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1669B1 - 롤링된-등가 지문 이미지들을 취득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롤링된-등가 지문 이미지들을 취득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1669B1
KR102251669B1 KR1020207010769A KR20207010769A KR102251669B1 KR 102251669 B1 KR102251669 B1 KR 102251669B1 KR 1020207010769 A KR1020207010769 A KR 1020207010769A KR 20207010769 A KR20207010769 A KR 20207010769A KR 102251669 B1 KR102251669 B1 KR 102251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sensor
fingerprint
flexible
ro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0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6109A (ko
Inventor
다니엘 에이치. 라귄
조지 윌리엄 맥클럭
Original Assignee
크로스 매치 테크놀로지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로스 매치 테크놀로지스, 인크. filed Critical 크로스 매치 테크놀로지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200046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6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K9/0002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35Combining adjacent partial images (e.g. slices) to create a composite input or reference pattern; Tracking a sweeping finger movement
    • G06K9/00087
    • G06K9/00919
    • G06K9/20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2Details of acquisition arrangemen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06V10/14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performing the acquisition or on the illumination arrangements
    • G06V10/147Details of sensors, e.g. sensor len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41Sensing with light passing through the fing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65Matching;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60Static or dynamic means for assisting the user to position a body part for biometric acquisition
    • G06V40/63Static or dynamic means for assisting the user to position a body part for biometric acquisition by static guides
    • G06K2009/0006

Abstract

지문의 생체 인식 검출은 가요성 센서(3)에 의해 제공되고, 여기서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부재(31a, 31b, 52, 72)는 손가락에 대한 롤링된-등가 지문을 캡처할 수 있도록 센서(3)의 적어도 일부를 센서(3)를 따라 배치된 손가락(9)의 형상에 순응하도록 이동시킨다. 그런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부재(31a, 31b, 52, 72)는, 인에이블될 때 센서의 감지 엘리먼트들이 센서에 관하여 손가락의 회전 또는 흔듬 없이 롤링된-등가 지문들의 이미지들을 캡처하도록, 센서(3)를 손가락(9)에 순응시키기 위해 손가락의 전면 주위로 적어도 손가락(9)의 손톱(9a)의 우측과 좌측 사이에서 연장되는 지역을 따라 센서(3)가 감기게 센서(3)를 이동시킨다.

Description

롤링된-등가 지문 이미지들을 취득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장치
본 출원은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 2017년 9월 15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번호 제 62/559,439호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롤링된-등가 지문 이미지(rolled-equivalent fingerprint image)들을 취득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고, 그런 이미지들은 롤링된 지문을 형성하기 위해 피험자(subject)가 자신의 손가락들을 롤링 또는 흔드는 종래의 방법에 의해 캡처된 지문과 등가이다. 본 발명은 가요성인 센서를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부재가 종래의 편평하고 강성의 지문 스캐너 압반(platen)을 사용하는 대신, 롤링된-등가 지문 이미지들을 취득하기 위해 손가락의 손톱의 우측과 좌측 사이에서 연장되는 지역을 따라 감거나 둘러싸도록 센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문 기록 카드 상의 잉크에 의해 통상적으로 롤링된 지문과 등가인 지문 이미지들을 획득하기 위해 피험자의 손가락을 롤링하거나 흔드는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범죄자와 부킹(booking)할 때 통상적인 관행과 같이 경관은 단지 편평한 지문들이 아닌 롤링된 지문들을 캡처한다. 롤링된 지문들은, 범죄 현장에 남겨진 잠재 지문들이 반드시 손가락의 편평한 부분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손가락의 측면들로부터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롤링된 인쇄물들의 면적이 크기 때문에, 롤링된 인쇄물들은 또한 편평한 인쇄물들보다 더 많은 미세 부분을 가지며, 따라서 이론적으로 롤링된 인쇄물을 동일한 손가락의 롤링된 인쇄물과 매칭할 때, 매칭 정확도들이 더 높아야 한다. 단점은, 종래의 지문 스캐너를 사용하여 롤링된 지문 취득이 현재 피험자의 손가락 및 손 둘 모두를 잡고, 이어서 손가락이 지문 스캐너의 강성 압반을 터치하면서 손가락 및 손 둘 모두를 회전시키기 위해 훈련된 경찰관을 요구한다는 것이다. 우수한 품질의 롤링된 지문들을 캡처하려면 현재 피험자와 함께 작업할 훈련된 경찰관을 요구하기 때문에, 이것은 노동-집약적 프로세스이고 통상적으로 비-범죄 생체 인식 애플리케이션들에는 구현되지 못한다. 훈련된 조작자로도, 손가락이 미끄러지거나 손가락의 피부가 뭉치고 이어서 롤링 동안 풀릴 위험성이 있고, 이는 캡처된 롤링된 인쇄물에 인공 산물들을 유발할 수 있다. 지문 스캐너의 소프트웨어는, 손가락이 강성 압반 표면을 가로질러 롤링 중일 때 손가락의 개별 이미지들을 찍고 이어서 최종 롤링된 지문 이미지에 도달하기 위해 이들 이미지를 함께 전자적으로 스티칭(stitch)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본 지문 스캐너들의 프레임 레이트는, 손가락이 압반 표면을 가로질러 롤링될 수 있는 속도를 수용하기에 충분히 높아야 한다.
Kamiko에 대한 미국 특허 번호 5,991,467호는 손가락 대 손가락 압력의 형상을 따라 변형되지만, 본원에서 손톱-대-손톱 지문으로 지칭되는 손가락의 전면 주위로 손가락의 손톱의 우측 및 좌측으로 연장되는(우측 및 좌측에 있거나 이에 가장 가까운) 롤링된-등가 지문을 캡처하도록 변형되지 않는 가요성 기판을 갖는 이미지 센서를 설명한다. 또한, 그런 센서가 매우 가요적이더라도, 단지 압력만으로는, 센서가 롤링된-등가 지문 이미지의 캡처를 가능하게 하도록 손가락을 따라 적절히 포지셔닝되는 것을 보장하지 못한다. 따라서, 훈련된 조작자에 대한 필요를 완화시키고, 강성 압반 지문 스캐너를 사용하여 롤링된 지문 이미지들을 취득하는 현재 방법이 요구하는 이미지 프로세싱을 단순화시키는 가요성 센서로 롤링된-등가 지문 이미지들을 캡처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징은 가요성 센서를 사용하여 롤링된-등가 지문 이미지들의 생체 인식 검출을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고, 여기서 “롤링된-등가 지문 이미지”라는 용어는 손가락이 강성 압반 지문 스캐너를 따라 롤링되거나 흔들릴 때 매체 상의 잉크에 의해, 또는 손가락의 상이한 부분들의 다수의 캡처된 지문 이미지를 전자적으로 스티칭함으로써 종래 기술에 의해 수행된 바와 같이 완전한 손톱-대-손톱 지문 이미지를 캡처하기 위해 손가락을 롤링하거나 흔들어서 생성되지 않는 가요성 센서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로서 정의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롤링된-등가 지문 이미지들을 캡처하기 위해 센서를 손가락의 형상에 순응하도록 이동시키는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부재를 갖는 메커니즘 및 가요성 센서를 사용하는 생체 인식 검출을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고, 센서의 감지 엘리먼트들이 손가락과 대면하고 통상적인 롤링된 지문과 등가의 완전한 단일 손톱-대-손톱 지문 이미지(들)를 캡처할 수 있도록, 손가락은 센서에 제시되고 센서와 접촉하거나 센서와 가까이 접촉하여 배치된다.
간략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은 가요성 센서 및 이 센서를 사용하여 손가락에 대한 롤링된-등가 지문의 캡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센서를 따라 손가락을 배치시키기 위해 센서의 적어도 일부를 손가락의 형상에 순응하도록 이동시키는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부재를 갖는 시스템을 구현한다.
센서는 하나 이상의 2-차원 이미지, 이를테면 롤링된-등가 지문을 캡처하기 위한 감지 엘리먼트들(센서 픽셀들)의 2-차원(2D) 어레이를 갖는다. 감지 엘리먼트들은 센서가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부재에 대한 응답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도록 센서의 상부 및 하부 가요성 기판들 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센서 픽셀들은 직선 배열로 있고, 여기서 각각의 픽셀 내에는 센서를 터치하거나 대면하고 있는 피험자로부터 측정된 광, 열, 압력, 용량성, 저항성, 또는 임피던스 신호들 중 하나 이상에 민감한 영역이 있다.
프로세서 모듈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이미지들을 캡처하기 위한 센서를 제어하기 위해 시스템에 제공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센서를 손가락에 순응시키기 전에 손가락 위치 정보를 임의로 획득할 수 있다. 그런 손가락 위치 정보는 센서를 손가락에 순응시키기 전에 센서로부터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캡처하고, 센서가 손가락의 형상에 순응할 때 롤링된-등가 지문의 이미지(들)의 캡처를 위해 손가락이 센서에 관하여 적절하게 포지셔닝되는 때를 결정하기 위해 그런 이미지들을 프로세싱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손가락이 센서에 관하여 적절하게 포지셔닝되는 때를 결정하기 위해 손가락 위치 정보를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게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손가락 포지션 센서가 존재할 수 있다. 사용될 때 그런 하나 이상의 손가락 포지션 센서는 광 소스 및 적어도 하나의 검출기로 이루어진 광 빔 차단 시스템, 또는 광 또는 초음파 거리 측정 디바이스를 가질 수 있다. 손가락이 센서에 관하여 올바른 포지션에 있지 않다고 결정될 때, 그래픽 또는 오디오 피드백은 시스템에 의해 피험자에게 제공되어 자신의 손가락을 올바른 포지션으로 이동시킨다. 피드백은, 이를테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통신하는 컴퓨터를 사용함으로써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또는 오디오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손가락이 센서에 관하여 적절하게 포지셔닝된 것으로 결정될 때까지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부재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임의적인 잠금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런 하나 이상의 잠금 부재는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부재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부재와 맞물리도록, 그리고 손가락이 센서에 관하여 적절하게 포지셔닝될 때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부재를 해제하고 이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도록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응답하여 동작한다.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부재는, 센서를 손가락의 전면으로부터 손가락 주위로 부분적으로 에워싸도록 손가락의 손톱의 우측 및 좌측 둘 모두로 연장되는(즉, 둘 모두에 있거나 이에 가장 가까운) 손가락을 따라 감거나 둘러싸게 센서의 적어도 일부를 이동시키는 순응 인클로저 메커니즘(conforming enclosure mechanism)의 일부이고, 이에 의해 센서에 관하여 손가락의 회전 또는 흔듬 없이 센서에 의해 롤링된-등가 지문의 캡처를 가능하게 하도록 손가락이 센서에 제시된다. 그런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부재는 대향 아암(arm)들 사이에서 가요성 센서를 손가락을 향해 내향으로 회전시키는 대향 아암들, 또는 센서를 손가락 주위에 부분적으로 에워싸도록 이동시키는 힌지된 링크들을 포함하는 것과 같은 가요성 캐리어, 또는 센서를 손가락 주위에 부분적으로 에워싸도록 이동시키는 확장가능 블래더(bladder) 중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블래더의 경우에, 그런 블래더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으로 확장가능할 수 있다.
가요성 센서의 감지 엘리먼트들이 광학 감지 엘리먼트들일 때,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광 소스, 이를테면 다수의 LED를 더 포함하여, 광을 센서에 민감한 손가락에 제공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광 소스는 손가락 위에 배치될 수 있어서, 손가락이 센서와 하나 이상의 광 소스 사이에 있고, 이는 센서가 이미지(들)를 캡처할 때 하나 이상의 광 소스로부터의 광이 손가락을 조명하기 위해 손가락을 통해 센서를 향해 투과하게 한다.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광 소스는 센서 아래에 제공될 수 있고, 여기서 광의 적어도 일부는 센서를 통해 손가락으로 지나갈 수 있거나, 그런 광 소스들은 가요성 센서 자체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요성 센서의 적어도 일부를 손가락의 형상에 순응하도록 이동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부재를 포지셔닝하는 단계; 및 센서를 사용하여 손가락에 대한 롤링된-등가 지문을 캡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문의 생체 인식 검출을 위한 방법을 추가로 구현한다. 포지셔닝하는 단계는 캡처하는 단계가 수행될 때 센서를 손가락 전면 주위로 손가락의 손톱의 우측 및 좌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지역을 따라 손가락의 형상에 순응하도록 센서를 적어도 그 지역을 따라 배치시키기 위해 센서를 손가락을 따라 감도록 그런 하나 이상의 부재를 포지셔닝할 수 있다.
추가로, 가요성 센서, 손가락의 전면 주위로 손가락의 손톱의 우측 및 좌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지역을 따라 센서를 손가락의 형상에 순응시키도록 포지셔닝하기 위한 수단, 및 지문이 편평한 강성 센서 압반 상에 손가락을 가압함으로써 캡처된 폭보다 더 많은 지역을 따라 손가락의 지문의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캡처하도록 센서를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갖는, 지문의 생체 인식 검출을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캡처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는 손가락에 대한 롤링된-등가 지문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손가락들 각각에 대한 가요성 센서 및 연관된 순응 인클로저 메커니즘을 제공함으로써 동시에 하나 이상의 손가락을 위해 구현될 수 있고, 여기서 그런 손가락들은 엄지 손가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손가락이 본원에서 하향으로 가압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하향이 반드시 중력 방향에 관련되는 것이 아닌 것이 이해된다. 오히려, 하향 방향은, 손가락이 센서의 상부 표면을 향해 가압되거나 이동되는 것을 전달하는 것으로 의미된다.
본 발명의 전술한 특징 및 다른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 도면들과 관련하여 하기 설명을 읽고 더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예시적인 손가락을 갖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여기서 가요성 센서에 관하여 손가락을 포지셔닝하기 위한 제1 실시예의 메커니즘이 도시된다.
도 2a는 도 1의 시스템의 동작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제1 흐름도이다.
도 2b는 도 1의 시스템의 동작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제2 흐름도이다.
도 2c는 도 1의 시스템의 동작의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제3 흐름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2 개의 내향 회전 아암을 사용하는 도 1의 시스템의 가요성 센서에 관하여 예시적인 손가락을 포지셔닝하기 위한 제1 실시예의 메커니즘의 측면도들이고, 여기서 도 3a는 메커니즘에 관하여 손가락의 초기 배치를 도시하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포지션으로부터 손가락을 손톱 대 손톱 이미징 포지션으로 하향 이동시키면서, 센서가 손가락의 롤링된-등가 지문 이미지들을 캡처하도록 손가락 주위에 센서를 부분적으로 에워싸기 위한 포지션으로 센서를 이동시킨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는, 가요성 센서가 제거되고, 손가락이 일체 실린더(solid cylinder)에 의해 묘사되는 각각 도 3a 및 도 3b의 사시도들이다.
도 5a 및 도 5b는 힌지된 링크들의 가요성 캐리어를 사용하는 도 1의 시스템의 가요성 센서에 관하여 예시적인 손가락을 포지셔닝하기 위한 제2 실시예의 메커니즘의 측면도들이고, 여기서 도 5a는 메커니즘에 관하여 손가락의 초기 배치를 도시하고, 도 5b는 센서가 손가락의 롤링된-등가 지문 이미지들을 캡처하도록 손가락 주위에 센서를 부분적으로 에워싸기 위해 도 5a에 도시된 포지션으로부터 손톱 대 손톱 이미징 포지션으로 작동 모터에 응답하여 센서를 이동시킨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도 5c 및 도 5d는 케이블이 힌지된 링크들을 따라 홀들을 통해 스레드되는 그런 링크들의 가요성 캐리어를 사용하는 도 1의 시스템의 가요성 센서에 관하여 예시적인 손가락을 포지셔닝하기 위한 제2 실시예의 대안적인 메커니즘의 측면도들이고, 여기서 도 5c는 메커니즘에 관하여 손가락의 초기 배치를 도시하고, 도 5d는 센서가 손가락의 롤링된-등가 지문 이미지들을 캡처하도록 손가락 주위에 센서를 부분적으로 에워싸기 위해 도 5c에 도시된 포지션으로부터 작동 모터에 응답하는 포지션으로 손톱 대 손톱 이미징 포지션으로 센서를 이동시킨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는 가요성 센서, 손가락 및 작동 모터가 제거된 각각 도 5a 및 도 5b의 사시도들이다.
도 7a, 도 7b 및 도 7c는 확장가능 블래더를 사용하는 도 1의 시스템의 가요성 센서에 관하여 예시적인 손가락을 포지셔닝하기 위한 제3 실시예의 메커니즘의 블록도들이고, 여기서 도 7a는 메커니즘에 관하여 손가락의 초기 배치를 도시하고, 도 7b는 손가락의 움직임이 하향인 포지션으로 센서를 이동시키는 메커니즘을 도시하고, 도 7c는 센서가 손가락의 롤링된-등가 지문 이미지들을 캡처하도록 손가락 주위에 센서를 부분적으로 에워쌈으로써 센서를 손톱 대 손톱 이미징 포지션으로 이동시킨 블래더의 확장 이후의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도 8a, 도 8b 및 도 8c는, 예시적인 손가락에 대한 지문을 광학적으로 감지함으로써 동작 가능한 가요성 센서, 및 지문이 캡처될 때 손가락을 조명하기 위한 광 소스들을 갖는 도 3a 및 도 3b의 제1 실시예의 메커니즘의 구현의 사시도들이고, 여기서 도 8a는 메커니즘에 관하여 손가락의 초기 배치를 도시하고, 도 8b는 손가락의 움직임이 하향인 포지션으로 센서를 이동시키는 메커니즘을 도시하고, 도 8c는 센서가 손가락 위에 배치된 광 소스들로부터의 조명을 사용하여 손가락의 롤링된-등가 지문 이미지들을 캡처하도록 손가락 주위에 센서를 부분적으로 에워쌈으로써 손톱 대 손톱 이미징 포지션으로 센서를 이동시킨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도 9a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센서 및 제1 실시예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도 1의 시스템으로 캡처된 롤링된-등가 지문 이미지의 예이다.
도 9b는 도 9a의 지문 이미지의 상부 좌측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부재를 갖는 순응 인클로저 메커니즘(7)을 따라 배치된 가요성 센서(3)를 갖는 본 발명의 시스템(1)의 블록도가 도시된다. 예시의 목적들을 위해, 도 3a-도 3b의 메커니즘(7)은 도 1에 도시되고, 여기서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부재는 내향으로 회전하는 아암들(31a 및 31b)이지만, 도 5a-도 5c 또는 도 7a-도 7c의 메커니즘(7)의 상이한 메커니즘들은 상이한 포지셔닝 부재(들)를 갖는 시스템(1)에 제공될 수 있다. 도 3a-도 3b, 도 5a-도 5c 및 도 7a-도 7c와 관련되어 이하 아래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부재 메커니즘(7)은, 적어도 손가락(9)의 손톱(9a)의 우측과 좌측 사이의 손가락(9)의 지역(바람직하게 손톱-대-손톱)을 따라 손가락(9)의 형상을 따라 센서(3)를 순응시키도록 감아서, 손가락의 전면으로부터 손가락(9) 주위로 센서(3)를 부분적으로 에워싸게 구부리도록 센서(3)를 이동시키게 동작한다. 센서(3)는 케이블(6b)을 통해 프로세서 모듈(4)에 연결되고, 이어서 프로세서 모듈(4)은 케이블(6a)을 통해(또는 무선으로) 컴퓨터(5)에 연결된다. 프로세서 모듈(4)은 센서에 제시될 때 손가락(9)의 센서(3)로부터 이미지들을 캡처하도록 센서(3)를 제어한다. 컴퓨터(5)는 프로세서 모듈(4)로부터 수신된 가요성 센서(3)로부터의 이미지들을 추가로 프로세싱할 수 있는 사용자-인터페이스(예컨대, 디스플레이 모니터(12) 상에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갖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키보드 및/또는 마우스)를 제공하는 통상적인 컴퓨터 시스템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니터(12)는 예컨대 컴퓨터(5)에 연결되는 액정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일 수 있지만, 다른 타입들의 디스플레이가 사용될 수 있다. 시스템(1)의 컴포넌트들은, 메커니즘(7)이 손가락(9)을 수용하기 위해 하우징을 따라 배치된 하우징(2)에 포함될 수 있다. 컴퓨터(5)는 하우징(2)에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순응 인클로저 메커니즘(7)은 가요성 센서(3) 상에 손가락(9)의 하향 압력 또는 이하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센서(3)가 인간 피험자의 손가락(9) 둘레에 순응하는 것을 보장하는 목적들을 위해 임의적인 모터들, 공압 및 유체 역학에 의해 생성된 힘들을 사용할 수 있다. 단일 손가락(9)이 본원에서 참조되었지만, 손가락(9)은 엄지손가락을 포함하여 피험자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손가락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상이한 손가락은 시스템(1)의 상이한 시스템에 동시에 제시될 수 있고, 상이한 손가락 각각은 그런 상이한 손가락의 롤링된-등가 지문 이미지들을 획득하기 위해 손가락의 형상에 순응하도록 센서(3) 및 메커니즘(7)의 상이한 것에 제시된다. 필요한 경우, 순응 제어 모듈(11)은 메커니즘(7)에 연결되어 메커니즘(7)의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부재의 임의적 해제가능 잠금 메커니즘(38)(존재하는 경우)을 인에이블하거나 디스에이블하게 하고, 그리고/또는 힘들이 센서(3)를 순응시키게 하도록 메커니즘(7)의 임의의 수단을 동작하게 할 수 있고, 여기서 그런 센서(3)의 순응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피험자의 손가락(9)에 의해 생성되지 않은 힘들에 의해 달성된다. 순응 제어 모듈(11) 내에는 케이블(6d)을 통해 디바이스들, 이를테면 모터(53)(도 5a-도 5c) 또는 밸브(74) 및 펌프(76)(도 7a-도 7c)를 활성화 및 제어하기 위해 프로세서 모듈(4)에 응답하여 동작 가능한 필요한 전자 장치가 있고, 이는 센서(3)를 피험자의 손가락(9)에 순응시키기 위해 메커니즘(7) 내에 요구되는 비-피험자 종속 힘들을 제공한다. 도 1의 예시의 목적들을 위해, 순응 제어 모듈(11)은 케이블(6d)을 통해 아암들(31a 및 31b)의 잠금 메커니즘(38)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지만, 도 5a-도 5c 또는 도 7a-도 7c의 메커니즘(7) 중 다른 메커니즘들은 또한 이후 이하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순응 제어 모듈(11)로부터의 신호들을 사용하여 동작한다.
가요성 센서(3)는 바람직하게 직선 배열로 센서 픽셀(또는 픽셀 감지 엘리먼트들)의 2-차원(2D) 어레이를 포함하고, 여기서 각각의 픽셀 내에는 센서를 터치하거나 대면하는 피험자로부터 측정된 광, 열, 압력, 용량성, 저항성, 또는 임피던스 신호들 중 하나 이상에 민감한 영역이 있다. 고품질 지문 이미지 캡처링 및 매칭의 목적들을 위해, 센서 어레이가 50.8μm 이하의 픽셀 중심-대-중심 간격을 가지며, 이에 의해 500 ppi(pixels per inch) 또는 더 나은 전자 스캐닝 해상도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요성 센서(3)를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센서들은 박막 트랜지스터(TFT)들을 사용하는 프랑스 Grenoble의 ISORG, 또는 노르웨이 Oslo의 NEXT Biometrics에서 입수가능하지만, 손톱-대-손톱 지문을 획득하기 위해 적어도 지역을 따라 순응할 수 있는 가요성 기판들을 갖는 다른 지문 센서들이 사용될 수 있다. ISORG는 예컨대 가요성 중합체 후면 상에 인쇄된 TFT들에 기반하는 500 ppi 광 센서들을 제조한다. NEXT Biometrics는 또한 가요성 기판들 상에 TFT 센서들을 제조하고, 이 센서들은 이 센서들과 접촉하는 피험자의 열적 변동들을 측정한다.
프로세서 모듈(4)은 센서 제조자의 사양에 따라 시스템(1) 및 이의 가요성 센서(3)의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 모듈(4)은 센서(3)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예컨대, 하나 이상의 2-차원 이미지), 이를테면 예컨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손가락(9)에 대한 롤링된-등가 지문을 나타내는 이미지(들) 모두 또는 일부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 컴퓨터(5)는 프로세서 모듈(4)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프로세싱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 모듈(4)은 전자 타입이고 하나 이상의 데이터 프로세서(또는 칩), 이를테면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ARM(Advanced RISC Machine) 프로세서,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그런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해 모듈(4)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내, 또는 그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가능한 하우징(2)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임의로, 조명 시스템(8)은 스캐닝된 손가락의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광 조명에 의존하는 가요성 센서(3)의 경우 케이블(6c)을 통해 프로세서 모듈(4)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런 조명 시스템은 우선적으로, 센서(3)가 민감하고 인체 조직이 상당히 투과적인 파장들의 세트에서 동작한다. 바람직하게, 조명 시스템(8)은 하나 이상의 광 소스, 이를테면 750 내지 950nm의 파장 범위 내에서 방출하는 발광 다이오드(LED)들의 세트를 갖는다. 예로써, 850nm LED들의 선형 어레이는 광 소스들로서 손가락(9) 위에 사용될 수 있고, 여기서 각각 850nm LED는 일본의 USHIO OPTO Semiconductors, Inc.(공식적으로 Epitex)로부터 입수가능한 LED 모델 번호 SMBB850N-1100일 수 있다. 조명 시스템(8)으로부터의 광이 손가락(9) 위에 포지셔닝되기 때문에, 광은, 광선들이 지문으로부터 나올 때까지 손가락(9)을 통해 투과 및 산란하여야 한다. 지문의 지문 융기부들이 센서(3)와 터치하고 있는 영역들에서, 센서(3)는, 지문 골이 위에 있는 센서의 영역들보다 더 강한 광 신호를 검출할 것이고 따라서 손가락(9)을 나타내는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다. 스펙트럼 필터는, 센서(3)가 광으로 동작하는 감지 엘리먼트들을 가질 때 제공될 수 있다. 그런 스펙트럼 필터는 바람직하지 않은 광의 파장들, 이를테면 피부에 의해 흡수되고 손가락(9)의 조직을 통해 이동하지 않는 녹색 광을 통한 UV를 차단한다. 이런 스펙트럼 필터는 센서(3) 자체에 통합되거나 손가락(9)과 조명 시스템(8)의 광 소스들 사이에서 손가락(9)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조명 시스템(8)이 완전히 도 1의 손가락(9) 위에 도시되지만, 이의 하나 이상의 광 소스는 적절한 센서(3) 동작을 위한 조명을 제공하기 위해 손가락(9) 위에만 포지셔닝될 필요가 있다. 예컨대, 조명 시스템(8)의 하나 이상의 광 소스는 하우징(2)에 관하여 적소에 고정될 수 있거나, 그런 하나 이상의 광 소스(8a)(도 8a-도 8c)는 그런 광 소스(들)를 손가락(9) 위로 배향시키도록 포지션 부재들과 함께 이동시키기 위해 포지션 부재들 중 하나와 기계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광 소스는 센서(3) 및 손가락(9) 위가 아니라 아래에 제공될 수 있고, 여기서 광의 적어도 일부는 센서(3)를 통해 손가락(9)으로 통과할 수 있다. 추가 대안으로, 광 소스들은 센서(3) 제조자에 의해 센서 자체에 통합될 수 있고, 이는 조명 시스템(8)에 대한 필요를 감소시키거나 회피시킨다.
손가락(9)은 도 1에서 가요성 센서(3)와 터치하는 것으로 예시되지만, 센서의 터치는 센서(3)를 손가락(9)에 순응시키는 순응 인클로저 메커니즘(7)의 동작을 개시하기 위해 요구되거나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임의로, 손가락 포지션 검출 모듈들(10a 및 10b)은 지문을 캡처하기 위한 센서(3)의 동작 전에 손가락 위치 정보를 프로세서 모듈(4)에 제공하기 위해 시스템(1)에 제공된다. 이어서, 프로세서 모듈(4)은, 자신의 손가락(9)이 센서(3)에 관하여 올바른 포지션에 있을 때까지(예컨대, 손가락(9)이 센서(3)와 터치하거나 터치하지 않고 센서(3)를 적절한 포지션에 제시함) 피험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컴퓨터(5)와 통신할 수 있어서, 메커니즘(7)이 센서(3)를 동작시킬 때, 감지 엘리먼트들의 활성 감지 영역은 원하는 손톱-대-손톱 지문 이미지들을 획득하기 위해 적절한 포지션에 있을 것이다. 예로써, 손가락 포지션에 대한 임의적인 피드백은 이를테면 그래픽 및/또는 단어들, 또는 픽토그램(pictogram)과 같은 디스플레이 모니터(12)를 통해 컴퓨터(5)에 의해 출력될 수 있다. 그런 디스플레이 모니터(12) 또는 상이한 디스플레이는 하우징(2)에 통합될 수 있고 유사하게 그런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피드백은 하우징(2) 또는 컴퓨터(5)의 오디오 인터페이스 및 스피커를 사용하여 프로세서 모듈(4) 또는 컴퓨터(5)의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이에 액세스가능한 컴퓨터-생성 구두 커맨드들 또는 톤들의 형태일 수 있다. 손가락 포지션 검출 모듈들(10a 및 10b)은 전력 및 통신을 위해 프로세서 모듈(4)에 연결된다. 예시의 목적들을 위해, 2 개의 모듈(10a 및 10b)이 도 1에 도시되지만, 하나 또는 다른 수의 그런 모듈이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손가락 포지션 검출 모듈들(10a 및 10b)에 부가하여, 연속 이미지들은 가요성 센서(3)에 의해 캡처되고, 프로세서 모듈(4) 또는 컴퓨터(5)는, 이를테면 (예컨대, 하나 이상의 2-차원 이미지의 그레이스케일(grayscale) 픽셀 값을 사용하여) 센서(3)에 관하여 적절한 손가락 위치와 연관된 이미지의 에지들을 검출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프로세싱함으로써 손가락(9)이 올바른 포지션에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이미지들을 분석한다. 추가 대안으로, 하나 이상의 별개의 이미징 시스템, 이를테면 디지털 카메라는 이를테면 에지 검출을 사용함으로써 손가락(9) 포지션을 결정하도록 이미지(들)를 프로세서 모듈(4) 및/또는 컴퓨터(5)에 제공하기 위해 시스템(1)에 사용될 수 있다.
임의적인 손가락 포지션 검출 모듈들(10a 및 10b)은 광 소스 및 적어도 하나의 검출기로 이루어진 광 빔 차단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센서, 또는 광 또는 초음파 거리 측정 디바이스를 갖는다. 예컨대, 모듈들(10a 및 10b)은 일련의 빔 차단 광학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일련의 광 소스는 광을 검출기들을 향해 투사한다. 그런 광 소스들은 바람직하게 시준 광학 기기를 갖는 근 IR LED들이고 검출기들은 바람직하게 렌즈 PEN 포토다이오드들이다. 광선들의 특정 세트가 차단되면(따라서 검출기가 광선들을 보지 못함), 검출기들은, 손가락(9)이 하우징(2)에 관하여 하나의 위치에 존재한다는 손가락 위치 정보를 프로세서 모듈(4)에 제공한다. 메커니즘(7)이 동작할 때 손가락(9)의 위치가 적절한 손가락(9) 배치를 보장하도록 확립될 수 있는 부가적인 위치 정보 및 이에 따른 더 높은 해상도를 제공하기 위해 하우징(2)에 관하여 배열된 부가적인 광학 광선들 및 검출기 쌍들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모듈들(10a 및 10b)은 광 근접도 센서들의 세트, 이를테면 일본의 Sharp Electronics Corporation으로부터 입수가능한 모델 번호 GP2Y0A51SK0F 근 적외선 센서들이고, 이는 손가락의 포지션을 결정할 수 있는 프로세서 모듈(4)에 대한 손가락 포지션 정보를 제공한다. 이들 근접도 센서 중 3 개는, 센서(3)에 또는 센서(3) 상에 제시될 때 손가락의 측면들의 x, y, z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가요성 센서(3)와 정렬된 하우징(2)의 x, y, z 축들을 따라 배열될 수 있고, 이는 프로세서 모듈(4)이 손가락의 거리(및/또는 방향 벡터)를 측정할 수 있게 하고 센서(3)에 제시를 위해 최적 포지션이 달성될 때까지 피드백을 피험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광 근접도 센서 대신, 일본 Osaka의 Keyence Corporation에 의해 제조된 것들 같은 초음파 근접도 센서가 활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손가락 포지션 검출 모듈들(10a 및 10b) 중 하나 이상은, 손가락이 센서(3)에 제시를 위해 하우징(9)을 따라 삽입되었다는 것을 프로세서 모듈(4)에게 나타내기 위해 손가락(9)이 활성화하는 가요성 센서(3)에 인접하여 제공된 기계, 전기 또는 광(이를테면 빔 차단) 스위치일 수 있다. 예로써, 전기 스위치는 또한, 피험자의 손가락이 삽입되고 손가락의 끝이 기계적 스위치를 터치할 때에만 개구로의 손가락의 움직임이 정지되는 물리적 개구의 예 같은 기계적 스톱 또는 손가락이 초인종을 가압할 수 있을 때와 동일한 방식으로 전기 스위치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손가락(9)을 이런 전기 스위치에 터치함으로써, 프로세서 모듈(4)은, 손가락(9)이 올바른 포지션에 있다는 표시로서 손가락 포지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스위치로부터의 신호를 사용한다. 따라서, 손가락 포지션 정보가 이미지(들) 및/또는 센서들(10a 및 10b)을 사용하여 프로세서 모듈(4)에 의해 취득될 수 있는 수단이 위에서 설명되었다.
순응 인클로저 메커니즘(7)이 도 3a-도 3b, 또는 도 8a-도 8c의 메커니즘(7)의 경우에서와 같이 손가락(9)에 의한 압력만을 사용하여 동작하는 경우, 메커니즘(7)은 메커니즘(7)의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부재에 대해 잠금 메커니즘(38)에 의해 동작이 임의로 금지될 수 있고, 이는 피험자가 손가락(9)을 올바르게 포지셔닝하였다는 것을 프로세서 모듈(4)이 결정하였을 때 해제된다. 그런 잠금 메커니즘(38)은 도 3a 및 도 3b에 관련하여 이후에 설명되고, 메커니즘(7)의 부분으로 간주될 수 있다.
전력은, 하우징(2) 내의 배터리, AC 전력 어댑터로부터의 하우징(2)에 대한 케이블, 또는 컴퓨터(5)를 따른 인터페이스 데이터 포트로부터의 케이블, 이를테면 USB 중 어느 하나로부터, 하우징(2)을 따른 인터페이스 데이터 포트로, 시스템(1)에 제공되는 경우 프로세서 모듈(4), 순응 인클로저 메커니즘(7)(필요한 경우), 및 조명 시스템(8) 및/또는 손가락 포지션 검출 모듈들(10a 및 10b), 및 임의의 다른 전자 컴포넌트들에 제공된다.
시스템(1)의 동작은 도 2a-도 2c의 흐름도들과 관련하여 이하에 설명된다. 도 2a에서, 피험자는 자신의 손가락(9)을 가요성 센서(3) 상에 배치하고(단계 13), 이어서 모두가 손가락(9)의 압력을 사용하여 부분적으로 동작하는 도 3a-도 3b, 도 7a-도 7c 또는 도 8a-도 8c의 순응 인클로저 메커니즘(7)을 사용할 때와 같이, 센서가 손가락에 순응하게 하도록 힘을 센서(3) 상에 인가한다(단계 14). 센서(3)는 프로세서 모듈(4)에 이미지들을 제공할 때 자동캡처 모드로 스캐닝한다(단계 15). 예컨대 본원에 인용에 의해 포함된 Zyzdryn에 대한 미국 특허 번호 7,277,562호에 설명된 바와 같이, 생체 인식 지문 스캐너는, 이미지들이 요구된 손가락들의 수를 나타내는지 및 지문의 품질이 애플리케이션-특정 임계치를 충족시키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이미지들을 분석하는 내내, 스캐너의 센서로부터 이미지들을 연속으로 캡처할 소프트웨어를 구현할 수 있다. 그런 이미지 품질 메트릭들이 충족되면, 그런 이미지는 손가락(9)의 최종 롤링된-등가 지문 이미지에 도달하기 위해 프로세싱된다(단계 16). 임의로, 센서(3)로부터 손톱-대-손톱 이미지 중 둘 이상이 캡처되고 원하는 프로세싱에 의존하여 분석될 수 있다.
단계 16에서의 프로세싱은, 높은 신호에 대한 최소 포화 및 낮은 신호에 대한 비트들의 최소 플로어링(flooring)과 함께, 이를 테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평균화함으로써 달성되는 노이즈 감소, 이를 테면 이미지를 커널(kernel)로 컨벌빙(convolving)하거나 또는 최대 콘트라스트의 지문 이미지를 초래하는 8-비트를 선택함으로써 8-비트 초과의 이미지를 8-비트 이미지로 변환함에 의한 콘트라스트 향상을 포함할 수 있다. 캡처된 이미지들의 단계 16에서의 특정 프로세싱은 조명 균일성에 의존할 뿐 아니라 센서(3)의 노이즈 레벨 및 이의 픽셀 결함들에 의존하고, 지문의 최종 이미지는 프로세서 모듈(4) 및/또는 컴퓨터(5)에 의한 이미지 프로세싱 이후 획득될 수 있다. 예컨대, 센서(3)가 바람직하지 않은 노이즈 양을 가지면, 동일한 조명 레벨 및 센서(3) 세팅들로 다수의 이미지를 찍고 이어서 최종 이미지의 일시적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해 이들 이미지를 평균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픽셀 결함들은 또한 보정되어야 한다. 예로써, 불량 픽셀을 둘러싸는 양호한 픽셀들 각각의 그레이스케일 신호는 불량 픽셀의 올바르지 않은 신호를 디지털적으로 대체하기 위해 새로운 값에 도달하도록 평균화될 수 있다. 다른 결함 픽셀 프로세싱은 양호한 주변 픽셀들의 그레이스케일 값들에 기반하여 이미지 그레디언트의 방향을 결정하고, 식별된 불량 픽셀에 대한 대체 그레이스케일 값을 획득하기 위해 평균화하기 전에 이에 따라 양호한 픽셀들을 가중처리할 수 있다. 이미지 콘트라스트 향상은 단계 16에서 구현될 수 있는 다른 이미지 프로세싱이다. 이 경우에, 커널은 시스템의 알려진 MTF 특징에 기반하여 이미지의 소정의 공간 주파수들을 향상시키기 위해 원시 이미지와 컨벌빙된다. 편평한-필드 보정은, 각각의 센서 픽셀의 알려진 오프셋 및 선형성이 실제 이미지들의 이들 효과들을 보정하기 위해 특징화되는 경우 구현될 수 있다. 지문의 이미지가 특히 비-균일하면, 이것은 지문의 일부 부분들에서는 낮은 신호들이고 다른 부분들에서는 높은 신호들일 수 있다. HDR(High dynamic range) 프로세싱이 구현될 수 있다. 동일한 지문의 다수의 이미지가 상이한 센서(3) 파라미터에서 용량성으로 또는 열적으로 취해질 필요가 있고, 스택 내의 어느 이미지가 지문 이미지의 각각의 지역에 대해 최상의 지문 이미지를 갖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결과적인 이미지들의 스택이 분석되고 다수의 이미지로부터 결과적인 최상의 지문 이미지 조각들이 단일 지문 이미지로 합병되는 상황들이 있을 수 있다.
도 2b에서, 시스템(1)의 동작의 더 상세한 흐름도가 도시된다. 피험자는 자신의 손가락(9)을 가요성 센서(3) 상에 포지셔닝하고(단계 17), 이어서 시스템은 손가락 포지션을 결정하는 정보를 수집 및 프로세싱한다(단계 18). 예로써, 그런 손가락 포지션 정보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피험자가 원하는 손가락(9)을 센서(3) 상에 배치하고 프로세서 모듈(4) 및/또는 컴퓨터(5)가 프로세서 모듈(4)에 의해 자신의 메모리에 저장된 센서(3)로부터 캡처된 이미지(들)를 판독 및 분석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또한, 또는 대안적으로, 광 빔 차단 기술, 광 거리 측정 기술, 초음파 거리 측정 기술 또는 별도의 광학 이미징 시스템들 중 하나 이상은 위에서 설명된 손가락 포지션 검출 모듈들(10a 및 10b)의 포지션들 같은 피험자의 손가락의 포지션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모듈(4) 및/또는 컴퓨터(5)를 통한 시스템(1)은 손가락(9) 포지션 정보를 분석하고 손가락이 올바른 포지션에 없으면(단계 19),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피험자의 손가락을 올바른 포지션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피험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고(단계 20) 이어서 단계들 17-19는 반복된다. 손가락(9)이 단계 19에서 올바른 포지션에 있다면, 센서(3)는 손가락에 순응된다(단계 21). 이것은 피험자의 손가락(9)을 센서(3) 상에 가압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모니터(12) 상에 피험자 그래픽 디스플레이 커맨드들 및/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 및 스피커를 갖는 컴퓨터(5)를 통한 음성 커맨드들을 제공하고, 그리고/또는 도 3a-도 3b, 도 5a-도 5b 및 도 7a-도 7c의 메커니즘(7) 중 상이한 메커니즘과 관련하여 설명될 바와 같이 손가락(9) 주위에 센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기 위해 역학, 공압 또는 유체 역학 중 하나 이상을 활성화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프로세서 모듈(4)은 센서(3)로부터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캡처하고(단계 22), 이는 바람직하게 단계 15 자동캡처 모드를 포함한다(도 2a). 적합한 이미지 또는 손가락(9)의 이미지가 캡처되면, 이들 이미지(들)는 손가락(9)의 최종 롤링된-등가 지문 이미지에 도달하기 위해 도 2a의 단계 16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프로세싱된다(단계 23).
도 2c에서, 가요성 센서(3)를 손가락(9)에 순응시키기 전에 부가적인 단계들을 부가하는 시스템(1)의 동작의 추가 흐름도가 도시된다. 도 2b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피험자는 먼저 자신의 손가락(9)을 센서(3) 상에 배치하고(단계 17), 시스템(1)은, 손가락(9)이 올바른 포지션에 있는지(단계 19)를 결정하기 위해, 손가락 포지션 모듈들(10a 및 10b)로부터의 센서(3) 캡처 이미지(들) 중 하나 이상 또는 정보를 사용하여 손가락 포지션을 결정하는(단계 18) 정보를 프로세싱한다. 손가락(9)이 올바른 포지션에 없다면, 피험자는, 어떻게 손가락(9)이 올바른 포지션에 오도록 이동되어야 하는지에 관하여 알림을 받고(단계 20) 단계들 17-19은 반복된다. 손가락(9)이 도 2c의 단계 19에서 올바른 포지션에 있다면, 프로세서 모듈(4)은 잠금 메커니즘(38)을 디스에이블하고, 이에 의해 센서(3) 상의 손가락(9) 압력으로 인해 센서(3)가 손가락(9) 주위로 순응하는 것을 방지하는 메커니즘(7)을 해제한다(단계 24). 이어서, 피험자는 도 3a-도 3b 및 도 8a-도 8c의 메커니즘(7)의 경우 센서(3)를 손가락(9)에 순응시키기에 충분한 압력을 센서(3)에 인가하기 위한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커맨드들의 알림을 받는다(단계 25). 그러나, 부가적인 또는 다른 힘들, 이를테면 모터 구동식, 유압식 또는 공압식 수단이 메커니즘(7)을 동작시키는 데 사용되면, 도 5a-도 5b 및 도 7a-도 7c의 메커니즘(7)의 경우에서와 같이, 힘들은 단계 24에서 해제 역학을 활성화하는 대신, 순응 제어 모듈(11)(도 1)을 통해 프로세서 모듈(4)에 의해 활성화된다. 따라서, 센서(3)가 손가락(9)에 순응하도록 요구되는 힘들이 인가되거나, 대안적으로, 또는 피험자에게 음성 또는 그래픽 디스플레이들을 이용한 경고들과 함께,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센서(3)를 손가락(9) 주위에 순응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피험자의 손가락을 이동시키는 방법을 커맨딩한다(단계 26). 일 예에서, 피험자는 센서(3) 상에 하향 힘을 계속 인가하도록 지시받는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시스템(1)이 고품질 이미지를 캡처하기 위해 자동캡처 모드(27)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임의의 모션 블러링(blur) 또는 낮은-콘트라스트 이미지들이 손가락(9)의 최종 롤링된-등가 지문 이미지에 도달하기 위해 최종 이미지 프로세싱 단계(28)에서의 입력을 위해 부주의하게 캡처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단계들 27 및 28은 각각 단계들 15 및 16(도 2a)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사용자가 훈련되지 않을 때 시스템(1)의 동작은 도 2c에 따르고, 이는 손가락(9) 압력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예컨대 도 3a-도 3b의 순응 인클로저 메커니즘(7)을 사용하여 아래에 요약된 바와 같은 2 개-부분 동작으로 간주될 수 있다. 제1 부분은, 손가락(9)이 올바른 포지션에 있는 것을 결정하는 것이고(단계들 17-20), 동작의 제2 부분은, 손가락(9)이 올바른 포지션에 있는 것을 시스템(1)이 결정하면 가요성 센서(3)가 손가락에 순응하게 하고 이어서 센서(3)로부터 이미지(들)를 캡처 및 프로세싱(필요하면)하는 것이다(단계들 24-28). 동작의 제1 부분에 대해, 손가락(9)은 가요성 센서(3) 상에 배치되고, 여기서 센서(3)는, 편평하거나 곡선형일 수 있지만, 손가락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 손가락 주위를 둘러싸지 않는 상태이다. 시스템(1)은 가요성 센서(3)로부터 연속적인 이미지들을 캡처하고 이미지들을 분석하여 손가락이 올바른 포지션에 있는지를 결정한다. 올바른 포지션에 없으면, 피험자에게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자신의 손가락을 적절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피드백이 주어진다. 또한 또는 대안적으로, 그런 손가락 포지션 정보는 손가락 포지션 검출 모듈들(10a 및 10b)을 사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손가락이 올바른 포지션에 있다는 것을 시스템(1)이 결정하면, 잠금 메커니즘(38)은 해제되고 피험자는, 자신의 손가락이 올바른 포지션에 있고 자신의 손가락(9)을 가요성 센서(3) 상으로 하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는 알림을 받는다. 기계적 잠금이 해제되기 때문에, 센서(3) 아래의 메커니즘(7) 부분은 손가락(9)의 압력을 이기지 못할 것이고, 이에 의해 손가락이 하향으로 이동하게 하고 센서(3)가 피험자의 손가락(9) 주위에 감기고 순응하게 한다. 피험자는, 구두(컴퓨터(5)의 하우징(2) 내 스피커를 통한 단어 또는 사운드) 또는 하우징(2)을 따른 디스플레이 또는 디스플레이 모니터(12) 상에 제시되는 그래픽 및 단어 중 하나 이상을 통할 수 있는 시각 신호를 통해 이런 최종 단계 동안 하향 압력을 계속 인가하여야 한다는 알림을 받을 수 있다. 이제 센서(3)가 손가락의 손톱-대-손톱 지역의 일부 또는 실질적으로 손톱 주위로 둘러싸임으로, 시스템(1)이 캡처한 이미지들은, 피험자가 센서(3) 상에서 자신의 손가락들을 흔들거나 롤링할 필요 없이 롤링된-등가 지문들이다. 시스템은 피험자의 손톱-대-손톱 지문의 낮은-노이즈, 높은-콘트라스트, 양호나 균일성 최종 이미지들을 달성하기 위해 단계(28)에서의 이미지 프로세싱을 구현할 수 있다.
도 3a-도 3b 및 도 4a-도 4b를 참조하여, 손가락(9) 주위에 감기고 순응하도록 가요성 센서(3)를 손가락(9)을 향해 이동시키기 위해 서로를 향해 내향으로 회전하도록 장착되고, 이에 의해 적어도 손가락의 전면 주위로 손톱(9a)의 좌측과 우측 사이 지역(바람직하게 손톱-대-손톱)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손가락(9)을 에워싸는 2 개의 대향 아암(31a 및 31b)에 의해 제공된 포지셔닝 부재들을 갖는 순응 인클로저 메커니즘(7)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된다. 아암(31a 및 31b)은 각각 힌지들(30a 및 30b)에 의해 각각 고정부(fixture)(32a 및 32b)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여기서 고정부들(32a 및 32b)은 하우징(2)에 장착된다(도 1). 아암들(31a 및 31b) 각각은 센서(3)의 하부 부분(3a)을 각각 지지하는 연장된 하부 표면(34a 및 34b)을 제공하는 제1 부분, 및 각각 상부 표면(35a 및 35b)을 제공하는 제2 부분을 갖는다. 상부 표면(35a 및 35b)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아암들(31a 및 31b)의 기계적 피처(feature)들(33a 및 33b)로부터 각각 연장되고, 센서(3)의 하부 부분(3a)의 양측을 따라 센서(3)의 2 개의 상부 부분(3b)을 지지하도록 배치된다. 하부 표면들(34a 및 34b) 각각은 각각 아암들(31a 및 31b)의 다수의 연장된 갈래(prong)의 세트의 상단들에 의해 제공되고, 여기서 각각의 아암과 연관된 갈래들은, 아암들(31a 및 31b)이 개별 고정부들(32a 및 32b)의 아암들의 개별 힌지들(30a 및 30b)을 따라 회전할 때 아암들이 서로에 관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서로 인터위빙(interweave)되고 이격된다.
예컨대, 아암들(31a 및 31b) 및 고정부들(32a 및 32b)은 강성 금속 또는 플라스틱, 이를테면 사출 성형된 플라스틱일 수 있고, 힌지들(30a 및 30b)은 알루미늄 또는 다른 강성 재료의 튜브들 또는 로드(rod)들일 수 있다. 각각의 아암들(31a 및 31b)은 도어를 따라 통상적인 힌지처럼 그들 개별 고정부들(32a 및 32b)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아암들이 순응 상태와 비-순응 상태 사이에서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회전할 수 있는 한, 힌지들(30a 및 30b)이 있거나 없는 회전가능 장착 아암들(31a 및 31b)에 대한 다른 메커니즘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를테면 예컨대, 아암들(31a 및 31b) 각각은 하우징(2)을 따라 홀들에 장착된 2 개의 대향 단부(또는 하우징(2)에 장착된 고정부)를 갖는 샤프트에 고정되어, 샤프트는 하우징(2)에 관하여 회전할 수 있다.
프로세서 모듈(4)에 의해 인에이블될 때 잠금 메커니즘(38)은, 순응 제어 모듈(11)을 통해, 도 1 및 도 3a에 도시된 메커니즘(7)의 아암들(31a 및 31b)의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부재의 움직임을 방지하고, 프로세서 모듈(4)에 의해 디스에이블될 때 메커니즘(7)을 해제하여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의 동작을 허용한다. 잠금 메커니즘(38)은 각각 단부들(38c 및 38d)까지 상향으로 연장되는 2 개의 잠금 부재(38a 및 38b)의 이동가능 고정부를 갖는다. 도 1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들(38c 및 38d)은 각각 아암들(31a 및 31b)의 하부 표면들에 맞물리고, 이는 손가락(9)의 압력에 응답하는 회전을 방지한다. 잠금 메커니즘(38)의 솔레노이드(38e)는 도 1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아암들(31a 및 31b)에 대한 상향 잠금 가능 포지션과, 도 3b의 화살표(39) 방향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해제 불가능 포지션 사이에서 베이스 지지 잠금 부재들(38a 및 38b)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도록 장착되고, 이는 손가락(9)의 압력이 아암들을 회전시키게 한다. 프로세서 모듈(4)은 순응 제어 모듈(11)(도 1)을 통해 솔레노이드(38e)에 신호들을 전송하여 솔레노이드(38)를 제어하고 이에 의해 인에이블 포지션과 디스에이블 포지션 사이에서 잠금 부재들(38a 및 38b)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2 개의 잠금 부재(38a 및 38b)가 도시되지만, 각각 아암들(31a 및 31b)의 표면들(34a 및 34b)을 제공하는 갈래들 중 적어도 2 개의 하부측을 따라 연장되는 솔레노이드(38e)로부터의 단일 잠금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 도 3a 및 도 3b에 예시된 특정 잠금 메커니즘(38)은, 손가락(9)이 센서(3) 상에 적절히 포지셔닝될 때까지 아암들(31a 및 31b)에 의해 제공된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부재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의 예를 나타낸다.
동작 시, 손가락(9)은 가요성 센서(3)와 터치되고, 고정부들(32a 및 32b)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기계적 아암들(31a 및 31b)은, 잠금 메커니즘(38)이 인에이블 포지션에 있는 결과로서, 또는 이미 디스에이블된 경우 손가락(9)이 센서(3) 상에 지금까지 약간 또는 최소의 힘을 인가한 것에 기인하여,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하지 않거나 크게 이동하지 않았다. 잠금 메커니즘(38)이 아암들(31a 및 31b)을 해제하기 위해 디스에이블된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9)에 의해 힘을 증가시키는 것은, 아암들(31a 및 31b)이 개별 힌지들(30a 및 30b)을 따라 그들 개별 고정부들(32a 및 32b)에서 회전함에 따라 하향으로 편향되게 한다. 아암들(31a 및 31b)의 하향 움직임은 그들 기계적 피처들(33a 및 33b)이 손가락(9)을 향해 내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고, 이에 의해 센서(3)의 상부 부분들(3b)을 따라 그들 개별 표면(35a 및 35b)을 가압하여, 센서가 손가락(9) 주위에 더 완전히 순응하게 한다. 아암들(31a 및 31b)의 표면들(34a 및 34b)은 각각, 아암들(31a 및 31b)이 센서(3)에 인가된 손가락(9)의 압력으로 인한 하향 힘에 의해 충분히 편향될 때 센서(3)의 하부 부분(3a)이 손가락(9)의 형상을 따르는 것을 돕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투어링될(contoured) 수 있다(약간 오목함). 센서(3)가 손가락(9) 주위를 부분적으로 에워싸고, 센서(3)의 감지 엘리먼트들이 손가락의 손톱(9a)의 우측과 좌측 사이의 손가락의 지역과 대면하면, 손톱 대 손톱의 롤링된-등가 지문 이미지(들)는 센서(3)에 의해 캡처되고 프로세서 모듈(4)에 제공된다.
피처들(33a 및 33b)은 각각 아암들(31a 및 31b)의 부분이고, 따라서 각각 아암들의 표면들(34a 및 34b)을 포함하는, 각각 아암들(31a 및 31b)의 나머지에 견고하게 장착되어, 전체 아암들(31a 및 31b)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께 회전하지만, 피처들(33a 및 33b)은 또한 그들 개별 아암들에 스프링-장착될 수 있다. 스프링-장착의 장점은, 장력이, 센서가 손가락(9)에 순응하도록 하기 위해 가요성 센서(3) 상에 여전히 유지될 수 있지만, 동시에 피험자의 손가락들의 크기 변동들뿐 아니라 피험자마다의 손가락들의 크기들의 변동들을 수용하기 위해 피처들(33a 및 33b)의 가변하는 내향 이동에 일부 융통성을 허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컨대, 스프링 장착 힌지들은, 손가락(9) 압력이 제거되면 도 3b의 손가락 순응 포지션의 것으로부터 도 3a의 이들 초기 비-순응 포지션으로 다시 아암들(31a 및 31b)의 리턴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의 아암들(31a 및 31b) 및 고정부들(32a 및 32b)은 이 실시예의 메커니즘(7)의 더 세부사항을 도시하기 위해 손가락(9) 또는 센서(3) 없이 각각 도 4a 및 도 4b에 사시도들로 도시된다. 예시의 목적들을 위해, 실린더는 손가락(9)의 상대적 포지션을 도시하기 위해 도 4a 및 도 4b에 묘사된다.
따라서, 메커니즘(7)의 그런 제1 실시예에서, 손가락(9)은 가요성 센서(3) 상에 배치되고 센서(3)를 하향으로 가압하는 피험자 손가락(9)의 힘은 센서(3)를 지지하는 아암들(31a 및 31b)에 의해 제공된 기계적 지지 메커니즘이 손가락(9)의 힘에 의해 하향 이동하게 한다. 피험자 손가락(9)이 아암들(31a, 31b) 및 센서(3)를 하향 이동시킴에 따라, 센서의 일측 또는 양측 상의 센서의 부분들(3b)은 센서(3) 주위를 둘러싸기 시작한다. 이 실시예에서, 롤링된-등가 지문을 캡처하는 것은, 손가락(9)이 센서(3)를 지지하는 아암들(31a 및 31b) 사이에 삽입되고 손가락(9)으로부터의 센서(3)에 대한 하향 힘으로 인해 가요성 센서(3)를 피험자 손가락(9)에 순응하도록 이동시키는 올바른 포지션에서 기계적으로 정지시키는 하나의 연속적인 모션일 수 있고, 이어서 롤링된-등가 지문의 하나 이상의 이미지는 센서(3)로부터 전자적으로 캡처된다. 잠금 메커니즘(38)이 바람직하지만, 도 3a 및 도 3b의 메커니즘(7)은 그런 잠금 메커니즘 없이 동작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손가락(9) 주위에 감기고 순응하도록 가요성 센서(3)를 손가락 주위에 부분적으로 에워싸도록 이동하고, 이에 의해 적어도 손가락의 전면 주위로 손톱(9a)의 좌측과 우측 사이에서 연장되는 지역(바람직하게 손톱-대-손톱)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손가락(9)을 에워싸는 복수의 힌지된 링크(또는 캐리어 부재들)(56a, 56b, 56c, 및 56d)를 포함하는 가요성 캐리어(52)에 의해 제공된 포지셔닝 부재들을 갖는 순응 인클로저 메커니즘(7)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된다. 센서(3)는 캐리어(52)가 가요적일 수 있게 하는 3 개의 힌지(50a, 50b 및 50c)를 통해 함께 결합된 4 개의 기계적 링크(56a-d) 상에 배치된다. 캐리어(52)는 더 많거나 더 적은 수의 링크 및 대응하는 힌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계적 캐리어(52)의 일 단부에서, 케이블(51)은 링크(56c) 대향 링크(56d)로부터 연장되는 핀(54)에서 캐리어(52)에 부착된다. 예컨대, 케이블(51)은 나일론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만들어질 수 있고, 링크들(56a-d)은 강성 금속 또는 플라스틱, 이를테면 사출 성형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힌지들(50a-c)은 알루미늄 또는 다른 강성 재료의 튜브들 또는 로드들일 수 있다. 케이블(51)의 다른 단부는 순응 제어 모듈(11)(도 1)을 통해 프로세서 모듈(4)로부터의 신호들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작동 모터(53)에 부착된다. 도 5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손톱(9a)을 갖는 손가락(9)은 센서(3) 상의 적절한 포지션에 배치되고, 이는, 손가락(9)이 센서(3)와 접촉하는 것을 요구하거나 요구하지 않을 수 있다. 손가락의 올바른 포지션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결정될 수 있지만, 손가락(9)이 올바른 포지션에 있다는 것이 결정되면, 모터(53)는 프로세서 모듈(4)에 의해 동작되어 케이블(51)을 당기고, 이는 도 5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52)의 좌측이 우측 상향으로 당겨지게 한다. 따라서, 센서(3)는 손가락(9)에 대해 압박되고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의 손톱-대-손톱 지문 지역과 터치한다. 일측이 당겨진 것으로 도시되지만, 임의로 캐리어(52)의 일측 또는 양측은, 센서(3)가 손가락(9)의 그런 지역 주위를 둘러싸도록 케이블들에 의해 모터(53)로 당겨지는 핀들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모터(53)는, 케이블(51)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51)을 당겨 감고, 케이블(51)이 손가락(9)으로부터 캐리어(52)를 풀어 해제하게 하도록 감김을 푸는 스풀(spool)을 갖는 회전가능 샤프트를 갖는 양방향 모터일 수 있고, 여기서 그런 푸는 것은 중력 및/또는 캐리어 부재들(56a-d)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의 힘으로 기인하거나 또는 스프링 바이어싱 힌지들(50a-c)이 제공된다.
도 5a 및 도 5b의 캐리어(52)는 메커니즘(7)의 더 세부사항을 도시하기 위해 손가락(9) 또는 가요성 센서(3) 없이 각각 도 6a 및 도 6b에서 사시도들로 도시된다. 핀(54)은 바람직하게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56d)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탭(tab)들에서 한 쌍의 분리된 홀들(54a 및 54b)을 통해 연장된다. 이런 방식으로, 센서(3)는 링크(56d)로부터 연장되는 그런 탭들의 각각의 쌍 사이의 갭을 통해 스레드될 수 있어서, 센서(3)는 핀(54)에 연결된 케이블(51)을 방해하지 않는다. 이어서, 캐리어(52)의 다른 측면을 따라, 센서(3)는 링크(56b) 대향 링크(56a)의 일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탭들의 다른 쌍 사이에 형성된 다른 갭을 통해 스레드되고, 여기서 링크(56a)로부터의 탭들의 다른 쌍은 각각 하우징(2)을 따라 홀들에서 회전을 위해 임의로 장착될 수 있는, 핀(54)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핀을 갖는다. 대안적으로, 케이블(51)은 “Y” 형상으로 분리될 수 있고 “Y”의 각각의 절반은 홀들(54a 및 54b)의 외측 상의 핀(54)의 단부들에 부착되고, 이에 의해 도 5a 및 도 5b의 케이블(51)과 센서(3) 사이의 기계적 간섭 없음을 보장하는 다른 수단을 제공한다.
대안적으로, 케이블(51)은 도 5c 및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캐리어(52)의 링크들(56a-d)의 홀들(60a, 60b, 60c, 및 60d)을 통해 연장되는 나일론 또는 다른 낮은 마찰 재료와 같은 코드(cord) 또는 리본을 나타내고, 여기서 홀들(60a-d)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다. 모터(53)는 홀(60a)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51)의 일 단부에 커플링되는 반면, 다른 단부는 홀(60d)에 대한 홀(62)에 스레드된 고정나사(57)에 의해 홀(60d)에 캡처된다. 따라서, 핀(54) 및 핀(54)을 지지하는 캐리어(52)를 따른 구조들은 필요하지 않다. 도 5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손톱(9a)을 갖는 손가락(9)은 가요성 센서(3) 상의 적절한 포지션에 배치되고, 이는, 손가락(9)이 센서(3)와 접촉하는 것을 요구하거나 요구하지 않을 수 있다. 손가락의 올바른 포지션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결정될 수 있지만, 손가락(9)이 올바른 포지션에 있다는 것이 결정되면, 모터(53)는 프로세서 모듈(4)에 의해 동작되어 홀들(60a-d)을 통해 연장된 케이블(51)을 당겨, 도 5d에 예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52)의 좌측이 우측 상향으로 당겨지게 한다.
메커니즘(7)의 이런 제2 실시예를 사용하는 시스템(1)의 동작은 손가락(9)의 압력 힘이 메커니즘(7)의 동작을 위해 필요하지 않고 잠금 메커니즘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단계들 24-25가 수행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도 2c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바람직하게 동일하고, 오히려 모터(53)의 동작은 예컨대 도 5b 또는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계들 27 및 28을 수행하기 전에 단계 26에서 가요성 센서(3)를 손가락(9)의 형상에 순응하도록 인에이블된다. 하나 이상의 롤링된 등가 지문 이미지가 캡처된 이후, 모터(53)는 각각 도 5b 또는 도 5d의 순응 상태로부터 도 5a 또는 도 5c의 비-순응 상태로 다시 리턴하도록 반전된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다시 비-순응 상태로의 리턴은 중력을 사용하거나 스프링 리턴 힘들의 사용을 통해 달성될 수 있고, 여기서 스프링들은 캐리어 부재들(56a 내지 56d) 사이에 장착될 수 있거나, 스프링 바이어스 힌지들(50a-c)이 제공된다.
도 7a, 도 7b 및 도 7c를 참조하여, 확장될 때 손가락(9) 주위에 감고 순응시키도록 가요성 센서(3)를 손가락(9) 주위에 부분적으로 에워싸게 이동하고, 이에 의해 적어도 손가락의 전면을 따라 손톱(9a)의 좌측과 우측 사이의 지역(바람직하게 손톱-대-손톱)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손가락을 에워싸는 확장가능 챔버 또는 블래더(72)가 제공된 포지셔닝 부재를 갖는 순응 인클로저 메커니즘(7)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된다. 메커니즘(7)의 제1 및 제2 실시예들과 달리, 센서(3)에 대한 손가락(9)의 압력 및 메커니즘(7) 자체에 의해 인가된 힘 둘 모두는 센서(3)가 손가락 주위에 감기고 순응하게 한다. 도 7a에서, 손톱(9a)을 갖는 손가락(9)은 챔버(72)의 채널 내의 센서(3) 위에 삽입된다. 대안적으로, 손가락(9)은 가요성 센서(3)와 터치할 수 있다. 가요성 센서(3)는 인클로저(73) 및 챔버(72)의 하우징을 완성하는 측면 지지부들(70a 및 70b)을 갖는 챔버(72)의 일 측을 이룬다. 챔버(72) 내에는 매체, 이를테면 가스(예컨대, 공기), 또는 액체(예컨대, 물)가 있다. 파이프(75)는 밸브(74)를 통해 펌프(76)에 대한 챔버(72)에 연결된다. 밸브(74)는 주위 공기(또는 펌핑하고, 이어서 챔버(72) 밖으로 펌핑될 때 메커니즘(7)을 비-순응 상태로 리턴하기에 충분한 그런 매체를 저장하기 위한 펌프(76)에 이용가능한 매체 저장소)에 관하여 펌프(76) 동작 방향에 의존하는 확장 챔버(72) 내로 또는 압축 챔버(72) 밖으로 이동하는 가스 또는 액체의 양을 제어한다. 이런 방식으로, 이 실시예의 메커니즘(7)의 공압 또는 유압 동작이 달성된다. 그런 펌프(76) 및 밸브(74)는 순응 제어 모듈(11)(도 1)을 통해 프로세서 모듈(4)에 응답하여 동작한다.
도 7b에서, 측면 지지부들(70a 및 70b)은 각각 방향들(71a 및 71b)로 이동할 수 있고, 그 결과 2 개의 측면 지지부의 간격은 이제 손가락(9)의 폭보다 더 작게 된다. 2 개의 측면 지지부(70a 및 70b)의 간격은 교정된 머신 비전 카메라로 획득된 이미지들을 분석함으로써 측정된 손가락(9)의 폭을 가짐으로써 설정될 수 있지만, 단순함을 위해, 거리가 스캐닝되도록 생각된 가장 작은 손가락의 폭보다 더 작은 것을 보장하는 거리로 측면 지지부들(70a 및 70b)의 간격이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시간적 이벤트들 사이에서, 프로세서 모듈(4)은, 손가락(9)이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올바른 포지션에 있다는 것을 결정하였고, 필요하면 센서(3)가 손가락의 형상에 순응할 때 원하는 손톱-대-손톱 지문 이미지(들)가 캡처되도록 손가락(9)을 올바른 포지션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손가락 포지션 피드백(위에서 설명됨)을 피험자에게 제공한다. 손가락(9)이 적소에 있다는 것을 결정하면, 프로세서 모듈(4)은, 커맨드들(손가락 포지션 피드백과 유사한 오디오 또는 비디오 큐들)을 피험자에게 출력하여, 피험자는 화살표(78)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손가락(9)을 하향으로 가압하여 이제 센서(3)에 대해 가압한다. 이어서, 도 7b에서, 측면 지지부들(70a 및 70b)은 확장 전에 챔버(72)의 변형가능한 성질로 인해 센서(3)를 하향 가압하는 손가락(9)의 힘에 의해 이동된다. 다음으로, 도 7c에서, 밸브(74)는 개방되고 챔버(72)에 어느 쪽이 사용되든, 매체, 이를테면 공기 또는 액체는 펌프(76)에 의해 챔버 내로 펌핑되고, 이에 의해 후면으로부터 센서(3)에 압력을 인가하여, 센서(3)가 손가락(9) 주위에 완전히 순응하게 한다. 도 7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센서(3)는 이제 필요한 경우 단지 손가락(9)의 손톱-대-손톱 지문 지역보다 더 큰 손가락 폭의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클로저(73)로부터 연장되는 가요성 센서(3)의 측면들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9) 압력이 센서에 인가될 때 측면 지지부들(70a 및 70b)을 당기는 것을 돕기 위해 각각 내향으로 각이진다. 대안적으로, 도 7a의 센서(3)의 그런 측면들은 내향으로 각이 지기보다 오히려 인클로저(73)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고, 측면 지지부들(70a 및 70b)은 확장될 때 챔버(72)의 가압에 의해 주로 서로를 향해 당겨진다. 손가락(9) 압력의 적용이 바람직하지만, 손가락(9)이 수용되고 센서(3)에 관하여 인클로저(73)에 적절히 포지셔닝된 이후, 챔버(72)는 피험자에 의한 센서에 대한 손가락 압력을 먼저 요구하지 않고 센서(3)를 손가락(9)에 순응시키도록 확장될 수 있다.
메커니즘(7)의 이런 제3 실시예를 사용하는 시스템(1)의 동작은, 어떠한 잠금 메커니즘도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단계 24가 수행되지 않고, 단계 26이 단계들 27 및 28을 수행하기 전에 단계 26에서 센서(3)를 손가락(9)의 형상에 순응시키기 위해 손가락 압력 및 챔버(72)의 확장 둘 모두(또는 단지 확장만)에 의해 가능하다는 것을 제외하고, 도 2c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바람직하게 동일하다. 롤링된 등가 지문 이미지(들)가 캡처된 이후, 확장 매체는 도 7a의 비-순응 상태로 다시 리턴하도록 도 7c의 순응 상태로부터 반전하도록(밸브(74)가 개방되고 화살표(78)의 반대 방향으로 펌핑됨) 챔버(72)로부터 제거된다. 센서(3)가 배치된 챔버(72)는 도 7c에 도시된 확장, 도 7b의 변형, 및 다시 도 7a로의 수축을 허용하는 탄성중합체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순응 인클로저 메커니즘(7)의 다수의 실시예는 손가락(9)을 센서(3)의 형상에 순응시키기 위한 수단을 시스템(1)에 제공하고, 이에 의해 훈련된 조작자에 대한 필요 없이 원하는 롤링된-등가 지문 이미지들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가요성 센서(3)가 광학 감지 엘리먼트들을 가질 때, 광 소스는 주변 광일 수 있거나, 임의적인 조명 시스템(8)은 하우징(2) 내에 통합될 수 있고, 시스템(9)으로부터의 인공 광 및 주변 광의 조합은 센서(3)의 적절한 성능을 위해 충분하게 손가락을 조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조명 시스템(8)이 제공될 때, 조명 시스템(8)은 바람직하게, 인체 조직이 근 적외선 광, 예컨대 750 내지 950nm 스펙트럼 지역의 하나 이상의 파장에 실질적으로 투명한 적어도 일부 파장들의 광 소스들을 제공한다. 이들 광 소스들로부터의 광은 손가락을 통해 투과될 수 있고, 여기서 광 소스들의 파장들에 대한 인체 조직의 투과율은 높아서, 양호한 품질 지문은 센서(3)로부터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인체 피부의 투과 및 산란 특성과 조합된 조명 소스가 비-균일하게 조명되는 지문 이미지들을 초래하는 경우들에 대해, 캡처된 이미지들의 각각 사이 또는 세트들 사이에서, 센서(3)의 통합 시간, 조명 소스(들)의 광 출력, 또는 둘 모두가 가변되는 경우 다수의 이미지가 요구될 수 있다. 프로세서 모듈(4) 및/또는 컴퓨터(5)는 캡처된 상이한 이미지들을 분석하고, 각각의 이미지의 지역들이 지문 이미지의 콘트라스트를 수용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고, 이어서 롤링된-등가 지문 이미지의 최종 완성 이미지에 도달하기 위해 각각의 이미지 또는 이미지 세트로부터 이들 지역들을 함께 스티칭하기 위한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예로써 카메라가 삼각대 상에 배치되고 각각 상이한 노출 설정으로 방의 다수의 이미지가 찍히는 HDR(high-dynamic range) 사진과 유사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이를테면 Adobe Photoshop을 통해, 적절하게 인식된 조명이 있는 방의 지역들은 찍힌 모든 이미지들로부터 함께 조각나지고, 이에 의해 책상 아래 또는 방의 모서리와 같이 방의 어두운 영역들은 창문에 가까운 방의 지역과 거의 동일한 조명 레벨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게 된다. 센서(3)에 의해 사용된 조명 파장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수되는 경우 상이한 센서(3) 통합 시간 및/또는 조명 전력에서의 다수의 이미지가 요구될 수 있다. 예컨대, 새끼손가락의 두께가 엄지손가락의 두께보다 훨씬 더 작기 때문에, 동일한 사람에 대해서도, 더 많은 광은 엄지손가락보다 새끼손가락을 통해 투과할 것이고 그러므로 특정 손가락(9)에 대한 지문의 적절한 이미지를 달성하도록 프로세서 모듈(4)이 올바른 센서(3) 및 조명 시스템(8) 설정을 결정하기 위해 센서(3)로부터 다수의 이미지가 찍힐 필요가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임의적인 조명 시스템(8)(도 1)은 스캐닝된 손가락의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광 조명에 의존하는 가요성 센서(3)의 경우 프로세서 모듈(4)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런 경우에, 센서(3)는 광학 감지 엘리먼트들을 갖는다. 조명 시스템(8)의 광 소스들은, 지문 이미지가 센서(3)에 의해 캡처될 때 손가락의 상단을 따라 배치되도록 센서(3)에 관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손가락(9)은 조명 시스템(8)의 소스들로부터의 광이 손가락을 조명하기 위해 손가락(9)을 통해 센서(3)를 향해 투과할 수 있도록 조명 시스템(8)과 센서(3) 사이에 포지셔닝된다.
조명 시스템(8)을 갖는 제1 실시예의 메커니즘(7)의 예는 도 8a-도 8c에 도시되고, 메커니즘(7)의 아암들(31a 및 31b)은 손가락(9)에 가요성 센서(3)의 형상을 순응시킬 때 도 3a-도 3b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하다. 이 예에서, 센서(3)는 가요성 중합체 후면 상에 인쇄되고 프랑스 Grenoble의 ISORG에 의해 제조된 500 ppi 광 TFT 센서이다. 조명 시스템(8)은 기판의 하부측을 따르는 광 소스들(8a), 이를테면 LED들과 함께 아암(31a)의 상단을 따라 장착된 인쇄 회로 기판(37)으로 도시된다. 도 8a에 예시된 바와 같은 손가락(9)은 이제 센서(3)를 가압하기 시작하고 결과로서, 센서가 약간 만곡된다. 센서(3)의 감지 엘리먼트들의 활성 영역은, 손가락(9)이 대략 중심을 두는 센서(3)의 직사각형 영역이다. 그런 직사각형 영역은, 손가락(9)이 모두 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위에 있는 센서(3)의 위에서 설명된 하부 부분(3a), 및 손가락(9)에 아직 제시되지 않은 센서(3)의 상부 부분들(3b)을 포함한다.
도 8b에서, 아암들(31a 및 31b)은 손가락(9)의 압력 하에서 화살표들(36)에 의해 묘사된 바와 같이 서로를 향해 내향으로 회전하고 가요성 센서(3)는 구부러지고 손가락(9) 주위에 더 잘 순응하기 시작한다. 존재하는 경우, 잠금 메커니즘(38)(도 1 및 도 3a-도 3b)은 먼저 프로세서 모듈(4)에 의해 해제되어 그런 아암들(31a 및 31b)의 내향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도 8c에서, 아암들(31a 및 31b)은 자신의 이동 한계에 도달하고 센서(3)는 이제 피험자의 손가락(9) 주위에 감겨져 완전히 순응한다. 자신의 이동 종료에 도달할 때, 센서(3)가 손가락(9)에 순응하게 하도록 진행되는 한 아암(31a)을 하향으로 스윙하는 것 외에, 힌지(30a)의 대향 측에 있는 아암(31a)의 다른 단부는 스윙되어 조명 인쇄 회로 기판(37)을 손가락(9) 위로 올린다. 조명 인쇄 회로 기판(37)의 측면 상에서, 인쇄 회로 기판(37)에 선형으로 장착되는 광 소스들(8a), 이를테면 850nm LED들은 적어도 센서 부분(3a) 위와 같이 손가락(9)을 향해 하향으로 향한다. 이들 광 소스들(8a)은 이제 손가락(9)의 상단을 조명하고 손가락(9)을 통해 손가락(9)의 지문 측으로 방사 및 산란할 수 있다. 이런 투과 및 산란된 근 적외선(NIR) 광이 광 TFT 센서(3)와 직접 접촉하는 지문 융기부들에서 나오는 경우, 광 센서 픽셀들은 저장 신호를 등록한다. 지문 골들이 광 TFT 센서(3)의 다른 픽셀들 바로 위에 있는 경우, 작은 광이 검출되고 이들 지역들은 센서(3)로부터 오는 원시 이미지에서 어둡게 보인다. 도 8c의 센서(3)에 의해 캡처된 대표적인 손톱-대-손톱 지문 이미지는 도 9a에 도시된다. 이 이미지에 대해, 센서(3)로부터 획득된 본래 이미지의 그레이스케일이 반전되었다. 비록 센서(3)의 원시 이미지가 지문 골들 및 포어(pore)들에 대응하는 어두운 영역들을 제공하지만, 도 9a의 이미지는, 지문 골들 및 포어들이 이제 밝아지도록 - 이때 지문 골들은 어두움 - 프로세싱되었다. 도 9b는 도 9a의 지문 이미지의 상부 좌측 부분의 확대도이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조명 시스템(8)의 하나 이상의 광 소스는, 가요성 센서(3) 및 손가락(9) 위 대신, 대안적으로 아래에 제공될 수 있고, 여기서 광의 적어도 일부는 센서(3)를 통해 손가락(9)으로 통과할 수 있다. 그런 경우에서, 전체 아암들(31a 및 31b) 또는 센서(3)의 활성 영역을 지지하는 적어도 그런 부분은 그런 광에 모두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과성인 재료로 만들어진다.
비록 도 1, 도 3a-도 3b, 도 5a-도 5c, 도 7a-도 7c 및 도 8a-도 8c에 묘사된 가요성 센서(3)의 단부들이 기계적으로 고정된 것으로 예시되지 않았지만, 이들은 적소에 고정될 수 있고, 그러나 이어서 또한 이들은 스프링들을 통해 충분히 느슨하거나 적어도 움직임을 허용하여, 센서(3)가 피험자의 손가락에 순응할 수 있을뿐 아니라, 제1 손가락이 시스템(1)에 의해 스캐닝된 이후 다른 손가락(9)을 수용하기 위한 포지션으로 풀어질 수 있다. 도 1, 도 3a-도 3b, 도 5a-도 5c, 도 7a-도 7c 및 도 8a-도 8c의 순응 인클로저 메커니즘(7)의 상이한 메커니즘들의 각각의 경우,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부재의 적어도 일부, 이를테면 예컨대, 각각 아암들(31a 및 31b)의 피처들(33a 및 33b), 가요성 캐리어(52)의 적어도 캐리어 부재(56d 또는 56a), 또는 센서(3)가 배치된 손톱(9a)의 우측 및 좌측과 대면하는 블래더(72)의 부분들은, 센서(3)에 의해 제공된 가요성으로 인해 손가락의 형상에 센서(3)의 원하는 순응을 달성하기 위해 손가락을 센서(3)에 제시한 이후 손가락(9)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비록 시스템(1)이 단일 손가락(9) 상에서 동작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시스템(1)은 피험자의 우측 및/또는 좌측 손의 엄지손가락을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손가락에서 동작하는 장치에 통합될 수 있고, 여기서 각각의 시스템(1)은 개별 손가락들(9)을 임의의 연관된 손가락 포지셔닝 검출 모듈들(10a 및 10b)과 함께 그 자신의 가요성 센서(3) 및 순응 인클로저 메커니즘(7)에 배치하기 위해 사람의 손가락에 요구된 각도 확산과 각각 일치하는 각도로 나란히 복제 및 배치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2 개 이상의 손가락은 자신의 손톱-대-손톱 지문들을 한 번에, 즉 동시에 또는 거의 동시에 이미지화할 수 있다.
본원에 예시된 롤링된-등가 손가락 이미지들을 취득하기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의 변형들 및 수정들은 의심할 여지없이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위의 설명은 제한적인 의미가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취해져야 한다.

Claims (36)

  1. 지문의 생체 인식 검출을 위한 시스템으로서,
    가요성 센서 - 상기 가요성 센서는 상기 가요성 센서를 터치하고 있는 객체의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캡처하도록 동작 가능한 감지 엘리먼트들의 2-차원 어레이를 포함함 -; 및
    상기 가요성 센서에 관하여 손가락의 회전 또는 흔듬 없이 상기 센서를 사용하여 상기 손가락에 대한 롤링된-등가 지문(rolled-equivalent fingerprint)의 캡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손가락을 상기 센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워싸기 위해 상기 손가락의 손톱의 우측과 좌측 사이에서 상기 손가락의 전면의 적어도 지역을 따라 상기 센서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손가락의 형상 주위에 감기고 순응하도록 이동시키는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부재(positioning member)
    를 포함하는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부재는 대향 아암(opposing arm)들 사이에서 상기 가요성 센서를 상기 손가락을 향해 내향으로 회전시키는 상기 대향 아암들, 상기 센서를 상기 손가락 주위에 부분적으로 에워싸도록 이동시키는 가요성 캐리어, 또는 상기 센서를 상기 손가락 주위에 부분적으로 에워싸도록 이동시키는 확장가능 블래더(bladder) 중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부재는 상기 손가락을 향해 이동 가능한 2 개의 내향 회전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아암들 각각은, 상기 센서가 상기 롤링된-등가 지문을 캡처할 수 있도록 상기 손가락의 상기 손톱의 우측과 좌측 사이의 적어도 상기 지역을 따라 상기 센서를 배치하기 위해, 상기 센서의 하부 부분 상의 상기 손가락의 하향 움직임에 응답하는 상기 센서의 하부 부분의 2 개의 상이한 측면 중 하나를 따라 상기 센서의 상부 부분을 감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부재는, 상기 센서가 상기 롤링된-등가 지문을 캡처할 수 있도록 상기 손가락의 상기 손톱의 우측과 좌측 사이의 적어도 상기 지역을 따라 상기 센서를 배치하기 위해 상기 센서를 상기 손가락을 따라 감도록 이동시키는 복수의 힌지된 링크를 갖는 가요성 캐리어를 포함하는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부재는, 상기 센서가 상기 롤링된-등가 지문을 캡처할 수 있도록 상기 손가락의 상기 손톱의 우측과 좌측 사이의 적어도 상기 지역을 따라 상기 센서를 배치하기 위해 상기 센서를 상기 손가락을 따라 감도록 이동시키는 상기 센서를 따라 확장가능한 블래더를 포함하는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블래더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으로 확장가능한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의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캡처하기 위해 상기 센서를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손가락이 상기 롤링된-등가 지문의 캡처를 위해 상기 센서에 관하여 포지셔닝되는 때를 결정하기 위한 손가락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센서를 상기 손가락에 순응시키기 전에 상기 센서로부터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캡처하는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잠금 부재는 상기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부재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부재와 맞물리도록, 그리고 상기 손가락이 상기 센서에 관하여 포지셔닝되었다고 결정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부재를 해제하고 이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된-등가 지문을 캡처하기 위한 상기 센서의 동작 전에 상기 손가락이 상기 센서에 관하여 포지셔닝되는 때를 결정하기 위해 손가락 위치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게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손가락 포지션 센서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잠금 부재는 상기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부재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부재와 맞물리도록, 그리고 상기 손가락이 상기 센서에 관하여 포지셔닝되었다고 결정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부재를 해제하고 이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에 의해 캡처된 상기 지문은 상기 손가락을 편평하고 강성의 센서 압반 상에 가압함으로써 캡처된 폭보다 더 큰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센서에 상기 손가락의 제시 이후 상기 손가락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엘리먼트들은 상기 롤링된-등가 지문을 캡처하도록 동작 가능한 광학 감지 엘리먼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센서가 상기 지문을 캡처할 때 상기 손가락을 조명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광 소스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엘리먼트들은 상기 센서를 터치하고 있거나 대면하고 있는 상기 손가락으로부터 측정된 광, 열, 압력, 용량성, 저항성, 또는 임피던스 신호들 중 하나 이상에 민감한 시스템.
  18. 지문의 생체 인식 검출을 위한 방법으로서,
    손가락을 가요성 센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워싸기 위해 상기 손가락의 손톱의 우측과 좌측 사이에서 상기 손가락의 전면의 적어도 지역을 따라 상기 가요성 센서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손가락의 형상 주위에 감기고 순응하도록 이동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부재를 포지셔닝(positioning)하는 단계 - 상기 가요성 센서는 상기 가요성 센서를 터치하고 있는 객체의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캡처하도록 동작 가능한 감지 엘리먼트들의 2-차원 어레이를 포함함 -; 및
    상기 센서에 관하여 상기 손가락의 회전 또는 흔듬 없이 상기 센서를 사용하여 상기 손가락에 대한 롤링된-등가 지문(rolled-equivalent fingerprint)을 캡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9. 삭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캡처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손가락이 상기 센서에 관하여 포지셔닝되는 때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손가락의 포지션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캡처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손가락이 상기 센서에 관하여 포지셔닝되는 것을, 상기 손가락의 포지션을 감지하는 단계가 결정할 때까지 상기 포지셔닝하는 단계의 동작을 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하는 단계의 상기 하나 이상의 부재는, 대향 아암들 사이에서 상기 센서를 상기 손가락을 향해 내향으로 회전시키는 상기 대향 아암들, 상기 센서를 상기 손가락 주위에 부분적으로 에워싸도록 이동시키는 가요성 캐리어, 또는 상기 센서를 상기 손가락 주위에 부분적으로 에워싸도록 이동시키는 확장가능 블래더 중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하는 단계의 상기 하나 이상의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센서에 상기 손가락의 제시 이후 상기 손가락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방법.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캡처하는 단계가 수행될 때 상기 손가락을 조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5. 지문의 생체 인식 검출을 위한 장치로서,
    가요성 센서 - 상기 가요성 센서는 상기 가요성 센서를 터치하고 있는 객체의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캡처하도록 동작 가능한 감지 엘리먼트들의 2-차원 어레이를 포함함 -;
    손가락을 상기 센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워싸기 위해 상기 손가락의 전면 주위에서 상기 손가락의 손톱의 우측 및 좌측으로 연장되거나 이에 가장 가까운 적어도 지역을 따라 상기 센서를 상기 손가락의 형상 주위에 감기고 순응하도록 포지셔닝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가요성 센서에 관하여 손가락의 회전 또는 흔듬 없이, 상기 지문이 편평하고 강성의 센서 압반 상에 손가락을 가압함으로써 캡처된 폭보다 더 큰 상기 지역을 따라, 상기 손가락의 지문의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캡처하도록 상기 센서를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캡처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는 상기 손가락에 대한 롤링된-등가 지문을 나타내는 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대향 아암들 사이에서 상기 가요성 센서를 상기 손가락을 향해 내향으로 회전시키는 상기 대향 아암들, 상기 센서를 상기 손가락 주위에 부분적으로 에워싸도록 이동시키는 가요성 캐리어, 및 상기 센서를 상기 손가락 주위에 부분적으로 에워싸도록 이동시키는 확장가능 블래더 중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28. 삭제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엘리먼트들은 광학 감지 엘리먼트들이고, 상기 장치는, 상기 센서가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캡처할 때 상기 손가락을 조명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광 소스를 더 포함하는 장치.
  30.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캡처하기 위한 상기 센서의 동작 전에 상기 손가락이 상기 센서에 관하여 포지셔닝되는 때를 결정하기 위해 손가락 위치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게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이 상기 센서에 관하여 포지셔닝될 때까지 상기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부재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KR1020207010769A 2017-09-15 2018-09-15 롤링된-등가 지문 이미지들을 취득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장치 KR1022516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59439P 2017-09-15 2017-09-15
US62/559,439 2017-09-15
PCT/US2018/051258 WO2019070391A2 (en) 2017-09-15 2018-09-15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IMPRINT IMAGES EQUIVALENT TO ROLLED IMPRESS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109A KR20200046109A (ko) 2020-05-06
KR102251669B1 true KR102251669B1 (ko) 2021-05-12

Family

ID=65721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0769A KR102251669B1 (ko) 2017-09-15 2018-09-15 롤링된-등가 지문 이미지들을 취득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699097B2 (ko)
EP (1) EP3682369A4 (ko)
KR (1) KR102251669B1 (ko)
WO (1) WO201907039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15222B2 (en) 2016-05-04 2019-06-11 Invensense, Inc. Two-dimensional array of CMOS control elements
US10445547B2 (en) 2016-05-04 2019-10-15 Invensense, Inc. Device mountable packaging of ultrasonic transducers
US10452887B2 (en) 2016-05-10 2019-10-22 Invensense, Inc. Operating a fingerprint sensor comprised of ultrasonic transducers
US10706835B2 (en) 2016-05-10 2020-07-07 Invensense, Inc. Transmit beamforming of a two-dimensional array of ultrasonic transducers
US10539539B2 (en) 2016-05-10 2020-01-21 Invensense, Inc. Operation of an ultrasonic sensor
US10441975B2 (en) 2016-05-10 2019-10-15 Invensense, Inc. Supplemental sensor modes and systems for ultrasonic transducers
US11673165B2 (en) 2016-05-10 2023-06-13 Invensense, Inc. Ultrasonic transducer operable in a surface acoustic wave (SAW) mode
US10562070B2 (en) 2016-05-10 2020-02-18 Invensense, Inc. Receive operation of an ultrasonic sensor
US10860833B2 (en) * 2017-07-26 2020-12-08 Nec Corporation Fingerprint reading device and fingerprint reading method
KR102251669B1 (ko) 2017-09-15 2021-05-12 크로스 매치 테크놀로지스, 인크. 롤링된-등가 지문 이미지들을 취득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장치
US10997388B2 (en) 2017-12-01 2021-05-04 Invensense, Inc. Darkfield contamination detection
US10984209B2 (en) 2017-12-01 2021-04-20 Invensense, Inc. Darkfield modeling
US10783346B2 (en) * 2017-12-11 2020-09-22 Invensense, Inc. Enhancing quality of a fingerprint image
US11151355B2 (en) 2018-01-24 2021-10-19 Invensense, Inc. Generation of an estimated fingerprint
US11188735B2 (en) 2019-06-24 2021-11-30 Invensense, Inc. Fake finger detection using ridge features
US11176345B2 (en) * 2019-07-17 2021-11-16 Invensense, Inc. Ultrasonic fingerprint sensor with a contact layer of non-uniform thickness
US11216632B2 (en) * 2019-07-17 2022-01-04 Invensense, Inc. Ultrasonic fingerprint sensor with a contact layer of non-uniform thickness
US11232549B2 (en) 2019-08-23 2022-01-25 Invensense, Inc. Adapting a quality threshold for a fingerprint image
US11392789B2 (en) 2019-10-21 2022-07-19 Invensense, Inc. Fingerprint authentication using a synthetic enrollment image
CN115551650A (zh) 2020-03-09 2022-12-30 应美盛公司 具有非均匀厚度的接触层的超声指纹传感器
US11328165B2 (en) 2020-04-24 2022-05-10 Invensense, Inc. Pressure-based activation of fingerprint spoof detection
KR20220126177A (ko) * 2021-03-08 2022-09-15 주식회사 슈프리마아이디 비접촉식 광학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8956A (en) 1995-10-23 1998-10-06 Tuli; Raja Singh Extended fingerprint reading apparatus
JP3473658B2 (ja) 1996-07-18 2003-12-0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指紋読取り装置
US5895871A (en) * 1997-07-25 1999-04-20 General Electric Company Finger controlled inspection apparatus
AU2178400A (en) 1999-10-22 2001-05-08 Cross Match Technologies, Inc. Adjustable, rotatable finger guide in a tenprint scanner with movable prism platen
KR100613697B1 (ko) * 2003-07-18 2006-08-21 학교법인연세대학교 손가락의 슬라이딩/롤링에 따른 지문영상획득방법
US7277562B2 (en) 2003-08-01 2007-10-02 Cross Match Technologies, Inc. Biometric imaging capture system and method
US7601123B2 (en) * 2003-08-22 2009-10-13 Eppcor, Inc. Non-invasive blood pressure monitoring device and methods
US20050089204A1 (en) * 2003-10-22 2005-04-28 Cross Match Technologies, Inc. Rolled print prism and system
US7403644B2 (en) * 2003-11-26 2008-07-22 Microsoft Corporation Fingerprint scanner with translating platen
JP2005346271A (ja) 2004-06-01 2005-12-15 Fujitsu Ltd 指紋センサーパッケージ
US20060093192A1 (en) 2004-11-03 2006-05-04 Bechtel J S Finger guide device
US7671976B2 (en) * 2006-06-05 2010-03-02 Lockheed Marti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a flexible imaging surface to capture a rolled fingerprint
US20080069412A1 (en) 2006-09-15 2008-03-20 Champagne Katrina S Contoured biometric sensor
KR100874701B1 (ko) * 2007-05-15 2008-12-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접촉식 5지 지문 영상 획득 장치
KR100895274B1 (ko) * 2007-08-22 2009-04-2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접촉식 연속 지문 영상 획득 장치
EP2710582A4 (en) 2011-05-17 2014-12-31 Cross Match Technologies Inc DIGITAL FOOTPRINT SENSORS
US10024655B2 (en) 2011-11-11 2018-07-17 Cross Match Technologies, Inc. Ambient light rejection for non-imaging contact sensors
US9893102B2 (en) 2011-11-12 2018-02-13 Cross Match Technologies, Inc. Ambient light illumination for non-imaging contact sensors
FR2989483B1 (fr) 2012-04-11 2014-05-09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if d'interface utilisateur a electrodes transparentes
US9189022B2 (en) * 2013-11-13 2015-11-17 Symbol Technologies, Llc Wearable glove electronic device
CN105787417A (zh) * 2014-12-19 2016-07-20 上海箩箕技术有限公司 光学指纹成像系统和光学指纹成像方法
TWI614693B (zh) * 2015-02-26 2018-02-11 速博思股份有限公司 具曲面基板之生物辨識裝置
US10779765B2 (en) * 2015-09-28 2020-09-22 Aclaris Medical, Llc Wearable physiologic sensing apparatus
US9792516B2 (en) 2016-01-26 2017-10-17 Next Biometrics Group Asa Flexible card with fingerprint sensor
US10181072B2 (en) * 2016-03-22 2019-01-15 Qualcomm Incorporated Rollable biometric measuring device
US10496870B2 (en) * 2017-03-06 2019-12-03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djustable fingerprint capturing device
US11003883B2 (en) * 2017-03-07 2021-05-1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djustable fingerprint capturing device
KR102251669B1 (ko) 2017-09-15 2021-05-12 크로스 매치 테크놀로지스, 인크. 롤링된-등가 지문 이미지들을 취득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70391A3 (en) 2019-05-31
US20190087632A1 (en) 2019-03-21
WO2019070391A2 (en) 2019-04-11
KR20200046109A (ko) 2020-05-06
EP3682369A2 (en) 2020-07-22
EP3682369A4 (en) 2021-06-16
US10699097B2 (en) 202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1669B1 (ko) 롤링된-등가 지문 이미지들을 취득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장치
JP5295848B2 (ja) 個人認証装置
CN109196525B (zh) 在用于屏上指纹感测的屏下光学传感器模块中拒绝假指纹图案的反欺骗感测
US11239275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rocessing circuitry for sensing images from spaced apart sub-arrays and related methods
US10437974B2 (en) Optical sensing performance of under-screen optical sensor module for on-screen fingerprint sensing
CN109154869B (zh) 用于屏上指纹感应的屏下光学传感器模块的光学准直器
US10410037B2 (en) Under-screen optical sensor module for on-screen fingerprint sensing implementing imaging lens, extra illumination or optical collimator array
US10282582B2 (en) Finger biometric sensor for generating three dimensional fingerprint ridge data and related methods
US10885299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in hole array mask above optical image sensor and laterally adjacent light source and related methods
US8280118B2 (en) Biometrics authentication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WO2017129126A1 (en) Under-screen optical sensor module for on-screen fingerprint sensing
JP2019521734A (ja) 生物学的特性を検出するための光エミッタおよびセンサ
WO2019007424A1 (en) MULTILAYER OPTICAL DESIGNS OF OPTICAL SENSOR MODULE SUB-SCREEN HAVING A SPACED OPTIC COLLIMATOR NETWORK AND AN OPTICAL SENSOR ARRAY FOR DETECTION OF DIGITAL SCREENS ON SCREEN
JP2004348739A (ja) 光学的にクリックを検出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040208348A1 (en) Imaging system and apparatus for combining finger recognition and finger navigation
US20180225502A1 (en) Fingerprint identification device and fingerprint identification method
US20220071489A1 (en) Multimodal biometric device
JP2013225324A (ja) 個人認証装置、画像処理装置、端末、及びシステム
FR2791593A1 (fr) Detecteur tactile
CN108475324B (zh) 非接触摩擦纹脊捕获装置
US20090169078A1 (en) Noninvasive living body measuring device and a noninvasive living body measuring method
US20220277488A1 (en) Imaging method and imaging apparatus
US10557993B1 (en) Focusing mechanism for biosignals measurement with mobile devices
KR101749906B1 (ko) 안면 전용 촬영부스
JP6862739B2 (ja) 生体撮影装置及び多機能時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