로 이동시키는, 물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n the logistics loaded on the cart is carried out, the control server controls the cart, the conveyor belt of the take-out point, and the lift of the take-out point,
The control server,
The logistics system for moving the logistics from the cart to the conveyor belt of the take-out point, and moving the logistics that has been moved along the conveyor belt of the take-out point to the delivery destination along the lift of the take-out poin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서버는 복수 개의 상기 카트를 제어하되, 복수 개의 상기 카트 각각은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 각각에는 복수 개의 상기 물류가 적재되되, 상기 물류가 상기 카트에 적재되는 경우, 상기 물류 각각에는 식별 정보가 할당되고,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카트 각각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물류 각각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레일부 및 상기 카트를 제어하는, 물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rol server controls a plurality of the carts, each of the plurality of carts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Each of the carts is loaded with a plurality of the logistics, and when the logistics are loaded on the car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ssigned to each of the logistics,
The control server,
A distribution system for controlling the rail unit and the cart based 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carts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distributions.
KR1020200164522A 2020-11-30 2020-11-30 Logistics system using common duct KR1022520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522A KR102252006B1 (en) 2020-11-30 2020-11-30 Logistics system using common duct
KR1020210057069A KR102320265B1 (en) 2020-11-30 2021-05-03 Last mile delivery system using common duct
KR1020210121673A KR20220076291A (en) 2020-11-30 2021-09-13 Logistics system using common du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522A KR102252006B1 (en) 2020-11-30 2020-11-30 Logistics system using common duct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069A Division KR102320265B1 (en) 2020-11-30 2021-05-03 Last mile delivery system using common duc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2006B1 true KR102252006B1 (en) 2021-05-13

Family

ID=7591355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522A KR102252006B1 (en) 2020-11-30 2020-11-30 Logistics system using common duct
KR1020210057069A KR102320265B1 (en) 2020-11-30 2021-05-03 Last mile delivery system using common duct
KR1020210121673A KR20220076291A (en) 2020-11-30 2021-09-13 Logistics system using common duct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069A KR102320265B1 (en) 2020-11-30 2021-05-03 Last mile delivery system using common duct
KR1020210121673A KR20220076291A (en) 2020-11-30 2021-09-13 Logistics system using common duc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252006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297B1 (en) * 2021-08-02 2022-03-28 임석철 Automatic courier lift system for indoor delivery of high-rise buildings
KR102475720B1 (en) * 2021-10-01 2022-12-08 (주)스테이하이 Delivery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parcel delivery for apartment houses
KR20230049252A (en) * 2021-10-06 2023-04-13 (주)컨트롤웍스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goods for apartmentment houses
KR20240034413A (en) 2022-09-07 2024-03-14 (주)티라로보틱스 User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in logistics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0601A (en) * 2002-04-08 2003-10-21 Mitsubishi Heavy Ind Ltd Structure of terminal collection and delivery part for underground physical distribution system
KR102132852B1 (en) 2018-12-07 2020-07-13 주식회사 엠볼트 Logistics system using multi sided rail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0601A (en) * 2002-04-08 2003-10-21 Mitsubishi Heavy Ind Ltd Structure of terminal collection and delivery part for underground physical distribution system
KR102132852B1 (en) 2018-12-07 2020-07-13 주식회사 엠볼트 Logistics system using multi sided rail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297B1 (en) * 2021-08-02 2022-03-28 임석철 Automatic courier lift system for indoor delivery of high-rise buildings
WO2023013843A1 (en) * 2021-08-02 2023-02-09 임석철 Automatic parcel lift system for indoor delivery in high-rise building
KR102475720B1 (en) * 2021-10-01 2022-12-08 (주)스테이하이 Delivery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parcel delivery for apartment houses
KR20230049252A (en) * 2021-10-06 2023-04-13 (주)컨트롤웍스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goods for apartmentment houses
KR102619803B1 (en) * 2021-10-06 2024-01-03 (주)컨트롤웍스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goods for apartmentment houses
KR20240034413A (en) 2022-09-07 2024-03-14 (주)티라로보틱스 User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in logistics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291A (en) 2022-06-08
KR102320265B1 (en) 2021-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2006B1 (en) Logistics system using common duct
CN107000975B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indoor pathfinding based on elevator information
JP6924804B2 (en) Picking scheduling method, equipment, storage system and readable storage medium
US11320837B2 (en) Federated automated interoperation between premises and autonomous resources
JP66715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turning to Robot Site {METHOD AND DEVICE FOR RETURNING ROBOTS FROM SITE}
CN110531773A (en) Robot path dispatching method, device, server and storage medium
JP2020504983A (en) Robot ad hoc network
CN109471427A (en) Carry the method, scheduling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of article
AU2021215147B2 (en) Parcel sorting platform, system and method, and data processing for item sorting system
CN109178743A (en) Based on article mov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the storage medium intensively stored
CN110770594B (en) Passenger vehicle geo-location
TWI707283B (en) Fleet management method, fleet management device, fleet management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thereof
CN111815225A (en) Unmanned aerial vehicle peer-to-peer logistics network distribution system and distribution method thereof
US11550827B2 (en) Graph enabled location optimization
US10755227B1 (en) Rapid workspace representation deployment for inventory systems
JP2021064231A (en) Service system using autonomous traveling vehicle
CN113071836A (en) Logistics infrastructure structure
US202301543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deling and Simulating a Hyperloop Portal
JP2020061150A (en) Multi-level robotics automation
CN113888627A (en) Unmanned equipment, and interaction system, method and device of unmanned equipment
JP2016091296A (en) Parking lot vehicle booth management system, parking lot vehicle booth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TW200415094A (en) Conveying vehicle system
TW202008239A (en) Site returning method and device for robots capable of ensuring that the currently idle robots leave the site in an orderly manner after delivery of goods
CN107403362A (en) Engineering equipment flat car service system and method
JP7234896B2 (en) Vehicle manag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