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1824B1 - 마스크 원단 합포 장치 - Google Patents

마스크 원단 합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1824B1
KR102251824B1 KR1020200127721A KR20200127721A KR102251824B1 KR 102251824 B1 KR102251824 B1 KR 102251824B1 KR 1020200127721 A KR1020200127721 A KR 1020200127721A KR 20200127721 A KR20200127721 A KR 20200127721A KR 102251824 B1 KR102251824 B1 KR 102251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roller
unit
supply
fabr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7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경철
Original Assignee
차경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경철 filed Critical 차경철
Priority to KR1020200127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18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5/00Seaming textile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4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B32B37/0053Constructional details of laminating machines comprising rollers;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J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 D06J1/00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 D06J1/12Forms of plea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공급되는 원단들을 각각 설정위치로 안내하여 원단들이 정확한 위치에서 적층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마스크의 접합 불량 및 노우즈와이어의 이탈을 예방할 수 있는 마스크 원단 합포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원단 합포 장치는 원단들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원단 공급부와, 원단 공급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원단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원단들을 개별적으로 가이드하여 원단들의 위치를 조절하고, 위치가 조절된 원단들을 다수회 절곡시켜 가압하면서 원단들을 밀착시키도록 구성되는 합지부를 포함하고, 합지부는, 제1 원단 및 제2 원단을 가압하여 밀착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롤러와, 제1 롤러에 의해 밀착된 제1 원단 및 제2 원단과, 그 하측으로 공급되는 제3 원단을 가압하여 밀착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롤러와, 제2 롤러에 의해 밀착된 제1 원단, 제2 원단 및 제3 원단을 가압하여 밀착시키도록 구성되는 제3 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마스크 원단 합포 장치{Mask fabric bonding device}
본 발명은 마스크 원단 합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황사, 미세먼지 등의 경우 실리콘, 카드뮴, 납 등 중금속은 물론 유해한 오염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황사에 노출 시 알레르기성 결막염이나 비염, 기관지 천식 등을 유발할 수가 있으며, 미세먼지의 경우에는 걸러지지 않고 사람의 폐 속으로 직접 들어가게 되어 기침이 나거나 가래, 염증을 일으켜 기관지 협착이 일어날 수 있어 적절한 대처와 주의가 요구된다.
이러한 대처의 일환으로 공기 중에 떠다니는 유해물질을 여과하여 사용자의 기관지로 유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마스크의 착용이 권장되고 있다.
마스크는 다층으로 이루어져 사용 시 상하 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주름부가 형성되고, 상측에 노우즈와이어가 삽입된 마스크 본체와, 마스크 본체의 양 측면에 접합된 걸이밴드로 구성된다.
여기서, 마스크 본체는 원단을 다층으로 적층하고, 적층된 원단들을 접합한 후, 소정의 크기로 절취하는 과정을 통해 제조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원단들이 일 방향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원단의 폭 방향을 따라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치우쳐진 상태로 적층되고, 이에 합포된 원단들에는 두께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원단들의 편향으로 인하여 원단들의 일부만 적층된 부위는 충분한 두께를 확보하지 못하여 합포 시 파손 또는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마스크 본체의 상단부가 상술한 바와 같이 충분한 두께를 확보하지 못하여 파손 또는 변형된 경우, 마스크 본체의 상측에 수용된 노우즈와이어가 마스크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급되는 원단들을 각각 설정위치로 안내하여 원단들이 정확한 위치에서 적층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마스크의 접합 불량 및 노우즈와이어의 이탈을 예방할 수 있는 마스크 원단 합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원단 합포 장치는 원단들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원단 공급부; 및 상기 원단 공급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원단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원단들을 개별적으로 가이드하여 상기 원단들의 위치를 조절하고, 위치가 조절된 상기 원단들을 다수회 절곡시켜 가압하면서 상기 원단들을 밀착시키도록 구성되는 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합지부는, 제1 원단 및 제2 원단을 가압하여 밀착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롤러; 상기 제1 롤러에 의해 밀착된 상기 제1 원단 및 상기 제2 원단과, 그 하측으로 공급되는 제3 원단을 가압하여 밀착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롤러; 및 상기 제2 롤러에 의해 밀착된 상기 제1 원단, 상기 제2 원단 및 상기 제3 원단을 가압하여 밀착시키도록 구성되는 제3 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합지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원단, 상기 제2 원단 및 상기 제3 원단이 합지된 하나의 합지원단에 주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주름롤러; 상기 주름롤러의 전방에 배치되고, 주름이 형성된 부위를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원단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합지원단의 일 측 및 타 측을 절첩시키고, 상기 합지원단의 상면과 하면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절첩부; 상기 절첩부에 의해 절첩되는 상기 합지원단의 일 측에 노우즈 와이어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와이어 공급부; 및 상기 절첩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합지원단을 가압 및 가열하면서 상기 제1 원단, 상기 제2 원단 및 상기 제3 원단을 접합시키고, 미리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도록 구성되는 접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단 공급부는, 상기 제1 롤러에 상기 제1 원단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제1 공급롤 및 상기 제1 롤러로 공급되는 상기 제1 원단을 절곡시켜 상기 제1 원단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제1 장력조절부를 포함하는 제1 공급부; 상기 제1 롤러에 상기 제2 원단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제2 공급롤 및 상기 제1 롤러로 공급되는 상기 제2 원단을 절곡시켜 상기 제2 원단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제2 장력조절부를 포함하는 제2 공급부; 및 상기 제2 롤러에 상기 제3 원단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제3 공급롤 및 상기 제2 롤러로 공급되는 상기 제3 원단을 절곡시켜 상기 제3 원단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제3 장력조절부를 포함하는 제3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롤러는 상기 제1 원단, 상기 제2 원단 및 상기 제3 원단을 흡착하면서 상기 원단들을 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롤러는, 다공성 재질로 형성되는 외관 및 상기 외관의 내부에 배치되고 비다공성 재질로 형성되는 내관을 포함하는 롤 바디; 상기 내관에 결합되어 상기 롤 바디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롤 회전축; 일 측은 상기 외관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내관의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외관과 상기 내관 사이를 12개의 공간으로 구획하고, 비다공성 재질로 형성되는 구획 플레이트; 상기 롤 회전축의 일 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 지지드럼 및 상기 제1 지지드럼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12개의 공간 중 적어도 3개의 공간과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제1 연통부를 포함하는 제1 드럼유닛; 상기 롤 회전축의 타 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지지드럼 및 상기 제2 지지드럼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연통부가 연통된 공간들과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제2 연통부를 포함하는 제2 드럼유닛; 상기 제2 지지드럼의 내부에 수용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롤 구동 모터; 상기 롤 회전축과 상기 롤 구동 모터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롤 구동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롤 회전축에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제1 드럼유닛 및 상기 제2 드럼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연통부 및 상기 제2 연통부와 연통되고, 상기 제1 연통부 및 상기 제2 연통부와 연통된 상기 적어도 3개의 공간을 음압상태로 형성하여 상기 적어도 3개의 공간에 대응되는 상기 외관의 외주면에 상기 원단들을 흡착시키도록 구성되는 진공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롤러는 상기 제1 원단, 상기 제2 원단 및 상기 제3 원단을 가압하면서 열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롤러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관형의 열전달관; 상기 열전달관의 내부에 배치되고, 외주면에 복수의 발열 수납 홀더가 배치되는 코어관; 상기 복수의 발열 수납 홀더에 수납되어 열을 발산하도록 구성되는 발열체; 및 상기 열전달관과 상기 코어관 사이에 수용되고, 상기 발열체에 의해 가열되어 상기 열전달관에 열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열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합지부는, 상기 제1 롤러로 공급되는 상기 제1 원단의 폭 방향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제1 안내 조절부; 상기 제1 롤러로 공급되는 상기 제2 원단의 폭 방향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제2 안내 조절부; 및 상기 제2 롤러로 공급되는 상기 제3 원단의 폭 방향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제3 안내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안내 조절부, 상기 제2 안내 조절부 및 상기 제3 안내 조절부는, 상기 원단의 폭 방향을 따라 일 측 및 타 측에 대향 배치되는 제1 서포트 유닛; 상기 제1 서포트 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스크류 샤프트; 상기 제1 스크류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스크류 샤프트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구동모터; 상기 제1 스크류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스크류 샤프트의 회전 시 상기 제1 스크류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되는 제1 이송 블록; 상기 제1 이송 블록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이송 블록의 일 측 및 타 측에 배치되는 제2 서포트 유닛; 상기 제2 서포트 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스크류 샤프트; 상기 제2 스크류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스크류 샤프트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구동모터; 상기 제2 스크류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스크류 샤프트의 회전 시 상기 제2 스크류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되는 제2 이송 블록; 상기 제2 서포트 유닛의 일 측에 배치되어 원단의 일단을 파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 파지유닛; 및 상기 제2 이송 블록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이송 블록에 의해 상기 원단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원단의 타단을 파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파지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파지유닛 및 상기 제2 파지유닛은,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선형이동 가능한 파지 슬라이더; 상기 가이드 레일에 설치되고, 신장되거나 수축되면서 상기 파지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 실린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선단에 배치되어 원단의 일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고정롤러; 및 상기 파지 슬라이더에 결합되고, 상기 파지 슬라이더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원단의 타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이동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합지부는, 상기 제2 롤러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롤러의 외면에 흡착되면서 상호 밀착된 상기 제1 원단, 상기 제2 원단 및 상기 제3 원단을 상기 제2 롤러의 외면 측으로 가압하여 압착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보조 가압롤러; 및 상기 제1 보조 가압롤러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보조 가압롤러에 의해 압착된 상기 제1 원단, 상기 제2 원단 및 상기 제3 원단을 상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 원단, 상기 제2 원단 및 상기 제3 원단을 상기 제2 롤러의 외면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보조 가압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합지부는, 상기 제2 보조 가압롤러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원단, 상기 제2 원단 및 상기 제3 원단을 상기 제3 롤러의 외면 측으로 가압하여 압착시키도록 구성되는 제3 보조 가압롤러; 및 상기 제3 보조 가압롤러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3 롤러의 외면에 밀착된 상기 제1 원단, 상기 제2 원단 및 상기 제3 원단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3 롤러의 외면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구성되는 제4 보조 가압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원단들을 정해진 위치로 안내하므로, 원단들이 편향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원단들의 합포 시 불량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원단들의 편향을 방지하여 접합부위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노우즈와이어가 원단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원단들의 편향으로 인한 제품의 불량 발생을 예방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원단 합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원단 합포 장치의 제2 롤러를 축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원단 합포 장치의 제3 롤러를 축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원단 합포 장치의 제1 안내 조절부, 제2 안내 조절부 및 제3 안내 조절부가 각각 제1 원단, 제2 원단 및 제3 원단을 파지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원단 합포 장치의 제1 안내 조절부, 제2 안내 조절부 및 제3 안내 조절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원단 합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원단 합포 장치(100)(이하 '마스크 원단 합포 장치(100)'라 함)는 원단 공급부(110)와, 제1 롤러(121), 제2 롤러(122) 및 제3 롤러(123)를 포함하는 합지부(120)를 포함한다.
원단 공급부(110)는 원단들(F1, F2, F3)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원단 공급부(110)는 제1 공급부(111), 제2 공급부(112) 및 제3 공급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급부(111)는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제1 롤러(121)에 제1 원단(F1)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제1 공급롤(1111)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제1 롤러(121)로 공급되는 제1 원단(F1)을 절곡시켜 제1 원단(F1)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제1 장력조절부(1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공급부(112)는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제1 롤러(121)에 제2 원단(F2)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제2 공급롤(1121)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제1 롤러(121)로 공급되는 제2 원단(F2)을 절곡시켜 제2 원단(F2)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제2 장력조절부(1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공급부(113)는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제2 롤러(122)에 제3 원단(F3)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제3 공급롤(1131)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제2 롤러(122)로 공급되는 제3 원단(F3)을 절곡시켜 제3 원단(F3)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제3 장력조절부(1132)를 포함할 수 있다.
합지부(120)는 원단 공급부(110)의 전방에 배치되어 원단 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되는 원단들(F1, F2, F3)을 개별적으로 가이드하여 원단들(F1, F2, F3)의 위치를 조절하고, 위치가 조절된 원단들(F1, F2, F3)을 다수회 절곡시켜 가압하면서 원단들(F1, F2, F3)을 밀착시키도록 구성된다.
합지부(120)는 제1 원단(F1) 및 제2 원단(F2)을 가압하여 밀착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롤러(121)와, 제1 롤러(121)의 전방에 배치되고 제1 롤러(121)에 의해 밀착된 제1 원단(F1) 및 제2 원단(F2)과, 그 하측으로 공급되는 제3 원단(F3)을 가압하여 밀착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롤러(122)와, 제2 롤러(122)의 전방에 배치되고 제2 롤러(122)에 의해 밀착된 제1 원단(F1), 제2 원단(F2) 및 제3 원단(F3)을 가압하여 밀착시키도록 구성되는 제3 롤러(123)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원단 합포 장치의 제2 롤러를 축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2 롤러(122)는 제1 원단(F1), 제2 원단(F2) 및 제3 원단(F3)을 흡착하면서 원단들(F1, F2, F3)을 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롤러(122)는 다공성 재질로 형성되는 외관(OT) 및 외관(OT)의 내부에 배치되고 비다공성 재질로 형성되는 내관(IT)을 포함하는 롤 바디(1221)와, 내관(IT)에 결합되어 롤 바디(1221)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롤 회전축(122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롤러(122)는 일 측은 외관(OT)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타 측은 내관(IT)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내관(IT)의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외관(OT)과 내관(IT) 사이를 12개의 공간으로 구획하고, 비다공성 재질로 형성되는 구획 플레이트(122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롤러(122)는 롤 회전축(1222)의 일 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 지지드럼(12241) 및 제1 지지드럼(12241)의 내부에 형성되어 12개의 공간 중 적어도 3개의 공간과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제1 연통부(12242)를 포함하는 제1 드럼유닛(1224)과, 롤 회전축(1222)의 타 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지지드럼(12251) 및 제2 지지드럼(12251)의 내부에 형성되어 제1 연통부(12242)가 연통된 공간들과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제2 연통부(12252)를 포함하는 제2 드럼유닛(122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롤러(122)는 제2 지지드럼(12251)의 내부에 수용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롤 구동 모터(1226)와, 롤 회전축(1222)과 롤 구동 모터(1226)를 상호 연결하여, 롤 구동 모터(1226)의 회전력을 롤 회전축(1222)에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동력전달부(1227)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롤러(122)는 제1 드럼유닛(1224) 및 제2 드럼유닛(1225)에 설치되어 제1 연통부(12242) 및 제2 연통부(12252)와 연통되고, 제1 연통부(12242) 및 제2 연통부(12252)와 연통된 적어도 3개의 공간을 음압상태로 형성하여 적어도 3개의 공간에 대응되는 외관(OT)의 외주면에 원단들(F1, F2, F3)을 흡착시키도록 구성되는 진공펌프(122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원단 합포 장치의 제3 롤러를 축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3 롤러(123)는 제1 원단(F1), 제2 원단(F2) 및 제3 원단(F3)을 가압하면서 열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 롤러(123)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관형의 열전달관(1231)과, 열전달관(1231)의 내부에 배치되고, 외주면에 복수의 발열 수납 홀더(12321)가 배치되는 코어관(1232)과, 복수의 발열 수납 홀더(12321)에 수납되어 열을 발산하도록 구성되는 발열체(1233)와, 열전달관(1231)과 코어관(1232) 사이에 수용되고, 발열체(1233)에 의해 가열되어 열전달관(1231)에 열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열매체(123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원단 합포 장치의 제1 안내 조절부, 제2 안내 조절부 및 제3 안내 조절부가 각각 제1 원단, 제2 원단 및 제3 원단을 파지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원단 합포 장치의 제1 안내 조절부, 제2 안내 조절부 및 제3 안내 조절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합지부(120)는 제1 롤러(121)로 공급되는 제1 원단(F1)의 폭 방향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제1 안내 조절부(124A)와, 제1 롤러(121)로 공급되는 제2 원단(F2)의 폭 방향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제2 안내 조절부(124B)와, 제2 롤러(122)로 공급되는 제3 원단(F3)의 폭 방향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제3 안내 조절부(124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안내 조절부(124A), 제2 안내 조절부(124B) 및 제3 안내 조절부(124C)는 각각, 원단의 폭 방향을 따라 일 측 및 타 측에 대향 배치되는 제1 서포트 유닛(1241)과, 제1 서포트 유닛(12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스크류 샤프트(1242)와, 제1 스크류 샤프트(1242)에 결합되어 제1 스크류 샤프트(1242)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구동모터(1243)와, 제1 스크류 샤프트(1242)에 결합되어 제1 스크류 샤프트(1242)의 회전 시 제1 스크류 샤프트(1242)의 길이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되는 제1 이송 블록(124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안내 조절부(124A), 제2 안내 조절부(124B) 및 제3 안내 조절부(124C)는 각각, 제1 이송 블록(1244)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 이송 블록(1244)의 일 측 및 타 측에 배치되는 제2 서포트 유닛(1245)과, 제2 서포트 유닛(124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스크류 샤프트(1246)와, 제2 스크류 샤프트(1246)에 결합되어 제2 스크류 샤프트(1246)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구동모터(1247)와, 제2 스크류 샤프트(1246)에 결합되어 제2 스크류 샤프트(1246)의 회전 시 제2 스크류 샤프트(1246)의 길이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되는 제2 이송 블록(1248)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안내 조절부(124A), 제2 안내 조절부(124B) 및 제3 안내 조절부(124C)는 각각, 제2 서포트 유닛(1245)의 일 측에 배치되어 원단의 일단을 파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 파지유닛(12491)과, 제2 이송 블록(1248)에 배치되어 제2 이송 블록(1248)에 의해 원단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원단의 타단을 파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파지유닛(1249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파지유닛(12491) 및 제2 파지유닛(12492)은 각각, 가이드 레일(GR)과, 가이드 레일(GR)에 설치되어 가이드 레일(GR)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선형이동 가능한 파지 슬라이더(GS)와, 가이드 레일(GR)에 설치되고, 신장되거나 수축되면서 파지 슬라이더(GS)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 실린더(DC)와, 가이드 레일(GR)의 선단에 배치되어 원단의 일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고정롤러(FR)와, 파지 슬라이더(GS)에 결합되고, 파지 슬라이더(GS)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원단의 타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이동롤러(M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합지부(120)는 제1 보조 가압롤러(125)와 제2 보조 가압롤러(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조 가압롤러(125)는 제2 롤러(122)의 전방에 배치되어 제2 롤러(122)의 외면에 흡착되면서 상호 밀착된 제1 원단(F1), 제2 원단(F2) 및 제3 원단(F3)을 제2 롤러(122)의 외면 측으로 가압하여 압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보조 가압롤러(126)는 제1 보조 가압롤러(125)의 전방에 배치되고, 제1 보조 가압롤러(125)에 의해 압착된 제1 원단(F1), 제2 원단(F2) 및 제3 원단(F3)을 상측으로 가압하여 제1 원단(F1), 제2 원단(F2) 및 제3 원단(F3)을 제2 롤러(122)의 외면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합지부(120)는 제3 보조 가압롤러(127)와, 제4 보조 가압롤러(1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보조 가압롤러(127)는 제2 보조 가압롤러(126)의 전방에 배치되어 제1 원단(F1), 제2 원단(F2) 및 제3 원단(F3)을 제3 롤러(123)의 외면 측으로 가압하여 압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4 보조 가압롤러(128)는 제3 보조 가압롤러(127)의 전방에 배치되고, 제3 롤러(123)의 외면에 밀착된 제1 원단(F1), 제2 원단(F2) 및 제3 원단(F3)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제3 롤러(123)의 외면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마스크 원단 합포 장치(100)는 주름롤러(130), 가압부(140), 절첩부(150), 와이어 공급부(160) 및 접합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름롤러(130)는 합지부(120)의 전방에 배치되고, 제1 원단(F1), 제2 원단(F2) 및 제3 원단(F3)이 합지된 하나의 합지원단(BF)에 주름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름롤러(130)에는 합지원단(BF)을 가압하면서 합지원단(BF)에 주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요철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가압부(140)는 주름롤러(130)의 전방에 배치되고, 주름이 형성된 부위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가압부(140)는 주름롤러(130)에 의해 합지원단(BF)에 형성된 주름이 풀리지 않도록 주름이 형성된 부위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부(140)는 주름이 형성된 부위의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높이 조절이 가능한 평판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절첩부(150)는 가압부(140)의 전방에 배치되고, 원단의 폭 방향을 따라 합지원단(BF)의 일 측 및 타 측을 절첩시키고, 합지원단(BF)의 상면과 하면을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첩부(150)는 합지원단(BF)의 일 측 및 타 측을 절첩시킬 수 있도록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고, 합지원단(BF)이 이송되는 방향을 따라 합지원단(BF)의 일 측 및 타 측을 절첩시키는 부위는 수직상태에서 점차 수평상태로 절곡됨에 따라 합지원단(BF)의 일 측 및 타 측을 완전히 수평상태로 절첩시킬 수 있다.
와이어 공급부(160)는 절첩부(150)에 의해 절첩되는 합지원단(BF)의 일 측에 노우즈 와이어(NW)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 공급부(160)는 노우즈 와이어(NW)가 권취되어 있는 드럼(미도시)과, 드럼으로부터 권출되는 노우즈 와이어(NW)를 절첩부(150) 측으로 안내하면서 노우즈 와이어(NW)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접합부(170)는 절첩부(150)의 전방에 배치되어 합지원단(BF)을 가압 및 가열하면서 제1 원단(F1), 제2 원단(F2) 및 제3 원단(F3)을 접합시켜 일체로 형성한 후, 이를 미리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합부(170)는 제1 원단(F1), 제2 원단(F2) 및 제3 원단(F3)을 접합시키도록 구성되는 접합롤러(미도시)와, 접합된 원단을 미리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도록 구성되는 절단롤러(미도시)와, 원단을 가압하면서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되는 이송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원단들(F1, F2, F3)을 정해진 위치로 안내하므로, 원단들(F1, F2, F3)이 편향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원단들(F1, F2, F3)의 합포 시 불량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원단들(F1, F2, F3)의 편향을 방지하여 접합부위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노우즈와이어(NW)가 원단(F1, F2, F3)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원단들(F1, F2, F3)의 편향으로 인한 제품의 불량 발생을 예방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마스크 원단 합포 장치
110. 원단 공급부
111. 제1 공급부
1111. 제1 공급롤
1112. 제1 장력조절부
112. 제2 공급부
1121. 제2 공급롤
1122. 제2 장력조절부
113. 제3 공급부
1131. 제3 공급롤
1132. 제3 장력조절부
120. 합지부
121. 제1 롤러
122. 제2 롤러
1221. 롤 바디
OT. 외관
IT. 내관
1222. 롤 회전축
1223. 구획 플레이트
1224. 제1 드럼유닛
12241. 제1 지지드럼
12242. 제1 연통부
1225. 제2 드럼유닛
12251. 제2 지지드럼
12252. 제2 연통부
1226. 롤 구동 모터
1227. 동력전달부
1228. 진공펌프
123. 제3 롤러
1231. 열전달관
1232. 코어관
12321. 발열 수납 홀더
1233. 발열체
1234. 열매체
124A. 제1 안내 조절부
124B. 제2 안내 조절부
124C. 제3 안내 조절부
1241. 제1 서포트 유닛
1242. 제1 스크류 샤프트
1243. 제1 구동모터
1244. 제1 이송 블록
1245. 제2 서포트 유닛
1246. 제2 스크류 샤프트
1247. 제2 구동모터
1248. 제2 이송 블록
12491. 제1 파지유닛
12492. 제2 파지유닛
GR. 가이드 레일
GS. 파지 슬라이더
DC. 구동 실린더
FR. 고정롤러
MR. 이동롤러
125. 제1 보조 가압롤러
126. 제2 보조 가압롤러
127. 제3 보조 가압롤러
128. 제4 보조 가압롤러
130. 주름롤러
140. 가압부
150. 절첩부
160. 와이어 공급부
170. 접합부
BF. 합지원단
F1. 제1 원단
F2. 제2 원단
F3. 제3 원단
NW. 노우즈 와이어

Claims (2)

  1. 원단들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원단 공급부; 및
    상기 원단 공급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원단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원단들을 개별적으로 가이드하여 상기 원단들의 위치를 조절하고, 위치가 조절된 상기 원단들을 다수회 절곡시켜 가압하면서 상기 원단들을 밀착시키도록 구성되는 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합지부는,
    제1 원단 및 제2 원단을 가압하여 밀착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롤러;
    상기 제1 롤러에 의해 밀착된 상기 제1 원단 및 상기 제2 원단과, 그 하측으로 공급되는 제3 원단을 가압하여 밀착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롤러; 및
    상기 제2 롤러에 의해 밀착된 상기 제1 원단, 상기 제2 원단 및 상기 제3 원단을 가압하여 밀착시키도록 구성되는 제3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합지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원단, 상기 제2 원단 및 상기 제3 원단이 합지된 하나의 합지원단에 주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주름롤러;
    상기 주름롤러의 전방에 배치되고, 주름이 형성된 부위를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원단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합지원단의 일 측 및 타 측을 절첩시키고, 상기 합지원단의 상면과 하면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절첩부;
    상기 절첩부에 의해 절첩되는 상기 합지원단의 일 측에 노우즈 와이어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와이어 공급부; 및
    상기 절첩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합지원단을 가압 및 가열하면서 상기 제1 원단, 상기 제2 원단 및 상기 제3 원단을 접합시키고, 미리 설정된 크기로 절단하도록 구성되는 접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원단 공급부는,
    상기 제1 롤러에 상기 제1 원단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제1 공급롤 및 상기 제1 롤러로 공급되는 상기 제1 원단을 절곡시켜 상기 제1 원단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제1 장력조절부를 포함하는 제1 공급부;
    상기 제1 롤러에 상기 제2 원단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제2 공급롤 및 상기 제1 롤러로 공급되는 상기 제2 원단을 절곡시켜 상기 제2 원단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제2 장력조절부를 포함하는 제2 공급부; 및
    상기 제2 롤러에 상기 제3 원단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제3 공급롤 및 상기 제2 롤러로 공급되는 상기 제3 원단을 절곡시켜 상기 제3 원단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제3 장력조절부를 포함하는 제3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롤러는 상기 제1 원단, 상기 제2 원단 및 상기 제3 원단을 흡착하면서 상기 원단들을 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롤러는,
    다공성 재질로 형성되는 외관 및 상기 외관의 내부에 배치되고 비다공성 재질로 형성되는 내관을 포함하는 롤 바디;
    상기 내관에 결합되어 상기 롤 바디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롤 회전축;
    일 측은 상기 외관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내관의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외관과 상기 내관 사이를 12개의 공간으로 구획하고, 비다공성 재질로 형성되는 구획 플레이트;
    상기 롤 회전축의 일 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 지지드럼 및 상기 제1 지지드럼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12개의 공간 중 적어도 3개의 공간과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제1 연통부를 포함하는 제1 드럼유닛;
    상기 롤 회전축의 타 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지지드럼 및 상기 제2 지지드럼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연통부가 연통된 공간들과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제2 연통부를 포함하는 제2 드럼유닛;
    상기 제2 지지드럼의 내부에 수용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롤 구동 모터;
    상기 롤 회전축과 상기 롤 구동 모터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롤 구동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롤 회전축에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제1 드럼유닛 및 상기 제2 드럼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연통부 및 상기 제2 연통부와 연통되고, 상기 제1 연통부 및 상기 제2 연통부와 연통된 상기 적어도 3개의 공간을 음압상태로 형성하여 상기 적어도 3개의 공간에 대응되는 상기 외관의 외주면에 상기 원단들을 흡착시키도록 구성되는 진공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롤러는 상기 제1 원단, 상기 제2 원단 및 상기 제3 원단을 가압하면서 열을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롤러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관형의 열전달관;
    상기 열전달관의 내부에 배치되고, 외주면에 복수의 발열 수납 홀더가 배치되는 코어관;
    상기 복수의 발열 수납 홀더에 수납되어 열을 발산하도록 구성되는 발열체; 및
    상기 열전달관과 상기 코어관 사이에 수용되고, 상기 발열체에 의해 가열되어 상기 열전달관에 열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열매체를 포함하며,
    상기 합지부는,
    상기 제1 롤러로 공급되는 상기 제1 원단의 폭 방향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제1 안내 조절부;
    상기 제1 롤러로 공급되는 상기 제2 원단의 폭 방향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제2 안내 조절부; 및
    상기 제2 롤러로 공급되는 상기 제3 원단의 폭 방향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제3 안내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안내 조절부, 상기 제2 안내 조절부 및 상기 제3 안내 조절부는,
    상기 원단의 폭 방향을 따라 일 측 및 타 측에 대향 배치되는 제1 서포트 유닛;
    상기 제1 서포트 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스크류 샤프트;
    상기 제1 스크류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스크류 샤프트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구동모터;
    상기 제1 스크류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스크류 샤프트의 회전 시 상기 제1 스크류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되는 제1 이송 블록;
    상기 제1 이송 블록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이송 블록의 일 측 및 타 측에 배치되는 제2 서포트 유닛;
    상기 제2 서포트 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스크류 샤프트;
    상기 제2 스크류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스크류 샤프트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구동모터;
    상기 제2 스크류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스크류 샤프트의 회전 시 상기 제2 스크류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되는 제2 이송 블록;
    상기 제2 서포트 유닛의 일 측에 배치되어 원단의 일단을 파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 파지유닛; 및
    상기 제2 이송 블록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이송 블록에 의해 상기 원단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원단의 타단을 파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파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파지유닛 및 상기 제2 파지유닛은,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선형이동 가능한 파지 슬라이더;
    상기 가이드 레일에 설치되고, 신장되거나 수축되면서 상기 파지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 실린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선단에 배치되어 원단의 일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고정롤러; 및
    상기 파지 슬라이더에 결합되고, 상기 파지 슬라이더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원단의 타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이동롤러를 포함하는, 마스크 원단 합포 장치.
  2. 삭제
KR1020200127721A 2020-10-03 2020-10-03 마스크 원단 합포 장치 KR102251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721A KR102251824B1 (ko) 2020-10-03 2020-10-03 마스크 원단 합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721A KR102251824B1 (ko) 2020-10-03 2020-10-03 마스크 원단 합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1824B1 true KR102251824B1 (ko) 2021-05-12

Family

ID=75918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7721A KR102251824B1 (ko) 2020-10-03 2020-10-03 마스크 원단 합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18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70088A (zh) * 2023-05-06 2023-08-11 深圳市长林自动化设备有限公司 服装生产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3221A (ko) * 2007-07-19 2007-08-23 일신아이비에스(주) 원단의 합포방법 및 합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3221A (ko) * 2007-07-19 2007-08-23 일신아이비에스(주) 원단의 합포방법 및 합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70088A (zh) * 2023-05-06 2023-08-11 深圳市长林自动化设备有限公司 服装生产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10100B (zh) 覆盖层薄膜贴合装置及其截断载置装置
KR102251824B1 (ko) 마스크 원단 합포 장치
JP2017016946A (ja) 積層型電池の製造装置
JPS6071229A (ja) オ−トラミネ−タ
KR102209233B1 (ko) 무겹침 방식 원단 연결 장치
JP6128923B2 (ja) シート加工装置
JP4035102B2 (ja) 2次電池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ES2532285T3 (es) Máquina para unir películas hechas de diferentes materiales y método correspondiente
JP5743884B2 (ja) 伸張されたプラスチック小バンドからなる織物を有する、袋を形成する装置および方法
KR200489379Y1 (ko) 합지기의 종이 원단 공급로울러 지지장치
TWI359744B (ko)
CN112335969A (zh) 一种口罩滤布的组装装置
JP2010013740A (ja) 生地の搬送積層方法及び切断積層装置
CN107428538A (zh) 片材制造装置及制造方法
JP4517489B2 (ja) 分離膜エレメント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CN210914694U (zh) 一种自动折纸机
JP6244197B2 (ja) ウェブの継ぎ合わせ装置
CN107444955A (zh) 一种防皱收卷纠偏桁架机器人
CN218966200U (zh) 一种料带贴合装置
JPH07125115A (ja) 片面段ボール製造装置
TWI742116B (zh) 用於轉換兩層式紙巾織物的紙巾轉換機器的饋送單元
JP3722053B2 (ja) 板材の連結方法及び板材連結装置
CN214207347U (zh) 一种口罩滤布的组装装置
JP3897040B2 (ja) 積層板製造用の金属箔と絶縁接着フィルムの積み重ね装置及び積み重ね方法
JP2010082575A (ja) スパイラル型流体分離膜エレメント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